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973A - 인화물의 형성 방법, 열전사 시트, 및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 Google Patents

인화물의 형성 방법, 열전사 시트, 및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973A
KR20180121973A KR1020187028865A KR20187028865A KR20180121973A KR 20180121973 A KR20180121973 A KR 20180121973A KR 1020187028865 A KR1020187028865 A KR 1020187028865A KR 20187028865 A KR20187028865 A KR 20187028865A KR 20180121973 A KR20180121973 A KR 20180121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fer
color material
material lay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069B1 (ko
Inventor
신야 요다
야스시 요네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06Veined printings; Fluorescent printings; Stereoscopic images; Imitated patterns, e.g. tissues,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28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or more ink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5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n intermediate recep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64Overprinting of thermal transfer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36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tural gums, of proteins, e.g. gelatins, or of macromolecular carbohydrates, e.g. cellul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10Post-imaging transfer of imaged layer; transfer of the whole imag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0Thermal donors, e.g. thermal ribb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화상을 갖는 인화물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 열전사 시트, 및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지지체(1)로부터 제1 전사층(5)이 박리 가능하게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10)와, 기재(50)의 한쪽 면 상에, 제1 색재층(51), 제2 전사층(55), 제2 색재층(52)이 면순차로 형성되고, 또한 제2 전사층(55)이 기재(50)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형성된 열전사 시트(100)와, 피전사체(200)를 준비하고, 열전사 시트(100)의 제1 색재층(51)을 이용하여, 중간 전사 매체의 제1 전사층(5) 상에 제1 화상(20)을 형성하고, 제1 화상(20)이 형성된 제1 전사층(5)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제2 전사층(55)을 전사하며, 계속해서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색재층(52)을 이용하여, 제2 전사층 상에 제2 화상(30)을 형성하고, 그 후,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을, 상기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된 제2 전사층(55)과 함께 피전사체(200) 상에 전사함으로써 입체 화상을 갖는 인화물을 얻는다.

Description

인화물의 형성 방법, 열전사 시트, 및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본 발명은 인화물의 형성 방법, 열전사 시트, 및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피전사체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이 인화물을 형성하기 위한 매체로서, 기재 상에, 상기 기재측으로부터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 등이 이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이 중간 전사 매체에 의하면,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중간 전사 매체의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는 수용층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고, 그 후,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임의의 피전사체 상에 전사함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인화물을 얻을 수 있다.
최근, 상기 중간 전사 매체를 이용하여, 두께 방향으로 깊이가 있는 열전사 화상을 갖는 인화물, 환언하면 입체 화상을 갖는 인화물을 형성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가 있다. 그러나, 입체 화상을 갖는 인화물의 형성에는,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화상의 수에 따른 중간 전사 매체가 필요해지고, 형성 공정이 번잡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내재하고 있다. 예컨대,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인화물의 형성에는, 제1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중간 전사 매체와, 제2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중간 전사 매체를 준비하고, 형성 공정에 있어서는, 제1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전사하는 공정, 및 제2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전사하는 공정이 필요해진다. 한편, 이 예에 있어서는, 제1 중간 전사 매체의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는 수용층 상에 제1 화상을 형성하고, 그 후, 제1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임의의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며, 계속해서, 제2 중간 전사 매체의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는 수용층 상에 제2 화상을 형성하고, 그 후, 피전사체 상에 전사되어 제1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 상에 제2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인화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예에 있어서, 하나의 중간 전사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는 수용층 상에 제1 화상을 형성하고, 이 제1 화상 상에, 상기 제1 화상과 직접적으로 접하도록 하여 제2 화상을 형성하며, 제1 화상, 및 제2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여,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는 인화물을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중간 전사 매체를 이용하지 않고,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는 인화물을 얻을 수 있으나,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직접적으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각 화상에 포함되는 색재 성분 등에 따라서는, 화상에 번짐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직접적으로 접하고 있는 형태에서는, 화상의 깊이감을 충분히 부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두께 방향으로 깊이가 있는 열전사 화상을 갖는 인화물을 대신하여, 복수의 열전사 화상을 갖고, 의장성이 높은 인화물을 얻고 싶다고 하는 요구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62-238791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입체 화상을 갖는 인화물, 또는 의장성이 높은 인화물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이나, 이 인화물의 형성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 및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지지체 상에, 상기 지지체로부터 제1 전사층이 박리 가능하게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기재의 한쪽 면 상에, 제1 색재층, 제2 전사층, 제2 색재층이 면순차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기재로부터 상기 제2 전사층이 박리 가능하게 형성된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피전사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중간 전사 매체와 상기 열전사 시트를 조합하고,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1 색재층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제1 화상이 형성된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2 전사층을 전사하는 제1 전사 공정과,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2 색재층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사층 상에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제1 전사층을,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전사된 상기 제2 전사층과 함께, 상기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는 제2 전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지지체 상에 제1 전사층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피전사체를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사 시트가, 제1 색재층, 제2 색재층, 제2 전사층을 가지며, (ⅰ)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상기 제2 색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상기 제2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ⅱ)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제2 색재층, 상기 제2 전사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다른 2개의 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ⅲ)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제2 색재층, 상기 제2 전사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중간 전사 매체와 상기 열전사 시트를 조합하고,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1 색재층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제1 화상이 형성된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상기 제2 전사층을 전사하는 제1 전사 공정과,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2 색재층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사층 상에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제1 전사층을,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전사된 상기 제2 전사층과 함께, 상기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는 제2 전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사층 및 상기 제2 전사층이 모두, 수용층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제1 색재층 및 상기 제2 색재층이 모두,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이며, 상기 제1 화상 형성 공정이, 상기 제1 전사층의 상기 수용층 상에, 상기 제1 색재층이 함유하고 있는 염료를 전사함으로써 상기 제1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이고, 상기 제2 화상 형성 공정이, 상기 제2 전사층의 상기 수용층 상에, 상기 제2 색재층이 함유하고 있는 염료를 전사함으로써 상기 제2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전사층이, 상기 기재측으로부터 수용층, 은폐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전사층에 포함되는 상기 수용층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수지,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전사층이 수용층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제2 전사층이 히트 시일 패널이며, 상기 제1 색재층이,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이고, 상기 제2 색재층이, 열용융성 잉크층이며, 상기 제1 화상 형성 공정이, 상기 제1 전사층의 상기 수용층 상에, 상기 제1 색재층이 함유하고 있는 염료를 전사함으로써 상기 제1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이고, 상기 제2 화상 형성 공정이, 상기 제2 전사층 상에, 상기 제2 색재층을 용융 전사함으로써 상기 제2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이어도 좋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지지체 상에, 상기 지지체로부터 제1 전사층이 박리 가능하게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기재의 한쪽 면 상에, 제1 색재층, 은폐층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 제2 색재층이 면순차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기재로부터 상기 제2 전사층이 박리 가능하게 형성된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피전사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중간 전사 매체와 상기 열전사 시트를 조합하고,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1 색재층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제1 전사층 상의 일부에,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제1 전사층의 상기 제1 화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1 화상이 형성된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2 전사층을 전사하는 제1 전사 공정과,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2 색재층을 이용하여, 상기 노출되어 있는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제1 전사층을,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전사된 상기 제2 전사층과 함께 상기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는 제2 전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지지체 상에 제1 전사층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피전사체를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사 시트가, 제1 색재층, 은폐층을 포함하는 제2 색재층, 제2 전사층을 가지며, (ⅰ)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상기 제2 색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상기 제2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ⅱ)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제2 색재층, 상기 제2 전사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다른 2개의 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ⅲ)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제2 색재층, 상기 제2 전사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중간 전사 매체와 상기 열전사 시트를 조합하고,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1 색재층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제1 전사층 상의 일부에,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제1 전사층의 상기 제1 화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1 화상 상에,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2 전사층을 전사하는 제1 전사 공정과,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2 색재층을 이용하여, 상기 노출되어 있는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제1 전사층을,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전사된 상기 제2 전사층과 함께 상기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는 제2 전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는,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로서, 기재의 한쪽 면 상에, 제1 색재층, 전사층, 제2 색재층이 면순차로 형성되고, 상기 전사층은, 상기 기재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전사층, 상기 제2 색재층의 집합체를 1유닛으로 했을 때에, 상기 기재의 동일면 상에는, 상기 1유닛이 반복해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사층이, 상기 기재측으로부터, 수용층, 은폐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색재층 및 상기 제2 색재층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층이,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 또는 열용융성 잉크층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색재층 및 상기 제2 색재층이 모두,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색재층 및 상기 제2 색재층이,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 중 어느 하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색재층 및 상기 제2 색재층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층이,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색재층이, 상기 기재의 동일면 상에 나란히 형성된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수용층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수지,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은, 열전사 시트가, 상기 특징의 열전사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은, 상기 열전사 시트가, 제1 색재층, 제2 색재층, 제2 전사층을 갖고, (ⅰ)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상기 제2 색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상기 제2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ⅱ)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제2 색재층, 상기 제2 전사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다른 2개의 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ⅲ)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제2 색재층, 상기 제2 전사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화물의 형성 방법, 열전사 시트, 및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에 의하면, 입체 화상을 갖는 인화물, 또는 의장성이 높은 인화물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이용되는 중간 전사 매체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이용되는 중간 전사 매체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며, (a)∼(d)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며, (a)∼(d)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며, (a)∼(d)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며, (a)∼(d)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양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하에 예시하는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양태에 비해, 각부의 폭, 두께, 형상 등에 대해 모식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나,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와 각 도면에 있어서, 기출된 도면에 대해 전술한 것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인화물의 형성 방법>>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화물의 형성 방법(이하,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이라고 한다)은, 지지체(1)의 한쪽 면 상에, 상기 지지체(1)로부터 제1 전사층(5)이 박리 가능하게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10)(도 1, 도 2 참조)를 준비하는 공정과, 열전사 시트(100)를 준비하는 공정과, 피전사체(200)를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열전사 시트(100)가, 제1 색재층(51), 제2 색재층(52), 제2 전사층(55)을 가지며, (ⅰ) 기재(50) 상에 제1 색재층(51)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50) 상에 제2 색재층(52)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50) 상에 제2 전사층(55)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ⅱ) 기재(50) 상에 제1 색재층(51), 제2 색재층(52), 제2 전사층(55) 중 어느 하나의 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50) 상에 다른 2개의 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ⅲ) 기재(50) 상에 제1 색재층(51), 제2 색재층(52), 제2 전사층(55)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 중 어느 하나이고, 중간 전사 매체(10)와 열전사 시트(100)를 조합하고, 열전사 시트(100)의 제1 색재층(51)을 이용하여,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 상에 제1 화상(20)을 형성하는 제1 화상 형성 공정(도 9(a), 도 10(a), 도 11(a) 참조)과, 제1 화상(20)이 형성된 제1 전사층(5) 상에,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전사층(55)을 전사하는 제1 전사 공정(도 9(b), 도 10(b), 도 11(b) 참조)과,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색재층(52)을 이용하여, 제2 전사층(55) 상에 제2 화상(30)을 형성하는 제2 화상 형성 공정(도 9(c), 도 10(c), 도 11(c) 참조)과, 중간 전사 매체의 제1 전사층(5)을,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된 제2 전사층(55)과 함께 피전사체(200) 상에 전사하는 제2 전사 공정(도 9(d), 도 10(d), 도 11(d) 참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는,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과, 상기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된 제2 전사층(55)의 적층체를 전사박(60)이라고 칭하고 있다. 이하,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서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100)가, 기재(50) 상에 제1 색재층(51), 제2 색재층(52), 제2 전사층(55)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인 경우, 요컨대 상기 (ⅲ)의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입체적인 화상을 갖는 인화물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중간 전사 매체(10)의 지지체(1) 상에, 제1 화상(20), 제2 화상(30)이,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입체적으로 배치된 전사박(60)(도 9(c), 도 10(c), 도 11(c) 참조)을 형성할 수 있고, 이 전사박(60)을 피전사체(200) 상에 전사함으로써, 제1 화상(20), 제2 화상(30)이,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입체적으로 배치된 인화물(300)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ⅲ)의 형태의 열전사 시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복수의 중간 전사 매체, 또는 복수의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지 않고, 하나의 중간 전사 매체와, 하나의 열전사 시트에 의해, 제1 화상(20), 제2 화상(30)이 입체적으로 배치된 인화물(300)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제1 화상(20)과 제2 화상(30)이 직접적으로 접하는 것에 의한 각종의 문제, 예컨대, 화상의 번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각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각 층의 두께 등을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다.
<중간 전사 매체를 준비하는 공정>
본 공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 및 제1 전사층(5)을 갖고, 지지체(1)로부터 제1 전사층(5)이 박리 가능하게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10)를 준비하는 공정이다. 이하, 본 공정에서 준비되는 중간 전사 매체(10)에 대해, 일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체)
지지체(1)는,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이용되는 중간 전사 매체(1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며, 제1 전사층(5)을 유지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지지체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내열성이 높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아미드, 폴리메틸펜텐 등의 플라스틱의 연신 또는 미연신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를 2종 이상 적층한 복합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의 두께는, 그 강도 및 내열성 등이 적절해지도록 재료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통상은 4 ㎛ 이상 30 ㎛ 이하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20 ㎛ 이하의 범위 내이다.
(제1 전사층)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 상에는, 제1 전사층(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전사층(5)은, 지지체(1)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열전사에 의해, 지지체(1)로부터 박리되며, 후술하는 제2 화상(30)이 형성된 제2 전사층(55)과 함께, 피전사체(200) 상에 전사되는 층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서의 제1 전사층(5)은, 수용층(4)(전사성 수용층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을 포함하는 단층 구성, 또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도 2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지지체(1)측으로부터 보호층(3), 수용층(4)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수용층(4)은, 전사층(5)을 구성하는 층 중, 지지체(1)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고 있고, 환언하면, 중간 전사 매체(10)의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고 있고, 후술하는 열전사 시트(100)의 제1 색재층(51)이 함유하고 있는 염료, 예컨대, 승화성 염료나, 형광 염료 등을 수용하는 염료 수용성을 갖고 있다.
한편, 후술하는 제1 화상 형성 공정에 있어서, 제1 색재층(51)으로서 열용융성 잉크층을 이용하여, 열용융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제1 색재층(51)을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하여,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 상에 제1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전사층(5)은 수용층(4)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예컨대, 제1 전사층(5)을, 후술하는 히트 시일 패널로 할 수도 있다. 요컨대, 소위 보호층 전사 시트라고 칭해지는 매체를, 중간 전사 매체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제1 전사층(5)이, 단층 구성, 또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제1 전사층(5)을 구성하는 층 중, 지지체(1)로부터 가장 멀리 수용층(4)이 위치하는 제1 전사층(5)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수용층」
수용층(4)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승화성 염료, 형광 염료 등을 수용 가능한 종래 공지의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 또는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과 다른 비닐 폴리머의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또는 셀룰로오스디아스타아제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용층(4)은, 상기 수지 재료와 함께, 열전사 시트(100)의 제1 색재층(51)과의 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형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아미드 왁스, 테플론(등록 상표) 파우더 등의 고형 왁스, 불소계, 인산에스테르계의 계면 활성제, 실리콘,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층(4)은, 전술한 재료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복수의 재료, 및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각종 첨가재 등을, 물 또는 유기 용제 등의 적당한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수용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종래 공지의 도공 수단을 이용하여, 지지체(1), 또는, 지지체(1) 상에 형성되는 임의의 층, 예컨대, 보호층(3)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층용 도공액의 도공 수단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그라비아 코터, 롤 코터, 와이어 바, 스크린 인쇄기 등을 들 수 있다. 후술하는 각종 도공액의 도공 수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수용층(4)의 두께는, 통상, 0.5 ㎛ 이상 10 ㎛ 이하의 범위 내이다.
「보호층」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사층(5)을, 지지체(1)측으로부터, 보호층(3), 수용층(4)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보호층(3)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자외선 흡수성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이들 각 수지를 실리콘 변성시킨 수지, 이들 각 수지의 혼합물,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자외선 흡수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보호층은, 내가소제성이나 내찰과성(耐擦過性)이 특히 우수한 점에서 보호층의 바인더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고, 종래 공지의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디칼 중합성의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를 전리 방사선 조사에 의해 가교, 경화시키고,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하며, 전자선이나 자외선에 의해 중합 가교시킨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성 수지를 함유하는 보호층은, 인화물에 내광성을 부여하는 데 우수하다.
자외선 흡수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반응성 자외선 흡수제를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한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에 반응, 결합시켜 얻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살리실레이트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치환 아크릴로니트릴계, 니켈 킬레이트계, 힌더드 아민계와 같은 종래 공지의 비반응성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에, 부가 중합성 이중 결합(예컨대 비닐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등), 알코올성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와 같은 반응성기를 도입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예컨대, 활제(滑劑), 가소제, 충전재, 대전 방지제, 안티 블로킹제, 가교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 그 외의 첨가재 등을 첨가해도 좋다. 보호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기에 예시되는 수지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시켜 보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지지체(1), 또는, 지지체(1) 상에 형성되는 임의의 층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는, 통상 0.1 ㎛ 이상 50 ㎛ 이하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20 ㎛ 이하의 범위 내이다.
「박리층」
또한, 제1 전사층(5)을 구성하는 층 중, 지지체(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을, 박리층(도시하지 않음)으로 할 수도 있다. 박리층을 갖는 제1 전사층(5)으로 함으로써, 지지체(1)로부터의, 제1 전사층(5)의 전사성(박리성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박리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왁스류, 실리콘 왁스, 실리콘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불소 수지, 불소 변성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수지, 열가교성 에폭시-아미노 수지 및 열가교성 알키드-아미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승화성 염료나, 형광 염료의 염료 수용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박리층에 함유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전사체 상에, 제1 전사층(5), 제1 화상(20), 제2 전사층(55), 제2 화상(30)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박(60)을 전사한 후,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는 박리층에, 열전사 시트의 색재층이 함유하고 있는 염료를 전사함으로써, 한층 더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박리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상기한 수지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박리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지지체(1)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박리층의 두께는, 0.5 ㎛ 이상 5 ㎛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전사층(5)을 구성하는 각 층간의 층간 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제1 전사층(5)을 구성하는 각 층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좋다.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예컨대, 자외선 흡수성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부티랄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 또는 아크릴산 등과의 공중합체,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계 수지, 고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실리카나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필러를 병용해도 좋다.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
본 공정은, 제1 색재층(51), 제2 색재층(52), 제2 전사층(55)을 갖고, (ⅰ) 기재(50) 상에 제1 색재층(51)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50) 상에 제2 색재층(52)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50) 상에 제2 전사층(55)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도시하지 않는다), (ⅱ) 기재(50) 상에 제1 색재층(51), 제2 색재층(52), 제2 전사층(55) 중 어느 하나의 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50) 상에 다른 2개의 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도시하지 않는다), 또는 (ⅲ) 기재(50) 상에 제1 색재층(51), 제2 색재층(52), 제2 전사층(55)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도 3∼도 8 참조)를 준비하는 공정이다.
(기재)
기재(50)는,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10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며, 제1 색재층(51), 제2 전사층(55), 제2 색재층(52), 및 기재(50)의 다른쪽 면 상에 임의로 형성되는 배면층을 유지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기재(50)의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후술하는 제1 화상 형성 공정, 제1 전사 공정, 및 제2 화상 형성 공정에 있어서,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열에 견디고, 취급상 지장이 없는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50)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나일론,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의 각종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기재(50)의 두께는, 그 강도 및 내열성이 적절해지도록 재료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통상 2.5 ㎛ 이상 50 ㎛ 이하의 범위 내이다.
한편, 열전사 시트(100)로서, 상기 (ⅰ)의 형태, 또는 (ⅱ)의 형태의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제1 색재층(51), 제2 전사층(55), 제2 색재층(52)을 지지하는 기재로서, 동일한 기재를 이용해도 좋고, 상이한 기재를 이용해도 좋다.
(제1 색재층)
제1 색재층(51)은, 후술하는 제1 화상 형성 공정에 있어서,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 상에 제1 화상(20)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층이다. 이하, 제1 색재층(51)이,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서 이용되는 색재층인 경우와, 열용융형 열전사 방식에서 이용되는 색재층인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한편, 승화형 열전사 방식은, 서멀 헤드 등의 가열 디바이스로부터 화상 정보에 따른 에너지를 인가하여, 색재층에 포함되는 색재 성분을, 염료 수용성을 갖는 피전사체 상에 이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이고, 열용융형 열전사 방식은, 서멀 헤드 등의 가열 디바이스로부터 화상 정보에 따른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용융 연화된 색재층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이용되는 제1 색재층」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이용되는 제1 색재층(51)은, 바인더 수지와, 색재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색재 성분으로서는, 승화성 염료나, 형광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제1 색재층(51)은, 단일의 층으로 구성해도 좋고, 2 이상의 층으로 구성해도 좋다. 예컨대, 후술하는 제1 화상 형성 공정에 있어서 형성되는 제1 화상(20)이 모노 컬러인 경우에는, 제1 색재층(51)을, 단일의 색재층으로 구성해도 좋고, 제1 화상(20)이 풀 컬러 화상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옐로우 색재층(51Y), 마젠타 색재층(51M), 시안 색재층(51C) 등의 색상이 상이한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색재층을, 기재(50)의 동일면 상에 배열한 것을 제1 색재층(51)으로 해도 좋다. 또한, 옐로우 색재층(51Y), 마젠타 색재층(51M), 시안 색재층(51C) 등의 색상이 상이한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색재층 중 2개의 색재층을 기재(50)의 동일면 상에 배열한 것을 제1 색재층(51)으로 해도 좋다.
승화성 염료로서는, 충분한 착색 농도를 갖고, 빛, 열, 온도 등에 의해 변퇴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승화성 염료로서는, 예컨대, 디아릴메탄계 염료, 트리아릴메탄계 염료, 티아졸계 염료, 메로시아닌 염료, 피라졸론 염료, 메틴계 염료, 인도아닐린계 염료, 피라졸로메틴계 염료, 아세토페논아조메틴, 피라졸로아조메틴, 이미다졸아조메틴, 이미다조아조메틴, 피리돈아조메틴 등의 아조메틴계 염료, 크산텐계 염료, 옥사진계 염료, 디시아노스티렌, 트리시아노스티렌 등의 시아노스티렌계 염료, 티아진계 염료, 아진계 염료, 아크리딘계 염료, 벤젠아조계 염료, 피리돈아조, 티오펜아조, 이소티아졸아조, 피롤아조, 피라졸아조, 이미다졸아조, 티아디아졸아조, 트리아졸아조, 디스아조 등의 아조계 염료, 스피로피란계 염료, 인돌리노스피로피란계 염료, 플루오란계 염료, 로다민락탐계 염료, 나프토퀴논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퀴노프탈론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SRedG(미쯔이 도아쯔 가가쿠(주)), Macrolex Red Violet R(바이엘사), CeresRed 7B(바이엘사), Samaron Red F3BS(미쯔비시 가가쿠(주)) 등의 적색 염료, 포론 브릴리언트 옐로우 6GL(클라리언트사), PTY-52(미쯔비시 가가쿠(주)), 마크로렉스 옐로우 6G(바이엘사) 등의 황색 염료, 카야셋(등록 상표) 블루 714(닛폰 가야쿠(주)), 포론 브릴리언트 블루 S-R(클라리언트사), MS 블루 100(미쯔이 도아쯔 가가쿠(주)), C.I. 솔벤트 블루 63 등의 청색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승화성 염료를 담지하기 위한 바인더 수지로서는, 내열성을 갖고, 승화성 염료와 적당한 친화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컨대,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형광 염료로서는, 예컨대, 디아미노스틸벤디술폰산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트리아졸, 카르바졸, 피리딘, 나프탈산, 이미다졸론 등의 유도체, 플루오레세인, 에오신 등의 색소, 안트라센 등의 벤젠환을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형광 염료는, 태양광, 전등광, 자외선 등에 의해 자극되어 에너지를 흡수하고, 자극 중에 그 에너지를 빛으로 바꿔 발광(형광)하는 성질을 갖는 것이다. 후술하는 형광 안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형광 염료를 담지하기 위한 바인더 수지로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등의 비닐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염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상기 제1 색재층 중에 있어서의, 바인더 수지, 색재 성분으로서의 승화성 염료나, 형광 염료의 함유량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제1 색재층(51)을 이용하여,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 상에 형성되는 제1 화상(20)에 요구되는 화상 농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색재층(51)은, 바인더 수지, 색재 성분과 함께, 무기 입자, 유기 미립자 등의 첨가재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무기 입자로서는, 탤크, 카본 블랙, 알루미늄, 이황화몰리브덴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미립자로서는, 폴리에틸렌 왁스, 실리콘 수지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례로서의 제1 색재층(51)은,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형제로서는, 변성 또는 미변성의 실리콘 오일(실리콘 수지라고 칭해지는 것도 포함한다), 인산에스테르, 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형태의 제1 색재층(51)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바인더 수지, 색재 성분,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재나, 이형제를, 적당한 용제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제1 색재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기재(50), 또는 기재(50) 상에 형성되는 임의의 층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색재층(51)의 두께는, 0.2 ㎛ 이상 2.0 ㎛ 이하의 범위가 일반적이다.
「열용융형 열전사 방식에 이용되는 제1 색재층」
열용융형 열전사 방식에 이용되는 제1 색재층(51)(이하, 제2 형태의 제1 색재층이라고 한다)은, 바인더와, 착색제를 함유하고 있다. 제2 형태의 제1 색재층은, 소위 열용융성 잉크층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열용융형 열전사 방식에 이용되는 제1 색재층(51)이 함유하고 있는 바인더로서는, 수지 성분, 또는 왁스 성분 등을 들 수 있고,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석유 수지, 염화비닐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염화비닐리덴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불소 수지,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 아세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이소부틸렌, 에틸셀룰로오스 또는 폴리아세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왁스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등이 있다. 또한, 피셔-트롭슈 왁스, 각종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목랍, 밀랍, 경랍, 백랍, 양모랍, 셸락 왁스, 칸데릴라 왁스, 페트롤레이텀, 폴리에스테르 왁스, 일부 변성 왁스,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아미드 등, 여러 가지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열용융형 열전사 방식에 이용되는 제1 색재층(51)이 함유하고 있는 착색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유기 또는 무기의 안료, 또는 염료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컨대, 충분한 착색 농도를 갖고, 빛, 열 등에 의해 변색, 퇴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에 의해 발색하는 물질이나, 피전사체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성분과 접촉함으로써 발색하는 것과 같은 물질이어도 좋다. 착색제의 색으로서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색의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형광 안료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형광 안료는, 주로 무기계의 형광체 재료이며, Ca, Ba, Mg, Zn, Cd 등의 산화물, 황화물, 규산염, 인산염, 텅스텐산염 등의 결정을 주성분으로 하고, Mn, Zn, Ag, Cu, Sb, Pb 등의 금속 원소 또는 란타노이드류 등의 희토류 원소를 활성제로서 첨가해서 소성하여 얻어지는 안료이다. 이들 무기계의 형광체 재료의 구체적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텅스텐산칼슘, 텅스텐산마그네슘 등의 산화물계, 또는 황화칼슘·비스무트, 황화아연·은, 황화아연·구리, 황화아연·금·알루미늄 등의 황화물계, 산화아연·아연, 바나듐산이트륨·유로퓸, 산화이트륨·유로퓸, 황산화이트륨·유로퓸, 황산화이트륨·테르븀, 황산화가돌리늄·테르븀, 황산화란탄·테르븀, 산브롬화란탄·테르븀 등의 산화물계 등의 형광체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형태의 제1 색재층 중에 있어서의, 바인더, 착색제의 함유량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제1 색재층(51)을 이용하여,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 상에 형성되는 제1 화상(20)에 요구되는 화상 농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제1 색재층(51)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바인더, 착색제,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재를, 적당한 용제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제1 색재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기재(50), 또는 기재(50) 상에 형성되는 임의의 층 상, 예컨대, 이형층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 형태의 제1 색재층(51)의 두께는, 0.5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일반적이다.
또한, 제1 색재층(51)을 갖는 열전사 시트로서, 색상이 상이한 복수의 열전사 시트를 이용해도 좋다. 예컨대, 제1 색재층(51)을 갖는 열전사 시트로서, 옐로우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 마젠타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 시안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를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이것은, 후술하는 제2 색재층(5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2 전사층)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100)는, 제2 전사층(55)을 갖고 있다. 일례로서의 열전사 시트(100)는, 도 3∼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50) 상에, 제1 색재층(51)과 면순차로 제2 전사층(55)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형태의 열전사 시트를 대신하여, 기재(50) 상에, 제2 전사층(55)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를, 제1 색재층(51), 제2 색재층(52)을 갖는 열전사 시트와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제2 전사층(55)은, 기재(50)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열전사에 의해, 기재(50)로부터 박리되며, 제1 화상(20)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되는 층이다. 또한, 후술하는 제2 화상 형성 공정에 있어서,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된 제2 전사층(55) 상에는,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색재층(52)에 의해, 제2 화상(30)이 형성된다.
제2 전사층은, 열전사 시트의 제2 색재층(52)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제2 색재층(52)이 함유하는 색재 성분을 제2 전사층(55) 상에 이행시켜 제2 화상(3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2 전사층(55)은, 수용층(전사성 수용층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열용융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용융 연화된 제2 색재층(52)을 제2 전사층(55) 상에 전사하여 제2 화상(3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2 전사층(55)은 수용층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일례로서의 제2 전사층(55)은,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층(55A)을 포함하는 단층 구성, 또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수용층(55A)은, 제2 전사층(55)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50)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고, 후술하는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색재층(55)이 함유하고 있는 색재 성분을 수용하는 염료 수용성을 갖고 있다.
수용층(55A)으로서는, 상기 중간 전사 매체(10)에서 설명한 수용층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제2 전사층(55)은, 수용층(55A)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층(55A)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에 의하면, 전사 계면에 위치하는 층인 수용층의 전사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고, 제2 전사층(55)을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100)에 인가되는 에너지를 높여 간 경우라도, 수용층(55A)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의 전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요컨대, 넓은 에너지 범위에 있어서, 제1 전사층(5) 상에 수용층(55A)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을 전사할 때의 전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제2 전사층(55)의 전사성이란, 제2 전사층(55)을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할 때에, 제2 전사층(55)이, 기재(50)측에 잔존하지 않거나, 또는,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과,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전사층(55)이 일체화되어 버리지 않고, 제2 전사층(55)을, 제1 전사층(5) 상에 정확히 전사할(이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전사성이 높다고 하는 것은, 열전사 시트(100)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중간 전사 매체의 제1 전사층(5) 상에 제2 전사층(55)을 전사할 때에, 에너지가 인가된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전사층(55)이 기재(50)측에 잔존하는 것이나,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과,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전사층(55)이 일체화되지 않고, 제2 전사층(55)을 제1 전사층(5) 상에 정확히 이행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전사성이 낮다고 하는 것은, 열전사 시트(100)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 상에,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전사층(55)을 전사할 때에, 에너지가 인가된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전사층(55)의 일부, 또는 전부의 영역에 있어서, 기재(50), 또는 기재(50) 상에 임의로 형성되는 층(예컨대, 후술하는 임의의 이형층)과, 제2 전사층(55)이 열융착을 일으켜, 환언하면, 기재(50), 또는 기재(50) 상에 임의로 형성되는 층과, 제2 전사층(55)에 포함되는 수용층(55A)이 열융착을 일으켜, 기재(50)로부터 제2 전사층(55)을 박리할 수 없고, 제1 전사층(5)과 열전사 시트가 일체화되어 버리거나, 또는, 기재(50), 또는 기재(50) 상에 임의로 형성되는 층과, 제2 전사층(55)에 포함되는 수용층(55A)이 열융착을 일으켜, 본래라면, 기재, 또는 기재 상에 형성되는 임의의 층과의 계면에 있어서 박리되어야 할 제2 전사층(55)이, 제2 전사층(55)을 구성하는 층간에서 박리되어 버려,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되어야 할 수용층(55A)의 전부, 또는 일부가 기재(50)측에 잔존해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수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55A)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수지,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함유하고 있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수지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층(55A)에 의하면, 상기 수용층(55A)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의 전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수용층(55A)은,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1종을 단독으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셀룰로오스계 수지와 함께, 다른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55A)은, 수 평균 분자량(Mn)이 70000 미만, 바람직하게는 55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00 이하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55A)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에 의하면, 셀룰로오스계 수지로서, 수 평균 분자량(Mn)이 70000 이상인 셀룰로오스계 수지만을 함유하는 수용층(55A)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과 비교하여,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 상에 제2 전사층(55)을 전사할 때의 박 절단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수용층(55A)은, 수 평균 분자량(Mn)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55A)은, 2종 이상의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적어도 1종의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상기 바람직한 수 평균 분자량(Mn)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로 되어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수 평균 분자량(Mn)이란, JIS-K-7252-1(2008)에 준거하여,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분자량을 의미한다.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매우 소량의 첨가로, 예컨대, 수용층(55A)의 총 질량에 대한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을 0.5 질량% 정도로 한 경우라도, 상기 수용층(55A)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의 전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환언하면, 그 함유량에 관계없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층(55A)에 의하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수용층(55A)과 비교하여, 넓은 에너지 범위에 있어서, 상기 수용층(55A)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의 전사성을 매우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의 상한값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100 질량%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되는 일은 없으나,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은, 제2 전사층(55) 상에 제2 화상(30)을 형성할 때의 제2 색재층(52)과의 이형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색재층(52)측에 있어서, 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이 도모되어 있는 경우, 예컨대, 제2 색재층(52)이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에 대한 고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임의의 함유량으로 하면 된다. 한편, 제2 색재층(52)측에서 이형성의 대책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색재층(52)이 함유하고 있는 수지의 종별에 따라,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경우에 있어서의 이형성은, 제2 색재층(52)이 함유하고 있는 수지의 종별에 따라 상이하고, 예컨대, 제2 색재층(52)이 함유하고 있는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이고, 또한 제2 색재층(52)이 이형제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는, 수용층(55A)의 총 질량에 대한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은 25 질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층(55A), 제2 색재층(52)의 양쪽이 이형제 등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층(55A)과의 이형성이 좋은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색재층(52)을 이용함으로써,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에 관계없이 이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수용층(55A)의 총 질량에 대한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을 100 질량%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수용층(55A)에 이형제를 함유시켜 이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수용층(55A)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나, 이형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셀룰로오스계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또는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형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아미드 왁스, 테플론(등록 상표) 파우더 등의 고형 왁스류, 불소계 또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실리콘 오일, 반응성 실리콘 오일, 경화형 실리콘 오일 등의 각종 변성 실리콘 오일, 및 각종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층(55A)은,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나, 이형제 등의 첨가재를 적당한 용매에, 분산 내지 용해한 수용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기재(50), 또는 기재(50) 상에 형성되는 임의의 층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층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통상, 0.3 ㎛ 이상 10 ㎛ 이하의 범위이다.
(기능층)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층(55A) 상에, 기능층(54)을 형성해도 좋다. 한편, 기능층(54)은, 제2 전사층(55)을 구성하는 층이며, 수용층(55A)과 함께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되는 층이다. 기능층(54)은, 제2 전사층(55)에 요구되는 기능, 예컨대, 은폐성이나, 접착성 등의 기능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 한정되는 일은 없다. 즉, 수용층(55A) 상에 형성되는 층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되는 일은 없고, 수용층(55A)과는 상이한 층이면 어떠한 층이어도 좋다. 기능층(54)은, 단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고,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이하, 기능층(54)에 대해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일례로서의 기능층(54)은,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인화물(300)을 피전사체(200)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1 화상(20)을 은폐하는 기능을 갖는다. 환언하면,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인화물(300)을 제1 전사층(5)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2 화상(30)을 은폐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이 기능을 갖는 기능층(54)을 은폐층(54)이라고 한다.
일례로서의 은폐층(54)은, 바인더 수지와, 착색제로 구성되어 있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공지의 착색제, 예컨대, 산화티탄, 산화아연, 카본 블랙, 산화철, 철황, 군청, 홀로그램 분말, 알루미늄 분말, 메탈릭 안료, 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은폐층(54)은, 이들 바인더 수지의 1종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착색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은폐층(54)의 형성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에서 예시한 바인더 수지, 착색제,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재를 적당한 용매에, 분산 내지 용해한 은폐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수용층(55A)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은폐층(54)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은폐층(54)에 의한 은폐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한편, 은폐층(54)의 두께가 0.1 ㎛ 미만에서는 은폐성이 저하되어 가는 경향이 있고, 이 점을 고려하면, 은폐층(54)의 두께는,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은폐층의 두께의 바람직한 상한값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5 ㎛ 정도이다.
또한, 제2 전사층(55) 상에 형성되는 제2 화상(30)이, 열용융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인 경우에는, 제2 전사층(55)은 수용층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고, 예컨대, 제2 전사층(55)을 은폐층(54)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의 전사층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수용층(55A)과 은폐층(54)(기능층(54)) 사이에, 제2 전사층(55)의 박 절단성의 향상, 구체적으로는, 제2 전사층(55)을 전사할 때에 테일링(tailing)이나, 문자 찌그러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또는 수용층(55A)과 은폐층(54)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간층(도시하지 않는다)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테일링이란, 제2 전사층(55)을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할 때에, 제2 전사층(55)의 전사 영역과 비전사 영역의 경계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경계로부터 비전사 영역측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제2 전사층(55)이 전사되어 버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문자 찌그러짐이란, 문자로서 나타나는 전사 영역으로 둘러싸여지거나, 또는 끼워진 피전사 영역이, 테일링과 동일한 현상으로 전사되어 버려, 본래의 문자를 재현할 수 없는 현상을 의미한다.
일례로서의 중간층은, 예컨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의 바인더 수지, 필요에 따라,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티탄, 카본 블랙 등의 무기 입자를 함유하고 있다. 바인더 수지와 함께,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중간층에 의하면, 중간층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의 박 절단성을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중간층은, 바인더 수지와 함께, 알루미나 미립자나,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의 중간층은, 바인더 수지와 함께, 알루미나졸 유래의 알루미나 미립자나, 콜로이달 실리카 유래의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바인더 수지를 이용하지 않고, 중간층을 무기 미립자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형성의 향상을 주안으로 하여, 수용층(55A) 상에, 수계 수지를 함유하는 중간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환언하면, 수계 수지를, 수계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하여 이루어지는 중간층용 도공액을 이용하여, 수용층(55A) 상에 중간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형태의 제2 전사층(55)에 의하면, 이형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수계 수지」란, 수용성 수지, 또는 수계 용매에 불용성이지만, 에멀젼이나 디스퍼션과 같이, 수계 용매에 분산 가능한 수지를 의미한다. 수계 용매로서는, 물이나, 물과 알코올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아크릴산, 폴리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수용성(또는 수분산)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용성(또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수분산성 염화비닐 수지, 수분산성 염화아크릴계 수지, 수분산성 에폭시 수지, 젤라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수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중간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바인더 수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재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중간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수용층(55A)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중간층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0.01 ㎛ 이상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 이상 3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일례로서의 기능층(54)은, 제1 전사층(5)과 제2 전사층(55)의 접착성을 높이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접착성을 갖는 기능층(54)을 접착층이라고 한다. 접착층으로서는, 열전사 시트의 분야에서 종래 공지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의 접착층은, 자외선 흡수성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부티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염화비닐 수지 등을 함유하고 있다.
접착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에서 예시한 바인더 수지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형광 증백제, 무기 또는 유기의 필러 성분, 계면 활성제, 이형제 등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내지 용해한 접착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수용층(55A)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0.5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8 ㎛ 이상 2.0 ㎛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제2 전사층(55) 상에 제2 화상(30)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제2 전사층(55)이 수용층을 포함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을 행하였으나, 열용융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제2 전사층(55) 상에 제2 화상(3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2 전사층(55)은 수용층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사층(55)을 히트 시일 패널(55B)로 해도 좋다.
제2 전사층(55)으로서의 히트 시일 패널(55B)은, 열전사에 의해, 기재(50)로부터 박리 가능하다고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면 되고, 이 이외의 조건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되는 일은 없다. 예컨대, 히트 시일 패널(55B)은, 단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고,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한편, 히트 시일 패널(55B)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50)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층은, 제1 전사층(5)과의 접착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전사층(55)을, 기재(50)측으로부터 히트 시일 패널(55B), 은폐층(54)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히트 시일 패널(55B)로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보호층, 박리층, 접착층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층을 조합해도 좋다.
(제2 색재층)
제2 색재층(52)은, 후술하는 제2 화상 형성 공정에 있어서,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된 제2 전사층(55) 상에, 제2 화상(30)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층이다.
제2 색재층(52)은, 상기 제1 색재층(51)에서 설명한 각종의 형태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고,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염료 프라이머층)
기재(50)와 제1 색재층(51) 사이나, 기재(50)와 제2 색재층(52) 사이에, 기재(50)와 제1 색재층(51), 또는, 기재(50)와 제2 색재층(52)의 밀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염료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좋다.
염료 프라이머층으로서는, 열전사 시트의 분야에서 종래 공지의 염료 프라이머층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의 염료 프라이머층은,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염료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이나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염료 프라이머층은, 이들 수지 성분과 함께, 유기 입자나, 무기 입자 등의 각종의 첨가재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염료 프라이머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에서 예시한 수지 성분,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재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염료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기재(50)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통상은, 0.02 ㎛ 이상 1 ㎛ 이하의 범위이다.
(이형층)
또한, 기재(50)와 제2 전사층(55) 사이에 이형층(도시하지 않는다)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형층은, 제2 전사층(55)을 구성하지 않는 층이다. 요컨대, 제1 전사층(5) 상에 제2 전사층(55)을 전사할 때에, 기재(50)측에 잔존하는 층이다. 기재(50)와 제2 전사층(55) 사이에 이형층을 형성함으로써, 제2 전사층(55)의 전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형층에 함유되는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컨대, 왁스류, 실리콘 왁스, 실리콘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불소 수지, 불소 변성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수지, 열가교성 에폭시-아미노 수지 및 열가교성 알키드-아미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형층은, 1종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형층은, 이형성 수지에 더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가교제, 주석계 촉매, 알루미늄계 촉매 등의 촉매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형층의 두께는 0.2 ㎛ 이상 5 ㎛ 이하의 범위가 일반적이다. 이형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기 수지를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시켜 이형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기재(50)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면층)
또한, 기재(50)의 제2 전사층(55)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배면층(도시하지 않는다)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배면층의 재료에 대해 한정은 없고, 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변성 또는 불소 변성 우레탄 등의 천연 또는 합성 수지의 단체 또는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배면층은, 고형 또는 액상의 활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활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왁스 등의 각종 왁스류, 고급 지방족 알코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불소계 계면 활성제, 유기 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 금속 비누,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탤크, 실리카 등의 무기 화합물의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배면층의 총 질량에 대한 활제의 질량은, 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의 범위이다.
배면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수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활제 등을, 적당한 용제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배면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기재(50)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면층의 두께는, 1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50)의 한쪽 면 상에 면순차로 형성되는 제1 색재층(51), 제2 전사층(55), 제2 색재층(52)의 집합체를 「1유닛」으로 했을 때에, 기재(50)의 동일면 상에 이 「1유닛」을 반복해서 나란히 형성할 수도 있다. 이 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의하면, 하나의 중간 전사 매체의 제1 전사층(5) 상에, 열전사 시트의 「1유닛」에 의해, 제1 화상(20), 제2 화상(30)의 형성을 행한 후에, 동일한 열전사 시트(100)가 갖는 다른 「1유닛」에 의해, 다른 하나의 중간 전사 매체의 제1 전사층(5) 상에 제1 화상(20), 제2 화상(30)의 형성을 행할 수 있다. 요컨대, 하나의 열전사 시트에 의해, 복수의 인화물(30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1유닛」이란, 입체 화상을 갖는 하나의 인화물을 형성할 때에 이용되는 색재층, 및 제2 전사층(55)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도 7, 도 8은 「1유닛」의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에서는, 색상이 상이한 복수의 색재층의 군에 의해 제1 색재층(51)이 구성되고, 또한, 색상이 상이한 복수의 색재층의 군에 의해 제2 색재층(52)이 구성되며, 복수의 색재층의 군으로 이루어지는 제1 색재층(51), 제2 전사층(55), 복수의 색재층의 군으로 이루어지는 제2 색재층(52)의 집합체에 의해 「1유닛」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서는, 기재(50)의 동일면 상에, 제1 색재층(51), 제2 전사층(55'), 제2 색재층(52), 제2 전사층(55''), 제3 색재층(53)이 형성되고, 이들의 집합체에 의해 「1유닛」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제2 전사층(55') 상에 제2 화상(30)을 전사한 후에, 제2 색재층(52)과 제3 색재층(5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전사층(55'')을, 제2 화상(30)이 형성된 제2 전사층(55') 상에 전사하고, 이 제2 전사층(55'') 상에, 제3 색재층(53)을 이용하여 제3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1유닛」은, 제4 색재층, 제5 색재층…제N-1 색재층, 제N 색재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 색재층 간에는, 제2 전사층(55)이 위치하고 있다.
일례로서의 열전사 시트는, 「1유닛」을 구성하는 제1 색재층(51), 및 제2 색재층(5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층이,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이거나, 또는 열용융성 잉크층으로 되어 있다. 예컨대, 제1 색재층, 및 제2 색재층의 양쪽을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으로 해도 좋고, 제1 색재층, 및 제2 색재층의 양쪽을 열용융성 잉크층으로 해도 좋으며, 제1 색재층, 및 제2 색재층 중 어느 한쪽의 층을,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으로 하고, 다른쪽의 층을 열용융성 잉크층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1 색재층, 및 제2 색재층의 양쪽을,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1 색재층, 및 제2 색재층의 양쪽을,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 중 어느 하나의 층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1 색재층, 및 제2 색재층의 양쪽을,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의 군에서 선택되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해도 좋다. 예컨대,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을 배열한 것을 제1 색재층으로 하고, 마젠타 색재층과 시안 색재층을 배열한 것을 제2 색재층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형태를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의하면, 제1 색재층(5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화상(20)과, 제2 색재층(5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화상(3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입체 화상을 얻을 수 있고, 환언하면, 제2 전사층(55)의 두께에 상당하는 두께분, 제1 화상(20)과 제2 화상(30)을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화상(20)에 포함되는 색재 성분과, 제2 화상(30)에 포함되는 색재 성분의 상성이 나쁜 경우라도, 화상에 번짐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선명한 입체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는 제1 색재층(51)을 이용하여, 제1 화상(20)을 형성하고,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제2 색재층(52)을 이용하여, 제2 화상(30)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2 화상(30)의 발색 특성 등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색재층(51), 제2 색재층(52), 또는, 이 이외의 색재층을, 홀로그램 전사층으로 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전사층으로서는, 예컨대, 요철 패턴(간섭무늬)을 구비하는 층을 사용해도 좋고, 홀로그램 상에 금속 증착 등으로 금색, 은색 등이 착색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은폐층(54)을 대신하여, 또는 제2 전사층(55)과 은폐층(54) 사이나, 은폐층(54) 상에 홀로그램 전사층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피전사체를 준비하는 공정>
후술하는 제2 전사 공정에 있어서, 제1 전사층(5), 제1 화상(20), 제2 전사층(55), 제2 화상(30)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박(60)이 전사되는 피전사체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되는 일은 없고, 예컨대, 보통지, 상질지, 트레이싱 페이퍼, 플라스틱 필름, 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는 플라스틱 카드 등을 들 수 있다. 피전사체로서 소정의 화상을 갖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피전사체(200)로서 투명성을 갖는 피전사체를 이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인화물(300)의 표면측, 및 이면측으로부터 제1 화상 형성 공정, 제2 화상 형성 공정에 있어서 형성된 화상 중 어느 한쪽의 화상, 및 양쪽의 화상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전사층(55)이, 은폐층(54)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인 경우에는, 은폐층에 의해 인화물(300)의 한쪽 면측으로부터 은폐된 화상을, 인화물의 다른쪽 면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투명성을 갖는 피전사체(20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준비한 중간 전사 매체(10), 열전사 시트(100), 피전사체(200)를 이용하여 인화물(300)을 형성하는 공정에 대해, 도 9∼도 11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9는 지지체(1) 상에 염료 수용성을 갖는 수용층을 포함하는 제1 전사층(5)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10)와, 기재(50)의 한쪽 면 상에,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제1 색재층(51), 염료 수용성을 갖는 수용층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제2 색재층(52)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100)를 조합한 예를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10은 지지체(1) 상에 염료 수용성을 갖는 수용층을 포함하는 제1 전사층(5)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10)와, 기재(50)의 한쪽 면 상에,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제1 색재층(51), 염료 수용성을 갖는 수용층(55A)과 은폐층(54)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제2 전사층(55),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제2 색재층(52)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100)를 조합한 예를 도시한 공정도이며, 도 11은 지지체(1) 상에 염료 수용성을 갖는 수용층을 포함하는 제1 전사층(5)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10)와, 기재(50)의 한쪽 면 상에,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제1 색재층(51), 히트 시일 패널(55B)로 이루어지는 제2 전사층(55), 열용융성 잉크층으로서의 제2 색재층(52)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100)를 조합한 예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제1 화상 형성 공정>
본 공정은, 도 9(a), 도 10(a),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준비한 중간 전사 매체(10)와, 열전사 시트(100)를,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과, 열전사 시트(100)의 제1 색재층(51)이 대향하도록 중첩시키고, 서멀 헤드 등의 가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1 전사층(5) 상에, 제1 화상(2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한편, 도 9∼도 11에서는,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제1 전사층(5) 상에, 제1 색재층(51)이 함유하고 있는 염료를 전사함으로써 제1 화상(2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전사층(5)으로서 히트 시일 패널을 이용하고, 제1 색재층(51)을 열용융성 잉크층으로 하며, 열용융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제1 전사층(5) 상에, 제1 색재층(51)을 용융 전사하여, 제1 화상(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전사 공정>
본 공정은, 상기 제1 화상 형성 공정 후에,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제1 화상(20)이 형성된 제1 전사층(5))과,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전사층(55)이 대향하도록 중첩시키고, 서멀 헤드 등의 가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도 9(b), 도 10(b),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화상(20)이 형성된 제1 전사층(5) 상에, 제2 전사층(55)을 전사하는 공정이다. 한편, 도 10(b)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기재(50)측으로부터 수용층(55A), 은폐층(54)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제2 전사층(55)이, 제1 화상(20)이 형성된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되고, 도 11(b)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히트 시일 패널로 구성되는 제2 전사층(55)이, 제1 화상(20)이 형성된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되어 있다. 제2 전사층(55)을 전사하는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서멀 헤드 등에 의한 가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 예컨대, 핫 스탬프 방식이나, 히트 롤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이외의 방식에 의해 제2 전사층(55)을 전사할 수도 있다. 제2 전사 공정에 있어서, 전사박(60)을 피전사체(200) 상에 전사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2 화상 형성 공정>
본 공정은, 상기 제2 전사 공정 후에,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된 제2 전사층(55)과,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색재층(52)이 대향하도록 중첩시키고, 서멀 헤드 등의 가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도 9(c), 도 10(c),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사층(55) 상에 제2 화상(3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한편, 도 9, 도 10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제2 전사층(55) 상에, 제2 색재층(52)이 함유하고 있는 염료를 이행시킴으로써 제2 화상(30)이 형성되어 있고, 도 11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열용융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히트 시일 패널(55B)로서의 제2 전사층(55) 상에, 열용융성 잉크층으로서의 제2 색재층(52)을 용융 전사함으로써, 제2 화상(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화상 형성 공정, 제1 전사 공정, 제2 화상 형성 공정을 거침으로써, 중간 전사 매체(10)의 지지체(1) 상에, 제1 전사층(5), 제1 화상(20), 제2 전사층(55), 제2 화상(30)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간 전사 매체(10)를 얻는다. 이하, 제1 전사층(5), 제1 화상(20), 제2 전사층(55), 제2 화상(30)의 적층체를 전사박(60)이라고 칭한다.
제2 화상(30)의 형성 위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제1 화상(20)의 일부, 또는 전부와 두께 방향에서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해도 좋고, 제1 화상(20)의 일부, 또는 전부와 두께 방향에서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형성해도 좋다(도 9(c), 도 10(c), 도 11(c)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제1 화상(20)의 일부와 제2 화상(30)이 두께 방향에서 겹쳐져 있다). 한편, 제1 화상(20)의 일부, 또는 전부와 두께 방향에서 겹쳐지는 위치에 제2 화상(30)을 형성함으로써, 제1 화상(20)과, 제2 화상(30)이 두께 방향에서 중첩되는 부분에 있어서, 외관상의 열전사 화상의 농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전사 공정>
본 공정은, 상기에서 준비한 피전사체(200)와, 제2 화상(30)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10)를, 피전사체(200)와, 중간 전사 매체(10)의 전사박(60)이 대향하도록 중첩시키고, 피전사체(200) 상에 전사박(60)을 전사하는 공정이다. 환언하면,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을, 상기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된 제2 전사층(55)과 함께 피전사체(200) 상에 전사하는 공정이다. 제2 전사 공정을 거침으로써, 피전사체(200) 상에, 제1 화상(20), 및 제2 화상(30)이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입체 화상을 갖는 인화물(300)을 얻는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형태에 의해 형성된 인화물(300)은, 제1 화상(20)과 제2 화상(30) 사이에 은폐층(54)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인화물(300)을, 제1 전사층(5)측에서 보았을 때에, 은폐층(54)에 의해 제2 화상(30)이 은폐되어 있다.
이상,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대해, 도 9∼도 11을 이용하여 설명을 행하였으나, 본 발명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열전사 시트와, 하나의 중간 전사 매체를 이용하여, 복수의 화상이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인화물, 요컨대, 입체 화상을 갖는 인화물을 형성 가능하게 하고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 하나의 중간 전사 매체가, 피전사체 상에 전사 가능한 제1 전사층을 구비하고, 또한, 열전사 시트가, 상기 (ⅰ)∼(ⅲ)의 형태의 열전사 시트인, 요컨대, 중간 전사 매체의 제1 전사층 상에 제1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색재층과, 제2 전사층과, 상기 제2 전사층 상에 제2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색재층을 갖는다고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면 되고, 이 이외의 조건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형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열전사 시트(100)로서, 도 8에 도시된 형태의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제1 화상(20), 제2 화상(30)과 함께, 다른 화상을 갖는 인화물(300)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중간 전사 매체(10)와, 상기에서 설명한 열전사 시트(100)를 적절히 조합하여 인화물(3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제1 색재층, 또는 제2 색재층, 열용융성 잉크층으로서의 제1 색재층, 또는 제2 색재층을 대신하여, 이 이외의 색재 성분을 함유하는 색재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
다음으로,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인화물의 형성 방법(이하, 다른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지지체(1)의 한쪽 면 상에, 상기 지지체(1)로부터 제1 전사층(5)이 박리 가능하게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10)(도 1, 도 2 참조)를 준비하는 공정과, 열전사 시트(100)를 준비하는 공정과, 피전사체(200)를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열전사 시트(100)가, 제1 색재층(51), 은폐층(54)을 포함하는 제2 색재층(52), 제2 전사층(55)을 가지며, (ⅰ) 기재(50) 상에 제1 색재층(51)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50) 상에 제2 색재층(52)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50) 상에 제2 전사층(55)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ⅱ) 기재(50) 상에 제1 색재층(51), 제2 색재층(52), 제2 전사층(55) 중 어느 하나의 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50) 상에 다른 2개의 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ⅲ) 기재(50) 상에 제1 색재층(51), 제2 색재층(52), 제2 전사층(55)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도 8 참조) 중 어느 하나이고, 중간 전사 매체(10)와 열전사 시트(100)를 조합하고, 열전사 시트(100)의 제1 색재층(51)을 이용하여,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 상의 일부에 제1 화상(20)을 형성하는 제1 화상 형성 공정(도 12(a) 참조)과, 제1 전사층(5)의 제1 화상(2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여, 제1 화상(20) 상에,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전사층(55)을 전사하는 제1 전사 공정(도 12(b) 참조)과,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색재층(52)을 이용하여, 노출되어 있는 제1 전사층(5) 상에 제2 화상(30)을 형성하는 제2 화상 형성 공정(도 12(c) 참조)과, 중간 전사 매체의 제1 전사층(5)을,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된 제2 전사층(55)과 함께 피전사체(200) 상에 전사하는 제2 전사 공정(도 12(d) 참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이,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된 제2 전사층(55) 상에 제2 화상(30)을 형성하고 있는 데 대해, 다른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서는, 제1 전사층(5) 상에, 제1 화상(20), 및 제2 화상(30)을 형성하고, 제1 화상(20) 상에, 은폐층(54)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을 전사하고 있는 점에서,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과, 다른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서는 일치하고 있다. 이하,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다른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중간 전사 매체를 준비하는 공정>
본 공정에서 준비되는 중간 전사 매체로서는, 상기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설명한 중간 전사 매체(10)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
본 공정에서 준비되는 열전사 시트는, 제2 전사층(55)이 은폐층(5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필수적인 조건으로 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서 설명한 열전사 시트(100)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제2 전사층(55)은, 은폐층(54)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고, 은폐층(54)을 포함하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제2 전사층(55) 상에, 승화형 열전사 방식을 이용하여 다른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2 전사층(55)을, 기재(50)측으로부터, 수용층(55A), 은폐층(54)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은폐층(54)을 포함하는 이 이외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은폐층(54)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은, 제1 화상(20) 상에 전사되고,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인화물을 한쪽 면측에서 시인했을 때에, 제1 화상(20)을 은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화상 형성 공정>
다른 실시형태의 제1 화상 형성 공정은, 상기에서 준비한 중간 전사 매체(10)와 열전사 시트(100)를 조합하고, 열전사 시트(100)의 제1 색재층(51)을 이용하여,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매체(10)의 제1 전사층(5) 상의 일부에 제1 화상(2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환언하면, 제1 전사층(5)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의 영역 상에 제1 화상(2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제1 전사 공정>
다른 실시형태의 제1 전사 공정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사층(5)의 제1 화상(2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여, 제1 화상(20) 상에, 은폐층(54)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을 전사하는 공정이다. 제2 전사층(55)은, 제1 화상(20)의 전면(全面), 및 제1 전사층(5)의 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전사해도 좋고, 제1 화상(20)의 전면만을 덮도록 전사해도 좋으며, 제1 화상(20)의 일부를 덮도록 전사해도 좋다(도시된 형태에서는, 제1 화상(20)과 동일 형상으로, 제2 전사층(55)을 전사하고 있다).
<제2 화상 형성 공정>
다른 실시형태의 제2 화상 형성 공정은, 열전사 시트(100)의 제2 색재층(52)을 이용하여,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되어 있는 제1 전사층(5) 상에 제2 화상(3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제2 화상(20)은, 상기 노출되어 있는 제1 전사층(5) 상, 및 제2 전사층(55)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화상 형성 공정은, 상기 제1 화상 형성 공정, 또는 제1 전사 공정 전에 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사층(5) 상에 제1 화상(20)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제1 전사층(5) 상이며, 제1 화상(2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 상에 제2 화상(30)을 형성하고, 그 후, 제1 화상(20) 상에 제2 전사층(55)을 전사해도 좋다. 또한, 제1 전사층(5) 상에 제2 화상(30)을 형성하고, 그 후, 제1 화상 형성 공정, 제1 전사 공정을 행해도 좋다.
<제2 전사 공정>
다른 실시형태의 제2 전사 공정은,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매체의 제1 전사층(5)을, 제1 전사층(5) 상에 전사된 제2 전사층(55)과 함께 피전사체(200) 상에 전사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그 표면에 제1 화상(20), 및 제2 화상(30)이 형성된 제1 전사층과, 제1 화상(20) 상에 전사되어 이루어지는 제2 전사층(55)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박(60)을, 피전사체(200) 상에 전사하는 공정이다. 제2 전사 공정을 거침으로써, 제1 화상(20), 제2 화상(30)을 갖고, 또한 제1 화상(20)이 은폐층(54)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에 의해 은폐되어 이루어지는 인화물(300)을 얻는다.
이상 설명한 다른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제1 화상(20), 제2 화상(30)을 갖고, 또한 제1 화상(20)이 은폐층(54)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55)에 의해 은폐되어 이루어지는 의장성이 높은 인화물(300)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1 화상(20), 제2 화상(30)은, 승화형 열전사 방식, 열용융형 열전사 방식의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화상이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상기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서 설명한 구성을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열전사 시트>>
다음으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이하,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이며, 도 6∼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50)의 한쪽 면 상에, 제1 색재층(51), 전사층(55), 제2 색재층(52)이 면순차로 형성되고, 전사층(55)은, 기재(50)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제1 색재층(51), 전사층(55), 제2 색재층(52)의 집합체를 1유닛으로 했을 때에, 기재(50)의 동일면 상에는, 1유닛이 반복해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을 갖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하나의 중간 전사 매체와 조합하여, 입체 화상을 갖는 인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상기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설명한 열전사 시트(100)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다음으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이하, 일 실시형태의 조합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의 조합은, 상기 조합에 있어서의 열전사 시트가, 상기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이거나, 또는, 상기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서 설명한 열전사 시트이고, 중간 전사 매체가, 상기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서 설명한 중간 전사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을 갖는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 의하면, 입체 화상을 갖는 인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중간 전사 매체 1의 작성)
지지체로서 두께 16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고, 상기 지지체 상에, 하기 조성의 박리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박리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박리층 상에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보호층 위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도공액 A를 건조 시의 두께가 1.5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수용층을 형성함으로써, 지지체 상에, 박리층,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제1 전사층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 1을 얻었다.
<박리층용 도공액>
·아크릴 수지 29부
(다이아날(등록 상표) BR-87 미쯔비시 레이온(주))
·폴리에스테르 수지 1부
(바이론(등록 상표) 200 도요보(주))
·메틸에틸케톤 35부
·톨루엔 35부
<보호층용 도공액>
·폴리에스테르 수지 30부
(바이론 200 도요보(주))
·메틸에틸케톤 35부
·톨루엔 35부
<수용층용 도공액 A>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20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1부
(X-22-3000T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메틸에틸케톤 79부
(열전사 시트 1의 작성)
기재로서, 두께 5.0 ㎛의 접착 용이층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고, 이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에, 하기 조성의 승화성 형광 색재층용 도공액 1을 건조 시의 두께가 0.5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승화성 형광 색재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제1 색재층 (1)을 형성하였다.
<승화성 형광 색재층용 도공액 1>
·형광 증백제 2부
(유비텍스(등록 상표) OB BASF사)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 수지 4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톨루엔 50부
·메틸에틸케톤 50부
계속해서, 상기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에, 하기 조성의 이형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0.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이형층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이형층 상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도공액 1을 건조 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수용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수용층 상에, 하기 조성의 중간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0.15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중간층을 형성하고, 이 중간층 상에, 하기 조성의 히트 시일층용 도공액 1을 건조 시의 두께가 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히트 시일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이형층 상에, 수용층, 중간층, 히트 시일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제2 전사층 (1)을, 상기 제1 색재층 (1)과 면순차로 형성하였다.
<이형층용 도공액>
·우레탄계 수지 25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75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톨루엔 950부
·이소프로필알코올 950부
<수용층용 도공액 1>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16.8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1.2부
(X-22-3000T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1.2부
(X-24-510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0.8부
(KF-352A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중간층용 도공액>
·콜로이달 알루미나(고형분 10.5%) 3.5부
(알루미나졸 200 닛산 가가쿠 고교(주))
·아세트산비닐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1.5부
(PVP/VA E-335 ISP 재팬(주)
·물 47.5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7.5부
<히트 시일층용 도공액 1>
·아크릴계 수지 16부
(다이아날(등록 상표) BR-87 미쯔비시 레이온(주))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4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계속해서, 상기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에, 하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을, 각각 건조 시의 두께가 0.5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이 이 순서로 면순차로 형성된 제2 색재층 (1)을, 상기 제1 색재층 (1), 및 제2 전사층 (1)과 면순차로 형성하였다.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
·솔벤트 옐로우 93 5부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 수지 4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톨루엔 50부
·메틸에틸케톤 50부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
·디스퍼스 레드 60 3부
·디스퍼스 바이올렛 26 3부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 수지 5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톨루엔 50부
·메틸에틸케톤 50부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
·솔벤트 블루 63 3부
·디스퍼스 블루 354 2.5부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 수지 5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톨루엔 50부
·메틸에틸케톤 50부
또한, 기재의 접착 용이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하기 조성의 배면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배면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인 한쪽 면측에 제1 색재층 (1), 제2 전사층 (1), 제2 색재층 (1)이 이 순서로 면순차로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측에 배면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 (1)을 작성하였다.
<배면층용 도공액>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8부
(에스렉(등록 상표) BX-1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5.5부
(바녹(등록 상표) D750 DIC(주))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1.6부
(플라이서프(등록 상표) A208N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주))
·탤크 0.35부
(미크로 에이스(등록 상표) P-3 닛폰 탤크 고교(주))
·톨루엔 18.5부
·메틸에틸케톤 18.5부
(열전사 시트 2의 작성)
열전사 시트 1의 제1 색재층 (1)을 형성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에, 상기 조성의 이형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0.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이형층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이형층 상에 하기 조성의 용융 전사층용 도공액 1을 건조 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열용융성 형광층을 형성하며, 이형층 상에, 열용융성 형광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제1 색재층 (2)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열전사 시트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인 한쪽 면측에 제1 색재층 (2), 제2 전사층 (1), 제2 색재층 (1)이 이 순서로 면순차로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측에 배면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 2를 작성하였다.
<용융 전사층용 도공액 1(열용융성 형광 전사층용 도공액)>
·형광 증백제 0.5부
(유비텍스(등록 상표) OB BASF사)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5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톨루엔 50부
·메틸에틸케톤 50부
(열전사 시트 3의 작성)
열전사 시트 1의 제1 색재층 (1)을 형성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에, 상기 조성의 이형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0.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이형층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이형층 상에 하기 조성의 용융 전사층용 도공액 2를 건조 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열용융성 안료층을 형성하며, 이형층 상에, 열용융성 안료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제1 색재층 (3)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열전사 시트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인 한쪽 면측에 제1 색재층 (3), 제2 전사층 (1), 제2 색재층 (1)이 이 순서로 면순차로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측에 배면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 3을 작성하였다.
<용융 전사층용 도공액 2(열용융성 안료 전사층용 도공액)>
·디스퍼스 옐로우 54 4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6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톨루엔 50부
·메틸에틸케톤 50부
(열전사 시트 4의 작성)
제1 색재층 (1)을 상기 제1 색재층 (2)로 변경하고, 제2 색재층 (1)을 상기 제1 색재층 (3)과 동일한 구성의 제2 색재층 (2)로 변경하며, 제2 전사층 (1)을 형성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에, 상기 조성의 이형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0.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이형층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이형층 상에 하기 조성의 히트 시일층용 도공액 2를 건조 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이형층 상에, 히트 시일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전사층 (2)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열전사 시트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인 한쪽 면측에 제1 색재층 (2), 제2 전사층 (2), 제2 색재층 (2)가 이 순서로 면순차로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측에 배면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 4를 작성하였다.
<히트 시일층용 도공액 2>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20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열전사 시트 5의 작성)
열전사 시트 1의 제2 전사층 (1)을 형성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상기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에, 상기 조성의 이형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0.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이형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이형층 상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도공액 2를 건조 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수용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수용층 상에, 상기 조성의 중간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0.15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중간층 상에, 상기 조성의 히트 시일층용 도공액 1을 건조 시의 두께가 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히트 시일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이형층 상에, 수용층, 중간층, 히트 시일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제2 전사층 (3)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열전사 시트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인 한쪽 면측에 제1 색재층 (1), 제2 전사층 (3), 제2 색재층 (1)이 이 순서로 면순차로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측에 배면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 5를 작성하였다.
<수용층용 도공액 2>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15.8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수지(Mn: 30000) 1.0부
(CAB381-0.5 이스트만 케미컬(주))
·실리콘 오일 1.2부
(X-22-3000T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1.2부
(X-24-510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0.8부
(KF-352A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열전사 시트 6의 작성)
열전사 시트 1의 제2 전사층 (1)을 형성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상기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에, 상기 조성의 이형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0.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이형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이형층 상에, 상기 조성의 수용층용 도공액 2를 건조 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수용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수용층 상에, 상기 조성의 중간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0.15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중간층 상에, 하기 조성의 히트 시일층용 도공액 3을 건조 시의 두께가 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히트 시일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이형층 상에, 수용층, 중간층, 히트 시일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제2 전사층 (4)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열전사 시트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인 한쪽 면측에 제1 색재층 (1), 제2 전사층 (4), 제2 색재층 (1)이 이 순서로 면순차로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측에 배면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 6을 작성하였다.
<히트 시일층용 도공액 3>
·아크릴계 수지 3부
(다이아날(등록 상표) BR-87 미쯔비시 레이온(주))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1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산화티탄 16부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열전사 시트 A의 작성)
제2 전사층 (1)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모두 열전사 시트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인 한쪽 면측에 제1 색재층 (1), 제2 색재층 (1)이 이 순서로 면순차로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측에 배면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 A를 작성하였다.
(열전사 시트 B의 작성)
제1 색재층 (1)을 제1 색재층 (3)으로 변경하고, 제2 전사층 (1)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모두 열전사 시트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접착 용이층측인 한쪽 면측에 제1 색재층 (3), 제2 색재층 (1)이 이 순서로 면순차로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측에 배면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 B를 작성하였다.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합으로 하였다.
(각 실시예의 인화물의 형성)
하기 표 1에 나타나는 각 실시예의 조합의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를 이용하여, 하기 프린터에 의해, 실시예 1, 5, 6의 조합에 있어서는 화상 패턴에 따른 에너지를 인가하여, 중간 전사 매체의 제1 전사층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제1 색재층이 함유하고 있는 색재 성분을 이행시킴으로써, 또한, 실시예 2∼4의 조합에 있어서는, 55/255 계조의 에너지를 인가하여, 중간 전사 매체의 제1 전사층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제1 색재층을 전사함으로써, 제1 전사층 상에, 제1 화상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하기 프린터를 이용하여, 55/255 계조의 인화 조건으로, 제1 화상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제2 전사층을 전사하였다. 계속해서, 하기 프린터에 의해, 실시예 1∼3, 5, 6의 조합에 있어서는 화상 패턴에 따른 에너지를 인가하여, 제2 전사층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제2 색재층이 함유하고 있는 색재 성분을 이행시킴으로써, 또한, 실시예 4의 조합에 있어서는, 55/255 계조의 에너지를 인가하여, 제2 전사층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제2 색재층을 전사함으로써, 제2 전사층 상에, 제2 화상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카드용 라미네이터(SIP사 제조)를 이용하여, 180℃, 2 inch/sec.의 조건으로, 피전사체로서의 폴리염화비닐제 카드(PVC 카드)(다이니폰 인사츠(주)) 상에, 제2 화상이 형성된 제2 전사층을, 제1 화상이 형성된 제1 전사층과 함께, 피전사체 상에 전사함으로써 각 실시예의 인화물을 형성하였다. 한편, 실시예 6의 조합에 있어서는, 55/255 계조의 에너지를 인가하여, 제1 화상의 화상 형성 영역 상에만 제2 전사층을 전사하고, 제1 전사층(제2 전사층이 전사되어 있지 않은 영역) 상에 제2 색재층을 전사함으로써, 제2 화상을 형성하였다.
(각 비교예의 인화물의 형성)
하기 표 1에 나타나는 각 비교예의 조합의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를 이용하여, 하기 프린터에 의해, 비교예 1의 조합에 있어서는 화상 패턴에 따른 에너지를 인가하여, 중간 전사 매체의 제1 전사층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제1 색재층이 함유하고 있는 색재 성분을 이행시킴으로써, 또한, 비교예 2의 조합에 있어서는, 55/255 계조의 에너지를 인가하여, 중간 전사 매체의 제1 전사층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제1 색재층을 전사함으로써, 제1 전사층 상에, 제1 화상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하기 프린터에 의해, 화상 패턴에 따른 에너지를 인가하여, 제1 화상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제2 색재층이 함유하고 있는 색재 성분을 이행시켜, 제2 화상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카드용 라미네이터(SIP사 제조)를 이용하여, 180℃, 2 inch/sec.의 조건으로, 피전사체로서의 폴리염화비닐제 카드(PVC 카드)(다이니폰 인사츠(주)) 상에, 제1 화상, 및 제2 화상이 형성된 제1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각 비교예의 인화물을 형성하였다.
(프린터)
서멀 헤드: KEE-57-12GAN2-STA(교세라(주))
발열체 평균 저항값: 3303(Ω)
주(主)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부(副)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라인 주기: 3.0(msec./line)
인자 개시 온도: 35(℃)
펄스 Duty비: 85(%)
인화 전압: 18.0(V)
(형광 평가)
실시예 1, 2, 4∼6, 비교예 1의 인화물에 대해 블랙라이트를 조사했을 때의, 형광 염료의 발광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형광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낸다.
「평가 기준」
A…블랙라이트를 조사하여, 형광 발광이 선명하게 보인다.
NG…블랙라이트를 조사해도, 형광 발광을 거의 확인할 수 없다.
(깊이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각 인화물이 깊이감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는, 제1 화상과 제2 화상 사이에 입체감이 부여되어 있는지에 대해,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깊이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낸다.
「평가 기준」
A…인화물이 깊이감(입체감)을 갖고 있다.
NG…인화물이 깊이감(입체감)을 갖고 있지 않다.
Figure pct00001
10: 중간 전사 매체 1: 지지체
5: 제1 전사층 100: 열전사 시트
50: 기재 51: 제1 색재층
52: 제2 색재층 53: 제3 색재층
54: 기능층, 은폐층 55, 55', 55'': 제2 전사층
55A: 수용층 55B: 히트 시일 패널
20: 제1 화상 30: 제2 화상
60: 전사박 200: 피전사체
300: 인화물

Claims (17)

  1. 인화물의 형성 방법으로서,
    지지체 상에 제1 전사층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피전사체를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사 시트가, 제1 색재층, 제2 색재층, 제2 전사층을 가지며, (ⅰ)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상기 제2 색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상기 제2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ⅱ)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제2 색재층, 상기 제2 전사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다른 2개의 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ⅲ)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제2 색재층, 상기 제2 전사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중간 전사 매체와 상기 열전사 시트를 조합하고,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1 색재층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제1 화상이 형성된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상기 제2 전사층을 전사하는 제1 전사 공정과,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2 색재층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사층 상에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제1 전사층을,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전사된 상기 제2 전사층과 함께, 상기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는 제2 전사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사층 및 상기 제2 전사층이 모두, 수용층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제1 색재층 및 상기 제2 색재층이 모두,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이며,
    상기 제1 화상 형성 공정이, 상기 제1 전사층의 상기 수용층 상에, 상기 제1 색재층이 함유하고 있는 염료를 전사함으로써 상기 제1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이고,
    상기 제2 화상 형성 공정이, 상기 제2 전사층의 상기 수용층 상에, 상기 제2 색재층이 함유하고 있는 염료를 전사함으로써 상기 제2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사층이, 상기 기재측으로부터 수용층, 은폐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사층에 포함되는 상기 수용층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수지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사층이 수용층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제2 전사층이 히트 시일 패널이며,
    상기 제1 색재층이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이고,
    상기 제2 색재층이 열용융성 잉크층이며,
    상기 제1 화상 형성 공정이, 상기 제1 전사층의 상기 수용층 상에, 상기 제1 색재층이 함유하고 있는 염료를 전사함으로써 상기 제1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이고,
    상기 제2 화상 형성 공정이, 상기 제2 전사층 상에, 상기 제2 색재층을 용융 전사함으로써 상기 제2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
  7. 인화물의 형성 방법으로서,
    지지체 상에 제1 전사층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피전사체를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사 시트가, 제1 색재층, 제2 색재층, 제2 전사층을 가지며, (ⅰ)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상기 제2 색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상기 제2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ⅱ)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제2 색재층, 상기 제2 전사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다른 2개의 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ⅲ)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제2 색재층, 상기 제2 전사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중간 전사 매체와 상기 열전사 시트를 조합하고,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1 색재층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제1 전사층 상의 일부에,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제1 전사층의 상기 제1 화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1 화상 상에,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2 전사층을 전사하는 제1 전사 공정과,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제2 색재층을 이용하여, 상기 노출되어 있는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제1 전사층을,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전사된 상기 제2 전사층과 함께 상기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는 제2 전사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
  8.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로서,
    기재의 한쪽 면 상에, 제1 색재층, 전사층, 제2 색재층이 면순차로 형성되고,
    상기 전사층은, 상기 기재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전사층, 상기 제2 색재층의 집합체를 1유닛으로 했을 때에,
    상기 기재의 동일면 상에는, 상기 1유닛이 반복해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층이, 상기 기재측으로부터 수용층, 은폐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재층 및 상기 제2 색재층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층이, 승화성 염료 또는 형광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 또는 열용융성 잉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재층 및 상기 제2 색재층이 모두,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재층 및 상기 제2 색재층이,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재층 및 상기 제2 색재층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층이,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색재층이 상기 기재의 동일면 상에 나란히 형성된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층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수지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16.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으로서,
    상기 열전사 시트가,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전사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17.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으로서, 상기 열전사 시트가 제1 색재층, 제2 색재층, 제2 전사층을 갖고, (ⅰ)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상기 제2 색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상기 제2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ⅱ)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제2 색재층, 상기 제2 전사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와, 기재 상에 다른 2개의 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의 조합이거나, (ⅲ) 기재 상에 상기 제1 색재층, 상기 제2 색재층, 상기 제2 전사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KR1020187028865A 2016-03-18 2017-03-16 인화물의 형성 방법, 열전사 시트, 및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KR102338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55707 2016-03-18
JP2016055707 2016-03-18
PCT/JP2017/010731 WO2017159805A1 (ja) 2016-03-18 2017-03-16 印画物の形成方法、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シートと中間転写媒体との組合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973A true KR20180121973A (ko) 2018-11-09
KR102338069B1 KR102338069B1 (ko) 2021-12-10

Family

ID=5985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865A KR102338069B1 (ko) 2016-03-18 2017-03-16 인화물의 형성 방법, 열전사 시트, 및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186064B2 (ko)
EP (1) EP3424742A4 (ko)
JP (1) JP6304463B2 (ko)
KR (1) KR102338069B1 (ko)
CN (1) CN108602368B (ko)
WO (1) WO2017159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4463B2 (ja) * 2016-03-18 2018-04-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印画物の形成方法、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シートと中間転写媒体との組合せ
JP7234539B2 (ja) * 2018-08-31 2023-03-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シート、及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CN109677152A (zh) * 2019-02-21 2019-04-26 江阴朗邦印务科技有限公司 一种带3d光学效果的转印膜的生产工艺
CN110228290B (zh) * 2019-06-19 2024-03-22 浙江美声智能系统有限公司 一种烫印图片标签
JP6849031B2 (ja) * 2019-08-30 2021-03-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中間転写媒体、該熱転写シート又は該中間転写媒体を用いて製造した印画物、印画物の製造方法及び印画物製造システム
JP2022077215A (ja) * 2020-11-11 2022-05-23 凸版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US20220227155A1 (en) * 2021-01-18 2022-07-21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CN117615913A (zh) * 2021-07-07 2024-02-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热转印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8791A (ja) 1986-04-11 1987-10-19 Dainippon Printing Co Ltd 物品の装飾方法
JPH06122281A (ja) * 1992-10-13 1994-05-06 Mitsubishi Kasei Corp 熱転写記録用シート
JPH10151871A (ja) * 1996-11-25 1998-06-09 Pilot Corp:The 熱転写記録媒体
JP2003094841A (ja) * 2001-09-26 2003-04-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受容層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受像シート
JP2004195941A (ja) * 2002-12-20 2004-07-15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形成方法、熱転写シート、画像形成物及び中間転写記録媒体
JP2008080682A (ja) * 2006-09-28 2008-04-10 Victor Co Of Japan Ltd カード,カードの製造方法,及びカード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2975A (en) 1978-08-09 1980-02-19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Fancy plywood
JPS58148778A (ja) * 1982-03-02 1983-09-03 Sony Corp 転写紙
JPS5954598A (ja) * 1982-09-21 1984-03-29 Fuji Kagakushi Kogyo Co Ltd 感熱螢光転写媒体
US4891352A (en) * 1988-12-23 1990-01-02 Eastman Kodak Company Thermally-transferable fluorescent 7-aminocarbostyrils
JPH05318943A (ja) * 1991-11-25 1993-12-03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画像形成方法及び転写シート
JPH11198553A (ja) * 1998-01-13 1999-07-27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形成方法
JPH11198576A (ja) 1998-01-13 1999-07-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スクラッチシールの使用方法
JP2002055622A (ja) * 2000-08-09 2002-02-20 Kawaguchiko Seimitsu Co Ltd 表示板
JP4241025B2 (ja) * 2002-12-19 2009-03-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形成物及び画像形成方法
CN100475548C (zh) * 2004-08-04 2009-04-08 株式会社理光 热转印接收体、其生产方法、记录图像的方法和记录的图像
JP4319964B2 (ja) * 2004-10-25 2009-08-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2007065193A (ja) * 2005-08-30 2007-03-15 Olympus Imaging Corp 光学装置
JP2007331180A (ja) 2006-06-14 2007-12-27 General Technology Kk 昇華転写受像シート、昇華転写シート及び昇華転写記録セット
JP5428577B2 (ja) * 2009-06-29 2014-02-26 ソニー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5672990B2 (ja) * 2010-11-05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被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方法
JP6359857B2 (ja) * 2014-04-03 2018-07-18 水作株式会社 内部式濾過装置
JP2016020048A (ja) * 2014-07-14 2016-0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受像シートと熱転写シートとの組み合わせ及び画像形成方法
JP6672680B2 (ja) 2015-10-01 2020-03-25 凸版印刷株式会社 画像形成体及び画像形成方法
JP6304463B2 (ja) * 2016-03-18 2018-04-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印画物の形成方法、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シートと中間転写媒体との組合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8791A (ja) 1986-04-11 1987-10-19 Dainippon Printing Co Ltd 物品の装飾方法
JPH06122281A (ja) * 1992-10-13 1994-05-06 Mitsubishi Kasei Corp 熱転写記録用シート
JPH10151871A (ja) * 1996-11-25 1998-06-09 Pilot Corp:The 熱転写記録媒体
JP2003094841A (ja) * 2001-09-26 2003-04-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受容層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受像シート
JP2004195941A (ja) * 2002-12-20 2004-07-15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形成方法、熱転写シート、画像形成物及び中間転写記録媒体
JP2008080682A (ja) * 2006-09-28 2008-04-10 Victor Co Of Japan Ltd カード,カードの製造方法,及びカード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92040A1 (en) 2019-03-28
CN108602368A (zh) 2018-09-28
WO2017159805A1 (ja) 2017-09-21
KR102338069B1 (ko) 2021-12-10
CN108602368B (zh) 2021-12-21
JP6304463B2 (ja) 2018-04-04
EP3424742A4 (en) 2019-08-21
US11186064B2 (en) 2021-11-30
EP3424742A1 (en) 2019-01-09
JPWO2017159805A1 (ja) 2018-03-29
US20210354424A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1973A (ko) 인화물의 형성 방법, 열전사 시트, 및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CN108602371B (zh) 中间转印介质、中间转印介质与热转印片的组合、以及印刷物的形成方法
US7989390B2 (en) Method for fluorescent image formation, print produced thereby and thermal transfer sheet thereof
KR20180063052A (ko) 인화물의 형성 방법, 전사층의 필오프 방법 및 열전사 프린터
US10737520B2 (en) Thermal transfer sheet
JP6365800B2 (ja) 熱転写シートと被転写体との組合せ、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並びに熱転写シート
JP6772733B2 (ja) 中間転写媒体、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JP6745052B2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80283B2 (ja) 熱転写シート
WO2016167352A1 (ja) 熱転写シート
JP2017065069A (ja) 印画物の製造方法、及び、印画物の滲み抑制処理セット
JP2019064153A (ja)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JP2019064154A (ja)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JPH058559A (ja) 感熱転写記録用受像シートおよび感熱転写記録用インクシート
JP2018171871A (ja) 熱転写プリントシステム
JPH0542776A (ja) 感熱転写記録体の製造方法
JP2017081097A (ja) 積層体の製造方法
MXPA99007987A (en) Fluorescent latent image transfer film, method of transfer of fluorescent latent image using the same and an article formed with pattern of segu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