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913B1 -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913B1
KR102414913B1 KR1020220000573A KR20220000573A KR102414913B1 KR 102414913 B1 KR102414913 B1 KR 102414913B1 KR 1020220000573 A KR1020220000573 A KR 1020220000573A KR 20220000573 A KR20220000573 A KR 20220000573A KR 102414913 B1 KR102414913 B1 KR 102414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nsing device
vehicle
image sens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송우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우인포텍 filed Critical (주)송우인포텍
Priority to KR102022000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하여,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을 갖는 제1 도로 및 제2 도로가 교차되는 교차로에서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 및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날씨, 시간, 및 이상 이벤트를 포함하는 기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마련된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1 도로에 배치된 횡단보도를 통행하기 위해 보행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수를 감지하는 단계, 보행자의 수를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기준 횡단 시간 동안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 기준 횡단 시간에 대응되는 기준 통행 시간 동안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2 영상 감지 장치, 및 제1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와 제2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를 포함하는 감지범위를 갖는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2 도로의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차량 신호 대기 중인 차량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의 정보를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제2 기준값과 비교된 결과에 따라 기준 통행 시간과 상이한 조정 통행 시간 동안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CONTROLLING TRAFFIC SIGNAL USING IMAGE INFORMATION AND RADAR INFORMATION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증설과 대비하여 급증하는 차량의 수에 따라 교통 체증이 심각해지고 있는 현 도로 상황에서 교통 신호 시스템을 개선하여 상기한 교통 체증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어져 왔다.
그러나 미리 설정된 시간과 순서에 따라 수동적으로 운행되는 교통 신호 시스템의 한계로 인하여 보다 능동적으로 교통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교통 신호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로 내 교통 정체가 발생되는 주요 장소로 지목되는 복수의 차선을 갖는 도로들이 교차되는 교차로에서는 상기한 능동적인 교통 신호 시스템의 적용이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157944호 (1999.03.20. 공고)
본 발명은 교차로 상황에서 영상 정보를 활용해 능동적으로 교통 신호를 제어하여 교통 체증을 효과적으로 저감 가능한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교차로 상황에서 영상 정보와 함께 레이더 정보를 더 활용하여 날씨, 시간, 이상 이벤트 등 영상 정보의 활용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교통 신호를 제어 가능한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하여,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을 갖는 제1 도로 및 제2 도로가 교차되는 교차로에서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 및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날씨, 시간, 및 이상 이벤트를 포함하는 기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마련된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1 도로에 배치된 횡단보도를 통행하기 위해 보행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수를 감지하는 단계, 보행자의 수를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기준 횡단 시간 동안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 기준 횡단 시간에 대응되는 기준 통행 시간 동안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2 영상 감지 장치, 및 제1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와 제2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를 포함하는 감지범위를 갖는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2 도로의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차량 신호 대기 중인 차량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의 정보를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제2 기준값과 비교된 결과에 따라 기준 통행 시간과 상이한 조정 통행 시간 동안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기준 정보는 날씨이고, 보행자의 수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날씨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날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설정 기준은, 현재 날씨가 비, 눈, 안개, 및 황사를 포함하는 날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기준 정보는 시간이고, 설정 기준은, 현재 시간이 일몰 시간 이후인 경우 또는 현재 시간이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 범위 내에 해가 위치하는 시간대에 포함되는 경우,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되는 것이고, 레이더 감지 장치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통으로 감지 가능한 정보를 감지하고,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레이더 감지 장치와 공통으로 감지 가능한 정보 외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기준 정보는 이상 이벤트이고, 설정 기준은,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상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레이더 감지 장치가 대신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영상 감지 장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는 횡단보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는, 제1 영상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각각 감지된 보행자의 수를 합산하되,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보행자의 성인 여부, 노약자 여부, 성별, 및 보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정보에 따라, 보행자의 정보마다 설정된 제1 할증율을 적용한 합산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대신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레이더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보행자의 수를 합산하되, 현재 시간에서의 보행자의 정보의 통계치에 따라 설정된 제2 할증율을 적용한 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행자의 수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제1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보행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통계치는, 현재 시간까지 저장된 보행자의 정보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차량의 정보는 차량의 수,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차량의 정보는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 각각에 대하여 감지되고,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는 각각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3 할증율을 갖고,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는, 제2 영상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제2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수를 합산하되, 제2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제3 할증율을 적용한 합산값을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는, 제2 영상 감지 장치 대신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레이더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수를 합산하되, 현재 시간에서의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계치에 따라 설정된 제4 할증율을 적용한 값을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제2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통계치는, 현재 시간까지 저장된 차량의 정보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차로 상황에서 영상 정보를 활용해 능동적으로 교통 신호를 제어하여 교통 체증을 효과적으로 저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차로 상황에서 영상 정보와 함께 레이더 정보를 더 활용하여 날씨, 시간, 이상 이벤트 등 영상 정보의 활용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교통 신호를 제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교차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세부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100)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하여,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을 갖는 제1 도로 및 제2 도로가 교차되는 교차로에서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 및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날씨, 시간, 및 이상 이벤트를 포함하는 기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마련된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1 도로에 배치된 횡단보도를 통행하기 위해 보행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수를 감지하는 단계(S110), 보행자의 수를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20),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기준 횡단 시간 동안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S130), 기준 횡단 시간에 대응되는 기준 통행 시간 동안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S140),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2 영상 감지 장치, 및 제1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와 제2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를 포함하는 감지범위를 갖는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2 도로의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차량 신호 대기 중인 차량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S150), 차량의 정보를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60), 및 제2 기준값과 비교된 결과에 따라 기준 통행 시간과 상이한 조정 통행 시간 동안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로 상황에서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된 영상 감지 장치 및/또는 레이더 감지 장치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또는 레이더 정보를 활용하여, 보행자의 수가 기설정된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차량 신호 대기 중인 차량의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의 정보를 기설정된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에 미달 시 조정 통행 시간동안 차량 신호를 개방함으로써, 능동적으로 교통 신호를 제어하여 해당 교차로에서의 교통 체증을 효과적으로 저감 가능하고, 날씨, 시간, 이상 이벤트 등 영상 정보의 활용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레이더 정보의 활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교통 신호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하여,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을 갖는 제1 도로 및 제2 도로가 교차되는 교차로에서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 및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차선을 갖는 복수의 도로가 교차되는 교차로에서 보다 적은 차선을 갖는 도로의 교통 신호를 영상 정보 및/또는 레이더 정보를 활용해 제어함으로써, 보다 많은 차선을 갖는 도로의 교통 신호를 빠른 주기로 개방하여 해당 도로에서의 차량 적체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내용에서 기본 전제로서 보다 많은 차선을 갖는 도로는 보다 적은 차선을 갖는 도로보다 평균적으로 통행하는 차량의 수가 많은 것으로 가정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단 교통의 통행량이 많은 도시 도로뿐만 아니라 이에 비해 통행량이 적은 지방 도로에 적용되어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가 지방 도로에 적용됨으로써 능동적으로 교통 신호를 제어하여 수동 방식인 기설정된 신호 개폐의 로테이션을 통해 발생 가능한 불필요한 차량의 대기 시간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원활한 차량 통행 및 보행자의 횡단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 후 설명할 본 실시예의 내용에서 직진 및 좌회전을 차선을 갖는 도로의 차량 신호 개방에 있어 우선 직진 차선의 차량 신호가 개방되고 이후 직진 차선의 차량 신호가 개방된 상태에서 좌회전 차선의 차량 신호가 개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보행자의 수를 감지하는 단계(S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씨, 시간, 및 이상 이벤트를 포함하는 기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마련된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1 도로에 배치된 횡단보도를 통행하기 위해 보행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보행자의 수는 후술할 차량의 정보, 특히 차량의 수에 우선하는 입력 변수이며, 해당 보행자의 수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또는 레이더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감지 장치는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해당 정보의 대상이 되는 목표물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 감지 장치에는 카메라, CCTV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영상 감지 장치는 보행자의 수 외에도 보행자의 성인/아동 여부, 노약자 여부, 성별, 보폭 등을 포함한 보행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레이더 감지 장치는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해당 정보의 대상이 되는 목표물에 전자기파를 발사해 목표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레이더 감지 장치는 이용되는 전자기파의 파장, 주파수 등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뉠 수 있다.
레이더 감지 장치는 보행자의 수를 감지할 수 있으나, 영상 감지 장치와 달리, 물체 종류의 판독이 어려워 보행자의 성인/아동 여부, 노약자 여부, 성별, 보폭 등을 포함하는 보행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는 없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레이더 감지 장치는 차량의 수를 감지할 수 있으나, 영상 감지 장치와 달리, 물체 종류의 판독이 어려워 차량의 종류, 차량의 길이 등을 포함한 차량의 정보를 획득할 수는 없다.
그러나, 레이더 감지 장치는, 영상 감지 장치와 대비하여,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고, 보다 원거리의 물체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며, 다방향 측정이 가능하고, 속도 측정 및 물체까지의 거리 또는 물체 간 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 기준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정보 감지 성능과 관련된 영상 감지 장치 및 레이더 감지 장치 간의 상호 보완 가능한 특징들에 착안하여, 영상 정보의 활용이 어려운 날씨, 시간, 및 이상 이벤트 등에서도 레이더 정보를 활용해 효과적으로 교통 신호를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 기준과 관련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기준 정보는 날씨이고, 보행자의 수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날씨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날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설정 기준은, 현재 날씨가 비, 눈, 안개, 및 황사를 포함하는 날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비, 눈, 안개, 황사 등 가시 범위가 급격히 낮아지는 궂은 날씨에서는 영상 감지 장치의 정보 감지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이 경우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는 레이더 감지 장치를 대신 선택해 작동시킴으로써 필요한 보행자의 수, 차량의 정보 등의 정보를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 눈, 안개, 및 황사를 포함하는 날씨의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해당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영상 감지 장치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시간 당 강우량 또는 적설량, 안개 또는 황사 시 시정 등급 등이 기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영상 감지 장치가 선택될 수 있다.
기준 정보는 시간이고, 설정 기준은, 현재 시간이 일몰 시간 이후인 경우 또는 현재 시간이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 범위 내에 해가 위치하는 시간대에 포함되는 경우,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되는 것이고, 레이더 감지 장치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통으로 감지 가능한 정보를 감지하고,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레이더 감지 장치와 공통으로 감지 가능한 정보 외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해가 지는 일몰 시간 이후에는 조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또한 가로등, 차량 등에서 산발적으로 강한 집중 조명이 밝혀지는 등으로 인해 영상 감지 장치의 정보 감지 성능이 떨어지므로, 이 경우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빛의 영향을 받지 않는 레이더 감지 장치를 영상 감지 장치와 함께 선택해 작동시킴으로써, 레이더 감지 장치를 통해 보행자의 수, 차량의 수 등의 정보를 감지하고, 영상 감지 장치를 통해 레이더 감지 장치가 감지하기 어려운 정보를 감지하도록 하여 상호 보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 내에 해가 위치하는 경우, 렌즈 등의 빛을 감지하는 영상 감지 장치의 구성에 강한 햇빛이 조사됨으로 인해 영상 감지 장치의 정보 감지 성능이 떨어지므로, 이 경우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빛의 영향을 받지 않는 레이더 감지 장치를 영상 감지 장치와 함께 선택해 작동시킴으로써, 레이더 감지 장치를 통해 보행자의 수, 차량의 수 등의 정보를 감지하고, 영상 감지 장치를 통해 레이더 감지 장치가 감지하기 어려운 정보를 감지하도록 하여 상호 보완되도록 할 수 있다.
기준 정보는 이상 이벤트이고, 설정 기준은,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상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레이더 감지 장치가 대신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레이더 감지 장치는, 영상 감지 장치 대비 넓은 감지 범위를 갖는 다방향성 감지 장치로서 영상 감지 장치들의 감지 범위를 포함하는 감지범위를 가지므로, 영상 감지 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상 상태, 즉 고장, 파손, 정지, 오류 발생 등으로 확인되는 경우 레이더 감지 장치가 그를 대신해 선택 및 작동되어 필요한 보행자의 수, 차량의 수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1 영상 감지 장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는 횡단보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횡단보도의 경우 양방향성을 가지는 바, 횡단보도의 양측에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를 설치하여 각각 반대편의 보행자의 수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상 감지 장치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없이 기설치되어 있는 횡단보도 신호등을 이용하여 이에 제1 영상 감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의 수를 제1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제1 기준값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서, 변동되지 않는 상수로서의 비교 기준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기설정된 제1 기준값과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또는 레이더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된 보행자의 수를 비교함으로써, 후술할 기준 횡단 시간 및 기준 통행 시간 동안 보행자 신호 및 차량 신호를 개방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각각 감지된 보행자의 수를 합산하되,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보행자의 성인 여부, 노약자 여부, 성별, 및 보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정보에 따라, 보행자의 정보마다 설정된 제1 할증율을 적용한 합산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각각 감지된 보행자의 수는 합산됨으로써 비교를 위한 변수로서의 의미를 가지게 되는바, 제1 기준값과의 비교를 위해 상기 보행자의 수를 합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행자의 수 외에 보행자의 성인/아동 여부, 노약자 여부, 성별, 보폭 등을 포함한 보행자의 정보를 획득할 경우 해당 정보들은 각각 기설정된 제1 할증율을 가질 수 있고, 1인수에 대해 제1 할증율을 곱하여 이를 보행자의 수에 산입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비교 변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대신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레이더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보행자의 수를 합산하되, 현재 시간에서의 보행자의 정보의 통계치에 따라 설정된 제2 할증율을 적용한 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레이더 감지 장치는 보행자의 성인 여부, 노약자 여부, 성별, 보폭 등의 보행자의 정보의 감지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제1 영상 감지 장치 대신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제1 영상 감지 장치에서와 같은 보행자의 정보에 따른 할증 보정을 위하여 현재 시간에서의 과거 통계치에 따라 설정된 제2 할증율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행자의 수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제1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보행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통계치는, 현재 시간까지 저장된 보행자의 정보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 학습 모델을 이용해, 저장된 보행자의 정보를 학습하여 보행자의 정보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도출하고, 해당 학습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고 현재 월일, 현재 날씨 정보, 현재 기온 정보 등을 입력 변수로 하여 현재 시간에서의 보행자의 정보를 예측해 제2 할증율을 설정할 수도 있다.
보행자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S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기준 횡단 시간 동안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를 개방할 수 있다.
즉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교통 신호를 별도로 제어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설정되어 있는 기준 횡단 시간만큼 보행자 신호를 개방하여 보행자가 횡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횡단 시간은 제1 도로의 폭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횡단보도의 길이는 횡단보도가 배치되는 도로의 폭에 의해 결정되는 바, 기준 횡단 시간 설정 시 도로의 폭을 고려하여 이에 비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준 횡단 시간은 횡단보도가 배치되는 도로의 폭(미터)에 성인 남성이 1미터를 보통 걸음으로 걸을 시 소요되는 시간을 곱하고 이에 보행자 신호 개방을 인지한 후 횡단보도로 진입하기 전까지의 진입 시간을 더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정량의 차량을 통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이 고려될 수 있으며, 또한 보행자의 횡단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성인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 아동 또는 노약자 등이 상존할 가능성을 감안하여 기준 횡단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S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횡단 시간에 대응되는 기준 통행 시간 동안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차량의 통행을 위한 시간은 보행자의 횡단을 위한 시간에 의존하는 바 기준 통행 시간은 기준 횡단 시간에 대응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기준 횡단 시간의 보행자 신호를 개방하면서 상기 기준 통행 시간의 차량 신호를 함께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횡단 시간을 설정함에 있어 일정량의 차량을 통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이 고려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설정된 기준 횡단 시간에 대응되도록 기준 통행 시간이 설정됨으로써 차량 통행을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이 확보될 수 있다.
차량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S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2 영상 감지 장치, 및 제1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와 제2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를 포함하는 감지범위를 갖는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2 도로의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차량 신호 대기 중인 차량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우선 기준이 되는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에 미달하게 되면 차선 기준이 되는 차량의 정보를 감지함으로써, 교통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변수 데이터가 수집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제2 영상 감지 장치 및/또는 레이더 감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없이 기설치된 차량 신호등을 이용하여 이에 제2 영상 감지 장치 및/또는 레이더 감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더욱이 제2 영상 감지 장치의 경우 일방향성 감지 장치로서, 교차로 상황에서 복수로 설치되어야 할 수 있을 것이나, 레이더 감지 장치의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이 다방향성의 감지 장치로서 영상 감지 장치 대비 넓은 감지 범위를 가지므로, 복수의 제2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를 포함 가능한 감지 범위를 갖도록 어느 1개소에 설치되어 교차로 전체의 차량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레이더 감지 장치는 복수의 제1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까지 포함하는 감지 범위를 가질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라, 차량의 정보는 차량의 수,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차량의 정보는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 각각에 대하여 감지될 수 있다.
즉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는 직진 및 좌회전 차선을 갖는 바, 각각에 대하여 차량의 정보를 감지함으로써 후술할 바와 같이 도로의 직진 및 좌회전 각각에 대한 차량 신호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는 각각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3 할증율을 갖고, 차량의 수에는 차량 1대에 대하여 제3 할증율이 곱해진 값이 합산될 수 있다.
즉 차량의 종류 및 길이에 따라 도로를 통행하기 위한 시간에 차이가 발생 가능하므로, 차량의 수라는 변수 데이터를 수집함에 있어 차량의 종류 및 길이가 더 고려될 수 있으며, 그 방법으로써 1차량수에 대하여 해당 차량의 종류 및 길이에 따른 각각의 기설정된 제3 할증율을 곱한 값을 차량의 수에 산입하여 최종 합계로서의 차량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제3 할증율은 차량의 종류나 길이를 고려하여 1차량수에 부여되는 가산치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차량의 종류에 따른 제3 할증율에 대하여 예를 들어 보면, 소형차(경차)의 할증율을 1로 두고 이를 기준으로 중형 세단은 2, 대형 세단은 3, 일반 트럭은 4, 대형 트럭은 5, 버스는 6 등으로 제3 할증율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길이에 따른 제3 할증율에 대하여 예를 들어 보면, 3 내지 4미터의 경우 1, 4 내지 5미터의 경우 2, 5 내지 6미터의 경우 3, 6 내지 7미터의 경우 4 등으로 제3 할증율을 부여할 수 있다.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정보를 제2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제2 기준값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서, 변동되지 않는 상수로서의 비교 기준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기설정된 제2 기준값과 제2 영상 감지 장치 및/또는 레이더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후술할 기준 통행 시간에서 차량 신호 개방 시간을 조정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는, 제2 영상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제2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수를 합산하되, 제2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제3 할증율을 적용한 합산값을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 각각에 대하여 부여된 제3 할증율을 1차량수에 곱하여 합산한 차량의 수를 제2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는, 제2 영상 감지 장치 대신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레이더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수를 합산하되, 현재 시간에서의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계치에 따라 설정된 제4 할증율을 적용한 값을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레이더 감지 장치는 차량의 종류, 차량의 길이 등의 차량의 정보의 감지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제2 영상 감지 장치 대신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제2 영상 감지 장치에서와 같은 차량의 정보에 따른 할증 보정을 위하여 현재 시간에서의 과거 통계치에 따라 설정된 제4 할증율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제2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통계치는, 현재 시간까지 저장된 차량의 정보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 학습 모델을 이용해, 저장된 차량의 정보를 학습하여 차량의 정보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도출하고, 해당 학습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고 현재 월일, 현재 날씨 정보, 현재 기온 정보 등을 입력 변수로 하여 현재 시간에서의 차량의 정보를 예측해 제4 할증율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2 기준값은 직진 차선의 차량의 수에 대한 직진 기준값과 좌회전 차선의 차량의 수에 대한 좌회전 기준값을 포함하고,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60)는 직진 차선의 차량의 수를 직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62), 및 좌회전 차선의 차량의 수를 좌회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6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기준값은 직진 기준값 및 좌회전 기준값을 포함하고 이를 상기 감지된 직진 차선의 차량의 수 및 좌회전 차선의 차량의 수 각각과 비교함으로써, 후술할 바와 같이 직진 차량 신호 및 좌회전 차량 신호 각각을 기준 통행 시간에서 조정하여 개방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조정 통행 시간 동안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S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준값과 비교된 결과에 따라 기준 통행 시간과 상이한 조정 통행 시간 동안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 통행 시간은 기준 통행 시간과 같거나 짧아지게 될 것이므로, 이에 따라 차량 신호 개방이 차량의 수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라, 기준 통행 시간은 직진 차선에 대한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기준 직진 시간과 좌회전 차선에 대한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기준 좌회전 시간을 포함하고, 조정 통행 시간은 직진 차선에 대한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조정 직진 시간과 좌회전 차선에 대한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조정 좌회전 시간을 포함하고, 조정 직진 시간은 직진 차선의 차량의 수가 직진 기준값 미만인 경우 기준 직진 시간에 대해 단축되어 산정되고, 조정 좌회전 시간은 좌회전 차선의 차량의 수가 좌회전 기준값 미만인 경우 기준 좌회전 시간에 대해 단축되어 산정되고, 조정 직진 시간과 조정 좌회전 시간은 직진 차선과 좌회전 차선 각각의 차량의 수에 비례하여 단축될 수 있다.
보행자 신호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단계(S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통행 시간의 길이에 따라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즉 차량 신호에 대한 통행 시간을 조정하더라도 그 길이와 비교해 보았을 때 보행자 신호도 개방 가능할 경우, 차량 신호와 더불어 보행자 신호를 함께 개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행자 신호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단계(S1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통행 시간이 제1 도로의 횡단을 위한 최소 시간 이상인 경우 조정 통행 시간에 대응되도록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S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신호와 함께 보행자 신호를 개방하더라도 보행자 신호 개방은 차량의 통행에 영향을 주지 않을뿐더러,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에 미달한다하여 무조건적으로 보행자 신호를 미개방하는 것과 대비하여 합리적이라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도로의 횡단을 위한 최소 시간은 제1 도로의 폭에 성인 남성이 1미터를 보통 걸음으로 걸을 시 걸리는 시간을 곱한 값에 보행자가 보행자 신호의 개방을 인지한 후 횡단보도에 진입하기 전까지 필요한 최소 여유 시간을 더한 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최소 보행 시간은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횡단할 수 있는 시간을 보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감지된 보행자의 수가 고려될 수도 있다.
전술한 영상 감지 장치 및 레이더 감지 장치의 선택 및 동작 과정들은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차로 상황에서 영상 정보에 더해 레이더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날씨, 시간, 이상 이벤트 등 영상 정보의 활용이 어려운 상황에서 교통 신호를 제어하는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하여,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을 갖는 제1 도로 및 제2 도로가 교차되는 교차로에서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 및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날씨, 시간, 및 이상 이벤트를 포함하는 기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마련된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제1 도로에 배치된 횡단보도를 통행하기 위해 보행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수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110), 보행자의 수를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1 비교부(120),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기준 횡단 시간 동안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를 개방하는 보행자 신호 개방부(130), 기준 횡단 시간에 대응되는 기준 통행 시간 동안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제1 차량 신호 개방부(140),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2 영상 감지 장치, 및 제1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와 제2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를 포함하는 감지범위를 갖는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제2 도로의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차량 신호 대기 중인 차량의 정보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150), 차량의 정보를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2 비교부(160), 및 제2 기준값과 비교된 결과에 따라 기준 통행 시간과 상이한 조정 통행 시간 동안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제2 차량 신호 개방부(170)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100)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로 상황에서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된 영상 감지 장치 및/또는 레이더 감지 장치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또는 레이더 정보를 활용하여, 보행자의 수가 기설정된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차량 신호 대기 중인 차량의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의 정보를 기설정된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에 미달 시 조정 통행 시간동안 차량 신호를 개방함으로써, 능동적으로 교통 신호를 제어하여 해당 교차로에서의 교통 체증을 효과적으로 저감 가능하고, 날씨, 시간, 이상 이벤트 등 영상 정보의 활용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레이더 정보의 활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교통 신호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하여,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을 갖는 제1 도로 및 제2 도로가 교차되는 교차로에서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 및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감지부(110)는, 날씨, 시간, 및 이상 이벤트를 포함하는 기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마련된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제1 도로에 배치된 횡단보도를 통행하기 위해 보행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수를 감지할 수 있다.
기준 정보는 날씨이고, 날씨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날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설정 기준은, 현재 날씨가 비, 눈, 안개, 및 황사를 포함하는 날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기준 정보는 시간이고, 설정 기준은, 현재 시간이 일몰 시간 이후인 경우 또는 현재 시간이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 범위 내에 해가 위치하는 시간대에 포함되는 경우,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되는 것이고, 레이더 감지 장치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통으로 감지 가능한 정보를 감지하고,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레이더 감지 장치와 공통으로 감지 가능한 정보 외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기준 정보는 이상 이벤트이고, 설정 기준은,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상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레이더 감지 장치가 대신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비교부(120)는 보행자의 수를 제1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제1 영상 감지 장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는 횡단보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제1 비교부(120)는, 제1 영상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각각 감지된 보행자의 수를 합산하되,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보행자의 성인 여부, 노약자 여부, 성별, 및 보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정보에 따라, 보행자의 정보마다 설정된 제1 할증율을 적용한 합산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제1 비교부(120)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대신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레이더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보행자의 수를 합산하되, 현재 시간에서의 보행자의 정보의 통계치에 따라 설정된 제2 할증율을 적용한 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보행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더 포함하고, 통계치는, 현재 시간까지 저장된 보행자의 정보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보행자 신호 개방부(130)는,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기준 횡단 시간 동안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횡단 시간은 제1 도로의 폭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재1 차량 신호 개방부(140)는 기준 횡단 시간에 대응되는 기준 통행 시간 동안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개방할 수 있다.
제2 감지부(150)는, 보행자의 수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2 영상 감지 장치, 및 제1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와 제2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를 포함하는 감지범위를 갖는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제2 도로의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차량 신호 대기 중인 차량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비교부(160)는, 차량의 정보를 제2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차량의 정보는 차량의 수,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차량의 정보는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 각각에 대하여 감지되고,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는 각각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3 할증율을 갖고, 제2 비교부(160)는, 제2 영상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제2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수를 합산하되, 제2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제3 할증율을 적용한 합산값을 제2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제2 비교부(160)는, 제2 영상 감지 장치 대신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레이더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수를 합산하되, 현재 시간에서의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계치에 따라 설정된 제4 할증율을 적용한 값을 제2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저장부는 제2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고, 통계치는, 현재 시간까지 저장된 차량의 정보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제2 기준값은 직진 차선의 차량의 수에 대한 직진 기준값과 좌회전 차선의 차량의 수에 대한 좌회전 기준값을 포함하고, 제2 비교부(160)는 직진 차선의 차량의 수를 직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좌회전 차선의 차량의 수를 좌회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제2 차량 신호 개방부(170)는, 제2 기준값과 비교된 결과에 따라 기준 통행 시간과 상이한 조정 통행 시간 동안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개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준 통행 시간은 직진 차선에 대한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기준 직진 시간과 좌회전 차선에 대한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기준 좌회전 시간을 포함하고, 조정 통행 시간은 직진 차선에 대한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조정 직진 시간과 좌회전 차선에 대한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조정 좌회전 시간을 포함하고, 조정 직진 시간은 직진 차선의 차량의 수가 직진 기준값 미만인 경우 기준 직진 시간에 대해 단축되어 산정되고, 조정 좌회전 시간은 좌회전 차선의 차량의 수가 좌회전 기준값 미만인 경우 기준 좌회전 시간에 대해 단축되어 산정되고, 조정 직진 시간과 조정 좌회전 시간은 직진 차선과 좌회전 차선 각각의 차량의 수에 비례하여 단축될 수 있다.
보행자 신호 선택 개방부(180)는 조정 통행 시간의 길이에 따라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행자 신호 선택 개방부(180)는, 조정 통행 시간이 제1 도로의 횡단을 위한 최소 시간 이상인 경우 조정 통행 시간에 대응되도록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를 개방할 수 있다.
전술한 영상 감지 장치 및 레이더 감지 장치의 선택 및 동작 과정들은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차로 상황에서 영상 정보에 더해 레이더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날씨, 시간, 이상 이벤트 등 영상 정보의 활용이 어려운 상황에서 교통 신호를 제어하는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110: 제1 감지부
120: 제1 비교부
130: 보행자 신호 개방부
140: 제1 차량 신호 개방부
150: 제2 감지부
160: 제2 비교부
162: 직진 비교부
164: 좌회전 비교부
170: 제2 차량 신호 개방부
180: 보행자 신호 선택 개방부

Claims (10)

  1.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하여, 직진 차선 및 좌회전 차선을 갖는 제1 도로 및 제2 도로가 교차되는 교차로에서 상기 제1 도로의 보행자 신호 및 상기 제2 도로의 차량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날씨, 시간, 및 이상 이벤트를 포함하는 기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마련된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제1 도로에 배치된 횡단보도를 통행하기 위해 상기 보행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보행자의 수를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보행자의 수가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기준 횡단 시간 동안 상기 제1 도로의 상기 보행자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기준 횡단 시간에 대응되는 기준 통행 시간 동안 상기 제2 도로의 상기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보행자의 수가 상기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설정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제2 영상 감지 장치, 및 상기 제1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와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의 감지 범위를 포함하는 감지범위를 갖는 상기 레이더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제2 도로의 상기 직진 차선 및 상기 좌회전 차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차량 신호 대기 중인 차량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정보를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준값과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기 기준 통행 시간과 상이한 조정 통행 시간 동안 상기 제2 도로의 상기 차량 신호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자의 수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날씨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날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기준은,
    현재 날씨가 비, 눈, 안개, 및 황사를 포함하는 날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되되,
    현재 날씨에 따른 단위 시간 당 강우량, 단위 시간 당 적설량, 안개 시정 등급, 및 황사 시정 등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현재 날씨에 따라 선택된 상기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상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레이더 감지 장치가 대신 선택되며,
    현재 날씨가 맑음인 경우에 시간에 따라, 현재 시간이 일몰 시간 전으로서 상기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 범위 내에 해가 위치하는 시간대에 포함되는 경우, 렌즈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증가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능 저하를 보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상기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레이더 감지 장치는,
    상기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통으로 감지 가능한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영상 감지 장치 및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레이더 감지 장치와 함께 선택되는 경우, 상기 레이더 감지 장치와 공통으로 감지 가능한 정보 외의 정보를 감지하는,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감지 장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는 상기 횡단보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상기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각각 감지된 상기 보행자의 수를 합산하되, 상기 한 쌍의 제1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보행자의 성인 여부, 노약자 여부, 성별, 및 보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보행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보행자의 정보마다 설정된 제1 할증율을 적용한 합산값을 상기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감지 장치 대신 상기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상기 레이더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보행자의 수를 합산하되, 현재 시간에서의 상기 보행자의 정보의 통계치에 따라 설정된 제2 할증율을 적용한 값을 상기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의 수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보행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계치는, 현재 시간까지 저장된 상기 보행자의 정보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보는 차량의 수,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정보는 상기 직진 차선 및 상기 좌회전 차선 각각에 대하여 감지되고,
    상기 차량의 종류 및 상기 차량의 길이는 각각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3 할증율을 갖고,
    상기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차량의 수를 합산하되,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차량의 종류 및 상기 차량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3 할증율을 적용한 합산값을 상기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 대신 상기 레이더 감지 장치가 선택된 경우, 상기 레이더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차량의 수를 합산하되, 현재 시간에서의 상기 차량의 종류 및 상기 차량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계치에 따라 설정된 제4 할증율을 적용한 값을 상기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영상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계치는, 현재 시간까지 저장된 상기 차량의 정보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KR1020220000573A 2022-01-03 2022-01-03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1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573A KR102414913B1 (ko) 2022-01-03 2022-01-03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573A KR102414913B1 (ko) 2022-01-03 2022-01-03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913B1 true KR102414913B1 (ko) 2022-07-01

Family

ID=8239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573A KR102414913B1 (ko) 2022-01-03 2022-01-03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9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7944B1 (ko) 1995-10-24 1999-03-20 이희종 교통신호 무선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138392A (ko) * 2012-06-11 2013-12-19 휴앤에스(주) 돌발검지 시스템
KR20170127959A (ko) * 2016-05-13 2017-11-22 (주)에이치브레인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KR101979324B1 (ko) * 2016-11-25 2019-05-16 자동차부품연구원 보행자 안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2570A (ko) * 2018-06-29 2021-03-03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촬상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정보 처리 시스템, 그리고 이동체 장치
KR102227675B1 (ko) * 2020-06-26 2021-03-16 (주)송우인포텍 영상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7944B1 (ko) 1995-10-24 1999-03-20 이희종 교통신호 무선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138392A (ko) * 2012-06-11 2013-12-19 휴앤에스(주) 돌발검지 시스템
KR20170127959A (ko) * 2016-05-13 2017-11-22 (주)에이치브레인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KR101979324B1 (ko) * 2016-11-25 2019-05-16 자동차부품연구원 보행자 안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2570A (ko) * 2018-06-29 2021-03-03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촬상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정보 처리 시스템, 그리고 이동체 장치
KR102227675B1 (ko) * 2020-06-26 2021-03-16 (주)송우인포텍 영상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83474B (zh) 自动驾驶车辆的决策系统及方法
US118203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a vehicle
US118402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with safe distances
EP3832419A1 (en) Navigational system with imposed constraints
KR101696881B1 (ko) 교통 정보 분석 방법 및 장치
CN114364591A (zh) 用于交通工具导航系统和方法
US20190031198A1 (en) Vehicle Travel Control Method and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CN102637364B (zh) 一种避免交叉路口死锁的自适应信号方法和装置
US202302865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domain-specific navigation system capabilities
JP7028066B2 (ja) 検知装置及び検知システム
US20210261162A1 (en) Driving Support Method and Driving Support Device
US20210012653A1 (en) Traffic monitoring apparatus, traffic monitoring system, traffic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EP3528231A1 (en) Vehicle travel control method and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US20230322208A1 (en) Steering limiters for vehicle navigation
CN115618932A (zh) 基于网联自动驾驶的交通事件预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292435A (zh) 高精地图的更新方法和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627659A (zh) 基于行人视频分析的安全过街智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Choi et al. Framework for connected and automated bus rapid transit with sectionalized speed guidance based o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ield test in Sejong city
KR102414913B1 (ko) 영상 정보 및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52896B1 (ko) 영상 정보를 활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Li et al. Microscopic simulation-based high occupancy vehicle lane safety and operation assessment: a case study
Angelastro The influence of driver sight distance on crash rates and driver speed at modern roundabouts in the United States
Geedipally et al. Analysis of injury severity in crashes on ramps and at crossroad ramp terminals
Zohdy et al. Impact of inclement weather on left-turn gap acceptance behavior of drivers
KR20180051752A (ko) 차량 자율주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자율주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