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070B1 -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070B1
KR100831070B1 KR1020070045144A KR20070045144A KR100831070B1 KR 100831070 B1 KR100831070 B1 KR 100831070B1 KR 1020070045144 A KR1020070045144 A KR 1020070045144A KR 20070045144 A KR20070045144 A KR 20070045144A KR 100831070 B1 KR100831070 B1 KR 10083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ist
bracket
wire rop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래
Original Assignee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고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5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070B1/ko
Priority to US12/444,633 priority patent/US8453855B2/en
Priority to PCT/KR2008/000450 priority patent/WO2008140174A1/en
Priority to CN2008800008133A priority patent/CN10154785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66C13/085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6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having several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와이어드럼 및 제2와이어드럼이 설치되는 한쌍의 설치브라켓들과, 상기 제1와이어드럼 및 제2와이어드럼 사이에 위치되는 제1보조브라켓들 및 제2보조브라켓들로 이루어진 호이스트프레임; 상기 제1보조브라켓 및 제2보조브라켓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제1와이어로프안내수단; 상기 제1보조브라켓 및 제2보조브라켓의 타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제2와이어로프안내수단; 상기 제1와이어로프안내수단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훅부; 상기 제2와이어로프안내수단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훅부; 상기 제1훅부 및 제2훅부에 연결되는 턴오버지그;가 더 구비된다.
그러므로, 턴오버지그에 전면의 폭이 좁은 중량물이 지지되어도 제1턴오버와이어 및 제2턴오버와이어가 중량물의 양측에 밀착되므로 중량물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제1와이어로프 및 제2와이어로프 사이의 각도가 가감되면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 사이의 각도도 이에 따라 가감되므로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을 지나는 제1와이어로프 및 제2와이어로프의 꺽임 현상이 방지되며, 수직턴 작업, 수평회전 작업, 이송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호이스트프레임, 제1로프안내수단, 제2로프안내수단, 턴오버지그

Description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Turning device for hoist}
도 1은 종래 터닝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및 그 평면도
도 3은 종래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의 문제점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호이스트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0 및 도 11은 호이스트프레임에 제1상부시브부 및 제2상부시브부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제1훅부 및 제2훅부를 보인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제1훅부 및 제2훅부에 제1훅 및 제2훅이 각각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제1훅부 및 제2훅부에 하나의 훅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5는 턴오버지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16은 턴오버지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17은 턴오버지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호이스트프레임 41 : 설치브라켓
42 : 지지브라켓 43 : 제1보조브라켓
44 : 제1핀홈 45 : 제2보조브라켓
46 : 제2핀홈 51 : 제1와이어드럼
52 : 제1와이어로프 53 : 제2와이어드럼
54 : 제2와이어로프 60 : 제1드럼구동부
61 : 제1권상모터 62 : 제1감속기
63 : 제1브레이크 70 : 제2드럼구동부
71 : 제2권상모터 72 : 제2감속기
73 : 제2브레이크 80 : 제1로프엔딩부
81 : 제1고정편 82 : 제1결합편
83 : 제1체결핀 84 : 제1힌지핀
90 : 제2로프엔딩부 91 : 제2고정편
92 : 제2결합편 93 : 제2체결핀
94 : 제2힌지핀 100 : 제1상부시브부
101 : 제1상부시브 102 : 제1상부시브브라켓
103 : 제1힌지핀 110 : 제2상부시브부
111 : 제2상부시브 112 : 제2상부시브브라켓
113 : 제2힌지핀 120 : 제1횡행구동부
121 : 제1횡행휠 122 : 제1횡행모터
130 : 제2횡행구동부 131 : 제2횡행휠
132 : 제2횡행모터 140 : 제1훅부
141 : 제1하부시브 142 : 제1하부시브브라켓
143 : 제1설치홈 144 : 제1체결편
150 : 제2훅부 151 : 제2하부시브
152 : 제2하부시브브라켓 153 : 제2설치홈
154 : 제2체결편 161 : 제1훅
162 : 제1훅핀 163 : 제2훅
164 : 제2훅핀 165 : 훅
166 : 훅핀 170,210,220,230 : 턴오버지그
180 : 제1턴오버지그 181,211,221,231 : 제1간격유지바
182,212 : 제1연결와이어 183,223,236 : 제1턴오버와이어
190 : 제2턴오버지그 191,213,224,237 : 제2간격유지바
192,214 : 제2연결와이어 193,226,242 : 제2턴오버와이어
200 : 연결편 215 : 턴오버와이어
222,225,233,235,239,241 : 간격조절구멍
232,238 : 제1단위바 234,240 : 제2단위바
243 : 체결핀
본 발명은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폭이 좁은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터닝시킬 수 있고, 로프엔딩부 또는 상부시브부가 호이스트프레임에 간편하게 설치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는 중량의 화물을 들어 옮기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호이스트는 원동기, 기어감속장치, 브레이크 등을 한조로 하고, 화물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권상용(倦上用)로프 끝에 훅(hook)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호이스트는 손도르레로 구동되는 수동(手動) 호이스트, 전동기를 사용한 전기 호이스트 등이 있으며 크레인의 레일에 설치되어서 이를 따라 이송된다.
한편, 상술한 호이스트는 중량물을 상하로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므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들어올린 중량물을 터닝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터닝장치가 필요하였다.
도 1은, 호이스트에 연결되어서 인양된 중량물을 터닝시키기 위한 호이스트 용 터닝장치(실용신안등록 제20-341231호)를 보인 사시도로써, 이 터닝장치(1)는, 모터(2)와, 이 모터(2)에 연결되는 감속기(3)와, 감속기(3)에 연결되는 브레이크(4)와, 감속기(3)에 연결되는 마찰풀리(5)와, 일측이 마찰풀리(5)에 감겨지고 타측이 중량물에 감겨져서 마찰풀리(5)의 회전시 중량물을 터닝시키는 벨트(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터닝장치는 마찰풀리(5)가 회전되면 이에 접촉된 벨트가 연동되면서 이에 연결된 중량물을 터닝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터닝장치(1)는 장기간 사용시 마찰풀리(5)와 벨트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었고, 이에 따라 인양된 중량물의 터닝시 마찰풀리(5)와 벨트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면서 제대로 터닝되지 못하였으며, 모터(2)가 불필요하게 더 구동되므로 모터(2)의 손상 및 전력 낭비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호이스트용 터닝장치는 호이스트의 후크에 터닝장치(1)의 고정부(6)를 걸어서 매단 상태로 사용된다. 따라서 터닝장치(1)에 대형 중량물을 매달게 되면 호이스트에 무리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결국 호이스트의 손상이 초래될 뿐 아니라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 터닝장치의 다른 문제점은, 터닝작업시 호이스트의 후크에 터닝장치(1)를 설치해야 하고 터닝작업 후에 호이스트를 사용하려면 이로부터 터닝장치(1)를 분리해야 하므로, 그 작업공정이 번잡하였고, 작업시간이 지연되었다.
도 2 및 도 3은 상술한 도 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개발한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실용신안등록 제20-415071호)로써, 도 2a 및 도 2b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보인 측면도 및 그 평면도이고, 도 3은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러한 터닝장치(10)는 제1호이스트부(11) 및 제2호이스트부(21)와, 이 제1호이스트부(11) 및 제2호이스트부(21)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1)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제1호이스트부(11) 및 제2호이스트부(21)에는, 제1호이스트프레임(12) 및 제2호이스트프레임(22)이 구비된다. 이 제1호이스트프레임(12) 및 제2호이스트프레임(22)은 한쌍의 제1설치브라켓(13) 및 한쌍의 제2설치브라켓(23)과 이 제1설치브라켓(13)및 제2설치브라켓(23)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이들을 지지하는 제1지지브라켓(14) 및 제2지지브라켓(24)으로 이루어진다. 제1설치브라켓(13) 및 제2설치브라켓(23)의 대응 내측에는 제1와이어로프(16) 및 제2와이어로프(26)가 권취된 제1와이어드럼(15) 및 제2와이어드럼(25)이 설치되어 있다.
제1지지브라켓(14) 및 제2지지브라켓(24)의 하부에는 제1상부시브(17) 및 제2상부시브(27)가 고정되어 있으며, 제1와이어드럼(15) 및 제2와이어드럼(25)에 권취된 제1와이어로프(16) 및 제2와이어로프(26)가 이 제1상부시브(17) 및 제2상부시브(27)를 경유하여서 그 하측의 제1훅부(18) 및 제2훅부(28)에 연결되어 있다.
제1훅부(18) 및 제2훅부(28)는 제1와이어로프(16) 및 제2와이어로프(26)가 연결되는 제1하부시브(20) 및 제2하부시브(30)와, 제1하부시브(20) 및 제2하부시브(30)에 각각 설치되는 제1훅(19) 및 제2훅(29)으로 이루어진다. 이 제1훅(19) 및 제2훅(29)에는 중량물(36)을 터닝시키기 위한 별도의 와이어(35)가 연결된다.
연결수단(31)은, 제1설치브라켓(13) 및 제2설치브라켓(23)에 각각 설치되는 제1보조휠(32)들 및 제2보조휠(33)들과, 제1보조휠(32)들 및 제2보조휠(33)들에 연결되는 연결브라켓(34)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는, 도 1의 마찰풀리(5)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구성 부품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부품들 사이의 동력전달이 확실하다. 또한, 중량물(36)이 제1호이스트부(11)의 제1훅(19)과 제2호이스트부(21)의 제2훅(29)에 지지되며, 이에 따라 중량물 전체의 하중이 두 개의 호이스트부(11)(21)에 의해 양분되므로 터닝장치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이 좁은 중량물(36)을 터닝시킬 경우,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되었다. 즉, 종래의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는 제1훅부(18) 및 제2훅부(28)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넓어서 이에 와이어(35)를 걸어서 좁은 중량물(36)을 인양할 시 와이어(35)가 중량물(36)의 양측에 밀착되지 못한다.
여기서, 제1훅부(18) 및 제2훅부(28)의 간격이 좁혀지지 못하고 비교적 넓게 설치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제1호이스트부(11) 및 제2호이스트부(21)를 연결하기 위해 제1설치브라켓(13) 및 제2설치브라켓(23) 사이에 연결수단(31)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이 연결수단(31)에 의해 제1호이스트부(11) 및 제2호이스트부(21) 사이의 간격이 더 벌어지게 되므로 제1상부시브(17) 및 제2상부시브(27)의 간격이 더 벌어진다.
또한 제1상부시브(17) 및 제2상부시브(27)가 설치되는 제1지지브라켓(14) 및 제2지지브라켓(24)은 제1와이어드럼(15) 및 제2와이어드럼(25)의 대응 외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제1지지브라켓(14) 및 제2지지브라켓(24)에 설치되는 제1상부시브(17) 및 제2상부시브(27)의 간격은 그만큼 더 벌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는 그 구성상 제1상부시브(17) 및 제2상부시브(27)의 간격이 비교적 넓으며, 이에 따라 좁은 폭의 중량물(36)을 들어 올릴 경우, 도 3과 같이 와이어(35)가 중량물(36)의 양측에 밀착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35)가 중량물(36)의 양측에 밀착되지 못하고 중량물(36)의 양측과 와어어(35)가 들뜬 상태에서는 중량물(36)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고 약간의 흔들림에도 중량물(36)이 좌우로 심하게 흔들릴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터닝작업을 하게 되면 중량물(36)이 일측으로 쓰러지면서 그 무게중심의 이동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35)를 포함한 터닝장치(10)의 부품에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되므로 부품 손상이 발생되며, 중량물(36)이 낙하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폭이 좁은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터닝되도록 한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프엔딩부 또는 상부시브부가 호이스트프레임에 간 편하게 설치되도록 한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프엔딩부 또는 상부시브부가 호이스트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한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는, 제1와이어로프가 권취된 제1와이어드럼 및 제2와이어로프가 권취된 제2와이어드럼이 설치되는 한쌍의 설치브라켓들과, 상기 제1와이어드럼 및 제2와이어드럼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두 설치브라켓들에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들과, 상기 지지브라켓들에 고정되는 제1보조브라켓들 및 제2보조브라켓들로 이루어진 호이스트프레임; 상기 설치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권상모터와, 상기 제1권상모터 및 제1와이어드럼에 연결된 제1감속기와, 상기 제1감속기에 연결된 제1브레이크로 이루어진 제1드럼구동부; 상기 설치브라켓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권상모터와, 상기 제2권상모터 및 제2와이어드럼에 연결된 제2감속기와, 상기 제2감속기에 연결된 제2브레이크로 이루어진 제2드럼구동부; 한쌍의 상기 설치브라켓들 중 하나의 상기 설치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횡행휠과, 상기 제1횡행휠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제1횡행모터로 이루어진 제1횡행구동부; 한쌍의 상기 설치브라켓들 중 다른 하나의 설치브라켓에 설치되는 제2횡행휠과, 상기 제2횡행휠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제2횡행모터로 이루어진 제2횡행구동부; 상기 한쌍의 지지브라켓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보조 브라켓 및 제2보조브라켓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제1와이어로프안내수단; 상기 한쌍의 지지브라켓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보조브라켓 및 제2보조브라켓의 타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제2와이어로프안내수단; 상기 제1와이어로프안내수단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제1훅부; 상기 제2와이어로프안내수단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제2훅부; 상단이 상기 제1훅부 및 제2훅부에 연결되고 하부에 상기 중량물이 지지되는 턴오버지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제1보조브라켓 및 제2보조브라켓은, 상단에 상측으로 개방되고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1핀홈들 및 제2핀홈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와이어로프안내수단 및 제2와이어로프안내수단은, 상기 제1와이어로프 및 제2와이어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편 및 제2고정편과, 하단이 상기 제1고정편 및 제2고정편에 제1체결핀 및 제2체결핀으로 결합되는 제1결합편 및 제2결합편과, 상기 제1결합편 및 제2결합편의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핀홈들 및 제2핀홈들에 안착되는 제1힌지핀 및 제2힌지핀으로 이루어진 제1로프엔딩부 및 제2로프엔딩부이다.
본 발명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와이어로프안내수단 및 제2와이어로프안내수단은, 상기 제1와이어로프 및 제2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제1상부시브 및 제2상부시브와, 상기 제1상부시브 및 제2상부시브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상부시브브라켓 및 제2상부시브브라켓과, 상기 제1상부시브브라켓 및 제2상부시브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핀홈들 및 제2핀홈들에 안착되는 제1힌지핀 및 제2힌지핀으로 이루어진 제1상부시브부 및 제2상부시브부이다.
본 발명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훅부 및 제2훅부는, 제1와이어로프 및 제2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제1하부시브 및 제2하부시브와, 상기 제1하부시브 및 제2하부시브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중앙 하부에 훅의 상단이 위치될 제1설치홈 및 제2설치홈이 형성된 제1하부시브브라켓 및 제2하부시브브라켓과, 상기 제1설치홈 및 제2설치홈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되고 양단이 상기 제1하부시브브라켓 및 제2하부시브브라켓에 각각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훅이 고정되는 제1체결편 및 제2체결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턴오버지그는, 제1훅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간격유지바와, 상기 제1훅부 및 및 제1간격유지바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와이어들과, 상기 제1간격유지바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중량물에 감겨지는 제1턴오버와이어로 이루어진 제1턴오버지그와; 제2훅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간격유지바와, 상기 제2훅부 및 제2간격유지바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연결와이어들과, 상기 제2간격유지바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중량물에 감겨지는 제2턴오버와이어로 이루어진 제2턴오버지그와; 상기 제1턴오버와이어 및 제2턴오버와이어에 연결되는 연결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턴오버지그는, 제1훅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간격유지바와, 상기 제1훅부 및 제1간격유지바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와이어들과, 제2훅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간격유지바와, 상기 제2훅부 및 및 제2간격유지바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연결와이어들과, 상기 제1간격유지바 및 제2간격유지바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중량물에 감겨지는 일체형 턴오버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간격유지바 및 제2간격유지바는, 제1턴오버와이어들, 제2턴오버와이어들, 또는 턴오버와이어들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다수의 간격조절구멍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간격유지바 및 제2간격유지바는, 다수의 간격조절구멍이 형성된 제1단위바와, 일단이 상기 제1단위바에 슬라이드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제1단위바에 삽입되는 부분에 상기 간격조절구멍들에 대향되도록 다른 간격조절구멍들이 형성된 제2단위바와, 상기 제1단위바 및 제2단위바의 간격조절구멍들에 체결되어서 길이조절된 상기 제1단위바 및 제2단위바를 고정하는 체결핀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와이어드럼 및 제2와이어드럼이 일체형 설치브라켓에 설치되고, 이 제1와이어드럼 및 제2와이어드럼 사이에 제1보조브라켓 및 제2보조브라켓이 위치되며, 이 제1보조브라켓 및 제2보조브라켓에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이 결합된다. 그러므로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이 최대한 가깝게 설치되므로 이를 경유하는 제1와이어로프 및 제2와이어로프, 그리고 제1와이어로프 및 제2와이어로프에 연결되는 제1훅부 및 제2훅부와, 이 제1훅부 및 제2훅부에 연 결되는 제1턴오버지그 및 제2턴오버지그가 최대한 가깝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턴오버지그에 전면의 폭이 좁은 중량물이 지지되어도 제1턴오버와이어 및 제2턴오버와이어가 중량물의 양측에 밀착되므로 중량물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턴오버시 중량물이 급격하게 기울어지거나 심하게 흔들리지 않는다.
또한, 제1로프안내수단의 제1힌지핀 및 제2로프안내수단의 제2힌지핀을 제1보조브라켓의 제1핀홈 및 제2보조브라켓의 제2핀홈에 안착시키면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이 호이스트프레임에 간단히 설치되며, 설치된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을 제1보조브라켓 및 제2보조브라켓으로부터 들어 올리면 간단히 분리된다. 그러므로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을 호이스트프레임에 설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므로 그 조립 및 보수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로프안내수단의 제1힌지핀 및 제2로프안내수단의 제2힌지핀이 제1보조브라켓의 제1핀홈 및 제2보조브라켓의 제2핀홈에 설치되면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이 제1핀홈 및 제2핀홈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된다. 따라서 제1와이어로프 및 제2와이어로프의 간격이 터닝되는 중량물의 폭에 따라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되면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도 가변되는 제1와이어로프 및 제2와이어로프의 간격에 맞게 제1핀홈 및 제2핀홈을 중심으로 적절히 회동된다. 그러므로 제1와이어로프 및 제2와이어로프 사이의 각도가 가감되면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 사이의 각도도 이에 따라 가감되므로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을 지나는 제1와이어로프 및 제2와이어로프 의 꺽임 현상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로프의 일부에 피로가 집중되면서 손상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턴오버지그는 중량물의 양측면 폭에 맞게 한쌍의 제1턴오버와이어의 간격과 한쌍의 제2턴오버와이어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량물의 양측면 폭이 넓거나 좁아도 본 발명의 턴오버지그에 의해 그 측면 네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제1훅부 및 제2훅부에는 제1훅 및 제2훅이나 하나의 대용량 훅이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고, 턴오버지그가 이들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중량물을 턴오버시킬 때에는 턴오버지그를 이용하고, 중량물을 수평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제1훅부 및 제2훅부에 설치된 하나의 대용량 훅을 이용하며, 중량물을 단순히 이송시킬 때에는 제1훅 및 제2훅 또는 하나의 대용량 훅을 이용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수직턴 작업, 수평회전 작업, 이송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호이스트프레임을 발췌한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는, 호이스트프레임(40), 제1 드럼구동부(60) 및 제2드럼구동부(70),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 제1횡행구동부(120) 및 제2횡행구동부(130), 제1훅부(140) 및 제2훅부(150), 턴오버지그(170)로 나누어진다.
호이스트프레임(40)은, 일체형 설치브라켓(41)과, 지지브라켓(42)과, 제1보조브라켓(43) 및 제2보조브라켓(45)들로 이루어진다. 설치브라켓(41)은 한쌍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이 한쌍의 설치브라켓(41)에 제1와이어로프(52)가 권취된 제1와이어드럼(51) 및 제2와이어로프(54)가 권취된 제2와이어드럼(53)이 설치된다.
지지브라켓(42)은, 제1와이어드럼(51) 및 제2와이어드럼(53) 사이에 구비되고 두 설치브라켓(41)들에 지지된다. 이러한 두 지지브라켓(42)들은 제1와이어드럼(51) 및 제2와이어드럼(53) 사이에 구비되므로 두 지지브라켓(42) 사이의 간격은 비교적 좁다.
제1보조브라켓(43) 및 제2보조브라켓(45)은, 한쌍의 지지브라켓(42)들 사이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보조브라켓(43) 및 제2보조브라켓(45)은, 지지브라켓(42)의 두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서 후술할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1보조브라켓(43) 및 제2보조브라켓(45)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1핀홈(44)들 및 제2핀홈(46)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핀홈(44) 및 제2핀홈(46)에는 제1로프안내수단의 제1힌지핀(84) 및 제2로프 안내수단의 제2힌지핀(94)이 안착된다.
제1핀홈(44) 및 제2핀홈(46)은 그 상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상부에 제1힌지핀(84) 및 제2힌지핀(94)을 위치시킨 후 하측방향으로 내리면 제1힌지핀(84) 및 제2힌지핀(94)이 제1핀홈(44) 및 제2핀홈(46)에 안착되고, 안착된 제1힌지핀(84) 및 제2힌지핀(94)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제1핀홈(44) 및 제2핀홈(46)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호이스트프레임(40)은, 일체형 설치브라켓(41)과, 제1와이어드럼(51) 및 제2와이어드럼(53) 사이에 비교적 좁은 폭을 갖도록 설치된 한쌍의 지지브라켓(42)들과, 이 지지브라켓(42)들에 설치된 제1보조브라켓(43) 및 제2보조브라켓(45)들에 의해, 이 제1보조브라켓(43) 및 제2보조브라켓(45)에 설치되는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이 최대한 가깝게 설치된다.
제1드럼구동부(60)는, 설치브라켓(4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권상모터(61)와, 제1권상모터(61) 및 제1와이어드럼(51)에 연결된 제1감속기(62)와, 제1감속기(62)에 연결된 제1브레이크(6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드럼구동부(60)는 제1권상모터(61)가 구동되면 그 회전동력이 제1감속기(62)를 통해 제1와이어드럼(51)에 전달되며, 제1와이어드럼(51)이 회전되면서 이에 권취된 제1와이어로프(52)가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제2드럼구동부(70)는, 설치브라켓(41)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권상모터(71)와, 제2권상모터(71) 및 제2와이어드럼(53)에 연결된 제2감속기(72)와, 제2감속 기(72)에 연결된 제2브레이크(7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드럼구동부(70)는 제2권상모터(71)가 구동되면 그 회전동력이 제2감속기(72)를 통해 제2와이어드럼(53)에 전달되며, 제2와이어드럼(53)이 회전되면서 이에 권취된 제2와이어로프(54)가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제1횡행구동부(120)는, 한쌍의 설치브라켓(41)들 중 하나의 설치브라켓(41)에 설치되는 제1횡행휠(121)과, 제1횡행휠(121)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제1횡행모터(1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횡행구동부(120)는 제1횡행모터(122)가 구동되면 그 회전동력이 제1횡행휠(121)에 전달되며, 이 제1횡행휠(121)이 회전되면서 본 발명의 터닝장치를 크레인의 레일을 따라 이송시키게 된다.
제2횡행구동부(130)는, 한쌍의 설치브라켓(41)들 중 다른 하나의 설치브라켓(41)에 설치되는 제2횡행휠(131)과, 제2횡행휠(131)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제2횡행모터(13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횡행구동부(130)는 제1횡행모터(122)와 함께 제2횡행모터(132)가 구동되면 그 회전동력이 제2횡행휠(131)에 전달되며, 이 제2횡행휠(131)이 제1횡행휠(121)과 함께 회전되면서 본 발명의 터닝장치를 크레인의 레일을 따라 이송시키게 된다.
제1와이어로프안내수단은, 한쌍의 지지브라켓(42)들 사이에 위치되고 제1보조브라켓(43)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며 제1와이어로프(52)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로프엔딩부(8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로프엔딩부(80)는, 제1와이어로프(52) 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편(81)과, 하단이 제1고정편(81)에 제1체결핀(83)으로 결합되는 제1결합편(82)과, 제1결합편(82)의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1핀홈(44)들에 안착되는 제1힌지핀(84)으로 이루어진다.
제2와이어로프안내수단은, 한쌍의 지지브라켓(42)들 사이에 위치되고 제2보조브라켓(45)의 타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며 제2와이어로프(54)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2로프엔딩부(9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로프엔딩부(90)는, 제2와이어로프(54)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편(91)과, 하단이 제2고정편(91)에 제2체결핀(93)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편(92)과, 제2결합편(92)의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2핀홈(46)들에 안착되는 제2힌지핀(9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로프엔딩부(80) 및 제2로프엔딩부(90)는 호이스트프레임(40)에 간편하게 설치되거나 분리된다. 즉, 제1로프엔딩부의 제1힌지핀(84) 및 제2로프엔딩부(90)의 제2힌지핀(94)을 제1보조브라켓(43)의 제1핀홈(44) 및 제2보조브라켓(45)의 제2핀홈(46)에 안착시키면 제1로프엔딩부(80) 및 제2로프엔딩부(90)가 호이스트프레임(40)에 간단히 설치된다. 또한, 설치된 제1로프엔딩부(80) 및 제2로프엔딩부(90)를 제1보조브라켓(43) 및 제2보조브라켓(45)으로부터 들어 올리면 간단히 분리된다. 그러므로 제1로프엔딩부(80) 및 제2로프엔딩부(90)를 호이스트프레임(40)에 설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므로 그 조립 및 보수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로프엔딩부(80) 및 제2로프엔딩부(90)는 제1힌지핀(84) 및 제2힌지핀(94)이 제1보조브라켓(43)의 제1핀홈(44) 및 제2보조브라켓(45)의 제2핀홈(46)에 설치되면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이 제1핀홈(44) 및 제2핀홈(46)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된다. 그러므로 제1와이어로프(52) 및 제2와이어로프(54)의 간격이 터닝되는 중량물(H)의 폭에 따라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되면 제1로프엔딩부(80) 및 제2로프엔딩부(90)도 가변되는 제1와이어로프(52) 및 제2와이어로프(54)의 간격에 맞게 제1핀홈(44) 및 제2핀홈(46)을 중심으로 적절히 회동된다.
한편, 제1와이어로프안내수단 및 제2와이어로프안내수단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상부시브부(100) 및 제2상부시브부(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상부시브부(100)는, 제1와이어로프(52)가 경유하는 제1상부시브(101)와, 제1상부시브(10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상부시브브라켓(102)과, 제1상부시브브라켓(10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1핀홈(44)들에 안착되는 제1힌지핀(103)으로 이루어진다.
제2상부시브부(110)는, 제2와이어로프(54)가 경유하는 제2상부시브(111)와, 제2상부시브(1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2상부시브브라켓(112)과, 제2상부시브브라켓(11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2핀홈(46)들에 안착되는 제2힌지핀(11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상부시브부(100) 및 제2상부시브부(110)도 제1로프엔딩부(80) 및 제2로프엔딩부(90)와 마찬가지로 호이스트프레임(40)에 간편하게 설치되거나 분리되는 바, 제1상부시브부(100)의 제1힌지핀(103) 및 제2상부시브부(110)의 제2힌지 핀(113)을 제1보조브라켓(43)의 제1핀홈(44) 및 제2보조브라켓(45)의 제2핀홈(46)에 안착시키면 제1상부시브부(100) 및 제2상부시브부(110)가 호이스트프레임(40)에 간단히 설치되며, 그 반대로 하면 간단히 분리된다.
그리고, 제1상부시브부(100) 및 제2상부시브부(110)도 제1로프엔딩부(80) 및 제2로프엔딩부(90)와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므로 제1와이어로프(52) 및 제2와이어로프(54)의 간격이 터닝되는 중량물(H)의 폭에 따라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되면 제1상부시브부(100) 및 제2상부시브부(110)도 가변되는 제1와이어로프(52) 및 제2와이어로프(54)의 간격에 맞게 제1핀홈(44) 및 제2핀홈(46)을 중심으로 적절히 회동된다.
제1훅부(140)는, 제1와이어로프안내수단인 제1로프엔딩부(80)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1와이어로프(52)가 경유한다. 이러한 제1훅부(140)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와이어로프(52)가 경유하는 제1하부시브(141)와, 제1하부시브(14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중앙 하부에 훅의 상단이 위치될 제1설치홈(143)이 형성된 제1하부시브브라켓(142)과, 제1설치홈(143)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되고 양단이 제1하부시브브라켓(142)에 각각 고정되며 중앙에 훅이 고정되는 제1체결편(144)으로 이루어진다.
제2훅부(150)는, 제2와이어로프안내수단인 제2로프엔딩부(90)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2와이어로프(54)가 경유한다. 이러한 제2훅부(150)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와이어로프(54)가 경유하는 제2하부시브(151)와, 제2하부시 브(15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중앙 하부에 훅의 상단이 위치될 제2설치홈(153)이 형성된 제2하부시브브라켓(152)과, 제2설치홈(153)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되고 양단이 제2하부시브브라켓(152)에 각각 고정되며 중앙에 훅이 고정되는 제2체결편(15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훅부(140) 및 제2훅부(150)에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훅(161) 및 제2훅(163)이 각각 설치될 수 있는 바, 먼저, 제1하부시브브라켓(142) 및 제2하부시브브라켓(152)의 대응 외측면에 제1설치홈(143) 및 제2설치홈(153)을 가로지르도록 제1체결편(144) 및 제2체결편(154)을 각각 고정한다. 다음, 제1설치홈(143) 및 제2설치홈(153) 내에 제1훅(161) 및 제2훅(163)의 상단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1체결편(144) 및 제1훅(161), 제2체결편(154) 및 제2훅(163)에 제1훅핀(162) 및 제2훅핀(164)을 각각 체결시킨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1훅(161) 및 제2훅(163)은 중량물의 두 부분에 연결되어서 중량물을 이송시키는데 주로 사용된다.
한편 제1훅부(140) 및 제2훅부(150)에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용량인 하나의 훅(165)만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제1하부시브브라켓(142) 및 제2하부시브브라켓(152)의 대응 내측면에 제1설치홈(143) 및 제2설치홈(153)을 가로지르도록 제1체결편(144) 및 제2체결편(154)을 각각 고정한다. 다음, 제1설치홈(143) 및 제2설치홈(153) 내에 대용량인 하나의 훅(165)의 상단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1체결편(144), 훅(165), 제2체결편(154)에 훅핀(166)을 체결시킨다.
이와 같이 설치된 대용량 훅(165)은 중량물(H)의 중앙 상부에 1점 지지되므로 중량물(H)을 이송시킬 때와, 중량물(H)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주로 사용된다.
턴오버지그(170)는, 상단이 제1훅부(140) 및 제2훅부(150)에 연결되고 하부에 중량물(H)이 지지된다. 이러한 턴오버지그(170)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턴오버지그(180), 제2턴오버지그(190), 연결편(200)으로 이루어진다.
제1턴오버지그(180)는, 제1훅부(14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간격유지바(181)와, 제1훅부(140) 및 및 제1간격유지바(18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와이어(182)들과, 제1간격유지바(18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중량물(H)에 감겨지는 제1턴오버와이어(183)로 이루어진다. 제2턴오버지그(190)는, 제2훅부(15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간격유지바(191)와, 제2훅부(150) 및 제2간격유지바(19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연결와이어(192)들과, 제2간격유지바(19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중량물(H)에 감겨지는 제2턴오버와이어(193)로 이루어진다. 연결편(200)은, 제1턴오버와이어(183) 및 제2턴오버와이어(193)에 연결된다.
이러한 턴오버지그(170)는, 제1턴오버지그(180)의 제1턴오버와이어(183)들이 중량물(H)의 일측면 양측에 각각 지지되고, 제2턴오버지그(190)의 제2턴오버와이어(193)들이 중량물의 타측면 양측에 각각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1턴오버와이어(183)들 및 제2턴오버와이어(193)들에 의해 중량물(H)의 양측면 네 부분이 지지되므로 중량물(H)이 턴오버지그(170)에 비교적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제1훅부(140) 및 제2훅부(150)에 제1턴오버지그(180) 및 제2턴오버지그(190)를 각각 설치한다. 즉, 제1하부시브브라켓(142)의 하부 양측에 제1턴오버지그(180)의 제1연결와이어(182)를 고정하고, 제2하부시브브라켓(152)의 하부 양측에 제2턴오버지그(190)의 제2연결와이어(192)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제1턴오버지그(180) 및 제2턴오버지그(190)가 제1훅부(140) 및 제2훅부(150)에 연결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오버지그(170)를 중량물(H)의 둘레에 설치한다. 즉, 제1턴오버지그(180)의 제1턴오버와이어(183)를 중량물(H)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제2턴오버지그(190)의 제2턴오버와이어(193)를 중량물(H)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제1턴오버와이어(183)의 단부와 제2턴오버와이어(193)의 단부를 연결편(200)으로 체결한다.
중량물(H)이 턴오버지그(170)에 체결되면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미도시)를 조작하여서 공작물을 수직으로 턴오버시키거나 정해진 장소로 이송시킨다.
먼저, 컨트롤러에 의해 제1드럼구동부(60) 또는 제2드럼구동부(70)가 작동되면 제1와이어로프(52) 또는 제2와이어로프(54)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제1훅부(140) 또는 제2훅부(150)가 승강되고 이에 따라 제1턴오버지그(180) 또는 제2턴오버지그(190)가 이와 함께 승강되면서 도 9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물(H)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턴오버된다.
제1드럼구동부(60) 또는 제2드럼구동부(70)가 작동되어서 중량물(H)이 원하는 위치로 턴오버되면 제1횡행구동부(120) 및 제2횡행구동부(130)를 작동시켜서 중량물(H)을 포함한 터닝장치 전체를 레일을 따라 이송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의 터닝장치에는 좁은 폭을 갖는 중량물도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바,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제1와이어드럼(51) 및 제2와이어드럼(53)이 일체형 설치브라켓(41)에 설치되고, 이 제1와이어드럼(51) 및 제2와이어드럼(53) 사이에 제1보조브라켓(43) 및 제2보조브라켓(45)이 위치되며, 이 제1보조브라켓(43) 및 제2보조브라켓(45)에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이 결합된다. 따라서,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이 최대한 가깝게 설치되므로 이를 경유하는 제1와이어로프(52) 및 제2와이어로프(54), 그리고 제1와이어로프(52) 및 제2와이어로프(54)에 연결되는 제1훅부(140) 및 제2훅부(150)와, 이 제1훅부(140) 및 제2훅부(150)에 연결되는 제1턴오버지그(180) 및 제2턴오버지그(190)가 최대한 가깝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도 9와 같이 턴오버지그(170)에 전면의 폭이 좁은 중량물(H)이 지지되어도 제1턴오버와이어(183) 및 제2턴오버와이어(193)가 중량물(H)의 양측에 밀착되므로 중량물(H)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턴오버시 중량물(H)이 급격하게 기울어지거나 심하게 흔들리지 않는다.
둘째,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이 호이스트프레임(40)에 간단하게 설치되고 분리된다. 제1로프안내수단의 제1힌지핀(84)(103) 및 제2로프안내수단의 제2힌지핀(94)(113)을 제1보조브라켓(43)의 제1핀홈(44) 및 제2보조브라켓(45)의 제2핀홈(46)에 안착시키면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이 호이스트프레임(40)에 간단히 설치되며, 설치된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을 제1보조브라켓(43) 및 제2보조브라켓(45)으로부터 들어 올리면 간단히 분리된다. 그러므로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을 호이스트프레임(40)에 설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므로 그 조립 및 보수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은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호이스트프레임(40)에 설치된다. 제1로프안내수단의 제1힌지핀(84)(103) 및 제2로프안내수단의 제2힌지핀(94)(113)이 제1보조브라켓(43)의 제1핀홈(44) 및 제2보조브라켓(45)의 제2핀홈(46)에 설치되면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이 제1핀홈(44) 및 제2핀홈(46)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된다. 따라서 제1와이어로프(52) 및 제2와이어로프(54)의 간격이 터닝되는 중량물(H)의 폭에 따라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되면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도 가변되는 제1와이어로프(52) 및 제2와이어로프(54)의 간격에 맞게 제1핀홈(44) 및 제2핀홈(46)을 중심으로 적절히 회동된다. 그러므로 제1와이어로프(52) 및 제2와이어로프(54) 사이의 각도가 가감되면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 사이의 각 도도 이에 따라 가감되므로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을 지나는 제1와이어로프(52) 및 제2와이어로프(54)의 꺽임 현상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로프의 일부에 피로가 집중되면서 손상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넷째, 본 발명의 제1훅부(140) 및 제2훅부(150)에는 제1훅(161) 및 제2훅(163)이나 하나의 대용량 훅(165)이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고, 턴오버지그(170)가 이들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중량물(H)을 턴오버시킬 때에는 턴오버지그(170)를 이용하고, 중량물(H)을 수평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제1훅부(140) 및 제2훅부(150)에 설치된 하나의 대용량 훅(165)을 이용하며, 중량물(H)을 단순히 이송시킬 때에는 제1훅(161) 및 제2훅(163) 또는 하나의 대용량 훅(165)을 이용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수직턴 작업, 수평회전 작업, 이송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턴오버지그(2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로써, 이는, 제1훅부(14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간격유지바(211)와, 제1훅부(140) 및 제1간격유지바(21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와이어(212)들과, 제2훅부(15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간격유지바(213)와, 제2훅부(150) 및 및 제2간격유지바(213)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연결와이어(214)들과, 제1간격유지바(211) 및 제2간격유지바(213)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중량물(H)에 감겨지는 일체형 턴오버와이어(21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턴오버지그(210)는, 턴오버와이어(215)가 일체로 구비된 점만 다르며, 나머지 구성 및 효과는 도 4 내지 도 9의 턴오버지그(170)와 동일하다.
도 16은 턴오버지그(2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로써, 이 턴오버지그(220)의 제1간격유지바(221) 및 제2간격유지바(224)에는, 제1턴오버와이어(223)들, 제2턴오버와이어(226)들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다수의 간격조절구멍(222)(225)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량물(H)의 양측면 폭이 비교적 넓으면 한쌍의 제1턴오버와이어(223) 상단들의 간격과 한쌍의 제2턴오버와이어(226) 상단들의 간격을 충분히 벌린 후 이에 대응되는 간격조절구멍(222)(225)들에 넓혀진 상단들을 고정하고, 중량물(H)의 양측면 폭이 비교적 좁으면 한쌍의 제1턴오버와이어(223) 상단들의 간격과 한쌍의 제2턴오버와이어(226) 상단들의 간격을 적절히 좁힌 후 이에 대응되는 간격조절구멍(222)(225)들에 좁혀진 상단들을 고정한다.
이러한 턴오버지그(220)는, 중량물(H)의 양측면 폭에 맞게 한쌍의 제1턴오버와이어(223)의 간격과 한쌍의 제2턴오버와이어(226)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량물(H)의 양측면 폭이 넓거나 좁아도 본 발명의 턴오버지그(220)에 의해 그 측면 네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도 17은 턴오버지그(23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로써, 이 턴오버지그(230)의 제1간격유지바(231)는, 다수의 간격조절구멍(233)이 형성된 제1 단위바(232)와, 일단이 제1단위바(232)에 슬라이드되도록 삽입되고 제1단위바(232)에 삽입되는 부분에 간격조절구멍(233)들에 대향되도록 다른 간격조절구멍(235)들이 형성된 제2단위바(234)와, 제1단위바(232) 및 제2단위바(234)의 간격조절구멍(233)(235)들에 체결되어서 길이조절된 제1단위바(232) 및 제2단위바(234)를 고정하는 체결핀(243)으로 이루어진다.
턴오버지그(230)의 제2간격유지바(237)는 제1간격유지바(23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이는, 다수의 간격조절구멍(239)이 형성된 제1단위바(238)와, 일단이 제1단위바(238)에 슬라이드되도록 삽입되고 제1단위바(238)에 삽입되는 부분에 간격조절구멍(239)들에 대향되도록 다른 간격조절구멍(241)들이 형성된 제2단위바(240)와, 제1단위바(238) 및 제2단위바(240)의 간격조절구멍(239)(241)들에 체결되어서 길이조절된 제1단위바(238) 및 제2단위바(240)를 고정하는 체결핀(24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턴오버지그(230)는, 제1턴오버와이어(236)들의 간격과 제2턴오버와이어(242)들의 간격이 중량물의 양측면 폭에 맞도록 제2단위바(234)(240)의 일단을 제1단위바(232)(238)에 삽입시키거나 인출시켜서 제1간격유지바(231) 및 제2간격유지바(237)의 전체 길이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턴오버지그(230)는 제1간격유지바(231) 및 제2간격유지바(237)의 전체 길이를 조절한 후 대향된 간격조절구멍(233)(235)(239)(241)들에 체결핀(243)을 결합시킨다. 그러므로 중량물의 양측면 폭에 맞게 제1간격유지바(231) 및 제2간격유지바(237)의 전체 길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량물이 턴오 버지그(230)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턴오버지그에 전면의 폭이 좁은 중량물이 지지되어도 제1턴오버와이어 및 제2턴오버와이어가 중량물의 양측에 밀착되므로 중량물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제1와이어로프 및 제2와이어로프 사이의 각도가 가감되면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 사이의 각도도 이에 따라 가감되므로 제1로프안내수단 및 제2로프안내수단을 지나는 제1와이어로프 및 제2와이어로프의 꺽임 현상이 방지되며, 중량물의 양측면 폭이 넓거나 좁아도 본 발명의 턴오버지그에 의해 그 측면 네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뿐 아니라, 수직턴 작업, 수평회전 작업, 이송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9)

  1. 제1와이어로프(52)가 권취된 제1와이어드럼(51) 및 제2와이어로프(54)가 권취된 제2와이어드럼(53)이 설치되는 한쌍의 설치브라켓(41)들과, 상기 제1와이어드럼(51) 및 제2와이어드럼(5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두 설치브라켓(41)들에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42)들과, 상기 지지브라켓(42)들에 고정되는 제1보조브라켓(43)들 및 제2보조브라켓(45)들로 이루어진 호이스트프레임(40);
    상기 설치브라켓(4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권상모터(61)와, 상기 제1권상모터(61) 및 제1와이어드럼(51)에 연결된 제1감속기(62)와, 상기 제1감속기(62)에 연결된 제1브레이크(63)로 이루어진 제1드럼구동부(60);
    상기 설치브라켓(41)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권상모터(71)와, 상기 제2권상모터(71) 및 제2와이어드럼(53)에 연결된 제2감속기(72)와, 상기 제2감속기(72)에 연결된 제2브레이크(73)로 이루어진 제2드럼구동부(70);
    한쌍의 상기 설치브라켓(41)들 중 하나의 상기 설치브라켓(41)에 설치되는 제1횡행휠(121)과, 상기 제1횡행휠(121)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제1횡행모터(122)로 이루어진 제1횡행구동부(120);
    한쌍의 상기 설치브라켓(41)들 중 다른 하나의 설치브라켓(41)에 설치되는 제2횡행휠(131)과, 상기 제2횡행휠(131)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제2횡행모터(132)로 이루어진 제2횡행구동부(130);
    상기 한쌍의 지지브라켓(42)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보조브라켓(43) 및 제2보조브라켓(45)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와이어로프(52)가 경유하는 제1와이어로프안내수단;
    상기 한쌍의 지지브라켓(42)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보조브라켓(43) 및 제2보조브라켓(45)의 타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와이어로프(54)가 경유하는 제2와이어로프안내수단;
    상기 제1와이어로프안내수단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로프(52)가 경유하는 제1훅부(140);
    상기 제2와이어로프안내수단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로프(54)가 경유하는 제2훅부(150);
    상단이 상기 제1훅부(140) 및 제2훅부(150)에 연결되고 하부에 상기 중량물(H)이 지지되는 턴오버지그(170)(210)(220)(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브라켓(43) 및 제2보조브라켓(45)은,
    상단에 상측으로 개방되고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1핀홈(44)들 및 제2핀홈(46)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로프안내수단 및 제2와이어로프안내수단은,
    상기 제1와이어로프(52) 및 제2와이어로프(54)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편(81) 및 제2고정편(91)과, 하단이 상기 제1고정편(81) 및 제2고정편(91)에 제1체 결핀(83) 및 제2체결핀(93)으로 결합되는 제1결합편(82) 및 제2결합편(92)과, 상기 제1결합편(82) 및 제2결합편(92)의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핀홈(44)들 및 제2핀홈(46)들에 안착되는 제1힌지핀(84) 및 제2힌지핀(94)으로 이루어진 제1로프엔딩부(80) 및 제2로프엔딩부(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로프안내수단 및 제2와이어로프안내수단은,
    상기 제1와이어로프(52) 및 제2와이어로프(54)가 경유하는 제1상부시브(101) 및 제2상부시브(111)와, 상기 제1상부시브(101) 및 제2상부시브(1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상부시브브라켓(102) 및 제2상부시브브라켓(112)과, 상기 제1상부시브브라켓(102) 및 제2상부시브브라켓(11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핀홈(44)들 및 제2핀홈(46)들에 안착되는 제1힌지핀(103) 및 제2힌지핀(113)으로 이루어진 제1상부시브부(100) 및 제2상부시브부(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훅부(140) 및 제2훅부(150)는,
    제1와이어로프(52) 및 제2와이어로프(54)가 경유하는 제1하부시브(141) 및 제2하부시브(151)와, 상기 제1하부시브(141) 및 제2하부시브(15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중앙 하부에 훅의 상단이 위치될 제1설치홈(143) 및 제2설치홈(153)이 형성된 제1하부시브브라켓(142) 및 제2하부시브브라켓(152)과, 상기 제1설치홈(143) 및 제2설치홈(153)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되고 양단이 상기 제1하부시브브라켓(142) 및 제2하부시브브라켓(152)에 각각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훅이 고정되는 제1체결편(144) 및 제2체결편(15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오버지그(170)는,
    제1훅부(14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간격유지바(181)와, 상기 제1훅부(140) 및 및 제1간격유지바(18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와이어(182)들과, 상기 제1간격유지바(18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중량물(H)에 감겨지는 제1턴오버와이어(183)로 이루어진 제1턴오버지그(180)와;
    제2훅부(15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간격유지바(191)와, 상기 제2훅부(150) 및 제2간격유지바(19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연결와이어(192)들과, 상기 제2간격유지바(19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중량물(H)에 감겨지는 제2턴오버와이어(193)로 이루어진 제2턴오버지그(190)와;
    상기 제1턴오버와이어(183) 및 제2턴오버와이어(193)에 연결되는 연결편(2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오버지그(210)는,
    제1훅부(14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간격유지바(211)와, 상기 제1훅부(140) 및 제1간격유지바(21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와이어(212)들과, 제2훅 부(15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간격유지바(213)와, 상기 제2훅부(150) 및 및 제2간격유지바(213)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연결와이어(214)들과, 상기 제1간격유지바(211) 및 제2간격유지바(213)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중량물(H)에 감겨지는 일체형 턴오버와이어(2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턴오버지그(220)의 제1간격유지바(221) 및 제2간격유지바(224)는,
    제1턴오버와이어(223)들, 제2턴오버와이어(224)들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다수의 간격조절구멍(222)(225)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턴오버지그(230)의 제1간격유지바(231) 및 제2간격유지바(237)는,
    다수의 간격조절구멍(233)(239)이 형성된 제1단위바(232)(238)와, 일단이 상기 제1단위바(232)(238)에 슬라이드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제1단위바(232)(238)에 삽입되는 부분에 상기 간격조절구멍(233)(239)들에 대향되도록 다른 간격조절구멍(235)(241)들이 형성된 제2단위바(234)(240)와, 상기 제1단위바(232)(238) 및 제2단위바(234)(240)의 간격조절구멍(235)(241)들에 체결되어서 길이조절된 상기 제1단위바(232)(238) 및 제2단위바(234)(240)를 고정하는 체결핀(24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KR1020070045144A 2007-05-09 2007-05-09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KR10083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144A KR100831070B1 (ko) 2007-05-09 2007-05-09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US12/444,633 US8453855B2 (en) 2007-05-09 2008-01-24 Turning device for hoist
PCT/KR2008/000450 WO2008140174A1 (en) 2007-05-09 2008-01-24 Turning device for hoist
CN2008800008133A CN101547854B (zh) 2007-05-09 2008-01-24 吊车的翻转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144A KR100831070B1 (ko) 2007-05-09 2007-05-09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070B1 true KR100831070B1 (ko) 2008-05-20

Family

ID=3966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144A KR100831070B1 (ko) 2007-05-09 2007-05-09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53855B2 (ko)
KR (1) KR100831070B1 (ko)
CN (1) CN101547854B (ko)
WO (1) WO20081401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9999A (zh) * 2017-06-01 2017-09-08 西安航空学院 一种桶装水运送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3784B (fi) * 2011-03-25 2013-10-31 Konecranes Oyj Järjestely kuormauselimen heilahduksen vaimentamiseksi nosturissa
US9572427B2 (en) * 2014-03-31 2017-02-21 LFK Engineering LLC Motorized home storage system
CN104743444B (zh) * 2015-03-10 2017-01-18 鞍钢重型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大型平板框架式工件的侧翻方法
CN107829061B (zh) * 2017-12-05 2023-09-26 洛阳奥博特智能装备有限公司 全自动小件热镀锌生产线用翻转机械手
CN108750988B (zh) * 2018-06-14 2019-12-10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多功能偏三轮卷扬机用导行车
CN109808756A (zh) * 2019-04-08 2019-05-28 江南大学 一种桶装水运输和装换的助力装置
CN112173917B (zh) * 2020-09-19 2022-04-05 浙江信宇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大跨度钢结构滑移装置及其施工方法
CN112551352A (zh) * 2020-12-21 2021-03-26 滕州市百兴机械有限公司 一种液压机液压缸吊挂装置
CN113636511A (zh) * 2021-08-18 2021-11-12 青岛中科坤泰装配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超长型混凝土预制构件翻转过程的环抱支撑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9894A (ja) * 1989-03-20 1990-10-05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ワイヤ制御によるアーム駆動機構
JPH06166492A (ja) * 1992-11-30 1994-06-14 Kone Oy ホイスト装置
JP2000289988A (ja) * 1999-04-07 2000-10-17 Nidec Tosok Corp ダブルリールアンコイラ
KR20050050212A (ko) * 2003-11-25 2005-05-31 반도종공 주식회사 호이스트용 터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1757A (en) * 1952-03-06 1955-10-25 Boeing Co Cargo sling
US3048370A (en) * 1959-08-14 1962-08-07 Garrett Corp Hoist
DE2121017A1 (de) * 1971-04-29 1972-11-02 Uher Patent AG. Zug (Schweiz) Ankerwinde mit Hand- und/oder Motorantrieb
US4002321A (en) * 1975-07-07 1977-01-11 Cecil A. Pelts Tiltable drums for winding hoist lines
US4214664A (en) * 1978-08-24 1980-07-29 The Alliance Machine Company Crane safety reeving
US4360112A (en) * 1980-09-26 1982-11-23 Amca International Corporation Two-way extendable crane trolley
US5074528A (en) * 1989-07-03 1991-12-24 Harnischfeger Corporation Redundant crane reeving apparatus
US5423438A (en) * 1993-09-13 1995-06-13 Harnischfeger Corporation Crane with redundant hoist arrang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CA2414196C (en) * 2001-12-14 2006-09-12 Mhe Technologies, Inc. Lifting arrangement for overhead traveling cranes
US6902503B2 (en) * 2003-02-27 2005-06-07 Shimano Inc. Bicycle derailleur
DE10320853B4 (de) * 2003-05-09 2005-12-29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Hebezeug
KR100723643B1 (ko) 2006-01-27 2007-06-04 한국고벨주식회사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9894A (ja) * 1989-03-20 1990-10-05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ワイヤ制御によるアーム駆動機構
JPH06166492A (ja) * 1992-11-30 1994-06-14 Kone Oy ホイスト装置
JP2000289988A (ja) * 1999-04-07 2000-10-17 Nidec Tosok Corp ダブルリールアンコイラ
KR20050050212A (ko) * 2003-11-25 2005-05-31 반도종공 주식회사 호이스트용 터닝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10-2005-50212호
평12-289988호
평2-249894호
평6-166492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9999A (zh) * 2017-06-01 2017-09-08 西安航空学院 一种桶装水运送车
CN107139999B (zh) * 2017-06-01 2023-03-14 西安航空学院 一种桶装水运送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40174A1 (en) 2008-11-20
US8453855B2 (en) 2013-06-04
CN101547854B (zh) 2011-07-20
CN101547854A (zh) 2009-09-30
US20100096353A1 (en)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070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KR101450624B1 (ko) 트롤리
EP3097043B1 (en) Low-construction trolley for wire rope hoist
TW200415112A (en) Electric hoist
KR20030012146A (ko)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
JPH07237861A (ja) 昇降装置
JP6174510B2 (ja) クレーン
KR20150008532A (ko) 크레인의 리프팅 장치
KR100723643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CN109279499B (zh) 一种用于长物体起吊的专用自找平衡吊梁及起重机
KR100531510B1 (ko) 호이스트
CN106061884B (zh) 用于钢绳提升机的低结构台车
JP3134117B1 (ja) 船舶荷役用の吊り装置
KR102115587B1 (ko) 투드럼 호이스트
KR200415071Y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KR200341232Y1 (ko) 호이스트
CN2176357Y (zh) 万向钢绳吊运机
CN117682421B (zh) 一种起重机的吊具防倾斜装置
KR100891470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조선블록의 중조립품 터닝장치 및 그터닝방법
KR20230153768A (ko)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CN221027227U (zh) 一种工程用吊装设备
CN218619903U (zh) 一种抓斗支持绳链条防卡装置
CN109052140B (zh) 轧机牌坊吊装方法
JP5132336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ワイヤロープ連結構造
KR200341231Y1 (ko) 호이스트용 터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