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359A - 컨테이너 묶음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359A
KR20170065359A KR1020150171693A KR20150171693A KR20170065359A KR 20170065359 A KR20170065359 A KR 20170065359A KR 1020150171693 A KR1020150171693 A KR 1020150171693A KR 20150171693 A KR20150171693 A KR 20150171693A KR 20170065359 A KR20170065359 A KR 20170065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e
edge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0607B1 (ko
Inventor
김학성
권용장
김영주
강성욱
이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1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607B1/ko
Priority to US15/736,903 priority patent/US11047154B2/en
Priority to JP2017564629A priority patent/JP6553749B2/ja
Priority to PCT/KR2016/011487 priority patent/WO2017095015A1/ko
Priority to CN201680038291.0A priority patent/CN107709195B/zh
Priority to EP16870911.1A priority patent/EP3293128B1/en
Publication of KR20170065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 B65D88/124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closabl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9Transporter fram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13Twist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05Lugged member, rotary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컨테이너 묶음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돌출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단에 위치하는 제 1 컨테이너의 하부 모서리쇠에 삽입되는 상부콘;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컨테이너의 상부 모서리쇠에 삽입되는 하부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묶음장치{A LOCKING DEVICE FOR CONTAINERS}
본원은 컨테이너 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네 모퉁이의 빔을 지주로 설치하고, 이 지주 사이의 육면 즉, 전·후·좌·우·상·하면에 일정 면적의 패널을 용접 또는 리벳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상호 체결 조립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컨테이너는 각 모서리에 모서리쇠가 위치한다. 이러한 모서리쇠는 컨테이너를 소정 위치로 이동할 때, 컨테이너 운반 장비에 체결하는데 이용될 뿐만 아니라, 인접하게 배치된 컨테이너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데도 이용된다.
또한, 다수의 컨테이너를 보관하거나 선박 등으로 운송할 경우, 컨테이너는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쌓아 적재한다. 이때, 선박의 흔들림 또는 외부의 충격에 대해서 컨테이너가 무너지지 않도록, 각 모서리쇠에 컨테이너 묶음장치를 이용하여 상하로 배치된 컨테이너들을 고정시킨다.
종래의 컨테이너 묶음장치는 각 컨테이너 모서리쇠 사이에 본체가 위치하고 본체에 연결된 상부 및 하부 체결부가 상단 컨테이너의 하부 모서리쇠와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모서리쇠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상단 컨테이너와 하단 컨테이너를 연결 고정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컨테이너를 상하로 적층시켜 보관 또는 선박이나 기차에 의해 운송 할 때 종래의 컨테이너 묶음장치를 사용 할 경우, 각 컨테이너 사이에 묶음장치 본체가 위치하여 불필요한 공간이 소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물이 없는 공 컨테이너의 운송 및 보관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이식 컨테이너의 경우, 복수의 접힌 접이식 컨테이너를 하나의 묶음단위로 만들어 운송 및 보관 할 때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복수의 컨테이너가 종래의 컨테이너 묶음장치에 의해 적층되어 있을 때, 컨테이너 묶음장치가 제대로 체결 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안전 사고의 위험에 노출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컨테이너 묶음장치는 보관 및 운송 도중 작은 충격에도 체결 잠금장치가 풀릴 수 있어, 컨테이너 운송 및 보관시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10-0090715호(발명의 명칭: 컨테이너용 연결금구)에서는 컨테이너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스,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삽입통과된 축, 축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단 컨테이너의 하부 코너 캐스팅 내에 삽입되는 상측콘, 축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 내에 삽입되는 하측콘, 수동조작에 의해 축을 1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축회전 조작수단, 축을 복귀 회전시키는 복귀스프링, 및 수동조작에 의해 축을 소정의 회전위치에 정지시키는 축회전 정지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테이너 적층 시 공간활용이 매우 우수하고, 외부의 충격에도 체결 상태를 유지하며,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체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컨테이너 묶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측면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돌출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단에 위치하는 제 1 컨테이너의 하부 모서리쇠에 삽입되는 상부콘;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컨테이너의 상부 모서리쇠에 삽입되는 하부콘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컨테이너 묶음장치가 컨테이너의 모서리쇠에 형성된 홀에 완전히 삽입 고정되어, 컨테이너와 상하로 인접한 컨테이너 사이에 묶음 장치에 의한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체결고정부를 사용하여 컨테이너와 체결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에도 보다 안전하게 컨테이너 체결 상태를 유지 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의 체결상태를 원거리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접이식 컨테이너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의 결합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가 컨테이너의 모서리쇠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 및 컨테이너 묶음 장치의 결합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의 크기를 한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 및 컨테이너 묶음 장치의 결합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 및 컨테이너 묶음 장치의 결합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컨테이너 묶음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컨테이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접이식 컨테이너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의 결합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가 컨테이너의 모서리쇠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의 작동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 및 컨테이너 묶음 장치의 결합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의 작동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의 크기를 한정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 및 컨테이너 묶음 장치의 결합예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 및 컨테이너 묶음 장치의 결합예시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원의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컨테이너(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컨테이너(3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고, 하부패널(301), 하부패널(301)과 평행하게 구비된 상부패널(302), 상부패널(302) 및 하부패널(3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패널(302) 및 하부패널(301)에 연결된 측면패널(303), 및 상부패널(302) 및 하부패널(301)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결된 전면패널(304) 및 후면패널(305)을 포함한다. 또한, 컨테이너(300)는 각 꼭짓점에 모서리쇠(306,307)가 위치한다.
모서리쇠(306,307)는 상부패널(302)의 꼭짓점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모서리쇠(306) 및 하부패널(301)의 꼭짓점에 각각 위치하는 하부 모서리쇠(307)를 포함한다.
이러한 컨테이너(300)를 적층하여 보관 또는 운반할 경우, 컨테이너(300)와 컨테이너(300)를 연결하여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서 무너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는 상단에 위치하는 제1 컨테이너(310)(이하 '제1컨테이너 (310)'라 함)의 하부 모서리쇠(312) 및 하단에 위치하는 제2 컨테이너(320)(이하 '제2컨테이너 (320)'라 함)의 상부 모서리쇠(321)에 삽입되어, 제1 컨테이너(310)와 제2 컨테이너(32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원의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310)의 하부패널의 꼭짓점에 각각 위치하는 4개의 하부모서리쇠(312)와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패널의 꼭짓점에 각각 위치하는 4개의 상부모서리쇠(321)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제1 컨테이너(310)와 제2 컨테이너(320)가 서로 체결 될 수 있다. 즉, 제1 컨테이너(310) 및 제2 컨테이너는 4개의 컨테이너 묶음장치(10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접이식 컨테이너가 접혀진 상태에서 적층되어 한 묶음의 번들 형태로 운송 및 보관 될 경우, 접혀진 접이식 컨테이너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원의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310)의 하부 모서리쇠(312)에 상부가 삽입되고,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 모서리쇠(321)에 하부가 삽입되어, 제1 컨테이너(310)와 제2 컨테이너(320)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는 접이식 컨테이너가 접힌 상태에서 복수개 적층된 컨테이너들을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묶음 형태인 번들로 만들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는 접힌 상태의 접이식 컨테이너를 결합하여, 절첩되지 않은 컨테이너 하나의 높이와 복수개가 접철되어 묶여진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체 높이가 유사 하도록 만들수 있다.
또한, 본원의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는 체결고정부(150)를 더 포함하여, 컨테이너 묶음장치(100)의 상부콘(130) 및 하부콘(140)이 회전되어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묶음장치(100)(이하 '본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라 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는 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부(111), 베이스부(111)의 상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12), 및 베이스부(111) 및 돌출부(11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113)을 포함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관통홀(113)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연결부(120), 연결부(1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1 컨테이너(310)의 하부 모서리쇠(312)에 삽입되는 상부콘(130) 및 연결부(1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 모서리쇠(321)에 삽입되는 하부콘(140)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컨테이너(320)의 상부 모서리쇠(321)의 상부면 및 제 1 컨테이너(310)의 하부 모서리쇠(312)의 하부면에는 본 컨테이너 묶음장치(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 결합홀(1312,1321)이 천공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본 컨테이너 묶음장치(100)의 상부콘(130) 및 돌출부(112)는 제1 컨테이너(310)의 하부 모서리쇠(312) 의 결합홀(1312)에 삽입되고, 하부콘(140)은 제2컨테이너의(320) 상부 모서리쇠(321)의 결합홀(1321)에 삽입 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11)는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 모서리쇠(321)에 삽입되어 제1 컨테이너(310)의 하부 모서리쇠(312) 내측까지 연장되어 위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6을 참조하면,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 모서리쇠(321)는 본 컨테이너 묶음 장치(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컨테이너(310)의 하부 모서리쇠(312)는 본 컨테이너 묶음장치(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모서리쇠(321)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패널(302)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부면에 결합홀(1321)이 천공되고, 전면패널(304) 및 후면패널(305)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전면에 전면홀(2321)이 천공되며, 측면패널(303)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측면에 측면홀(3321)이 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모서리쇠(312)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패널(30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부면에 결합홀(1312)이 천공되고, 전면패널(304) 및 후면패널(305)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전면에 전면홀(2312)이 천공되며, 측면패널(303)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측면에 측면홀(3312)이 천공될 수 있다.
상부 모서리쇠(321)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홀(1321)은 길이방향의 폭이 너비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콘(140)의 길이방향 폭은 결합홀(1321)의 길이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결합홀(1321)의 너비방향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콘(140)은 결합홀(1321)을 통해 상부 모서리쇠(32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부 모서리쇠(321)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콘(140)은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부 모서리쇠(321)의 결합홀(1321)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하부 모서리쇠(312)의 하부면에 형성된 결합홀(1312)은 길이방향의 폭이 너비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콘(130)의 길이방향 폭은 결합홀(1312)의 길이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결합홀(1312)의 너비방향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콘(130)은 결합홀(1312)을 통해 하부 모서리쇠(31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하부 모서리쇠(321)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콘(130)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부 모서리쇠(312)의 결합홀(1312)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길이방향이란 도 6의 2시방향 및 8시방향일 수 있으며, 너비방향이란 도 6의 4시방향 및 10시방향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11)의 상부는 제1컨테이너(310)의 하부 모서리쇠(312)의 결합홀(1312)에 삽입되고, 베이스부(111)의 하부는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 모서리쇠(321)의 결합홀(132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다시 말해, 베이스부(111)는,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에 제1 컨테이너(310)가 적층될 경우, 컨테이너의 모서리쇠(312, 321)의 결합홀(1312, 1321)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 모서리쇠(321)의 상부면과 제1 컨테이너(310)의 하부 모서리쇠(312)의 하부면이 밀착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 사이에 빈공간이 없이 컨테이너를 체결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1)는 제1 컨테이너(310)의 하부 모서리쇠(312)의 결합홀(1312) 및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 모서리쇠(321)의 결합홀(1321)에 삽입됨에 따라, 전후좌우방향으로 컨테이너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히 컨테이너를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부콘(130)은 단부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부 돌출부(131)를 포함하고, 하부콘(140)은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 돌출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부 돌출부(131)는 상부면이 평평한 기둥형상일 수 있으며, 하부 돌출부(141)는 하부면이 평평한 기둥형상일 수 있다.
하부 돌출부(141)는 하부콘(140)이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모서리쇠(321)에 삽입될 경우,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모서리쇠(321)의 내부 하부면에 접촉되어,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를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직립 할 수 있게 하며, 베이스부(111)의 상부가 상부 모서리쇠(321)의 상부로 일부 돌출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부 돌출부(131)는 상부콘(130)이 제1 컨테이너(310)의 하부모서리쇠(312)에 삽입될 경우, 제1 컨테이너(310)의 하부모서리쇠(312)의 내부 상부면에 맞대어져 컨테이너 묶음장치(100)가 체결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컨테이너가 기울어지거나 진동 혹은 충격에 의하여 컨테이너 묶음장치(100)가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11)의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는 둘레를 따라 챔퍼링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11)는 하부모서리쇠(312)의 결합홀(1312) 및 상부모서리쇠(321)의 결합홀(1321)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다.
도 4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는 연결부(120)의 둘레면에 위치하는 회전걸림부(121) 및 회전걸림부(121)가 삽입되고, 돌출부(112)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회전걸림홈(1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걸림부(121)는 회전걸림홈(114)을 관통하여 연결부(1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걸림홈(114)은 돌출부(112)의 둘레면을 따라, 연결부(120)의 회전축과 수직된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90도만큼 좌우회전이 가능하며, 연결부(120)가 회전함에 따라 상부콘(130) 및 하부콘(140)이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120)는, 상부콘(130)이 제 1 컨테이너(310)의 하부 모서리쇠(312)의 결합홀(1312)에 삽입되고, 하부콘(140)이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 모서리쇠(321)의 결합홀(1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홀(1312,1321)로부터 분리 불가능한 잠금위치와 결합홀(1312,1321)로부터 분리 가능한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다.
예시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콘(130) 및 하부콘(140)을 해제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막대형상의 도구를 전면홀(2312,2321)을 통해 삽입시켜, 상부콘(130) 또는 하부콘(140)의 일측 단부를 밀어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콘(130) 및 하부콘(140)을 잠금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막대형상의 도구를 측면홀(3312,3321)을 통해 삽입시켜, 상부콘(130) 또는 하부콘(140)의 일측 단부를 밀어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150)에 대해서 설명한다.
체결고정부(150)는, 본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를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 모서리쇠(321) 및 제1 컨테이너(310)의 하부 모서리쇠(312)에 체결한 후, 상부 모서리쇠(321) 또는 하부 모서리쇠(312)의 전면홀(2312,2321)에 삽입 고정하여 상부콘(130) 또는 하부콘(140)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고정부(150)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면판(151), 전면판(151)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 경사판(152) 및 제2 경사판(153), 제1 경사판(152)에서 연장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전면판(151)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제1 후면판(154), 제2 경사판(153)에서 연장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전면판(151)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제2 후면판(155), 및 제1 후면판(154) 및 제2 후면판(155)의 외측면에 각각 위치하고,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고정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내측방향이란 체결고정부(150)의 내측면이 위치하는 방향일 수 있다.
체결고정부(150)는 후면판(154,155)에서 전면판(151)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면판(151)에서 후면판(154,155)까지의 거리(L)는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B<L≤A
L : 전면판에서 후면판까지의 거리
A : 잠금위치로 회전된 상부콘 또는 하부콘으로부터 상부 모서리쇠 또는 하부 모서리쇠의 전면부 내측면까지의 거리
B : 해제위치로 회전된 상부콘 또는 하부콘으로부터 상부 모서리쇠 또는 하부 모서리쇠의 전면부 내측면까지의 거리
이에 따라, 체결고정부(150)가 상부 모서리쇠(321) 또는 하부 모서리쇠(312)의 전면홀(2312,2321)에 고정될 경우, 전면판(151)이 상부콘(130) 또는 하부콘(140)의 일측면에 접촉되고, 후면판(154,155)이 상부 모서리쇠(321) 또는 하부 모서리쇠(312)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상부콘(130) 및 하부콘(140)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체결고정부(15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어, 후술되는 그립부(156)에 힘을 가해 모양을 변형시켜, 상부 모서리쇠(321) 또는 하부 모서리쇠(312)의 전면홀(2312,2321)에 삽입한 후, 힘을 제거하여 처음의 모양으로 되돌아가 전면홀(2312,232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체결고정부(150)는 하부 모서리쇠(312)의 전면홀(2312)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고정부(150)는, 제 1 컨테이너 하부 모서리쇠(312)의 전면홀(2312)을 통해 삽입된 후, 제1 후면판(154) 및 절곡고정부(157) 또는 제2 후면판(155) 및 절곡고정부(157)에 의해서 ‘ㄷ’자로 형성되고, ‘ㄷ’자 형상이 하부 모서리쇠(312)의 전면홀(2312)에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체결고정부(150)는 제 2 컨테이너 상부 모서리쇠(321)의 전면홀(2321)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절곡고정부(157)의 일측단부에서 절곡된 부분까지의 거리(M)은 아래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C≤M<(C+D)
M : 절곡고정부의 일측단부에서 절곡된 부분까지의 거리
C : 상부 모서리쇠 또는 하부 모서리쇠의 전면홀의 두께
D : 잠금 위치로 회전된 상부콘 또는 하부콘과 해제위치로 회전된 상부콘 또는 하부콘으로부터 상부 모서리쇠 또는 하부 모서리쇠의 전면부 내측면까지의 거리 차이
이에 따라, 체결고정부(150)가 제 1 컨테이너 하부 모서리쇠(312)의 전면홀(2312)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후면판(154) 및 제2 후면판(155)은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그립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외측방향이란 체결고정부(150)의 외측면이 위치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그립부(156)를 사용자가 내측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경사판(152) 및 제2 경사판(153)이 전면판(151)에 접촉된 부분을 중심으로 내측방향으로 수축되어 모서리쇠(312,321)의 전면홀(2312,2321)에 원활히 삽입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1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150)는 전면판(151)에 결합되고,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콘(130)의 상부돌출부(131)에 삽입되고, 상부콘(130)의 상부에 하부면이 접촉되는 콘걸침부(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150)가 상부모서리쇠(321)의 전면홀(2312)에 고정될 경우, 콘걸침부(159)가 상부 돌출부(131)에 삽입되고, 상부콘(130)의 상부에 콘걸침부(159)의 하부면이 접촉되어, 체결고정부(150)가 중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처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1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150)는, 본 컨테이너 묶음장치(100)를 제2 컨테이너(320)의 상부 모서리쇠(321) 및 제1 컨테이너(310)의 하부 모서리쇠(312)에 체결한 후, 상부 모서리쇠(321) 또는 하부 모서리쇠(312)의 측면홀(3312,3321)에 삽입 고정하여 상부콘(130) 또는 하부콘(140)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결고정부(150)는 전면판(151)에 결합되고,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콘(130) 또는 하부콘(140)이 삽입되는 콘삽입부(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따른 체결고정부(150)가 상부 모서리쇠(321) 또는 하부모서리쇠(312)의 측면홀(3312,3321)에 고정될 경우, 콘삽입부(158)에 상부 돌출부(131)의 하부에 위치한 상부콘(130) 또는 하부 돌출부(141)의 상부에 위치한 하부콘(140)이 삽입되어, 상부콘(130) 및 하부콘(14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체결고정부(150)는 외주면이 컨테이너와 다른 색으로 도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컨테이너가 적층된 경우, 본 컨테이너 묶음장치(100)에 의해서 체결된 부분과 체결되지 않은 부분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시적으로, 컨테이너는 전체적으로 주황색으로 도색될 수 있으며, 체결고정부(150)는 파란색으로 도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와 체결고정부(150)는 보색관계의 색으로 각각 도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고정부(150)는, 컨테이너의 모서리쇠에 삽입 고정된 경우, 컨테이너의 색상과 대비되어 색상이 더 뚜렷하고 선명하게 보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컨테이너 묶음장치
110 : 하우징
111 : 베이스부 112 : 돌출부
113 : 관통홀 114 : 회전걸림홈
120 : 연결부 121 : 회전걸림부
130 : 상부콘 131 : 상부 돌출부
140 : 하부콘 141 : 하부 돌출부
150 : 체결고정부
151 : 전면판 152 : 제1 경사판
153 : 제2 경사판 154 : 제1 후면판
155 : 제2 후면판 156 : 그립부
157 : 절곡고정부 158 : 콘삽입부
159 : 콘걸침부
300 : 컨테이너 301 : 하부패널
302 : 상부패널 303 : 측면패널
304 : 전면패널 305 : 후면패널
306 : 상부 모서리쇠 307 : 하부 모서리쇠
310 : 제1 컨테이너 311 : 상부 모서리쇠
312 : 하부 모서리쇠 1312 : 결합홀
2312 : 전면홀 3312 : 측면홀
320 : 제2 컨테이너 321 : 상부 모서리쇠
1321 : 결합홀 2321 : 전면홀
3321 : 측면홀 322 : 하부 모서리쇠

Claims (13)

  1. 컨테이너 묶음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돌출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단에 위치하는 제 1 컨테이너의 하부 모서리쇠에 삽입되는 상부콘;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컨테이너의 상부 모서리쇠에 삽입되는 하부콘을 포함하는 것인 컨테이너 묶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는 상기 제 1 컨테이너의 하부 모서리쇠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는 상기 제 2 컨테이너의 상부 모서리쇠에 삽입되는 것인 컨테이너 묶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를 따라 챔퍼링된 것인 컨테이너 묶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콘은
    단부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콘은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하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컨테이너 묶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둘레면에 위치하는 회전걸림부 및
    상기 회전걸림부가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회전걸림홈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묶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모서리쇠 또는 상부 모서리쇠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콘 또는 하부콘의 회전을 방지하는 체결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묶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고정부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 경사판 및 제2 경사판;
    상기 제1 경사판에서 연장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상기 전면판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제1 후면판;
    상기 제2 경사판에서 연장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상기 전면판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제2 후면판; 및
    상기 제1 후면판 및 제2 후면판의 외측면에 각각 위치하고,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고정부는 상기 후면판에서 상기 전면판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컨테이너 묶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면판 및 제2 후면판은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묶음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고정부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인 컨테이너 묶음 장치.
    [수학식 1]
    B<L≤A
    L : 전면판에서 후면판까지의 거리
    A : 잠금위치로 회전된 상부콘 또는 하부콘으로부터 상부 모서리쇠 또는 하부 모서리쇠의 내측면까지의 거리
    B : 해제위치로 회전된 상부콘 또는 하부콘으로부터 상부 모서리쇠 또는 하부 모서리쇠의 내측면까지의 거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고정부는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인 컨테이너 묶음 장치.
    [수학식 2]
    C≤M<(C+D)
    M : 절곡고정부의 일측단부에서 절곡된 부분까지의 거리
    C : 상부 모서리쇠 또는 하부 모서리쇠의 전면홀의 두께
    D : 잠금 위치로 회전된 상부콘 또는 하부콘과 해제위치로 회전된 상부콘 또는 하부콘으로부터 상부 모서리쇠 또는 하부 모서리쇠의 전면부 내측면까지의 거리 차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고정부는
    상기 전면판에 결합되고,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콘의 상부 돌출부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콘의 상부에 하부면이 접촉되는 콘걸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컨테이너 묶음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고정부는
    상기 전면판에 결합되고,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콘 또는 하부콘이 삽입되는 콘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컨테이너 묶음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고정부는 컨테이너와 다른 색으로 도색되는 것인 컨테이너 묶음장치.
KR1020150171693A 2015-12-03 2015-12-03 컨테이너 묶음장치 KR101770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693A KR101770607B1 (ko) 2015-12-03 2015-12-03 컨테이너 묶음장치
US15/736,903 US11047154B2 (en) 2015-12-03 2016-10-13 Locking device for containers
JP2017564629A JP6553749B2 (ja) 2015-12-03 2016-10-13 コンテナ結束装置
PCT/KR2016/011487 WO2017095015A1 (ko) 2015-12-03 2016-10-13 컨테이너 묶음장치
CN201680038291.0A CN107709195B (zh) 2015-12-03 2016-10-13 用于集装箱的锁定装置
EP16870911.1A EP3293128B1 (en) 2015-12-03 2016-10-13 Container bin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693A KR101770607B1 (ko) 2015-12-03 2015-12-03 컨테이너 묶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359A true KR20170065359A (ko) 2017-06-13
KR101770607B1 KR101770607B1 (ko) 2017-08-24

Family

ID=5879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693A KR101770607B1 (ko) 2015-12-03 2015-12-03 컨테이너 묶음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47154B2 (ko)
EP (1) EP3293128B1 (ko)
JP (1) JP6553749B2 (ko)
KR (1) KR101770607B1 (ko)
CN (1) CN107709195B (ko)
WO (1) WO20170950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089B1 (ko) * 2021-10-08 2022-03-14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회전조작변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26200B (zh) * 2017-08-03 2018-06-11 Formosa Forges Corp Container coupling device
WO2019090395A1 (en) * 2017-11-09 2019-05-16 Modalinta Pte Limited Twist lock recovery tool and system
DE202018104810U1 (de) * 2018-08-21 2019-11-26 Modulraum GmbH Raumzellen-Anordnung
KR102108108B1 (ko) 2018-09-12 2020-05-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접이식 컨테이너 접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접이 시스템
USD947535S1 (en) * 2019-07-09 2022-04-05 Korea Pallet Pool Co., Ltd. Post cap for foldable container
USD956423S1 (en) * 2019-07-09 2022-07-05 Korea Pallet Pool Co., Ltd. Corner casting for foldable container
US11549537B2 (en) * 2020-06-19 2023-01-10 Knoll, Inc. Article of furni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CN111809924A (zh) * 2020-07-06 2020-10-23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具有登高设备安全绳锚固杆的集装箱
JP2024511838A (ja) * 2021-04-02 2024-03-15 コリア シップビルディング アンド オフショア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コンテナ運搬船
JP7244593B2 (ja) * 2021-08-16 2023-03-22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居住用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6696A (en) * 1966-05-25 1968-06-04 Midland Ross Corp Container coupling mechanism
US3556456A (en) * 1968-09-24 1971-01-19 Einar O Lunde Container fastener means
US3592495A (en) * 1969-07-23 1971-07-13 Illinois Tool Works Latching device
US3752511A (en) * 1971-06-04 1973-08-14 Line Fast Corp Container coupler
US4321000A (en) * 1980-04-25 1982-03-23 John Novak Container repair spacer system
US4591307A (en) * 1982-12-30 1986-05-27 Clive Smith Martin Corner fitting with retractable twist lock
DE8809688U1 (ko) * 1988-07-29 1988-10-13 Conver-Osr Ozean-Service-Reparatur-Ingenieurtechnik Gmbh, 2800 Bremen, De
US5462188A (en) * 1993-04-19 1995-10-31 Rosby Corporation Integrated interbox connectors
JP3633749B2 (ja) 1997-04-24 2005-03-30 大洋製器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連結具
DE10226432A1 (de) * 2002-06-13 2003-12-24 Macgregor Conver Gmbh Verfahren zum Stauen von Containern in Zellgerüsten an Bord von Schiffen
KR200299022Y1 (ko) 2002-10-08 2002-12-31 노갑문 콘테이너용 록커
GB0324363D0 (en) * 2003-10-17 2003-11-19 Verbus Ltd Building modules
ATE426568T1 (de) * 2005-06-21 2009-04-15 Macgregor Swe Ab Vollautomatisches twistlock
CN101024442A (zh) * 2006-02-21 2007-08-29 张影洙 集装箱自动锁定装置
KR100850584B1 (ko) * 2007-04-03 2008-08-06 주성호 컨테이너의 자동 결속장치
WO2009069226A1 (ja) 2007-11-30 2009-06-04 Nippon Yusen Kabushiki Kaisha コンテナ用連結金具
US20100018017A1 (en) * 2008-07-22 2010-01-28 Hi-Kass Co., Ltd. Automatic binding device for a container
CN101633430A (zh) * 2008-07-24 2010-01-27 Hi-Kass株式会社 集装箱的自动连接装置
JP2010052757A (ja) * 2008-08-28 2010-03-11 Yoshitaka Watanabe コンテナ連結具
KR100904591B1 (ko) * 2008-11-13 2009-06-25 강희주 컨테이너 로킹 장치
CN103183189B (zh) * 2011-12-30 2014-11-19 胜狮货柜管理(上海)有限公司 一种集装箱连接装置
FR3007746B1 (fr) * 2013-06-28 2016-01-15 Neobeit Dispositif et procede de bridage de conteneurs
CN103754512B (zh) * 2014-01-08 2015-11-18 昆山吉海实业公司 一种用于铁路运输的集装箱连接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089B1 (ko) * 2021-10-08 2022-03-14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회전조작변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3128A4 (en) 2019-03-06
CN107709195B (zh) 2019-08-20
KR101770607B1 (ko) 2017-08-24
US20180171685A1 (en) 2018-06-21
JP2018516819A (ja) 2018-06-28
JP6553749B2 (ja) 2019-07-31
US11047154B2 (en) 2021-06-29
EP3293128B1 (en) 2020-07-22
EP3293128A1 (en) 2018-03-14
CN107709195A (zh) 2018-02-16
WO2017095015A1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607B1 (ko) 컨테이너 묶음장치
US9474369B1 (en) Shelving apparatus
US9723925B1 (en) Foldable post for shelving apparatus
WO2017084620A1 (zh) 框架及托盘围板箱
KR101763588B1 (ko) 포장용 종이상자
US20150014310A1 (en) Box
US20160167857A1 (en) Package box
KR101572150B1 (ko) 포장박스용 조립 앵글
JP6468870B2 (ja) 容器
TWI464094B (zh) 收容箱
KR102080325B1 (ko)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KR101989590B1 (ko) 접이식 컨테이너용 체결장치
JP7278567B2 (ja) 組立てボックス
JP7278568B2 (ja) 組立てボックス
US20160376057A1 (en) Configurable shipping crate assembly
JP5992797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2016030604A (ja) 組立式ユニットボックス用折り畳み式スリーブ及びそれを備える組立式ユニットボックス
JP4601443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6446632B2 (ja) カバー支持具、荷物防水構造物及び荷物運搬方法
KR20230060838A (ko) 원터치형 접이식 박스
JP4625971B2 (ja) デスク
JP6634203B2 (ja) 輸送コンテナ
KR20220004379A (ko) 컨테이너 묶음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 고정 장치
JP2016030603A (ja) 組立式ユニットボックス用スリーブ及びそれを備える組立式ユニットボックス
JP2012148808A (ja) 段ボール製緩衝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