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990B1 - 미니크레인 - Google Patents

미니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990B1
KR101239990B1 KR1020120089835A KR20120089835A KR101239990B1 KR 101239990 B1 KR101239990 B1 KR 101239990B1 KR 1020120089835 A KR1020120089835 A KR 1020120089835A KR 20120089835 A KR20120089835 A KR 20120089835A KR 101239990 B1 KR101239990 B1 KR 101239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lumn
horizontal
suppor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현
Original Assignee
권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동현 filed Critical 권동현
Priority to KR102012008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990B1/ko
Priority to PCT/KR2012/006816 priority patent/WO201402771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the effective length of which is variable in operation, e.g. longitudinally displaceable, exte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mounted for jibbing or luffing movements
    • B66C23/0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mounted for jibbing or luffing movements and adapted to move the loads in predetermined paths
    • B66C23/1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mounted for jibbing or luffing movements and adapted to move the loads in predetermined paths the paths being substantially horizontal; Level-luffing jib-cranes
    • B66C23/1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mounted for jibbing or luffing movements and adapted to move the loads in predetermined paths the paths being substantially horizontal; Level-luffing jib-cranes with means, e.g. pantograph arrangements, for varying jib configura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니크레인은 건물 내벽 또는 지상에 고정시킨 후 중량물을 걸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어려운 다세대주택의 고층에 중량물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잭(50)을 이용해 중량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제 1, 2 서포터를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니크레인{Mini crane}
본 발명은 미니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벽에 고정되어 고하중의 물건을 이동시킬 수 있는 미니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기중기(起重機)라고도 한다. 크레인은 기계장치 중에서도 가장 먼저 고안된 것으로, 약 5,000년 전 고대 이집트에서 피라미드를 만들 당시에 중량물 운반용으로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인력 또는 축력(畜力)이 사용되었으나 나중에는 수력(水力)이 사용되었고, 19세기 중엽부터는 증기기관의 발달과 더불어 증기동력(蒸氣動力)이 사용되어 모빌 크레인(mobile crane)도 나타났다. 19세기 말경부터 전력(電力)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중량물 운반용 크레인이 급속히 발달하여 오늘날과 같은 여러 종류의 근대적인 크레인이 되었다.
천장 크레인은 크레인 중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공장ㅇ창고 등의 천장 부분에 설치하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붙었다. 서로 마주보는 벽을 따라 레일을 부설하고, 이 레일에 직각으로 주행하는 빔(beam)을 걸친다. 이 빔에 권양(捲揚) 및 횡행장치(橫行裝置)를 갖는 트롤리(trolley)가 부설되어 트롤리로부터 후크(hook)를 내려서 중량물을 끌어올린다.
빔의 주행과 빔 위에서의 가로움직임을 적당히 조절하면 그 건물 내의 어느 곳으로나 화물을 운반할 수가 있다. 작은 것은 사람이 지상에서 수동 쇠사슬로 운전한다. 보통은 빔에 매달린 운전실에 사람이 타고, 거기서 매달린 화물을 내려다보면서 운전을 한다.
많이 사용되는 것은 빔의 길이 6∼26m, 권양하중(捲揚荷重)은 3∼200t 정도이다. 보통형의 트롤리 대신에 호이스트(hoist)가 달린 것을 호이스트 부착 천장 크레인이라고 한다. 스팬은 6∼10m, 하중 1∼5t 정도의 소규모 운반에 적합하다.
그래브버킷(grab bucket)이 달려 있어, 산적원료(散積原料) 전용인 그래브버킷 부착 천장 크레인도 있는데, 하중은 1∼8t 정도이다. 트롤리 밑에 선회 지브가 달린 선회 지브 부착 천장 크레인은 하역의 범위를 주행 레일의 길이 이상으로 넓힐 수가 있다. 선회반지름 5∼6.3m, 하중 8t 정도이다.
이밖에 제강공장에서는 각종 작업에 적합한 전용 천장 크레인이 사용되고 있다. 어느 것이나 고열에 견디며 빈도가 높은 중작업(重作業)에 적합한 운전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중요한 것을 들면 원료 크레인ㅇ장입(裝入) 크레인ㅇ주물솥 크레인ㅇ강괴(鋼塊) 크레인ㅇ소킹 피트 크레인ㅇ단조 크레인ㅇ열처리용 크레인 등이 있다.
언로더는 광석ㅇ석탄 등의 산적화물을 하역하는 기계이며, 그래브버킷으로 담아 올려서 기계 안에 있는 벨트컨베이어에 의해서 뒤쪽으로 보내는 형식의 것이 많다. 지브 크레인, 다리형 크레인 및 이것들을 조합한 것이 있으며 형식과 종류가 매우 다양다. 이밖에 디젤기관을 동력으로 하여 도로를 이동하는 모빌 크레인, 부정지(不整地)의 하역에 적합한 캐터필러 크레인, 원기둥을 세워 대문처럼 만든 틀과 전동 윈치를 조합한 것으로 안벽하역에 가장 경제적인 진폴(gin-pole), 홀수가 낮은 상자 모양의 배 위에 지브 크레인을 장비한 플로딩 크레인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크레인은 원동기 등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주거 건물 중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다가구 건물에서는 상측으로 물건을 이송할 때 사다리차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건물 내벽에 고정되어 고하중의 물건을 이동시킬 수 있는 미니크레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컬럼모듈(10); 상기 컬럼모듈(1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수평모듈(20); 상기 컬럼모듈(10) 및 수평모듈(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모듈(20)을 지지하고 상기 수평모듈(20)이 접혀지게 안내하는 서포트모듈(30); 상기 수평모듈(20)에 설치된 후크(42)의 길이를 조절하여 물체를 들어 올리는 케이블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컬럼모듈(10)은 지면에 고정된 베이스컬럼(12)과, 상기 베이스컬럼(12)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컬럼(14)과, 상기 베이스컬럼(12) 및 상기 회전컬럼(14)을 상대 회전시키는 상대회전장치(60)를 포함하는 미니크레인을 제공한다.
상기 상대회전장치(60)는 상기 베이스컬럼(12)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컬럼(14)에 고정되는 웜축(62); 상기 웜축(62)과 치합되어 상기 웜축(62)을 회전시키는 작동기어(64); 상기 작동기어(64)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레버(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모듈(30)은 상기 회전컬럼(14)에 고정된 잭(jack, 50); 상기 컬럼브래킷(15)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 1 서포터(32); 상기 제 1 서포터(32) 및 수평브래킷(25)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 2 서포터(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잭(50)은 상기 회전컬럼(14)에 고정되는 잭베이스(52); 상기 잭베이스(5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2 지지바(53)(54); 상기 제 1, 2 지지바(53)(54)가 회전되도록 상기 잭베이스(52)와 연결시키는 제 1 핀(55); 상기 제 1, 2 지지바(53)(54)에 각각 힌지(59a)(59b) 연결되는 제 3, 4 지지바(56)(57); 상기 제 3, 4 지지바(56)(57)가 회전되도록 연결시키는 제 2 핀(58); 상기 제 1, 3 지지바(53)(56) 및 제 2, 4 지지바(54)(57)를 연결시키는 각 힌지(59a)(59b)를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상기 각 힌지(59a)(59b)의 거리를 이격 또는 축소시키는 나사조절바(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모듈(40)은 상기 수평모듈(20)에 설치된 후크(42); 상기 컬럼모듈(10)에 고정된 윈치(44); 상기 윈치(44) 및 후크(42)를 연결시키는 윈치케이블(45); 상기 컬럼모듈(10) 및 수평모듈(2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도르래(4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컬럼모듈(10); 상기 컬럼모듈(10)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중량물이 고정되어 이동되는 후크(80)를 포함하는 수평모듈(20); 상기 컬럼모듈(10) 및 수평모듈(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모듈(20)을 지지하고 상기 수평모듈(20)이 접혀지게 안내하는 서포트모듈(30); 상기 수평모듈(20)에 설치된 후크(80)와 윈치케이블(45)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윈치케이블(45)을 감거나 풀러서 상기 후크(80)의 위치를 조정하는 케이블모듈(40); 상기 컬럼모듈(10)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80)와 제어케이블(71)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어케이블(71)을 감거나 풀러서 상기 후크(80)의 위치를 조정하는 브레이크모듈(7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모듈(40)은 상기 수평모듈(20)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상기 후크(80); 상기 컬럼모듈(10)에 고정된 윈치(44); 상기 윈치(44) 및 후크(80)를 연결시키는 윈치케이블(45); 상기 컬럼모듈(10) 및 수평모듈(2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윈치케이블(45)을 지지하는 도르래(46)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모듈(70)은 상기 컬럼모듈(10)에 고정되는 브레이크박스(72); 상기 브레이크박스(72)에 설치된 바디축(7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브레이크바디(74); 상기 브레이크바디(74)와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브레이크바디(74)의 회전을 단속하는 브레이크(78); 상기 브레이크바디(74)를 회전시키는 브레이크회전레버(79); 상기 브레이크(78) 및 상기 브레이크바디(74)를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브레이크단속레버를 포함하는 미니크레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니크레인은 건물 내벽 또는 지상에 고정시킨 후 중량물을 걸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어려운 다세대주택의 고층에 중량물을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니크레인은 잭을 이용해 중량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제 1, 2 서포터를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니크레인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접힌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케이블구조가 도시된 예시도
도 5는 도 1의 회전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잭이 도시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니크레인이 도시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니크레인이 도시된 개략 정면도
도 9는 도 8의 브레이크모듈의 일부절개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후크의 정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니크레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힌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케이블구조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회전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잭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니크레인은 컬럼모듈(10)과, 상기 컬럼모듈(1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수평모듈(20)과, 상기 컬럼모듈(10) 및 수평모듈(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모듈(20)을 지지하고 상기 수평모듈(20)이 접혀지게 안내하는 서포트모듈(30)과, 상기 수평모듈(20)에 설치된 후크(42)의 길이를 조절하여 물체를 들어 올리는 케이블모듈(40)을 포함한다.
상기 컬럼모듈(10)은 지면에 고정된 베이스컬럼(12)과, 상기 베이스컬럼(12)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컬럼(14)과, 상기 베이스컬럼(12) 및 상기 회전컬럼(14)을 상대 회전시키는 상대회전장치(6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컬럼(12)은 내부에 이형철근을 삽입 후 콘크리트 몰탈을 충진하여 제작한다.
상기 회전컬럼(14)은 상기 베이스컬럼(1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컬럼(14)의 상측단(16)은 상기 수평모듈(20)과 힌지 연결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길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대회전장치(60)는 상기 베이스컬럼(12)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컬럼(14)에 고정되는 웜축(62)과, 상기 웜축(62)과 치합되어 상기 웜축(62)을 회전시키는 작동기어(64)와, 상기 작동기어(64)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레버(66)를 포함한다.
상기 웜축(62)은 웜기어형상으로 외주면에 치형이 형성되고, 회전될 때 하측단은 상기 베이스컬럼(12)과 슬립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측단은 상기 회전컬럼(14)에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웜축(62)이 회전될 때 상기 웜축(62)은 상기 회전컬럼(14)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작동기어(64)는 상기 웜기어의 치형과 치합되는 피니언 형상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피니언만 설치되었으나 회전비를 고려하여 다수개의 피니언이 결합되어 상기 레버(66)의 회전 당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66)는 본 실시예에서 수동으로 작동되고, 상기 작동기어(64)를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66)는 본 실시예와 달리 동력장치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회전되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래서 상기 레버(66)의 회전 시 상기 작동기어(64)와 치합된 웜축(62)이 회전되면서 상기 웜축(62)에 고정된 회전컬럼(14)의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대회전장치(60)의 각 회전부위에는 마찰감소를 위해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모듈(20)은 상기 상측단(16)과 힌지 연결되는 제 1 수평부(22)와, 상기 제 1 수평부(22)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는 제 2 수평부(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측단(16)은 상기 제 1 수평부(22)가 하측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 1 수평부(22)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라운드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평부(22)가 수평상태에서 상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6b)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수평부(22)는 수평상태에서 상측으로 더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수평부(24)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라운드부(22a)와, 상기 제 2 수평부(24)가 수평상태에서 하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22b)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평부(22)에는 상기 서포트모듈(30)과의 힌지 결합을 위한 수평브래킷(25)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회전컬럼(14)에는 상기 서포트모듈(30)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컬럼브래킷(15)이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모듈(30)은 상기 회전컬럼(14)에 고정된 잭(jack, 50)과, 상기 컬럼브래킷(15)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 1 서포터(32)와, 상기 제 1 서포터(32) 및 수평브래킷(25)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 2 서포터(34)를 포함한다.
상기 잭(50)은 상기 회전컬럼(14)에 고정되는 잭베이스(52)와, 상기 잭 베이스(5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2 지지바(53)(54)와, 상기 제 1, 2 지지바(53)(54)가 회전되도록 상기 잭베이스(52)와 연결시키는 제 1 핀(55)과, 상기 제 1, 2 지지바(53)(54)에 각각 힌지(59a)(59b) 연결되는 제 3, 4 지지바(56)(57)와, 상기 제 3, 4 지지바(56)(57)가 회전되도록 연결시키는 제 2 핀(58)과, 상기 제 1, 3 지지바(53)(56) 및 제 2, 4 지지바(54)(57)를 연결시키는 각 힌지(59a)(59b)를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상기 각 힌지(59a)(59b)의 거리를 이격 또는 축소시키는 나사조절바(51)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2, 3, 4 지지바(53)(54)(56)(57)는 마름모 형태로 결합되되 각 연결부분이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 1, 2 지지바(53)(54)는 제 1 핀(55)에 의해 상기 잭베이스(52)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핀(5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사조절바(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각 힌지(59a)(59b)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이격되고, 이와 같은 링크운동을 통해 상기 제 1, 2 핀(55)(58) 높낮이가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잭(50)은 상기 제 1 서포터(32) 및 상기 회전컬럼(14)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서포터(14)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잭(50)이 상기 제 1 핀(55)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 1 서포터(32)의 회전운동을 보간한다.
그래서 상기 잭(50)에 의해 상기 제 1 서포터(32)가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잭(50)에 의해 상기 제 1, 2 서포터(32)(34)에 부가된 하중이 지지된다.
특히 상기 잭(50)은 상기 수평모듈(20)이 접혀질 경우 회전되어 상기 회전컬럼(14)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결합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식 잭이 사용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서포터(32)는 제 1 서포터힌지(32a)를 통해 상기 컬럼브래킷(15)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 2 서포터(34)는 제 2 서포터힌지(34a)를 통해 상기 수평브래킷(25)과 힌지 연결된다.
상기 제 1, 2 서포터(32)(34)는 경첩(36)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모듈(20)이 접힐 때 상기 수평브래킷(25)에서 상기 제 2 서포터힌지(34a)를 분리하여 상기 수평모듈(20)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상기 케이블모듈(40)은 상기 제 2 수평부(24)에 설치된 후크(42)와, 상기 컬럼모듈(10)에 고정된 윈치(winch, 44)와, 상기 윈치(44) 및 후크(42)를 연결시키는 윈치케이블(45)과, 상기 컬럼모듈(10) 및 수평모듈(2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도르래(46)를 포함한다.
상기 윈치(44)는 원통형의 드럼에 케이블을 감아, 도르래를 이용해서 중량물(重量物)을 높은 곳으로 들어 올리거나 끌어당기는 기계이고,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계장치인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윈치(44)의 작동에 의해 상기 후크(42)의 높낮이가 변경되면서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상기 도르래(46)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럼모듈(10) 및 수평모듈(2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윈치케이블(45)이 상기 도르래(46)에 지그재그 형태로 걸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윈치케이블(45)에 걸리는 하중 중 일부를 분산시키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니크레인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중량물을 후크(42)에 걸기 위해 윈치(44)를 작동시키고, 작동된 윈치에 의해 윈치케이블(45)이 풀리면서 상기 후크(42)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후 상기 윈치(44)를 작동시켜 윈치케이블(45)을 감아서 상기 중량물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대회전장치(60)의 레버(66)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컬럼(14)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중량물을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니크레인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잭(50)의 나사조절바(51)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2 서포터(32)(34)를 접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니크레인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니크레인은 수평모듈(20)에 설치된 수평브래킷(25)이 제 1 수평부(22)에 형성된 레일(29)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수평브래킷(25)은 상기 레일(29)에 걸쳐져 이동되는 이동휠(27)이 설치되고, 상기 잭(50)의 작동 시 상기 제 1, 2 서포터(32)(34)의 상대 각도에 따라 상기 수평브래킷(25)이 레일(2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니크레인은 접을 때, 상기 수평브래킷(25)의 제 2 서포터힌지(34a)를 풀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잭(50)만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모듈(20)을 접을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한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니크레인이 도시된 개략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브레이크모듈의 일부절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후크의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니크레인은 후크(80)가 수평모듈(20)을 따라 이동되고, 브레이크모듈(70)을 통해 상기 후크(80)의 수평이동 또는 수직이동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수평모듈(20)은 상기 후크(80)가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후크레일(82)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80)는 상기 후크레일(82)을 따라 이동되는 후크롤러(84)와, 상기 후크롤러(84)와 결합되고 중량물이 고정되는 후크부(86)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롤러(84)는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각 후크레일(82)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후크부(86)는 상기 후크롤러(84)에 고정되고, 상기 브레이크모듈(70)에 제어케이블(71)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브레이크모듈(70)은 상기 컬럼모듈(10)에 고정되는 브레이크박스(72)와, 상기 브레이크박스(72)에 설치된 브레이크바디(74)와, 상기 브레이크바디(74)와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브레이크바디(74)의 회전을 단속하는 브레이크(78)와, 상기 브레이크바디(74)를 회전시키는 브레이크회전레버(79)와, 상기 브레이크(78) 및 상기 브레이크바디(74)를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브레이크단속레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바디(74)는 상기 제어케이블(71)이 감기는 와인딩부(75)와, 상기 브레이크(78)와 결합되는 브레이크부(76)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78)는 상기 브레이크레버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부(76)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레이크부(76)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부(76)와 결합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회전레버(79)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브레이크바디(74)는 바디축(73)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어케이블(71)을 감거나 풀러서 상기 후크(8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단속레버는 기계적인 조작력을 통해 상기 브레이크부(76)와의 접촉 또는 비접촉되게 하는 기구물로서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내용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상기 케이블모듈(40)과 연동된 상기 브레이크모듈(80)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브레이크(78)가 상기 브레이크바디(74)에 결합된 상태일 대, 상기 케이블모듈(40)이 작동되어 상기 윈치케이블(45)이 감기거나 풀릴 경우 상기 후크(80)와 브레이크모듈(70)의 제어케이블(71) 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후크(8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브레이크(78)가 해제된 상태일 때, 상기 윈치(44) 또는 브레이크회전레버(79)의 작동에 의해 상기 후크(80)는 상하 방향은 물론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윈치(44)에 의해 상기 윈치케이블(45)이 풀리는 길이만큼 상기 브레이크회전레버(79)를 통해 상기 제어케이블(71)이 감기면 상기 후크(80)는 도 8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상기 제어케이블(71)이 풀리는 길이만큼 상기 윈치케이블(45)이 감기면 도 8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윈치케이블(45) 및 제어케이블(71)이 감기거나 풀리는 길이에 따라서 상기 후크(80)는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고, 상기 상대 회전장치(60)와 연동될 경우, 3차원의 임의의 지점으로 상기 후크(80)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컬럼모듈 12 : 베이스컬럼
14 : 회전컬럼 20 : 수평모듈
22 : 제 1 수평부 24 : 제 2 수평부
30 : 서포트모듈 32 : 제 1 서포터
34 : 제 2 서포터 36 : 경첩
40 : 케이블모듈 42 : 걸이부
44 : 윈치 45 : 윈치케이블
46 : 도르래 50 : 잭
51 : 나사조절바 52 : 잭베이스
53 : 제 1 지지바 54 : 제 2 지지바
55 : 제 1 핀 56 : 제 3 지지바
57 : 제 4 지지바 58 : 제 2 핀
59a, 59b : 힌지 60 : 상대회전장치
62 : 웜축 64 : 작동기어
66 : 레버 70 : 브레이크모듈
71 : 제어케이블 72 : 브레이크박스
73 : 바디축 74 : 브레키크바디
75 : 와인딩부 76 : 브레이크부
78 : 브레이크 79 : 브레이크회전레버
80 : 후크 82 : 후크레일
84 : 후크롤러 86 : 후크부

Claims (6)

  1. 지면에 고정된 베이스컬럼(12)과, 상기 베이스컬럼(12)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컬럼(14)과, 상기 베이스컬럼(12) 및 상기 회전컬럼(14)을 상대 회전시키는 상대회전장치(60)를 포함하는 컬럼모듈(10);
    상기 회전컬럼(14)의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상측단(16)에 힌지 결합되는 수평모듈(20);
    상기 회전컬럼(14) 및 수평모듈(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모듈(20)을 지지하는 서포트모듈(30); 및
    상기 수평모듈(20)에 설치된 후크(42)의 길이를 조절하여 물체를 들어올리는 케이블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모듈(30)은,
    상기 회전컬럼(14)에 형성된 컬럼브래킷(15)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서포터(32);
    상기 수평모듈(20)에 형성된 수평브래킷(25) 및 제 1 서포터(32)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 2 서포트;
    상기 회전컬럼(14)과 상기 제 1 서포트(32) 사이에 설치되는 잭(50)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모듈(20)에는 레일(29)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브래킷(25)에는 이동휠(27)이 설치되어, 상기 잭(5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평모듈(20)이 아래 방향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크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회전장치(60)는
    상기 베이스컬럼(12)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컬럼(14)에 고정되는 웜축(62);
    상기 웜축(62)과 치합되어 상기 웜축(62)을 회전시키는 작동기어(64);
    상기 작동기어(64)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레버(66)를 포함하는 미니크레인.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잭(50)은
    상기 회전컬럼(14)에 고정되는 잭베이스(52);
    상기 잭베이스(5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2 지지바(53)(54);
    상기 제 1, 2 지지바(53)(54)가 회전되도록 상기 잭베이스(52)와 연결시키는 제 1 핀(55);
    상기 제 1, 2 지지바(53)(54)에 각각 힌지(59a)(59b) 연결되는 제 3, 4 지지바(56)(57);
    상기 제 3, 4 지지바(56)(57)가 회전되도록 연결시키는 제 2 핀(58);
    상기 제 1, 3 지지바(53)(56) 및 제 2, 4 지지바(54)(57)를 연결시키는 각 힌지(59a)(59b)를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상기 각 힌지(59a)(59b)의 거리를 이격 또는 축소시키는 나사조절바(51)를 포함하는 미니크레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모듈(40)은
    상기 수평모듈(20)에 설치된 후크(42);
    상기 컬럼모듈(10)에 고정된 윈치(44);
    상기 윈치(44) 및 후크(42)를 연결시키는 윈치케이블(45);
    상기 컬럼모듈(10) 및 수평모듈(2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도르래(46)를 포함하는 미니크레인.
  6. 컬럼모듈(10); 상기 컬럼모듈(10)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중량물이 고정되어 이동되는 후크(80)를 포함하는 수평모듈(20); 상기 컬럼모듈(10) 및 수평모듈(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모듈(20)을 지지하고 상기 수평모듈(20)이 접혀지게 안내하는 서포트모듈(30); 상기 수평모듈(20)에 설치된 후크(80)와 윈치케이블(45)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윈치케이블(45)을 감거나 풀러서 상기 후크(80)의 위치를 조정하는 케이블모듈(40); 상기 컬럼모듈(10)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80)와 제어케이블(71)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어케이블(71)을 감거나 풀러서 상기 후크(80)의 위치를 조정하는 브레이크모듈(7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모듈(40)은
    상기 수평모듈(20)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상기 후크(80); 상기 컬럼모듈(10)에 고정된 윈치(44); 상기 윈치(44) 및 후크(80)를 연결시키는 윈치케이블(45); 상기 컬럼모듈(10) 및 수평모듈(2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윈치케이블(45)을 지지하는 도르래(46)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모듈(70)은
    상기 컬럼모듈(10)에 고정되는 브레이크박스(72); 상기 브레이크박스(72)에 설치된 바디축(7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브레이크바디(74); 상기 브레이크바디(74)와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브레이크바디(74)의 회전을 단속하는 브레이크(78); 상기 브레이크바디(74)를 회전시키는 브레이크회전레버(79); 상기 브레이크(78) 및 상기 브레이크바디(74)를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브레이크단속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모듈(30)은,
    상기 컬럼모듈(10)에 형성된 컬럼브래킷(15)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서포터(32);
    상기 수평모듈(20)에 형성된 수평브래킷(25) 및 제 1 서포터(32)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 2 서포트;
    상기 컬럼모듈(10)과 상기 제 1 서포트(32) 사이에 설치되는 잭(50)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모듈(20)에는 레일(29)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브래킷(25)에는 이동휠(27)이 설치되어, 상기 잭(5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평모듈(20)이 아래 방향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크레인.
KR1020120089835A 2012-08-17 2012-08-17 미니크레인 KR10123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35A KR101239990B1 (ko) 2012-08-17 2012-08-17 미니크레인
PCT/KR2012/006816 WO2014027712A1 (ko) 2012-08-17 2012-08-27 미니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35A KR101239990B1 (ko) 2012-08-17 2012-08-17 미니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990B1 true KR101239990B1 (ko) 2013-03-07

Family

ID=4818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835A KR101239990B1 (ko) 2012-08-17 2012-08-17 미니크레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39990B1 (ko)
WO (1) WO201402771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523A (ko) * 2015-05-07 2016-11-16 권동현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KR101739392B1 (ko) 2015-06-24 2017-06-08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플레어팁 교체용 크레인의 설치방법
KR101833768B1 (ko) * 2017-07-14 2018-03-02 (주)하나이엔엠 폴드 암 터닝 윈치
CN113579881A (zh) * 2020-04-30 2021-11-02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打磨设备及具有其的打磨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4786A (zh) * 2017-11-28 2018-03-16 湖北省磊源石业有限公司 板材的洗板防护架
CN108657913B (zh) * 2018-07-19 2023-08-15 长春工业大学 一种小型货物载运装置
CN109368511A (zh) * 2018-11-12 2019-02-22 颍上县聚鑫再生资源有限公司 一种提升装置
CN113944191B (zh) * 2021-10-25 2023-05-12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基于管井施工用可调节式设备水平臂杆及其调节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516Y1 (ko) * 1987-06-03 1990-04-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철구조물의 아노드취부용 리프터
KR940011339A (ko) * 1992-11-05 1994-06-21 김철수 소형 기중기
KR950005587Y1 (ko) * 1992-12-30 1995-07-14 윤정남 타워엘리베이터의 카 브레이크
JP2003341983A (ja) * 2002-05-28 2003-12-03 Yamasan Shoji:Kk 簡易クレーン付き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747B1 (ko) * 1994-01-29 1997-06-30 김만복 중소형차량부착용 크레인
US7419347B1 (en) * 2005-11-28 2008-09-02 Cormier John D Hitch-attached tool support apparatus with cra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516Y1 (ko) * 1987-06-03 1990-04-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철구조물의 아노드취부용 리프터
KR940011339A (ko) * 1992-11-05 1994-06-21 김철수 소형 기중기
KR950005587Y1 (ko) * 1992-12-30 1995-07-14 윤정남 타워엘리베이터의 카 브레이크
JP2003341983A (ja) * 2002-05-28 2003-12-03 Yamasan Shoji:Kk 簡易クレーン付き車両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523A (ko) * 2015-05-07 2016-11-16 권동현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KR101700871B1 (ko) 2015-05-07 2017-01-31 권동현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KR101739392B1 (ko) 2015-06-24 2017-06-08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플레어팁 교체용 크레인의 설치방법
KR101833768B1 (ko) * 2017-07-14 2018-03-02 (주)하나이엔엠 폴드 암 터닝 윈치
CN113579881A (zh) * 2020-04-30 2021-11-02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打磨设备及具有其的打磨机器人
CN113579881B (zh) * 2020-04-30 2022-10-18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打磨设备及具有其的打磨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7712A1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990B1 (ko) 미니크레인
CN102471042B (zh) 移动式起重机
CN103964316B (zh) 多功能多用途门座式起重机
CN105934402B (zh) 双悬臂回转式基座起重机
CN101665213B (zh) 集装箱轻型旋转吊具
CN201236108Y (zh) 内河港口岸边集装箱起重机
CN205151582U (zh) 新型齿条变幅单臂架多用途固定起重机
KR20030012146A (ko)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
CN201560066U (zh) 一种轻型装卸用新型门机
CN210313286U (zh) 一种轻质隔墙条板场内吊运装置
CN102182167B (zh) 用于坝体闸门的斜拉双向门式启闭机
KR200448240Y1 (ko) 다용도 타워 크레인
US6669038B1 (en) Self-propelled crane
CN1666948A (zh) 内爬升多钩塔式起重机和深矿井绞车
CN101613057B (zh) 一种多吊点起重机起升机构
CN110760634A (zh) 一种高炉炉壳安装方法
RU189865U1 (ru) Башенный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кран
CN114772490A (zh) 一种异步挂篮带锚定系统回转吊机施工方法
CN201433064Y (zh) 一种多吊点起重机起升机构
CN203428739U (zh) 钢卷翻转吊具
CN202023178U (zh) 用于坝体闸门的斜拉双向门式启闭机
CN205419582U (zh) 一种楼层起重机
CN219990959U (zh) 一种吊装设备
CN213505587U (zh) 一种t梁吊装用固定机构
CN107963564A (zh) 一种起重机用钢丝绳收卷防缠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