KR20180135010A - 공랭 칠러 - Google Patents

공랭 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010A
KR20180135010A KR1020187033282A KR20187033282A KR20180135010A KR 20180135010 A KR20180135010 A KR 20180135010A KR 1020187033282 A KR1020187033282 A KR 1020187033282A KR 20187033282 A KR20187033282 A KR 20187033282A KR 20180135010 A KR20180135010 A KR 2018013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an
baffle plate
heat exchange
exchange chambe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데 고토
다쿠야 오카다
마사히로 데라오카
고헤이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코 서멀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코 서멀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코 서멀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6Drip trays for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6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8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열교환실(12)의 하단(12a)에 마련되고, 중앙(15C)로부터 양단부(15A)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배플 플레이트(15)와, 기계실(11)과 열교환실(12)의 사이에 Y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배플 플레이트(15)의 폭 방향의 단부(15A)로부터 떨어지는 배수를 수용 가능한 한 쌍의 드레인 팬(17)을 구비하고, 한 쌍의 드레인 팬(17)을 드레인 팬(17)의 폭 방향에 있어서 분리한다.

Description

공랭 칠러
본 발명은 공랭 칠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10월 14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6-203001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특허문헌 1에는, 기계실과, 기계실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된 공기 열교환실과, 공기 열교환실의 상단에 배치된 팬과, 공기 열교환실의 하단과 접촉하도록, 기계실과 공기 열교환실의 사이에 배치된 드레인 팬을 구비한 칠링 유닛(공랭 칠러)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 팬은, V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중앙부에 배수구가 마련되어 있다. 드레인 팬은, 공기 열교환실 내에 있어서 배관을 흐르는 냉매와 공기가 열교환함으로써 발생하는 물을,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칠링 유닛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국제 공개공보 제2011/099629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드레인 팬은, 공기 열교환실의 하단 전체와 접촉되어 있었기 때문에(바꾸어 말하면, 공기 열교환실의 하단과 드레인 팬의 사이에 간극이 없기 때문에), 드레인 팬 내에 티끌이나 먼지 등이 퇴적된 경우에 드레인 팬 내의 청소를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하여, 드레인 팬에 마련된 배수구가, 티끌이나 먼지로 막힐 가능성이 있었다.
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칠링 유닛(공랭 칠러)을 한랭지에서 사용하는 경우, 물이 얼지 않도록, 기계실의 상면과 대향하는 드레인 팬의 면에 히터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공기 열교환실의 하단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된 드레인 팬의 중앙부에 히터를 장착하는 것은 곤란했다. 즉, 드레인 팬에 대한 작업이 곤란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레인 팬 내를 용이하게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드레인 팬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공랭 칠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공랭 칠러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상방에 상기 기계실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소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실과, 상기 열교환실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소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중앙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단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기계실과 상기 열교환실의 사이에,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소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떨어지는 배수를 수용 가능한 한 쌍의 드레인 팬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팬은, 상기 드레인 팬의 폭 방향에 있어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열교환실의 폭 방향의 끝단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의 외측 벽과 상기 열교환실의 폭 방향의 끝단 및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실의 하단에 마련되고, 소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중앙으로부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단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배플 플레이트와, 기계실과 열교환실의 사이에,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마련되고, 소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떨어지는 배수를 수용 가능한 한 쌍의 드레인 팬을 구비하고, 드레인 팬의 폭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드레인 팬을 분리함으로써, 각 드레인 팬의 폭을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에 있어서, 드레인 팬의 외측 벽과 열교환실의 폭 방향의 끝단 및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사이에 간극을 마련함으로써, 간극을 통하여, 폭이 좁은 드레인 팬 내에 모이는 티끌이나 먼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드레인 팬의 폭을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공랭 칠러를 한랭지에서 사용할 때, 기계실의 상면과 대향하는 드레인 팬의 면에, 용이하게 히터(배수의 동결 방지용 히터)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드레인 팬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공랭 칠러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드레인 팬의 양단 중, 일방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용 드레인 팬과, 상기 연결용 드레인 팬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배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이, 드레인 팬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드레인 팬의 양단 중, 일방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용 드레인 팬과, 연결용 드레인 팬에 마련되어 있고, 배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짐으로써, 배출구를 1개만 마련하면 되기 때문에, 복수의 배출구를 청소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배출구의 청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공랭 칠러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드레인 팬의 상기 일방의 끝단이 타방의 끝단보다 상기 기계실의 상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배치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드레인 팬의 일방의 끝단이 타방의 끝단보다 기계실의 상면에 가까워지도록 드레인 팬을 경사시켜 배치시킴으로써, 연결용 드레인 팬에 용이하게 배수를 안내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공랭 칠러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드레인 팬의 형상은, 상기 드레인 팬이 접속된 상기 연결용 드레인 팬의 양단보다 상기 연결용 드레인 팬의 중앙이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연결용 드레인 팬의 중앙에 배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연결용 드레인 팬의 형상을, 드레인 팬이 접속된 연결용 드레인 팬의 양단보다 중앙이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배수를 용이하게 배수구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공랭 칠러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과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에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부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에, 배플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부를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관통부를 통하여, 드레인 팬에 배수를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배수가 흘러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레인 팬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또한 드레인 팬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공랭 칠러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영역 A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배플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영역 B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한 쌍의 드레인 팬 및 연결용 드레인 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공랭 칠러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배플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공랭 칠러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한 쌍의 드레인 팬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시되는 각부의 크기나 두께나 치수 등은, 실제의 공랭 칠러의 치수 관계와는 다른 경우가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공랭 칠러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X 방향은 기계실(11), 열교환실(12), 배플 플레이트(15), 및 드레인 팬(17)의 폭 방향(소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Y 방향은 X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기계실(11), 열교환실(12), 배플 플레이트(15), 및 드레인 팬(17)의 길이 방향(소정 방향), Z 방향은 XY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연직 방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영역 A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형태의 공랭 칠러(10)은, 기계실(11)과, 열교환실(12)와, 복수의 팬(13)과, 배플 플레이트(15)와, 한 쌍의 드레인 팬(17)과, 지지부(18, 22)와, 연결용 드레인 팬(19)와, 배출관(24)를 갖는다.
기계실(11)은, Y 방향으로 연장하는 케이싱(25)와, 케이싱(25) 내에 수용된 압축기, 사방 전환 밸브, 물 열교환기, 팽창 밸브, 냉매 배관, 물 배관, 및 물 순환 펌프(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압축기, 사방 전환 밸브, 물 열교환기, 및 팽창 밸브는, 냉매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물 배관은, 물 열교환기 및 물 순환 펌프와 접속되어 있다.
공랭 칠러(10)은, 사방 전환 밸브를 전환함으로써,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의 양쪽 모두의 운전에 대응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압축기는, 예를 들면 인버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를 구비한다. 압축기에서는,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냉매 배관에 토출되는 냉매의 양을 조정한다.
물 열교환기는, 냉매 배관을 흐르는 냉매와, 물 배관을 흐르는 물을 열교환시킨다.
물 배관은, 공랭 칠러(10)의 외부로부터 물 열교환기에 물을 공급하는 제1 물 배관과, 물 열교환기의 물을 공랭 칠러(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물 배관을 갖는다.
팽창 밸브는, 물 열교환기와 열교환실(12)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팽창 밸브는, 열교환실(12)를 구성하는 복수의 열교환부(12A)와 접속되어 있다.
물 순환 펌프는, 기계실(11)을 구성하는 복수의 물 열교환기에 물을 공급한다.
열교환실(12)는, 기계실(11)의 상방에 기계실(11)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열교환실(12)는, Y 방향으로 연장하는 케이싱(28)과, 케이싱(28) 내에 수용된 복수(도 1의 경우 4개)의 열교환부(12A)를 갖는다. 열교환부(12A)는, X 방향 및 Y 방향에 대하여 각각 2개 배치되어 있다. X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열교환부(12A)의 하단(12aa)는, 역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열교환실(12)의 하단(12a)의 형상은, 역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케이싱(28)의 측벽 부분은, 기계실(11)에 대하여 열교환실(12)를 지지하고 있다. 케이싱(28)은, 외기(공기)를 취합하는 측벽부(28A)를 갖는다. 복수의 팬(13)이 회전함으로써, 측벽부(28A)를 통하여, 케이싱(28) 내에 외기(공기)가 취합된다.
열교환부(12A)는, 공기식의 열교환기이다. 열교환부(12A)는, 측벽부(28A)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공기)가 도입되는 공간(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압축기와 접속된 복수의 전열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복수의 전열 튜브 내에는, 압축기에 의하여 냉매가 순환되고 있다. 열교환부(12A)에서는, 복수의 전열 튜브와 측벽부(28A)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공기)가 열교환한다.
복수의 팬(13)은, 열교환실(12)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팬(13)은, Y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팬(13)은, 열교환부(12A) 내의 공간에 외기를 흡입함과 함께, 열교환한 외기를 팬(13)의 상방으로 배출시킨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배플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배플 플레이트(15)는, Y 방향(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15)의 폭(X 방향의 폭)은, 열교환실(12)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15)의 형상은, 그 중앙(15C)로부터 X 방향(폭 방향)의 양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역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15)의 형상은, 열교환실(12)의 하단(12a)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배플 플레이트(15)는, 열교환실(12)의 하단(12a)(복수의 열교환부(12A)의 하단(12aa))와 접촉하는 면(15a)와, X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단부(15A)를 갖는다. 배플 플레이트(15)의 면(15a)는, 열교환실(12) 내에서 발생하는 배수가 흐르는 면이다. 배플 플레이트(15)의 면(15a)를 흐르는 배수는, 단부(15A)에 안내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2개의 단부(15A)를 양단부(15A)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배플 플레이트(15)는, 열교환실(12)의 하단(12a)에 고정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15)는, 예를 들면 볼트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열교환실(12)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플 플레이트(15)는, 열교환실(12)의 하단(12a)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양단부(15A)가 열교환실(12)의 폭 방향(X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15)의 단부(15A)는, 그 하방에 배치된 드레인 팬(17)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15)의 양단부(15A)의 선단은, 그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15)의 양단부(15A)에는, Y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부(15B)를 갖는다. 복수의 관통부(15B)는, 드레인 팬(17)의 내면과 대향하고 있다. 복수의 관통부(15B)는, 복수의 열교환부(12A)에서 발생한 배수를 하방에 배치된 드레인 팬(17)에 적하(낙하)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복수의 관통부(15B)를 배플 플레이트(15)에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관통부(15B)를 통하여, 드레인 팬(17)에 배수를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배플 플레이트(15)의 양단부(15A)로부터 배수가 흘러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역 V자 형상으로 된 배플 플레이트(15)는, 열교환부(12A)로부터 발생한 배수를 단부(15A) 및 복수의 관통부(15B)에 안내한다. 그리고, 단부(15A) 및 복수의 관통부(15B)에 안내된 배수는, 배플 플레이트(15)의 선단의 하방에 배치된 드레인 팬(17)에 흘러 떨어짐으로써, 드레인 팬(17) 내에 회수된다.
상술한 배플 플레이트(1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내수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서는, 일례로서, Y 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관통부(15B)를 마련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관통부(15B)로서, Y 방향으로 연장하는 1개의 관통홈을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관통부(15B)를 마련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영역 B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한 쌍의 드레인 팬 및 연결용 드레인 팬의 평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드레인 팬(17)은, 배플 플레이트(15)의 1개의 단부(15A)와 대향하도록, 기계실(11)과 열교환실(12)의 사이에 2개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드레인 팬(17)은, 평면에서 본 상태에서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드레인 팬(17)은, X 방향에 대하여 이간된 상태로 2개 배치되어 있다. 각 드레인 팬(17)의 폭은, 열교환부(12A)의 폭보다 충분히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X 방향에 있어서 분리된 한 쌍(2개)의 드레인 팬(17)을 마련함으로써, 각 드레인 팬(17)의 폭을 열교환부(12A)의 폭보다 충분히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공랭 칠러(10)을 한랭지에서 사용할 때, 기계실(11)의 상면(11a)와 대향하는 드레인 팬의 면(17a)(외면)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히터(도시하지 않은 배수 동결 방지용 히터)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드레인 팬(17)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드레인 팬(17)은, 배플 플레이트(15)의 단부(15A)로부터 떨어지는 배수를 수용한다. 드레인 팬(17)은, 열교환실(12)의 X 방향(폭 방향)의 끝단(12B)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드레인 팬(17)은, Y 방향으로 배치된 일방의 끝단(17A) 및 타방의 끝단(17B)를 갖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방의 끝단(17A)와 타방의 끝단(17B)의 양쪽 모두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양단(17A, 17B)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한 쌍의 드레인 팬(17)의 일방의 끝단(17A)는, 연결용 드레인 팬(19)와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 팬(17)은, 일방의 끝단(17A)가 타방의 끝단(17B)보다 기계실(11)의 상면(11a)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방의 끝단(17A)가 타방의 끝단(17B)보다 기계실(11)의 상면(11a)에 가까워지도록, 드레인 팬(17)을 경사시켜 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배수를 연결용 드레인 팬(19)에 안내할 수 있다.
또, 드레인 팬(17)의 외측 벽(17C)와 열교환실(12)의 끝단(12B) 및 배플 플레이트(15)의 폭 방향(X 방향)의 단부(15A)의 사이에는, X 방향으로 배치된 간극(26)이 마련되어 있다. 간극(26)은, Y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간극이다.
이와 같이, X 방향에 있어서, 드레인 팬(17)의 외측 벽(17C)와 열교환실(12)의 끝단(12B) 및 배플 플레이트(15)의 폭 방향의 단부(15A)의 사이에 간극(26)을 마련함으로써, 간극(26)을 통하여, 폭이 좁은 드레인 팬(17)에 모이는 티끌이나 먼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간극(26)의 폭은, 드레인 팬(17)의 내측을 청소할 때에 사용하는 청소 도구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간극(26)의 폭은, 예를 들면 12mm 이상으로 하면 된다.
지지부(18)은, 드레인 팬(17)의 면(17a)와 기계실(11)의 상면(11a)의 사이에 복수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18)은, 드레인 팬(17)과 기계실(11)을 접속함으로써, 드레인 팬(17)을 지지하고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용 드레인 팬(19)는, 일방의 드레인 팬(17)의 일방의 끝단(17A)와 타방의 드레인 팬(17)의 일방의 끝단(17A)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연결용 드레인 팬(19)는, X 방향으로 배치된 끝단(19A, 19B)(양단)를 갖는다.
연결용 드레인 팬(19)는, 끝단(19A)가 일방의 드레인 팬(17)의 일방의 끝단(17A)와 접속되어 있고, 끝단(19B)가 타방의 드레인 팬(17)의 일방의 끝단(17A)와 접속되어 있다.
연결용 드레인 팬(19)의 중앙부에는, 배출관(24)와 접속된 배출구(19C)가 마련되어 있다. 배출구(19C)는, 배출관(24)를 통하여, 드레인 팬(17)을 경유한 배수를 공랭 칠러(1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2개의 드레인 팬(17)의 일방의 끝단(17A)를 연결하는 연결용 드레인 팬(19)와, 연결용 드레인 팬에 마련된 배출구(19C)를 가짐으로써, 배출구(19C)의 수를 1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배출구의 수를 복수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배출구(19C)의 청소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연결용 드레인 팬(19)의 형상은, 연결용 드레인 팬(19)의 끝단(19A, 19B)보다 연결용 드레인 팬(19)의 중앙이 Z 방향(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낮아지는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용 드레인 팬(19)의 형상을 V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연결용 드레인 팬(19)의 중앙에 마련된 배출구(19C)에, 드레인 팬(17)을 경유한 배수를 효율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지지부(22)는, 기계실(11)의 상면(11a)와 연결용 드레인 팬(19)의 사이에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부(22)는, 연결용 드레인 팬(19)를 지지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공랭 칠러(10)에 의하면, 열교환실(12)의 하단(12a)에 마련되고, 중앙(15C)로부터 X 방향의 단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배플 플레이트(15)와, 배플 플레이트(15)의 단부(15A)와 대향하도록, 기계실(11)과 열교환실(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플 플레이트(15)의 폭 방향의 단부(15A)로부터 떨어지는 배수를 수용 가능한 한 쌍의 드레인 팬(17)을 구비하고, 드레인 팬(17)의 폭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드레인 팬(17)을 분리함으로써, 각 드레인 팬(17)의 폭을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X 방향에 있어서, 드레인 팬(17)의 외측 벽(17C)와 열교환실(12)의 끝단(12B) 및 배플 플레이트(15)의 단부(15A)의 사이에 간극(26)을 마련함으로써, 간극(26)을 통하여, 폭이 좁은 드레인 팬(17)에 모이는 티끌이나 먼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드레인 팬(17)의 폭을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공랭 칠러(10)을 한랭지에서 사용할 때, 기계실(11)의 상면(11a)와 대향하는 드레인 팬(17)의 면(17a)에, 용이하게 도시하지 않은 히터(배수의 동결 방지용 히터)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드레인 팬(17)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V자 형상으로 된 연결용 드레인 팬(19)를 이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연결용 드레인 팬(19)의 형상은, X 방향에 대하여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형상이어도 된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드레인 팬(17)을 경사시킨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드레인 팬(17)은, XY 평면에 대하여 수평이 되도록 배치시켜도 된다. 이 경우, 모인 배수를 드레인 팬(17)로부터 효율적으로 빼내는 관점에서, 드레인 팬(17)의 Y 방향에 복수의 배출구(19C)를 마련하면 된다.
〔제2 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공랭 칠러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배플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형태의 공랭 칠러(30)은, 제1 실시형태의 공랭 칠러(10)을 구성하는 열교환실(12)보다 열교환실(12)의 폭을 넓게 함과 함께, 배플 플레이트(15)로 변경하여 배플 플레이트(31)을 갖는 것 이외에는, 공랭 칠러(1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열교환실(12)의 2개의 끝단(12B)(이하, 2개의 끝단(12B)를 "양단(12B)"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는, 배플 플레이트(31)의 단부(31A)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열교환실(12)의 끝단(12B)는, Z 방향에 있어서, 드레인 팬(17)과 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Z 방향에 있어서, 열교환실(12)의 끝단(12B)와 드레인 팬(17)이 대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열교환실(12)의 끝단(12B)를 통하여, 배플 플레이트(31)의 단부(31A)보다 외측으로 이동한 배수를 드레인 팬(17)에 낙하시킬 수 있다.
X 방향에 있어서, 열교환실(12)의 끝단(12B)와 드레인 팬(17)의 외부의 사이에는, 드레인 팬(17) 내를 청소할 때에 사용하는 청소 도구를 삽입 가능한 간극(33)이 형성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31)은, 열교환실(12)의 하단(12a)의 형상에 대응하는 역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31)의 X 방향의 폭은, 열교환실(12)의 X 방향의 폭보다 좁다. 배플 플레이트(31)은, 열교환실(12)의 하단(12a)에 고정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31)은, 예를 들면 볼트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열교환실(12)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플 플레이트(31)은, X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단부(31A)(이하, 2개의 단부(31A)를 "양단부(31A)"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갖는다. 배플 플레이트(31)은, 열교환실(12)의 하단(12a)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양단부(31A)가 열교환실(12)의 2개의 끝단(12B)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31)의 양단부(31A)는, 선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31)의 선단은, 드레인 팬(17)의 측벽의 내면과 접촉하고 있다. 배플 플레이트(31)의 선단은, 예를 들면 볼트나 나사를 이용하여, 드레인 팬(17)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제2 실시형태의 공랭 칠러(30)은, 먼저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공랭 칠러(10)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공랭 칠러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한 쌍의 드레인 팬의 평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3 실시형태의 공랭 칠러(40)은, 제1 실시형태의 공랭 칠러(10)을 구성하는 연결용 드레인 팬(19)를 구성 요소로부터 제외함과 함께, 각 드레인 팬(17)에 배출구(19C)를 마련한 것 이외에는, 공랭 칠러(1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드레인 팬(17)의 일방의 끝단(17A)(Z 방향에 있어서 타방의 끝단(17B)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끝단)에는, 배출구(19C)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제3 실시형태의 공랭 칠러(40)은, 각 드레인 팬(17)의 폭을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공랭 칠러(40)을 한랭지에서 사용할 때, 기계실(11)의 상면(11a)와 대향하는 드레인 팬(17)의 면(17a)에 대하여, 용이하게 히터(배수의 동결 방지용 히터)를 장착할 수 있다. 즉, 드레인 팬(17)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X 방향에 있어서, 드레인 팬(17)의 외측 벽(17C)와 열교환실(12)의 끝단(12B) 및 배플 플레이트(15)의 단부(15A)의 사이에 간극(26)을 마련함으로써, 간극(26)을 통하여, 폭이 좁은 드레인 팬(17)에 모이는 티끌이나 먼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드레인 팬(17)을 경사시킨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드레인 팬(17)은, XY 평면에 대하여 수평이 되도록 배치시켜도 된다. 이 경우, 드레인 팬(17)에 모인 배수를 드레인 팬(17)로부터 효율적으로 빼내는 관점에서, 드레인 팬(17)의 Y 방향에 복수의 배출구(19C)를 마련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배플 플레이트(15)의 양단부(15A)가 열교환실(12)의 2개의 끝단(12B)의 외측에 배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배플 플레이트(31)의 양단부(31A)가 열교환실(12)의 양단(12B)의 내측에 배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열교환실(12)의 2개의 끝단(12B)와 배플 플레이트(15, 31)의 단부(15A, 31A)의 선단을 동일한 위치에 배치시켜도 된다. 이 경우도,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공랭 칠러(10, 30)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공랭 칠러에 적용 가능하다.
10, 30, 40 공랭 칠러
11 기계실
11a 상면
12 열교환실
12a, 12aa 하단
12A 열교환부
12B, 19A, 19B 끝단
13 팬
15, 31 배플 플레이트
15a, 17a 면
15A, 31A 단부
15B 관통부
15C 중앙
17 드레인 팬
17A 일방의 끝단
17B 타방의 끝단
17C 외측 벽
18, 22 지지부
19 연결용 드레인 팬
19C 배출구
24 배출관
25, 28 케이싱
26, 33 간극
28A 측벽부
A, B 영역

Claims (5)

  1. 소정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상방에 상기 기계실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소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실과,
    상기 열교환실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소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중앙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단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기계실과 상기 열교환실의 사이에,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소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떨어지는 배수를 수용 가능한 한 쌍의 드레인 팬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팬은,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는 별체로 되며, 상기 드레인 팬의 폭 방향에 있어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열교환실의 폭 방향의 끝단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의 외측 벽과 상기 열교환실의 폭 방향의 끝단 및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양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된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는 공랭 칠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드레인 팬의 양단 중, 일방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용 드레인 팬과,
    상기 연결용 드레인 팬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배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는 공랭 칠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드레인 팬의 상기 일방의 끝단이 타방의 끝단보다 상기 기계실의 상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공랭 칠러.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드레인 팬의 형상은, 상기 드레인 팬이 접속된 상기 연결용 드레인 팬의 양단보다 상기 연결용 드레인 팬의 중앙이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연결용 드레인 팬의 중앙에 배치하는 공랭 칠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과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에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부가 마련되어 있는 공랭 칠러.
KR1020187033282A 2016-10-14 2017-09-06 공랭 칠러 KR201801350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03001 2016-10-14
JP2016203001A JP2018063101A (ja) 2016-10-14 2016-10-14 空冷チラー
PCT/JP2017/032084 WO2018070143A1 (ja) 2016-10-14 2017-09-06 空冷チラ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010A true KR20180135010A (ko) 2018-12-19

Family

ID=6190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282A KR20180135010A (ko) 2016-10-14 2017-09-06 공랭 칠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447394A4 (ko)
JP (1) JP2018063101A (ko)
KR (1) KR20180135010A (ko)
CN (1) CN109312936A (ko)
WO (1) WO20180701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2721A (zh) * 2018-11-16 2019-03-08 无锡同方人工环境有限公司 一种风冷模块机组外框
JP7209845B2 (ja) * 2019-08-07 2023-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チリングユニット及びチリングユニッ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479U (ko) * 1980-06-17 1982-01-16
JPS5956065A (ja) * 1982-09-22 1984-03-31 松下精工株式会社 空冷式空気調和機のドレン処理装置
JPH01167527U (ko) * 1988-05-12 1989-11-24
JPH0714732Y2 (ja) * 1990-07-16 1995-04-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694263A (ja) * 1992-09-10 1994-04-05 Hitachi Ltd 多室型空気調和機
JP3223099B2 (ja) * 1996-02-26 2001-10-29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JP2000283492A (ja) * 1999-03-30 2000-10-13 Sanyo Electric Co Ltd 熱交換ユニット
KR100575305B1 (ko) * 2003-12-19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WO2011099629A1 (ja) * 2010-02-15 2011-08-1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チリングユニット
JP5606419B2 (ja) * 2011-09-30 2014-10-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2149736B1 (ko) * 2013-08-09 2020-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2015158347A (ja) * 2014-02-25 2015-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204254850U (zh) * 2014-06-20 2015-04-08 特灵空调系统(中国)有限公司 排水盘、冷却机组以及冷却装置
CN204141754U (zh) * 2014-09-22 2015-02-04 贝莱特空调有限公司 换热器融霜水无障碍排除结构及风冷热泵
JP6466219B2 (ja) * 2015-03-20 2019-02-06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5066521B (zh) * 2015-09-01 2018-04-24 广东芬尼克兹节能设备有限公司 换热装置及设有该装置的热泵机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0143A1 (ja) 2018-04-19
EP3447394A1 (en) 2019-02-27
CN109312936A (zh) 2019-02-05
JP2018063101A (ja) 2018-04-19
EP3447394A4 (en)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7745B2 (ja) 熱源ユニット
KR101730172B1 (ko) 헤더파이프의 수직배치 구조를 갖는 차량용 에어컨 증발기
KR20180135010A (ko) 공랭 칠러
WO2015136711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190006546A (ko) 냉동 사이클 장치
JP6469221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の製造方法
CN109416194B (zh) 用于安装在房间天花板之下的冷却装置
JP4196666B2 (ja) 冷凍装置のドレンパン構造
JP7209845B2 (ja) チリングユニット及びチリングユニットシステム
WO2021024403A1 (ja) チリングユニット
JP4863850B2 (ja) クリーンルーム装置
EP2306130A2 (en) Plate for freeze drying machines
JP7003256B2 (ja) 空気調和機
CN217636278U (zh) 一种暖通设备中的蒸发器
JP2015143609A (ja) 冷却塔の洗浄装置
JP2023087153A (ja) 空気調和機
JP6429358B2 (ja) 天吊り型空調用ユニット
CN210756740U (zh) 一种具有油冷降温装置的铣床
JPWO2016110960A1 (ja) 空気調和機の架台
JP6977994B2 (ja) ユニットクーラ
JP5535760B2 (ja) オープン型のショーケース
JP2008111616A (ja) 熱交換ユニット及びその熱交換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20079661A (ja) 温調装置
JP201817321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H1013231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