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517B1 -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517B1
KR101312517B1 KR1020110071923A KR20110071923A KR101312517B1 KR 101312517 B1 KR101312517 B1 KR 101312517B1 KR 1020110071923 A KR1020110071923 A KR 1020110071923A KR 20110071923 A KR20110071923 A KR 20110071923A KR 101312517 B1 KR101312517 B1 KR 101312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wire rope
main body
link unit
derail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045A (ko
Inventor
송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7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5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6Pulleys, sheaves, pulley blocks or their mounting
    • B66D2700/028Pulley blocks with multiple sh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천장 기중기의 쉬브로부터 와이어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쉬브의 탈선방지장치가 소개된다. 이 탈선방지장치는 천장 기중기의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는 쉬브와, 상부에 쉬브가 노출되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쉬브가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와, 중앙부가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링크유닛과, 링크유닛의 일단이 와이어 로프를 가압하도록 링크유닛의 타단과 본체 사이에 탄성 연결되는 탄성부재와,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WIRE ROPE FROM SHEAVE}
본 발명은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크유닛 또는 구속유닛을 통해 와이어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 크레인은 제철설비에 사용되는 롤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장치로, 모터(Motor)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 로프가 로프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와이어 로프의 권상 및 권하에 의해 이동하는 호이스트에 부하물이 담겨져 타설비로 이동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크레인은 크레인 본체(10)와, 와이어 로프(20)에 의해 권취되어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는 쉬브(30)와, 쉬브(30)에 결합되는 결합되는 후크(50)로 구성된다. 즉, 모터가 회전되면 와이어 로프(20)가 로프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와이어 로프(20)의 권상 및 권하에 의해 후크(50)가 승강됨에 따라, 후크(5)에 걸려진 부하물은 상,하로 승강 및 좌,우 이동되어 타 설비로 이동된다. 이러한 천정 크레인 구성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안전성이 개선된 천정 크레인(공개특허공보 :10-2010-0083434)"이 개시되어 있기도 하다.
그런데, 종래 크레인의 쉬브는 외주면에 와이어 로프 일부가 감겨진 상태로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이동하는 후크가 지면에 닿게 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와이어 로프가 많이 풀리게 되면서 쉬브로부터 와이어 로프가 이탈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정을 정지시킨 후, 와이어 로프를 쉬브에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수리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전체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와이어 로프가 손상될 우려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 로프의 원활한 작동을 유지하면서도 와이어 로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는, 쉬브, 본체, 링크유닛, 탄성부재 및 후크를 포함한다. 쉬브는 천장 기중기의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고, 본체는 상부에 상기 쉬브가 노출되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쉬브가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유닛은 중앙부가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고, 탄성부재는 상기 링크유닛의 상단부가 와이어 로프에 밀착되도록 상기 링크유닛의 하단부와 본체 사이에 탄성 연결되고, 후크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힌지편과, 상기 제1 및 제2 힌지편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쉬브의 외주연에는 상기 와이어 로프가 삽입되어 권취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 안착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바는 가이드축을 매개로 상기 제1 및 제2 힌지편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는, 쉬브, 본체, 구속유닛, 탄성부재 및 후크를 포함한다. 쉬브는 천장 기중기의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고, 본체는 상부에 상기 쉬브가 노출되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쉬브가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구속유닛은 하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단에 상기 와이어 로프가 관통되는 구속홈부가 형성되고, 후크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속홈부에는 각각의 와이어 로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할핀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속유닛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가 상기 와이어 로프에 접촉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탄성부재에 탄성적으로 연결된 링크유닛을 통해 와이어 로프에 텐션을 가함으로써, 본체로부터 와이어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와이어 로프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구속유닛의 분할핀을 통해 각각의 와이어 로프를 가이드함으로써, 각각의 와이어 로프가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본체의 양측에 회전 가능한 롤러를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도 와이어 로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천정 크레인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는, 탄성부재(400)의 텐션을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제1 실시예)과, 분할핀(630)을 통해 각각의 와이어 로프(110)를 가이드하여 와이어 로프(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제2 실시예)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쉬브(100)와, 내부에 쉬브(10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200)와, 본체(200)의 외측에 힌지 연결되는 링크유닛(300)과, 링크유닛(300)에 텐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00)와, 본체(200)의 하부에 연결되는 후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쉬브(100)는 천장 기중기의 와이어 로프(110)가 권취되는 풀리 구조로, 해당 외주면에 와이어 로프(110)가 삽입되는 와이어 로프 안착홈(120)이 형성되고, 해당 중심부는 회전축(201)을 매개로 본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모터가 회전되면 와이어 로프(110)가 로프 드럼(미도시)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쉬브(100)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본체(200)는 상부에 개방구(210)를 갖으며 내부에 쉬브(100)의 장착공간을 갖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에 회전축(201)을 매개로 쉬브(10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200)의 하부에는 연결편(510)을 통해 후크(500)가 연결되며, 본체(200)의 전면 및 후면에는 링크유닛(300)이 힌지축(301)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유닛(300)은 각각 본체(200)의 전면 및 후면 양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이 한 쌍의 링크유닛(300)은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110)에 밀착이 이루어진다. 이때, 탄성부재(400)의 양단은 고정핀(410)을 통해 링크유닛(300) 및 본체(200)에 각각 연결된다.
예컨대, 이 링크유닛(300)은 제1 힌지편(310a), 제2 힌지편(310b) 및 가이드바(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힌지편(310a)은 해당 중앙부가 힌지축(301)을 통해 본체(200)의 일면에 힌지 연결되고, 해당 상단에 가이드바(320)의 일단이 연결되고, 해당 하단에 탄성부재(400)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힌지편(310b)은 해당 중앙부가 힌지축(301)을 통해 본체(200)의 타면에 힌지 연결되고, 해당 상단에 가이드바(320)의 타단이 연결되고, 해당 하단에 탄성부재(400)가 연결된다.
특히, 가이드바(320)는 제1 및 제2 힌지편(310a),(310b)의 상단 사이에서 가이드축(32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와이어 로프(110)가 로프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경우, 가이드바(320)는 와이어 로프(110)의 승강 이동에 연동하여 회될 수 있으며, 와이어 로프(110)의 원활한 작동이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의 종단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쉬브(100)와, 내부에 쉬브(10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200)와, 각각의 와이어 로프(110)를 안내하는 구속유닛(600)과, 본체(200)의 하부에 연결되는 후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들 쉬브(100), 본체(200) 및 후크(500) 구성은, 구속유닛(60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쉬브(100), 본체(200) 및 후크(50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 실시예에 적용된 구속유닛(600)은 와이어 로프(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와이어 로프(110)를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해당 하단이 본체(200)에 고정되고, 해당 상단에 복수의 와이어 로프(110)가 관통되는 구속홀(611)이 형성된 구속홈부(610)가 마련되며, 구속홈부(610)에는 각각의 와이어 로프(110)를 분할하는 분할핀(630)이 장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구속유닛(600)에는 롤러(6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롤러(620)는 본체(200)의 양측에서 와이어 로프(110)에 접촉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와이어 로프(110)가 로프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경우, 가이드바(320)는 와이어 로프(110)의 승강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되므로, 와이어 로프(110)의 원활한 작동이 유지되는 동시에, 본체(200)로부터 와이어 로프(11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에 텐션을 가하거나 와이어 로프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본체로부터 와이어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와이어 로프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쉬브 110 :와이어 로프
120 :와이어 로프 안착홈 200 :본체
210 :개방구 201 :회전축
300 :링크유닛 301 :힌지축
310a :제1 힌지편 310b :제2 힌지편
320 :가이드바 321 :가이드축
400 :탄성부재 500 :후크
600 :구속유닛 610 :구속홈부
611 :분할핀 620 :롤러

Claims (7)

  1. 천장 기중기의 쉬브로부터 와이어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쉬브의 탈선방지장치로서,
    천장 기중기의 와이어 로프(110)가 권취되는 쉬브(100);
    상부에 상기 쉬브(100)가 노출되는 개방구(210)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쉬브(100)가 회전축(20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200);
    중앙부가 상기 본체(200)에 힌지 연결되는 링크유닛(300);
    상기 링크유닛(300)의 상단부가 와이어 로프(110)에 밀착되도록 상기 링크유닛(300)의 하단부와 본체(200) 사이에 탄성 연결되는 탄성부재(400); 및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 연결되는 후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300)은 상기 본체(200)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힌지축(301)을 통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힌지편(310a),(310b)과, 상기 제1 및 제2 힌지편(310a),(310b)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가이드바(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쉬브(100)의 외주연에는 상기 와이어 로프(110)가 삽입되어 권취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 안착홈(1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320)는 가이드축(321)을 매개로 상기 제1 및 제2 힌지편(310a),(310b)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5. 천장 기중기의 쉬브로부터 와이어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쉬브의 탈선방지장치로서,
    천장 기중기의 와이어 로프(110)가 권취되는 쉬브(100);
    상부에 상기 쉬브(100)가 노출되는 개방구(210)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쉬브(100)가 회전축(20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200);
    상기 쉬브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단이 상기 본체(200)에 고정되고 상단에 상기 쉬브(100) 방향으로 진입 또는 상기 쉬브(100)에서 인출되는 와이어 로프(110)가 관통되는 구속홈부(610)가 형성되는 구속유닛(600); 및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 연결되는 후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속홈부(610)에는 각각의 와이어 로프(1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할핀(63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600)에는 상기 쉬브(100) 방향으로 진입 또는 상기 쉬브(100)에서 인출되는 와이어 로프(110)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쉬브의 상부에 회전 가능한 롤러(620)가 상기 와이어 로프(110)에 접촉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KR1020110071923A 2011-07-20 2011-07-20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KR101312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923A KR101312517B1 (ko) 2011-07-20 2011-07-20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923A KR101312517B1 (ko) 2011-07-20 2011-07-20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045A KR20130011045A (ko) 2013-01-30
KR101312517B1 true KR101312517B1 (ko) 2013-10-01

Family

ID=4784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923A KR101312517B1 (ko) 2011-07-20 2011-07-20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0135B2 (ja) * 2013-03-28 2017-08-30 株式会社タダノ クレーン等作業機のフックブロック
KR102247670B1 (ko) * 2019-03-28 2021-05-03 주식회사 론픽 근력운동기구용 스마트 운동부하장치
CN114251432B (zh) * 2021-12-30 2024-02-27 重庆运满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钢丝绳压制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5852A (en) * 1975-06-27 1977-02-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Traction sheave warning for helicopter rescue hoist systems
US6386516B1 (en) * 1998-02-27 2002-05-14 National-Oilwell L.P. Sheave block with retractable sheave guar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5852A (en) * 1975-06-27 1977-02-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Traction sheave warning for helicopter rescue hoist systems
US6386516B1 (en) * 1998-02-27 2002-05-14 National-Oilwell L.P. Sheave block with retractable sheave gua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045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8534B (fi) Menetelmä hissin nostoköysistön vaihtamiseksi ja vaihtamisessa käytettävä vetolaitejärjestely
JP5028403B2 (ja) エレベータ設備
CN108946491B (zh) 起重机安全装置
US8453855B2 (en) Turning device for hoist
KR101312517B1 (ko)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KR20200044830A (ko) 고 절감 벨트-구동식 선형 액추에이터
CN101549839B (zh) 导绳装置
DE60013714T2 (de) Kran
KR20170099951A (ko) 엘리베이터 벨트를 위한 종단
US20180105187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ositioning the carrying cable of a cableway installation
CN201411343Y (zh) 导绳装置
KR101919525B1 (ko) 시브 와이어 탈선 방지 장치
KR101109812B1 (ko) 천장 기중기의 쉬브 기구
JP6686781B2 (ja) 上部スプレッダ取付方法、およびクレーン
CN104627772B (zh) 防坠提升机
US11932522B2 (en) Rope guiding device of rope hoist
JP5080960B2 (ja) エレベータのコンペンロープ外れ止め装置
KR101456452B1 (ko) 권상 로프의 장력 검출장치
KR20090012275U (ko) 와이어 로프 교체용 가이드 장치
KR101064000B1 (ko) 크레인용 트롤리
CN215402765U (zh) 卷扬钢丝绳防松装置
JP544788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569829B1 (ko) 송전선로 교체용 활차 어셈블리
KR102551474B1 (ko) 크레인용 블록 로더 와이어 꼬임방지장치
KR102210157B1 (ko) 와이어로프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