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115A - 발포 수지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포 수지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115A
KR20180094115A KR1020187022695A KR20187022695A KR20180094115A KR 20180094115 A KR20180094115 A KR 20180094115A KR 1020187022695 A KR1020187022695 A KR 1020187022695A KR 20187022695 A KR20187022695 A KR 20187022695A KR 20180094115 A KR20180094115 A KR 20180094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resin
melt
mass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4335B1 (ko
Inventor
마사유키 기토
고로 다카하시
도시히로 스즈키
야스유키 시미즈
고스케 다마키
Original Assignee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4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42Mixing, kneading or conveying the foam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42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injection or by vacuum
    • B29C44/421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injection or by vacuum by plastizising the material into a shot cavity and injecting using a plu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0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77/10Aromatic polyamides [polya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Extrusion of the foamable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2CO2-releasing, e.g. NaHCO3 and citr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4Applications used for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 components which can react with one an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22Mixtures comprising a continuous polymer matrix in which are dispersed crosslinked particles of another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충격성 및 강성이 우수하며, 높은 충격을 받아도 파괴되기 어려운 발포 수지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은, 올레핀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발포 수지성형체에 있어서,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은,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과, 이 연속상 중에 분산된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분산상을 구비하고, 분산상이, 폴리아미드 수지와, 당해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한 반응성기를 가지는 엘라스토머와의 용융 혼련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포 수지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발포 수지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진 발포 성형체는, 자동차용 부품, 사무 부품, 일용 잡화, 부엌 용품, 건재(建材) 부품, 스포츠 용품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표면이 스킨층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발포층으로 형성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발포 수지성형체에 있어서, 발포층에는, 복수의 제 1 발포 셀과, 제 1 발포 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발포 셀보다 작은 복수의 제 2 발포 셀이 형성된 발포 수지성형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적어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STM 1238에 준거하여, 온도 190℃, 하중 2.16㎏으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1g/10분 이상 10g/10분미만, 용융 장력이 150mN 이상, 변형 경화성을 가지며, JIS K6760에 준거한 밀도가 915㎏/㎥ 이상 970㎏/㎥ 이하의 폴리에틸렌계 수지(A), 및 알케닐 방향족 화합물 단위 함유 고무 및 JIS K6760에 준거한 밀도가 850㎏/㎥ 이상 910㎏/㎥ 이하, ASTM 1238에 준거하여, 온도 190℃, 하중 2.16㎏으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3g/10분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사출 발포용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진 발포 성형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233055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826호 공보
종래, 공지된 발포 성형체에 있어서, 내충격성은 아직 충분하지 않으며, 더욱 우수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높은 충격을 받았을 경우에, 파괴되기 어려운 발포 성형체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내충격성 및 강성이 우수하며, 높은 충격을 받아도 파괴되기 어려운 발포 수지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낸다.
〔1〕 올레핀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발포 수지성형체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은, 상기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連續相)과, 당해 연속상 중에 분산된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분산상(分散相)을 구비하며,
상기 분산상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당해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한 반응성기를 가지는 엘라스토머와의 용융 혼련물(混練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수지성형체.
〔2〕 상기 분산상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모상(母相)과, 당해 모상 중에 분산된, 상기 반응성을 가지는 상기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미(微)분산상을 가지며, 발포된 기포는 상기 분산상 및 상기 미분산상이 아닌 상기 연속상에만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발포 수지성형체.
〔3〕 상기 분산상의 비율이, 상기 연속상 및 상기 분산상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70질량%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발포 수지성형체.
〔4〕 상기 올레핀 수지가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포 수지성형체.
〔5〕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가,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14,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6I, 폴리아미드 9T, 폴리아미드 M5T, 폴리아미드 1010, 폴리아미드 1012, 폴리아미드 10T,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6T/66, 폴리아미드 6T/6I, 폴리아미드 6T/6I/66, 폴리아미드 6T/2M-5T 및 폴리아미드 9T/2M-8T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포 수지성형체.
〔6〕 상기 반응성기를 가지는 상기 엘라스토머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포 수지성형체.
〔7〕 상기 반응성기를 가지는 상기 엘라스토머가, 산무수물 변성 엘라스토머, 카르본산 변성 엘라스토머, 에폭시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옥사졸린 변성 엘라스토머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상기 〔1〕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포 수지성형체.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와, 당해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한 반응성기를 가지는 엘라스토머를 용융 혼련하는 제 1 용융 혼련 공정과, 당해 제 1 용융 혼련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제 1 용융 혼련물과, 올레핀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제 2 용융 혼련 공정과, 당해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제 2 용융 혼련물과 올레핀 수지를 혼합하는 혼합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제조 원료를,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9〕 상기 혼합 공정에서 이용하는 상기 올레핀 수지는, 상기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서 이용하는 올레핀 수지와 다른 상기 〔8〕에 기재된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10〕 상기 혼합 공정에서 이용하는 상기 올레핀 수지의 유동성이, 상기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서 이용하는 올레핀 수지의 유동성보다 높은 상기 〔9〕에 기재된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11〕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와, 당해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한 반응성기를 가지는 엘라스토머를 용융 혼련하는 제 1 용융 혼련 공정과, 당해 제 1 용융 혼련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제 1 용융 혼련물과, 올레핀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제 2 용융 혼련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제조 원료를,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는,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발포 성형체에 비하여 내충격성 및 강성이 우수하며, 높은 충격을 받아도 파괴되기 어렵다. 따라서, 자동차 관련 부품, 선박 관련 부품, 항공 관련 부품, 사무 부품, 일용 잡화, 부엌 용품, 건재 부품, 스포츠 용품 등, 넓은 용도에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상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모상과, 당해 모상 중에 분산된, 상기 반응성을 가지는 상기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미분산상을 가지며, 발포된 기포가 상기 분산상 및 상기 미분산상이 아닌 상기 연속상에만 있을 경우에는, 다중의 상구조로 되어, 내충격성이 보다 우수한 발포 수지성형체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구조를 보지(保持)한 상태로 내충격성을 가지는 발포 수지성형체로 할 수 있다.
상기 분산상의 비율이, 상기 연속상 및 상기 분산상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70질량% 이하일 경우에는, 우수한 내충격성, 강성 및 성형성을 밸런스 좋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올레핀 수지가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일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발포 수지성형체를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가,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14,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6I, 폴리아미드 9T, 폴리아미드 M5T, 폴리아미드 1010, 폴리아미드 1012, 폴리아미드 10T,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6T/66, 폴리아미드 6T/6I, 폴리아미드 6T/6I/66, 폴리아미드 6T/2M-5T 및 폴리아미드 9T/2M-8T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일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발포 수지성형체를 상기 폴리아미드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기를 가지는 상기 엘라스토머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일 경우에는, 특정한 상구조를 더 확실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는 발포 수지성형체로 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기를 가지는 상기 엘라스토머가, 산무수물 변성 엘라스토머, 카르본산 변성 엘라스토머, 에폭시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옥사졸린 변성 엘라스토머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일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발포 수지성형체를 상기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높은 충격을 받아도 파괴되기 어려우며, 외관성이 우수한 발포 수지성형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혼합 공정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의 다른 제조방법에 의하면, 우수한 내충격성을 보지한 채,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혼합 공정에서 이용하는 상기 올레핀 수지는, 상기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서 이용하는 올레핀 수지와 다를 경우에는, 제 2 용융 혼련물을 생성하는데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수지 혹은 발포시키는데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 공정에서 이용하는 상기 올레핀 수지의 유동성이, 상기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서 이용하는 올레핀 수지의 유동성보다 높을 경우에는, 사출 성형할 때에, 형(型) 내에서의 유동성이 양호하다.
도 1은 본 발포 수지성형체의 상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사출 발포 성형에 의해 발포 수지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프론트 도어의 측면 충돌 시험의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에서 나타내는 사항은, 예시적인 것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적인 특징을 가장 유효하면서 또한, 어려움 없이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제공할 목적으로 서술한 것이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근본적인 이해를 위해 필요한 정도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조적인 상세를 나타내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는 않으며, 도면에 맞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몇개인가의 형태가 실제로 어떻게 구현화되는지를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하는 것이다.
1. 발포 수지성형체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1)는, 올레핀 수지(이하, 「올레핀 수지(A)」라고 한다) 및 폴리아미드 수지(이하, 「폴리아미드 수지(B)」라고 한다)를 함유하며, 특정 구조를 가지는 올레핀계 수지조성물, 즉, 올레핀 수지(A)를 포함하는 연속상(X)과, 이 연속상(X) 중에 분산된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분산상(Y)을 구비하고, 분산상(Y)은, 폴리아미드 수지(B)와, 당해 폴리아미드 수지(B)에 대한 반응성기를 가지는 엘라스토머(이하, 「변성 엘라스토머」라고 한다)의 용융 혼련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는, 스킨층 및 셀 벽을 가지며, 이들의 부위가 상기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이다.
이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을 구성하는 연속상(X)은, 올레핀 수지(A)를 포함하며, 목적, 용도 등에 따라, 수지(후술)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연속상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가교(架橋) 구조 및 비가교 구조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올레핀 수지(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성형품의 형성에 이용되는, 종래, 공지된 폴리올레핀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틸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3 이상의 불포화탄화수소(이하, 「α-올레핀」이라고 한다)와의 공중합체, α-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α-올레핀의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3-메틸-1-부텐,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올레핀 수지(A)로서는, α-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등이 보다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올레핀 수지는, 발포 성형성의 관점에서는, 다른 2종 이상의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일방의 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타방의 올레핀 수지의 유동성이 높은 올레핀 수지끼리를 채용할 수 있다. 이 유동성의 차이는, 일정 온도이면서 또한 전단(剪斷) 속도 0sec-1의 상황에서 비교하였을 경우의 유동성의 고저로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FR(온도 230℃, 2.16㎏ 하중) 차가 15g/10min 이상(통상, 60g/10min 이하)인 서로 다른 올레핀 수지를 채용할 수 있으며, 또한, 유동성이 낮은 올레핀 수지로서 MFR(온도 230℃, 2.16㎏ 하중)이 30g/10min 이하(통상, 1g/10min 이상)의 올레핀 수지를 채용할 수 있으며, 유동성이 높은 올레핀 수지로서 MFR(온도 230℃, 2.16㎏ 하중)이 45g/10min 이상(통상, 90g/10min 이하)의 올레핀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동성이 낮은 올레핀 수지로서 프로필렌호모폴리머를 채용하고, 유동성이 높은 올레핀 수지로서 프로필렌블록폴리머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 수지(A)의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은, 발포 수지성형체의 발포 셀의 안정성, 내충격성 및 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450,000, 더 바람직하게는 200,000~400,000이다.
상기 연속상(X)은, 올레핀 수지(A)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올레핀 수지(A)와 함께 연속상을 형성하는 한에 있어서, 다른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다른 수지는, 올레핀 수지(A)와 상용성(相容性)을 가지고, 폴리아미드 수지(B)와 비상용성을 가지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속상은, 분산상을 포함하지만, 후술하는 첨가제를, 분산 상태로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분산상(Y)은, 폴리아미드 수지(B)와, 변성 엘라스토머의 용융 혼련물을 포함한다. 이 분산상의 바람직한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B)는, 주쇄에 아미드 결합(-NH-CO-)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락탐류의 개환중합(開環重合), 아미노산의 탈수 축합, 디아민과 디카르본산의 중축합, 아미노카르본산의 중축합 등에 의해 얻어진 수지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폴리아미드 수지(B)의 제조에 이용되는 원료 화합물을 예시하지만,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B)는, 각 원료 화합물을 단독으로 이용한 것이어도 되고, 2개 이상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상기 락탐류로서는, ε-카프로락탐, 운데칸락탐, ω-라우릴락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으로서는, 아미노카프론산, 아미노운데칸산, 아미노도데칸산, 파라아미노메틸벤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아민으로서는, 에틸렌디아민, 1,3-디아미노프로판, 1,4-디아미노부탄, 1,6-디아미노헥산, 1,7-디아미노헵탄, 1,8-디아미노옥탄, 1,9-디아미노노난, 1,10-디아미노데칸, 1,11-디아미노운데칸, 1,12-디아미노도데칸, 1,13-디아미노트리데칸, 1,14-디아미노테트라데칸, 1,15-디아미노펜타데칸, 1,16-디아미노헥사데칸, 1,17-디아미노헵타데칸, 1,18-디아미노옥타데칸, 1,19-디아미노노나데칸, 1,20-디아미노에이코산, 2-메틸-1,5-디아미노펜탄, 2-메틸-1,8-디아미노옥탄 등의 지방족 디아민; 시클로헥산디아민,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등의 지환식 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m-크실릴렌디아민, p-크실릴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본산으로서는,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운데칸2산, 도데칸2산, 브라실산, 테트라데칸2산, 펜타데칸2산, 옥타데칸2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본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본산; 오르토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B)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14,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6I, 폴리아미드 9T, 폴리아미드 M5T, 폴리아미드 1010, 폴리아미드 1012, 폴리아미드 10T,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6T/66, 폴리아미드 6T/6I, 폴리아미드 6T/6I/66, 폴리아미드 6T/2M-5T, 폴리아미드 9T/2M-8T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아미드 11이 특히 바람직하고, 이 폴리아미드 11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양태, 및, 이 폴리아미드 11과, 다른 폴리아미드 수지를 병용하는 양태의 어느 것이어도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중,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1010, 폴리아미드 614 및 폴리아미드 10T는, 식물유래 폴리아미드 수지이다. 식물유래 폴리아미드 수지는, 식물유 등의 식물에 유래하는 성분으로부터 얻어진 단량체를 이용하는 수지이기 때문에, 환경보호의 관점(특히 카본 뉴트럴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11은, 탄소 원자수 11의 단량체가 아미드 결합을 개재하여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폴리아미드 11에는, 단량체로서, 피마자유를 원료로 하는 아미노운데칸산을 이용할 수 있다. 탄소 원자수가 11인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은, 폴리아미드 11의 전 구성 단위 중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여도 된다.
폴리아미드 610은, 탄소 원자수 6의 단량체와, 탄소 원자수 10의 단량체가 아미드 결합을 개재하여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폴리아미드 610의 형성에는, 단량체로서, 피마자유를 원료로 하는 세바스산을 이용할 수 있다. 탄소 원자수 6의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 탄소 원자수 10의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의 합계는, 폴리아미드 610의 전 구성 단위 중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여도 된다.
폴리아미드 1010은, 탄소 원자수 10의 디아민과, 탄소 원자수 10의 디카르본산이 공중합된 구조를 가진다. 폴리아미드 1010의 형성에는, 단량체로서, 피마자유를 원료로 하는 1,10-데칸디아민(데카메틸렌디아민) 및 세바스산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탄소 원자수 10의 디아민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 탄소 원자수 10의 디카르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합계는, 폴리아미드 1010의 전 구성 단위 중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여도 된다.
폴리아미드 614는, 탄소 원자수 6의 단량체와, 탄소 원자수 14의 단량체가 아미드 결합을 개재하여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폴리아미드 614의 형성에는, 단량체로서, 식물유래이며 탄소 원자수 14의 디카르본산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탄소 원자수 6의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 탄소 원자수 14의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합계는, 폴리아미드 614의 전 구성 단위 중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여도 된다.
폴리아미드 10T는, 탄소 원자수 10의 디아민과, 테레프탈산이 아미드 결합을 개재하여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폴리아미드 10T의 형성에는, 단량체로서, 피마자유를 원료로 하는 1,10-데칸디아민(데카메틸렌디아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탄소 원자수 10의 디아민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 테레프탈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는, 폴리아미드 10T의 전 구성 단위 중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여도 된다.
상기 5종의 식물유래 폴리아미드 수지 중에서도, 폴리아미드 11은, 다른 4종의 식물유래 폴리아미드 수지에 비하여, 저 흡수성, 저 비중 및 식물화도가 높다는 관점에 있어서 보다 우수하다.
폴리아미드 610은, 흡수율, 내 약품성 및 충격 강도의 점에서는 폴리아미드 11보다도 뒤떨어지지만, 내열성(융점) 및 강성(강도)의 관점에 있어서 우수하다. 또한, 폴리아미드 6이나 폴리아미드 66과 비교하여, 저흡수성으로 치수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폴리아미드 6이나 폴리아미드 66의 대체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1010은, 폴리아미드 11에 비하여, 내열성 및 강성의 관점에 있어서 우수하다. 또한, 식물화도도 폴리아미드 11과 동등하여, 보다 내구성이 필요한 부위에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10T는, 분자 골격에 방향고리를 포함하기 ?문에, 폴리아미드 1010에 비하여, 보다 융점이 높으며 고강성이다. 그 때문에 과혹한 환경 하에서의 사용(내열 부위, 강도 입력 부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는, 폴리아미드 수지(B)에 대한 반응성기를 가지는 것이며, 이 반응성기로서는, 산무수물기(-CO-O-OC-), 카르복실기(-COOH) 및 에폭시기(-C2O(2개의 탄소 원자와 1개의 산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3원 고리 구조)), 옥사졸린기(-C3H4NO), 이소시아네이트기(-NCO)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에 포함되는 반응성기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변성량(반응성기의 수)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3~30, 더 바람직하게는 5~20이다.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서는, 반응성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이용하여 얻어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변성 엘라스토머, (공)중합체의 산화 분해에 의해, 반응성기를 형성시켜서 얻어진 변성 엘라스토머, (공)중합체에 대한 유기산을 이용하여 그래프트 중합하여 얻어진 변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상기 반응성기를 부여한 것이다.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가 3~8의 α-올레핀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α-올레핀계 공중합체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α-올레핀 공중합체, α-올레핀·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디엔 공중합체이다. 이들 중,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디엔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비공액 디엔으로서는, 1,4-펜타디엔,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1,6-헥사디엔 등의 직쇄의 비고리형 디엔 화합물; 5-메틸-1,4-헥사디엔, 3,7-디메틸-1,6-옥타디엔, 5,7-디메틸옥타-1,6-디엔, 3,7-디메틸-1,7-옥타디엔, 7-메틸옥타-1,6-디엔, 디히드로미르센 등의 분기 연쇄의 비고리형 디엔 화합물; 테트라히드로인덴, 메틸테트라히드로인덴, 디시클로펜타디엔, 비시클로[2.2.1]-헵타-2,5-디엔, 5-메틸렌-2-노르보르넨,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5-프로페닐-2-노르보르넨, 5-이소프로필리덴-2-노르보르넨, 5-시클로헥실리덴-2-노르보르넨, 5-비닐-2-노르보르넨 등의 지환식 디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펜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헥센 공중합체, 프로필렌·1-옥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이하, 「GPC」라고 한다)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은,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500,000, 더 바람직하게는 30,000~300,000이다.
또한,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액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ert-부틸스티렌 등의 알킬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액 디엔 화합물은, 부타디엔, 이소프렌, 1,3-펜타디엔, 메틸펜타디엔, 페닐부타디엔, 3,4-디메틸-1,3-헥사디엔, 4,5-디에틸-1,3-옥타디엔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SEPS)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는, 더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변성물에 있어서, 산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카르본산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에폭시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옥사졸린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다. 이들 중, 산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카르본산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 이들을, 「산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라고 한다.
상기 산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산무수물 또는 카르본산을 이용하여 변성된, 분자의 측쇄 혹은 말단에, 산무수물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엘라스토머이다. 산 변성량에 대해서, 발포 수지성형체의 발포 셀의 안정성, 내충격성 및 강성의 관점에서, 1분자의 산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에 포함되는 산무수물기 또는 카르복실기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더 바람직하게는 3~30, 특히 바람직하게는 5~20이다.
산 변성용의 산무수물로서는, 무수말레산, 무수프탈산, 무수이타콘산, 무수숙신산, 무수글루타르산, 무수아디프산, 무수시트라콘산, 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부테닐무수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무수말레산, 무수프탈산 및 무수이타콘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르본산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산무수물에 의해 변성된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고, 무수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말레산 변성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무수말레산 변성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무수말레산 변성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무수말레산 변성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등의, 무수말레산에 의해 변성된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산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변성 엘라스토머로서, 상기 에폭시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 할 때에 이용하는 변성용 화합물로서는, α,β-불포화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 및 에폭시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옥사졸린 변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 할 때에 이용하는 변성용 화합물로서는, 비닐옥사졸린 화합물 등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 및 옥사졸릴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GPC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은,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00~500,000, 더 바람직하게는 35,000~300,000이다.
발포 수지성형체(올레핀계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0.3~60질량%, 바람직하게는 0.5~5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5~40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3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5~20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15질량%이다. 또한, 변성 엘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0.2~55질량%, 바람직하게는 0.4~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8~45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2~35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2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8~17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12질량%이다. 또한, 올레핀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50~99.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7~98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62~96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7~9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2~94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75~93질량%이다.
상기 분산상(Y)은, 폴리아미드 수지(B)와, 변성 엘라스토머를, 양자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각각, 바람직하게는 10~80질량% 및 20~9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2~78질량% 및 22~88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4~75질량% 및 25~86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70질량% 및 30~8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0~65질량% 및 35~50질량%이 되는 양비(量比)로 용융 혼련되어, 얻어진 것이다.
상기 분산상(Y)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B)를 포함하는 모상(Y1) 중에,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B)의 일부와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미분산상(Y2)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도 1 참조). 상기 모상(Y1)은, 폴리아미드 수지(B)만으로 이루어지는 상이어도 되고, 목적, 용도 등에 따라, 다른 수지(상기 올레핀 수지(A)를 제외한다)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다른 수지는, 폴리아미드 수지(B)와 상용성을 가지고, 폴리올레핀 수지(A)와 비상용성을 가지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상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가교 구조 및 비가교 구조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1)에서는, 연속상(X)을 구성하는 올레핀 수지가 발포되어 있다. 즉, 발포 수지성형체(1)는, 올레핀계 수지조성물로 구성되며, 이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은, 연속상(X)과, 연속상(X) 중에 분산된 분산상(Y)을 가진다. 또한,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은, 기포(Z)를 내포한다. 이 기포(Z)는, 어디에 위치되어도 되지만, 연속상(X) 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환언하면, 연속상(X) 내에는, 분산상(Y)과 기포(Z)가 분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포 수지성형체(1)에서는, 분산상(Y)이,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모상(Y1)과, 모상(Y1) 중에 분산된,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미분산상(Y2)을 가지며, 발포된 기포(Z)가, 분산상(Y) 및 미분산상(Y2)이 아닌, 연속상(X)에만 있는 형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도 1 참조). 이러한 구조인 것에 의해, 분산상(Y)이나 미분산상(Y2)과 같은 상구조(살라미 구조)를 보지한 상태로 발포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는,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또한, 분산상(Y) 및 미분산상(Y2)의 개형(槪形)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 형상의 단면(3차원적으로는 대략 구(球)형상)을 이루어도 되고, 예를 들면,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포(Z)의 형성에 수반하여, 대략 타원형이나 편평 형상으로 변형된(늘어난) 형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의 상구조로서는, 제 1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A1)과 제 2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A2)으로 이루어지는 공연속상(共連續相)을 취할 수도 있다. 공연속상이란, 2종 이상의 연속상(연속상(A1) 및 (A2))이 3차원적으로 연속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말한다.
상기 모상(Y1) 중에는, 폴리아미드 수지(B) 및 변성 엘라스토머의 용융 혼련물로 이루어지는 미분산상(Y2)이 포함된다.
상기 미분산상(Y2)을 구성하는 반응 생성물은, 변성 엘라스토머에 포함된 반응성기 및 폴리아미드 수지의 아미드 결합의 등몰 반응 생성물이다. 또한, 상기 미분산상(Y2)의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발포 수지성형체의 발포 셀의 안정성, 내충격성 및 강성의 관점에서, 평균 직경(평균 입자경)은, 5~1200㎚이며, 바람직하게는 5~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600㎚, 더 바람직하게는 10~4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350㎚이다. 또한, 이 미분산상(Y2)의 평균 직경은, 전자현미경 등의 화상 등으로부터 얻어진 측정값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1000배 이상의 확대 화상 내의 소정의 영역 내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20개의 미분산상(Y2)의 각각의 최장 직경을 측정하고, 얻어진 최장 직경의 평균값을 제 1 평균값이라고 한다. 그리고, 화상 내의 다른 5개의 영역에 있어서 측정된 제 1 평균값의 또 다른 평균값이, 미분산상(Y2)의 상기 평균 직경(장축 평균 분산 직경)이 된다. 상기 확대 화상으로서는, 산소 플라즈마 에칭 처리한 후, 오스뮴(osmium) 코트 처리를 추가로 실시한 시험편(발포 수지성형체의 시험편)의 처리면을 전계 방출형 주사형 전자현미경(FE-SEM)에 의해 확대한 확대 화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상은, 상기 미분산상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엘라스토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엘라스토머 성분으로서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비변성(非變性) 올레핀 엘라스토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상은, 후술하는 첨가제를, 분산 상태로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분산상의 형상은, 구형, 타원 구형 등의 정형(定刑), 또는, 이들의 변형물(부정형)로 할 수 있으며, 표면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분산상의 최대 직경의 상한은, 발포 수지성형체의 형상 안정성, 내충격성 및 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 더 바람직하게는 4,000㎚이다. 또한, 하한은, 통상, 50㎚이며, 바람직하게는 100㎚이다. 상기 최대 직경은, 전자현미경 화상으로부터 얻어진 측정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은, 연속상과, 이 연속상 중에 분산된 분산상을 구비한다.
상기 연속상 및 상기 분산상의 질량 비율은, 발포 수지성형체의 발포 셀의 안정성, 내충격성, 강성의 관점에서, 양자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각각,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및 7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99.5질량% 및 0.5~5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52~98질량% 및 2~48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5~96질량% 및 4~45질량%이다.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에 있어서, 이 분산상은, 그대로 연속상 중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연속상과, 분산상의 계면의 적어도 일부에 개질층(改質層)을 가지는 상태로 포함되어도 된다.
상기 개질층은, 변성 엘라스토머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들의 재료는, 상기 기재된 것이어도 된다. 상기 개질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는, 상기 올레핀계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스킨층 및 셀 벽을 구비한다. 스킨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발포 수지성형체의 발포 셀의 안정성, 내충격성 및 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0.8㎜,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6㎜이다.
상기 연속상 또는 분산상이 함유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는, 조핵제,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내후제(耐候劑), 광안정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帶電) 방지제, 난연제, 슬립제, 안티 블로킹제, 방담(防曇)제, 활제(滑劑), 안료, 염료, 분산제, 동해(銅害) 방지제, 중화제, 기포 방지제, 웰드 강도 개량제, 천연 오일, 합성 오일,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핵제로서는, 탤크, 실리카, 클레이, 몬모릴로나이트, 카올린 등의 규산 염; 탄산 칼슘, 탄산 리튬, 탄산 마그네슘 등의 탄산 염; 알루미나, 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금속 산화물; 알루미늄, 철, 은, 구리 등의 금속;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수산화물; 황산 바륨 등의 황화물; 목탄, 죽탄 등의 탄화물; 티탄산 칼륨, 티탄산 바륨 등의 티탄화물; 셀룰로오스 마이크로피브릴, 초산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 아라미드 섬유, 비닐론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등의 수지 섬유; 풀러렌, 카본 나노 튜브 등의 카본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화합물, 유기 포스파이트계 화합물, 티오에테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 안정제로서는, 힌더드아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벤조에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제로서는, 논 이온계 화합물, 카티온계 화합물, 아니온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불활성제로서는, 히드라진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서는, 할로겐계 화합물, 인계 화합물(질소 함유 인산염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 등), 질소계 화합물(구아니딘, 트리아진, 멜라민 또는 이들의 유도체 등), 무기 화합물(금속 수산화물 등), 붕소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유황계 화합물, 적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난연조제로서는, 안티몬 화합물, 아연 화합물, 비스무트 화합물, 수산화마그네슘, 점토질 규산 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는, 상술의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이 발포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발포제를 이용하여,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을, 화학 발포 또는 물리 발포시킴으로써 얻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발포 수지성형체는, 어떤 방법으로 발포시켜도 되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제를 이용할 경우, 발포제는, 종래, 공지된 것이라면, 분해성 발포제 및 휘발성 발포 약품(휘발성 발포제를 포함한다)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인 화합물은, 「2.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재한다.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의 발포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2~3.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2.5배, 더 바람직하게는 1.4~2.0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1.8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0.1~2.1g/㎡,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0g/㎡, 더 바람직하게는 0.8~1.9g/㎡,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8g/㎡이다.
또한, 본 발포 수지성형체에 있어서의 중실(Solid)부 체적을 V0라고 하고, 중공부(中空部) 체적을 V1이라고 하였을 경우에, 상기 발포 배율은 「(V0+V1)/V0」로 나타난다. 즉, 상구조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연속상(X)과 분산상(Y)의 합계 체적이 중실부 체적 V0에 상당하고, 기포(Z)의 체적이 중공부 체적 V1에 상당한다.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는, 바람직하게는 독립 기포를 가지는 것이며, 스킨층 및 셀 벽에 의해 형성되는 발포 셀의 내부에는, 통상, 발포제의 분해 가스 또는 휘발 가스가 포함된다.
상기 발포 셀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에서는, 사이즈는 불균일하지만 미세한 발포 셀이 형성되어 있다.
2.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은, 폴리아미드 수지와, 당해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한 반응성기를 가지는 엘라스토머(변성 엘라스토머)를 용융 혼련하는 제 1 용융 혼련 공정과, 당해 제 1 용융 혼련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제 1 용융 혼련물과, 올레핀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제 2 용융 혼련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조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제조 원료를,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발포는, 결과적으로 발포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화학 발포여도 되고, 물리 발포여도 된다. 또한, 이 제조방법에서는,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배합하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조 원료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로 하고, 화학 발포용의 발포제 또는 물리 발포용의 발포제(모두 후술)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그리고, 첨가제를 제외할 경우의 특히 바람직한 제조 원료는, 상기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를 구성하는 올레핀계 수지조성물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이 경우의 제조 원료는, 다른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 1 용융 혼련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 및 변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제 1 원료를 용융 혼련하는 공정이다. 제 1 원료는, 다른 수지,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변성물이며, 특히, 탄소 원자수가 3~8의 α-올레핀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α-올레핀계 공중합체의 변성물(산무수물 변성 올레핀 엘라스토머, 카르본산 변성 올레핀 엘라스토머, 에폭시 변성 올레핀 엘라스토머, 옥사졸린 변성 올레핀 엘라스토머 등)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재된 것이 적용된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는, 그 종류에 의해 성능이 다른 것도 있어,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한 바람직한 사용량은,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6을 사용할 경우, 그 사용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1~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4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0~35질량%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610을 사용할 경우, 그 사용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1~4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4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0~40질량%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11을 사용할 경우, 그 사용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1~5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5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5~55질량%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12를 사용할 경우, 그 사용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1~3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35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0~35질량%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1010을 사용할 경우, 그 사용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1~5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55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0~55질량%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10T를 사용할 경우, 그 사용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1~4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45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0~45질량%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MXD6을 사용할 경우, 그 사용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1~4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4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0~40질량%이다.
상기 제 2 용융 혼련 공정은, 제 1 용융 혼련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제 1 용융 혼련물과,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제 2 원료를 용융 혼련하는 공정이다. 제 2 원료는, 다른 수지,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 수지로서는, 상기 올레핀 수지(A)를 그대로 이용하여도 되고, 상기 올레핀 수지(A)로서,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바람직한 것으로부터, 예를 들면, 「블록타입 폴리프로필렌」으로 알려져 있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프로필렌고무(비변성 올레핀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혼합 수지를 이용하여도 된다. 상술의 블록타입 폴리프로필렌(즉, 프로필렌블록폴리머)은, 그 외, 임팩트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임팩트코폴리머, 헤테로페이직폴리프로필렌, 헤테로페이직블록폴리프로필렌 등으로도 칭할 수 있다.
상기 제 1 용융 혼련 공정 및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 있어서의 용융 혼련은, 어느 것도, 압출기(1축 스크류 압출기, 2축 혼련 압출기 등), 니더, 믹서(고속 유동식 믹서, 바들 믹서, 리본 믹서 등) 등의 혼련 장치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용융 혼련 공정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 및 변성 엘라스토머의 용융 혼련은, 이들의 전량을 일괄하여 행하여도 되고, 어느 일방을 분할하여 첨가하면서 행해도 된다. 또한, 혼련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90℃~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230℃, 더 바람직하게는 205℃~220℃이다.
또한, 상기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 있어서, 제 1 용융 혼련물 및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제 2 원료의 용융 혼련은, 이들의 전량을 일괄하여 행하여도 되고, 어느 일방을 분할하여 첨가하면서 행해도 된다. 또한, 혼련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90℃~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230℃, 더 바람직하게는 205℃~220℃이다.
본 방법에서 이용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술한 발포 수지성형체(올레핀계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의 각 성분의 비율이 되도록 배합되면 된다. 게다가, 상기 제 1 용융 혼련 공정 및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 있어서의, 제조 원료의 주성분인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사용량은, 이하와 같다. 즉, 이들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폴리아미드 수지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1~6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5~45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4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35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2~30질량%이며, 변성 엘라스토머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1~7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65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3~60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55질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7~5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3~47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7~45질량%이다.
상기 제조 원료로서는, 제 1 용융 혼련 공정 및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 의해 얻어진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지만,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제 2 용융 혼련물과 올레핀 수지를 혼합하는 공정(이하, 「혼합 공정」이라고 한다)을, 제 2 용융 혼련 공정 후에 행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제를 이용할 경우에는, 이 혼합 공정에서는, 제 2 용융 혼련물과, 올레핀 수지 및 발포제의 어느 일방을 혼합하여도 되고, 제 2 용융 혼련물과, 올레핀 수지 및 발포제의 양방을 혼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혼합 공정에 있어서 이용하는 올레핀 수지는,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 있어서 이용하는 올레핀 수지와 동일하여도 달라도 된다. 즉,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는, 상술한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을 발포시켜서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술의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올레핀 수지의 일부를, 후첨가한 다음, 얻어진 혼합물을 발포시켜서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 공정은, 제 2 용융 혼련물과, 올레핀 수지를 혼합하는 공정이지만, 이 혼합 공정에서, 발포제를 이용할 경우에는, 제 2 용융 혼련물과 올레핀 수지(후첨가 올레핀 수지)와 발포제가 그대로 혼합(드라이 블렌드)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후첨가 올레핀 내에 발포제를 미리 배합(혼련)한 발포제 배합 완료된 후첨가 올레핀 수지와, 제 2 용융 혼련물을 혼합(드라이 블렌드)하여도 된다.
또한, 「서로 다른 올레핀 수지」란, 서로 종류가 다른 올레핀 수지, 또는, 종류가 동일하여도, 유동성 등이 서로 다른 올레핀 수지를 의미한다. 서로 다른 올레핀 수지를 이용할 경우, 종류가 동일한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혼합 공정에서 이용하는 올레핀 수지의 유동성이,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서 이용하는 올레핀 수지의 유동성보다 높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유동성의 차이는, 일정 온도이면서 또한 전단 속도 0sec-1의 상황에서 비교하였을 경우의 유동성의 고저로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FR(온도 230℃, 2.16㎏ 하중)에 의해 비교할 수 있다. 즉, 상대적인 MFR값이 큰 올레핀 수지는, 비교 대상인 타방의 올레핀 수지에 비하여 유동성이 높은 올레핀 수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인 MFR값이 작은 올레핀 수지는, 비교 대상인 타방의 올레핀 수지에 비하여 유동성이 낮은 올레핀 수지라고 할 수 있다. 이 MFR(온도 230℃, 2.16㎏ 하중) 차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g/10min 이상(통상, 60g/10min 이하)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MFR값의 구체적인 범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저 유동성 올레핀 수지로서는, MFR(온도 230℃, 2.16㎏ 하중)이 30g/10min 이하(통상, 1g/10min 이상)의 올레핀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고 유동성 올레핀 수지로서는, MFR(온도 230℃, 2.16㎏ 하중)이 45g/10min 이상(통상, 90g/10min 이하)의 올레핀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저 유동성 올레핀 수지로서 프로필렌호모폴리머를 채용하고, 고 유동성 올레핀 수지로서 프로필렌블록폴리머를 채용할 수 있다. 이처럼, 올레핀 수지로서, 고 유동성 올레핀 수지와 저 유동성 올레핀 수지를 병용함으로써, 얻어진 발포 성형체의 발포 성형성이 좋아지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혼합 공정에서 올레핀 수지 및 발포제의 양방을 이용할 경우, 화학 발포에 의한 제조방법으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용융 혼련물, 올레핀 수지 및 발포제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얻어진 제조 원료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가지는 발포 수지성형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방법에서 이용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술한 발포 수지성형체(올레핀계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의 각 성분의 비율이 되도록 배합되면 된다. 게다가, 상기 혼합 공정에 있어서, 올레핀 수지를 이용하였을 경우, 제조 원료를 구성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질량 비율은, 발포 성형성의 관점에서, 이하와 같다. 즉, 이들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폴리아미드 수지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5~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22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2~15질량%이며, 변성 엘라스토머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5~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22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2~15질량%이다.
또한, 상기 발포제의 사용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 수지의 전량을 100질량부라고 하였을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0.1~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8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6질량부이다. 또한, 상기 발포제는, 바람직하게는 분해성 발포제이며, 후술한다.
그 후, 소정의 제조 원료를 발포시켜서, 발포 수지성형체를 얻는다.
상기 제조 원료를 발포시킬 경우, 사출 발포 성형, 프레스 발포 성형, 압출 발포 성형, 스탬퍼블 발포 성형, 가열 발포 성형 등의, 종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출 발포 성형이 바람직하다.
이하, 사출 발포 성형에 의해 발포 수지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어떤 발포 방법을 이용해도 되지만, 화학 발포에 의해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를 행할 경우, 분해성 발포제를 포함하는 제조 원료가 이용된다. 한편, 물리발포에 의해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를 행할 경우, 휘발성 발포 약품이나, 휘발성 발포 약품이 봉입된 캡슐을 포함하는 제조 원료가 이용된다. 또한, 기계적인 교반에 의해, 제조 원료에 분위기 내의 기체를, 기포로서 도입할 수도 있다.
상기 분해성 발포제는, 이를 비 용융 상태의 제조 원료를 사출 성형기에 공급하고, 사출 성형기의 실린더 온도가, 올레핀 수지의 용융 온도 이상일 경우에 분해 또는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를 생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무기계 발포제 및 유기계 발포제의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이들을 조합시켜서 이용하여도 된다.
무기계 발포제로서는, 중탄산 나트륨(탄산수소나트륨), 탄산 나트륨, 중탄산 암모늄(탄산 수소암모늄), 탄산 암모늄, 아질산 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유기계 발포제로서는, 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등의 N-니트로소 화합물; 아조디카본아미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시클로헥실니트릴, 아조디아미노벤젠, 바륨아조디카복실레이트 등의 아조 화합물; 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 p,p'-옥시비스(벤젠술페닐히드라지드), 디페닐술폰-3,3'-디술포닐히드라지드 등의 술포닐히드라지드 화합물; 칼슘아지드, 4,4'-디페닐디술포닐아지드, p-톨루엔술포닐아지드 등의 아지드 화합물;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주석산, 말산, 숙신산, 옥살산, 아디프산, 말론산, 프탈산, 세바스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론산, 이타콘산, 글루타르산, 글루콘산, 글루타콘산, 펜텐2산 등의 다가 카르본산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휘발성 발포 약품은, 이를 용융 상태의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에 흡수 또는 용해시켜서 조제한 제조 원료를 사출 성형기에 공급하여, 금형 내에서 증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불활성 또는 불연성 가스(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네온, 헬륨 등); 물;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n-펜탄, 이소펜탄, n-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3염화불화메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디메틸에테르, 석유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등의 케톤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이산화탄소, 질소 또는 이들 혼합물은, 저렴하고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초 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 초 임계 상태의 질소 또는 이들 혼합물은, 액체와 같은 압축성 및 기체와 같은 확산성이 있기 때문에, 수지 내에 기체의 고 확산성과 고 용해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사이즈가 작은 발포 셀의 형성이나, 발포 배율의 고 배율화가 진척됨으로써,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휘발성 발포 약품이 봉입된 캡슐로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벌룬이나 중공 기구 등으로 불리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배리어성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니트릴)에 의해 형성된 외피를 가지며, 당해 외피 내에 상술한 휘발성 발포 약품이 봉입된 캡슐을 들 수 있다.
상기 발포제의 사용량은, 제조 원료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전량을 100질량부라고 하였을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0.1~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8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6질량부이다.
사출 발포 성형에서는, (1) 금형의 캐비티에 발포 가능한 상태로 한 수지(예를 들면, 발포제를 포함하는 수지)를 사출한 후, 금형의 캐비티 벽면을 후퇴시켜서 캐비티 용적을 확대시켜, 금형 내의 수지를 발포시키는 방법(코어백법), (2) 금형의 캐비티에 발포 가능한 상태로 한 수지의 충전 종료 직후의 시점에서, 캐비티 용적 모두를 수지로 충전시켜, 냉각에 수반하는 수지의 수축 체적분을, 팽창시켜서 발포시키는 방법(풀팩법), (3) 금형의 캐비티 용적보다 적은 체적의 발포 가능한 상태로 한 수지를 사출하고, 팽창에 의해 금형의 캐비티에 수지를 충전시켜 발포시키는 방법(숏샷법), (4) 금형에 유압장치를 부착하고 금형의 캐비티에 발포 가능한 상태로 한 수지를 사출하여 수지를 충전한 후, 유압장치에 의해 금형의 캐비티 벽면을 부분적으로 후퇴시킴으로써 팽창시켜, 금형 내의 수지를 발포시키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이하게 스킨층을 가지는 발포 수지성형체를 얻을 수 있으며, 발포 수지성형체 전체의 발포 배율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 코어백법이 바람직하다.
코어백법에 의한 제조방법을,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고정형(固定型)(11), 가동형(可動型)(12) 및 스프루(13)을 구비하는 금형에 있어서, 고정형(11)과 가동형(12)을 가장 접근시켜서 형 체결 상태로 한 금형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고정형(11) 및 가동형(12)의 배치는, 성형에 사용하는 제조 원료의 전 용적보다 작은 용적의 캐비티(14)(클리어런스(L0))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스프루(13)로부터 캐비티(14)에 소정량의 제조 원료를 도입(사출)하고, 가동형(12)을 후퇴시키면서, 제조 원료의 충전을 완료한다(도 2(B)). 이에 의해, 클리어런스(L1)의 상태로부터 제조 원료의 사출을 개시할 경우에 비하여, 조기에 스킨층이 형성되며, 외관성이 우수한 발포 수지성형체가 얻어진다.
사출하는 제조 원료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80℃~24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230℃, 더 바람직하게는 210℃~220℃이다. 고정형(11) 및 가동형(12)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0℃, 더 바람직하게는 30℃~50℃이다.
형 체결 압력보다 높은 사출 압력으로 사출하면, 제조 원료의 충전과 함께, 캐비티(14)의 단면의 길이(클리어런스)가 증가된다. 캐비티 단면 길이의 제어는, 형 체결 압력이 사출 압력에 져서 수동적으로 열리도록 하여도 되고, 캐비티 단면 길이의 변화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도 된다.
제조 원료를 캐비티(14)에 공급하고 있을 때는, 사출 압력 및 충전 압력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발포는 전혀 또는 대부분 발생하지 않는다.
그 후, 가동형(12)을 더욱 후퇴시켜, 제조 원료를 발포시킨다. 이 때, 제조 원료의 추가적인 사출은 이뤄지지 않으므로, 캐비티(14) 내가 감압이 되고, 가동형(12)의 이동에 수반하여 발포 성형이 진행된다. 또한, 고정형(11) 및 가동형(12)의 내표면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제조 원료는, 냉각되어 있으므로 발포는 전혀 또는 대부분 진행되지 않으며, 스킨층이 형성되고, 제조 원료부(16)의 내부(코어층)가 발포되어 발포 수지성형체(18)가 형성된다(도 2(B) 및 (C)).
가동형(12)의 후퇴의 종료 시점은, 발포 수지성형체(18)의 발포 배율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즉, 고 발포 배율의 발포 수지성형체(18)를 제조하는 경우, 후퇴 거리를 길게 한다. 일반적으로, 발포 성형에서는, 발포 수지성형체(18)의 코어층은 냉각되기 어려우며, 스킨층은 빨리 냉각되는 점에서, 발포 배율의 조정이 어렵지만,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조 원료를 이용하여, 상기 바람직한 조건으로 사출 발포 성형함으로써, 발포 배율을 높게 할 수 있으며, 휨 변형이 없이, 외관성이 우수한 발포 수지성형체(18), 즉, 고정형(11)과, 후퇴 후의 가동형(12)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에 준한 형상을 가지는 발포 수지성형체(18)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그 후, 형개(型開)에 의해, 발포 수지성형체(18)는 회수된다.
이상과 같이, 클리어런스(L0)의 상태로부터 가동형(12)을 후퇴시키면서 제조 원료를 캐비티(14)에 사출하여 충전하는 제조방법의 경우, 캐비티(14)의 용적이 작은 상태에서 제조 원료의 사출 충전이 개시되기 때문에, 캐비티(14)의 내부에 있어서의 제조 원료의 유동 속도가 높아, 실버스트리크의 원인이 되는 유동 중의 발포 가스의 분사가 억제되는 것과 함께, 고정형(11) 및 가동형(12)의 내표면과 접하는 제조 원료는, 빠르게 충전되면서 또한, 빠르게 냉각되므로, 외관성이 우수한 스킨층을 구비하며, 높은 충격을 받아도 파괴되기 어려운 발포 수지성형체(18)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발포 수지성형체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발포제로서 고압가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을, 시트 형상 등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미(未)발포 수지성형체(미발포 성형물)로 한 후, 이 미발포 수지성형체에, 고압의 가스를 함침(含浸)시켜, 압력을 해방함으로써 발포시키는 배치(batch)식 제조방법이나,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을, 가압 하, 고압의 가스와 함께 혼련하고, 성형하는 것과 동시에 압력을 해방하여, 성형과 발포를 동시에 행하는 연속식 제조방법으로 할 수 있다.
발포 수지성형체를, 배치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미발포 수지성형체를 재치(載置)한 내압 용기(고압 용기) 중에, 이산화탄소 등의 불활성가스로 이루어지는 고압가스를 주입(도입)하고, 미발포 수지성형체 중에 고압가스를 함침시키는 가스 함침 공정, 충분하게 고압가스를 함침시킨 시점에서 압력을 해방하여(통상, 대기압까지), 미발포 수지성형체 중에 기포핵을 발생시키는 감압 공정, 필요에 따라, 가열함으로써 기포핵을 성장시키는 가열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시켜서, 미발포 수지성형체 중에 기포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공정을 마련하지 않고, 실온에서 기포핵을 성장시켜도 된다. 이렇게 하여, 기포를 성장시킨 후, 필요에 따라, 냉수 등에 의해 급속 냉각하여, 형상을 고정화할 수 있다.
또한, 발포 수지성형체를, 연속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발포제를 포함하지 않는 제조 원료(수지조성물)를, 압출기를 이용하여 혼련하면서, 이산화탄소 등의 불활성가스로 이루어지는 고압가스를 주입(도입)하여, 혼련물에, 고압가스를 함침시키는 혼련 함침 공정, 압출기의 선단에 마련된 다이스 등을 통과시켜서 혼련물을 압출하는 것에 의해 압력을 해방하여(통상, 대기압까지), 성형과 발포를 동시에 행하는 성형 감압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이 성형 감압 공정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가열 조작을 행해서 기포를 성장시켜도 된다. 이렇게 하여, 기포를 성장시킨 후, 필요에 따라 냉수 등에 의해 급속 냉각하여, 형상을 고정화할 수 있다.
3. 발포 수지성형체의 용도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는, 차량용 부품(자동차용, 자전거용), 선박용 부품, 항공용 부품, 산업자재, 사무 부품, 생활 용품, 완구, 스포츠 용품, 건재 부품, 구조물, 의료용품, 농림수산업 관련 부품 등에 바람직하다. 차량용 부품, 선박용 부품 또는 항공용 부품에서는, 외장 부품, 내장 부품 또는 이들의 기재로서 적합하다.
차량용 부품 중, 자동차 관련 부품으로서는, 차체 패널, 범퍼 등의 외장 부품; 도어 트림, 포켓, 가식(加飾) 패널, 오너먼트 패널, EA재, 쿼터 트림, 필러 가니시, 카울 사이드 가니시, 실드, 백 보드, 사이드 에어백 주변 부품, 인스트루먼트 패널, 센터 클러스터, 레지스터, 센터 박스(도어), 글러브 도어, 센터 콘솔, 오버헤드 콘솔, 선바이저, 덱 보드(러기지 보드), 패키지 트레이, 하이 마운트 스톱 램프 커버, CRS 커버, 시트 사이드 가니시, CTR 클러스터, 충격 흡수체 등의 내장 부품; 클리너 케이스, 필터 케이스 등의 전장(電裝) 부품 등을 들 수 있다.
산업자재로서는, 운반용 컨테이너, 트레이, 대차, 파일론, 센터 폴, 공사용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생활용품으로서는, 식품 트레이, 헬멧, 구두, 책꽂이, 식기, 청소 용구 등을 들 수 있다.
스포츠 용품으로서는, 프로텍터(야구, 축구, 모터 스포츠), 아웃도어 용품, 등산 용구 등을 들 수 있다.
건재 부품으로서는, 단열재 등을 들 수 있다.
구조물로서는, 도로 표식 등을 들 수 있다.
의료용품으로서는, 마우스피스, 의료기기, 의약품용기 등을 들 수 있다.
농림수산업 관련 부품으로서는, 부력 도구, 화분(플랜터), 양식 관계 기구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1. 발포 수지성형체용 제조 원료의 조제
(조제예 1)
아르케마사제 폴리아미드 11 수지 「Rilsan BMN O」(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7,000, 융점 190℃)로 이루어지는 펠릿 25질량부와, 미츠이화학사제 무수말레산 변성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타프머 MH7020」(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99,000)로 이루어지는 펠릿 20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型式)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 45질량부와, 일본 폴리프로사제 폴리프로필렌수지 「노바테크 MA1B」(상품명, 프로필렌호모폴리머, 융점 165℃, MFR 21g/10min) 55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그 후,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 100질량부와, 발포제로서의 탄산수소나트륨 4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제조 원료(C1)를 얻었다.
(조제예 2)
아르케마사제 폴리아미드 11 수지 「Rilsan BMN O」(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7,000, 융점 190℃)로 이루어지는 펠릿 22.5질량부와, 미츠이화학사제 무수말레산 변성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타프머 MH7020」(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99,000)로 이루어지는 펠릿 18 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 40.5질량부와, 일본 폴리프로사제 폴리프로필렌수지 「노바테크 MA1B」(상품명, 프로필렌호모폴리머, 융점 165℃) 49.5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그 후,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 90질량부와, 프로필렌블록폴리머(MFR 50~70g/10min, 융점 165℃) 10질량부와, 발포제로서의 탄산수소나트륨 4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제조 원료(C2)를 얻었다.
또한, 혼합 공정에서 발포제와 함께 이용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로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 「노바테크 MA1B」(상품명)에 비하여, 보다 발포 성형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MFR(온도 230℃, 2.16㎏ 하중)이 29~49g/10min 큰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조제예 3)
아르케마사제 폴리아미드 11 수지 「Rilsan BMN O」(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7,000, 융점 190℃)로 이루어지는 펠릿 10질량부와, 미츠이화학사제 무수말레산 변성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타프머 MH7020」(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99,000)로 이루어지는 펠릿 8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 18질량부와, 일본 폴리프로사제 폴리프로필렌수지 「노바테크 MA1B」(상품명, 프로필렌호모폴리머, 융점 165℃) 22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그 후,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 40질량부와, 프로필렌블록폴리머(MFR 50~70g/10min, 융점 165℃) 60질량부와, 발포제로서의 탄산수소나트륨 4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제조 원료(C3)를 얻었다.
(조제예 4)
아르케마사제 폴리아미드 11 수지 「Rilsan BMN O」(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7,000, 융점 190℃)로 이루어지는 펠릿 5질량부와, 미츠이화학사제 무수말레산 변성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타프머 MH7020」(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99,000)로 이루어지는 펠릿 4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 9질량부와, 일본 폴리프로사제 폴리프로필렌수지 「노바테크 MA1B」(상품명, 프로필렌호모폴리머, 융점 165℃) 11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그 후,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 20질량부와, 프로필렌블록폴리머(MFR 50~70g/10min, 융점 165℃) 80질량부와, 발포제로서의 탄산수소나트륨 4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제조 원료(C4)를 얻었다.
(조제예 5)
아르케마사제 폴리아미드 11 수지 「Rilsan BMN O」(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7,000, 융점 190℃)로 이루어지는 펠릿 3.75질량부와, 미츠이화학사제 무수말레산 변성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타프머 MH7020」(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99,000)로 이루어지는 펠릿 3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 6.75질량부와, 일본 폴리프로사제 폴리프로필렌수지 「노바테크 MA1B」(상품명, 프로필렌호모폴리머, 융점 165℃) 8.25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그 후,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 15질량부와, 프로필렌블록폴리머(MFR 50~70g/10min, 융점 165℃) 85질량부와, 발포제로서의 탄산수소나트륨 4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제조 원료(C5)를 얻었다.
(조제예 6)
아르케마사제 폴리아미드 11 수지 「Rilsan BMN O」(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7,000, 융점 190℃)로 이루어지는 펠릿 2.5질량부와, 미츠이화학사제 무수말레산 변성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타프머 MH7020」(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99,000)로 이루어지는 펠릿 2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 4.5질량부와, 일본 폴리프로사제 폴리프로필렌수지 「노바테크 MA1B」(상품명, 프로필렌호모폴리머, 융점 165℃) 5.5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그 후,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 10질량부와, 프로필렌블록폴리머(MFR 50~70g/10min, 융점 165℃) 90질량부와, 발포제로서의 탄산수소나트륨 4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제조 원료(C6)를 얻었다.
(조제예 7)
아르케마사제 폴리아미드 11 수지 「Rilsan BMN O」(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7,000, 융점 190℃)로 이루어지는 펠릿 1.25질량부와, 미츠이화학사제 무수말레산 변성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타프머 MH7020」(상품명, 중량 평균 분자량 199,000)로 이루어지는 펠릿 1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혼합 수지 펠릿(제 1 용융 혼련물) 2.25질량부와, 일본 폴리프로사제 폴리프로필렌수지 「노바테크 MA1B」(상품명, 프로필렌호모폴리머, 융점 165℃) 2.75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합 펠릿을 코페리온사제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형식 「ZSK50」)에 투입하고, 혼련 온도 210℃, 압출 속도 150㎏/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회전/분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을 행했다. 그리고,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그 후, 혼합 수지 펠릿(제 2 용융 혼련물) 5질량부와, 프로필렌블록폴리머(MFR 50~70g/10min, 융점 165℃) 95질량부와, 발포제로서의 탄산수소나트륨 4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제조 원료(C7)를 얻었다.
(조제예 8)
일본 폴리프로사제 폴리프로필렌수지 「노바테크 MA1B」(상품명, 프로필렌호모폴리머, 융점 165℃)로 이루어지는 펠릿 100질량부와, 발포제로서의 탄산수소나트륨 4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제조 원료(C8)를 얻었다.
2.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 및 평가
(실시예 1~7 및 비교예 1)
상기의 제조 원료를 사출 발포 성형에 제공하여, 발포 배율로서, 1.5배, 1.8배 또는 2.4배로 한 프론트 도어 트림 기재를 얻었다. 이들의 실시예 1~7의 발포 수지성형체에서는, 산소 플라즈마 에칭 처리한 후, 오스뮴 코트 처리를 추가로 실시한 시험편(발포 수지성형체의 시험편)의 처리면을 전계 방출형 주사형 전자현미경(FE-SEM)으로 관찰함으로써, 연속상(X), 분산상(Y), 모상(Y1) 및 미분산상(Y2)의 존재가 확인된다. 특히, 분산상 및 미분산상은, 1000배 이상(통상 10,000배 이하)로 확대한 화상에서 관찰된다. 또한, 각 상을 구성하는 성분은, 이 FE-SEM을 이용한 관찰 시에 에너지 분산형 X선 분석(EDS)을 행함으로써 특정된다.
차량용 도어 트림에 관계되는 충돌 안전 성능 시험으로서, 일본국에 있어서, 자동차 사고 대책 기구(JNCAP)가 자동차 어세스먼트의 일환으로서 실시하고 있는 측면 충돌 시험이 알려져 있다. 도 3은, 프론트 도어에의 측면 충돌 시험의 개요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시험에서는, 「유로SID-2」라고 불리는 성인 남성(신장 약 170cm, 체중 약 72㎏)을 모의한 더미(40)를 준비하고, 이 더미(40)를 정지 상태의 시험차의 운전석에 태우고, 운전석측으로 질량 950㎏의 대차(台車)(60)를, 시속 55㎞로 시험차의 측면에 충돌시킨다. 사이드 에어백(30)이 장착되어 있을 경우, 사이드 에어백(30)도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더미(40)의 헤드부, 흉부, 복부, 요부에 받은 충격을 바탕으로, 탑승자 보호 성능이 평가된다. 현재에는, 이러한 시험에 근거하여 탑승자 보호 성능의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시험이나 이와 동등한 단품 시험을 실시하여, 프론트 도어 트림 기재(20)에 있어서의 파괴 거동의 발생의 유무를 육안 관찰했다. 관찰 결과를 하기 기준으로 판정하여, 표 1에 나타낸다.
○ : 충돌에 의해 프론트 도어 트림 기재의 파괴 거동이 보이지 않거나 또는 파괴되었지만 비산(飛散)되지 않았다
× : 충돌에 의해 프론트 도어 트림 기재의 파괴 거동이 보여지며 비산됐다
Figure pc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도어 트림 기재가 비산되는 일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는, 높은 내충격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발포 배율이 2.4배 미만에 있어서, 본 발포 수지성형체는, 파괴 거동이 인지되지 않거나 또는 파괴되어도 비산되지 않는 것이 나타나 있다. 즉, 제 2 용융 혼련물의 배합 비율이 5~100질량%라고 하는 광범한 범위에서 발포 수지성형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포 배율 2.4배에서는, 제 2 용융 혼련물의 배합 비율을 대응하는 영역에서 많게 함으로써, 파괴 거동이 인지되지 않거나 또는 파괴되어도 비산되지 않는 것이 나타났다.
전술의 예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전형적인 실시형태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및 도시에 있어서 사용된 문언은, 한정적인 문언이 아닌 설명적 및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여기에서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첨부의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특정한 구조, 재료 및 실시예를 참조하였지만, 본 발명을 여기에서 드는 개시 사항으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의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기능적으로 동등한 구조, 방법, 사용의 전부에 미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포 수지성형체는, 자동차 관련 부품, 선박 관련 부품, 항공 관련 부품, 사무 부품, 일용 잡화, 부엌 용품, 건재 부품, 스포츠 용품 등에 바람직하다. 특히, 자동차 관련 부품, 선박 관련 부품 또는 항공 관련 부품 중, 외장재, 내장재 또는 이들의 기재로서 적합하다.
1 : 발포 수지성형체
11 : 고정형
12 : 가동형
13 : 스프루
14 : 캐비티
16 : 제조 원료부
18 : 발포 수지성형체
20 : 프론트 도어 트림 기재
25 : 암레스트부
30 : 사이드 에어백
40 : 더미
50 : 도어 패널
60 : 대차
X : 연속상
Y : 분산상
Y1 : 모상(분산상(Y) 내의 연속상)
Y2 : 미분산상(분산상(Y) 내의 분산상)
Z : 기포

Claims (11)

  1. 올레핀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발포 수지성형체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은, 상기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과, 당해 연속상 중에 분산된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분산상을 구비하며,
    상기 분산상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당해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한 반응성기를 가지는 엘라스토머와의 용융 혼련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수지성형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상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모상과, 당해 모상 중에 분산된, 상기 반응성을 가지는 상기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미분산상을 가지며, 발포된 기포는 상기 분산상 및 상기 미분산상이 아닌 상기 연속상에만 있는 발포 수지성형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상의 비율이, 상기 연속상 및 상기 분산상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경우에, 70질량% 이하인 발포 수지성형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수지가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인 발포 수지성형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가,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14,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6I, 폴리아미드 9T, 폴리아미드 M5T, 폴리아미드 1010, 폴리아미드 1012, 폴리아미드 10T,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6T/66, 폴리아미드 6T/6I, 폴리아미드 6T/6I/66, 폴리아미드 6T/2M-5T 및 폴리아미드 9T/2M-8T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인 발포 수지성형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기를 가지는 상기 엘라스토머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발포 수지성형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기를 가지는 상기 엘라스토머가, 산무수물 변성 엘라스토머, 카르본산 변성 엘라스토머, 에폭시 변성 엘라스토머 및 옥사졸린 변성 엘라스토머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발포 수지성형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와, 당해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한 반응성기를 가지는 엘라스토머를 용융 혼련하는 제 1 용융 혼련 공정과, 당해 제 1 용융 혼련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제 1 용융 혼련물과, 올레핀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제 2 용융 혼련 공정과, 당해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제 2 용융 혼련물과 올레핀 수지를 혼합하는 혼합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제조 원료를,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공정에서 이용하는 상기 올레핀 수지가, 상기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서 이용하는 올레핀 수지와 다른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공정에서 이용하는 상기 올레핀 수지의 유동성이, 상기 제 2 용융 혼련 공정에서 이용하는 올레핀 수지의 유동성보다 높은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와, 당해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한 반응성기를 가지는 엘라스토머를 용융 혼련하는 제 1 용융 혼련 공정과, 당해 제 1 용융 혼련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제 1 용융 혼련물과, 올레핀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제 2 용융 혼련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제조 원료를,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KR1020187022695A 2016-03-11 2017-03-10 발포 수지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54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48815 2016-03-11
JPJP-P-2016-048815 2016-03-11
PCT/JP2017/009805 WO2017155114A1 (ja) 2016-03-11 2017-03-10 発泡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115A true KR20180094115A (ko) 2018-08-22
KR101954335B1 KR101954335B1 (ko) 2019-03-05

Family

ID=5978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695A KR101954335B1 (ko) 2016-03-11 2017-03-10 발포 수지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992980B2 (ko)
EP (1) EP3428224B1 (ko)
JP (1) JP6311852B2 (ko)
KR (1) KR101954335B1 (ko)
CN (1) CN108473707B (ko)
BR (1) BR112018007294B1 (ko)
RU (1) RU2682581C1 (ko)
SG (1) SG11201806672XA (ko)
WO (1) WO20171551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7236B2 (ja) 2017-01-30 2021-08-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改質剤及びその使用方法、改質剤の製造方法並びに添加材用担体
KR102151841B1 (ko) 2017-10-30 2020-09-03 롯데첨단소재(주) 발포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
US20220106473A1 (en) 2019-01-09 2022-04-07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Vibration absorbing material
KR20220029552A (ko) * 2019-06-28 2022-03-0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발포 성형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발포 성형체
CN114536642A (zh) * 2022-02-25 2022-05-27 宁波利时日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大泡孔的透明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7551162B2 (ja) 2022-09-20 2024-09-17 阿蘇製薬株式会社 楽器奏者用の下唇保護シー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3733A (ja) * 1990-11-20 1992-06-30 Toyota Motor Corp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からなる高剛性部品
JP2012233055A (ja) 2011-04-28 2012-11-29 Hayashi Engineering Inc 発泡樹脂成形体
JP2013001826A (ja) 2011-06-17 2013-01-07 Tosoh Corp 射出発泡用樹脂組成物、射出発泡成形体及び射出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40105826A (ko) * 2011-12-22 2014-09-02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2007A1 (de) * 1980-03-28 1981-10-08 Gebr. Happich Gmbh, 5600 Wuppertal Schaumstoffkoerper, insbesondere armaturentafel fuer kraftfahrzeuge
AU560618B2 (en) * 1983-04-05 1987-04-09 Kanegafuchi Kagaku Kogyo K.K. Pre-expanded polyolefin particle
DK171897B1 (da) 1986-09-25 1997-08-04 Shell Int Research Slagfast polymerkomposition
JP2541292B2 (ja) 1988-08-23 1996-10-09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耐衝撃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の製造法
JPH0366735A (ja) 1989-08-04 1991-03-22 Tonen Chem Corp 多層成形品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496969A (ja) 1990-08-10 1992-03-30 Tonen Chem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885492B2 (ja) 1990-08-14 1999-04-26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高衝撃性部品用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EP0472344A3 (en) * 1990-08-14 1992-09-30 Ube Industries, Ltd. Reinforced elastomer composition and polypropylene composition containing same
JP2541292Y2 (ja) 1990-10-22 1997-07-16 株式会社石井鐵工所 二重殻貯槽内外槽空間のゴンドラ支持架構
JP3007139B2 (ja) 1990-11-29 2000-02-07 三菱化学株式会社 耐衝撃性に優れたオレフィン重合体組成物
US5234757A (en) * 1991-04-30 1993-08-10 The Dexter Corporation Expandable films and molded products therefrom
US5491188A (en) 1993-05-20 1996-02-13 New Japan Chemical Co., Ltd. Porous stretched article of polypropylene-based resin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JPH0718088A (ja) 1993-07-05 1995-01-20 Nippon Petrochem Co Ltd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DE19538160A1 (de) * 1995-10-13 1997-04-17 Hoechst Ag Formgebilde aus einem thermoplastischen Kunststoffschaum,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seine Verwendung
JPH11310656A (ja) * 1998-04-28 1999-11-09 Yokohama Rubber Co Ltd:The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783747B1 (fr) 1998-09-30 2000-12-08 Atochem Elf Sa Film comprenant une couche centrale en polyolefine et deux couches externes en alliage polyamide/polyolefine
JP2001226537A (ja) 2000-02-17 2001-08-21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構造体および成形品
CN1341670A (zh) * 2000-08-10 2002-03-27 株式会社宏大化纤 改性聚丙烯、制备改性聚丙烯的方法、改性聚丙烯组合物和发泡产品
JP4078823B2 (ja) 2001-10-26 2008-04-23 東レ株式会社 バリア性多層中空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31622B2 (ja) 2001-10-26 2007-06-20 東レ株式会社 樹脂構造体
JP2003155419A (ja) 2001-11-20 2003-05-30 Asahi Kasei Corp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US7319121B2 (en) 2005-10-07 2008-01-15 Advanced Elestomer Systems, Inc. Microcellular foams of thermoplastic vulcanizates
JP5391509B2 (ja) 2005-12-16 2014-01-15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EP1964886A4 (en) * 2005-12-22 2009-06-10 Jsr Corp MOLD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20080105992A1 (en) * 2006-11-08 2008-05-08 Zephyros Mixed masses sealant
RU2425073C2 (ru) * 2007-01-18 2011-07-27 Дзе Йокогама Раббер Ко., Лтд.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полиамидной смолы, обладающая превосходной способностью к растяжению и усталостью при изгибе,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шины и рукава
JP5469322B2 (ja) 2007-08-31 2014-04-16 ユニチカ株式会社 環境配慮型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5469321B2 (ja) 2007-08-31 2014-04-16 ユニチカ株式会社 難燃性環境配慮型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WO2009069725A1 (ja) 2007-11-30 2011-04-14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RU2409604C2 (ru) * 2008-08-25 2011-01-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Институт механики металлополимерных систем имени В.А. Белого Национальн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Беларуси" Полиам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KR101654389B1 (ko) 2009-03-16 2016-09-05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섬유강화 수지조성물, 성형재료 및 섬유강화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1000765A (ja) * 2009-06-17 2011-01-0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内装材
JP5642494B2 (ja) * 2010-03-09 2014-12-17 三井化学株式会社 エラストマー組成物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447575B2 (en) * 2010-11-01 2016-09-20 Toyobo Co., Ltd. Polyamide resin composition, expanded polyamide resin molding, and automotive resin molding
JP2012140509A (ja) * 2010-12-28 2012-07-26 Jsr Corp 発泡成形体、熱伝導性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熱伝導性シート積層体
CN103080188B (zh) * 2011-06-10 2014-10-2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反应性聚酰胺树脂及聚酰胺树脂组合物
JP5914318B2 (ja) 2011-12-22 2016-05-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675654B1 (ko) * 2011-12-22 2016-11-11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성형체
JP5879253B2 (ja) 2011-12-22 2016-03-0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836923B2 (ja) 2011-12-22 2015-12-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植物由来ポリアミド樹脂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5798595B2 (ja) 2012-06-22 2015-10-2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樹脂組成物
WO2015046357A1 (ja) * 2013-09-26 2015-04-02 Dic株式会社 耐熱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81232B2 (ja) * 2013-10-11 2018-02-21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発泡性複合樹脂粒子
US10056168B2 (en) * 2015-04-10 2018-08-21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amide/poly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for vehicle using the same
JP6406445B2 (ja) * 2015-12-01 2018-10-1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ドライブレンド用改質剤及び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3733A (ja) * 1990-11-20 1992-06-30 Toyota Motor Corp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からなる高剛性部品
JP2012233055A (ja) 2011-04-28 2012-11-29 Hayashi Engineering Inc 発泡樹脂成形体
JP2013001826A (ja) 2011-06-17 2013-01-07 Tosoh Corp 射出発泡用樹脂組成物、射出発泡成形体及び射出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40105826A (ko) * 2011-12-22 2014-09-02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8224A4 (en) 2019-11-06
WO2017155114A1 (ja) 2017-09-14
JP6311852B2 (ja) 2018-04-18
EP3428224B1 (en) 2020-12-23
EP3428224A1 (en) 2019-01-16
CN108473707B (zh) 2019-06-14
KR101954335B1 (ko) 2019-03-05
US11992980B2 (en) 2024-05-28
BR112018007294A2 (pt) 2018-10-23
BR112018007294B1 (pt) 2022-08-23
US20190022903A1 (en) 2019-01-24
CN108473707A (zh) 2018-08-31
JPWO2017155114A1 (ja) 2018-03-15
RU2682581C1 (ru) 2019-03-19
SG11201806672XA (en)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335B1 (ko) 발포 수지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116918B1 (ko) 에너지 흡수체
CN104640747B (zh) 气囊收纳罩
KR20020064348A (ko)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조성물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5504160A (ja) ブロー成形可能なプロピレンポリマー組成物
KR102275080B1 (ko) 분산 직경의 조정 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1997031977A1 (fr) Nouvelle composition elastomere thermoplastique et enveloppe pour dispositif air-bag
RU2744258C1 (ru)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для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облицовка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130140680A (ko) 사출 성형용 수지 조성물, 사출 발포 성형체 및 사출 발포 성형체의 제조 방법
JP2023126423A (ja) 4-メチル-1-ペンテン系樹脂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494482B (zh) 热塑性树脂组合物、成型体和其制造方法
KR10200845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성형체
KR20180099562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압출 발포체
JP2001206971A (ja) 発泡性重合体粒子、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