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833A - 접촉부 및 프레스 피트 단자 - Google Patents

접촉부 및 프레스 피트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833A
KR20180045833A KR1020170139010A KR20170139010A KR20180045833A KR 20180045833 A KR20180045833 A KR 20180045833A KR 1020170139010 A KR1020170139010 A KR 1020170139010A KR 20170139010 A KR20170139010 A KR 20170139010A KR 20180045833 A KR20180045833 A KR 20180045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ress
engaging
pin
f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요시 엔도
준 무쿠노키
다쿠야 다케다
쇼타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5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접촉부는, 프레스 피트 단자의 기둥 형상의 핀에 접속되고, 스프링성을 가지는 접촉부로서, 프레스 피트 단자의 접속 대상인 회로 기판의 스루홀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회로 기판의 스루홀의 하측연부에 계지되는 제 1 계지부를 가지는 제 1 계지 접촉편과, 제 1 계지 접촉편을 지지하는 하측 연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접촉부 및 프레스 피트 단자{CONTACT PART AND PRESS-FIT TERMINAL}
본 발명은, 접촉부 및 프레스 피트 단자(press-fit terminal)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 피트 단자는, 예를 들면, 회로 기판에 형성된 스루홀(through hole)에 삽입되어서 이용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참조). 이 프레스 피트 단자는, 봉 형상의 핀과 핀에 장착되는 접촉부를 갖는다. 접촉부가, 스루홀 내의 전극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프레스 피트 단자와 스루홀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본 특허 제 5445605호 공보 일본 특허 제 5831509호 공보
이러한 프레스 피트 단자에는, 기판에 대한 보지력이 요구되지만, 더욱 높은 보지력이 요구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사정 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접속 대상에 대한 프레스 피트 단자의 보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촉부 및 프레스 피트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의 관점과 관련되는 접촉부는,
프레스 피트 단자의 기둥 형상의 핀에 접속되고, 스프링성을 가지는 접촉부로서,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의 접속 대상에 접촉하고, 상기 접속 대상에 계지되는 제 1 계지부를 가지는 제 1 계지 접촉편과,
상기 제 1 계지 접촉편을 지지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계지 접촉편은, 상기 핀의 중심 축에 평행한 직선 부분을 갖고 있어도 괜찮다.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의 상기 접속 대상에 접촉하는 제 1 탄성 접촉편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탄성 접촉편을 지지하고,
상기 제 1 탄성 접촉편은, 상기 핀의 중심 축에 대해 경사하면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경사 부분과, 상기 제 1 경사 부분의 선단에서 절곡하고, 해당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경사 부분으로 구성되는 V자형 형상의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계지 접촉편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부분과, 상기 제 1 탄성 접촉편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지지 부분의 중심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 2 지지 부분의 중심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아도 괜찮다.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의 상기 접속 대상에 접촉하고, 상기 접속 대상에 계지하는 제 2 계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계지 접촉편과 대향하는 제 2 계지 접촉편과,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의 상기 접속 대상에 접촉하고, 상기 제 1 탄성 접촉편과 대향하는 제 2 탄성 접촉편을 구비하여도 괜찮다.
상기 제 2 계지 접촉편은, 상기 핀의 중심 축으로 평행한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2 탄성 접촉편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탄성 접촉편은, 상기 핀의 중심 축에 대해 경사하면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3 경사 부분과, 상기 제 3 경사 부분의 선단에서 절곡되고, 해당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4 경사 부분으로 구성되는 V자형 형상의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상기 연결부의, 상기 핀의 중심 축에 직교하는 단면은, C자형의 단면이어도 괜찮다.
본 발명의 제 2의 관점과 관련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는,
제 1의 관점과 관련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가 접속되어 있는 기둥 형상의 핀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는, 상기 접속 대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삽입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계지부는, 상기 구멍으로의 삽입 방향으로부터 빠짐 방지 방향으로, 상기 접속 대상에 계지되어도 괜찮다.
상기 접촉부와 상기 핀은,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도 괜찮다.
상기 접촉부와 상기 핀은, 단일의 부재로 구성되어도 괜찮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접촉부에서는, 제 1 계지 접촉편은, 프레스 피트 단자의 접속 대상에 계지하는 제 1 계지부를 가진다. 제 1 계지부의 계지 작용에 의해, 접속 대상에 대한 프레스 피트 단자의 보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레스 피트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접촉부 등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접촉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 단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A)는 하측 연결부의 사시도이고, (B)는, 하측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전개한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전개한 접촉부의 정면도이다.
도 12a는 계지 접촉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그의 1)이다.
도 12b는 계지 접촉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그의 2)이다.
도 13은 비교예 1과 관련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비교예 1과 관련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비교예 2와 관련되는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의 사시도(그의 1)이고, (B)는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의 사시도(그의 2)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1) 및 접촉부(20)에 대해서, 도 1~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프레스 피트 단자(1)의 핀(10)의 중심축(A1)에 평행한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는 XYZ 좌표를 설정하고, 적당히 참조한다. 또, 도면중, 동일 또는 동등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프레스 피트 단자(1)는, 예를 들면, 60 A~80 A의 대 전류를 통전할 수 있는 단자이다. 프레스 피트 단자(1)는, 예를 들면, 접속 대상인 회로 기판(B)의 도체 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이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피트 단자(1)는, 핀(10)과, 스프링성을 가지는 접촉부(2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 핀(10)과 접촉부(20)는,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10)은, 접촉부(20)가 장착되어 있는 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단자 모듈의 외부 접속용 단자로서 기능한다. 핀(10)은, 도전성의 판재를 굽힘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핀(1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핀 본체(11)와, 세장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주편(main piece: 12)과, 주편(12)의 폭보다 넓은 폭 부분을 가지는 폭광편(13)을 가진다. 폭광편(13)에는, Z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X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긴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폭광편(13)에는 예를 들면 금속 와이어가 접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20)는, 관통공을 가지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으로부터(-Z 방향으로부터), 핀(10)의 핀 본체(11)에 끼워넣어지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20)는, 상측 연결부(30)와, 한 쌍의 계지 접촉편(40A, 40B)과, 한 쌍의 탄성 접촉편(50A, 50B)과, 하측 연결부(60)를 구비한다.
상측 연결부(30)는, 계지 접촉편(40A, 40B)의 상단(+Z측의 단부) 및 탄성 접촉편(50A, 50B)의 상단(+Z측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계지 접촉편(40A, 40B) 및 탄성 접촉편(50A, 50B)을 지지한다. 상측 연결부(30)는, 그 XY 단면이, 일부가 개방된 C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측 연결부(30)의 C자형의 개방 부분은, 내부에서 외부로 통하는 슬릿(S1)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상측 연결부(30)에, 1개의 슬릿(S1)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 접촉편(40A, 40B) 및 탄성 접촉편(50A, 50B)의 도합 4개의 접촉편은, 접속 대상인 회로 기판(B)의 스루홀(H)의 내벽면에 접촉하는 부위이다. 계지 접촉편(40A, 40B) 및 탄성 접촉편(50A, 50B)은, 핀(10)의 중심축(A1)으로부터 외측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스루홀(H)에의 프레스 피트 단자(1)의 삽입에 따라, 내측으로 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 접촉편(40A)(제 1 계지 접촉편)은, 제 1 계지부(41A)와 직선 부분(42A)과 경사 부분(43A, 44A)을 가진다. 제 1 계지부(41A)는, 접속 대상인 회로 기판(B)에 계지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또, 직선 부분(42A)은, Z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직선 부분(42A)의 하측(-Z측)에는, 제 1 계지부(41A)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 부분(43A)은, 하측 연결부(60)로부터 연장되고, 핀(10)의 중심축(A1)에 대해서 멀어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경사 부분(44A)은, 직선 부분(42A)의 +Z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핀(10)의 중심축(A1)에 대해서 가까워지도록 경사하고, 상측 연결부(30)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각 부분은, 상측 연결부(30)로부터 하측 연결부(60)로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 부분(44A), 직선 부분(42A), 제 1 계지부(41A), 경사 부분(43A)의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계지 접촉편(40B)(제 2 계지 접촉편)은, 계지 접촉편(40A)과 XZ 평면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지 접촉편(40B)은, 계지 접촉편(40A)과 마찬가지로, 제 2 계지부(41B)와 직선 부분(42B)과 경사 부분(43B, 44B)을 가진다. 제 2 계지부(41B)는, 제 1 계지부(41A)와 함께, 접속 대상인 회로 기판(B)에 계지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또, 직선 부분(42B)은, Z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직선 부분(42B)의 하측(-Z측)에는, 제 2 계지부(41B)가 마련되어 있다. 경사 부분(43B)은, 하측 연결부(60)으로부터 연장되고, 핀(10)의 중심축(A1)에 대해서 멀어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경사 부분(44B)은, 직선 부분(42B)의 +Z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핀(10)의 중심축(A1)에 대해서 가까워지도록 경사하며, 상측 연결부(30)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각 부분은, 상측 연결부(30)로부터 하측 연결부(60)로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 부분(44B), 직선 부분(42B), 제 2 계지부(41B), 경사 부분(43B)의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접촉편(50A)(제 1 탄성 접촉편)은, 제 1 경사 부분(51A)과 제 2 경사 부분(52A)을 가진다. 제 1 경사 부분(51A)은, 하측 연결부(60)로부터 연장되고, 핀(10)의 중심축(A1)에 대해서 멀어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제 2 경사 부분(52A)은, 제 1 경사 부분(51A)의 +Z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핀(10)의 중심축(A1)에 대해서 가까워지도록 경사하며, 상측 연결부(30)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경사 부분(51A)과 제 2 경사 부분(52A)에 의해, V자형의 형상이 구성되어 있다.
탄성 접촉편(50B)(제 2 탄성 접촉편)은, 탄성 접촉편(50A)과 YZ 평면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접촉편(50B)은, 탄성 접촉편(50A)과 마찬가지로, 제 3 경사 부분(51B)과 제 4 경사 부분(52B)을 가진다. 제 3 경사 부분(51B)은, 하측 연결부(60)로부터 연장되고, 핀(10)의 중심축(A1)에 대해서 멀어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제 4 경사 부분(52B)은, 제 3 경사 부분(51B)의 +Z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핀(10)의 중심축(A1)에 대해서 가까워지도록 경사하고, 상측 연결부(30)에 연결되어 있다. 제 3 경사 부분(51B)과 제 4 경사 부분(52B)에 의해, V자형의 형상이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연결부(60)(연결부)는, 계지 접촉편(40A, 40B)의 하단(-Z측의 단부) 및 탄성 접촉편(50A, 50B)의 하단(-Z측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4개의 접촉편을, 상측 연결부(30)와 함께 지지한다. 하측 연결부(60)는, 그 XY단면이, 일부가 개방된 C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측 연결부(60)의 C자형의 개방 부분은, 내부에서 외부로 통하는 슬릿(S2)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하측 연결부(60)에, 1개의 슬릿(S2)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A), (B)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연결부(60)는, 제 1 지지 부분(61), 제 2 지지 부분(62), 제 3 지지 부분(63), 제 4 지지 부분(64)의 4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지지 부분(61), 제 2 지지 부분(62), 제 3 지지 부분(63), 제 4 지지 부분(64)은, 이 순서로, 하측 연결부(6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 부분(61)은, 계지 접촉편(40A)을 지지하는 부분이며, 제 2 지지 부분(62)은, 탄성 접촉편(50A)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또, 제 3 지지 부분(63)은 계지 접촉편(40B)을 지지하는 부분이며, 제 4 지지 부분(64)은 탄성 접촉편(50B)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연결부(60)의 제 1 지지 부분(61)은, 그의 Z축 방향(중심축 방향)의 길이(H1)가, 제 3 지지 부분(63)의 Z축 방향의 길이(H3)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지 부분(62)은, 그의 Z축 방향의 길이(H2)가, 제 4 지지 부분(64)의 Z축 방향의 길이(H4)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지지 부분(61), 제 3 지지 부분(63)은, 그의 Z축 방향의 각각의 길이(H1, H3)가, 제 2 지지 부분(62), 제 4 지지 부분(64)의 Z축 방향이 길이(H2, H4)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길이(H1, H3)가, 길이(H2, H4)보다 짧기 때문에, 하측 연결부(60)에는, 2개의 절결부(70, 71)가 형성된다. 계지 접촉편(40A)은, 절결부(70)의 바닥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하측 연결부(60)에 연결되어 있다. 계지 접촉편(40B)은, 절결부(71)의 바닥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하측 연결부(60)에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프레스 피트 단자(1)를 회로 기판(B)의 스루홀(H)에 삽입할 때의, 접촉부(20)의 작용에 대해서, 도 12a 및 도 12b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프레스 피트 단자(1)를 삽입 방향(D1)으로 이동시켜 간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20)가 스루홀(H)에 삽입되고, 이윽고 경사 부분(43A, 43B)이, 스루홀(H)의 개구의 상측연부(E1)에 접촉한다. 게다가 접촉부(20)가 스루홀(H) 내에 삽입되어 가면, 경사 부분(43A, 43B)이 개구의 상측연부(E1)에 안내되고, 계지 접촉편(40A, 40B)이 내측으로 휜다. 그리고,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계지부(41A) 및 제 2 계지부(41B)가, 스루홀(H)을 통과해서, 스루홀(H)의 개구의 하측연부(E2)에 계지된다. 제 1 계지부(41A) 및 제 2 계지부(41B)의 계지에 의해, 접촉부(20)의, 스루홀(H)로부터 빠져 나오는 방향(D2)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계지 접촉편(40A, 40B)은, 회로 기판(B)에 계지하는 제 1 계지부(41A) 및 제 2 계지부(41B)를 각각 가진다. 제 1 계지부(41A) 및 제 2 계지부(41B)가, 스루홀(H)의 개구의 하측연부(E2)에 계지하는 것에 의해, 회로 기판(B)에 대한 프레스 피트 단자(1)의 보지력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4개의 접촉편이 모두 탄성 접촉편(50)으로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프레스 피트 단자(100)는, 제 1 계지부(41A) 및 제 2 계지부(41B)를 갖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래의 프레스 피트 단자(100)는 탄성 접촉편(50)의 접압만에 의해 회로 기판(B)에 대한 보지력을 얻고 있었다.
이것에 비해서, 본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1)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계지부(41A)와 제 2 계지부(41B)를 가지는 계지 접촉편(40A, 40B)을 구비한다. 제 1 계지부(41A) 및 제 2 계지부(41B)가, 스루홀(H)의 개구의 하측연부(E2)에 계지되는 것에 의해, 회로 기판(B)에 대한 프레스 피트 단자(1)의 보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계지 접촉편(40A, 40B)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부분(42A, 42B)을 가진다. 이 때문에, 제 1 계지부(41A) 및 제 2 계지부(41B)의, 스루홀(H)의 개구의 하측연부(E2)에의 계지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접촉부(220)와 같이, 계지 접촉편(240A, 240B)이, 직선 부분(42A, 42B)을 갖기 않고, 대략 V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스루홀(H)의 내벽면에 V자형의 볼록부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계지 접촉편(240A, 240B)이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휘어서, 제 1 계지부(41A) 및 제 2 계지부(41B)의 하측연부(E2)에의 계지가 불충분이 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비해서,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 접촉편(40A, 40B)이, 스루홀(H)의 개구의 하측연부(E2)에 확실히 계지된다. 결과적으로, 회로 기판(B)에 대한 프레스 피트 단자(1)의 보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프레스 피트 단자(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 접촉편(40A, 40B)에 덧붙여, 종래와 동일 형상의 V자형 형상의 부분을 가지는 탄성 접촉편(50A, 50B)을 구비한다. 탄성 접촉편(50A, 50B)의 V자형의 볼록부가 스루홀(H)의 내벽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높은 접압을 얻어, 전기적인 접속 능력을 높이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프레스 피트 단자(100)와 동등의 전기적인 접속 능력을 보지하면서, 계지 접촉편(40A, 40B)이, 스루홀(H)의 개구의 하측연부(E2)에 확실히 계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70, 71)의 바닥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계지 접촉편(40A, 40B)은, 그의 길이(L1, L3)가, 탄성 접촉편(50A, 50B)의 길이(L2, L4)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계지 접촉편(40A, 40B)의 스프링 길이가 길어져서, 휨 양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계지 접촉편(40A, 40B)의 피로나 스프링 특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피로나 열화에 기인하는 계지 접촉편(40A, 40B)의 계지 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계지 접촉편(40A, 40B)의 휨 양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스루홀(H)에의 프레스 피트 단자(1)의 삽입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삽입력을 저감하는 것에 의해, 스루홀(H)에 프레스 피트 단자(1)를 삽입하는 경우에 기판을 손상시키는 것, 계지 접촉편(40A, 40B)에 실시한 도금이 깎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2)에 대해서, 도 16 및 도 17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덧붙여 이하의 실시형태 2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함과 동시에, 실시형태 1과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한다.
프레스 피트 단자(2)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110)과 스프링성을 가지는 접촉부(120)을 구비한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핀(110) 및 접촉부(120)가 단일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1)와 상위하다. 핀(110) 및 접촉부(120)는, 1매의 도전성의 판재를 굽힘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접촉부(120)는,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접촉부(20)와 동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촉부(120)는, 상측 연결부(30)와 한 쌍의 계지 접촉편(40A, 40B)과 한 쌍의 탄성 접촉편(50A, 50B)과 하측 연결부(60)를 구비한다. 계지 접촉편(40A)은 제 1 계지부(41A)를 가짐과 동시에, 계지 접촉편(40B)은 제 2 계지부(41B)를 가진다.
핀(110)은, 핀 본체(111)와 굴곡부(110a)와 주편(112)과 폭협편(113)을 가진다.
핀 본체(111)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핀 본체(111)는, 접촉부(120)의 내부에, Z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굴곡부(110a)는, 접촉부(120)의 하측 연결부(60)의 하단(-Z측의 단부)으로부터 연장되고, 상측(+Z측)으로 굴곡하며, 핀 본체(111)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주편(112)은, 접촉부(120)의 상측 연결부(30)의 상단(+Z측의 단부)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주편(112)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폭협편(113)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편(112)의 폭보다 좁은 폭 부분을 가지며, 주편(112)의 상단(+Z측의 단부)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폭협편(113)에는 Z축 방향을 따라서 홈(113a)이 형성되어 있다. 폭협편(113)에는, 예를 들면 금속 와이어가 접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2)에 있어서도, 계지 접촉편(40A, 40B)이, 회로 기판(B)에 계지하는 제 1 계지부(41A) 및 제 2 계지부(41B)를 각각 가진다. 제 1 계지부(41A) 및 제 2 계지부(41B)가, 스루홀(H)의 개구의 하측연부(E2)에 계지하는 것에 의해, 회로 기판(B)에 대한 프레스 피트 단자(2)의 보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그 이외의, 상술한 프레스 피트 단자(1)와 동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 핀(110) 및 접촉부(120)는, 1매의 도전성의 판재를 굽힘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문에, 핀(110)과 접촉부(120)를 따로 따로 제작하고, 서로 조립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다. 이것에 의해, 작업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2에서는, 프레스 피트 단자(1, 2)는, 한 쌍의 계지 접촉편(40A, 40B)과 한 쌍의 탄성 접촉편(50A, 50B)의, 4개의 접촉편을 구비한다. 그렇지만, 계지 접촉편(40A, 40B), 탄성 접촉편(50A, 50B)의 갯수는 임의이다. 프레스 피트 단자(1, 2)는, 실시형태 1, 2에 예시된 갯수 이외의 갯수의 접촉편을 구비하여도 괜찮다. 예를 들면, 프레스 피트 단자(1, 2)는, 3개의 계지 접촉편과 3개의 탄성 접촉편을 구비하여도 괜찮다. 혹은, 프레스 피트 단자(1, 2)의 접촉편은, 모두, 계지 접촉편이어도 괜찮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가지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2, 100 프레스 피트 단자, 10, 110 핀, 11, 111 핀 본체, 12, 112 주편, 13 폭광편, 13a 긴 구멍, 20, 120, 220 접촉부, 30 상측 연결부, 40A, 240A 계지 접촉편(제 1 계지 접촉편), 40B, 240B 계지 접촉편(제 2 계지 접촉편), 41A 제 1 계지부, 41B 제 2 계지부, 42A, 42B 직선 부분, 43A, 43B, 44A, 44B 경사 부분, 50, 50A탄성 접촉편(제 1 탄성 접촉편), 50B 탄성 접촉편(제 2 탄성 접촉편), 51A 제 1 경사 부분, 51B 제 3 경사 부분, 52A 제 2 경사 부분, 52B 제 4 경사 부분, 60 하측 연결부(연결부), 61 제 1 지지 부분, 62 제 2 지지 부분, 63 제 3 지지 부분, 64 제 4 지지 부분, 70, 71 절결부, 110a 굴곡부, 113 폭협부, 113a 홈, S1, S2 슬릿, A1 중심축, B 회로 기판(접속 대상), H 스루홀, E1 상측연부, E2 하측연부, D1 삽입 방향, D2 방향, L1~L4 계지편의 길이, H1~H4 지지 부분의 길이.

Claims (12)

  1. 프레스 피트 단자의 기둥 형상의 핀에 접속되고, 스프링성을 갖는 접촉부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의 접속 대상에 접촉하고, 상기 접속 대상에 계지되는 제 1 계지부를 갖는 제 1 계지 접촉편과,
    상기 제 1 계지 접촉편을 지지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접촉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계지 접촉편은, 상기 핀의 중심 축에 평행한 직선 부분을 가지는,
    접촉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의 상기 접속 대상에 접촉하는 제 1 탄성 접촉편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탄성 접촉편을 지지하고,
    상기 제 1 탄성 접촉편은, 상기 핀의 중심 축에 대해 경사하면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경사 부분과, 상기 제 1 경사 부분의 선단에서 절곡되고, 해당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경사 부분으로 구성되는 V자형 형상의 부분을 가지는,
    접촉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계지 접촉편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부분과, 상기 제 1 탄성 접촉편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지지 부분의 중심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 2 지지 부분의 중심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접촉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의 상기 접속 대상에 접촉하고, 상기 접속 대상에 계지되는 제 2 계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계지 접촉편과 대향하는 제 2 계지 접촉편과,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의 상기 접속 대상에 접촉하고, 상기 제 1 탄성 접촉편과 대향하는 제 2 탄성 접촉편을 구비하는,
    접촉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계지 접촉편은 상기 핀의 중심 축에 평행한 부분을 가지는,
    접촉부.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2 탄성 접촉편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탄성 접촉편은, 상기 핀의 중심 축에 대해 경사하면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3 경사 부분과, 상기 제 3 경사 부분의 선단에서 절곡되고, 해당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4 경사 부분으로 구성되는 V자형 형상의 부분을 가지는,
    접촉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핀의 중심 축에 직교하는 단면은, C자형의 단면인,
    접촉부.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가 접속되어 있는 기둥 형상의 핀을 구비하는
    프레스 피트 단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는, 상기 접속 대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삽입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계지부는, 상기 구멍으로의 삽입 방향으로부터 빠짐 방지 방향으로, 상기 접속 대상에 계지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핀은,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프레스 피트 단자.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핀은, 단일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프레스 피트 단자.
KR1020170139010A 2016-10-26 2017-10-25 접촉부 및 프레스 피트 단자 KR201800458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9904A JP6460077B2 (ja) 2016-10-26 2016-10-26 接触部及びプレスフィット端子
JPJP-P-2016-209904 2016-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833A true KR20180045833A (ko) 2018-05-04

Family

ID=6018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010A KR20180045833A (ko) 2016-10-26 2017-10-25 접촉부 및 프레스 피트 단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115096A1 (ko)
EP (1) EP3316404B1 (ko)
JP (1) JP6460077B2 (ko)
KR (1) KR20180045833A (ko)
CN (1) CN1079943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029B1 (ko) * 2018-12-07 2019-11-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자 제어 장치의 커넥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66954A (ja) * 2019-03-28 2020-10-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プレスフィット端子、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付き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28795A (fr) * 1965-03-19 1966-02-18 Philips Nv Organe de contact, en particulier languette à souder
JPS5831509B2 (ja) 1978-03-06 1983-07-06 豊興工業株式会社 パイロット操作制御弁
JP2004022169A (ja) * 2002-06-12 2004-01-22 Sumitomo Wiring Syst Ltd 回路基板用端子
DE3228581C2 (de) * 1982-07-30 1984-08-16 Otto 8959 Trauchgau Bihler Kleinformatige Kontaktstift-Baugruppe
US5004438A (en) * 1990-07-03 1991-04-02 Precision Interconnect Corporation Flexible pin type contact
JP3297397B2 (ja) * 1999-05-27 2002-07-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圧入端子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2001023715A (ja) * 1999-07-12 2001-01-26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1319716A (ja) * 2000-05-09 2001-11-16 Nippon Deikkusu:Kk 端 子
US6338632B1 (en) * 2000-07-05 2002-01-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mpliant, press fit electrical contact having improved retention
US20030124886A1 (en) * 2001-12-27 2003-07-03 Paul Reisdorf Electrical contact with compliant section
US6764318B1 (en) * 2003-03-28 2004-07-20 Fourte Design & Development, Llc Self-centering press-fit connector pin used to secure components to a receiving element
JP2005174615A (ja) * 2003-12-08 2005-06-3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バスバー用プレスフィット端子および該プレスフィット端子を用いたバスバー構造
JP4492799B2 (ja) * 2004-12-17 2010-06-30 株式会社デンソー プレスフィットピン
US7377823B2 (en) * 2005-05-23 2008-05-27 J.S.T. Corporation Press-fit pin
EP2111673B1 (en) * 2007-02-02 2014-11-19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Connection device
US20080227315A1 (en) * 2007-03-16 2008-09-18 Shigeki Banno Terminal and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terminal and board
JP4978455B2 (ja) * 2007-04-27 2012-07-18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プレスフィット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圧制御装置
JP4458181B2 (ja) * 2008-04-24 2010-04-28 ソニー株式会社 電気接触子および電子機器
CN101888036A (zh) * 2010-06-24 2010-11-17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大电流连接器
JP5387863B2 (ja) * 2011-03-31 2014-01-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コネクタ
JP2013037791A (ja) * 2011-08-04 2013-02-21 Sumitomo Wiring Syst Ltd 回路基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JP5445605B2 (ja) 2011-08-30 2014-03-19 第一精工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用コネクタ端子
JP2013131364A (ja) * 2011-12-21 2013-07-0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の接続構造
JP2013149578A (ja) * 2012-01-23 2013-08-01 Sumitomo Wiring Syst Ltd 接続端子
JP5541305B2 (ja) * 2012-03-16 2014-07-09 第一精工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用コネクタ端子
JP5831509B2 (ja) * 2013-08-09 2015-12-09 第一精工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用コネクタ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3503846U (zh) * 2013-08-23 2014-03-26 沈阳兴华航空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鼓簧式弹性可靠接触件
JP5692333B1 (ja) * 2013-10-30 2015-04-0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JP2016100320A (ja) * 2014-11-26 2016-05-30 住友電装株式会社 接続端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029B1 (ko) * 2018-12-07 2019-11-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자 제어 장치의 커넥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6404A1 (en) 2018-05-02
CN107994362B (zh) 2019-11-05
JP6460077B2 (ja) 2019-01-30
JP2018073550A (ja) 2018-05-10
US20180115096A1 (en) 2018-04-26
EP3316404B1 (en) 2019-12-11
CN107994362A (zh)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2860B2 (en) Connector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591251B2 (ja) コネクタ
TWI550962B (zh) 連接器
KR101738337B1 (ko) 커넥터
JP2020087837A (ja) コネクタ
JP2006269169A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15035300A (ja) コネクタ
US20200274269A1 (en) Board edge connector
JP2016100320A (ja) 接続端子
JP5748378B2 (ja)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タクト
US20220320800A1 (en) Socket and electronic device
US991208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female terminal with a holding protrusion
JP6076952B2 (ja) 基板用端子及び端子付き基板
KR20180045833A (ko) 접촉부 및 프레스 피트 단자
JP2017142971A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
JP2012038497A (ja) コネクタ装置
JP6076953B2 (ja) 基板用端子
US20220320799A1 (en) Socket and electronic device
JP7002437B2 (ja) コネクタ
JP2000100501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EP3709446A1 (en) Connector
JP6724674B2 (ja) 表面実装コネクタ
JP2006073442A (ja) 電気コネクタ
JP201619506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