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718A -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 Google Patents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718A
KR20170128718A KR1020160058838A KR20160058838A KR20170128718A KR 20170128718 A KR20170128718 A KR 20170128718A KR 1020160058838 A KR1020160058838 A KR 1020160058838A KR 20160058838 A KR20160058838 A KR 20160058838A KR 20170128718 A KR20170128718 A KR 20170128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terminal
bus bar
respec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규
임희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8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8718A/ko
Priority to PCT/KR2017/002255 priority patent/WO2017150909A1/ko
Priority to US16/081,664 priority patent/US10790626B2/en
Priority to JP2018545476A priority patent/JP6935412B2/ja
Priority to CN202110795842.0A priority patent/CN113629936B/zh
Priority to EP17760313.1A priority patent/EP3425776B1/en
Priority to CN201780014314.9A priority patent/CN108702059B/zh
Publication of KR2017012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718A/ko
Priority to US17/009,255 priority patent/US1175723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 몸체; 상기 버스바 몸체에 결합하며, 몸체와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은 동일 높이 상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 중 적어도 둘의 상기 터미널은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를 제공하여, 스크랩 발생을 크게 줄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BUSBAR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버스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의 경우,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는 스테이터가 마련되는데, 로터의 둘레를 따라 간극을 두고 스테이터가 설치된다. 그리고 스테이터에는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이 권선되어 로터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여 로터의 회전을 유도한다.
스테이터의 상단에는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가 배치된다. 버스바는 대체적으로 링 형상의 버스바 하우징과, 버스바 하우징에 결합되어 코일이 연결되는 버스바 터미널이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버스바는 동판과 같은 판금을 프레스 가공하여 버스바 터미널을 성형한다.
이때 버스바 터미널에는 코일과 직접 연결되는 복수 개의 단자가 마련될 수 있는데, 각 단자들은 공간적 제약이나 코일의 연결단의 위치로 인하여 꺾이여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의 형상으로 인하여 금형의 크기가 증가하며, 가공 후 버려 지는 스크랩(scrap)의 양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결과
원소재의 손실율이 크고 금형 제작을 위해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랩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버스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버스바 몸체의 소재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버스바 조립체,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버스바 몸체와, 상기 버스바 몸체에 결합하며, 몸체와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은 동일 높이 상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 중 적어도 둘의 상기 터미널은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몸체는 내경과 외경을 가지며,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의 모든 상기 단자는 상기 내경과 상기 외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홀은 상기 터미널의 단자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홀은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상기 터미널의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의 모든 단자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의 모든 단자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띠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자는 상기 몸체의 양 단부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굽은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 형성된 단자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 형성된 단자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단자는 내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외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최내측에 배치된 상기 단자는 외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폭과 상기 단자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는, 버스바 몸체와, 상기 버스바 몸체에 결합하며, 몸체와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은 동일 높이 상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 중 적어도 둘의 단자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상호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몸체는 내경과 외경을 가지며,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의 모든 상기 단자는 상기 내경과 상기 외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홀은 상기 터미널의 단자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홀은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상기 터미널의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의 모든 단자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띠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자는 상기 몸체의 양 단부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굽은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 형성된 단자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 형성된 단자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단자는 내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외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최내측에 배치된 상기 단자는 외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폭과 상기 단자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버스바 조립체와, 상기 버스바 조립체와 연결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에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분기 영역이 없는 띠 형상의 판금을 이용하여 버스바의 터미널을 구현함으로써, 스크랩 발생을 크게 줄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터미널을 동일 높이에서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상호 상이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터미널의 형상을 단순화하고, 버스바 조립체의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터미널의 단자들이 버스바 몸체의 내경과 외경 사이에 배치되도록 버스바 조립체를 구성하여, 복수 개의 터미널을 단일층에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터미널의 형상을 단순화하고, 버스바 조립체의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의 띠형 몸체만을 고정하는 터미널홀더를 구비하여, 버스바 몸체를 이루는 몰드 소재를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평면 상에서 터미널의 단자들을 반경 방향으로 상호 상이한 위치에 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터미널의 높이를 달리하기 위해 버스바의 높이를 다단 형태로 높이거나 터미널을 상호 교차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어 터미널의 형상을 단순화하고, 버스바 조립체의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버스바 조립체와 스테이터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터미널에 연결되는 코일의 연결단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스테이터에 감긴 코일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코일의 연결단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버스바 몸체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버스바 몸체의 내경과 외경을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터미널의 배치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터미널의 단자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베이스의 내경의 위치와 외경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터미널을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판금 소재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터미널의 단자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터미널의 단자 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8의 S가 도시한 방향에서 바라본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터미널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단자홀의 위치를 도시한 버스바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버스바 조립체(100)와, 스테이터(200)와, 로터(300)와, 샤프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버스바 조립체(100)는 스테이터(200)에 감긴 코일(20)과 연결되는 것으로, 스테이터(200)의 위에 배치되어 스테이터(200)에 감긴 코일들을 상호 연결하는 장치이다.
스테이터(200)는 환형의 요크 부분과,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요크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등각도 간격으로 돌출되는 티스의 부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강판을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20)이 티스에 감길 수 있다. 이때, 인슐레이터(10)를 통해 스테이터(200)와 코일(20)은 절연될 수 있다.
로터(300)는 스테이터(200)의 내측에 배치된다. 로터(300)는 로터 코어에 마그네트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로터 코어와 마그네트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로터(300)는 마그네트가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마그네트가 로터 코어의 포켓에 삽입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200)에 감긴 코일(20)에 전류가 공급되면, 로터(300)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여 로터(300)의 회전이 유도된다. 로터(300)가 회전하면 샤프트(400)가 회전하면서 동력을 제공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2는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실시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2를 참조하면, 버스바 조립체(100)는 터미널(110)과 버스바 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110)은 코일(20)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버스바 몸체(120)은 환형의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버스바 조립체와 스테이터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터미널에 연결되는 코일의 연결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버스바 조립체(100)는 스테이터(2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200)에 감긴 코일(20)의 연결단(21) 중 일부 연결단(21a)은 스테이터(200)의 각각의 분할코어에 감긴 코일(20)들을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110)에 연결될 수 있다. 코일(20)의 연결단(21) 중 다른 일부 연결단(21b)은 중성 터미널(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20)의 연결단(21) 중 또 다른 일부 연결단(21c)은 U,V,W 상의 전원터미널(미도시)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스테이터에 감긴 코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코일의 연결단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테이터(200)에 감긴 코일(20)의 연결단(21) 중 일부는 스테이터(200)의 중심(C1)에 대해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연결단(21)들은 중심(C1)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궤도(O1,O2,O3) 상에 각각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코일의 연결단(21)들은 그 위치를 기준으로, 크게 최외각에 위치한 연결단과 중간에 위치한 연결단과 최내각에 위치한 연결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렇게 코일(20)의 연결단(21)들이 반경이 상이한 궤도 상에 나뉘어 분포하기 때문에 코일(20)의 연결단(21)과 연결되는 터미널(110)의 형상을 보다 단순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다. 즉, 코일(20)의 연결단(21)들이 동일 궤도 상에 위치하는 경우, 결합 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터미널(110)의 단자의 위치를 복층으로 구현하거나 꺽어 형성하여야 하는데, 코일(20)의 연결단(21)들을 다른 궤도 상으로 나누어 분포시키는 경우, 터미널(110)의 형상을 단순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7은 버스바 몸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버스바 몸체의 내경과 외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버스바 몸체(120)는 베이스(121)와 터미널홀더(12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1)와 터미널홀더(122)는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서로 상하로 연결된 하나의 몰드 부재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121)는 내경(R1)과 외경(R2)을 가지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121)는 단자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홀(123)은 터미널(110)의 아래에 배치된다. 그리고 단자홀(123)은 버스바 몸체(120)의 중심(C2)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단자(112)의 위치에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코일(20)의 연결단(21)은 정렬된 해당 단자홀(123)을 관통하여 베이스(121)의 상부에 위치한다.
터미널홀더(122)에는 터미널(110)의 몸체(111)가 삽입된다.
도 9 및 도 10은 터미널의 배치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든 터미널(110)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터미널(110) 중 적어도 둘은 버스바 몸체(120)의 중심(C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터미널(110) 중 적어도 둘은 우선 반경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터미널(110)은 버스바 몸체(120)의 중심(C2)에 대해 복수 개의 원형 궤도(O1,O2,O3)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터미널(110A)은 반경 방향에 대해 최외측에 위치한 원형 궤도(O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터미널(110B)은 반경 방향에 대해 중간에 위치한 원형 궤도(O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터미널(110) 중 적어도 둘은 원주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터미널(110A)은 원주 방향을 기준하여 제1 영역(S2)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터미널(110B)은 원주 방향을 기준하여 제1 영역(S2)과 상이한 제2 영역(S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터미널(110C)은 반경 방향에 대해 최내측에 위치한 원형 궤도(O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터미널(110B)은 반경 방향에 대해 중간에 위치한 원형 궤도(O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터미널(110C)은 원주 방향을 기준하여 제3 영역(S3)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터미널(110B)은 원주 방향을 기준하여 제3 영역(S3)과 상이한 제4 영역(S4)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2개의 터미널(110)의 위치를 비교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터미널(110)의 위치가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상이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1은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터미널의 단자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터미널(110)의 단자(112A,112B,112C)들은 동일 평면 상에서 중심(C2)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110)의 단자(112A,112B,112C)들은 중심(C2)에 대해 반경이 상이한 원형 궤도(O4,O5,O6) 상에 각각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원형 궤도(O4,O5,O6)는 코일(20)의 연결단(21)의 위치와 대응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터미널(110)의 모든 단자(112A,112B,112C)들이 중심(C2)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렇게 실시예는 동일 평면 상에서 단자(112A,112B,112C)들이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터미널의 높이를 달리하기 위해 버스바의 높이를 다단 형태로 높이거나 터미널을 상호 교차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12는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터미널의 단자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든 터미널(110)의 단자(112A,112B,112C)들은 중심(C2)에 대해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궤도 상에 각각 배열된 단자(112)라도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위치가 상이하게 배치된다. 상이한 궤도 상에 각각 배열된 단자(112A,112B,112C)들을 위치의 기준으로 도 15의 각각 C3 C2, C1이라 할 때, C3, C2 및 C1이 각각 상이하도록 터미널(110A,110B,110C)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3은 베이스의 내경의 위치와 외경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모든 터미널(110)의 단자(112)는 베이스(121)의 내경(R1)과 외경(R2)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121)의 내경(R1)을 따라 형성되는 기준선(P1)과, 베이스(121)의 외경(R2)을 따라 형성되는 기준선(P2) 사이(A)(음영 영역)에 모든 단자(121)들이 위치하도록, 터미널(110)은 버스바 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자(121)들의 위치는 스테이터(200)에 감긴 코일(20)의 연결단(21)들이 스테이터(200)의 중심(C1)에 대해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단자(121)들의 위치는 터미널(110)의 형상을 간소화 시키다.
도 14는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터미널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터미널(110)은 띠 형상의 몸체(111)와 단자(11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112)는 몸체(111)의 양 단부가 구부러져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이다. 이때, 단자(112)는 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굽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1)는 버스바 몸체(120)의 중심(C2)을 기준으로 원호를 그리도록 굽어 형성되거나 꺽여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1)의 양 단부에 연결된 고리 형상의 단자(112)는 각각 몸체(111)의 단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한 방향, 예를 들어, 반시계방향(A)으로 굽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스바 몸체(120)에 결합하는 모든 터미널(110)의 단자(112)들은 몸체(111)에서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버스바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터미널(110)의 크기 및 형상을 균일하게 하여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하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여 제조 비용을 줄이기 위함이다. 또한, 코일(20)의 연결단(21)과의 결합을 위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 16은 판금 소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6를 참조하면, 터미널(110)은 띠 형상의 몸체(111)의 폭(W1)과 단자의 폭(W2)이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터미널(110)을 이루는 원소재(11)의 전개 형상은 터미널(110)의 몸체(111)에 해당하는 원소재(11a)의 폭(W1)과 터미널(110)의 단자(112)에 해당하는 원소재(11b)의 폭(W2)이 동일하여 분기 영역이 없는 띠형의 원소재(11)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판금 소재(10)에서 원소재(11)를 제외한 스크랩(12) 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7은 터미널의 단자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터미널(110)의 모든 단자들은 베이스(121)의 내경(R1)을 따라 형성되는 기준선(P1)과, 베이스(121)의 외경(R2)을 따라 형성되는 기준선(P2) 사이(A)에 위치한다. 그리고 단자(112)들은 버스바 몸체(120)의 중심(C2)을 기준으로 하는 복수 개의 궤도 상에 배열될 수 있다. 각 단자(121)들의 위치는 코일(20)의 연결단(21)들의 위치와 대응된다. 따라서, 베이스(121)의 아래에서 단자홀(123)을 관통한 코일(20)의 연결단(21)은 고리 형상의 단자(11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터미널(110)들은 버스바 몸체(120)의 중심(C2)에 대해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최외각에 위치한 터미널과 중간에 위치한 터미널과 최내각에 위치한 터미널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동일 궤도 상에는 2개의 터미널(11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최외각에는 중성 터미널(30)이 배치될 수 있다. 중성 터미널(30)의 단자(31)들도 베이스(121)의 내경(R1)을 따라 형성되는 기준선(P1)과, 베이스(121)의 외경(R2)을 따라 형성되는 기준선(P2) 사이(A)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중성터미널(30)을 제외한 모든 터미널(110)들의 단자(112)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동일 궤도 상에 배열되는 터미널(110)의 전체 형상 및 크기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터미널의 단자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최외각에 위치한 터미널(110A)은 중심(C2)을 기준으로 하는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단자(112A)가 내향하여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에 위치한 터미널(110B)과 최내각에 위치한 터미널(110C)은 그 단자(112)가 중심(C2)에 대하여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외향하여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121)의 내경(R1)을 따라 형성되는 기준선(P1)과, 베이스(121)의 외경(R2)을 따라 형성되는 기준선(P2) 사이(A)에 모든 단자(121)들이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버스바 몸체(120)의 한정된 공간 안에서 코일(20)의 연결단(21)과의 결합을 위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 19는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의 S가 도시한 방향에서 바라본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든 터미널(110)의 단자(112)들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라 함은 모터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기준이 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특히, 모든 터미널(110)의 단자(112)들은 동일 평면(h)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 19의 z축 방향을 모터의 축 방향이라 하고, 도 19의 x축 방향을 모터의 반경 방향이라 하면, 동일 평면(h)은 모터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평면으로 볼 수 있다.
도 21은 터미널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터미널 홀더(122)는 베이스(121)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터미널홀더(122)는 터미널(110)의 몸체(111)가 삽입되는 슬롯(122a)을 구비하여 터미널(1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터미널홀더(122)는 슬롯(122a)이 터미널(110)의 몸체(111)에 정렬되도록 베이스(121)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홀더(122)는 제1 측벽(122b)과 제2 측벽(12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22b)과 제2 측벽(122c)는 베이스(121)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측벽(122b)과 제2 측벽(122c)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사이에 터미널(110)의 몸체(111)가 삽입되는 슬롯(122a)을 형성한다. 이렇게 터미널홀더(122)가 슬롯(122a)을 형성하는 얇은 두께의 측벽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버스바 몸체(120)를 이루는 몰드 부재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구성이다.
도 22는 단자홀의 위치를 도시한 버스바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베이스(121)에 형성되는 모든 단자홀(123)은 중심(C2)에 대해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궤도 상에 각각 배열된 어느 단자?P(123)의 위치를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나타낸 위치의 기준을 도 10의 L1,L2,L3라 할 때, L1,L2 및 L3가 상이하도록 단자홀(113)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버스바 조립체
110: 터미널
111: 몸체
112: 단자
120: 버스바 몸체
121: 베이스
122: 터미널홀더
123: 단자홀
300: 로터
400: 샤프트

Claims (30)

  1. 버스바 몸체;
    상기 버스바 몸체에 결합하며, 몸체와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은 동일 높이 상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 중 적어도 둘의 상기 터미널은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몸체는 내경과 외경을 가지며,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의 모든 상기 단자는 상기 내경과 상기 외경 사이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홀을 포함하는 버스바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은 상기 터미널의 단자 아래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은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상기 터미널의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
  6. 제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의 모든 단자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
  7. 제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의 모든 단자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띠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자는 상기 몸체의 양 단부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굽은 고리 형상을 가지는 버스바 조립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 형성된 단자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버스바 조립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 형성된 단자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는 버스바 조립체.
  11. 제8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향하여 돌출되는 버스바 조립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단자는 내향하여 돌출되는 버스바 조립체.
  13. 제8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외향하여 돌출되는 버스바 조립체.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최내측에 배치된 상기 단자는 외향하여 돌출되는 버스바 조립체.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폭과 상기 단자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버스바 조립체.
  16. 버스바 몸체;
    상기 버스바 몸체에 결합하며, 몸체와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은 동일 높이 상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 중 적어도 둘의 단자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상호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몸체는 내경과 외경을 가지며,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의 모든 상기 단자는 상기 내경과 상기 외경 사이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홀을 포함하는 버스바 조립체.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은 상기 터미널의 단자 아래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은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상기 터미널의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
  21. 제16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의 모든 단자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버스바 조립체.
  22.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띠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자는 상기 몸체의 양 단부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굽은 고리 형상을 가지는 버스바 조립체.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 형성된 단자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버스바 조립체.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 형성된 단자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는 버스바 조립체.
  25. 제22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향하여 돌출되는 버스바 조립체.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하는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단자는 내향하여 돌출되는 버스바 조립체.
  27. 제22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외향하여 돌출되는 버스바 조립체.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몸체의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최내측에 배치된 상기 단자는 외향하여 돌출되는 버스바 조립체.
  29.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폭과 상기 단자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버스바 조립체.
  30. 제1 항 내지 제2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
    상기 버스바 조립체와 연결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및
    상기 로터에 결합하는 샤프트
    를 포함하는 모터.
KR1020160058838A 2016-03-02 2016-05-13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70128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838A KR20170128718A (ko) 2016-05-13 2016-05-13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PCT/KR2017/002255 WO2017150909A1 (ko) 2016-03-02 2017-03-02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16/081,664 US10790626B2 (en) 2016-03-02 2017-03-02 Busbar assembly and motor comprising same
JP2018545476A JP6935412B2 (ja) 2016-03-02 2017-03-02 バスバー組立体、これを含むモーター
CN202110795842.0A CN113629936B (zh) 2016-03-02 2017-03-02 母线组件和包括该母线组件的马达
EP17760313.1A EP3425776B1 (en) 2016-03-02 2017-03-02 Busbar assembly and motor comprising same
CN201780014314.9A CN108702059B (zh) 2016-03-02 2017-03-02 母线组件和包括该母线组件的马达
US17/009,255 US11757239B2 (en) 2016-03-02 2020-09-01 Motor having busbar arran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838A KR20170128718A (ko) 2016-05-13 2016-05-13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718A true KR20170128718A (ko) 2017-11-23

Family

ID=6080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838A KR20170128718A (ko) 2016-03-02 2016-05-13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871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49A1 (ko) * 2018-01-05 2019-07-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WO2019156440A1 (ko) * 2018-02-07 2019-08-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KR20210008821A (ko) *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WO2021125562A1 (ko) * 2019-12-17 2021-06-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WO2021137418A1 (ko) * 2020-01-03 2021-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WO2023277458A1 (ko) * 2021-07-02 2023-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부품 모듈 및 모터
US11563349B2 (en) 2019-07-15 2023-01-24 Lg Electronics Inc. Motor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49A1 (ko) * 2018-01-05 2019-07-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US11955860B2 (en) 2018-01-05 2024-04-09 Lg Innotek Co., Ltd. Motor having terminals with unified shapes for positioning
US11670980B2 (en) 2018-01-05 2023-06-06 Lg Innotek Co., Ltd. Motor having terminals with unified shapes for positioning
US11336144B2 (en) 2018-01-05 2022-05-17 Lg Innotek Co., Ltd. Motor having terminals with unified shapes for positioning
CN111699616B (zh) * 2018-02-07 2022-11-08 Lg伊诺特有限公司 马达
WO2019156440A1 (ko) * 2018-02-07 2019-08-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CN111699616A (zh) * 2018-02-07 2020-09-22 Lg伊诺特有限公司 马达
US11394267B2 (en) 2018-02-07 2022-07-19 Lg Innotek Co., Ltd. Motor
KR20210008821A (ko) *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US11563349B2 (en) 2019-07-15 2023-01-24 Lg Electronics Inc. Motor
WO2021125562A1 (ko) * 2019-12-17 2021-06-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WO2021137418A1 (ko) * 2020-01-03 2021-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WO2023277458A1 (ko) * 2021-07-02 2023-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부품 모듈 및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8718A (ko)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935412B2 (ja) バスバー組立体、これを含むモーター
EP3176912B1 (en) Stator and rotating machine
JP5353874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158062A1 (ja) ステータ
US10581302B2 (en) Stator for an electric motor
JP2017038475A (ja) ロータ、およびモータ
US10348150B2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stator
US20190260255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JP6293576B2 (ja) 回転電機用のステータ
CN110140281A (zh) 用于电动马达的定子
KR20160080504A (ko) 스테이터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및 스테이터 조립체의 제조방법
JP2008278693A (ja) 回転電機用ステータ
US11777355B2 (en) Stator and electric rotating machine
WO2022210716A1 (ja) モータ
JP6338767B2 (ja) 回転電機
KR20170102744A (ko)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115459497A (zh) 马达
JP5963928B1 (ja) 回転電機の結線ユニット
US10756588B2 (en)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KR102625432B1 (ko) 버스바 터미널, 버스바,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667066B1 (ko)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WO2023190460A1 (ja) ステータコア、ステ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
JP2024024928A (ja) 固定子
KR20160118058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