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310A -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310A
KR20180025310A KR1020180020314A KR20180020314A KR20180025310A KR 20180025310 A KR20180025310 A KR 20180025310A KR 1020180020314 A KR1020180020314 A KR 1020180020314A KR 20180020314 A KR20180020314 A KR 20180020314A KR 20180025310 A KR20180025310 A KR 20180025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image
partial
reproduction
mark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루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04N1/00506Customising to the data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6User feedback, e.g. print preview, test print, proofing, pre-flight che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11B27/007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reproducing continuously a part of the information, i.e. repe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7Detecting, i.e.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45Methods therefor using a reference pattern designed for the purpose, e.g. a test ch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74Indicating or reporting
    • H04N1/00076Indicating or repor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8Output means providing an audible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9Output mean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to the user, e.g. using a la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25Fault detection
    • H04N1/3263Fault detection of reading apparatus or transmitter, e.g. original j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25Fault detection
    • H04N1/32635Fault detection of reproducing apparatus or receiver, e.g. out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46Counter-measures
    • H04N1/32651Indicating or reporting
    • H04N1/32657Indicating or repor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s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2201/0003Method used
    • H04N2201/0005Method used using a reference pattern designed for the purpose, e.g. a test ch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8User interven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lacing documents, responding to an ala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 H04N2201/326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of motion picture signals, e.g.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8Processing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84Processing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for error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는, 이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를 행하기 위해서 행해질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복수의 부분 동영상을 조합하고 그 조합된 부분 동영상을 순서적으로 하나의 동영상으로서 재생한다. 재생중의 동영상을 정지하는 것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동영상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 동영상의 처음부터 상기 동영상을 리플레이 하기 위해 명령을 내리는데 사용하기 위한 리플레이 마크를 표시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화상처리장치의 메인티넌스를 행하는 순서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이 걸림 해소, 토너 카트리지 교환, 호치키스의 채움 등에 관한 메인티넌스의 순서를 제시하기 위해 동영상을 재생 가능한 화상 형성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282217호). 이 기술은, 동영상이 제공하는 높은 표현력과 대량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유저가 보다 원활하게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maintenance)를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를 실시하는 순서들의 내용마다 한개의 동영상을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상기 내용이 종이 걸림 해소일 경우, 우선 화상 형성장치의 종이 걸림 장소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장치의 하우징에 설치된 도어를 여는 조작, 그 걸린 종이를 제거하는 조작, 및 그 도어를 닫는 조작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조작 순서를 제시하는 한 개의 동영상이 준비되어 있다.
상기 동영상에서 제시한 메인티넌스 순서에 따라 화상 형성장치에 대한 조작을 유저가 행할 때, 유저는 종종 동영상으로부터 자신의 눈을 떼면서 상기 조작을 행하기 쉽다. 예를 들면, 유저가 반송 경로로부터 걸린 종이를 제거하는 조작을 행할 경우, 동영상을 보면서 그 조작을 행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유저는 그 걸린 종이를 제거하는 조작 동안에 상기 동영상에서 자신의 눈을 떼기 쉽다.
그렇지만, 유저가 상기 조작을 행할 때에 문제가 있거나 그 조작에서의 어떤 것을 행하는데 상당히 긴 시간이 걸리는 경우 등에, 유저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다음 또는 또 다른 순서로 상기 동영상이 진행되어버려, 유저가 현재 관계가 있는 순서와 상기 동영상이 현재 제시되고 있는 순서 간에 차이가 발생해버린다. 유저가 현재 관계가 있는 순서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유저가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동영상의 리플레이를 시작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화상처리장치의 메인티넌스를 행하기 위한 조작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동영상이 재생될 때 일어나기도 하는 상황을 처리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화상 처리장치로서, 유저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화상 처리장치에 대한 각각의 작업을 나타내는 복수의 동영상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하나 이상의 메인티넌스 사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인티넌스 사상과 관련된 복수의 동영상 파일을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처음에 재생되는 제 1 동영상 파일 및 적어도 상기 제 1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 후에 재생되는 제 2 동영상 파일을 포함하는 상기 취득한 복수의 동영상 파일을 상기 취득한 복수의 동영상 파일의 전체 길이를 나타내는 재생 바와 함께 표시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수단은, 상기 취득한 복수의 동영상 파일 중에서 상기 제 2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정지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제 1 동영상 파일의 처음부터가 아닌 상기 제 2 동영상 파일의 처음부터 재생을 유저가 지시하도록 하기 위한 리플레이 마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복수의 부분 동영상이 하나의 동영상으로 조합되기 되기 때문에, 유저는 메인티넌스 사상을 해소하기 위한 작업을 행하는데 필요한 총 시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그 작업의 진척 상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동영상이 정지되는 경우에는, 그 동영상이 정지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 동영상의 처음부터의 동영상을 리플레이 하기 위한 명령을 내리는데 사용하기 위해 리플레이 마크가 표시되므로, 유저는 현재 실시해야 할 조작 순서의 내용을 가리키는 동영상을 반복해서 볼 수 있어, 유저가 그 조작 순서의 지시를 간과하는 것을 막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티넌스 사상(event)과 동영상의 관계를 정의한 데이터 구성도다.
도 5a 내지 도 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디바이스의 화면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디바이스의 화면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디바이스의 화면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디바이스의 화면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실시예에 따른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10은 제1실시예에 따른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1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1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1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 디바이스의 화면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3실시예에 따른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17은 제3실시예에 따른 표시 디바이스의 화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실시예
이하, 제1실시예에 대해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기 등인 화상 형성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화상 형성장치(100)는, CPU(101), ROM(102), RAM(104), 프린터 제어부(105), 화상 판독 제어부(107), 스토리지 제어부(110), 입력제어부(112), 및 표시 제어부(114)를 구비하고, 이것들은 버스(103)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장치(100)는, 스토리지(111), 프린터 디바이스(106), 스캐너 디바이스(108), 원고 반송(feeding) 디바이스(109), 입력 디바이스(113), 및 표시 디바이스(115)를 구비하고 있다.
CPU(101)는, 이 화상 형성장치(1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CPU(101)는 ROM(102)에 기억된 부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을 기동한다. CPU(101)는, 이 OS상에서, 스토리지(11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RAM(104)은, CPU(101)의 주 메모리나, 워크 에어리어 등의 일시 기억영역으로서 사용된다. 프로그램을 CPU(101)가 실행할 때, CPU(101)는 해당 프로그램을 스토리지(111)로부터 판독해서 RAM(104)에 기억한다.
프린터 제어부(105)는, 프린터 디바이스(106)를 제어해서 화상 데이터를 종이 등의 인쇄용지에 인쇄시킨다. 즉, 프린터 디바이스(106)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용지상에 인쇄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다.
화상 판독 제어부(107)는, 스캐너 디바이스(108)를 제어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화상 판독 제어부(107)는, 오토 도큐먼트 피더(ADF)등의 원고 반송 디바이스(109)를 제어하여 원고 반송 디바이스(109)의 원고대로부터 원고를 1매씩 스캐너 디바이스(108)에 반송해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스캐너 디바이스(108)는 CCD 등의 광학판독장치를 사용해서 원고를 주사하고, 원고의 화상정보를 전기신호 데이터로 변환한다.
스토리지(111)는, HDD 등의 읽고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기억장치다. 이 스토리지(111)에는, 화상 형성장치(100)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메인티넌스 순서를 나타내는 동영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상기 프로그램들은 CPU(101)에 의해 실행된다. 스토리지 제어부(110)는 스토리지(111)를 제어한다.
입력제어부(112)는, 터치 패널이나 하드 키 등이어도 되는 입력 디바이스(113)를 거쳐 유저가 내린 조작 명령을 접수한다. 표시 제어부(114)는 LCD나 CRT 등이어도 되는 표시 디바이스(115)를 제어하고, 조작 화면이나 동영상 등을 유저에게 표시시킨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화상 형성장치(100)는, 우측 커버(201) 및 토너 커버(202)를 갖는다.
우측 커버(201)는, 종이가 걸릴 때 걸린 종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인쇄용지의 반송로를 노출시키는데 사용된다. 토너 커버(202)는, 토너를 교환할 때에, 토너 용기들이 배치된 부위를 노출시키는데 사용된다. 화상 형성장치(100)는, 상술한 우측 커버(201) 및 토너 커버(202)가 각각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 있는지를 검지하는 센서들을 갖는다.
도 3은, 화상 형성장치(100)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내부구조는, 예를 들면, CMYK(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의 풀컬러의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어도 된다.
감광 드럼(301)은, 1차 대전기(302)에 의해 특정한 극성의 전위에 대전처리되어, 미도시된 노광부에 의해 참조부호 303으로 나타낸 그 부분이 CPU(101)의 제어하에 노광된다. 이렇게 하여, 예를 들면 K(블랙)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로터리 현상기(304)는, 토너 카트리지와 각각 일체로 된 4개의 현상기를 구비한다. 정전 잠상이 형성된 후, 로터리 현상기(304)의 현상기 중의 하나에 의해, 감광 드럼(301)에, K에 대응하는 화상이 현상된다.
중간 전사 벨트(305)는, 감광 드럼(301)에 현상된 K에 대응한 화상이, 감광 드럼(301)과 중간 전사 벨트(305)가 접촉하게 될 때 1차 전사 롤러(307)에 의해 형성된 전계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05)에 전사되도록 306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 중간 전사 벨트에 화상이 전사된 후, 감광 드럼(301)의 표면은 클리닝 장치(308)에 의해 청소된다. 이 처리를 순차로 반복하여, 4색(마젠타, 시안, 옐로우, 블랙)의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에 포개어서, 결과로서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이때, 단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한 번만 전사 처리가 행해진다.
중간 전사 벨트(305)에 전사된 화상은 2차 전사 롤러(309)에 의해 카세트(310)로부터 급지된 인쇄용지에 인쇄된다. 화상이 인쇄된 인쇄용지는,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해 정착기(311)에 의해 가열된다. 정착 후, 용지는 롤러(312)에 의해, 배지구(313)까지 반송되어 그 화상 형성장치의 외부로 출력된다. 양면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반전 패스(returning path)(314)를 통과해서 용지를 순환시켜, 인쇄 처리를 반복한다.
배지부 센서(315) 및 양면부 센서(316)는, 용지가 걸렸는지를 검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이것들의 센서를 사용하여 종이 걸림(paper jam)의 발생을 검지한다. 이것들의 센서는, 기계적 플래그를 사용한 센서들이나 광학적 소자를 사용한 센서들이어도 좋다.
도 4a는 동영상 리스트 테이블(4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동영상 테이블(410)을 도시한 것이고, 이 양쪽의 테이블은 도 1에 도시된 스토리지(111)에 기억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동영상 리스트 테이블(400)은, 메인티넌스 사상(종이 걸림, 토너 떨어짐 등)과, 해당 메인티넌스 사상의 발생을 검지할 때에 재생해야 할 동영상의 관계를 정의한다. 동영상 리스트 테이블(400)에는, 각 메인티넌스ID(401)가 동영상 리스트(402)의 대응한 리스트에 관련되도록 메인티넌스ID(401)와 동영상 리스트(402)가 기술되어 있다. 메인티넌스ID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있어서 발생하는 메인티넌스 사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다.
도 4a에 도시된 메인티넌스ID들의 예들에 있어서, 메인티넌스ID 001은 배지부 센서(315)에 의해 검지된 종이 반송부에서의 잼(jam)을 가리킨다. 메인티넌스ID 002는 양면부 센서(316)에 의해 검지된 양면부에서의 잼을 가리킨다. 메인티넌스ID 003은, 배지부 센서(315) 및 양면부 센서(316)에 의해 각각 검지된 종이 반송부에서의 잼 및 양면부에서의 잼을 가리킨다.
004는 마젠타 토너 떨어짐을 가리키고, 005는 시안 토너 떨어짐을 가리키고, 006은 옐로우 토너 떨어짐을 가리키며, 007은 블랙 토너 떨어짐을 가리킨다. 이것들은 프린터 디바이스(106)에 의해 검지된다.
동영상 리스트(402)는, 대응한 메인티넌스 사상이 발생할 때에 재생해야 할 동영상의 리스트다. 메인티넌스 사상이 발생할 때에, 상기 메인티넌스 사상을 해소하기 위해서 일련의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일련의 조작 순서는, 예를 들면, 커버를 여는 순서, 걸린 종이를 제거하는 순서, 커버를 닫는 순서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티넌스 사상마다 일련의 조작 순서 중 한 개의 동영상을 개별적으로 준비해두는 것이 아니고, 조작 순서(조작 요소)마다 동영상을 준비해두고, 복수의 동영상을 조합하여 일련의 조작 순서를 유저에게 나타내도록 재생된다. 이후, 상기 조작 순서에 대응한 각 동영상을, 부분 동영상(sub-movie)이라고 한다. 동영상 리스트(402)에는, 복수의 부분 동영상의 조합과, 부분 동영상의 재생순서가, 대응한 메인티넌스ID(401)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상기 부분 동영상의 조합은, 예를 들면, 메인티넌스ID(401)가 001일 경우에는, 동영상 리스트(402)의 대응한 필드에 정의된 것처럼 부분 동영상 A1, A2 및 A4의 조합이다. 재생순서는, 동영상 리스트(402)의 대응한 필드에 부분 동영상들이 기재되어 있는 순서로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메인티넌스ID(401)가 001일 경우에는, A1, A2, A4의 순서로 부분 동영상들이 재생되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동영상 테이블(410)은, 동영상ID(411), 동영상 파일(412), 재생 시간(413), 커버 개/폐 플래그(414) 및 메시지(415)간의 대응을 정의하는 테이블이다.
동영상ID(411)는, 부분 동영상을 식별하는 ID다. 이때, 동영상ID(411)는, 전술한 동영상 리스트 테이블(400)에 있어서의 동영상 리스트에서도 사용된다. 동영상 파일(412)은, 재생될 부분 동영상의 파일명과 스토리지(111)에 있어서의 부분 동영상 파일의 위치를 보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분 동영상 파일들이 스토리지(111)내에 예에 의해 기억되어 있지만, 대신에,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접속된 서버나, USB케이블을 거쳐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접속된 기억 디바이스 등의 외부장치에 그 부분 동영상 파일들을 기억해두고, 필요할 때에 이로부터 부분 동영상 파일들을 판독하여도 좋다.
재생 시간(413)은, 그 부분 동영상을 처음부터 끝까지 재생하는데 필요한 재생 시간을 보이고 있다.
커버 개/폐 플래그(414)의 값은, 대응한 부분 동영상이, 화상 형성장치(100)의 커버를 열기 전이나 연 후에 행해질 순서를 나타내는지를 가리킨다. 커버 개/폐 플래그(414)의 값이 0일 경우에, 대응한 부분 동영상은, 화상 형성장치(100)의 커버를 열기 전에 행해질 순서를 나타낸다. 한편, 커버 개/폐 플래그(414)의 값이 1일 경우에는, 대응한 부분 동영상은, 화상 형성장치(100)의 커버를 연 후에 행해질 순서를 나타낸다.
메시지(415)는, 대응한 부분 동영상을 재생할 때 표시된 메시지다.
각 부분 동영상 파일은, 아래에 기술된 조작 순서를 나타낸다.
부분 동영상 A1에는, 우측 커버(201)를 여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A2에는, 배지부 센서(315)에 가까운 부위에 걸린 종이를 제거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A3에는, 양면부 센서(316)에 가까운 부위에 걸린 종이를 제거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A4에는, 우측 커버(201)를 닫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1에는, 토너 커버(202)를 여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2에는, 빈 마젠타 토너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3에는, 새로운 마젠타 토너 카트리지를 준비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4에는, 새로운 마젠타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5에는, 빈 시안 토너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6에는, 새로운 시안 토너 카트리지를 준비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7에는, 새로운 시안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8에는, 빈 옐로우 토너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9에는, 새로운 옐로우 토너 카트리지를 준비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10에는, 새로운 옐로우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11에는, 빈 블랙 토너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12에는, 새로운 블랙 토너 카트리지를 준비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13에는, 새로운 블랙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부분 동영상 B14에는, 토너 커버(202)를 닫는 조작 순서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4a를 다시 참조하면, 동영상 리스트(402)에는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반송부에서 종이가 걸릴 경우(이 경우에, 메인티넌스ID가 001이다), 최초에 우측 커버(201)를 여는 조작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부분 동영상 A1이 재생된다. 이어서, 배지부 센서(315)에 가까운 부위로부터 상기 걸린 종이를 제거하는 조작 순서를 나타내도록 부분 동영상 A2가 재생되고 나서, 우측 커버(201)를 닫는 조작 순서를 나타내도록 부분 동영상 A4가 재생된다. 표시된 부분 동영상들 중, 부분 동영상 A2는, 메인티넌스 사상, 즉 본 예에서 종이 반송부에서의 잼을 해소하기 위한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부분 동영상이다. 한편, 부분 동영상A1은 그 준비를 위한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부분 동영상이다. 이하, 메인티넌스 사상을 해소하는 순서를 행하기 전에 행해질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부분 동영상을, "준비 순서 동영상"이라고 한다. 한편, 메인티넌스 사상을 해소하기 위한 조작 순서, 바꿔 말하면, 상기 준비 순서 동영상으로 나타내어진 조작 순서를 실시한 후에 행해질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부분 동영상을, "본편 순서 동영상"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메인티넌스ID가 001일 경우, 부분 동영상 A1이 준비 순서 동영상으로서 사용되고, 부분 동영상 A2와 A4가 본편 순서 동영상으로서 사용된다. 메인티넌스 ID가 004일 경우, 부분 동영상 B1이 준비 순서 동영상으로서 사용되고, 부분 동영상 B5, B6, B7, B14가 본편 순서 동영상으로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개/폐 플래그(414)에 대한 0의 값을 갖는 부분 동영상이 준비 순서 동영상이고, 커버 개/폐 플래그(414)에 대한 1의 값을 갖는 부분 동영상이 본편 순서 동영상이다.
도 5a 내지 도 5d, 도 6a 내지 도 6d,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a 및 도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된 화면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표시된 화면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해 아래에서 개요를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에 있어서, 화면(500)은 CPU(101)가 스토리지(11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표시될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표시되고, 결과로서 얻어진 표시될 데이터는 표시 제어부(114)를 거쳐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되어서 그 화면(500)을 표시한다.
도 5a는, 메인티넌스 사상의 발생을 검지했을 때에 최초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도시한 것이다. 종이 반송부에서의 잼의 발생을 검지했을 경우(이 경우에, 메인티넌스ID가 001이다)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메인티넌스ID가 001일 경우, 동영상 리스트 테이블(400)에 의하면, 동영상ID가 A1, A2, A4의 부분 동영상이 순차적으로 재생된다. 도 5a에 도시된 예에서, 준비 순서 동영상인 부분 동영상 A1의 처음은 정지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화면(500)에는, 동영상 표시 영역(501), 재생 버튼(502), 재생 마크(503), 재생 시간 표시 라벨(504), 바(bar)(505), 슬라이더(506), 챕터 마크(507), 메시지 영역(508), 아이콘(509)이 표시되어 있다.
동영상 표시 영역(501)은, 메인티넌스 순서를 나타내는 동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재생 버튼(502)은, 동영상의 재생을 시작하는 명령을 내리는데 사용된 버튼이다. 재생 마크(503)는, 재생 버튼(502)과 같이, 동영상을 재생하는 명령을 내리는데 사용된 마크다. 재생 버튼(502) 또는 재생 마크(503)가 눌려(터치)지면, CPU(101)는 동영상의 재생을 시작한다.
재생 시간 표시 라벨(504)은, 재생될 복수의 부분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총 합계(이후, 총 재생 시간이라고 한다)를 가리키고, 이 총 재생 시간에서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가리킨다.
바(505)와 슬라이더(506)의 조합은, 총 재생 시간에서의 재생 위치를 가리키고 또 유저가 재생 위치를 특별한 위치로 변경하게 하는, 시크(seek) 바를 구성한다. 바(505)는, 총 재생 시간을 그래프로 보이고 있다. 슬라이더(506)는 현재의 재생 위치를 가리킴과 아울러 그 재생 위치가 이동될 특별한 위치를 특정하는데 사용된다. 슬라이더(506)는, 동영상이 진행됨에 따라 그에 대응하게 바(505)의 범위내에서 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더(506)를 드래그(이동)함으로써, 재생 위치를 현재의 위치로부터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바(505)의 임의의 위치가 눌려지면, 그 눌려진 위치까지 그에 대응하게 동영상의 재생이 진행되고, 그에 대응하게 슬라이더(506)도 그 눌려진 위치로 이동된다. 챕터 마크(507)는, 챕터 간의 경계를 가리킨다.
이하, 재생 시간 표시 라벨(504) 및 챕터 마크(507)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인티넌스ID가 001일 경우, 동영상 리스트 테이블(400)에 의하면, 부분 동영상 A1, A2, A4가 순차적으로 재생된다. 동영상 테이블(410)은, 이것들의 부분 동영상의 재생 시간이 각각 10초(00:10), 30초(00:30) 및 20초(00:20)인 것을 가리킨다. 총 재생 시간은, 재생될 부분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총 합계이기 때문에, 이 구체적인 예에서는 총 재생 시간이 1분00초(01:00)다. 한편, 재생 시간은, 총 재생 시간에서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첫 번째 표시된 부분 동영상인 부분 동영상 A1의 처음부터 5초(00:05)경과한 씬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그 재생 시간은 5초다. 한편, 본 부분 동영상들의 조합에 있어서 두 번째 부분 동영상인 부분 동영상 A2의 처음부터 10초가 경과한 위치에 현재의 씬이 있는 경우에는, 재생을 끝낸 부분 동영상 A1의 재생 시간 10초와, 부분 동영상 A1을 재생할 때 소요된 재생 시간 10초의 합으로 재생시간이 되므로, 그 재생시간은 20초(00:20)다. 재생 시간 표시 라벨(504)은, 이렇게 하여 계산한 재생 시간과 총 재생 시간을, 슬래시(/)로 분리한 문자열로서 나타낸다.
챕터 마크(507)는 일련의 조작 순서에서 조작 순서 간의 경계에 표시된다. 본 예에서, 2군데의 챕터 마크(507)는, 부분 동영상들이 변경되는 경계,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군데는 A1과 A2 사이의 경계에, 나머지 한 군데는 A2와 A4 사이의 경계에, 표시된다. 추가로, 2군데의 챕터 마크(507)는, 한 군데는 동영상 전체의 처음에 나머지 한 군데는 동영상 전체의 끝에 있도록 표시되어도 좋다. 도 5a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4군데에 챕터 마크(507)가 표시되어 있다.
메시지 영역(508)에는, 재생중의 부분 동영상의 내용에다가 보충 정보를 제공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부분 동영상 A1이 재생될 때는, 동영상 테이블(410)내의 메시지(415)의 해당 필드에서의 데이터에 따라 "우측 커버를 열어 주십시오"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그 메시지 영역(508)은, 대응하는 부분 동영상의 재생을 시작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비표시되어도 좋거나, 메시지 영역(508)은, 대응하는 부분 동영상이 표시되고 있으면 표시되어도 좋다.
아이콘(509)은, 화상 형성장치(100)에 있어서 메인티넌스 사상이 발생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인티넌스ID가 종이 반송부에서 종이가 걸린 것을 가리키는 001일 경우에, 그 아이콘(509)은 종이 반송부를 가리킨다.
도 5a에 도시된 화면에 있어서, 재생 버튼(502) 또는 재생 마크(503)가 눌려지면, 동영상의 재생이 개시된다. 메인티넌스ID가 001일 경우, CPU(101)는 준비 순서 동영상인 부분 동영상A1의 재생을 시작한다. 도 5b는, 부분 동영상 A1의 개시 2초 후의 부분 동영상 A1의 표시 위치에서의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동영상의 재생 시작에 따라, 재생 버튼(502) 및 재생 마크(503)가 비표시되고, 대신에, 재생 버튼(502)을 표시한 같은 위치에 일시정지 버튼(510)이 표시된다.
도 5c는, 재생 위치가 부분 동영상 A1의 끝에 도달한 상태의 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다. 부분 동영상 A1의 재생이 종료한 시점, 즉 챕터 마크(511)의 위치에서, 동영상의 재생이 자동적으로 정지되어 일시정지 상태로 유지되고, 재생 마크(512)와 리플레이 마크(513)가 표시된다. 일시정지 버튼(510)은 비표시되고, 대신에, 상기 일시정지 버튼(510)이 이전에 표시되었던 장소에 재생 버튼(514)이 표시된다. 리플레이 마크(513)는, 현재 정지상태에 있는 부분 동영상의 처음부터 리플레이하는 명령을 내리는데 사용된 마크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챕터 마크(511)의 위치에서 동영상이 정지상태에 있을 때, 리플레이 마크(513)가 눌려지면, CPU(101)는 부분 동영상 A1의 처음으로 재생 위치를 이동해서 그 부분 동영상 A1의 재생을 재개한다. 재생 위치가 부분 동영상의 끝에 도달할 때, 상술한 것처럼 상기 재생이 자동적으로 정지되어 일시정지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동영상의 재생을 제어함으로써, 유저의 의도를 고려하지 않고 다음 조작 순서로 동영상이 진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조작이 일시정지 상태로 될 때, 재생 마크(512)와 함께 리플레이 마크(513)를 표시하므로, 다음 조작 순서의 동영상으로 진행할 것인지 그 동영상을 리플레이할 것인지를 유저가 선택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5d는, 부분 동영상 A1의 재생처리 도중에 우측 커버(201)의 열림이 검지될 때 표시된 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다. 우측 커버(201)의 열림이 검지될 때, CPU(101)는 부분 동영상 A1의 재생을 자동적으로 종료하고, 부분 동영상 A2의 처음(챕터 마크(515))에서 재생이 정지되는 방식으로 본편 순서 동영상의 최초의 부분 동영상인 부분 동영상 A2를 표시한다. 이 경우, 여러 가지 마크 중, 재생 마크(516)만 표시된다. 재생 마크(516)만을 표시함으로써, 다음에 해야 할 작업을 알기 위해 유저에게 동영상을 보도록 재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메시지 영역(508)에는, 부분 동영상 A2에 대응하는 메시지 "종이 반송부로부터 종이를 제거해주십시오"가 표시된다. 이미 우측 커버(201)가 열린 경우에는, 부분 동영상 A1을 재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리플레이 마크는 표시되지 않는다. 준비 순서 동영상으로 지시된 조작을 완료했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동영상의 재생은, 다음 순서의 지시가 유저에게 반드시 제시되도록, 본편 순서 동영상으로 진행된다.
도 5c와 도 5d간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같은 챕터위치(511, 515)에서 동영상이 일시정지 상태에 있지만, 리플레이 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에 차이가 있다. 상술한 것처럼, 준비 순서 동영상과 본편 순서 동영상 사이의 경계에서 동영상이 일시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리플레이 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함으로써, 준비 순서 동영상에 의해 지시된 조작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유저가 용이하게 알게 할 수 있다.
도 5c 또는 도 5d에 도시된 화면에 있어서, 재생 마크 512 또는 516 또는 재생 버튼(514)이 눌려지면, 부분 동영상 A2의 재생이 개시된다. 도 6a는, 부분 동영상 A2의 재생이 개시되고 나서 3초가 경과되었을 때에 표시된 부분 동영상 A1의 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부분 동영상 A2의 재생동작 도중에 일시정지 버튼 또는 동영상 표시 영역이 눌려졌을 때 표시된 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시정지 버튼 또는 동영상 표시 영역이 눌려지면, 동영상의 재생이 정지되어, 재생 마크(601)와 함께 리플레이 마크(602)가 표시된다.
도 6c는, 재생 동작이 부분 동영상 A2의 끝에 도달한 상태로 표시된 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다. 부분 동영상 A2의 재생이 종료한 시점, 즉 챕터 마크(603)의 위치에서, 동영상의 재생이 자동적으로 정지되어 일시정지 상태로 유지되고, 재생 마크(604)와 함께 리플레이 마크(605)가 표시된다.
도 6d는, 도 6b에 표시된 화면에 있어서의 리플레이 마크 602, 또는 도 6c에 표시된 화면에 있어서의 리플레이 마크 605가 눌렸을 때에 표시된 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다. 리플레이 마크 602 또는 605가 눌리면, 현재 일시정지상태에 있는 부분 동영상 A2의 처음(챕터 마크 606)으로 위치가 이동해서 부분 동영상 A2의 처음부터 재생이 재개된다.
상술한 것처럼, 유저에 의해 행해진 의도적인 조작에 따라 동영상의 재생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경우도, 부분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될 때 동영상의 재생이 자동적으로 일시적으로 정지되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생 마크와 함께 리플레이 마크가 표시된다.
도 7a는, 재생 위치가 동영상 전체의 끝(메인티넌스ID가 001일 경우의 부분 동영상 A4의 끝)에 도달한 상태로 표시된 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다음에 표시되는 부분 동영상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리플레이 마크(701)만 표시되어, 재생 마크는 표시되지 않는다. 재생 버튼(702)은, 재생 버튼(702)이 조작 불가능한 것을 나타내도록 그레이 아웃 표시되어 있다.
도 7b는, 재생 위치가 동영상의 끝에 도달한 상태로 표시된 다른 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에 도시된 예와 달리, 리플레이 마크(701)와 함께, 재생 마크(703)가 표시되어 있지만, 그 재생 마크(703)는 재생 마크(703)가 조작 불가능한 것을 나타내도록 그레이 아웃 표시되어 있다. 그레이 아웃 표시된 재생 버튼(702) 또는 재생 마크(703)가 눌리는 경우에도, 그 눌림은 무효화된다.
상술한 것처럼, 발생한 메인티넌스 사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동영상 전체에 대해 재생이 종료할 때, 이 상태로 표시된 화면은, 재생동작 도중에 재생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표시된 것과 다르고, 이 차이에 의해 유저는 전체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7c는, 도 7a 또는 도 7b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더(506)가 이동될 때 표시된 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리플레이 마크(705)와 함께, 재생 마크(704)가 표시된다. 또한, 재생 버튼(706)의 그레이 아웃 모드가 해제된다. 상술한 것처럼, 동영상의 끝까지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하는 상태에서도, 슬라이더(506)를 이동하거나 상기 바(505)를 누름으로써 특정된 임의의 위치부터 그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도 8a는, 종이 반송부와 양면부에서의 잼이 검지되고(이 경우에, 메인티넌스ID는 003), 대응하는 동영상이 재생중인 상황에서 표시된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이콘(801)은, 종이 반송부와 또 양면부에서 종이 걸림이 발생한 것을 가리킨다. 메인티넌스ID가 003일 경우, 동영상 리스트 테이블(400)에 의하면, 동영상 ID가 A1, A2, A3, A4의 부분 동영상이 순차적으로 재생된다. 따라서, 재생 시간 표시 라벨(802)은, 이것들의 부분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총 합계로 주어진 총 재생 시간이 1분40초(01:40)를 가리키고, 또 현재의 재생 위치를 가리킨다. 동영상의 처음, 동영상의 끝, 및 인접한 동영상간의 경계들의 각 위치에는, 챕터 마크(803)가 표시되어 있다. 도 8a에 도시된 예에서, 배지부 센서(315)에 가까운 부위에 걸린 종이를 제거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부분 동영상 A2의 재생은 종료하고, 양면부 센서(316)에 가까운 부위로부터 걸린 종이를 제거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부분 동영상 A3의 재생이 진행중이다. 여기서, 유저는 부분 동영상 A2로 나타낸 순서에 따라 배지부 센서(315)에 가까운 부위로부터 걸린 종이를 제거하는 처리를 완료한 예로 한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우측 커버(201)를 닫는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표시된 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비록 종이 반송부에서의 종이 걸림이 해소되어 있지만 양면부에서의 종이 걸림은 아직 해소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CPU(101)는 메인티넌스ID를 갱신하고, 양면부에서의 종이 걸림(이 경우에, 메인티넌스ID는 002)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해 그 조작을 전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인티넌스ID가 002일 경우, 동영상 리스트 테이블(400)에 의하면, 동영상ID가 A1, A3, A4의 부분 동영상이 순차적으로 재생된다. 즉, CPU(101)는, 부분 동영상 A1의 처음이 일시 정지 상태에 표시된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아이콘(804), 재생 시간 표시 라벨(805) 및 챕터 마크(806)의 표시도 갱신된다.
상술한 것처럼, 커버의 닫힘이 검지된 시점에서, 화상 형성장치(100)에 발생하고 있는 메인티넌스 사상에 관해 재확인되어, 그 확인 결과에 따라 필요에 따라 더욱 표시될 동영상이 변경된다. 따라서, 종이 반송부에서의 잼이나 양면부에서의 잼 등, 복수의 장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장해들을 해소하기 위한 작업에서 유저가 커버를 닫을 때, 유저는 그 작업의 일부가 완료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9∼도 12는, 도 1에 도시된 CPU(101)에 의해 행해진 메인티넌스 순서의 표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9에 도시된 처리는, 전술한 우측 커버(201) 및 토너 커버(202)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 배지부 센서(315), 및 양면부 센서(316)가 출력한 값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변화를 프린터 제어부(105)가 검지할 때 개시된다.
우선, CPU(101)는, 어느 쪽의 메인티넌스 사상이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메인티넌스ID를 특정한다(S901). 예를 들면, 배지부 센서(315)가 출력하는 값이, 해당 센서에 가까운 부위에 인쇄용지가 걸린 것을 가리키는 경우에, CPU(101)는, 메인티넌스ID가 001(배지부에서의 잼)이라고 판정한다.
이어서, CPU(101)는, 동영상 리스트 테이블(400)을 참조하여, S901에서 판정된 메인티넌스ID에 대응하는 부분 동영상의 리스트를 취득하고 부분 동영상의 총수N도 취득한다(S902). 예를 들면, 그 특정한 메인티넌스ID가 001일 경우, 재생하는 부분 동영상은 A1, A2, A4이며, 부분 동영상의 총수는 3이다. CPU(101)는, 상기 부분 동영상들이 재생될 순서로, 예를 들면 배열 정보의 형태로, RAM(104)에 상기 특정된 부분 동영상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S903에서, CPU(101)는, 동영상의 총 재생 시간을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CPU(101)는, 동영상 테이블(410)에 따라, S902에서 취득한 부분 동영상 각각의 재생 시간(413)을 취득하고, 이 재생 시간(413) 들의 총계를 산출한다. CPU(101)는, 산출한 총 재생 시간에 따라 재생 시간 표시 라벨(도 5a의 504) 등을 표시한다.
계속해서, CPU(101)는, 부분 동영상 각각의 재생 시간(413)에 의거하여 각각의 챕터 마크를 표시하는 위치를 산출한다(S904). 그리고, CPU(101)는, 바상에 있어서, S904에서 산출한 표시 위치에 챕터 마크를 표시한다(S905).
S906에서, CPU(101)는, 처음의 동영상ID의 부분 동영상을 RAM(104)에 로딩하여(loading), 그 부분 동영상이 일시정지 상태에서 표시되도록 표시 디바이스(115)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메인티넌스ID가 001일 경우, CPU(101)는, 준비 순서 동영상인 부분 동영상 A1을 RAM(104)에 로딩하여, 그 부분 동영상이 일시정지 상태에서 표시되도록 표시 디바이스(115)에 출력한다.
그리고, CPU(101)는, 재생 마크 및 재생 버튼을 표시 디바이스(115)에 출력한다(S907). 이렇게 해서, 도 5a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상술한 S903, S904에 있어서, CPU(101)는, 동영상 테이블(410)에 기술된 재생 시간(413)을 이용해서 총 재생 시간과 각각의 챕터 마크를 표시하는 위치들을 산출하였지만, CPU(101)는 재생 시간(413)을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즉, CPU(101)는, 복수의 부분 동영상을 RAM(104)에 로딩하고, 각각의 부분 동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와 프레임수로부터 각 부분 동영상의 재생 시간을 산출하여도 된다. 이들의 산출된 값으로부터, CPU(101)는, 총 재생 시간과, 각각의 챕터 마크를 표시하는 위치를 추가로 산출하여도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동영상의 형식이나 코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고, 여러 가지 형식이나 코덱을 이용하여도 된다.
도 10은, 메인티넌스 순서를 나타내는 동영상이 일지정지 상태에 있을 때 재생 버튼, 재생 마크, 또는 리플레이 마크가 눌릴 때에 행해진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다.
CPU(101)는, 버튼 또는 마크가 눌렸는지를 판정한다(S1001). 계속해서, CPU(101)는, 버튼/마크가 눌렸는지, 또는 리플레이 마크가 눌렸는지를 판정한다(S1002). 재생 버튼 또는 재생 마크가 눌렸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S1003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101)는, 동영상의 동작상태를 재생 상태로 변경한다.
한편, 리플레이 마크가 눌렸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S1004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101)는, 현재 일시정지 상태에 있는 부분 동영상의 재생위치를 그 부분 동영상의 처음으로 이동하고, 그 처음부터 부분 동영상의 리플레이를 시작한다.
S1005에 있어서, CPU(101)는, 리플레이 마크와 재생 마크를 비표시 하고, 일시정지 버튼을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한다. 이렇게 해서, 도 5b, 도 6a, 도 6d등에 도시된 화면들이 표시된다.
도 11은, 메인티넌스 순서를 나타내는 동영상의 재생을 정지하기 위해 행해진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다.
CPU(101)는, 일시정지 버튼 또는 동영상 표시 영역이 눌렸는지를 판정한다(S1101). 일시정지 버튼 또는 동영상 표시 영역이 눌렸다고 판정했을 경우, S1102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101)는, 동영상의 동작상태를 일시정지 상태로 변경한다.
계속해서, CPU(101)는, 재생 마크와 리플레이 마크를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한다(S1103).
또한, CPU(101)는, 재생 버튼을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해서(S1104), 처리를 종료한다. 이렇게 해서, 도 6b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S1101에 있어서, 일시정지 버튼 및 동영상 표시 영역이 눌리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S1105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101)는, 동영상의 재생 위치가 챕터 마크 중 하나에 대응한 위치인지를 판정한다. 이때, 챕터 마크들은 부분 동영상 간의 경계에 있고, 동영상 전체의 처음과 끝은 챕터 마크 위치에 포함되지 않는다. 동영상의 재생 위치가 챕터 마크 위치 중 하나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CPU(101)는, 전술한 S1102∼S1104의 처리를 행한다. 이렇게 해서, 도 5c 및 도 6c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S1105에 있어서, 동영상의 재생 위치가 챕터 마크 위치 중 어느 한쪽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CPU(101)는, 동영상의 재생 위치가 부분 동영상의 끝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S1106). 부분 동영상의 끝에 도달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CPU(101)는, 동영상의 동작상태를 일시정지 상태로 변경한다(S1107). 한편, 부분 동영상의 끝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CPU(101)는 S1101의 처리에 복귀한다. S1107 후, CPU(101)는, 리플레이 마크를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한다(S1108).
또한, CPU(101)는, 그레이 아웃 방식으로 재생 버튼을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한다(S1109). 이렇게 해서, 도 7a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S1108에서는, 리플레이 마크와 함께, 그레이 아웃된 재생 마크를 표시하여도 좋다(도 7b).
도 12는, 메인티넌스 순서를 나타내는 동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화상 형성장치(100)의 커버를 열 때 행해진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다.
S1201에서는, CPU(101)는, 현재 발생하고 있는 메인티넌스 사상에 대응하는 커버가 열리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종이 반송부에서의 잼(메인티넌스ID가 001)이 발생했을 경우, 동영상은 우측 커버(201)를 여는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부분 동영상 A1을 포함하기 때문에, CPU(101)는, 우측 커버(201)의 센서로부터 출력된 값을 확인하여 우측 커버(201)가 열렸는지를 판정한다. 그 대응한 커버가 열렸다고 판정했을 경우, CPU(101)는, 동영상 테이블(410)의 커버 개/폐 플래그(414)의 값을 확인하고 그 커버 개/폐 플래그(414)에 의해 특정되고, 커버를 연 후 행해질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최초의 부분 동영상의 처음, 즉, 본편 순서 동영상의 처음으로,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한다(S1202). 예를 들면, 메인티넌스ID가 001일 경우, 본편 순서 동영상의 최초의 부분 동영상, 즉 커버 개/폐 플래그(414)의 1의 값에 대응한 최초의 부분 동영상은 A2이다. 따라서, CPU(101)는, 부분 동영상 A2의 처음에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한다.
그리고, CPU(101)는, 동영상의 동작상태를 일시정지 상태로 변경하고(S1203), 재생 마크 및 재생 버튼을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한다(S1204). 이렇게 해서, 도 5d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본 처리에서는, 본편 순서 동영상이 재생중일 때 대응한 커버의 열림이 검지되었을 경우도, S1202∼S1204의 처리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메인티넌스ID가 001일 경우, 본편 순서 동영상에서 부분 동영상 A2를 재생하는 동작 중에 다시 우측 커버(201)의 열림을 검지했을 경우, CPU(101)는, 도 5d에 도시된 화면으로 상기 표시된 화면을 변경한다. 이에 따라, 시크 바의 조작에 의해 커버를 열기 전에 본편 순서 동영상에 재생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에도, 다음에 행해야 할 순서를 지시할 수 있어, 유저가 그 조작 순서의 지시의 간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3은, 메인티넌스 순서를 나타내는 동영상이 재생중인 상태에서, 화상 형성장치(100)의 커버가 닫혔을 때 행해진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다.
S1301에서는, CPU(101)는, 열린 상태에 있는 커버가 닫혔는지를 판정한다. 커버가 닫혔다고 판정했을 경우, 모든 메인티넌스 사상이 해소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S1302). 예를 들면, 종이 반송부에서의 잼과 양면부에서의 잼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응한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작 도중에 우측 커버(201)가 닫히면, CPU(101)는, 배지부 센서(315)와 양면부 센서(316)의 값을 확인하여 종이 반송부에서의 잼과 양면부에서의 잼이 해소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양쪽의 잼이 해소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 CPU(101)는, S1303의 처리로 진행된다. 양쪽의 잼이 해소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 CPU(101)는, S1304의 처리로 진행된다.
S1303에서는, CPU(101)는, 메인티넌스 순서를 나타내는 화면을 비표시 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S1304에서는, CPU(101)는, 해소된 메인티넌스 사상이 있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종이 반송부에서의 잼 또는 양면부에서의 잼 중 어느 쪽이 해소된 것인가에 관해 판정한다. 해소된 메인티넌스 사상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CPU(101)는, 도 9의 S901에서 판정된 메인티넌스ID를, 미해소된 메인티넌스 사상에 대응한 메인티넌스ID에 갱신한다(S1305). 예를 들면, 종이 반송부에서의 잼 및 양면부에서의 잼이 발생할 때(이 경우에, 메인티넌스ID가 003), 대응하는 메인티넌스 순서가 나타내어지고 있을 때 종이 반송부에서의 잼이 해소되고, 그 후 우측 커버(201)가 닫힌 경우, CPU(101)는, 메인티넌스ID를 002에 변경한다. 또한, CPU(101)는, 변경된 메인티넌스ID에 대응한 동영상을 RAM(104)에 로딩한다. 그리고, CPU(101)는, 총 재생 시간을 산출하고, 챕터 마크를 배치한다. 상세한 처리는, 상술한 S901∼S905에서 행해진 것과 같기 때문에, 추가의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CPU(101)는, 상기 변경된 메인티넌스ID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RAM(104)에 로딩하고, 일시정지 모드에서 동영상을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한다(S1306). 예를 들면, 메인티넌스ID가 002일 경우, CPU(101)는, 동영상 리스트 테이블(400)에 따라, 부분 동영상 A1의 처음에서 정지되도록 그 부분 동영상A1이 표시되는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CPU(101)는, 재생 마크 및 재생 버튼을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한다(S1307). 이렇게 해서, 도 8a에 도시된 화면에서 도 8b에 도시된 화면으로 화면이 전환된다. 본 처리에서는, 이미 종료된 조작 순서의 동영상을 다시 재생하지 않지만, 아직 해소되지 않은 메인티넌스 사상에 관련된 동영상을 처음부터 재생하여, 메인티넌스 효율을 향상시켜 유저가 작업 순서를 간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상기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동영상의 재생 위치가 끝에 도달한 상태(도 7a 또는 도 7b)로 리플레이 마크(701)가 눌린 경우(도 10의 S1002), 동영상의 재생은 동영상이 정지된 위치에 대응한 부분 동영상의 처음에 복귀되고, 상기 리플레이가 시작된다(도 10의 S1004). 이하의 설명에서는, 커버가 리플레이 마크가 눌릴 때의 커버의 개/폐 상태에 따라 다른 위치로 재생 위치를 복귀하는 예로 한다.
도 14는, 동영상의 끝에서 동영상의 재생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플레이 마크가 눌릴 때에 CPU(101)에서 행한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다.
우선, CPU(101)는, 리플레이 마크가 눌린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S1401). 리플레이 마크가 눌렸다고 판정했을 경우, CPU(101)는, 현재 발생하고 있는 메인티넌스 사상에 대응하는 커버가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에 있는지를 추가로 판정한다(S1402).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메인티넌스ID가 001일 경우, 우측 커버(201)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인지에 관해 판정이 행해진다. 대응한 커버가 열린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CPU(101)는, S1403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대응한 커버가 닫힌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CPU(101)는, S1404의 처리로 진행된다.
S1403에서는, CPU(101)는, 동영상 테이블(410)의 커버 개/폐 플래그(414)에 따라,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본편 순서 동영상의 처음으로 이동한다.
S1404에서는, CPU(101)는, 대응한 메인티넌스ID의 동영상의 처음에,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한다.
S1403 또는 S1404의 처리 후, CPU(101)는, 동영상의 동작을 재생 상태로 변경한다(S1405). 그리고, CPU(101)는, 리플레이 마크를 비표시 하고, 일시정지 버튼을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한다(S1406).
도 15a 내지 도 15c는, 도 14에 도시된 처리가 행해졌을 경우에 표시된 화면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는, 도 11의 S1106∼S1106의 처리를 행한 시점에서 표시된 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종이 반송부에서의 잼(이 경우에, 메인티넌스ID가 001)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재생되고 그 동영상이 끝에서 정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우측 커버(201)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리플레이 마크(1501)가 눌려졌을 경우, 본편 순서 동영상의 최초의 부분 동영상인 부분 동영상 A2의 처음(1502)부터 동영상의 리플레이가 시작된다(도 15b).
한편, 우측 커버(201)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리플레이 마크(1501)가 눌려지는 경우에, 종이 반송부에서의 잼에 대응하는 준비 순서 동영상인 부분 동영상 A1의 처음부터 동영상의 리플레이를 시작한다(도 15c).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가 열린 상태나 닫힌 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동영상의 리플레이를 시작하는 위치가 변경되므로, 정확한 작업 순서에 대응한 위치부터 그 동영상의 리플레이를 시작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제3실시예에 대해서, 상기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동영상 표시 영역(501)이 유저에 의해 눌렸을 경우에 행해진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동영상 표시 영역(501)이 유저에 의해 눌렸을 때에 CPU(101)가 행하는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다.
우선, CPU(101)는, 동영상 표시 영역(501)이 유저에 의해 눌렸는지를 판정한다(S1601). 동영상 표시 영역(501)이 눌렸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CPU(101)는, 동영상이 재생 동작에 있는지를 추가로 판정한다(S1602). 동영상이 재생 동작에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예를 들면, 도 5b 또는 도 6a에 도시된 경우처럼), CPU(101)는, 동영상의 동작을 정지 상태로 제어해(S1603),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1602에 있어서 동영상이 재생 동작에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CPU(101)는, 재생 마크가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된 마크뿐인지를 판정한다(S1604). 재생 마크가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된 마크뿐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예를 들면, 도 5a 또는 도 5d의 경우처럼), CPU(101)는 동영상의 동작을 재생 상태로 변경한다(S1605). 한편, 재생 마크가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된 마크만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CPU(101)는, S1606의 처리 흐름으로 진행된다.
S1606에서는, CPU(101)는, 리플레이 마크가 표시 디바이스(115)에 일 마크로서만 표시된 것인지를 판정한다. 그 리플레이 마크가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된 마크만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된 경우처럼), CPU(101)는, 현재 일시정지 상태에 있는 부분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처음으로 이동하여 재생을 시작한다(S1607).
S1606에 있어서, 그 리플레이 마크가 표시 디바이스(115)에 표시된 마크만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즉, 리플레이 마크와 재생 마크의 양쪽이 표시되어 있을 경우, CPU(101)는, 동영상의 동작 상태를 재생 상태로 변경한다(S1608). 이에 따라 유저가 간단한 조작으로 동영상의 재생, 정지 및 리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S1608의 처리에 있어서, 재생 마크와 리플레이 마크가 양쪽 표시되어 있는 경우, 동영상 표시 영역 중에 눌려진 위치에 따라, 그 처리를 변경하여도 좋다. 즉, 도 17에 도시된 영역 1701에서의 포인트가 눌려질 때, 리플레이 마크가 눌려질 때와 같이, CPU(101)는, 재생위치를 정지되어 있는 부분 동영상의 처음으로 이동하고, 그 동작 상태를 재생 상태로 변경한다. 영역 1702가 눌려지는 경우에, 재생 마크가 눌려지는 경우와 같이, CPU(101)는, 동영상의 동작 상태를 재생 상태로 변경한다.
또한, 상술한 S1607에 있어서, 동영상 끝에서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동영상 표시 영역이 눌려질 때, 재생위치를 정지중의 부분 동영상의 처음으로 이동하는 대신에, 제2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그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즉, CPU(101)는, 커버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재생위치를, 커버가 열린 후에 행해질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부분 동영상의 처음으로 이동하여도 되고, 그 부분 동영상의 리플레이를 시작하여도 된다. 한편, CPU(101)는, 커버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재생위치를, 대응한 메인티넌스ID의 동영상의 처음으로 이동하여도 되고, 그 동영상의 리플레이를 시작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CPU(101)는, 이러한 경우에 마크가 표시되는 것에 따라 동영상 표시 영역(501)이 눌려질 때 행해진 동작을 변경하는 예로 하였다. 이와는 달리, 행해질 동작이 유저에 의해 미리 특정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화상 형성장치(100)는, 메인티넌스 사상을 해소하기 위해서 행해질 조작 순서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부분 동영상을 준비해둔다. 메인티넌스 사상이 발생할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그 메인티넌스 사상에 따라 필요한 경우 적당한 부분 동영상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동영상으로서 재생한다. 커버를 여는 조작 순서 등, 복수의 메인티넌스 사상 중 공통인 조작 순서를 각각 나타내는 독립적인 부분 동영상들을 준비해둠으로써, 메인티넌스 사상마다 한 개의 동영상을 준비해 두는 경우와 비교해서 스토리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실시예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0)가 카피 기능, 스캐너 기능 등의 복수의 기능을 갖는 예로 했다. 화상 형성장치(100)의 기능들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그 화상 형성장치는 상술한 기능들 중 일부를 가져도 된다. 그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PDA 기기, 휴대전화기, 팩시밀리 장치, 카메라, 비디오카메라, 화상 뷰어 등의 다른 타입의 정보처리장치에 적용되어도 된다.
상술한 것처럼,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화상 형성장치를 메인티넌스 하기 위한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동영상을 재생할 때 일어나기도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기억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서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소자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되고,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100:화상형성장치 101:CPU 102:ROM 103:버스 104:RAM 105:프린터 제어부 106:프린터 디바이스 107:화상 판독 제어부 108:스캐너 디바이스 109:원고 반송 디바이스 110:스토리지 제어부 111:스토리지 112:입력제어부 113:입력 디바이스 114:표시 제어부 115:표시 디바이스 201:우측 커버 202:토너 커버 301:감광 드럼 302: 1차 대전기 304:로터리 현상기 305:중간 전사 벨트 307:1차 전사 롤러 308:클리닝 장치 309:2차 전사 롤러 310:카세트 311:정착기 312:롤러 313:배지구 314:반전 패스 315:배지부 센서 316:양면부 센서 400:동영상 리스트 테이블 401:메인티넌스ID 402:동영상 리스트 410:동영상 테이블 411:동영상 412:동영상 파일 414:개/폐 플래그 415:메시지 500:화면 501:동영상 표시 영역 502:재생 버튼 503:재생 마크 504:재생 시간 표시 라벨 505:바 506:슬라이더 507:챕터 마크 508:메시지 영역 509:아이콘 510:일시정지 버튼 511: 챕터 마크 512:재생 마크 513:리플레이 마크 516:재생 마크 601:재생 마크 602:리플레이 마크 603:챕터 마크 604:재생 마크 605:리플레이 마크 701:리플레이 마크 702,706:재생 버튼 703,704:재생 마크 705:리플레이 마크

Claims (1)

  1. 화상 처리장치로서,
    유저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화상 처리장치에 대한 각각의 작업을 나타내는 복수의 동영상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하나 이상의 메인티넌스 사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인티넌스 사상과 관련된 복수의 동영상 파일을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처음에 재생되는 제 1 동영상 파일 및 적어도 상기 제 1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 후에 재생되는 제 2 동영상 파일을 포함하는 상기 취득한 복수의 동영상 파일을 상기 취득한 복수의 동영상 파일의 전체 길이를 나타내는 재생 바와 함께 표시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수단은, 상기 취득한 복수의 동영상 파일 중에서 상기 제 2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정지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제 1 동영상 파일의 처음부터가 아닌 상기 제 2 동영상 파일의 처음부터 재생을 유저가 지시하도록 하기 위한 리플레이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 제어수단은, 하나의 동영상 파일이 정지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의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유저가 지시하도록 하기 위한 재생 마크와 함께 상기 리플레이 마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KR1020180020314A 2013-10-21 2018-02-21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201800253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18741A JP5906227B2 (ja) 2013-10-21 2013-10-21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JP-P-2013-218741 2013-10-2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461A Division KR20170035354A (ko) 2013-10-21 2017-03-20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798A Division KR102087057B1 (ko) 2013-10-21 2019-04-03 화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310A true KR20180025310A (ko) 2018-03-08

Family

ID=5282593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535A KR101719609B1 (ko) 2013-10-21 2014-10-20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170034461A KR20170035354A (ko) 2013-10-21 2017-03-20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180020314A KR20180025310A (ko) 2013-10-21 2018-02-21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190038798A KR102087057B1 (ko) 2013-10-21 2019-04-03 화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535A KR101719609B1 (ko) 2013-10-21 2014-10-20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170034461A KR20170035354A (ko) 2013-10-21 2017-03-20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798A KR102087057B1 (ko) 2013-10-21 2019-04-03 화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9307105B2 (ko)
JP (1) JP5906227B2 (ko)
KR (4) KR101719609B1 (ko)
CN (2) CN1085215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5694B2 (ja) * 2015-10-28 2020-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6184535B2 (ja) * 2016-01-18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828160B (zh) * 2016-04-01 2017-09-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及装置
JP6631411B2 (ja) * 2016-05-24 2020-01-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メンテナンス支援装置、画像形成装置、メンテナンス支援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7209870A (ja) 2016-05-25 2017-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8054684A (ja) * 2016-09-26 2018-04-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イダンス再生装置、再生関連情報提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8054742A (ja) 2016-09-27 2018-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54741A (ja) 2016-09-27 2018-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01353B2 (ja) 2016-10-12 2020-12-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イダンス再生装置、ガイダンス再生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892244B2 (ja) * 2016-11-02 2021-06-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6825322B2 (ja) * 2016-11-14 2021-02-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イダンス再生装置、ガイダンス再生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769254B2 (ja) * 2016-11-14 2020-10-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動画像再生装置、ジャンプ先候補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809168B2 (ja) * 2016-11-28 2021-01-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イダンス再生装置、ガイダンス再生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808499B2 (ja) 2017-01-11 2021-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29198B2 (ja) 2018-04-09 2022-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040519A (ja) * 2018-09-11 2020-03-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端末装置、作業機械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サーバ装置
WO2020071545A1 (ja) * 2018-10-04 2020-04-09 パロニム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GB2578872B (en) * 2018-11-09 2021-04-1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NL2023252B1 (en) * 2019-06-03 2020-12-11 Canon Production Printing Holding Bv User Interface for a Printer
JP2020080545A (ja) * 2020-01-29 2020-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2097133A (ja) * 2020-12-18 2022-06-3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16719444A (zh) * 2022-09-19 2023-09-08 荣耀终端有限公司 打开文件的方法、创建项目快捷方式的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1077A1 (en) * 2001-09-10 2003-03-13 Lynda Fengl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struction to a peripheral device user
JP2005208335A (ja) * 2004-01-22 2005-08-0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CN101253777A (zh) * 2005-07-01 2008-08-27 极速决件公司 用于在多媒体信号编码中使用的方法、装置和系统
US20070186179A1 (en) * 2006-02-03 2007-08-09 Williams Frank J Method for interacting with graphic service information of an apparatus
JP2007223235A (ja) * 2006-02-24 2007-09-06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5022608B2 (ja) * 2006-02-24 2012-09-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403721B2 (en) * 2006-02-28 2008-07-22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MFP and method of displaying jam removal guidance
JP2007267046A (ja) * 2006-03-28 2007-10-11 Oki Data Corp 情報処理装置、サーバ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る画像処理システム
US20070237537A1 (en) * 2006-04-07 2007-10-11 Takashi Hasegaw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esenting data pertaining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317977A (ja) * 2006-07-31 2006-11-2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CN100589567C (zh) * 2007-05-08 2010-02-10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视频数据的处理方法及存储设备
JP4362578B2 (ja) 2007-05-10 2009-11-11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手順表示システム
US9553947B2 (en) * 2007-07-18 2017-01-24 Google Inc. Embedded video playlists
JP2009096069A (ja) * 2007-10-17 2009-05-07 Casio Electronics Co Ltd 印刷装置及びホスト機器
US20110210922A1 (en) * 2010-02-26 2011-09-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Dual-screen mobile device
JP5930709B2 (ja) * 2011-12-27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30191776A1 (en) * 2012-01-20 2013-07-25 The Other Media Limited Method of activating activatable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display
JP2013211698A (ja) 2012-03-30 2013-10-10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9637A1 (en) 2015-04-23
KR101719609B1 (ko) 2017-03-24
KR20150045898A (ko) 2015-04-29
US20170214810A1 (en) 2017-07-27
CN104570650A (zh) 2015-04-29
CN108521530A (zh) 2018-09-11
US20190174017A1 (en) 2019-06-06
US10244133B2 (en) 2019-03-26
US9307105B2 (en) 2016-04-05
KR20190039894A (ko) 2019-04-16
US20160182742A1 (en) 2016-06-23
JP5906227B2 (ja) 2016-04-20
JP2015082706A (ja) 2015-04-27
CN108521530B (zh) 2021-01-12
CN104570650B (zh) 2018-04-27
KR102087057B1 (ko) 2020-03-10
KR20170035354A (ko) 2017-03-30
US11240391B2 (en) 202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057B1 (ko) 화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22315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7870750B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装置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KR102119584B1 (ko)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JP709152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1357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7089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44078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991155B1 (ko) 화상 형성 장치, 정보 처리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675931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456469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008054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511672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