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196A - 모터, 모터의 제조방법, 및 스테이터 유닛 - Google Patents

모터, 모터의 제조방법, 및 스테이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196A
KR20180021196A KR1020187003350A KR20187003350A KR20180021196A KR 20180021196 A KR20180021196 A KR 20180021196A KR 1020187003350 A KR1020187003350 A KR 1020187003350A KR 20187003350 A KR20187003350 A KR 20187003350A KR 20180021196 A KR20180021196 A KR 20180021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us bar
teeth
radial direction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622B1 (ko
Inventor
유 아사히
히데히로 하가
?스케 무라카미
šœ스케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1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8Windings for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02K15/095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by laying conductors around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모터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로터와 간극을 두고서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테이터를 구비한다. 스테이터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상의 코어백과,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접속계통을 구성하고 티스에 권회된 도전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일과, 적어도 일부가 티스와 코일 사이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를 갖는다. 코일은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티스에 권회되는 제 1 코일과, 제 1 코일 및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티스에 권회되는 제 2 코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터, 모터의 제조방법, 및 스테이터 유닛
본 발명은 모터, 모터의 제조방법, 및 스테이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터에 있어서 1개의 고정자 철심으로부터 2개의 인출선을 인출하는 권선 방식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2-84723호 공보
그런데, 스테이터로의 전력공급을 행하는 접속계통으로서 복수의 다른 접속계통을 갖는 모터가 있다. 이러한 모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권선 방식의 고정자 권선에서는 고정자 권선의 권취 끝으로서 인출되는 2개의 도체를 혼동하여, 틀린 버스바에 접속할 우려가 있었다. 그 때문에, 정상적으로 복수의 접속계통을 구성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버스바에 접속하는 코일단의 혼동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터, 및 스테이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또한, 버스바에 접속하는 코일단의 혼동을 억제할 수 있는 모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모터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간극을 두고서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상의 코어백과, 상기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접속계통을 구성하고 상기 티스에 권회된 도전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일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티스와 상기 코일 사이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를 갖고, 상기 코일은 상기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상기 티스에 권회되는 제 1 코일과, 상기 제 1 코일 및 상기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상기 티스에 권회되는 제 2 코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모터의 제조방법은,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간극을 두고서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버스바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상의 코어백과, 상기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접속계통을 구성하고 상기 티스에 권회된 도전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일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티스와 상기 코일 사이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를 갖고, 복수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는 제 1 코일군과, 복수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일군과는 접속계통이 다른 제 2 코일군이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 1 코일군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버스바와, 상기 제 2 코일군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버스바를 포함하는 모터의 제조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티스에 있어서 상기 티스에 상기 도전선을 권회하여 제 1 코일을 형성하는 공정 S1과, 상기 제 1 코일의 권취 끝의 상기 도전선을 상기 인슐레이터에 걸어서 부설라인을 형성하는 공정 S2와, 상기 제 1 코일 및 상기 부설라인과 같은 상기 도전선을 상기 제 1 코일 위로부터 권회하여 제 2 코일을 형성하는 공정 S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스테이터 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를 구비하는 모터의 스테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로터와 간극을 두고서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버스바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상의 코어백과, 상기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접속계통을 구성하고 상기 티스에 권회된 도전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일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티스와 상기 코일 사이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를 갖고, 상기 코일은 상기 버스바와 접속되는 코일단을 갖고 상기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상기 티스에 권회되는 제 1 코일과, 상기 버스바와 접속되는 코일단을 갖고 상기 제 1 코일 및 상기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상기 티스에 권회되는 제 2 코일을 포함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모터 및 스테이터 유닛에 있어서 버스바에 접속하는 코일단의 혼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버스바에 접속하는 코일단의 혼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실시형태의 모터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는 본 실시형태의 모터의 제조방법의 순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인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심축(J)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도 1의 상측을 단지 「상측」이라고 부르고, 하측을 단지 「하측」이라고 부른다. 또한, 상하 방향은 실제의 기기에 장착되었을 때의 위치 관계나 방향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중심축(J)에 평행한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부르고,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을 단지 「지름 방향」이라고 부르고,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을 단지 「둘레 방향」이라고 부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는 것은 엄밀에 축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에 추가해서, 축 방향에 대하여 45°미만의 범위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도 포함한다.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다,라는 것은 엄밀하게 지름 방향, 즉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에 추가해서, 지름 방향에 대하여 45°미만의 범위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0)는, 예를 들면 이너 로터형의 모터이다. 모터(10)는 각 부품을 수용 가능한 하우징(20)과, 로터(30)와, 통 형상의 스테이터(40)와, 베어링 홀더(50)와, 하우징(20)에 유지되는 하부 베어링(60)과, 베어링 홀더(50)에 유지되는 상부 베어링(61)과,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와, 상측 버스바 어셈블리(80)와, 단자(92A, 92B)를 구비한다.
로터(30)는 중심축(J)을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31)와, 제 1 로터 코어(33A)와, 제 2 로터 코어(33B)와, 제 3 로터 코어(33C)와, 제 1 마그넷(34A)과, 제 2 마그넷(34B)과, 제 3 마그넷(34C)을 갖는다. 샤프트(31)는 하부 베어링(60) 및 상부 베어링(61)에 의해 중심축(J)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30)는 스테이터(40)의 내측에 있어서 스테이터(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 1 로터 코어(33A), 제 2 로터 코어(33B), 및 제 3 로터 코어(33C)는 통 형상이다. 제 1 로터 코어(33A)와, 제 2 로터 코어(33B)와, 제 3 로터 코어(33C)는 축 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이 순서로 배열된다. 제 1 로터 코어(33A)의 내측면, 제 2 로터 코어(33B)의 내측면, 및 제 3 로터 코어(33C)의 내측면은, 예를 들면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이다. 제 1 로터 코어(33A), 제 2 로터 코어(33B), 및 제 3 로터 코어(33C)는 샤프트(31)에, 예를 들면 압입 등에 의해 끼워맞추어져서 고정된다. 또한, 제 1 로터 코어(33A), 제 2 로터 코어(33B), 및 제 3 로터 코어(33C)는 다른 부재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샤프트(31)에 고정되어도 좋다.
제 1 마그넷(34A), 제 2 마그넷(34B), 및 제 3 마그넷(34C)은, 예를 들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다. 제 1 마그넷(34A)은 제 1 로터 코어(33A)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제 2 마그넷(34B)은 제 2 로터 코어(33B)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제 3 마그넷(34C)은 제 3 로터 코어(33C)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제 1 마그넷(34A), 제 2 마그넷(34B), 및 제 3 마그넷(34C)은 각각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 설치된다. 또한, 제 1 마그넷(34A), 제 2 마그넷(34B), 및 제 3 마그넷(34C)은 각각 단일 부재라도 된다. 이 경우, 제 1 마그넷(34A), 제 2 마그넷(34B), 및 제 3 마그넷(34C)은, 예를 들면 원환 형상이다.
스테이터(40)는 로터(30)와 간극을 두고서 지름 방향으로 대향한다. 스테이터(40)는, 예를 들면 로터(30)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40)는 스테이터 코어(40a)와, 복수의 코일(43)과, 복수의 인슐레이터(44)를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40a)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 강판이 적층되어서 구성된다. 스테이터 코어(40a)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코어백(41)과, 코어백(41)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42)를 갖는다. 즉, 스테이터(40)는 코어백(41)과 티스(42)를 구비한다.
코어백(41)은, 예를 들면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한 원환 형상이다. 코어백(41)의 외주면은 하우징(20)의 내주면에 예를 들면 압입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티스(42)는 코어백(41)의 내측면에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티스(42)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코일(43)은 인슐레이터(44)를 개재해서 티스(42)에 권회된 도전선(43a)으로 구성된다. 코일(43)은 각 티스(42)에 배치된다. 코일(43)은 도전선(43a)의 단부인 코일단(43b)을 갖는다. 코일단(43b)은 코일(43)의 티스(42)에 권회된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인슐레이터(44)의 적어도 일부는 티스(42)와 코일(43) 사이에 배치된다. 인슐레이터(44)는 티스(42)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는 대략 원통 형상이다.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는 스테이터(40)의 상측에 배치된다.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는 중성점 버스바(90)와, 중성점 버스바(90)를 유지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하측 버스바 홀더(71)를 갖는다. 즉, 모터(10)는 중성점 버스바(90)와 하측 버스바 홀더(71)를 구비한다.
하측 버스바 홀더(71)는,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갖는 수지제이다. 하측 버스바 홀더(71)는 인슐레이터(44)에 고정된다. 중성점 버스바(90)는 코일(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성점 버스바(90)는 코일단(43b)과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중성점 버스바(90)는 스테이터(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중성점 버스바(90)는 복수의 코일단(43b)을 중성점으로 해서 연결된다.
상측 버스바 어셈블리(80)는 대략 원통 형상이다. 상측 버스바 어셈블리(80)는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측 버스바 어셈블리(80)는 상용 버스바(91)와, 상용 버스바(91)를 유지하는 상측 버스바 홀더(81)를 갖는다. 즉, 모터(10)는 상용 버스바(91)와 상측 버스바 홀더(81)를 구비한다.
상측 버스바 홀더(81)는 대략 원통 형상이며,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갖는 수지제이다. 상측 버스바 홀더(81)는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상용 버스바(91)는 코일(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용 버스바(91)는 코일단(43b)과 접속된다. 상용 버스바(91)는 단자(92A, 92B)와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상용 버스바(91)는 스테이터(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자(92A, 92B)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단자(92A, 92B)의 상측의 단부는 하우징(20)의 상측의 단부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단자(92A, 92B)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전원과 접속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테이터(40)와, 상측 버스바 어셈블리(80)와,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유닛(11)이 구성된다. 스테이터 유닛(11)은 상측 버스바 어셈블리(80)가 갖는 상용 버스바(91)와,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가 갖는 중성점 버스바(90)를 구비한다. 이하, 스테이터 유닛(11)의 각 부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측 버스바 홀더(81)는 대략 원환 판 형상의 제 2 코일서포트(82)와, 원통 형상의 외통부(83)와, 제 1 둘레벽부(84)와, 제 2 둘레벽부(85)와, 제 3 둘레벽부(86)와, 단자 유지부(87A, 87B)를 갖는다. 모터(10)는 절연성을 갖는 제 2 코일서포트(82)를 구비한다.
외통부(83)는 제 2 코일서포트(82)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 1 둘레벽부(84), 제 2 둘레벽부(85) 및 제 3 둘레벽부(86)는 외통부(83)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제 2 코일서포트(8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단자 유지부(87A, 87B)는 외통부(83)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제 2 코일서포트(82)의 중심에는, 예를 들면 중심축(J)이 지난다. 제 2 코일서포트(82)는 코일단(43b)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82a)를 갖는다. 제 2 코일서포트(82)는 중성점 버스바(90)와 상용 버스바(91)의 축 방향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중성점 버스바(90)를, 상용 버스바(91)와 제 2 코일서포트(82)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나누어서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용이하게 코일단(43b)을 배치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82a)는 제 2 코일서포트(82)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패이는 오목부이다. 제 2 지지부(82a)의 내측에는 코일단(43b)이 통과한다. 코일단(43b)은 제 2 지지부(82a)의 내측면에 의해 둘레 방향 양측으로부터 지지된다.
외통부(83)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한다. 제 1 둘레벽부(84), 제 2 둘레벽부(85) 및 제 3 둘레벽부(86)는 둘레 방향에 연장된다. 제 1 둘레벽부(84)는 평면으로 볼 때에 원호 형상이다. 제 2 둘레벽부(85) 및 제 3 둘레벽부(86)는 외통부(83)와 동심의 원통 형상이다. 제 2 둘레벽부(85)는 제 1 둘레벽부(84)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제 3 둘레벽부(86)는 제 2 둘레벽부(85)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제 1 둘레벽부(84)의 상측의 단부는 축 방향에 있어서 외통부(83)의 상측의 단부와 거의 같은 위치에 있다. 제 2 둘레벽부(85)의 상측의 단부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 1 둘레벽부(84)의 상측의 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제 3 둘레벽부(86)의 상측의 단부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둘레벽부(85)의 상측의 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상측 버스바 홀더(81)는 하측으로 패이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홈부(81a), 제 2 홈부(81b), 및 제 3 홈부(81c)를 갖는다. 제 1 홈부(81a)는 외통부(83)와 제 1 둘레벽부(84)의 지름 방향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홈부(81b)는 제 1 둘레벽부(84)와 제 2 둘레벽부(85)의 지름 방향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3 홈부(81c)는 제 2 둘레벽부(85)와 제 3 둘레벽부(86)의 지름 방향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홈부(81a)의 저부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홈부(81b)의 저부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제 2 홈부(81b)의 저부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 3 홈부(81c)의 저부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단자 유지부(87A, 87B)는 평면으로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상이다. 단자 유지부(87A)는 단자(92A)를 유지한다. 단자 유지부(87B)는 단자(92B)를 유지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용 버스바(91)는 제 1 상용 버스바(93A, 93B)와, 제 2 상용 버스바(94A, 94B)와, 제 3 상용 버스바(95A, 95B)를 포함한다. 즉, 모터(10)는 복수의 상용 버스바(91)를 구비한다.
제 1 상용 버스바(93A, 93B)는 제 1 홈부(81a)에 유지된다. 제 2 상용 버스바(94A, 94B)는 제 2 홈부(81b)에 유지된다. 제 3 상용 버스바(95A, 95B)는 제 3 홈부(81c)에 유지된다.
복수의 상용 버스바(91)는 접속계통이 다른 복수의 버스바군을 구성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상용 버스바(93A)와 제 2 상용 버스바(94A)와 제 3 상용 버스바(95A)를 포함하는 제 1 버스바군과, 제 1 상용 버스바(93B)와 제 2 상용 버스바(94B)와 제 3 상용 버스바(95B)를 포함하는 제 2 버스바군의 2개의 버스바군이 구성된다.
이하, 제 1 버스바군을 포함하는 접속계통을 접속계통 A라고 부를 경우가 있고, 제 2 버스바군을 포함하는 접속계통을 접속계통 B라고 부를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소정 대상끼리의 접속계통이 다르다」라는 것은, 어떤 대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전원이 다르고, 접속계통마다 독립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2개의 접속계통 A, B가 구성될 경우, 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은 접속계통 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전원과, 접속계통 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전원의 2개 설치된다.
2개의 외부전원은 각각 독립하여 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쪽의 접속계통에 전원을 공급하는 한쪽의 외부전원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을 경우라도, 다른쪽의 외부전원에 의해서 다른쪽의 접속계통에 전원을 공급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외부전원 및 외부전원의 제어장치 등의 고장에 의해, 한쪽의 접속계통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어도 다른쪽의 접속계통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모터(10)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버스바 홀더(71)는 제 1 코일서포트(72)와, 하측 홀더 통부(73)와, 내측 둘레벽부(74)와, 외측 둘레벽부(75)를 갖는다.
제 1 코일서포트(72)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환 판 형상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코일서포트(72)는 코일(43)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 1 코일서포트(72)는 코일단(43b)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72a)를 갖는다. 그 때문에, 코일(43)의 도전선(43a)을, 절연성을 확보하면서 용이하게 부설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72a)는 제 1 코일서포트(72)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패이는 오목부이다. 제 1 지지부(72a)의 내측에는 코일단(43b)이 통과된다. 제 1 지지부(72a)의 내측을 통과하는 코일단(43b)은 제 1 지지부(72a)의 내측면에 의해 둘레 방향 양측으로부터 지지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홀더 통부(73)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이다. 하측 홀더 통부(73)는 제 1 코일서포트(7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내측 둘레벽부(74) 및 외측 둘레벽부(75)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환상이다. 내측 둘레벽부(74)는 하측 홀더 통부(73)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제 1 코일서포트(7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외측 둘레벽부(75)는 하측 홀더 통부(73)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제 1 코일서포트(7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하측 버스바 홀더(71)는 하측으로 패이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하측 홈부(71a) 및 제 2 하측 홈부(71b)를 갖는다. 제 1 하측 홈부(71a)는 하측 홀더 통부(73)와 내측 둘레벽부(74)의 지름 방향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하측 홈부(71b)는 하측 홀더 통부(73)와 외측 둘레벽부(75)의 지름 방향의 사이에 위치한다.
중성점 버스바(90)는 제 1 버스바(90A)와 제 2 버스바(90B)를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버스바(90A)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버스바 본체부(90Aa)와, 제 1 버스바 본체부(90Aa)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접속단자부(98A)를 갖는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제 1 버스바 본체부(90Aa)는 대략 환상이다. 제 1 버스바 본체부(90Aa)는 제 1 하측 홈부(71a) 내에 배치된다. 제 1 버스바 본체부(90Aa)는 제 1 하측 홈부(71a) 내에 끼워 넣어진다.
제 1 접속단자부(98A)는 제 1 버스바 본체부(90Aa)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버스바(90A)는 9개의 제 1 접속단자부(98A)를 갖는다. 제 1 접속단자부(98A)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거의 등간격으로 늘어선다.
제 1 접속단자부(98A)는 제 1 연장부(96A)와 제 1 접속부(97A)를 갖는다. 즉, 제 1 버스바(90A)는 제 1 연장부(96A)와 제 1 접속부(97A)를 갖는다.
제 1 연장부(96A)는 제 1 버스바 본체부(90Aa)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접속부(97A)는 제 1 연장부(96A)의 지름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고, 코일단(43b)과 접속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부(97A)의 형상은 U자 형상이다. 그 때문에,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를 스테이터(40)의 상측에 배치할 때에 제 1 접속부(97A)에 의해 코일단(43b)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부(97A)와 코일단(43b)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제 1 접속부(97A)는 하측으로 개구되는 U자 형상이다. 그 때문에, 하측 버스바 어셈블리(70)를 스테이터(40)의 상측에 배치할 때에 제 1 접속부(97A)에 의해 코일단(43b)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접속부(97A)에 의해 후술하는 부설라인(45g)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부(97A)를 코일단(43b)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버스바(90B)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버스바 본체부(90Ba)와, 제 2 버스바 본체부(90Ba)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접속단자부(98B)를 갖는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제 2 버스바 본체부(90Ba)는 대략 환상이다. 제 2 버스바 본체부(90Ba)는 제 2 하측 홈부(71b) 내에 배치된다. 제 2 버스바 본체부(90Ba)는 제 2 하측 홈부(71b) 내에 끼워 넣어진다.
제 1 버스바 본체부(90Aa)와 제 2 버스바 본체부(90Ba)는 축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있다. 제 1 버스바 본체부(90Aa)와 제 2 버스바 본체부(90Ba)는 지름 방향으로 겹친다.
제 2 접속단자부(98B)는 제 2 버스바 본체부(90Ba)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버스바(90B)는 9개의 제 2 접속단자부(98B)를 갖는다. 제 2 접속단자부(98B)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거의 등간격으로 늘어선다.
제 2 접속단자부(98B)는 제 2 연장부(96B)와 제 2 접속부(97B)를 갖는다. 즉, 제 2 버스바(90B)는 제 2 연장부(96B)와 제 2 접속부(97B)를 갖는다.
제 2 연장부(96B)는 제 2 버스바 본체부(90Ba)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접속부(97B)는 제 2 연장부(96B)의 지름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고, 코일단(43b)과 접속된다. 제 2 접속부(97B)의 형상은 제 1 접속부(97A)의 형상과 같다.
제 1 접속부(97A)와 제 2 접속부(97B)는 축 방향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같은 위치에 있다. 그 때문에, 각 접속부와 코일단(43b)을 접속하는 축 방향의 위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버스바(90A) 및 제 2 버스바(90B)와 코일단(43b)의 접속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44)는 인슐레이터 통부(44a)와, 내측 판부(44b)와, 외측 판부(44c)와, 제 1 기부(46b)와, 제 2 기부(47b)와, 제 1 돌출부(46a)와, 제 2 돌출부(47a)를 갖는다.
인슐레이터 통부(44a)는 통 형상이며, 티스(42)의 축 방향 양측 및 둘레 방향 양측을 둘러싼다. 인슐레이터 통부(44a)는, 예를 들면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 통 형상이다.
내측 판부(44b)는 판 형상이며, 인슐레이터 통부(44a)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축 방향 양측 및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된다. 외측 판부(44c)는 판 형상이며, 인슐레이터 통부(44a)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축 방향 양측 및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부(46b) 및 제 2 기부(47b)는 외측 판부(44c)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부(46b)는 외측 판부(44c)의 상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제 1 기부(46b)는 티스(42)보다 둘레 방향 일방측에 위치한다.
제 2 기부(47b)는 외측 판부(44c)의 상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타방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제 2 기부(47b)는 티스(42)보다 둘레 방향 타방측에 배치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부(46b) 및 제 2 기부(47b)는 코어백(41)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기부(46b) 및 제 2 기부(47b)는 티스(42)와 축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46a)는 제 1 기부(46b)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다. 제 1 돌출부(46a)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이다. 제 1 돌출부(46a)는 제 1 기부(46b)의 상단에 있어서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 또한 둘레 방향의 제 2 기부(47b)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제 2 돌출부(47a)는 제 2 기부(47b)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다. 제 2 돌출부(47a)는 제 1 돌출부(46a)와 둘레 방향으로 간극(DP)을 두고서 배치된다. 제 2 돌출부(47a)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이다. 제 2 돌출부(47a)는 제 2 기부(47b)의 상단에 있어서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 또한 둘레 방향의 제 1 기부(46b)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제 1 기부(46b)는 제 1 경사면(46c)을 갖는다. 제 1 경사면(46c)은 제 1 돌출부(46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돌출부(47a)와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 1 경사면(46c)은 상측을 향함에 따라서 중심축(J)과의 사이의 지름 방향의 거리가 커진다.
제 2 기부(47b)는 제 2 경사면(47c)을 갖는다. 제 2 경사면(47c)은 제 2 돌출부(47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돌출부(46a)와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 2 경사면(47c)은 상측을 향함에 따라서 중심축(J)과의 사이의 지름 방향의 거리가 커진다.
도 8에 나타내는 제 2 경사면(47c)의 축 방향에 대한 기울기(φ2)는, 도 7에 나타내는 제 1 경사면(46c)의 축 방향에 대한 기울기(φ1)보다 작다.
복수의 코일(43)은 복수의 접속계통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코일(43)은 2개의 접속계통을 구성한다. 즉, 복수의 코일(43)을 포함하는 제 1 코일군과,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고 제 1 코일군과 접속계통이 다른 제 2 코일군이 구성된다.
제 1 코일군에는 제 1 버스바(90A), 및 제 1 버스바군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코일군에는 제 2 버스바(90B), 및 제 2 버스바군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코일군 및 제 1 버스바(90A)는 접속계통 A에 포함된다. 제 2 코일군 및 제 2 버스바(90B)는 접속계통 B에 포함된다.
각 티스(42)에는 인슐레이터(44)를 개재하여 2개의 코일(43)이 배치된다. 코일(43)은 제 1 코일(45a)과 제 2 코일(45b)을 포함한다. 제 1 코일(45a)은 인슐레이터(44)를 개재하여 티스(42)에 배치된다. 제 2 코일(45b)은 제 1 코일(45a) 및 인슐레이터(44)를 개재하여 티스(42)에 배치된다. 즉, 제 2 코일(45b)은 제 1 코일(45a)의 축 방향 양측 및 둘레 방향 양측을 둘러싼다.
제 1 코일(45a) 및 제 2 코일(45b)이 티스(42)에 형성될 경우, 도전선이 티스(42)에 권회되어서 제 1 코일(45a)이 형성된 후에, 제 1 코일(45a)의 위로부터 도전선이 권회되어서 제 2 코일(45b)이 형성된다. 즉, 제 1 코일(45a)의 권취 종료 및 제 2 코일(45b)의 권취 시작이 동시에 설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2개의 도전선이 동시에 권회될 경우에 비하여 제 1 코일(45a)의 코일단(43b) 및 제 2 코일(45b)의 코일단(43b)을 작업자 등이 판별하기 쉽다. 이것에 의해, 중성점 버스바(90)에 접속하는 코일단(43b)을 작업자 등이 혼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제 1 코일(45a) 및 각 제 2 코일(45b)을 적절하게 중성점 버스바(90)에 접속하기 쉬워, 용이하고 또한 보다 확실하게 복수의 접속계통을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코일(45a)의 코일단(43b)인 제 1 코일단(45c)은 제 1 돌출부(46a)와 접촉한다. 제 2 코일(45b)의 코일단(43b)인 제 2 코일단(45d)은 제 2 돌출부(47a)와 접촉한다. 그 때문에, 제 1 코일(45a) 및 제 2 코일(45b)을 만들 때에, 티스(42)에 권회하는 도전선(43a)을 제 1 돌출부(46a) 및 제 2 돌출부(47a)에 걸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 등이 제 1 코일단(45c) 및 제 2 코일단(45d)을 혼동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 1 코일단(45c)은 제 1 돌출부(46a)에 걸린다. 제 2 코일단(45d)은 제 2 돌출부(47a)에 걸린다. 이 때, 제 1 코일단(45c)은 제 1 경사면(46c)을 따라서 안내된다. 제 2 코일단(45d)은 제 2 경사면(47c)을 따라서 안내된다. 따라서, 제 1 코일단(45c) 및 제 2 코일단(45d)을 제 1 돌출부(46a) 및 제 2 돌출부(47a)에 걸어서 둘러치기 쉽다.
제 1 코일단(45c)은 제 1 코일(45a)의 권취 끝의 선이다. 제 2 코일단(45d)은 제 2 코일(45b)의 권취 시작의 선이다. 제 1 코일단(45c) 및 제 2 코일단(45d)은 티스(42)의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즉, 제 1 코일단(45c) 및 제 2 코일단(45d)은 티스(42)의 둘레 방향의 동일 측으로부터 연장된다.
그 때문에, 티스(42)로부터 제 1 돌출부(46a)로 연장되는 제 1 코일단(45c)의 축 방향에 대한 각도와, 티스(42)로부터 제 2 돌출부(47a)로 연장되는 제 2 코일단(45d)의 축 방향에 대한 각도는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는, 제 1 코일단(45c)은 티스(42)의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부터 인출되고, 둘레 방향 일방측의 제 1 돌출부(46a)에 걸린다. 한편, 제 2 코일단(45d)은 둘레 방향 타방측의 제 2 돌출부(47a)에 걸리고, 티스(42)의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 연장된다. 그 때문에, 제 1 코일단(45c)의 축 방향에 대한 기울기는 제 2 코일단(45d)의 축 방향에 대한 기울기보다 비교적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경사면(47c)의 기울기(φ2)는 제 1 경사면(46c)의 기울기(φ1)보다 작다. 축 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비교적 큰 제 1 코일단(45c)은 기울기가 비교적 큰 제 1 경사면(46c)을 따를 수 있기 때문에 모터의 제조시에 있어서 안내하기 쉽다. 축 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비교적 작은 제 2 코일단(45d)은 기울기가 비교적 작은 제 2 경사면(47c)을 따를 수 있기 때문에 모터의 제조시에 있어서 안내하기 쉽다. 따라서, 제 1 코일단(45c) 및 제 2 코일단(45d)을, 제 1 돌출부(46a) 및 제 2 돌출부(47a)에 걸어서 보다 용이하게 둘러칠 수 있다.
각 티스(42)에 권회되는 제 1 코일(45a) 및 제 2 코일(45b)은 접속계통이 서로 다른 제 1 코일군과 제 2 코일군 중 어느 한쪽의 코일군에 포함된다. 각 티스(42)에 있어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코일(45a)과 제 2 코일(45b)에서 포함되는 코일군은 서로 다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접속부(97A) 및 각 제 2 접속부(97B)와 제 1 코일단(45c) 및 제 2 코일단(45d)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각 제 1 접속부(97A) 및 각 제 2 접속부(97B)와, 제 1 코일단(45c) 및 제 2 코일단(45d)의 접속 개소는 간극(DP)과 지름 방향으로 겹친다. 즉, 제 1 버스바(90A) 및 제 2 버스바(90B)와 코일단(43b)의 접속 개소는 간극(DP)과 지름 방향으로 겹친다. 그 때문에, 간극(DP)에 의해서 코일단(43b)과 제 1 버스바(90A) 및 제 2 버스바(90B)를 접속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코일단(43b)과 제 1 버스바(90A) 및 제 2 버스바(90B)를, 예를 들면 용접 등에 의해 접속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제 1 코일(45a)과 제 2 코일(45b)이 1개의 연속한 도전선(43a)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1개의 제 1 접속부(97A, 97B)를 부설라인(45g)(도 6 참조)에 접속하는 것만에 의해서, 2개의 코일단(43b)(즉, 제 1 코일단(45c) 및 제 2 코일단(45d)의 양쪽)을 중성점 버스바(90)에 접속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모터의 제조시에 있어서 용접 등에 의한 접합하는 작업의 횟수를 반감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단(43b)과 중성점 버스바(90)의 접합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코일 형성공정(S1)은 티스(42)에 도전선(43a)을 권회하여 제 1 코일(45a)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제 1 코일 형성공정(S1)에 있어서는, 도전선(43a)을, 예를 들면 티스(4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인슐레이터(44)를 개재해서 감기 시작한다.
도 9B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코일 형성공정(S1)에 의해 제 1 코일(45a)이 형성된다. 제 1 코일 형성공정(S1)에 있어서 제 1 코일(45a)이 권취 종료되는 위치는 티스(42)의 둘레 방향 타방측이다.
부설라인 형성공정(S2)은 제 1 코일(45a)의 권취 끝의 도전선(43a)을 인슐레이터(44)에 걸어서 부설라인(45g)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티스(42)의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코일단(45c)인 제 1 코일(45a)의 권취 끝이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인출되어 제 1 돌출부(46a)에 걸린다.
그리고, 도전선(43a)은 제 1 돌출부(46a)의 지름 방향 외측을 통해서 제 2 돌출부(47a)까지 둘러쳐지고, 제 2 돌출부(47a)에 걸린다. 바꿔 말하면, 부설라인 형성공정(S2)에 있어서 제 1 코일(45a)의 권취 끝이 제 1 돌출부(46a)에 걸린 후에 제 2 돌출부(47a)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설라인(45g)이 형성된다. 즉, 부설라인 형성공정(S2)에 있어서 도전선(43a)이 제 1 돌출부(46a)와 제 2 돌출부(47a)에 걸리고, 부설라인(45g)이 간극(DP)과 지름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 2 코일 형성공정(S3)은 제 1 코일(45a)과 부설라인(45g)과 같은 도전선(43a)을, 제 1 코일(45a)의 위로부터 권회하여 제 2 코일(45b)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제 2 코일 형성공정(S3)에 있어서 제 2 코일(45b)을 감기 시작하는 위치는 티스(42)의 둘레 방향 타방측이다.
예를 들면, 부설라인(45g)을 형성할 때의 도전선(43a)의 둘러치는 방향을 반대로 할 경우, 제 2 돌출부(47a), 제 1 돌출부(46a)의 순서로 걸린 도전선(43a)은 하측을 향해서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부터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 비스듬히 아래로 둘러쳐진다. 이 경우, 비스듬히 둘러쳐지는 도전선(43a)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둘러쳐지기 때문에 상측으로 팽창하기 쉽다. 이것에 의해, 도전선(43a)이 느슨해지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설라인 형성공정(S2)에 있어서 제 1 코일(45a)의 권취 끝이, 우선 제 1 돌출부(46a)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티스(42)의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부터 인출된 제 1 코일(45a)의 권취 끝은 상측을 향해서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부터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비스듬하게 위로 둘러쳐진다. 그 때문에, 비스듬히 둘러쳐지는 도전선(43a)이 상측으로 부풀어 오르기 어려워져, 도전선(43a)이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코일 형성공정(S3)에 있어서는 도전선(43a)을, 티스(42)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인슐레이터(44) 및 제 1 코일(45a)을 개재해서 감기 시작한다. 제 2 코일 형성공정(S3)에 의해 제 2 코일(45b)이 형성된다(도 9C 및 도 10C 참조).
도 9C 및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공정(S4)은 부설라인(45g)에 제 1 버스바(90A) 및 제 2 버스바(90B)를 배치하는 공정이다. 제 1 버스바(90A) 및 제 2 버스바(90B)를 스테이터(40)의 상측으로부터 근접시켜서 부설라인(45g)을 U자 형상의 제 1 접속부(97A) 및 제 2 접속부(97B)에서 유지한다.
절단공정(S5)은 제 1 버스바(90A)가 배치된 부분과 제 2 버스바(90B)가 배치된 부분 사이에 있어서 부설라인(45g)을 절단하는 공정이다. 예를 들면, 절단선(Lc)의 위치에 있어서 부설라인(45g)을 절단한다. 이것에 의해, 도 1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코일단(45c)과 제 2 코일단(45d)이 분단된다.
접속공정(S6)은 절단된 부설라인(45g)에 제 1 버스바(90A) 및 제 2 버스바(90B)를 접속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코일단(45c)에 제 1 접속부(97A)를 접속한다. 제 2 코일단(45d)에 제 2 접속부(97B)를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계통이 다른 2개의 중성점 버스바(90)가 제 1 코일(45a)과 제 2 코일(45b)에 각각 접속된 상태로 된다. 제 1 접속부(97A) 및 제 2 접속부(97B)는 제 1 코일단(45c) 및 제 2 코일단(45d)과 용접 등에 의해 접속된다.
이상에 의해서, 2개의 코일(43)이 다른 2개의 접속계통의 중성점 버스바(90)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중성점 버스바(90)에 접속하는 코일단(43b)을 작업자 등이 혼동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2개의 접속계통 A, B를 구성하기 쉽다.
부설라인(45g)에 제 1 버스바(90A)와 제 2 버스바(90B) 중 한쪽만을 접속하는 공정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그 공정은 부설라인(45g)에 접속하는 중성점 버스바(90)가 제 1 버스바(90A)와 제 2 버스바(90B) 중 한쪽만인 점을 제외하고, 배치공정(S4)과 같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설명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적당하게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등에 의해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코일단(45c)은 제 1 버스바(90A)와 제 2 버스바(90B) 중 한쪽과 접속되고, 제 2 코일단(45d)은 제 1 버스바(90A)와 제 2 버스바(90B) 중 다른쪽과 접속되어도 좋다. 즉, 제 1 코일단(45c)이 제 2 버스바(90B)와 접속되고, 제 2 코일단(45d)이 제 1 버스바(90A)와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제 1 코일단(45c) 및 제 2 코일단(45d)에 접속되는 중성점 버스바(90)가 티스(42)마다 달라도 좋다.
적어도 하나의 티스(42)에 있어서 제 1 코일(45a) 및 제 2 코일(45b)이 권회되어 있으면, 예를 들면 다른 일부의 티스(42)에 있어서 권회되는 코일(43)이 1개라도 된다.
인슐레이터(44)의 구성은, 도 11에 나타내는 구성이라도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144)는 제 1 벽부(146d)와 제 2 벽부(147d)를 갖는다.
제 1 벽부(146d)는 제 1 기부(46b)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연장된다. 제 1 벽부(146d)는, 예를 들면 판면이 지름 방향과 직교하는 판 형상이다. 제 1 벽부(146d)는 제 1 돌출부(46a)와 지름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서 대향한다. 제 1 돌출부(46a)와 제 1 벽부(146d)에 의하여 제 1 유지부(146e)가 구성된다.
제 2 벽부(147d)는 제 2 기부(47b)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연장된다. 제 2 벽부(147d)는, 예를 들면 판면이 지름 방향과 직교하는 판 형상이다. 제 2 벽부(147d)는 제 2 돌출부(47a)와 지름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서 대향한다. 제 2 돌출부(47a)와 제 2 벽부(147d)에 의하여 제 2 유지부(147e)가 구성된다.
제 1 유지부(146e)와 제 2 유지부(147e)에는 코일단(43b)이 유지된다. 즉, 제 1 벽부(146d)와 제 1 돌출부(46a)의 지름 방향의 간극 및 제 2 벽부(147d)와 제 2 돌출부(47a)의 지름 방향의 간극에는, 각각 코일단(43b)이 유지된다. 그 때문에, 코일단(43b)을 둘러쳐서 부설라인(45g)을 형성할 때에 코일단(43b)을 느슨함 없이 용이하게 둘러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코일단(43b)을 느슨함 없이 둘러치기 위해서 코일단(43b)을 강하게 인장할 필요가 없어, 코일단(43b)에 의해 제 1 돌출부(46a) 및 제 2 돌출부(47a)에 가하여지는 지름 방향 안쪽 방향의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돌출부(46a) 및 제 2 돌출부(47a)에 큰 힘이 가하여져서 인슐레이터(144)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 및 제 1 돌출부(46a) 및 제 2 돌출부(47a)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기부(46b) 및 제 2 기부(47b)의 구성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기부(46b)와 제 2 기부(47b)는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외측 판부(44c)가 기부로서 기능해도 좋다.
로터(30)에 있어서의 로터 코어의 수는 1개라도 된다. 모터(10)는, 예를 들면 아우터 로터형의 모터라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각 구성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당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10 : 모터 11 : 스테이터 유닛
30 : 로터 31 : 샤프트
40 : 스테이터 41 : 코어백
42 : 티스 42a : 제 1 티스군
42b : 제 2 티스군 42c : 제 3 티스군
43 : 코일 43a : 도전선
43b : 코일단 44, 144 : 인슐레이터
45a : 제 1 코일 45b : 제 2 코일
45g : 부설라인 46a : 제 1 돌출부
46b : 제 1 기부(기부) 46c : 제 1 경사면
47a : 제 2 돌출부 47b : 제 2 기부(기부)
47c : 제 2 경사면
71 : 하측 버스바 홀더(버스바 홀더) 72 : 제 1 코일서포트
72a : 제 1 지지부
81 : 상측 버스바 홀더(버스바 홀더) 82 : 제 2 코일서포트
82a : 제 2 지지부 90 : 중성점 버스바(버스바)
90A : 제 1 버스바
90Aa : 제 1 버스바 본체부(버스바 본체부)
90B : 제 2 버스바
90Ba : 제 2 버스바 본체부(버스바 본체부)
91 : 상용 버스바(버스바) 92A, 92B : 단자
96A : 제 1 연장부(연장부) 96B : 제 2 연장부(연장부)
97A : 제 1 접속부(접속부) 97B : 제 2 접속부(접속부)
146d : 제 1 벽부 147d : 제 2 벽부
A, B : 접속계통 J : 중심축
DP : 간극 S1 : 제 1 코일 형성공정(공정 S1)
S2 : 부설라인 형성공정(공정 S2) S3 : 제 2 코일 형성공정(공정 S3)
S4 : 배치공정(공정 S4) S5 : 절단공정(공정 S5)
S6 : 접속공정(공정 S6) φ1, φ2 : 기울기

Claims (20)

  1.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간극을 두고서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상의 코어백과,
    상기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접속계통을 구성하고, 상기 티스에 권회된 도전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일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티스와 상기 코일 사이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를 갖고,
    상기 코일은,
    상기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상기 티스에 권회되는 제 1 코일과,
    상기 제 1 코일 및 상기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상기 티스에 권회되는 제 2 코일을 포함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버스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버스바와 접속되는 코일단을 갖고,
    복수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는 제 1 코일군과, 복수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일군과 접속계통이 다른 제 2 코일군이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 1 코일군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버스바와,
    상기 제 2 코일군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버스바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티스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의 상기 코일단은 상기 제 1 버스바와 상기 제 2 버스바 중 한쪽과 접속되고,
    상기 제 2 코일의 상기 코일단은 상기 제 1 버스바와 상기 제 2 버스바 중 다른쪽과 접속되는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티스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의 상기 코일단 및 상기 제 2 코일의 상기 코일단은 상기 제 1 버스바와 상기 제 2 버스바 중 한쪽과 접속되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티스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 및 상기 제 2 코일은 1개의 연속한 상기 도전선으로 구성되는 모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어백의 상측에 배치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돌출부와 둘레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서 배치되는 제 2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1 코일의 상기 코일단은 상기 제 1 돌출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 2 코일의 상기 코일단은 상기 제 2 돌출부와 접촉하는 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2 버스바와 상기 코일단의 접속 개소는 상기 간극과 지름 방향으로 겹치는 모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제 1 돌출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돌출부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중심축과의 사이의 지름 방향의 거리가 커지는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돌출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돌출부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중심축과의 사이의 지름 방향의 거리가 커지는 제 2 경사면을 갖는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의 상기 코일단 및 상기 제 2 코일의 상기 코일단은 상기 티스의 둘레 방향의 같은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경사면의 축 방향에 대한 기울기는 상기 제 1 경사면의 축 방향에 대한 기울기보다 작은 모터.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기부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지름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서 대향하는 제 1 벽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제 2 돌출부와 지름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서 대향하는 제 2 벽부를 갖고,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지름 방향의 간극 및 상기 제 2 벽부와 상기 제 2 돌출부의 지름 방향의 간극에는 각각 상기 코일단이 유지되는 모터.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스바 본체부와, 상기 버스바 본체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지름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단과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접속부의 형상은 U자 형상인 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하측으로 개구되는 U자 형상인 모터.
  12.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를 유지하고 절연성을 갖는 버스바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코일단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를 갖는 제 1 코일서포트를 갖는 모터.
  13. 제 2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원과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코일단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갖고 절연성을 갖는 제 2 코일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단자와 접속되는 상용 버스바와, 복수의 상기 코일단을 중성점으로 해서 연결시키는 중성점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코일서포트는 상기 중성점 버스바와 상기 상용 버스바의 축 방향의 사이에 위치하는 모터.
  14.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간극을 두고서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버스바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상의 코어백과,
    상기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접속계통을 구성하고, 상기 티스에 권회된 도전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일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티스와 상기 코일 사이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를 갖고,
    복수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는 제 1 코일군과, 복수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일군과는 접속계통이 다른 제 2 코일군이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 1 코일군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버스바와, 상기 제 2 코일군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버스바를 포함하는 모터의 제조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티스에 있어서,
    상기 티스에 상기 도전선을 권회하여 제 1 코일을 형성하는 공정 S1과,
    상기 제 1 코일의 권취 끝의 상기 도전선을 상기 인슐레이터에 걸어서 부설라인을 형성하는 공정 S2와,
    상기 제 1 코일 및 상기 부설라인과 같은 상기 도전선을, 상기 제 1 코일 위에서 권회하여 제 2 코일을 형성하는 공정 S3을 포함하는 모터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설라인에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2 버스바를 배치하는 공정 S4와,
    상기 제 1 버스바가 배치된 부분과 상기 제 2 버스바가 배치된 부분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부설라인을 절단하는 공정 S5를 포함하는 모터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절단한 상기 부설라인에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2 버스바를 접속하는 공정 S6을 포함하는 모터의 제조방법.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어백의 상측에 배치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돌출부와 둘레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서 배치되는 제 2 돌출부를 갖고,
    상기 공정 S2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을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에 걸고, 상기 부설라인을 상기 간극과 지름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형성하는 모터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제 1 돌출부의 둘레 방향 일방측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중심축과의 사이의 지름 방향의 거리가 커지는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돌출부의 둘레 방향 타방측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중심축과의 사이의 지름 방향의 거리가 커지는 제 2 경사면을 갖고,
    상기 공정 S1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이 권취 종료되는 위치는 상기 티스의 둘레 방향 타방측이며,
    상기 공정 S2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의 권취 끝을 상기 제 1 돌출부에 건 후에 상기 제 2 돌출부에 걸고,
    상기 공정 S3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일을 감기 시작하는 위치는 상기 티스의 둘레 방향 타방측인 모터의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사면의 축 방향에 대한 기울기는 상기 제 1 경사면의 축 방향에 대한 기울기보다 작은 모터의 제조방법.
  20.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를 구비하는 모터의 스테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로터와 간극을 두고서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버스바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상의 코어백과,
    상기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접속계통을 구성하고, 상기 티스에 권회된 도전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일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티스와 상기 코일 사이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를 갖고,
    상기 코일은,
    상기 버스바와 접속되는 코일단을 갖고 상기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상기 티스에 권회되는 제 1 코일과,
    상기 버스바와 접속되는 코일단을 갖고 상기 제 1 코일 및 상기 인슐레이터를 개재해서 상기 티스에 권회되는 제 2 코일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유닛.
KR1020187003350A 2015-08-10 2016-08-08 모터, 모터의 제조방법, 및 스테이터 유닛 KR101993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8392 2015-08-10
JPJP-P-2015-158392 2015-08-10
PCT/JP2016/073266 WO2017026436A1 (ja) 2015-08-10 2016-08-08 モータ、モ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ステータ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196A true KR20180021196A (ko) 2018-02-28
KR101993622B1 KR101993622B1 (ko) 2019-06-27

Family

ID=5798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350A KR101993622B1 (ko) 2015-08-10 2016-08-08 모터, 모터의 제조방법, 및 스테이터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651701B2 (ko)
JP (1) JP6812975B2 (ko)
KR (1) KR101993622B1 (ko)
CN (1) CN107925290B (ko)
DE (1) DE112016003652T5 (ko)
WO (1) WO2017026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3674A1 (ja) * 2017-06-26 2019-01-0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電機
JP7037868B2 (ja) * 2018-03-27 2022-03-17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モータ用ステータ
EP3764514A4 (en) * 2018-04-27 2021-06-02 Aisin Aw Co., Ltd. ST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ATOR
JP7258625B2 (ja) * 2019-03-27 2023-04-17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モータ用ステータ
EP3731376A1 (en) 2019-04-24 2020-10-28 Black & Decker Inc. Outer rotor brushless motor stator mount
JP7038682B2 (ja) * 2019-07-08 2022-03-18 愛知電機株式会社 電動機および圧縮機
KR102171455B1 (ko) 2019-07-15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CN113452179B (zh) * 2020-03-27 2024-04-23 日本电产株式会社 定子以及马达
ES2932807A1 (es) * 2021-07-20 2023-01-26 Orona S Coop Brida para bobinado automático por aguja en estátores de motores eléctricos y procedimiento de bobinado asociad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723A (ja) 2000-09-01 2002-03-22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JP2009033836A (ja) * 2007-07-26 2009-02-12 Aisin Seiki Co Ltd モータのヒュージング構造
JP2011217478A (ja) * 2010-03-31 2011-10-27 Kokusan Denki Co Ltd 回転電機とその製造方法
JP2011259614A (ja) * 2010-06-09 2011-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13031331A (ja) * 2011-07-29 2013-02-07 Jtekt Corp 電動モータおよび電動モータ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166A (en) * 1907-05-21 1908-08-25 Wilfred Shurtleff Electric motor.
US2235075A (en) * 1940-04-26 1941-03-18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Generator and power plant therefor
DE1538895A1 (de) * 1966-08-18 1969-12-04 Licentia Gmbh Elektrische Maschine
JPS62119140U (ko) * 1986-01-20 1987-07-29
US4967464A (en) * 1989-03-24 1990-11-0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making a switched reluctance motor having plural-stage form-wound coil winding
JPH1127886A (ja) * 1997-07-07 1999-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電機の固定子
JP3613262B2 (ja) * 2002-04-26 2005-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420231B (en) * 2003-09-12 2006-08-02 Bosch Gmbh Robert Armature core for an electric motor
DE102004021661A1 (de) * 2004-05-03 2005-12-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mmutatormotor mit mehreren Feldwicklungsgruppen
US7365468B2 (en) * 2004-07-20 2008-04-29 Bluway Systems, Llc Motor stator having transposed winding layers
JP5176283B2 (ja) * 2006-03-30 2013-04-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のバスバー絶縁構造
JP5239413B2 (ja) * 2008-03-13 2013-07-1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5379550B2 (ja) * 2009-04-21 2013-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機子
JP5991172B2 (ja) * 2012-06-07 2016-09-14 日立金属株式会社 電動機の製造方法
JP5952701B2 (ja) * 2012-10-04 2016-07-13 ミネベア株式会社 モータのステータ構造、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モータのステータ構造の製造方法
JP6098920B2 (ja) * 2012-10-19 2017-03-22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
JP6531361B2 (ja) * 2013-12-10 2019-06-19 株式会社デンソー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モータ駆動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723A (ja) 2000-09-01 2002-03-22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JP2009033836A (ja) * 2007-07-26 2009-02-12 Aisin Seiki Co Ltd モータのヒュージング構造
JP2011217478A (ja) * 2010-03-31 2011-10-27 Kokusan Denki Co Ltd 回転電機とその製造方法
JP2011259614A (ja) * 2010-06-09 2011-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13031331A (ja) * 2011-07-29 2013-02-07 Jtekt Corp 電動モータおよび電動モ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026436A1 (ja) 2018-06-14
US20180241268A1 (en) 2018-08-23
JP6812975B2 (ja) 2021-01-13
WO2017026436A1 (ja) 2017-02-16
CN107925290A (zh) 2018-04-17
KR101993622B1 (ko) 2019-06-27
US20200220405A1 (en) 2020-07-09
CN107925290B (zh) 2020-05-22
DE112016003652T5 (de) 2018-05-17
US10651701B2 (en)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622B1 (ko) 모터, 모터의 제조방법, 및 스테이터 유닛
JP4465395B2 (ja) 回転電機の集配電リング
JP4972170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5652004B2 (ja) 配電構造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03365B2 (ja) 回転電機
KR20120117654A (ko) 버스 바 장치, 스테이터, 모터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JP5178292B2 (ja) 回転電機の集配電構造
KR20180023002A (ko) 모터
WO2020026710A1 (ja)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WO2017026413A1 (ja) モータ
WO2019004116A1 (ja) ステータ、モータ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18107989A (ja) モータ
JP2016052224A (ja) ステータ、そのステータを適用した回転電機及びステータの結線方法
WO2018181927A1 (ja) モータ
JP2007174826A (ja) 回転電機用ステータ、インシュレータ、及びバスバーユニット
JP4465396B2 (ja) 回転電機の配電接続構造および回転電機の配電接続構造の製造方法
JP6640912B2 (ja) 電動機の電機子
WO2019167522A1 (ja) モータ
WO2019082667A1 (ja)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JPWO2020026711A1 (ja)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JP5450193B2 (ja) 電機子の製造方法、モータの製造方法及び電機子の製造装置
JP2020102981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8180641A1 (ja) モータ
CN110710085B (zh) 定子和马达
JP2017022947A (ja) ステータ、モータ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