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514A -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514A
KR20170054514A KR1020177010258A KR20177010258A KR20170054514A KR 20170054514 A KR20170054514 A KR 20170054514A KR 1020177010258 A KR1020177010258 A KR 1020177010258A KR 20177010258 A KR20177010258 A KR 20177010258A KR 20170054514 A KR20170054514 A KR 20170054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ect
film
separator
sl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9468B1 (ko
Inventor
고지 가슈
유스케 곤
다츠야 사카모토
젠 왕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26D1/0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 B26D1/03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4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tensioning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B65H26/02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responsive to presence of irregularities in running web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22Investigating thin films, e.g. matrix isolation meth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1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4Pinho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02Moving film strip by pull on end thereof
    • G03B1/04Pull exerted by take-up spo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42Guiding, framing, or constraining film in desired position relative to lens syste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56Threading; Loop for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03B17/30Locating spools or other rotatable holders of coiled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2Interlocking between shutter operation and advance of film or change of plate or cut-film
    • G03B17/425Interlocking between shutter operation and advance of film or change of plate or cut-film motor driv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2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motion-picture projection
    • G03B21/321Holders for films, e.g. reels, cassettes, spindles
    • G03B21/328Means for fixing the film on the periphery of a re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01M50/406Moulding; Emboss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60Details of processes or procedures
    • B65H2557/62Details of processes or procedures for web tracking, i.e. retrieving a certain position of a web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021/8924Dents; Relief flaw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 G03B2217/242Details of the marking device
    • G03B2217/243Optic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3Polyamide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취득하는 결함 정보 취득 공정과,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하여 복수의 세퍼레이터(12a)를 얻는 슬릿 공정과, 하나의 결함(D)에 따른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로 결함(D)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12a) 및 당해 세퍼레이터(12a)에 인접하는 다른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름 제조 방법, 필름 제조 장치, 필름 및 필름 권회체{FILM PRODUCTION METHOD, FILM PRODUCTION DEVICE, FILM, AND FILM WOUND BODY}
본 발명은 필름 제조 방법, 필름 제조 장치, 필름 및 필름 권회체에 관한 것이다.
광학 필름을 갖는 시트상 제품의 결점 검사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이 결점 검사 장치는, 보호 필름 검사부에서 얻어진 결점 정보를 그의 위치 정보, 제조 식별 정보와 함께 코드 데이터(2차원 코드, QR 코드(등록 상표))로서, PVA 필름 원단의 편단면에 소정 피치로 형성한다.
이에 의해, 시트상 제품의 결점 위치 정보를 취득한 후, 슬릿 공정에 있어서 시트상 제품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절단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필름 중, 어느 필름에 결점이 포함되어 있을지를 특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결점이 있는 필름에 대하여, 결점이 있는 개소를 절제하는 등의 적절한 처치를 실시함으로써, 결점을 갖지 않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16437호 공보(2008년 5월 22일 공개)」
그러나, 필름 원단으로서의 시트상 제품의 결함의 위치 정보를 취득해도, 슬릿 공정에 있어서 원하는 슬릿 위치에서 필름 원단을 절단할 수 없는 경우, 복수의 필름 중 어느 필름에 결함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없어, 결함을 갖는 불량 필름임에도 불구하고 양품 필름이라고 판정해 버린다. 그 결과, 불량 필름에 대하여 적절한 처치를 실시할 수 없어, 경우에 따라서는 불량 필름이 양품 필름으로서 유출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원단을 절단함으로써 필름을 얻는 경우에 있어서, 결함을 갖는 필름을 양품 필름이라고 판정해 버릴 리스크를 저감시킨 필름 제조 방법, 필름 제조 장치, 필름 및 필름 권회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필름 원단에 있어서의 결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취득하는 결함 정보 취득 공정과, 상기 필름 원단을, 길이 방향을 따른 슬릿 라인에서 슬릿하여 복수의 필름을 얻는 슬릿 공정과, 하나의 상기 결함에 관한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슬릿 후의 필름의 불량 판정을 행함으로써, 실제로 상기 결함을 포함하는 필름 및 당해 필름에 인접하는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슬릿 후의 필름의 불량 판정을 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실제로 결함을 포함하는 필름을 불량 필름뿐만 아니라, 당해 필름에 인접하는 다른 필름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한다. 이에 의해, 원하는 슬릿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필름 원단을 슬릿함으로써 본래 결함이 포함되어야 하는 필름에 결함이 포함되지 않고, 당해 필름에 인접하는 다른 필름에 결함이 포함되는 것으로 된 경우에도, 결함을 갖는 필름을 잘못해서 양품 필름이라고 판정해 버릴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결함 정보 취득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 정보로서, 상기 필름 원단의 표면 영역을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나눈 분할 영역마다의 결함 유무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을 갖는 하나의 상기 분할 영역에 관한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함을 갖는 상기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필름 및 당해 필름에 인접하는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필름 원단에 있어서의 분할 영역마다의 결함 유무의 정보를 취득하고, 실제로 결함을 포함하는 필름에 인접하는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각 분할 영역에 있어서의 결함의 유무에 관한 간이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기 때문에, 결함을 갖는 필름을 잘못해서 양품 필름이라고 판정해 버릴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슬릿 공정에서는,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선에 따른 슬릿 라인에서 상기 필름 원단을 슬릿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을 갖는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당해 분할 영역에 인접하는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상기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결함을 갖는 분할 영역의 경계선에 따른 슬릿 라인에서 필름 원단을 슬릿하는 경우, 슬릿 위치가 어긋남으로써 원래 결함이 포함되어야 하는 필름에 인접하는 다른 필름에 결함이 포함되기 쉽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분할 영역의 경계선에 따른 슬릿 라인에서 필름 원단을 슬릿하고, 결함을 갖는 분할 영역에 인접하는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기 때문에, 슬릿 위치의 어긋남에 의해 결함이 포함되기 쉬운 필름을 적절하게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할 수 있어, 결함을 갖는 필름을 잘못해서 양품 필름이라고 판정해 버릴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슬릿 공정에서는, 복수의 상기 분할 영역에 대응하여 각 상기 필름을 얻도록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선에 따른 슬릿 라인에서 상기 필름 원단을 슬릿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을 갖고 또한 각 상기 필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당해 분할 영역에 인접하는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상기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하나의 분할 영역에 대응하여 하나의 필름을 얻도록 필름 원단을 슬릿하는 경우, 결함을 갖는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필름의 양쪽 인접한 필름에 결함이 포함되기 쉬워, 양쪽 인접한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해,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분할 영역에 대응하여 필름을 얻도록 필름 원단을 슬릿하기 때문에, 결함을 갖는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필름의 양쪽 인접한 필름 중 적어도 한쪽 필름에는 결함이 포함되기 어려워, 상기 한쪽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실제로는 결함이 포함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필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슬릿 공정에서는, 3개의 상기 분할 영역에 대응하여 각 상기 필름을 얻도록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선에 따른 슬릿 라인에서 상기 필름 원단을 슬릿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을 갖고 또한 각 상기 필름에 대응하는 상기 3개의 분할 영역 중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당해 분할 영역에 인접하는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상기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필름에 대응하는 3개의 분할 영역 중, 한가운데의 분할 영역이 결함을 갖고 있는 경우, 상기 3개의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필름의 양쪽 인접한 필름에는 결함이 포함되기 어려워, 상기 양쪽 인접한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실제로는 결함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필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슬릿 공정에서는, 상기 분할 영역을 분단하는 슬릿 라인에서 상기 필름 원단을 슬릿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을 갖는 상기 분할 영역이 분단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2개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분할 영역을 분단하는 슬릿 라인에서 필름 원단을 슬릿하는 경우, 결함을 갖는 분할 영역이 분단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2개의 필름은, 모두 결함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결함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상기 2개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할 수 있어, 결함을 갖는 필름을 잘못해서 양품 필름이라고 판정해 버릴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결함 정보 취득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 정보로서, 서로 교대로 배열되는 제1 분할 영역과 상기 제1 분할 영역보다도 폭이 넓은 제2 분할 영역의 결함 유무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슬릿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분할 영역을 분단하는 슬릿 라인에서 상기 필름 원단을 슬릿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을 갖는 상기 제1 분할 영역이 분단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2개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결함을 갖는 분할 영역이 분단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2개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폭이 넓은 분할 영역을 분단하는 것보다도, 폭이 좁은 분할 영역을 분단하는 쪽이, 분단되는 분할 영역에 결함이 포함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실제로는 결함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필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필름 원단에 있어서의 결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취득하는 결함 정보 취득 공정과, 상기 필름 원단을, 길이 방향을 따른 슬릿 라인에서 슬릿하여 복수의 필름을 얻는 슬릿 공정과,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슬릿 후의 필름의 불량 판정을 행하는 판정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결함 정보 취득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 정보로서, 상기 필름 원단의 표면 영역을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나눈 분할 영역마다의 결함 유무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결함이 존재하는 상기 분할 영역이 상기 슬릿 라인에 겹치지 않을 경우에는, 당해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하나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고, 결함이 존재하는 상기 분할 영역 또는 그 경계선이 상기 슬릿 라인에 겹칠 경우에는, 당해 슬릿 라인에서 분단되는 2개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결함이 존재하는 상기 분할 영역 또는 그 경계선이 상기 슬릿 라인에 겹칠 경우에는, 당해 슬릿 라인에서 분단되는 2개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한다. 결함을 갖는 분할 영역에 겹치는 슬릿 라인에서 필름 원단을 슬릿하는 경우, 슬릿 위치가 어긋남으로써 원래 결함이 포함되어야만 하는 필름에 인접하는 다른 필름에 결함이 포함되기 쉽지만, 슬릿 라인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함으로써, 원래 결함이 포함되어야 하는 필름에 결함이 포함되지 않고, 당해 필름에 인접하는 다른 필름에 결함이 포함되는 것으로 된 경우에도, 결함을 갖는 필름을 잘못해서 양품 필름이라고 판정해 버릴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결함이 존재하는 상기 분할 영역이 상기 슬릿 라인에 겹치지 않을 경우에는, 당해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하나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한다. 결함을 갖는 분할 영역을 슬릿 라인에서 슬릿하지 않을 경우, 슬릿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도, 원래 결함이 포함되어야 하는 필름에 인접하는 다른 필름에 결함이 포함될 가능성은 낮다. 그로 인해,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하나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함으로써, 실제로는 결함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필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필름 원단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 영역마다의 상기 결함 정보를 기록하는 결함 정보 기록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단위 영역에 복수의 결함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단위 영역마다의 결함 정보로서 통합해서 기록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간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결함 정보 기록 공정에서는, 상기 단위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분할 영역마다의 상기 결함 유무의 정보를 기록하는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단위 영역을 더 분할 영역으로 나누어서 분할 영역마다의 결함 유무의 정보로서 통합해서 기록할 수 있어, 기록하는 정보량을 삭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결함 정보 기록 공정에서는, 상기 단위 영역에 있어서의 결함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결함 정보로서, 상기 단위 영역에 있어서의 결함의 개수 정보, 각 결함의 위치 정보 및 각 결함의 크기 정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록하는 제1 모드와, 상기 결함 정보로서, 상기 단위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분할 영역마다의 상기 결함 유무의 정보를 기록하는 제2 모드를 전환하는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결함의 수에 따라서, 상세한 결함 정보를 기록하는 제1 모드와, 간이한 정보를 기록하는 제2 모드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 가능한 정보량에 제약이 있을 경우에, 정보량의 제약 하에서 적절한 결함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실제로 결함을 포함하는 필름에 당해 결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표시를 부여함과 함께, 상기 다른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표시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표시를 부여하는 결함 표시 부여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후속 공정에 있어서, 불량 필름에 있어서의 결함 위치를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 원단에 있어서의 상기 실제로 결함을 포함하는 필름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결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표시를 부여함과 함께, 상기 필름 원단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필름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상기 제1 표시의 위치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동시킨 위치에 제2 표시를 부여하는 원단 결함 표시 부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표시 및 상기 제2 표시가 부여된 상기 필름 원단을 슬릿하는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슬릿 전의 필름 원단에 대하여 표시를 부여하기 때문에, 슬릿 후의 필름에 대하여 표시를 부여하는 경우에 비해, 정확한 위치에 표시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원단 결함 표시 부여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표시 및 상기 제2 표시를, 상기 슬릿 라인에 겹치지 않도록 부여하는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슬릿 공정에 있어서 표시가 절단되어 불량 필름의 판별이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불량 필름의 일부를 절제하는 결함 절제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불량 필름의 결함을 절제하여 양품의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장치는, 필름 원단에 있어서의 결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취득하는 결함 정보 취득부와, 상기 필름 원단을, 길이 방향을 따른 슬릿 라인에서 슬릿하여 복수의 필름을 얻는 슬릿부와, 하나의 상기 결함에 관한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슬릿 후의 필름의 불량 판정을 행함으로써, 실제로 상기 결함을 포함하는 필름 및 당해 필름에 인접하는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장치는, 필름 원단에 있어서의 결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취득하는 결함 정보 취득부와, 상기 필름 원단을, 길이 방향을 따른 슬릿 라인에서 슬릿하여 복수의 필름을 얻는 슬릿부와,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슬릿 후의 필름의 불량 판정을 행하는 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함 정보 취득부는, 상기 결함 정보로서, 상기 필름 원단의 표면 영역을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나눈 분할 영역마다의 결함 유무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판정부에서는, 결함이 존재하는 상기 분할 영역이 상기 슬릿 라인에 겹치지 않을 경우에는, 당해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하나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고, 결함이 존재하는 상기 분할 영역 또는 그 경계선이 상기 슬릿 라인에 겹칠 경우에는, 당해 슬릿 라인에서 분단되는 2개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결함을 갖는 필름 원단의 표면을 길이 방향을 따른 경계선으로 구획하여 이루어지는 영역마다 대응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필름 중 하나의 필름이며, 상기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결함이 포함되는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얻어지고, 상기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결함에 대향하는 위치에 표시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권회체는, 상기 필름이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결함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가 부여된 상태에서 필름을 권취하여 필름 권회체로 함으로써, 필름의 취급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필름을 권출했을 때에 결함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 원단을 절단함으로써 필름을 얻는 경우에 있어서, 결함을 갖는 필름의 유출을 억제한 필름 제조 방법, 필름 제조 장치, 필름 및 필름 권회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상기 세퍼레이터 원단의 결함 마킹 방법의 결함 검출 공정 및 결함 정보 기록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상기 결함 검출 공정에 있어서의 기재 결함 검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결함 검출 공정에 있어서의 도공 결함 검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결함 검출 공정에 있어서의 핀 홀 결함 검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세퍼레이터를 슬릿하는 슬릿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슬릿 장치의 절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ㆍ측면도ㆍ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세퍼레이터의 결함 위치 특정 방법의 판독 공정, 표시 부여 공정 및 권취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상기 세퍼레이터의 결함 위치 특정 방법의 표시 검지 공정, 및 결함 제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세퍼레이터 원단의 결함 마킹 방법의 결함 검출 공정 및 결함 정보 기록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상기 세퍼레이터의 결함 위치 특정 방법의 판독 공정, 표시 부여 공정 및 권취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결함 코드를 기록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원단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결함을 포함하는 분할 영역과 슬릿 라인과 불량 세퍼레이터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4에 관한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의 판독 공정, 표시 부여 공정 및 권취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결함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가 부여된 세퍼레이터 원단 또는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일례로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내열 세퍼레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제조 장치의 일례로서,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 및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 대표되는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그로 인해, 현재,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의 기기, 자동차, 항공기 등의 이동체에 사용되는 전지로서, 또한 전력의 안정 공급에 이바지하는 정치용 전지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는, 캐소드(11)와, 세퍼레이터(12)와, 애노드(13)를 구비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외부에 있어서, 캐소드(11)와 애노드(13) 사이에, 외부 기기(2)가 접속된다.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충전시에는 방향 A로, 방전시에는 방향 B로, 전자가 이동한다.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12)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정극인 캐소드(11)와, 그의 부극인 애노드(13) 사이에 협지되도록 배치된다. 세퍼레이터(12)는 캐소드(11)와 애노드(13)의 사이를 분리하면서, 이들 사이에 있어서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공질 필름이다. 세퍼레이터(12)는 그의 재료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며, (a)는 통상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b)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승온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c)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에는 다수의 구멍(P)이 설치되어 있다. 통상,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리튬 이온(3)은, 구멍(P)을 통해 왕래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과충전, 또는 외부 기기의 단락에 기인하는 대전류 등에 의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는 승온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가 융해 또는 유연화되어, 구멍(P)이 폐색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12)는 수축한다. 이에 의해, 리튬 이온(3)의 왕래가 정지되므로, 상술한 승온도 정지한다.
그러나,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할 경우, 세퍼레이터(12)는 급격하게 수축한다. 이 경우,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는 파괴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리튬 이온(3)이, 파괴된 세퍼레이터(12)로부터 누출되므로, 리튬 이온(3)의 왕래는 정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승온은 계속된다.
<내열 세퍼레이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며, (a)는 통상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b)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는 내열층(4)을 더 구비해도 된다. 내열층(4)과 세퍼레이터(12)는 내열 세퍼레이터(12a)(세퍼레이터)를 형성하고 있다. 내열층(4)은 세퍼레이터(12)의 캐소드(11)측의 편면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내열층(4)은 세퍼레이터(12)의 애노드(13)측의 편면에 적층되어도 되고, 세퍼레이터(12)의 양면에 적층되어도 된다. 그리고, 내열층(4)에도, 구멍(P)과 동일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통상, 리튬 이온(3)은 구멍(P)과 내열층(4)의 구멍을 통해 왕래한다. 내열층(4)은, 그의 재료로서, 예를 들어 전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수지)를 포함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하고, 세퍼레이터(12)가 융해 또는 유연화되어도, 내열층(4)이 세퍼레이터(12)를 보조하고 있기 때문에, 세퍼레이터(12)의 형상은 유지된다. 따라서, 세퍼레이터(12)가 융해 또는 유연화되어, 구멍(P)이 폐색되는 것에 그친다. 이에 의해, 리튬 이온(3)의 왕래가 정지되므로, 상술한 과방전 또는 과충전도 정지한다. 이와 같이, 세퍼레이터(12)의 파괴가 억제된다.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세퍼레이터 원단)의 제조 공정>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내열 세퍼레이터(12a)의 제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퍼레이터(12)가 그의 재료로서 주로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세퍼레이터(12)가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제조 공정에 의해, 내열 세퍼레이터(12a)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에 무기 충전제 또는 가소제를 첨가해서 필름 성형한 후, 당해 무기 충전제 및 당해 가소제를 적당한 용매로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12)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로부터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 세퍼레이터일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1)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무기 충전제(예를 들어, 탄산칼슘, 실리카), 또는 가소제(예를 들어,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유동 파라핀)를 혼련하여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얻는 혼련 공정, (2)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서 필름을 성형하는 압연 공정, (3) 공정 (2)에서 얻어진 필름 내에서 무기 충전제 또는 가소제를 제거하는 제거 공정, 및 (4) 공정 (3)에서 얻어진 필름을 연신시켜 세퍼레이터(12)를 얻는 연신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정 (4)를 상기 공정 (2)와 (3) 사이에서 행할 수도 있다.
제거 공정에 의해, 필름 내에 다수의 미세 구멍이 설치된다. 연신 공정에 의해 연신된 필름의 미세 구멍은, 상술한 구멍(P)이 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두께와 투기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미세 다공막인 세퍼레이터(12)가 형성된다.
또한, 혼련 공정에 있어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와, 중량 평균 분자량 1만 이하의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5 내지 200중량부와, 무기 충전제 100 내지 400중량부를 혼련해도 된다.
그 후, 도공 공정에 있어서, 세퍼레이터(12)의 표면에 내열층(4)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12)에, 아라미드/NMP(N-메틸-피롤리돈) 용액(도공액)을 도포하고, 아라미드 내열층인 내열층(4)을 형성한다. 내열층(4)은, 세퍼레이터(12)의 편면에만 설치되어도, 양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내열층(4)으로서, 알루미나/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필러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도공해도 된다.
또한, 도공 공정에 있어서, 세퍼레이터(12)의 표면에, 폴리불화비닐리덴/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도공액)을 도포(도포 공정)하고, 그것을 응고(응고 공정)시킴으로써 세퍼레이터(12)의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층은, 세퍼레이터(12)의 편면에만 설치되어도, 양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도공액을 세퍼레이터(12)에 도공하는 방법은, 균일하게 웨트 코팅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세관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슬릿 다이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딥 코팅법, 롤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바 코터법, 그라비아 코터법, 다이 코터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내열층(4)의 두께는 도공 웨트막의 두께, 도공액 내의 바인더 농도와 필러 농도의 합으로 나타내어지는 고형분 농도, 필러의 바인더에 대한 비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공할 때에 세퍼레이터(12)를 고정 또는 반송하는 지지체로서는, 수지제의 필름, 금속제의 벨트, 드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내열층(4)이 적층된 세퍼레이터 원단(12c)인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제조할 수 있다(도 4). 제조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은, 원통 형상의 코어(53)에 권취된다(도 4). 또한, 이상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대상은,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 제조 방법은 도공 공정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제조되는 대상은 세퍼레이터 원단(12c)이다. 이하에서는, 주로 기능층으로서 내열층을 갖는 내열 세퍼레이터(필름)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기능층을 갖지 않는 세퍼레이터(필름) 및 세퍼레이터 원단(필름 원단)에 대해서도, 동일한 처리(공정)을 행할 수 있다.
<결함 검출 공정>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내열 세퍼레이터의 제조에 있어서는, 세퍼레이터 원단에 내열층을 도공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을 형성하는 도공 공정에 있어서, 검사 장치에 의해 결함을 검출하면, 당해 결함을 갖는 원단에 마커에 의해 선을 긋고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을 권취한다. 그리고, 다음의 슬릿 공정에 있어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을 권출한다. 그 후, 권출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에 상기 마커에 의한 선을 작업원이 시인하면, 작업원은 상기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의 권출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작업원은 상기 마커에 의한 선에 대응하는 결함의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의 폭 방향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한다. 이어서, 상기 마커에 의한 선에 대응하는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의 부분이, 절단 장치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릿되어 복수의 내열 세퍼레이터가 형성된다. 그 후, 작업원은, 상기 마커에 의한 선에 대응하는 결함의 폭 방향의 위치에 대응하는 내열 세퍼레이터의 결함에 대응하는 위치에, 테이프를 당해 내열 세퍼레이터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붙인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가 비어져 나오도록 붙여진 내열 세퍼레이터는 권취 롤러에 권취된다.
이어서, 권취 롤러에 권취된 상기 내열 세퍼레이터는, 되감기 공정에 있어서, 권취 롤러로부터 되감기 롤러에 되감긴다. 그 후, 당해 내열 세퍼레이터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붙여진 테이프를 되감는 도중에 작업원이 발견하면, 되감기 동작을 정지한다. 그리고, 당해 테이프에 대응하는 결함이 존재하는 내열 세퍼레이터의 개소를 폭 방향을 따라서 작업원이 절단해서 제거한다. 이어서, 권취 롤러측의 내열 세퍼레이터와 되감기 롤러측의 내열 세퍼레이터를 연결시킨다. 그 후, 되감기 동작을 통해, 내열 세퍼레이터를 모두 되감기 롤러에 되감는다.
그러나,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에 결함을 검출하면 상기 마커에 의한 선을 긋는 것뿐이므로, 다음의 슬릿 공정에서, 작업원이 상기 마커를 시인하면, 작업원은, 상기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의 권출 동작을 정지시켜, 상기 결함의 폭 방향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을 슬릿한 복수의 내열 세퍼레이터에서의 결함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매우 많은 수고를 요한다.
도 4는, 상기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결함 마킹 방법의 결함 검출 공정 및 결함 정보 기록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4의 (a)는 양 공정의 정면도이며, 도 4의 (b)는 양 공정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결함 검출 공정에 있어서의 기재 결함 검사 장치(55)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결함 검출 공정에 있어서의 도공 결함 검사 장치(57)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결함 검출 공정에 있어서의 핀 홀 결함 검사 장치(58)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세퍼레이터 원단(12c)에, 도공부(54)에서 내열층이 도포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이 코어(53)에 권취된다. 세퍼레이터 원단(12c)의 결함(D)을 검사하는 기재 검사 공정(결함 검출 공정)은, 세퍼레이터 원단(12c)의 조출 공정과 도공 공정의 사이에 배치된 기재 결함 검사 장치(55)(결함 검출부,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에 의해 실시된다. 기재 결함 검사 장치(55)는, 광원(55a)과 검출기(55b)가 세퍼레이터 원단(12c)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광원(55a)으로부터 세퍼레이터 원단(12c)의 표면, 이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어 세퍼레이터 원단(12c)을 투과한 투과광을 검출기(55b)가 검출함으로써, 세퍼레이터 원단(12c)에 존재하는 결함(D)을 검사한다(결함(D)의 위치를 특정함)(결함 검출 공정). 상기 세퍼레이터 원단(12c)에 존재하는 결함(D)은, 관통 구멍(핀 홀)에 따른 결함, 막 두께 부정(不正)에 따른 결함, 및 이물에 따른 결함을 포함한다.
세퍼레이터 원단(12c)에 도포된 내열층(4)의 결함(D)을 검사하는 도공 검사 공정(결함 검출 공정)은, 도공 공정과, 코어(53)에 의한 권취 공정의 사이에 배치된 도공 결함 검사 장치(57)(결함 검출부,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에 의해 실시된다. 도공 결함 검사 장치(57)는,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내열층(4)측에 배치된 광원(57a) 및 검출기(57b)를 갖는다. 도공 결함 검사 장치(57)는, 광원(57a)으로부터 출사되어 내열층(4)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검출기(57b)에서 검출함으로써, 내열층(4)에 존재하는 결함(D)을 검출한다(결함(D)의 위치를 특정함). 상기 내열층(4)에 존재하는 결함(D)은, 줄무늬에 따른 결함, 박리에 따른 결함, 튕김에 따른 결함, 및 표면 불량에 따른 결함을 포함한다. 상기 튕김에 따른 결함이란, 이물, 유분 등으로 도공액이 세퍼레이터 원단(12c)의 표면으로부터 튕겨져서 국소적으로 내열층(4)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형성되어도, 지극히 얇은 내열층(4)이 되는 결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면 불량에 따른 결함이란, 내열층(4)의 막 두께 불량에 따른 결함을 의미한다.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발생하는 핀 홀에 의한 결함(D)을 검사하는 핀 홀 검사 공정(결함 검출 공정)은, 도공 결함 검사 장치(57)와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의 사이에 배치된 핀 홀 결함 검사 장치(58)(결함 검출부,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에 의해 실시된다. 핀 홀 결함 검사 장치(58)는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세퍼레이터 원단(12c)측에 배치된 광원(58a)와, 광원(58a)으로부터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표면, 이면에 수직인 방향을 향해 출사된 광을 통과시키는 슬릿(58c)과, 슬릿(58c)을 통과해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투과한 광에 기초하여 결함(D)을 검출하는(결함(D)의 위치를 특정함) 검출기(58b)를 갖고 있다. 상기 핀 홀에 의한 결함(D)은 수백㎛ 내지 수mm의 직경을 갖는다.
핀 홀 결함 검사 장치(58)와 코어(53)의 사이에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가 배치되어 있다.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는, 기재 결함 검사 장치(55), 도공 결함 검사 장치(57), 핀 홀 결함 검사 장치(58)에 의해 검출된 결함(D)의 위치 정보 등의 결함 정보가 보존된 결함 코드(DC)를, 2차원 코드, QR 코드(등록 상표) 등의 코드 데이터에 의해,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위치에 대응하는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폭 방향의 단부에 기록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위치 정보는, 결함(D)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결함(D)의 종류는, 예를 들어 기재 결함 검사 장치(55)에 의해 검사되는 기재의 구조적 결함, 도공 결함 검사 장치(57)에 의해 검사되는 도포에 따른 결함, 핀 홀 결함 검사 장치(58)에 의해 검사되는 구멍 뚫림에 따른 결함이다.
세퍼레이터 원단(12c),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필름 장력은, 통상 200N/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20N/m 이하이다. 여기서, 「필름 장력」이란, 주행하는 필름의 폭 방향의 단위 길이당 가해지는 주행 방향의 장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필름 장력이 200N/m이면, 필름의 폭 1m에 대하여 200N의 힘이 가해진다. 필름 장력이 200N/m보다도 높으면 필름의 주행 방향으로 주름이 생겨, 결함 검사의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필름 장력은 통상 10N/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N/m 이상이다. 필름 장력이 10N/m보다도 낮으면 필름의 이완이나 사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세퍼레이터 원단(12c),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에는, 구멍(P)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필름 장력은, 광학 필름 등의 구멍이 없는 필름의 필름 장력보다도 작다. 따라서, 세퍼레이터 원단(12c),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은, 광학 필름 등의 구멍이 없는 필름보다도 늘어나기 쉬운 물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위치에 대응하는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폭 방향의 단부에 결함 코드(DC)를 기록하면,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이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도, 결함(D)의 길이 방향의 위치와 결함 코드(DC)의 길이 방향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어긋나지 않는다. 따라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이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도, 결함(D)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결함 코드(DC)가 단부에 기록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은 코어(53)에 권취된다.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권취한 코어(53)는 다음의 슬릿 공정으로 옮겨진다.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도 4)는, 결함(D)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결함 코드(DC)를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위치에 대응하는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폭 방향의 단부에 기록한다. 결함(D)과 결함 코드(DC) 사이의 길이 방향을 따른 거리(LMD)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100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mm 이하이다. 결함 코드(DC)와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폭 방향의 단부 사이의 거리(LTD)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100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mm 이하이다. 또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있어서 폭 방향의 단부는 주름지기 쉽기 때문에, 거리(LTD)는 1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 장치>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이하 「세퍼레이터 원단」)으로부터 형성되는 내열 세퍼레이터(12a)(이하 「세퍼레이터」), 또는 세퍼레이터 원단(12c)으로부터 형성되는 세퍼레이터(12)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 등의 응용 제품에 적합한 폭(이하 「제품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세퍼레이터 원단은, 그 폭이 제품 폭 이상이 되도록 제조된다. 그리고, 일단 제조된 후에, 세퍼레이터 원단은, 제품 폭으로 절단(슬릿)되어 세퍼레이터가 된다.
또한, 「세퍼레이터의 폭」이란, 세퍼레이터가 연장되는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고, 또한 세퍼레이터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세퍼레이터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슬릿이란, 세퍼레이터 원단을 길이 방향(제조에 있어서의 필름의 흐름 방향, MD: Machine direction)을 따라서 절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커트란, 세퍼레이터 원단 또는 세퍼레이터를 횡단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을 따라서 절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횡단 방향(TD)이란, 세퍼레이터의 길이 방향(MD)과 두께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폭 방향)을 의미한다.
도 8은,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하는 슬릿 장치(6)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며, (a)는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b)는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하는 전후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장치(6)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원기둥 형상의 권출 롤러(61)와, 롤러(62 내지 65)와, 복수의 권취 롤러(69)를 구비한다. 슬릿 장치(6)에는, 후술하는 절단 장치(7)(도 9)가 더 설치되어 있다.
<슬릿 전>
슬릿 장치(6)에서는,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감은 원통 형상의 코어(53)가 권출 롤러(61)에 끼워져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 원단(12b)은, 코어(53)로부터 경로 U 또는 L로 권출된다. 권출된 세퍼레이터 원단(12b)은 롤러(63)를 경유하여, 롤러(64)에, 예를 들어 속도 100m/분으로 반송된다. 반송되는 공정에 있어서 세퍼레이터 원단(12b)은, 복수의 세퍼레이터(12a)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릿된다.
<슬릿 후>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세퍼레이터(12a)의 일부는 각각, 복수의 권취 롤러(69)에 끼워진 각 코어(81)(보빈)에 권취된다. 또한, 복수의 세퍼레이터(12a)의 다른 일부는 각각, 복수의 권취 롤러(69)에 끼워진 각 코어(81)(보빈)에 권취된다. 또한, 롤 형상으로 권취된 세퍼레이터를 「세퍼레이터 권회체(필름 권회체)」라 칭한다.
<절단 장치>
도 9는, 도 8의 (a)에 도시된 슬릿 장치(6)의 절단 장치(7)(슬릿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a)는 절단 장치(7)의 측면도이며, (b)는 절단 장치(7)의 정면도이다.
도 9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장치(7)는, 홀더(71)와, 날(72)을 구비한다. 홀더(71)는, 슬릿 장치(6)에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 등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71)는 날(72)과, 반송되는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위치 관계가 고정되도록, 날(72)을 유지하고 있다. 날(72)은, 날카롭게 갈아진 에지에 의해 세퍼레이터의 원단을 슬릿한다.
도 10은, 세퍼레이터(12a)의 결함 위치 특정 방법의 판독 공정(결함 정보 취득 공정), 판정 공정, 표시 부여 공정 및 권취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세퍼레이터 원단(12b)은, 코어(53)(도 8)로부터 일정 속도(예를 들어, 80m/분)로 권출된다. 판독부(73)(결함 정보 취득부)는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폭 방향의 단부에 기록된 결함 코드(DC)를 판독함으로써,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있어서의 결함 정보를 취득한다(결함 정보 취득 공정). 그리고, 슬릿 장치(6)에 설치된 복수의 절단 장치(7)는,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절단하여 복수개의 세퍼레이터(12a)를 형성한다(슬릿 공정).
<결함 제거 공정>
이어서, 판정 장치(75)(판정부)는, 판독부(73)가 판독한 결함 코드(DC)에 기초하여, 세퍼레이터 중, 결함(D)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불량 세퍼레이터(불량 필름)라고 판정한다(판정 공정). 표시 부여 장치(74)는, 판정 장치(75)가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 세퍼레이터(12a)의 결함(D)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L)를 부여한다(결함 표시 부여 공정). 또한, 결함(D)이 복수개 존재할 때는, 판정 장치(75)는 복수개의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여기서, 바람직한 표시(L)로서는, 라벨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표시 부여 장치(74)로서는, 라벨러를 들 수 있다.
표시(L)는, 라벨 대신에, 펜에 의해 묘화된 마크여도 되고, 인젝터에 의해 도포된 마크여도 된다. 또한, 표시(L)는 수지로 구성되는 세퍼레이터(12a)를 가열함으로써 인자되는 서모 라벨이어도 되고, 또한 세퍼레이터(12a)에 레이저로 구멍을 뚫음으로써 표시(L)를 형성해도 된다.
절단 장치(7)에 의해 슬릿된 복수개의 세퍼레이터(12a)는 복수개의 코어(81)에 각각 권취된다(권취 공정).
그리고, 표시 부여 장치(74)는, 결함 코드(DC)에 의해 표시되는 결함(D)의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길이 방향의 위치 정보를 결함 코드(DC2)로서, 상기 특정한 하나의 세퍼레이터(12a)를 권취한 최외주부(86) 및/또는 코어(81)에 기록한다.
도 11은, 세퍼레이터(12a)의 결함 위치 특정 방법의 표시 검지 공정, 및 결함 제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1의 (a)는 표시 검지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1의 (b)는 결함 제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먼저, 표시 검지 장치(83)가 최외주부(86) 및/또는 코어(81)에 기록된 결함 코드(DC2)를 판독한다. 그리고, 표시 검지 장치(83)가 판독한 정보를 받아, 표시 부여 장치(74)에 의해 표시(L)가 부착된 세퍼레이터(12a)의 코어(81)로부터, 코어(82)로의 되감기 동작을 개시한다. 이어서, 표시 검지 장치(83)는, 판독한 결함 코드(DC2)에 의해 표시되는 결함(D)의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길이 방향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함(D)의 위치가 가까워지면, 세퍼레이터(12a)의 상기 되감기 동작의 속도를 감속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12a)의 결함(D)에 대응하는 위치에 붙여진 표시(L)가, 표시 검지 장치(83)에 의해 검지된다(표시 검지 공정). 표시 검지 장치(83)에 의해 표시(L)가 검지되면, 표시 검지 장치(83)가 세퍼레이터(12a)의 되감기 동작을 정지한다. 그 후, 결함 제거 장치(84)는, 표시(L)에 대응하는 결함(D)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세퍼레이터(12a)의 개소를 폭 방향을 따라서 절단하여 결함(D)을 세퍼레이터(12a)로부터 제거한다(결함 제거 공정). 이러한 결함 제거 공정은 결함 제거 장치(84) 대신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실시해도 된다. 그리고, 연결 장치(85)는, 절단된 세퍼레이터(12a)를 연결시킨다(연결 공정). 이러한 연결 공정은, 연결 장치(85) 대신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실시해도 된다. 이어서, 연결 장치(85)는, 세퍼레이터(12a)의 되감기 동작을 재개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12a)의 코어(81)로부터 코어(82)로의 되감기가 완료된다. 여기서, 2개로 분할된 세퍼레이터(12a)는 연결하지 않고, 각각 별도의 코어에 되감아도 된다. 즉, 절단되기 전의 부분을 코어(82)에 되감고, 절단된 후의 부분을 코어(82) 이외의 코어에 되감으면 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존재하는 결함(D)의 위치 정보를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단부에 기록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함(D)의 위치 정보는, 정보 기억 장치에 기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결함 마킹 방법의 결함 검출 공정 및 결함 정보 기록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세퍼레이터(12a)의 결함 위치 특정 방법의 판독 공정, 표시 부착 공정, 및 권취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실시 형태 1에서 상술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따라서, 이들 구성 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a)(결함 정보 기록부, 세퍼레이터 원단 제조 장치)는, 기재 결함 검사 장치(55), 도공 결함 검사 장치(57), 핀 홀 결함 검사 장치(58)에 의해 검출된 세퍼레이터 원단(12cㆍ12b)에 존재하는 결함(D)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정보 기억 장치(91)에 기록한다. 그리고, 판독부(73a)는, 결함(D)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정보를 정보 기억 장치(91)로부터 판독한다(판독 공정).
[실시 형태 3]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4 내지 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는, 결함 코드(DC)를,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록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결함 정보 기록 공정(56)에 의한 결함 코드(DC)의 기록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에 의한 결함 코드(DC)의 기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위 영역>
도 14는, 결함 코드(DC)를 기록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원단의 평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는,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 영역(20)마다, 각 단위 영역(20)에 존재하는 결함(D)에 대응하는 결함 코드(DC)를 기록(형성)한다(결함 정보 기록 공정).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위 영역(20)의 길이는, 예를 들어 250mm로 할 수 있다.
도 14 중에는,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6개의 단위 영역(20a 내지 20f)이 예시되고 있고, 결함(D)이 포함되는 각 단위 영역(20aㆍ20bㆍ20dㆍ20f)에 대응하여 결함 코드(DC)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도 14의 예에서는,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는, 단위 영역(20cㆍ20e)과 같이 결함(D)이 존재하지 않는 단위 영역(20)에는, 대응하는 결함 코드(DC)를 기록하지 않는다.
또한,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는, 단위 영역(20aㆍ20b)과 같이 복수의 결함(D)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20)에는, 복수의 결함(D)의 위치 정보 등을 나타내는 하나의 결함 코드(DC)를 기록한다.
이와 같이, 단위 영역(20)마다 복수의 결함(D)의 위치 정보 등을 나타내는 결함 코드(DC)를 기록함으로써, 하나의 결함(D)에 대하여 하나의 결함 코드(DC)를 기록하는 경우에 비해, 기록하는 결함 코드(DC)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제조 공정을 간이화할 수 있다.
<결함 코드에 담는 정보>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는, 단위 영역(20)에 존재하는 결함(D)의 개수의 정보, 결함(D)의 종류,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표면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결함(D)의 크기 등의 상세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기록한다.
그러나, 단위 영역(20)에 다수의 결함(D)이 존재하는 경우, 모든 결함(D)의 상세 정보를 하나의 결함 코드(DC)에 담을 수 없다.
따라서,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는, 단위 영역(20)을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할 영역(21)으로 나누어, 각 분할 영역(21)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유무 등의 간이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기록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4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3개의 결함(D)이 포함되어 있는 단위 영역(20d)을,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분할 영역(21a 내지 21d)으로 나누어, 각 분할 영역(21a 내지 21d)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유무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분할 영역(21a)에는 결함(D)은 포함되어 있지 않고, 분할 영역(21b)에는 결함(D)이 포함되어 있으며, 분할 영역(21c)에는 결함(D)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분할 영역(21d)에는 결함(D)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간이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기록한다.
이에 의해, 결함 코드(DC)에 담는 정보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분할 영역(21)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분할 영역(21)의 수, 및 각 분할 영역(21)의 폭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는, 단위 영역(20)에 존재하는 결함(D)의 개수에 따라서, 상세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기록하는 제1 모드와, 간이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기록하는 제2 모드를 전환해도 된다.
이에 의해, 결함 코드(DC)에 담을 수 있는 정보량에 제약이 있을 경우에, 정보량의 제약 하에서 적절한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기록할 수 있다.
<판정 공정>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에서는, 판정 장치(75)(판정부)가 하나의 결함(D)에 기초하여 하나의 불량 세퍼레이터를 특정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의 판정 장치(75)에 의한 판정 공정은,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의 판정 장치(75)에 의한 판정 공정과는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판독부(73)가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기록된 결함 코드(DC)를 판독하고, 슬릿 장치(6)가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길이 방향을 따른 슬릿 라인에서 슬릿하고, 판정 장치(75)는 하나의 결함(D)에 기초하여, 실제로 결함(D)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12a) 및 당해 세퍼레이터(12a)에 인접하는 다른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불량 판정함).
그리고, 표시 부여 장치(74)는 실제로 결함(D)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12a)에 당해 결함(D)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L1)(제1 표시)를 부여함과 함께, 당해 세퍼레이터(12a)에 인접하는 다른 세퍼레이터(12a)에 있어서의 표시(L1)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L2)(제2 표시)를 부여한다(결함 표시 부여 공정).
즉, 상기 다른 세퍼레이터(12a)는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표면을 길이 방향을 따른 슬릿 라인(경계선)으로 구획하여 이루어지는 영역에 대응하여 얻어지는 세퍼레이터이며, 슬릿 라인을 사이에 두고 결함(D)에 대향하는 위치에 표시(L2)가 부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릿 장치(6)가, 원하는 슬릿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함으로써, 원래 결함(D)이 포함되어야 하는 세퍼레이터(12a)에 결함(D)이 포함되지 않고, 당해 세퍼레이터(12a)에 인접하는 다른 세퍼레이터(12a)에 결함(D)이 포함되는 것으로 된 경우에도, 당해 다른 세퍼레이터(12a)는 불량 세퍼레이터(12a)라고 판정되어, 결함(D)을 갖는 세퍼레이터(12a)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결함 표시 부여 공정 후의 공정에 있어서, 표시 확인 장치를 사용하여, 표시 부여 장치(74)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 표시(L)가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판독부(73)가 분할 영역마다의 결함 유무의 간이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판독하고, 판정 장치(75)는 적어도 하나의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21)에 기초하여,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21)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세퍼레이터(12a) 및 당해 세퍼레이터(12a)에 인접하는 다른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각 분할 영역(21)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유무에 관한 간이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그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함 제거 장치(84)가 표시(L1ㆍL2)에 기초하여 불량 세퍼레이터의 결함 부분을 절제해도 된다(결함 절제 공정).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가 간이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기록한 경우에 있어서의, 판정 장치(75)에 의한 불량 세퍼레이터의 판정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결함을 포함하는 분할 영역과 슬릿 라인과 불량 세퍼레이터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a)는 하나의 분할 영역이 하나의 세퍼레이터에 대응하는 슬릿 라인에서 세퍼레이터 원단을 슬릿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b)는 2개의 분할 영역이 하나의 세퍼레이터에 대응하는 슬릿 라인에서 세퍼레이터 원단을 슬릿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c)는 3개의 분할 영역이 하나의 세퍼레이터에 대응하는 슬릿 라인에서 세퍼레이터 원단을 슬릿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d)는 분할 영역을 분단하는 슬릿 라인에서 세퍼레이터 원단을 슬릿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15에서는 결함 코드(DC)의 표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15 중의 ×표시는, 분할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결함(D)이, 슬릿 후의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존재할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1 분할 영역이 1 세퍼레이터에 대응>
도 15의 (a)의 예에서는,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는 세퍼레이터(12a)의 폭과 같은 폭을 갖는 각 분할 영역(21a 내지 21d)에 있어서의 간이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기록한다. 판독부(73)는 상기 결함 코드(DC)를 판독한다. 슬릿 장치(6)는 각 분할 영역(21a 내지 21d)의 경계선에 따른 슬릿 라인에서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함으로써, 각 분할 영역(21a 내지 21d)에 대응하여 세퍼레이터(12aa 내지 12ad)를 얻는다.
이와 같이,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21)의 경계선에 따른 슬릿 라인에서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하는 경우, 슬릿 위치가 어긋남으로써 원래 결함이 포함되어야 하는 세퍼레이터(12a)에 인접하는 다른 세퍼레이터(12a)에 결함이 포함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판정 장치(75)는,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21)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함과 함께,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21)의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분할 영역(21)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다른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즉,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영역(21c)에 결함(D)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판정 장치(75)는, 분할 영역(21c)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세퍼레이터(12ac)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함과 함께, 분할 영역(21c)의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분할 영역(21b)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세퍼레이터(12ab) 및 분할 영역(21d)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세퍼레이터(12ad)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판정 공정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12a)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슬릿 위치의 어긋남에 의해 결함이 포함되기 쉬운 세퍼레이터(12a)를 적절하게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결함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잘못해서 양품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해 버릴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2 분할 영역이 1 세퍼레이터에 대응>
도 15의 (b)의 예에서는,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는 세퍼레이터(12a)의 폭에 1/2의 폭을 갖는 각 분할 영역(21aa 내지 21db)에 있어서의 간이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기록한다. 판독부(73)는 상기 결함 코드(DC)를 판독한다. 슬릿 장치(6)는, 각 분할 영역(21aa 내지 21db)의 경계선 중 하나 건너뛴 경계선에 따른 슬릿 라인에서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한다. 이에 의해, 분할 영역(21aaㆍ21ab)에 대응하여 세퍼레이터(12aa)를 얻고, 분할 영역(21baㆍ21bb)에 대응하여 세퍼레이터(12ab)를 얻으며, 분할 영역(21caㆍ21cb)에 대응하여 세퍼레이터(12ac)를 얻고, 분할 영역(21daㆍ21db)에 대응하여 세퍼레이터(12ad)를 얻는다.
본 실시 형태의 판정 장치(75)는,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21)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함과 함께,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21)과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분할 영역(21)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다른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즉,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영역(21ca)에 결함(D)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판정 장치(75)는, 분할 영역(21ca)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세퍼레이터(12ac)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함과 함께, 분할 영역(21ca)의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분할 영역(21ca)과 인접하는 분할 영역(21bb)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다른 세퍼레이터(12ab)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도 15의 (a)에 나타나는 예와 같이, 하나의 분할 영역(21)에 대응하여 하나의 세퍼레이터(12a)를 얻도록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하는 경우,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21)에 대응하는 세퍼레이터(12a)의 양쪽 인접한 세퍼레이터(12a)에 결함(D)이 포함되기 쉬워, 양쪽 인접한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하나의 결함(D)에 대하여 3개의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하게 된다.
이에 비해, 도 15의 (b)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21ca)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세퍼레이터(12ac)의 양쪽 인접한 세퍼레이터(12abㆍ12ad) 중, 한쪽 세퍼레이터(12ad)에는 당해 결함(D)이 포함되기 어려워, 세퍼레이터(12ad)를 불량 세퍼레이터(12)라고 판정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실제로는 결함(D)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불량 세퍼레이터(12)라고 판정하는 세퍼레이터(12a)를 저감시킬 수 있다.
<3 분할 영역이 1 세퍼레이터에 대응>
도 15의 (c)의 예에서는,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는 세퍼레이터(12a)의 폭의 1/3의 폭을 갖는 각 분할 영역(21aa 내지 21dc)에 있어서의 간이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기록한다. 판독부(73)는 상기 결함 코드(DC)를 판독한다. 슬릿 장치(6)는 각 분할 영역(21aa 내지 21dc)의 경계선 중 두개 건너뛴 경계선에 따른 슬릿 라인에서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한다. 이에 의해, 분할 영역(21aaㆍ21abㆍ21ac)에 대응하여 세퍼레이터(12aa)를 얻고, 분할 영역(21baㆍ21bbㆍ21bc)에 대응하여 세퍼레이터(12ab)를 얻으며, 분할 영역(21caㆍ21cbㆍ21cc)에 대응하여 세퍼레이터(12ac)를 얻고, 분할 영역(21daㆍ21dbㆍ21dc)에 대응하여 세퍼레이터(12ad)를 얻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판정 장치(75)는,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21)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함과 함께,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21)과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분할 영역(21)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다른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즉,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영역(21da)에 결함(D)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판정 장치(75)는 분할 영역(21da)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세퍼레이터(12ad)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함과 함께, 분할 영역(21da)의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분할 영역(21da)과 인접하는 분할 영역(21cc)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다른 세퍼레이터(12ac)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분할 영역(21da)에 결함(D)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판정 장치(75)는 분할 영역(21da)의 경계선에 겹치는 슬릿 라인에서 분단되는 2개의 세퍼레이터(12acㆍ12ad)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도 15의 (b)에 나타나는 예와 같이, 두개의 분할 영역(21)에 대응하여 하나의 세퍼레이터(12a)를 얻도록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하는 경우,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21)에 대응하는 세퍼레이터(12a)의 인접한 세퍼레이터(12a)에 결함(D)이 포함되기 쉬워, 인접한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하나의 결함(D)에 대하여 2개의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하게 된다.
이에 비해, 도 15의 (c)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하나의 세퍼레이터(12a)에 대응하는 3개의 분할 영역(21) 중 한가운데의 분할 영역(21)에 결함(D)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하나의 결함(D)에 대하여 하나의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즉,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영역(21ab)에 결함(D)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분할 영역(21ab)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세퍼레이터(12aa)의 인접한 세퍼레이터(12ab)에는 당해 결함(D)이 포함되기 어려워, 세퍼레이터(12ab)를 불량 세퍼레이터(12)라고 판정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실제로는 결함(D)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불량 세퍼레이터(12)라고 판정하는 세퍼레이터(12a)를 저감시킬 수 있다.
<분할 영역을 분단하는 슬릿 라인>
도 15의 (a) 내지 (c)의 예는, 슬릿 장치(6)가 각 분할 영역(21)의 경계선에 따른 슬릿 라인에서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하는 예였지만, 분할 영역(21)의 경계선과 슬릿 라인의 위치 관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의 (d)의 예에서는,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는 교대로 배열된 폭이 좁은 분할 영역(21aaㆍ21baㆍ21caㆍ21daㆍ21ea)(제1 분할 영역)과, 폭이 넓은 분할 영역(21abㆍ21bbㆍ21cbㆍ21db)(제2 분할 영역)에 있어서의 간이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기록한다. 판독부(73)는 상기 결함 코드(DC)를 판독한다. 슬릿 장치(6)는 폭이 좁은 분할 영역을 분단하는 슬릿 라인에서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함으로써, 각 폭이 넓은 분할 영역과 분단된 2개의 폭이 좁은 분할 영역에 대응하여 각 세퍼레이터(12aa 내지 12ad)를 얻는다.
폭이 좁은 분할 영역에 결함(D)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이 분단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2개의 세퍼레이터(12a)는, 모두 결함(D)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판정 장치(75)는, 결함(D)을 갖는 분할 영역이 분단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2개의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바꿔 말하면, 판정 장치(75)는, 슬릿 라인에 겹치는 분할 영역에 결함(D)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분할 영역에 겹치는 2개의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또한, 폭이 넓은 분할 영역에 결함(D)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당해 폭이 넓은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하나의 세퍼레이터(12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즉, 도 1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영역(21da)에 결함(D)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판정 장치(75)는, 분할 영역(21da)가 분단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2개의 세퍼레이터(12acㆍ12ad)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분할 영역(21da)에 결함(D)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판정 장치(75)는, 분할 영역(21da)에 겹치는 슬릿 라인에서 분단되는 2개의 세퍼레이터(12acㆍ12ad)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또한, 분할 영역(21ab)에 결함(D)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판정 장치(75)는, 분할 영역(21ab)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하나의 세퍼레이터(12a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판정 공정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12a)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결함이 포함되기 쉬운 세퍼레이터(12a)를 적절하게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결함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잘못해서 양품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해 버릴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폭이 넓은 분할 영역을 분단하는 슬릿 라인에서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하는 경우에 비해, 폭이 좁은 분할 영역을 분단하는 슬릿 라인에서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하는 경우, 분단되는 분할 영역에 결함이 포함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실제로는 결함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하는 세퍼레이터를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4]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6 내지 1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세퍼레이터(12a)의 결함 위치 특정 방법의 판독 공정, 표시 부여 공정 및 권취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실시 형태 3의 제조 방법은, 슬릿 공정과 표시 부여 공정을 이 순서대로 처리하는 제조 방법이었지만, 이들 각 공정의 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은, 표시 부여 공정과 슬릿 공정을 이 순서대로 처리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 3의 제조 방법과는 상이하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독부(73)가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기록된 결함 코드(DC)를 판독하고(결함 정보 취득 공정), 판정 장치(75)가 결함 코드(DC)에 기초하여,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있어서 슬릿 후에 불량 세퍼레이터가 되는 부분을 특정하며(판정 공정), 표시 부여 장치(74)는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대하여 불량 세퍼레이터가 되는 부분에 표시(L)를 부여한다(원단 결함 표시 부여 공정).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슬릿 후의 세퍼레이터(12a)에 표시(L)를 부여할 경우, 슬릿 공정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12a)의 폭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의 영향에 의해,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위치와, 슬릿 후의 세퍼레이터(12a)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위치가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결함(D)에 대하여 부여되는 표시(L)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해,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있어서의 결함(D)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슬릿 전에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대하여 표시(L)를 부여함으로써, 결함(D)에 대응하는 정확한 위치에 표시(L)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표시(L1) 및 표시(L2)는 슬릿 라인에 겹치지 않도록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슬릿 공정에 있어서 표시(L1ㆍL2)가 절단되어 불량 세퍼레이터의 판별이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결함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가 부여된 세퍼레이터 원단 또는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a)는 본래의 슬릿 라인을 파선으로 나타낸 것이며, (b)는 본래의 위치로부터 어긋난 슬릿 라인을 파선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7은, 결함 정보 기록 장치(56)가 도 1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배치된 폭이 좁은 분할 영역과, 폭이 넓은 분할 영역에 있어서의 간이 정보를 담은 결함 코드(DC)를 기록한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예시한 것이다.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좁은 분할 영역(21ba)에 3개의 결함(D)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판정 장치(75)는, 분할 영역(21ba)이 분단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2개의 세퍼레이터(12abㆍ12aa)를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한다. 표시 부여 장치(74)는,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있어서의,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된 세퍼레이터(12ab)에 대응하는 부분에 표시(L1)를 부여함과 함께, 불량 세퍼레이터라고 판정된 세퍼레이터(12aa)에 대응하는 부분에 표시(L2)를 부여한다. 표시(L1ㆍL2)는 대응하는 결함(D)의 주위에 부여된다.
그 후, 슬릿 장치(6)는 상기 표시(L1ㆍL2)가 부여된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한다.
또한, 실시 형태 3의 제조 방법과 같이, 슬릿 공정과 표시 부여 공정을 이 순서대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표시 부여 장치(74)는, 슬릿 후의 세퍼레이터(12ab)에 표시(L1)를 부여함과 함께, 세퍼레이터(12aa)에 표시(L2)를 부여한다. 슬릿 공정 전에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표시를 부여한 경우, 슬릿 공정에 있어서 표시가 절단될 리스크가 있지만, 슬릿 후의 세퍼레이터(12abㆍ12aa)에 표시(L1ㆍL2)를 부여함으로써, 이러한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다.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공정에 있어서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본래의 슬릿 라인에서 슬릿한 경우, 세퍼레이터(12ab)에 결함(D)이 포함되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본래의 위치로부터 어긋난 슬릿 라인에서 슬릿한 경우, 세퍼레이터(12aa)에 결함(D)이 포함되는 것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세퍼레이터(12ab)에 대응하는 부분에 표시(L1)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세퍼레이터(12aa)에 대응하는 부분에 표시(L2)를 부여한다. 또한, 실시 형태 3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슬릿 후의 세퍼레이터(12ab)에 표시(L1)를 부여함과 함께, 세퍼레이터(12aa)에 표시(L2)를 부여한다.
그로 인해, 슬릿 라인이 본래의 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려, 세퍼레이터(12aa)에 결함(D)이 포함되는 것으로 된 경우에도, 불량 세퍼레이터인 세퍼레이터(12aa)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 원단의 제조 방법은, 세퍼레이터 원단을 형성하는 형성 공정과, 상기 형성 공정에 의해 형성한 세퍼레이터 원단에 존재하는 결함을 검출하는 결함 검출 공정과, 상기 세퍼레이터 원단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결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기록하는 결함 정보 기록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세퍼레이터 원단」이란, 슬릿되기 전의 폭이 넓은 세퍼레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세퍼레이터 원단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결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기록하므로, 당해 기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세퍼레이터 원단에 존재하는 결함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세퍼레이터 원단에 존재하는 결함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 원단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결함 정보는, 상기 세퍼레이터 원단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결함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세퍼레이터 원단의 길이 방향」은, 세퍼레이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조 대상물이 반송되는 방향에 상당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결함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권회된 세퍼레이터 원단으로부터 세퍼레이터 원단을 권출할 때에 상기 결함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 원단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결함 정보는, 상기 세퍼레이터 원단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결함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결함 정보가 기록된 위치에 기초하여, 세퍼레이터 원단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결함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 원단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결함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결함 정보가 기록되므로, 세퍼레이터 원단이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도, 결함과 결함 정보의 길이 방향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어긋나지 않는다. 따라서, 세퍼레이터 원단이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도, 결함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은, 세퍼레이터 원단을 형성하는 형성 공정과, 상기 형성 공정에 의해 형성한 세퍼레이터 원단에 존재하는 결함을 검출하는 결함 검출 공정과, 상기 세퍼레이터 원단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결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기록하는 결함 정보 기록 공정과, 상기 결함 정보 기록 공정에 의해 상기 위치 정보가 기록된 결함을 갖는 세퍼레이터 원단을 상기 원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절단한 복수의 세퍼레이터를 형성하는 절단 공정과, 상기 위치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공정과, 상기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절단 공정에 의해 절단된 복수의 세퍼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결함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를 부여하는 표시 부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절단 공정에 의해 절단된 복수의 세퍼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함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를 부여하므로, 세퍼레이터 원단을 슬릿한 복수의 세퍼레이터 중 당해 결함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의 결함 부위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표시 부여 공정에 의해 결함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가 부여된 복수의 세퍼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권취하는 권취 공정과, 상기 권취 공정에 의해 권취된 복수의 세퍼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되감으면서 상기 표시를 검지하는 표시 검지 공정과, 상기 표시 검지 공정에 의한 표시의 검지에 따라서 되감기 동작을 정지시켜 상기 결함을 제거하는 결함 제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권취 공정 후에 결함을 제거하므로, 권취 공정에서 권취를 정지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결함 제거 공정은, 상기 결함의 길이 방향의 양측 세퍼레이터의 개소를 폭 방향을 따라서 절단하여 상기 결함을 상기 세퍼레이터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절단한 세퍼레이터를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세퍼레이터 원단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한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결함 정보 기록 공정은,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세퍼레이터 원단의 폭 방향의 단부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세퍼레이터 원단의 폭 방향의 단부를 판독함으로써 결함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결함 정보 기록 공정은, 상기 위치 정보를 정보 기억 장치에 기록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정보 기억 장치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결함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표시 부여 공정은, 라벨을 붙임으로써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 원단은, 자기의 결함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정보를 폭 방향의 단부에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 원단 제조 장치는, 세퍼레이터 원단을 형성하는 형성부와, 상기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세퍼레이터 원단에 존재하는 결함을 검출하는 결함 검출부와, 상기 세퍼레이터 원단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결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기록하는 결함 정보 기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4 내열층
6 슬릿 장치(슬릿부)
7 절단 장치(절단기)
12 세퍼레이터(필름)
12a 내열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필름)
12b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 세퍼레이터 원단(필름 원단)
12c 세퍼레이터 원단
54 도공부(필름 원단 제조 장치)
55 기재 결함 검사 장치(결함 검출부, 필름 원단 제조 장치)
57 도공 결함 검사 장치(결함 검출부, 필름 원단 제조 장치)
58 핀 홀 결함 검사 장치(결함 검출부, 필름 원단 제조 장치)
56, 56a 결함 정보 기록 장치(결함 정보 기록부, 필름 원단 제조 장치)
73 판독부
74 표시 부여 장치
75 판정 장치(판정부)
81 코어
82 코어
83 표시 검지 장치
84 결함 제거 장치
85 연결 장치
86 최외주부
91 정보 기억 장치
D 결함
DC, DC2 결함 코드
L 표시

Claims (19)

  1. 필름 원단에 있어서의 결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취득하는 결함 정보 취득 공정과,
    상기 필름 원단을, 길이 방향을 따른 슬릿 라인에서 슬릿하여 복수의 필름을 얻는 슬릿 공정과,
    하나의 상기 결함에 관한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슬릿 후의 필름의 불량 판정을 행함으로써, 실제로 상기 결함을 포함하는 필름 및 당해 필름에 인접하는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정보 취득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 정보로서, 상기 필름 원단의 표면 영역을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나눈 분할 영역마다의 결함 유무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을 갖는 하나의 상기 분할 영역에 관한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함을 갖는 상기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필름 및 당해 필름에 인접하는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공정에서는,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선에 따른 슬릿 라인에서 상기 필름 원단을 슬릿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을 갖는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당해 분할 영역에 인접하는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상기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공정에서는, 복수의 상기 분할 영역에 대응하여 각 상기 필름을 얻도록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선에 따른 슬릿 라인에서 상기 필름 원단을 슬릿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을 갖고 또한 각 상기 필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당해 분할 영역에 인접하는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상기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공정에서는, 3개의 상기 분할 영역에 대응하여 각 상기 필름을 얻도록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선에 따른 슬릿 라인에서 상기 필름 원단을 슬릿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을 갖고 또한 각 상기 필름에 대응하는 상기 3개의 분할 영역 중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분할 영역의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당해 분할 영역에 인접하는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상기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공정에서는, 상기 분할 영역을 분단하는 슬릿 라인에서 상기 필름 원단을 슬릿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을 갖는 상기 분할 영역이 분단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2개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정보 취득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 정보로서, 서로 교대로 배열되는 제1 분할 영역과 상기 제1 분할 영역보다도 폭이 넓은 제2 분할 영역의 결함 유무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슬릿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분할 영역을 분단하는 슬릿 라인에서 상기 필름 원단을 슬릿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을 갖는 상기 제1 분할 영역이 분단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2개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8. 필름 원단에 있어서의 결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취득하는 결함 정보 취득 공정과,
    상기 필름 원단을, 길이 방향을 따른 슬릿 라인에서 슬릿하여 복수의 필름을 얻는 슬릿 공정과,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슬릿 후의 필름의 불량 판정을 행하는 판정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결함 정보 취득 공정에서는, 상기 결함 정보로서, 상기 필름 원단의 표면 영역을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나눈 분할 영역마다의 결함 유무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결함이 존재하는 상기 분할 영역이 상기 슬릿 라인에 겹치지 않을 경우에는, 당해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하나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고, 결함이 존재하는 상기 분할 영역 또는 그 경계선이 상기 슬릿 라인에 겹칠 경우에는, 당해 슬릿 라인에서 분단되는 2개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원단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 영역마다의 상기 결함 정보를 기록하는 결함 정보 기록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정보 기록 공정에서는, 상기 단위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분할 영역마다의 상기 결함 유무의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정보 기록 공정에서는, 상기 단위 영역에 있어서의 결함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결함 정보로서, 상기 단위 영역에 있어서의 결함의 개수 정보, 각 결함의 위치 정보 및 각 결함의 크기 정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록하는 제1 모드와,
    상기 결함 정보로서, 상기 단위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분할 영역마다의 상기 결함 유무의 정보를 기록하는 제2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로 결함을 포함하는 필름에 당해 결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표시를 부여함과 함께,
    상기 다른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표시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표시를 부여하는 결함 표시 부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 원단에 있어서의 상기 실제로 결함을 포함하는 필름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결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표시를 부여함과 함께, 상기 필름 원단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필름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상기 제1 표시의 위치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동시킨 위치에 제2 표시를 부여하는 원단 결함 표시 부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표시 및 상기 제2 표시가 부여된 상기 필름 원단을 슬릿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결함 표시 부여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표시 및 상기 제2 표시를, 상기 슬릿 라인에 겹치지 않도록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불량 필름의 일부를 절제하는 결함 절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16. 필름 원단에 있어서의 결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취득하는 결함 정보 취득부와,
    상기 필름 원단을, 길이 방향을 따른 슬릿 라인에서 슬릿하여 복수의 필름을 얻는 슬릿부와,
    하나의 상기 결함에 관한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슬릿 후의 필름의 불량 판정을 행함으로써, 실제로 상기 결함을 포함하는 필름 및 당해 필름에 인접하는 다른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장치.
  17. 필름 원단에 있어서의 결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취득하는 결함 정보 취득부와,
    상기 필름 원단을, 길이 방향을 따른 슬릿 라인에서 슬릿하여 복수의 필름을 얻는 슬릿부와,
    상기 결함 정보에 기초하여 슬릿 후의 필름의 불량 판정을 행하는 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함 정보 취득부는, 상기 결함 정보로서, 상기 필름 원단의 표면 영역을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나눈 분할 영역마다의 결함 유무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판정부에서는, 결함이 존재하는 상기 분할 영역이 상기 슬릿 라인에 겹치지 않을 경우에는, 당해 분할 영역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하나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고, 결함이 존재하는 상기 분할 영역 또는 그 경계선이 상기 슬릿 라인에 겹칠 경우에는, 당해 슬릿 라인에서 분단되는 2개의 필름을 불량 필름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장치.
  18. 결함을 갖는 필름 원단의 표면을 길이 방향을 따른 경계선으로 구획하여 이루어지는 영역마다 대응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필름 중 하나의 필름이며,
    상기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결함이 포함되는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얻어지고,
    상기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결함에 대향하는 위치에 표시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19. 제18항에 기재된 필름이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필름 권회체.
KR1020177010258A 2014-10-10 2015-09-18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제조 장치 KR101759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09414 2014-10-10
JPJP-P-2014-209414 2014-10-10
JPPCT/JP2015/052749 2015-01-30
PCT/JP2015/052749 WO2016056253A1 (ja) 2014-10-10 2015-01-30 セパレータ原反の製造方法、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セパレータ原反、及びセパレータ原反製造装置
PCT/JP2015/076651 WO2016056379A1 (ja) 2014-10-10 2015-09-18 フィルム製造方法、フィルム製造装置、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捲回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514A true KR20170054514A (ko) 2017-05-17
KR101759468B1 KR101759468B1 (ko) 2017-07-18

Family

ID=5565288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010A KR102270352B1 (ko) 2014-10-10 2015-01-30 세퍼레이터 원단의 제조 방법,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세퍼레이터 원단, 및 세퍼레이터 원단 제조 장치
KR1020177010261A KR101780172B1 (ko) 2014-10-10 2015-09-18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제조 장치
KR1020177010258A KR101759468B1 (ko) 2014-10-10 2015-09-18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제조 장치
KR1020177010573A KR101751672B1 (ko) 2014-10-10 2015-09-18 세퍼레이터 원단의 제조 방법,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세퍼레이터 원단 권회체, 및 세퍼레이터 원단 제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010A KR102270352B1 (ko) 2014-10-10 2015-01-30 세퍼레이터 원단의 제조 방법,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세퍼레이터 원단, 및 세퍼레이터 원단 제조 장치
KR1020177010261A KR101780172B1 (ko) 2014-10-10 2015-09-18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제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573A KR101751672B1 (ko) 2014-10-10 2015-09-18 세퍼레이터 원단의 제조 방법,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세퍼레이터 원단 권회체, 및 세퍼레이터 원단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665838B2 (ko)
JP (4) JP5815909B1 (ko)
KR (4) KR102270352B1 (ko)
CN (5) CN106796184B (ko)
WO (4) WO20160562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6184B (zh) * 2014-10-10 2019-11-19 住友化学株式会社 隔膜及隔膜卷料的制造方法、隔膜卷料及其制造装置
JP7014512B2 (ja) * 2015-12-22 2022-02-01 住友化学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電池用セパレータ製造装置
KR102248231B1 (ko) * 2016-01-18 2021-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분리막 코팅방법
JP6770855B2 (ja) * 2016-08-31 2020-10-21 住友化学株式会社 セパレータ捲回体、セパレータ捲回体の製造方法およびラベル検査方法
JP6933513B2 (ja) * 2016-11-30 2021-09-08 住友化学株式会社 欠陥検査装置、欠陥検査方法、セパレータ捲回体の製造方法、及びセパレータ捲回体
EP3339845A3 (en) * 2016-11-30 2018-09-12 Sumitomo Chemical Company, Ltd Defect inspection device, defect inspection method, method for producing separator roll, and separator roll
JP6930157B2 (ja) * 2017-03-16 2021-09-0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フィルム検査システム及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1094953A (zh) * 2017-09-19 2020-05-01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非破坏检查方法
IT201700112283A1 (it) * 2017-10-06 2019-04-06 Italia Tech Alliance S R L Procedimento ed impianto per produrre bobine di prodotti sottili
JP6563469B2 (ja) * 2017-12-15 2019-08-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極接合方法及び電極接合装置
NL2020361B1 (en) 2018-01-31 2019-08-07 Airborne Int B V Tape sectioning system and method of sectioning tape
JP7044583B2 (ja) 2018-02-22 2022-03-30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ィルムの製造方法、フィルム捲回装置
RU2757557C1 (ru) * 2018-07-08 2021-10-18 Лохиа Корп Лимите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дефектов лент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х линиях
CN109585937B (zh) * 2018-12-12 2021-04-20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卷绕自动识别隔膜标签的方法
DE102019127454B4 (de) * 2019-03-29 2023-05-04 Windmöller & Hölscher Kg System zur verbesserten Einführung einer Trennvorrichtung sowie Blasfolienanlag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Bereitstellung von zumindest zwei Folienbahnen aus Kunststoff in einer Blasfolienanlage
CN109967375B (zh) * 2019-04-18 2021-04-16 苏州方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极耳检测设备
JP7277244B2 (ja) * 2019-04-25 2023-05-18 住友化学株式会社 スリット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スリットセパレータの製造装置
CN111180650A (zh) * 2020-01-06 2020-05-19 深圳市海目星激光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极耳成型方法及成型装置
CN114953764B (zh) * 2021-02-18 2023-08-22 恒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偏光膜缺点汇整标记系统
EP4047675A1 (en) * 2021-02-23 2022-08-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cutting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ler in a li-ion battery winding machine and medium
KR20230000877A (ko) 2021-06-26 2023-01-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분리막 통기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통기도 검사방법
KR102450342B1 (ko) * 2021-08-10 2022-10-04 (주)피엔티 원단의 불량 부분 표시 장치
JP7288989B1 (ja) 2022-01-31 2023-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光学フィルムの検査方法
EP4310040A1 (en) * 2022-07-20 2024-01-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implemented tracking of production history of a continuous web
CN116730056B (zh) * 2023-08-15 2023-10-27 江苏铭丰电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测缺陷的铜箔收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6015A (en) 1973-05-04 1974-04-23 Eastman Kodak Co Detection of defects in a moving web of material
IT1257545B (it) 1992-06-15 1996-01-30 Olivetti & Co Spa Apparecchiatura facsimile con stampante a getto d'inchiostro.
JPH08101130A (ja) 1994-09-29 1996-04-16 Fuji Xerox Co Ltd 表面欠陥検査装置
US6219930B1 (en) 1998-02-27 2001-04-24 Randall M. McPhers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or calculating an estimate of damaged surface repair cost
JP2002228429A (ja) * 2001-01-30 2002-08-14 Tonen Chem Corp フィルムの評価方法及びスリットフィルムの品質管理方法
JP2002292853A (ja) * 2001-03-29 2002-10-09 Tomoegawa Paper Co Ltd マーキングシステム、マーキング方法およびマーキング装置
JP4343456B2 (ja) * 2001-04-03 2009-10-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シート状製品の欠陥マーキング方法および装置
CH696527A5 (fr) 2003-05-16 2007-07-31 Bobst Sa Procédé de contrôle de la qualité d'éléments plats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édé.
JP2006194721A (ja) 2005-01-13 2006-07-27 Nagase & Co Ltd 欠陥マーキング装置
US20060164647A1 (en) 2005-01-13 2006-07-27 Nagase & Co., Ltd. Apparatus for marking a defect
JP4552680B2 (ja) 2005-02-10 2010-09-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金属帯の製造方法およびマーキング付き金属帯
JP2006337630A (ja) 2005-06-01 2006-12-14 Sumitomo Chemical Co Ltd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8082910A (ja) * 2006-09-28 2008-04-10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シート材加工における欠陥部指示方法及び欠陥部指示装置
JP5248052B2 (ja) * 2006-10-11 2013-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を有するシート状製品の欠点検査装置、その検査データ処理装置、その切断装置及びその製造システム
JP5228459B2 (ja) 2007-11-30 2013-07-03 ダ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検査群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4737569B2 (ja) 2008-01-29 2011-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システム
JP5415709B2 (ja) 2008-03-31 2014-02-1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仕分けシステム
JP2009244064A (ja) 2008-03-31 2009-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フィルムの検査方法
JP2010032346A (ja) 2008-07-29 2010-02-12 Panasonic Corp 二次電池用電極群の検査方法
JP2010244875A (ja) * 2009-04-07 2010-10-28 Panasonic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4503690B1 (ja) 2009-10-13 2010-07-14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を連続製造する装置に用いられる情報格納読出システム、及び、前記情報格納読出システム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5519330B2 (ja) 2010-02-26 2014-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切断情報決定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帯状偏光シートの製造方法、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帯状偏光シート及び偏光シート原反
JP5569791B2 (ja) * 2010-04-14 2014-08-13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作製用原反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691205B1 (ja)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高機能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5502023B2 (ja) 2010-09-03 2014-05-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の製造方法
JP5701679B2 (ja) 2010-09-03 2015-04-15 日東電工株式会社 矩形形状のパネルに偏光膜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を順次的に貼り付ける方法及び装置
JP5361941B2 (ja) 2010-09-03 2013-12-0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積層体ストリップロールの製造方法
JP5511730B2 (ja) 2010-09-03 2014-06-0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的パネル組立体の連続的製造方法及び装置
JP5478553B2 (ja) 2010-09-03 2014-04-23 日東電工株式会社 連続ウェブ状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474869B2 (ja) 2010-09-03 2014-04-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積層体ストリップロールの製造方法
CN103459283B (zh) * 2011-03-30 2016-07-06 东丽株式会社 微孔塑料膜卷的制造方法
ES2400656B1 (es) 2011-06-28 2014-06-02 Airbus Operations, S.L. Procedimiento de marcado y reconocimiento de defectos en material prepreg
TWI557969B (zh) * 2011-10-21 2016-11-11 帝人股份有限公司 非水系蓄電池用分隔器及非水系蓄電池
CN202562855U (zh) * 2012-05-18 2012-11-28 山东正华隔膜技术有限公司 用于分切机上隔膜在线瑕疵检测装置
CN203450889U (zh) * 2013-08-06 2014-02-26 达尼特材料科技(芜湖)有限公司 多层隔膜复合机
CN103515562B (zh) * 2013-09-30 2016-02-03 长沙理工大学 一种新型锂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EP3074760A1 (en) 2013-11-26 2016-10-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vices and methods for assessment of surfaces
CN106796184B (zh) 2014-10-10 2019-11-19 住友化学株式会社 隔膜及隔膜卷料的制造方法、隔膜卷料及其制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430A (ko) 2017-06-14
WO2016056380A1 (ja) 2016-04-14
JP6017093B2 (ja) 2016-10-26
KR101751672B1 (ko) 2017-06-27
CN106796183A (zh) 2017-05-31
CN109616602A (zh) 2019-04-12
CN106796184B (zh) 2019-11-19
US20170307971A1 (en) 2017-10-26
JP6017092B2 (ja) 2016-10-26
US20170307543A1 (en) 2017-10-26
WO2016056378A1 (ja) 2016-04-14
US10665838B2 (en) 2020-05-26
CN106796182A (zh) 2017-05-31
US20170317327A1 (en) 2017-11-02
JP6017091B2 (ja) 2016-10-26
WO2016056253A1 (ja) 2016-04-14
CN109616602B (zh) 2021-09-24
KR102270352B1 (ko) 2021-06-30
CN107076679B (zh) 2018-11-13
CN106796184A (zh) 2017-05-31
KR101759468B1 (ko) 2017-07-18
US10355256B2 (en) 2019-07-16
US10168285B2 (en) 2019-01-01
JPWO2016056378A1 (ja) 2017-04-27
CN107076679A (zh) 2017-08-18
KR20170046183A (ko) 2017-04-28
KR101780172B1 (ko) 2017-09-19
CN106796182B (zh) 2018-11-23
CN106796183B (zh) 2018-07-24
JP5815909B1 (ja) 2015-11-17
US10177358B2 (en) 2019-01-08
WO2016056379A1 (ja) 2016-04-14
JPWO2016056380A1 (ja) 2017-04-27
JPWO2016056379A1 (ja) 2017-04-27
US20170307542A1 (en) 2017-10-26
KR20170047402A (ko) 2017-05-04
JPWO2016056253A1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468B1 (ko)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제조 장치
KR101633244B1 (ko) 전지용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제조 방법 및 전지용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제조 장치
TW201611387A (zh) 電池隔板用微多孔膜捲繞物及其製造方法
KR101931414B1 (ko)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제조 장치
KR20180092302A (ko) 권취 코어, 세퍼레이터 권회체
JP6794315B2 (ja) フィルム捲回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