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948A - 크레인 트롤리 - Google Patents
크레인 트롤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4948A KR20180124948A KR1020187029980A KR20187029980A KR20180124948A KR 20180124948 A KR20180124948 A KR 20180124948A KR 1020187029980 A KR1020187029980 A KR 1020187029980A KR 20187029980 A KR20187029980 A KR 20187029980A KR 20180124948 A KR20180124948 A KR 201801249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pe
- trolley
- rope drum
- pulley arrangement
- dr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66C11/06—Underhung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2—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for underhung trolleys or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4—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to facilitate negotiation of cur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 B66D3/08—Arrangements of sh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주 지지구조(2)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크레인의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트롤리는, 지지 프레임 구조물(3);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물에 고정되며, 상기 트롤리가 상기 주 지지구조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베어링 휠들(4); 호이스팅 로프를 위한 로프 드럼(5), 로프 풀리 배열구조를 구비하되 상기 호이스팅 로프가 그것을 통해 상기 로프 드럼으로부터 트롤리 상의 고정된 체결점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로프 풀리 배열구조(7), 및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호이스팅 로프와 협동하는 호이스팅 부재를 구비하는 권상기(호이스팅 장치)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로프 드럼의 축(5a)이 상기 주 지지구조와 평행하도록 상기 로프 드럼(5)은 트롤리의 지지 프레임 구조물에 대해 지지 되고; 상기 로프 풀리 배열구조(7)는 상기 로프 드럼(5)의 축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체결점(X)의 측면 상에 있는 로프 드럼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물(3)은 2개의 분리된 프레임 부분들로 분할됨으로써, 제1 프레임부(3a)는 그것의 측면 상에서 상기 로프 풀리 배열구조 및 로프 드럼 단부를 지지하고, 제2 프레임부(3b)는 로프 드럼의 반대쪽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크레인의 주 지지구조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크레인의 트롤리(trolley)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트롤리는, 크레인의 프레임 구조물(frame structure);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고정되는 베어링 휠로서, 그에 의하여 상기 트롤리가 상기 주 지지구조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 휠(bearing wheels)들; 호이스팅 로프(hoisting rope)를 위한 로프 드럼, 상부 및 하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들을 구비하되 상기 호이스팅 로프가 그것을 통해 상기 로프 드럼으로부터 상기 트롤리 상의 고정된 체결점(fastening point)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로프 풀리 배열구조, 및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호이스팅 로프와 협동하는 호이스팅 부재를 구비하는 권상기(hoisting mechanism)를 포함하되; 이로써 상기 로프 드럼은 트롤리의 지지 프레임 구조물에 지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로프 드럼의 축(axle)은 상기 주 지지구조에 평행하게 구성하고; 이로써 상기 로프 풀리 배열구조는 로프 드럼의 상기 축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체결점의 측면 상에 있는 로프 드럼 단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선행 기술에서는 상기한 호이스팅 동작에 의해 야기되는 트롤리 상의 하중 분포에 관련한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에 의해 트롤리 구조물은 무거운 국부적인 응력(local stress), 특히 다양한 종류의 비틀림 응력(torsional stress) 하에 놓이게 된다. 주요한 교체 작업이 없이는, 현재의 구조물은 로프 드럼의 길이가 다르거나 로프 풀리 배열이 서로 다른 폭을 갖게 되어 적합하지 않으므로, 이로써 로프 드럼 축 방향으로 상부 로프 드럼의 배열구조에 있어 치수가 변하게 된다. 대부분의 현대적인 트롤리에서 로프 드럼은 트롤리 구조물에 또는 그 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것이 보통이며, 따라서 그 길이는 간단한 방식으로는 변경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결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서두에 언급된 트롤리를 개량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 달성되는바, 지지 프레임 구조물은 두 개의 분리된 프레임 부분들, 즉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로 분할되며, 이로써 상기 제1 프레임부는 그의 측면 상에서 로프 풀리 배열구조 및 로프 드럼 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제2 프레임부는 로프 드럼의 반대쪽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로프 풀리 배열구조가, 부분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전적으로, 로프 드럼의 단부 바깥쪽에 본 발명에 따라 배열될 때,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물은 동시에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그 중 하나는 특히 들어 올려지는 하중에 의해 야기되는 응력을 받고, 다른 하나는 로프 드럼의 "자유단(free end)"에 의해 야기되는 하중을 받는다는 사실에 특히 기초하고 있다. 동시에 이러한 구조는 동일한 프레임 구성 요소들을 사용하여 상이한 크기의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 및 상이한 길이의 로프 드럼을 포함하는 트롤리를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대부분이 권상기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은 로프 드럼 길이/호이스팅 높이의 선택과는 독립적으로 표준화될 수도 있다.
특히, 로프 풀리 배열구조가 로프 드럼의 축 방향에서 전체적으로 로프 드럼의 전방 및 상기 단부의 바깥쪽에 위치할 때, 호이스팅 로프의 마모를 야기할 수도 있는 로프 풀리 배열구조에서의 굴곡을 회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있어, 상기 트롤리를 지지하는 구조물은 인장 응력(tensile stress)에 의해 주로 변형되는바, 이에 의해 굽힘 토크 하중(bending torque load)은 그 최대 부분에 대해 회피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몇몇 바람직한 전형적인 실시 예들에 입각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의 권상기의 개략적인 투시도이다.
도 2는 주 지지구조의 방향에서 보는 본 발명의 트롤리의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트롤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트롤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개선(5-5)으로부터 주 지지구조의 방향에서 본 도 4의 트롤리의 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트롤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개선(7-7)으로부터 주 지지구조의 방향에서 본 도 6의 트롤리의 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트롤리의 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트롤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트롤리의 또 다른 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트롤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의 구현을 도시한다.
도 13은 곡선형 트랙 상의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의 권상기의 개략적인 투시도이다.
도 2는 주 지지구조의 방향에서 보는 본 발명의 트롤리의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트롤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트롤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개선(5-5)으로부터 주 지지구조의 방향에서 본 도 4의 트롤리의 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트롤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개선(7-7)으로부터 주 지지구조의 방향에서 본 도 6의 트롤리의 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트롤리의 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트롤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트롤리의 또 다른 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트롤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의 구현을 도시한다.
도 13은 곡선형 트랙 상의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를 도시한다.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크레인의 주 지지구조(main support structure)(2)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1)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주 지지구조(2)는 전형적으로 레일을 포함하는데, 이것에 의해 상기 트롤리(1)는 그 레일의 하부 플랜지(2a) 상에 지지 된다.
트롤리(1)는 지지 프레임 구조물(3) 및 그에 고정되는 베어링 휠(4)들을 구비함으로써, 트롤리(1)는 상기 주 지지구조(2)를 따라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이들 베어링 휠들(4) 중의 일부는 트롤리(1)를 움직이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 휠들(4)을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트롤리의 이동 메커니즘)는 도시되지 않는다.
상기 트롤리(1)에는 호이스팅 로프(6)를 위한 로프 드럼(5)과, 상부 및 하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들(7, 8)을 구비하는 권상기(hoisting mechanism)가 배열되어 있는데, 상기 로프 풀리 배열구조들을 통해서 호이스팅 로프(6)가 로프 드럼(5)으로부터 트롤리(1) 상의 고정된 체결점(X)으로 안내될 수도 있다.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해 호이스팅 로프(6)와 협동하는 호이스팅 부재(9)는 상기 하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8)와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로프 드럼(5)은 그의 축(5a)이 상기 주 지지구조(2)와 평행하도록 트롤리의 지지 프레임 구조물(3)에 지지 된다. 상기 권상기(로프 드럼(5))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호이스팅 모터와 기어는 도시되지 않았다(그렇지만, 도 12에는 도시됨).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1)는, 상기 로프 배열구조(7, 8)가 체결점(X)의 측면 상에 있는 로프 드럼(5)의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바깥쪽에 상기 로프 드럼(5)의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물(3)은 두 개의 분리된 프레임 부분들, 즉, 제1 프레임부(3a)와 제2 프레임부(3b)로 분리되어, 이로써 상기 제1 프레임부(3a)는 그의 측면 상에서 로프 풀리 배열구조(7, 8) 및 로프 드럼 단부(5)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제2 프레임부(3a)는 로프 드럼(5)의 반대쪽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추가로 예시하고 있듯이(도 2 및 3에 도시된 구조에 적용됨), 상기 로프 풀리 배열구조(7, 8)의 축들(7a, 8a)과 상기 로프 드럼(5)의 축(5a)은 상이한 수직 평면에 존재하고, 상기 풀리 배열구조(7, 8)는 상기한 로프 드럼(5)의 단부를 완전히 벗어나서 로프 드럼(5)의 축 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수직 평면들 서로 간의 거리는 로프 드럼(5)의 직경의 절반에 동일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게다가, 상기 트롤리(1)가 주 지지구조로서 작용하면서 하나의 레일(2) 아래에서 이동하는 것일 경우, 상기 로프 드럼(5)으로부터 호이스팅 로프(6)의 해제점(disengagement point), 상기 로프 풀리 배열구조(7, 8)의 축들(7a, 8b), 및 트롤리(1) 상에서의 고정된 체결점(fastening point)(X)에 대한 호이스팅 로프(6)의 고정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수직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직면은, 기본적으로는 상기 주 지지구조(2)의 관성의 수직 주축의 방향으로 그것이 정의하는 평면에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경우, 로프 드럼(5)으로부터의 호이스팅 로프(6)의 해제점, 로프 드럼(5)에 인접한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7)의 상기 축(7a), 및 트롤리(1) 상에서의 상기 고정된 체결점(X)에 대한 호이스팅 로프(6)의 고정을 기본적으로 동일한 수평면에 구성배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따른 해결책에 있어, 상기 제1 프레임부(3a)는 레일(2)의 양측에 배치되고 2개의 베어링 휠들(4)이 그 각각에 대해 고정되는 플랜지 부분들(10), 및 상기 플랜지 부분들(10)의 하부를 연결하는 횡 방향의 연결 로드(14)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로드에는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7)의 프레임(12)이 고정된다. 상기 제2 프레임부(3b)는 하나의 베어링 휠(4)이 그의 각각에 고정되는 상기 레일(2)의 양측에 배치된 플랜지 부분(13)과, 상기 플랜지 부분들(13)의 하부를 연결하는 횡 방향의 연결 로드(14)를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 로드에는 로프 드럼(5)의 프레임(15)의 "자유단(free end)"이 고정 된다. 상기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7)의 프레임(12) 및 로프 드럼(5)의 프레임(15) 상의 그에 마주하는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고정된다.
도 4 및 5에 따른 트롤리(100)는 지지 프레임 구조물(103)에 관련하여서만 도 2 및 3의 트롤리(1)와 상이한데, 여기서 제1 프레임부(103a)는 상기 레일(2)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그 각각에 두 개의 베어링 휠들(4)이 고정되는 거꾸로 된 홈통들(troughs)(110)과, 상기 홈통들을 그의 측면들로부터 연결하는 횡 방향의 클램프 구조물(111)을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 구조물에는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7)의 프레임(12)이 고정된다. 상기 제2 프레임부(3b)는 레일(2)의 양 측면들 상에서 연장되는 클램프 구조물(113)을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 구조물에는 하나의 베어링 휠(4)이 레일(2)의 양 측면 상에 고정된다. 상기 로프 드럼(5)의 프레임(15)의 "자유단"은 상기 클램프 구조물(113)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한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7)의 프레임(12) 및 상기 로프 드럼(5)의 프레임(15) 상의 그것에 마주하는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고정된다. 도 4 및 5와 관련하여, 점선들은 상기 로프 드럼(5)의 상이한 길이에 대해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물을 적응시키는 것이 얼마나 용이한지를 예시한다. 물론, 동일한 구성이 후술하는 해결 수단들뿐만 아니라 도 2 및 3의 해결 수단에도 적용된다.
도 6 및 7에 따른 트롤리(200)는 우선은 지지 프레임 구조물(203)에 관련하여 전술한 도면들에서의 트롤리들과는 상이한데, 이로써 제1 프레임부(203a)는 레일(2)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그 각각에 2개의 베어링 휠들(4)이 고정되는 플랜지들(210)과, 상기 플랜지들(210)을 그것들의 측면에서 연결하는 횡 방향의 클램프 구조물(211)을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 구조물에는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7)의 프레임(12)이 고정된다. 제2 프레임부(203b)는 상기 제1 프레임부(203a)에 상응하되, 상기 레일(2)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그 각각에 2개의 베어링 휠들이 고정되는 플랜지들(213) 및 상기 플랜지들(213)을 그것들의 측면에서부터 연결하는 클램프 구조물(214)을 포함한다. 상기 로프 드럼(5)의 프레임(15)의 "자유단"은 상기 클램프 구조물(214)의 하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7)의 프레임(12) 및 로프 드럼(5)의 프레임(15) 상에서 그에 대면하는 단부는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로프 드럼(5) 및 상기 로프 풀리 배열구조(7)의 상호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회전 커플링(216)으로써 서로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트롤리를 곡선형의 트랙, 달리 말하면, 곡선형 주 지지구조(도 13 참조) 상에서 구동할 필요가 있을 때 더욱 유리하다. 또한, 회전 커플링(217)이 제2 프레임부(203b)와 로프 드럼(5)의 프레임(15)의 인접한 "자유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프레임부(203b)와 로프 드럼(5)의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들 2개의 회전 커플링 중, 제1 회전커플링(216)은 제2 회전커플링(217)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도 8 및 9는 2개의 주 지지구조(2) 상에서 이동하는 트롤리(300)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각각의 주 지지구조(2)는 하나의 주 지지구조(2)의 경우의 것과 유사한 레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주 지지구조(2) 아래에서 이동하는 트롤리보다는 기본적으로는 더 간단한데, 그 이유는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7) 및 로프 드럼(5)이 별도의 "중간 프레임"들이 없이 지지 프레임 구조물(303)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안된 이러한 트롤리(300)에서, 상기 제1 프레임부(303a)는 2개의 베어링 휠들(4)이 그 각각에 배치되고 가로 빔들(311)과 연결되는 케이스들(310)을 양쪽의 주 지지구조(2)에 포함한다. 상기 가로 빔들(311) 사이에는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7)가 배치된다. 상기 제2 프레임부(303b)는 양단에 하나의 레일 휠(4)이 임의의 한 시점에 배치되는 하나의 가로 빔(313)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부(303a) 및 이것에 대면하는 로프 드럼(5) 단부는 주 지지구조(2) 아래에서 움직이는 트롤리와 같이, 서로 또는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커플링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 로프 드럼(5)으로부터 호이스팅 로프(6)의 해제점, 로프 풀리 배열구조(7, 8), 및 트롤리(300) 상의 체결점과 같은 동일 수직면 상에서의 "동력 전달 라인(power transmission line)"의 위치는 주 지지구조 아래에서 이동하는 트롤리에 대한 것처럼 바람직하거나 필요하지는 않은데, 그것은 상기 트롤리(300)의 구조는 어떤 경우든 로드-베어링(load-bearing)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도 10 및 11은 2개의 주 지지구조(2) 상에서 이동하는 트롤리(40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도 8 및 9에 도시된 구조와는 지지 프레임 구조물(403)의 제1 프레임부(403a)가 2개의 가로 빔들(411)로 이루어지고, 그의 단부들은 도 8 및 9에서의 제2 프레임부(303b)와 유사한 방식으로 어느 한 시점에서 항상 하나의 베어링 휠(4)을 구비한다는 점에 있어 도 8 및 9에서의 구성과는 상이하다. 이러한 "슬라이스형(slice-like)" 프레임 구조는 또한 상이한 폭의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7)에 대해 적응하기에 간단하다. 여기서, 로프 드럼(5)은 그것을 위해 배치된 전용의 보호 또는 지지 프레임(415)을 구비한다.
도 12는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7)에 관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해결책을 도시하고 있는바, 여기서 이 로프 풀리 배열구조(7)의 축 (7a)은 로프 드럼(5)을 통과하는 수직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모터(M) 및 권상장치(호이스팅 메커니즘)과 관련된 기어(G)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당해 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그 세부사항들을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11)
- 크레인의 주 지지구조(2)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크레인의 트롤리로서, 상기 트롤리(1; 100; 200; 300; 400)는:
지지 프레임 구조물(3; 103; 203; 303; 403);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물에 고정되며, 상기 트롤리가 상기 주 지지구조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베어링 휠들(4);
호이스팅 로프(6)를 위한 로프 드럼(5), 상부 및 하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들(7, 8)을 구비하되 상기 호이스팅 로프가 그것을 통해 상기 로프 드럼으로부터 트롤리 상의 고정된 체결점(X)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로프 풀리 배열구조, 및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호이스팅 로프와 협동하는 호이스팅 부재(9)를 포함하는 권상기(호이스팅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로프 드럼(5)은 상기 로프 드럼의 축(5a)이 상기 주 지지구조와 평행하도록 트롤리의 지지 프레임 구조물에 대해 지지 되고;
이로써 상기 로프 풀리 배열구조(7, 8)들은 상기 로프 드럼(5)의 상기 축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체결점(X)의 측면 상에 있는 로프 드럼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크레인의 트롤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물(3; 103; 203; 303; 403)은 2개의 분리된 프레임 부분들, 즉 제1 프레임부(3a; 103a; 203a; 303a; 403a) 및 제2 프레임부(3b; 103b; 203b; 303b; 403b)로 분할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부는 그것의 측면 상에서 상기 로프 풀리 배열구조 및 상기 로프 드럼 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제2 프레임부는 상기 로프 드럼의 반대쪽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트롤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풀리 배열구조(7, 8)의 축(7a, 8a)과 상기 로프 드럼(5)의 축(5a)은 상이한 수직 평면들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평면들 서로 간의 거리는 본질적으로 상기 로프 드럼(5)의 직경의 절반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풀리 배열구조(7, 8)는 상기 로프 드럼(5)의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체결점(X)의 측면 상에 있는 로프 드럼의 완전히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드럼(5)에 바로 인접한 위치에 있는 로프 풀리 배열구조(7)의 축(7a)은 상기 로프 드럼을 통과하는 수직 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7)와 인접한 로프 드럼(5)의 단부 사이에, 상기 로프 풀리 배열구조와 로프 드럼의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호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커플링(216)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부(203b)와 인접한 로프 드럼(5)의 단부 사이에, 상기 제2 프레임부와 로프 드럼의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호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커플링(217)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1; 100, 200)는 하나의 주 지지구조(2) 아래에서 이동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해 상기 로프 드럼(5)으로부터 호이스팅 로프(6)의 해제점(disengagement point), 적어도 상기 로프 드럼에 인접한 로프 풀리 배열구조(7)의 축(7a), 및 트롤리 상의 고정된 체결점(X)에 대한 호이스팅 로프(6)의 고정은 본질적으로 같은 수직면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평면은 상기 주 지지구조(2)의 관성의 수직 주축의 방향으로 그것이 정의하는 평면에서 본질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드럼(5)으로부터 호이스팅 로프(6)의 해제점, 상기 로프 드럼에 인접한 상기 상부 로프 풀리 배열구조(7)의 축(7a), 및 트롤리 상의 고정된 체결점(X)에 대한 호이스팅 로프(6)의 고정은 본질적으로 같은 수직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300, 400)는 2개의 주 지지구조들(2)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I20165261A FI127424B (fi) | 2016-03-29 | 2016-03-29 | Nosturin nostovaunu |
FI20165261 | 2016-03-29 | ||
PCT/FI2017/050215 WO2017168048A1 (en) | 2016-03-29 | 2017-03-29 | Crane trolle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4948A true KR20180124948A (ko) | 2018-11-21 |
KR102205839B1 KR102205839B1 (ko) | 2021-01-22 |
Family
ID=5996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9980A KR102205839B1 (ko) | 2016-03-29 | 2017-03-29 | 크레인 트롤리 |
Country Status (18)
Country | Link |
---|---|
US (1) | US11059703B2 (ko) |
EP (1) | EP3436391B1 (ko) |
JP (1) | JP6625763B2 (ko) |
KR (1) | KR102205839B1 (ko) |
CN (1) | CN109071184B (ko) |
AU (1) | AU2017240210B2 (ko) |
BR (1) | BR112018069893B1 (ko) |
CA (1) | CA3017815C (ko) |
ES (1) | ES2851951T3 (ko) |
FI (1) | FI127424B (ko) |
HU (1) | HUE053085T2 (ko) |
MX (1) | MX2018011634A (ko) |
MY (1) | MY193777A (ko) |
PH (1) | PH12018501884A1 (ko) |
PL (1) | PL3436391T3 (ko) |
RU (1) | RU2702384C1 (ko) |
WO (1) | WO2017168048A1 (ko) |
ZA (1) | ZA20180598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127757B (fi) * | 2017-09-22 | 2019-02-15 | Konecranes Global Oy | Nosturin nostovaunu |
FI127807B (fi) * | 2017-09-22 | 2019-02-28 | Konecranes Global Oy | Nosturin nostimen nostojärjestel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9728B1 (ko) * | 2006-02-10 | 2006-11-28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트롤리의 안티 스웨이 장치 |
KR100846209B1 (ko) * | 2007-04-12 | 2008-07-14 |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 타워크레인용 트롤리 |
WO2015110706A1 (en) * | 2014-01-24 | 2015-07-30 | Konecranes Plc | Low-construction trolley for wire rope hoist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79376A (en) * | 1962-09-19 | 1965-04-20 | Owen Bucket Company | Assembly, such as a crane hook |
JPS5148147Y1 (ko) * | 1968-12-26 | 1976-11-19 | ||
SU874583A1 (ru) * | 1978-03-07 | 1981-10-23 | Киевский филиал Всесоюзног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по монтажным и специальным строительным работам | Мостовой кран |
DE3032824A1 (de) | 1980-08-30 | 1982-04-15 | Wilhelm 5020 Frechen König | Kran mit laufkatze |
JPS6315277Y2 (ko) * | 1981-02-04 | 1988-04-28 | ||
JPS58177895A (ja) * | 1982-04-12 | 1983-10-1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電気ホイスト |
SU1689330A1 (ru) | 1989-02-06 | 1991-11-07 |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биосинтеза белковых веществ |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 добавки дл бетонной смеси |
US5074423A (en) * | 1989-05-26 | 1991-12-24 | Ingersoll-Rand Company | Low-profile lifting apparatus |
JPH0537888U (ja) * | 1991-10-25 | 1993-05-21 | 株式会社明電舎 | ローヘツド形ホイスト |
JP2557426Y2 (ja) * | 1992-06-04 | 1997-12-10 | 日本ホイスト株式会社 | 電気ホイスト |
JPH07125631A (ja) * | 1993-11-04 | 1995-05-16 | Murata Mach Ltd | 天井走行装置 |
US5992730A (en) * | 1998-01-16 | 1999-11-30 | Mhe Technologies, Inc. | Method for assembling a trolley for an overhead traveling crane |
DE29807788U1 (de) * | 1998-04-30 | 1998-08-20 | Muckenhaupt GmbH, 45527 Hattingen | Hubbalken, insbesondere für Einschienenhängebahnen im untertägigen Grubenbetrieb |
WO2001046060A1 (en) * | 1999-12-21 | 2001-06-28 | Kci Konecranes International Plc | A rope hoist provided with traversing machinery |
US6578825B1 (en) * | 2000-07-24 | 2003-06-17 | Axel Brandt | Wire rope equalizer system for hoist mechanisms |
DE10345102B4 (de) * | 2003-09-26 | 2005-09-29 |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 Laufkatze, insbesondere Einschienenkatze mit niedriger Bauhöhe |
KR100531510B1 (ko) * | 2003-11-25 | 2005-11-30 | 한국고벨주식회사 | 호이스트 |
RU2317246C2 (ru) * | 2005-07-12 | 2008-02-20 |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Краностроитель" | Тележка грузовая кранов мостового типа |
KR100724715B1 (ko) * | 2006-07-21 | 2007-06-04 | 한국고벨주식회사 | 로우 스페이스 크레인용 호이스트 |
CN203079554U (zh) | 2012-12-12 | 2013-07-24 |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 一种核电厂用装卸料机辅助单轨吊车 |
CN203474335U (zh) | 2013-09-13 | 2014-03-12 | 开原星都起重设备有限公司 | 一种钢丝绳电动葫芦 |
CN203903801U (zh) | 2013-12-25 | 2014-10-29 | 诸暨市盾锋机械制造有限公司 | 一种葫芦式双梁起重机悬挂小车装置 |
CN203998659U (zh) * | 2014-07-25 | 2014-12-10 | 辽宁华原重型装备有限公司 | 一种可变钩距的小车 |
CN204125035U (zh) | 2014-09-23 | 2015-01-28 | 淮南豪特机械制造有限公司 | 一种用于单轨悬挂支撑机构 |
-
2016
- 2016-03-29 FI FI20165261A patent/FI127424B/fi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3-29 WO PCT/FI2017/050215 patent/WO201716804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3-29 US US16/088,703 patent/US11059703B2/en active Active
- 2017-03-29 PL PL17773366T patent/PL3436391T3/pl unknown
- 2017-03-29 AU AU2017240210A patent/AU2017240210B2/en active Active
- 2017-03-29 CA CA3017815A patent/CA3017815C/en active Active
- 2017-03-29 MY MYPI2018703223A patent/MY193777A/en unknown
- 2017-03-29 BR BR112018069893-8A patent/BR112018069893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7-03-29 RU RU2018135201A patent/RU2702384C1/ru active
- 2017-03-29 EP EP17773366.4A patent/EP3436391B1/en active Active
- 2017-03-29 KR KR1020187029980A patent/KR1022058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3-29 ES ES17773366T patent/ES2851951T3/es active Active
- 2017-03-29 CN CN201780020326.2A patent/CN109071184B/zh active Active
- 2017-03-29 HU HUE17773366A patent/HUE053085T2/hu unknown
- 2017-03-29 JP JP2018549807A patent/JP6625763B2/ja active Active
- 2017-03-29 MX MX2018011634A patent/MX2018011634A/es unknown
-
2018
- 2018-09-04 PH PH12018501884A patent/PH12018501884A1/en unknown
- 2018-09-06 ZA ZA2018/05987A patent/ZA201805987B/en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9728B1 (ko) * | 2006-02-10 | 2006-11-28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트롤리의 안티 스웨이 장치 |
KR100846209B1 (ko) * | 2007-04-12 | 2008-07-14 |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 타워크레인용 트롤리 |
WO2015110706A1 (en) * | 2014-01-24 | 2015-07-30 | Konecranes Plc | Low-construction trolley for wire rope hois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17240210A1 (en) | 2018-09-27 |
FI20165261A (fi) | 2017-09-30 |
EP3436391A4 (en) | 2019-12-04 |
CN109071184A (zh) | 2018-12-21 |
KR102205839B1 (ko) | 2021-01-22 |
AU2017240210B2 (en) | 2019-07-04 |
WO2017168048A1 (en) | 2017-10-05 |
JP2019509235A (ja) | 2019-04-04 |
MX2018011634A (es) | 2019-03-14 |
CN109071184B (zh) | 2020-08-07 |
CA3017815C (en) | 2020-11-17 |
ES2851951T3 (es) | 2021-09-09 |
US11059703B2 (en) | 2021-07-13 |
MY193777A (en) | 2022-10-27 |
CA3017815A1 (en) | 2017-10-05 |
US20200231414A1 (en) | 2020-07-23 |
ZA201805987B (en) | 2019-07-31 |
BR112018069893A2 (pt) | 2019-02-05 |
FI127424B (fi) | 2018-05-31 |
PH12018501884A1 (en) | 2019-05-15 |
EP3436391A1 (en) | 2019-02-06 |
PL3436391T3 (pl) | 2021-07-05 |
HUE053085T2 (hu) | 2021-06-28 |
BR112018069893B1 (pt) | 2023-02-23 |
RU2702384C1 (ru) | 2019-10-08 |
EP3436391B1 (en) | 2020-11-18 |
JP6625763B2 (ja) | 2019-1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56420B2 (ja) | スタッカクレーン | |
JP5518057B2 (ja) | 巻き上げ機の組合せ | |
KR20160113235A (ko) | 와이어 로프 호이스트를 위한 저-구조 트롤리 | |
KR102205839B1 (ko) | 크레인 트롤리 | |
US10486948B2 (en) | Rope hoist | |
KR20150008532A (ko) | 크레인의 리프팅 장치 | |
KR102424373B1 (ko) | 크레인의 트롤리 | |
JP2008520514A5 (ko) | ||
US10961085B2 (en) | Low-construction trolley for wire rope hoist | |
KR101064000B1 (ko) | 크레인용 트롤리 | |
JP2013163556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EP3124423A1 (de) | Tragmittelaufhängvorrichtung mit zweistufiger wippvorrichtung mit langen unteren haltearmen für eine aufzuganlage | |
EP2628700B1 (de) | Liftvorrichtung mit Doppelwinde | |
IES84548Y1 (en) | Hoisting system and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