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979A - 포장체 - Google Patents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979A
KR20180029979A KR1020177037190A KR20177037190A KR20180029979A KR 20180029979 A KR20180029979 A KR 20180029979A KR 1020177037190 A KR1020177037190 A KR 1020177037190A KR 20177037190 A KR20177037190 A KR 20177037190A KR 20180029979 A KR20180029979 A KR 20180029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seal
peripheral wall
flange portion
packaging container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쯔오 노무라
토모야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닛신 세이훈 구루프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닛신 세이훈 구루프혼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닛신 세이훈 구루프혼샤
Publication of KR20180029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3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by means of an element bursting upon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container being excee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포장체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상승하는 둘레벽부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를 가짐과 함께 둘레벽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둘레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용부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렌지부가 형성된 포장용 용기와, 수용부에 수용되며 또한 가열됨으로써 증기를 발생하는 피수용물과, 플렌지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플렌지부에 접합됨으로써 수용부 내를 밀봉하는 탑 시일을 구비하고, 포장용 용기는, 둘레벽부의 일부가 수용부를 향하여 만곡하는 만곡부를 가지며, 수용부의 내압이 상승하여 탑 시일이 변형했을 때에 둘레벽부 중 가장 변형량이 큰 변형량 최대점이 만곡부 내에 형성되고, 변형된 탑 시일과 플렌지부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 수용부의 내압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변형량 최대점에 있어서 플렌지부로부터 탑 시일이 박리되어 수용부 내의 증기가 배출된다.

Description

포장체
본 발명은, 포장체에 관련된 것이며, 특히, 전자레인지로 가열될 때에 증기를 발생하는 피수용물이 수용된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포장체에 있어서는, 포장용 용기에 조리가 완료된 식품 등이 수납되어 있고, 먼지 등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포장용 용기가 밀봉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체는, 피수용물을 가열 조리하기 위하여, 전자레인지로 가열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탑 시일(top seal)에 의해 밀봉된 트레이 형상의 포장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39661호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포장용 용기는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가열하면 내부의 압력이 계속 상승함으로써 포장체가 파열되어, 내용물의 식품이 비산하여 전자레인지의 내부가 더러워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것을 피하기 위하여, 가열에 앞서, 탑 시일의 일부를 박리하여 통기구멍을 연 상태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의 포장용 용기의 탑 시일에는 박리하기 위한 파지부가 마련되어 있고, 그 파지부로부터 탑 시일의 일부를 박리하지 않으면 안 되는 수고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레인지로의 가열에 앞서 탑 시일의 일부를 박리하지 않고 피수용물을 가열 조리할 수 있는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로 가열되는 포장체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상승하는 둘레벽부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를 가짐과 함께 둘레벽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둘레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용부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렌지부가 형성된 포장용 용기와, 수용부에 수용되며 또한 가열됨으로써 증기를 발생하는 피수용물과, 플렌지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플렌지부에 접합됨으로써 수용부 내를 밀봉하는 탑 시일을 구비하고, 포장용 용기는, 둘레벽부의 일부가 수용부를 향하여 만곡하는 만곡부를 가지며, 수용부의 내압이 상승하여 탑 시일이 변형되었을 때에 둘레벽부 중 가장 변형량이 큰 변형량 최대점이 만곡부 내에 형성되고, 전자레인지로 가열될 때에, 피수용물이 발생하는 증기 또는 가온에 의한 기체의 팽창에 의해 수용부의 내압이 상승하여 포장용 용기와 탑 시일이 변형되며, 변형량 최대점에서의 탑 시일이 포장용 용기의 플렌지부에 접합되어 있는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굴곡 각도가, 변형량 최대점 이외의 둘레벽부에서의 굴곡 각도보다 커져, 변형된 탑 시일과 플렌지부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져, 수용부의 내압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변형량 최대점에서 플렌지부로부터 탑 시일이 박리되어 수용부 내의 증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또, 둘레벽부의 상단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을 가지며, 포장용 용기는, 한 쌍의 변에 각각 만곡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둘레벽부의 상단이 거의 장방형을 형성하고, 포장용 용기는, 장방형의 한 쌍의 장변에 각각 만곡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용 용기는, 만곡부 이외의 둘레벽부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 플렌지부는, 바닥부와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플렌지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장되는 접합용 볼록부를 가지며, 탑 시일은, 접합용 볼록부에 접합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탑 시일은, 플렌지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거의 동일한 접합 폭을 가지도록 플렌지부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수용물은, 식품이라도 좋고, 냉동식품이라도 좋다. 또, 포장용 용기는 수지 또는 종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포장체에 이용되는 포장용 용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용 용기는, 둘레벽부의 일부가 수용부를 향하여 만곡하는 만곡부를 가지고, 수용부의 내압이 상승하여 변형된 탑 시일로부터 인장력을 받았을 때에 둘레벽부 중 가장 변형량이 큰 변형량 최대점이 만곡부 내에 형성되고, 전자레인지로 가열될 때에, 피수용물이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수용부의 내압이 상승하여 변형된 탑 시일로부터 플렌지부가 끌어당겨져, 수용부의 내압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변형량 최대점에서의 플렌지부로부터 탑 시일이 박리되어 수용부 내의 증기가 배출되므로, 전자레인지로의 가열에 앞서 탑 시일의 일부를 박리하지 않고 피수용물을 가열 조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포장체에 이용되는 포장용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포장용 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포장용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포장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중심선 L1에 따른 포장체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중심선 L2에 따른 포장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포장체의 4분의 1 모델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포장체의 가열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포장체의 가열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포장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3에 따른 포장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4에 따른 포장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접합용 볼록부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포장체에 이용되는 포장용 용기(1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포장용 용기(11)는, 위에서 보면 거의 장방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고, 장방형의 장변에 평행한 제1의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1의 중심축(L1)에 관하여 대칭이며, 또, 장방형의 단변에 평행한 제2의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제2의 중심축(L2)에 관해서도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포장용 용기(11)는, 거의 장방형의 평면 형상의 바닥부(12)를 가지고 있고, 바닥부(12)의 둘레가장자리에 둘레벽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부(13)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12)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상승되어 있다. 바닥부(12)의 상방을 둘레벽부(13)가 둘러싸고 있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부(13) 중 제1의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한 쌍의 장변에 상당하는 부분의 둘레벽부(13)가 수용부(14)를 향하여 만곡하고 만곡부(C)를 형성하고 있다.
둘레벽부(13)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둘레벽부(13)의 상단으로부터 수용부(14)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플렌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부(13) 중 제 2의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둘레벽부(13)의 상단에 형성된 플렌지부(15)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손잡이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부(16)는 플렌지부(15)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만곡부(C)가 수용부(14)를 향하여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플렌지부(15) 중 만곡부(C)의 상단에 형성된 플렌지부(15)가 수용부(14)를 향하여 만곡하고 있다.
또, 바닥부(12)에는, 단차부(17)가 형성되고, 또한, 바닥부(12) 및 만곡부(C)에도, 복수의 단차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차부(17) 및 복수의 단차부(18)는, 포장용 용기(1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부(12) 및 만곡부(C)의 일부에 단차를 마련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포장용 용기(11)는, 수지 혹은 종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포장용 용기(11)를 이용한 실시형태 1에 따른 포장체(19)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포장용 용기(11)의 수용부(14)에 조리가 완료된 식품인 피수용물(20)을 수용하고, 수지제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탑 시일로 수용부(14)를 밀봉함으로써, 포장체(19)가 구성된다. 한편, 피수용물(20)을 보이게 하기 위하여, 도 4에 있어서는, 탑 시일을 생략하고 있다. 또, 포장체(19)는, 전자레인지로 가열되는 것이며, 또한, 피수용물(20)은 가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증기를 발생하는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포장체(19)를 제1의 중심축(L1)을 따라서 절단한 정면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포장체(19)를 제2의 중심축(L2) 따라 절단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수용물(20)이 수용부(14)에 수용되고, 수용부(14) 및 피수용물(20)을 덮도록 탑 시일(21)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5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둘레벽부(13) 중 제1의 중심축(L1)과 겹치는 부분의 둘레벽부(13)가 나타나 있다. 또, 도 6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둘레벽부(13) 중 제 2의 중심축(L2)과 겹치는 부분의 둘레벽부(13)가 나타나 있다. 즉, 이 제2의 중심축(L2)과 겹치는 부분의 둘레벽부(13)는, 만곡부(C)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탑 시일(21)이 플렌지부(15)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합됨으로써, 수용부(14)가 탑 시일(21)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때, 플렌지부(15)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탑 시일(21)이 거의 동일한 접합 강도를 가지도록 결합되어 있다.
도 7은, 도 5의 플렌지부(15)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 시일(21)이 일정한 장력을 가지고 플렌지부(15)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합되어 있다.
도 8은, 탑 시일(21)로 밀봉된 수용부(14)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켜, 포장체(19)에 어떻게 응력이 작용하여 변형하는지를 확인하는 4분의 1 모델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포장체(19)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중심축(L1) 및 제2의 중심축(L2)으로 분할한 일부를 이용한 포장체(19)의 4분의 1 모델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했다. 다만, 시뮬레이션상에서는 피수용물(20)을 생략했다. 또, 시뮬레이션에 있어서는, 제1의 중심축(L1) 및 제2의 중심축(L2)의 각각에 있어서, 분할면은 개방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으로 가정했다. 포장체(19)의 형상이 제1의 중심축(L1)에 관하여 대칭이며, 또, 제2의 중심축(L2)에 관해서도 대칭이기 때문에, 4분의 1로 분할한 포장체(19)에 대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분할하고 있지 않은 포장체(19)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수용부(14)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기 전의 포장용 용기(11)의 형상을 일점쇄선으로 표시하고, 수용부(14)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킨 후의 형상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탑 시일(21)로 밀봉된 수용부(14)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탑 시일(21)이 위쪽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변형됨과 함께 둘레벽부(13)가 변형되었다. 이것은, 변형된 탑 시일(21)로부터 플렌지부(15)의 전체 둘레가 인장력을 받음과 함께, 상승한 수용부(14) 내부의 압력이 둘레벽부(13)의 전체에 대하여 작용했기 때문이다고 생각된다.
수용부(14) 내부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에는, 만곡부(C) 및 만곡부(C) 이외의 둘레벽부(13)가 각각 수용부(14)를 향하도록 변형되고, 만곡부(C)의 변형량은, 만곡부(C) 이외의 둘레벽부(13)의 변형량보다 커졌다. 이것은, 만곡부(C)가 만곡부(C) 이외의 둘레벽부(13)보다 변형되기 쉬운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둘레벽부(13)에 있어서 가장 변형량이 큰 변형량 최대점(M)이, 만곡부(C)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변형량 최대점(M)은, 탑 시일(21)과 플렌지부(15)와의 경계부분 중, 도 4에 나타낸 만곡부(C)와 제2의 중심축(L2)이 겹치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또, 변형량 최대점(M)에 응력이 집중하고 있고, 변형량 최대점(M)에 있어서의 플렌지부(15)가, 다른 플렌지부(15)와 비교하여, 더욱 강한 힘을 받고 있는 것도 알았다.
도 4에 나타낸 포장체(19)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수용부(14)에 수용되어 있는 피수용물(20)의 온도가 상승됨으로써, 피수용물(20)로부터 증기가 발생한다. 이때, 수용부(14)는 플렌지부(15)로의 탑 시일(21)의 접합에 의해 밀봉되어 있으므로, 피수용물(20)로부터 증기가 발생되는 것과, 피수용물(20)의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가온된 수용부(14) 내의 기체가 팽창함으로써, 수용부(14)의 내압이 서서히 상승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4)의 내압(P)의 상승에 수반하여, 탑 시일(21)이 수용부(14)의 위쪽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상승한 내압(P)이 둘레벽부(13)의 전체에 균일하게 작용함으로써, 둘레벽부(13)가 수용부(14)를 향하도록 변형된다.
상술한 포장체(19)에 대한 시뮬레이션의 결과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등하게 힘을 받은 둘레벽부(13) 중, 가장 변형량이 큰 변형량 최대점(M)이 만곡부(C) 내에 형성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탑 시일(21)로부터의 인장력 및 상승한 내압(P)으로 변형된 둘레벽부(13) 중에서도, 시뮬레이션의 결과와 같이 만곡부(C)가 만곡부(C) 이외의 둘레벽부(13)보다 크게 변형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벽부(13) 중 가장 변형량이 큰 변형량 최대점(M)이 만곡부(C) 내에 형성된다.
한편, 변형량 최대점(M)은, 시뮬레이션의 결과와 같이, 도 4에 나타낸 제2의 중심축(L2)과 겹치는 만곡부(C)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변형량 최대점(M)이 수용부(14)를 사이에 두고 각각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체(19)의 가열 전에 있어서는, 탑 시일(21)이 플렌지부(15)에 접합된 부분으로부터 이 플렌지부(15)에 대하여 굴곡되지 않고 연장되어 있다. 포장체(19)를 가열함으로써 탑 시일(21)이 변형되어, 둘레벽부(13)의 전체 둘레가 수용부(14)를 향하여 변형됨으로써, 탑 시일(21)이 플렌지부(15)에 접합된 부분으로부터 이 플렌지부(15)에 대하여 소정의 굴곡 각도를 가지고 굴곡하게 된다.
도 11은, 도 9의 플렌지부(15)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변형 후의 포장체(19)를 제1의 중심축(L1)의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는, 변형 후의 탑 시일(21)이 플렌지부(15)에 접합된 부분으로부터 이 플렌지부(15)에 대하여 굴곡 각도(θ1)를 가지고 굴곡되어 있다.
도 12는, 도 10의 플렌지부(15)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변형 후의 포장체(19)를 제2의 중심축(L2)의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는, 변형 후의 탑 시일(21)이 플렌지부(15)에 접합된 부분으로부터 이 플렌지부(15)에 대하여 굴곡 각도(θ2)를 가지고 굴곡되어 있다.
이때, 변형량 최대점(M)의 변형량이 변형량 최대점(M) 이외의 둘레벽부(13)보다 크기 때문에, 도 12에 나타낸 굴곡 각도(θ2)는, 도 11에 나타낸 굴곡 각도(θ1)보다 크다.
또, 탑 시일(21)의 굴곡 각도가 커짐으로써, 플렌지부(15)가 탑 시일(21)로부터 받고 있는 인장력 중, 플렌지부(15)에 대하여 수직인 힘 성분이 커진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렌지부(15) 중 제1의 중심축(L1)과 겹치는 부분의 플렌지부(15)가, 이 플렌지부(15)에 대하여 수직인 힘 성분(Fv1)을 받고 있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렌지부(15) 중 제 2의 중심축(L2)과 겹치는 부분의 플렌지부(15), 즉, 변형량 최대점(M)에 있어서의 플렌지부(15)가, 이 플렌지부(15)에 대하여 수직인 힘 성분(Fv2)을 받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2에 나타낸 굴곡 각도(θ2)는, 도 11에 나타낸 굴곡 각도(θ1)보다 크기 때문에, 도 12에 나타낸 힘 성분(Fv2)은, 도 11에 나타낸 힘 성분 (Fv1)보다 크다.
수용부(14)의 내압이 상승함에 따라서, 탑 시일(21)의 변형량 및 둘레벽부(13)의 변형량이 커져, 탑 시일(21)의 굴곡 각도가 커진다. 또한, 탑 시일(21)의 인장력도 커지기 때문에, 플렌지부(15)에 대하여 수직인 힘 성분이 커진다. 이 힘 성분은, 탑 시일(21)의 박리에 작용하는 것이며, 소정의 박리력에 이르면, 플렌지부(15)로부터 탑 시일(21)이 박리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4)의 내압(P)이 상승해 가면, 탑 시일(21)의 변형량 및 둘레벽부(13)의 변형량도 커진다. 이때, 시뮬레이션의 결과와 같이, 둘레벽부(13) 중 변형량 최대점(M)의 변형량이 가장 커져, 도 12에 나타낸 굴곡 각도(θ2)가 커진다. 또한, 탑 시일(21)의 인장력도 커지므로, 변형량 최대점(M)에 있어서의 플렌지부(15)에 대하여 수직인 힘 성분(Fv2)이, 소정의 박리력에 가까워져 간다.
이와 같이 하여, 수용부(14)의 내압(P)이 설정치를 초과하여, 변형량 최대점(M)에 있어서의 탑 시일(21)의 인장력의 힘 성분(Fv2)이 소정의 박리력에 이르면, 변형량 최대점(M)에 있어서의 플렌지부(15)로부터 탑 시일(21)의 일부가 박리되어, 수용부(14)로부터 증기가 배출된다. 한편, 포장용 용기(11)의 한 쌍의 만곡부(C)에 각각 변형량 최대점(M)이 형성되지만, 포장용 용기(11)의 제조 공차에 의한 형상 및 강도의 격차 및 플렌지부(15)에 대한 탑 시일(21)의 접합 강도의 격차 등에 기인하여, 한 쌍의 변형량 최대점(M) 중 어느 한쪽에서, 우선 탑 시일(21)의 박리가 개시된다. 그리고, 박리된 탑 시일(21)과 플렌지부(15)의 사이로부터 증기가 배출되면, 수용부(14)의 내압(P)이 급격하게 저하하게 된다.
종래의 포장체에 있어서는, 포장용 용기가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에 앞서 탑 시일의 일부를 박리하여 통기구멍을 연 상태로 하여, 포장체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야 했다. 그 때문에, 탑 시일에 설치된 파지부로부터 탑 시일의 일부를 박리하지 않으면 안 되어, 수고가 들었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형태 1에 따른 포장체(19)에 있어서는, 수용부(14)를 밀봉한 채로 포장체(19)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도, 수용부(14)의 내압이 상승하여 설정치를 초과함으로써 탑 시일(21)이 자동으로 박리되어, 수용부(14)의 내압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피수용물(20)이 전자레인지의 내부에 비산될 정도로 수용부(14)의 내압이 계속 상승되지 않아, 전자레인지의 내부가 더러워질 염려가 없다. 이것에 의해, 가열에 앞서 탑 시일(21)의 일부를 박리하는 수고가 들지 않고, 피수용물(20)을 가열 조리할 수 있다.
또, 탑 시일(21)의 일부가 자동으로 박리될 때까지는, 수용부(14)가 밀봉된 채로 피수용물(20)이 가열 조리된다. 수용부(14)가 밀봉되어 있으면, 열에너지를 가진 증기가 포장체(19) 외부로 쓸데없이 방출되지 않고, 또, 증기가 꽉 찬 상태로 대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가열 조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조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2
도 13에 실시형태 2에 따른 포장체(31)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1에서는, 포장용 용기(11)의 둘레벽부(13)의 상단에 형성된 거의 장방형의 한 쌍의 장변에 각각 만곡부(C)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반드시 한 쌍의 장변에 각각 만곡부(C)가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용 용기(32)의 둘레벽부(13)의 상단이 형성하는 거의 장방형이 가지는 한 쌍의 장변 중 어느 하나에 만곡부(C)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포장체(31)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만곡부(C) 내에 형성된 변형량 최대점에 있어서의 플렌지부(15)로부터 탑 시일이 자동으로 박리되기 때문에, 가열에 앞서 탑 시일의 일부를 박리한다고 하는 수고가 들지 않고, 피수용물(20)을 가열 조리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4에 실시형태 3에 따른 포장체(41)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1에서는, 포장용 용기(11)의 둘레벽부(13)의 상단이 거의 장방형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반드시 둘레벽부(13) 중 제2의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둘레벽부(13)가 안쪽으로 돌출할 필요는 없다. 즉,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용 용기(42)의 둘레벽부(13) 중 제2의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둘레벽부(13)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어도 좋다.
포장용 용기(42)의 둘레벽부(13)의 상단이 닫혀진 도형을 형성하고, 둘레벽부(13)의 상단이 제1의 방향(D1)으로 연장되며 또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한 쌍의 변에 각각 만곡부(C)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장용 용기(42)에 만곡부(C)를 형성함으로써, 실시형태 1 및 2와 마찬가지로, 가열에 앞서 탑 시일의 일부를 박리한다고 하는 수고가 들지 않고, 전자레인지로 포장체(41)를 가열하여 피수용물(20)을 가열 조리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15에 실시형태 4에 따른 포장체(51)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1∼3에서는, 포장용 용기(11, 32, 42)의 둘레벽부(13)의 상단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을 가지고 있었지만,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용 용기(52)가 위에서 보아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을 가져도 좋다.
포장용 용기(52)의 둘레벽부(13) 중 소정 범위 부분의 둘레벽부(13)를 수용부(14)를 향하도록 만곡시킴으로써, 만곡부(C)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장용 용기(52)가 위에서 보아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만곡부(C)를 형성함으로써, 실시형태 1∼3과 마찬가지로, 가열에 앞서 탑 시일의 일부를 박리한다고 하는 수고가 들지 않고, 전자레인지로 포장체(51)를 가열하여 피수용물(20)을 가열 조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4에 있어서의 포장체(19, 31, 41, 51)에 이용되는 포장용 용기(11, 32, 42, 52)의 플렌지부(15)에 바닥부(12)와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플렌지부(15)의 전체 둘레로 연장되는 접합용 볼록부(22)를 형성하여 탑 시일(21)을 접합용 볼록부(22)에 접합할 수도 있다.
또한, 탑 시일(21)과 플렌지부(15)의 접합폭은, 플렌지부(15)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지만, 탑 시일(21)이 거의 동일한 접합 강도를 가지면, 반드시 거의 동일할 필요는 없다. 또, 플렌지부(15)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충분한 접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 탑 시일(21)과 만곡부(C)에 있어서의 플렌지부(15)와의 접합폭을 만곡부(C) 이외의 둘레벽부(13)에 있어서의 플렌지부(15)와의 접합폭보다, 좁게 할 수도 있다.
한편, 탑 시일(21)의 접합은, 종전의 방법으로 행하면 좋고, 예를 들면, 접착제를 이용해도 행할 수 있으며, 또, 히트 시일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4에서는, 포장용 용기(11, 32, 42, 52) 및 탑 시일(21)을 수지제의 필름으로부터 형성되어 있었지만, 소재에 의하지 않고, 양자를 접합할 수 있어, 내압을 방출시키지 않는 것이면, 예를 들면, 수지로 라미네이트 된 지재(紙製)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1∼3에 있어서의 포장체(19, 31, 41)에 이용되는 포장용 용기(11, 32, 42)의 손잡이부(16)는, 반드시 플렌지부(15)와 서로 일체로 연결될 필요는 없고, 만곡부(C) 이외의 둘레벽부(13)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실시형태 1∼3에 있어서의 포장용 용기(11, 32, 42)가 손잡이부(16)를 가지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형태 1∼4에 있어서, 조리가 완료된 식품인 피수용물(20) 대신에, 조리하지 않은 식품, 냉동식품 등, 가열됨으로써 증기를 발생하는 각종 피수용물을 이용할 수 있다.
11, 32, 42, 52. 포장용 용기
12. 바닥부
13. 둘레벽부
14. 수용부
15. 플렌지부
16. 손잡이부
17, 18. 단차부
19, 31, 41, 51. 포장체
20. 피수용물
21. 탑 시일
22. 접합용 볼록부
C. 만곡부
M. 변형량 최대점
θ0, θ1, θ2. 굴곡 각도
P. 내압
Fv1, Fv2. 힘 성분
D1. 제1의 방향
D2. 제2의 방향
L1. 제1의 중심축
L2. 제2의 중심축

Claims (10)

  1. 전자레인지로 가열되는 포장체에 있어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상승하는 둘레벽부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둘레벽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둘레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렌지부가 형성된 포장용 용기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또한 가열됨으로써 증기를 발생하는 피수용물과,
    상기 플렌지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플렌지부에 접합됨으로써 상기 수용부 내를 밀봉하는 탑 시일을 구비하고,
    상기 포장용 용기는, 상기 둘레벽부의 일부가 상기 수용부를 향하여 만곡하는 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내압이 상승하여 상기 탑 시일이 변형했을 때에 상기 둘레벽부 중 가장 변형량이 큰 변형량 최대점이 상기 만곡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전자레인지로 가열될 때에, 상기 피수용물이 발생하는 증기 또는 가온에 의한 기체의 팽창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내압이 상승하여 상기 포장용 용기와 상기 탑 시일이 변형되며, 상기 변형량 최대점에서의 상기 탑 시일이 상기 포장용 용기의 상기 플렌지부에 접합되어 있는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굴곡 각도가, 상기 변형량 최대점 이외의 둘레벽부에서의 굴곡 각도보다 커져, 변형된 상기 탑 시일과 상기 플렌지부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 상기 수용부의 내압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변형량 최대점에서 상기 플렌지부로부터 상기 탑 시일이 박리되어 상기 수용부 내의 증기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부의 상단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을 가지며,
    상기 포장용 용기는, 상기 한 쌍의 변에 각각 상기 만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부의 상단이 거의 장방형을 형성하고,
    상기 포장용 용기는, 상기 장방형의 한 쌍의 장변에 각각 상기 만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용기는, 상기 만곡부 이외의 상기 둘레벽부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부는, 상기 바닥부와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플렌지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장되는 접합용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탑 시일은, 상기 접합용 볼록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시일은, 상기 플렌지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거의 동일한 접합 폭을 가지도록 상기 플렌지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수용물은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냉동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용기는 수지 또는 종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체에 이용되는 포장용 용기.
KR1020177037190A 2015-07-09 2016-06-07 포장체 KR20180029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7848 2015-07-09
JPJP-P-2015-137848 2015-07-09
PCT/JP2016/066869 WO2017006685A1 (ja) 2015-07-09 2016-06-07 包装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979A true KR20180029979A (ko) 2018-03-21

Family

ID=5768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190A KR20180029979A (ko) 2015-07-09 2016-06-07 포장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201430A1 (ko)
EP (1) EP3321210A4 (ko)
JP (1) JPWO2017006685A1 (ko)
KR (1) KR20180029979A (ko)
CN (1) CN107735339A (ko)
TW (1) TW201718368A (ko)
WO (1) WO20170066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330B1 (ko) * 2019-08-21 2020-10-12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이동 구조물 및 이동 구조물을 사용하는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8230B2 (ja) * 2017-02-27 2021-09-0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容器
USD906133S1 (en) * 2019-09-18 2020-12-29 Blue Buffalo Enterprises, Inc. Packaging container
JP2021066500A (ja) 2019-10-25 2021-04-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用の蓋付容器
USD994481S1 (en) 2020-10-13 2023-08-08 Blue Buffalo Enterprises, Inc. Packaging container
USD992414S1 (en) 2020-10-13 2023-07-18 Blue Buffalo Enterprises, Inc. Packaging container
USD975537S1 (en) 2021-01-26 2023-01-17 Blue Buffalo Enterprises, Inc. Packaging container
USD975536S1 (en) 2021-01-26 2023-01-17 Blue Buffalo Enterprises, Inc. Packag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83B2 (ja) * 1986-03-27 1996-03-13 ハウス食品株式会社 加熱調理用密封容器
JPH0387688U (ko) * 1989-12-26 1991-09-06
JP3807793B2 (ja) * 1996-09-20 2006-08-09 東セロ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体
JPH10101154A (ja) * 1996-09-30 1998-04-21 Sun A Kaken Co Ltd 加熱処理用包装袋
JP4124287B2 (ja) * 1997-12-12 2008-07-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密封容器
JP2001328686A (ja) * 2000-05-22 2001-11-27 Marumiya Sangyo:Kk 密封式のトレイ型容器
PL1674407T3 (pl) * 2004-12-22 2014-11-28 Nestec Sa Pojemnik na produkt spożywczy i sposób podgrzewania tego pojemnika
US20070068945A1 (en) * 2005-08-26 2007-03-29 Altair Engineering Constant force peelable seal for container
JP4791876B2 (ja) * 2006-04-17 2011-10-12 京阪セロファン株式会社 包装体
WO2008122069A1 (en) * 2007-04-09 2008-10-16 Peter Grech Food packaging with automatic steam safety release vent
US9403347B2 (en) * 2011-12-15 2016-08-02 Berry Plastics Corporation Peelable closure for container
JP6114947B2 (ja) * 2011-12-21 2017-04-19 福岡丸本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体
JP2013233955A (ja) * 2012-05-08 2013-11-21 Daiwa Can Co Ltd 電子レンジ用容器
JP5926643B2 (ja) * 2012-07-24 2016-05-25 共同印刷株式会社 蓋付き容器
US20150217925A1 (en) * 2012-09-14 2015-08-06 Hiromichi Inagaki Packaging container and packaged product contained in said packag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aid packaging container
JP2014239661A (ja) * 2013-06-11 2014-12-25 テーブルマーク株式会社 包装米飯
JP6090024B2 (ja) * 2013-07-19 2017-03-08 凸版印刷株式会社 蓋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330B1 (ko) * 2019-08-21 2020-10-12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이동 구조물 및 이동 구조물을 사용하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006685A1 (ja) 2018-05-24
CN107735339A (zh) 2018-02-23
WO2017006685A1 (ja) 2017-01-12
TW201718368A (zh) 2017-06-01
EP3321210A1 (en) 2018-05-16
US20180201430A1 (en) 2018-07-19
EP3321210A4 (en)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9979A (ko) 포장체
JP5038692B2 (ja) レトルト食品用容器
JP5014079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
JP4937251B2 (ja) 包装体
CN108367854B (zh) 带盖容器和该带盖容器所使用的容器
KR102012769B1 (ko)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WO2015145875A1 (ja) 電子レンジ用容器及び電子レンジ用包装体
TWI674997B (zh) 微波爐用器具
JP2018118755A (ja) 蒸気抜き孔付き包装用容器
JP6500269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体
JP2001328686A (ja) 密封式のトレイ型容器
JP6631236B2 (ja) 包装容器
KR20170066059A (ko) 전자레인지용 포장용기
JP6540139B2 (ja) 蓋付容器
JP6344546B2 (ja) 包装容器
WO2016163428A1 (ja) 電子レンジ用容器
JP6300409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容器
JP6392540B2 (ja) 電子レンジ対応型包装袋
JP6441868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容器
JP2017114492A (ja) 包装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容器本体
JP6928230B2 (ja) 電子レンジ用容器
JP2016159956A (ja) 蓋付容器
JP2018167861A (ja) 蓋付容器
JP6730652B2 (ja) 電子レンジ用容器
KR101912342B1 (ko) 수증기 배출구조를 가진 음식물 조리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