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209A - 열전사 시트 - Google Patents

열전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209A
KR20180043209A KR1020177037623A KR20177037623A KR20180043209A KR 20180043209 A KR20180043209 A KR 20180043209A KR 1020177037623 A KR1020177037623 A KR 1020177037623A KR 20177037623 A KR20177037623 A KR 20177037623A KR 20180043209 A KR20180043209 A KR 20180043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fer
thermal transfer
resin
recep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491B1 (ko
Inventor
야스시 요네야마
히로유키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3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41M5/38214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36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tural gums, of proteins, e.g. gelatins, or of macromolecular carbohydrates, e.g. cellul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0Thermal donors, e.g. thermal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2Thermal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8Intermediate layers; Layers between substrate and imaging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은 에너지 범위에 있어서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의 전사성이 양호한 열전사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전사 수상(受像) 시트를 얻기 위한 열전사 시트(100)로서, 기재(基材; 1)와 이 기재(1) 상에 형성되는 전사층(10)을 갖고, 전사층(10)은 2개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사층(10)은 적어도 수용층(2)을 포함하고,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수용층(2)으로 되어 있으며, 수용층(2)은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것인 열전사 시트(1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전사 시트
본 발명은 열전사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전사 수상(受像) 시트를 얻기 위해서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에 관한 것이다.
피전사체 상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이 인화물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기재(基材) 상에, 상기 기재측으로부터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가 이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이 중간 전사 매체에 의하면,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중간 전사 매체의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는 수용층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고, 그 후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보호층과 함께, 임의의 피전사체 상에 전사함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인화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중간 전사 매체를 이용한 사용 형태를 대신해서, 전사층을 전사하기 전의 단계에서는 수용층 상에 열전사 화상의 형성을 행하지 않고, 피전사체 상에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전사한 후에, 수용층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도 있다. 예컨대, 임의의 피전사체 중에는, 미리 그 표면에 홀로그램 화상이나, 열전사 화상(이하, 홀로그램 화상이나, 열전사 화상 등을 총칭하여 피전사체의 도안이라고 함)을 갖는 것도 있고, 이 피전사체 상에, 상기한 중간 전사 매체의 전사층을 전사한 경우에는, 피전사체의 도안과,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구성하는 수용층에 형성된 도안이 겹쳐진 중첩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인화물의 사용 형태에 따라서는, 이러한 중첩 화상이 아니라, 피전사체의 도안을 은폐하면서, 은폐한 부분 위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인화물을 얻고 싶다고 하는 요망도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 피전사체의 도안의 일부를 은폐하면서, 은폐한 도안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열전사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특허문헌 2에서 제안이 되어 있는 열전사 시트는, 기재 상에, 투명 수용층(이하, 수용층이라고 함)과 백색 은폐층(이하, 은폐층이라고 함)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열전사 시트는, 전사층을 전사하기 전의 단계에서는, 열전사 시트의 최외측 표면에 수용층이 위치하고 있지 않아, 열전사 화상을 형성할 수 없으나,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전사층 상에 열전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피전사체 상의 일부에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전사층을 전사한 후의 최외측 표면에 수용층을 위치시키고, 이에 의해 수용층 상에의 열전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전사층은 은폐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전사층에 포함되는 은폐층에 의해, 피전사체의 도안을 은폐하면서, 상기 은폐한 부분 위에 열전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한 열전사 수상 시트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임의의 피전사체의 도안을 은폐하면서, 상기 은폐한 부분 위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인화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사층을 전사한 후에, 전사층을 구성하는 수용층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층을 수용층으로 할 필요가 있다. 환언하면,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했을 때에, 수용층을 최외측 표면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은,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했을 때에, 전사 후의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는 층이 수용층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사층에 포함되는 수용층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할 수 없는 것에 의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62-23879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122281 공보
최근, 고속 인화 적성이 우수한 프린터에 대한 시장의 요구는 높고, 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피전사체 상에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열에너지를 높게 해 갈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전사한 후에, 전사층에 포함되는 수용층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층을 수용층으로 해 둘 필요가 있고, 전사층의 전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용층 자체의 전사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열에너지를 높게 해 감에 따라, 수용층의 전사성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전사층을 전사시키기 위해서 열전사 시트에 높은 열에너지를 인가한 경우에는, 기재와 전사층이 열융착을 일으켜, 환언하면, 기재와 수용층이 열융착하여, 기재로부터 전사층을 박리할 수 없는 전사 불량이나, 본래라면, 기재와의 계면에 있어서 박리되어야 할 전사층이,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사이에서 박리해 버려, 피전사체 상에 전사되어야 할 수용층의 전부, 혹은 일부가 기재측에 잔존해 버리는 전사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넓은 에너지 범위에 있어서 전사층을 전사할 때의 전사성이 양호한 열전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전사 수상 시트를 얻기 위한 열전사 시트로서,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되는 전사층을 갖고, 상기 전사층은 2개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전사층은 적어도 수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상기 수용층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사층이, 기재측으로부터, 수용층, 은폐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수용층과 상기 은폐층 사이에, 또한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기재의 동일면 상에, 상기 전사층과, 염료층이 면 순차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넓은 에너지 범위에 있어서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전사할 때의 전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a)~도 6(c)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7(a), 도 7(b)는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인화물, 및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열전사 시트>>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이하,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라고 함)는, 기재(1)와, 상기 기재(1)로부터 박리 가능한 전사층(10)을 구비하고 있다. 기재(1) 상에 형성된 전사층(10)은, 수용층(2)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수용층(2)은,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각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수용층(2) 상에 기능층(20)이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임의의 피전사체(이하, 피전사체라고 함) 상에, 수용층(2)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을 전사하여,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층(2)이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는 열전사 수상 시트를 얻기 위해서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이다.
수용층을 구비하는 열전사 시트의 하나로서,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는 수용층이 기재로부터 전사 가능하게(박리 가능하게)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가 알려져 있다. 수용층이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고 있는 중간 전사 매체에 의하면, 수용층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지 않고, 상기 수용층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환언하면, 중간 전사 매체의 최외측 표면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중간 전사 매체는, 열전사 수상 시트로서의 역할을 겸한다. 또한, 수용층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한 후에, 이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함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이 형성된 인화물을 얻는다. 한편, 중간 전사 매체의 일례로서, 기재 상에, 박리층(보호층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 수용층이 이 순서로 형성되고, 피전사체 상에, 수용층과 함께 박리층을 전사 가능한 중간 전사 매체도 알려져 있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상기 열전사 시트(100)의 최외측 표면에 수용층(2)이 위치하고 있지 않아(각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기능층(20)이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고 있음),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의 최외측 표면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할 수 없다. 한편,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수용층(2)이 위치하고 있어,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함으로써, 최외측 표면에 수용층(2)을 위치시킬 수 있다. 즉,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함으로써 최외측 표면에 수용층(2)이 위치하는 열전사 수상 시트를 얻을 수 있고, 얻어진 열전사 수상 시트에 대해 열전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요약하면, 수용층을 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와 중간 전사 매체는 공통되지만, 수용층을 전사하기 전의 단계에 있어서, 열전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한지의 여부, 환언하면,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는 층이 수용층인지의 여부의 점에서,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는 상이하다. 한편, 중간 전사 매체의 분야에 있어서도, 수용층을 포함하고, 기재로부터 전사 가능하게 되어 있는 복수의 층을 총칭하여 「전사층」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서 말하는 「전사층」과, 중간 전사 매체의 분야에서 말하는 「전사층」은, 최외측 표면에 수용층이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점에서 명확히 상이하다. 이하,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재)
기재(1)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며, 기재(1)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되는 전사층(10), 혹은, 기재(1)와 전사층(10) 사이에 형성되는 임의의 층(예컨대, 후술하는 임의의 이형층), 및 기재(1)의 다른쪽 면 상에 임의로 형성되는 배면층을 유지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기재(1)의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전사층(10)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가해지는 열에 견디고, 취급상 지장이 없는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1)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나일론,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의 각종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기재(1)의 두께는, 그 강도 및 내열성이 적절해지도록 재료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2.5 ㎛ 이상 100 ㎛ 이하의 범위가 일반적이다.
(전사층)
도 1~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 상에는, 전사층(10)이 형성되어 있다. 전사층(10)은, 기재(1)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열전사 시에 있어서, 피전사체 상으로 이행하는 층이다. 전사층(10)은, 2개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적어도 수용층(2)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수용층(2)인 것을 필수적인 조건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피전사체 상에 수용층(2)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열전사 수상 시트의 최외측 표면에 수용층(2)을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용층)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의 전사층(10)의 전사성은,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 즉, 전사 계면에 위치하는 층의 전사성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전사층(10)의 전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전사층(10)을 구성하고,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인 수용층(2)의 전사성을 충분히 높여 둘 필요가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전사성이란, 전사층을 피전사체측에 전사할 때에, 전사층이 기재측에 잔존하지 않고, 혹은,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일체화해 버리지 않고, 전사층을 피전사체측에 정확히 전사할(이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전사성이 높다고 하는 것은, 열전사 시트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에너지가 인가된 영역에 대응하는 전사층이 기재측에 잔존하는 일이나,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일체화하는 일 없이, 전사층을 피전사체 상에 정확히 이행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전사성이 낮다고 하는 것은, 열전사 시트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측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에너지가 인가된 영역에 대응하는 전사층의 일부, 혹은 전부의 영역에 있어서, 기재, 혹은 기재 상에 임의로 형성되는 층(예컨대, 후술하는 임의의 이형층)과, 전사층이 열융착을 일으켜, 환언하면, 기재, 혹은 기재 상에 임의로 형성되는 층과, 전사층에 포함되는 수용층이 열융착을 일으켜, 기재로부터 전사층을 박리할 수 없어,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일체화해 버리거나, 혹은, 기재, 혹은 기재 상에 임의로 형성되는 층과, 전사층에 포함되는 수용층이 열융착을 일으켜, 본래라면, 기재, 혹은 기재 상에 형성되는 임의의 층과의 계면에 있어서 박리되어야 할 전사층이,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사이에서 박리해 버려, 피전사체 상에 전사되어야 할 수용층의 전부, 혹은 일부가 기재측에 잔존해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수용층의 전사성에 대해서는 현재는 충분한 검토는 이루어져 있지 않고,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수용층(2)으로서, 종래 공지된 수용층을 채용한 경우에는, 수용층 자체의 전사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어, 결과적으로, 전사층의 전사성은 낮은 것이 된다. 특히, 수용층의 전사성은,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에너지가 높아짐에 따라 저하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수용층(2)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을 갖는 수용층(2)에 의하면, 전사 계면에 위치하는 층인 수용층(2)의 전사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고, 열전사 시트(100)에 인가되는 에너지를 높여 간 경우라도, 수용층(2)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의 전사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요컨대, 넓은 에너지 범위에 있어서, 피전사체 상에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의 전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수용층(2)이 함유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2)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함유하고 있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층(2)에 의하면, 상기 수용층(2)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의 전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수용층(2)은,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1종을 단독으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셀룰로오스계 수지와 함께, 다른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2)은, 수 평균 분자량(Mn)이 70000 미만, 바람직하게는 55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00 이하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2)을 포함하는 전사층(10)에 의하면, 셀룰로오스계 수지로서, 수 평균 분자량(Mn)이 70000 이상인 셀룰로오스계 수지만을 함유하는 수용층(2)을 포함하는 전사층과 비교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의 박(箔) 절단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수용층(2)은, 수 평균 분자량(Mn)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2)은, 2종 이상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상기 바람직한 수 평균 분자량(Mn)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로 되어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수 평균 분자량(Mn)이란, JIS K7252-1:2008에 준거하여,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분자량을 의미한다.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매우 소량의 첨가로, 예컨대, 수용층(2)의 고형분 총 질량에 대한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을 0.5 질량% 정도로 한 경우라도, 상기 수용층(2)을 포함하는 전사층의 전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환언하면, 그 함유량에 관계없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층(2)에 의하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수용층과 비교하여, 넓은 에너지 범위에 있어서, 상기 수용층(2)을 포함하는 전사층의 전사성을 매우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로부터도 명백해지고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2)은,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수용층(2)의 고형분 총 질량에 대해 25 질량% 미만의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22 질량% 미만의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의 상한값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100 질량%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되는 일은 없으나,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은, 염료층의 염료를 이행시켜 수용층(2)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할 때의 염료층과의 이형성(이하, 염료 이형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염료층측에 있어서, 염료 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이 도모되어 있는 경우, 예컨대, 염료층이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에 대한 고려를 요하지 않고 임의의 함유량으로 하면 된다. 한편, 염료층측에서 염료 이형성의 대책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염료층이 함유하고 있는 수지의 종별에 따라,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경우에 있어서의 염료 이형성은, 염료층이 함유하고 있는 수지의 종별에 따라 상이하며, 예컨대, 염료층이 함유하고 있는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이고, 또한 염료층이 이형제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는, 수용층(2)의 고형분 총 질량에 대한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은 25 질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층(2), 염료층의 양쪽이 이형제 등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층과의 염료 이형성이 좋은 수지를 포함하는 염료층을 이용함으로써,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에 관계없이 염료 이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수용층의 고형분 총 질량에 대한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을 100 질량%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수용층(2)에 이형제를 함유시켜 염료 이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수용층(2)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나, 이형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셀룰로오스계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혹은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혹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형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아미드 왁스, 테플론(등록 상표) 파우더 등의 고형 왁스류, 불소계 또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실리콘 오일, 반응성 실리콘 오일, 경화형 실리콘 오일 등의 각종 변성 실리콘 오일, 및 각종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층(2)은,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나, 이형제 등의 첨가제를 적당한 용매에, 분산 내지 용해한 수용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아판을 이용한 리버스 코팅법 등의 수단에 의해, 기재(1), 혹은 기재(1) 상에 형성되는 임의의 층 상에, 도공·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층(2)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통상, 0.3 ㎛ 이상 10 ㎛ 이하의 범위이다.
(기능층)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층(2) 상에는, 기능층(20)이 형성되어 있다. 기능층(20)은,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다. 기능층(20)은, 전사층(10)에 요구되는 기능, 예컨대, 은폐성이나, 접착성 등의 기능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 한정되는 일은 없다. 즉, 수용층(2) 상에 형성되는 층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되는 일은 없고, 수용층(2)과는 상이한 층이면 어떠한 층이어도 좋다. 한편,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수용층(2) 상에 기능층(20)이 형성되어 있고,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의 최외측 표면에 기능층(20)이 위치하고 있는 것을 필수적인 조건으로 한다. 요컨대,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의 최외측 표면에 수용층(2)이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필수적인 조건으로 한다. 기능층(20)은, 단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고,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이하, 기능층(20)에 대해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한편, 전사층의 전사성은,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의 수에 영향을 받으며, 통상, 2개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의 전사층과,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의 전사층의 전사성을 비교하면,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의 수가 많은 적층 구성의 전사층 쪽이 전사성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마찬가지로, 전사층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전사층의 전사성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10)이 2개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수용층(2)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 전사 계면에 있어서의 전사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따라서,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층(2)을 포함하는 전사층(10)에 의하면, 수용층(2) 상에, 여러 가지 기능층(20)을 적층하여,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의 층수를 많게 해 간 경우나, 전사층(10) 전체의 두께를 두껍게 해 간 경우라도, 전사층(10)의 전사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의 기능층(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층(10)이 전사된 피전사체의 표면의 일부를 은폐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전사층(10)이 전사된 피전사체의 표면의 일부를 은폐하는 기능을 갖는 기능층(20)을 은폐층(4)이라고 한다. 일례로서의 은폐층(4)은, 바인더 수지와, 착색제로 구성되어 있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공지된 착색제, 예컨대, 산화티탄, 산화아연, 카본 블랙, 산화철, 철황, 군청, 홀로그램 분말, 알루미늄 분말, 메탈릭 안료, 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은폐층(4)은, 이들 바인더 수지의 1종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착색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은폐층(4)의 형성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에서 예시한 바인더 수지, 착색제,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를 적당한 용매에, 분산 내지 용해한 은폐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수용층(2) 상에,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트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판을 이용한 리버스 롤 코팅법 등의 종래부터 공지된 형성 수단에 의해, 도공·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은폐층(4)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은폐층(4)에 의한 은폐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한편, 은폐층(4)의 두께가 0.1 ㎛ 미만에서는 은폐성이 저하되어 가는 경향이 있고, 이 점을 고려하면, 은폐층(4)의 두께는,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은폐층의 두께의 바람직한 상한값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5 ㎛ 정도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층(2)과 은폐층(4)(기능층(20)) 사이에, 전사층(10)의 박 절단성의 향상, 구체적으로는,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에 테일링(tailing)이나, 문자 찌그러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혹은 수용층(2)과 은폐층(4)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간층(3)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테일링이란, 전사층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전사층의 전사 영역과 비전사 영역의 경계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경계로부터 비전사 영역측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전사층이 전사되어 버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문자 찌그러짐이란, 문자로서 나타나는 전사 영역으로 둘러싸여지거나, 혹은 끼워진 피전사 영역이, 테일링과 동일한 현상으로 전사되어 버려, 본래의 문자를 재현할 수 없는 현상을 의미한다.
일례로서의 중간층(3)은, 예컨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의 바인더 수지, 필요에 따라,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티탄, 카본 블랙 등의 무기 입자를 함유하고 있다. 바인더 수지와 함께,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중간층에 의하면, 중간층(3)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의 박 절단성을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중간층(3)은, 바인더 수지와 함께, 알루미나 미립자나,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의 중간층은, 바인더 수지와 함께, 알루미나졸 유래의 알루미나 미립자나, 콜로이드성 실리카 유래의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바인더 수지를 이용하지 않고, 중간층을 무기 미립자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염료 이형성의 향상을 주안으로 하는 경우에는, 수용층(2) 상에, 수계 수지를 함유하는 중간층(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수계 수지를, 수계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하여 이루어지는 중간층용 도공액을 이용하여, 수용층(2) 상에 중간층(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계 수지를 함유하는 중간층(3)을 구비하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의하면, 염료 이형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수계 수지」란, 수용성 수지, 혹은 수계 용매에 불용성이지만, 에멀젼이나 디스퍼션과 같이, 수계 용매에 분산 가능한 수지를 의미한다. 수계 용매로서는, 물이나, 물과 알코올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아크릴산, 폴리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수용성(혹은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용성(혹은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수분산성 염화비닐 수지, 수분산성 염화아크릴계 수지, 수분산성 에폭시 수지, 젤라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수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중간층(3)의 형성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바인더 수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중간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수용층(2) 상에,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트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판을 이용한 리버스 롤 코팅법 등의 종래부터 공지된 형성 수단에 의해, 도공·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중간층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0.01 ㎛ 이상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 이상 3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일례로서의 기능층(20)은, 피전사체와 전사층(10)의 접착성을 높이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접착성을 갖는 기능층(20)을 접착층이라고 한다. 접착층으로서는, 열전사 시트의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의 접착층은, 자외선 흡수제 공중합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부티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염화비닐 수지 등을 함유하고 있다.
접착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에서 예시한 바인더 수지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형광 증백제, 무기 혹은 유기의 필러 성분, 계면활성제, 이형제 등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내지 용해한 접착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수용층(2) 상에, 그라비아 코트, 그라비아 리버스 코트 등의 방법으로 도공·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0.5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8 ㎛ 이상 2.0 ㎛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형층)
또한, 기재(1)와 전사층(10) 사이에 이형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형층은,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있어서의 임의의 구성이며, 전사층(10)을 구성하지 않는 층이다. 요컨대,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에, 기재(1)측에 잔존하는 층이다. 기재(1)와 전사층(10) 사이에 이형층을 형성함으로써,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층(2)의 양호한 전사성과 더불어, 전사층(10)의 전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형층에 함유되는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컨대, 왁스류, 실리콘 왁스, 실리콘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불소 수지, 불소 변성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수지, 열가교성 에폭시-아미노 수지 및 열가교성 알키드-아미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형층은, 1종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형층은, 이형성 수지에 더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가교제, 주석계 촉매, 알루미늄계 촉매 등의 촉매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형층의 두께는 0.2 ㎛ 이상 5 ㎛ 이하의 범위가 일반적이다. 이형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기 수지를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시켜 이형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상에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아판을 이용한 리버스 코팅법 등의 종래 공지된 수단에 의해 도포,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면층)
또한, 기재(1)의 전사층(10)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배면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배면층은,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있어서의 임의의 구성이다.
배면층의 재료에 대해 한정은 없고, 예컨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변성 또는 불소 변성 우레탄 등의 천연 또는 합성 수지의 단체(單體) 또는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배면층은, 고형 혹은 액상의 활제(滑劑)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활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왁스 등의 각종 왁스류, 고급 지방족 알코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유기 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 금속 비누,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탈크, 실리카 등의 무기 화합물의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배면층의 총 질량에 대한 활제의 질량은, 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의 범위이다.
배면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수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활제 등을, 적당한 용제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배면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터, 롤 코터, 와이어 바 등의 관용의 도공 수단에 의해, 기재(1) 상에 도포·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배면층의 두께는 1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
다른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의 동일면 상에, 전사층(10)과, 염료층(12)이 면 순차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형태에서는, 기재(1)와 염료층(12) 사이에 염료 프라이머층(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다른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A)는,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있어서, 또한, 기재(1)의 전사층(10)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동일면 상에, 염료층(12)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취한다. 도 3에 도시된 다른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A)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의 동일면 상에, 전사층(10), 염료층(12), 임의의 보호층(13)을 반복해서 면 순차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보호층(13)을 대신해서, 혹은 이것과 함께 안료를 함유하는 임의의 색재층(도시하지 않음)이나, 홀로그램층으로 구성되는 임의의 특색 패널(도시하지 않음) 등을 반복해서 면 순차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임의의 층을 반복해서 면 순차로 형성할 때의 순서는,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A)에 의하면,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전사 수상 시트(200)의 형성과, 상기 형성된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2) 상에의 열전사 화상의 형성의 양쪽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A)를 이용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함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기능층(20), 수용층(2)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열전사 수상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A)의 염료층(12)에 포함되는 염료를,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진 열전사 수상 시트(200)의 수용층(2) 상으로 이행시킴으로써, 열전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A)의 각 구성에 대해,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특별히 언급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서 설명한 것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염료층)
염료층(12)은, 승화성 염료,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있다. 염료층(12)은, 원하는 화상이 모노 컬러인 경우에는, 적절히 선택한 1색의 층만 형성해도 좋고, 원하는 화상이 풀 컬러 화상인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옐로우 염료(12Y), 마젠타 염료(12M), 시안 염료(12C) 등의 색상이 상이한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염료층을, 동일 기재의 동일면에 면 순차로, 반복해서 형성해도 좋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기재(1)의 동일면 상에, 전사층(10), 옐로우 염료(12Y), 마젠타 염료(12M), 시안 염료(12C), 보호층(13)을 이 순서로 반복해서 형성하고 있으나, 반복해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순서가 아니어도 좋다. 한편, 염료층(12)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사 시트의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염료층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승화성 염료>>
승화성 염료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충분한 착색 농도를 갖고, 광, 열, 온도 등에 의해 변퇴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승화성 염료로서는, 예컨대, 디아릴메탄계 염료, 트리아릴메탄계 염료, 티아졸계 염료, 메로시아닌 염료, 피라졸론 염료, 메틴계 염료, 인도아닐린계 염료, 피라졸로메틴계 염료, 아세토페논아조메틴, 피라졸로아조메틴, 이미다졸아조메틴, 이미다조아조메틴, 피리돈아조메틴 등의 아조메틴계 염료, 크산텐계 염료, 옥사진계 염료, 디시아노스티렌, 트리시아노스티렌 등의 시아노스티렌계 염료, 티아진계 염료, 아진계 염료, 아크리딘계 염료, 벤젠아조계 염료, 피리돈아조, 티오펜아조, 이소티아졸아조, 피롤아조, 피라졸아조, 이미다졸아조, 티아디아졸아조, 트리아졸아조, 디스아조 등의 아조계 염료, 스피로피란계 염료, 인돌리노스피로피란계 염료, 플루오란계 염료, 로다민락탐계 염료, 나프토퀴논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퀴노프탈론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SRedG(미쯔이 도아츠 가가쿠사 제조), Macrolex Red Violet R(바이엘사 제조), CeresRed 7B(바이엘사 제조), Samaron Red F3BS(미쯔비시 가가쿠사 제조) 등의 적색 염료, 포론 브릴리언트 옐로우 6GL(클라리언트사 제조), PTY-52(미쯔비시 가세이사 제조), 마크로렉스 옐로우 6G(바이엘사 제조) 등의 황색 염료, 카야세트 블루 714(니혼 가야쿠사 제조), 왁솔린 블루 AP-FW(ICI사 제조), 포론 브릴리언트 블루 S-R(산도사 제조), MS 블루 100(미쯔이 도아츠 가가쿠사 제조), C.I. 솔벤트 블루 63 등의 청색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승화성 염료의 함유량은, 후술하는 바인더 수지의 고형분 총량에 대해, 50 질량% 이상 350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 300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승화성 염료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인화 농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보존성 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바인더 수지>>
염료층에 포함되고, 상기 승화성 염료를 담지하기 위한 바인더 수지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어느 정도의 내열성을 가지며, 승화성 염료와 적당한 친화성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컨대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염료층(12)의 고형분 총량에 대한,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이 20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염료층(12) 중에서, 승화성 염료를 충분히 유지할 수 없고, 보존성이 저하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바인더 수지는, 염료층(12)의 고형분 총량에 대해, 20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의 상한값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승화성 염료나, 임의의 첨가제의 함유량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염료층(12)은, 무기 입자, 유기 미립자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무기 입자로서는, 탈크, 카본 블랙, 알루미늄, 이황화몰리브덴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미립자로서는, 폴리에틸렌 왁스, 실리콘 수지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염료층(12)은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형제로서는, 변성 또는 미변성의 실리콘 오일(실리콘 수지라고 칭해지는 것도 포함함), 인산에스테르, 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염료층(12)의 형성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바인더 수지, 승화성 염료,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나, 이형제를, 적당한 용제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염료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염료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터, 롤 코터, 와이어 바 등의 종래 공지된 도공 수단에 의해, 후술하는 염료 프라이머층(11) 상에 도공·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염료층의 두께는, 0.2 ㎛ 이상 2.0 ㎛ 이하의 범위가 일반적이다.
(염료 프라이머층)
기재(1)와 염료층(12) 사이에, 기재(1)와 염료층(12)의 밀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염료 프라이머층(11)을 형성해도 좋다.
염료 프라이머층(11)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열전사 시트의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염료 프라이머층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의 염료 프라이머층(11)은,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염료 프라이머층(11)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이나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염료 프라이머층(11)은, 이들 수지 성분과 함께, 유기 입자나, 무기 입자 등의 각종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염료 프라이머층(11)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에서 예시한 수지 성분,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염료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상에,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트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판을 이용한 리버스 롤 코팅법 등의 종래부터 공지된 형성 수단에 의해, 도공·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염료 프라이머층(11)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통상은, 0.02 ㎛ 이상 1 ㎛ 이하의 범위이다.
<<열전사 수상 시트>>
다음으로, 상기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열전사 수상 시트(이하,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라고 함)에 대해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200)는, 최외측 표면에 수용층(2)이 위치하도록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형태의 피전사체는, 기재(31) 상에 도안층(40)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피전사체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도안층(40)은,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200)에 있어서의 임의의 구성이다.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200)는, 도안층(40)의 일부를 은폐하기 위해서, 전사층(10)에 포함되는 기능층(20)으로서 은폐층(4)이 이용되고 있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200)는, 피전사체의 표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이 형성되어 있으나, 예컨대, 피전사체가 도안층(40)을 갖지 않는 경우나, 기능층(20)이 은폐층(4)이 아닌 경우에는, 피전사체의 표면을 노출시키지 않고,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피전사체가, 기재(31), 및 도안층(40)을 구비하고, 기능층(20)이 은폐층(4)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수용층(2)을, 제1 수용층(2)이라고 한다.
(열전사 수상 시트의 기재)
열전사 수상 시트(200)의 기재(31)(이하, 기재(31)라고 함)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열전사 수상 시트의 기재로서 종래 공지된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열전사 수상 시트의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기재(31)로서는, 상질지, 아트지, 경량 코트지, 미(微)도공지, 코트지, 캐스트 코트지, 합성 수지 또는 에멀젼 함침지(含浸紙), 합성 고무 라텍스 함침지, 합성 수지 내첨지(內添紙) 등의 종이 기재를 들 수 있다. 이 이외에도, 상기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서 설명한 기재(1)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안층)
기재(31) 상에는, 도안층(40)이 형성되어 있다. 도안층(40)은, 어떠한 도안이 형성되어 있는 층이나, 착색된 층이면 되고, 도안층(40)의 도안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되는 일은 없다.
예컨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공지된 홀로그램층(32)을, 도안층(40)으로 해도 좋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사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수용층(33)을, 도안층(40)으로 해도 좋으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31)측으로부터, 홀로그램층(32), 제2 수용층(33)이 적층된 것을 도안층(40)으로 해도 좋다. 한편, 도 6(c)에 있어서의 제2 수용층(33)은, 열전사 화상이 형성되기 전의 수용층이지만, 열전사 화상이 미리 형성된 수용층이어도 좋다. 제2 수용층(33)을, 열전사 화상 형성 전의 수용층으로 해 둠으로써, 제1 수용층(2)에의 열전사 화상의 형성과 함께, 제2 수용층(33)에의 열전사 화상의 형성을 행할 수 있다. 제2 수용층(33)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되는 일은 없고,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으로서 종래 공지된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서 설명한 수용층(2)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홀로그램층(32)으로서는, 예컨대, 요철 패턴(간섭 무늬)을 구비하는 층, 또는 시판되어 있는 것과 같은 홀로그램이 형성된 시트를 사용해도 좋고, 홀로그램 상에 금속 증착 등으로 금색, 은색 등이 착색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a)~도 6(c)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전사층(10)에 대해서는, 상기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서 설명한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200)의 형성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예컨대,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를 이용하여, 표면에 도안층(40)이 형성된 기재(31) 상에, 도안층(40)의 표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하여, 전사층(10)을 전사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인화물의 형성 방법>>
다음으로,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를 이용한 인화물의 형성 방법(이하,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피전사체, 및 상기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준비 공정에서 준비된 피전사체 상에, 준비 공정에서 준비된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하는 공정과,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
본 공정에서 준비되는 열전사 시트는, 상기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피전사체로서는, 상기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200)에서 설명한 기재(31), 혹은 기재(31) 상에 도안층(40)이 형성된 피전사체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200)에서 설명한 기재(31), 도안층(40)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기재 상에 도안층이 형성된 피전사체로 하면 된다. 이 도안층(40)에는, 최종적으로 열전사 화상이 형성됨으로써 도안이 되는 도안층(40)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안층(40)은, 열전사 화상이 형성되기 전의 수용층이어도 좋다.
(전사하는 공정)
본 공정은, 상기 준비하는 공정에서 준비된 피전사체 상에, 마찬가지로 준비하는 공정에서 준비된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을 거침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이 전사되어 이루어지는 열전사 수상 시트를 얻는다. 요컨대, 상기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를 얻는다. 피전사체가, 도안층(40)을 갖는 경우에는, 도안층의 표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여 전사층(10)을 전사해도 좋다.
상기 준비하는 공정에서 준비되는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수용층(2)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전사층을 전사하는 공정에 있어서, 전사성 좋게,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수 있다.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
본 공정은, 상기 전사하는 공정에서 얻은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 상에, 승화성 염료를 확산 이행시켜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을 거침으로써, 예컨대, 도안층을 갖는 피전사체 상에, 도안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여, 은폐층, 중간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층 상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인화물을 얻는다.
승화성 염료를 확산 이행시키기 위한 열전사 시트는, 상기 준비하는 공정에서 준비되는 열전사 시트가, 상기에서 설명한 염료층(12)을 구비하는 다른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A)인 경우에는, 이 열전사 시트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준비하는 공정에서 준비되는 열전사 시트가, 염료층(12)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인 경우에는,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층을 구비하는 종래 공지된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면 된다.
도 7은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인화물(300)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피전사체의 도안층(40)이, 미리 열전사 화상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 수용층(33)인 경우에는,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수용층(2)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되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안층(40)의 일부가 은폐층(4)에 의해 은폐되며, 은폐층 상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인화물(300)을 얻는다. 한편, 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피전사체의 도안층(40)이, 열전사 화상이 형성되기 전의 제2 수용층(33)인 경우에는,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표면이 노출되어 있는 피전사체의 제2 수용층(33) 상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되고, 또한, 수용층(2)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되어, 도 7(b)에 도시된 형태의 인화물(300)을 얻는다. 도안층(40)은,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200)에 있어서 설명한 각종 형태의 도안층(40)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서는, 준비하는 공정에서 준비되는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구성하는 수용층(2)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의 전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넓은 에너지 범위에 있어서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의 전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열전사 시트에 의해, 열전사 화상의 형성을 행할 수 있다.
<<인화물>>
다음으로, 상기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를 이용하여 형성된 인화물(300)(이하,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이라고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300)은,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수상 시트(200)의 제1 수용층(2) 상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부」 및 「%」는 질량 기준이다. 또한, 고형분 비율을 갖는 성분에 대해서는 고형분으로 환산한 질량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고, 이 위에, 하기 조성의 배면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 1.0 g/㎡가 되도록 도포하여 배면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기재의 배면층을 형성한 측과는 반대의 면에, 하기 조성의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을 건조 시 1.0 g/㎡가 되도록 도포하여 제1 수용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제1 수용층 상에, 하기 조성의 제1 중간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 0.15 g/㎡가 되도록 도포하여 제1 중간층을 형성하고, 이 제1 중간층 상에, 하기 조성의 은폐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 2.0 g/㎡가 되도록 도포하여 은폐층을 형성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제1 수용층, 제1 중간층, 은폐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1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배면층용 도공액>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8부
(에스렉 BX-1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5.5부
(바녹 D750 다이닛폰 잉크 가가쿠 고교(주))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1.6부
(플라이서프 A208N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주))
·탈크 0.35부
(미크로에이스 P-3 니혼 탈크 고교(주))
·톨루엔 18.5부
·메틸에틸케톤 18.5부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15.8부
(솔바인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Mn: 30000) 1.0부
(CAB381-0.5 이스트만 케미컬(주))
·실리콘 오일 1.2부
(X-22-3000T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1.2부
(X-24-510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0.8부
(KF-352A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제1 중간층용 도공액>
·콜로이드성 알루미나(고형분 10.5%) 3.5부
(알루미나졸 200 닛산 가가쿠 고교(주))
·아세트산비닐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1.5부
(PVP/VA E-335 ISP 재팬(주)
·물/이소프로필알코올 혼합 용매(1:1) 95부
<은폐층용 도공액>
·아크릴계 수지 3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1부
·산화티탄 16부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실시예 2)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을 대신해서,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CAB381-0.5 이스트만 케미컬(주))(Mn: 30000) 1.0부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Mn: 20000)(CAB381-0.1 이스트만 케미컬(주)) 1.0부로 변경한 제1 수용층용 도공액 2를 사용하여 제1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3)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을 대신해서,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CAB381-0.5 이스트만 케미컬(주))(Mn: 30000) 1.0부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Mn: 40000)(CAB381-2 이스트만 케미컬(주)) 1.0부로 변경한 제1 수용층용 도공액 3을 사용하여 제1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4)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을 대신해서,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CAB381-0.5 이스트만 케미컬(주))(Mn: 30000) 1.0부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Mn: 30000)(CAB551-0.2 이스트만 케미컬(주)) 1.0부로 변경한 제1 수용층용 도공액 4를 사용하여 제1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5)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을 대신해서,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CAB381-0.5 이스트만 케미컬(주))(Mn: 30000) 1.0부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Mn: 12000)(CAB321-0.1 이스트만 케미컬(주)) 1.0부로 변경한 제1 수용층용 도공액 5를 사용하여 제1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5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6)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을 대신해서,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CAB381-0.5 이스트만 케미컬(주))(Mn: 30000) 1.0부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수지(Mn: 25000)(CAP482-0.5 이스트만 케미컬(주)) 1.0부로 변경한 제1 수용층용 도공액 6을 사용하여 제1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6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7)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제1 수용층용 도공액 7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7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제1 수용층용 도공액 7>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16.6부
(솔바인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Mn: 30000) 0.2부
(CAB381-0.5 이스트만 케미컬(주))
·실리콘 오일 1.2부
(X-22-3000T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1.2부
(X-24-510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0.8부
(KF-352A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실시예 8)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제1 수용층용 도공액 8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8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제1 수용층용 도공액 8>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12.8부
(솔바인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Mn: 30000) 4.0부
(CAB381-0.5 이스트만 케미컬(주))
·실리콘 오일 1.2부
(X-22-3000T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1.2부
(X-24-510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0.8부
(KF-352A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실시예 9)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제1 수용층용 도공액 9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9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제1 수용층용 도공액 9>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11.8부
(솔바인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Mn: 30000) 5.0부
(CAB381-0.5 이스트만 케미컬(주))
·실리콘 오일 1.2부
(X-22-3000T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1.2부
(X-24-510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0.8부
(KF-352A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실시예 10)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을 대신해서,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CAB381-0.5 이스트만 케미컬(주))(Mn: 30000) 1.0부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Mn: 70000)(CAB381-20 이스트만 케미컬(주)) 1.0부로 변경한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0을 사용하여 제1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0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1)
은폐층과 제1 수용층 사이에 제1 중간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1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
제1 수용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제1 수용층용 도공액 A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제1 수용층용 도공액 A>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16.8부
(솔바인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1.2부
(X-22-3000T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1.2부
(X-24-510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오일 0.8부
(KF-352A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피전사체의 작성>
기재로서, 두께가 25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고, 이 위에, 하기 조성의 홀로그램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트법에 의해, 건조 시의 도공량으로, 2 g/㎡가 되도록 도공하며, 도공 후의 층에 대해, 홀로그램의 간섭 무늬를 요철형으로 형성한 금속판을 이용해서 엠보스 가공하여, 홀로그램의 요철을 부여함으로써, 홀로그램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홀로그램층의 요철이 부여된 측의 면에 알루미늄을 두께 30 ㎚가 되도록 증착해서 반사층을 형성하여, 기재, 홀로그램층, 반사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홀로그램 시트를 얻었다.
<홀로그램층용 도공액>
·아크릴 수지 40부
·멜라민 수지 10부
·시클로헥사논 50부
·메틸에틸케톤 50부
계속해서, 지지체로서, RC지(STF-150, 미쯔비시 세이시사 제조, 190 ㎛)를 이용하고, 이 지지체 상에, 하기 조성의 접착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트법에 의해, 건조 시의 도공량이 3.0 g/㎡가 되도록 접착층을 형성하며, 상기에서 얻은 홀로그램 시트를, 홀로그램 시트의 반사층과, 지지체가 대향하도록, 접착층에 의해 라미네이트하여 적층체(지지체/접착층/반사층/홀로그램층/기재)를 얻었다.
<접착층용 도공액>
·다작용성 폴리올 30부
(타케락 A-969-V 다케다 야쿠힌 고교(주))
·이소시아네이트 10부
(타케락 A-5 다케다 야쿠힌 고교(주))
·아세트산에틸 60부
계속해서, 상기에서 얻은 적층체(지지체/접착층/반사층/홀로그램층/기재)의 기재 상에, 하기 조성의 제2 중간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트법에 의해, 건조 시의 도공량이 1.2 g/㎡가 되도록 도공하여 제2 중간층을 형성하고, 제2 중간층 상에, 하기 조성의 제2 수용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트법에 의해, 건조 시의 도공량이 4.0 g/㎡가 되도록 도공하여 제2 수용층을 형성함으로써, 지지체/접착층/반사층/홀로그램층/기재/제2 중간층/제2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피전사체를 얻었다.
<제2 중간층용 도공액>
·수분산형 폴리에스테르 수지(고형분 25%, Tg 20℃) 10부
(바이로날 MD-1480 도요 보세키(주))
·도전성 합성 층상 규산염(평균 일차 입자 직경 25 ㎚) 10부
(라포나이트 JS 윌버·엘리스사)
·물 80부
<제2 수용층용 도공액>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15부
(솔바인 C 닛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0.75부
(X-22-3000T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실리콘 0.1부
(X-24-510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메틸에틸케톤 33부
·톨루엔 33부
(전사성 평가)
상기에서 작성한 피전사체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를 조합해서 하기 프린터를 이용하여, (1) 저에너지 조건(150/255 계조), (2) 고에너지 조건(255/255 계조)으로, 상기에서 작성한 피전사체의 제2 수용층 상의 일부의 영역에, 세선(細線)을 형성하도록, 전사층의 전사를 행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수상 시트를 얻었다. (1), (2)의 에너지 조건으로 전사층을 전사했을 때의 전사성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프린터)
서멀 헤드: KEE-57-12GAN2-STA(교세라(주) 제조)
발열체 평균 저항값: 3303(Ω)
주(主) 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 dpi
부(副) 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 dpi
인화 전압: 18(V)
1라인 주기: 1.5(msec.)
인자 개시 온도: 35(℃)
펄스 듀티비: 85%
「평가 기준」
○…열이 가해진 영역의 전사층이 모두 피전사체에 전사되어 있다.
×…열이 가해진 영역의 전사층의 일부가 기재측에 남아 있다.
(박 절단성 평가)
상기 (1) 저에너지 조건(150/255 계조)에 의해,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진 각 실시예의 열전사 수상 시트에 있어서의 전사층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전사층의 박 절단성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5 dot 세선이 전사되어 있고, 또한 5 dot 공백 세선에 찌그러짐이 없다.
×…5 dot 세선 주위에 테일링이 발생하고 있거나, 혹은 5 dot 공백 세선이 완전히 찌그러져 있다.
(열전사 시트 (i)의 작성)
기재로서 두께 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고, 상기 조성의 배면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 1.0 g/㎡가 되도록 도공하여, 배면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기재의 다른쪽 면에, 하기 조성의 염료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 0.15 g/㎡가 되도록 도공하여 염료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이 염료 프라이머층 상에, 상기 조성의 옐로우,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 0.7 g/㎡가 되도록 면 순차로 도공해서, 옐로우 염료층, 마젠타 염료층을 형성함으로써 열전사 시트 (i)를 얻었다.
<염료 프라이머층용 도공액>
·콜로이드성 알루미나(고형분 10.5%) 3.5부
(알루미나졸 200 닛산 가가쿠 고교(주))
·아세트산비닐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1.5부
(PVP/VA E-335 ISP 재팬(주)
·물/이소프로필알코올 혼합 용매(1:1) 95부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솔벤트 옐로우 93 5부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 수지 4부
(KS-5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톨루엔 50부
·메틸에틸케톤 50부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디스퍼스 레드 60 3부
·디스퍼스 바이올렛 26 3부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 수지 5부
(KS-5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톨루엔 50부
·메틸에틸케톤 50부
(염료 이형성 평가)
상기 (1) 저에너지 조건(150/255 계조)에 의해, 70 ㎜×70 ㎜ 사이즈의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수상 시트의 제1 수용층 상에, 255/255 계조 화상의 조건으로 옐로우, 마젠타로 순서대로 인화하여 레드 화상을 형성하고, 이 레드 화상 형성 시에, 열전사 시트 (i)의 마젠타 염료층을 제1 수용층으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력을 하기 조건으로 측정하며, 비교예 1의 박리력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와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박리력 측정 조건)
박리 장치: 표면성 측정기 HEIDON-14 신토 가가쿠사 제조
박리 속도: 200 ㎜/분
측정하는 시료폭: 70 ㎜
박리 각도: 180°
「평가 기준」
○…기준값의 2배 이하이다.
×…기준값의 2배보다 크다.
Figure pct00001
100, 100A: 열전사 시트
1: 기재
2: 수용층, 제1 수용층
3: 중간층
4: 은폐층
10: 전사층
11: 염료 프라이머층
12: 염료층
12Y: 옐로우 염료층
12M: 마젠타 염료층
12C: 시안 염료층
200: 열전사 수상 시트
20: 기능층
31: 기재
32: 홀로그램층
33: 제2 수용층
40: 도안층
300: 인화물

Claims (5)

  1. 열전사 수상(受像) 시트를 얻기 위한 열전사 시트로서,
    기재(基材)와 이 기재 상에 형성된 전사층을 갖고,
    상기 전사층은 2개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전사층은 적어도 수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상기 수용층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층은 기재측으로부터 수용층, 은폐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층과 상기 은폐층 사이에, 또한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동일면 상에, 상기 전사층과 염료층이 면 순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KR1020177037623A 2015-08-20 2016-06-06 열전사 시트 KR102415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63064 2015-08-20
JPJP-P-2015-163064 2015-08-20
PCT/JP2016/066725 WO2017029859A1 (ja) 2015-08-20 2016-06-06 熱転写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209A true KR20180043209A (ko) 2018-04-27
KR102415491B1 KR102415491B1 (ko) 2022-07-01

Family

ID=5805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623A KR102415491B1 (ko) 2015-08-20 2016-06-06 열전사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37520B2 (ko)
JP (1) JP6384519B2 (ko)
KR (1) KR102415491B1 (ko)
CN (1) CN107848316B (ko)
TW (1) TWI727954B (ko)
WO (1) WO2017029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3945B (zh) * 2017-03-20 2019-02-19 青艺(福建)烫画科技有限公司 一种弹性热转印刻字膜及其生产方法
JP6443786B1 (ja) 2017-08-24 2018-12-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CN110831777B (zh) * 2017-08-24 2022-07-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热转印片
CN110204761B (zh) * 2019-06-06 2023-07-18 武汉华工图像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全息拼版材料及其制备方法
JP2022077215A (ja) * 2020-11-11 2022-05-23 凸版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8791A (ja) 1986-04-11 1987-10-19 Dainippon Printing Co Ltd 物品の装飾方法
JPH06122281A (ja) 1992-10-13 1994-05-06 Mitsubishi Kasei Corp 熱転写記録用シート
JPH07112572A (ja) * 1993-10-18 1995-05-02 Konica Corp 受像層転写材料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1105747A (ja) * 1999-10-14 2001-04-17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染料受像シート及び受容層転写シート
JP2006088396A (ja) * 2004-09-21 2006-04-06 Oji Paper Co Ltd 熱転写受容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51484T2 (de) 1986-04-11 1996-06-13 Dainippon Printing Co Lt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ildern auf Gegenständen.
JP3291735B2 (ja) 1991-03-26 2002-06-10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印画紙
JPH05278351A (ja) 1992-04-06 1993-10-26 Dainippon Printing Co Ltd 受容層転写シート、熱転写受像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DE69219736T2 (de) 1991-11-29 1998-01-08 Dainippon Printing Co Ltd Bildempfangselement durch thermische Übertragung
JP3211219B2 (ja) * 1992-02-29 2001-09-25 ソニー株式会社 印画紙
JPH05294081A (ja) 1992-04-16 1993-1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受容層転写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5275912A (en) * 1992-06-03 1994-01-04 Eastman Kodak Company Dual laminate process for thermal color proofing
JPH0899473A (ja) * 1994-09-30 1996-04-16 Mitsubishi Chem Corp 熱転写記録用シート
JP3505861B2 (ja) 1995-08-02 2004-03-15 三菱化学株式会社 熱転写記録用シート
JPH09277672A (ja) 1996-04-19 1997-10-28 Sony Corp セピア調ハードコピーの作成方法
CN101570090A (zh) * 2009-06-01 2009-11-04 莫国平 环保型水溶性背胶电化铝热转印膜及生产方法
CN102642414A (zh) * 2012-04-25 2012-08-22 焦作卓林数码材料有限公司 升华型热转印油墨碳带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8791A (ja) 1986-04-11 1987-10-19 Dainippon Printing Co Ltd 物品の装飾方法
JPH06122281A (ja) 1992-10-13 1994-05-06 Mitsubishi Kasei Corp 熱転写記録用シート
JPH07112572A (ja) * 1993-10-18 1995-05-02 Konica Corp 受像層転写材料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1105747A (ja) * 1999-10-14 2001-04-17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染料受像シート及び受容層転写シート
JP2006088396A (ja) * 2004-09-21 2006-04-06 Oji Paper Co Ltd 熱転写受容シート
CN101060994A (zh) * 2004-09-21 2007-10-24 王子制纸株式会社 热转印接收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39312A (ja) 2017-02-23
CN107848316B (zh) 2020-01-07
CN107848316A (zh) 2018-03-27
JP6384519B2 (ja) 2018-09-05
WO2017029859A1 (ja) 2017-02-23
TWI727954B (zh) 2021-05-21
US20180229528A1 (en) 2018-08-16
US10737520B2 (en) 2020-08-11
KR102415491B1 (ko) 2022-07-01
TW201722722A (zh) 2017-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2368B (zh) 印刷物的形成方法
CN108602371B (zh) 中间转印介质、中间转印介质与热转印片的组合、以及印刷物的形成方法
KR102415491B1 (ko) 열전사 시트
KR20180037257A (ko) 전사 시트
JP6075491B2 (ja) 熱転写シート、熱転写受像シート、印画物の形成方法、及び印画物
TWI701159B (zh) 熱轉印薄膜與被轉印物之組合、及印刷品之形成方法、以及熱轉印薄膜
US20090068456A1 (en) Protective layer transfer sheet
JP6772733B2 (ja) 中間転写媒体、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JP6657697B2 (ja) 熱転写シート
JP6720662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及び印画物
JP6745052B2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80283B2 (ja) 熱転写シート
JP2018171840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シート、受容層用塗工液、熱転写受像シートの形成方法、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JP6940814B2 (ja) 熱転写シート、印画物の製造方法、及び熱転写シートと保護フィルムとの組合せ
JP4090545B2 (ja) 熱転写画像形成方法
JP2018058225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シート、受容層用塗工液、熱転写受像シートの形成方法、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JP2019064153A (ja)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JP2019064154A (ja)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JP2017065069A (ja) 印画物の製造方法、及び、印画物の滲み抑制処理セット
JPH0386590A (ja) 熱転写受像材料
JP2011194834A (ja) 保護層転写シート、及び保護層転写シートを用いて形成される印画物、並びに保護層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