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959A -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7959A KR20170127959A KR1020160058901A KR20160058901A KR20170127959A KR 20170127959 A KR20170127959 A KR 20170127959A KR 1020160058901 A KR1020160058901 A KR 1020160058901A KR 20160058901 A KR20160058901 A KR 20160058901A KR 20170127959 A KR20170127959 A KR 201701279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estrian
- signal
- time
- module
- spe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횡단보도 안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교통신호 제어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보행신호 판단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5의 현시주기 설정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통행예측시간 산출모듈 및 현시주기 설정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현시주기 재설정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위험상황 판단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3:교통신호 제어기 5:보행자감지 레이더
6:차량감지 레이더 7:카메라 8:경고출력부
10:횡단보도 30:제어부 31:데이터베이스부
32:데이터입출력부 33:신호등 제어부 34:신호분석부
35:보행신호 판단부 36:현시주기 설정부
37:현시주기 재설정부 38:위험상황 판단부
39:경고출력부 구동부
Claims (7)
- 횡단보도 신호등과, 횡단보도 및 횡단보도의 양측에 형성되는 대기영역(S1)을 감지하는 보행자감지 레이더와,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 레이더와, 교통신호 제어기를 포함하는 횡단보도 안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는
상기 보행자감지 레이더 및 상기 차량감지 레이더로부터 입력된 레이더신호를 분석하는 신호분석부;
상기 신호분석부에 의해 검출된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기영역(S1)에 진입한 대기자 수(N)를 검출한 후 검출된 대기자 수(N)가 임계치 이상일 때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에 보행자신호인 녹색램프가 점등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는 보행신호 판단부;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을 현시주기를 제어하며, 상기 보행신호 판단부에 의해 보행자신호가 점등되어야 한다고 판단될 때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에 보행자신호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등 제어부;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에 녹색램프가 점등된 이후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횡단보도를 통행 중인 보행자들 각각의 궤적을 검출하는 궤적검출모듈과, 상기 궤적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궤적을 통해 보행자들 각각의 움직임벡터를 검출하는 움직임벡터 검출모듈과, 상기 움직임벡터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벡터에서 상기 횡당보도의 길이 방향인 X축 성분벡터를 추출한 후 추출된 X축 성분벡터를 이용하여 X축 방향의 이동속도를 산출하는 이동속도 산출모듈과, 보행자들 각각의 이동방향, 이동속도, 횡단보도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각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통행예측시간(T)을 산출하는 통행예측시간 산출모듈과, 현재 시점으로부터 통행예측시간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통행예측시간(T)을 합산한 시점을 보행자신호의 종료시점으로 결정하는 현시주기 설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등 제어부는 보행자신호 점등 후 상기 현시주기 설정모듈에 의해 결정된 종료시점에 보행자신호를 소등하도록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신호 판단부는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에 보행자금지 신호인 적색램프가 점등된 이후부터의 경과시간인 제1 경과시간(t1)을 측정하며, 상기 제1 경과시간(t1)이 기 설정된 제1 설정값(TH1:Threshold) 미만이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의 적색램프를 지속하여 점등하도록 판단하며,
상기 제1 경과시간(t1)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일 때 대기자 수(N)가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에 보행자신호인 녹색램프가 점등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신호 판단부는
상기 대기영역(S1)에 최초 진입한 대기자의 경과시간인 제2 경과시간(t2)을 측정하며, 상기 제2 경과시간(t2)이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서 상기 제1 경과시간(t1)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일 때 보행자신호인 녹색램프의 점등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는 위험상황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험상황 판단부는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에 보행자신호인 녹색램프가 점등될 때 구동되며, 상기 신호분석부에 의해 검출된 감지데이터와, 기 설정된 정지선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정지선에 정차 중인 차량들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검출하며, 만약 정지선에 정차 중인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제1 위험상황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횡단보도 안전시스템은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의 상기 제1 위험상황 판단부에 의해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기 설정된 경고데이터를 외부로 표출하는 경고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 판단부는 제2 위험상황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위험상황 판단부는
상기 신호분석부에 의해 검출된 감지데이터와, 도로상에서 횡단보도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된 위치인 속도감지영역(P)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속도감지영역(P)을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CV)를 산출하는 차량속도 산출모듈;
상기 차량속도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차량속도(CV)를 기 설정된 제한속도(CV`)에 비교하는 속도비교모듈;
상기 속도비교모듈에 의해 차량속도(CV)가 제한속도(CV`) 이상일 때 구동되며,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의 현재 점등되는 신호가 보행자신호인 녹색램프인지 또는 보행자통행 금지 신호인 적색램프인지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모듈;
상기 신호판별모듈에 의해 횡단보도 신호등이 현재 보행자신호인 녹색램프를 점등할 때 구동되며,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경고데이터 결정모듈;
상기 신호판별모듈에 의해 횡단보도 신호등이 현재 보행자통행 금지 신호인 적색램프를 점등할 때 구동되며, 제한속도를 위반한 차량의 궤적을 추적하여 해당 차량이 횡단보도를 통과할 때까지 횡단보도 신호등에 적색램프가 점등되도록 요청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색점등 요청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등 제어부는 상기 적색점등 요청모듈에 의해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횡단보도 신호등에 적색램프 점등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경고출력부는 상기 경고데이터 결정모듈에 의해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경고데이터를 외부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는 현시주기 재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시주기 재설정부는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에 보행자신호인 녹색램프가 점등된 이후부터의 경과시간인 제3 경과시간(t3)을 제3 설정값(TH3)에 비교하여 상기 제3 경과시간(t3)이 상기 제3 설정값(TH3) 이상이면 동작을 정지하는 구동여부 판단모듈;
상기 구동여부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제3 경과시간(t3)이 상기 제3 설정값(TH3) 미만일 때 구동되며, 상기 신호분석부로부터 입력된 감지데이터와 상기 횡단보도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시주기 설정부 또는 상기 현시주기 재설정부에 의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의 현시주기가 새롭게 설정된 이후부터 횡단보도로 진입한 신규보행자를 감지하는 신규보행자 감지모듈;
상기 신규보행자 감지모듈에 의해 신규보행자가 감지될 때 구동되며, 신규보행자의 궤적을 추적하여 신규보행자의 통행예측시간(T)을 산출하는 신규보행자 통행예측시간 산출모듈;
상기 횡단보도의 녹색램프의 현시주기 설정이 이루어진 회수에 따라 배수(△c)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현재 현시주기의 설정 회수에 따른 배수(△c)를 추출하여 추출된 배수(△c)와 통행예측시간(T)을 곱하여 변경예측시간(T`)을 산출하는 변경예측시간 산출모듈;
현재 시간으로부터 변경예측시간(T`)을 합산한 시간을 현재 설정된 현시주기의 종료시점으로 재설정하며, 상기 구동여부 판단모듈을 다시 구동시키는 현시주기 재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배수는 설정회수에 반비례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8901A KR101861208B1 (ko) | 2016-05-13 | 2016-05-13 |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8901A KR101861208B1 (ko) | 2016-05-13 | 2016-05-13 |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7959A true KR20170127959A (ko) | 2017-11-22 |
KR101861208B1 KR101861208B1 (ko) | 2018-06-29 |
Family
ID=6080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8901A Active KR101861208B1 (ko) | 2016-05-13 | 2016-05-13 |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1208B1 (ko) |
Cited B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71966A (zh) * | 2017-12-29 | 2018-06-15 | 南京理工大学 | 基于传感器的行人过街交通信号灯控制装置及控制方法 |
CN108629968A (zh) * | 2018-06-26 | 2018-10-09 | 吉林大学 | 一种基于激光雷达的行人过街安全控制装置 |
KR101944048B1 (ko) * | 2018-07-11 | 2019-01-30 | 메타빌드(주) |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KR20190066938A (ko) * | 2017-12-06 | 2019-06-14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전자파 센서를 이용한 건널목 신호기의 신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KR102098883B1 (ko) * | 2019-12-27 | 2020-04-10 | 주식회사 한솔리드텍 |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단속방법 |
KR20200045165A (ko) * | 2018-10-22 | 2020-05-04 | 주식회사 래도 | 보행안전지원시스템 |
KR102158854B1 (ko) * | 2019-12-03 | 2020-09-22 | (주)노바코스 | 스쿨존 돌발검지시스템 |
KR102187868B1 (ko) * | 2019-06-12 | 2020-12-07 | 주식회사 토이코스 | 횡단보도 조명 제어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
KR102193155B1 (ko) * | 2019-10-04 | 2020-12-18 | 서창범 | 횡단보도용 표출수단의 제어시스템 |
KR20210020590A (ko) * | 2019-08-16 | 2021-02-24 |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 스마트 센서 기반의 횡단보도 보행안전지원 시스템 |
KR20210095350A (ko) * | 2020-01-23 | 2021-08-02 | 양국승 |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2287609B1 (ko) * | 2020-12-11 | 2021-08-10 | 주식회사 바이다 | 보행자 안전 시스템 |
KR102310435B1 (ko) * | 2021-03-29 | 2021-10-08 | 쿨사인 주식회사 |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여 보행자에게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 |
KR20220029025A (ko) * | 2020-09-01 | 2022-03-08 | 재단법인 한국조명아이씨티연구원 |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발광 볼라드 |
KR20220081223A (ko) * | 2020-12-08 | 2022-06-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교통 약자를 위한 레이더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속도추적시스템 |
KR102414913B1 (ko) * | 2022-01-03 | 2022-07-01 | (주)송우인포텍 |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2453096B1 (ko) * | 2022-06-24 | 2022-10-11 | 유에프엠시스템즈 주식회사 | 스마트 횡단보도 신호 제어시스템 |
KR102484818B1 (ko) * | 2022-10-25 | 2023-01-09 | 제온시스 주식회사 | 사고 방지용 모듈 장치 및 시스템, 위험 구역 진입에 대한 위험 경고 방법 |
KR20230062216A (ko) * | 2021-10-29 | 2023-05-09 | 주식회사 티원 | 멀티 탐지 레이더를 이용하여 횡단보도의 보행자 또는 차량을 탐지하고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CN117953728A (zh) * | 2024-03-27 | 2024-04-30 |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 一种车辆与行人通过路口的协同方法和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2361B1 (ko) * | 2018-08-10 | 2019-04-25 | (주)이젠정보통신 | 교통신호 가변 제어 시스템 |
KR102034285B1 (ko) * | 2018-11-27 | 2019-10-18 | 주식회사 제이씨레이다 | 감지 장치와 경보 수단을 이용한 안전 보행 시스템 |
KR102730819B1 (ko) * | 2019-12-17 | 2024-11-15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보행자 안전을 위한 가상 레이더 통신 방법 및 장치 |
KR102208390B1 (ko) * | 2020-05-11 | 2021-01-27 | 주식회사 디테크 | 레이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관리 장치 |
KR102321936B1 (ko) * | 2021-03-18 | 2021-11-04 | (주)삼성티엔지 | 영상 인식을 통한 보행 신호의 안내 및 제어 장치 |
KR102761426B1 (ko) * | 2021-11-12 | 2025-02-0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교통 약자를 위한 레이더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궤적추적시스템 |
DE102022204064A1 (de) | 2022-04-27 | 2023-11-02 |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Fußgängerampel und Fußgängerampe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5955B1 (ko) * | 2011-06-16 | 2012-05-15 |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 횡단보도 교통 평온화 시스템 및 방법 |
KR101239122B1 (ko) * | 2011-11-01 | 2013-03-11 | 휴앤에스(주) | 인체감지장치를 이용한 신호등 제어장치 |
KR101248584B1 (ko) * | 2011-11-01 | 2013-03-28 | 휴앤에스(주) | 보행속도에 따라 녹색현시를 결정하는 신호등 제어방법 및 장치 |
KR101433649B1 (ko) * | 2013-03-11 | 2014-08-25 | 주식회사 네미센스 | 횡단보도 인접지역 고속 차량 감지 및 위험 신호 표출에 의한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장치 |
-
2016
- 2016-05-13 KR KR1020160058901A patent/KR10186120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5955B1 (ko) * | 2011-06-16 | 2012-05-15 |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 횡단보도 교통 평온화 시스템 및 방법 |
KR101239122B1 (ko) * | 2011-11-01 | 2013-03-11 | 휴앤에스(주) | 인체감지장치를 이용한 신호등 제어장치 |
KR101248584B1 (ko) * | 2011-11-01 | 2013-03-28 | 휴앤에스(주) | 보행속도에 따라 녹색현시를 결정하는 신호등 제어방법 및 장치 |
KR101433649B1 (ko) * | 2013-03-11 | 2014-08-25 | 주식회사 네미센스 | 횡단보도 인접지역 고속 차량 감지 및 위험 신호 표출에 의한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장치 |
Cited B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6938A (ko) * | 2017-12-06 | 2019-06-14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전자파 센서를 이용한 건널목 신호기의 신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CN108171966A (zh) * | 2017-12-29 | 2018-06-15 | 南京理工大学 | 基于传感器的行人过街交通信号灯控制装置及控制方法 |
CN108629968B (zh) * | 2018-06-26 | 2023-10-17 | 吉林大学 | 一种基于激光雷达的行人过街安全控制装置 |
CN108629968A (zh) * | 2018-06-26 | 2018-10-09 | 吉林大学 | 一种基于激光雷达的行人过街安全控制装置 |
KR101944048B1 (ko) * | 2018-07-11 | 2019-01-30 | 메타빌드(주) |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045165A (ko) * | 2018-10-22 | 2020-05-04 | 주식회사 래도 | 보행안전지원시스템 |
KR102187868B1 (ko) * | 2019-06-12 | 2020-12-07 | 주식회사 토이코스 | 횡단보도 조명 제어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
KR20210020590A (ko) * | 2019-08-16 | 2021-02-24 |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 스마트 센서 기반의 횡단보도 보행안전지원 시스템 |
KR102193155B1 (ko) * | 2019-10-04 | 2020-12-18 | 서창범 | 횡단보도용 표출수단의 제어시스템 |
KR102158854B1 (ko) * | 2019-12-03 | 2020-09-22 | (주)노바코스 | 스쿨존 돌발검지시스템 |
KR102098883B1 (ko) * | 2019-12-27 | 2020-04-10 | 주식회사 한솔리드텍 |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단속방법 |
KR20210095350A (ko) * | 2020-01-23 | 2021-08-02 | 양국승 |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KR20220029025A (ko) * | 2020-09-01 | 2022-03-08 | 재단법인 한국조명아이씨티연구원 |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발광 볼라드 |
KR20220081223A (ko) * | 2020-12-08 | 2022-06-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교통 약자를 위한 레이더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속도추적시스템 |
KR102287609B1 (ko) * | 2020-12-11 | 2021-08-10 | 주식회사 바이다 | 보행자 안전 시스템 |
KR102310435B1 (ko) * | 2021-03-29 | 2021-10-08 | 쿨사인 주식회사 |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여 보행자에게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 |
KR20230062216A (ko) * | 2021-10-29 | 2023-05-09 | 주식회사 티원 | 멀티 탐지 레이더를 이용하여 횡단보도의 보행자 또는 차량을 탐지하고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KR102414913B1 (ko) * | 2022-01-03 | 2022-07-01 | (주)송우인포텍 |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2453096B1 (ko) * | 2022-06-24 | 2022-10-11 | 유에프엠시스템즈 주식회사 | 스마트 횡단보도 신호 제어시스템 |
KR102484818B1 (ko) * | 2022-10-25 | 2023-01-09 | 제온시스 주식회사 | 사고 방지용 모듈 장치 및 시스템, 위험 구역 진입에 대한 위험 경고 방법 |
CN117953728A (zh) * | 2024-03-27 | 2024-04-30 |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 一种车辆与行人通过路口的协同方法和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1208B1 (ko) | 2018-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1208B1 (ko) |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 |
KR102157582B1 (ko) | 라이다 센서 기반의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 |
JP5269755B2 (ja) | 人横断支援車両システム及び人横断支援方法 | |
KR102101956B1 (ko) |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단속시스템 | |
CN107077795B (zh) | 用于探测车辆周围环境中出现的行驶障碍的辅助系统 | |
US2015008479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pedestrian at crosswalk | |
KR20140046953A (ko) | 충돌 경고 장치 및 충돌 경고 방법 | |
KR101554971B1 (ko) |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 |
JP4525915B2 (ja) | 運転支援装置 | |
KR101385525B1 (ko) | 스쿨존 안전통행 시스템 | |
KR20190046317A (ko) | 보행안전시스템 | |
KR101886325B1 (ko) | 주차장 교차로의 진입차량 경고 시스템 | |
KR102062589B1 (ko) | 어린이 보호구역 스마트 통합안내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감시시스템 | |
KR200481229Y1 (ko) |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 |
KR102098883B1 (ko) |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단속방법 | |
KR101248584B1 (ko) | 보행속도에 따라 녹색현시를 결정하는 신호등 제어방법 및 장치 | |
KR102453096B1 (ko) | 스마트 횡단보도 신호 제어시스템 | |
KR20200025433A (ko) | 버스전용차선 신호 제어시스템 | |
KR101239122B1 (ko) | 인체감지장치를 이용한 신호등 제어장치 | |
KR102254195B1 (ko) | 교통 감응 신호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교통 제어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 |
JP2013149296A (ja) | 人横断支援通知システム及び人横断支援方法 | |
KR20180088186A (ko) | 다채널 거리센서가 부설된 횡단보도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50044134A (ko) | 추월차로에서의 차선변경 유도장치 및 방법 | |
KR20180082788A (ko) |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 |
CN109410647A (zh) | 无公共交通信号灯的交叉路口防碰撞系统及其防撞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