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660A - 이동식 크레인 - Google Patents

이동식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660A
KR20100004660A KR1020080064955A KR20080064955A KR20100004660A KR 20100004660 A KR20100004660 A KR 20100004660A KR 1020080064955 A KR1020080064955 A KR 1020080064955A KR 20080064955 A KR20080064955 A KR 20080064955A KR 20100004660 A KR20100004660 A KR 20100004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saddle
girder
moving beam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5545B1 (ko
Inventor
남기영
Original Assignee
(주)대일씨에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일씨에프티 filed Critical (주)대일씨에프티
Priority to KR1020080064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54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66C11/20Arrangements, e.g. comprising differential gears, enabling simultaneous or selective operation of travelling and hoisting gear; Arrangements using the same rope or cable for both travelling and hoisting, e.g. in Temperley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2Control of the secondary movements, e.g. travelling, slewing, luffing of the jib, changing of the range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 또는 중량물에 대해 이동을 실시할 때 수직방향과 수평방향 및 횡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이동식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이웃한 창고 또는 공장에 손쉽게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과 작업 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호이스트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격 조정기를 통해 호이스트를 작동할 수 있는 이동식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이동, 호이스트, 새들부, 거더부, 이동빔, 횡 방향

Description

이동식 크레인{Movable Type Crane}
본 발명은 각종 공장, 항만, 창고 등에서 재료나 제품을 들어올려 수직 또는 수평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식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Crane)은 중량물을 들어올려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를 칭하며, 기중기(起重機)라고도 한다. 이러한 크레인은 각종 공장, 항만, 창고 등에서 재료나 제품 또는 기타 중량물을 입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쓰이며, 호이스트나 체인블록에 비하여 한층 무거운 중량물을 다루는데 사용된다.
한편, 천정크레인은 크레인의 종류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공장의 천장 부분에 설치하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사용되었다. 상기한 천정크레인은 서로 마주보는 벽을 따라 레일을 부설하고, 상기 레일에 직각으로 주행하는 빔(Beam)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빔에 권양(捲楊) 및 횡행(橫行)장치를 갖는 트롤리(Trolley)가 부설되어 트롤리로부터 후크(Hook)를 내려서 중량물을 끌어올린다.
빔의 주행과 빔 위에서의 가로 움직임을 적당히 조절하면 건물 내의 어느 장소에도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다. 작은 것은 사람이 수동으로 운전하나, 보통은 빔 에 매달린 운전실에 사람이 타고, 상기 운전실에서 후크에 매달린 중량물을 내려 다 보면서 운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크레인은 레일이 설치된 길이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크레인이 이동 가능하나, 횡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은 레일을 따라 이동된 화물 또는 자재를 옆 건물 또는 작업장으로 이동하기 위해 화물 차량을 이용하여 적재한 후에 다시 이동하여 작업장으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운반 및 적재에 따른 시간 소모와 함께 작업 효율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운반 및 적재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배재할 수 없어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과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식 크레인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효율 향상과 안전 사고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은 철골 구조물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새들부와; 상기한 새들부의 상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거더부와; 상기한 거더부 하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부에 연결되어 횡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빔; 및 상기한 이동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후크가 구비된 호이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새들부에는 새들 프레임의 내측 일단에 구비된 구동휠과, 상기한 새들 프레임의 내측 타단에 위치하고 구동휠과 마주보게 설치되는 종동휠과, 일단이 상기한 구동휠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종동휠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한 구동휠의 회전력을 종동휠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와, 상기한 구동휠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한 새들 프레임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새들부에는 레일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새들부가 설정된 작동 영역 이외로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감지스위치와, 상기한 제1 감지스위치와 간섭되어 새들부의 작동이 중지 가능하도록 새들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가압편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거더부는 역 삼각형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한 메인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 부재를 매개로 연결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거더부의 서브 프레임에는 길이 방향의 내측 양단부상에 이동빔의 과도한 횡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메인 프레임의 상부폭을 b1이라 하고, 서브 프레임의 상부폭을 b2라고 정의할 때, 상기한 b2는 1/5*b1의 비례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동부는 서브 프레임의 길이 방향 상에 각각 이격 설치되되, 상기한 서브 프레임의 양단부에서 이동빔이 좌, 우 횡 방향으로 이동시 최대로 이동 가능한 거리 ℓ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빔에는 새들부와 동시에 이동되는 거더부가 이동시에 상기한 이동빔의 이동 상태를 록킹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한 거더부가 정지되고 이동빔이 횡 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한 이동빔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록킹부가 이동빔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록킹부는 이동빔의 전체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L/2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록킹부는 이동빔의 상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한 모터에 구비된 모터축과 연결되어 거더부를 향해 승, 하강 되는 록킹바와, 상기한 거더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록킹바의 승, 하강에 따라 온, 오프 작동되는 감지 스위치가 구비된 록킹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새들부와, 거더부와, 이동빔 및 호이스트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콘트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에 구비된 후크에는 상기한 호이스트에 적재되는 화물의 과도한 적재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로드 리미트 스위치(Load Limit Switch)와, 호이스트의 과권상을 방지하는 어퍼 리미트 스위치(Upper Limit Switch)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빔에는 횡 방향으로 이동시 주변 구조물 또는 장비와 충돌시 상기한 이동빔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제2 감지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의 평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에 구비된 새들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에 구비된 거더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에 구비된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구비된 크레인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의 작동 상태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1)은 철골 구조물에 설치된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는 새들부(100)와; 상기한 새들부(100)의 상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거더부(200)와; 상기한 거더부(200) 하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부(310)에 연결되어 횡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빔(300); 및 상기한 이동빔(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후크(410)가 구비된 호이스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새들부(100)에는 새들 프레임(110)의 내측 일단에 구비된 구동휠(120)과, 상기한 새들 프레임(110)의 내측 타단에 위치하고 구동휠(120)과 마주보게 설치되는 종동휠(130)과, 일단이 상기한 구동휠(120)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종동휠(13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한 구동휠(120)의 회전력을 종동휠(130)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140)와, 상기한 구동휠(12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한 새들 프레임(110)이 레일(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동휠(120)과 종동휠(130)은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측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한 홈이 레일에 삽입되면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새들부(100)에는 레일(1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새들부가 설정된 작동 영역 이외로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감지스위치(102) 와, 상기한 제1 감지스위치(102)와 간섭되어 새들부(100)의 작동이 중지 가능하도록 새들 프레임(110)의 양측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가압편(104)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거더부(200)는 역 삼각형 형상의 메인 프레임(210)과, 상기한 메인 프레임(210)의 하측에 고정 부재(220)를 매개로 연결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거더부(200)의 서브 프레임(230)에는 길이 방향의 내측 양단부상에 이동빔(300)의 과도한 횡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240a,240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메인 프레임(210)의 상부폭을 b1이라 하고, 서브 프레임(230)의 상부폭을 b2라고 정의할 때, 상기한 b2는 1/5*b1의 비례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왜냐하면, b1의 폭에 따른 b2의 폭이 최적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 한데, 하중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b1의 폭에 따른 상기한 b2의 폭이 지나치게 넓은 폭을 가질 경우에 구조적으로는 안전할 수 있으나, 서브 프레임(230)과의 연결성이 저하되고, 너무 작은 폭을 가질 경우에는 구조적인 안전성이 현저하게 약해지므로, 상기한 b1의 폭에 따른 b2의 폭이 1/5*b1의 비례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구동부(310)는 서브 프레임(230)의 길이 방향 상에 각각 이격 설치되되, 상기한 서브 프레임(230)의 양단부에서 이동빔(300)이 좌, 우 횡 방향으로 이동시 최대로 이동 가능한 거리 ℓ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빔(300)에는 새들부(100)와 동시에 이동되는 거더부(200)가 이동시에 상기한 이동빔(300)의 이동 상태를 록킹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한 거더부(200)가 정지되고 이동빔(300)이 횡 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한 이동빔(30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록킹부(500)가 이동빔(30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록킹부(500)는 이동빔(300)의 전체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L/2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왜냐하면, 이동빔(300)이 거더부(200)에 안정적인 설치 유지와 함께 상기한 거더부(200)의 하측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균형적인 무게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위와 같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록킹부(500)는 이동빔(300)의 상측에 설치되는 모터(510)와, 상기한 모터(510)에 구비된 모터축과 연결되어 거더부(200)를 향해 승, 하강 되는 록킹바(520)와, 상기한 거더부(200)의 하측에 설치되며 록킹바(520)의 승, 하강에 따라 온, 오프 작동되는 감지 스위치(530)가 구비된 록킹 하우징(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새들부(100)와, 거더부(200)와, 이동빔(300) 및 호이스트(400)는 제어부(600)에 의해 작동이 콘트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호이스트(400)에 구비된 후크(410)에는 상기한 호이스트(400)에 적재되는 화물의 과도한 적재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로드 리미트 스위치(Load Limit Switch)(412)와, 호이스트(400)의 과권상을 방지하는 어퍼 리미트 스위 치(Upper Limit Switch)(41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빔(300)에는 횡 방향으로 이동시 주변 구조물 또는 장비와 충돌시 상기한 이동빔(300)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제2 감지 스위치(3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1)은 작업자(2)에 의해 조정되는 무선 리모콘에 의해 철골 구조물의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되, 상기한 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첨부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도시된 곳에 위치한 이동식 호이스트(1)는 작업자(2)에 의해 조작된 무선 리모콘의 신호가 수신기(30)(도 5 참조)에 전송되고, 상기한 수신기(30)는 무선 리모콘의 작동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600)(도 5 참조)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600)는 수신기(30)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에 따라 새들부(100)(도 3a 참조)의 구동모터(150)(도 3a 참조)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한 구동모터(150)의 모터축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구동모터(150)의 모터축이 회전 작동되면서, 모터축과 연결 설치된 구동휠(120)이 회전 작동되고, 상기한 구동휠(120)의 외주면에 연결 설치된 전달 부재(140)가 회전되면서 종동휠(130)이 동시에 회전 작동되도록 상기한 제어부(600)의 제어 신호가 제1 호이스트 모터(416)에 전송된다.
상기한 새들부(100)에 구비된 구동모터(150)에 의해 전달 부재(140)가 회전 작동되면서 이동식 호이스트(1)의 새들부(100)는 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작업자(2)는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이동식 호이스트(1)가 정지되도록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구동모터(15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첨부된 도 7b를 참조하면, 작업자(2)(도 7a 참조)는 새들부(100)가 정지된 상태에서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수신기(30)에 작동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한 작동 신호는 제어부(600)에 전송되어 호이스트(400)에 설치된 제1 호이스트 모터(416)(도 6a 참조)가 작동된다.
상기한 호이스트 모터(416)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417)가 하강되고, 상기한 와이어(417)(도 6b참조)와 연결된 후크(410) 또한 하향 된다. 작업자(2)는 이동시킬 철근(20)이 위치한 곳까지 상기한 후크(410)를 하향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철근(20)에 후크(410)를 연결하고,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수신기(30)에 신호를 전송시키면 제어부(600)에 의해 호이스트 모터(416)가 작동된다.
상기한 제1 호이스트 모터(416)가 최초 회전된 반대 반향으로 작동되면서 후크(410)와 연결된 철근(20)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빔을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이동식 크레인을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1)은 새들부(100)와 동시에 이동되는 거더부(200)가 이동시에는 이동빔(300)이 횡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록킹부(500)에 구비된 록킹바(520)의 단부가 하우징(540)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상기한 이동빔(300)은 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b의 상태로 이동빔(300)을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무선리모콘의 조작 버튼을 작동시켜 록킹부(500)에 구비된 모터(510)를 작동시킨다.
상기한 모터(510)의 작동에 의해 모터축은 일 방향으로 회전 작동되고, 상기한 모터축과 연결 설치된 록킹바(520)는 하향 작동된다. 상기한 록킹바(520)가 하향 작동되면서 록킹 하우징(540)에 설치되어 상기한 록킹바(520)의 승, 하강 상태에 따라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 스위치(530)가 제어부(600)에 해당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한 제어부(600)는 이를 연산하여 구동부(310)가 즉시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 시킨다.
본 발명의 구동부(310)에 구비된 구동모터(312)는 제어부(600)의 작동 신호에 의해 이동빔(300)이 이동되도록 작동되고, ℓ의 위치만큼 횡 방향으로 이동된다. 만약, 상기한 구동부(310)가 ℓ의 위치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이동될 경우에는 거더부(200)의 서브 프레임(230)에 설치된 제2 감지 스위치(240a)에 의해 상기한 이동빔(300)의 과도한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이동빔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호이스트의 이동 상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400)는 작업자(2)에 의해 무선 리모콘이 작동되면서 수신기(30)에 해당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한 수신 기(30)에 수신된 신호는 제어부(600)로 전송된다. 상기한 제어부(600)는 이를 연산하여 호이스트(400)에 구비된 제2 호이스트 모터(402)를 작동시킨다.
상기한 제2 호이스트 모터(402)에 의해 호이스트(400) 전체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빔(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기한 호이스트(400)가 이동빔(3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한 이동빔(300)의 내측 양단부에 설치된 스톱퍼(320)에 의해 상기한 호이스트(400)의 과도한 횡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한 이동빔(300)은 이동식 호이스트(1)가 설치된 영역의 횡 방향으로 ℓ의 거리 만큼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한 이동식 호이스트(1)가 설치된 건물에서 이웃한 다른 건물로의 화물 또는 철근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첨부된 도 7d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위와 같은 상태에서 호이스트(400)의 후크(410)에 적재된 철근(20)을 다른 건물의 바닥에 하강시키기 위해서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킨다.
상기한 무선 리코콘에 의해 제1 호이스트 모터(416)가 작동되고, 상기한 제1 호이스트 모터(416)와 연결된 와이어(417)가 하강 되어 철근(20)의 이동이 완료된다.
작업자는 제1 호이스트 모터(416)와 연결된 와이어(417)가 권취 되도록 제1 호이스트 모터(416)에 작동 신호를 전송시켜 와이어(417)와 연결된 후크(410)가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2)는 호이스트(400)가 이동빔(300)의 중간 위치 에 위치되도록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제어부(600)에 작동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한 제어부(600)는 제2 호이스트 모터(402)에 작동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한 호이스트(400)를 이동시킨다.
상기한 호이스트(400)가 이동빔(300)의 중간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한 이동빔(300)을 이동시킨다. 상기한 이동빔(300)의 이동 상태는 위에서 설명한 순서의 반대 순서이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빔(300)이 거더부(200)의 중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2)는 록킹부(500)와 거더부(200) 상호 간에 록킹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무선 리모콘을 조작하여 록킹바(520)가 승강 되도록 모터(510)를 작동시킨다.
상기한 록킹바(520)가 승강되면서 감지 스위치(53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600)에 전송하고 상기한 제어부(600)는 이를 전송받아 새들부(100)와 연결된 거더부(200)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었음을 판단하여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식 호이스트(1) 전체를 이동시켜 또 다른 철근 또는 중량물을 이동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2)가 무선 리모콘을 조작하여 이동식 크레인(1)이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호이스트(400)의 와이어(417)에 연결 설치된 조작부(4)를 작동시켜 이동식 크레인(1)의 전체적인 작동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의 작동 도중 발생 가능한 돌발 상황 및 이에 따른 대응 방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크레인(1)은 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한 레일(10)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으나, 통상적으로 수십 미터의 길이를 갖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한 이동식 크레인(1)은 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 작업자(2)의 순간적인 부주의 또는 작업자(2)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설치된 이동식 크레인(1)의 설치 위치 때문에 지상에서 바라보는 작업자(2)의 시선과 실제 이동되는 이동식 크레인(1)의 작동에 오류가 발생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1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완전히 이동될 때 철골 구조물상에 설치된 레일(10)의 설치 범위를 벗어나서 레일(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감지 스위치(102)가 설치되어 새들부(100)에 구비된 가압편(104)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한 제1 감지 스위치(102)의 감지 신호가 제어부(600)에 전달되어 새들부(100)의 이동이 중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거더부(200)에는 서브 프레임(230)의 내측 좌, 우 양단부 상에 구동부(31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여 이동빔(300)의 안정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 감지 스위치(320)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한 이동빔(300)이 횡 방향으로 이동시 안전 이동 거리 ℓ을 초과하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후크(410) 에는 호이스트(400)에 적재되는 화물의 과도한 적재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로드 리미트 스위치(Load Limit Switch)(412)(도 6a 참조)가 구비되어 있어서 화물 적재시 상기한 로드 리미트 스위치(412)에서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600)에 전송되고, 상기한 제어부(600)는 이를 판단하여 상기한 화물이 호이스트(400)에 적재 가능할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호 이스트(400)가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호이스트(400)에는 과권상을 방지하는 어퍼 리미트 스위치(Upper Limit Switch)(414)가 설치되어 있어서 화물 권상시 빠른 속도로 권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호이스트는 횡 방향으로 화물 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과 함께 안전 사고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 효율이 향상되어 보다 빠르고 안전한 화물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호이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호이스트의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호이스트에 구비된 새들부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호이스트에 구비된 거더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호이스트에 구비된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구비된 호이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호이스트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새들부 200 : 거더부
300 : 이동빔 400 : 호이스트
500 : 록킹부 510 : 모터
520 : 록킹바 600 : 제어부

Claims (13)

  1. 철골 구조물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새들부;
    상기한 새들부의 상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거더부;
    상기한 거더부 하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부에 연결되어 횡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빔; 및
    상기한 이동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후크가 구비된 호이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부에는 새들 프레임의 내측 일단에 구비된 구동휠, 상기한 새들 프레임의 내측 타단에 위치하고 구동휠과 마주보게 설치되는 종동휠, 일단이 상기한 구동휠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종동휠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한 구동휠의 회전력을 종동휠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 상기한 구동휠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한 새들 프레임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부에는 레일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새들부가 설정된 작동 영역 이외로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감지스위치, 상기한 제1 감지스위치와 간 섭되어 새들부의 작동이 중지 가능하도록 새들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가압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부는 역 삼각형 형상의 메인 프레임, 상기한 메인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 부재를 매개로 연결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부의 서브 프레임에는 길이 방향의 내측 양단부상에 이동빔의 과도한 횡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폭을 b1이라 하고, 서브 프레임의 상부폭을 b2라고 정의할 때, 상기한 b2는 1/5*b1의 비례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7. 제1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서브 프레임의 길이 방향 상에 각각 이격 설치되되, 상기한 서브 프레임의 양단부에서 이동빔이 좌, 우 횡 방향으로 이동시 최대로 이동 가능한 거리 ℓ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빔에는 새들부와 동시에 이동되는 거더부가 이동시에 상기한 이동빔의 이동 상태를 록킹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한 거더부가 정지되고 이동빔이 횡 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한 이동빔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록킹부가 이동빔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이동빔의 전체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L/2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이동빔의 상측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한 모터에 구비된 모터축과 연결되어 거더부를 향해 승, 하강 되는 록킹바, 상기한 거더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록킹바의 승, 하강에 따라 온, 오프 작동되는 감지 스위치가 구비된 록킹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부와, 거더부와, 이동빔 및 호이스트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콘트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에 구비된 후크에는 상기한 호이스트에 적재되는 화물의 과도한 적재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로드 리미트 스위치(Load Limit Switch)와, 호이스트의 과권상을 방지하는 어퍼 리미트 스위치(Upper Limit Switch)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빔에는 횡 방향으로 이동시 주변 구조물 또는 장비와 충돌시 상기한 이동빔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제2 감지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이스트.
KR1020080064955A 2008-07-04 2008-07-04 이동식 크레인 KR101025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955A KR101025545B1 (ko) 2008-07-04 2008-07-04 이동식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955A KR101025545B1 (ko) 2008-07-04 2008-07-04 이동식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60A true KR20100004660A (ko) 2010-01-13
KR101025545B1 KR101025545B1 (ko) 2011-03-29

Family

ID=4181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955A KR101025545B1 (ko) 2008-07-04 2008-07-04 이동식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5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570B1 (ko) * 2011-02-11 2011-07-12 김근수 모노레일형 크레인거더의 단면구성방법
CN106032258A (zh) * 2015-03-16 2016-10-19 任丘市永基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混凝土箱式组合模具板运输技术
KR101715302B1 (ko) * 2016-09-28 2017-03-10 이윤호 호이스트 크레인 래칭 장치
KR102283705B1 (ko) * 2021-03-29 2021-07-29 조덕래 천정 로봇 크레인
KR102544154B1 (ko) * 2023-01-20 2023-06-15 박현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4066Y2 (ko) * 1975-06-06 1980-06-09
JPH0840683A (ja) * 1994-08-02 1996-02-13 Hitachi Zosen Corp 天井走行クレーン
JP2000109284A (ja) * 1998-10-05 2000-04-18 Nippon Hoist Kk ホイスト式天井クレーン
KR20020048082A (ko) * 2000-12-16 2002-06-22 이구택 호이스트 상승 제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570B1 (ko) * 2011-02-11 2011-07-12 김근수 모노레일형 크레인거더의 단면구성방법
CN106032258A (zh) * 2015-03-16 2016-10-19 任丘市永基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混凝土箱式组合模具板运输技术
KR101715302B1 (ko) * 2016-09-28 2017-03-10 이윤호 호이스트 크레인 래칭 장치
KR102283705B1 (ko) * 2021-03-29 2021-07-29 조덕래 천정 로봇 크레인
KR102544154B1 (ko) * 2023-01-20 2023-06-15 박현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545B1 (ko)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0307B1 (en) Load carrying platform shuttle
KR101025545B1 (ko) 이동식 크레인
KR20140057756A (ko)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CN114476918A (zh) 一种车架以及悬挂式运输车吊具
KR200448240Y1 (ko) 다용도 타워 크레인
KR20160086573A (ko) 크레인
JP7182955B2 (ja) 荷役装置及び荷役装置の運転方法
KR100723643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KR20140052554A (ko)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KR200424489Y1 (ko) 싱글레일형 크레인 구조
CN115215211A (zh) 一种悬挂式集装箱运输系统装卸装置
JP4187445B2 (ja) クレーン
JPH085197Y2 (ja) シヤトルブーム式ジブクレーン
KR101325534B1 (ko) 화물용 호이스트를 구비하는 건설용 엘리베이터
JPH0585785U (ja) 自動水平吊りビーム
KR101752551B1 (ko)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KR102132481B1 (ko) 크레인 충돌 방지 시스템
TWM579175U (zh) Built-in trolley crane
JP2932879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JPH0581180U (ja) 連動クレーン装置
CN115744607B (zh) 应用于高房梁的组合式行车的防干涉、防摇系统
KR200415071Y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KR100578077B1 (ko) 컨테이너의 흔들림을 제어하는 컨테이너이송장치
JP5334652B2 (ja) 岸壁クレーン
KR101488700B1 (ko)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