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953A -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953A
KR20110010953A KR1020090068333A KR20090068333A KR20110010953A KR 20110010953 A KR20110010953 A KR 20110010953A KR 1020090068333 A KR1020090068333 A KR 1020090068333A KR 20090068333 A KR20090068333 A KR 20090068333A KR 20110010953 A KR20110010953 A KR 20110010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accident
traffic
data
information data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1693B1 (ko
Inventor
조용성
Original Assignee
조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성 filed Critical 조용성
Priority to KR1020090068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6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교통사고의 발생 위치를 신뢰성 있게 탐지하여 차량에 구비된 단말기 또는 도로가에 구비된 전광판을 통해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도로가에 설치되어 교통사고 발생정보를 계측하여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교통사고 검지장치 및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안내정보 출력기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중인 차량에 교통사고 발생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일부 구간의 교통사고 검지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전체적인 교통사고 발생정보를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안개가 발생한 도로구간, 비탈진 커브 도로구간 및 경사진 도로구간을 주행하는 운전자는 실시간으로 주행경로에 위치한 고정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시야의 미확보로 인한 추돌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NOTICE SYSTEM FOR ACCIDENTED VEHICLE AND NOTIC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통사고의 발생 위치를 신뢰성 있게 탐지하여 차량에 구비된 단말기 또는 도로가에 구비된 전광판을 통해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통사고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교통 혼잡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교통사고 발생률을 저하시키기 위해 차량에 실시간으로 교통사고 정보를 제공하여 2차 교통사고를 방지하는 지능형 교통정보 시스템(ITS :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 설치된 CCTV 및 DVR과, 상기 CCTV 및 DVR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실시간 교통사고 발생정보를 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중앙정보센터가 요구된다.
상기 중앙정보센터가 구비된 교통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로 상에 위치한 CCTV 및 DVR과 등과 같은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속도 및 교통사고 발생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한 정보를 중앙정보센터(502)로 송신하면 상기 중앙정보센터(502)는 상기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한 교통정보는 이동통신망(503)을 통해 이동통신기기 및 차량용 단말기(501)로 전송된다. 상기 이동통신기기 및 차량용 단말기(501)는 상기 교통정보를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액정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한다.
그러나 전술한 시스템은 실시간 교통사고 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해서 전 지역에서 송신되는 교통사고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전국 각 도로의 교통사고 발생정보를 안내하는 중앙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에, 상기 시스템은 대용량이고 고성능의 처리능력이 필요한 중앙서버가 필요하므로 상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고비용이 발생하고, 상기 중앙서버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전체 시스템이 마비되어 교통사고 발생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앙서버에서 전 지역의 교통사고 정보를 처리함에 따라 부하가 많이 걸리며, 개별 차량이 통과하는 지역의 인근상황에 맞추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일정 지역 단위로 중앙서버가 설치된 경우에는 중앙서버의 관할이 다른 접경 지역을 통과할 때 타 지역의 정확한 교통사고 정보를 제공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CCTV나 DVR을 이용한 감지장치는 그 구성장비가 고가이므로, 과중한 설 치비용 및 유지비 등의 부담 문제로 특정 감시 영역으로 설치가 한정된다. 이와 같이, 과도한 설치 유지비용 등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소외된 지역에서의 돌발적인 교통사고 발생 시 당사자 또는 이 지역을 지나는 사람에 의한 신고가 있어야만 해당 지역의 교통사고 발생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긴급한 상황에 대하여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8-0021225호(2008년3월7일 공개)에는 특정 지역의 교통상황, 돌발적 사고, 산불, 재난사고나 특정 지역들의 현황 등을 감시하여 지역별로 분류하여 이용자에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지리적 감시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 지리적 감시시스템은 각 구역의 사고정보를 감지장치로 계측한 후 상기 사고정보를 모두 중앙관제센터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가 이를 분석하여 개별 이용자에게 분석된 사고정보를 각각 전송하므로, 상기 중앙관제센터가 고장날 경우에는 개별 이용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레이저 분석, 이미지 프로세싱, 음향 패턴 분석을 이용하여 비탈진 커브 도로구간 및 경사진 도로구간의 소음 및 영상을 탐지 하고, 그 탐지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교통사고 발생 위치를 신뢰성 있게 분석한 후 이를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2차적인 추돌사고를 예방하는 교통사고 안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로가에 설치되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음향정보 데이터, 영상정보 데이터, 위치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데이터를 계측하고, 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교통사고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고, 상기 교통사고 데이터 및 위치정보 데이터로 사고발생 차량과 주행 중인 차량의 차간거리를 분석하여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속도 및 주행경로의 제어를 요청하는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교통사고 검지장치; 및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로부터 안내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출력하여 상기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안내정보 출력기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ⅰ) 교통사고 검지장치가 자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음향정보 데이터, 영상정보 데이터, 위치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데이터를 계측하고, 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ⅱ)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가 인접한 교통사 고 검지장치에 요청하여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ⅲ) 자 구간의 위치정보 데이터 및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속도의 제어를 요청하는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ⅳ)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가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를 상기 안내정보 출력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ⅴ) 상기 안내정보 출력기가 안내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안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중인 차량에 교통사고 발생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일부 구간의 교통사고 검지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전체적인 교통사고 발생정보를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교통사고 발생정보를 관리하는 중앙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시스템의 설치비용이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안개가 발생한 도로구간, 비탈진 커브 도로구간 및 경사진 도로구간을 주행하는 운전자는 실시간으로 주행경로에 위치한 고정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시야의 미확보로 인한 추돌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중앙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주체가 변경되는, 예를 들면, 행정구역의 접경지역에서도 중앙서버의 관리주체가 변경됨으로 해서 발생되는 문제(필요한 교통사고 정보의 원활하지 못한 제공 등)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교통사고 발생정보를 제공하여 2차적인 교통사고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도로 상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레이저 분석, 이미지 프로세싱, 음향 패턴 분석의 3중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도로상의 음향 및 영상을 탐지하여 교통사고 발생 위치를 신뢰성 있게 분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 및 안내정보 출력기(1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차량탑재기(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를 포함한다.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는 도로에 설치되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음향정보 데이터, 영상정보 데이터, 위치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데이터를 계측하고, 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는 생성된 교통사고 데이터를 상호간에 송수신하고, 교통사고 데이터의 사고발생 차량과 주행 차량의 차간거리를 분석하여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의 제어를 요청하는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는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한 교통사고 발생정보를 상기 안내정보 출력기(10)로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는 도로가에 설치되어 해당 구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를 감지하여 상기 교통사고와 관련한 자(自) 구간의 제 1 교통정보 데이터를 계측하고, 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교통사고 데이터를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여기서, 교통사고 데이터에는 교통사고의 발생여부, 사고발생 차량에 대한 정보, 사고발생 차량의 위치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는 전송받은 타(他)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와 상기 제 1 교통정보 데이터를 통합분석하여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속도 및 주행경로의 제어를 요청하는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는 생성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안내정보 출력기(10)로 송신한다.
즉, 제 3 교통사고 검지장치(106)는 음향정보 데이터, 영상정보 데이터, 위치정보 데이터가 포함된 교통정보 데이터를 계측하고, 이를 분석하여 자 구간을 통과하는 차량들에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교통사고 데이터를 생성하며, 인접한 제 2 교통사고 검지장치(104) 및 제 1 교통사고 검지장치(102)에 상기 교통 사고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제 2 교통사고 검지장치(104) 및 제 1 교통사고 검지장치(102)는 상기 제 3 교통사고 검지장치(106)로부터 수신된 교통사고 데이터와 자 구간에서 계측된 교통정보 데이터로 사고발생 차량과 주행 중인 차량의 차간거리를 분석한다. 또한,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는 분석된 교통사고 데이터를 저장하여 일정기간 동안 차량의 교통사고 발생량, 차량의 평균속도, 일일 통행 차량 수 등에 대한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제 3 교통사고 검지장치(106)는 교통정보 데이터를 계측하고, 이를 분석하여 자 구간을 통과하는 차량들에 교통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교통사고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교통사고 검지장치(102)는 상기 제 3 교통사고 검지장치(106)에서 계측된 교통정보 데이터를 제 2 교통사고 검지장치(104)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제 4 교통사고 검지장치(미도시)에서 계측된 교통정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제 3 교통사고 검지장치(106) 및 제 2 교통사고 검지장치(104)를 통하여 제공받는다.
다만, 제 1 교통사고 검지장치(102)와 제 3 교통사고 검지장치(106) 사이에 설치된 제 2 교통사고 검지장치(104)가 원활히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제 3 교통사고 검지장치(106)와 제 1 교통사고 검지장치(102)는 분석된 교통사고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한다.
즉,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 간의 송수신은 1차적으로, 인접하는 교통사고 검지장치(예를 들면, 102 <-> 104, 104 <-> 106)사이에 이루어지지만, 인접하는 교 통사고 검지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여 역할을 할 수 없는 경우, 이상이 발생한 교통사고 검지장치를 건너뛰어 송수신 하도록(예를 들어, 도면 부호 104로 표시된 교통사고 검지장치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102 <-> 106 상이에 송수신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교통사고 검지장치(102)는 해당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접한 제 2, 제 3, 제 4 , 및 제 n 교통사고 검지장치(104, 106)로부터 해당 교통사고 검지장치(104, 106)가 설치된 도로 주변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제 1 교통사고 검지장치(102)가 계측한 제 1 교통정보 데이터와 함께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한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는 해당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로부터 계측된 교통정보 데이터 및 교통사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 구간의 사고발생 차량과 자 구간의 주행 차량과의 차간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교통사고 검지장치에 의해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속도 및 주행경로의 제어를 요청하도록 생성된 주행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제 3 교통사고 검지장치(106)가 설치된 도로에서 제 1 차로에 사고발생 차량(40)이 정차되어 있고, 제 2 교통사고 검지장치(104)가 설치된 도로에서 제 1 차로로 주행하는 후행 차량(30)이 70㎞/h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두 차량의 차간거리가 약 100m가 되면, 제 2 교통사고 검지장치(104)는 안내정보 출력기(10)를 통해 상기 후행 차량(30)의 운전자에게 후행 차량(30)의 속도와 상기 차간거리를 고지하고, 운전자에게 차량을 저속으로 주행하는 동시에 주행차로 를 2차로 또는 3차로로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정보 검침부(110), 송수신부(120), 중앙처리장치(130)를 포함하며, 서로 일정 간격,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초정보 검침부(110)는 차량의 교통사고와 관련한 자 구간의 제 1 교통정보 데이터를 계측하는 것으로서, 자 구간의 감시영역을 통과하는 차량의 음향 패턴을 계측하는 하나 이상의 음향센서(112)와, 자 구간의 감시영역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검지기(114), 및 자 구간의 감시영역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위치를 계측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형 검지기(116)를 포함하며, 해당 교통사고 검지장치(100)가 설치된 도로 주변의 교통량을 계측하는 교통상황 계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초정보 검침부(110)는 자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 및 위치를 계측하여 일정 시간 이후에 차량이 도달할 도로의 위치를 산출하고, 추후 도달할 도로의 교통사고 정보를 분석하여 일정 시간 이후에 도달할 도로에 대한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향센서(112)는 도로 상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음향을 계측하는 마이크로폰(미도시), 및 미리 결정된 음향 패턴의 발생을 탐지하도록 설계되며, 미리 결정된 음향 패턴의 발생이 탐지되면 각 마이크로폰의 위치와 탐지 시간에 관한 정보와 함께, 탐지된 음향 패턴을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송신하도록 설계되는 음향 처리회로(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음향센서(112)는 하나의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가 구비된 도로구간에 4 내지 12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로의 넓이에 따라 설치되는 수량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그 설치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충돌하면 특징적인 소리를 가진 음향이 생성되고, 이러한 음향은 일상적인 교통 흐름의 잡음과는 쉽게 구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상 제동을 필사적으로 시도하려는 차바퀴가 멈춘 자동차의 날카로운 잡음은 일상적인 교통 잡음과는 쉽게 구분될 수 있다. 아울러, 에어 백(air bag)의 폭발음도 특징적인 소리를 가진 음향을 만들어내고, 이는 일상적인 교통 잡음과는 쉽게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유리가 깨지는 음향도 쉽게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로에 하나 이상 구비된 음향센서(112)는 마이크로폰으로 계측되는 음향 패턴을 분석하여 감시영역을 통과하는 차량들에 교통사고가 일어나는지를 탐지할 수 있다.
상기 음향센서(112)는 미리 결정된 음향 패턴, 예를 들어 30초 동안의 주위 음향을 저장하기 위한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교통사고가 발생되면 분석을 위해 교통사고 직전의 일정기간 음향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음향센서(112)의 음향 처리회로는 차량과 차량의 충돌에 의해 생긴 음향의 패턴을 인지하여 "충돌"이라는 교통사고가 일어났음을 결정한다.
상기 음향 처리회로는 충돌(또는 다른 사고)이 일어남을 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교통사고의 발생을 중앙처리장치(130)에 통지하도록 프로그래밍이 된다.
상기 음향센서(112)는 차량들의 충돌 장소에 가까울수록, 더 멀리 떨어진 음향센서(112)보다 일찍 특정 음향 패턴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음향센서(112)로부터 송신되는 음향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각 음향센서(112), 예컨대 마이크로폰의 위치 및 음향패턴의 탐지 시간에 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중앙처리장치(130)는 교통사고의 정확한 발생시간과 위치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영상검지기(114)는 계측하여 확인된 이미지의 형태나 형상 등을 기초로 하여 해당 이미지가 나타내는 상황이나 물건을 판단해 낼 수 있는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 기술이 적용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영상검지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검지기(114)는 차량의 제조사, 모델, 색상, 번호판 및 환경내의 물리적 위치의 영상을 포착하도록 위치되어진다. 또한, 영상검지기(114)로 입력된 영상정보 데이터는 송수신부(120)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30)로 송신된다.
상기 공간형 검지기(116)는 감시영역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위치를 계측할 수 있도록 레이저 또는 초음파, 바람직하게는 레이저를 이용한 공간형 검지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공간형 검지기(116)는 도로를 따라 서로 일정간격으로 위치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위치를 계측하여 위치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공간형 검지기(116)에 의해 생성된 위치정보 데이터는 송수신부(120)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30)로 송신된다.
상기 송수신부(120)는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른 인접한 교통사고 검지장치(104, 106)로 요청하여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안내정보 출력기(10)로 안내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30)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한 안내정보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주기적으로 상기 안내정보 출력기(10)로 송신한다.
상기 송수신부(120)는 자 구간의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예컨대 음향센서(112), 영상검지기(114), 공간형 검지기(116)로부터 송신된 음향정보 데이터, 영상정보 데이터, 위치정보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중앙처리장치(13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안내정보 출력기(10)와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0)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모듈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HSDPA는 W-CDMA를 확장한 고속하향패킷접속 방식을 의미한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W-CDMA보다 5배 이상 빠른 속도로 통신할 수 있으며, 다운링크 속도는 최대 14.4Mbps이다. 아울러, HSDPA 시스템은 기지국에 대한 별도의 투자 없이 W-CDMA 시스템을 개량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30)는 수신된 음향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음향센서(112)를 통해 입력된 음향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교통사고 발생위치 및 교통사고 발생시간을 분석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30)는 수신된 영상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지된 차량 및 물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교통사고 발생위치 및 도로주행 방해물의 존재유무를 분석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30)는 수신된 위치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도로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 할 뿐만 아니라 한 위치에 고정된 차량 및 물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고발생 차량과 주행 차량의 차간거리를 분석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30)는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와 자 구간의 제 1 교통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송수신부(120)를 통해 안내정보 출력기(10)로 송신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30)는 기초정보 검침부(110)로 계측된 음향정보 데이터, 영상정보 데이터, 위치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교통정보 데이터를 취합하여 자 구간에서의 교통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자 구간에 교통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교통사고 데이터를 생성하며, 교통사고가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교통사고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중앙처리장치(130)는 기초정보 검침부(110)로 계측된 차량의 교통정보 데이터 중 음향정보 데이터가 계측되지 않아도 영상정보 데이터와 위치정보 데이터로 미동이 없는 물체가 인지되면 교통사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도로 상에 정차된 차량, 야생동물의 사체, 또는 운송도중 낙하된 건설자제 등으로 인한 주행 차량의 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즉, 중앙처리장치(130)는 자 구간의 교통정보 데이터 및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 구간의 주행 차량이 일정 시간 이후에 사고발생 차량 또는 미동이 없는 물체와 충돌하지 않도록 주행 차량의 주행속도 및 주행경로를 지시하는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은 음향정보 데이터, 영상정보 데이터, 위치정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정보를 바탕 으로 교통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모두를 취합하여 교통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므로,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안내정보 데이터에 오차가 발생될 가능성이 저하됨으로써, 상기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은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교통정보 감지장치(102, 104, 10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정보 검침부(110), 송수신부(120), 중앙처리장치(130)에 메모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30)는 제어부(132) 및 분석부(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송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초정보 검침부(110)로부터 수집된 자 구간의 제 1 교통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교통사고 데이터와 제 1 교통정보 데이터로 분석부(134)를 통해 생성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분석부(134)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 및 자 구간의 제 1 교통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한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132)는 송수신부(120)로 수신된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와 기초정보 검침부(110)로부터 계측된 자 구간의 제 1 기초정보 데이터를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부(134)에 제공하며, 상기 분석부(134)로부터 도출된 해당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한 교통사고 데이터를 보고 주기에 따라 송수신부(120)를 통해 안내정보 출력기(10)로 송신한다.
아울러,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는 생성된 교통정보 데이터를 상기 안내정보 출력기(10) 이외에 해당 지역의 전광판(VMS), 전화망, 방송망 등으로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은 안내정보 출력기(10)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정보 출력기(10)는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0)로부터 안내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출력하여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교통사고 검지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2)와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를 영상디스플레이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출력부(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안내정보 출력기(10)로는 전술한 목적을 충족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단말기(10') 또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가에 설치된 전광판(VMS, 10")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단말기(10')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와 1:1 무선 통신 관계를 형성하여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2, 104, 106)로부터 송신되는 안내정보 데이터를 수신받고, 이를 영상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영상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단말기(10')로는 비접촉식 통신, 바람직하게는 ISO14443규격으로의 비접촉식 통신이 가능한 IC 카드가 장착된 휴대폰, PDA, 스마트 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는 배터리 팩에 13.56 MHz RF 안테나를 내장하고 있으며, IC 카드에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인증키, ID 등의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은 차량탑재기(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가에 설치된 임의의 교통사고 검지장치(100)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차량탑재기(20)와 통신을 통해 교통사고 검지장치(100)의 자 구간의 감시영역을 통과하는 차량의 식별정보를 계측할 수 있다. 즉, 교통사고 검지장치(100)가 비접촉식 통신이 가능하며, 개인 식별정보가 저장된 차량탑재기(20)에 상기 차량탑재기(20)가 구비된 차량의 식별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차량탑재기(20)는 저장된 인증키, ID 등의 식별정보를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0)로 송신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통사고 검지장치(102)가 자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제 1 교통정보 데이터를 계측하고,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2)에 인접한 교통사고 검지장치(104, 106)에 요청하여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그 다음, 교통사고 검지장치(102)는 입력된 제 1 교통정보 데이터의 위치정보 데이터와 교통사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 제어를 요청하는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안내정보 출력기(10)로 송신한다.
그 다음, 안내정보 출력기(10)는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선두 차량(30)의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단계는 교통사고 검지장치(102)가 자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음향정보, 영상정보,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계측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교통사고 검지장치(102)가 자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교통정보 데이터를 계측하고, 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교통정보는 차량의 속도정보 및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식별정보는 기초정보 검침부(110)인 영상검지기(114)를 통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계측하거나, 차량의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차량탑재기(20)를 이용하여 계측한다. 여기서, 차량탑재기(20)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0)와 비접촉식 통신이 가능하며 개인 식별정보가 저장된 것으로, 교통사고 검지장치(100)로부터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식별정보의 제공을 요청받으면, 상기 차량탑재기(20)에 저장된 인증키, ID 등의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교통사고 검지장치(100)로 송신한다.
두 번째 단계는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2)가 인접한 교통사고 검지장 치(104, 106)에 요청하여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로서, 교통사고 검지장치(102)가 송수신부(120)를 통해 인접한 제 2 교통사고 검지장치(104) 및 제 3 교통사고 검지장치(106)에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제 2 교통사고 검지장치(104) 및 제 3 교통사고 검지장치(106)가 교통사고 데이터를 송수신부(120)를 통해 송신하면, 이를 제 1 교통사고 검지장치(102)의 송수신부(120)를 통해 수신 받는다.
세 번째 단계는 수집된 자 구간의 위치정보 데이터 및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 제어를 요청하는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제 1 교통사고 검지장치(102)를 통해 계측한 제 1 교통정보 데이터 중 위치정보 데이터와 제 2 및 제 3 교통사고 검지장치(104, 106)를 통해 전송받은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30), 예컨대 분석부(134)를 통해 분석하여, 사고발생 차량과 주행 차량의 차간거리가 소정거리로 가까워져 충돌 가능성이 예상되면, 상기 주행 차량(30)의 운전자에게 주행속도 및 주행경로의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포함한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네 번째 단계는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2)가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를 상기 안내정보 출력기(10)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30), 예컨대 분석부(140)를 통해 생성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송수신부(120)를 통해 상기 안내정보 출력기(10)의 수신부(12)로 송신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2)는 중앙처리장치(130)를 통 해 생성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송수신부(120)를 통해 선행 차량(30)의 내부에 구비된 단말기(10'), 예컨대 단말기의 수신부(12)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0')는 그 수신부(12)로 수신된 안내정보 데이터에 전술한 강력한 인지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차량의 핸들이 떨리도록 차량의 핸들에 신호를 전달하는 등의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인지신호를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운전자에게 상기 인지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으로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어떠한 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2)는 중앙처리장치(130)를 통해 생성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송수신부(120)를 통해 전광판(10"), 예컨대 단말기의 수신부(12)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광판(10")은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2)로부터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도로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차량(30)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교통사고 검지장치(102)와 전광판(10")이 구비된 도로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102)로부터 전송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전광판(10")을 통해 확인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두 번째 단계와 세 번째 단계 사이에는 자 구간의 제 1 교통정보 데이터 및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섯 번째 단계는 상기 안내정보 출력기(10)가 안내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로서, 상기 송수신부(120)를 통해 송신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안내정보 출력기(10)의 수신부(12)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출력부(14), 바람직하게는 영상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운전자에게 영상 또는 음향으로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사고 검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내정보 출력기 10' : 단말기
10" : 전광판 20 : 차량탑재기
12 : 수신부 14 : 출력부
100 : 교통사고 검지장치 102 : 제 1 교통사고 검지장치
104 : 제 2 교통사고 검지장치 106 : 제 3 교통사고 검지장치
110 : 기초정보 검침부 112 : 음향센서
114 : 영상검지기 116 : 공간형 검지기
120 : 송수신부 130 : 중앙처리장치
132 : 제어부 134 : 분석부
140 : 메모리부

Claims (9)

  1. 도로가에 설치되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음향정보 데이터, 영상정보 데이터, 위치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데이터를 계측하고, 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교통사고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고, 상기 교통사고 데이터 및 위치정보 데이터로 사고발생 차량과 주행 중인 차량의 차간거리를 분석하여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속도 및 주행경로의 제어를 요청하는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교통사고 검지장치; 및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로부터 안내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출력하여 상기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안내정보 출력기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교통사고 안내시스템은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와 비접촉식 통신이 가능하며, 개인 식별정보가 저장된 차량탑재기를 더 포함하는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정보 출력기가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단말기이거나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가에 설치된 전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는
    사고발생 차량과 주행 차량과의 차간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주행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가
    자 구간의 교통정보 데이터를 계측하는 기초정보 검침부;
    인접한 교통사고 검지장치로부터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수신받는 송수신부; 및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의 위치정보 데이터 및 상기 교통사고 데이터 를 분석하여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안내정보 출력기로 송신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정보 검침부는
    감시영역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음향 패턴을 계측하는 하나 이상의 음향센서;
    감시영역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영상을 촬영하여 이미지 프로세싱하는 영상검지기;
    감시영역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위치를 계측하는 공간형 검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센서는
    도로 상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음향을 계측하는 마이크로폰, 및
    미리 결정된 음향 패턴의 발생을 탐지하도록 설계되며, 미리 결정된 음향 패턴의 발생이 탐지되면 각 마이크로폰의 위치와 탐지 시간에 관한 정보와 함께, 탐지된 음향 패턴을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송신하도록 설계되는 음향 처리회로를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가 곡선 도로 및 경사진 도로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9. (ⅰ) 교통사고 검지장치가 자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음향정보 데이터, 영상정보 데이터, 위치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데이터를 계측하고, 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ⅱ)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가 인접한 교통사고 검지장치에 요청하여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ⅲ) 자 구간의 위치정보 데이터 및 타 구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속도의 제어를 요청하는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ⅳ) 상기 교통사고 검지장치가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를 상기 안내정보 출력 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ⅴ) 상기 안내정보 출력기가 안내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안내방법.
KR1020090068333A 2009-07-27 2009-07-27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KR101131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333A KR101131693B1 (ko) 2009-07-27 2009-07-27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333A KR101131693B1 (ko) 2009-07-27 2009-07-27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953A true KR20110010953A (ko) 2011-02-08
KR101131693B1 KR101131693B1 (ko) 2012-03-28

Family

ID=4377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333A KR101131693B1 (ko) 2009-07-27 2009-07-27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69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171B1 (ko) * 2012-10-19 2014-09-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도로 간 통신방식을 이용한 교통정보 및 교통위급상황정보 전파 시스템 및 장치
US9045357B2 (en) 2012-01-06 2015-06-02 AquaMost, Inc. System for reducing contaminants from a photoelectrocatalytic oxidization apparatus through polarity reversal and method of operation
KR20150093135A (ko) * 2015-07-27 2015-08-17 신민철 주변 상황 적응형 고속도로 경보 시스템
KR101944048B1 (ko) * 2018-07-11 2019-01-30 메타빌드(주)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8253A (ko) * 2017-10-31 2019-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저속주행 차량의 주행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032654B1 (ko) * 2018-07-10 2019-10-15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교통사고 예보 시스템
KR102033858B1 (ko) * 2018-07-10 2019-10-17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교통사고 예보 시스템
KR102045222B1 (ko) * 2019-03-05 2019-12-02 사단법인 꿈드래장애인협회 데이터 융합을 통한 돌발상황 감시 제어 시스템
CN112542047A (zh) * 2020-12-07 2021-03-23 东南大学 一种快速道路交通事故应急诱导分流判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2207B2 (ja) * 2000-07-31 2006-10-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提供方法及び分散処理システムを構成する路側機器
KR20030080842A (ko) * 2002-04-11 2003-10-17 봉오전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과속 및 도로상태 표시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5357B2 (en) 2012-01-06 2015-06-02 AquaMost, Inc. System for reducing contaminants from a photoelectrocatalytic oxidization apparatus through polarity reversal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439171B1 (ko) * 2012-10-19 2014-09-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도로 간 통신방식을 이용한 교통정보 및 교통위급상황정보 전파 시스템 및 장치
KR20150093135A (ko) * 2015-07-27 2015-08-17 신민철 주변 상황 적응형 고속도로 경보 시스템
KR20190048253A (ko) * 2017-10-31 2019-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저속주행 차량의 주행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032654B1 (ko) * 2018-07-10 2019-10-15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교통사고 예보 시스템
KR102033858B1 (ko) * 2018-07-10 2019-10-17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교통사고 예보 시스템
KR101944048B1 (ko) * 2018-07-11 2019-01-30 메타빌드(주) 지능형 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45222B1 (ko) * 2019-03-05 2019-12-02 사단법인 꿈드래장애인협회 데이터 융합을 통한 돌발상황 감시 제어 시스템
CN112542047A (zh) * 2020-12-07 2021-03-23 东南大学 一种快速道路交通事故应急诱导分流判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693B1 (ko)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693B1 (ko) 교통사고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US8576069B2 (en) Mobile sensing for road safety, traffic management, and road maintenance
US7324893B2 (en) Traffic management system
US8265987B2 (en) Road-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N204087491U (zh) 信息采集系统、服务器、信息发布系统和车载终端
KR101060460B1 (ko) 교통류의 차량군집현상을 예방하는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9391B1 (ko)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705888B1 (ko) 차량감지장치 및 단거리 전용 통신을 이용한 차량 과속 및 졸음 운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CN109637137A (zh) 基于车路协同的交通管理系统
CA2567045A1 (en) Licensed driver detection for high occupancy toll lane qualification
KR101078776B1 (ko) 지능형 택시 정보 시스템
KR20120068292A (ko)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297324B1 (ko) 차량 검지기(vds)를 이용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
KR20130068159A (ko) 보행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교통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JP4286074B2 (ja) 空間情報配信装置
US20180374278A1 (en) Payment terminal, management system of a product and/or associated ser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the corresponding data
CN112967513A (zh) 一种快速公交优先通过控制系统
KR20160054921A (ko) 수신신호강도지수를 이용한 구간 검지기 및 이를 구비한 통행시간 산출 시스템과 방법
KR101436953B1 (ko) Dsrc를 이용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
US202102875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isk information by using mobile id group information
KR101945179B1 (ko) 위험 교통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2848B1 (ko) 가드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JP4311647B2 (ja) 管理装置及び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109169A (ja) 道路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6031421A (ja) 情報収集装置及び情報収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