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334A - 씰링 장치 - Google Patents

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334A
KR20170072334A KR1020177014394A KR20177014394A KR20170072334A KR 20170072334 A KR20170072334 A KR 20170072334A KR 1020177014394 A KR1020177014394 A KR 1020177014394A KR 20177014394 A KR20177014394 A KR 20177014394A KR 20170072334 A KR20170072334 A KR 20170072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ling
force transmission
transmission rod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딘테어
Original Assignee
플래닛 지디제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래닛 지디제트 아게 filed Critical 플래닛 지디제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072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6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used as a seal between the floor and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링 장치는 하우징 레일(1), 작동 기구 및 작동 기구에 의해서 하우징 레일(1)과 상대 운동을 할 수 있고 하우징 레일(1)에 지지되는 씰링 스트립을 포함한다. 씰링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씰링 스트립은 씰링 장치의 길이방향 축(L)의 양쪽 방향으로 말단면을 실링한다. 상기 씰은 휘몰아 치는 비 그리고 홍수로 인한 물에 견딜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씰링 장치{SEALING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롭-다운 씰에 관한 것이다.
도어 씰은 일반적으로 차광을 하거나 또는 방음을 보장하기 위한 영역에 사용된다. 하강 가능한 도어 씰은 보통 하부로 개방된 형태의 하우징, U-자형 프로파일 레일, 씰링 요소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하우징과 상대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씰링 스트립 및 씰링 스트립을 하강 및 상승 시키기 위한 하강 기구로 이루어진다. 씰링 스트립은 길이방향의 힘이 작동 로드에 작용하고 기계적 하강 기구를 스프링력과 반대로 작동하도록 하여 도어가 폐쇄될 때 보통 자동으로 하강한다. 그러한 도어 씰은 유럽특허 제EP 0 338 974호, 독일특허 제DE 195 16 530호, 유럽특허 제EP 0 509 961호 및 유럽특허 제EP 2 085 559호의 에에서 설명되었다.
다른 형태의 하강 기구는 호주특허 제AU 2007/237192호 및 호주특허 제AU 2012/00490호의 예에서 설명되었다. 호주특허 제AU 2012/12100488호에서, 전체 씰은 덮개판에 의해서 말단측에서 폐쇄되고, 단지 작동 버튼만이 돌출한다.
또한, 드롭-다운 씰은 빌딩의 외부와 내부를 분리하는 도어나 창문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씰의 필요조건은 특히 수분에 대한 보호까지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엄격하다. 휘몰아 치는 비, 즉 바람에 의해 수직 하강 방향에서 벗어난 비, 그리고 축적된 물, 즉 창문 또는 도어의 정면에 위치한 지면에 고여서 씰을 가압하는 물은 특별한 도전이 필요한 과제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드롭-다운 씰로 형성될 수 있는 향상된 씰 장치를 창작하기 위함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성을 가진 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는 하우징 레일, 작동 기구 및 작동 기구에 의해서 하우징 레일과 상대 운동을 할 수 있고, 하우징 레일에 지지되는 씰링 스트립을 가지고, 그 결과 씰링 스트립은 특히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씰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씰링 스트립은 씰 장치의 길이방향 축의 양쪽 방향으로 말단측 씰링을 제공한다.
씰 장치는 바닥측 씰링을 보장하기 위하여 문짝 또는 여닫이창밑의 바닥에 배열된 씰 요소, 예를 들어 씰링 쿠션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씰 장치 자체가 바닥에 대하여 씰링을 제공하는 씰링 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씰을 통하여, 씰링 작용은 향상된다.
만일 씰 장치가 바닥측 씰링과 함께 사용된다면, 휘몰아 치는 비와 홍수로 인한 물에 대항하여 보호될 수 있다.
만일 측면 씰에 의해 보완된 드롭-다운 씰이 기반이 된다면, 최적의 결과를 얻을수 있고, 씰은 도어 또는 창문의 다양한 설계를 거의 제한하지 않도록 작고 가느다랗게 형성될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씰 장치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씰 장치는 자동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씰 장치는 기계적으로 촉발되는 기구, 특히 동시에 외측으로 변위되면서 하강할수 있는 기구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씰링 스트립의 일부가 말단측 씰링을 제공하기 위하여 길이방향 축의 양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일부는 씰링 프로파일을 지지하는 지지 레일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일부는 씰 프로파일을 가압하는 압력판일 수도 있다.
만일 말단측 씰링과 바닥측 씰링이 동일한 씰 프로파일로 수행된다면, 부품의 수와 제작 단가가 최소화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씰링 스트립은 하나의 조각 또는 다수 조각으로 구성된 지지 레일 또는 지지 수단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레일은 씰링 스트립이 말단측 씰링을 제공하도록 씰 장치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레일은 자신의 말단측들중 적어도 하나에, 바람직하게는 양쪽 말단측에, 조절 가능한 압력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씰링 스트립이 외측으로 이동 및 하강된 상태에서, 지지 레일은 양쪽 말단측의 하우징 레일의 뒷편으로 돌출되되, 하우징 레일의 상승 상태에서는 말단측의 뒷편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미사용시, 즉 문짝이 개방된 경우, 지지레일은 돌출되지 않아 지장을 주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문짝의 ??쇄시 또는 하강시, 지지 레일은 외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레일은 측면 씰 없이 또는 측면 씰이 지지레일에 의해 증가함 없이 양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별개의 발명이고, 이를 위한 보호가 이로써 동일하게 요구된다. 지지 레일의 이동은 씰이 하강하는 동안 또는 그 이전에 발생할 수 있다. 지지 레일은 자동으로 하강하는 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브러쉬 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지지 레일은 하우징 레일이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돌출될 수 있고, 또는 심지어 돌출되지 않는 짧은 치수를 가질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예를 들어 설계상 이유로 필요할 수도 있다.
지지 레일의 외측 이동은 반대측 이동, 즉 일 방향으로 촉발 로드에 작용되는 힘이 반대 방향을 따라 지지 레일의 이동으로 변환됨으로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힘 전달은 슬라이드 또는 씰의 길이방향으로 변위되는 힘 전달 로드 또는 판을 사용하여 배타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일측 촉발이 제공되면, 반대 방향으로의 힘 전달은 반전 요소, 예를 들어 피봇팅 요소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동일 방향으로의 힘 전달과 바람직하게는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레일은 적어도 길이방향 축을 따라 간격을 두고 앞뒤로 배열되는 제1 및 제2 지지-레일부들을 가지며, 그 간격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 기구는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힘 전달 로드, 피봇팅 요소 및 변위 요소를 가진다. 힘 전달 로드는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고, 씰링 스트립의 이동을 야기한다. 피봇팅 요소는 힘 전달 로드가 길이방향으로 변위하는 동안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피봇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변위 요소는 선회하는 피봇팅 요소에 의해 힘 전달 로드의 변위에 반대방향으로 그리고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다. 변위 요소가 제1 지지-레일부를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힘 전달 로드가 제1 지지-레일부의 반대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제2 지지-레일부를 변위 시키도록, 제1 지지-레일부는 변위 요소에 연결되고, 제2 지지-레일부는 힘 전달 로드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것은 작동 기구의 일측 활성화이다.
기존 수단들은 피봇팅 요소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예를 들어, 레버 또는 기어 휠이 바람직하다.
피봇팅 요소가 레버인 경우, 힘 전달 로드와 변위 요소는 각각 가이드 캠을 가지고, 여기서 상기 가이드 캠은 각각 레버와 맞물려서 변위 요소 또는 힘 전달 로드의 이동에 따라 레버를 이동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피봇팅 요소가 기어 휠인 경우, 힘 전달 로드와 변위 요소는 각각 랙을 가지고, 여기서 상기 랙은 각각 기어 휠과 맞물려 변위 요소 또는 힘 전달 로드의 이동에 따라 기어 휠을 이동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양측 활성화가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작동 기구는 길이방향으로 변위될 수 잇는 제1 힘 전달 로드와 길이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제2 힘 전달 로드를 가지되, 상기 두개의 힘 전달 로드들은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고, 씰링 스트립의 이동을 야기한다. 제2 힘 전달 로드는 자신의 변위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제1 지지-레일부를 변위시키고, 제1 힘 전달 로드는 자신의 변위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제1 지지-레일부의 반대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제2 지지-레일부를 변위시키도록, 제1 지지-레일부는 제2 힘 전달 로드에 연결되고, 제2 지지-레일부는 제1 힘 전달 로드에 연결된다. 이 경우, 반전 요소 또는 피봇팅 요소는 필요하지 않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양측 활성화가 동일하게 제공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레일부들의 변위 방향은 각각의 힘 전달 로드들의 변위 방향과 반대 방향이다. 따라서, 힘 전달은 십자형으로 발생하고, 반전 요소가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반전 요소들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피봇팅 요소를 통해, 제1 지지-레일부는 제1 힘 전달 로드에 연결되고, 제2 지지-레일부는 제2 힘 전달 로드에 연결된다. 제1 힘 전달 로드는 제1 지지-레일부를 변위시키고, 제2 힘 전달 로드는 제2 지지-레일부를 변위시킨다.
상기 설명한 작동 기구의 세가지 변형된 형태 모두에서, 씰링 스트립의 수평 또는 측면 변위를 야기하는 구동은 하강 기구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결합은 매우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는 공간 절약적이고, 튼튼하며 비용 효율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개의 지지-레일부들을 수평방향으로, 즉 길이방향 축을 따라 가능한한 멀리 변위 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제1 및 제2 지지-레일부들은 각각 상호 인접한 말단측에 가이드 요소를 가지되, 여기서 상기 가이드 요소들은 서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축에 배타적으로 평행한 인접한 지지-레일부들이 상대 운동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씰 장치는 드롭-다운 씰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씰링 스트립은 씰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가로방향으로 하강 및 상승될 수 있다. 씰링 스트립은 씰링 스트립을 하우징 레일에 체결하기 위한 지지 레일과 지지 레일에 지지되는 씰 프로파일을 가짐으로서, 씰링 스트립의 하강 상태에서 문짝 또는 여닫이창과 바닥사이의 틈을 씰링한다.
바람직하게는, 씰 장치는 자동으로 하강 및 상승하는 씰이다. 바람직하게는, 씰 장치는 기계적으로 촉발된다.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은 하강 상태에서 하부 및 양쪽 말단측에 씰링을 동시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씰 장치의 부품의 수가 최소화 되고 생산 비용도 최소화 된다.
씰 프로파일은 탄성 중합체 또는 고무-탄성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고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씰링 스트립은 작동 기구, 즉 드롭-다운 씰의 하강 기구에 의해 하강 및 상승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씰의 요소들의 수는 결국 최소화되고, 씰은 비교적 좁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지지-레일부는 자신만의 분리된 씰-프로파일부를 가진다. 그러나, 씰 프로파일은 하나의 긴 조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두개의 지지-레일부들에 의해 공동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개의 지지-레일부들사이의 씰링 라인이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씰이 최적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말단측에, 바람직하게는 양쪽 말단측에, 방수되도록 폐쇄하여 형성되고, 적어도 자신의 높이의 반이 넘도록, 바람직하게는 대략 자신의 전체 높이를 넘도록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어떠한 물도 침투되지 않고 씰 프로파일의 형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수분에 의한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씰 프로파일에 배출 개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물은 씰 프로파일속으로 관통하여 밖으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은 하나의 긴 조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두개의 지지-레일부들에 의해 공동으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변위 요소 또는 제2 힘 전달 로드는 제1 지지-레일부를 하강시키고 외측으로 변위시키되, 힘 전달 로드 또는 제1 힘 전달 로드는 제2 지지-레일부를 하강시키고 제1 지지-레일부의 반대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변위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 기구를 작동 시키는 촉발 요소가 제공되고, 하우징 레일의 외측에 배열되고 촉발 요소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추가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추가 모듈은 추가 모듈의 작동시 씰링 스트립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씰링체을 가지고, 그 결과로, 씰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씰링체는 씰링 스트립의 말단측상의 씰링 스트립과 접촉하면서, 씰링 스트립과 함께 도어 케이싱 또는 벽에 대하여 문짝 또는 여닫이창을 씰링한다.
추가 모듈은 씰링체을 변위하기 위한 스프링-작동식 레버 기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씰링체은 탄성적이고 방수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추가 모듈은 상기에 이미 설명된 씰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추가 모듈은 선행 기술에서 알려지고, 오직 하나의 말단측에서 도어 케이싱 또는 벽에 대항하는 씰링하도록 씰링 스트립을 변위하는 하강 기구와 결합될 수도 있다. 추가 모듈은 반대측의 씰링 지지대를 똑같이 보장하고, 이에 따라 도어가 바닥과 문짝의 두개의 말단측을 향해 물에 대하여 씰링되는 것을 보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씰은 문짝과 프레임사이 그리고/또는 문짝의 하단측과 바닥 사이의 간격을 맞추기 위해서 현장에서 최적화 또는 조절될 수 있다. 이것을 위하여, 조절 가능한 압력판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력판은 말단측들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양쪽 말단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하강 기구는 일측 촉발을 가진 입증된 기구를 기반으로 한다. 이 기구는 유럽특허 제 EP 0 338 974호, 독일특허 제DE 195 16 530호, 유럽특허 제EP 0 509 961호 및 유럽특허 제EP 2 085 559호에 따른 씰에서 사용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이 목적을 위해서, 힘 전달 로드와 변위 요소는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도록 하우징 레일의 홈에 지지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하강 기구는 지지-프로파일 레일부당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되, 제1 지지-프로파일 레일부의 제1 판스프링은 제1 말단이 하우징 레일과 연결되고, 제2 말단이 변위 요소에 연결되고 중앙영역이 제1 지지-프로파일 레일부에 연결된다. 또한 제2 지지-프로파일 레일부의 제2 판스프링은 제1말단이 힘 전달 로드에 연결되고, 제2 말단이 하우징 레일에 연결되고, 중앙영역이 제2 지지-프로파일 레일부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의 단면은 하나의 조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은 하강 상태에서 바닥에 씰링되도록 얹히는 하부호와, 상기호와 측면으로 인접하고, 지지 레일의 측벽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며, 씰링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우징 레일의 내측벽을 지탱하는 두개의 다리를 가진다. 그러나, 씰 프로파일의 다른 형태로, 특히 두개 그리고 다수개의 단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은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적어도 중앙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전체 길이를 따라, 지지 레일에 상대적인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씰 프로파일은 지지 레일이 측면 변위하는 동안, 특히, 두개의 지지-레일부들이 서로 멀리 이동할때는 지나치게 연장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씰 프로파일은 각 측에, 바람직하게는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 비드를 가지며, 상기 체결 비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 레일의 대응하는 오목부에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의 체결 비드는 자신의 길이의 적어도 중앙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전체 길이에 따라 지지 레일의 오목부와 충분한 간격을 보장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또한, 씰 프로파일은 다른 수단에 의해 지지 레일에 체결될수도 있다. 더욱이, 씰 프로파일은 어느 한점에서, 예를 들어 양측에서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은 지지레일에 양측에서 두번, 세번 또는 여러 번 체결된다. 파괴없이 분리되도록 적어도 한번 체결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문짝 또는 여닫이창과 바닥사이의 간격을 씰링하기 위하여, 씰 장치는 하우징 레일과 하우징 레일에 지지되고 지지 레일과 씰 프로파일을 가지는 씰링 스트립을 가지되, 지지 레일은 하우징 레일안에 지지되고, 씰 프로파일은 지지 레일위에 지지된다. 지지 레일은 하부 연결 웨브와 두개의 측벽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U자형 단면을 가진다. 더욱이, 적어도 두개의 더욱 벌어진 연결 웨브들이 제공되되, 연결 웨브들 각각은 두개의 측별들을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지지 레일은 실질적으로 상자 프로파일을 가진다. 지지 레일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31 mm 내지 100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mm 내지 80 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한 튼튼한 지지 레일은 결과적으로 20 mm 내지 8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m 내지 60 mm의 측면 씰 높이를 가진 씰링 스트립이 된다.
이 지지 레일은 외부에서 비교적 높은 수압에도 견딜수 있도록 단단하게 형성된다. 또한, 지지 레일은 비교적 높은 수준의 축적된 물의 경우에도 효과적인 씰링을 할수 있도록 기존 지지 레일보다 높은 수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씰 장치는 씰링 스트립에 의해서 측면 씰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씰 프로파일은 지지 레일의 측벽의 전체 높이를 대략적으로 넘게 연장되되, 측벽의 높이를 넘는 위치에서 적어도 두곳에서, 바람직하게는 세곳에서 체결된다. 이에 따라, 씰 프로파일이 휘몰아치는 비 또는 축적된 물에 의해 지지 레일을 강제로 밀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극심한 환경에서도 씰은 온전하게 보전된다.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상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지지 레일의 오목부에 지지되는 체결 비드를 가진다. 체결 비드는 전나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씰 프로파일은 단단한 지지 레일을 위한 하나의 조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은 하부 연결 웨브밑으로 연장되고 씰의 하강 상태에서 바닥에 씰링되도록 얹혀지는 호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로파일의 양측에서, 씰 프로파일은 하우징 레일의 내측에 대항하여 슬라이딩 및 씰링 방식으로 지탱하는 상부로 연장되는 다리를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가진다.
단단한 지지 레일을 가진 씰 장치는 브러쉬 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씰 장치는 하강 기구를 가지지만, 씰링 스트립은 하우징 레일에 상대적으로 그리고 씰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가로방향으로 하강 및 상승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은 자동적으로 발생하되, 활성화는 기계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씰이 휘몰아 치는 비의 경우 또는 높은 수준으로 축적된 물의 경우에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 레일의 말단측으로부터 돌출된 작동 버튼이 씰 프로파일의 최상단위에 위치한다. 이 작동 버튼은 씰링 스트립의 하강을 작동시킨다. 상기 배열의 결과로서, 작동 버튼이 측면 씰링 라인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씰은 일측에서 촉발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는, 촉발될수 있는 씰로 구성되거나 양측에서 촉발되는 씰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은 어떠한 물도 씰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측면 변위 없이 실시예들에서 말단측에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여기에 청구된 것과 동일한 별개의 발명이다.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은 방수되도록 폐쇄된 말단측을 가지는 여물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생산이 쉬어지고, 연결점의 수, 즉 씰 프로파일에서 가능한 약한점들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씰 프로파일은 본체와 본체에 체결된 말단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단벽은 본체에 접착 이음되거나 또는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본체는 하나의 조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체는 두개의 조각 또는 다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별 조각들은 방수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조각들은 서로 용접되거나 또는 접착 이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시예들중 하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씰 프로파일은 방수되도록 폐쇄된 말단측을 가지는 여물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씰 프로파일은 다른 씰 장치에서, 예를 들어 브러쉬 씰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씰 프로파일은 하나의 말단측에서만 폐쇄되도록 구성될수도 있고, 이때 반대 말단측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일측 배열은, 예를 들어두개이상의 씰들이 번갈아 배열될 경우 장점이 있다. 이것은 여기에 청구된 것과 동일한 별개의 발명이다.
또 다른 실시예들은 독립항에 명시된다. 본문에 설명되고 그리고/또한 도면에 도시었지만, 청구항에 명쾌하게 청구되지 않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원리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으로 청구되고, 필요시 독립항 또는 종속항으로 차후에 만들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글에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이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도면에서:
도 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승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씰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씰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a는 하강 상태에서 도 1a에 따른 씰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에 따른 씰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a는 도 1a에 따른 상승 상태에서 씰 장치의 중앙면 축을 따라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에 따른 씰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a는 하강 상태에서 도 3a에 따른 씰 장치의 중앙면 축을 따라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에 따른 씰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3b의 단면의 확대도 이다;
도 6은 도 3a에 따른 씰 장치의 하강 기구를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4b에 따른 씰 장치의 도면으로, 도 6의 개별 평면들을 명시한다;
도 8은 도 3a에 따른 씰 장치의 변위 기구를 나타내는 상측면도이다;
도 9는 변위 기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측면도이다;
도 10은 씰의 상승 상태에서 도 3a에 따른 씰 장치의 중앙 영역의 길이방향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씰의 하강 상태에서 도 4a에 따른 씰 장치의 중앙 영역의 길이방향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씰 프로파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씰 프로파일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4a는 제2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씰 프로파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따른 씰 프로파일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5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씰 프로파일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따른 씰 프로파일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15c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씰 프로파일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d는 도 15c에 따른 씰 프로파일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16은 도 3a에 따른 씰 장치의 말단 영역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17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승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씰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17b는 도 17a에 따른 씰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8a는 하강 상태에서 도 17a에 따른 씰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18b는 도 18a에 따른 씰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9는 도 17a에 따른 씰 장치의 하강 기구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0은 제 3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씰 시스템을 가지는 문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따른 문짝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2는 도 20에 따른 씰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따른 씰 시스템을 도시한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4는 제4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a는 도 24에 따른 씰의 측면도이다;
도 25b는 도 24에 따른 씰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에 따른 씰의 씰 프로파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a는 도 25a에 따른 씰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27b는 도 25a에 따른 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7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28a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레일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8b는 도 28a에 따른 지지 레일을 가진 드롭-다운 씰의 일부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2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말단측 씰링을 위한 추가 모듈을 가진 드롭-다운 씰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0a는 비촉발 위치에서 도어 케이싱에 내장된 도 29에 따른 추가 모듈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0b는 촉발 위치에서 도 30a에 따른 도어 케이싱 내부의 추가 모듈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30c는 드롭-다운 씰을 대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0b에 따른 도어 케이싱 내부의 추가 모듈을 도시한다.
동일 부품들은 동일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롭-다운 씰의 제1 실시예가 도 1 내지 7에 개시되었다. 기존 씰과 같이, 상기 드롭-다운 씰은 승하강 방식으로 씰링 스트립이 고정되는 하우징 레일을 가진다. 씰링 스트립은 지지 레일(2, 2')과 씰링 스트립 에 체결된 탄성중합체 또는 탄성 고무 재질의 씰 프로파일(3)을 포함한다. 지지 레일은 최소한 2개,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2개의 지지 프로파일부들(2, 2')로 이루어지되, 씰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하나 뒤에 또 다른 하나가 배열된다. 유럽특허 제EP 0 338 974호에 개시되었듯이, 지지 프로파일 레일(2, 2')과 씰 프로파일(3)은 동일한 또는 비슷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및 1b에서, 씰링 스트립은 상승 상태이고, 도 2a 및 2b에서는 하강 상태이다.
드롭-다운 씰은 작동 버튼(40)을 통해 활성화 될 수 있는 스프링-작동식 하강 기구를 가진다. 상기 하강 기구(4)는 일단은 작동 버튼(40)에 연결되고 타단은 힘 전달 로드(42)에 연결되는 제1 슬라이드(41)를 가진다. 힘 전달 로드(42)는 제2 슬라이드(43)에 작용한다. 또한, 힘 전달 로드(42)는 제2 말단이 제 3슬라이드(43')에 연결된다. 이러한 모든 요소들 각각 하우징 레일(1)의 상부 홈(10) 또는 하부 홈(17)에 가이드 되도록, 모두 씰의 길이 방향 축(L)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지지된다.
하강 기구(4)는 판 스프링들( 5, 5')을 더 포함한다. 제1 판스프링(5)은 제1 말단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하우징 레일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잠금점(50)이 형성된다. 중앙 영역에서, 제1판스프링(5)은 제1 지지레일부(2)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제2잠금점(51)이 형성된다. 제2 말단에서, 제1 판스프링(5)은 제2 슬라이드(43)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제3 잠금점(52)이 형성된다. 제2판스프링(5')은 제1 잠금점(50')에 제1 말단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하우징 레일(1)에 체결되고, 제2 잠금점(51')에서 중앙영역의 제2 지지프로파일부(2')에 체결되고, 제3 잠금점(52')에서 제2 말단에 의해 제3 슬라이드(43')에 체결된다. 상기 2개의 제1 잠금점들(50, 50')은 씰의 말단쪽 말단의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2개의 제3 잠금점들(52, 52')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작동 버튼(40)은 하우징 레일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작동 버튼(40)은 문짝이 닫힐 때 문틀에 의해 눌려서, 드롭-다운 씰의 길이방향으로 제1 슬라이드(41) 및 힘 전달 로드(42)를 이동시킨다. 결과적으로, 판스프링들(5, 5')이 가압되고, 지지 레일(2, 2')은 씰 프로파일(3)과 같이 하강한다. 도 2에서, 길이 방향의 힘은 화살표 A로 표시되었고, 하강 이동은 화살표 B로 표시되었다. 문짝이 열릴 때, 상기 힘이 더 이상 작동 버튼(40)에 작용하지 않고, 판스피링들(5, 5')은 이완되고, 씰링스트립은 재상승하고, 작동 버튼(40)은 하우징 레일(1)의 말단측에서 밀려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씰링스트립은 하강 상태에서 바닥에 대한 씰링을 제공할 뿐 아니라 길이 방향 축(L)의 양방향 말단측으로도 씰링을 제공한다. 이는 본 예들에서 씰링스트립이 길이 방향 양쪽으로 이동하여 달성된다. 씰링스트립의 하강시에, 두개의 지지-레일부들(2, 2')이 제2 및 3 슬라이드들(43, 43') 및 힘 전달 로드(42)와 연결 또는 결합되어 서로 멀어지고, 결과적으로 상기 두개의 지지레일부들 사이의 간격(6)이 증가하고, 두개의 지지레일부들 각각은 하우징 레일(1)의 일단측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는 도 2a에 화살표 C와 D로 표시된다. 하강 기구의 피봇축은 S로 표시된다.
문짝이 열리거나 또는 씰링 스트립이 하강할 때, 지지 프로파일부(2, 2')의 길이 방향 변위는 복원 스프링으로서 작동하는 판스프링(5, 5')에 의해 반전되고, 지지 프로파일부(2, 2')간의 간격(6)은 다시 줄어든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롭-다운 씰은 양쪽 길이방향으로 씰링 스트립의 하강 또는 상승을 길이 방향 변위와 결합하되, 이와 동시에 이동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일한 기구가 상기 이동에 이용된다.
씰 프로파일(3)은 한 부분에 형성되고 두개의 지지 프로파일부들(2, 2')에 체결된다. 씰 프로파일(3)은 지지 프로파일부(2, 2')의 측면 변위동안 양쪽 방향으로 밀려나가고, 바람직하게는 연장된다. 씰 프로파일(3)은 지지 프로파일부(2, 2')의 외측 말단측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거나, 바람직하게는 전체를 덮는 말단측 부분들을 가진다. 상기 부분들은 힌지 측 종단 (30) 및 잠금측 종단(31)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어 케이싱의 힌지측 프레임과 잠금측 프레임에 대한 씰링을 제공한다.
씰링 프로파일(3)은 지지 프로파일부(2, 2')가 변위할 때, 찢어지거나 변위를 지연시킴없이, 연장되거나 늘어날 수 있도록 충분히 탄성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씰링은 전체 길이에 따라 연장될수 있고, 또는 영역을 가지고, 특히 향상된 신장성을 가지는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을 가질수 있다. 이 경우, 연장성이 적어도 길이방향으로 증가될 수 잇다.
도 3 내지 16에서 알 수 있듯이, 지지 프로파일부(2, 2')의 길이방향 변위는 가이드되는 방식으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설명에서, 힘 전달 로드(42)와 제2 슬라이드(43)의 결합의 예들이 주어진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의 상승 상태를 다시 보여주고, 도 4a 및 4b는 하강 상태에서의 동일 씰링을 나타낸다.
지지-레일부(2, 2')의 이웃하는 말단들에 가이드 판(24, 24')이 각각 제공된다. 가이드 판은 한 개 이상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핀(25)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가이드핀(25)을 따라 변위하기 위해 판들(24, 24')중 적어도 한 개가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가이드판(24)은 가이드핀(25)에 단단히 연결되고, 제2 가이드판(24')은 가이드핀을 중심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도 10은 씰링스트립이 상승되어 정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씰링스트립이 하강되어 정렬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a 및 4a에서 알 수 있듯이, 지지-레일부(2, 2')의 외측 지지-레일부에 정지판 (21, 21')이 제공된다. 반대로, 압력판(22, 22')이 가이드핀에 의해서 정지판(21, 21')에 연결된다. 각 압력판(22, 22')과 연관된 정지판(21, 21')사이의 간격은 설정 나사(29) 및 대응하는 잠금 너트(290)를 사용하여 설정하거나 고정될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6에서 쉽게 알수있다. 결과적으로, 씰링 스트립이 하우징 레일(1)로부터 하강 상태의 양측으로 얼마나 멀리 돌출되는지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케이싱의 프레임에 대한 씰 프로파일(3)의 접촉 압력이 설정될 수 있다. 각 측에 개별적으로 그리고 반대측에 독립적으로 세팅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도 6, 8, 및 9에 구동 기구가 자세히 도시되었다. 개별 부품들은 상기에 이미 설명되었기에, 다시 설명하지는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들(41, 43, 43')과 힘 전달 로드(42)는 용접, 나사, 리벳 또는 다른 방식, 예를 들어, 플러그 연결 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평평한 로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연결들의 대응하는 체결 볼트들 또는 체결점들은 도면 번호 420, 421, 431 및 431'로 표시되고, 이와 연관된 홈들 또는 체결점들은 도면 번호 410, 410', 430, 430', 52 및 52'로 표시된다.
또한, 도 6에 힘 전달 로드(42)와 제2 슬라이드(43)의 연결 종류도 도시 되었다. 바람직하게는, 힘 전달 로드(42)와 동일한 높이로 배열되는 변위판(44)이 제공된다. 힘 전달 로드(42)는 L자 형 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되, 변위판(44)는 이에 대응하는 L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 구성으로 하우징 레일(1)의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41, 43, 43')와의 중앙 연결이 가능하고, 같은 방식으로, 힘 전달 로드(42)와 변위판(44)사이의 힘 전달 요소의 중앙 배열이 가능하다. 제2 슬라이드(43)의 일단이 변위판(44)의 일단에 고정된다. 체결 볼트는 도면 번호 440으로 표시된다. 연관된 홈은 430으로 표시된다.
변위판(44)의 타단 영역은 힘 전달 요소를, 이 경우는 레버 연결, 통해 힘 전달 로드(42)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7)는 피봇축(S)를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도록 판(110)에 체결된다. 이 판은 도 6에 도시되었다. 커버판(110)이 하우징 레일(1)의 상부 웨브(11)의 접근 개구(111)를 폐쇄한다. 커버판(110)은 중앙 칸막이(13)에 체결되거나, 바람직하게는 나사 연결된다 (도 5 참조). 이 구성으로 삽입된 슬라이드들 상측에 레버(7)가 쉽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캠(70)은 힘 전달 로드(42)상에 배열되고, 이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가이드 캠(71)은 변위판(44)상에 배열된다. 두개의 가이드 캠들(70, 71)은 반원의 굽은 레버(7)와 맞물린다. 이는 도 8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만일 문이 닫힌 동안 힘 전달 로드(42)가 "X" 방향으로 지금 밀린다면, 레버(7)은 도 8의 화살표로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하고, 반대 방향인 "Y" 방향으로 변위판(44)을 민다. 결과적으로, 변위판(44)은 동일한 방향으로 제2 슬라이드(43)을 밀고, 이에 따른 이동이 도 6에 "D"로 표시되었다. 즉, 외부 힘 작용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판스프링(5)는 상기 제2 슬라이드(43), 제1 지지-레일부(2) (도 2a) 및 하우징 레일(1)에 체결되므로, "D" 방향으로 밀리고 굽혀진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레일부(2)를가 "B" 방향을 따라 하강하고, 힌지측상의 "D"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밀린다. 제3 슬라이드(43')는 제2 슬라이드(42)를 통해 외부 힘이 적용되는 방향인 "C" 방향을 따라서 변위한다. 제2판스프링(5')은 상기 제3 슬라이드(5'), 제2 지지-레일부(2') 및 하우징 레일(1)에 체결되므로, "C" 방향으로 밀리고 굽혀진다. 이에 따라, 제2 지지-레일부(2')가 하강하고 잠금측상의 "C"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밀린다.
도 9는 대체 실시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레버 대신에, 기어휠(7')가 대응하는 랙들(70, 71')과 맞물리게 제공되고, 랙들(70, 71')은 각각 힘 전달 로드(42)와 변위판(44) 상에 배열된다. 이동 순서는 동일하다. 덮개판(110)과의 체결도 역시 동일하다.
도 7은 도 6에 정의된 다양한 단면들을 도시한다. 하우징 레일은 안내되는 방식으로 변위하기 위해 힘 전달 로드(42)와 변위판(44)가 지지하는 상부홈(10) (도 5 참조)를 가진다. 이 홈(10)안에서, 레버(7) 또는 기어휠(7')이 회전할 수 있다. 중앙 칸막이(13)는 덮개판(110)을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홈(10)은 하우징 레일(1)의 2개의 하부 돌출 측벽들(12)에 인접하는 상부 웨브(11)에 의해 경계를 이루어, 하부로 개방된 U자형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상부 홈(10)은 2개의 내측 돌출 측면 웨브들(14)에 의해 그 밑쪽에서 경계를 이루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41, 43, 43')와 연결하기 위한 통로(18)가 형성된다. 수직 리브(16)는 측면 웨브(14)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한다. 내측 웨브(15)은 동일 높이에서 각 수직 리브(16)로부터 내측으로 향하고, 이에 따라 변위를 인도하고 슬라이드(41, 43, 43')를 지지하는 홈을 더 형성한다. 판 스프링(5, 5')을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점(50, 50')가 이런 수직 리브(16)에 추가적으로 위치한다.
하우징 레일(1)의 단면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막대기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레일부(2, 2')도 막대기 프로파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레일(1)과 지지-레일부(2, 2')는 실질적으로 하부 연결 웨브(26), 상부 연결 웨브(27) 및 중앙 연결 웨브(20)과 함께 박스 모양의 단면을 이룬다. 세개의 웨브들(20, 26, 27)은 수직 연장되는 측별들을 서로 연결한다.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부로 돌출된 두 개의 수직 리브들(28)은 상부 연결 웨브(27)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 리브들(28)은 판 스프링(5, 5')를 위해 제2 체결점(51, 51')를 형성한다.
도 3에서 쉽게 알 수 있듯이, 중앙 연결 웨브(20)는 정지 판(21)과 가이드 판(24, 24')의 홈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앙 연결 웨브(20, 20')는, 특히 측면 수압의 경우, 지지 프로파일(2, 2')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도 5 및 7에서 쉽게 알 수 있듯이, 씰 프로파일(3)은 2개의 측면 상부로 돌출된 자유 다리들(35)과 이 다리들을 연결하는 하부 씰 호(36)와 함께 U자형 단면을 이룬다. 상기 씰은 도 7에 따른 하강 상태에서 상기 씰 호(36)에 의해 씰링하도록 바닥에 얹히게 된다.
그 다리를 따라, 씰 프로파일(3)은 상부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체결 비드들(32, 33, 34)를 가지고, 지지 프로파일부들(2, 2')의 대응하는 오목부들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비드들(32, 33, 34)은 적어도 씰의 중앙 영역에서, 즉, 일 지지 프로파일부에서 다른 지지 프로파일부로 전이되는 영역에서 오목부들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지지되어, 지지 프로파일부(2, 2')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변위할 때, 상기 씰이 보다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지나치게 연장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오목부는 전체 길이를 따라 또는 부분에 걸쳐, 특히, 개별 지지 프로파일부들 사이의 영역에 수신 개구를 가진다. 상기 수신 개구는 체결 비드의 크기에 비해 치수가 커서, 체결 비드가 지지되지만 쉽게 변위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오목부의 기계적 확대 또는 체결 비드들의 크기를 작게하여 중앙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리(35)는 하우징 레일(1)의 내측 측별들에 대항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지지하도록 최상단 측면 체결점을 넘도록 돌출된다.
도 12 및 13에서 상술한 드롭-다운 씰에서 사용되기에 맞는 씰 프로파일(3)이 도시되었다. 씰 프로파일(3)은 상술한 단면을 가진다. 여물통 형상의 본체는 돌출된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끝 면에 종단(30, 31)이 형성되어, 씰 프로파일(3)은 그 말단이 폐쇄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각 종단(30, 31)은 끝면(310),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측면(301, 311) 및 기반면(302)을 가진다. 측면(301, 311)과 기반면(302)은 본체의 대응하는 상대부에 예를 들어, 접착 이음 또는 용접으로, 단단히 연결된다. 씰 프로파일(3)의 말단측은 씰 프로파일의 나머지 부분처럼 평면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말단측은 미로 같은 구조체에 작용하는 씰링을 증가시키기는 플루트 또는 리브를 가진다.
도 14a 및 14b는 대체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종단(30, 31)은 평면 방식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접착 이음이나 용접을 통해 본체의 말단측과 다시 연결될 수 있다.
도 15a 및 15b는 씰 프로파일(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작동 버튼(40)으로부터 씰의 반대편 말단에 위치한 씰 프로파일(3)의 말단만이 도시되었다. 이 경우, 말단은 잠금측 말단이다. 이 경우에, 작동버튼과 동일한 측에 위치한 말단은 힌지측 말단이고,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말단을 개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씰 프로파일(3)은 2개의 다리들(35)과 이 다리들(35)을 연결하는 씰 호(36)로 이루어진 U자 형태의 본체를 가진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각 측에 한 개의 체결 비드가 형성되어야 하지만, 체결 비드가 도시되지 않았다. 씰 프로파일(3)의 말단 측은 잠금측 종단(31)에 의해 다시 폐쇄된다. 이 예에서, 종단(31)은 평면 말단판(313)에 의해 형성된다. 말단판(313)은 씰 프로파일(3)의 나머지 부분들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말단판(313)은 실리콘 또는 고무로 제작된다. 그러나, 더 나은 씰링 작용을 하는 재료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말단판(313)은 물이 새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단판(313)은 비교적 두꺼운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벽(35) 및 씰 호(36)보다 2배 두껍게 형성되어 더 단단하고 안정적이다. 그러나, 말단판(313)은 2개 이상의 판들을 접착 이음이나 용접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5a 및 15b에 따른 예에서, 말단판(313)은, 특히 접착 이음 또는 용접으로, 상기 호(36)의 정면 가장자리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씰 호(36)과 측벽들(35)에 연결된다. 다리(35)의 돌출된 가장자리들에 도면 부호 350로 표시된다. 도면에서, 접착 솔기들은 도면 부호 315로 표시된다.
도 15c 및 15d에 씰 프로파일(3)의 말단측 종단(31)의 다른 예시 실시예가 보여진다. 이러한 종단도 또한 힌지측과 잠금측에 사용될 수 있다. 종단(31)은 하나 또는 다수의 평면 말단판(313)에 의해 다시 형성된다. 말단판(313)은 호(36)의 방향으로 좁아 지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이 경우는 계단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좁아지는 방식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오목부로 인해 말단측 종단이 여전히 호(36)의 영역에 비교적 연하고 유연한 방식으로 형성되게 되어, 씰의 하강 상태에서, 도어 케이싱과 바닥의 형상에 최적으로 맞추고, 최적의 씰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좁아진 말단판(313)은 씰 프로파일의 정면 가장자리(350)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곳에 또는 같은 높이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에, 바람직하게는 양쪽 끝면에,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씰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닥에서 특히 하부 영역의 측벽들로 대략 사각형 전이를 가진다. 각도도 90°보다 조금 클 수 있다. 만일 평판형 말단판(313)이 사용되면, 90°에서 조금 벗어난 각도를 가지는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a 내지 15d에 따른 종단(31)은 쉽게 그리고 효율적인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최적의 말단측 씰을 여전히 보장할 수 있다.
씰이 가능한 고수위의 물 또는 휘몰아 치는 비를 견딜수 있도록, 말단측 종단(30, 31)은 지지-레일부(2, 2')의 전체 높이를 대략적으로 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압력판(23, 23')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 주변 영역(303)의 종단(30, 31)은 본체에 단단히 연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소 풀어지도록 연결된다. 그러나, 특히 도 12 및 13에 따른 형상을 가진 종단(30, 31)을 사용하면, 씰링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장된다. 이는 도 14a 내지 15d에 따른 종단을 사용할 때도 역시 적용된다.
도 17 내지 19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동일 도면 부호를 가진 동일한 요소들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다소 일측으로 작동되거나 구동되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는 반대로, 씰이 양측에 구동되거나 작동된다. 하우징 레일(1)에서 제1 작동버튼(40)과 반대측으로 돌출된 제2 작동버튼(40')은 제공된다.
제1 작동버튼(40)은 제1 슬라이드(41), 제1 힘 전달 로드(42) 및 제3 슬라이드(43')에 연결된다.
제2 작동버튼(40')는 제2 힘 전달 로드(42')에 연결되는 좌측 제1 슬라이드(41')에 연결되고, 후자는 제2 슬라이드(43)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힘 전달 로드(42')는 제1 힘 전달 로드(42)에 거울 대칭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는 도 19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양쪽 로드(42, 42')는 다른 힘 전달 로드(42, 42')가 돌출 삽입되는 오목부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레버(7) 또는 기어휠(7')같은 전환 또는 힘 전달 요소가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하여, 제1 예와 유사하게 힘 전달 요소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힘 전달 요소가 2개의 힘 전달 로드(42, 42')를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제1 작동 버튼(40)은 힘 전달 로드(42)를 통해 제3 슬라이드(43')와 제2 판스프링(5')에 작용한다. 제2 작동 버튼(40')은 제2 힘 전달 로드(42')를 통해 제2 슬라이드(43)과 제1 판스프링(5)에 작용한다. 따라서, 스프링과 씰링 스트립으로의 촉발력 전달은 십자형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판스프링을 이용한 양방향 촉발 형태는 독립적인 발명이고 나머지 요소들과는 독립적으로 청구된다. 특히, 측면 씰,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지지 레일과 여물통 형상의 씰 프로파일과는 독립적으로 청구된다.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정반대방향으로 촉발되는 도 19에 따른 실시예와는 반대로, 드롭-다운 씰은 양측 촉발된다. 다시 말하면, 도 6과 같이, 제1 작동 버튼(40)과 제1 슬라이드(41)은 "X" 방향으로 힘 전달 로드(42)를 변위시키고, 이에 따라 피봇팅 요소(7, 7') 또는 다른 방향 반전 요소를 통해 방대방향인 "Y" 방향으로 변위판(44)를 변위시킨다. 이때, 변위판(44)은 제2 슬라이드(43)을 동일방향 D로 변위시키고, 따라서 제1 판스프링(5)를 통해 지지-레일부(2)를 하강시키고, 외부 촉발력과 반대방향으로 변위시킨다. 하우징 레일(1)의 반대측에 제공되는 요소들은 제2 작동 버튼(40')와 상기 일련의 제2 요소들이다. 구체적으로, 제2 요소들은 슬라이드, 힘 전달 로드, 방향 반전 요소, 변위판 및 판스프링이고, 제2 작동 버튼(40')에 작용하는 외부 촉발력에 반대 방향으로 제2 지지-레일부(2')를 하강시키고 변위시킨다. 일련의 제1 및 제2 요소들간에 작동가능한 연결은 없다. 이 기구는 여기 설명된 여물통 모양의 씰 프로파일과 같이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씰 프로파일, 특히 다중 씰 프로파일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 씰은 말단측 그리고/또는 하부 작동 씰링 요소들을 가질수 있다.
도 20 내지 23은 본 발명에 따른 씰 시스템의 제3 예시적 실시예를 보여준다. 문짝 (T)에서, 두개의 씰(D1, D2)은 가로 방향으로 서로 앞뒤로 배열된다. 상기 두개의 씰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개의 씰은 위에서 설명한 드롭-다운 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씰일 수도 있고, 특히, 브러시 씰 일수도 있다.
이 두개의 씰들은 각각 여물통 형태로 형성된 씰 프로파일(3)을 가진다. 그러나, 이 경우는 오직 일 말단면(310)만이 폐쇄되어 형성된다. 반대편의 제2 말단면(312)는 개방되어 형성된다. 두개의 씰(D1, D2)은 폐쇄된 말단면(310)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반대로 위치하도록 서로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문짝(T)는 양쪽으로 씰링된다.
만일 씰이 드롭-다운 씰일 때는, 도 22 및 23에서 쉽게 알수 있듯이, 촉발 버튼(40)이 폐쇄된 말단측(310)으로부터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25 내지 27에 도시되었듯이, 씰은 브러쉬 씰이다. 이 씰도 또한 씰링 스트립이 그 안에 배열된 하우징 레일(1)을 가진다. 하우징 레일(1)은 체결 클립(9)에 의해 문짝의 하부 홈 또는 하단측에 체결된다.
씰링 스트립은 하우징 레일(1)에 지지되는 탄성중합체 또는 고무-탄성 씰 프로파일(3') 을 포함한다. 하기 설명된 압력판(22, 22', 22'')에 접착이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6에서 쉽게 알수 있듯이, 상기 씰 프로파일(3')은 두개의 반대쪽 말단들이 상부로 굽은 가느다란 조각모양의 평평한 본체를 가진다. 또한, 정지면(38)을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외측을 향하는 리브(37)가 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는 전체 길이를 따라 본체의 상부로 굽은 영역의 말단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몇 개의 리브가 제공된다. 이 예에서는, 두개의 리브(37)가 제공된다.
또한, 정지판(21, 21', 21'')은 하우징 레일에 단단히 연결된다. 측면 정지판(21, 21')는 하우징 레일(1)의 상부 웨브(11)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주 정지판(21'')은 하우징 레일(1)의 두개의 측벽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전 예들처럼, 하나 이상의 가이드 핀(23, 23', 23'')은 압력판(22, 22', 22'')에 단단히 연결되면서, 변위될 수 있도록 이러한 정지판(21, 21', 21'')에 지지된다. 하부를 향하는 수평 압??판(22'')는 씰 프로파일(3')의 전체 길이와 폭을 따라 적절하게 연장되고 정지판(38)을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압력판(22, 22')은 씰 프로파일의 말단면의 전체 높이와 폭에 걸쳐 연장되고, 마찬가지로 정지판(38)을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정지판(38)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하부를 향하는 수평 압력판(22')보다는, 두개 이상의 압력판들(22'')이 씰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되고 하우징 레일에 개별적으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씰 프로파일(3')이 서로 독립적으로 두개 이상의 점에서 하부로 변위될 수 잇는 장점을 가진다. 이것은 도 26에 수직방향 화살로 도시된다. 따라서, 브러쉬 씰은 울퉁불퉁한 바닥에도 쉽게 적응할 수 있다.
설정나사에 의하여, 정지판(21, 21', 21'')과 압력판(22, 22', 22'')간의 상대 위치가 수공구를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심지어 여기 도시된 브러쉬 씰의 경우에도, 브러쉬 씰의 측면 및 하부로 작용하는 접촉 압력 현장에서 설정될 수 있다.
도 27c는 씰 프로파일(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둥근 모서리 대신, 모서리는 직각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도어 케이싱의 모서리에 최적의 씰링이 제공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24 내지 27에 따른 브러쉬 씰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오직 측면 정지판 또는 하부 정지판과 연관된 압력판이 제공된다.
이 씰 프로파일(3')은 도 1 내지 19 및 도 28a 및 28b를 각각 참조하여 설면된 작동 기구와 함께 사용될수도 있다. 이런 경우들에는, 씰 프로파일(3')은 지지-레일부(2, 2')에 배열되어 측면으로 밀리고, 또한 하부로도 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a 및 28b는 상기 설명한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변형된 형태를 보여준다. 변형된 형태는 씰의 힌지측 그리고/또는 잠금측 말단에 사용될 수 있다. 지지 레일은 제1 지지-레일부(2), 제1 지지-레일부(2)에 연결되는 정지판(21) 및 압력판(22)를 가진다. 가이드 핀(23)과 설정 나사(29)를 사용하여 부품들간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지지-레일부(2)의 상부 연결 웨브는 도면 부호 27이고 하부 연결 웨브의 도면 부호는 26이다.
씰링 쿠션(20)은 압력판(22)의 밑면측에 체결된다. 씰링 쿠션(20)은 압력판(22)의 전체폭에 걸쳐 씰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씰링 쿠션(220)은 압력판(22)보다 길고 정지판(21)을 넘어 하부 연결 웨브(26)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씰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지는 않고, 씰의 하나 또는 두개의 말단측 말단 영역에만 제공된다.
씰링 쿠션(220)은 압력판(22)에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지판(21)과 하부 연결 웨브(26)에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씰링 쿠션(20)은 얕은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씰링 쿠션은 부드럽게 형성되고, 예를 들어 기포 고무,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씰링 쿠션은 뻣뻣하고 단단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열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8b에서 쉽게 알수 있듯이, 씰링 쿠션(220)은 씰의 조립 상태에서 지지 레일(2)과 씰링 호(36)사이에 위치한다. 만일 지지 레일(2)이 씰 프로파일(3)과 하강하면, 씰링 쿠션(220)은 말단에서 하부 및 앞쪽으로 밀어서, 씰 프로파일(3)의 모서리 부분을 채우고, 따라서 씰의 하부 모서리 부분의 씰링을 최적화 한다. 여기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강화판(304)이 말단측 종단(30)뒤의 말단측에 추가적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강화판(304)은 선택적이다.
도 29 및 30a 내지 30c는 양측에서 말단측 씰링을 또한 허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선행 기술에서 알려진 하나 또는 두개 측 촉발 기구를 가지는 하강 기구와 결합될 수 도 있다. 특히, 선행 기술로서 여기에 이미 설명된 하강 기구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9는 문짝(T)에 배열된 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어 케이싱의 양쪽이 R1 및 R2로 표시된다. 하강한 씰이 얹혀진 바닥은 B로 표시된다.
하우징 레일(1)과 바닥에 얹혀진 이미 하강한 씰 프로파일(3)이 씰이 된다. 작동 버튼(40)은 가압되어, 하강 기구(미도시)를 통해 잠금측 도어 케이싱측 R2의 방향을 따라 왼쪽으로 지지 레일(2)과 씰 프로파일(3)을 변위시킨다. 따라서, 씰 프로파일(3)이 이 쪽의 도어 케이싱을 지탱한다.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3)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말단측에서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도 30a 내지 30c에서 쉽게 알수 있듯이, 오목부(49)는 작동 버튼(40)측의, 이 경우에는 힌지측, 도어 케이싱에 형성된다. 이 오목부에 정지부(45), 복원 스프링(46), 레버 기구(47) 및 씰링체(48)을 포함하는 추가 모듈이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모듈이 이러한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하우징 또는 프레임을 가진다.
도 30a에서, 문이 개방된 상황을 도시한다. 씰링체(48)은 도어 케이싱의 외면과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씰링체는 추가적으로 씰링 방식으로 관통하여 개방상태를 폐쇄한다. 도 30b에서, 씰링체(48)이 이동 가능한 방향을 화살표로 도시하였고, 이것은 레버 기구(47)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30c에는, 씰의 하강상태에서 씰 프로파일(3)의 말단이 씰링체(48)를 지탱하고, 그결과로서 이 말단 영역과 모서리 영역이 씰링된다.
도 29에 도시되었듯이, 작동 버튼(40)은 문짝(T)가 폐쇄될 때 도어 케이싱 자체를 가압하지 않고 추가 모듈의 정지부(45)를 가압한다. 작동 버튼(40)이 밀어 넣고 알려진 방식으로 씰 프로파일(3)과 지지 레일(2)를 하강 시키기에 대응력이 충분할 때 까지, 복원 스프링(46)의 스프링력과 반대되도록, 정지부(45)가 도어 케이싱 안으로 더 깊에 가압된다.
그러나, 정지부(45)의 상기 변위는 결과적으로 연결된 레버 기구(47)가 작동되고, 상기 레버 기구가 반대 방향, 즉, 작동 버튼(40)의 변위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도어 케이싱에서 씰링체(48)을 밖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씰링체는 여전히 도어 케이싱에 의해 지지되고 오목부(49)와 그 주변을 씰링한다. 씰링체(48)은 바닥(B)에 얹혀서 하부로 씰링을 제공한다. 또한, 씰링체는 씰 프로파일(3)의 말단측 말단에 접하고, 이와 함께 공동 말단측 씰링을 제공한다.
레버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그리고/또는 말단측으로 접촉 압력을 보장하도록 구성되고 설정된다.
씰 프로파일(3)은 이 말단측에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씰 프로파일은 폐쇄된 방식으로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명과 같이 형성된다.
씰링체(48)은 씰 프로파일(3)과 동일한 재질로, 특히 실리콘 또는 고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씰링체는 최적의 씰링을 보장하기 위하여 부드럽고 그리고/또는 유연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씰링체는 뻣뻣할 수도 있고, 특히 열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 모듈은 상호 작용하는 또는 씰링 스트립의 촉발 요소, 즉 상기 설명한 작동 버튼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추가적인 촉발 요소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씰은 말단측 씰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두개의 말단측과 씰의 하부 영역을 포함하는 하나의 씰링 스트립으로 씰링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도어 케이싱의 하부 모서리 영역까지도 씰링을 할수 있다. 따라서, 휘몰아치는 비와 홍수로 범람한 물에 대해 최적의 보호를 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간단하고 가늘게 제작될 수 있다.
1 하우징 레일
10 상부 홈
11 상부 웨브
110 덮개판
111 접근 개구
12 측벽
13 칸막이
14 측면 웨브
15 내측 웨브
16 수직 리브
17 하부 홈
18 통로
2 제1 지지-레일부
20 중앙 연결 웨브
21 힌지측 정지판
22 힌지측 압력판
220 씰링 쿠션
23 가이드 핀
23' 가이드 핀
24 제1 가이드판
25 가이드 핀
26 하부 연결 웨브
27 상부 연결 웨브
28 수직 리브
29 설정 나사
290 잠금 너트
2' 제2 지지-레일부
20' 중앙 연결 웨브
21' 잠금측 정지판
22' 잠금측 압력판
23' 가이드 핀
24' 제2 가이드판
26' 하부 연결 웨브
27' 상부 연결 웨브
2'' 지지 레일
21''하부 정지판
22''하부 압력판
23''가이드 핀
3 씰 프로파일
3' 씰 프로파일
30 힌지측 종단
301 측면
302 기반면
303 상부 주변 영역
304 강화판
31 잠금측 종단
310 말단면
311 측면
312 개방된 말단측
313 말단판
315 접착 솔기
32 하부 체결 비드
33 중앙 체결 비드
34 상부 체결 비드
35 자유 다리
350 돌출된 가장자리
36 씰 호
37 리브
38 정지면
4 하강 기구
40 작동 버튼
40' 작동 버튼
41 제1 슬라이드
41' 제1 슬라이드
410 체결 홀
42 힘 전달 로드
420 체결 볼트
421 체결 볼트
42' 제2 힘 전달 로드
420' 체결 볼트
421' 체결 볼트
43 제2 슬라이드
430 체결 볼트
430' 체결 볼트
431 체결점
43' 제3 슬라이드
431' 체결점
44 변위판
440 체결 볼트
45 정지부
46 복원 스프링
47 레버 기구
48 씰링체
49 오목부
5 제1 판스프링
50 제1 체결점
51 제2 체결점
52 제3 체결점
5' 제2 판스프링
50' 제1 체결점
51' 제2 체결점
52' 제3 체결점
6 중간 공간
7 레버
70 제1 가이드 캠
71 제2 가이드 캠

7' 기어 휠
70' 제1 랙
71' 제2 랙
8 수공구
9 체결 클립
L 길이방향 축
S 피봇 축
T 문짝
D1 제1 씰
D2 제2 씰
R1 힌지측 도어 케이싱측
R2 잠금측 도어 케이싱측
B 바닥

Claims (22)

  1.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로서,
    하우징 레일(1), 작동 기구, 및 작동 기구에 의해서 하우징 레일(1)과 상대 운동을 할 수 있고 하우징 레일(1)에 지지되는 씰링 스트립을 포함하고,
    씰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씰링 스트립은 씰 장치의 길이방향 축(L)의 양쪽 방향으로 말단측 씰링을 제공하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씰링 스트립(2, 2', 3)의 적어도 일부가 말단측 씰링을 제공하기 위하여 길이방향 축의 양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씰링 스트립은 지지 레일(2, 2')을 가지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지지 레일(2, 2')은 씰링 스트립이 말단측 씰링을 제공하도록 씰 장치의 길이방향 축(L)의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지지 레일(2, 2')은 적어도 하나의 말단측에, 바람직하게는 양쪽 말단측에 조절 가능한 압력판(22, 22')을 구비하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씰링 스트립의 외측 이동 및 하강된 상태에서, 지지 레일(2, 2')은 양쪽 말단측의 하우징 레일(1)을 넘어서 돌출되고, 하우징 레일(1)의 상승 상태에서는 말단측을 넘어서 돌출되지 않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레일은 적어도 길이방향 축(L)을 따라 간격을 두고 앞뒤로 배열되는 제1 및 제2 지지-레일부들(2, 2')을 가지며 그 사이 간격은 서로 변경될 수 있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작동 기구는,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힘 전달 로드(42), 피봇팅 요소(7, 7'), 및 변위 요소(44)를 가지고, 상기 힘 전달 로드(42)는 길이방향 축(L)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고 씰링 스트립(2, 2', 3)의 이동을 야기하고, 피봇팅 요소(7, 7')는 힘 전달 로드(42)가 길이방향으로 변위하는 동안 길이방향 축(L)에 직교하는 피봇 축(S)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변위 요소(44)는 선회하는 피봇팅 요소(7, 7')에 의해 힘 전달 로드(42)의 변위에 반대방향으로 그리고 길이방향 축(L)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고, 변위 요소(44)가 제1 지지-레일부(2)를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힘 전달 로드(42)가 제1 지지-레일부(2)의 반대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제2 지지-레일부(2')를 변위시키도록 제1 지지-레일부(2)는 변위 요소(44)에 연결되고, 제2 지지-레일부(2')는 힘 전달 로드(42)에 연결되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피봇팅 요소는 레버(7)이고, 힘 전달 로드(42)와 변위 요소(44)는 각각 가이드 캠(70, 71)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 캠(70, 71)은 각각 레버(7)와 맞물려서 변위 요소(44) 또는 힘 전달 로드(42)의 이동에 따라 레버(7)를 이동시키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피봇팅 요소는 기어 휠(7')이고, 힘 전달 로드(42)와 변위 요소(44)는 각각 랙(70', 71')을 가지고, 상기 랙(70', 71')은 각각 기어 휠(7')과 맞물려 변위 요소(44) 또는 힘 전달 로드(42)의 이동에 따라 기어 휠(7)을 이동시키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작동 기구는 길이방향으로 변위될 수 잇는 제1 힘 전달 로드(42)와 길이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제2 힘 전달 로드(42')를 가지고, 상기 두개의 힘 전달 로드들(42, 42')은 길이방향 축(L)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고 씰링 스트립(2, 2', 3)의 이동을 야기하고, 제2 힘 전달 로드(42')는 자신의 변위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제1 지지-레일부(2)를 변위시키고, 제1 힘 전달 로드(42)는 자신의 변위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제1 지지-레일부(2)의 반대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제2 지지-레일부(2')를 변위시키도록, 제1 지지-레일부(2)는 제2 힘 전달 로드(42')에 연결되고, 제2 지지-레일부(2')는 제1 힘 전달 로드(42)에 연결되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작동 기구는 길이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제1 힘 전달 로드(42)와 길이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제2 힘 전달 로드(42')를 가지고, 상기 두개의 힘 전달 로드들(42, 42')은 길이방향 축(L)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고 씰링 스트립(2, 2', 3)의 이동을 야기하고, 제1 힘 전달 로드(42)는 자신의 변위 방향에 반대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제1 지지-레일부(2)를 변위시키고 제2 힘 전달 로드(42')는 자신의 변위방향에 반대방향과 제1 지지-레일부(2)의 반대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제2 지지-레일부(2')를 변위시키도록, 각각의 반전 요소들(7, 7')을 통해, 제1 지지-레일부(2)는 제1 힘 전달 로드(42)에 연결되고, 제2 지지-레일부(2')는 제2 힘 전달 로드(42')에 연결되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및 제2 지지-레일부들(2, 2')은 각각 상호 인접한 말단측에 가이드 요소(24, 24')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 요소들은 서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축(L)에 배타적으로 평행한 인접한 지지-레일부들(2, 2')이 상대 운동하게 하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14.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씰링 스트립은 씰 장치의 길이방향 축(L)에 가로방향으로 하강 및 상승될 수 있고, 씰링 스트립은 씰링 스트립을 하우징 레일(1)에 체결하기 위한 지지 레일(2, 2')과 지지 레일(2, 2')에 지지되는 씰 프로파일(3)을 가짐으로써, 씰링 스트립의 하강 상태에서 문짝 또는 여닫이창과 바닥 사이의 틈을 씰링하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씰 프로파일(3)은 하강 상태에서 하부 및 양쪽 말단측에 씰링을 동시에 제공하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씰링 스트립(2, 2')는 작동 기구에 의해 하강 및 상승할 수 있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씰 프로파일(3)은 적어도 하나의 말단측에, 바람직하게는 양쪽 말단측에, 방수되도록 폐쇄하여 형성되고, 적어도 자신의 높이의 반이 넘도록, 바람직하게는 대략 자신의 전체 높이를 넘도록 형성되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하나와 결합하여 제7항,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3)은 하나의 긴 조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개의 지지-레일부들(2, 2')에 의해 공동으로 지지되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하나와 결합하여 제7항,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변위 요소(44) 또는 제2 힘 전달 로드(42')는 제1 지지-레일부(2)를 하강시키고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힘 전달 로드 또는 제1 힘 전달 로드(42)는 제2 지지-레일부(2')를 하강시키고 제1 지지-레일부(2)의 반대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변위시키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기구를 작동시키는 촉발 요소(40)가 제공되고, 하우징 레일(1)의 외측에 배열되고 촉발 요소(4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추가 모듈이 제공되고, 상기 추가 모듈은 추가 모듈의 작동시 씰링 스트립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씰링체(48)을 가지고, 그 결과로, 씰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씰링체(48)는 씰링 스트립의 말단측상의 씰링 스트립과 접촉하면서, 씰링 스트립과 함께 도어 케이싱 또는 벽에 대하여 문짝 또는 여닫이창을 씰링하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추가 모듈은 씰링체(48)를 변위하기 위한 스프링-작동식 레버 기구(47)를 가지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씰링체(38)는 탄성적이고 방수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문짝 또는 여닫이창용 씰 장치.
KR1020177014394A 2014-10-27 2015-10-26 씰링 장치 KR201700723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90499 2014-10-27
EP14190499.5 2014-10-27
EP14190501 2014-10-27
EP14190501.8 2014-10-27
PCT/EP2015/074727 WO2016066577A2 (de) 2014-10-27 2015-10-26 Dichtungs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334A true KR20170072334A (ko) 2017-06-26

Family

ID=543475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394A KR20170072334A (ko) 2014-10-27 2015-10-26 씰링 장치
KR1020177014392A KR20170076760A (ko) 2014-10-27 2015-10-26 씰링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392A KR20170076760A (ko) 2014-10-27 2015-10-26 씰링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80291673A1 (ko)
EP (2) EP3212875B1 (ko)
JP (2) JP2017535699A (ko)
KR (2) KR20170072334A (ko)
CN (2) CN107075900B (ko)
AU (2) AU2015340758B2 (ko)
SG (2) SG11201703300RA (ko)
WO (2) WO20160665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594A (ko) 2018-10-19 2020-04-29 서준영 도어 자동 실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5375B1 (de) * 2015-01-15 2021-05-19 ASSA ABLOY (Schweiz) AG Dichtung für eine schwellenlose tür
EP3112577B1 (de) * 2015-07-01 2017-08-30 Planet GDZ AG Absenkdichtung
AT518428B1 (de) * 2016-08-23 2017-10-15 Ing Degelsegger Walter Schwenkbarer Tür- oder Fensterflügel
ES2936413T3 (es) * 2017-01-05 2023-03-16 Ad Solutions Inc Puerta corredera colgante de la parte superior que incluye guía y junta
US10865599B2 (en) * 2017-06-29 2020-12-15 The Boeing Company Seal assembly for a galley door of a galley and method of assembling a galley with a seal assembly
EP3502406A1 (de) 2017-12-19 2019-06-26 Planet GDZ AG Türflügel mit dichtungssystem
US10934772B2 (en) * 2018-02-19 2021-03-02 Tucson Rolling Shutters, Inc. Self-adjusting bottom bar for a retractable screen
DE102018204075A1 (de) * 2018-03-16 2019-09-19 eds electric drive solution GmbH & Co. KG Dichteinheit für eine Gebäudetür
WO2019179940A1 (de) 2018-03-19 2019-09-26 Planet Gdz Ag Dichtungseinheit
EP3768930B1 (de) 2018-03-19 2023-04-12 ASSA ABLOY (Schweiz) AG Dichtungsvorrichtung
CN109282033B (zh) * 2018-10-29 2020-08-04 中车戚墅堰机车有限公司 机车非接触密封结构
CN109826495B (zh) * 2019-03-07 2023-10-24 宁波市维特建筑五金有限公司 一种门窗传动锁闭器
EP3712369A1 (de) 2019-03-18 2020-09-23 ASSA ABLOY (Schweiz) AG Dichtungsvorrichtung
CN110316208A (zh) * 2019-05-27 2019-10-11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密闭门
CN210463300U (zh) * 2019-08-09 2020-05-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窗式空调器的密封装置及具有其的窗式空调器
DE102019126666B4 (de) 2019-10-02 2022-06-09 Honerkamp Industrievertriebs GmbH Vorrichtung zum Schutz vor einem Wassereinbruch sowie eine Tür oder ein Fenst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19135252A1 (de) 2019-12-19 2021-06-24 Baugruppentechnik Pollmeier Gmbh Schiebetür und Trockenbau-Tragrahmen mit einer Schiebetür
DE102019135251A1 (de) * 2019-12-19 2021-06-24 Baugruppentechnik Pollmeier Gmbh Trockenbau-Tragrahmen für eine Schallschutz-Schiebetür
EP4026978A1 (de) * 2021-01-11 2022-07-13 Athmer OHG Automatische dichtung für eine zweiflügelige tür mit einem stulp
US11761262B2 (en) * 2021-05-03 2023-09-19 National Guard Products,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xcessive gaps of a door bottom
US11873677B2 (en) 2021-09-28 2024-01-16 Westhampton Architectural Glass, Inc. Fenestration system with actuatable sealing device, and rel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DE102022115569B9 (de) 2022-06-22 2024-03-07 KÜFFNER Aluzargen GmbH & Co. OHG Schallschutztür
CN116357209B (zh) * 2023-01-03 2024-03-26 广东玫瑰岛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无地轨式防溅水淋浴房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2703A (en) * 1920-06-23 1923-04-24 Henry V Pollard Threshold eliminator
US4395854A (en) * 1980-12-15 1983-08-02 American Standard Inc. Universal latch means for drop seal assembly for a moveable wall
DE3329829A1 (de) * 1983-08-18 1985-02-28 Hans-Joachim 6350 Bad Nauheim Bayer Einrichtung zum abdichten ruhender teile sowie teile mit einer solchen einrichtung
DE3427938A1 (de) * 1984-02-28 1985-09-12 Fa. F. Athmer, 5760 Arnsberg Automatische dichtungsvorrichtung fuer einen unteren tuerspalt
ES1002297Y (es) * 1987-03-20 1990-02-16 Berniola Gil Antonio Nuevo burlete para el extremo inferior de las puertas y similares
FI88332C (fi) 1988-04-19 1993-04-26 Planet Matthias Jaggi Taetningsanordning foer en troeskelloes doerr
DE59200939D1 (de) 1991-04-17 1995-01-26 Planet Mjt Ag Dich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Türflügel.
CH688741A5 (de) * 1994-06-01 1998-02-13 Matthias Jaggi Dich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Türflügel.
JPH08170473A (ja) * 1994-12-16 1996-07-02 Yagi:Kk 扉の密閉装置
JP3015271B2 (ja) * 1994-12-22 2000-03-06 株式会社ニチベイ 扉のシールジャッキ機構
US6125584A (en) * 1994-12-29 2000-10-03 Pemko Manufacturing Co. Automatic door bottom
JPH10292748A (ja) * 1997-04-21 1998-11-04 Sankyo Alum Ind Co Ltd サッシ
ATE338191T1 (de) * 1999-03-02 2006-09-15 Carranza Luis Mueller Dichtungsstreifen
IE20000330A1 (en) * 2000-05-03 2001-11-14 Brian C Allport Weather excluder system
CN2433384Y (zh) * 2000-07-27 2001-06-06 马龙建筑及机械(天津)有限公司 房门门底密封挡板
CN2441960Y (zh) * 2000-08-28 2001-08-08 祖国玉 自动伸缩门缝挡条
CN2570424Y (zh) * 2002-09-29 2003-09-03 程树斌 平开门密封装置
US20040111972A1 (en) * 2002-12-16 2004-06-17 Planet Gdz Ag Sill-free door with lowerable seal
DE202005011984U1 (de) * 2005-07-30 2005-10-13 Fa. F. Athmer Dichtungsanordnung für eine Schiebetür
US7665245B2 (en) * 2005-12-30 2010-02-23 Speyer Door And Window, Inc. Sealing system positioned within frame for door/window
EP2426297B1 (en) * 2006-11-13 2013-12-25 Van der Kooij, Johannes Jacob Hans Willem An assembly comprising a moveable panel, for example a swinging door or window, and a latching mechanism thereof.
AU2007237192B2 (en) 2006-11-22 2013-09-05 Raven Products Pty Ltd Automatic Threshold Seal
AU2012100490A4 (en) 2006-11-22 2012-05-24 Raven Products Pty Ltd Automatic Threshold Seal
US7469502B1 (en) * 2007-02-27 2008-12-30 Jonathan Steel Window shutter system
EP2085559B1 (de) * 2008-02-04 2016-12-14 Planet GDZ AG Absenkbare Dichtungsvorrichtung
JP3142738U (ja) * 2008-03-24 2008-06-26 プラネット ゲーデーツェット アーゲー シール部材、及びケース体
CN102086751A (zh) * 2009-12-07 2011-06-08 李雪平 安全门
GB201014833D0 (en) * 2010-09-07 2010-10-20 Rbp Associates Ltd Drop-down door seal
JP5687530B2 (ja) * 2011-03-08 2015-03-18 株式会社シブタニ ドアボトムのシール装置
DE202011051326U1 (de) * 2011-09-16 2012-12-17 Athmer Ohg Dichtung für Türen, Fenster oder Ähnlichem mit einer absenkbaren Dichtleiste
AU2012316367B2 (en) * 2011-09-30 2015-10-29 Wabtec Holding Corp. Sealing assembly for a swing door
AU2012100488A4 (en) 2012-04-27 2012-05-24 Raven Products Pty Ltd Door drop seal and escutcheon plate with a dampening device
CN104583524A (zh) * 2012-07-30 2015-04-29 普兰特Gdz股份公司 升降式密封装置和建筑部件
CN104736790B (zh) * 2012-08-23 2017-05-10 普兰特Gdz股份公司 具有两个密封平面的门密封件
US9816314B2 (en) * 2013-02-12 2017-11-14 Norman David Eansor Inflatable weatherstrip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594A (ko) 2018-10-19 2020-04-29 서준영 도어 자동 실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5900A (zh) 2017-08-18
CN107075900B (zh) 2020-04-17
SG11201703303QA (en) 2017-06-29
WO2016066577A3 (de) 2016-08-04
JP2017535698A (ja) 2017-11-30
AU2015340758A1 (en) 2017-05-18
US20180291674A1 (en) 2018-10-11
SG11201703300RA (en) 2017-05-30
AU2015340757B2 (en) 2018-12-13
KR20170076760A (ko) 2017-07-04
WO2016066577A2 (de) 2016-05-06
WO2016066576A1 (de) 2016-05-06
EP3212874A1 (de) 2017-09-06
AU2015340757A1 (en) 2017-05-18
AU2015340758B2 (en) 2018-12-06
EP3212875A2 (de) 2017-09-06
US20180291673A1 (en) 2018-10-11
EP3212874B1 (de) 2020-07-29
EP3212875B1 (de) 2020-11-25
CN107002457A (zh) 2017-08-01
JP2017535699A (ja)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2334A (ko) 씰링 장치
KR20190002649A (ko) 슬라이딩 도어용 실링 장치
US9803418B2 (en) Drop-down seal and building part
KR101896771B1 (ko) 수밀 최적화 구조가 적용된 입면 분할 창호
KR101404706B1 (ko) 창호용 필링피스
RU2573814C9 (ru) Герметичное окно
CN109958110B (zh) 防水闸门门板直推夹压水密装置
EP2218863B1 (en) Arrangement for sealing and draining the overlapping area of lifting and sliding wings
KR200401750Y1 (ko) 창호용 필링피스
JP3815158B2 (ja) シャッター装置
EP3456912B1 (en) Elongated modular element, or slat , for the production of blinds, shutters, roll-up shutters, wall panels of wardrobes and casing for electrical equipment or similar
JP6262465B2 (ja) シャッター装置
CH649603A5 (it) Tapparella.
JP2020527204A (ja) ドロップダウンシール
JP4216798B2 (ja) シャッター装置
EP3438404A1 (en) Anti-water seepage system for a fixture with no raised threshold
KR200276842Y1 (ko) 미서기 창호용 방음부재
CN211370174U (zh) 一种隔音铝门结构
JP2987773B1 (ja) シャッターの安全装置
JP5049043B2 (ja) 開閉装置
JP2018524500A (ja) ドロップダウンシール
JP2005090227A5 (ko)
JP2003120149A (ja) 建築用の防音機能付シャッター装置
JP5145204B2 (ja) 摺動式スクリーン装置
TWM472741U (zh) 電動升降門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