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022Y1 - 콘테이너용 록커 - Google Patents

콘테이너용 록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022Y1
KR200299022Y1 KR20020030018U KR20020030018U KR200299022Y1 KR 200299022 Y1 KR200299022 Y1 KR 200299022Y1 KR 20020030018 U KR20020030018 U KR 20020030018U KR 20020030018 U KR20020030018 U KR 20020030018U KR 200299022 Y1 KR200299022 Y1 KR 200299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cker
coupling hole
fram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30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갑문
Original Assignee
노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갑문 filed Critical 노갑문
Priority to KR20020030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0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 등에 다단 적재되는 콘테이너를 상하로 상호 록킹시킬 수 있는 콘테이너용 록커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콘테이너용 록커(1)는 선박 등에 콘테이너(2a,2b)를 다단 적재시 이를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모서리끼움쇠 상의 결합공(3a,3b)을 통하여 록킹할 수 있는 콘테이너용 록커(1)에 있어서, 개략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프레임(4) 상하로 결합공(5,6)을 형성하고, 하부 결합공(6)에는 스프링(7)과, 경사형 요입홈(9)을 외연부에 형성한 상부록커(13)를 끼움결합하되, 상기 경사형 요입홈(9)에는 프레임(4)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핀결합공(10)을 통하여 부시(11)가 결합된 핀(12)을 결합시켜 회전 승강할 수 있도록 하며, 상부 결합공(5)에는 걸림요홈(14)이 수개 형성된 상부록커(13)를 끼움결합하되, 상기 걸림요홈(14)에는 프레임(4)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핀볼결합공(16)상에 스프링(17)으로 탄력설치되는 핀볼(15)을 탄력걸림하여 일정 폭 좌우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프레임(4) 및 상하부 록커(13,8)의 일체화로 강도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구조의 일체화로 제품을 보다 콤팩트(compact)화 할 수 있고, 핀(12)에 동으로 이루어진 부시(11)를 결합하여 라싱(lashing)시 상하 작동을 원활하게하며, 콘테이너 하역시 콘테이너의 좌우 롤링에 의한 끼임없이 쉽게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 향상은 물론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신규 및 기존 콘테이너 제품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고, 가공 작업시 기계가공 및 주조에 의해 생산이 가능하고, 보다 쾌적한 환경 하에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선박에 콘테이너를 적재할 경우는 물론, 트레일러에 콘테이너 적재시, 또한 각종 자동화시스템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그 적용분야도 광범위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콘테이너용 록커{A Locker for container}
본 고안은 콘테이너용 록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선박에 다단 적재되는 콘테이너를 상하로 록킹(locking)시킬 수 있는 콘테이너용 록커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선박에 콘테이너를 적재할 경우는 다단으로 적재를 하게 되는 바, 다단 적재 후 선박으로 이동 중에는 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테이너용 록커(=콘테이너용 연결구)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콘테이너용 록커는 국내 특허공보(등록번호: 10-0310021)호에도 개시되어 있듯이 상하 콘테이너를 다단 적재시 모서리부의 모서리끼움쇠(=코너 금구)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상하 콘(=상하 록커)을 핸들 조작에 의해 록킹 및 언록킹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콘테이너용 록커 사용 시 부주의로 인한 핸들의 임의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록기구를 구비한 기술, 그리고 이러한 선행기술이 안고 있는 구조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발명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콘테이너용 록커는 콘테이너를 다단 적층 후 핸들의 조작에 의해 록커를 록킹 및 언록킹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적재 및 하역시 마다 작업자가 모서리부에 있는 핸들을 일일이 조작하여야 하는 관계로 상당히 번거롭고, 컨테이너를 선박에서 하역하기 전에 작업자가 4모서리를 돌면서 장대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직접 클램프를 해제시켜야 하므로 안전사고 위험이 높고, 또한 작업인력의 소모 및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 등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외부에 노출된 핸들 또는 레버는 충격을 받기 쉬워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높은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근자에는 상하로 다단 적층되는 콘테이너를 자동으로 록킹 및 언록킹할 수 있는 콘테이너용 록커가 안출된 바 있으나, 이는 분할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볼트로 일일이 조립하여야 하고, 상부 록커의 라싱(lashing) 작동을 위해 핀이 블록으로 이중 구조로 결합이 되어 있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였고,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주조에 의해 생산되고 볼트로 체결된 분할형 프레임은 콘테이너의 좌우 롤링시 잘 빠지지 않는 단점과 함께 전체적으로 그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며 주조 금형 수도 많아져 원가상승 및 시설투자비가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신규 제작품에만 적용이 가능한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 콘테이너용 록커가 갖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개량형의 콘테이너용 록커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조립 용이성 및 작동의 원활성, 내구성 증대, 제조원가절감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테이너용 록커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상부 록커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하부 록커를 보인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콘테이너용 록커 2a,2b:콘테이너
3a,3b:결합공 4:프레임
5,6:(상하)결합공 7:스프링
8:하부록커 9:요입홈
10:핀결합공 11:부시
12:핀 13:상부록커
14:걸림요홈 15:핀볼
16:핀볼결합공 17:스프링
18:고정볼트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콘테이너용 록커(1)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이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사용상태 단면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콘테이너용 록커(1)는 콘테이너(2a,2b)의 상하 4모서리에 형성되는 모서리끼움쇠의 직사각형 결합공(3a,3b)상에 끼움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략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프레임(4) 상하로 결합공(5,6)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의 결합공(6)에는 스프링(7)을 투입 후 이에 탄력설치되는 하부록커(8)를 끼움결합하되, 상기 하부록커(8) 상에는 경사형 요입홈(9)을 형성하여 프레임(4)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핀결합공(10)을 통하여 부시(11)가 결합된 핀(12)을 결합시킴으로써 하부록커(8)가 하부 콘테이너(2b)에 가압되면 회전안내되면서 상승(록킹)토록 하고, 상부 콘테이너(2a)가 분리되면 스프링(7)의 복원탄성에 의해 역방향 회전되면서 하강(언록킹)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 결합공(5)에는 상부록커(13)를 끼움결합하되, 상기 상부록커(13)에는 약 60° 각도로 수개의(도면상에는 3개)걸림요홈(14)을 형성하여이에 탄력걸림되는 핀(pin) 타입의 핀볼(15)를 프레임(4)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핀볼결합공(16)상에 아주 강한 스프링(17)으로 탄력설치하여 후단에서 고정볼트(18)로 나사결합토록 한다.
상기 상하부 록커(13,8)의 단부는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되어 결합공(3a,3b)상에 진입시 방해없이 원활하게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콘테이너용 록커(1)는 선박에 콘테이너(2a,2b)를 다단으로 적층 시 상하부 록커(13,8)가 콘테이너(2a,2b)에 형성된 모서리끼움쇠의 결합공(3a,3b)에서 록킹되어 콘테이너의 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의 사용방법과 작용 등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재코자 하는 상부 콘테이너(2a)를 리프터를 사용하여 리프팅시킨 후 콘테이너(2a)의 하부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3a)에 본 고안의 콘테이너용 록커(1)를 결합시킨 후 결합공(3a) 측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작업자가 손을 사용하여 상부록커(13)를 회전시키면, 상부록커(13)에 형성된 걸림요홈(14)에 연접된 핀볼(15)에 의해 상부록커(13)의 회전 각도가 약 60° 정도로 회전되면서 결합공(3a)에서 콘테이너용 록커(1)가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결합공(3a)에 콘테이너용 록커(1)를 결합하여 록킹시킨 후 하부 콘테이너(2b) 상부에 상부 콘테이너(2a)를 정위치로 안치하게 되면 하부 콘테이너(2b)상에 형성된 결합공(3b)을 통하여 하부록커(8)가 진입하게 되며, 하부록커(8)의 하단부가 결합공(3b)의 하면에 연접되면서 가압이 이루어지게 되어 하부록커(8)가 스프링(7)의 탄성을 극복하고 회전 상승하게 되는 바, 이는 하부록커(8)에 형성된 요입홈(9)이 경사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경사형 요입홈(9)이 프레임(4)에 설치된 핀(12)에 안내되어 가능한 것이다.
결국 하부록커(8)의 회전 상승으로 인하여 하부록커(8)의 단부가 결합공(3b)의 상단과 걸림이 이루어져 상하 콘테이너(2a,2b)는 록킹이 이루어져 다단 적재 시에도 안정적인 안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그리고 상부 콘테이너(2a)를 하부 콘테이너(2b)상에서 리프팅하게 되면 가압상태로 록킹되어 있던 하부록커(8)가 스프링(7)의 복원 탄성에 의하여 회전 상승하면서 결합공(3b)의 상단과 이격되면서 결합공(3b)으로부터 분리되고, 상부록커(13)는 상부 콘테이너(2a)에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차기에 콘테이너 적재 시에도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콘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연속 록킹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콘테이너용 록커(1)는 주로 선박에 콘테이너를 다단 적재시 안정적으로 록킹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프레임(4) 및 상하부 록커(13,8)의 일체화로 강도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구조의 일체화로 제품을 보다 콤팩트(compact)화 할 수 있다.
그리고 핀(12)에 동으로 이루어진 부시(11)를 결합하여 라싱(lashing)시 상하 작동을 원활하게 하며, 콘테이너 하역시 콘테이너의 좌우 롤링에 의한 끼임없이쉽게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 향상은 물론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신규 및 기존 콘테이너 제품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고, 가공 작업시 기계가공 및 주조에 의해 생산이 가능하고, 보다 쾌적한 환경 하에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선박에 콘테이너를 적재할 경우는 물론, 트레일러에 콘테이너 적재시, 또한 각종 자동화시스템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그 적용분야도 광범위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선박 등에 콘테이너(2a,2b)를 다단 적재시 이를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모서리끼움쇠 상의 결합공(3a,3b)을 통하여 록킹할 수 있는 콘테이너용 록커(1)에 있어서;
    상기 콘테이너용 록커(1)는 개략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프레임(4) 상하로 결합공(5,6)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결합공(6)에는 스프링(7)과, 경사형 요입홈(9)을 외연부에 형성한 하부록커(8)를 끼움결합하되, 상기 경사형 요입홈(9)에는 프레임(4)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핀결합공(10)을 통하여 부시(11)가 결합된 핀(12)을 결합시켜 회전 승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부 결합공(5)에는 걸림요홈(14)이 형성된 상부록커(13)를 끼움결합하되, 상기 걸림요홈(14)에는 프레임(4)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핀볼결합공(16)상에 스프링(17)으로 탄력설치되는 핀볼(15)이 탄력걸림되어 일정 폭 좌우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용 록커.
KR20020030018U 2002-10-08 2002-10-08 콘테이너용 록커 KR200299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0018U KR200299022Y1 (ko) 2002-10-08 2002-10-08 콘테이너용 록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0018U KR200299022Y1 (ko) 2002-10-08 2002-10-08 콘테이너용 록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022Y1 true KR200299022Y1 (ko) 2002-12-31

Family

ID=5909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30018U KR200299022Y1 (ko) 2002-10-08 2002-10-08 콘테이너용 록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0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5015A1 (ko) * 2015-12-03 2017-06-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컨테이너 묶음장치
KR20190021748A (ko) 2017-08-23 2019-03-06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타격 감지 장치
CN110230439A (zh) * 2019-06-28 2019-09-13 东莞市景瑜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多层箱包的密码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5015A1 (ko) * 2015-12-03 2017-06-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컨테이너 묶음장치
US11047154B2 (en) 2015-12-03 2021-06-29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Locking device for containers
KR20190021748A (ko) 2017-08-23 2019-03-06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타격 감지 장치
CN110230439A (zh) * 2019-06-28 2019-09-13 东莞市景瑜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多层箱包的密码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2601B2 (en) Fully automatic twistlock to be connected to a container and a method for releasing a first container from a second
US4819820A (en) Cargo containers
US7231695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cking the ship container
US7491024B2 (en) Interlocking pallets, and shipping and storage systems employing the same
CN111867785A (zh) 工具储存装置
US6113305A (en) Container coupling tool
CN201808724U (zh) 一种托盘箱
EP2055527B1 (en) Automatic bottom lock
WO2007111620A2 (en) Automatically interlocking pallets, and shipping and storage systems employing the same
KR200299022Y1 (ko) 콘테이너용 록커
WO2013131148A1 (en) A latch and a collapsible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US3972439A (en) Horizontal connector for shipping containers
US7887272B2 (en) Load security device including a coupling part with snap action
KR100460466B1 (ko) 트레일러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US20170129697A1 (en) Interconnect for freight containers
EP3976483A1 (en) Universal handle attachment tool for manipulating different containers
KR200315806Y1 (ko) 콘테이너용 세미오토 래싱장치
CN209455389U (zh) 集装箱垂直水平双向连接锁
GB2194213A (en) Pallet
CN113443286B (zh) 一种集装箱
CN212710857U (zh) 组合式集装箱
CN206429075U (zh) 锁芯组件及采用该锁芯组件的箱包锁
CN211469143U (zh) 一种可翻转的物流箱结构
KR100499247B1 (ko) 선박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결속장치
CN109516002A (zh) 集装箱垂直水平双向连接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