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048B1 -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048B1
KR101944048B1 KR1020180080385A KR20180080385A KR101944048B1 KR 101944048 B1 KR101944048 B1 KR 101944048B1 KR 1020180080385 A KR1020180080385 A KR 1020180080385A KR 20180080385 A KR20180080385 A KR 20180080385A KR 101944048 B1 KR101944048 B1 KR 10194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traffic
accident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형
Original Assignee
메타빌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빌드(주) filed Critical 메타빌드(주)
Priority to KR1020180080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1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존마다 존 감지부와 존 엣지가 각각 설치되어, 존 엣지가 각 존에서 발생한 상황에 따라 시설물을 직접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존에서 교통 서비스를 제공 및 해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도로를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존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존별로 존 엣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존의 특성에 맞게 보다 신속한 교통 정보의 제공과 시설물의 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Intelligence transport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를 복수의 존들로 구획하고, 상기 존을 단위로 하여 엣지 컴퓨팅 기반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여, 보다 신속하면서도 편리한 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ce transport system, ITS)은 전자, 정보, 통신, 제어 등의 기술을 교통체계에 접목시켜서, 신속하고 안전하면서 쾌적한 차세대 교통체계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교통관리 시스템, 대중교통 시스템, 전자지불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도로 위의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교통 이용자에게 다시 제공하는 것이다. 주로 도로에 복수의 교통 정보 수집장치들을 설치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도로 관제센터 등에 설치된 클라우드 서버에 수집된 정보를 전달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수집된 교통 정보를 분석, 가공하여, 교통 이용자의 단말기 등에 다시 제공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기존의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에서 교통 정보를 분석, 가공 및 관리를 하는 중앙 집중 방식이기 때문에, 통신 연결이나 데이터 처리 등으로 인한 지연 시간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정보 전달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955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신속하게 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은, 도시의 도로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한 존(zone)들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존의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존 감지부들과;
상기 존들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존 감지부들에서 감지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존의 교통 상황과 돌발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한 존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존을 주행하는 차량의 단말기와 상기 존에 설치된 교통 시설물을 포함한 서비스 대상에 제공하고, 상기 존 상황에 따라 상기 서비스 대상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존 상황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존 엣지(edge)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방법은, 도시의 도로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한 존(zone)마다 각각 설치된 존 감지부들이 상기 존의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교통 정보를 상기 존마다 설치된 존 엣지(edge)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존 엣지가 수신한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존의 교통 상황과, 상기 존의 돌발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존 엣지가 상기에서 판단한 존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존을 주행하는 차량의 단말기와 상기 존에 설치된 교통 시설물을 포함한 서비스 대상에 송신하고, 상기 존 상황에 따라 상기 서비스 대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단말기와 상기 교통 시설물의 단말기가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 시설물들이 상기 존 엣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존 엣지가 상기에서 판단한 존 상황을 상기 도로의 교통 상황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방법은, 도시의 도로를 노인 보호 구역, 장애인 보호 구역 및 어린이 보호 구역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된 교통약자 보호 존과, 상습 정체 구역으로 설정된 정체관리 존과, 교량, 터널, 경사 구간 및 급 커브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된 사고주의 존으로 구획하여 관리하는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설치된 존 감지부가 보행자의 위치와 속도,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설치된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는, 상기 보행자의 위치와 속도, 상기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분석하고, 상기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설치된 신호등의 청색 표시 시간이 연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있는 보행자의 단말기와 차량의 단말기에 주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는, 상기에서 분석된 정보를 상기 도로의 교통 상황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방법은, 도시의 도로를 노인 보호 구역, 장애인 보호 구역 및 어린이 보호 구역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된 교통약자 보호 존과, 상습 정체 구역으로 설정된 정체관리 존과, 교량, 터널, 경사 구간 및 급 커브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된 사고주의 존으로 구획하여 관리하는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체관리 존에 설치된 존 감지부가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정체관리 존에 설치된 정체관리 존 엣지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체관리 존 엣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속도, 통행량을 분석하여 정체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정체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정체관리 존에 설치된 신호등, 가변차로 신호기, 전광판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정체관리 존에 있는 차량의 단말기로 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체관리 존 엣지, 상기에서 분석된 정보를 상기 도로의 교통 상황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방법은, 도시의 도로를 노인 보호 구역, 장애인 보호 구역 및 어린이 보호 구역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된 교통약자 보호 존과, 상습 정체 구역으로 설정된 정체관리 존과, 교량, 터널, 경사 구간 및 급 커브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된 사고주의 존으로 구획하여 관리하는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고주의 존에 설치된 존 감지부가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사고주의 존에 설치된 사고주의 존 엣지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고주의 존 엣지는, 상기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분석하여, 상기 사고주의 존에서 사고 상황이나 돌발생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고주의 존에 설치된 전광판과 상기 사고주의 존을 주행하는 차량의 단말기에 주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고주의 존 엣지는, 상기에서 분석된 정보를 상기 도로의 교통 상황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각 존마다 존 감지부와 존 엣지가 각각 설치되어, 존 엣지가 각 존에서 발생한 상황에 따라 시설물을 직접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존에서 교통 서비스를 제공 및 해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도로를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존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존별로 존 엣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존의 특성에 맞게 보다 신속한 교통 정보의 제공과 시설물의 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에서 존 엣지들과 클라우드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에서 존 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에서 존 엣지가 제어하는 시설물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에서 존 엣지들과 클라우드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은, 도시의 도로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존(zone)들로 구분하여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존(zone) 감지부들(10)과, 복수의 존 엣지들(edge)(20)과, 서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존은, 노인 보호 구역, 장애인 보호 구역 및 어린이 보호 구역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된 교통약자 보호 존(Z1)과, 상습 정체 구역으로 설정된 정체관리 존(Z2)과, 교량, 터널, 경사 구간 및 급 커브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된 사고주의 존(Z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존도 설정 가능하다.
상기 존 감지부(10)는, 상기 존들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존의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상기 교통 정보는, 상기 존에 있는 보행자의 위치와 속도, 차량의 위치와 속도 등을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행자나 차량 이외에 장애물 등도 감지할 수 있다. ,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존 감지부(10)는, 상기 도로 주변에 설치된 레이더(10a), 차량 검지기(VDS, Vehicle detection system)(10b), CCTV(10c), 하이패스 설비(10d), 기상 센서(10e) 등 감지 장비들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 장비들의 종류나 개수는 상기 존들의 특성에 따라 상기 존들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존 감지부(10)는,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Z1)에 설치된 교통약자 보호 존 감지부(11)와, 상기 정체관리 존(Z2)에 설치된 정체관리 존 감지부(12)와, 상기 사고주의 존(Z3)에 설치된 사고주의 존 감지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존 엣지(20)는, 상기 존들마다 각각 설치된다. 상기 존 엣지(20)는, 상기 존 감지부(10)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존의 교통상황이나 돌발 상황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존의 교통상황은, 차속, 통행량 및 차량들의 속도 편차 등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존의 교통상황은, 도로 위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위치, 속도 등도 포함된다.
상기 존의 돌발상황은, 도로 위에 보행자 발생 여부, 도로 위 차대차 사고 발생 여부, 역주행, 차량의 지,정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존 엣지(20)는, 상기 존 감지부(10)나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분석한 존 상황에 대한 정보에 따른 정보 신호와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와,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존 엣지(20)는, 상기 존별로 상기 존 감지부(10)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존 엣지(20)는, 상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차속, 통행량 및 차량간 속도 편차를 포함한 존의 교통상황을 판단하거나, 보행자 유무, 보행자 속도, 보행자 숫자, 사고, 역주행, 지,정체를 포함한 존의 돌발상황도 판단한다.
상기 존 엣지(20)는, 판단한 존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각 존에 위치한 서비스 대상들(50)에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대상들(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대상들(50)은, 상기 존들마다 설치된다. 상기 서비스 대상들(50)은, 가변차로 신호기(50a), 전광판(50b), 신호등(50c), 보행자의 휴대용 단말기(50d), 통신 기지국(50e), 차량의 단말기(50f)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등(50c)은 보행자용 신호등과 차량용 신호등으로 구분하여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대상들(50)의 종류나 개수는 상기 존들의 특성에 따라 각 존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대상들(50)은,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Z1)에 설치된 교통약자 존 서비스 대상(51)과, 상기 정체관리 존(Z2)에 설치된 정체관리 존 서비스 대상(52)과, 상기 사고주의 존(Z3)에 설치된 사고주의 존 서비스 대상(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약자 존 서비스 대상(51)은, 상기 신호등(50c), 상기 차량의 단말기(50f), 상기 보행자의 휴대용 단말기(50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체관리 존 서비스 대상(52)은, 상기 가변차로 신호기(50a), 상기 전광판(50b), 상기 신호등(50c), 상기 차량의 단말기(50f)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고주의 존 서비스 대상(53)은, 상기 전광판(50b), 상기 차량의 단말기(50f)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단일의 클라우드 서버(3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상기 복수의 존 엣지들(20)에서 판단한 상기 존 상황에 대한 정보를 모두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존 엣지들에게 피드백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상기 존 엣지(20)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처리부와, 상기 빅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상기 빅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수요처(4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요처(40)는, 도로 관제 센터나 도로 맵(map)을 관리하는 업체, 웹 서비스 업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로를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Z1), 상기 정체관리 존(Z2), 상기 사고주의 존(Z3)으로 구획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의 존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존의 특성에 따라 다른 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존 마다 설치된 각각의 상기 존 감지부(10)는, 상기 존의 실시간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존 엣지(20)로 송신한다.(S1)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Z1)에서는,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감지부(11)가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Z1)에 있는 보행자의 위치와 속도,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21)로 송신한다.
상기 정체관리 존(Z2)에서는, 상기 정체관리 존 감지부(12)가 상기 정체관리 존(Z2)에 있는 차량의 위치, 속도, 방향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정체관리 존 엣지(22)로 송신한다.
상기 사고주의 존(Z3)에서는, 상기 사고주의 존 감지부(13)가 상기 사고주의 존(Z3)에 있는 차량의 위치, 속도, 방향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상기 사고주의 존 엣지(23)로 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존 별로 서로 다른 존 감지부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존의 특성에 맞는 상황들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존 엣지(20)는, 상기 존 감지부(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상황이나 돌발상황을 판단한다.(S2)
상기 존 엣지(20)는, 판단한 존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대상(50)에 제공하거나 상기 서비스 대상(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S4)
상기 존 엣지(20)는, 상기 존의 특성에 따라 상기 존의 상황에 대한 정보, 상기 서비스 대상(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다르게 송신한다.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Z1)에서는,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21)가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감지부(1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21)는,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Z1)에 있는 보행자의 위치와 속도,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분석하여,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의 상황이 위험 상황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로 위의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위치와 속도를 분석하고, 보행자의 신호등의 청색 표시 시간과 비교하여 보행자가 청색 표시 시간동안 횡단보도를 건널 수 없으면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21)는, 상기 수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의 상황이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있는 신호등(50c)의 작동 시간을 직접 제어한다. 즉,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청색 표시 시간을 연장시키는 등의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신호등(50c)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21)는,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Z1)에 있는 차량의 단말기(50f)에 보행자를 조심하라는 메시지 또는 상기 신호등(50c)의 작동시간이 연장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주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21)는,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Z1)에 있는 보행자의 단말기(50d)에 상기 신호등(50c)의 청색 표시 시간을 알리는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주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21)는, 상기 도로 위의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가 없을 경우,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의 신호등의 작동시간을 단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정체관리 존(Z2)에서는, 상기 정체관리 존 엣지(22)가 상기 정체관리 존 감지부(1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정체관리 존 엣지(22)는, 상기 정체관리 존(Z2)에 있는 차량들의 속도, 위치, 방향을 분석하고, 상기 정체관리 존(Z2)의 상황이 정체 상황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체관리 존(Z2)에 있는 차량들의 평균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이거나, 상기 정체관리 존(Z2)에 있는 차량들의 대수가 미리 설정된 대수 이상이면, 정체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체 상황은 정체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고, 정체 정도에 따라 다른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체관리 존 엣지(22)는, 상기 정체관리 존(Z2)의 상황이 정체 상황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정체관리 존(Z2)에 있는 상기 가변차로 신호기(50a)와 차량 신호등의 작동을 바꾸고, 상기 정체관리 존(Z2)에 있는 상기 전광판(50b)에 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체관리 존 엣지(22)는, 상기 정체관리 존(Z2)에 있는 차량의 단말기(50f)에 정체 여부나 정체 정도를 알리는 메시지와, 상기 가변차로 신호기(50a)와 상기 차량 신호등의 변경 사항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돌발 상황의 원인이나 상태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신호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체관리 존 엣지(22)는, 교차로 등에서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적을 경우, 신호를 대기하는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량 신호등이나 보행자용 신호등의 작동 시간을 단축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상기 사고주의 존(Z3)에서는, 상기 사고주의 존 엣지(23)가 상기 사고주의 존 감지부(13)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사고주의 존 엣지(23)는, 상기 사고주의 존(Z3)에서 발생된 사고나 돌발 상황을 분석하여, 상기 사고주의 존(Z3)의 상황이 사고 상황이나 돌발 상황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고주의 존(Z3)내의 터널이나 교량에서 사고 발생시, 사고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고주의 존 엣지(23)는, 상기 사고주의 존(Z3)의 상황이 사고 상황이나 돌발 상황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사고주의 존(Z2)에 있는 상기 차량의 단말기(50f)와 상기 전광판(50b)에 사고나 돌발 상황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주의 존 엣지(23)는, 사고가 일어난 차로를 판단하여, 상기 가변차로 신호기(50a)의 작동을 제어하여, 차로를 변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존의 상황을 각각의 존 감지부들이 실시간으로 감지하면, 상기 존에 설치된 상기 존 엣지(20)가 실시간으로 직접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각 상황에 따라 보다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도로를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존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존별로 존 엣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존의 특성에 맞게 보다 신속한 교통 정보의 제공과 시설물의 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존 엣지(20)를 이용하기 때문에, ms단위의 응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존 감지부(10)에서 감지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30)에서 송신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30)가 상기 시설물들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통신 연결 등으로 인한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복수의 존 감지부들을 관리해야하기 때문에 처리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각 존에 존 감지부와 존 엣지가 설치되어, 각 존에서 발생한 상황을 각 존에서 해결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존 엣지(20)는, 분석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로 송신한다.(S5)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복수의 존 엣지들(2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존 엣지들(20)에 각각 피드백하고, 정보를 필요로 하는 수요처(40)에 제공한다.(S6)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상기 복수의 존 엣지들(2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 상황을 발생시키는 인자, 정체 상황을 발생시키는 인자 등을 분석하고, 상기 시설물들(50)의 작동에 대한 기본 제어 신호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상기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21)가 신호등의 청색 표시 시간을 증가시키는 횟수나 정도에 따라 상기 신호등에 기본으로 설정된 청색 표시 시간의 조절 여부를 판단하고, 기본 설정 시간을 바꾸어야 한다고 판단되면 이를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21)와 상기 신호등에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상기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정체관리 존(Z2)에 설치된 신호등의 신호체계 조절 여부, 상기 가변 차로 신호기의 작동 시간 조절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정체관리 존 엣지(22)로 피드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존 감지부
20: 존 엣지
30: 클라우드 서버
40: 수요처
50: 시설물

Claims (13)

  1. 도시의 도로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한 존(zone)들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존의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존 감지부들과;
    상기 존들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존 감지부들에서 감지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존의 교통 상황과 돌발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한 존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존을 주행하는 차량의 단말기와 상기 존에 설치된 교통 시설물을 포함한 서비스 대상에 제공하고, 상기 존 상황에 따라 상기 서비스 대상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존 상황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존 엣지(edge)들을 포함하고,
    상기 존은, 노인 보호 구역, 장애인 보호 구역 및 어린이 보호 구역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된 교통약자 보호 존, 상습 정체 구역으로 설정된 정체관리 존 및 교량, 터널, 경사 구간 및 급 커브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된 사고주의 존을 포함하고,
    상기 존 감지부는 종류나 개수가 상기 존들의 특성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존 엣지는, 상기 존의 특성에 따라 상기 존의 상황에 대한 정보, 상기 서비스 대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다르게 송신하고,
    상기 존 엣지는,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설치된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 상기 정체관리 존에 설치된 정체관리 존 엣지 및 상기 사고주의 존에 설치된 사고주의 존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는, 상기 교통 정보로부터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있는 보행자의 위치와 속도,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분석하여,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의 상황이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있는 신호등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있는 차량의 단말기와 보행자의 단말기에 주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정체관리 존 엣지는, 상기 교통 정보로부터 상기 정체관리 존에 있는 차량들의 속도, 위치, 방향을 분석하여, 상기 정체관리 존의 상황이 정체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정체관리 존에 있는 가변차로 신호기, 신호등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정체관리 존에 있는 전광판과 차량의 단말기에 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사고주의 존 엣지는, 상기 교통 정보로부터 상기 사고주의 존에 있는 차량들의 위치, 속도 및 방향을 분석하여, 상기 사고주의 존에서 발생된 사고 상황이나 돌발 상황라고 판단되면, 상기 사고주의 존에 있는 가변차로 신호기, 신호등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사고주의 존에 있는 전광판과 차량의 단말기에 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대상은 종류나 개수가 상기 존들의 특성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서비스 대상은,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설치된 교통약자 존 서비스 대상과, 상기 정체관리 존에 설치된 정체관리 존 서비스 대상과, 상기 사고주의 존에 설치된 사고주의 존 서비스 대상을 포함하고,
    상기 교통약자 존 서비스 대상은, 상기 교통약자 존에 있는 상기 신호등, 상기 차량의 단말기, 상기 보행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체관리 존 서비스 대상은, 상기 정체관리 존에 있는 상기 가변차로 신호기, 상기 전광판, 상기 신호등, 및 상기 차량의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주의 존 서비스 대상은, 상기 사고주의 존에 있는 상기 전광판과 상기 차량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존 엣지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존 엣지들에 피드백하고, 수요처에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대상은,
    통신 기지국을 더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존 감지부들은,
    상기 도로 주변에 설치된 레이더, 차량 검지기(VDS), CCTV, 하이패스 설비, 기상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9. 삭제
  10. 도시의 도로를 노인 보호 구역, 장애인 보호 구역 및 어린이 보호 구역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된 교통약자 보호 존과, 상습 정체 구역으로 설정된 정체관리 존과, 교량, 터널, 경사 구간 및 급 커브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된 사고주의 존으로 구획하고, 존 마다 서로 다른 존 감지부와 존 엣지가 설치되어 상기 존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르게 관리하는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설치된 존 감지부가 보행자의 위치와 속도,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설치된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체관리 존에 설치된 존 감지부가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정체관리 존에 설치된 정체관리 존 엣지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고주의 존에 설치된 존 감지부가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사고주의 존에 설치된 사고주의 존 엣지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 엣지는, 상기 보행자의 위치와 속도, 상기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분석하고, 상기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설치된 신호등의 청색 표시 시간이 연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교통약자 보호 존에 있는 보행자의 단말기와 차량의 단말기에 주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에서 분석된 정보를 상기 도로의 교통 상황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체관리 존 엣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속도, 통행량을 분석하여 정체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정체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정체관리 존에 설치된 신호등, 가변차로 신호기, 전광판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정체관리 존에 있는 차량의 단말기로 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에서 분석된 정보를 상기 도로의 교통 상황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고주의 존 엣지는, 상기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분석하여, 상기 사고주의 존에서 사고 상황이나 돌발생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고주의 존에 설치된 전광판과 상기 사고주의 존을 주행하는 차량의 단말기에 주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에서 분석된 정보를 상기 도로의 교통 상황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서비스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수신한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존 엣지에 피드백하고, 수요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서비스 방법.
KR1020180080385A 2018-07-11 2018-07-11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44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385A KR101944048B1 (ko) 2018-07-11 2018-07-11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385A KR101944048B1 (ko) 2018-07-11 2018-07-11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048B1 true KR101944048B1 (ko) 2019-01-30

Family

ID=6527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385A KR101944048B1 (ko) 2018-07-11 2018-07-11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0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572B1 (ko) * 2020-12-03 2021-08-26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횡단보도 환경을 고려한 영상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21754B1 (ko) * 2020-08-18 2021-11-04 주식회사에스에이티 엣지 컴퓨팅 기반 영상 유고 감지 시스템
KR20220156373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C-its mec 기반의 자율주행을 위한 실시간 교통정보제공시스템
CN117437791A (zh) * 2023-12-14 2024-01-23 山东彩旺建设有限公司 智慧城市交通护栏防撞提示系统
KR20240062152A (ko) 2022-10-25 2024-05-09 주식회사 리하이 드론을 이용한 지능형 교통안전 고도화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486A (ja) * 1999-09-16 2001-03-30 Omron Corp 交通信号機制御システム
KR20090096224A (ko) * 2008-03-07 2009-09-10 조용성 구간별 교통정보 검지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10953A (ko) * 2009-07-27 2011-02-08 조용성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KR101339736B1 (ko) * 2013-07-18 2013-12-10 주식회사 에드원 교통 안전 경고 시스템
KR101595544B1 (ko) 2015-03-11 2016-03-21 한국도로공사 지능형교통시스템 영상장치의 인식 정확성 검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127959A (ko) * 2016-05-13 2017-11-22 (주)에이치브레인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486A (ja) * 1999-09-16 2001-03-30 Omron Corp 交通信号機制御システム
KR20090096224A (ko) * 2008-03-07 2009-09-10 조용성 구간별 교통정보 검지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10953A (ko) * 2009-07-27 2011-02-08 조용성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KR101339736B1 (ko) * 2013-07-18 2013-12-10 주식회사 에드원 교통 안전 경고 시스템
KR101595544B1 (ko) 2015-03-11 2016-03-21 한국도로공사 지능형교통시스템 영상장치의 인식 정확성 검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127959A (ko) * 2016-05-13 2017-11-22 (주)에이치브레인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754B1 (ko) * 2020-08-18 2021-11-04 주식회사에스에이티 엣지 컴퓨팅 기반 영상 유고 감지 시스템
KR102293572B1 (ko) * 2020-12-03 2021-08-26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횡단보도 환경을 고려한 영상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156373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C-its mec 기반의 자율주행을 위한 실시간 교통정보제공시스템
KR102541407B1 (ko) * 2021-05-18 2023-06-12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C-its mec 기반의 자율주행을 위한 실시간 교통정보제공시스템
KR20240062152A (ko) 2022-10-25 2024-05-09 주식회사 리하이 드론을 이용한 지능형 교통안전 고도화 시스템
CN117437791A (zh) * 2023-12-14 2024-01-23 山东彩旺建设有限公司 智慧城市交通护栏防撞提示系统
CN117437791B (zh) * 2023-12-14 2024-02-20 山东彩旺建设有限公司 智慧城市交通护栏防撞提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048B1 (ko)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212160931U (zh) 一种用于车路协同的etc-x系统
US10421451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EP3158549B1 (en) Adaptive traffic signal preemption
KR101399026B1 (ko) 차선 변경 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2658B1 (ko) 위험운전 경고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서버
KR20160142182A (ko) Its 현장장비 통합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its 현장장비 통합 제어 시스템
KR101362706B1 (ko) 차량의 직진 주행성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2702B1 (ko) 차선 변경 차량과 충돌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219588A (ja) 移動端末装置、交通情報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の交通情報抽出方法、移動端末装置の到着時間算出方法および交通情報処理方法
JP2020027645A (ja) サーバ、無線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車載装置
KR20140119471A (ko) 차량내 장치 기반의 위험도로구간 정보 수집 및 주의안내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9111B1 (ko) 이동 id 그룹 정보를 이용한 위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600076B2 (en) Detection of a hazardous situation in road traffic
JP2017096728A (ja) 電子機器、接続アダプタ及びプログラム
US11421999B2 (en) Route selection using correction factors indicating phase interruptible traffic signals
KR20220018780A (ko) 레이더를 이용한 보행자 도로 횡단 교통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CN113140129A (zh) 一种车辆预警方法、设备及系统
KR20210043066A (ko) 교차로 신호위반 차량 경고 장치 및 방법
JP2002049985A (ja) 渋滞監視システム
JP5354193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KR101633896B1 (ko) 돌발 상황 예보 시스템 및 방법
Ackaah et al. Quality evaluation method for variable speed limit systems: incident detection and warning potential
CN114067553A (zh) 交通状况通知系统及方法
JP2020094959A (ja) 経路探索装置、経路探索方法、及び経路探索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