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324A -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및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및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324A
KR20180009324A KR1020170090992A KR20170090992A KR20180009324A KR 20180009324 A KR20180009324 A KR 20180009324A KR 1020170090992 A KR1020170090992 A KR 1020170090992A KR 20170090992 A KR20170090992 A KR 20170090992A KR 20180009324 A KR20180009324 A KR 20180009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lame
oil
heating source
pres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동
이창용
곽은수
최영섭
강대익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씨제이씨푸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씨제이씨푸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ublication of KR20180009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053Preserving by heating by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heating gases or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23L3/1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while they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A23L3/18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while they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in soli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23L5/12Processes other than deep-frying or float-frying using cooking oil in direct contact with the foo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24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 A21B1/28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by gaseous combus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33Ovens heated directly by combus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4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 A21B1/48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with surfaces in the form of an endless ban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상호 간에 연통하는 제1유입구 및 제1유출구가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입구로부터 상기 제1유출구를 향해 김을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상기 김 상면측으로 불꽃을 토출하는 제1가열원; 및 상기 제1컨베이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상기 김 하면측으로 불꽃을 토출하는 제2가열원;을 포함하는 직화구이부를 포함하는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및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및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roasted laver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출원은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및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미 김은 마른 김을 유처리하고 구운 다음 조미료 등을 가하여 가공한 식품으로, 구이횟수, 구이시간, 조미횟수 및 조미재료 등의 조절에 의해 기호성 및 저장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산업적으로 제조하는 종래의 조미 김은 전기를 이용한 발열체를 사용하여 복사열(400℃ 이하)로 단시간(10초 이내)에 김을 구우므로 미생물 잔존이 상당하여 미생물학적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415670 Y1 (2006.05.04)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제 불꽃을 토출하는 가스식 열원을 사용하여 직화열로 조미 김을 제조함으로써, 미생물학적 안전성 및 관능 품질을 개선하는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및 직화구이 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일 양태로서 상호 간에 연통하는 제1유입구 및 제1유출구가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입구로부터 상기 제1유출구를 향해 김을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상기 김 상면측으로 불꽃을 토출하는 제1가열원; 및 상기 제1컨베이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상기 김 하면측으로 불꽃을 토출하는 제2가열원;을 포함하는 직화구이부를 포함하는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다른 일 양태로서, (a) 불꽃을 토출하는 가열원을 포함하는 직화구이부에 김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김의 상면측 및 하면측으로 불꽃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는, 직화구이부의 제1, 2가열원이 실제 불꽃을 토출하는바, 김이 고온의 직화열에 의해 구워지므로 바삭한 식감을 증가시키고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의한 조미 김 제조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의한 조미 김 제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의한 조미 김 제조장치에서 직화구이부의 제1, 2가열원을 통한 김의 직화구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의한 조미 김 제조장치에서 제1가열원의 승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의한 조미 김 제조장치에서 직화구이부의 후드를 통한 열기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의한 조미 김 제조장치에 유처리부가 더 포함된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의한 조미 김 제조장치에서 유처리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의한 조미 김 제조장치에서 유처리부의 노즐을 통한 유지 분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에 의한 조미 김 제조장치에서 유처리부의 센서에 의한 구워진 김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 의한 조미 김 제조장치에서 유처리부의 석션을 통한 유지 포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출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의한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A)는 직화구이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직화구이부(10)는, 상호 간에 연통하는 제1유입구(11a) 및 제1유출구(11b)가 형성된 제1하우징(11); 상기 제1하우징(11)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입구(11a)로부터 상기 제1유출구(11b)를 향해 김(100)을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12);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상기 김(100) 상면측으로 불꽃을 토출하는 제1가열원(13);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상기 김(100) 하면측으로 불꽃을 토출하는 제2가열원(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김(100)은 돌김 또는 재래김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직화구이부(10)의 상기 제1컨베이어(12)는 모터 및 체인을 이용하는 당업계의 통상의 컨베이어라면 어떠한 컨베이어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12)는 망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12)가 망 형태인 경우, 통공이 고르게 분포하므로 상기 제2가열원(14)의 불꽃 열기가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상기 김(100)의 하면에 전달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재료는 금속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은 스테인리스 스틸일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12)가 금속일 경우,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상기 제1, 2가열원(13, 14)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폭 방향으로는 상기 김(100) 2장이 안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컨베이어(12)에 폭 방향으로 안착된 복수의 김은 상기 제1, 2가열원(13, 14)의 발열에 의해 동시에 직화구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화구이부(10)에서 상기 제1가열원(13)은 승강 수단(15)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가열원(13)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김(100)과 불꽃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여 김의 종류 및 품질(예컨대, 두께)에 따라 김에 가해지는 열의 온도 및 불꽃을 가하는 시간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승강 수단(15)은, 상기 제1가열원(13)을 원활히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제한이 없으며, 그 일례로는 핸들(15a); 상기 핸들(15a)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15b): 상기 롤러(15b)와 상기 제1가열원(13)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15c);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직화구이부(10)에서 상기 제2가열원(14)은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하부 양측에 수직 상태로부터 상기 제1컨베이어(12)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열원(14)이 상기 제1컨베이어(12)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면, 상기 제1컨베이어(12)로 유지가 도포된 상기 김(100)이 투입될 때 상기 김(10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유지가 상기 제2가열원(14)과 접촉하여 연소되어 화재의 위험이 생길 수 있으나, 상기 제2가열원이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양측 하부에 수직 상태로부터 상기 제1컨베이어(12)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면, 상기 제1컨베이어(12)로 유지가 도포된 상기 김(100)이 투입되더라도 상기 김(10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유지가 상기 제2가열원(14)과 접촉하지 않아 연소가 방지되어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열원(14)이 수직 상태로부터 상기 제1컨베이어(12) 측으로 20° 미만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2가열원(14)으로부터 상기 제1컨베이어(12) 폭 방향 중간부로의 직화구이에 충분한 열 전달이 불가할 수 있고, 상기 제2가열원(14)이 수직 상태로부터 상기 제1컨베이어(12) 측으로 40°를 초과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2가열원(14)으로부터 상기 제1컨베이어(12) 폭 방향 가장자리로의 직화구이에 충분한 열 전달이 불가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직화구이부(10)에서 상기 제2가열원(14)은 수직 상태로부터 상기 제1컨베이어(12) 측으로 20° 내지 40°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가열원(14)은 수직 상태로부터 상기 제1컨베이어(12) 측으로 25° 내지 35°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화구이부(10)에서 상기 제1, 2가열원(13, 14)은 가스식 열원일 수 있다.
가스식 열원은 점화에 의해 실제 불꽃을 토출하므로 상기 김(100)이 상기 제1, 2가열원(13, 14)으로부터 토출되는 실제 불꽃의 열기에 의해 구워진다.
이때, 상기 가스식 열원은 가스식 세라믹 열원일 수 있다.
가스식 세라믹 열원은 점화 및 화력 조절이 간편하므로 상기 제1, 2가열원(13, 14)을 통한 상기 김(100)의 구이가 용이하다.
이때, 상기 제1, 2가열원(13, 14)은 각각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김(100)이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진행하는 과정 전체에서 상기 제1, 2가열원(13, 14)의 열에 의해 구워진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직화구이부(10)는 후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드(16) 작동에 의해 상기 김(100) 구이 과정에서 상기 제1, 2가열원(13, 14)으로부터 발산되는 열기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다.
한편, 본 출원에 의한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화구이부(1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김(100)에 유지를 분사하는 유처리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유처리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화구이부(10)의 상기 제1유출구(11b)측에 배치되되, 상호 간에 연통하는 제2유입구(21a) 및 제2유출구(21b)가 형성된 제2하우징(21); 상기 제2하우징(21)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유입구(21a)로부터 상기 제2유출구(21b)를 향해 구워진 김(100)을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22); 상기 제2컨베이어(22)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컨베이어(22)의 상기 구워진 김(100) 상면으로 유지를 분사하는 노즐(23); 상기 노즐(23)로 공급되는 유지를 저장하는 저장조(24) 및 상기 저장조(24)의 상기 유지를 상기 노즐(23)측으로 펌핑하는 펌프(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컨베이어(22)는 모터 및 체인을 이용하는 당업계의 통상의 컨베이어라면 어떠한 컨베이어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처리부(20)의 상기 제2컨베이어(22)는 망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컨베이어(22)는 망 형태인 경우, 통공이 고르게 분포하므로 상기 노즐(23)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유지가 상기 제2컨베이어(22)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원활히 흘러 배출되므로 상기 제2컨베이어(22)에 상기 유지 고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컨베이어(22)의 재료는 고무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처리부(20)에서 상기 유지는 옥배유, 참기름, 들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및 카놀라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지일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유처리부(20)는 센서(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26)는 상기 제2컨베이어(22)의 상기 김(100)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바, 상기 센서(26)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노즐(23)을 통해 상기 유지가 분사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상기 유지의 불필요한 분사가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26)은 상기 제2컨베이어(22)의 김(100)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는 색의 감지일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유처리부(20)는 석션(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석션(27)의 작동에 의해 상기 노즐(23)로부터의 분사에 의해 비산하는 상기 유지의 포집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의한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A)를 통한 상기 김(100)의 직화구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출원에서 상기 직화구이부(10)는 상기 제1컨베이어(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동 상태의 상기 제1컨베이어(12) 상면에 상기 김(100)을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김(100)은 상기 제1컨베이어(12)에 의해 일 방향으로 자동 이송된다.
이때, 상기 김(100)은 마른 김 또는 불꽃 토출이 없는 종래 발열체(예컨대, 복사열을 방출하는 발열체)에 의해 초벌 구이된 김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상부에는 상기 제1가열원(13)이 설치되고, 상기 제1컨베이어(12)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제2가열원(14)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컨베이어(12)에 이송되는 상기 김(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열원(13)과 상기 제2가열원(14)의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제1가열원(13) 및 제2가열원(14)으로부터 가해지는 불꽃의 열에 의해 상면 및 하면이 가열됨으로써 구워진다.
이때, 상기 제1, 2가열원(13, 14)은 실제 불꽃을 토출하는바, 상기 김(100)이 불꽃에 노출되어 직화구이되므로 불꽃 토출이 없는 종래 발열체(예컨대, 복사열을 방출하는 발열체)를 이용할 때에 비해 높은 온도에서 구워지므로 식감이 바삭해지고, 구이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미생물학적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기 제1가열원(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수단(15)에 의해 승강할 수 있는바, 상기 김(100)의 종류 또는 상기 김(100)의 품질(예컨대, 두께 등)에 따라 상기 제1가열원(13)을 상승 또는 하강 시킴으로써 불꽃과의 거리 및 불꽃을 가하는 시간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김에 맞추어 관능 품질을 높일 수 있고, 구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김(100)의 종류 또는 품질의 따른 최적의 구이가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직화구이부(10)를 통한 상기 김의 구이 과정에서는 상당한 열이 발산되므로 작업장이 불쾌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에서 상기 직화구이부(10)는 상기 후드(16)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16)에 의해 상기 제1, 2가열원(13, 14)로부터 발산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고열로 인한 작업장 내부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은 상기 직화구이부(10)와 더불어 상기 유처리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처리부(20)는 상기 제2컨베이어(22)를 포함하는바, 상기 제1컨베이어(12)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김(100)이 작동 상태의 상기 제2컨베이어(22)에 안착됨에 따라 일 방향으로 자동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유처리부(20)는 상기 노즐(23)을 포함하는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2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컨베이어(22)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김(100)에 상기 유지가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김(100)에 상기 유지의 향미가 더해지게 되므로 고소한 향미가 더욱 향상된다.
이때, 상기 유지는 상기 저장조(24)로부터 공급되며, 상기 펌프(25) 작동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노즐(23)을 통해 분사된다.
다만, 상기 제2컨베이어(22)상에 상기 구워진 김(100)이 미안착된 상황에서 상기 노즐(23)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유지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므로 상기 유지 소비가 늘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에서 상기 유처리부(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컨베이어(22)에 안착된 상기 김(100)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센서(26)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노즐(23)이 상기 센서(26)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출력될 때에만 작동하도록 설정, 예컨대 상기 제2컨베이어(22)상에 상기 구워진 김(100)이 안착되어 상기 센서(26)가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때에만 상기 펌프(25)가 작동하여 상기 노즐(23)을 통해 상기 유지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설정됨으로써 상기 유지의 불필요한 소모가 방지되므로 상기 유지 소비가 최소화된다.
더불어, 본 출원에서 상기 유처리부(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23)로부터의 분사에 의해 비산하는 상기 유지를 포집하는 상기 석션(27)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석션(27) 작동에 의해 포집된 상기 유지를 상기 저장조(24)로 투입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상기 유지 소비가 더욱 최소화된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인 직화구이 김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단계 (a): 직화구이부에 김을 제공
우선, 본 출원의 제조방법은 불꽃을 토출하는 가열원을 포함하는 직화구이부에 김을 제공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본 출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출원의 불꽃을 토출하는 가열원은 가스식 열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가스식 세라믹 열원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출원의 직화구이부는 본 출원의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의 직화구이부(10)일 수 있다.
단계 (b): 김에 불꽃을 가하는 단계
본 출원은 직화구이부에 김을 제공하는 단계를 실시한 이후, 본 출원의 김의 상면측 및 하면측으로 불꽃을 가하는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출원의 단계 (b)의 불꽃은 온도가 500℃ 내지 1500℃, 500℃ 내지 1400℃, 500℃ 내지 1300℃, 500℃ 내지 1200℃, 500℃ 내지 1100℃, 500℃ 내지 1000℃, 500℃ 내지 900℃, 500℃ 내지 800℃, 600℃ 내지 1500℃, 600℃ 내지 1400℃, 600℃ 내지 1300℃, 600℃ 내지 1200℃, 600℃ 내지 1100℃, 600℃ 내지 1000℃, 600℃ 내지 900℃ 또는 600℃ 내지 800℃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b)는 3초 내지 10초, 3초 내지 8초, 3초 내지 7초, 5초 내지 10초, 5초 내지 8초 또는 5초 내지 7초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출원의 제조방법은 본 출원의 단계 (a) 이전 본 출원의 김에 복사열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를 통해 본 출원의 김이 가지고 있는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김에 복사열을 가하는 단계는 전기오븐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출원의 복사열의 온도는 김의 종류, 두께 또는 수분 함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0℃ 내지 350℃, 50℃ 내지 300℃, 100℃ 내지 350℃, 100℃ 내지 300℃, 150℃ 내지 350℃, 150℃ 내지 300℃, 200℃ 내지 350℃, 200℃ 내지 300℃, 250℃ 내지 350℃ 또는 250℃ 내지 300℃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복사열을 가하는 단계는 1초 내지 2초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출원의 제조방법은 본 출원의 복사열을 가하는 단계 이후 및 본 출원의 단계 (a) 이전, 김에 유지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김에 유지를 도포하는 단계는 스폰지 롤러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유지가 적셔진 상하 스폰지 롤러 사이를 김이 통과하면서 상하 스폰지 롤러의 압력에 의해 김에 유지를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김에 유지를 도포하는 단계에서 도포되는 유지의 양은 김 1장당 1 g 내지 2.5 g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출원의 제조방법은 본 출원의 유지를 도포하는 단계 이후 및 본 출원의 단계 (a) 이전, 본 출원의 김에 조미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조미료는 식염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식염은 구체적으로, 천일염, 정제염 및 가공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김에 조미료를 첨가하는 단계에서 첨가되는 조미료의 양은 김 1장당 0.5 g 내지 1 g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출원의 제조방법은 본 출원의 단계 (b) 이후 본 출원의 김에 유지를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를 통해 유지를 보충하여 고소한 향미를 보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김에 유지를 분사하는 단계에서 분사되는 유지의 양은 김 1장당 0.1 g 내지 0.5 g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출원의 유지를 분무하는 단계는 유지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유처리부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출원의 유처리부는 본 출원의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의 유처리부(20)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본 출원의 제조장치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초래하는 과도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 실시예 >
실시예 1: 직화구이 김의 제조
-5에서 보관한 마른 김을 화상이물선별기로 선별한 후, 전기오븐 구이 장치에 투입하여 약 300에서 1초간 1차 구이하였다. 이후, 상기 1차 구이된 김에 옥배유와 참기름이 8:2 비율로 혼합된 혼합유를 스폰지 롤러로 도포한 후, 소금으로 조미하였다. 이를 실제 불꽃을 토출하는 가스식 열원이 상하로 장착된 직화구이부에 투입한 후, 불꽃(약 700)으로 6초간 2차 구이하였다. 상기 2차 구이된 김을 유지의 분무가 가능한 유처리부에 투입하고, 유지 분무 노즐을 이용하여 참기름과 들기름이 1:1 비율로 혼합된 혼합유를 김 표면에 분무 도포하여 직화구이 조미 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직화구이 김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김 원초, 기존 전기오븐구이 조미 김(CJ 토종김, 이하, '기존 조미 김'으로 기재) 및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직화구이 조미 김(이하 '직화구이 김')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반세균수를 확인하기 위한 표준한천배지 및 생리식염수를 멸균 상태로 준비하고, 3℃에서 보관한 김 원초, 기존 조미 김, 직화구이 김을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검체로 하였다. 각 검체 25 g을 멸균팩에 넣고 멸균 생리식염수 225 g을 가해 10배 희석하고, 스토마커를 이용하여 균질화한 후, 멸균 생리식염수 9 ml를 넣어둔 테스트튜브에 추가적으로 희석하였다. 희석 검체를 페트리 디쉬(petri dish)에 1 ml씩 분주하고, 표준한천배지를 15 ml 분주한 후 검체가 골고루 퍼지게 회전시키며 응고시켰다. 배지가 모두 응고되면 페트리 디쉬의 뚜껑을 닫고 페트리 디쉬의 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여 배양기에서 35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페트리 디쉬 내 콜로니 수를 계수하고 희석배수를 고려하여 미생물 균체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직화구이 김은 김 원초에 비해 미생물 균체수가 약 1/6000, 기존 조미 김에 비해 약 1/4 정도만이 잔존함을 확인한바, 직화구이 김이 미생물학적으로 매우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
미생물 실험 항목 일반미생물 수(CFU)
김 원초 2.2*107
기존 조미 김 1.6*104
직화구이 김 3.6*103
실시예 3: 직화구이 김의 관능평가
만 25 ~ 49세 전업주부 79명으로 구성된 패널을 대상으로 기존 조미김 및 직화구이 김을 동시에 제공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여, 기호도 및 강도의 특성에 따라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존 조미 김의 전반 기호도는 평균 3.41점, 직화구이 김의 전반 기호도는 평균 3.84점으로 직화구이 김의 전반 기호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최종 선호도 역시 기존 조미 김은 22.8%, 직화구이 김은 77.2%로 직화구이 김의 최종 선호도가 현저하게 높았다(표 2).
구체적으로, 직화구이 김은 기존 조미 김에 비하여 맛 기호도, 식감 기호도, 뒷맛 기호도, 기름고소향미 기호도, 바삭함 기호도 및 바삭함 강도 속성에서 유의차 있는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성 기존 조미 김 직화구이김 유의차
평균 Top 2% 평균 Top 2%
전반 기호도 3.41 49.4 3.84 70.9 0.005
향 기호도 3.65 58.2 3.81 72.2 0.252
맛 기호도 3.44 53.2 3.97 74.7 0.000
식감 기호도 3.54 53.2 4.10 79.7 0.000
뒷맛 기호도 3.29 43.0 3.70 59.5 0.018
김향미 기호도 3.57 58.2 3.77 65.8 0.157
기름고소향미 기호도 3.48 49.4 3.82 70.9 0.029
짠맛 기호도 3.16 40.5 3.72 63.3 0.001
바삭함 기호도 3.58 53.2 4.42 89.9 0.000
김두께 기호도 3.87 73.4 3.91 69.6 0.715
구워진정도 기호도 3.81 68.4 4.10 77.2 0.056
김향미 강도 3.35 45.6 3.39 40.5 0.732
기름고소향미 강도 3.35 44.3 3.42 45.6 0.812
짠맛 강도 3.42 49.4 3.23 38.0 0.257
바삭함 강도 3.44 45.6 4.33 86.1 0.000
김두께 강도 3.44 43.0 3.24 41.8 0.190
구워진정도 강도 3.48 51.9 4.05 75.9 0.000
기름진정도강도 3.52 55.7 3.51 51.9 1.000
최종 선호도 22.8% 77.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출원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직화구이부 11 : 제1하우징
11a : 제1유입구 11b : 제1유출구
12 : 제1컨베이어 13 : 제1가열원
14 : 제2가열원 15 : 승강 수단
15a : 핸들 15b : 롤러
15c : 와이어 16 : 후드
20 : 유처리부 21 : 제2하우징
21a : 제2유입구 21b : 제2유출구
22 : 제2컨베이어 23 : 노즐
24 : 저장조 25 : 펌프
26 : 센서 27 : 석션
100 : 김 A : 조미 김 제조장치

Claims (16)

  1. 상호 간에 연통하는 제1유입구 및 제1유출구가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입구로부터 상기 제1유출구를 향해 김을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상기 김 상면측으로 불꽃을 토출하는 제1가열원; 및 상기 제1컨베이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상기 김 하면측으로 불꽃을 토출하는 제2가열원;을 포함하는 직화구이부를 포함하는,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는 망 형태인,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원은 수직 상태로부터 상기 제1컨베이어 측으로 20° 내지 40° 경사지게 설치되는,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원 및 제2가열원은 가스식 열원인,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는, 상기 직화구이부의 제1유출구측에 배치되되, 상호 간에 연통하는 제2유입구 및 제2유출구가 형성된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유입구로부터 상기 제2유출구를 향해 김을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 상기 제2컨베이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컨베이어의 상기 김 상면으로 유지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로 공급되는 유지를 저장하는 저장조; 및 상기 저장조의 상기 유지를 상기 노즐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유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처리부는 상기 제2컨베이어의 상기 김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7. (a) 불꽃을 토출하는 가열원을 포함하는 직화구이부에 김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김의 상면측 및 하면측으로 불꽃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불꽃은 온도가 500℃ 내지 1500℃인,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a) 이전 상기 김에 복사열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열은 온도가 50℃ 내지 350℃인,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복사열을 가하는 단계 이후 및 상기 단계 (a) 이전, 상기 김에 유지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유지를 도포하는 단계 이후 및 상기 단계 (a) 이전, 상기 김에 조미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직화구이부는 제1항의 직화구이부인,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b) 이후 상기 김에 유지를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를 분무하는 단계는 유지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유처리부에서 실시하는,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처리부는 제5항의 유처리부인,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KR1020170090992A 2016-07-18 2017-07-18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및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KR201800093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0842 2016-07-18
KR20160090949 2016-07-18
KR1020160090842 2016-07-18
KR1020160090949 2016-07-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469A Division KR102171017B1 (ko) 2016-07-18 2019-10-23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및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324A true KR20180009324A (ko) 2018-01-26

Family

ID=609922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992A KR20180009324A (ko) 2016-07-18 2017-07-18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및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KR1020190132469A KR102171017B1 (ko) 2016-07-18 2019-10-23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및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469A KR102171017B1 (ko) 2016-07-18 2019-10-23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및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957141B2 (ko)
EP (1) EP3485740B1 (ko)
JP (1) JP6821021B2 (ko)
KR (2) KR20180009324A (ko)
CN (1) CN109561718A (ko)
AU (1) AU2017300894B2 (ko)
CA (1) CA3031314C (ko)
RU (1) RU2717489C1 (ko)
SG (1) SG11201900493RA (ko)
TW (1) TWI663920B (ko)
WO (1) WO20180168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099B1 (ko) * 2018-12-18 2019-05-13 정운상 상향 가열식 김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772B1 (ko) 2020-03-23 2020-10-19 김현철 낫토 김 스낵 제조방법
KR102287954B1 (ko) * 2020-05-15 2021-08-06 강병진 인공지능 기반의 김 분류를 통한 상품화 및 품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693091B (zh) * 2020-07-28 2022-07-01 安徽欢乐禧禧食品科技有限公司 具有预热和散热功能的海苔烘烤装置
KR102413231B1 (ko) * 2020-12-17 2022-06-27 주식회사 팜앤맛짱푸드 확장 가능한 김 구이장치
KR102455099B1 (ko) * 2021-06-25 2022-10-14 강신탁 김 연속 구이 장치
US20230146731A1 (en) * 2021-11-05 2023-05-11 Sohel Dahi Heating Device with Detachable Collection Container
KR20230126154A (ko) 2022-02-22 2023-08-29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대량생산이 가능한 로봇형 직화구이 구이김 제조장치
CN115316407A (zh) * 2022-09-13 2022-11-11 安徽顶康食品有限公司 一种饼干加工用涂层烘烤机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3225A (en) * 1976-12-17 1978-02-14 N.P.I. Corporation Rocking meatball cooker
JPS6163268A (ja) 1984-08-31 1986-04-01 Ootsubo Tekkosho:Kk 海苔乾燥装置
JPH01175785A (ja) 1987-12-29 1989-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アイソレータ内蔵半導体レーザモジュール
JP2922217B2 (ja) 1989-05-31 1999-07-19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法
JPH05336933A (ja) 1992-06-12 1993-12-21 Toukaiya:Kk 海苔および該海苔の製造方法
ES2089862T3 (es) * 1992-11-11 1996-10-01 Unilever Nv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un producto alimenticio.
CN2185976Y (zh) * 1994-01-11 1994-12-28 福建省农业机械化研究所 即食紫菜调味机
JP2728866B2 (ja) * 1995-10-24 1998-03-18 允 鈴木 海苔の加熱装置
JP2829581B2 (ja) 1996-04-03 1998-11-25 株式会社大坪鉄工 乾海苔製造装置および乾海苔製造方法
JP3004932B2 (ja) * 1997-02-06 2000-01-31 允 鈴木 シート状物の加熱装置
KR19980074427A (ko) * 1997-03-20 1998-11-05 곽철수 즉석 포장김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3400308B2 (ja) * 1997-09-01 2003-04-28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火入乾燥機及び焼海苔製造装置
US6080438A (en) * 1998-04-03 2000-06-27 Frigoscandia Equipment Ab Method for preparing food products for further processing
KR20000004545U (ko) * 1998-08-05 2000-03-06 곽철수 즉석 포장김의 제조장치
KR100350328B1 (ko) * 2000-01-07 2002-08-30 최민순 조미김의 제조방법
JP2003169637A (ja) 2001-12-03 2003-06-17 Chikazawa Tekkosho:Kk 板海苔の加熱装置
JP2004000110A (ja) * 2002-04-08 2004-01-08 Makoto Suzuki シート状海苔の焼加工装置
KR20070009283A (ko) * 2005-07-15 2007-01-18 코리아팩라인(주) 훈제 김 구이기
KR100812787B1 (ko) * 2005-10-13 2008-03-12 김희환 참깨 김 제조방법
KR200415670Y1 (ko) 2006-02-14 2006-05-04 이학송 김 구이장치
KR100985478B1 (ko) * 2008-01-28 2010-10-05 이차근 자동 조미기를 갖는 김 구이 장치
JP2010029082A (ja) 2008-07-28 2010-02-12 Takuro Hayashi 味付け海苔
JP5254840B2 (ja) * 2009-02-23 2013-08-07 ニチモウ株式会社 海苔製造装置
US9332877B2 (en) * 2010-06-11 2016-05-10 Pressco Ip Llc Cookware and cook-packs for narrowband irradiation cooking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8875621B2 (en) * 2010-07-15 2014-11-04 David Howard Method, continuous apparatus, and burner for producing a surface-roasted product
CN102461930A (zh) * 2010-11-01 2012-05-23 株式会社山本海苔店 海苔加工品及其制造方法
JP2013223427A (ja) 2011-10-24 2013-10-31 Chikazawa Tekkosho:Kk 焼き海苔製造装置
KR101293894B1 (ko) * 2011-11-15 2013-08-06 황경수 양파즙을 이용해 유통기한이 연장된 고품질 조미김
KR101349683B1 (ko) * 2012-04-04 2014-01-14 김익환 바베큐 구이장치
CN102755120B (zh) 2012-06-27 2016-06-15 威海嘉易烤生活家电有限公司 一种热源上置活动调节的电烤炉
JP2014187923A (ja) 2013-03-27 2014-10-06 Towa Techno:Kk 海苔焼機
KR101503424B1 (ko) * 2013-08-23 2015-03-17 김성중 실치 함유 조미 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실치 함유 조미 김
KR20150113357A (ko) 2014-03-28 2015-10-08 씨제이제일제당 (주) 조미 김의 제조방법
KR20160011349A (ko) * 2014-07-22 2016-02-01 구재현 카트리지형 폐유 회수장치를 갖는 김의 조미장치
RU2577890C1 (ru) * 2015-01-21 2016-03-20 Сергей Федорович Демидов Установк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ушки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CN204969318U (zh) * 2015-09-18 2016-01-20 南通金鼎海苔有限公司 一种调味海苔生产设备
KR101909856B1 (ko) * 2015-11-04 2018-10-18 코아사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구운 김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099B1 (ko) * 2018-12-18 2019-05-13 정운상 상향 가열식 김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61718A (zh) 2019-04-02
AU2017300894B2 (en) 2020-07-02
RU2717489C1 (ru) 2020-03-23
TWI663920B (zh) 2019-07-01
KR102171017B1 (ko) 2020-10-29
KR20190122630A (ko) 2019-10-30
US20190261663A1 (en) 2019-08-29
SG11201900493RA (en) 2019-02-27
TW201815296A (zh) 2018-05-01
JP2019521711A (ja) 2019-08-08
EP3485740A1 (en) 2019-05-22
CA3031314A1 (en) 2018-01-25
US11957141B2 (en) 2024-04-16
JP6821021B2 (ja) 2021-01-27
CA3031314C (en) 2021-06-15
AU2017300894A1 (en) 2019-03-07
EP3485740B1 (en) 2023-09-06
EP3485740A4 (en) 2020-03-25
WO2018016847A1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017B1 (ko) 직화구이 김 제조장치 및 직화구이 김의 제조방법
US9930897B2 (en) Smoker oven with improved air flow
JP6200105B1 (ja) 焼海苔の製造方法
CN102960780A (zh) 一种自动连续喷料烤鱼一体机及其烤鱼方法
KR101004952B1 (ko) 훈제장치
KR100903720B1 (ko) 오리 통구이기
KR101185789B1 (ko) 요리용 화덕
Das et al. Infrared in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KR20160084602A (ko) 간접화 훈제 바비큐 장치
KR20160020364A (ko)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구이용 육류가공품의 유해물질 저감 방법
CN110870489A (zh) 一种基于物联网控制的智能烘烤设备及烤制方法
KR101561622B1 (ko) 스시 전용 김의 제조장치, 그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스시 전용 김
Fayaz et al. Applications of infrared processing in the food industry
CN109122743B (zh) 一种适于延长保质期的食品智能烘烤设备
CN201328718Y (zh) 高效环保多功能烧烤炉
TW201714529A (zh) 一種食品靜電烹調系統
KR20200028717A (ko) 피자구이기의 연소가스 처리구조
CN110870493A (zh) 一种适于抑制油脂烤制氧化的食品烘烤设备
CN110870490A (zh) 一种适于改善食品润湿均匀性的烤制系统
CN110870488A (zh) 一种有利于提高松软润湿口感的食品智能烘烤设备
JPS59146572A (ja) 焼海苔の製造法
JPH0720135U (ja) 過熱蒸気による食品のロースティング装置
TWM485687U (zh) 加熱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