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053B1 - 롤 반송식 코터 - Google Patents

롤 반송식 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053B1
KR101547053B1 KR1020140006088A KR20140006088A KR101547053B1 KR 101547053 B1 KR101547053 B1 KR 101547053B1 KR 1020140006088 A KR1020140006088 A KR 1020140006088A KR 20140006088 A KR20140006088 A KR 20140006088A KR 101547053 B1 KR101547053 B1 KR 101547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acking roll
panel member
roll
engag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040A (ko
Inventor
지단 웨이
츠토무 니시오
Original Assignee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과제] 코팅된 패널재의 생산효율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한 롤 반송식 코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기판(2)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배킹 롤(4)과, 배킹 롤로 지지한 기판을 향하여 도료를 토출하는 도료토출다이(6)와, 기판을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하여, 배킹 롤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병설 배치된 상류 측 및 하류 측 반송 롤(3a, 3b)과, 배킹 롤의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마련한 흡인구멍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향하는 기류(E)를 발생하는 석션기구(8)와, 배킹 롤을 넘는 위치까지 반송된 기판의 선단부에 맞물리고, 당해 기판과 함께 흡인구멍을 덮으면서, 기판과 동기하여 이동하는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와, 흡인구멍상으로 반송된 기판의 후단부와 맞물리고, 당해 기판과 함께 흡인구멍을 덮으면서, 기판과 동기하여 이동하는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를 구비했다.

Description

롤 반송식 코터 {ROLL CONVEYANCE TYPE COATER}
본 발명은 코팅된 패널재의 생산효율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한 롤 반송식 코터에 관한 것이다.
반송 롤에 의해 반송되는 기판을 도료로 코팅하는 롤 반송식 코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도포장치」는 도포위치와 세정위치에 교호(交互)로 위치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기판상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1쌍의 도포기와, 상기 도포기와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外周)에 흡인(吸引)구멍을 가지며, 상기 기판을 흡인하면서 반송하는 배킹 롤(backing roll)과, 상기 배킹 롤의 상류 측과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을 흡인하면서 반송하는 반송롤러와, 상기 상류 측의 반송롤러의 상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을 배킹 롤로 반입하는 반입 컨베이어와, 상기 하류 측의 반송롤러의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킹 롤로부터 상기 기판을 반출하는 반출 컨베이어와, 상기 상류 측의 반송롤러와 상기 반입 컨베이어의 사이 또는 상기 하류 측의 반송롤러와 상기 반출 컨베이어의 사이에, 세정위치에 있는 상기 도포헤드를 세정하는 세정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644726호 명세서
상기의 도포장치에서는, 배킹 롤의 상류 측과 하류 측의 반송 롤의 아래쪽 및 배킹 롤상에서, 흡인장치에 의해 기판을 배킹 롤 측으로 흡인하고 있다. 그렇지만, 반송방향에서의 기판의 선단이나 후단이 덕트상의 영역에 진입하기 시작한 상태에서는, 기판이 덕트 전체를 덮지 않기 때문에, 기판을 충분히 흡인할 수 없다. 또, 배킹 롤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의 덕트와 배킹 롤의 사이에서는, 기판이 흡인되지 않으므로, 기판과 다이(die)와의 갭을 안정시키는 것이 어려워, 코팅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기판으로의 코팅면적이 좁아, 제품의 생산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創案)된 것으로서, 코팅된 패널재의 생산효율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한 롤 반송식 코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롤 반송식 코터는 패널재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배킹 롤과, 이 배킹 롤로 지지한 상기 패널재를 향해 도료를 토출하는 도료토출다이와, 상기 패널재를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하여, 상기 배킹 롤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병설 배치된 복수의 반송 롤과, 상기 배킹 롤의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마련한 흡인구멍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하는 석션(suction)기구와, 상기 배킹 롤을 넘는 위치까지 반송된 상기 패널재의 선단부에 맞물리고, 당해 패널재와 함께 상기 흡인구멍을 덮으면서, 이 패널재와 동기하여 이동하는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와, 상기 흡인구멍상으로 반송된 상기 패널재의 후단부와 맞물리고, 당해 패널재와 함께 이 흡인구멍을 덮으면서, 이 패널재와 동기하여 이동하는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와 상기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는 상기 패널재의 선단부나 후단부의 단면과 대향 상태에서 맞닿게 됨으로써, 당해 패널재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와 상기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는 상기 패널재의 선단부나 후단부의 단면과 대향하는 대향부 및 이 패널재의 선단부나 후단부상(上)으로 불거져 나온 장출부(張出部, overhang portion)를 가지고, 이들 대향부 및 장출부에 의해, 이 패널재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출부는 이것을 향하여 상기 패널재의 표면을 끌어당겨 밀착시키는 석션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롤 반송식 코터에 있어서는, 코팅된 패널재의 생산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롤 반송식 코터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 A-A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중, X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롤 반송식 코터에 의해 기판의 선단 측을 코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 중, Y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롤 반송식 코터에 의해 기판의 후단 측을 코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 중, Z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롤 반송식 코터에 의한 코팅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롤 반송식 코터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롤 반송식 코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롤 반송식 코터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 중, A-A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1 중, X부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롤 반송식 코터에 의해 기판의 선단 측을 코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5는 도 4 중, Y부 확대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롤 반송식 코터에 의해 기판의 후단 측을 코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7은 도 6 중, Z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롤 반송식 코터(1)는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반송 롤(3)에 의해 반송되는 패널재로서의 기판(2)이 반송경로 내에서의 소정의 반송 롤(3a, 3b) 사이에 마련된 배킹 롤(4)상을 통과할 때에, 배킹 롤(4)과 대향하여 배치된 도료토출다이(6)로부터 토출되는 도료로 코팅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롤 반송식 코터(1)는, 도 1 ~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의 반송방향을 따라서 마련되고, 복수의 반송 롤(3) 및 배킹 롤(4)을 가지는 반송 컨베이어(5)와, 배킹 롤(4)에 그 위쪽으로부터 대향하고, 도료(S)를 토출하는 도료토출다이(6)와, 반송 컨베이어(5)보다도 위쪽에 설치되고, 도료토출다이(6)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7)와, 배킹 롤(4) 근방에서 에어를 아래쪽을 향하여 흡인하는 석션기구(8)(도면 중, 흡인기류는 부호 E로 나타냄)와, 반송되는 기판(2)의 선단부(2a) 및 후단부(2b)와 맞물리고, 당해 기판(2)과 함께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선단 맞물림 유니트(9) 및 후단 맞물림 유니트(10)와, 롤 반송식 코터(1)를 구동하는 구동부(도시생략) 및 제어부(도시생략)와, 도료토출다이(6)의 토출부로서의 토출구(6a) 및 배킹 롤(4)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너(11)를 구비한다.
반송 컨베이어(5)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반송 롤(3) 및 배킹 롤(4)이 걸쳐지는 상부 프레임(5a)과, 상부 프레임(5a)을 지지하는 기대(基臺)(5b)를 구비한다. 상부 프레임(5a)은 반송 롤(3) 및 배킹 롤(4)의 회전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상부 프레임(5a)에는 반송방향에서의 중앙 근방에 걸쳐서, 배킹 롤(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배킹 롤(4)의 양 옆에 위치하는 반송 롤(3) 가운데, 배킹 롤(4)보다 기판(2)의 반송방향 상류 측에 위치하는 것을 상류 측 반송 롤(3a)이라고 하고, 배킹 롤(4)보다 기판(2)의 반송방향 하류 측에 위치하는 것을 하류 측 반송 롤(3b)로서 설명한다. 기판(2)의 반송방향에서 배킹 롤(4)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는 상부 프레임(5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류 측 반송 롤(3a), 하류 측 반송 롤(3b)이 마련된다. 기판(2)의 반송은 반송 컨베이어(5)의 반송 롤(3)을 회전구동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지만, 상류 측 반송 롤(3a), 하류 측 반송 롤(3b)이나 배킹 롤(4)을 회전구동하도록 해도 된다.
상부 프레임(5a)에는 배킹 롤(4)을 지지하고 있는 부위의 상면(5c)에 도료토출다이(6)를 걸치는 기둥 모양의 지지부(7)가 서로 대향하는 배치로 마련된다. 지지부(7)는, 배킹 롤(4)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5a)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부 프레임(5a)의 내측에는 선단 맞물림 유니트(9) 및 후단 맞물림 유니트(10)의 작동에 이용되는, 후술하는 리니어 레일(12)이 마련된다. 리니어 레일(12)은 각 상부 프레임(5a)상에 마련된다. 또, 리니어 레일(12)은, 반송방향에 있어서, 배킹 롤(4)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배치된다. 배킹 롤(4) 상류 측의 좌우에서 2개의 리니어 레일(12)은 배킹 롤(4) 측의 단부가 지지부(7) 사이에 위치된다. 또, 배킹 롤(4) 하류 측의 좌우에서 2개의 리니어 레일(12)은 배킹 롤(4) 측의 단부가 지지부(7) 사이에 위치된다.
도료토출다이(6)에는 배킹 롤(4)과 대향하는 하면에 도료(S)를 토출하는 슬릿(slit) 모양의 토출구(6a)가 마련된다. 도 1 ~ 도 7에서는, 도료(S)를 수용하는 탱크 및 탱크로부터 도료토출다이(6)에 도료를 공급하는 파이프 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료토출다이(6)는 배킹 롤(4)에 토출구(6a)가 대향하는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지지부(7)에 구비되는 승강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동작된다. 도료토출다이(6)의 승강기구는 예를 들면, 도료토출다이(6)의 토출구(6a)를 클리닝할 때 등, 배킹 롤(4)과 도료토출다이(6)와의 간격을 넓힐 때, 도료토출다이(6)를 상승시키고, 기판(2)을 도료(S)로 코팅하기 위해서, 토출구(6a)를 기판(2)에 대해서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때 등에, 도료토출다이(6)를 강하(降下)시킨다.
석션기구(8)는 위쪽을 향하여 개방된 흡인구멍(13a)을 가지는 덕트(13)와, 덕트(13)에 접속되어, 아래쪽으로 향하는 기류(E)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에어를 흡인하는 펌프(도시생략)로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 발생시키는 기류(E)는 주위의 먼지나 더스트를 끌어들이는 강도이지는 않고, 기판(2)이 배킹 롤(4)에 밀착할 수 있는 정압(靜壓)을 발생하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13)는 흡인구멍(13a) 근방에서, 배킹 롤(4)과 이 배킹 롤(4)에 그 상류 측 및 하류 측으로부터 인접하는 반송 롤(3)(3a, 3b)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배킹 롤(4) 등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는 덕트(13)의 폭은, 배킹 롤(4) 및 반송 롤(3)(3a, 3b)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이들 배킹 롤(4)이나 반송 롤(3)(3a, 3b)의 축방향 길이치수보다도 길게 형성된다.
즉, 덕트(13)에는, 흡인구(13a) 위치에서, 배킹 롤(4)과 이것에 인접하는 2개의 반송 롤(3)(3a, 3b)이 배치된다. 배킹 롤(4)과 2개의 반송 롤(3)(3a, 3b) 각각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설정되고, 아래쪽으로 향하는 흡인기류(E)가 새지 않도록, 각 반송 롤(3)(3a, 3b)과 덕트(13)의 단부가 접근하도록 배치되며, 또 도시하지는 않지만, 그 측면에 대해서도 흡인기류(E)가 새지 않도록 덕트 등으로 둘러싸고 있다.
석션기구(8)는, 기판(2)에 도료(S)를 코팅할 때에, 기판(2)을 배킹 롤(4)에 밀착시켜 도료토출다이(6)의 토출구(6a)와 기판(2)의 표면(2c)을 적정한 간격으로 안정시키기 위해서, 덕트(13)상에 반송되어 온 기판(2)을, 펌프에 의한 에어의 흡인으로 배킹 롤(4) 측으로 끌어당기기 위해서 구비된다.
도료(S)의 토출위치, 즉 배킹 롤(4)의 근방에서는, 배킹 롤(4)과 2개의 반송 롤(3a, 3b)과의 사이에 틈새가 비어 있으므로, 상류 측으로부터 이송되는 기판(2)의 선단부(2a)가 상류 측 반송 롤(3a)과 배킹 롤(4)의 사이에 진입해 왔을 때, 혹은, 하류 측으로 송출(送出)되는 기판(2)의 후단부(2b)가 배킹 롤(4)과 하류 측 반송 롤(3b)의 사이에 진입해 왔을 때에, 석션기구(8)를 가동해도 기류(E)는 기판(2)이 없는 부분을 흐르게 되어, 기판(2)을 배킹 롤(4)에 밀착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롤 반송식 코터(1)에서는 기판(2)의 선단부(2a)와 하류 측 반송 롤(3b)과의 사이를 덮는 선단 맞물림 유니트(9) 및 기판(2)의 후단부(2b)와 상류 측 반송 롤(3a)과의 사이를 덮는 후단 맞물림 유니트(10)가 마련된다.
선단 맞물림 유니트(9) 및 후단 맞물림 유니트(10)는 동일한 유니트이며, 배치하는 방향이 반송방향에서 서로 상이할 뿐이다. 이 때문에, 선단 맞물림 유니트(9)를 예로 들어, 그 구성을 설명한다.
선단 맞물림 유니트(9)는 배킹 롤(4)의 하류 측에 배치된 상술의 한 쌍의 리니어 레일(이하, '하류 측 리니어 레일'이라 함)(12)과, 이들 하류 측 리니어 레일(12)상에 각각 마련되고, 당해 하류 측 리니어 레일(12)로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14)와, 각 슬라이더(14)상에 각각 마련된 베이스(15)와, 이들 베이스(15) 사이에 걸쳐지고, 기판(2)의 선단부(2a)와 걸림·해제가 가능하게 맞물리는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를 구비한다.
슬라이더(14)와 베이스(15)는 일체적으로 마련된다.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는 배킹 롤(4)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베이스(15)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다. 좌우 한 쌍의 슬라이더(14), 베이스(15) 및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는 일체로 이루어지며, 하류 측 리니어 레일(12)로 안내되어 자주(自走)하여, 반송방향을 따라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는 덕트(13)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16a)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의 배킹 롤(4) 측 단부(반송방향 상류 측 단부)에는 하부가 기판(2)의 두께만큼 위쪽으로 패여서, 오목부(16c)가 형성된다. 즉,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의 당해 단부에 대해서는 위쪽 부분을 아래쪽 부분보다도 배킹 롤(4) 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아래쪽 부분에는 기판(2)의 선단부(2a)의 단면과 대향하는 대향부(16d)가 형성되며, 위쪽 부분에는 기판(2)의 선단부(2a)가 그 아래로 들어가도록 돌출된 장출부(16e)가 형성된다.
기판(2)과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는 대향부(16d)가 기판(2)의 선단부(2a)의 단면에 대향하고, 장출부(16e)가 기판(2)상에 위치하는 형태로, 서로 걸림·해제가 가능하게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아래쪽으로 향하는 흡인기류(E)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의 장출부(16e) 상면에는 선단 맞물림 유니트(9)가 배킹 롤(4) 측으로 접근 이동할 때에,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가 도료토출다이(6)로 가능한 한 가까워지도록, 도료토출다이(6)의 하단 측에 형성한 경사면 아래로 들어가는 경사가 설정된다.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에 대해서는, 당해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의 장출부(16e)가 도료토출다이(6) 아래로 들어가, 배킹 롤(4)을 넘은 기판(2)의 선단부(2a)에 오목부(16c)가 맞물렸을 때에, 평탄한 하면(16a)이 기판(2)의 하면(2f)과 대략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가 기판(2)의 선단부(2a)와 맞물렸을 때, 장출부(16e)가 기판(2)의 선단부(2a)의 상면을 덮고, 또한 평탄한 하면(16a)이 하류 측 반송 롤(3b)상에서 당해 하류 측 반송 롤(3b)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선단 맞물림 유니트(9)에서는,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가 기판(2)의 선단부(2a)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더(14), 베이스(15) 및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가 기판(2)과 동기(同期)하여 자주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2)이 하류 측 반송 롤(3b)상에 접촉한 후,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는, 상승 동작되는 것에 의해, 기판(2)의 반송경로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이동된다.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에 대해서는, 송출되는 기판(2)의 후단부(2b)가 당해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의 선단부(도면 중, 오목부(17c) 참조)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기판(2)의 후단부(2b)가 배킹 롤(4)상에 접촉했을 때에, 평탄한 하면(17a)이 상류 측 반송 롤(3a)상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후단 맞물림 유니트(10)에서는, 기판(2)의 후단부(2b)가 상류 측 반송 롤(3a)를 넘기 전에, 기판(2)의 후단부(2b)에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가 맞물리고, 당해 맞물림 상태에서, 슬라이더(14), 베이스(15) 및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가 기판(2)과 동기하여 자주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는, 그 선단부가 도료토출다이(6)에 접촉하기 전에,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짐과 아울러, 다음에 반송되어 오는 기판(2)의 반송경로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이동된다.
클리너(11)는 대향하는 지지부(7) 사이에 걸쳐진 샤프트(11a)를 따라서 배킹 롤(4)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링크기구(11b)와, 링크기구(11b)의 선단에 마련한 클리너 본체(11c)를 구비한다.
링크기구(11b)는, 상승에 의해 배킹 롤(4)로부터의 간격이 넓어진 도료토출다이(6)와 배킹 롤(4)과의 사이에, 클리너 본체(11c)를 배치하거나, 도료토출다이(6)와 배킹 롤(4)의 사이부터 벗어난 퇴피(退避)위치에, 클리너 본체(11c)를 퇴피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도 1은 클리너 본체(11c)가 퇴피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클리너 본체(11c)는 도료토출다이(6)의 토출구(6a)에 맞닿게 되는 토출구 클리닝부(11d)와, 클리닝했을 때에 긁어낸 도료가 낙하하지 않도록 받아들이는 팬(pan)(11e)을 구비한다. 클리너(11)는, 클리너 본체(11c)를 도료토출다이(6)에 맞닿은 상태에서, 샤프트(11a)를 따라서 왕복이동되는 것에 의해, 도료토출다이(6)의 토출구(6a)를 클리닝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롤 반송식 코터에 의한 코팅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롤 반송식 코터(1)에 의해 기판(2)에 코팅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 및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한다.
여기서,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 및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의 미리 설정된 위치는 예를 들면,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에서는 반송방향에 대해서 이송되는 기판(2)의 선단부(2a)가 배킹 롤(4)을 넘어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의 오목부(16c)와 맞물리는 위치로서, 오목부(16c)가 기판(2)의 반송경로상에 위치하고, 하면(16a)이 기판(2)의 하면(2f)보다 약간 높은 위치이다. 또,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에서는 반송방향에서 송출되는 기판(2)의 후단부(2b)가 상류 측 반송 롤(3a)의 직전에서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의 오목부(17c)와 맞물리는 위치로서,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가 기판(2)의 반송경로보다 위쪽으로 대피하고 있는 위치이다.
다음으로, 기판(2)의 선단부(2a)가 배킹 롤(4)을 넘어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의 오목부(16c) 아래로 반송되었을 때에,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를 강하시켜, 기판(2)의 선단부(2a)에 오목부(16c)를 맞물리게 함과 아울러, 석션기구(8)를 가동시킨다.
이 때, 선단 맞물림 유니트(9)를 반송방향의 하류 측으로 향하여, 기판(2)의 움직임과 동기시켜 이동하므로, 흡인구멍(13a)이 기판(2)과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에 의해서 덮이게 되고, 이것에 의해, 기판(2)이 배킹 롤(4) 측으로 빨아 당겨진다. 그리고, 기판(2)의 선단부(2a)와 오목부(16c)가 맞물린 후에, 도 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료토출다이(6)의 토출구(6a)로부터 도료(S)를 토출하여, 기판(2)으로의 코팅을 개시한다.
다음으로, 기판(2)이 반송되면서 코팅되고, 기판(2)의 선단부(2a)가 하류 측 반송 롤(3b)상에 도달하면, 도 8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를 기판(2)과 동기하여 이동시키면서 상승시켜, 기판(2)과의 맞물림을 해제함과 아울러,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를 기판(2)의 반송경로로부터 대피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기판(2)에 대해서는,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와의 맞물림을 해제한 후에도, 토출구(6a)로부터 도료(S)가 토출되어 코팅이 계속된다.
다음으로, 기판(2)의 후단부(2b)가 상류 측 반송 롤(3a)를 넘기 전에, 상류 측 반송 롤(3a)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 8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를 기판(2)과 동기하여 이동시키면서 강하시키고, 기판(2)의 후단부(2b)에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의 오목부(17c)를 맞물리게 함과 아울러, 후단 맞물림 유니트(10)를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향하여, 기판(2)의 움직임과 동기 시켜 이동시킨다.
그리고, 기판(2)의 후단부(2b)가 배킹 롤(4)을 넘기 전에, 도 8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구(6a)로부터의 도료(S)의 토출을 정지하여, 코팅을 종료하고, 아울러 석션기구(8)를 정지하며,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를 상승시킨다.
석션기구(8)의 흡인구멍(13a)은 코팅의 개시부터 정지까지 상부가 덮여진 상태가 되므로, 기판(2)은 코팅되고 있는 동안은 항상, 배킹 롤(4) 측으로 끌어 당겨진다.
그 후,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를 상승시키고, 베이스(15)와 일체가 된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를 상류방향을 향하여 이동시켜, 후단 맞물림 유니트(10) 및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를 대기위치로 되돌린다. 계속해서 다른 기판(2)을 코팅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순서가 반복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롤 반송식 코터(1)에 의하면, 석션기구(8)의 흡인구멍(13a)이 반송방향에서 배킹 롤(4)의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마련되고, 기판(2)의 선단부(2a)가 배킹 롤(4)을 넘어 흡인구멍(13a)상에 진입할 때에는,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가 기판(2)의 선단부(2a)와 맞물려 흡인구멍(13a)을 덮으면서 기판(2)과 함께 이동하므로, 선단부(2a)가 배킹 롤(4)을 넘은 기판(2)의 표면(2c)과 도료토출다이(6)의 토출구(6a)와의 갭을 안정시킨 상태에서 기판(2)을 코팅할 수 있다.
또, 반송되어 흡인구멍(13a)상에 기판(2)의 후단부(2b)가 진입할 때에는,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가 기판(2)의 후단부(2b)에 맞물려 흡인구멍(13a)을 덮으면서 기판(2)과 함께 이동하므로, 후단부(2b)가 흡인구멍(13a)상에 진입한 기판(2)의 표면(2c)과 도료토출다이(6)의 토출구(6a)와의 갭을 안정시킨 상태에서 기판(2)을 코팅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기판(2)의 전역(全域)이 흡인구멍(13a)상을 통과하는 동안, 기판(2)을 배킹 롤(4) 측으로 적절히 빨아 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료(S)를 토출하고 있는 동안은, 기판(2)의 표면(2c)과 도료토출다이(6)의 토출구(6a)와의 갭이 안정되어 있으므로, 기판(2)의 보다 넓은 영역에 정밀도가 좋은 도막(塗膜)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2)의 생산효율이 좋은 롤 반송식 코터(1)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롤 반송식 코터(1)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 및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가 기판(2)의 선단부(2a) 및 후단부(2b)와 맞물리는 오목부(16c, 17c)를 가지고, 기판(2)의 전·후단부(2a, 2b)에 위쪽으로부터 맞닿게 되는 장출부(16e, 17e)를 가지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8) 및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9)가 장출부를 가지지 않고,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8) 및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9)의 배킹 롤(4) 측을 향하는 대향부(18d, 19d)에 기판(2)의 전·후단부(2a, 2b)의 단면이 맞닿게 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 및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가 장출부(16e, 17e)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기판(2)의 전단부(2a)의 단면과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16)의 오목부(16c)나, 기판(2)의 후단부(2b)의 단면과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17)의 오목부(17c)가 서로 맞닿아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출부(16e)의 하면(16f)에, 외부에 마련한 펌프와 접속한 개구(16g)를 형성해 두고, 기판(2)의 선단부(2a)와 맞물릴 때에, 펌프를 가동하여 당해 선단부(2a)를 장출부(16e) 측으로 빨아 당기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기판(2)에 휨 등이 생겨 있어도, 기판(2)의 표면(2c)이 장출부(16e)의 하면(16f)에 밀착하므로, 기류(E)가 새지 않으며, 기판(2)의 표면(2c)과 도료토출다이(6)의 토출구(6a)와의 갭을 안정시킨 상태에서 기판(2)을 코팅할 수 있고, 기판(2)의 보다 넓은 영역에 정밀도가 좋은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1 롤 반송식 코터 2 기판
2a 선단부 2b 후단부
2c 표면 2f 하면
3 반송 롤 3a 상류 측 반송 롤
3b 하류 측 반송 롤 4 배킹 롤
5 반송 컨베이어 5a 상부 프레임
5b 기대 5c 상면
6 도료토출다이 6a 토출구
7 지지부 8 석션기구
9 선단 맞물림 유니트 10 후단 맞물림 유니트
11 클리너 11a 샤프트
11b 링크기구 11c 클리너 본체
11d 토출구 클리닝부 11e 팬
12 리니어 레일 13 덕트
13a 흡인구멍 14 슬라이더
15 베이스 16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
16a 하면 16c 오목부
16d 대향부 16e 장출부
16f 하면 16g 개구
17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 17a 하면
17c 오목부 17d 대향부
17e 장출부 18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
18d 대향부 19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
19d 대향부 E 흡인기류
S 도료

Claims (4)

  1. 패널재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배킹 롤(backing roll)과,
    이 배킹 롤로 지지한 상기 패널재를 향하여 도료(塗料)를 토출(吐出)하는 도료토출다이(die)와,
    상기 패널재를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하여, 상기 배킹 롤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병설(竝設) 배치된 복수의 반송 롤과,
    상기 배킹 롤의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마련한 흡인(吸引)구멍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하는 석션(suction)기구와,
    상기 배킹 롤을 넘는 위치까지 반송된 상기 패널재의 선단부에 맞물리고, 당해 패널재와 함께 상기 흡인구멍을 덮으면서, 이 패널재와 동기(同期)하여 이동하는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와,
    상기 흡인구멍상으로 반송된 상기 패널재의 후단부와 맞물리고, 당해 패널재와 함께 이 흡인구멍을 덮으면서, 이 패널재와 동기하여 이동하는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반송식 코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와 상기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는 상기 패널재의 선단부나 후단부의 단면과 대향 상태로 맞닿게 됨으로써, 당해 패널재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반송식 코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단 맞물림 이동부재와 상기 후단 맞물림 이동부재는 상기 패널재의 선단부나 후단부의 단면과 대향하는 대향부 및 이 패널재의 선단부나 후단부상(上)으로 불거져 나온 장출부(張出部)를 가지고, 이들 대향부 및 장출부에 의해, 이 패널재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반송식 코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출부는 이것을 향하여 상기 패널재의 표면을 끌어당겨 밀착시키는 석션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반송식 코터.
KR1020140006088A 2013-02-15 2014-01-17 롤 반송식 코터 KR101547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8250A JP5943855B2 (ja) 2013-02-15 2013-02-15 ロール搬送式コータ
JPJP-P-2013-028250 2013-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040A KR20140103040A (ko) 2014-08-25
KR101547053B1 true KR101547053B1 (ko) 2015-08-24

Family

ID=5130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088A KR101547053B1 (ko) 2013-02-15 2014-01-17 롤 반송식 코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43855B2 (ko)
KR (1) KR101547053B1 (ko)
CN (1) CN103990578B (ko)
TW (1) TWI5193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47014A1 (en) * 2016-02-08 2019-02-14 Sakai Display Products Corporation Seal pattern forming device
JP6873015B2 (ja) * 2017-09-22 2021-05-19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塗工装置および塗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0330A (ja) 2002-08-30 2004-03-2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9072650A (ja) 2007-09-19 2009-04-09 Tokyo Ohka Kogyo Co Ltd 浮上搬送塗布装置
JP2009268973A (ja) 2008-05-08 2009-11-19 Chugai Ro Co Ltd 塗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4739B2 (ja) * 1995-01-24 1998-08-06 井上金属工業株式会社 塗工方法及び装置
JP3275202B2 (ja) * 1996-08-30 2002-04-1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薄膜形成装置
JP2000109259A (ja) * 1998-09-30 2000-04-18 Canon Inc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498122B2 (ja) * 1999-10-26 2004-02-16 株式会社ヒラノテクシード 単板の塗工装置
JP4410063B2 (ja) * 2004-09-06 2010-02-0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JP4982306B2 (ja) * 2007-09-05 2012-07-25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JP5525190B2 (ja) * 2009-06-10 2014-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CN103065998A (zh) * 2011-10-21 2013-04-24 东京毅力科创株式会社 处理台装置及使用该处理台装置的涂布处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0330A (ja) 2002-08-30 2004-03-2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9072650A (ja) 2007-09-19 2009-04-09 Tokyo Ohka Kogyo Co Ltd 浮上搬送塗布装置
JP2009268973A (ja) 2008-05-08 2009-11-19 Chugai Ro Co Ltd 塗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90578B (zh) 2016-09-14
CN103990578A (zh) 2014-08-20
KR20140103040A (ko) 2014-08-25
JP2014155906A (ja) 2014-08-28
TW201440898A (zh) 2014-11-01
JP5943855B2 (ja) 2016-07-05
TWI519354B (zh)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1449B2 (ja) 拭き取りパッド及びこのパッドを用いたノズルメンテナンス装置並びに塗布処理装置
JP2011088103A (ja) 液滴吐出装置
US5136973A (en) Process and device for electrostatically spraying a liquid coating onto a substrate and for drying the liquid coating on the substrate
KR101547053B1 (ko) 롤 반송식 코터
JP5189114B2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JP4644726B2 (ja) 塗布装置
JP2016150792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記録装置
EP2103357B1 (en) Curtain coating apparatus and curtain coating method
CN108855778B (zh) 涂敷装置、涂敷方法和喷嘴
TWI546127B (zh) Coating treatment device
CN108855720B (zh) 喷嘴清扫装置、涂敷装置和喷嘴清扫方法
CN108855719B (zh) 喷嘴清扫装置、涂敷装置和喷嘴清扫方法
JP2012232269A (ja) 基板浮上型搬送機構用スリットコート式塗布装置
JP6278786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塗布ヘッドの清掃装置及び塗布液塗布装置
JP6975953B2 (ja) 異物除去装置及び異物除去方法
JP5321643B2 (ja) 塗布装置
JP6062776B2 (ja) バッキングロールを有するコータ
JP2005246194A (ja) 両面塗布装置
JP201314446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182815U (ja) 塗布ノズル洗浄装置
TWI795883B (zh) 除塵裝置
KR20130131924A (ko) 디스플레이 기판 세정장치
TWI680822B (zh) 具乾式潔淨機之板材切斷裝置
KR20150028728A (ko)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TWI836454B (zh) 生麵糰塊的移載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