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000B1 - 크레인용 트롤리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000B1
KR101064000B1 KR1020090007087A KR20090007087A KR101064000B1 KR 101064000 B1 KR101064000 B1 KR 101064000B1 KR 1020090007087 A KR1020090007087 A KR 1020090007087A KR 20090007087 A KR20090007087 A KR 20090007087A KR 101064000 B1 KR101064000 B1 KR 101064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moving
pair
dru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987A (ko
Inventor
박실룡
Original Assignee
박실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실룡 filed Critical 박실룡
Priority to KR102009000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000B1/ko
Priority to CN2010100001364A priority patent/CN101830396B/zh
Publication of KR20100087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66C11/20Arrangements, e.g. comprising differential gears, enabling simultaneous or selective operation of travelling and hoisting gear; Arrangements using the same rope or cable for both travelling and hoisting, e.g. in Temperley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66C13/14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to load-engaging elements or motors associated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용 트롤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에서 이동시브를 통과하는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이 서로 상쇄되도록 하여 상기 시브에 작용하는 비대칭력이 작아 지지프레임이 필요 없으며 크레인의 주행방향으로 후크의 이동이 가능한 골리앗 크레인용 트롤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트롤리는 프레임과 한 쌍의 드럼과, 드럼모터와, 드럼동력전달수단과, 한 쌍의 우측고정시브와, 한 쌍의 좌측고정시브와, 이동대차와, 대차모터와 한 쌍의 대차시브와, 후크와, 이동시브조립체와,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드럼은 상기 프레임에 폭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드럼 및 제2드럼을 구비한다. 상기 드럼모터는 상기 한 쌍의 드럼을 회전시킨다. 상기 드럼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드럼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한 쌍의 드럼을 동일한 속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한 쌍의 우측고정시브는 상기 한 쌍의 드럼의 우측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제1우측고정시브 및 제2우측고정시브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좌측고정시브는 상기 한 쌍의 드럼의 좌측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제1좌측고정시브 및 제2좌측고정시브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한 쌍의 좌측고정시브와 상기 한 쌍의 우측고정시브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대차모터는 상기 이동대차를 이동시킨다. 상기 한 쌍의 대차시브는 상기 이동대차에 설치된 제1대차시브 및 제2대차시브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시브조립체는 제1이동시브와 제2이동시브와 제3이동시브와 제4이동시브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드럼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드럼의 회전속도에 연동하여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드럼에 권선되어 상기 제1이동시브와, 상기 제1우측고정시브와, 상기 제1대차시브와, 상기 후크와, 상기 제1좌측고정시브와, 제2이동시브에 연결된다.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2드럼에 권선되어 상기 제3이동시브와, 상기 제2우측고정시브와, 상기 제2대차시브와, 상기 후크와, 상기 제2좌측고정시브와, 제4이동시브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상기 이동시브조립체에 작용하는 장력이 서로 상쇄되도록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이동시브조립체에 연결된다.
트롤리, 크레인

Description

크레인용 트롤리{Trolley for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용 트롤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에서 이동시브를 통과하는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이 서로 상쇄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시브에 작용하는 비대칭력이 작아 지지프레임이 필요없으며, 크레인의 주행방향으로 후크의 이동이 가능한 골리앗 크레인용 트롤리에 대한 것이다.
골리앗 크레인은 조선소 등에서 여러 개의 단위블럭 등의 구조물을 조립하여 선박을 건조하는 데 이용된다. 도 9는 조선소 등에 사용되는 2개의 트롤리를 구비한 골리앗 크레인의 개념도이다. 도 9의 크레인에는 로워트롤리(81, lower trolley)와 어퍼트롤리(83, upper trolley) 등 두 개의 트롤리가 크레인의 주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크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단위블럭 등의 구조물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작업을 한다. 도 10은 도 9의 크레인에 사용되는 종래의 트롤리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트롤리는 와이어(85)가 드럼(87)에 권선되어 있으며, 모터(89)를 이용하여 드럼(87)에서 와이어(85)를 풀면 후크(91)가 하강하고, 드럼(87)에 와이어(85)를 감으면 후크(91)가 상승한다. 트롤리는 후크(91)에 구조물을 파지시킨 후 트롤리를 이동시켜 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한다.
종래의 트롤리는 크레인의 횡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그래서 후크도 크레인의 횡행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후크는 트롤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크레인의 주행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크레인으로 작업할 구조물들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므로, 후크의 위치가 크레인의 주행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거나 이동거리가 미세하여 다양한 크기의 구조물들을 이동시키는데 러그(Lug) 설계 및 취부가 난해하여 상당한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드럼에 권선된 와이어가 드럼에서부터 시브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드럼에서 나온 와이어에 의하여 시브에 일방향으로 과도한 하중이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시브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의 과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프레임과 같은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크가 트롤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크레인의 주행방향으로 후크의 이동이 가능한 트롤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에서 나온 와이어에 의하여 시브에 작용하는 하중이 서로 상쇄가 될 수 있어 육중한 별도의 지지프레임이 필요없는 특수한 트롤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트롤리는 프레임과 한 쌍의 드럼과, 드럼모터와, 드럼동력전달수단과, 한 쌍의 우측고정시브와, 한 쌍의 좌측고정시브와, 이동대차와, 대차모터와 한 쌍의 대차시브와, 후크와, 이동시브조립체와,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드럼은 크레인 상에서 트롤리가 주행하는 트롤리의 주행방향인 상기 프레임에 폭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드럼 및 제2드럼을 구비한다. 상기 드럼모터는 상기 한 쌍의 드럼을 회전시킨다. 상기 드럼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드럼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한 쌍의 드럼을 동일한 속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한 쌍의 우측고정시브는 상기 한 쌍의 드럼의 우측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제1우측고정시브 및 제2우측고정시브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좌측고정시브는 상기 한 쌍의 드럼의 좌측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제1좌측고정시브 및 제2좌측고정시브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한 쌍의 좌측고정시브와 상기 한 쌍의 우측고정시브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대차모터는 상기 이동대차를 이동시킨다. 상기 한 쌍의 대차시브는 상기 이동대차에 설치된 제1대차시브 및 제2대차시브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시브조립체는 제1이동시브와 제2이동시브와 제3이동시브와 제4이동시브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드럼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드럼의 회전속도에 연동하여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드럼에 권선되어 상기 제1이동시브와, 상기 제1우측고정시브와, 상기 제1대차시브와, 상기 후크와, 상기 제1좌측고정시브와, 제2이동시브에 연결된다.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2드럼에 권선되어 상기 제3이동시브와, 상기 제2우측고정시브와, 상기 제2대차시브와, 상기 후크와, 상기 제2좌측고정시브와, 제4이동시브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상기 이동시브조립체에 작용하는 장력이 서로 상쇄되도록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이동시브조립체에 연결된다.
상기 크레인용 트롤리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브조립체는 시브고정부와, 시브이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브고정부에는 상기 제1이동시브와, 상기 제2이동시브와, 상기 제3이동시브와, 상기 제4이동시브가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다. 상기 시브이동부는 상기 드럼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받아서 상기 시브고정부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크레인용 트롤리에 있어서, 상기 시브이동부는 회전바와, 회전바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바는 상기 드럼동력전달수단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며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바체결부는 일측은 상기 시브고정부에 결합하고, 상기 회전바의 회전시 상기 시브고정부를 상기 회전바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바와 나사결합한다.
또한, 상기 크레인용 트롤리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시브와 상기 제2이동시브는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상기 제3이동시브와 상기 제4이동시브와 대칭하도록 상기 시브고정부에 결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제1이동시브 및 상기 제2이동시브에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이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제3이동시브 및 상기 제4이동시브에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제1이동시브 및 상기 제2이동시브에 연결되고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제3이동시브 및 상기 제4이동시브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크가 트롤리의 길이방향(즉 크레인의 주행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구조물을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에 의하여 이동시브조립체에 작용하는 외력이 서로 상쇄되므로 이동시브조립체에 작용하는 외력의 합력을 작게 할 수 있어 별도의 육중한 지지프레임이 필요없는 단순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리앗 크레인용 트롤리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이동시브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드럼과 드럼동력전달수단의 평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트롤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트롤리는 프레임(10)과, 한 쌍의 제1드럼(11) 및 제2드럼(13)과, 드럼모터(15)와, 드럼동력전달수단(20)과, 한 쌍의 제1우측고정시브(21) 및 제2우측고정시브(23)와, 한 쌍의 제1좌측고정시브(25) 및 제2좌측고정시브(26)와, 이동대차(30)와, 대차모터(35)와, 한 쌍의 제1대차시브(31) 및 제2대차시브(33)와, 후크(37)와, 이동시브조립체(40)와, 제1와이어(55)와, 제2와이어(57)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크레인에 설치되어 크레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을 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드럼(11) 및 제2드럼(13)은 프레임(10)에 폭방향(3)을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프레임(10)의 폭방향(3)은 크레인 상에서 트롤리가 주행하는 트롤리의 주행방향으로서 크레인의 길이방향에 해당된다. 그리고 프레임(10)의 길이방향(1)은 크레인의 폭방향으로서 크레인의 주행방향에 해당된다.
드럼모터(15)는 한 쌍의 드럼(11, 13)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프레임(10)에 설치된다.
드럼동력전달수단(20)은 드럼모터(15)의 회전력으로 상기 한 쌍의 드럼(11, 13)을 동일한 속도로 서로 반대방향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드럼모터(15)가 구동을 하면 드럼모터(15)의 회전력이 드럼동력전달수단(20)에 의하여 전달되어 제1드럼(11)은 일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제2드럼(13)은 제1드럼(11)과 동일한 속도로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한 쌍의 제1우측고정시브(21) 및 제2우측고정시브(23)는 상기 한 쌍의 드럼(21, 23)의 우측편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한 쌍의 제1좌측고정시브(25) 및 제2좌측고정시브(26)는 상기 한 쌍의 드럼(21, 23)의 좌측편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에 수평으로 고정된다.
이동대차(30)는 한 쌍의 우측고정시브(21, 23)과 한 쌍의 좌측고정시브(25, 26) 사이에서 프레임(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대차모터(35)는 이동대차(3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동대차(30)는 대차모터(35)의 작동에 의하여 프레임(10)을 따라 이동을 한다.
한 쌍의 제1대차시브(31) 및 제2대차시브(33)는 이동대차(30)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후크(37)는 와이어(55, 57)에 연결되어 구조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
이동시브조립체(40)는 제1드럼(11)과 제2드럼(13)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이동시브(41)와, 제2이동시브(42)와, 제3이동시브(43)와, 제4이동시브(44)와, 시브고정부(46)와, 시브이동부(50)를 구비한다. 시브고정부(46)는 상하로 적층된 한 쌍의 플레이트(47, 48)로 구성된다. 제1이동시브(41)와, 제2이동시브(42)와, 제3이동시브(43)와, 제4이동시브(44)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47, 48)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며, 프레임(10)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프레임(10)의 폭방향(3)을 따라 제1이동시브(41) 및 제2이동시브(42)가 제3이동시브(43) 및 제4이동시브(44)와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프레임(10)의 길이방향(1)을 따라 제1이동시브(41) 및 제3이동시브(43)가 제2이동시브(42) 및 제4이동시브(44)와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시브이동부(50)는 회전바(51)와 회전바체결부(53)를 구비한다. 회전바(51)는 일단(52)이 드럼동력전달수단(20)에 벨트(미도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드럼동력전달수단(20)이 드럼모터(15)에 의하여 회전을 하면 회전바(51)도 회전을 한다. 그리고 회전바(5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바체결부(53)는 회전바(51)와 나사결합을 하며, 회전바(51)를 중심으로 회동을 하지 못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바체결부(53)에는 시브고정부(46)가 결합되어 있다. 그래서 회전바(51)가 일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회전바체결부(53)는 회전바(51)를 따라 전진을 하여 시브고정부(46)가 이동을 하고, 회전바(51)가 타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회전바체결부(53)는 회전바(51)를 따라 후진을 하여 시브고정부(46)가 반대방향으로 이동을 한다.
제1와이어(55)는 제1드럼(11)에 권선되어 있다. 그리고 제1드럼(11)에 권선된 제1와이어(55)의 한 가닥(55a)이 제1이동시브(41)에 연결된 후 제1우측고정시브(21)를 밑에서 위로 감아돌아서 제1대차시브(31)에 연결되어 후크(37)에 연결된 시브(37a)를 감는다. 그리고 제1대차시브(31)에 연결되어 제1좌측고정시브(25)를 감아돌아서 제2이동시브(42)에 연결된 후 제1와이어(55)의 다른 한가닥(55b)에 연결되어 제1드럼(11)에 권선된다.
제2와이어(57)는 제2드럼(13)에 권선되어 있다. 그리고 제2드럼(13)에 권선된 제2와이어(57)의 한 가닥(57a)이 제3이동시브(43)에 연결된 후 제2우측고정시브(23)를 밑에서 위로 감아돌아서 제2대차시브(33)에 연결되어 후크(37)에 연결된 시브(37b)를 감는다. 그리고 제2대차시브(33)에 연결되어 제2좌측고정시브(26)를 감아돌아서 제4이동시브(44)에 연결된 후 제2와이어(57)의 다른 한가닥(57b)에 연결되어 제2드럼(13)에 권선된다.
드럼모터(15)가 일방향(61)으로 회전을 하면 동력전달수단(20)에 의하여 제1드럼(11)은 타방향(65)으로 회전을 하고 제2드럼(13)은 제1드럼(11)과 동일한 속도로 일방향(63)으로 회전을 한다. 그러면 제1와이어(55) 및 제2와이어(57)는 제1드럼(11) 및 제2드럼(13)에서 풀려서 후크(37)는 아래로 하강을 한다. 제1와이어(55) 및 제2와이어(57)가 제1드럼(11) 및 제2드럼(13)에서 풀릴 경우 드럼(11, 13)에서 시브는 와이어(55, 57)의 위치는 드럼(11, 13)의 오른편에서 왼편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드럼(11, 13)의 회전과 함께 회전바(51)가 드럼동력전달수단(20)에 의하여 일방향(67)으로 회전을 하므로 이동시브(41, 42, 43, 44)가 회전바(51)를 따라 화살표 68의 방향으로 전진을 한다. 그러므로 이동시브(41, 42, 43, 44)가 와이어(55, 57)와 함께 이동을 하므로 와이어(55, 57)는 드럼(11, 13)에서 원활하게 풀릴 수 있다. 그리고 제1와이어(55a, 55b)의 장력에 의하여 시브고정부(46)에 작용하는 하중은 F1이며, 제2와이어(57a, 57b)의 장력에 의하여 시브고정부(46)에 작용하는 하중은 F2이다. 제1와이어(55a, 55b)에 의하여 작용하는 하중 F1과 제2와이어(57a, 57b)에 의하여 작용하는 하중 F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드럼(11, 13)을 양편으로 분리하고 이동시브(41, 42, 43, 44)를 대칭적으로 설치하여 각각의 와이어(55, 57)를 대칭적으로 연결하면 이동시브조립체(40)에 작용하는 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드럼모터(1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와이어(55) 및 제2와이어(57)는 제1드럼(11) 및 제2드럼(13)에 감기어 후크(37)는 상승을 한다.
또한 대차모터(35)를 구동시키면 이동대차(30)를 프레임(1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대차(30)가 프레임(10)을 따라 이동하면 후크(37)가 프레임(10)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므로 제1드럼(11) 및 제2드럼(13)을 회전시켜서 후크(37)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대차(30)를 이동시켜서 후크(37)를 크레인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드럼(11, 13)과 드럼모터(15)와, 드럼동력전달수단(20)과, 우측고정시브(21, 23)와, 좌측고정시브(25, 26)와, 이동대차(30)와, 대차모터(35)와, 대차시브(31, 33)와, 후크(37)와, 이동시브조립체(40)와, 와이어(55, 57)는 프레임(10)의 좌우에 대칭적으로 설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리앗 크레인용 트롤리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롤리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롤리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이동시브조립체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시브조립체의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드럼과 드럼동력전달수단의 평면도,
도 7은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제1개념도,
도 8은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제2개념도,
도 9는 2개의 트롤리를 구비한 골리앗 크레인의 개념도,
도 10은 종래의 트롤리의 개념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프레임 11 : 제1드럼
13 : 제2드럼 15 : 드럼모터
20 : 드럼동력전달수단 21 : 제1우측고정시브
23 : 제2우측고정시브 25 : 제1좌측고정시브
26 : 제2좌측고정시브 30 : 이동대차
31 : 제1대차시브 33 : 제2대차시브
35 : 대차모터 37 : 후크
40 : 이동시브조립체 41 : 제1이동시브
42 : 제2이동시브 43 : 제3이동시브
44 : 제4이동시브 46 : 시브고정부
50 : 시브이동부 51 : 회전바
53 : 회전바체결부 55 : 제1와이어
57 : 제2와이어

Claims (4)

  1. 프레임과,
    크레인 상에서 트롤리가 주행하는 트롤리의 주행방향인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제1드럼 및 제2드럼과,
    상기 한 쌍의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모터와,
    상기 드럼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한 쌍의 드럼을 동일한 속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한 쌍의 드럼의 우측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제1우측고정시브 및 제2우측고정시브와,
    상기 한 쌍의 드럼의 좌측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제1좌측고정시브 및 제2좌측고정시브와,
    상기 한 쌍의 좌측고정시브와 상기 한 쌍의 우측고정시브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를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모터와,
    상기 이동대차에 설치된 한 쌍의 제1대차시브 및 제2대차시브와,
    후크와,
    제1이동시브와 제2이동시브와 제3이동시브와 제4이동시브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드럼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드럼의 회전속도에 연동하여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시브조립체와,
    상기 제1드럼에 권선되어 상기 제1이동시브와, 상기 제1우측고정시브와, 상기 제1대차시브와, 상기 후크와, 상기 제1대차시브와, 상기 제1좌측고정시브와, 제2이동시브의 순으로 연결된 제1와이어와,
    상기 제2드럼에 권선되어 상기 제3이동시브와, 상기 제2우측고정시브와, 상기 제2대차시브와, 상기 후크와, 상기 제2대차시브와, 상기 제2좌측고정시브와, 제4이동시브의 순으로 연결된 제2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상기 이동시브조립체에 작용하는 장력이 서로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트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브조립체는 상기 제1이동시브와, 상기 제2이동시브와, 상기 제3이동시브와, 상기 제4이동시브가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시브고정부와,
    상기 드럼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받아서 상기 시브고정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시브이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트롤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이동부는 상기 드럼동력전달수단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바와,
    일측은 상기 시브고정부에 결합하고, 상기 회전바의 회전시 상기 시브고정부를 상기 회전바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바와 나사결합한 회전바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트롤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시브와 상기 제2이동시브가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상기 제3이동시브와 상기 제4이동시브와 대칭하도록 상기 시브고정부에 결합하며,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제1이동시브 및 상기 제2이동시브에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이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제3이동시브 및 상기 제4이동시브에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제1이동시브 및 상기 제2이동시브에 연결되고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제3이동시브 및 상기 제4이동시브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트롤리.
KR1020090007087A 2009-01-29 2009-01-29 크레인용 트롤리 KR101064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087A KR101064000B1 (ko) 2009-01-29 2009-01-29 크레인용 트롤리
CN2010100001364A CN101830396B (zh) 2009-01-29 2010-01-05 起重机用吊运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087A KR101064000B1 (ko) 2009-01-29 2009-01-29 크레인용 트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987A KR20100087987A (ko) 2010-08-06
KR101064000B1 true KR101064000B1 (ko) 2011-09-08

Family

ID=4271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087A KR101064000B1 (ko) 2009-01-29 2009-01-29 크레인용 트롤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4000B1 (ko)
CN (1) CN1018303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625B1 (ko) * 2013-01-25 2014-10-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469A (ja) 2002-11-15 2004-06-10 Kawasaki Heavy Ind Ltd クレーン
KR100649728B1 (ko) 2006-02-10 2006-11-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의 안티 스웨이 장치
JP2007045560A (ja) 2005-08-09 2007-02-22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ープトロリ式クレー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700426A1 (ru) * 1978-06-29 1979-11-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255 Кранова тележка
CN1066124C (zh) * 1998-09-23 2001-05-23 太原重型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起重机的单小车
CN1785782A (zh) * 2005-11-29 2006-06-14 太原重型机械集团有限公司 门式起重机起升机构
CN201250071Y (zh) * 2008-08-26 2009-06-03 大连华锐股份有限公司 焦罐搬运起重机的起升机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469A (ja) 2002-11-15 2004-06-10 Kawasaki Heavy Ind Ltd クレーン
JP2007045560A (ja) 2005-08-09 2007-02-22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ープトロリ式クレーン装置
KR100649728B1 (ko) 2006-02-10 2006-11-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의 안티 스웨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30396B (zh) 2013-01-16
CN101830396A (zh) 2010-09-15
KR20100087987A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8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operations on a wind turbine
US9016486B2 (en) Traveling crane having traveler and hoisting winch
RU2017134128A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3500917A5 (ko)
KR100831070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WO2014103271A1 (ja) 荷役装置
KR20200044830A (ko) 고 절감 벨트-구동식 선형 액추에이터
KR101455296B1 (ko) 풀인 윈치 시스템
US20180346295A1 (en) Rope hoist
KR101064000B1 (ko) 크레인용 트롤리
JP3190794U (ja) ホイスト
JP2011057429A (ja) 天井クレーン
KR101657353B1 (ko) 천정 크레인
KR101682482B1 (ko) 크레인용 권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롤리시스템
EP2481701A1 (de) Hubwerk für Containerkran und Containerkran
CN108083085B (zh) 一种吊具上架、起升机构及起重机
CN109071184B (zh) 起重机吊运车
JP4975300B2 (ja) 複数のクレーンを用いた吊り上げ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吊り上げ用治具
KR101312517B1 (ko)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JP6223888B2 (ja) 橋形クレーン
CN102838038B (zh) 一种起重机小车及起重机
KR200460365Y1 (ko) 건설중장비용 시브
CN105480860A (zh) 双梁起重机及其起升台车
KR102079907B1 (ko)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JP2001341974A (ja) コンテナ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