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725A - 화상 형성장치,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장치,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725A
KR20170045725A KR1020160134027A KR20160134027A KR20170045725A KR 20170045725 A KR20170045725 A KR 20170045725A KR 1020160134027 A KR1020160134027 A KR 1020160134027A KR 20160134027 A KR20160134027 A KR 20160134027A KR 20170045725 A KR20170045725 A KR 20170045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image
image
gamma correction
correction information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926B1 (ko
Inventor
유스케 야마모토
히사시 이시카와
히카루 우치다테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5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 H04N1/603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04N1/4076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references outside the picture
    • H04N1/4078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references outside the picture using gradational references, e.g. grey-scale test pattern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04N1/4072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27Correction or control of colour gradation or colour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 H04N1/603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 H04N1/6036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involving periodic tests or tests during use of the mach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8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 H04N1/6091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by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or humid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 H04N1/405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producing a clustered dots or a size modulated halftone pattern
    • H04N1/4056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producing a clustered dots or a size modulated halftone pattern the pattern varying in one dimension only, e.g. dash length, pulse width modulation [PW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02Corrections within particular colour systems
    • H04N1/6008Corrections within particular colour systems with primary colour signals, e.g. RGB or CMY(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환경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쓸데 없는 패치 화상의 출력을 회피하면서 고정밀도의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을 실현할 수 있는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화상 형성장치는, 감마 보정 정보를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의 농도 계조를 보정하고, 보정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을 형성하며, 패치 화상을 사용해서 상기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된 갱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갱신부는, 제1 갱신으로서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을 사용해서 상기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고, 제2 갱신으로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을 사용해서 상기 제1 갱신에 의해 갱신된 상기 감마 보정 정보를 더 갱신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장치,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방법, 및 기억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UPDATING METHOD OF GAMMA CORRECTION INFORMATION,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농도 보정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등의 화상처리 장치에서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처리장치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감마특성(입출력 특성)에 따른 농도 보정을 행하고, 농도 보정후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화상을 종이 등의 기록매체에 형성한다. 이때의 농도 보정은, 미리 설정된 감마 보정 정보에 근거해서 행해진다. 감마 보정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지만, 감마특성은 감광체 드럼, 전사 벨트 등의 경년 열화 또는 부품 교환에 의해 변화한다. 또한, 감마특성은 온도/습도 등의 환경 변동에 의해서도 변화된다. 감마특성이 변화된 경우에는, 그 변화에 따라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지 않으면, 기대하는 농도를 재현할 수 없어, 화질이 열화할 가능성이 있다.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치 화상을 전사 벨트나 종이 등에 출력하고, 출력한 패치 화상의 농도를 센서 등으로 검출함으로써, 농도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이 있다.
그렇지만, 통상 상태로부터 큰 환경 변동이 일어난 경우에, 화상 처리장치는 패치 화상을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없어, 패치 화상의 출력 농도가 환경 변동량으로부터 상정되는 농도보다 높아지는 경우가 빈번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계조의 패치 화상으로부터 동일 농도가 검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농도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갱신된 감마 보정 정보는, 감마특성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계조 점프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국 특개 2008-85564호 공보에서는, 농도가 낮은 영역의 복수 패치 화상 및 농도가 높은 영역의 복수 패치 화상에서 동일 농도가 검출된 경우에, 각 영역에 있어서 가장 높은 농도 또는 가장 낮은 농도 중 한개를 선택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계조 점프의 발생을 줄이도록 감마 보정 정보가 갱신된다.
그렇지만, 일본국 특개 2008-85564호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농도가 낮은 영역 및 높은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패치 화상을 출력하고 있지만, 동일 농도를 갖는 패치 화상이 존재하는 경우, 감마 보정 곡선을 설정하기 위해서 유효한 농도 정보의 수가 감소해 버린다. 즉, 감마 보정 곡선의 설정에 필요한 농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쓸데 없는 패치 화상을 출력하게 되어, 토너를 쓸데없이 소비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쓸데 없는 패치 화상의 출력을 회피하기 위해서 패치 화상 수를 줄인 경우에는, 농도가 낮은 영역 및 높은 영역에 있어서 고정밀도로 농도 보정을 더 할 수 없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는, 감마 보정 정보를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의 농도 계조를 보정하고, 보정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로서, 패치 화상을 사용해서 상기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된 갱신부를 갖고, 상기 갱신부는, 제1 갱신으로서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을 사용해서 상기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고, 제2 갱신으로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을 사용해서 상기 제1 갱신에 의해 갱신된 상기 감마 보정 정보를 더 갱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쓸데 없는 패치 화상의 출력을 회피하면서 고정밀도의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다.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장치의 논리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3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는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패치 화상의 출력 도트의 배치방법을 나타낸 모식도다.
도 5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장치의 논리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6은,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는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장치의 논리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8은,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는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1]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다.
화상 형성장치(1)는 4 드럼 방식의 칼라 레이저빔 프린터의 구조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화상 형성장치(1)의 하부에, 전사재 카세트(53)가 장착되어 있다. 전사재 카세트(53)에 세트된 기록매체(기록지, 투과 시트 등)는, 급지 롤러(54)에 의해 한 장씩 추출되어, 반송 롤러 쌍(55-a, 55-b)에 의해 화상 형성부로 급송된다. 화상 형성부에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전사 반송 벨트(10)가 복수의 회전 롤러에 의해 기록매체 반송 방향(도 1에서는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설치되고, 전사 반송 벨트(10)의 최상류부에 있어서는, 기록매체가 반송 벨트(10)에 정전흡착된다. 또한, 벨트 반송면에 대향해서, 4개의 드럼 형상의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14-C, 14-M, 14-Y, 14-K)이 직선 형상으로 설치되어서 화상 형성부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C, Y, M 및 K는 색 성분들, 즉 시안, 옐로우, 마젠타 및 블랙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색 성분마다의 화상 형성부는 탑재하는 토너의 색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C색용의 화상 형성부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한다.
C색용의 화상 형성부는, 감광체 드럼 14-C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기 50-C와, 감광체 드럼 14-C 위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 52-C와, 노광부 51-C를 갖는다. 현상기 52-C와 대전기 50-C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설치되어 있다. 노광부 51-C는, 대전기 50-C에 의해 그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 드럼 14-C를, 상기한 간격을 거쳐, 레이저 스캐너를 포함하는 노광부 51-C로부터의 레이저 빔으로 주사 노광한다. 주사 노광함으로써, 주사 노광된 부분이 비노광 부분과 다른 대전상태로 진입하여, 정전잠상이 생성된다. 현상기 52-C는 상기한 정전잠상에 토너를 전이시켜서 현상한다.
또한, 전사 반송 벨트(10)의 반송면을 사이로 끼워 전사부 57-C가 배치되어 있다. 감광체 드럼 14-C의 주면 위에 형성(현상)된 토너 상은, 전사부 57-C에서 형성되는 전사 전계에 의해, 반송되어 온 기록매체 위에 전하 흡착되어서, 기록매체면 위에 전사된다.
상기 색 성분 C에 관한 처리를 다른 색 성분 Y, M, K에 대해서도 행함으로써, C, M, Y, K의 각 색 토너가 기록매체에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그후, 기록매체 상의 각 색 토너가 열용융 및 정착된 후, 기록매체가 배지 롤러 쌍(59-a, 59-b)에 의해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은 각 색 성분의 토너 상을 기록매체 위에 직접 전사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화상 형성장치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 색 성분의 토너 상을 일단 전사 반송 벨트 위에 전사한 후, 그 전사 반송 벨트에 생성된 토너 상을 기록매체에 다시 전사하는(2차 전사하는) 구성도 허용된다. 이러한 2차 전사를 행하는 경우의 전사 벨트를 중간 전사 벨트라고 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장치의 논리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감마 보정 처리부(201)는, 감마 보정 정보 격납부(202)에 격납된 감마 보정 정보를 사용하여, 입력된 화상 데이터(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감마 보정(농도 보정)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CMYK의 각 색공간으로 변환된 다치의 화상 데이터(CMYK 데이터)이며, 감마 보정 처리부(201)는, 각각의 색의 농도 계조를 타겟 계조로 보정한다. 도 2에 표시되지 않고 있지만, 입력 화상 데이터가 CMYK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 입력 화상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가 감마 보정 이전에 행해진다.
감마 보정 정보 격납부(202)는, 감마 보정 정보를 룩업 테이블(LUT)에 격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마 보정 정보를 LUT로서 격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으로서 감마 보정 정보를 격납해도 된다.
하프톤 처리부(203)는, 감마 보정(농도 보정)후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하프톤 처리를 실시하여, 화상 데이터를 보다 적은 계조수를 갖는 하프톤 데이터로 변환한다.
펄스폭 변조(PWM) 신호 생성부(204)는, 공지의 PWM 신호를 생성하고 PWM 신호를 화상 형성부(205)에 출력한다.
화상 형성부(205)는, PWM 신호에 따라 화상 형성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노광부 51-C 및 노광부 51-M, 51-Y 및 51-K에 의해, 감광체 드럼 14-C, 14-M, 14-Y 및 14-K에 주사 노광이 행해진다. 주사 노광시의 노광량은, PWM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그리고, 현상기 52-C 및 현상기 52-M, 52-Y 및 52-K에 의해 현상한다.
패치 화상 출력 지시부(206)는, 패치 화상 격납부(2061) 및 패치 화상 선택부(2062)를 포함한다. 패치 화상 선택부(2062)가, 패치 화상 격납부(2061)에 격납된 패치 화상 중에서,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서 출력할 패치 화상을 선택한다. 선택한 패치 화상의 데이터를 입력 화상 데이터로서 감마 보정 처리부(201)에 입력하여, 패치 화상의 출력 지시기 내려진다. 패치 화상 출력 지시부(206)의 지시에 따라, 감마 보정 처리부(201), 하프톤 처리부(203) 및 PWM 신호 생성부(204)의 처리가 실행되고, 패치 화상이 화상 형성부(205)에 의해 형성된다.
농도 검출부(207)는, 형성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를 검출한다. 농도 검출부(207)가 행하는 농도 검출에는 공지의 수법이 사용되어도 된다.
감마 보정 정보 갱신부(208)는,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 및 감마 보정 정보 설정부(2082)를 포함하고, 감마 보정 정보 격납부(202)에 격납된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한다.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는, 농도 검출부(207)에 의해 검출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에 근거하여 감마 보정 정보를 산출한다. 감마 보정 정보 설정부(2082)는, 화상 형성장치의 감마 보정 정보를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에 의해 산출된 감마 보정 정보로 설정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는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텝 S301에 있어서, 패치 화상 선택부(2062)가 패치 화상 격납부(2061)에 격납된 패치 화상 중에서, 화상 형성장치의 케이싱 내의 환경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 패치 화상(환경 변동에 대한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을 선택한다. 패치 화상 격납부(2061)에 격납된 패치 화상 중에서, 어떤 패치 화상이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인지, 및 어떤 패치 화상이 환경 변동에 대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인지는, 패치 화상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는, 패치 화상의 출력 도트의 배치방법(이하, 도트 배치)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되고, 패치 화상에 관련시켜 패치 화상 격납부(2061)에 격납된다.
칼라 레이저빔 프린터에 있어서 도트를 형성하는 경우에, 노광에 의한 감광체 위의 전위의 분포는 이상적인 사각형 형상의 분포가 아니고, 예를 들면, 가우시언 분포이다. 그 때문에, 도트 배치에 따라, 감광체 위의 전위가 충분히 저하할 수 없기 때문에 토너를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치 화상의 도트 배치에 근거하여, 환경 변동에 대한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인지 아닌지(패치 화상의 출력 안정성), 및 환경 변동에 대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인지 아닌지(패치 화상의 감도)가 결정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치 화상의 출력 도트의 배치를 나타낸 모식도다. 간략을 위해, 3×3 도트의 패턴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치 화상은, 이러한 패턴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고, 반복되는 패턴의 사이즈는 3×3 도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패턴 401, 402, 403과 같은 복수의 도트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조밀하게 연결한 패치 화상은, 환경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 패치 화상(환경 변동에 대한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인 것으로 정해진다. 복수의 도트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조밀하게 연결한 패턴 401, 402, 403에 대해서는, 화상 형성시에 노광 스폿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흑 화소 위치의 전위가 충분히 저하하여, 토너가 안정적으로 부착된다. 그 때문에, 큰 환경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도트가 안정적으로 출력된다. 즉, 큰 환경 변동에 의해 감마특성이 크게 변화한 경우에도, 이러한 패치 화상의 출력 농도에 근거하여, 환경 변동에 의한 농도 변동의 경향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감마 보정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패턴 404, 405, 406과 같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도트가 성긴 패치 화상에 대해서는, 큰 환경 변동에 의해 감마특성이 크게 변화한 경우에, 도트가 안정적으로 출력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들 패턴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 패치 화상은, 환경 변동에 대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인 것으로 정해진다. 환경 변동의 발생으로 인해, 패턴 404 및 405에 대해서는 화상 형성시에 흑 화소 위치의 전위가 충분히 저하하지 않아, 토너가 안정적으로 부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패턴 406에 대해서는, 화상 형성시에 백 화소 위치의 전위가 그 주위에 있는 흑 화소 위치에서의 노광의 영향으로 인해 저하하기 때문에, 백 화소가 사라지는 경우가 있다.
패치 화상의 출력 안정성 정보 및 감도 정보를 계산 결과를 기초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트의 주위의 변 중에서 백 화소에 접하는 변(외측 변)의 수와 도트의 면적의 비율은, 출력 안정성 및 감도와 상관이 있다. 패턴 405의 예에서는, 도트 면적 3에 대하여, 외측 변의 수는 12이므로, 상기 비율은 1/4이 된다. 또한, 패턴 402의 예에서는, 도트 면적 6에 대하여, 외측 변의 수는 10이므로, 상기 비율은 3/5가 된다. 상기 비율이 클수록 출력 안정성이 높은 경향이 있으며, 상기 비율이 제1 비율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출력 안정성 정보에 출력 안정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된다. 상기 비율이 작을수록 감도가 높은 경향이 있으므로, 상기 비율이 제2 비율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감도 정보에 감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된다. 여기에서, 제2 비율 임계값은, 제1 비율 임계값과 같은 값 또는 제1 비율 임계값보다 작은 값이다.
또한, 패치 화상의 출력 안정성 정보 및 감도 정보를 실험 결과를 기초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준비한 복수의 패치 화상을, 다양한 현상 조건, 노광 조건, 다양한 온도 및 습도에서 출력하고 측정하여, 농도 변동이 어느 정도 생기고 있는지를 실험적으로 검사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농도 변동의 정도가 제1 농도 변동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출력 안정성 정보에 출력 안정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된다. 농도 변동의 정도가 제2 농도 변동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감도 정보에 감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된다. 여기에서, 제2 농도 변동 임계값은, 제1 농도 변동 임계값과 같은 값 또는 제1 농도 변동 임계값보다 큰 값이다.
상기한 것과 같이, 스텝 S301에서는, 패치 화상 선택부(2062)는, 패턴 401, 402, 403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패치 화상과 같이, 환경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 패치 화상을 선택한다.
스텝 S302에 있어서, 패치 화상 출력 지시부(206)가, 스텝 S301에서 선택된 패치 화상의 출력을 지시한다. 패치 화상 출력 지시부(206)의 지시에 따라, 감마 보정 처리부(201), 하프톤 처리부(203) 및 PWM 신호 생성부(204)의 처리가 실행되고, 패치 화상이 화상 형성부(205)에 의해 형성된다.
스텝 S303에 있어서, 농도 검출부(207)가, 스텝 S302에서 형성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를 검출한다. 농도를 검출하는 수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CCD 소자 등의 센서에 의해 전사 벨트 위에 형성된 토너의 반사 농도를 검출하여, 검출한 반사 농도로부터 패치 화상의 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이 있다. 농도를 검출하는 수법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수법을 사용해도 된다.
스텝 S304에 있어서,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가, 스텝 S303에서 검출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로부터 감마 보정 정보를 산출한다.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는, 입력 화상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 전체를 등분할해서 얻어지는 등분할된 격자점에 대응하는 농도를 감마 보정 정보로서 격납한다. 정확한 감마특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의 격자점에 대응하는 농도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농도 정보가 취득되지 않고 있는 격자점에 대해서는,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는, 농도 정보가 취득된 근방의 격자점의 농도 정보를 사용하여, 보간처리, 예를 들면, 선형보간을 실행함으로써, 감마 보정 정보를 산출한다.
스텝 S303에서 검출된 농도는, 환경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 패치 화상의 농도이다. 그 때문에, 스텝 S304에서는,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는, 환경 변동에 의한 농도 변동의 경향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감마 보정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스텝 S305에 있어서, 감마 보정 정보 설정부(2082)가, 화상 형성장치의 감마 보정 정보를 스텝 S304에서 산출된 감마 보정 정보로 갱신한다.
스텝 S306에 있어서, 패치 화상 선택부(2062)가, 고정밀도의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을 위한 패치 화상을 선택한다. 본 스텝에서 선택되는 패치 화상은, 환경 변동에 의해 출력 농도가 크게 변동하는 패치 화상, 즉 환경 변동에 대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이다.
스텝 S307에 있어서, 패치 화상 출력 지시부(206)가, 스텝 S306에서 선택된 패치 화상의 출력을 지시한다. 패치 화상 출력 지시부(206)의 지시에 응답하여, 감마 보정 처리부(201), 하프톤 처리부(203) 및 PWM 신호 생성부(204)의 처리가 실행되고, 패치 화상이 화상 형성부(205)에 의해 형성된다. 본 스텝에서는, 스텝 S305에서 갱신된 감마 보정 정보가 사용되므로, 환경 변동에 대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이라도, 화상 형성부(205)는,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스텝 S308에 있어서, 농도 검출부(207)가, 스텝 S307에서 형성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를 검출한다.
스텝 S309에 있어서,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가, 스텝 S308에서 검출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로부터 감마 보정 정보를 산출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스텝 S304에서는, 농도 정보가 취득되지 않고 있는 격자점의 감마 보정 정보가, 보간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산출된다. 보간처리에 의해 산출된 농도 정보가 스텝 S308에서 취득된 농도 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는, 스텝 S308에서 취득된 농도 정보를 사용해서 보간처리를 재실행한다.
스텝 S310에 있어서, 감마 보정 정보 설정부(2082)가, 화상 형성장치의 감마 보정 정보를 스텝 S309에서 산출된 감마 보정 정보로 설정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스텝 S301 내지 S305에서는, 환경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출력 안정성을 중시하는 제1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을 행한다. 스텝 S306 내지 S310에서는, 환경 변동에 대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에 근거하여, 고정밀도의 제2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을 행한다. 스텝 S307의 화상 형성은, 제1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을 행한 후의 화상 형성이므로, 스텝 S307의 화상 형성에서는, 고감도의 패치 화상이라도,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 결과, 쓸데 없는 패치 화상의 출력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309에 있어서의 감마 보정 정보 산출에서는, 환경 변동에 대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가 사용되므로, 산출된 감마 보정 정보는 고정밀도의 감마 보정 정보이다. 이 때문에, 고정밀도의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환경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쓸데 없는 패치 화상의 출력을 회피하면서 고정밀도의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스텝 S306 내지 S310에서는, 환경 변동에 대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을 선택해서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을 행하지만, LUT의 격자점에 가까운 농도의 패치 화상을 선택해서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을 행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환경 변동에 대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 및 LUT의 격자점에 가까운 농도의 패치 화상을 선택해서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2]
제1 실시형태에서는, 패치 화상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출력 안정성에 근거하여, 환경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 패치 화상을 고유하게 선택한다. 그렇지만, 환경의 변동량 또는 변동한 내용에 따라, 환경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 패치 화상이 변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환경의 변동량 또는 변동한 내용에 따라, 모든 패치 화상을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경의 변동량 또는 변동한 내용에 따라,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없는 패치 화상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장치의 논리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감마 보정 처리부(201), 감마 보정 정보 격납부(202), 하프톤 처리부(203), PWM 신호 생성부(204), 화상 형성부(205), 농도 검출부(207),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 및 감마 보정 정보 설정부(2082)는 제1실시형태와 같다.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1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환경 변동 검출부(501)는, 현시점에 있어서의 온도와 습도 등 환경정보를 검출하고, 전회의 감마 보정 정보 갱신시의 환경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환경 변동 정보를 취득한다.
패치 화상 출력 지시부(502)는, 패치 화상 격납부(5021) 및 패치 화상 선택부(5022)를 포함한다. 패치 화상 선택부(5022)가, 환경 변동 검출부(501)에 의해 검출된 환경 변동 정보에 따라,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없는 패치 화상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패치 화상마다 어떤 환경 변동의 경우에 패치 화상을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지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는, 패치 화상에 관련시켜 패치 화상 격납부(5021)에 격납되어 있고, 패치 화상 선택부(5022)에 의해 안정성 판정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도 4의 패턴 405와 같은 패치 화상은, 환경의 변동량이 변동량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고, 환경의 변동량이 변동량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 것으로 판정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는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텝 S601에 있어서, 환경 변동 검출부(501)가, 농도 변동에 관련되는 환경정보를 검출하고, 이 환경정보를 전회의 감마 보정 정보 갱신시의 환경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환경 변동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온도/습도 센서 등에 의해 화상 형성장치의 케이싱 내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한다. 환경 변동 검출부(501)는, 각종 센서를 사용해서 정착기의 정착 온도와 감광체 드럼의 바이어스 등의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되는 환경정보는, 패치 화상의 출력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이면 다른 정보이어도 된다.
스텝 S602에 있어서, 패치 화상 선택부(5022)가, 스텝 S60에서 검출된 환경 변동 정보에 따라, 패치 화상 격납부(2061)에 격납된 패치 화상 중,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없는 패치 화상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없는 패치 화상이 존재하는 경우에, 처리는 스텝 S603으로 진행하고,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없는 패치 화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처리는 스텝 S608로 진행한다.
스텝 S603에 있어서, 패치 화상 선택부(5022)가, 검출된 환경 변동 정보에 따라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 패치 화상을 선택한다.
스텝 S604 내지 S612의 처리는, 도 3의 스텝 S302 내지 S310의 처리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경의 변동량 또는 변동한 내용에 따라,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없는 패치 화상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없는 패치 화상이 존재하는 경우에, 우선,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출력 안정성을 중시하는 제1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이 행해진다. 그리고, 환경 변동에 대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에 근거하여 고정밀도의 제2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이 행해진다.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없는 패치 화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출력 안정성을 중시하는 제1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은 행해지지 않고, 환경 변동에 대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에 근거하여 고정밀도의 제2 감마 보정 정보 갱신만이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환경 변동의 상황에 따른 패치 화상 선택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경의 변동량 또는 변동한 내용에 따라 패치 화상의 출력 안정성을 판정함으로써, 쓸데 없는 패치 화상의 출력을 한층 더 회피할 수 있다.
[실시형태3]
제1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형성장치는, 패치 화상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출력 안정성에 근거하여,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 패치 화상을 선택한다. 제2실시형태의 화상 형성장치는, 환경의 변동량 또는 변동한 내용에 따라,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없는 패치 화상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통상,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없는 패치 화상을 출력한 경우에 검출되는 출력 농도는, 환경 변동량으로부터 상정되는 농도와 크게 다른 일이 많다. 이 이유는, 부착되는 토너량의 미소한 변동보다는, 토너가 부착되는지 아닌지가 출력 농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환경 변동에 대한 패치 화상의 출력 안정성을 농도 검출 결과로부터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특성을 이용해서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을 행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장치의 논리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감마 보정 처리부(201), 감마 보정 정보 격납부(202), 하프톤 처리부(203), PWM 신호 생성부(204), 화상 형성부(205), 농도 검출부(207),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 및 감마 보정 정보 설정부(2082)는, 제1실시형태와 같다.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패치 화상 출력 지시부(701)는, 패치 화상 격납부(7011) 및 패치 화상 선택부(7012)를 포함한다. 패치 화상 선택부(7012)가, 패치 화상 격납부(7011)에 격납된 패치 화상 중에서, 출력할 패치 화상을 선택한다.
출력 안정성 판정부(702)는, 패치 화상의 농도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환경 변동에 대한 패치 화상의 출력 안정성을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패치 화상 선택부(7012)가 패치 화상 격납부(7011)에 격납된 패치 화상군의 전체 패치 화상을 선택하고, 패치 화상의 출력을 지시한다. 형성된 패치 화상의 농도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패치 화상의 출력 안정성이 판정된다. 출력 안정성이 높다고 판정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가,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에 의해 감마 보정 정보 산출을 위해 사용된다. 이렇게, 출력 안정성을 중시하는 제1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이 행해진다. 그리고, 제1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이 행해진 후에, 패치 화상 선택부(7012)가, 출력 안정성이 낮다고 판정된 패치 화상을 선택하여, 패치 화상의 출력을 지시한다. 형성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제2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이 행해진다. 출력 안정성이 낮은 패치 화상은, 환경 변동에 대한 감도가 높다. 이 때문에, 이러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를 사용하는 제2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은, 고정밀도의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이 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는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텝 S801 내지 S803에 있어서, 전체 패치 화상이 선택되고 출력되어, 출력된 전체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가 검출된다.
스텝 S804에 있어서, 출력 안정성 판정부(702)가, 검출된 농도 정보에 근거하여, 환경 변동에 대한 패치 화상의 출력 안정성을 판정한다. 통상, 감마 보정 정보는, 입력 계조값에 대하여 매끄럽게 변동한다. 따라서, 주변의 패치 화상의 농도에 대하여 급격하게 변화되는 농도를 갖는 패치 화상은,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없었다고 판정된다. 즉, 이 패치 화상은 환경 변동에 대한 출력 안정성이 낮은 패치 화상으로 판정된다. 이와 달리, 미리 다양한 환경 변동에 있어서, 패치 화상의 농도가 변동하는 레인지(최대값 및 최소값)를 측정하고, 스텝 S803에서 검출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가 상정 범위 내(소정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는, 이 패치 화상이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없었다고 판정된다. 즉, 이 패치 화상은 환경 변동에 대한 출력 안정성이 낮은 패치 화상으로 판정된다.
스텝 S805에 있어서,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가, 스텝 S804에 있어서 출력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판정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를 제외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에 근거하여 감마 보정 정보를 산출한다. 즉,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는, 환경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에 근거하여 감마 보정 정보를 산출한다. 또한, 보간처리에 의해, 전체 격자점의 감마 보정 정보를 산출한다. 본 스텝에서 산출된 감마 보정 정보는, 안정적으로 출력가능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만을 사용해서 산출한 보정 정보이므로, 환경 변동에 의한 농도 변동의 경향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감마 보정 정보이다.
스텝 S806에 있어서, 감마 보정 정보 설정부(2082)가, 화상 형성장치의 감마 보정 정보를 스텝 S805에서 산출된 감마 보정 정보로 설정한다. 스텝 S805 및 본 스텝에서 행해지는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은, 출력 안정성을 중시하는 제1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이다.
스텝 S807에 있어서, 패치 화상 선택부(7012)가, 스텝 S804의 판정에 의해 출력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판정된 패치 화상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출력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판정된 패치 화상이 존재하는 경우에, 처리는 스텝 S808로 진행하고, 출력 안정성이 낮은 패치 화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본 처리 플로우는 종료한다.
스텝 S808 내지 S810에 있어서, 스텝 S804의 판정 결과에 의해 출력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판정된 패치 화상이 선택되어 출력되고, 출력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가 검출된다. 스텝 S809에서의 화상 형성은, 스텝 S805 및 스텝 S806의 감마 보정 정보 갱신이 행해진 후의 화상 형성이므로, 스텝 S809의 화상 형성에서는, 스텝 S804의 판정에 있어서 출력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판정된 패치 화상이라도 안정적으로 출력 가능하다.
스텝 S811에 있어서, 감마 보정 정보 산출부(2081)가, 스텝 S810에서 검출된 농도 정보로부터 감마 보정 정보를 산출한다. 스텝 S812에 있어서, 감마 보정 정보 설정부(2082)가, 화상 형성장치의 감마 보정 정보를 스텝 S811에서 산출된 감마 보정 정보로 설정한다. 스텝 S811 및 S812의 처리는, 도 3의 스텝 S309 및 S310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농도 검출 결과로부터, 패치 화상의 출력 안정성을 판정한다. 그것에 의해, 환경 변동을 검출하는 센서와 기구 등을 새롭게 추가할 필요가 없이, 환경 변동의 상황에 따른 패치 화상 선택이 가능해진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9)

  1. 감마 보정 정보를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의 농도 계조를 보정하고, 보정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로서,
    패치 화상을 사용해서 상기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된 갱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갱신부는, 제1 갱신으로서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을 사용해서 상기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고, 제2 갱신으로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을 사용해서 상기 제1 갱신에 의해 갱신된 상기 감마 보정 정보를 더 갱신하는 화상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은,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케이싱 내의 환경 변동에 대한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이고, 복수의 도트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조밀하게 연결한 패치 화상인 화상 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은,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케이싱 내의 환경 변동에 대한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이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도트가 성긴 패치 화상인 화상 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은, 패치 화상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출력 안정성 정보에 근거해서 결정되는 화상 형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은, 패치 화상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감도 정보에 근거해서 결정되는 화상 형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케이싱 내의 환경 변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환경 변동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은, 상기 환경 변동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환경 변동에 따라 결정되는 화상 형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소정의 패턴으로 구성된 패치 화상군의 모든 패치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형성부와,
    상기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패치 화상의 농도 정보가 소정 범위 내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갱신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농도 정보가 상기 소정 범위 내인 패치 화상을, 상기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으로서 상기 제1 갱신에 사용하고, 상기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농도 정보가 상기 소정 범위 내가 아닌 패치 화상을, 상기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으로서 상기 제2 갱신에 사용하는 화상 형성장치.
  8. 감마 보정 정보를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의 농도 계조를 보정하고, 보정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방법으로서,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을 사용해서 상기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는 제1 갱신 단계와,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을 사용해서 상기 제1 갱신 단계에 의해 갱신된 상기 감마 보정 정보를 더 갱신하는 제2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방법.
  9. 컴퓨터에, 감마 보정 정보를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의 농도 계조를 보정하고, 보정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갱신방법은,
    출력 안정성이 높은 패치 화상을 사용해서 상기 감마 보정 정보를 갱신하는 제1 갱신 단계와,
    감도가 높은 패치 화상을 사용해서 상기 제1 갱신 단계에 의해 갱신된 상기 감마 보정 정보를 더 갱신하는 제2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매체.
KR1020160134027A 2015-10-19 2016-10-17 화상 형성장치,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방법, 및 기억매체 KR102106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5516A JP6624881B2 (ja) 2015-10-19 2015-10-19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5-205516 2015-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725A true KR20170045725A (ko) 2017-04-27
KR102106926B1 KR102106926B1 (ko) 2020-05-06

Family

ID=5852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027A KR102106926B1 (ko) 2015-10-19 2016-10-17 화상 형성장치,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57459B2 (ko)
JP (1) JP6624881B2 (ko)
KR (1) KR102106926B1 (ko)
CN (1) CN1070406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4278B2 (ja) 2015-10-19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濃度補正方法
JP6630129B2 (ja) 2015-11-16 2020-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6659122B2 (ja) 2015-11-16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68343B2 (ja) 2016-05-06 2020-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58997B2 (ja) 2016-08-23 2020-09-23 キヤノン株式会社 色分解処理装置、色分解処理方法、色分解lutの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95821B2 (ja) 2017-06-28 2021-06-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9096928A (ja) 2017-11-17 2019-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7210294B2 (ja) 2018-01-26 202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204428A (ja) 2018-05-25 2019-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14404B2 (ja) 2018-08-31 2023-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20040334A (ja) 2018-09-12 2020-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87278B2 (ja) 2018-11-15 202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855877B2 (en) 2018-12-03 2020-12-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EP3664429B1 (en) 2018-12-07 2022-07-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834288B2 (en) 2018-12-21 2020-11-10 Canon Kabushiki Kaisha Generating image region dot data based on corrected number of dots and determined arrangement priority
JP2020100064A (ja) 2018-12-21 2020-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020985B2 (en) 2019-01-31 2021-06-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7391619B2 (ja) 2019-11-07 2023-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75928B2 (ja) 2020-03-31 2024-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60196A (ja) 2020-03-31 2021-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81935B2 (ja) 2020-07-21 2024-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9220A (ja) * 2004-03-18 2005-09-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濃度補正方法、画像形成装置の色補正方法及び画像出力システム
JP2007323024A (ja) * 2006-06-05 2007-12-1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15087407A (ja) * 2013-10-28 2015-05-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9933A (en) * 1973-10-29 1999-01-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3441994B2 (ja) * 1999-02-24 2003-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0253252A (ja) * 1999-03-02 2000-09-14 Canon Inc 複写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366018B2 (ja) * 2001-01-17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リント装置
JP4214699B2 (ja) * 2002-01-15 2009-01-2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542582B2 (ja) * 2002-01-07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289980B2 (ja) * 2003-03-07 2009-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及び画像形成方法
JP3854965B2 (ja) * 2003-12-24 2006-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86268B2 (ja) * 2004-05-07 2009-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649233B2 (ja) * 2005-03-02 2011-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033571A (ja) * 2005-07-22 2007-02-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8085564A (ja) 2006-09-27 2008-04-10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757760B2 (ja) * 2006-09-29 2011-08-24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記録装置
JP5113592B2 (ja) * 2008-03-31 2013-01-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装置
JP5383137B2 (ja) * 2008-09-30 2014-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44597B2 (ja) * 2009-06-03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24576B2 (ja) * 2009-11-10 2014-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5576712B2 (ja) * 2010-05-14 2014-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717361B2 (ja) * 2010-06-09 2015-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28638B2 (ja) * 2010-06-28 2013-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3011792A (ja) * 2011-06-30 2013-01-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922898B2 (ja) 2011-09-15 2016-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12778B2 (ja) * 2012-05-11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濃度検出パターンの検出方法及び形成方法
EP3664427A1 (en) * 2012-11-16 2020-06-10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for executing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4174400A (ja) * 2013-03-11 2014-09-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濃度補正処理方法
JP6353271B2 (ja) 2013-06-04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9749496B2 (en) 2013-06-19 2017-08-29 Canon Kabushiki Kaisha Performing halftone processing using intra-cell sum value differences applied so as to correct boundary pixels
EP2963908B1 (en) 2014-07-01 2020-10-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316135B2 (ja) 2014-08-01 2018-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06985B2 (ja) 2015-08-06 2020-06-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584278B2 (ja) 2015-10-19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濃度補正方法
JP6604837B2 (ja) * 2015-12-15 2019-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9220A (ja) * 2004-03-18 2005-09-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濃度補正方法、画像形成装置の色補正方法及び画像出力システム
JP2007323024A (ja) * 2006-06-05 2007-12-1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15087407A (ja) * 2013-10-28 2015-05-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40691B (zh) 2019-08-13
JP6624881B2 (ja) 2019-12-25
KR102106926B1 (ko) 2020-05-06
JP2017079365A (ja) 2017-04-27
US20170111548A1 (en) 2017-04-20
US10057459B2 (en) 2018-08-21
CN107040691A (zh)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926B1 (ko) 화상 형성장치, 감마 보정 정보의 갱신방법, 및 기억매체
US87976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gradation correction method with density unevenness detection
JP571736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2269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安定化制御方法、および画像安定化制御プログラム
JP2009015211A (ja) 画像形成装置
US94595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orrects image forming condition based on measurement result of measurement image
US809028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 correction method
US93724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olding tone correction table
US985167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adjusts image forming conditions
US96784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adjusts maximum density
JP2007006204A (ja) 画像形成装置
US94361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orrection unit that corrects tone correction table
US931074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color misregistration by the same
JP2014178593A (ja) 画像形成装置
JP674506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322974A (ja) 画像形成装置
JP4832150B2 (ja) 画像補正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109900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image form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correcting exposure amounts
JP5938367B2 (ja) センサー特性補正方法
JP2018077516A (ja) 画像形成装置
US2015031754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orrects image forming condition
JP6624096B2 (ja) 画像形成装置、電圧調整方法
JP2006270771A (ja) 画像処理装置
JP200805212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1777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