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643B1 -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643B1
KR100723643B1 KR1020060008889A KR20060008889A KR100723643B1 KR 100723643 B1 KR100723643 B1 KR 100723643B1 KR 1020060008889 A KR1020060008889 A KR 1020060008889A KR 20060008889 A KR20060008889 A KR 20060008889A KR 100723643 B1 KR100723643 B1 KR 100723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ist
bracket
turning devic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래
Original Assignee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고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643B1/ko
Priority to PCT/KR2006/001569 priority patent/WO200708662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66C13/085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호이스트가 대응되도록 거더상에 설치하여 호이스트에 매달린 중량물의 하중에 따른 부하를 양분하여 과부하를 방지하고, 대형 중량물을 간단하게 터닝시킬 수 있으며, 터닝장치의 기능과 중량물을 매달아 승하강 작업이나 운반작업을 동시에 수행가능한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으로 측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측부고정브라켓과, 상기 측부고정브라켓의 양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브라켓부와; 상기 측부고정브라켓의 끝단에 고정되되, 일단에는 거더를 따라 이동하는 지지횡행휠이 고정되며, 타단에는 횡행휠축으로 연결되는 구동횡행휠 중 하나와 기어방식으로 체결되어 거더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을 발생시키는 횡행모터로 이루어지는 횡행구동부와; 상기 횡행구동부의 후방으로 횡행모터가 고정된 반대편 측부고정브라켓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축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권상모터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후방에 한 쌍의 와이어로프가 이격되어 권취된 상태로 양 측부고정브라켓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축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와이어드럼과, 상기 측부고정브라켓에 관통된 와이어드럼과 권상모터의 축과 연결되어 측부고정브라켓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드럼에 권상모터의 감속된 회전비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고정되어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로 형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가 형성된 반대편 측부고정브라켓에 관통된 와이어드럼의 축과 연결되어 측부고정브라켓의 외측에 고정되며,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는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 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저부 중앙에 고정플레이트로 고정되며, 와이어드럼에 권취된 와이어로프로 연결되는 상부시브와, 상기 상부시브가 고정되어 회전되는 상부시브커버로 형성되는 상부시브부와; 상기 상부시브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로 연장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부시브와, 상기 하부시브 및 중량물을 매달수 있는 후크가 고정되는 하부시브커버로 이루어져 중량물을 승하강 또는 운반하는 후크부를 한 조로 구성하는 한 쌍의 호이스트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닝장치, 호이스트, 후크, 양정, 권상모터

Description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Turning Device for Hoist}
도 1은 종래의 호이스트용 터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시브부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7a는 도 5의 A부분의 확대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횡행휠의 다른 연결방식을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터닝하기 위한 준비상태 측면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터닝하기 위한 준비상태 정면도,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회전하기 위한 준비상태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45도 회전시킨 작동 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90도 회전시킨 작동도,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135도 회전시킨 작동도,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180도 회전시킨 작동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호이스트부 11 : 브라켓부
12 : 횡행구동부 13 : 구동부
14 : 제어부 15 : 상부시브부
16 : 후크부 100 : 거더
111 : 측부고정브라켓 112 : 지지브라켓
113 : 연결브라켓 113' : 연결구
113a' : 걸림핀 113b', 154 : 회동핀
113c' : 측판 121 : 지지횡행휠
122 : 횡행휠축 123 : 구동횡행휠
124 : 횡행모터 131 : 권상모터
132 : 와이어로프 133 : 와이어드럼
134 : 감속기 135 : 브레이크
141 : 작동부 142 : 제어반
151 : 고정플레이트 152 : 상부시브
153 : 상브시브커버 161 : 하부시브
162 : 후크 163 : 하부시브커버
200 : 터닝장치 300 : 터닝수단
400 : 슬링
본 발명은 한 쌍의 호이스트가 대응되도록 거더상에 설치하여 호이스트에 매달린 중량물의 하중에 따른 부하를 1/2씩 양분하여 과부하를 방지하고, 대형 중량물을 간단하게 터닝시킬 수 있으며, 터닝장치의 기능과 중량물을 매달아 승하강 작업이나 운반작업을 동시에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을 들어 올려 옮기는 장치인 호이스트는 화물을 운반하거나 공장의 기계를 분해, 조립 시에 이송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중량물을 운반하는 호이스트는 중량물을 상하로 들어올리도록 중량물을 고정하는 후크(hook)에 권상용로프를 결합 형성하고, 권상용로프를 상하로 권상하도록 권취한 로프드럼을 원동기, 기어감속장치 및 브레이크가 결합된 구동부와 연동하도록 권상부를 형성하고, 권상부의 상부측으로 레일에 안치되어 횡방 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형성하여 원동기의 구동으로 권상용로프를 로프드럼에서 권상하면 훅에 고정된 중량물이 상부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이송부를 구동시켜 레일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호이스트의 하부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중량물인 강교나 대형구조물의 다른면의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 터닝하는 터닝장치는 각 중량물의 크기, 형상 및 중량에 맞도록 설계 제작되어 사용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호이스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터닝하는 종래기술의 호이스트용 터닝장치를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3-0036791 호에서 제시한 바, 이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호이스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터닝하는 터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닝장치(20)는 호이스트의 하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정부(21)를 상부에 형성하고 일측에 감속기(22)와 브레이크(23)를 형성하며, 중앙에 원통형의 마찰풀리(24)가 연동되도록 타측에 형성된 모터(25)와 결합하여 마찰풀리(24)의 회전에 의해 연결수단으로 연결된 중량물을 터닝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호이스트용 터닝장치는 연결수단으로 중량물과 연결된 마찰풀리의 회전에 의해 중량물이 터닝하는 것으로, 마찰풀리와 연결수단의 마찰력에 의해 중량물이 회전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마찰에 의해 연동되는 마찰풀리와 연결수단 사이에 마찰력이 중량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미끄러짐 현상 즉, 슬립현상이 발생되어 터닝작업을 위해 회전하는 모터의 과도한 동력이 소요되 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호이스트용 터닝장치는 모터와 마찰풀리를 연동되도록 형성하여 모터의 회전으로 마찰풀리가 회전하면서 중량물을 터닝시키는 것으로, 모터와 결합된 마찰풀리에 중량물의 수직하중이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모터 회전시에 결합부분에 부하가 집중됨에 따라 장시간 사용하면 결합부분이 마모가 발생하여 파손의 우려가 있음으로 자주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운용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호이스트용 터닝장치는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 마찰드럼을 연장하여 모터의 회전으로 중량물을 회전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중량물의 중량이 마찰드럼의 길이의 증분에 따라 하중의 집중도가 증가되고 마찰드럼이 중량물의 수직하중을 모두 감당하고 있기 때문에 중량물의 중량에 따라 마찰드럼의 강도를 강화시켜야 함으로써, 마찰드럼의 생산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호이스트용 터닝장치는 중량물을 회전하기 위해서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작하여 육안으로 마찰드럼이 회전하면서 중량물이 돌아가는 각도를 확인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을 멈추는 것으로, 조작 실수에 의해 중량물에 빠른 속도로 급격히 터닝하면 모터에 부하가 발생하여 수명이 감소되고, 중량물이 낙하하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호이스트용 터닝장치는 사용자가 임의의 조작으로 모터를 회전하여 마찰드럼을 회전시켜 중량물을 터닝하는 것으로, 회전속도와 각도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고, 회전 작업을 작업자가 정확하게 실시하여야 함에 따라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호이스트용 터닝장치는 호이스트의 후크에 터닝장치를 매단상태로 중량물을 터닝시키는 것으로, 대형중량물에 대하여 터닝작업을 수행할 때, 호이스트와 터닝장치에 중량물의 하중으로 인한 과부하가 작용되어 수명의 단축과 작업의 효율성이 감소되며, 부피가 큰 중량물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호이스트용 터닝장치는 터닝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터닝장치를 호이스트의 후크에 결합하는 준비작업이 수반되는 불편한 점이 있으며, 터닝작업의 종료 후에는 호이스트를 본래의 기능인 중량물을 매달아 승하강시키거나 운반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터닝장치를 분해해야 하는 작업공정의 번거러움과 작업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찰드럼을 사용하지 않는 두 개의 호이스트를 대응되도록 전기적, 기계적 방식을 이용하여 결합시킨 상태로 거더의 상부에 설치하여 각각의 호이스트에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연결된 후크를 중량물과 체결된 실링을 체결하여 중량물의 전체하중 지지 부담을 1/2씩 양분시켜 과부하가 작용되지 않는 상태로 터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시브가 회전되도록 고정된 시브프레임이 지지브라켓의 저부에 핀을 이용하여 회동되도록 연결되어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 대응되는 각도로 시브프레임이 회동되며 각도를 보정하고,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증감시켜 중량물의 대,소에 따른 크기 제한을 받지 않으며 터닝작업을 위하여 적용가능한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닝작업을 위하여 중량물과 체결된 슬링(Sling)에 후크가 연결될 때, 중량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각도로 시브프레임의 회동으로 인하여 와이어로프가 시브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별도의 터닝장치가 필요치 않은 상태로 터닝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가능하며, 각각 분리시켜 하나의 상태 또는 결합되어진 상태의 한 쌍의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승하강 시키거나 운반하는 크레인작업을 별도의 설치 및 분해작업 없이 수행 가능한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종래의 마찰드럼을 이용한 터닝장치의 마찰드럼과 터닝수단 사이에서 발생되는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며, 마찰드럼과 터닝수단의 보수 및 유지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지 않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으로 측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측부고정브라켓과, 상기 측부고정브라켓의 양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브라켓부와, 상기 측부고정브라켓의 끝단에 고정되되, 일단에는 거더를 따라 이동하는 지지횡행휠이 고정되며, 타단에는 횡행휠축으로 연결되는 구동횡행휠 중 하나와 기어방식으로 체결되어 거더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을 발생시키는 횡행모터로 이루어지는 횡행구동부와, 상기 횡행구동부의 후방에 횡행모터가 고정된 반대편 측부고정브라켓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축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권상모터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후방에 한 쌍의 와이어로프가 이격되어 권취된 상태로 양 측부고정브라켓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축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와이어드럼과, 상기 측부고정브라켓에 관통된 와이어드럼과 권상모터의 축과 연결되어 측부고정브라켓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드럼에 권상모터의 감속된 회전비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고정되어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로 형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가 형성된 반대편 측부고정브라켓에 관통된 와이어드럼의 축과 연결되어 측부고정브라켓의 외측에 고정되며,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는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저부 중앙에 고정플레이트로 고정되며, 와이어드럼에 권취된 와이어로프로 연결되는 상부시브와, 상기 상부시브가 고정되어 회전되는 상부시브커버로 형성되는 상부시브부와; 상기 상부시브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로 연장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부시브와, 상기 하부시브 및 중량물을 매달수 있는 후크가 고정되는 하부시브커버로 이루어져 중량물을 승하강 또는 운반하는 후크부를 한 조로 구성하는 한 쌍의 호이스트부로 구성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부는 동일한 구성으로 대응되게 배열되어 마주보는 지지횡행휠을 연결하여 한 쌍으로 거더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횡행휠의 연결을 위하여 전자석 또는 연결브라켓 중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호이스트부는 동일한 구성으로 대응되게 배열되어 마주보는 지지횡행휠을 연결하여 한 쌍으로 거더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횡행휠의 연결을 위하여 걸림핀이 한 쌍의 측판 일단 내측에 고정되며, 타단은 회동핀을 이용하여 하나의 지지횡행휠에 회동되도록 체결되는 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시브부는 중공된 사각틀의 저부 일측에 상부시브가 보호되도록 원판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시브커버의 원판중심에 한 쌍 또는 그 이상의 상부시브가 회전축으로 고정되고, 그 외측으로 와이어드럼에서 풀려진 와이어로프의 끝단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지지커버는 지지브라켓의 저부에 두 쌍으로 고정되어진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지며 각각 회동핀으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시브부는 회동핀에 의해 상부시브커버가 고정플레이트의 사이에서 회동되어 상부시브에 연결된 와이어로프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부는 대응되는 배열로 거더상에 한 쌍으로 위치되어 후 크부에 매달린 중량물의 하중을 1/2로 양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시브부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7a는 도 5의 A부분의 확대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횡행휠의 다른 연결방식을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터닝하기 위한 준비상태 측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터닝하기 위한 준비상태 정면도이며,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회전하기 위한 준비상태 평면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45도 회전시킨 작동도이며,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90도 회전시킨 작동도이고,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135도 회전시킨 작동도이며,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180도 회전시킨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200)는 도 2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100)의 상부에 고정을 위한 브라켓부(11)와, 상기 브라켓부(11)에 고정되어 횡행이동을 위한 횡행구동부(12)와, 상기 브라켓부(11)에 고정되어 터닝장치(20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3)와, 상기 브라켓부(11)에 고정되어 구동부(13)를 제어하는 제어부(14)와,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 브라켓부(11) 저부에 고정되어 회동되는 상부시브부(15)와, 중량물을 매달아 끌어올리는 후크부(16)로 이루어진 한 쌍의 호이스트부(10)로 구성한다.
상기 브라켓부(11)부는 양측으로 측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측부고정브라켓(111)과, 상기 측부고정브라켓(111)의 양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1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측부고정브라켓(11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의 형상으로 마주보며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112)은 측부고정브라켓(111)의 중앙에 위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용접방식이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으로 고정되며, 그 저부 중앙에는 4개의 사각판 형상의 고정플레이트(151)가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방식이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으로 지지브라켓(112)과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측부고정브라켓(111)의 끝단에 고정되는 횡행구동부(12)는 일단에 거더(100)를 따라 이동하는 지지횡행휠(121)이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횡행휠(121)은 회전 구동을 전달받는 구동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2열의 거더(100) 위를 지지하며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횡행휠(121)이 고정된 측부고정브라켓(111)의 반대편 타단에는 한 쌍의 측부고정브라켓(111) 사이를 가로질러 횡행휠축(122)으로 연결되는 구동횡행휠(123) 중 하나가 기어연결방식 또는 벨트나 체인의 연결방식으로 회전 구동을 발생시키는 횡행모터(124)가 구동횡행휠(123)에 회전 구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횡행모터(124)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을 전달받은 구동횡행휠(123)은 횡행휠축(122)으로 연결된 다른 하나의 구동횡행휠(123)과 함께 거더(100) 위를 지지하며 회전하여 터닝장치(10)를 횡행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지지횡행휠(121)과 구동횡행휠(123)은 저부가 개방된 사각틀에 로울러가 회전축으로 회전되게 고정되어 측부고정브라켓(111)에 볼트와 너트체결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부(11)에 형성되는 구동부(13)는 횡행구동부(12)의 후방에 횡행모터(124)가 고정된 반대편 측부고정브라켓(111)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축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권상모터(131)가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권상모터(131)는 모터본체가 측부고정브라켓(111)의 내측면에 볼트와 너트체결 방식으로 고정되며, 모터축(도면상 미도시) 일부가 측부고정브라켓(111)에 형성된 축홀(도면상 미도시)을 통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112)의 후방에 한 쌍의 와이어로프(132)가 이격되어 권취된 상태로 양 측부고정브라켓(111)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축(도면상 미도시)이 관통되어 볼트와 너트체결 방식으로 몸체가 고정된 와이어드럼(13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부고정브라켓(111)에 관통된 와이어드럼(133)과 권상모터(131) 의 축과 연결되어 측부고정브라켓(111)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드럼(133)에 권상모터(131)의 감속된 회전비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134)가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드럼(133)과 권상모터(131)의 돌출된 축끝단에는 기어, 스프라킷, 벨트풀리가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고정되며, 상기 감속기(134)는 선택적으로 채택된 기어나 체인, 벨트를 이용하여 권상모터(131)의 감속된 회전력을 와이어드럼(133)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134)의 몸체 외부 또는 내부에 삽입되어 볼트와 너트의 체결방식으로 고정되며 감속기(134)의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135)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13)를 제어하는 제어부(14)는 구동부(13)의 반대편 측부고정브라켓(111)에 관통된 와이어드럼(133)의 축과 연결되어 측부고정브라켓(111)의 외측에 고정되며,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작동부(141)의 작동을 실행하는 제어반(14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4)는 터닝장치(200)의 주행과 멈춤, 횡행이동과 멈춤, 권상을 위한 제어와, 한 쌍의 호이스트부(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141)는 제어반(142)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작업장 바닥에서 작동자의 수동작으로 작동이 가능하며, 또는 대형의 터닝장치(10)의 경우에는 거더(100)의 일측 저부에 형성된 운전실에서 작동이 가능하고, 다른 방법으로는 무선송신기를 이용하여 제어반(142)에 무선수신기를 형성하여 무선신호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브라켓(112)의 저부 중앙에 고정플레이트(151)로 고정되는 상부시브부(15)는 와이어드럼(133)에 권취된 와이어로프(132)로 연결되는 상부시브(152)와, 상기 상부시브(152)가 고정되어 회전되는 상부시브커버(153)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플레이트(151)는 사각판형상이며 4개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브라켓(112)의 저부 바닥과 용접방식이나 볼트와 너트체결방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시브커버(153)는 중공된 사각틀의 저부 일측에 상부시브(152)가 보호되도록 원판이 일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시브커버(153)의 원판중심과 회전축(도면상 미도시)으로 고정되어 회전되는 한 쌍 또는 그 이상의 상부시브(152)가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시브(152)가 고정된 상부시브커버(153)의 외측으로 와이어드럼(133)에서 풀려진 와이어로프(132)의 끝단이 고정되어 상부시브부(15)가 회동될 때 와이어로프(132)가 상부시브(152)에 감겨진 상태로 함께 회동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지지커버(153)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51) 사이에 끼워지며 회동핀(154)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상부시브부(15)는 회동핀(154)에 의해 상부시브커버(153)가 고정플레이트(151)의 사이에서 회동되어 상부시브(152)에 연결된 와이어로프(132)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시브부(15)에 연결된 와이어로프(132)로 연장 연결되는 후크부(16) 는 와이어로프(132)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한 쌍 또는 그 이상으로 하부시브(161)가 구성되며, 상기 하부시브(161) 및 중량물을 매달수 있는 후크(162)가 고정되는 하부시브커버(163)로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한 조로 이루어져 중량물을 승하강 또는 운반하는 호이스트부(10)로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호이스트부(10)는 동일한 구성으로 대응되게 배열되어 마주보는 지지횡행휠(121)을 연결하여 한 쌍으로 거더(100)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횡행휠(121)의 연결을 위하여 전자석 또는 연결브라켓(113) 중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부(10)는 대응되는 배열로 거더(100)상에 한 쌍으로 위치되어 후크부(16)에 매달린 중량물의 하중을 1/2로 양분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자석을 이용한 연결 방식은 전류를 인가시켜 전류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113)은 저부가 개방된 'ㄷ'형상으로 마주보는 지지횡행휠(121)의 상부로부터 끼워져 볼트와 너트체결방식 또는 핀을 이용한 고정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호이스트부(10)는 동일한 구성으로 대응되게 배열되어 마주보는 지지횡행휠(121)을 연결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걸림핀(113a')과 한 쌍의 측판(113c')과 회동핀(113b)으로 이루어진 연결구(113')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구(113')는 걸림핀(113a')이 한 쌍의 측판(113c') 일단 내 측에 고정되며, 타단은 회동핀(113b')을 이용하여 하나의 지지횡행휠(121)의 상부에 고정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핀(113b')이 고정된 지지횡행휠(121)과 마주보는 다른 지지횡행휠(121)의 상부에는 연결구(113')가 회동 될 때, 걸림핀(113a')이 끼워질 수 있도록 걸림핀(113a')과 동일한 지름 및 길이로 하향의 수직방향 홈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부(10)는 마주보는 지지횡행휠(121)을 지지하는 사각형상의 틀을 일체로 구성하여 한 쌍의 호이스트부(10)가 일체로 분해되지 않는 상태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평벨트와 같은 형상으로 중량물이 회전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강성과 인성이 구비된 일체의 터닝수단(300)을 중량물의 저부에 끼워 넣어 저부를 지지시킨다. 이때, 중량물의 가로방향, 세로방향의 중심이 대칭되어 균형이 되도록 터닝수단(300)을 2열로 중량물에 두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터닝수단(300)을 중량물의 양측으로 끝단이 보이도록 들어올리는 쪽은 짧게 위치시키고, 중량물이 내려가는 쪽은 길이가 길게 남도록 체결한 후, 각 끝단을 슬링(400,sling)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상기 터닝수단(300)은 2개 1조로 사용되도록 분할하여 그 끝단이 중량물의 일측 상하부 모서리부분에 접하도록 하되, 원형고리로 그 끝단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중량물을 회전시킬 때 발생되는 요동으로 인한 터닝수단 (300)이 처음의 위치에서 이동,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거더(100) 상에 위치되어진 한 쌍의 호이스트부(10)를 지면 또는 운전실에서 유, 무선의 작동부(141)를 조작하여 주행레일(도면상 미도시)을 따라 호이스트부(10)가 설치된 거더(100)를 중량물의 중앙 상부에 위치되도록 주행시킨다.
다음으로, 중량물을 회전시킬 회전방향을 정한 뒤, 작동부(141)를 이용하여 한 쌍의 호이스트부(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권상모터(131)를 회전시켜 후크부(16)를 저부로 와이어로프(132)의 신장길이를 다르게 하여 양측 슬링(400)에 후크(162)를 체결한다.
이때, 호이스트부(10)의 설치폭이 중량물의 폭보다 적을 경우에는 상부시브부(15)가 회동되어 상부시브(152)에 연결된 와이어로프(13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중량물을 끌어올려지는 측의 후크부(16)은 와이어로프(132)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권상모터(131)를 회전시키고, 반대측 후크부(16)은 와이어로프(132)의 길이가 짧은 상태가 되도록 권상모터(131)를 회전시켜 후크부(16)을 위치시켜 각각 슬링(400)을 체결하여 중량물의 회전을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132)의 길이가 긴 후크부(16)의 권상모터(131)는 당겨지도록 회전하고, 와이어로프(132)의 길이가 짧은 후크부(16)의 권상모터(131)는 와이어로프(132)가 길어지도록 회전시키면 양측의 후크부(16)가 호이스트부(10)와 중량물간 거리에서 중간 위치가 되는 비율로 와이어로프(132)의 길이를 조정한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로프(132)의 길이가 길도록 권상모터(131)가 회전된 측의 호이스트부(10)의 권상모터(131)를 회전시켜 와이어로프(132)가 권취되도록 하며, 이때, 반대측 호이스트부(10)의 권상모터(131)는 와이어로프(132)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동일한 회전수로 권상모터(131)를 회전시킨다.
즉, 중량물의 일측은 달려 올라가고, 타측은 내려오게 되는 과정을 거쳐, 호이스트부(10)와 중량물간 거리에서 중간 위치가 되는 비율로 와이어로프(132)의 길이가 동일하게 되며 중량물은 수직으로 직립되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직립상태를 거쳐 중량물의 작업면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키게 되어 중량물을 가공하기 위한 작업면을 보이도록 180도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터닝장치(10)는 중량물의 크기나 길이 등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 한 쌍의 호이스트부(10)가 중량물의 전체 중량을 양분하여 지지하는 기능으로 경량 및 중량(150톤이상)의 대, 소형 중량물을 회전시키는데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마찰드럼을 사용하지 않는 두 개의 호이스트를 대응되도록 전기적, 기계적 방식을 이용하여 결합시킨 상태로 거더의 상부에 설치하여 각각의 호이스트에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연결된 후크를 중량물과 체결된 실링을 체결하여 중량물의 전체하중 지지 부담을 1/2로 양분시켜 과부하가 작용되지 않는 상태로 터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부시브가 회전되도록 고정된 시브프레임이 지지브라켓의 저부에 핀을 이용하여 회동되도록 연결되어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 대응되는 각도로 시브프레임이 회동되며 각도를 보정하고,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증감시켜 중량물의 대,소 에 따른 크기 제한을 받지 않으며 터닝작업을 위하여 적용가능 하도록 개선된 효과가 있다.
또한, 터닝작업을 위하여 중량물과 체결된 슬링에 후크가 연결될 때, 중량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각도로 시브프레임의 회동으로 인하여 와이어로프가 시브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개선된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한 쌍의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별도의 터닝장치가 필요치 않은 상태로 터닝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가능하며, 각각 분리시켜 하나의 상태 또는 결합되어진 상태의 한 쌍의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승하강 시키거나 운반하는 크레인작업을 별도의 설치 및 분해작업 없이 수행 가능하도록 개선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종래의 마찰드럼을 이용한 터닝장치의 마찰드럼과 터닝수단 사이에서 발생되는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며, 마찰드럼과 터닝수단의 보수 및 유지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 지 않도록 개선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양측으로 측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측부고정브라켓(111)과, 상기 측부고정브라켓(111)의 양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12)으로 이루어지는 브라켓부(11)와; 상기 측부고정브라켓(111)의 끝단에 고정되되, 일단에는 거더(100)를 따라 이동하는 지지횡행휠(121)이 고정되며, 타단에는 횡행휠축(122)으로 연결되는 구동횡행휠(123) 중 하나가 기어방식으로 체결되어 거더(1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을 발생시키는 횡행모터(124)로 이루어지는 횡행구동부(12)와; 상기 횡행구동부(12)의 후방에 횡행모터(124)가 고정된 반대편 측부고정브라켓(111)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축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권상모터(131)와, 상기 지지브라켓(112)의 후방에 한 쌍의 와이어로프(132)가 이격되어 권취된 상태로 양 측부고정브라켓(111)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축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와이어드럼(133)과, 상기 측부고정브라켓(111)에 관통된 와이어드럼(133)과 권상모터(131)의 축과 연결되어 측부고정브라켓(111)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드럼(133)에 권상모터(131)의 감속된 회전비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134)와, 상기 감속기(134)에 고정되어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135)로 형성되는 구동부(13)와; 상기 구동부(13)가 형성된 반대편 측부고정브라켓(111)에 관통된 와이어드럼(133)의 축과 연결되어 측부고정브라켓(111)의 외측에 고정되며,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는 작동부(1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142)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14)와; 상기 지지브라켓(112)의 저부 중앙에 고정플레이트(151)로 고정되며, 와이어드럼(133)에 권취된 와이어로프(132)로 연결되는 상부시브(152)와, 상기 상부시브(152)가 고정되어 회전되는 상부시브커버(153)로 형성되는 상부시브부(15)와; 상기 상부시브부(15)에 연결된 와이어로프(132)로 연장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부시브(161)와, 상기 하부시브(161) 및 중량물을 매달수 있는 후크(162)가 고정되는 하부시브커버(163)로 이루어져 중량물을 승하강 또는 운반하는 후크부(16)를 한 조로 구성하는 한 쌍의 호이스트부(10)로 구성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부(10)는 동일한 구성으로 대응되게 배열되어 마주보는 지지횡행휠(121)을 연결하여 한 쌍으로 거더(100)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횡행휠(121)의 연결을 위하여 전자석 또는 연결브라켓(113) 중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부(10)는 동일한 구성으로 대응되게 배열되어 마주보는 지지횡행휠(121)을 연결하여 한 쌍으로 거더(100)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횡행휠(121)의 연결을 위하여 걸림핀(113a')이 한 쌍의 측판(113c') 일단 내측에 고정되며, 타단은 회동핀(113b')을 이용하여 하나의 지지횡행휠(121)에 회동되도록 체결되는 연결구(1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브부(15)는 중공된 사각틀의 저부 일측에 상부시브(152)가 보호되도록 원판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시브커버(153)의 원판중심에 한 쌍 또는 그 이상의 상부시브(152)가 회전축으로 고정되고, 그 외측으로 와이어드럼(133)에서 풀려진 와이어로프(132)의 끝단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지지커버(153)는 지지브라켓(112)의 저부에 두 쌍으로 고정되어진 고정플레이트(151) 사이에 끼워지며 각각 회동핀(154)으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60008889A 2006-01-27 2006-01-27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KR100723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889A KR100723643B1 (ko) 2006-01-27 2006-01-27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PCT/KR2006/001569 WO2007086628A1 (en) 2006-01-27 2006-04-26 Turning appratus using hoi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889A KR100723643B1 (ko) 2006-01-27 2006-01-27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659U Division KR200415071Y1 (ko) 2006-01-27 2006-01-27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643B1 true KR100723643B1 (ko) 2007-06-04

Family

ID=3830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889A KR100723643B1 (ko) 2006-01-27 2006-01-27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23643B1 (ko)
WO (1) WO20070866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470B1 (ko) 2007-11-28 2009-04-02 한국고벨주식회사 호이스트를 이용한 조선블록의 중조립품 터닝장치 및 그터닝방법
US8453855B2 (en) 2007-05-09 2013-06-04 Kg Inc. Turning device for hoi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99270A1 (en) 2015-09-23 2017-03-30 Walmart Apollo, Llc Systems and methods of delivering products with unmanned delivery aircrafts
JP7269857B2 (ja) * 2019-10-02 2023-05-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重量物の反転方法および重量物の反転作業支援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387A (ja) * 1992-06-30 1994-01-25 Kobayashi Hansou Kiki:Kk クレーン吊下げ形重量物反転装置
JP3031696U (ja) * 1996-05-27 1996-11-29 株式会社二葉製作所 重量物の吊下反転装置
KR200341231Y1 (ko) 2003-11-25 2004-02-11 반도종공 주식회사 호이스트용 터닝장치
KR20060007197A (ko) * 2004-07-19 2006-01-24 한국고벨주식회사 호이스트
KR200415071Y1 (ko) 2006-01-27 2006-04-27 한국고벨주식회사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71491A (ja) * 1991-06-17 1992-12-24 Ookura Seisakusho:Kk 重量物等の反転方法
US5593138A (en) * 1995-03-31 1997-01-14 Knight Industries, Inc. Air balancing hoist combination
US6598859B1 (en) * 2001-05-31 2003-07-29 Magnetek, Inc. Multiple hoist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387A (ja) * 1992-06-30 1994-01-25 Kobayashi Hansou Kiki:Kk クレーン吊下げ形重量物反転装置
JP3031696U (ja) * 1996-05-27 1996-11-29 株式会社二葉製作所 重量物の吊下反転装置
KR200341231Y1 (ko) 2003-11-25 2004-02-11 반도종공 주식회사 호이스트용 터닝장치
KR20060007197A (ko) * 2004-07-19 2006-01-24 한국고벨주식회사 호이스트
KR200415071Y1 (ko) 2006-01-27 2006-04-27 한국고벨주식회사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3855B2 (en) 2007-05-09 2013-06-04 Kg Inc. Turning device for hoist
KR100891470B1 (ko) 2007-11-28 2009-04-02 한국고벨주식회사 호이스트를 이용한 조선블록의 중조립품 터닝장치 및 그터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86628A1 (en)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070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KR101239990B1 (ko) 미니크레인
KR20030012146A (ko)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
KR100723643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KR200415071Y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KR100847906B1 (ko) 멀티 크레인
KR200448240Y1 (ko) 다용도 타워 크레인
CN211366726U (zh) 一种防摇摆集装箱吊具
CN109279499B (zh) 一种用于长物体起吊的专用自找平衡吊梁及起重机
KR200424489Y1 (ko) 싱글레일형 크레인 구조
KR20100004660A (ko) 이동식 크레인
CN214359835U (zh) 一种钢构件翻转装置
KR200391438Y1 (ko) 호이스트용 터닝장치
CN210029880U (zh) 一种建筑工程用提升装置
CN209908537U (zh) 一种用于隧洞衬砌台车钢轨的搬运装置
CN205419582U (zh) 一种楼层起重机
JP2004155538A (ja) 吊り治具
CN102774767B (zh) 一种吊具上架、起升机构及起重机
KR100629936B1 (ko) 호이스트용 터닝장치
CN214780364U (zh) 一种大型管托吊装装置
CN210118148U (zh) 小吊机装置
CN211812995U (zh) 一种建筑工地吊装支撑吊梁
CN216426446U (zh) 动滑轮提升机构
KR200215373Y1 (ko) 크레인의 이송장치_
CN213326475U (zh) 一种低净空欧式葫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