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768A -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768A
KR20230153768A KR1020220053596A KR20220053596A KR20230153768A KR 20230153768 A KR20230153768 A KR 20230153768A KR 1020220053596 A KR1020220053596 A KR 1020220053596A KR 20220053596 A KR20220053596 A KR 20220053596A KR 20230153768 A KR20230153768 A KR 20230153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adhesive roller
cleaning device
guide rai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석
Original Assignee
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석 filed Critical 유석
Priority to KR102022005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3768A/ko
Publication of KR20230153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호이스트에 연결되는 거치대; 상기 가이드레일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접착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접착시켜 제거하는 접착롤러; 및 상기 거치대에 상기 접착롤러를 연결하고, 상기 접착롤러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기 접착롤러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호이스트의 이동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호이스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Cleaning device for hoist}
본 발명은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이스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부재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호이스트 이동 중에 레일부재와 롤러부재 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면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청소작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부 없이 호이스트 이동 중에 청소작업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어 청소장치 설치에 요구되는 기술구성이 절감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장치 없이 청소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레일부재로부터 청소장치가 슬립되면서 이탈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는 와이어로프 등을 이용하여 짐을 오르내리는 기계장치의 하나로서, 원동기, 기어감속장치, 권취수단 등을 한 조로 하고 권상용 로프 단부에 훅(hook)을 장착하여 화물 등을 들어 올리거나 또는 들어 올린 상태에서 타 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조작되는 일련의 기중기를 일컫는다.
이러한 호이스트의 종류는 전기 호이스트, 공기 호이스트 등이 있으며, 이중 전기 호이스트는 소형전도기, 행성기어식 가속장치가 달린 권동, 화물을 잡고 있는 전자기 브레이크, 짐을 내릴 때 속도를 조절하는 하중 브레이크 등을 좁은 공간에 집중시켜서 되는 소형 권상기라 할 수 있으며, 지브 끝에 붙이거나 또는 에이치(H)형 빔의 아래쪽 플랜지를 레일로 주행하며 화물을 오르내려 운반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호이스트는 공장이나 기타 구조물 등의 최상 측에 구비되는 H빔 또는 I빔으로 제공되는 모노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중량물을 이송하는 호이스트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체인 호이스트는 모노레일을 따라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되지만,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모노레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보관장소에 보관된다. 그리고 체인 호이스트는 어느 하나의 모노레일을 전담하여 설치된 것이 아니라, 필요한 작업위치의 모노레일로 이동되어 설치되면서 다른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모노레일에 대한 체인 호이스트의 탈부착이 빈번하게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여기서 체인 호이스트는 모터와 체인 등으로 구성되므로 그의 무게는 상당한데 이러한 체인 호이스트를 모노레일로부터 분리하거나 분리된 체인 호이스트를 별도의 장소로 운반하는 것은 매우 힘들고 어려운 작업이다. 즉, 모노레일에 대한 체인 호이스트의 탈부착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체인 호이스트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지면에 떨어뜨릴 수 있는 매우 위험한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3486호(발명의 명칭: 체인 호이스트 승강장치)를 제안하고 있고,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모노레일의 단부로부터 모노레일의 외측을 향해 설치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하방에 배치되며, 모노레일의 하단부와 동일한 형태의 하단부를 갖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을 승강시켜 가이드레일의 하단부와 모노레일의 하단부를 일치시키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져 모노레일에 대한 체인 호이스트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모노레일과 동일한 별도의 가이드레일을 구성함에 따라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고, 비교적 고하중인 가이드레일과 호이스트를 함께 승하강시켜야 하므로 그에 따른 승강수단도 이와 대응하는 복잡한 고강도 구조를 가져야 함으로서 전반적인 제작비용이 증가됨은 물론, 조작과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호이스트의 탈장착이 용이한 크레인 구조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호이스트는, 크레인에서, 적어도 지반에 소정 깊이로 양생된 기초구조, 및 기초구조의 상단에 하중을 분산하는 리브가 배열된 지지대를 구비하는 고정부와, 지지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둥, 및 기둥의 하단에 지지대로부터 회전시키는 스윙모터를 구비하는 회전부와, 기둥의 상측에 수직하게 장착되며, 복부의 상하단에 두부와 저부로 이루어진 I형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기둥과 인접하는 저부에 소정 크기로 개구된 교체홈이 형성된 모노레일, 및 모노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중량물을 인양하는 호이스트를 구비하는 승강부와, 모노레일 상에 호이스트를 탈장착시키는 교체수단, 및 호이스트를 승하강시키는 롤러와 로프를 구비하는 교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4743호(2018년 09월 05일 공고, 발명의 명칭 : 호이스트의 탈장착이 용이한 크레인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호이스트는,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의 롤러부재와 모노레일 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호이스트가 장기간 구동되면서 모노레일에 이물질이 누적되면 호이스트의 롤러부재와 모노레일 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면서 롤러부재의 회전운동과 간섭되면서 호이스트의 이동작동에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호이스트는, 모노레일에 누적되는 이물질 제거를 위해 별도의 청소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청소장치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부 및 제어부가 요구되므로 청소장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호이스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부재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호이스트 이동 중에 레일부재와 롤러부재 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면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청소작업을 위한 별도의 구동부 없이 호이스트 이동 중에 청소작업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어 청소장치 설치에 요구되는 기술구성이 절감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장치 없이 청소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레일부재로부터 청소장치가 슬립되면서 이탈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호이스트용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호이스트에 연결되는 거치대; 상기 가이드레일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접착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접착시켜 제거하는 접착롤러; 및 상기 거치대에 상기 접착롤러를 연결하고, 상기 접착롤러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기 접착롤러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호이스트의 이동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호이스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치대는, 상기 호이스트에 설치되는 거치본체; 상기 거치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대; 및 상기 연장대로부터 굴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위치조절부가 설치되는 돌출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본체에는, 상기 거치본체의 단부가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굴곡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굴곡연결부의 단부에 상기 연장대가 연결되는 체결홀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굴곡연결부를 이루는 굴곡부위에 설치되는 상기 리미트센서와 상기 연장대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접착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블록; 상기 승강블록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거치대에 연결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승강블록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에 연결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각도조절부는, 회전축에 의해 상기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회전운동을 구속하는 힌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승강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축;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블록에 볼트결합 방식으로 삽입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는, 레일부재의 경사면에 밀착되게 안착되는 접착롤러가 호이스트를 따라 이동되도록 접착롤러를 지지하여 호이스트에 설치되는 거치대 및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므로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접착롤러를 레일부재에 밀착되게 배치시켜 이동시킬 수 있어 레일부재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레일부재와 호이스트의 롤러부재 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면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는, 호이스트에 설치되는 거치본체의 양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굴곡연결부를 이루고, 굴곡연결부에 위치조절부에 의해 접착롤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거치본체와 위치조절부의 연결부위가 리미트센서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리미트센서가 호이스트에 설치되지 않고 거치본체에 설치될 수 있고, 리미트센서의 설치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는, 호이스트에 설치되는 거치대 양단부에 복수 개의 접착롤러가 위치조절부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위치조절부는 접착롤러의 연장 방향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와, 접착롤러를 레일부재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길이조절부와, 접착롤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각도조절부, 길이조절부 및 높이조절부를 조작하여 접착롤러가 레일부재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호이스트가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될 때에 레일부재의 경사면에 밀착된 접착롤러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경사면에 누적된 이물질을 흡착시키면서 레일부재로부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는, 높이조절부로부터 연장되는 연동축에 접착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접착롤러의 회전중심이 연동축과 일치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편심방지부가 구비되므로 접착롤러가 레일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될 때에 접착롤러가 연동축의 일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접착롤러가 편심되면서 경사면과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경사면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흡착시키면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설치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설치상태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접착롤러 장착구조가 도시된 일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접착롤러 장착구조가 도시된 타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높이조절부 및 편심방지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편심방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리미트센서 설치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접착롤러 길이조절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접착롤러 각도조절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설치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설치상태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접착롤러 장착구조가 도시된 일측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접착롤러 장착구조가 도시된 타측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높이조절부 및 편심방지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편심방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리미트센서 설치구조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접착롤러 길이조절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의 접착롤러 각도조절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청소장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호이스트(5)에 연결되는 거치대(10)와, 가이드레일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접착재질로 이루어져 가이드레일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되어 가이드레일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접착시켜 제거하는 접착롤러(50)와, 거치대(10)에 접착롤러(50)를 연결하고, 접착롤러(50)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레일에 접착롤러(5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위치조절부(30)를 포함한다.
따라서 호이스트(5)의 일측 및 타측에 한 쌍의 거치대(10)를 설치한 후에 각각의 거치대(10) 양단부에 한 쌍의 위치조절부(30)를 설치하고, 위치조절부(30)에 접착롤러(50)를 설치한 후에 위치조절부(30)를 조작하여 접착롤러(50)가 레일부재(1)의 경사면(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접착롤러(50)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레일부재(1)의 일측 경사면(3)에 한 쌍의 접착롤러(50)를 설치하고, 레일부재(1)의 타측 경사면(3)에 한 쌍의 접착롤러(50)를 설치하여 총 4개의 접착롤러(50)가 레일부재(1)의 경사면(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일부재(1)의 경사면(3)에 복수 개의 접착롤러(5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호이스트(5)가 레일부재(1)를 따라 이동되면서 이송작업을 진행하면 접착롤러(50)가 레일부재(1)의 경사면(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되어 호이스트(5)와 함께 레일부재(1)를 따라 이동되므로 레일부재(1)의 경사면(3)에 누적되는 이물질은 접착롤러(50)의 흡착되면서 레일부재(1)로부터 제거된다.
본 실시예의 거치대(10)는, 호이스트(5)에 연결되는 거치본체(12)와, 거치본체(12)의 양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굴곡연결부(14)와, 굴곡연결부(14)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대(17)와, 연장대(17)의 단부로부터 전방 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고 위치조절부(30)가 설치되어 접착롤러(50)와 연결되는 돌출대(18)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거치대(10)는, 거치본체(12), 굴곡연결부(14), 연장대(17) 및 돌출대(18)에 의해 호이스트(5)로부터 하측, 양측부 및 전방부 측으로 3차례 굴곡되는 구조물을 이루게 되므로 돌출대(18) 단부에 위치조절부(30)에 의해 설치되는 롤러부재(7)가 거치대(10)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레일부재(1)의 경사면(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거치본체(12) 전면에는 한 쌍의 제1결합편(16)이 제1체결부재(16a) 및 제2체결부재(16b)에 의해 결합되어 호이스트(5)에 체결되므로 거치본체(12)를 호이스트(5) 전면에 연결하게 되고, 레일부재(1)를 중심으로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설치되는 호이스트(5)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거치본체(12)가 설치된다.
거치본체(12)는 호이스트(5)의 전면 및 배면에 좌우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거치본체(12)의 양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굴곡연결부(14)를 이루게 된다.
굴곡연결부(14)의 하단부에는 각각 4개의 체결홀부(14a)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체결홀부(14a)는 장공 모양으로 형성되어 체결홀부(14a)에 결합되는 제2결합편(17a), 연장대(17) 및 제3결합편(17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거치대(10)에는 호이스트(5)의 이동량을 제어하도록 호이스트(5)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70)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의 거치대(10)는, 양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는 거치본체(12)의 양단부에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대(17)가 설치되어 위치조절부(30) 및 접착롤러(50)가 연결되므로 거치본체(12)의 굴곡부위에 리미트센서(70)가 설치될 수 있고, 연장대(17)의 연결부위와 리미트센서(70)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거치본체(12)에는, 거치본체(12)의 단부가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굴곡연결부(14)가 구비되고, 굴곡연결부(14)의 단부에 연장대(17)가 연결되는 체결홀부(14a)가 형성되므로 굴곡연결부(14)를 이루는 굴곡부위에 설치되는 리미트센서(70)와 연장대(17)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위치조절부(30)는, 접착롤러(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블록(36)과, 승강블록(3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거치대(10)에 연결하는 각도조절부(31)와, 승강블록(36)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여 각도조절부(31)에 연결하는 높이조절부(38)와, 접착롤러(50)와 호이스트(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8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거치대(10)를 호이스트(5)에서 설치한 후에 거치대(10)에 구지되는 각도조절부(31), 높이조절부(38) 및 길이조절부(80)를 조작하여 접착롤러(50)를 레일부재(1)의 경사면(3)에 밀착되게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각도조절부(31)는, 회전축(32b)에 의해 거치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32)와, 회전축(32b)을 중심으로 회전된 지지플레이트(32)의 회전운동을 구속하는 힌지고정부(34)를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32)는 회전축(32b)에 의해 돌출대(18)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32b)과 간격을 유지하는 힌지고정부(34)가 지지플레이트(32)와 돌출대(18)를 연결하여 지지플레이트(32)의 회전운동을 구속하면서 접착롤러(50)의 조절된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힌지고정부(34)는, 지지플레이트(32)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대(18)에 삽입되는 힌지축과, 힌지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곡선홈부를 구비하여 출몰대에 설치되는 힌지편(34a)을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축(32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돌출대(18)에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32)를 회전시킬 때에는 힌지축을 곡선홀부(34b)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면서 지지플레이트(32)를 회전축(32b) 중심으로 회전시켜 접착롤러(50)의 각도를 조절하고, 각도조절이 완료되면 힌지축에 체결되는 조입부재를 힌지편(34a)에 밀착되게 결합시켜 힌지축을 구속함과 동시에 회전축(32b)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지지플레이트(32)의 회전운동을 구속하여 지지플레이트(32)에 결합되는 접착롤러(50)의 각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지지플레이트(32)의 상단은 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굴곡플레이트(32a)를 이루고, 굴곡플레이트(32a)에는 높이조절부(38)가 구비되어 접착롤러(50)를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에의 높이조절부(38)는, 굴곡플레이트(3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축(38a)과, 가이드축(38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접착롤러(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블록(36)과, 굴곡플레이트(32a)에 볼트결합되고 승강블록(36)에 볼트결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블록(36)을 가이드축(38a)을 따라 상승 또는 시키는 구동축(38b)과, 구동축(38b)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잡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운동을 조작할 수 있는 레버부재(38c)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구동축(38b) 상단에 구비되는 레버부재(38c)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축(38b)이 회전되면서 승강블록(36)으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되는데, 이때, 승강블록(36)을 가이드축(38a)에 의해 회전운동이 구속되고, 구동축(38b)은 굴곡플레이트(32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므로 구동축(38b)은 굴곡플레이트(32a)에 구속된 상태도 회전운동이 이루어지고, 구동축(38b)과 볼트결합되는 승강블록(36)이 구동축(38b)의 회전운동을 상승운동 또는 하강운동으로 변환시켜 승강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롤러(50)의 각도 및 높이가 조절된 후에는 접착롤러(50)와 레일부재(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접착롤러(50)를 레일부재(1)의 경사면(3)에 밀착시키는데, 각도조절부(31), 높이조절부(38) 및 길이조절부(80)의 작동은 그 순서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고, 작업자의 편의에 의해 길이조절부(80), 높이조절부(38)의 작동을 조작한 후에 각도조절부(31)를 조작하여 접착롤러(50)를 경사면(3)에 밀착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길이조절부(80)는, 돌출대(18) 내벽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조절홈부(82)와, 연장대(17)의 단부가 굴곡되어 조절홈부(8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굴곡패널과, 굴곡패널과 조절홈부(82)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굴곡패널과 조절홈부(82)를 결합시키고, 굴곡패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는 장공부(86)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굴곡패널을 조절홈부(82)에 삽입하여 슬라이딩시키면서 돌출대(18) 및 접착롤러(50)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고, 접착롤러(50)의 위치가 결정되면 조절홈부(82)에 형성되는 장공부(86)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굴곡패널과 결합시키면서 돌출대(18)와 연장대(17)의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승강블록(36)에는 접착롤러(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연결부(52)가 구비되고, 본 실시예의 회전연결부(52)는, 승강블록(36)의 일단부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52c)와, 회전플레이트(52c)에 설치되어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드럼(52b)과, 회전드럼(52b)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접착롤러(50)의 내벽을 지지하는 지지파이프(52a)를 포함한다.
따라서 금속재질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하고 접착 기능을 구비하는 접착롤러(50)를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강도가 강한 지지파이프(52a)의 외벽에 안착시켜 접착롤러(50)를 지지하고, 지지파이프(52a)가 회전드럼(52b)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회전플레이트(52c)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회전드럼(52b)과 지지파이프(52a) 사이에는 지지파이프(52a) 및 접착롤러(50)가 회전드럼(52b)의 회전축(32b)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편심방지부(90)가 구비되므로 회전플레이트(52c) 및 회전드럼(52b)이 회전될 때에 지지파이프(52a) 및 접착롤러(50)가 편심되면서 레일부재(1)의 경사면(3)으로부터 이격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편심방지부(90)는, 회전드럼(52b)의 둘레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회전드럼(52b)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안착홈부(92)와, 안착홈부(92)에 설치되어 지지파이프(52a) 내벽을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파이프(52a)의 회전중심이 회전드럼(52b)의 회전중심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9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탄성부재(94)는 안착홈부(9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므로 3개 이상의 탄성부재(94)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면 지지파이프(52a)의 내벽 전체를 균등하게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지지파이프(52a)와 회전드럼(52b)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지지파이프(52a)가 회전드럼(52b)으로부터 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지파이프(52a)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레일부재(1)에 인력을 제공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므로 지지파이프(52a) 및 접착롤러(50)가 레일부재(1)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호이스트(5)와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레일부재(1)로부터 접착롤러(50)가 이격되어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는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호이스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부재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호이스트 이동 중에 레일부재와 롤러부재 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면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청소작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부 없이 호이스트 이동 중에 청소작업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어 청소장치 설치에 요구되는 기술구성이 절감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장치 없이 청소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레일부재로부터 청소장치가 슬립되면서 이탈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호이스트용 청소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호이스트용 청소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호이스트용 청소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청소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레일부재 3 : 경사면
5 : 호이스트 7 : 롤러부재
10 : 거치대 12 : 거치본체
14 : 굴곡연결부 14a : 체결홀부
16 : 결합편 16a : 제1체결부재
16b : 제2체결부재 17 : 연장대
17a : 결합현 18 : 돌출대
30 : 각도조절부 32 : 지지플레이트
32a : 굴곡플레이트 32b : 회전축
34 : 힌지고정부 34a : 힌지편
34b : 곡선홀부 36 : 승강블록
38 : 높이조절부 38a : 가이드축
38b : 구동축 38c : 레버부재
50 : 접착롤러 52 : 회전연결부
70 : 리미트센서

Claims (5)

  1.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호이스트에 연결되는 거치대;
    상기 가이드레일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접착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접착시켜 제거하는 접착롤러; 및
    상기 거치대에 상기 접착롤러를 연결하고, 상기 접착롤러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기 접착롤러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호이스트의 이동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호이스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호이스트에 설치되는 거치본체;
    상기 거치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대; 및
    상기 연장대로부터 굴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위치조절부가 설치되는 돌출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본체에는, 상기 거치본체의 단부가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굴곡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굴곡연결부의 단부에 상기 연장대가 연결되는 체결홀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굴곡연결부를 이루는 굴곡부위에 설치되는 상기 리미트센서와 상기 연장대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접착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블록;
    상기 승강블록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거치대에 연결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승강블록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에 연결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회전축에 의해 상기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회전운동을 구속하는 힌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승강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축;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블록에 볼트결합 방식으로 삽입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KR1020220053596A 2022-04-29 2022-04-29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KR20230153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596A KR20230153768A (ko) 2022-04-29 2022-04-29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596A KR20230153768A (ko) 2022-04-29 2022-04-29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768A true KR20230153768A (ko) 2023-11-07

Family

ID=88747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596A KR20230153768A (ko) 2022-04-29 2022-04-29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37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826B1 (ko) 마찰차를 이용한 호이스트
KR100831070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EP2043938B1 (en) Elevators
WO2008010643A1 (en) Hoist for low space crane
KR20100103252A (ko) 자주식 캐리어
CN105936441A (zh) 一种用于铺布机的上布升降装置
US9121140B2 (en) Low profile material handling system
CN112533855B (zh) 施工用电梯的扬程延长方法和电梯用的绳索下降辅具
CN111824972B (zh) 起重机
CN113353771A (zh) 一种矿井钢丝绳换绳车
KR100930319B1 (ko) 판재 리프터
KR20230153768A (ko) 호이스트용 청소장치
KR100531510B1 (ko) 호이스트
KR100930318B1 (ko) 판재 리프팅 시스템
KR100723643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CN110817651A (zh) 电梯的主绳索更换装置及电梯的主绳索更换方法
CN215592312U (zh) 矿井钢丝绳换绳车
WO20160305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the lining elements of the inner surface of a grinding mill
KR100912499B1 (ko) 롤 쵸크 선회장치
CN211366716U (zh) 一种混凝土预制箱梁快速起吊吊具
KR20150001693U (ko) 케이블 드럼 거치대
KR200341232Y1 (ko) 호이스트
CN2176357Y (zh) 万向钢绳吊运机
CN214298974U (zh) 一种方便调整的数控吊装设备
CN218619903U (zh) 一种抓斗支持绳链条防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