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479A -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7479A KR20180127479A KR1020187031873A KR20187031873A KR20180127479A KR 20180127479 A KR20180127479 A KR 20180127479A KR 1020187031873 A KR1020187031873 A KR 1020187031873A KR 20187031873 A KR20187031873 A KR 20187031873A KR 20180127479 A KR20180127479 A KR 201801274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collecting
- glass
- main surface
- notch hole
- plate gla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제1 주면(主面)에 스크라이브선(scribe line)을 가지는 동시에, 제1 주면과는 반대측의 제2 주면이 보호 시트와 접촉하도록 하여 보호 시트 상에 재치(載置)된 소재 유리(판유리)를,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분할절단(割斷)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보호 시트의 일부를 흡인하여 말려들게 하는 일도 없고, 판유리를 분할절단할 때 발생하는 유리 가루 등을 안정적으로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꺾음분할(折割) 기구부(10)에 의해, 보호 시트(S)를 개재(介在)시키면서 스크라이브선(L)을 따라 제2 주면(Gb)을 가압함으로써 판유리(G)의 분할절단을 행하는 동시에, 집진(集塵) 기구부(30)에 의해, 판유리(G)의 분할절단시에 발생하는 유리 가루를 제1 주면(Ga)측으로부터 집진하며, 집진 기구부(30)는, 유리 가루의 집진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흡인력을 가지는 집진 모드와, 소정의 흡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흡인력을 가지는 대기 모드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운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꺾음분할(折割) 기구부(10)에 의해, 보호 시트(S)를 개재(介在)시키면서 스크라이브선(L)을 따라 제2 주면(Gb)을 가압함으로써 판유리(G)의 분할절단을 행하는 동시에, 집진(集塵) 기구부(30)에 의해, 판유리(G)의 분할절단시에 발생하는 유리 가루를 제1 주면(Ga)측으로부터 집진하며, 집진 기구부(30)는, 유리 가루의 집진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흡인력을 가지는 집진 모드와, 소정의 흡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흡인력을 가지는 대기 모드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운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0001] 본 발명은,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의 기술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판유리를 분할절단(할단;割斷)할 때 발생하는 유리 가루(粉) 등을 흡인하여 제거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0002] 최근,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이용되는 판유리는, 비용 저감 등의 이유로부터, 비교적 외형 사이즈가 큰 판유리(이하에서는, 적당히 「소재 유리」라고 기재함)를 소정의 외형 사이즈로 분할절단함으로써 제작된다.
여기서, 소재 유리의 분할절단 방법으로서는, 종래부터, 소재 유리의 일방(一方)의 주면(主面)에 분할선(스크라이브선(scribe line))을 미리 형성해 두고, 해당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가압함으로써, 소재 유리를 꺾음분할(절할;折割)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할절단 방법에서는,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소재 유리를 꺾음분할할 때 발생하는 유리 가루 등에 의해, 소재 유리의 주면에 결함(傷)이 형성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0003]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특허 문헌 1」에는, 분단(分斷) 라인(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유리 기판(소재 유리)을 분단하는 기판 분단 장치에 설치되어, 분단시에 발생하는 유리 가루를 제거하는 유리 가루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설치되며, 진공 흡인 수단에 이어지는 동시에 유리 가루를 흡인하는 흡인부와, 상기 흡인부의 양 외측에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중심으로 선대칭이 되도록 설치되며, 기체 공급 수단에 이어지는 동시에 상기 소재 유리에 분사한 공급 기체에 의해 상기 유리 가루를 상기 흡인부를 향해 뿜어 올리는 한 쌍의 분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가루 제거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0005] 상기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리 가루 제거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소재 유리를 꺾음분할할 때 발생하는 유리 가루를 효과적으로 흡인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소재 유리의 주면에 결함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최종적으로 제품으로서 제작되는 판유리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06] 그러나, 예컨대 손상 방지용의 보호 시트 상에 미리 재치(載置)된 소재 유리 등에 있어서는, 통상, 보호 시트쪽이 소재 유리에 비해 면적이 넓어, 소재 유리의 둘레로부터 보호 시트가 삐져 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소재 유리의 꺾음분할 작업이 종료되어, 상기 제거 장치가 소재 유리로부터 퇴피(退避)할 때, 소재 유리의 둘레로부터 삐져 나온 보호 시트의 일부가 상기 제거 장치에 의해 빨려 들여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보호 시트의 일부가 상기 제거 장치에 말려 들어가, 제조 장치에 전체적으로 트러블이 유발되어, 최종적으로 제품으로서 제작되는 판유리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었다.
[000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현재 상태(現狀)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제1 주면에 스크라이브선을 가지는 동시에, 해당 제1 주면과는 반대측의 제2 주면이 보호 시트와 접촉하도록 하여 해당 보호 시트 상에 재치된 소재 유리(판유리)를,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분할절단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보호 시트의 일부를 흡인하여 말려들게 하는 일 없이, 판유리를 분할절단할 때 발생하는 유리 가루 등을 안정적으로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0008]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이하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0009] 즉,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은, 제1 주면에 스크라이브선을 가지는 동시에, 해당 제1 주면과는 반대측의 제2 주면이 보호 시트와 접촉하도록 하여 해당 보호 시트 상에 재치된 판유리를,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분할절단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꺾음분할 수단에 의해, 상기 보호 시트를 개재(介在)시키면서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제2 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판유리의 분할절단을 행하는 동시에, 집진(集塵) 수단에 의해, 상기 판유리의 분할절단시에 발생하는 유리 가루를 상기 제1 주면측으로부터 집진하며, 상기 집진 수단은, 상기 유리 가루의 집진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흡인력을 가지는 집진 모드와, 상기 소정의 흡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흡인력을 가지는 대기 모드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운전 모드를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0]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판유리의 꺾음분할 작업을 행할 때에만 집진 수단의 운전 모드를 집진 모드로 함으로써, 판유리를 분할절단할 때 발생하는 유리 가루 등을 안정적으로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는 한편, 상기 꺾음분할 작업 이외에 있어서는 항상 집진 수단의 운전 모드를 대기 모드로 함으로써, 보호 시트의 일부를 흡인하여 말려들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노즐 내에 잔류한 유리 가루 등이, 낙하함으로써 판유리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전체적으로 트러블이 유발되는 일도 없어, 최종적으로 제품으로서 작성되는 판유리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11]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집진 수단은, 상기 유리 가루의 흡입구가 되는 노즐과, 해당 노즐에 연통(連通)하는 배관 부재와, 해당 배관 부재의 개구 면적을 조정하는 셔터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2]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집진 수단의 운전 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예컨대 대규모의 운전 모드 전환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도 없고, 셔터판에 의한 단순한 기구에 의해 실현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001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셔터판에는, 대형 노치 구멍과, 해당 대형 노치 구멍의 직경을 축소(縮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형 노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셔터판이 상기 대형 노치 구멍을 상기 배관 부재의 단부(端部)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집진 수단이 상기 집진 모드로 설정되는 한편, 상기 셔터판이 상기 소형 노치 구멍을 상기 배관 부재의 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집진 수단이 상기 대기 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4]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형 노치 구멍 및 소형 노치 구멍을 가지는 셔터판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해당 셔터판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집진 수단의 운전 모드의 전환 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어, 해당 운전 모드의 전환 제어에 복잡한 운전 프로그램을 필요로 할 일도 없어 경제적이다.
[001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형 노치 구멍의 내경(內徑)은, 상기 대형 노치 구멍의 내경에 대해 1/4 이상이며 또한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6]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집진 수단의 운전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 경우에 있어서, 보호 시트의 일부를 흡인하여 말려들게 하는 일이 없는 반면, 헤더 탱크에 일시적으로 저류(貯留)된 유리 가루 등이 노즐로부터 흘러 넘쳐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집진 수단의 흡인 압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0017]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집진 수단은, 상기 배관 부재가 접속되는 헤더 탱크와, 해당 헤더 탱크에 접속되는 집진기를 가지며, 상기 헤더 탱크에는, 개폐 기능을 구비하는 댐퍼가 접속되어, 상기 집진 모드에서는 상기 댐퍼가 닫힌 상태가 되고, 상기 대기 모드에서는 상기 댐퍼가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8]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집진 수단의 운전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 경우에 있어서, 집진기의 흡인력에 의해 급격하게 부압이 높아진 헤더 탱크의 내부를 댐퍼에 의해 개방하여, 해당 헤더 탱크 내의 부압을 소정압으로까지 억제할 수 있다.
[0019]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는, 제1 주면에 스크라이브선을 가지는 동시에, 해당 제1 주면과는 반대측의 제2 주면이 보호 시트와 접촉하도록 하여 해당 보호 시트 상에 재치된 판유리를,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분할절단하는 판유리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보호 시트를 개재시키면서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제2 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판유리의 분할절단을 행하는 꺾음분할 수단과, 상기 판유리의 분할절단시에 발생하는 유리 가루를 상기 제1 주면측으로부터 집진하는 집진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집진 수단은, 상기 유리 가루의 집진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흡인력을 가지는 집진 모드와, 상기 소정의 흡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흡인력을 가지는 대기 모드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운전 모드를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0]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판유리의 꺾음분할 작업을 행할 때에만 집진 수단의 운전 모드를 집진 모드로 함으로써, 판유리를 분할절단할 때 발생하는 유리 가루 등을 안정적으로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는 한편, 상기 꺾음분할 작업 이외에 있어서는 항상 집진 수단의 운전 모드를 대기 모드로 함으로써, 보호 시트의 일부를 흡인하여 말려들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노즐 내에 잔류한 유리 가루 등이, 낙하함으로써 판유리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전체적으로 트러블이 유발되는 일도 없어, 최종적으로 제품으로서 작성되는 판유리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21]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 수단은, 상기 유리 가루의 흡입구가 되는 노즐과, 해당 노즐에 연통하는 배관 부재와, 해당 배관 부재의 개구 면적을 조정하는 셔터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2]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집진 수단의 운전 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예컨대 대규모의 운전 모드 전환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도 없고, 셔터판에 의한 단순한 기구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002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판에는, 대형 노치 구멍과, 해당 대형 노치 구멍의 직경을 축소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형 노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셔터판이 상기 대형 노치 구멍을 상기 배관 부재의 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집진 수단이 상기 집진 모드로 설정되는 한편, 상기 셔터판이 상기 소형 노치 구멍을 상기 배관 부재의 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집진 수단이 상기 대기 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4]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형 노치 구멍 및 소형 노치 구멍을 가지는 셔터판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해당 셔터판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집진 수단의 운전 모드의 전환 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므로, 해당 운전 모드의 전환 제어에 복잡한 운전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일도 없어 경제적이다.
[002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형 노치 구멍의 내경은, 상기 대형 노치 구멍의 내경에 대해 1/4 이상이며 또한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026]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집진 수단의 운전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 경우에 있어서, 보호 시트의 일부를 흡인하여 말려들게 하는 일이 없는 반면, 헤더 탱크에 일시적으로 저류된 유리 가루 등이 노즐로부터 흘러 넘쳐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집진 수단의 흡인 압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0027]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 수단은, 상기 배관 부재가 접속되는 헤더 탱크와, 해당 헤더 탱크에 접속되는 집진기를 가지며, 상기 헤더 탱크에는, 개폐 기능을 구비하는 댐퍼가 접속되어, 상기 집진 모드에서는 상기 댐퍼가 닫힌 상태가 되고, 상기 대기 모드에서는 상기 댐퍼가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8]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집진 수단의 운전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 경우에 있어서, 집진기의 흡인력에 의해 급격하게 부압이 높아진 헤더 탱크의 내부를 댐퍼에 의해 개방하여, 해당 헤더 탱크 내의 부압을 소정압으로까지 억제할 수 있다.
[0029] 본 발명의 효과로서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의하면, 보호 시트의 일부를 흡인하여 말려들게 하는 일도 없고, 판유리를 분할절단할 때 발생하는 유리 가루 등을 안정적으로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다.
[0030]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집진 기구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중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 3은, 집진 기구부의 노즐 본체의 내부를 도 2 중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으로서, (a)는 「집진 모드」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대기 모드」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분할절단 동작을 행할 때의 제조 장치의 상태를 경시적(經時的)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분할절단될 판유리가 투입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b)는 가압 부재에 의해 판유리가 가압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c)는 꺾음분할 부재에 의해 판유리가 꺾음분할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d)는 꺾음분할 부재가 원래의 소정 위치로 복귀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e)는 흡착 패드에 의해 판유리의 일부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의 집진 기구부에 있어서의 노즐 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집진 모드」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대기 모드」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형태의 집진 기구부에 있어서의 노즐 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집진 모드」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대기 모드」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집진 기구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중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 3은, 집진 기구부의 노즐 본체의 내부를 도 2 중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으로서, (a)는 「집진 모드」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대기 모드」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분할절단 동작을 행할 때의 제조 장치의 상태를 경시적(經時的)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분할절단될 판유리가 투입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b)는 가압 부재에 의해 판유리가 가압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c)는 꺾음분할 부재에 의해 판유리가 꺾음분할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d)는 꺾음분할 부재가 원래의 소정 위치로 복귀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e)는 흡착 패드에 의해 판유리의 일부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의 집진 기구부에 있어서의 노즐 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집진 모드」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대기 모드」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형태의 집진 기구부에 있어서의 노즐 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집진 모드」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대기 모드」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0031]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현화하기 위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 대해서는 편의상, 도 1, 도 2, 및 도 4의 상하 방향을 판유리의 제조 장치(1)의 상하 방향으로 규정하여 기술한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있어서는, 화살표(A)의 방향을 판유리(G)의 반송 방향이라고 규정하여 기술한다.
[0032] [제조 장치(1)]
우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판유리의 제조 장치(1)(이하에서는, 간단히 「제조 장치(1)」라고 기재함)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33] 제조 장치(1)는,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이용되는 판유리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이며, 비교적 외형 사이즈가 큰 판유리(G)를 소정의 외형 사이즈로 분할절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0034] 여기서, 제조 장치(1)에 투입되는 판유리(G)는, 손상 방지용의 보호 시트(S) 상에 재치되어 있으며, 해당 보호 시트(S)쪽이 판유리(G)에 비해 면적이 넓기 때문에, 판유리(G)의 둘레로부터 보호 시트(S)가 삐져 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0035] 그리고, 판유리(G)는, 제1 주면(Ga)(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측의 평면) 및 제1 주면(Ga)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주면(Gb)(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측의 평면)을 가지며, 제1 주면(Ga) 상에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홈부로 이루어진 스크라이브선(L)이 형성된다.
또한, 판유리(G)는, 제2 주면(Gb)이 보호 시트(S)와 접촉하도록 하여 해당 보호 시트(S) 상에 재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판유리(G)는, 제1 주면(Ga)을 상측으로 향하게 한 수평 자세로 제조 장치(1) 내에 투입되어 배치된다.
[0036] 제조 장치(1)는, 주로 꺾음분할 기구부(10), 누름 기구부(20), 집진 기구부(30), 및 흡착 기구부(40) 등에 의해 구성된다.
[0037] 꺾음분할 기구부(10)는, 보호 시트(S)를 통해 제2 주면(Gb)을 하방으로부터 쳐올리면서 가압하여, 판유리(G)의 분할절단을 행하기 위한 꺾음분할 수단으로서 설치되는 것이다.
꺾음분할 기구부(10)는, 예컨대 대략 띠판(帶板)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꺾음분할 바(11), 및 꺾음분할 바(11)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 장치(도시 생략) 등에 의해 구성된다.
[0038] 꺾음분할 바(11)는, 판유리(G)의 반송 방향(도 1 중의 화살표(A)의 방향)으로 평면부를 향하게 하면서, 수평 방향, 그리고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배치된다.
[0039] 그리고, 예컨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 장치(1) 내의 소정 위치에 판유리(G)가 투입되면, 꺾음분할 바(11)는, 상기 제1 승강 장치에 의해 상승된다.
이에 의해, 투입된 판유리(G)는, 꺾음분할 바(11)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쳐올려진다.
그 결과, 판유리(G)는, 꺾음분할 바(11)에 의해 스크라이브선(L)을 따르면서 제2 주면(Gb)이 가압되어, 분할절단된다.
[0040] 다음으로, 누름 기구부(20)에 대해 설명한다.
누름 기구부(20)는, 판유리(G)의 제1 주면(Ga)을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후술하는 흡착 기구부(40)와 함께 꺾음분할 바(11)에 의해 쳐올려지는 판유리(G)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으로서 설치되는 것이다.
누름 기구부(20)는, 직선 형상의 채널 브러시(21), 및 채널 브러시(21)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 장치(22) 등에 의해 구성된다.
[0041] 채널 브러시(21)는, 꺾음분할 바(11)에 대해 상방측, 그리고 반송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브러시(21a)를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면서, 수평 방향, 그리고 반송 방향과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하여 배치된다.
즉, 채널 브러시(21)는,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조 장치(1) 내의 소정 위치에 투입된 판유리(G)를 사이에 두고, 꺾음분할 바(11)와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0042] 그리고, 채널 브러시(21)는, 예컨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 장치(1) 내의 소정 위치에 판유리(G)가 투입되면, 제2 승강 장치(22)에 의해 하강된다.
이에 따라, 투입된 판유리(G)는, 채널 브러시(21)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꽉 눌려진다.
[0043] 그 결과, 판유리(G)는, 채널 브러시(21)에 의해, 제1 주면(Ga) 상의 스크라이브선(L)의 근방(구체적으로는, 스크라이브선(L)의 반송 방향 상류측)이 가압되어, 자세가 유지된다.
[0044] 다음으로, 집진 기구부(30)에 대해 설명한다.
집진 기구부(30)는, 채널 브러시(21)에 의한 가압시, 및 꺾음분할 바(11)에 의한 분할절단시 등에 있어서, 판유리(G)에 발생하는 유리 가루 등을 제1 주면(Ga)측으로부터 집진하기 위한 집진 수단으로서 설치되는 것이다.
집진 기구부(30)는,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으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즐(31)을 구비하며, 해당 노즐(31)은, 브래킷(32)을 통해 채널 브러시(2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노즐(31)은, 제2 승강 장치(22)에 의한 채널 브러시(21)의 승강 동작에 추종하도록 되어 있다.
[0045] 다음으로, 흡착 기구부(40)에 대해 설명한다.
흡착 기구부(40)는, 판유리(G)의 제1 주면(Ga)을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전술한 누름 기구부(20)와 함께 꺾음분할 바(11)에 의해 쳐올려지는 판유리(G)의 자세를 유지하는 한편, 분할절단된 판유리(G)의 일부를 흡착하여 해당 판유리(G)의 일부를 소정의 장소(예컨대, 판유리(G)의 일부를 제조 장치(1)의 외부(機外)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 등)로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흡착 기구부(4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흡착 패드(41·41···), 이들 흡착 패드(41·41···)의 흡착 동작을 제어하는 진공 회로(도시 생략), 이들 흡착 패드(41·41···)를 승강시키는 제3 승강 장치(도시 생략), 및 해당 흡착 패드(41·41···)를 소정의 장소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도시 생략) 등에 의해 구성된다.
[0046] 이들 복수의 흡착 패드(41·41···)는, 꺾음분할 바(11)에 대해 상방측, 그리고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어서,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조 장치(1) 내의 소정 위치에 투입된 판유리(G)를 사이에 두고, 꺾음분할 바(11)와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0047] 그리고,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흡착 패드(41·41···)는, 예컨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 장치(1) 내의 소정 위치에 판유리(G)가 투입되면, 상기 제3 승강 장치에 의해 하강된다.
이에 따라, 투입된 판유리(G)는, 복수의 흡착 패드(41·41···)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꽉 눌려진다.
[0048] 그 결과, 판유리(G)는, 복수의 흡착 패드(41·41···)에 의해, 제1 주면(Ga) 상의 스크라이브선(L)의 근방(구체적으로는, 스크라이브선(L)의 반송 방향 하류측)이 가압되어, 자세가 유지된다.
[0049] 또한, 이들 복수의 흡착 패드(41·41···)는, 판유리(G)를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진공 회로(도시 생략)를 통해 판유리(G)의 일부(스크라이브선(L)의 반송 방향 하류측)를 흡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판유리(G)가 분할절단된 후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 장치(도시 생략)를 통해 즉시 판유리(G)의 일부(스크라이브선(L)의 반송 방향 하류측)를 소정의 장소(배출 컨베이어 등)로 반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0050] [집진 기구부(30)]
다음으로, 집진 기구부(30)의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0051] 집진 기구부(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노즐(31), 덕트관(33), 헤더 탱크(34), 덕트 호스(35), 집진기(36), 댐퍼(37), 및 셔터판(38) 등에 의해 구성된다.
[0052] 노즐(31)은, 판유리(G)에 발생하는 유리 가루 등을 흡입할 때의 흡입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노즐(31)은, 예컨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박스 형상의 노즐 본체(31A)를 구비하며, 해당 노즐 본체(31A)의 일방의 측면에는, 노즐구(口)(31B)가 접속되어 있다.
[0053] 노즐구(31B)는, 노즐 본체(31A)를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노즐구(31B)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복수의 폭이 좁은 노즐구를 노즐 본체(31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0054]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31A)는, 꺾음분할 바(11)의 상방측, 그리고 채널 브러시(21)에 대한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어서, 노즐구(31B)를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면서, 수평 방향, 그리고 반송 방향과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배치된다.
즉, 노즐 본체(31A)는, 판유리(G)의 제1 주면(Ga)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선(L)의 상방에 노즐구(31B)의 선단이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0055]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31A)의 타방의 측면(노즐구(31B)측의 반대측의 측면, 즉 상면)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개)의 덕트관(33·33···)이 하단부를 통해 각각 접속되어 있다.
환언하자면, 노즐(31)에 있어서, 노즐 본체(31A)의 타방의 측면에는, 배관 부재의 일례인 복수의 덕트관(33·33···)이 연통되어 있다.
[0056] 그리고, 노즐 본체(31A)는, 이들 덕트관(33·33···)을 통해 후술하는 헤더 탱크(34)와 연통되어 있다.
[0057] 여기서, 이들 덕트관(33·33···)에는, 개구 면적을 조정하여 각각의 덕트관(33·33···) 내에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전환 가능하도록 하는 셔터판(38)이 설치되어 있으며,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본체(31A)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있다.
또한, 셔터판(38)이 설치되는 개소(個所)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노즐 본체(31A)의 외부에 있어서, 각각의 덕트관(33)의 단부에 직접 설치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0058] 셔터판(38)은, 예컨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형상(帶狀)의 평판(平板)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그 평면에는, 복수의 대형 노치 구멍(38A·38A···), 및 해당 대형 노치 구멍(38A·38A···)의 직경을 축소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형 노치 구멍(38B·38B···)이, 서로 번갈아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0059]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대형 노치 구멍(38A·38A···) 및 소형 노치 구멍(38B·38B···)은, 한 개의 대형 노치 구멍(38A) 및 한 개의 소형 노치 구멍(38B)을 1세트(組)로 하여, 적어도 덕트관(33·33···)의 개수와 동등한 개수의 복수 세트(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세트)만큼 천공(穿孔)되어 있다.
또한, 이들 복수 세트(4세트)의 대형 노치 구멍(38A·38A···) 및 소형 노치 구멍(38B·38B···)은, 서로 인접하는 세트마다 덕트관(33·33···)의 배치 간격과 동일한 정도의 이격(離間) 사이즈를 가지고 각각 배치된다.
[0060] 이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셔터판(38)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31A)의 내부에 있어서, 해당 노즐 본체(31A)의 상면에 맞으면서(match), 해당 노즐 본체(31A)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상기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0061] 그리고, 노즐 본체(31A) 내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셔터판(38)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집진 기구부(30)의 상태는, 소정의 흡인력을 발휘함으로써 유리 가루의 집진을 행하는 「집진 모드」와, 상기 소정의 흡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흡인력을 가지는 「대기 모드」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된다.
[0062] 구체적으로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대형 노치 구멍(38A·38A···)이 덕트관(33·33···)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셔터판(38)이 이동됨으로써, 집진 기구부(30)는 「집진 모드」인 상태가 된다.
한편,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소형 노치 구멍(38B·38B···)이 덕트관(33·33···)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셔터판(38)이 이동됨으로써, 집진 기구부(30)는 「대기 모드」인 상태가 된다.
[0063]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셔터판(38)을 이동시킴으로써, 각 덕트관(33) 내에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전환되어, 집진 기구부(30)의 상태가, 소정의 흡인력을 발휘하는 「집진 모드」와, 상기 「집진 모드」에 비해 흡인력이 약한 「대기 모드」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0064] 참고로, 대형 노치 구멍(38A)의 내경은, 덕트관(33)의 내경에 비해 대략 동일한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100[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소형 노치 구멍(38B)의 내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집진 기구부(30)의 흡인 압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30[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0065] 이와 같이, 소형 노치 구멍(38B)의 내경은, 대형 노치 구멍(38A)의 내경에 대해 1/3∼1/4 정도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예컨대, 집진 기구부(30)의 운전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 경우에 있어서, 보호 시트(S)의 일부를 흡인하여 말려들게 하는 일이 없는 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헤더 탱크(34)에 일시적으로 저류된 유리 가루 등이 노즐구(31B)로부터 흘러 넘쳐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집진 기구부(30)의 흡인 압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0066] 그런데, 셔터판(38)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한 종류의 직사각형의 노치 구멍(138A·138A···)이 덕트관(33·33···)의 개수만큼 형성된 셔터판(138)을 가지고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노치 구멍(138A·138A···)이 덕트관(33·33···)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셔터판(138)이 이동됨으로써, 집진 기구부(130)는 「집진 모드」인 상태가 된다.
한편,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노치 구멍(138A·138A···)이 덕트관(33·33···)의 단부에 근소하게 걸리는 위치에 셔터판(138)이 이동됨으로써, 집진 기구부(130)는 「대기 모드」인 상태가 된다.
[0067] 또한, 예컨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한 쌍의 대형 노치 구멍(238A) 및 소형 노치 구멍(238B)이 형성된 셔터판(238)을 가지고 구성해도 되며, 이 경우, 셔터판(238·238···)은, 덕트관(33·33···)의 개수만큼 설치된다.
그리고,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대형 노치 구멍(238A·238A···)이 덕트관(33·33···)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셔터판(238·238···)의 위치가 각각 전환됨으로써, 집진 기구부(230)는 「집진 모드」인 상태가 된다.
한편,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소형 노치 구멍(238B·238B···)이 덕트관(33·33···)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셔터판(238·238···)의 위치가 각각 전환됨으로써, 집진 기구부(230)는 「대기 모드」인 상태가 된다.
[0068] 다음으로, 헤더 탱크(34)에 대해 설명한다.
헤더 탱크(34)는, 노즐(31)을 통해 흡입한, 판유리(G)에 발생하는 유리 가루 등을, 일시적으로 저류하기 위한 것이다.
헤더 탱크(3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노즐(31)의 수직 상방에 있어서 노즐 본체(31A)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0069] 그리고, 헤더 탱크(34)의 일방의 측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면)에는, 복수의 덕트관(33·33···)이 상단부에 있어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헤더 탱크(34)는, 이들 덕트관(33·33···)을 통해, 노즐(31)과 연통된다.
[0070] 한편, 헤더 탱크(34)의 타방의 측면(덕트관(33)측의 반대측 측면, 즉 상면)에는, 2개의 덕트 호스(35·35)가 하단부를 통해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헤더 탱크(34)는, 이들 덕트 호스(35·35)를 통해 후술하는 집진기(36) 및 댐퍼(37)와 각각 연통된다.
[0071] 다음으로, 집진기(36)에 대해 설명한다.
집진기(36)는, 집진 기구부(30)의 집진 기능을 발휘시키는 기기이다.
집진기(36)는, 예컨대 시판되는 집진 장치에 의해 구성되며, 배관 부재의 일례인 덕트 호스(35)를 통해, 헤더 탱크(34)와 연통되어 있다.
[0072] 그리고, 집진기(36)는, 예컨대 제조 장치(1)(도 1을 참조)가 운전 상태에 있는 한, 항상 흡인 상태로 되어 있으며, 노즐(31)로부터 흡입된 유리 가루는, 덕트관(33), 헤더 탱크(35), 덕트 호스(35)로 흘러, 최종적으로 집진기(36) 내로 흡인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집진 기구부(30)의 집진 기능이 발휘된다.
[0073] 다음으로, 댐퍼(37)에 대해 설명한다.
댐퍼(37)는, 집진 기구부(30)의 운전 모드가 「대기 모드」가 되어, 집진기(36)의 흡인력에 의해 급격히 부압이 높아진 헤더 탱크(34)의 내부를 개방하여, 해당 헤더 탱크(34) 내의 부압을 소정압으로까지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0074] 댐퍼(37)는, 예컨대 직사각형 박스 형상의 댐퍼 본체(37A), 및 댐퍼 본체(37A)의 일방의 측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면)에 연달아 설치되는 개폐 밸브(37B)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개폐 밸브(37B)에는, 덕트 호스(35)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댐퍼(37)는, 개폐 밸브(37B)에 의한 개폐 기능을 구비하며, 덕트 호스(35)를 통해, 헤더 탱크(34)와 연통된다.
[0075] 또한, 댐퍼 본체(37A)의 타방의 측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면)에는, 통 형상(筒狀) 개구부(37A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통 형상 개구부(37A1)에는, 시판되는 사이렌서(도시 생략)가 삽입 부착(揷着)되어 있다.
[0076]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댐퍼(37)에 있어서, 집진 기구부(30)의 운전 모드가 「집진 모드」에 있는 경우, 개폐 밸브(37B)는 「폐쇄」 상태가 되며, 통 형상 개구부(37A1)를 통해 댐퍼 본체(37A) 내부가 외부에 대해 닫힌 상태(폐쇄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헤더 탱크(34)의 내부는, 집진기(36)의 흡인력에 의해 부압이 높아지지만, 셔터판(38)에 의해 복수의 덕트관(33·33···)의 하단부의 단면(斷面) 형상이 축소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이들 덕트관(33·33···) 내에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되는 일도 없고, 헤더 탱크(34) 내의 부압은, 소정압으로 유지된다.
[0077] 한편, 집진 기구부(30)의 운전 모드가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 개폐 밸브(37B)는 「개방」 상태가 되며, 통 형상 개구부(37A1)를 통해 댐퍼 본체(37A) 내부가 외부에 대해 열린 상태(개방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가령 셔터판(38)에 의해 복수의 덕트관(33·33···)의 하단부의 단면 형상이 축소되어, 헤더 탱크(34) 내의 부압이 급격히 높아졌다 하더라도, 통 형상 개구부(37A1)를 통해 댐퍼(37) 내로 외부의 공기를 받아들임으로써, 헤더 탱크(34) 내의 부압을 소정압으로까지 억제할 수 있다.
[0078] [동작 순서]
다음으로, 제조 장치(1)의 동작 순서에 대해,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첫 번째로, 꺾음분할 기구부(10)에 있어서, 꺾음분할 바(11)는, 가장 하한(最下限)인 「하방 대기 위치」에서 정지해 있으며, 판유리(G)가 반송되는 반송 레벨(Lv)에 대해 매몰된 상태로 되어 있다.
[0079] 또한, 누름 기구부(20)에 있어서, 채널 브러시(21)는, 가장 상한(最上限)인 「상방 대기 위치」에서 정지해 있으며, 판유리(G)가 반송되는 반송 레벨(Lv)에 대해 판유리(G)의 두께 이상으로 크게 상방으로 이격(離間)된 상태로 되어 있다.
[0080] 또한, 집진 기구부(30)에 있어서, 노즐(31)은, 채널 브러시(21)와 함께 「상방 대기 위치」에서 정지해 있다.
이때, 노즐(31)의 셔터판(38)은, 「대기 모드」인 상태로 되어 있어, 집진 기구부(30)의 흡인 압력이 억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댐퍼(37)의 개폐 밸브(37B)(도 2를 참조)는, 「개방」 상태로 되어 있어, 댐퍼 본체(37A)를 통해, 헤더 탱크(34) 내부가 외부에 대해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0081] 나아가, 흡착 기구부(40)에 있어서, 흡착 패드(41)는, 가장 상한인 「상방 대기 위치」에서 정지해 있으며, 판유리(G)가 반송되는 반송 레벨(Lv)에 대해, 판유리(G)의 두께 이상으로 크게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0082] 이러한 상태로 이루어진 제조 장치(1)에 대해, 판유리(G)가 투입된다.
투입된 판유리(G)는, 제조 장치(1) 내의 소정 위치로 반송되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꺾음분할 기구부(10)와, 누름 기구부(20) 및 흡착 기구부(40)와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주면(Ga)을 상면으로 하면서, 상방에서 보았을 때(平面視) 꺾음분할 바(11)를 따라 스크라이브선(L)(도 1을 참조)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정지한다.
[0083] 판유리(G)가 정지하면, 채널 브러시(21)는 하강을 개시한다.
또한, 채널 브러시(21)와 함께, 흡착 패드(41)도 하강을 개시한다.
[0084] 그리고,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 브러시(21)는, 브러시(21a)를 휘게 하면서, 그 선단부에서 판유리(G)의 제1 주면(Ga)(보다 자세하게는, 꺾음분할 바(11)에 대한 반송 방향 상류측의 영역이며, 제품이 될 필요 부분)과 접촉한다.
또한, 흡착 패드(41)도 그 하단부에서 판유리(G)의 제1 주면(Ga)(보다 자세하게는, 꺾음분할 바(11)에 대한 반송 방향 하류측의 영역이며, 폐기되는 불필요 부분)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판유리(G)는, 채널 브러시(21) 및 흡착 패드(41)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가압되어, 제조 장치(1) 내의 소정 위치에서의 자세가 유지된다.
[0085] 또한, 흡착 패드(41)는, 판유리(G)와 접촉한 후, 즉시 흡착 동작을 개시하는 동시에, 해당 판유리(G)의 반송 방향 하류측을 흡착한 상태인 채로 해당 판유리(G)를 가압한다.
[0086] 한편, 채널 브러시(21)의 하강에 수반하여 노즐(31)도 하강하는데, 이때, 노즐(31)의 셔터판(38)은, 여전히 「대기 모드」인 상태로 유지되어 있어, 집진 기구부(30)의 흡인 압력이 억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0087] 그리고, 채널 브러시(21)가 판유리(G)와 접촉하여 정지하면, 노즐(31)의 셔터판(38)은 즉시 「집진 모드」인 상태로 전환되어, 집진 기구부(30)는 소정의 흡인 압력을 발휘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댐퍼(37)의 개폐 밸브(37B)는, 「폐쇄」 상태로 전환되어, 댐퍼 본체(37A)를 통해, 헤더 탱크(34) 내부가 외부에 대해 닫힌 상태가 된다.
[0088] 채널 브러시(21) 및 흡착 패드(41)에 의해 판유리(G)의 자세가 유지되면, 꺾음분할 바(11)는 상승을 개시한다.
그리고, 꺾음분할 바(11)는, 스크라이브선(L)(도 1을 참조)을 따르면서 제2 주면(Gb)을 하방으로부터 쳐올려서 판유리(G)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유리(G)는, 스크라이브선(L)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스크라이브선(L)이 형성되는 제1 주면(Ga)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凸狀)으로 만곡되면서 꺾음분할된다.
[0089] 또한, 판유리(G)의 꺾음분할 시에 발생하는 유리 가루 등은, 집진 기구부(30)에 의해 흡인되어, 충분히 제거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판유리(G)의 하면에는 보호 시트(S)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보호 시트의 일부가 집진 기구부(30)의 노즐(31) 근방에 노출되게 되지만, 채널 브러시(21) 및 흡착 패드(41)에 의해 판유리(G)를 개재시키면서 상방으로부터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보호 시트(S)의 일부가 집진 기구부(30)의 노즐(31) 내로 흡인되는 일은 없다.
[0090] 판유리(G)의 꺾음분할이 종료되면, 꺾음분할 바(11)는 상승을 정지하고, 이후, 하강을 개시한다.
그리고,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꺾음분할 바(11)는, 다시 「하방 대기 위치」에 도달하면, 하강을 정지한다.
[0091] 꺾음분할 바(11)가 「하방 대기 위치」에서 정지하면, 노즐(31)의 셔터판(38)은 즉시 「대기 모드」인 상태로 전환되며, 집진 기구부(30)의 흡인 압력이 다시 억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댐퍼(37)의 개폐 밸브(37B)도 「개방」 상태로 전환되어, 댐퍼 본체(37A)를 통해, 헤더 탱크(34) 내부가 외부에 대해 개방된 상태가 된다.
[0092] 이후, 채널 브러시(21)는 상승을 개시한다.
또한, 채널 브러시(21)의 상승과 함께, 흡착 패드(41)도, 판유리(G)의 불필요 부분을 흡착한 상태인 채로 상승을 개시한다.
[0093] 여기서, 보호 시트(S)의 상태로서는, 채널 브러시(21) 및 흡착 패드(41)에 의한 가압 상태로부터 완전히 해방된 상태가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31)의 셔터판(38)은 이미 「대기 모드」인 상태로 전환되어 있어, 집진 기구부(30)의 흡인 압력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집진 기구부(30)의 노즐(31)이 보호 시트(S)의 일부를 흡인하여 말려들게 하면서 상승하는 일은 없다.
단, 노즐(31)의 셔터판(38)이 「대기 모드」인 상태에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집진 기구부(30)의 흡인 압력은 완전하게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억제된 상태에서 발휘되기 때문에, 예컨대, 이미 흡인 완료하여 헤더 탱크(34) 내에 일시적으로 저류된 유리 가루 등이, 노즐(31)의 노즐구(31B)로부터 흘러 넘쳐 떨어지는 일도 없다.
[0094] 도 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 브러시(21)는, 다시 「상방 대기 위치」에 도달하면, 상승을 정지한다.
[0095] 한편, 흡착 패드(41)는, 다시 「상방 대기 위치」에 도달하면, 판유리(G)의 불필요 부분을 흡착한 상태인 채로 소정 장소(배출 컨베이어 등)로 이동하여, 해당 판유리(G)의 불필요 부분을 이재(移載)시킨 후, 또 다시 상기 「상방 대기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0096] 그리고, 꺾음분할된 판유리(G)는, 제조 장치(1)로부터 반출된다.
이에 의해, 제조 장치(1)의 동작 순서는 일단 종료되며, 새로운 다른 판유리(G)가 제조 장치(1) 내로 투입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0097]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는, 판유리를 분할절단할 때 발생하는 유리 가루 등을 흡인하여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용할 수 있다.
[0098] 10 : 꺾음분할 기구부(꺾음분할 수단)
30 : 집진 기구부(집진 수단)
31 : 노즐
31B : 노즐구
33 : 덕트관(배관 부재)
34 : 헤더 탱크
36 : 집진기
37 : 댐퍼
38 : 셔터판
38A : 대형 노치 구멍
38B : 소형 노치 구멍
G : 판유리
Ga : 제1 주면
Gb : 제2 주면
L : 스크라이브선
S : 보호 시트
30 : 집진 기구부(집진 수단)
31 : 노즐
31B : 노즐구
33 : 덕트관(배관 부재)
34 : 헤더 탱크
36 : 집진기
37 : 댐퍼
38 : 셔터판
38A : 대형 노치 구멍
38B : 소형 노치 구멍
G : 판유리
Ga : 제1 주면
Gb : 제2 주면
L : 스크라이브선
S : 보호 시트
Claims (10)
- 제1 주면(主面)에 스크라이브선(scribe line)을 가지는 동시에, 해당 제1 주면과는 반대측의 제2 주면이 보호 시트와 접촉하도록 하여 해당 보호 시트 상에 재치된 판유리를,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분할절단(割斷)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꺾음분할(折割) 수단에 의해, 상기 보호 시트를 개재(介在)시키면서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제2 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판유리의 분할절단을 행하는 동시에,
집진(集塵) 수단에 의해, 상기 판유리의 분할절단시에 발생하는 유리 가루를 상기 제1 주면측으로부터 집진하며,
상기 집진 수단은,
상기 유리 가루의 집진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흡인력을 가지는 집진 모드와,
상기 소정의 흡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흡인력을 가지는 대기 모드
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운전 모드를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수단은,
상기 유리 가루의 흡입구가 되는 노즐과,
해당 노즐에 연통(連通)하는 배관 부재와,
해당 배관 부재의 개구 면적을 조정하는 셔터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판에는, 대형 노치 구멍과, 해당 대형 노치 구멍의 직경을 축소(縮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형 노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셔터판이 상기 대형 노치 구멍을 상기 배관 부재의 단부(端部)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집진 수단이 상기 집진 모드로 설정되는 한편,
상기 셔터판이 상기 소형 노치 구멍을 상기 배관 부재의 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집진 수단이 상기 대기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노치 구멍의 내경(內徑)은, 상기 대형 노치 구멍의 내경에 대해 1/4 이상이며 또한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수단은,
상기 배관 부재가 접속되는 헤더 탱크와,
해당 헤더 탱크에 접속되는 집진기
를 가지며,
상기 헤더 탱크에는, 개폐 기능을 구비하는 댐퍼가 접속되어,
상기 집진 모드에서는 상기 댐퍼가 닫힌 상태가 되고,
상기 대기 모드에서는 상기 댐퍼가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 제1 주면에 스크라이브선을 가지는 동시에, 해당 제1 주면과는 반대측의 제2 주면이 보호 시트와 접촉하도록 하여 해당 보호 시트 상에 재치된 판유리를,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분할절단하는 판유리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보호 시트를 개재시키면서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제2 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판유리의 분할절단을 행하는 꺾음분할 수단과,
상기 판유리의 분할절단시에 발생하는 유리 가루를 상기 제1 주면측으로부터 집진하는 집진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집진 수단은,
상기 유리 가루의 집진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흡인력을 가지는 집진 모드와,
상기 소정의 흡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흡인력을 가지는 대기 모드
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운전 모드를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수단은,
상기 유리 가루의 흡입구가 되는 노즐과,
해당 노즐에 연통하는 배관 부재와,
해당 배관 부재의 개구 면적을 조정하는 셔터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판에는, 대형 노치 구멍과, 해당 대형 노치 구멍의 직경을 축소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형 노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셔터판이 상기 대형 노치 구멍을 상기 배관 부재의 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집진 수단이 상기 집진 모드로 설정되는 한편,
상기 셔터판이 상기 소형 노치 구멍을 상기 배관 부재의 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집진 수단이 상기 대기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노치 구멍의 내경은, 상기 대형 노치 구멍의 내경에 대해 1/4 이상이며 또한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장치. -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수단은,
상기 배관 부재가 접속되는 헤더 탱크와,
해당 헤더 탱크에 접속되는 집진기
를 가지며,
상기 헤더 탱크에는, 개폐 기능을 구비하는 댐퍼가 접속되어,
상기 집진 모드에서는 상기 댐퍼가 닫힌 상태가 되고,
상기 대기 모드에서는 상기 댐퍼가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079604 | 2016-04-12 | ||
JP2016079604A JP6668904B2 (ja) | 2016-04-12 | 2016-04-12 | 板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PCT/JP2017/013216 WO2017179436A1 (ja) | 2016-04-12 | 2017-03-30 | 板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7479A true KR20180127479A (ko) | 2018-11-28 |
KR102130008B1 KR102130008B1 (ko) | 2020-07-03 |
Family
ID=6004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31873A KR102130008B1 (ko) | 2016-04-12 | 2017-03-30 |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668904B2 (ko) |
KR (1) | KR102130008B1 (ko) |
CN (1) | CN109071309B (ko) |
TW (1) | TWI716581B (ko) |
WO (1) | WO201717943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4074A (ko) | 2020-11-27 | 2022-06-0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그래핀 및 탄소나노혼 복합체에 전이금속 산화물이 코팅된 고밀도 전이금속-그래핀 및 탄소나노혼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38373B2 (ja) * | 2016-12-02 | 2021-03-03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板ガラスの折割装置 |
JP2019107779A (ja) * | 2017-12-15 | 2019-07-04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 |
CN109734299B (zh) * | 2019-03-15 | 2024-05-17 | 郑州旭飞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无尘玻璃掰断装置 |
CN110486012A (zh) * | 2019-07-25 | 2019-11-22 | 广西雷公斧重工有限公司 | 集尘式劈裂机 |
WO2021124799A1 (ja) | 2019-12-20 | 2021-06-24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梱包体 |
DE112020006293T5 (de) * | 2019-12-24 | 2022-12-01 |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lasfilm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lasrolle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lasfilms |
WO2022055701A1 (en) * | 2020-09-10 | 2022-03-17 | Corning Incorporated | Glass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separating a glass ribbon |
JP2024003429A (ja) * | 2022-06-27 | 2024-01-15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94690A (ja) * | 2006-10-16 | 2008-04-24 | Seiko Epson Corp | ガラスカレットの除去装置、ガラスカレットの除去方法および基板分断装置 |
JP2008127228A (ja) * | 2006-11-17 | 2008-06-05 | Shibuya Kogyo Co Ltd | 板材加工装置 |
KR20080094690A (ko) | 2006-02-16 | 2008-10-23 |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 촉매의 연속적 제조 방법 |
JP2012011756A (ja) * | 2010-07-05 | 2012-01-19 |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 分断装置 |
WO2013031908A1 (ja) * | 2011-09-02 | 2013-03-07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板ガラス物品の分離装置 |
KR20140056162A (ko) * | 2011-09-02 | 2014-05-09 |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 판 유리 할단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26152B2 (ja) * | 2008-12-16 | 2014-02-26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カレット除去装置 |
CN202157005U (zh) * | 2011-03-31 | 2012-03-07 | 陕西彩虹电子玻璃有限公司 | 一种玻璃板生产过程中的玻璃粉尘吸收装置 |
CN103739191A (zh) * | 2013-11-13 | 2014-04-23 |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 切割吸尘装置及切割方法 |
CN204897725U (zh) * | 2015-08-31 | 2015-12-23 | 苏州凯锝微电子有限公司 | 一种玻璃切割设备 |
-
2016
- 2016-04-12 JP JP2016079604A patent/JP6668904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3-30 KR KR1020187031873A patent/KR10213000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3-30 CN CN201780023476.9A patent/CN109071309B/zh active Active
- 2017-03-30 WO PCT/JP2017/013216 patent/WO201717943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4-10 TW TW106111929A patent/TWI716581B/zh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94690A (ko) | 2006-02-16 | 2008-10-23 |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 촉매의 연속적 제조 방법 |
JP2008094690A (ja) * | 2006-10-16 | 2008-04-24 | Seiko Epson Corp | ガラスカレットの除去装置、ガラスカレットの除去方法および基板分断装置 |
JP2008127228A (ja) * | 2006-11-17 | 2008-06-05 | Shibuya Kogyo Co Ltd | 板材加工装置 |
JP2012011756A (ja) * | 2010-07-05 | 2012-01-19 |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 分断装置 |
WO2013031908A1 (ja) * | 2011-09-02 | 2013-03-07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板ガラス物品の分離装置 |
KR20140056162A (ko) * | 2011-09-02 | 2014-05-09 |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 판 유리 할단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4074A (ko) | 2020-11-27 | 2022-06-0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그래핀 및 탄소나노혼 복합체에 전이금속 산화물이 코팅된 고밀도 전이금속-그래핀 및 탄소나노혼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803712A (zh) | 2018-02-01 |
JP6668904B2 (ja) | 2020-03-18 |
WO2017179436A1 (ja) | 2017-10-19 |
CN109071309B (zh) | 2021-12-24 |
CN109071309A (zh) | 2018-12-21 |
JP2017190255A (ja) | 2017-10-19 |
KR102130008B1 (ko) | 2020-07-03 |
TWI716581B (zh) | 2021-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27479A (ko) |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
JP4388493B2 (ja) | ガラス基板用フイルムの貼付方法 | |
US20100320786A1 (en) | Noncontact type suction gripping device and noncontact type suction gripping frame having the same | |
CN109081573B (zh) | 玻璃基板掰断装置和玻璃基板掰断设备 | |
CN100587558C (zh) | 保护板分离方法以及保护板分离装置 | |
JP2008266020A (ja) | シート材集積装置及びシート材集積方法 | |
CN110402241B (zh) | 玻璃板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 |
TW201600435A (zh) | 脆性材料基板之搬送方法及搬送裝置 | |
JP6544195B2 (ja) | 電極箔の搬送装置および積層型電池の製造装置 | |
JP2019006641A (ja) |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製造装置 | |
TW201608625A (zh) | 基板裂斷裝置 | |
JP2003206041A (ja) | 積重ねたシートのピックアップ方法と同装置 | |
TWI571369B (zh) | 用於轉換機工作站的固持裝置 | |
JP2014114085A (ja) | 基板浮上装置および基板浮上装置の洗浄方法 | |
JP2009028873A (ja) | ワーク吸着ヘッド | |
CN209651493U (zh) | 分料装置 | |
KR101547053B1 (ko) | 롤 반송식 코터 | |
CN207986147U (zh) | 一种吸盘工装器 | |
JP5508827B2 (ja) | 光学素子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 |
JP2000117694A (ja) | 自動カス取り装置及びその方法 | |
JP4426945B2 (ja) | 回収装置 | |
KR101931306B1 (ko) | 판재 절단 장치 및 방법 | |
KR101850364B1 (ko) | 레이저 가공 시스템 및 픽커 장치 | |
JP2018058353A (ja) | 折割分断方法及び折割分断装置 | |
JP2019031309A (ja) | 枠体の起函装置及び枠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