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546A - 냉동 사이클 장치 - Google Patents

냉동 사이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546A
KR20190006546A KR1020187036198A KR20187036198A KR20190006546A KR 20190006546 A KR20190006546 A KR 20190006546A KR 1020187036198 A KR1020187036198 A KR 1020187036198A KR 20187036198 A KR20187036198 A KR 20187036198A KR 20190006546 A KR20190006546 A KR 20190006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refrigeration cycle
water pipe
housing
ai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808B1 (ko
Inventor
가오루 마츠시타
히로아키 와타나베
고우스케 오자와
요시유키 아카이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28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several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삭감할 수 있어서, 협소한 공간이어도 무리 없이 설치할 수 있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얻는다. 냉동 사이클 장치는, 수배관(46a, 46b, 46c, 46d)이 수용된 세장형 기계실(14)을 가지며, 수배관의 접속 단부(48, 51)가 기계실(14)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일단으로부터 기계실의 외부로 돌출된 제 1 섹션(2)과, 제 1 섹션 위에 배치되며, 제 1 섹션을 따라서 연장된 제 2 섹션(22)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섹션은 제 2 섹션보다 장변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제 1 섹션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적어도 한쪽 단부 측에, 제 2 섹션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적어도 한쪽 단부보다 인입된 단차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수배관의 접속 단부는 단차부에 위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냉동 사이클 장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수배관(水配管)의 접속 단부가 기계실의 외부로 돌출된 냉동 사이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냉수 혹은 온수를 생성하는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은, 각종 냉동 사이클 구성 부품이 수용된 기계실을 갖는 제 1 섹션과, 복수의 공기 열교환부가 일렬로 나열된 제 2 섹션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섹션은 제 1 섹션 위에 중첩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은 각각 칠링 유닛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세장(細長) 형상을 갖는 동시에, 그 장변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양단부는 칠링 유닛의 높이 방향을 따르도록 연속하여 기립되어 있으며, 제 1 섹션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한쪽 단부로부터 수배관의 접속 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 5555701 호
종래의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에서는, 해당 칠링 유닛이 납입되는 현장에서, 수배관의 접속 단부와 현장에 부설된 현장 배관 사이를 각종 밸브나 플렉시블 조인트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수배관의 접속 단부는 제 1 섹션의 한쪽 단부로부터 칠링 유닛의 외부로 돌출해 있으므로, 각종 밸브나 플렉시블 조인트가 칠링 유닛의 주위로 크게 불거져 나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그 결과, 현장 배관과 칠링 유닛 사이에 적어도 수백 ㎜ 정도의 거리가 필요하여, 칠링 유닛을 설치할 공간이 커지게 되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삭감할 수 있어서, 협소한 공간이어도 무리 없이 설치할 수 있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얻는 것에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냉동 사이클 장치는, 수배관이 수용된 세장형 기계실을 가지며, 상기 수배관의 접속 단부가 상기 기계실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기계실의 외부로 돌출된 제 1 섹션과, 상기 제 1 섹션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섹션을 따라서 연장된 제 2 섹션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섹션은, 상기 제 2 섹션보다 장변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섹션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적어도 한쪽 단부 측에, 상기 제 2 섹션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적어도 한쪽 단부보다 인입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배관의 상기 접속 단부는 상기 단차부에 위치되어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에 있어서 기계실을 개방한 상태를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에 있어서 기계실을 개방한 상태를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의 냉동 사이클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6은 기계실에 수용된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 수회로(水回路) 및 전장(電裝) 유닛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에 이용하는 공기 열교환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에 있어서 기계실과 드레인 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에 있어서 전장 유닛, 드레인 팬 및 공기 열교환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의 측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예컨대 냉수 혹은 온수를 생성하는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의 측면도, 도 5는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의 냉동 사이클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은, 예컨대 냉각 모드 및 가열 모드로 운전이 가능한 냉동 사이클 장치의 일 예로서, 공랭 히트 펌프식 열원기로 바꿔 말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공랭 히트 펌프식 칠링 유닛을 간략히 칠링 유닛이라 칭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칠링 유닛(1)은 하우징(2),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 수회로(5) 및 전장 유닛(6)을 주요한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은 제 1 섹션의 일 예이며, 예컨대 건물의 옥상과 같은 수평인 설치면(G) 위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은, 안길이 치수가 폭 치수보다 현격히 큰 세장 중공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은 메인 프레임(7)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 프레임(7)은 하부 프레임(8), 상부 프레임(9) 및 복수의 세로살(10)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8) 및 상부 프레임(9)은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세장 직사각형 형상이다.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는 하부 프레임(8)의 길이(L1)는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는 상부 프레임(9)의 길이(L2)보다 짧다. 또한, 하우징(2)의 폭 방향을 따르는 상부 프레임(9)의 길이(L3)는 하우징(2)의 폭 방향을 따르는 하부 프레임(8)의 길이(L4)보다 짧다.
세로살(10)은 하부 프레임(8)과 상부 프레임(9) 사이를 연결하는 요소이며,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하우징(2)의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세로살(10)은 하부 프레임(8)으로부터 상부 프레임(9)의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져 있다.
이 때문에,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을 정면 방향(F) 및 배면 방향(R)에서 보았을 때에, 메인 프레임(7)은 하부 프레임(8)으로부터 상부 프레임(9)을 향해 하우징(2)의 폭 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점차 좁아지는 선단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7)의 우측면 및 좌측면은 각각 복수의 측판(12)으로 덮여 있다. 메인 프레임(7)의 정면 및 배면은 각각 도시하지 않는 단부판으로 덮여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8) 위에 바닥판(13)이 고정되어 있다. 바닥판(13)은 측판(12) 및 단부판과 협동하여 하우징(2)의 내부에 기계실(14)을 규정하고 있다. 기계실(14)은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우징(2)의 정면 측에 위치된 하부 프레임(8)의 전단 및 상부 프레임(9)의 전단은 하우징(2)의 높이 방향으로 나열하도록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는 위치가 서로 정렬되어 있다. 하우징(2)의 배면 측에서는, 상부 프레임(8)이 하부 프레임(7)보다 하우징(2)의 배후를 향해 수평으로 불거져 나와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하부 프레임(8)의 길이(L1)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은 하우징(2)의 장변 방향으로 바꿔 말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은 서로 독립된 제 1 냉매 회로(RA) 및 제 2 냉매 회로(RB)를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은 서로 독립된 제 3 냉매 회로(RC) 및 제 4 냉매 회로(RD)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냉매 회로(RA, RB, RC, RD)는 서로 공통의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제 1 냉매 회로(RA)를 대표하여 설명하고, 제 2 내지 제 4 냉매 회로(RB, RC, RD)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냉매 회로(RA)는 능력 가변형의 압축기(20), 사방 밸브(21), 공기 열교환부(22), 한쌍의 팽창 밸브(23a, 23b), 리시버(24), 수열교환기(水熱交換器)(25) 및 기액 분리기(26)를 주요한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요소는 냉동 사이클 구성 부품의 일 예로서, 냉매가 순환하는 순환 회로(27)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기(20)의 토출구는 사방 밸브(21)의 제 1 포트(21a)에 접속되어 있다. 사방 밸브(21)의 제 2 포트(21b)는 공기 열교환부(22)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 열교환부(22)는 한쌍의 공기 열교환기(29a, 29b) 및 팬(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열교환기(29a, 29b)는 복수의 플레이트 핀과 복수의 냉매 배관을 조합하여 구성되며, 그 수평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공기 열교환기(29a, 29b)는 하우징(2)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기립해 있는 동시에, 상방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공기 열교환기(29a, 29b)의 연부 사이의 간극은 한쌍의 차폐판(32a, 32b)으로 폐색되어 있다. 공기 열교환기(29a, 29b) 및 차폐판(32a, 32b)으로 둘러싸인 통 형상의 공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배기 통로(33)를 규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열교환부(22)는, 하우징(2)을 정면 방향(F) 및 배면 방향(R)에서 보았을 때에, 하우징(2)의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하우징(2)의 폭 방향으로 확개되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2) 위에 공기 열교환부(22)가 위치된 칠링 유닛(1)은 높이 방향을 따르는 중간부가 잘록한 장구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팬(30)은 임펠러(34)를 회전시키는 팬 모터(35)를 구비하고 있다. 팬 모터(35)는 임펠러(34)의 회전 속도를 가변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기판(도시 생략)을 내장하고 있다. 팬 모터(35)는 배기 통로(33)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공기 열교환기(29a, 29b)의 상단부 사이에 팬 베이스(36)를 거쳐서 지지되어 있다.
나아가, 팬(30)의 임펠러(34)는 팬 커버(37)로 덮여 있다. 팬 커버(37)는 임펠러(34)와 마주보는 원통 형상의 배기구(38)를 갖고 있다.
팬(30)이 구동되면, 칠링 유닛(1)의 주위의 공기가 공기 열교환기(29a, 29b)를 통과하여 배기 통로(33)에 흡입된다. 배기 통로(33)에 흡입된 공기는 배기구(38)를 향해 빨아올려지는 동시에, 해당 배기구(38)로부터 칠링 유닛(1)의 상방을 향해 배출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열교환기(29a, 29b)의 입구는 사방 밸브(21)의 제 2 포트(21b)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공기 열교환기(29a, 29b)의 출구는 팽창 밸브(23a, 23b), 리시버(24) 및 수열교환기(25)를 거쳐서 사방 밸브(21)의 제 3 포트(21c)에 접속되어 있다. 사방 밸브(21)의 제 4 포트(21d)는 기액 분리기(26)를 거쳐서 압축기(20)의 흡입 측에 접속되어 있다.
나아가, 기액 분리기(26)의 출구는 바이패스 배관(40)을 거쳐서 사방 밸브(21)의 제 1 포트(21a)에 접속되어 있다. 상폐형(常閉形)의 전자 밸브(41)가 바이패스 배관(40)의 도중에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열교환기(25)는 제 1 냉매 유로(25a), 제 2 냉매 유로(25b) 및 수유로(水流路)(25c)를 구비하고 있다. 수열교환기(25)의 제 1 냉매 유로(25a)는 리시버(24) 및 사방 밸브(21)의 제 3 포트(21c)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냉매 유로(25b)는 제 2 냉매 회로(RB)의 리시버(24) 및 사방 밸브(21)의 제 3 포트(21c)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에서는, 제 1 냉매 회로(RA) 및 제 2 냉매 회로(RB)가 1개의 수열교환기(25)를 공유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에 있어서도, 1개의 수열교환기(25)를 공유하도록 제 3 냉매 회로(RC) 및 제 4 냉매 회로(RD)가 1개의 수열교환기(25)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칠링 유닛(1)은 2대의 수열교환기(25)를 탑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칠링 유닛(1)은 제 1 내지 제 4 냉매 회로(RA, RB, RC, RD)를 가지므로, 4조의 공기 열교환부(22)가 존재한다. 4조의 공기 열교환부(22)는 메인 프레임(7)의 상부 프레임(9) 위에 기립한 자세로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계실(14)의 바로 위에 위치된 4조의 공기 열교환부(22)가 칠링 유닛(1)의 제 2 섹션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는 전단부 및 후단부 위에 위치된 공기 열교환부(22)에 있어서는, 각각 공기 열교환기(29a, 29b)의 절곡된 한쪽 단부가 하우징(2)의 정면 방향(F) 및 하우징(2)의 배면 방향(R)으로 노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복수의 공기 열교환부(22)의 나열 방향을 따르는 양단부에 위치된 2조의 공기 열교환기(29a, 29b)의 한쪽 단부는 칠링 유닛(1)의 주위에 노출된 열교환면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하우징(2)의 전단부 및 후단부 위에 위치된 공기 열교환부(22)는, 각각 칠링 유닛(1)의 폭 방향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부가하여, 하우징(2)의 정면 방향(F) 및 배면 방향(R)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7)의 상부 프레임(9)은 하부 프레임(8)보다 하우징(2)의 배후를 향해 수평으로 불거져 나와 있다. 4조의 공기 열교환부(22) 중 하우징(2)의 배후에 위치된 최후부의 공기 열교환부(22)는 하우징(2)의 후단부로부터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는 4조의 공기 열교환부(22)의 나열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보다 짧다.
그 결과, 제 1 섹션으로서의 하우징(2)의 배후에, 최후부의 공기 열교환부(22)보다 인입된 단차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43)는 하우징(2)의 측방 및 배후에 연속하여 개방된 공간(S1)을 규정하고 있으며, 해당 공간(S1) 위로 최후부의 공기 열교환부(22)가 불거져 나와 있다.
즉, 해당 공기 열교환부(22)의 가장 배면 측에 위치하는 공기 열교환기(29a, 29b)의 절곡된 단부의 하방에 공간(S1)이 위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의 후단부에 배치된 세로살(10)은 최후부의 공기 열교환부(22)를 구성하는 공기 열교환기(29a, 29b)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는 중앙 또는 중앙보다 하우징(2)의 배면 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량물인 공기 열교환기(29a, 29b)를 메인 프레임(7)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 및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 중 4조의 공기 열교환부(22)를 제외한 각종 요소는 하우징(2)의 기계실(14)에 수용되어 있다.
제 1 냉매 회로(RA) 및 제 2 냉매 회로(RB)를 구비한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은, 예컨대 하우징(2)을 정면(F)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기계실(14)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우측 반분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3 냉매 회로(RC) 및 제 4 냉매 회로(RD)를 구비한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은, 예컨대 하우징(2)을 정면(F)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기계실(14)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좌측 반분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냉매 회로(RA) 및 제 2 냉매 회로(RB)를 구성하는 2대의 압축기(20), 2대의 리시버(24) 및 2대의 기액 분리기(26)는, 기계실(14)의 우측 반분의 영역에 있어서,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되도록 바닥판(13) 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냉매 회로(RA) 및 제 2 냉매 회로(RB)가 공유하는 1개의 수열교환기(25)는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의 최후부에 위치하도록 바닥판(13) 위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냉매 회로(RC) 및 제 4 냉매 회로(RD)를 구성하는 2대의 압축기(20), 2대의 리시버(24) 및 2대의 기액 분리기(26)는, 기계실(14)의 좌측 반분의 영역에 있어서,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되도록 바닥판(13) 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3 냉매 회로(RC) 및 제 4 냉매 회로(RD)가 공유하는 1개의 수열교환기(25)는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의 최후부에 위치하도록 바닥판(13) 위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 및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은 기계실(14) 내에서 하우징(2)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하우징(2)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그와 함께, 2대의 수열교환기(25)는 하우징(2)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중간부보다 단차부(43)의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하우징(2)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회로(5)는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 및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과 함께 기계실(14)에 수용되어 있다. 수회로(5)는 능력 가변형의 물 순환 펌프(45) 및 제 1 내지 제 4 수배관(46a, 46b, 46c, 46d)을 주요한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물 순환 펌프(45)는 기계실(14)의 후단부에 위치하도록 바닥판(13) 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 순환 펌프(45)는 하우징(2)의 폭 방향으로 나열된 2대의 수열교환기(25)와 하우징(2)의 배후의 단차부(43)와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제 1 수배관(46a)은 물 순환 펌프(45)의 흡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수배관(46b)은 물 순환 펌프(45)의 토출구와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에 대응하는 수열교환기(25)의 수유로(25c)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제 3 수배관(46c)은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의 수열교환기(25)의 수유로(25c)와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의 수열교환기(25)의 수유로(25c) 사이를 직렬로 접속하고 있다. 제 4 수배관(46d)은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의 수열교환기(25)의 수유로(25c)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회로(5)의 물 순환 펌프(45) 및 2대의 수열교환기(25)가 기계실(14)의 후방부에서 서로 인접해 있다. 이 때문에, 수회로(5)의 제 1 내지 제 4 수배관(46a, 46b, 46c, 46d)이 기계실(14)의 후단부에 집중하여, 제 1 내지 제 4 수배관(46a, 46b, 46c, 46d)의 배관 길이가 짧아진다.
이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수배관(46a, 46b, 46c, 46d)을 기계실(14)에 설치할 때의 작업성이 양호해지는 동시에, 제 1 내지 제 4 수배관(46a, 46b, 46c, 46d)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수배관(46a)은 제 1 접속 단부(48)를 갖고 있다. 제 1 접속 단부(48)는, 예컨대 제 1 수배관(46a)의 상류단에 형성된 수배관 입구(49)와, 수배관 입구(49)에 접속된 스트레이너(5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접속 단부(48)는 기계실(14)의 후단부로부터 하우징(2)의 배후의 단차부(43)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 4 수배관(46d)은 제 2 접속 단부(51)를 갖고 있다. 제 2 접속 단부(51)는, 예컨대 제 4 수배관(46d)의 하류단에 형성된 수배관 출구(52)와, 수배관 출구(52)에 접속된 역류 방지 밸브(53)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접속 단부(51)는 기계실(14)의 후단부로부터 하우징(2)의 배후의 단차부(43)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회로(5)의 제 1 접속 단부(48) 및 제 2 접속 단부(51)는 단차부(43)가 규정하는 공간(S1)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접속 단부(48) 및 제 2 접속 단부(51)가 기계실(14)의 배후로 돌출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 1 접속 단부(48) 및 제 2 접속 단부(51)의 대부분은 최후부의 공기 열교환부(22)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수배관(46a)의 제 1 접속 단부(48)는, 예컨대 각종 밸브나 플렉시블 조인트와 같은 부속품(도시 생략)을 거쳐서 설치면(G) 위에 부설된 제 1 현장 배관(55)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현장 배관(55)은, 예컨대 공조기와 같은 이용 기기 측의 수출구(水出口)에 접속되어 있다.
제 4 수배관(46d)의 제 2 접속 단부(51)는, 예컨대 각종 밸브나 플렉시블 조인트와 같은 부속품(도시 생략)을 거쳐서 설치면(G) 위에 부설된 제 2 현장 배관(56)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현장 배관(56)은, 예컨대 공조기와 같은 이용 기기 측의 수입구(水入口)에 접속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열교환기(29a, 29b)로부터 적하하는 결로수 등을 받는 드레인 팬(60)이 하우징(2)의 기계실(14)과 4조의 공기 열교환부(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드레인 팬(60)은 한쌍의 홈통(61a, 61b) 및 드레인 회수반(62)을 구비하고 있다.
홈통(61a, 61b)은 4조의 공기 열교환부(22)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곧게 연장된 요소로서, 각 공기 열교환부(22)의 공기 열교환기(29a, 29b)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의 상부 프레임(9)에 지지되어 있다.
홈통(61a, 61b)은 하우징(2)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홈통(61a, 61b)의 바닥은 하우징(2)의 정면으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홈통(61a, 61b) 사이에 통풍로(63)가 형성되어 있다. 통풍로(63)는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며, 해당 통풍로(63)를 통하여 기계실(14)과 4조의 공기 열교환부(22)의 배기 통로(33) 사이가 연통되어 있다.
드레인 회수반(62)은 홈통(61a, 61b)의 후단부 사이에 걸치도록 상부 프레임(9)에 지지되어 있다. 드레인 회수반(62)의 후단부는 하우징(2)의 배후의 단차부(43)의 상방으로 불거져 나와 있다. 또한, 드레인 회수반(62)은 단차부(43)에 개구된 드레인 배관 접속구(64)를 갖고 있다.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장 유닛(6)은 하우징(2)의 정면 측인 기계실(14)의 전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장 유닛(6)은 전장 박스(70) 및 팬 장치(71)를 구비하고 있다. 전장 박스(70)는 메인 박스(72), 제 1 사이드 박스(73a) 및 제 2 사이드 박스(73b)를 갖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박스(72)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요소로서, 기계실(14)과 동등한 높이 치수를 갖고 있다. 메인 박스(72)는 기계실(14)의 바닥판(13) 위에 고정되어 있다. 메인 박스(72)의 좌우의 측면은 바닥판(13)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하우징(2)의 측판(12)으로부터 멀어져 있다.
제 1 사이드 박스(73a) 및 제 2 사이드 박스(73b)는 메인 박스(72)보다 높이 치수가 작은 상자형의 요소로서,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세장 형상을 갖고 있다.
제 1 사이드 박스(73a)는 메인 박스(72)의 좌측면의 하부로부터 메인 박스(72)의 좌측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 2 사이드 박스(73b)는 메인 박스(72)의 우측면의 하부로부터 메인 박스(72)의 우측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 1 사이드 박스(73a) 및 제 2 사이드 박스(73b)는 각각 기계실(14)의 바닥판(13) 위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우징(2)은 하부 프레임(8)으로부터 상부 프레임(9)을 향해 선단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의 폭 방향을 따르는 기계실(14)의 길이는 기계실(14)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나아감에 따라서 확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사이드 박스(73a) 및 제 2 사이드 박스(73b)는 폭이 확장된 기계실(14)의 하부에 수납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기계실(14)의 전단부를 전장 박스(70)의 수용 공간으로서 구석구석까지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는 전장 박스(70)의 길이를 억제하면서, 전장 박스(70)의 내용적(內容積)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9에 도시하는 공기 통로(74)가 메인 박스(7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 통로(74)는 메인 박스(72)의 내부를 구획하는 한쌍의 칸막이판(75a, 75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 통로(74)는 메인 박스(72)의 폭 방향을 따르는 중앙부에서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메인 박스(72)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되어 있다.
공기 통로(74)의 하단은 메인 박스(72)의 바닥에 개구되어 있는 동시에, 하우징(2)의 바닥판(13)에 뚫린 흡기 구멍(76)에 통해 있다. 흡기 구멍(76)은 바닥판(13)과 설치면(G) 사이의 간극(g)에 연통되어 있다. 공기 통로(74)의 상단은 메인 박스(72)의 상면에 개구되어 있다.
전장 박스(70)는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 및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의 운전을 제어하는 각종 전기 부품을 수용하고 있다. 전기 부품의 일 예는 압축기(20)에 인가하는 전압 및 주파수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기판, 인버터 및 컨버터와 같은 복수의 파워 모듈, 복수의 평활 콘덴서, 역률 개선용의 복수의 리액터, 복수의 필터 기판, 복수의 단자대 및 복수의 전자 접촉기이다.
각종 전기 부품 중에서도 예컨대 복수의 제어 기판 및 복수의 파워 모듈은, 동작 중의 발열량이 큰 발열 부품(78)으로 바꿔 말할 수 있다. 발열 부품(78)은 적극적인 방열을 필요로 하므로, 복수의 히트 싱크(79)에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히트 싱크(79)는 칸막이판(75a, 75b)을 관통하여 공기 통로(74)에 노출되어 있다.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장 유닛(6)의 팬 장치(71)는 메인 박스(72)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팬 장치(71)는 세장형 상자 형상의 팬 케이스(81)와, 팬 케이스(81)에 수용된 복수의 전동 팬(82a, 82b, 82c)을 구비하고 있다.
팬 케이스(81)는, 메인 박스(72)의 상면의 중앙부에서, 공기 통로(74)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팬 케이스(81)는 메인 박스(72)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팬 케이스(81)의 상단부는 드레인 팬(60)의 홈통(61a, 61b) 사이를 통하여 공기 열교환기(29a, 29b) 사이의 배기 통로(33)에 인입되어 있다.
전동 팬(82a, 82b, 82c)은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전동 팬(82a, 82b, 82c)은, 공기 통로(74)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회전축선을 세로 배치한 수평 자세로 팬 케이스(81)에 조립되어 있다. 전동 팬(82a, 82b, 82c)은 모두 팬 케이스(81)의 상방을 향해 배기한다.
전동 팬(82a, 82b, 82c)이 동작하면, 메인 박스(72)의 공기 통로(74)에 부압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도 9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주위의 공기가 간극(g)으로부터 흡기 구멍(76)을 통하여 공기 통로(74)에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공기 통로(74)를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흐르는 동시에, 팬 케이스(81)로 인도된다.
공기 통로(74)를 흐르는 공기는 발열 부품(78)의 열을 받는 히트 싱크(79)에 접촉한다. 그 결과, 히트 싱크(79)에 전달된 발열 부품(78)의 열이 공기의 흐름을 타고 방출되어, 발열 부품(78)이 강제적으로 냉각된다.
공기 통로(74)를 통과한 공기는 전동 팬(82a, 82b, 82c)에 의해 빨아올려지는 동시에, 도 9에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케이스(81)의 상단으로부터 공기 열교환기(29a, 29b) 사이의 배기 통로(33)에 직접 토출된다.
배기 통로(33)에 토출된 공기는 팬(30)의 동작에 의해 공기 열교환기(29a, 29b)를 통과한 공기와 함께 배기구(38)를 향해 빨아올려지는 동시에, 배기구(38)로부터 칠링 유닛(1)의 상방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전장 유닛(6)의 발열 부품(78)을 냉각한 후의 공기가 기계실(14)에 체류하는 일은 없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히트 싱크(79)가 노출된 메인 박스(72) 내의 공기 통로(74)에는, 흡기 구멍(76)으로부터 칠링 유닛(1)의 외부의 공기, 즉 외기가 인도된다. 외기에는 먼지나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공기 통로(74)를 통과한 외기가 기계실(14)로 배출되어 버리면, 기계실(14)에 조기에 먼지가 퇴적되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팬(82a, 82b, 82c)을 수용한 팬 케이스(81)가 드레인 팬(60)의 홈통(61a, 61b) 사이를 통하여 공기 열교환기(29a, 29b) 사이의 배기 통로(33)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기 통로(74)를 통과한 외기는 기계실(14)을 경유하는 일 없이 공기 열교환부(22)의 배기구(38)로부터 칠링 유닛(1)의 외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가 기계실(14)에 퇴적되거나,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 및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우징(2) 내의 기계실(14)은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홈통(61a, 61b) 사이의 통풍로(63)를 통하여 4조의 공기 열교환부(22)의 내측의 배기 통로(33)에 통해 있다. 이 때문에, 공기 열교환부(22)의 팬(30)을 이용하여 기계실(14) 내의 공기를 통풍로(63)로부터 배기 통로(33)를 향해 강제적으로 빨아올릴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14)의 통기성이 현격히 향상되어, 기계실(14)에 열이 가득 차기 어려워진다.
부가하여, 메인 박스(72) 상의 팬 장치(71)가 드레인 팬(60)의 홈통(61a, 61b) 사이에 인입되므로, 홈통(61a, 61b) 사이에 생긴 통풍로(63)를 팬 장치(71)의 설치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메인 박스(72)의 상면을 홈통(61a, 61b)에 극히 가깝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기계실(14)의 높이 치수를 억제하면서, 메인 박스(72)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메인 박스(72)의 높이 치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메인 박스(72)의 내용적을 확보하면서,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는 메인 박스(72)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14) 내에서의 메인 박스(72)의 점유 면적을 줄일 수 있어서, 제 1 섹션으로서의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를 짧게 하는데 적합하게 된다.
다음에, 칠링 유닛(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 및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이 냉각 모드로 운전을 개시하면, 제 1 내지 제 4 냉매 회로(RA, RB, RC, RD)의 사방 밸브(21)는,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포트(21a)가 제 2 포트(21b)에 연통하며, 제 3 포트(21c)가 제 4 포트(21d)에 연통하도록 완전히 전환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냉매 회로(RA, RB, RC, RD)의 압축기(20)로부터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가 순환 회로(27)로 토출된다.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는 사방 밸브(21)를 경유하여 공기 열교환기(29a, 29b)로 인도된다.
공기 열교환기(29a, 29b)로 인도된 기상 냉매는 팬(30)의 작동에 의해 공기 열교환기(29a, 29b)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되어, 고압의 액상 냉매로 변화한다. 고압의 액상 냉매는 팽창 밸브(23a, 23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압되어, 중간압의 기액 2상 냉매로 변화한다. 기액 2상 냉매는 리시버(24)를 경유하여 수열교환기(25)로 인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냉매 회로(RA) 및 제 2 냉매 회로(RB)가 1개의 수열교환기(25)를 공유하고, 제 3 냉매 회로(RC) 및 제 4 냉매 회로(RD)가 다른 1개의 수열교환기(25)를 공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냉매 회로(RA) 및 제 2 냉매 회로(RB)에서는, 수열교환기(25)의 제 1 냉매 유로(25a) 및 제 2 냉매 유로(25b)에 각각 중간압의 기액 2상 냉매가 인도되고, 수유로(25c)를 흐르는 물과 열교환한다.
그 결과, 제 1 냉매 유로(25a) 및 제 2 냉매 유로(25b)를 흐르는 기액 2상 냉매는 증발하여 수유로(25c) 내의 물로부터 열을 받아들이고, 증발 잠열에 의해 저온·저압의 기액 2상 냉매로 변화한다. 수유로(25c) 내의 물은 잠열을 빼앗김으로써 냉수가 된다.
제 1 냉매 회로(RA) 및 제 2 냉매 회로(RB)가 공유하는 수열교환기(25)의 수유로(25c)는, 제 3 수배관(46c)을 거쳐서 제 3 냉매 회로(RC) 및 제 4 냉매 회로(RD)가 공유하는 다른 수열교환기(25)의 수유로(25c)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냉매 회로(RA) 및 제 2 냉매 회로(RB)가 공유하는 수열교환기(25)에서 냉각된 물은, 제 3 냉매 회로(RC) 및 제 4 냉매 회로(RD)가 공유하는 다른 수열교환기(25)의 수유로(25c)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른 수열교환기(25)의 제 1 냉매 유로(25a) 및 제 2 냉매 유로(25b)를 흐르는 기액 2상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재차 냉각된다. 2단계에 걸쳐서 냉각된 물은 제 4 수배관(46d)으로부터 제 2 현장 배관(56)을 거쳐서 이용 기기 측에 공급된다.
각 수열교환기(25)를 통과한 저온·저압의 기액 2상 냉매는 사방 밸브(21)를 경유하여 기액 분리기(26)로 인도되고, 여기서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로 분리된다. 액상 냉매로부터 분리된 기상 냉매는 압축기(20)에 흡입되는 동시에, 다시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가 되어 압축기(20)로부터 순환 회로(27)로 토출된다.
한편, 제 1 냉동 사이클 유닛(3) 및 제 2 냉동 사이클 유닛(4)이 가열 모드로 운전을 개시하면, 제 1 내지 제 4 냉매 회로(RA, RB, RC, RD)의 사방 밸브(21)는, 도 5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포트(21a)가 제 3 포트(21c)에 연통하고, 제 2 포트(21b)가 제 4 포트(21d)에 연통하도록 완전히 전환된다.
가열 모드에서는, 압축기(20)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가 사방 밸브(21)를 경유하여 수열교환기(25)로 인도된다. 가열 모드에서도, 제 1 냉매 회로(RA) 및 제 2 냉매 회로(RB)가 공유하는 1개의 수열교환기(25)의 수유로(25c)와, 제 3 냉매 회로(RC) 및 제 4 냉매 회로(RD)가 공유하는 다른 1개의 수열교환기(25)의 수유로(25c)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수유로(25c)를 흐르는 물은 제 1 냉매 유로(25a) 및 제 2 냉매 유로(25b)를 흐르는 기상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2단계에 걸쳐서 가열된다. 기상 냉매의 열을 받아 가열된 물은 제 4 수배관(46d)으로부터 제 2 현장 배관(56)을 거쳐서 이용 기기 측에 공급된다.
수열교환기(25)를 통과한 고압의 액상 냉매는 리시버(24) 및 팽창 밸브(23a, 23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중간압의 기액 2상 냉매로 변화하는 동시에, 공기 열교환기(29a, 29b)로 인도된다. 공기 열교환기(29a, 29b)로 인도된 기액 2상 냉매는 팬(30)의 작동에 의해 공기 열교환기(29a, 29b)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증발하여, 저온·저압의 기액 2상 냉매로 변화한다.
공기 열교환기(29a, 29b)를 통과한 저온·저압의 기액 2상 냉매는 사방 밸브(21)를 경유하여 기액 분리기(26)로 인도되고, 여기서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로 분리된다. 액상 냉매로부터 분리된 기상 냉매는 압축기(20)에 흡입되는 동시에, 다시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가 되어 압축기(20)로부터 순환 회로(27)로 토출된다.
제 1 실시형태의 칠링 유닛(1)에 의하면, 수회로(5)의 제 1 접속 단부(48) 및 제 2 접속 단부(51)는 각각 하우징(2)의 기계실(14)로부터 하우징(2)의 배후의 단차부(43)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단차부(43)는 제 1 섹션으로서의 하우징(2)의 길이를 제 2 섹션으로서의 4조의 공기 열교환부(22)의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형성되며, 제 2 섹션의 후단에 위치된 1개의 공기 열교환부(22)보다 인입된 공간(S1)을 규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회로(5)의 제 1 접속 단부(48) 및 제 2 접속 단부(51)가 기계실(14)의 배후로 돌출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 1 접속 단부(48) 및 제 2 접속 단부(51)는 칠링 유닛(1)의 배후로 크게 불거져 나오는 일 없이 단차부(43)의 공간(S1)에 수납된다.
따라서, 칠링 유닛(1)을 제 1 및 제 2 현장 배관(55, 56)이 부설된 설치면(G) 위에 설치할 때, 칠링 유닛(1)을 제 1 및 제 2 현장 배관(55, 56)에 가깝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칠링 유닛(1)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삭감할 수 있어서, 협소한 공간이어도 칠링 유닛(1)의 설치 작업을 무리 없이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계실(14)에 수용된 메인 박스(72)의 상단부를, 한쌍의 홈통(61a, 61b) 사이를 통하여 공기 열교환부(22)의 내측의 배기 통로(33)로 돌출시켰으므로, 메인 박스(72)의 내용적을 확보하면서,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는 메인 박스(72)의 길이 치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기계실(14)에 대한 메인 박스(72)의 점유 영역이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으로 짧아져서, 하우징(2)의 안길이 방향을 따르는 길이 치수를 단축하는데 유효하게 기여한다.
그와 함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팬(30)의 임펠러(34)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 기판이 팬 모터(35)에 내장되어 있다. 그 결과, 전장 박스(70)의 내부에 인버터 기판을 수납하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는 없어서, 전장 박스(70)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섹션으로서의 하우징(2)의 길이를 제 2 섹션으로서의 공기 열교환부(22)의 길이보다 충분히 짧게 할 수 있어서, 하우징(2)의 배후 측에 수회로(5)의 제 1 접속 단부(48) 및 제 2 접속 단부(51)를 수납하는 공간(S1)을 가진 단차부(43)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0은 제 2 실시형태를 개시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는 펌프리스 사양의 칠링 유닛(100)을 개시하고 있다. 펌프리스 사양의 칠링 유닛(100)에서는, 수회로(5)로부터 물 순환 펌프(45)가 배제되어 있으며, 그 이외의 칠링 유닛(10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리스 사양의 칠링 유닛(100)에 의하면, 물 순환 펌프가 수납되어 있던 기계실(14)의 후단부에 빈 공간이 생기므로, 해당 빈 공간에 수회로(5)의 제 1 접속 단부(51) 및 제 2 접속 단부(55)가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현장 배관(55)이 하우징(2)의 배후의 단차부(43)에 인입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현장 배관(56)이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단차부(43)에 가까워져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차부(43)가 규정하는 공간(S1)을 이용하여 제 1 현장 배관(55)을 둘러칠 수 있다. 환언하면, 제 1 현장 배관(55)이 단차부(43)에 인입되고, 제 2 현장 배관(56)이 단차부(43)에 보다 가까워지는 위치까지, 칠링 유닛(100)의 하우징(2)을 제 1 현장 배관(55) 및 제 2 현장 배관(56) 측에 가까이 댈 수 있다.
따라서, 칠링 유닛(1)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한층 더 삭감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1은 제 3 실시형태를 개시하고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칠링 유닛(200)에 의하면, 제 1 섹션으로서의 하우징(2)의 배후에 제 1 단차부(201)가 형성되고, 하우징(2)의 전방 측에 제 2 단차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차부(201)는 하우징(2)의 측방 및 배후를 향해 연속하여 개방된 공간(S2)을 갖고, 해당 공간(S2)에 수배관(5)의 제 1 접속 단부(48) 및 제 2 접속 단부(51)가 위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단차부(202)는 하우징(2)의 측방 및 전방을 향해 연속하여 개방된 공간(S3)을 갖고, 해당 공간(S3)에 예컨대 배관 키트와 같은 옵션 부품(203)이 위치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우징(2)의 전방 측에 위치하는 제 2 단차부(202)를 옵션 부품(203)의 배치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어서, 하우징(2)의 주위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 실시형태는 이 외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2: 제 1 섹션(하우징), 14: 기계실, 20, 21, 23a, 23b, 24, 25, 26: 냉동 사이클 구성 부품(압축기, 사방 밸브, 팽창 밸브, 리시버, 수열교환기, 기액 분리기), 22: 제 2 섹션(공기 열교환부), 43, 201, 202: 단차부(제 1 단차부, 제 2 단차부), 46a, 46b, 46c, 46d: 수배관(제 1 내지 제 4 수배관), 48, 51: 접속 단부(제 1 접속 단부, 제 2 접속 단부), 60: 드레인 팬

Claims (11)

  1. 수배관(水配管)이 수용된 세장형 기계실을 가지며, 상기 수배관의 접속 단부가 상기 기계실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기계실의 외부로 돌출된 제 1 섹션과,
    상기 제 1 섹션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섹션을 따라서 연장된 제 2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은, 상기 제 2 섹션보다 장변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섹션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적어도 한쪽 단부 측에, 상기 제 2 섹션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적어도 한쪽 단부보다 인입된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배관의 상기 접속 단부가 상기 단차부에 위치된
    냉동 사이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제 2 섹션 아래에서 상기 제 1 섹션의 주위에 개방된 공간을 갖는
    냉동 사이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제 1 섹션의 장변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공기 열교환부를 갖고, 상기 제 2 섹션의 상기 한쪽 단부에 위치된 1개의 공기 열교환부가 상기 제 1 섹션의 상기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섹션의 장변 방향을 따라서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1개의 공기 열교환부 아래에 상기 단차부가 위치된
    냉동 사이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관의 상기 접속 단부가 상기 제 2 섹션의 상기 1개의 공기 열교환부 아래에 인입된
    냉동 사이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관의 상기 접속 단부는 수배관 입구에 접속된 스트레이너 및 수배관 출구에 접속된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관의 상기 접속 단부에 접속된 현장 배관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현장 배관이 상기 단차부에 인입된
    냉동 사이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다른쪽 단부 측에, 상기 제 2 섹션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다른쪽 단부보다 인입된 다른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른 단차부에 옵션 부품이 배치된
    냉동 사이클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 수용된 복수의 수열교환기(水熱交換器)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수열교환기는 상기 수배관을 거쳐서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단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기계실의 장변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기계실의 폭 방향으로 나열된
    냉동 사이클 장치.
  9. 수배관을 포함하는 복수의 냉동 사이클 구성 부품이 수용된 기계실을 가지며, 상기 수배관의 접속 단부가 상기 기계실의 외부로 돌출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위에 일렬로 나열되어 배치된 복수의 공기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렬로 나열된 상기 공기 열교환부보다 짧은 형상을 갖고, 상기 수배관의 상기 접속 단부가 일렬로 나열된 상기 공기 열교환부 중 가장 끝에 위치하는 1개의 공기 열교환부 아래에 위치된
    냉동 사이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관의 상기 접속 단부는 상기 공기 열교환기의 나열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기계실로부터 돌출된
    냉동 사이클 장치.
  11. 수배관이 수용된 기계실을 갖는 세장형 제 1 섹션과,
    상기 제 1 섹션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섹션의 장변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공기 열교환기를 갖는 제 2 섹션과,
    상기 공기 열교환기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섹션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요소를 갖는 드레인 팬을 구비한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0187036198A 2016-06-16 2016-06-16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237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7956 WO2017216926A1 (ja) 2016-06-16 2016-06-16 冷凍サイク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546A true KR20190006546A (ko) 2019-01-18
KR102237808B1 KR102237808B1 (ko) 2021-04-07

Family

ID=60663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198A KR102237808B1 (ko) 2016-06-16 2016-06-16 냉동 사이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6873988B2 (ko)
KR (1) KR102237808B1 (ko)
WO (2) WO2017216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2090B2 (ja) * 2016-12-19 2021-03-3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6963104B2 (ja) * 2018-05-31 202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7407507B2 (ja) * 2018-10-26 2024-01-04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装部品冷却装置、それを有するチリング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WO2021024405A1 (ja) * 2019-08-07 2021-02-11 三菱電機株式会社 チリングユニット及びチリングユニットシステム
JP7113978B2 (ja) * 2019-08-07 2022-08-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チリングユニット
WO2021166202A1 (ja) * 2020-02-21 2021-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63B2 (ko) * 1973-11-05 1979-01-26
JPS5555701Y2 (ko) 1975-12-06 1980-12-24
JPH0443238A (ja) * 1990-06-08 1992-02-13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6640A (ja) * 1984-04-25 1985-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窓用空気調和機
WO1986000977A1 (en) * 1984-07-24 1986-02-13 Conry Ronald D Modular refrigeration system
JP3348957B2 (ja) * 1994-02-25 2002-11-2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H0989310A (ja) * 1995-09-26 1997-04-04 Mitsubishi Heavy Ind Ltd 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11248197A (ja) * 1998-02-27 1999-09-1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3965301B2 (ja) * 2002-01-25 2007-08-2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520412B2 (ja) * 2003-09-25 2010-08-0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4781080B2 (ja) * 2005-10-18 2011-09-28 三洋電機株式会社 室外ユニット
JP5103251B2 (ja) * 2008-04-08 2012-12-1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天井埋め込み型熱源機及び空気調和機
JP2010210173A (ja) * 2009-03-11 2010-09-24 Daikin Ind Ltd 冷凍装置
CN102753895B (zh) * 2010-02-15 2015-07-15 东芝开利株式会社 致冷单元
JP2012117721A (ja) * 2010-11-30 2012-06-21 Sanyo Electric Co Ltd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5653313B2 (ja) * 2011-07-27 2015-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919513B2 (ja) * 2011-08-31 2016-05-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63B2 (ko) * 1973-11-05 1979-01-26
JPS5555701Y2 (ko) 1975-12-06 1980-12-24
JPH0443238A (ja) * 1990-06-08 1992-02-13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216926A1 (ja) 2019-01-17
JP6657399B2 (ja) 2020-03-04
JP6873988B2 (ja) 2021-05-19
JPWO2017216987A1 (ja) 2019-01-17
KR102237808B1 (ko) 2021-04-07
WO2017216926A1 (ja) 2017-12-21
WO2017216987A1 (ja)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6546A (ko) 냉동 사이클 장치
KR101443873B1 (ko) 보조 냉각 장치
EP2905549B1 (en) Outdoor unit control for air conditioner
JP5884784B2 (ja) チラー装置
KR20120135771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어방법
US10816225B2 (en) Movable air conditioner
CN111895518A (zh) 一体式空调机
WO2018062054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EP3276279B1 (en) Heat pump hot-water-supply outdoor device, and hot-water-supply device
EP3260784B1 (en) Outdoor unit
JP2009085474A (ja) 冷凍装置
KR20230068815A (ko)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
JP6852090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US20170115013A1 (e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200333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281230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JP6935529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6767095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7271144B2 (ja) 電装ボックス、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90097630A (ko) 컨트롤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17616238A (zh) 储藏室
KR20160071708A (ko) 공기 조화기
TW202248573A (zh) 空調裝置及其構成單元、以及複合型空調系統
JP2012177545A (ja) 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
CN117685714A (zh) 环境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