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137A - 양기능성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용 키트 - Google Patents

양기능성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137A
KR20180108137A KR1020170037506A KR20170037506A KR20180108137A KR 20180108137 A KR20180108137 A KR 20180108137A KR 1020170037506 A KR1020170037506 A KR 1020170037506A KR 20170037506 A KR20170037506 A KR 20170037506A KR 20180108137 A KR20180108137 A KR 20180108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ic acid
target nucleic
seq
probe
pna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971B1 (ko
Inventor
이한우
이시석
허덕회
박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
Priority to KR102017003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971B1/ko
Priority to CN201780088924.3A priority patent/CN110621784A/zh
Priority to PCT/KR2017/003168 priority patent/WO2018174318A1/ko
Priority to US16/488,588 priority patent/US11473126B2/en
Publication of KR20180108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16Hybridisation assay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means
    • C12Q1/6818Hybridisation assay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means involving interaction of two or more labels, e.g. resonant energy transf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5/00Reactions involving modified oligonucleotides, nucleic acids, or nucleotides
    • C12Q2525/10Modifications characterised by
    • C12Q2525/107Modification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ng a peptide nucle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7/00Reactions demanding special reaction conditions
    • C12Q2527/107Temperature of melting, i.e. T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5/00Nucleic acid analysis characterised by mode or means of detection
    • C12Q2565/10Detection mode being characterised by the assay principle
    • C12Q2565/101Interaction between at least two labels
    • C12Q2565/1015Interaction between at least two labels labels being on the same oligonucleot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기능성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같은 염기가 반복되어 있는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형광 PNA 프로브를 이용하여 결실된 염기변이의 개수에 따라 각기 다른 결합력으로 결합하는 형광 PNA 프로브의 구조에 따른 융해곡선의 분석방법, 및 상기 분석방법에 의해 같은 염기가 반복되어 있는 부위의 염기 결실에 의해 발생되는 현미부수체 표지자의 유전자 변이를 검출하고, 그에 따른 염기변이의 개수를 분석함으로써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을 신속,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Quasi loci의 5개 현미부수체 표지자를 이용하여 현미부수체 표지자 유전자의 결실여부를 고민감도로 분석할 수 있어, 기존의 MSI 진단방법에 비해 비용의 감소 및 검사 소요시간 단축 등의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양기능성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용 키트 {Melting Curve Analysis Using bifunctional PNA probe for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Diagnosis, and Method and Kit of Microsatellite Instability Diagnosi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양기능성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같은 염기가 반복되어 있는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형광 PNA 프로브를 이용하여 결실된 염기변이의 개수에 따라 각기 다른 결합력으로 결합하는 형광 PNA 프로브의 구조에 따른 융해곡선의 분석방법, 및 상기 분석방법에 의해 같은 염기가 반복되어 있는 부위의 염기 결실에 의해 발생되는 현미부수체 표지자의 유전자 변이를 검출하고, 그에 따른 염기변이의 개수를 분석함으로써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을 신속,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미부수체 (microsatellite)란 인체의 유전자 전체에 걸쳐 6개 이하의 짧은 DNA 염기서열이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배열되어있는 형태를 말하는데 이들은 각 염색체 위에서 서로 다른 반복 횟수를 가지고 산재해있다.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은 현미부수체를 이루고 있는 단순 반복된 짧은 염기 배열(short tandem repeat sequence)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면서 나타나는 길이의 다양성으로, 이는 DNA 불일치복구유전자 (mismatch repair gene; MMR gene)의 복구 과정을 통하여 회복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DNA 불일치복구유전자의 종자선돌연변이 (germline mutation)나 프로모터 (promotor) 메틸화 등의 원인으로 복구에 기능이상이 발생하면 현미부수체의 길이에 변화가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현미부수체의 불안정성을 검사하면 유전자 복구 이상의 발생을 진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MSI는 유전성비용종성대장암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HNPCC) 증후군환자에게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는데 유전성비용종성대장암 환자의 약 90%가 이 MSI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어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종양에서 발견되는데 특히 유전성비용종성대장암증후군을 가진 환자에게 가장 자주 동반되는 자궁내막암에서 MSI(+)가 75%이상의 높은 빈도로 발현되고 있고, 유전성비용종성대장암의 가족력이 없는 산발성대장암과 산발성자궁내막암등에서도 MSI(+)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외국의 경우 산발성자궁내막암에서 MSI(+)를 가진 예가 약 10-40%의 빈도로 다양하게 보고되어 있으며 최근 한국인의 산발성자궁내막암종에서도 20-24%의 예가 보고된 바 있다. 최근 MSI 유형의 대장암 및 위암 환자가 면역치료제 (Immuno therapy)에 예후가 좋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바 있는 등 면역치료제의 바이오마커로써의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검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Le et al., N Engl J Med . 372.26:2509-2520, 2015; Cristescu et al., Nature Medicine 21.5:449-456, 2015).
MSI는 국제적 표준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미국 국립 암연구소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에서는 1997년에 두 개의 모노뉴클레오티드 (mononucleotide)와 세 개의 다이뉴클레오티드 (dinucleotide)로 이루어진 다섯 개의 현미부수체 표지자 (BAT-25, BAT-26, D2S123, D17S250, D5S346)를 제시하였으며, 두 개 이상의 표지자에서 불안정성을 보이면 고도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high-level MSI, MSI-H)으로 측정한 현미부수체 표지자의 40% 이상에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로 복제오류양성 (replication error positive, RER+)이라고도 하며, 한 개의 표지자에서만 불안정성을 보이면 저도현미부수체 불안정성 (low-level MSI, MSI-L)으로 측정한 현미부수체 표지자의 40% 이하에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를 말하며,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이 전혀 없는 경우는 현미부수체 안정성 (microsatellite stable, MSS)이라고 정의하였다 (Boland et al., Cancer Res., 58:5248-57, 1998; 김덕우, Journal of Genetic Medicine 7:24-36, 2010).
현재까지 MSI 진단을 위한 방법으로는 모세관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마커를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증폭한 산물의 길이 분포를 분석하여 진단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Multiplex fluorescence PCR amplification and capillary electrophoresis" 분석법은 정상조직과 종양조직에서 DNA를 추출한 후, 미국 국립암 연구소에서 권장하는 5개의 현미부수체 마커를 표적으로 형광표시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하여 DNA을 증폭한 다음, 모세관 전기영동법 (capillary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형광 표시된 DNA가 나타내는 형광을 분석하여 MSI를 진단하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고가의 모세관 전기영동 기계가 필요하며, 형광표시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한 DNA 증폭 후, 모세관 전기영동으로 옮겨서 측정해야 하는 2단계로 진행되는 불편함과 검사 소요일이 최소 7일이 걸리며, 전기영동법의 해상도가 낮아 모노뉴클레오티드 (mononucleotide)가 반복되는 마커를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다이뉴클레오티드(dinucleotide)로 이루어진 마커의 사용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미국 국립암 연구소에서 권장하는 5개의 현미부수체 표지자 중 세 개의 다이뉴클레오티드 (dinucleotide)로 이루어진 D2S123, D17S250, 및 D5S346 바이오마커들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두 개의 모노뉴클레오티드(mononucleotide)로 이루어진 BAT25와 BAT26 바이오마커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MSI 검사의 경우 정상조직과 암조직을 분리하여 검사를 진행하지만, 암 조직 내에서도 세포간 다양성 (Cell-to-cell Heterogeneity)을 가지고 있어 10% 이하의 낮은 비율로 존재하는 MSI의 경우 현재의 진단 방법으로는 검사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에 최근 들어 민감도 높은 마커의 선정과 마커를 진단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미국 국립암 연구소 (national cancer institute)를 시작으로 범용적으로 사용되었던 Bethesda loci (BAT25, BAT26, D2S123, D17S250, D5S346)가 아닌 통계 데이터베이스 (Database)를 통해 선정된 Quasi loci (BAT25, BAT26, NR21, NR24, NR27)를 사용함으로써 MSI 분석에 있어 기존의 Bethesda loci보다 높은 민감도와 정확도를 가진다 (Buhard et al., Disease Markers, 20:251-7, 2004; Deschoolmeester et al., J Mol Diagn , 10:154-159, 2008). Quasi loci의 경우 모노뉴클레오티드가 반복되는 마커로, 해당 마커의 분석을 위해서는 적은수의 염기결실 분석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판정을 위해서는 분석해상도가 높아야 한다.
최근 들어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된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여 용해곡선 분석을 통해 표적핵산의 단일염기변이 및 염기의 결손 또는 삽입에 의한 변이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PNA는 DNA보다 열 및 생물학적 안정성과 타겟 DNA에 대한 인식능력 및 결합 능력이 뛰어나서,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법은 DNA 프로브보다 빠르고 강하게 타겟 DNA와 결합할 수 있으며, 강한 결합으로 인해 짧은 길이의 프로브를 사용할 수 있어 서로 인접하게 존재하는 단일염기서열변이를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융해곡선 분석을 통해 단일염기변이 및 염기의 결손 또는 삽입에 의한 변이를 정상적인 표적핵산과 비교하여 단순 구별만 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PNA 프로브는 중합효소연쇄반응 과정 중 중합효소의 신장반응 단계에서 결합을 유지할 경우 중합효소의 신장반응을 저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저해 효과와 단일염기변이 차이에 따른 결합력 변화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일염기변이 선호적인 증폭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고, 정상서열과의 상보적인 결합온도가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신장반응 온도보다 높게 제작된 PNA 프로브를 이용하여 융해곡선 분석을 통한 결실 염기변이 개수의 분석에 따른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의 진단방법 및 진단용 키트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리포터 및 소광자가 결합되어 있고, 정상서열과 결합하는 온도는 중합효소의 신장반응 온도보다 높고, 1개 이상의 결실이 생긴 서열과 결합하는 온도는 중합효소의 신장반응 온도보다 낮게 제작된 PNA 프로브를 이용하여 표적핵산의 염기 결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바탕으로 용해곡선 분석을 통해 염기의 결실 유무를 높은 민감도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기반으로 5% 수준으로 존재하는 낮은 비율의 Quasi loci 현미부수체 표지자의 염기 결실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양기능성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여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을 고민감도로 진단하기 위한 방법 및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진단을 위한 융해곡선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검체 시료로부터 표적핵산을 분리한 다음, 상기 표적핵산에 포함된 현미부수체 표지자인 BAT25, BAT26, NR21, NR24 또는 NR27에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프로브를 혼합시켜, PNA 프로브와 표적핵산을 혼성화시키는 단계; (b)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상기 혼성화된 산물을 융해시켜 융해곡선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얻어지는 융해곡선을 분석하여, 표적핵산에 포함된 현미부수체 표지자의 염기변이 유무 및 염기변이 개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i)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 및 ii) 서열번호 1과 서열번호 2; 서열번호 3과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와 서열번호 6; 서열번호 7과 서열번호 8; 및 서열번호 9와 서열번호 10으로 표시되는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융해곡선 분석법을 이용한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는 현미부수체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DNA 불일치 보수 (mismatch repair)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기능 이상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는 현미부수체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DNA 교정 (proofreading)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기능 이상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는 DNA 불일치 보수 (mismatch repair) 또는 DNA 교정 (proofreading) 기능 이상에 따른 돌연변이의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리포터(repoter) 및 소광자(quencher)가 결합된 양기능성 PNA 프로브를 이용한 염기변이 개수의 분석에 따른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의 진단방법 및 진단용 키트로,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Quasi loci의 5개 현미부수체 표지자를 이용하여 현미부수체 표지자 유전자의 결실여부를 고민감도로 분석할 수 있어, 기존의 MSI 진단방법에 비해 비용의 감소 및 검사 소요시간 단축 등의 장점이 있다.
도 1은 표적 현미부수체 (BAT25, BAT26, NR21, NR24, 및 NR27)와 기존 분석 기법의 결과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양기능성 PNA 프로브를 사용하여 현미부수체의 결실을 높은 민감도로 분석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형광 PNA 프로브를 이용한 현미부수체의 염기 결실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혼성화 단계와 융해곡선을 얻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현미부수체의 결실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real-time PCR 반응 조건을 나타내는 도식이다.
도 5는 Quasi loci의 5개의 현미부수체 (BAT25, BAT26, NR21, NR24, 및 NR27)에 대한 MSI 및 MSS 세포주들을 이용하여 단일 분석방법에 의해 결실된 염기변이의 개수 및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고민감도 현미부수체 결실 진단키트를 사용한 민감도 분석 결과를 기존 분석 기법과 비교한 것으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SI High)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고민감도 현미부수체 결실 진단키트를 사용한 대장암 샘플 분석 결과를 기존 분석 기법과 비교한 것으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SI High)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고민감도 현미부수체 결실 진단키트를 사용한 대장암 샘플 분석 결과를 기존 분석 기법과 비교한 것으로, 현미부수체 안정성 (MSS)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고민감도 현미부수체 결실 진단키트를 사용한 위암 샘플 분석 결과를 기존 분석 기법과 비교한 것으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SI High)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고민감도 현미부수체 결실 진단키트를 사용한 위암 샘플 분석 결과를 기존 분석 기법과 비교한 것으로, 현미부수체 안정성 (MSS)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을 가지는 표지자 선호적 증폭이 가능한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여 고민감도 표지자 증폭 및 융해곡선 분석을 통한 현미부수체 결실의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고민감도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SI)을 검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검사를 위한 마커로 Quasi loci의 5개 현미부수체 표지자 (NR21, NR24, BAT26, NR27 및 BAT25)를 선정하였으며, 상기 표지자의 결실 여부를 결정하는 형광 PNA 프로브 세트는 NR21의 서열번호 11, 서열번호 12, 서열번호 13 중 하나 이상과 NR24의 서열번호 14, 서열번호 15, 서열번호 16 중 하나 이상, BAT26의 서열번호 17과 BAT25의 서열번호 18, 서열번호 19, 서열번호 20, 서열번호 21 중 하나 이상 및 NR27의 서열번호 22, 서열번호 2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현미부수체 표지자의 진단을 위하여 양기능성을 가지는 형광 PNA 프로브를 제작하고, 선별하였다 (도 4 참조). 상기 양기능성 PNA 프로브는 형광이 접합된 PNA 프로브로 상보적인 서열과 완전한 결합을 유지할 시 중합효소의 신장반응을 저해하는 기능과 형광을 분석 기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제작된 프로브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결실) 선호적인 증폭이 가능하도록 현미부수체 안정성 (정상) 서열과의 결합온도가 중합효소의 신장반응 온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결실서열이 포함된 현미부수체 표지자와의 결합력이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특징을 가지도록 서열번호 11 내지 23의 서열을 사용하여 선별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PNA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PNA 프로브 및 현미부수체 표지자 서열과의 결합력 (융해온도, melting temperature, Tm)은 프로브의 염기서열과 길이를 조절하여 결정하며 이외의 구체적인 방법의 예로서는, 일부 서열의 교체를 통하여 결합력을 낮추는 방법과 PNA 단량체의 backbone의 변형을 사용하여 결합력은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서열의 교체는 일부 서열을 표적과 상보적이지 않는 염기를 사용하는 형태가 가능하며 아데닌 (adenine), 구아닌 (guanine), 사이토신 (cytosine), 티민 (thymine), 우라실 (Uracil) 등의 천연 염기와 선택성 없이 결합하고 상보적인 결합력보다 낮은 결합력을 가지는 염기인 이노신 PNA (inosine PNA), 인돌 PNA (indole PNA), 나이트로인돌 PNA (nitroindole PNA) 및 무염기 (abasi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NA 단량체의 backbone의 변형을 사용하여 결합력은 조절하는 방법으로 gamma- 또는 alpha-backbone 변형 PNA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특히 gamma- 혹은 alpha-backbone 변형 펩티드 핵산 단량체는 전기적 양성을 가져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리신 (Lysine, Lys, K), 아르기닌 (Arginine, Arg, R), 히스티딘 (Histidine, His, H), 디아미노 부티르산 (Diamino butyric acid, DAB), 오르니틴 (Ornithine, Orn) 및 아미노산 유사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전하를 가지는 아미노산을 backbone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gamma- 혹은 alpha-backbone 변형 PNA 단량체는 음전하를 가져 결합력은 낮출 수 있는 글루타민산 (Glutamic acid, Glu, E), 아스파트산 (Aspartic acid, Asp, D) 등의 아미노산을 backbone에 포함할 수 있으며 알라닌 (Alanine, Ala, A) 등의 PNA와 표적과의 결합력에 영향을 주는 변형 PNA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는 현미부수체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진단을 위한 융해곡선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염기변이'는 표적핵산의 염기서열에 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단일염기 다형성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뿐만 아니라, 염기의 치환, 결실 또는 삽입되어 변이가 일어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PNA 프로브는 표적핵산의 2개 내지 14개의 염기가 결실되어 변이가 일어난 것을 융해곡선 분석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융해곡선 분석은 FMCA (Fluorescence Melting Curve Analysis; 형광융해곡선분석)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증폭은 실시간 PCR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성화'는 상보적인 단일가닥 핵산들이 이중-가닥 핵산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혼성화는 2개의 핵산 가닥 간의 상보성이 완전할 경우 (perfect match) 일어나거나 또는 일부 부정합 (mismatch) 염기가 존재하여도 일어날 수 있다. 혼성화에 필요한 상보성의 정도는 혼성화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온도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터 및 소광자가 포함된 형광 펩티드핵산 프로브는 표적핵산과 혼성화된 후 형광 신호가 발생하며,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프로브의 적정 융해 온도에서 표적 핵산과 빠르게 융해되어 형광 신호가 소광되며, 이러한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형광 신호로부터 얻어진 고해상도의 융해곡선 분석 (Fluorescence Melting Curve Analysis; FMCA)을 통하여 표적 핵산의 염기 변성 (SNP, Indel 등)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적핵산'은 검출/판별하고자 하는 유전자형의 핵산 서열 (SNP 포함)을 의미하며, 생리ㆍ생화학적 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표적 유전자'의 핵산 서열의 특정 부위를 포함하고, 혼성화, 어닐링 또는 증폭 조건하에서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와 어닐링 또는 혼성화된다. '표적핵산'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타겟 핵산', '합성 DNA' 또는 '인공합성 올리고'와 차이가 없으며, 본 명세서에서 혼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적핵산은 DNA 또는 RNA이며, 상기 분자는 이중가닥 또는 단일가닥 형체일 수 있다. 초기물질로서 핵산이 이중가닥인 경우, 두 가닥을 단일 가닥으로, 또는 부분적인 단일-가닥 형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닥들을 분리하는 것으로 알려진 방법들은, 열, 알카리, 포름아미드, 우레아 및 글리콕살 처리, 효소적 방법 (예: 헬리카아제 작용) 및 결합 단백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닥 분리는 80 내지 105℃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처리의 일반적인 방법은 Joseph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200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형광 PNA 프로브는 표적 핵산과 염기변이를 가지는 표적 핵산의 융해온도 (Tm) 차이를 위해,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위치가 형광 PNA 프로브의 가운데 부분 (center position)에 오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변이 부분이 프로브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면, 프로브의 구조적 차이를 만들게 되고, 형광 PNA 프로브는 루프 (loop)를 형성하면서 결합하게 되어, 이런 구조적 차이로 인해 융해온도(Tm)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PNA 프로브는 표적 현미부수체 서열과 완전 혼성화 형태에서의 결합력이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높게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결실을 가지는 혼성화 형태에서의 결합력은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형광 PNA 프로브는 TaqMan 프로브의 가수분해법 (hydrolysis method)과는 다른 혼성화 방법 (hybridization method)를 이용하여 분석하며, 유사한 역할을 하는 프로브로는 분자 비컨 프로브 (molecular beacon probe), 스코피온 프로브 (scorpion probe)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형광 PNA 프로브는 양말단에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PNA 프로브는 양 말단에는 리포터 (reporter)와 리포터 형광을 소광 (quenching) 할 수 있는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포터 (reporter)는 FAM (6-carboxyfluorescein), Texas red, HEX (2',4',5',7',-tetrachloro-6-carboxy-4,7-dichlorofluorescein) 및 CY5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소광자는 TAMRA (6-carboxytetramethyl-rhodamine), BHQ1, BHQ2 및 Dabcyl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Dabcyl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PNA 프로브는 mono-repeat 형태 현미부수체의 표적핵산 염기서열과 완전한 혼성화 (perfect match)를 이루어 예상된 융해온도(Tm) 값을 보이며, 염기변이가 존재하는 표적핵산과는 불완전한 혼성화 (mismatch)를 이루어 예상보다 낮은 융해온도 (Tm) 값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Quasi loci의 5개 현미부수체 표시자를 사용하여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SI)와 현미부수체 안정성 (MSS)를 분석하기 위해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SI) 상태 (status)와 현미부수체 안정성 (MSS) 상태의 표준세포주 (표 3)를 사용하여 현미부수체 표지자의 결실 여부를 단일분석 또는 다중분석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양기능성 PNA 프로브는 정상 현미부수체 표지자의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억제하고, 결실을 가지는 현미부수체 표지자의 중합효소연쇄반응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분석 민감도가 높은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민감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공적으로 제조된 낮은 비율의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샘플을 사용하여 민감도 분석을 하였으며, 기존 기법 (Pentaplex sequencing)이 분석하지 못하는 5% 비율로 포함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검체 시료로부터 표적핵산을 분리한 다음, 상기 표적핵산에 포함된 현미부수체 표지자인 BAT25, BAT26, NR21, NR24 또는 NR27에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프로브를 혼합시켜, PNA 프로브와 표적핵산을 혼성화시키는 단계; (b)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상기 혼성화된 산물을 융해시켜 융해곡선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얻어지는 융해곡선을 분석하여, 표적핵산에 포함된 현미부수체 표지자의 염기변이 유무 및 염기변이 개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단방법을 이용하면 표적핵산의 Quasi loci의 현미부수체 표지자들 (BAT25, BAT26, NR21, NR24, 및 NR27)의 결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체 시료는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의 특정 조직 또는 기관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상기 조직의 대표적인 예로는, 결합, 피부, 근육 또는 신경 조직이 포함된다. 상기 기관의 대표적인 예로는, 눈, 뇌, 폐, 간, 비장, 골수, 흉선, 심장, 림프, 혈액, 뼈, 연골, 췌장, 신장, 담낭, 위, 소장, 고환, 난소, 자궁, 직장, 신경계, 선 및 내부 혈관이 포함된다.
상기 검체 시료는 생물학적 근원으로부터 나온 어떠한 세포, 조직, 유체액 (fluid), 또는 본 발명에 의하여 잘 분석될 수 있는 어떠한 다른 매질 (medium)도 포함하며, 이는 인간, 동물, 인간 또는 동물의 소비를 위하여 제조된 음식으로부터 얻은 시료가 포함된다. 또한, 분석되는 시료는 체액 시료를 포함하며, 이는 객담, 혈액, 혈청, 혈장, 림프, 모유, 소변, 분변, 안구 유액, 타액, 정액, 뇌 추출물 (예컨대, 뇌 분쇄물), 척수액, 충수, 비장 및 편도선 조직 추출물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NA 프로브는 표적 현미부수체 서열과 완전 혼성화 형태에서의 결합력이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높게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결실을 가지는 혼성화 형태에서의 결합력은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NA 프로브는 표적핵산 염기서열과 완전한 혼성화 (perfect match)를 이루어 예상된 융해온도 (Tm) 값을 보이며, 염기변이가 존재하는 표적핵산과는 불완전한 혼성화 (mismatch)를 이루어 예상보다 낮은 융해온도 (Tm) 값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기변이는 표적핵산의 2개 내지 14개의 염기가 결실되어 변이가 일어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형광 PNA 프로브는 양말단에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PNA 프로브는 양 말단에는 리포터 (reporter)와 리포터 형광을 소광 (quenching) 할 수 있는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포터 (reporter)는 FAM (6-carboxyfluorescein), Texas red, HEX (2',4',5',7',-tetrachloro-6-carboxy-4,7-dichlorofluorescein) 및 CY5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소광자는 TAMRA (6-carboxytetramethyl-rhodamine), BHQ1, BHQ2 및 Dabcyl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Dabcyl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2 이상의 표적핵산을 사용하고, PNA 프로브에 표지되는 리포터를 표적핵산별로 다르게 하여, 2 이상의 표적핵산의 염기변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다중 표적핵산 또는 단일 표적핵산의 염기변이를 분석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i)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 및 ii) 서열번호 1과 서열번호 2; 서열번호 3과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와 서열번호 6; 서열번호 7과 서열번호 8; 및 서열번호 9와 서열번호 10으로 표시되는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융해곡선 분석법을 이용한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NA 프로브는 표적 현미부수체 서열과 완전 혼성화 형태에서의 결합력이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높게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결실을 가지는 혼성화 형태에서의 결합력은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NA 프로브는 표적핵산 염기서열과 완전한 혼성화 (perfect match)를 이루어 예상된 융해온도 (Tm) 값을 보이며, 염기변이가 존재하는 표적핵산과는 불완전한 혼성화 (mismatch)를 이루어 예상보다 낮은 융해온도 (Tm) 값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기변이는 표적핵산의 2개 내지 14개의 염기가 결실되어 변이가 일어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2 이상의 표적핵산을 사용하고, PNA 프로브에 표지되는 리포터를 표적핵산별로 다르게 하여, 2 이상의 표적핵산의 염기변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트는 다중 표적핵산 또는 단일 표적핵산의 염기변이를 분석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은 불일치 보수유전자 (mismatch repair gene) 및 proofreading 유전자의 기능이상에 의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키트는 미스매치 복수 기능이상의 간접 진단 및 Proofreading 기능이상을 진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불일치 복수유전자 및 proofreading 유전자의 기능이상의 결과물로 Mutation burden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키트는 Mutational burden 간접 진단의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다 (Palmieri, Giuseppe et al., J. Transl. Med. 15.1:17, 2017).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는 현미부수체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DNA 불일치 보수 (mismatch repair)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기능 이상 검출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NA 불일치 보수 (mismatch repair)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hMLH1 (human MutL homolog 1), hMSH2 (human MutS homolog 2), hMSH3 (human MutS homolog 3), hMSH6 (human MutS homolog 6), hMLH3 (human MutL homolog 3), PMS1 (PMS1 homolog 1), PMS2 (PMS1 homolog 2), EXO1 (Exonuclease 1), PCNA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RFC (replication factor C), RPA (replication factor A), Pol delta 및 Ligase1 (DNA ligase 1)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는 현미부수체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DNA 교정 (proofreading)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기능 이상 검출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NA 교정 (proofreading)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POLE (DNA polymerase epsilon) 및 POLD1 (polymerase delta 1)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는 DNA 불일치 보수 (mismatch repair) 또는 DNA 교정 (proofreading) 기능 이상에 따른 돌연변이의 검출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키트는 버퍼, DNA 중합효소 조인자 및 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5-트리포스페이트와 같은 타겟 증폭 PCR 반응 (예컨대, PCR 반응)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시약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는 다양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분자, 역전사효소, 버퍼 및 시약, 및 DNA 중합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키트는 특정 반응에서 사용되는 시약의 최적량은, 본 명세서에 개시사항을 습득한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키트는 앞서 언급된 구성성분들을 포함하는 별도의 포장 또는 컴파트먼트(compartment)로 제작될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현미부수체 유전자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의 제작
Quasi loci의 5개 현미부수체 표지자(NR21, NR24, BAT26, NR27 및 BAT25)들의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위한 프라이머는 NR21 (서열번호 1과 서열번호 2), NR24 (서열번호 3과 서열번호 4), BAT26 (서열번호 5와 서열번호 6), NR27 (서열번호 7과 서열번호 8) 및 BAT25 (서열번호 9과 서열번호 10)으로 이루어진 염기서열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표 1).
현미부수체 서열번호 이름 염기서열 (5'-3')
NR21 1 NR21_F ATATTTAAATGTATGTCTCC
2 NR21_R CTGGTCACTCGCGTTTACAA
NR24 3 NR24_F GCTGAATTTTACCTCCTGAC
4 NR24_R ATTGTGCCATTGCATTCCAA
BAT26 5 BAT26_F GATATTGCAGCAGTCAGAGC
6 BAT26_R GCTTCTTCAGTATATGTCAATG
NR27 7 NR27_F AACCATGCTTGCAAACCACT
8 NR27_R CGATAATACTAGCAATGACC
BAT25 9 BAT25_F CTCGCCTCCAAGAATGTAAGT
10 BAT25_R GTTACCACACTTCAAAATGACA
실시예 2: 양기능성 형광 PNA 프로브의 제작
현미부수체의 불안정성 (MSI) 선호적 증폭 기능과 및 융해온도 분석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양기능성 형광 PNA 프로브의 제작을 위하여, 현미부수체 안정 서열과의 혼성화 온도가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높고,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서열과의 혼성화 온도는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낮게 제작하였다. 그 다음, 혼성화 후 떨어지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프로브의 말단에 형광과 소광자를 결합시켰다. 각각의 양기능성 형광 PNA 프로브는 현미부수체의 단일염기 반복서열을 가운데에 포함하고 각 말단에 특이적인 서열을 3개 내지 8개를 각각 포함하도록 제작하여 특이도를 확보하였다 (표 2).
현미부수체 서열번호 이름 염기서열 (5'-3') 형광
NR21 11 NR21_1 Dabcyl- TTGCT AAAAAAAAAAAAAAAAAAAAA GGC -O-K (FAM)
12 NR21_2 Dabcyl- TGTTGCT AAAAAAAAAAAAAAAAAAAAA GGCCA -O-K (Texas Red)
13 NR21_3 Dabcyl- GTGTTGCT AAAAAAAAAAAAAAAAAAAAA GGCCAG -O-K (Texas Red)
NR24 14 NR24_1 Dabcyl- CTCAC AAAAAAAAAAAAAAAAAAAAAAAA TAGGA -O-K (HEX)
15 NR24_2 Dabcyl- GTCTCAC AAAAAAAAAAAAAAAAAAAAAAAA TAGGAC -O-K (HEX)
16 NR24_3 Dabcyl- CGTCTCAC AAAAAAAAAAAAAAAAAAAAAAAA TAGGACT -O-K (HEX)
BAT26 17 BAT26_1 Dabcyl- GGT AAAAAAAAAAAAAAAAAAAAAAAAAA GGG -O-K (FAM)
BAT25 18 BAT25_1 Dabcyl- CTC AAAAAAAAAAAAAAAAAAAAAAAAA TCA -O-K (FAM)
19 BAT25_2 Dabcyl- TCTC AAAAAAAAAAAAAAAAAAAAAAAAA TCA A-O-K (FAM)
20 BAT25_3 Dabcyl- TTCTC AAAAAAAAAAAAAAAAAAAAAAAAA TCAAA -O-K (HEX)
21 BAT25_4 Dabcyl- GTTCTC AAAAAAAAAAAAAAAAAAAAAAAAA TCAAAA -O-K (HEX)
NR27 22 NR27_1 Dabcyl- TGGT AAAAAAAAAAAAAAAAAAAAAAAAAAA GCC -O-K (FAM)
23 NR27_2 Dabcyl- GGT AAAAAAAAAAAAAAAAAAAAAAAAAAA GCC -O-K (FAM)
* 표 2에서 O-는 링커 및 K는 라이신(lysine)을 의미한다.
실시예 3: 표준세포주를 사용한 양기능성 PNA 프로브 기반 MSI 판별 키트의 검증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과 현미부수체 안정성 (microsatellite stable, MSS)의 표준세포주 (표 3)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작된 프라이머와 실시예 2에서 제작된 양기능성 PNA 형광 프로브를 사용하여 CFX96™ Real-Time 시스템 (BIO-RAD 사, 미국)에서 PCR을 수행하였다 (표3).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 실험 조건은 단일가닥 표적핵산을 생성하기 위해 비대칭 PCR (asymmetric PCR)을 이용하였다. 비대칭 PCR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총 볼륨이 20㎕이 되도록 2X 시선바이오 리얼타임 FMCA™ 버퍼 (SeaSunBio Real-Time FMCA™ buffer, 시선바이오, 한국), 2.5mM MgCl2, 200μM dNTPs, 1.0U Taq polymerase, 0.05μM 순방향 프라이머 (forward primer, 표 1) 및 0.5μM 역방향 프라이머 (reverse primer, 표 1)(asymmetric PCR)에 1㎕ 표준세포주 DNA (표 3)를 첨가한 다음 리얼타임 PCR을 실시한 후, 0.5㎕ 형광 PNA 프로브 (표 2)를 첨가하여 융해곡선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의 도식은 도 2와 도 3에 나타내었으며, 도 4의 조건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 세포주 현미부수체 상태
1 CS174T MSI
2 DLD MSI
3 HCT8 MSI
4 HCT116 MSI
5 NCC59 MSI
6 PKO MSI
7 SNU1 MSI
8 SNU638 MSI
9 SNU1544 MSI
10 SW48 MSI
11 Colo205 MSS
12 Hela MSS
13 MCF7 MSS
14 PC9 MSS
15 SNU601 MSS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MSI 세포주에서 현미부수체 표지자인 NR21, NR24, BAT26, NR27 및 BAT25를 표적하는 PNA 프로브의 결합온도가 MSS 표준세포주의 결합온도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양기능성 PNA 프로브 기반 MSI 판별 키트의 민감도 비교 분석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표준 세포주 (표 3)에서 추출한 DNA를 5, 10, 20, 40, 100%의 비율로 현미부수체 안정성 (microsatellite stable, MSS) 표준 세포주에 혼합하여 민감도 분석의 샘플로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1과 2에서 제작된 프라이머와 양기능성 PNA 형광 프로브를 사용하여 CFX96™ Real-Time 시스템 (BIO-RAD 사, 미국)에서 PCR을 수행하였다.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 실험 조건은 단일가닥 표적핵산을 생성하기 위해 비대칭 PCR (asymmetric PCR)을 이용하였다. 비대칭 PCR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총 볼륨이 20㎕이 되도록 2X 시선바이오 리얼타임 FMCA™ 버퍼 (SeaSunBio Real-Time FMCA™ buffer, 시선바이오, 한국), 2.5mM MgCl2, 200μM dNTPs, 1.0U Taq polymerase, 0.05μM 순방향 프라이머 (forward primer, 표 1) 및 0.5μM 역방향 프라이머 (reverse primer, 표 1)(asymmetric PCR)에 1㎕ 표준세포주 DNA (표 3)를 첨가한 다음 리얼타임 PCR을 실시한 후, 0.5㎕ 형광 PNA 프로브 (표 2)를 첨가하여 융해곡선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의 도식은 도 2와 도 3에 나타내었으며, 도 4의 조건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존기법인 pentaplex 기법이 확인하지 못한 5% 및 10%로 혼합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분석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6).
실시예 5: 임상샘플을 사용한 양기능성 PNA 프로브 기반 MSI 판별 키트의 검증
대장암과 위암이 의심되는 임상조직과 그 주변부 정상 조직의 DNA를 추출하여 실시예 1과 2에서 제작된 프라이머와 양기능성 PNA 형광 프로브를 사용하여 CFX96™ Real-Time 시스템 (BIO-RAD 사, 미국)에서 PCR을 수행하였다.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 실험 조건은 단일가닥 표적핵산을 생성하기 위해 비대칭 PCR(asymmetric PCR)을 이용하였다. 비대칭 PCR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총 볼륨이 20㎕이 되도록 2X 시선바이오 리얼타임 FMCA™ 버퍼(SeaSunBio Real-Time FMCA™ buffer, 시선바이오, 한국), 2.5mM MgCl2, 200μM dNTPs, 1.0U Taq polymerase, 0.05μM 순방향 프라이머(forward primer, 표 1) 및 0.5μM 역방향 프라이머(reverse primer, 표 1)(asymmetric PCR)에 1㎕ 표준세포주 DNA (표 3)를 첨가한 다음 리얼타임 PCR을 실시한 후, 0.5㎕ 형광 PNA 프로브 (표 2)를 첨가하여 융해곡선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의 도식은 도 2와 도 3에 나타내었으며, 도 4의 조건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암 조직과 그 주변부 정상 조직간 융해온도의 비교로 현미부수체 표지 유전자의 불안정성의 유무를 비교분석 하였으며, 최종 결과는 기존의 MSI 분석 기법인 Petaplex 기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 분석법인 pentaplex에서 MSI-high (5개의 현미부수체 유전자 중 2개 이상의 표지 유전자의 결실이 확인된 상태)를 보이는 임상 조직에서 양기능성 PNA 형광프로브를 사용한 분석이 동일한 MSI-high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 분석법에서 MSS를 보여주는 대장암 조직을 대상으로 한 양기능성 PNA 형광프로브를 사용한 분석이 동일한 MSS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위암이 의심되는 임상 조직과 그 주변부 정상 조직 분석 결과도 상기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9 및 도 10).
그 외, 다수의 임상조직을 대상으로 pentaplex 분석법과 추가 비교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 기법인 pentaplex와 양기능성 형광 PNA 프로브를 사용한 분석법의 결과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Seasunbiomaterials <120> Melting Curve Analysis Using bifunctional PNA probe for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Diagnosis, and Method and Kit of Microsatellite Instability Diagnosis Using the Same <130> P17-B058 <160> 2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1_F <400> 1 atatttaaat gtatgtctc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1_R <400> 2 ctggtcactc gcgtttacaa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4_F <400> 3 gctgaatttt acctcctgac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4_R <400> 4 attgtgccat tgcattccaa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T26_F <400> 5 gatattgcag cagtcagagc 20 <210> 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T26_R <400> 6 gcttcttcag tatatgtcaa tg 22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7_F <400> 7 aaccatgctt gcaaaccact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7_R <400> 8 cgataatact agcaatgacc 20 <210> 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T25_F <400> 9 ctcgcctcca agaatgtaag t 21 <210> 1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T25_R <400> 10 gttaccacac ttcaaaatga ca 22 <210> 11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1_1 <400> 11 ttgctaaaaa aaaaaaaaaa aaaaaaggc 29 <210> 12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1_2 <400> 12 tgttgctaaa aaaaaaaaaa aaaaaaaagg cca 33 <210> 13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1_3 <400> 13 gtgttgctaa aaaaaaaaaa aaaaaaaaag gccag 35 <210> 14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4_1 <400> 14 ctcacaaaaa aaaaaaaaaa aaaaaaaaat agga 34 <210> 15 <211> 3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4_2 <400> 15 gtctcacaaa aaaaaaaaaa aaaaaaaaaa ataggac 37 <210> 16 <211> 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4_3 <400> 16 cgtctcacaa aaaaaaaaaa aaaaaaaaaa aataggact 39 <210> 17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T26_1 <400> 17 ggtaaaaaaa aaaaaaaaaa aaaaaaaaag gg 32 <210> 18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T25_1 <400> 18 ctcaaaaaaa aaaaaaaaaa aaaaaaaatc a 31 <210> 19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T25_2 <400> 19 tctcaaaaaa aaaaaaaaaa aaaaaaaaat caa 33 <210> 20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T25_3 <400> 20 ttctcaaaaa aaaaaaaaaa aaaaaaaaaa tcaaa 35 <210> 21 <211> 3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T25_4 <400> 21 gttctcaaaa aaaaaaaaaa aaaaaaaaaa atcaaaa 37 <210> 22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7_1 <400> 22 tggtaaaaaa aaaaaaaaaa aaaaaaaaaa agcc 34 <210> 23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27_2 <400> 23 ggtaaaaaaa aaaaaaaaaa aaaaaaaaaa gcc 33

Claims (23)

  1.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는 현미부수체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진단을 위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NA 프로브는 표적 현미부수체 서열과 완전 혼성화 형태에서의 결합력이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높게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결실을 가지는 혼성화 형태에서의 결합력은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NA 프로브는 현미부수체 표적핵산의 염기서열과 완전히 혼성화 (perfect match)를 이루어 예상된 융해온도 (Tm) 값을 보이며, 염기변이를 가지는 표적핵산과는 불완전 혼성화 (mismatch)를 이루어 예상보다 낮은 융해온도 (Tm) 값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변이는 표적핵산의 2개 내지 14개의 염기가 결실되어 변이가 일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터 (reporter)는 FAM (6-carboxyfluorescein), Texas red, HEX (2',4',5',7',-tetrachloro-6-carboxy-4,7-dichlorofluorescein) 및 CY5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자 (quencher)는 TAMRA (6-carboxytetramethyl-rhodamine), BHQ1, BHQ2 및 Dabcyl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방법.
  7.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진단방법:
    (a) 검체 시료로부터 표적핵산을 분리한 다음, 상기 표적핵산에 포함된 현미부수체 표지자인 BAT25, BAT26, NR21, NR24 또는 NR27에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프로브를 혼합시켜, PNA 프로브와 표적핵산을 혼성화시키는 단계;
    (b)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상기 혼성화된 산물을 융해시켜 융해곡선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얻어지는 융해곡선을 분석하여, 표적핵산에 포함된 현미부수체 표지자의 염기변이 유무 및 염기변이 개수를 검출하는 단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NA 프로브는 표적 현미부수체 서열과 완전 혼성화 형태에서의 결합력이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높게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결실을 가지는 혼성화 형태에서의 결합력은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NA 프로브는 표적핵산 염기서열과 완전히 혼성화 (perfect match)를 이루어 예상된 융해온도 (Tm) 값을 보이며, 염기변이를 가지는 표적핵산과는 불완전 혼성화 (mismatch)를 이루어 예상보다 낮은 융해온도 (Tm) 값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변이는 표적핵산의 2개 내지 14개의 염기가 결실되어 변이가 일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터 (reporter)는 FAM (6-carboxyfluorescein), Texas red, HEX (2',4',5',7',-tetrachloro-6-carboxy-4,7-dichlorofluorescein) 및 CY5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자 (quencher)는 TAMRA (6-carboxytetramethyl-rhodamine), BHQ1, BHQ2 및 Dabcyl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2 이상의 표적핵산을 사용하고, PNA 프로브에 표지되는 리포터를 표적핵산별로 다르게 하여, 2 이상의 표적핵산의 염기변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방법.
  14. i)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 및 ii) 서열번호 1과 서열번호 2; 서열번호 3과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와 서열번호 6; 서열번호 7과 서열번호 8; 및 서열번호 9와 서열번호 10으로 표시되는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융해곡선 분석법을 이용한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진단용 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PNA 프로브는 표적 현미부수체 서열과 완전 혼성화 형태에서의 결합력이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높게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결실을 가지는 혼성화 형태에서의 결합력은 중합효소 신장반응 온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PNA 프로브는 표적핵산 염기서열과 완전히 혼성화 (perfect match)를 이루어 예상된 융해온도 (Tm) 값을 보이며, 염기변이를 가지는 표적핵산과는 불완전 혼성화 (mismatch)를 이루어 예상보다 낮은 융해온도 (Tm) 값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변이는 표적핵산의 2개 내지 14개의 염기가 결실되어 변이가 일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8. 제14항에 있어서, 2 이상의 표적핵산을 사용하고, PNA 프로브에 표지되는 리포터를 표적핵산별로 다르게 하여, 2 이상의 표적핵산의 염기변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9.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는 현미부수체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DNA 불일치 보수 (mismatch repair)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기능 이상 검출용 키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DNA 불일치 보수 (mismatch repair)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hMLH1, hMSH2, hMSH3, hMSH6, hMLH3, PMS1, PMS2, EXO1, PCNA, RFC, RPA, Pol delta, 및 Ligase1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1.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는 현미부수체 표적핵산의 염기변이 검출에 따른 DNA 교정 (proofreading)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기능 이상 검출용 키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DNA 교정 (proofreading)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POLE 및 POLD1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3. 리포터 (reporter) 및 소광자 (quencher)가 결합되어 있고, 서열번호 1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서열 및 이에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PNA (Peptide Nucleic Acid, 펩티드핵산) 프로브를 이용하는 DNA 불일치 보수 (mismatch repair) 또는 DNA 교정 (proofreading) 기능 이상에 따른 돌연변이의 검출용 키트.
KR1020170037506A 2017-03-24 2017-03-24 양기능성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용 키트 KR101969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506A KR101969971B1 (ko) 2017-03-24 2017-03-24 양기능성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용 키트
CN201780088924.3A CN110621784A (zh) 2017-03-24 2017-03-24 使用双功能pna探针进行熔解曲线分析的方法、以及使用所述方法诊断微卫星不稳定性的方法和诊断微卫星不稳定性的试剂盒
PCT/KR2017/003168 WO2018174318A1 (ko) 2017-03-24 2017-03-24 양기능성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용 키트
US16/488,588 US11473126B2 (en) 2017-03-24 2017-03-24 Method for analyzing melting curve using bi-functional PNA probe, method for diagnosing microsatellite instability using the same, and kit for diagnosing microsatellite inst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506A KR101969971B1 (ko) 2017-03-24 2017-03-24 양기능성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137A true KR20180108137A (ko) 2018-10-04
KR101969971B1 KR101969971B1 (ko) 2019-04-18

Family

ID=6358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506A KR101969971B1 (ko) 2017-03-24 2017-03-24 양기능성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용 키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73126B2 (ko)
KR (1) KR101969971B1 (ko)
CN (1) CN110621784A (ko)
WO (1) WO201817431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397A (ko) 2020-08-13 2022-02-22 서울대학교병원 시퀀싱 데이터를 이용한 미소부수체 불안정성 검출 방법 및 분석 장치
CN114341163A (zh) * 2019-09-02 2022-04-12 海阳生物材料有限公司 新型肽核酸低聚物、其的脱氧核糖核酸甲基化检测用途及利用脱氧核糖核酸甲基化检测方法
WO2022092823A1 (ko) * 2020-10-28 2022-05-0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프라이머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46953A1 (en) 2016-12-12 2018-06-21 Dana Farber Cancer Institut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lecular barcoding of dna molecules prior to mutation enrichment and/or mutation detection
CN110144386A (zh) * 2019-04-12 2019-08-20 嘉兴雅康博医学检验所有限公司 用于检测pole基因突变的引物、探针及试剂盒
KR20220080682A (ko) 2020-12-07 2022-06-14 (주)디엑솜 현미부수체 지역의 서열 길이의 변동계수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방법
KR20220091891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 폐암 조기 진단을 위한 유전자의 메틸화 검출 방법, 검출키트 및 검출용 핵산의 조성물
KR20230023278A (ko) 2021-08-10 2023-02-17 (주)디엑솜 현미부수체 지역의 서열 길이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방법
KR20230023276A (ko) 2021-08-10 2023-02-17 (주)디엑솜 현미부수체 지역의 서열 길이의 변화율을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방법
CN115094076B (zh) * 2022-06-30 2023-05-16 斯贝福(北京)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体外检测致突变因子的报告质粒、细胞模型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7976A (ja) * 2004-07-28 2008-03-21 バイエル・ヘルスケア・エルエルシー マイクロサテライト不安定性における遺伝子の発現の差次的発現
KR20170037095A (ko) * 2015-09-25 2017-04-04 주식회사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을 위한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용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3723A1 (en) * 2000-10-04 2003-06-19 Bharati Bapat Method for evaluating microsatellite instability in a tumor sample
DE60113945T2 (de) * 2000-11-15 2006-06-29 Roche Diagnostics Gmbh Verfahren zur Analyse von Wiederkehrenden PCR-Podukten, das auf der Analyse von DNS-Schmelzkurven basiert
KR20020086078A (ko) * 2001-05-11 2002-11-18 김호근 미세부수체 불안정성 측정용 진단 킷트
MXPA05000190A (es) * 2002-07-01 2005-09-30 Univ State Cleveland Metodo para detectar polinucleotidos mutados dentro de una gran poblacion de polinucleotidos de tipo silvestre.
KR100998272B1 (ko) * 2002-07-15 2010-12-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백질 지령부위내 단반복 염기서열을 갖는 신규 유전자
ATE451476T1 (de) * 2004-10-19 2009-12-15 Mtm Lab Ag Zusammensetzungen und methoden zur bestimmung des mikrosatelliten instabilitäts (msi) status
WO2012158385A1 (en) * 2011-05-16 2012-11-22 Baylor Research Institute Detecting dna mismatch repair-deficient colorectal cancers
CN102230004B (zh) * 2011-06-08 2012-12-26 北京阅微基因技术有限公司 肿瘤细胞微卫星不稳定状态的复合扩增体系及检测试剂盒
CN102242211A (zh) * 2011-07-08 2011-11-16 无锡锐奇基因生物科技有限公司 检测突变核酸序列的方法及试剂盒
KR102018317B1 (ko) 2012-10-10 2019-09-05 주식회사 파나진 리포터 및 소광자가 결합된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융해곡선 분석을 통한 염기다형성 분석방법 및 염기다형성 분석 키트.
EP3126511B1 (en) * 2014-04-04 2019-06-19 Panagene Inc. Melting curve analysis using pna probe, method and kit for analyzing nucleotide polymorphism using melting curve analysis
CN104087683B (zh) * 2014-08-01 2016-06-15 上海赛安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微卫星不稳定性多重检测体系及试剂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7976A (ja) * 2004-07-28 2008-03-21 バイエル・ヘルスケア・エルエルシー マイクロサテライト不安定性における遺伝子の発現の差次的発現
KR20170037095A (ko) * 2015-09-25 2017-04-04 주식회사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을 위한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용 키트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m Mol Genet. 22(14):2820-8 (2013.07.15.)* *
PLoS One. 5(2):e9393 (2010.02.2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1163A (zh) * 2019-09-02 2022-04-12 海阳生物材料有限公司 新型肽核酸低聚物、其的脱氧核糖核酸甲基化检测用途及利用脱氧核糖核酸甲基化检测方法
KR20220021397A (ko) 2020-08-13 2022-02-22 서울대학교병원 시퀀싱 데이터를 이용한 미소부수체 불안정성 검출 방법 및 분석 장치
WO2022092823A1 (ko) * 2020-10-28 2022-05-0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프라이머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971B1 (ko) 2019-04-18
US11473126B2 (en) 2022-10-18
US20200248240A1 (en) 2020-08-06
CN110621784A (zh) 2019-12-27
WO2018174318A1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971B1 (ko) 양기능성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진단용 키트
JP5095888B2 (ja) 特異的lnaプライマによる遺伝子内における突然変異の検出
JP5531367B2 (ja) 標的配列の濃縮
EP2912176B1 (en) Method for the detection of multiple target nucleic acids using clamping probes and detection probes
KR102044683B1 (ko) 콕시엘라 버네티 검출용 pna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콕시엘라 버네티 검출방법
CN110541033B (zh) Egfr基因突变检测用组合物及检测方法
KR20170037095A (ko)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을 위한 pna 프로브를 이용한 융해곡선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방법 및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진단용 키트
KR101695477B1 (ko) Pna 프로브 및 형광융해곡선분석을 이용한 혈액형 판별방법
JPWO2016152812A1 (ja) 標的核酸の高感度検出方法
KR101986193B1 (ko) 유전성 난청 검출용 pna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유전성 난청 검출방법
KR102061896B1 (ko) 소 바이러스성 설사 바이러스 유전형 판별용 pna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소 바이러스성 설사 바이러스 유전형 판별방법
KR101358416B1 (ko) 리가제 반응과 절단효소 증폭반응을 이용한 표적 유전자 또는 이의 돌연변이 검출방법
CN107988354B (zh) Nudt15基因分型用的引物、试剂盒及方法
KR101775953B1 (ko) 돌연변이 유전자 검사 방법 및 킷트
CN113774141B (zh) 一种用于双位点顺反式突变检测的引物、探针组合物及其应用
KR20200129600A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유전형 판별용 PNA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유전형 판별방법
CN110938696A (zh) 一种用于检测胃肠道间质瘤相关基因突变的试剂盒
CN113930501A (zh) 人egfr基因突变的数字pcr检测方法及应用
KR102575618B1 (ko) 가이드 프로브 및 클램핑 프로브를 이용한 표적핵산 증폭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적핵산 증폭용 조성물
KR102543156B1 (ko) 높은 특이도의 표적핵산 증폭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적핵산 증폭용 조성물
KR20200044511A (ko) 노인성 황반변성 관련 유전자 변이 판별용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노인성 황반변성 관련 유전자 변이 판별방법
CN113215163B (zh) 一种特异性扩增目的基因的分子锁及应用
KR20170009445A (ko) Pna 프로브를 이용한 성별 판별 및 클라인펠터 증후군의 진단 방법
KR101854760B1 (ko) Pna 프로브를 이용하여 흰반점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
TW202338101A (zh) 用於檢測膀胱癌之存在之引子及探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