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455B1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455B1
KR102171455B1 KR1020190084976A KR20190084976A KR102171455B1 KR 102171455 B1 KR102171455 B1 KR 102171455B1 KR 1020190084976 A KR1020190084976 A KR 1020190084976A KR 20190084976 A KR20190084976 A KR 20190084976A KR 102171455 B1 KR102171455 B1 KR 102171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coil
neutral
terminal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
한철
장광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4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455B1/ko
Priority to TW109100978A priority patent/TWI742512B/zh
Priority to EP20151402.3A priority patent/EP3767798B1/en
Priority to AU2020200609A priority patent/AU2020200609B2/en
Priority to US16/794,794 priority patent/US11563349B2/en
Priority to KR1020200133458A priority patent/KR102548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455B1/ko
Priority to US18/152,415 priority patent/US2023016365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8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around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모터의 소형화로 발생하는 공간적 제약을 해결할 수 있는 버스바, 인슐레이터의 구조가 개선된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이터와 로터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백요크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와 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인슐레이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에 코일의 인출선이 결선되는 전원터미널 유닛과 중성터미널 유닛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함으로써, 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터의 인슐레이터 구조가 개선된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의 상호 작용에 의해 구동력을 구현하는 장치로써, 기본적으로 고정자와 회전자의 구조는 동일하다.
그러나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회전자가 회전하는 원리에 따라 모터의 종류가 나뉘게 된다. 그리고 고정자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의 종류나 상에 따라 모터의 종류가 나뉘기도 한다. 또한, 고정자 코일이 와인딩된 방법에 따라 모터의 종류가 나뉘기도 한다. 예로써, 직류식인 가변전압 전동기와 교류식인 3상 유동 전동기 등이 있다.
상기 모터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는 스테이터가 마련되고, 스테이터는 로터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스테이터에는 티스(Teeth)가 구비되어 상기 티스에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이 권선되어 로터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여 로터의 회전을 유도한다.
코일은 권선되는 방법에 따라서 집중권(concentrated winding)과 분포권(distributed winding)으로 구분되며, 집중권은 코일을 1개의 슬롯에 집중해서 감는 권선방식이며, 분포권은 코일을 2개 이상의 슬롯에 나누어 감는 권선방식이다.
집중권의 경우 분포권에 비하여 권선량을 줄이면서 동선(Copper loss)를 저감시킬 수 있으나, 코일이 슬롯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어 자속밀도의 변화가 크고, 철손(Core loss 또는 Iron loss), 즉 철심의 전력 손실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집중권 방식으로 권선된 코일은 일반적으로 소형 모터에 사용되고 있다.
근래, 여러 가전 제품(예로써 헤어드라이기, 청소기 등이 있다.)에 사용되는 모터는 소형화 및 성능향상 요구에 따라 발생하는 공간적인 제약과, 절연성능 향상을 위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모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권선공간에 코일의 권선수를 늘리거나 코일의 직경을 늘려야 하는데, 스테이터의 티스 사이에 형성되는 권선 공간은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으며, 또한 모터의 경량화 추세에 맞추어 스테이터의 크기가 줄어든 경우 코일의 절연이 확보되지 않아 모터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허문헌1(10-2015-0031634, 2015.03.25. 공개)은 동일한 형상의 터미널을 내주면을 연장한 가상 원의 중심축이 상이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인슐레이터의 구조를 단순화 하였고, 특허문헌2(10-2017-0052986, 2017.05.15 공개)는 버스바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가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슬롯부에 삽입되어 버스바와 스테이터를 결합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특허문헌3(10-2016-0139824, 2016.12.07 공개)은 버스바의 터미널 구조를 개선하여 터미널을 스테이터의 상부면에 황현 구조로 끼움 결합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특허문헌4(10-2016-0030924, 2016.03.21. 공개)는 버스바의 입출력 터미널이 외주상에서 상하로 교차되어 배치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들에 적용된 버스바와 인슐레이터 구조는 모터의 외경 내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버스바가 위치하고, 인출선의 결선이 상기 인슐레이터에 감기며 이루어지는 방식이므로 반경 방향으로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특히, 특허문헌1과 같은 구조로 터미널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경우 공간의 활용도는 높아지지만 상기 터미널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반경 방향의 공간을 줄일 경우 절연이 확보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모터의 소형화와 동시에 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적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10-2015-0031634 (2015.03.25. 공개) 특허문헌 2: 10-2017-0052986 (2017.05.15. 공개) 특허문헌 3: 10-2016-0139824 (2016.12.07. 공개) 특허문헌 4: 10-2016-0030924 (2016.03.21.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모터의 소형화로 발생하는 공간적 제약을 해결할 수 있는 버스바, 인슐레이터의 구조가 개선된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모터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버스바, 인슐레이터의 구조가 개선된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초고속 3상 모터의 성능 확보와 소형화를 위해 치 분할 코어 및 집중권 와인딩이 적용된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고정자의 외경, 백요크(Back yoke)의 반경방향의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U,V,W 및 중선점 인출선의 결선을 수행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백요크(Back yoke)의 반경방향의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U,V,W 및 중선점 인출선의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인슐레이터의 구조가 개선된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모터의 소형화를 위해 버스바, 인슐레이터 구조가 스테이터 코어의 반경방향 내에서 결합되는 구조의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치(Teeth) 분할 코어가 스테이터 코어에 축방향으로 결합하여 인출선을 결선할 수 있는 구조의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버스바, 중성선, 인슐레이터의 단면 형상이 적층(Layer) 구조를 이루는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U,V,W 인출선의 결선 및 중성선의 결선 처리가 고정자 Core의 일측에서 가능한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고정자 Core, 버스바(U,V,W 인출선), 중성선 Connection Ring 사이에 절연 거리가 확보되어 절연 내력의 확보가 가능한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백요크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와 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인슐레이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은, 상기 코일의 3상전원의 각 상과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유닛과 상기 코일의 중성점과 연결되는 중성터미널 유닛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터미널 유닛 사이 및 상기 터미널 유닛들 사이를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과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 내에서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의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3상전원 인출선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및 상기 전원터미널과 연결되어 상기 코일의 3상전원 중 어느 하나의 상과 접속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터미널은, 상기 코일의 3상전원 인출선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을 상기 고정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은, 일측이 상기 전원터미널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연결부재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의 상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의 3상전원의 인출선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인출되어 상기 전원터미널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중성점 인출선과 각각 연결되는 중성터미널 및 상기 중성터미널을 연결하는 중성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성연결부재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의 내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중성터미널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에서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 사이를 절연시키는 제1인슐레이터부 및 기 제1인슐레이터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과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 사이를 절연시키는 제2인슐레이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부와 접하는 제1면과,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는,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면과 접하는 제3면과,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4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인슐레이터부의 상하면은 각각 제1면과 제2면을 형성하고, 제2인슐레이터부의 상하면은 각각 제3면과 제4면을 형성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은 소정높이 이격되어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는 상기 소정높이를 형성하고, 상기 제3면과 제4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의 깊이 합은 상기 소정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백요크를 형성하는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권선부를 포함하는 티스와 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인슐레이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은, 상기 코일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터미널 유닛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터미널 유닛 사이 및 상기 복수개의 터미널 유닛 사이를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의 단면은, 상기 복수개의 터미널 유닛과 상기 인슐레이터가 서로 교차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터미널은, 상기 코일의 3상전원의 각 상과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유닛 및 상기 코일의 중성점과 연결되는 중성터미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 내에서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의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3상전원 인출선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중성점 인출선과 각각 연결되는 중성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의 3상전원 인출선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인출되어 상기 전원터미널에 결선될 수 있고,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은, 상기 전원터미널과 연결되어 상기 코일의 3상전원의 어느 하나의 상과 연결되는 연결단자 및 일측이 상기 전원터미널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 및 상기 전원연결부재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코일의 중성점 인출선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의 내측에서 상기 중성터미널에 결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은, 상기 중성터미널을 연결하며,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중성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자의 외경을 줄일 수 있고, 백요크(Back yoke)의 반경방향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 모터의 소형화,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백요크의 반경방향 두께에 제약되지 않고, 3상 전원(U,V,W) 및 중성점 인출선의 결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코어(Core)에 인슐레이터 모듈이 축방향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고정자 코어의 반경방향의 두께를 최소하여 모터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코어(Core)와 버스바(U,V,W 인출선) 및 중성선 Connection ring 사이의 절연거리가 확보되어 절연 내력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모터의 고속화와 소형화를 위해, 치(Teeth) 분할 코어에 집중권 와인딩을 적용하고, 상기 치 분할 코어가 고정자 코어에 축방향으로 결합하여 인출선의 결선을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청소기의 사시도.
도2는 종래 코일의 권선을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전체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분해사시도.
도5a는 도34 분할코어의 사시도.
도5b는 도4a의 a-a`단면도.
도6a는 도4의 인슐레이터 모듈의 사시도.
도6b는 도4의 a-a`단면도.
도7은 인슐레이터 모듈에서 전원터미널 유닛이 분리된 사시도.
도8은 인슐레이터 모듈에서 중성터미널 유닛이 분리된 사시도.
도9은 인슐레이터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종래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1)와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6) 및 상기 청소기 본체(1)와 상기 흡입 노즐(6)을 연결하는 연장관(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흡입 노즐(6)은 상기 연장관(5) 없이도 상기 청소기 본체(1)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1)는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 노즐(6)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는 상기 연장관(5)을 통해 상기 먼지통(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1)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3)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3)를 파지한 상태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1)에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에는 상기 배터리(미도시)가 수용 되는 배터리 수용부(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용부(4)는 상기 손잡이(3)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상기 흡입 노즐(6)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 노즐(6)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2는 종래 코일의 권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2를 참고하여, 종래 코일의 중 이너 로터(Inner rotor) 타입의 모터 구조 및 코일 권선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 이너 로터 타입의 모터에서 티스(83)는 고정자 코어(82)에서 상기 고정자 코어(82)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자 코어(82)와 상기 코일의 사이를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84)가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코일의 권선은 u상의 코일(85u)이 1번 티스(83)에서 시계방향(화살표 방향)으로 권선된다. 물론, 반드시 시계방향으로 권선될 필요는 없고, 어느 경우나 각 상의 코일이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되기만 하면 된다.
상기 티스(83)의 권선이 끝나게 되면, 상기 u상의 코일(85u)은 인슐레이터(84)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1번티스에 권선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4번 티스, 7번 티스에 권선되어 상기 인슐레이터(84)의 외측에서 두개의 코일 연결선(86u)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v상의 코일(85v)는 2번,5번 그리고 8번 티스에 상기 u상의 코일과 동일한 방식으로 권선되어 두 개의 연결선(86v)을 형성하고, w상의 코일(85w)은 3번,6번 그리고 9번 티스에 권선되어 두 개의 연결선(86v)을 형성한다. 상기 3상전원 코일의 말단은 각각 상기 9번,8번,7번 티스에 권선된 후 인슐레이터(84)의 외측에서 중성점 인출선(87)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선들(86)은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고정자 코어(82)에 의해 형성되는 백요크(Back yoke)의 반경방향 두께를 활용하여 상기 연결선(86)의 정리 및 절연이 수행된다.
즉, 종래의 모터는 상기 백요크(Back yoke)의 반경방향의 두께에 의해 상기 코일의 인출선의 정리, 절연이 수행되므로 모터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 경량화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덧붙여 본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각각의 3상전원 인출선 및 중성점 인출선의 결선을 위한 터미널도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상기 백요크(Back yoke)의 반경방향의 두께 내에 구비되어야 하는 구조이다.
이상 살펴본 도1 및 도2는 청소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모터, 이너 로터(Inner rotor)타입의 모터에 대한 대략적인 구성을 설명한 것으로서, 이하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모터 역시 청소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 모터로서, 모터를 소형, 경량화함과 동시에 모터의 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인슐레이터 구조를 포함하는 모터이다.
이하, 도3 내지 도10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3에서는 본 실시예의 전체적인 모터 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써, 코일의 결선, 절연, 인슐레이터의 구조는 생략된다. 본 도면에서 생략되는 상기 내용은 이하 도4 내지 도10에서 설명되며, 도3의 전체적인 구성에 도4 내지 도10의 특징이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모터는 모터부(20), 상기 모터부(20)가 수용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 발생부(30), 상기 유동 발생부(30)에서 발생한 공기 유동을 분산시키는 디퓨져(40)를 포함한다.
모터부(20)는 환형의 스테이터(21), 상기 스테이터(21)의 중심을 관통하는 샤프트(23), 및 상기 샤프트(23)에 축설되며 상기 스테이터(21)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로터(22)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23)는 베어링(24)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모터부(20)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인 것이 예시된다. 본 도면에서는 BLDC 모터로서 스테이터(21)가 로터(22)의 외측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로터(22)의 안쪽에 스테이터(21)가 배치된 구조의 모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모터부(20)의 하부에는 모터 하우징(10)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2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모터 하우징(1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의 모터 설치부(11)와 상기 모터 설치부(11)의 상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외향 연장되는 연결암(14)과 상기 연결암(14)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 설치부(1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환형의 바디 결합부(15)가 마련되고, 상기 모터 설치부(11)의 바닥 중앙부분에는 모터부(20) 하부의 상기 베어링(24)을 고정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24)은 베어링 홀더(70)와 탄성 메쉬(60)가 상기 베어링(24)의 외주면에 차례로 감겨진 베어링 조립체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20)의 상부에는 브라캣(50), 디퓨저(40), 유동 발생부(3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동 발생부(30)는 임펠러(31), 임펠러 커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캣(50)은 상기 디퓨저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홀(45)에 정렬되는 중앙부(54)와 상기 중앙부(54)보다 넓은 반경을 형성하며 환형으로 구비되는 지지부(5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앙부(54)와 상기 지지부(51)를 연결하는 연결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51)는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부(52)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 하우징(10)과 체결되어 모터부(2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40)는 중앙 부분에 홀(45)이 형성되고, 상기 홀(45)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냉각 유로 출구(43)가 마련되어 상기 모터부(20)에서 발생한 열이 토출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디퓨저(40)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모터 설치부(11)의 측벽의 외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412)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베인(42)이 구비되어 상기 임펠러(31)에 의해 가압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한다.
상기 임펠러(31)는 디퓨저(40)의 상부에 설치되고 임펠러(31)의 중심에는 샤프트(23)가 삽입되는 축설공(312)이 마련된다. 상기 축설공(312)은 임펠러(31)의 전체적인 강성을 지지하는 허브(311)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허브(311)는 회전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점점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는 면을 갖고, 방사상의 블레이드(312)가 구비된 사류형 임펠러일 수 있다.
상기 임펠러 커버(33)는 상부 중앙부에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인 공기흡입구(331)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흡입구(331)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 형태로 구비되고, 임펠러 커버(33)의 하단에는 커버 결합부(342)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 결합부(342)는 단턱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단턱 형상 내부에 상기 상기 상기 바디 결합부(15)가 끼워지는 구조일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모터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백요크(Back yoke)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코어(300)와,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520), 코일(510)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인슐레이터 모듈(100),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분할코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티스(520)는 본 실시예에서는 백요크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Inner Type)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Outer Type)될 수도 있다.
상기 반경방향 내측이라 함은, 스테이터 코어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백요크는 호를 형성하고, 상기 호에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티스(520)에 집중권 와인딩이 적용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축방향(길이방향)을 향해 삽입되는 치(Teeth) 분할코어를 예로 들고 있으며, 이는 모터의 소형화 때문에 발생하는 스테이터 코어(300)의 크기 때문에 공간적 제약이 생겨 치 분할코어를 고정자의 백요크와 모터 반경방향 체결이 어렵기 때문이다.
인슐레이터 모듈(100)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분할코어(500)의 인출선(511,513)을 결선시키는 터미널 유닛들(110,130)을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은 상기 인출선(511,513)의 절연 및 상기 터미널 유닛들 간의 절연을 위해 소정 높이(H)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유닛들(110,130)은 상기 소정 높이(H)내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단면상, 상기 각각의 터미널 유닛들(110,130)은 서로 다른 층(Layer)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터미널 유닛(110,130)이 형성하는 층은 상기 터미널 유닛(110,130)과 인슐레이터(150)가 일부 포함되어 있는 층으로써,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은 코일(510)의 3상전원의 각 상과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유닛(110)과 상기 코일(510)의 중성점과 연결되는 중성터미널 유닛(130)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와 상기 터미널 유닛들(110,130) 사이 및 상기 터미널 유닛들(110,130) 사이를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은 상기 터미널 유닛들(110,130)과 인서트 사출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하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유닛들(110,130)과 인슐레이터(150)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단면 상에서 서로 교차 적층되어 각각의 층(Layer)을 형성할 수 있는 바, 각각의 층을 형성하는 부재들이 서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이 적층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층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각각의 층에 홈과 돌기가 형성되어 압입공차에 의한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적층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각각의 층을 이루며 맞닿는 면에 점성재질의 물질을 도포하여 각각의 층이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10)과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130)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터미널 유닛(110,130)간의 높이 차이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소정 높이(H)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10)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130)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다. 자세히,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10)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최상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130)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내주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정 높이(H)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하단에서 상단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인슐레이터(150)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 인슐레이터(150)의 두께로 정의될 것은 아니며,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상단에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10)이 돌출되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하단에서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10)의 상단까지를 포함하는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10)과 중성터미널 유닛(130)의 상대적인 높이차이는 유지한 채,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10)의 후술하는 전원연결부재의 상면(112u)을 인슐레이터(150)가 감싸며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소정 높이(H)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하단에서 상단의 높이를 의미하고,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단면상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상단 및 하단 모두 인슐레이터(150)가 층(Layer)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이 소정 높이(H)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터미널 유닛들(110,130)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 사이의 절연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정 높이(H)내에서 상기 터미널 유닛들(110,130)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터미널 유닛들(110,130) 사이의 절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는 내부에 상기 분할코어(5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일부가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내주면과 외주면 중 일부에는 평면부(310a,33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310a,330a)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반경방향의 두께를 줄여서 모터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를 흐르는 자속(Magnetic flux)에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을 일부 제거함으로써, 모터의 성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형상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외주면 중 상기 평면부(310a,330a)와 맞닿는 부분에 평면부(15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내주면(330) 중 일부에는 상기 내주면(33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3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331)에 상기 분할코어(500)의 티스(520)가 축방향(스테이터 코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5a는 도4의 분할코어의 사시도이고, 도5b는 도5a의 a-a`단면도이다.
도5a 및 도5b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분할코어(500)는 치(Teeth) 분할코어이며,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반경방향으로부터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티스(520)는 상기 티스(520)를 감싸며 상기 코일(510)과 상기 티스(520) 사이를 절연하는 인슐레이터(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슐레이터(530)에는 홈(531)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510)의 3상전원 인출선(511)이 상기 홈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510)은 집중권 와인딩 방식에 의해 각각의 티스(520)에 권선될 수 있으며, 상기 3상전원 인출선(511)과 중성점 인출선(513)은 상기 분할코어(500)의 상부에서 인출될 수 있다.
왜냐하면, 본 실시예의 모터는 스테이터 코어(300)를 기준으로 상기 분할코어(500)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하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상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상부에 접하며 위치하는 구조로써,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에서 상기 3상전원 인출선(511)과 중성점 인출선(513)의 결선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상기 코일(510)의 인출선 들은 상기 분할코어(500)의 상부에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코일(510)이 제1방향(D1)으로 권선될 경우, 상기 코일(510)은 상기 티스(52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부터 내측을 향해 권선이 진행되고, 상기 티스(52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이 시작되고, 상기 코일(510)은 티스(52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감기어져 결선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510)이 제2방향(D2)으로 권선될 경우, 상기 코일(510)은 상기 티스(520)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권선이 진행되고, 상기 티스(52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이 시작되고, 상기 코일(510)은 상기 티스(520)의 하부에 상부를 향해 감기어져 결선될 수 있다.
상기 티스(520)의 상부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에 근접한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티스(520)의 하부는 상기 상부의 반대측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결과적으로 상기 제1방향(D1) 또는 제2방향(D2)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코일(510)이 권선되어도, 상기 3상전원의 인출선(511)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인출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전원터미널(113)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상면에 구비되고, 중성터미널(131)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3상전원 인출선(511) 및 상기 중성점 인출선(513)은 모두 백요크의 반경방향 즉, 스테이터 코어(300)의 반경방향 내에서 결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티스(520)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결합홈(331)에 결합되는 결합부(521)와 상기 결합부(521)로부터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권선부(523)와 상기 권선부(523)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자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하는 폴슈(525)를 포함한다.
상기 인슐레이터(530)는 상기 권선부(523)와 상기 폴슈(525)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코일(510)이 권선되는 구간을 형성한다.
상기 폴슈(525)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내측에서 가상의 원주면을 따라 굴곡진 형태로 상기 권선부(523)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성점 인출선(513)은 절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내주면과 상기 가상의 원주면 사이에서 결선될 수 있다.
도6a는 도4의 인슐레이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6b는 도4의 a-a`단면도이다.
도6a 및 도6b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전원터미널 유닛(100)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 내에서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00)의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510)의 3상전원 인출선(511)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113) 그리고 상기 전원터미널(113)과 연결되어 상기 코일(510)의 3상전원 중 어느 하나의 상과 접속되는 연결단자(111) 및 일측이 상기 전원터미널(113)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단자(111)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터미널(113)은 상기 코일(510)의 3상전원 인출선(511)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1131)와 상기 고정부(1131)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510)을 상기 고정부(1131)로 안내하는 가이드부(1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31)는 상기 3상전원 인출선(511)을 끼워 맞춰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1131)는 상기 3상전원 인출선(511)의 지름보다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3상전원 인출선(511)의 지름에 대해 소정의 압입 공차를 형성하여 상기 3상전원 인출선(511)이 상기 고정부(1131)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153)는 상기 고정부(1131)의 양측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되, 내측은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여 상기 3상전원 인출선(511)을 상기 고정부(1131)에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111)는 상기 코일(510)의 3상전원과 접속되어 회로기판(미도시)등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터미널(113)과 전원연결부재(112)를 통해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재(112)는 상기 전원터미널(113)과 연결단자(111)를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원연결부재의 상면(112u)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상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원연결부재의 측면(112s)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내주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전원연결부재의 상면(112u)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최상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단자(111)는 상기 최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전원연결부재의 측면(112s)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형상에 대응되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내주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단면상에서 최상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 전원연결부재의 상면(112u)이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인슐레이터(150)가 상기 전원연결부재의 상면(112u)위에도 구비되어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단면상에서 최상층은 인슐레이터(15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성터미널(131)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중성연결부재(132)에 의해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성연결부재(132)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형상에 대응되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내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성터미널(131)은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중성연결부재(132)로부터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연장부(1311)와 상기 연장부(1311)의 일단에서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내주면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고리부(13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중성터미널(131)의 형상은 상기 연장부(1311)와 고리부(1313)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성점 인출선(513)이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내측에서 결선될 수 있는 다양한 돌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은 소정 높이(H)를 형성하고 상기 소정 높이(H)는 후술하는 제1인슐레이터부(151)의 제1높이(H1)와 제2인슐레이터부(153)의 제2높이(H2)의 합과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130)의 높이는 상기 제1높이(H1)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10)의 높이는 상기 제2높이(H2)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터미널 유닛 사이는 및 상기 터미널 유닛과 스테이터 코어(300)는 상기 높이의 차이를 통해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터미널(113)과 상기 중성터미널(131)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에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은 소정의 두께(T)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원연결부재의 상면(112u)는 상기 두께(T)보다 더 얇은 제1두께(T1)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께(T)는 상기 제1두께(T1)와 인슐레이터(150)의 상면 중 일부 두께(T2)의 합과 대응될 수 있다.
즉, 터미널 유닛들(110,130)은 인슐레이터(150)에 의해 높이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감싸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7은 인슐레이터 모듈에서 전원터미널 유닛이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8은 인슐레이터 모듈에서 중성터미널 유닛이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7을 참고하면, 전원터미널 유닛(110)은 각각 3상에 대응되어 3개의 별도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110b)는 전원연결부재(112)가 없이 연결단자(111b)와 전원터미널(113b)이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물리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재(112a,112c)가 절곡된 전원터미널 유닛(110a,110c)은 바람직하게 서로 동일한 곡률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터미널(113a,113b,113c)은 바람직하게 120도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3상 전원의 인출선(511)은 상기 백요크 또는 인슐레이터의 반경방향 두께를 활용하여 결선할 필요 없이 상기 각각의 전원터미널에 결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상면에는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10a,110b,110c)이 각각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5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홈(1523a,1523b,1523c)은 상기 각각의 전원터미널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전원터미널 유닛(1523a,1523b,1523c)은 상기 안착홈(1523a,1523b,1523c)에 의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소정간격 사이에는 인슐레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도8을 참고하면, 중성터미널 유닛(130)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내주면의 곡면을 따라 절곡된 중성연결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성연결부재(132)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소정의 두께(T)보다 작은 제3두께(T3)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두께(T3)는 상기 제1두께(T1)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130)이 안착되는 안착홈(152)이 형성될 수 있다.
도9는 인슐레이터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9을 참고하면, 상기 인슐레이터(150)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와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130) 사이를 절연시키는 제1인슐레이터부(151) 및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151)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130)과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10) 사이를 절연시키는 제2인슐레이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인슐레이터부(151)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상부와 접하는 제1면(1511)과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130)이 안착되는 안착홈(1521)이 형성되는 제2면(15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153)는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130)이 안착되는 안착홈(15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면(1512)과 접하는 제3면(1533)과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10)이 안착되는 안착홈(1523)이 형성되는 제4면(15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151)와 제2인슐레이터부(153)는 소정의 두께(T)를 형성하고,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151)와 제2인슐레이터부(153)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H)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151)와 제2인슐레이터부(153)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50)의 두께(T)와 동일하여 내주면과 외주면이 돌출된 부분 없이 평평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의 제1높이(H1)와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의 제2높이(H2)의 합이 상기 소정의 높이(H)와 대응되어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151)와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153)가 서로 적층될 시,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50)의 높이(H)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인슐레이터부(151)는 제1면(1511)에서부터 제2면(1512)까지의 높이가 제1높이(H1)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1521)이 형성되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151)는 제4두께(T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521)에는 중성터미널 유닛(130)이 안착되고,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130)은 제3두께(T3)를 형성하여 상기 제3두께(T3)와 상기 제4두께(T4)의 합은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151) 내주면에서 외주면까지의 두께(T)와 동일하다.
즉,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130)의 하부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151)에 의해 감싸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인슐레이터부(153)는 제3면(1533)에서부터 제4면(1534)까지의 높이가 제2높이(H2)를 형성하고, 상기 제3면(1533)에는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130)이 안착되는 안착홈(1522)이 형성되고, 상기 제4면(1534)에는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10)이 안착되는 안착홈(152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면(1533)과 상기 제2면(1512)에 의해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130)이 수용되는 안착홈(1522)이 형성되고, 상기 제3면(1533) 중 상기 안착홈(1522)이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4두께(T4)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3면(1533)과 상기 제4면(1534)은 소정높이 이격되어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153)는 상기 제2높이(H2)를 형성하고, 상기 제3면(1533)에 형성되는 안착홈(1522)과 상기 제4면(1534)에 형성되는 안착홈(1523)의 깊이 합은 상기 소정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홈(1522,1523)에 안착되는 중성터미널 유닛(130)과 전원터미널 유닛(110)의 절연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153)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안착홈의 깊이의 합은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153) 전체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4면(1534)에서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110)이 수용되는 안착홈(1523)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제2두께(T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연결부재(112)는 제1두께(T1)로 형성되어 상기 제2두께(T2)와 상기 제1두께(T1)의 합은 제2인슐레이터부(153)의 내주면에서 외주면까지의 두께(T)와 동일하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 인슐레이터 모듈(100)을 형성하는 각각의 층(Layer)이 적층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적층 방식에 의한 결합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와 같은 층(Layer)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분할코어(500)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에 결선될 수 있다. 상기 분할코어(500)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하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상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은 소정의 높이(H)를 형성하고 상기 높이(H)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상면과 접하는 면에서부터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최상면까지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연결부재(112)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최상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3상전원 인출선(511)은 코일(510)이 상기 티스(520)의 상부에서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을 향해 인출되어 상기 인슐레이터(530)의 상부에 형성되는 홈(531)에 고정된 후, 상기 전원터미널(1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터미널(113)은 120도 간격으로 3상전원의 각 상에 대응되어 3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터미널(113) 중 일부는 전원연결부재(112)를 통해 연결단자(111)와 3상전원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성점 인출선(513)은 코일(510)이 상기 티스(520)의 상부에서 인출되어 절곡된 후, 상기 중성터미널(1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성터미널(131)은 상기 중성연결부재(132)에서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1313)와 상기 연장부(1313)에서 절곡 형성되는 고리부(131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연장부(1313)는 상기 코일(510)과의 절연거리를 확보한 위치에서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고리부(1311)는 상기 각각의 분할티스 중 근접한 분할 티스의 반대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중성점 인출선(513)은 상기 고리부(1311)에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300)의 내측에 위치한 코일(510)과의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3상전원 인출선(511)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 내에서 결선될 수 있으며, 자세히 상기 백요크의 반경에 대응되어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이 소정의 두께(T)를 형성하므로, 상기 3상전원 인출선(511)은 상기 두께(T)내에서 상기 전원터미널(113)에 결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성점 인출선(513)도 상기 백요크의 반경 내에서 결선될 수 있으며, 자세히,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이 스테이터 코어(300)의 원통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스네티어 코어(300)의 상부에서 소정의 높이(H)를 형성하므로, 상기 중성점 인출선(513)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내측에서 결선되고, 동시에 상기 높이(H)내에 위치한 중성터미널(131)에 결선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출선(511,513)이 모두 백요크의 반경 내에서 결선됨과 동시에,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100)의 두께(T) 및 높이(H)에 따른 터미널 유닛(110,130) 간의 구조적 위치에 의해 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자의 외경을 줄일 수 있고, 백요크(Back yoke)의 반경방향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 모터의 소형화,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동시에 터미널 유닛간(110,130)의 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인슐레이터 모듈
110 : 전원터미널 유닛 111 : 연결단자
112 : 전원연결부재 113 : 전원터미널
130 : 중성터미널 유닛 131 : 중성터미널
132 : 중성연결부재
150 : 인슐레이터
300 : 스테이터 코어
500 : 분할코어
510 : 코일 511 : 3상전원 인출선
513 : 중성점 인출선 520 : 티스

Claims (20)

  1.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백요크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
    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일측에 결합되는 인슐레이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은,
    상기 코일의 3상전원의 각 상과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유닛과 상기 코일의 중성점과 연결되는 중성터미널 유닛을 포함하는 터미널 유닛;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터미널 유닛 사이 및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과 중성터미널 유닛 사이를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 사이를 절연시키는 제1인슐레이터부; 및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과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 사이를 절연시키는 제2 인슐레이터부;를 포함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 내에서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의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3상전원 인출선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및
    상기 전원터미널과 연결되어 상기 코일의 3상전원 중 어느 하나의 상과 접속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터미널은,
    상기 코일의 3상전원 인출선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을 상기 고정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은,
    일측이 상기 전원터미널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재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의 상면 중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3상전원의 인출선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인출되어 상기 전원터미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중성점 인출선과 각각 연결되는 중성터미널; 및
    상기 중성터미널을 연결하는 중성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연결부재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의 내면 중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터미널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에서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는 상기 로터의 축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일측과 접하는 제1면과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는,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면과 접하는 제3면과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4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은 소정높이 이격되어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는 상기 소정높이를 형성하고,
    상기 제3면과 제4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의 깊이 합은 상기 소정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3.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백요크를 형성하는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권선부를 포함하는 티스;
    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인슐레이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은,
    상기 코일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터미널 유닛;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터미널 유닛 사이 및 상기 복수개의 터미널 유닛 사이를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터미널은 유닛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의 3상전원의 각 상과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유닛; 및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과 다른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의 중성점과 연결되는 중성터미널 유닛;을 포함하는 모터.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 내에서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의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3상전원 인출선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중성점 인출선과 각각 연결되는 중성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3상전원 인출선은 상기 백요크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인출되어 상기 전원터미널에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터미널 유닛은,
    상기 전원터미널과 연결되어 상기 코일의 3상전원의 어느 하나의 상과 연결되는 연결단자; 및
    일측이 상기 전원터미널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 및 상기 전원연결부재는,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중성점 인출선은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의 내측에서 상기 중성터미널에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터미널 유닛은,
    상기 중성터미널을 연결하며, 상기 인슐레이터 모듈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중성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190084976A 2019-07-15 2019-07-15 모터 KR102171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76A KR102171455B1 (ko) 2019-07-15 2019-07-15 모터
TW109100978A TWI742512B (zh) 2019-07-15 2020-01-10 馬達
EP20151402.3A EP3767798B1 (en) 2019-07-15 2020-01-13 Motor
AU2020200609A AU2020200609B2 (en) 2019-07-15 2020-01-29 Motor
US16/794,794 US11563349B2 (en) 2019-07-15 2020-02-19 Motor
KR1020200133458A KR102548047B1 (ko) 2019-07-15 2020-10-15 모터
US18/152,415 US20230163653A1 (en) 2019-07-15 2023-01-10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76A KR102171455B1 (ko) 2019-07-15 2019-07-15 모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458A Division KR102548047B1 (ko) 2019-07-15 2020-10-15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455B1 true KR102171455B1 (ko) 2020-10-29

Family

ID=6915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976A KR102171455B1 (ko) 2019-07-15 2019-07-15 모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563349B2 (ko)
EP (1) EP3767798B1 (ko)
KR (1) KR102171455B1 (ko)
AU (1) AU2020200609B2 (ko)
TW (1) TWI7425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947A1 (ko) * 2021-01-11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조립체용 커넥션링 및 그의 제조방법, 모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8267S1 (en) * 2021-06-26 2023-09-05 Chenglong Yu Cordless vacuum cleaner
KR102593387B1 (ko) * 2021-09-28 2023-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조립체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021A (ko) * 2004-04-30 200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엘디시 모터의 스테이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8437A (ko) * 2007-01-19 2008-07-23 에스앤티대우(주) 자동차용 브러쉬리스 모터의 버스바를 이용한 병렬 권선결합구조
KR20150031634A (ko) 2013-09-16 2015-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버스바, 인슐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6019421A (ja) * 2014-07-10 2016-02-01 Kyb株式会社 バスバーユニット、これを備えた回転電機及びバスバー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20160030924A (ko) 2016-03-07 2016-03-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ps 모터의 버스바 및 이를 갖는 eps 모터
KR20160140032A (ko) *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센트랄 용이 체결구조의 버스바를 갖는 모터
KR20160139824A (ko) 2015-05-28 2016-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70052986A (ko) 2015-11-05 2017-05-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0730B2 (ja) 2005-06-29 2010-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4494457B2 (ja) * 2007-12-12 2010-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の集中配電部材
JP2009290921A (ja) * 2008-05-27 2009-12-10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5740930B2 (ja) * 2010-03-03 2015-07-01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及びモータ
TWI504107B (zh) * 2010-09-10 2015-10-11 Delta Electronics Inc 矽鋼片組件及其組裝方法
GB201120177D0 (en) * 2011-11-22 2012-01-04 Cummins Generator Technologies Connecting a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5785863B2 (ja) 2011-12-02 2015-09-30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電動機の固定子および永久磁石式回転電機
JP6098920B2 (ja) * 2012-10-19 2017-03-22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
JP5776664B2 (ja) * 2012-10-19 2015-09-09 株式会社安川電機 回転電機、固定子結合体、及び結線基板
JP6053000B2 (ja) * 2013-03-08 2016-12-27 Kyb株式会社 バスバー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267907B2 (ja) * 2013-09-26 2018-01-24 株式会社ミツバ バスバーユニットおよびブラシレスモータ
FR3015795B1 (fr) * 2013-12-20 2017-08-25 Valeo Equip Electr Moteur Interconnecteur pour stator de machine electrique et stator de machine electrique comportant un tel interconnecteur
CN105210269B (zh) 2014-04-24 2017-12-1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定子和使用该定子的电动机
DE102015225088A1 (de) 2014-12-26 2016-06-30 Nidec Corporation Mot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US10651701B2 (en) * 2015-08-10 2020-05-12 Nidec Corporation Motor, motor production method, and stator unit
US10536046B2 (en) * 2015-09-30 2020-01-1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Rotary electric machine with stator having bus bars with recesses and bus bar holder with protrusions engaged with the recesses
KR102510020B1 (ko) * 2015-11-05 2023-03-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버스바, 모터, 및 동력 전달 시스템
KR20170128718A (ko) 2016-05-13 2017-1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1871597B1 (ko) * 2016-11-11 2018-06-26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디스트리뷰션 버스바 유니트
JP6751911B2 (ja) 2016-11-18 2020-09-09 Smc株式会社 流体圧機器のポートに直接取り付ける複合弁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021A (ko) * 2004-04-30 200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엘디시 모터의 스테이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8437A (ko) * 2007-01-19 2008-07-23 에스앤티대우(주) 자동차용 브러쉬리스 모터의 버스바를 이용한 병렬 권선결합구조
KR20150031634A (ko) 2013-09-16 2015-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버스바, 인슐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6019421A (ja) * 2014-07-10 2016-02-01 Kyb株式会社 バスバーユニット、これを備えた回転電機及びバスバー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20160139824A (ko) 2015-05-28 2016-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60140032A (ko) *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센트랄 용이 체결구조의 버스바를 갖는 모터
KR20170052986A (ko) 2015-11-05 2017-05-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60030924A (ko) 2016-03-07 2016-03-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ps 모터의 버스바 및 이를 갖는 eps 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947A1 (ko) * 2021-01-11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조립체용 커넥션링 및 그의 제조방법, 모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00609B2 (en) 2021-12-23
TWI742512B (zh) 2021-10-11
EP3767798A1 (en) 2021-01-20
US11563349B2 (en) 2023-01-24
TW202105890A (zh) 2021-02-01
AU2020200609A1 (en) 2021-02-04
EP3767798B1 (en) 2021-10-27
US20230163653A1 (en) 2023-05-25
US20210021169A1 (en)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7047B1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171455B1 (ko) 모터
KR102224492B1 (ko) 모터
KR102277265B1 (ko) 모터 어셈블리
US20230188005A1 (en) Motor assembly
US11677281B2 (en) Divided core of a motor
KR102548047B1 (ko) 모터
KR102469628B1 (ko) 모터
KR102300043B1 (ko) 모터
AU2020342033B2 (en) Stator
US11728706B2 (en) Electric mo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