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154B1 -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154B1
KR102544154B1 KR1020230009077A KR20230009077A KR102544154B1 KR 102544154 B1 KR102544154 B1 KR 102544154B1 KR 1020230009077 A KR1020230009077 A KR 1020230009077A KR 20230009077 A KR20230009077 A KR 20230009077A KR 102544154 B1 KR102544154 B1 KR 102544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panel
crane
booth
work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순
Original Assignee
박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순 filed Critical 박현순
Priority to KR1020230009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4Devices for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용접 작업장에 설치된 이동 지지 비임(1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크레인(120)을 이용하여 용접 대상물(10)을 워크 테이블(130)에 옮겨서 용접 작업을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Welding system including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에 의해 용접 대상물을 워크 테이블 쪽으로 이동시켜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은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금속재료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고체 사이에 직접 결합이 되도록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압접을 사용하는 재료에는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이 연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며 상온에서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용접이 가능하여 냉간압접이라고 한다.
용접결과의 좋고 나쁨을 용접성이라고하는데 이것에는 용접 시 그 대상이 되는 모재, 용접봉, 작업조건의 모든 것이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인 용접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것이 보통이다. 즉, 용접을 위해 작업자가 용접 대상물 쪽으로 이동하여 용접 대상물에 대한 용접 작업을 진행하는데, 이처럼 작업자가 용접 대상물을 용접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것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라 하겠다.
한국등록특허 제10-2469511호(2022년11월17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469511호(2022년11월17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779781호(2017년09월13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274541호(2000년09월14일 등록)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용접 대상물을 워크 테이블 쪽으로 이동시켜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이나 용접 안정성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유리한 새로운 구성의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작업장에 설치된 이동 지지 비임(1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크레인(120)을 이용하여 용접 대상물(10)을 워크 테이블(130)에 옮겨서 용접 작업을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 지지 비임(12)은 수직 비임편(12A)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비임편(12B)과 하부 비임편(12C)을 구비한 단면 티자형 비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크레인(120)은, 크레인 바디(121); 상기 크레인 바디(121)의 전후 양쪽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지지 비임(12)의 전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크레임 비임의 상기 하부 비임편(12C)의 상면에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얹혀진 복수개의 이동 구동 지지 롤러(122)와 아이들 이동 지지 롤러(123); 상기 크레인 바디(121)에 장착되며 모터축이 상기 이동 구동 지지 롤러(122)의 중심부에 구비된 롤러축에 회전력 전달수단을 매개로 결합된 이동 구동모터(124); 상기 크레인 바디(121)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권취 구동모터(125MO)의 모터축에 중심부가 결합된 권취 드럼(125); 상기 권취 드럼(125)의 외주면에 와인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쇠사슬(126); 상기 쇠사슬(126)에 결합된 행거 후크(127)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후크(127)에 용접 대상물(10)을 걸어주고, 상기 이동 구동모터(12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 지지 롤러를 상기 이동 지지 비임(12)의 상기 하부 비임편(12C)의 상면에서 롤링시킴으로써, 상기 크레인(120)과 함께 상기 용접 대상물(10)을 워크 테이블(130) 쪽으로 이송시켜서 용접 대상물(10)을 워크 테이블(130) 위에 올려놓고, 상기 이동 구동모터(124)의 구동에 의해 상기 크레인(120)을 원위치로 후퇴시킨 다음 상기 워크 테이블(130) 위에 올려진 용접 대상물(10)을 용접 토치에 의해 용접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크 테이블(130)은, 용접 작업장의 지면에 지지되는 바텀 베이스 패널(131); 상기 바텀 베이스 패널(131)의 상면에 지지되어 수직 설치되며 상기 바텀 베이스 패널(131)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높이 조절 실린더(132); 복수개의 높이 조절 실린더(132)의 피스톤 로드 상단부에 결합된 중간 지지 패널(133); 상기 중간 지지 패널(133)의 상면에 지지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며 상기 중간 지지 패널(133)의 전후 좌우 위치에 배치된 네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 네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 중에서 옆으로 나란한 두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의 피스톤 로드 상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받침편(135); 상기 중간 지지 패널(133)의 중심부에 지지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원형관 형상의 상판 결합 지지 포스트(136); 상기 상판 결합 지지 포스트(1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판 회전 지지 바아(137); 상기 상판 회전 지지 바아(137)에 저면 중심부가 결합된 테이블 상판(1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크레인에 의해 용접 대상물이 이동되어 와서 워크 테이블의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 위에 용접 대상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용접 토치를 이용하여 용접 대상물의 필요한 용접 부위를 용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용접 대상물을 옮길 때에 크레인을 이용하게 되므로,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워크 테이블에 용접 대상물을 옮겨오는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지고, 나아가 용접 작업장에서의 안전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크레인 부분과 워크 테이블 부분을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에 의해 용접되기 위한 용접 대상물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접 대상물을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크레인 부분과 워크 테이블 부분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크레인 부분의 일부 확대된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크레인의 주요부인 크레인 바디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크레인이 이동 지지 비임에 두 개가 결합된 상태와 용접 대상물이 워크 테이블에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주요부인 그립퍼 유닛을 크레인의 행거 후크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크레인의 행거 후크와 그립퍼 유닛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주요부인 그립퍼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우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또 다른 주요부인 워크 테이블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용접 부스에 워크 테이블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우측면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정면도,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워크 테이블에 용접 대상물이 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정면도,
도 19는 도 17의 정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용접 부스에 연결되기 위한 집진관과 집진기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용접 부스에 집진관을 매개로 집진기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2는 도 도 20에 도시된 용접 부스에 집진관을 매개로 집진기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주요부인 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테이블 상판과 용접 대상물을 상승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크레인 부분과 워크 테이블 부분을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에 의해 용접되기 위한 용접 대상물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접 대상물을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크레인 부분과 워크 테이블 부분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크레인 부분의 일부 확대된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크레인의 주요부인 크레인 바디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크레인이 이동 지지 비임에 두 개가 결합된 상태와 용접 대상물이 워크 테이블에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은 용접 작업장에 설치된 이동 지지 비임(1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크레인(120)을 이용하여 용접 대상물(10)을 워크 테이블(130)에 옮겨서 용접 작업을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 지지 비임(12)은 수직 비임편(12A)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비임편(12B)과 하부 비임편(12C)을 구비한 단면 티자형 비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레인(120)은, 크레인 바디(121); 상기 크레인 바디(121)의 전후 양쪽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지지 비임(12)의 전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크레임 비임의 상기 하부 비임편(12C)의 상면에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얹혀진 복수개의 이동 구동 지지 롤러(122)와 아이들 이동 지지 롤러(123); 상기 크레인 바디(121)에 장착되며 모터축이 상기 이동 구동 지지 롤러(122)의 중심부에 구비된 롤러축에 회전력 전달수단을 매개로 결합된 이동 구동모터(124); 상기 크레인 바디(121)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권취 구동모터(125MO)의 모터축에 중심부가 결합된 권취 드럼(125); 상기 권취 드럼(125)의 외주면에 와인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쇠사슬(126); 상기 쇠사슬(126)에 결합된 행거 후크(127)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은 이동 구동모터(124)의 모터축에 결합된 워엄과, 상기 이동 구동 지지 롤러(122) 중심부의 롤러축에 동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워엄에 치합된 워엄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구동모터(124)의 모터축이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워엄이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워엄기어도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 구동 지지 롤러(122)가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크레인(120)이 이동 지지 비임(12)을 따라 워크 테이블(130) 쪽으로 전진하고, 상기 이동 구동모터(124)의 모터축이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워엄이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워엄기어도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 구동 지지 롤러(122)가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크레인(120)이 이동 지지 비임(12)을 따라 워크 테이블(13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은 워엄과 워엄기어 대신에 베벨기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베벨기어의 정역 회전에 의해 이동 구동 지지 롤러(122)가 정역회전하면서 이동 지지 비임(12)을 따라 크레인(120)이 워크 테이블(130) 쪽으로 전진하거나 워크 테이블(130)에서 멀어지는 위치로 후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행거 후크(127)에 용접 대상물(10)을 걸어주고, 상기 이동 구동모터(12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 지지 롤러를 상기 이동 지지 비임(12)의 상기 하부 비임편(12C)의 상면에서 롤링시킴으로써, 상기 크레인(120)과 함께 상기 용접 대상물(10)을 워크 테이블(130) 쪽으로 이송시켜서 용접 대상물(10)을 워크 테이블(130) 위에 올려놓고, 상기 이동 구동모터(124)의 구동에 의해 상기 크레인(120)을 원위치로 후퇴시킨 다음 상기 워크 테이블(130) 위에 올려진 용접 대상물(10)을 용접 토치에 의해 용접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취 드럼(125)의 양단부로 돌출된 드럼 샤프트는 크레인 바디(121)에 브라켓과 같은 결합 지지수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권취 드럼(125)의 한쪽의 드럼 샤프트는 커넥터를 매개로 권취 구동모터(125MO)의 모터축에 연결된다.
상기 권취 구동모터(125MO)의 모터축이 한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권취 드럼(125)도 한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권취 드럼(125)의 외주면에 쇠사슬(126)이 권취되면서 쇠사슬(126)의 하단부에 달린 행거 후크(127)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권취 구동모터(125MO)의 모터축이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권취 드럼(125)도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권취 드럼(125)의 외주면에서 쇠사슬(126)이 풀리면서 내려와서 쇠사슬(126)의 하단부에 달린 행거 후크(127)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워크 테이블(130)은 전후 좌우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다리(138)에 테이블 상판(139)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테이블 상판(139) 위에 크레인(120)으로 옮겨온 용접 대상물(10)이 얹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주요부인 그립퍼 유닛을 크레인의 행거 후크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크레인의 행거 후크와 그립퍼 유닛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주요부인 그립퍼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우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또 다른 주요부인 워크 테이블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용접 부스에 워크 테이블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우측면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정면도,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워크 테이블에 용접 대상물이 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정면도, 도 19는 도 17의 정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용접 부스에 연결되기 위한 집진관과 집진기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용접 부스에 집진관을 매개로 집진기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2는 도 도 20에 도시된 용접 부스에 집진관을 매개로 집진기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주요부인 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테이블 상판과 용접 대상물을 상승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워크 테이블(130)은, 용접 작업장의 지면에 지지되는 바텀 베이스 패널(131); 상기 바텀 베이스 패널(131)의 상면에 지지되어 수직 설치되며 상기 바텀 베이스 패널(131)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높이 조절 실린더(132); 복수개의 높이 조절 실린더(132)의 피스톤 로드 상단부에 결합된 중간 지지 패널(133); 상기 중간 지지 패널(133)의 상면에 지지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며 상기 중간 지지 패널(133)의 전후 좌우 위치에 배치된 네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 네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 중에서 옆으로 나란한 두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의 피스톤 로드 상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받침편(135); 상기 중간 지지 패널(133)의 중심부에 지지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원형관 형상의 상판 결합 지지 포스트(136); 상기 상판 결합 지지 포스트(1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판 회전 지지 바아(137); 상기 상판 회전 지지 바아(137)에 저면 중심부가 결합된 테이블 상판(1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크레인(120)에 의해 용접 대상물(10)이 이동되어 와서 테이블 상판(139) 위에 용접 대상물(10)이 올려진 상태에서 용접 토치를 이용하여 용접 대상물(10)의 필요한 용접 부위를 용접한다. 크레인(120)이 용접 작업장의 천정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이동 지지 비임(12)을 따라 워크 테이블(130) 쪽으로 이동하여 워크 테이블(130)의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139)에 용접 대상물(10)을 올려놓은 다음, 현장 작업자가 용접 토치를 이용하여 용접 대상물(10)의 필요한 용접 부위를 용접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교적 중량물인 용접 대상물(10)을 옮길 때에 크레인(120)을 이용하게 되므로,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워크 테이블(130)에 용접 대상물(10)을 옮겨오는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지고, 나아가 안전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용접 대상물(10)에 대한 용접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 지지 비임(1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다른 반출용 크레인(120)의 쇠사슬(126)에 달린 행거 후크(127)를 용접 완료가 된 용접 대상물(10)에 걸어서 반출용 크레인(120)을 워크 테이블(130)의 바깥으로 반출하면 된다. 반출용 크레인(120)의 구조는 상기한 크레인(12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요부인 워크 테이블(130)에서 상기 상판 결합 지지 포스트(136)를 기준으로 상기 상판 회전 지지 바아(137)와 테이블 상판(139)을 회전시켜서 용접 대상물(10)을 돌려가면서 용접 대상물(10)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 대상물(10)에 대한 용접 작업을 더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가 용접 대상물(10)의 필요 용접 부위를 용접하기 위하여 자리를 옮겨가면서 작업할 필요가 없이 테이블 상판(139)만을 돌려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현장 작업자가 용접 작업을 할 때에 편리성을 증대시키는데에 더 의미가 크다 하겠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실린더(132)의 피스톤 로드를 상승시키면, 중간 지지 패널(133)과 승강 작동 실린더(134)와 상판 결합 지지 포스트(136)와 상판 회전 지지 바아(137)와 테이블 상판(139)이 함께 상승하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테이블 상판(139)의 높낮이와 용접 대상물(1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용접 작업이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크레인(120)에 결합되어 있는 그립퍼 유닛(140)에 의해 용접 대상물(10)을 그립한 상태에서 워크 테이블(130)로 안정적으로 이송하여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그립퍼 유닛(140)은, 상면 중앙부에 행거 고리(141HR)가 구비된 그립퍼 바디 패널(141); 양단부로 각각 모터축이 돌출되어 한 쌍의 모터축을 구비하며 상기 그립퍼 바디 패널(141)의 상면에 구비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그립 구동모터(142); 상기 그립 구동모터(142)의 한 쌍의 모터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그립퍼 바디 패널(141)을 기준으로 전후 좌우 위치에 배치된 네 개의 볼스크류(143); 상기 볼스크류(143)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그립퍼 바디 패널(141)을 기준으로 전후 좌우 위치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전후면으로 관통된 레일 결합홀(144RH)을 구비한 네 개의 볼스크류 너트(144); 상기 그립퍼 바디 패널(141)의 저면에 구비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네 개의 상기 볼스크류 너트(144) 내부의 레일 결합홀(144RH)이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5); 네 개의 상기 볼스크류 너트(144)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네 개의 그립퍼(146); 네 개의 상기 그립퍼(146)에 구비되며 전후로 나란한 두 개의 그립퍼(146)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행거 지지편(1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네 개의 볼스크류 너트(144) 중에서 좌우로 나란한 두 개씩의 볼스크류 너트(144)에 형성된 레일 결합홀(144RH)이 좌우로 나란한 한 개씩의 가이드 레일(14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두 개의 가이드 레일(145)에서 각각의 가이드 레일(145)을 따라 두 개의 볼스크류 너트(144)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한 쌍의 그립 구동모터(142)는 그립퍼 바디 패널(141)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그립퍼 바디 패널(141)의 상면에 좌우 한 쌍의 그립 구동모터(142)가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좌우 한 쌍의 그립 구동모터(142)의 양단부로 돌출된 한 쌍의 모터축은 그립퍼 바디 패널(141)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좌우 한 쌍의 그립 구동모터(142)의 한 쌍의 모터축은 그립퍼 바디 패널(141)의 좌우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그립퍼 바디 패널(141)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된 행거 고리(141HR)에 크레인(120)의 쇠사슬(126)에 결합되어 있는 행거 후크(127)를 걸어주면, 상기 그립퍼 유닛(140)이 크레인(120)에 메달려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접 작업장의 용접 대상물(10) 거치대에 올려져 있는 용접 대상물(10)을 그립하기 위하여 한 쌍의 그립 구동모터(142)의 한 쌍의 모터축을 한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한 쌍의 그립 구동모터(142)의 한 쌍의 모터축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네 개의 볼스크류(143)를 한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네 개의 볼스크류(143)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네 개의 볼스크류 너트(144) 중에서 그립퍼 바디 패널(141)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고 있는 전후 한 쌍의 볼스크류 너트(144)가 서로 벌어지게 되고, 동시에 그립퍼 바디 패널(141)의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고 있는 전후 두 개의 그립퍼(146)와 전후 두 개의 행거 지지편(147)이 서로 벌어진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용접 대상물(10)의 전후 단부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전후 두 개의 그립퍼(146)와 전후 두 개의 행거 지지편(147)을 배치한 다음, 한 쌍의 그립 구동모터(142)의 한 쌍의 모터축을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한 쌍의 그립 구동모터(142)의 한 쌍의 모터축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네 개의 볼스크류(143)를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네 개의 볼스크류(143)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네 개의 볼스크류 너트(144) 중에서 그립퍼 바디 패널(141)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고 있는 전후 한 쌍의 볼스크류 너트(144)가 서로 좁혀지게 되고, 동시에 그립퍼 바디 패널(141)의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고 있는 전후 두 개의 그립퍼(146)와 전후 두 개의 행거 지지편(147)이 서로 좁혀지게 되면서 두 개의 그립퍼(146)가 용접 대상물(10)의 전후 단부에 가압 밀착되고 동시에 두 개의 행거 지지편(147)은 용접 대상물(10)을 저면에서 받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크레인(120)을 워크 테이블(130) 쪽으로 이동시켜서 워크 테이블(130)의 테이블 위에 용접 대상물(10)을 올려놓은 다음, 한 쌍의 그립 구동모터(142)의 한 쌍의 모터축을 한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한 쌍의 그립 구동모터(142)의 한 쌍의 모터축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네 개의 볼스크류(143)를 한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네 개의 볼스크류(143)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네 개의 볼스크류 너트(144) 중에서 그립퍼 바디 패널(141)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고 있는 전후 한 쌍의 볼스크류 너트(144)가 서로 벌어지게 되고, 동시에 그립퍼 바디 패널(141)의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고 있는 전후 두 개의 그립퍼(146)와 전후 두 개의 행거 지지편(147)이 서로 벌어진 상태가 되면서 두 개의 그립퍼(146)가 용접 대상물(10)을 그립한 상태가 해제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크레인(120)을 원래 위치로 리턴시켜서 다음에 처리할 용접 대상물(10)을 그립할 수 있는 상태로 대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그립퍼 유닛(140)에 의해 용접 대상물(10)을 그립한 상태에서 크레인(120)에 의해 용접 대상물(10)의 워크 테이블(130)의 테이블 위에 용접 대상물(10)을 올려놓는 작업을 반복하고, 작업자는 워크 테이블(130)의 주요부인 테이블 위의 용접 대상물(10)을 용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레인(120)의 쇠사슬(126) 아래에 있는 후크부재에 그립퍼 유닛(140)을 메달아 놓고, 그립퍼 유닛(140)에 의해 용접 대상물(10)을 그립한 상태에서 크레인(120)을 워크 테이블(130) 쪽으로 이동시켜서 테이블 상판(139) 위에 올려놓을 수 있으므로, 비교적 중량물인 용접 대상물(10)을 크레인(120)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때에 용접 대상물(10)이 흔들림이 없이 이송되므로, 용접 작업장에서 일하는 작업자가 용접 대상물(10)의 흔들림에 의해 용접 대상물(10)에 충돌하는 것과 같은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안전 사고 방지로 인하여 보다 더 안전하고 원활한 용접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용접 대상물(10)에 대한 용접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 지지 비임(1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다른 반출용 크레인(120)의 쇠사슬(126)에 달린 행거 후크(127)에 상기 그립퍼 유닛(140)이 결합되어 있어서, 용접 완료가 된 용접 대상물(10)을 상기 그립퍼 유닛(140)의 한 쌍의 그립퍼(146)와 행거 지지편(147)에 의해 걸어서 반출용 크레인(120)을 워크 테이블(130)의 바깥으로 반출하면 된다. 상기 반출용 크레인(120)의 구조는 상기한 크레인(12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워크 테이블(130)은 네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 중에서 옆으로 나란한 두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의 피스톤 로드 상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받침편(135)을 더 구비하여, 크레인(120)에 메달린 그립퍼 유닛(140)에 의해 용접 대상물(10)을 이동시켜서 테이블 상판(139) 위에 그립퍼 유닛(140)을 배치한 상태에서 옆으로 나란한 두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의 피스톤 로드를 동시에 상승시켜서 한 쌍의 받침편(135)을 테이블 상판(139)의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올린 상태로 전환하면, 그립퍼 유닛(140)의 한 쌍의 그립퍼(146)와 행거 지지편(147)이 테이블 상판(139) 위로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워크 테이블(130)의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139)에 그립퍼 유닛(140)의 한 쌍의 그립퍼(146)와 행거 지지편(147)이 걸리지 않고 용접 대상물(10)을 한 쌍의 받침편(135) 위에 먼저 올려놓은 다음, 그립퍼 유닛(140)의 한 쌍의 그립퍼(146)와 행거 지지편(147)을 벌려서 용접 대상물(10)을 그립한 상태를 해제한 다음, 크레인(120)을 워크 테이블(130)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이동시켜서 그립퍼 유닛(140)도 워크 테이블(130)에서 벗어난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서로 나란한 두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의 피스톤 로드를 동시에 하강시켜서 한 쌍의 받침편(135)을 테이블 상판(139)의 상면보다 더 낮은 위치로 내린 상태로 전환하면, 한 쌍의 받침편(135)에서 테이블 상판(139) 위로 용접 대상물(10)이 얹혀지게 되어서 용접 대상물(10)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레인(120)에 메달린 그립퍼 유닛(140)에 의해 용접 대상물(10)을 이동시켜서 테이블 상판(139) 위에 그립퍼 유닛(140)을 배치한 상태에서 옆으로 나란한 두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의 피스톤 로드를 동시에 상승시켜서 한 쌍의 받침편(135)을 테이블 상판(139)의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올린 상태로 전환하여 그립퍼 유닛(140)의 한 쌍의 그립퍼(146)와 행거 지지편(147)이 테이블 상판(139) 위로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되므로, 그립퍼 유닛(140)에 의해 용접 대상물(10)을 그립한 상태에서 워크 테이블(130)의 테이블 상판(139) 위로 이동시킬 때에 한 쌍의 그립퍼(146)와 행거 지지편(147)이 테이블 상판(139)의 옆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테이블 상판(139)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테이블 상판(139) 위에 용접 대상물(10)을 원활하게 올려놓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그립퍼 유닛(140)이 테이블 상판(139) 위에서 빠질 때에도 한 쌍의 그립퍼(146)와 행거 지지편(147)이 테이블 상판(139)의 옆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용접 대상물(10)을 테이블 상판(139) 위에 올려놓은 그립퍼 유닛(140)을 워크 테이블(130) 바깥으로 후퇴시키는 기능도 원활하게 수행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접 부스(150)의 내부에 워크 테이블(130)을 배치하고, 워크 테이블(130)의 테이블 상판(139) 위에 용접 대상물(10)을 올려놓고 용접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용접 부스(150)는 전방 부스 패널(152)과 좌우 사이드 부스 패널(154)과 바닥 부스 패널(157)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닥 부스 패널(157) 위에 워크 테이블(130)의 바텀 베이스 패널(131)이 얹혀져서 설치됨으로써, 워크 테이블(130)의 바텀 베이스 패널(131)이 용접 작업장의 지면에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상기 전방 부스 패널(152)과 좌우 사이드 부스 패널(154)은 내부에 챔버(CB)를 구비한 중공판 구조이며, 전방 부스 패널(152)과 좌우 사이드 부스 패널(154) 내부의 챔버(CB)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용접 부스(150)의 후방에는 출입 개방부가 확보되어 있어서, 작업자는 출입 개방부를 통해서 용접 토치를 용접 부스(150)의 내부로 가지고 들어와서 워크 테이블(130)의 테이블 상판(139) 위에 올려진 용접 대상물(10)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크레인(120)의 권취 구동모터(125MO)의 모터축이 한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권취 드럼(125)도 한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권취 드럼(125)의 외주면에 쇠사슬(126)이 권취되면서 쇠사슬(126)의 하단부에 달린 행거 후크(127)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상기 행거 후크(127)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그립퍼 유닛(140)의 높이도 상대적으로 높아지는데, 상기 그립퍼 유닛(140)에 의해 그립한 용접 대상물(10)의 높이가 용접 부스(150)의 전방 부스 패널(152)의 상단부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로 올려서 용접 대상물(10)이 용접 부스(150)의 전방 부스 패널(152)에 걸리지 않는 상태로 올린 다음, 상기 크레인(120)을 이동시켜서 상기 워크 테이블(130) 위에 그립퍼 유닛(140)과 함께 용접 대상물(10)을 배치시킨 다음, 권취 구동모터(125MO)의 모터축이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권취 드럼(125)도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권취 드럼(125)의 외주면에서 쇠사슬(126)이 풀리면서 내려와서 쇠사슬(126)의 하단부에 달린 행거 후크(127)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면서 그립퍼 유닛(140)과 용접 대상물(10)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서 상기 테이블 상판(139)의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올라와 있는 한 쌍의 받침편(135) 위에 용접 대상물(10)을 올려놓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받침편(135)을 테이블 상판(139)의 상면보다 더 낮은 위치로 내린 상태로 전환하면, 한 쌍의 받침편(135)에서 테이블 상판(139) 위로 용접 대상물(10)이 얹혀지게 되어서 용접 대상물(10)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전방 부스 패널(152)의 내측 패널 벽체와 좌우 사이드 부스 패널(154)의 내측 사이드 패널 벽체에는 내부의 챔버(CB)와 연통된 복수개의 전방측 석션홀(153)과 사이드측 석션홀(155)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방 부스 패널(152)의 외측 패널 벽체 또는 좌우 사이드 부스 패널(154) 또는 외측 사이드 패널 벽체에는 집진홀(156)이 구비되고, 상기 집진홀(156)에는 플렉시블 집진관(164)을 매개로 외부의 집진기(162)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용접 부스(150)의 앞에서 볼 때에 우측 사이드 부스 패널(154)의 외측 사이드 벽체 패널에 집진홀(156)이 구비되고, 상기 위측 사이드 부스 패널(154)의 외측 사이드 벽체 패널에 플렉시블 집진관(164)이 결합되어, 상기 집진홀(156)에 플렉시블 집진관(164)을 매개로 외부의 집진기(162)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용접 부스(150)의 내부에 워크 테이블(130)이 수용된 상태에서 테이블 상판(139) 위에 얹혀진 용접 대상물(10)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데, 상기 집진기(162)에서 흡입하는 석션 압력이 전방 부스 패널(152)와 좌우 사이드 부스 패널(154) 내부의 챔버(CB)를 통해서 각각 복수개의 전방측 석션홀(153)과 사이드측 석션홀(155)에 석션 압력이 작용하면서 용접 대상물(10)에 대한 용접 작업시 발생하는 유해 가스를 각각 복수개의 전방측 석션홀(153)과 사이드측 석션홀(155)을 통해서 일정 압력으로 석션하여 집진기(162)에 집진할 수 있고, 용접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과 같은 유해 이물질도 석션하여 집진기(162)에 집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접 작업시 발생하는 유해 가스나 분진 등의 유해 물질을 용접 부스(150)의 내부 챔버(CB)를 통해서 집진기(162)에 집진함으로써, 유해 가스나 분진 등의 유해 물질이 용접 작업장 전체에 퍼지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용접 작업장의 환경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고, 용접 작업자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용접 대상물 12. 이동 지지 비임
12A. 수직 비임편 12B. 상부 비임편
12C. 하부 비임편 120. 크레인
121. 크레인 바디 122. 이동 구동 지지 롤러
123. 아이들 이동 지지 롤러 124. 이동 구동모터
125. 권취 드럼 126. 쇠사슬
127. 행거 후크 130. 워크 테이블
131. 바텀 베이스 패널 132. 높이 조절 실린더
133. 중간 지지 패널 134. 승강 작동 실린더
135. 받침편 136. 상판 결합 지지 포스트
137. 상판 회전 지지 바아 138. 다리
140. 그립퍼 유닛 141. 그립퍼 바디 패널
141HR. 행거 고리 142. 그립 구동모터
143. 볼스크류 144. 볼스크류 너트
144RH. 레일 결합홀 145. 가이드 레일
146. 그립퍼 147. 행거 지지편
150. 용접 부스 152. 전방 부스 패널
153. 전방측 석션홀 154. 사이드 부스 패널
155. 사이드측 석션홀 156. 집진홀
157. 바닥 부스 패널 CB. 챔버
162. 집진기 164. 집진관

Claims (3)

  1. 용접 작업장에 설치된 이동 지지 비임(1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크레인(120)을 이용하여 용접 대상물(10)을 워크 테이블(130)에 옮겨서 용접 작업을 시행하고,
    상기 이동 지지 비임(12)은 수직 비임편(12A)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비임편(12B)과 하부 비임편(12C)을 구비한 단면 티자형 비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크레인(120)은,
    크레인 바디(121);
    상기 크레인 바디(121)의 전후 양쪽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지지 비임(12)의 전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지지 비임(12)의 상기 하부 비임편(12C)의 상면에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얹혀진 복수개의 이동 구동 지지 롤러(122)와 아이들 이동 지지 롤러(123);
    상기 크레인 바디(121)에 장착되며 모터축이 상기 이동 구동 지지 롤러(122)의 중심부에 구비된 롤러축에 동축적으로 결합된 이동 구동모터(124);
    상기 크레인 바디(121)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권취 구동모터(125MO)의 모터축에 중심부가 결합된 권취 드럼(125);
    상기 권취 드럼(125)의 외주면에 와인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쇠사슬(126)
    상기 쇠사슬(126)에 결합된 행거 후크(127)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후크(127)에 용접 대상물(10)을 걸어주고, 상기 이동 구동모터(12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 지지 롤러를 상기 이동 지지 비임(12)의 상기 하부 비임편(12C)의 상면에서 롤링시킴으로써, 상기 크레인(120)과 함께 상기 용접 대상물(10)을 워크 테이블(130) 쪽으로 이송시켜서 용접 대상물(10)을 워크 테이블(130) 위에 올려놓고, 상기 이동 구동모터(124)의 구동에 의해 상기 크레인(120)을 원위치로 후퇴시킨 다음 상기 워크 테이블(130) 위에 올려진 용접 대상물(10)을 용접 토치에 의해 용접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용접 부스(150)의 내부에 워크 테이블(130)을 배치하고, 워크 테이블(130)의 테이블 상판(139) 위에 용접 대상물(10)을 올려놓고 용접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용접 부스(150)는 전방 부스 패널(152)과 좌우 사이드 부스 패널(154)과 바닥 부스 패널(157)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부스 패널(157) 위에 워크 테이블(130)의 바텀 베이스 패널(131)이 얹혀져서 설치됨으로써, 워크 테이블(130)의 바텀 베이스 패널(131)이 용접 작업장의 지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방 부스 패널(152)과 좌우 사이드 부스 패널(154)은 내부에 챔버(CB)를 구비한 중공판 구조이며, 전방 부스 패널(152)과 좌우 사이드 부스 패널(154) 내부의 챔버(CB)는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전방 부스 패널(152)의 내측 패널 벽체와 좌우 사이드 부스 패널(154)의 내측 사이드 패널 벽체에는 내부의 챔버(CB)와 연통된 복수개의 전방측 석션홀(153)과 사이드측 석션홀(155)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방 부스 패널(152)의 외측 패널 벽체 또는 좌우 사이드 부스 패널(154) 또는 외측 사이드 패널 벽체에는 집진홀(156)이 구비되고, 상기 집진홀(156)에는 플렉시블 집진관(164)을 매개로 외부의 집진기(162)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집진기(162)에서 흡입하는 석션 압력이 전방 부스 패널(152)와 좌우 사이드 부스 패널(154) 내부의 챔버(CB)를 통해서 각각 복수개의 전방측 석션홀(153)과 사이드측 석션홀(155)에 석션 압력이 작용하면서 용접 대상물(10)에 대한 용접 작업시 발생하는 유해 가스를 각각 복수개의 전방측 석션홀(153)과 사이드측 석션홀(155)을 통해서 일정 압력으로 석션하여 집진기(162)에 집진할 수 있고, 용접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과 같은 유해 이물질도 석션하여 집진기(162)에 집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 테이블(130)은,
    용접 작업장의 지면에 지지되는 바텀 베이스 패널(131);
    상기 바텀 베이스 패널(131)의 상면에 지지되어 수직 설치되며 상기 바텀 베이스 패널(131)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높이 조절 실린더(132);
    복수개의 높이 조절 실린더(132)의 피스톤 로드 상단부에 결합된 중간 지지 패널(133);
    상기 중간 지지 패널(133)의 상면에 지지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며 상기 중간 지지 패널(133)의 전후 좌우 위치에 배치된 네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
    네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 중에서 옆으로 나란한 두 개의 승강 작동 실린더(134)의 피스톤 로드 상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받침편(135);
    상기 중간 지지 패널(133)의 중심부에 지지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원형관 형상의 상판 결합 지지 포스트(136);
    상기 상판 결합 지지 포스트(1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판 회전 지지 바아(137);
    상기 상판 회전 지지 바아(137)에 저면 중심부가 결합된 테이블 상판(1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KR1020230009077A 2023-01-20 2023-01-20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KR102544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077A KR102544154B1 (ko) 2023-01-20 2023-01-20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077A KR102544154B1 (ko) 2023-01-20 2023-01-20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154B1 true KR102544154B1 (ko) 2023-06-15

Family

ID=8676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077A KR102544154B1 (ko) 2023-01-20 2023-01-20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1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40U (ko) * 1995-07-29 1997-02-19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호이스트 크레인
KR100274541B1 (ko) 1998-06-11 2000-12-15 황해웅 테일러드 블랭크 제작용 레이저 용접 시스템
KR20100004660A (ko) * 2008-07-04 2010-01-13 (주)대일씨에프티 이동식 크레인
KR101779781B1 (ko) 2017-02-13 2017-10-10 김태헌 자동차 부품 자동 용접시스템
KR102469511B1 (ko) 2022-01-05 2022-11-23 케이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용접을 위한 다양한 피가공물 배치가 가능한 용접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40U (ko) * 1995-07-29 1997-02-19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호이스트 크레인
KR100274541B1 (ko) 1998-06-11 2000-12-15 황해웅 테일러드 블랭크 제작용 레이저 용접 시스템
KR20100004660A (ko) * 2008-07-04 2010-01-13 (주)대일씨에프티 이동식 크레인
KR101779781B1 (ko) 2017-02-13 2017-10-10 김태헌 자동차 부품 자동 용접시스템
KR102469511B1 (ko) 2022-01-05 2022-11-23 케이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용접을 위한 다양한 피가공물 배치가 가능한 용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17070A (zh) 一种工业焊接机器人
US5681033A (en) Workpiece pick-up jig and positioning tool
CN217200588U (zh) 一种马达工件自动翻转设备
CN110480123B (zh) 一种网架连杆自动焊接生产系统
KR102544154B1 (ko) 크레인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CN110711976A (zh) 一种用于铸件生产的焊接装置
CN114850745A (zh) 一种铁塔连板钢管组合件自动焊接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275760B (zh) 一种多功能钢结构焊接装置
CN206561416U (zh) 一种新型机架式机械手
KR101711883B1 (ko) 작업용 리프트
JP2010265102A (ja) 門型クレーン
KR101317190B1 (ko) 전로 내 내화물 축조장치
CN214684914U (zh) 一种用于钢结构焊接的设备
CN215699362U (zh) 一种吊笼顶底焊接工装
CN113894480B (zh) 一种建筑钢结构的自动焊接装置及焊接方法
CN211681932U (zh) 一种水泵电机检修平台
JP7142041B2 (ja) ヒューム吸引移動式溶接装置
CN212420287U (zh) 起重机标准节的焊接工装
CN210588072U (zh) 一种t型材生产线
CN213351356U (zh) 一种叉车门架组焊气动夹具
CN114589327B (zh) 一种基于曲面化重力回转型的机械配件加工装置
CN111922565B (zh) 一种扶手电梯主驱动焊接机
CN214427304U (zh) 一种带自动翻板功能的激光拼焊焊缝检测装置
CN220077838U (zh) 一种用于辅助钛板检验的设备
CN211162507U (zh) 一种钢结构用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