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117A - 점착 시트 및 표시체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및 표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117A
KR20170045117A KR1020160128239A KR20160128239A KR20170045117A KR 20170045117 A KR20170045117 A KR 20170045117A KR 1020160128239 A KR1020160128239 A KR 1020160128239A KR 20160128239 A KR20160128239 A KR 20160128239A KR 20170045117 A KR20170045117 A KR 20170045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layer
meth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334B1 (ko
Inventor
아키히라 와타나베
다카유키 아라이
사토루 쇼시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09J7/0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5Compounds containing groups, e.g. 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3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oxygen in a ring
    • C09J2201/3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과제) 점착제층이, 단차 추종성 및 내블리스터성의 양방이 우수함과 동시에, 가공성이 양호한 점착 시트 및 표시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점착제층 (2) 을 구비한 점착 시트 (1) 로서, 점착제층 (2) 이, 일방의 면측의 외층으로서의 제 1 점착제층 (21) 과, 타방의 면측의 외층으로서의 제 2 점착제층 (22) 과,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의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위치하는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비하고 있고,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이 각각 0.1㎫ 이상이고, 제 3 점착제층 (23) 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로 구성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전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이,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보다 낮은, 점착 시트 (1).

Description

점착 시트 및 표시체{ADHESIVE SHEET AND DISPLAY}
본 발명은,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는 데에 바람직한 점착 시트, 및 당해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시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스마트 폰, 타블렛 단말 등의 각종 모바일 전자 기기는, 액정 소자, 발광 다이오드 (LED 소자),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유기 EL) 소자 등을 갖는 표시체 모듈을 사용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가 터치 패널이 되는 일도 많아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통상 표시체 모듈의 표면측에 보호 패널이 형성되어 있다. 전자 기기의 박형화·경량화에 수반하여, 상기 보호 패널은, 종래의 유리판에서 아크릴판이나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의 플라스틱판으로 변경되고 있다.
여기서, 보호 패널과 표시체 모듈 사이에는, 외력에 의해 보호 패널이 변형되었을 때에도, 변형된 보호 패널이 표시체 모듈에 부딪치지 않도록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극, 즉 공기층이 존재하면, 보호 패널과 공기층의 굴절률차, 및 공기층과 표시체 모듈의 굴절률차에서 기인하는 광의 반사 손실이 커, 디스플레이의 화질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보호 패널과 표시체 모듈 사이의 공극을 점착제층으로 메움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단, 보호 패널의 표시체 모듈측에는, 프레임형상의 인쇄층이 단차(段差)로서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점착제층이 그 단차에 추종하지 않으면, 단차 근방에서 점착제층이 들떠 버리고, 그것에 의해 광의 반사 손실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상기 점착제층에는 단차 추종성이 요구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 은, 보호 패널과 표시체 모듈 사이의 공극을 메우는 점착제층으로서, 25℃, 1㎐ 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이 1.0×105㎩ 이하이고, 또한 겔 분율이 40% 이상인 점착제층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상온시의 저장 탄성률 (G') 을 낮게 함으로써, 단차 추종성을 향상시키려 하고 있다. 그러나, 상온시의 저장 탄성률 (G') 을 상기와 같이 낮게 하면, 고온시의 저장 탄성률 (G') 이 필요 이상으로 저하되어, 내구 조건하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고온 고습 조건을 실시했을 때, 단차 근방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보호 패널인 플라스틱판으로부터 아웃 가스가 발생하여 기포, 들뜸, 박리 등의 블리스터가 발생하거나 한다. 한편, 내블리스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점착제층을 굳게 하면, 단차 추종성이 저하된다.
또,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G') 을 상기와 같이 낮게 하면, 점착제층의 피막 강도가 저하되고, 가공성이 악화된다. 예를 들어, 점착 시트를 타발 가공하거나 할 때에, 절단면에서 점착제가 삐져 나와, 날(刃)에 점착제가 부착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특허문헌 2 는, 상기와 같은 단차 추종성 및 가공성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점착제층을 2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하고, 중간층의 저장 전단 탄성률을 표면층의 저장 전단 탄성률보다 높게 하며, 또한 시트 전체의 압입 경도를 소정 범위로 설정한 점착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97070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84390호
그러나 특허문헌 2 의 점착 시트에서는, 표면층의 저장 전단 탄성률이 낮기 때문에,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패널에 첩부되어 고온 고습 조건에 놓였을 때에는, 블리스터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점착제층이 단차 추종성 및 내블리스터성의 양방이 우수함과 동시에, 가공성이 양호한 점착 시트 및 표시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본 발명은,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일방의 면측의 외층으로서의 제 1 점착제층과, 타방의 면측의 외층으로서의 제 2 점착제층과, 상기 제 1 점착제층 및 상기 제 2 점착제층의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위치하는 제 3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이 각각 0.1㎫ 이상이고, 상기 제 3 점착제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로 구성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전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이, 상기 제 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및 제 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발명 1).
둘째 본 발명은,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일방의 면측의 외층으로서의 제 1 점착제층과, 타방의 면측의 외층으로서의 제 2 점착제층과, 상기 제 1 점착제층 및 상기 제 2 점착제층의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위치하는 제 3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가 각각 60㎪ 이상이고, 상기 제 3 점착제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로 구성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전의 100% 모듈러스가, 상기 제 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 및 제 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발명 2).
상기 발명 (발명 1, 2) 에 의하면, 점착제층이, 경화 전의 저장 탄성률 (G') 또는 100% 모듈러스가 낮은 제 3 점착제층을 중간층으로서 구비함으로써, 당해 점착제층은 초기의 단차 추종성이 우수하고, 또, 외층인 제 1 점착제층 및 제 2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G') 또는 100% 모듈러스가 높으며, 또한 제 3 점착제층이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도 단차 추종성이 우수하다. 또, 당해 점착제층은, 외층인 제 1 점착제층 및 제 2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G') 또는 100% 모듈러스가 높고, 또한 제 3 점착제층이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나아가 당해 점착제층은, 저장 탄성률 (G') 또는 100% 모듈러스가 높은 제 1 점착제층 및 제 2 점착제층을 외층으로 하고, 경화 전의 저장 탄성률 (G') 또는 100% 모듈러스가 낮은 제 3 점착제층을 중간층으로 하여, 따라서 경화 전의 저장 탄성률 (G') 또는 100% 모듈러스가 낮은 점착제층의 단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가공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상기 발명 (발명 1, 2) 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의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3).
상기 발명 (발명 1∼3) 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제층 및 상기 제 2 점착제층의 합계 두께에 대한 상기 제 3 점착제층의 두께의 비는 0.3 이상,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4).
상기 발명 (발명 1∼4) 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총 두께는 5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5).
상기 발명 (발명 1∼5) 에 있어서, 적어도 첩합되는 측의 면에 단차를 갖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6).
상기 발명 (발명 1∼6) 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는 2장의 박리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2장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과 접하도록 상기 박리 시트에 협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7).
셋째 본 발명은, 적어도 첩합되는 측의 면에 단차를 갖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와, 상기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상기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서로 첩합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표시체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점착 시트 (발명 1∼7) 의 점착제층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를 제공한다 (발명 8).
본 발명에 관련된 점착 시트 및 표시체의 점착제층은 단차 추종성 및 내블리스터성의 양방이 우수함과 동시에, 가공성이 양호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단면도를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 (1) 은, 2장의 박리 시트 (31, 32) 와, 이들 2장의 박리 시트 (31, 32) 의 박리면과 접하도록 당해 2장의 박리 시트 (31, 32) 에 협지된 점착제층 (2) 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이란, 박리 시트에 있어서 박리성을 갖는 면을 말하고, 박리 처리를 실시한 면 및 박리 처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박리성을 나타내는 면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2) 은, 일방의 면측 (박리 시트 (31) 측) 의 외층으로서의 제 1 점착제층과, 타방의 면측 (박리 시트 (32) 측) 의 외층으로서의 제 2 점착제층과,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의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위치하는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은 각각 점착제층 (2) 의 최외층이고, 제 1 점착제층 (21) 은 박리 시트 (31) 의 박리면과 접하고 있으며, 제 2 점착제층 (22) 은 박리 시트 (32) 의 박리면과 접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은, 각각 0.1㎫ 이상이다. 또, 제 3 점착제층 (23) 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전) 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은,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 제 1 택일적 조건).
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는 각각 60㎪ 이상이다. 또, 제 3 점착제층 (23) 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전) 의 100% 모듈러스는,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 제 2 택일적 조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2) 은 상기한 3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점착제층 (21, 22, 23) 이 상기 요건을 만족함으로써, 단차 추종성 및 내블리스터성의 양방이 우수함과 동시에, 가공성이 양호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2) 은, 경화 전의 저장 탄성률 (G') 또는 100% 모듈러스가 낮은 제 3 점착제층 (23) 을 중간층으로서 구비함으로써, 점착제층 (2) 은 초기의 단차 추종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외층인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의 저장 탄성률 (G') 또는 100% 모듈러스가 높으며, 또한 제 3 점착제층 (23) 이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도 단차 추종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를 단차를 갖는 표시체 구성 부재에 첩부했을 때에, 단차 근방에 간극, 들뜸 등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그 상태로 고온 고습 조건하, 예를 들어, 85℃, 85%RH 조건하에 72시간 놓인 경우에서도, 단차 근방에 기포, 들뜸, 박리 등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2) 은, 외층인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의 저장 탄성률 (G') 또는 100% 모듈러스가 높고, 또한 제 3 점착제층 (23) 이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 (1) 를 사용하여 얻은 표시체 (디스플레이) 가 고온 고습 조건하, 예를 들어, 85℃, 85%RH 조건하에 72시간 놓여, 플라스틱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체 구성 부재로부터 아웃 가스가 발생한 경우라도, 점착제층과 표시체 구성 부재의 계면에 있어서 기포, 들뜸, 박리 등의 블리스터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2) 은, 저장 탄성률 (G') 또는 100% 모듈러스가 높은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외층으로 하고, 경화 전의 저장 탄성률 (G') 또는 100% 모듈러스가 낮은 제 3 점착제층 (23) 을 중간층으로 한다. 이로써, 점착제층 (2) 전체에 있어서의, 경화 전의 저장 탄성률 (G') 또는 100% 모듈러스가 낮은 점착제층 부분의 단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가공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점착 시트 (1) 를 타발 가공하거나 할 때, 절단면에서 점착제가 삐져 나와 날에 점착제가 부착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택일적 조건으로서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은 각각 0.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12㎫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14㎫ 이상이다. 또, 당해 저장 탄성률 (G') 은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0.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저장 탄성률 (G') 이 0.5㎫ 이하임으로써, 점착제층 (2) 의 단차 추종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 제 1 택일적 조건으로서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전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은,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인 수치로는, 당해 저장 탄성률 (G') 은 0.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0.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점착제층 (2) 의 단차 추종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당해 저장 탄성률 (G') 은,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0.0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점착제층 (2) 의 가공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탄성률 (G') 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후) 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0.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점착제층 (2) 의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일방, 당해 저장 탄성률 (G') 은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0.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3 점착제층 (23) 의 점착력, 특히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에 대한 점착력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후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은,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보다 작아도 되고, 커도 되며, 양자는 동일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후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은,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점착제층 (2) 의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택일적 조건으로서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는 각각 6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또, 당해 100% 모듈러스는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100% 모듈러스가 150㎪ 이하임으로써, 점착제층 (2) 의 단차 추종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 제 2 택일적 조건으로서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전의 100% 모듈러스는,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인 수치로는, 당해 저장 탄성률 (G') 은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점착제층 (2) 의 단차 추종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당해 100% 모듈러스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점착제층 (2) 의 가공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00% 모듈러스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후) 의 100% 모듈러스는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점착제층 (2) 의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당해 100% 모듈러스는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3 점착제층 (23) 의 점착력, 특히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에 대한 점착력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후) 의 100% 모듈러스는,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보다 작아도 되고, 커도 되며, 양자는 동일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후의 100% 모듈러스는,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점착제층 (2) 의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의 합계 두께에 대한 제 3 점착제층 (23) 의 두께의 비는 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비는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당해 비가 상기 범위에 들어가 있음으로써, 전술한 단차 추종성, 내블리스터성 및 가공성의 효과가 보다 양호하게 발휘되게 된다. 또한, 각 층의 두께는, JIS K 7130 에 준하여 측정한 값으로 한다.
점착제층 (2) 의 총 두께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총 두께는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2) 의 총 두께가 상기 범위에 들어가 있음으로써, 전술한 단차 추종성, 내블리스터성 및 가공성의 효과가 보다 양호하게 발휘되게 된다.
제 1 점착제층 (21) 의 두께 및 제 2 점착제층 (22) 의 두께는 각각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두께는,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두께가 상기 범위에 들어가 있음으로써, 전술한 단차 추종성, 내블리스터성 및 가공성의 효과가 보다 양호하게 발휘되게 된다. 또한, 제 1 점착제층 (21) 의 두께 및 제 2 점착제층 (22) 의 두께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제 3 점착제층 (23) 의 두께는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두께는,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당해 두께가 상기 범위에 들어가 있음으로써, 전술한 단차 추종성, 내블리스터성 및 가공성의 효과가 보다 양호하게 발휘되게 된다.
1. 제 1 점착제층 및 제 2 점착제층
제 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전술한 물성을 만족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여도 되고,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의 점착제여도 되지만,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의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점착제층 (2) 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 후의 피착체 (특히 표시체 구성 부재) 에 대한 밀착성 (점착력) 을 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서로 동일한 점착제여도 되고, 다른 점착제여도 된다.
이하,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의 점착제를 주로 설명한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와 동일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점착제층 및 제 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의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에테르계 점착제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점착제는 에멀션 형태, 용제형 또는 무용제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가교 타입 또는 비가교 타입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중에서도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그 경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 (이하 「점착성 조성물 (P)」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 은, 또한 가교제 (B)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는 점착성 조성물 (P) 을 가교하여 얻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란,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양방을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동일하다. 또, 「중합체」에는 「공중합체」의 개념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1)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함으로써, 바람직한 점착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하한치로서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7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바람직한 점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상한치로서 97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8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97질량% 이하 함유함으로써,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중에 다른 모노머 성분을 바람직한 양으로 도입할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n-펜틸, (메트)아크릴산n-헥실,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n-데실, (메트)아크릴산n-도데실, (메트)아크릴산미리스틸, (메트)아크릴산팔미틸,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산아다만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점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4∼8 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있어서의 알킬기란, 직쇄상,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말한다.
또,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호모폴리머로서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0℃ 를 초과하는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인) 하드 모노머와, 호모폴리머로서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0℃ 이하인 소프트 모노머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소프트 모노머에 의해 점착성 및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하드 모노머로 응집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단차 추종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하드 모노머와 소프트 모노머의 질량비는 5:95∼40:60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80∼30:7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메틸 (Tg 10℃), 메타크릴산메틸 (Tg 105℃), 아크릴산이소보르닐 (Tg 94℃),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Tg 180℃), 아크릴산아다만틸 (Tg 115℃), 메타크릴산아다만틸 (Tg 141℃)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하드 모노머 중에서도, 점착성이나 투명성 등의 다른 특성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하면서 하드 모노머의 성능을 보다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아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 및 아크릴산이소보르닐이 바람직하다. 점착성도 고려하면, 아크릴산메틸 및 메타크릴산메틸이 보다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메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소프트 모노머로는, 탄소수가 2∼12 인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산2-에틸헥실 (Tg -70℃), 아크릴산n-부틸 (Tg -54℃)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반응성 관능기는, 후술하는 가교제 (B) 와 반응하고, 이것에 의해 가교 구조 (삼차원 망목 구조) 가 형성되어 원하는 응집력을 갖는 점착제가 얻어진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는,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교제 (B) 와의 반응성이 우수하고, 피착체에 대한 악영향이 적은 수산기 함유 모노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3-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등의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에 있어서의 수산기의 가교제 (B) 와의 반응성 및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성의 점에서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또는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에 있어서의 카르복실기의 가교제 (B) 와의 반응성 및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성의 점에서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n-부틸아미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하한치로서 3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함유량은, 상한치로서 3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2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한 양으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면, 얻어지는 점착제 중에 소정량의 수산기가 잔존하게 된다. 수산기는 친수성기이며, 그러한 친수성기가 소정량 점착제 중에 존재하면, 점착제가 고온 고습 조건하에 놓인 경우라도, 그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 점착제에 침입한 수분과의 상용성이 좋고, 그 결과, 상온 상습으로 되돌렸을 때의 점착제의 백화가 억제되게 된다 (내습열 백화성이 우수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하한치로서 0.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그 함유량은, 상한치로서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피착체가 산에 의해 악영향을 받기 쉬운 재료, 예를 들어, 투명 도전막이나 금속 배선 등인 경우에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투명 도전막이나 금속 배선을 부식시키거나, 투명 도전막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은」이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전혀 함유하지 않은 것 외에, 카르복실기에 의한 투명 도전막이나 금속 배선 등의 부식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중에,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0.01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원하는 바에 따라서,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다른 모노머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모노머로는,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함유하지 않은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른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에톡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비가교성의 3급 아미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비닐,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합 양태는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한치는 2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4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법에 의해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이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한치가 상기 이상이면, 점착제가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치는 1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7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치가 상기 이하이면, 점착제가 첩부시의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 (P) 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2) 가교제 (B)
점착성 조성물 (P) 은 가교제 (B)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 은 가교제 (B) 를 함유함으로써,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를 가교시켜 삼차원 망목 구조를 형성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의 응집력을 향상시키고,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가교제 (B) 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갖는 반응성기와 반응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히드라진계 가교제, 알데히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금속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암모늄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그 수산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그 카르복실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에폭시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제 (B) 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적어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 및 그들의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나아가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물인 어덕트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산기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특히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릴렌디아민,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카르복실기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가교제 (B) 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100질량부에 대해 하한치로서 0.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0.02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한치로서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 (B) 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에 있음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바람직한 것이 되어, 점착제의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이 향상된다.
(3) 각종 첨가제
점착성 조성물 (P) 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서 아크릴계 점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 대전 방지제, 점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연화제, 충전제, 굴절률 조정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 (P) 은, 점착제층 중에 그대로, 혹은 반응한 상태로 잔존하는 각종 성분의 혼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건조 공정 등에서 제거되는 성분, 예를 들어 후술하는 중합 용매나 희석 용매는 점착성 조성물 (P) 에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서, 점착성 조성물 (P) 이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면, 얻어지는 점착제는, 유리 부재나 플라스틱판과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이로써, 얻어지는 점착제는,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분자 내에 알콕시 실릴기를 적어도 1개 갖는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와의 상용성이 양호하고, 광 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혹은 이들의 적어도 1개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알킬기 함유 규소 화합물의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점착성 조성물 (P) 이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100질량부에 대해 하한치로서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함유량은, 상한치로서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0.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4) 점착성 조성물의 제조
점착성 조성물 (P) 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를 제조하고, 얻어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에, 원하는 바에 따라서 가교제 (B) 및 첨가제를 추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혼합물을 통상적인 라디칼 중합법으로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합은, 원하는 바에 따라서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용액 중합법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용매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톨루엔, 아세톤, 헥산, 메틸에틸케톤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중합 개시제로는, 아조계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으며,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아조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2,2'-아조비스(2-하이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과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과산화벤조일, t-부틸퍼벤조에이트,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디프로피오닐퍼옥사이드, 디아세틸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2-메르캅토에탄올 등의 연쇄 이동제를 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얻어지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용액에, 원하는 바에 따라서 가교제 (B), 첨가제 및 희석 용제를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용제로 희석된 점착성 조성물 (P) (도포 용액) 을 얻는다. 또한, 상기 각 성분 중 어느 것에 있어서 고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경우, 혹은 희석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다른 성분과 혼합했을 때에 석출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그 성분을 단독으로 미리 희석 용매에 용해 혹은 희석시키고 나서, 그 밖의 성분과 혼합해도 된다.
상기 희석 용제로는, 예를 들어,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2-펜탄온, 이소포론,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된 도포 용액의 농도·점도로는 코팅 가능한 범위이면 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성 조성물 (P) 의 농도가 10∼60질량% 가 되도록 희석한다. 또한, 도포 용액을 얻을 때에 있어서 희석 용제 등의 첨가는 필요 조건은 아니며, 점착성 조성물 (P) 이 코팅 가능한 점도 등이면, 희석 용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되다. 이 경우, 점착성 조성물 (P) 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합 용매를 그대로 희석 용제로 하는 도포 용액이 된다.
(5) 점착제의 제조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점착성 조성물 (P) 을 가교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얻을 수 있다. 점착성 조성물 (P) 의 가교는, 통상은 가열 처리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가열 처리는, 원하는 대상물에 도포한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막으로부터 희석 용제 등을 휘발시킬 때의 건조 처리에 의해 겸할 수도 있다.
가열 처리의 가열 온도는 50∼1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1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열 시간은 10초∼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초∼2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 후, 필요에 따라서, 상온 (예를 들어, 23℃, 50%RH) 에서 1∼2주일 정도의 양생 기간을 두어도 된다. 이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생 기간 경과 후,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가열 처리 종료 후, 점착제가 형성된다.
상기한 가열 처리 (및 양생) 에 의해, (가교제 (B) 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당해 가교제 (B) 를 통해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충분히 가교된다.
(6) 겔 분율
제 1 점착제층 (21) 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 (22)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겔 분율은 하한치로서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6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겔 분율이 50% 이상이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높아져, 점착제층 (2) 의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이 보다 양호한 것이 된다. 또, 당해 점착제의 겔 분율은 상한치로서 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겔 분율이 85% 이하이면, 점착제가 지나치게 굳어지지 않아,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여기서, 점착제의 겔 분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낸 바와 같다.
(7) 점착력
제 1 점착제층 (21) (의 기재와의 적층체) 및 제 2 점착제층 (22) (의 기재와의 적층체) 의 소다라임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하한치로서 5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5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점착력이 상기 이상이면,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 상기 점착력은 상한치로서 5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35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점착력이 상기 이하이면, 양호한 리워크성이 얻어져, 첩합 미스가 발생한 경우, 고가의 표시체 구성 부재의 재이용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점착력은, 기본적으로는 JIS Z 0237:2009 에 준한 180도 박리법에 의해 측정한 점착력을 말하는데, 측정 샘플은 폭 25㎜, 길이 100㎜ 로 하고, 당해 측정 샘플을 피착체에 첩부하여, 0.5㎫, 50℃ 에서 20분 가압한 후, 상압, 23℃, 50%RH 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방치하고 나서, 박리 속도 300㎜/min 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재로는, 두께 100㎛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8) 단차 추종률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의, 하기 식으로 나타나는 단차 추종률 (%) 은 하한치로서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단차 추종률 (%) 은 상한치로서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 추종률(%)={(소정 내구 시험 후, 기포, 들뜸, 박리 등이 없이 메워진 상태가 유지된 단차의 높이(㎛))/(점착제층의 두께)}×100
또한, 단차 추종률의 시험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낸 바와 같다.
외층으로서의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의 단차 추종률이 상기한 범위에 있음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 (1) 의 점착제층 (2) 으로서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되기 쉽다.
2. 제 3 점착제층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는, 전술한 물성을 만족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는, 적어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모노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외에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의 모노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함유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을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 (Q) 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Q) 은 또한 가교제 (B)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는, 점착성 조성물 (Q) 을 가교하여 얻어진다.
(1)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는,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가 전술한 물성을 만족하는 한,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와 동일하다. 단, 제 3 점착제층 (23) 은 중간층으로, 피착체에 직접 접촉할 일이 없기 때문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중합체 중에 존재시킴으로써,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의 반응성 관능기와 가교제 (B) 의 가교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는,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 아미드기를 갖는 모노머,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에 적당한 강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N-(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2-피롤리돈, N-(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돈, N-(메트)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딘, N-(메트)아크릴로일아지리딘, 아지리디닐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2-비닐피라진, 1-비닐이미다졸, N-비닐카르바졸, N-비닐프탈이미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보다 우수한 점착력을 발휘하는 N-(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이 바람직하고, 특히 N-아크릴로일모르폴린이 바람직하다.
또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ter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페닐(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비닐카프로락탐, (메트)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당해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3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당해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2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 내에 있으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와 가교제 (B) 의 가교 반응의 촉진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2)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점착성 조성물 (Q) 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을 함유하면, 당해 점착성 조성물 (Q) 을 열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를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켰을 때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이 서로 중합하고, 그 중합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가교 구조 (삼차원 망목 구조) 에 감겨 붙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고차 구조를 갖는 점착제는, 응집력이 높고, 비교적 높은 탄성률을 나타내기 때문에, 제 3 점착제층 (23) 을 중간층에 갖는 점착제층 (2) 은 내블리스터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며, 상기한 효과가 얻어지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그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등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분자량 1000미만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분자량 1000 미만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의 2관능형;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메트)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디글리세린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얻어지는 점착제의 내블리스터성의 관점에서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메트)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계,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상한치로서 5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중량 평균 분자량은, 하한치로서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로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기가 측쇄에 도입된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분자 내에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당해 공중합체의 가교성 관능기의 일부에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하한치로서 5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만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당해 중량 평균 분자량은, 상한치로서 9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만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은, 전술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것들 이외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점착성 조성물 (Q) 중에 있어서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의 함유량은, 얻어지는 점착제의 응집력을 향상시키고 내블리스터성을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100질량부에 대해 하한치로서 0.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함유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와 상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상한치로서 5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내블리스터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관점을 가미하면, 12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3) 가교제 (B)
점착성 조성물 (Q) 은, 가교제 (B)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Q) 은, 가교제 (B) 를 함유함으로써,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를 가교시켜 삼차원 망목 구조를 형성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의 응집력을 보다 향상시켜서,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가교제 (B) 로는, 점착성 조성물 (P) 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량도 동일하다.
(4) 광중합 개시제 (E)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를 경화시킬 때, 조사하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성 조성물 (Q) 은 추가로 광중합 개시제 (E)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중합 개시제 (E) 를 함유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을 효율적으로 중합시킬 수 있고, 또 중합 경화 시간 및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중합 개시제 (E) 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터셔리-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크산톤, 2-에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파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점착성 조성물 (Q) 중에 있어서의 광중합 개시제 (E) 의 함유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100질량부에 대해 하한치로서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한치로서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각종 첨가제
점착성 조성물 (Q) 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서 아크릴계 점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 대전 방지제, 점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연화제, 충전제, 굴절률 조정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 (Q) 은, 점착제층 중에 그대로, 혹은 반응한 상태로 잔존하는 각종 성분의 혼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건조 공정 등에서 제거되는 성분, 예를 들어 후술하는 중합 용매나 희석 용매는 점착성 조성물 (Q) 에 포함되지 않는다.
(6) 점착성 조성물의 제조
점착성 조성물 (Q) 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를 제조하고, 얻어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을 혼합함과 동시에, 원하는 바에 따라서 가교제 (B), 광중합 개시제 (E) 및 첨가제를 추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성 조성물 (P)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7) 점착제의 제조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는, 점착성 조성물 (Q) 을 가교 (열 가교) 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얻을 수 있다. 점착성 조성물 (Q) 의 가교는, 점착성 조성물 (P)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6) 겔 분율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전의 겔 분율은 하한치로서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전의 겔 분율이 40% 이상이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응집력이 높아져, 점착제층 (2) 의 가공성이 보다 양호한 것이 된다. 또, 당해 경화 전의 겔 분율은 상한치로서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전의 겔 분율이 75% 이하이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가 지나치게 굳어지지 않아, 점착제층 (2) 의 초기의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후) 의 겔 분율은 하한치로서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7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후의 겔 분율이 70% 이상이면, 응집력이 높아져,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 당해 경화 후의 겔 분율은 상한치로서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후의 겔 분율이 95% 이하이면, 인접하는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의 밀착성이 우수해지고,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여기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겔 분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낸 바와 같다.
(9) 점착력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 (의 기재와의 적층체) 의 경화 전의 소다라임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하한치로서 20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30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경화 전의 점착력이 상기 이상이면,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의 밀착성이 높아져, 점착제층 (2) 에 있어서의 층간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력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가, 통상 5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5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점착제층 (23) 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 (의 기재와의 적층체) 의 경화 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후) 의 소다라임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하한치로서 20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30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경화 후의 점착력이 상기 이상이면, 제 1 점착제층 (21) 및 제 2 점착제층 (22) 의 밀착성이 높아져, 얻어지는 제품 (표시체) 으로서의 내구성이 높은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점착력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55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단차 추종률
제 3 점착제층 (23) 의 경화 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후) 의 단차 추종률 (%) 은 하한치로서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단차 추종률 (%) 은 상한치로서 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으로서의 제 3 점착제층 (23) 의 단차 추종률이 상기한 범위에 있음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 (1) 의 점착제층 (2) 으로서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3. 박리 시트
박리 시트 (31, 32) 는 점착 시트 (1) 의 사용시까지 점착제층 (2) 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점착 시트 (1) (점착제층 (2)) 를 사용할 때에 박리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 (1) 에 있어서, 박리 시트 (31, 32) 의 일방 또는 양방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박리 시트 (31, 32) 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필름,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등이 사용된다. 또, 이들의 가교 필름도 사용된다. 그리고, 이들의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
상기 박리 시트 (31, 32) 의 박리면 (특히 점착제층 (2) 과 접하는 면) 에는,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처리에 사용되는 박리제로는, 예를 들어, 알키드계, 실리콘계, 불소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왁스계의 박리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시트 (31, 32) 중 일방의 박리 시트를 박리력이 큰 중박리형 박리 시트로 하고, 타방의 박리 시트를 박리력이 작은 경박리형 박리 시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시트 (31, 32) 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20∼150㎛ 정도이다.
4. 점착 시트의 물성
(1) 단차 추종률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 (1) 의 점착제층 (2) 의 경화 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후) 의 단차 추종률 (%) 은 하한치로서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단차 추종률 (%) 은 상한치로서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2) 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차 추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높은 단차 추종률을 달성할 수 있다. 이로써, 당해 점착제층 (2) 은 표시체 구성 부재의 단차에 양호하게 추종되고, 내구 시험을 거쳐도 단차 근방에서 기포, 들뜸, 박리 등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어, 그에 따라 광의 반사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2) 100% 모듈러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 (1) 의 점착제층 (2) 의 경화 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전) 의 100% 모듈러스는 하한치로서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00% 모듈러스의 하한치가 상기 이상임으로써, 점착제층 (2) 은 가공성이 보다 양호한 것이 된다. 또, 점착제층 (2) 의 경화 전의 100% 모듈러스는 상한치로서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00% 모듈러스의 상한치가 상기 이하임으로써, 점착제층 (2) 은 초기의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 (1) 의 점착제층 (2) 의 경화 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후) 의 100% 모듈러스는 하한치로서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00% 모듈러스의 하한치가 상기 이상임으로써, 점착제층 (2) 은,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 점착제층 (2) 의 경화 전의 100% 모듈러스는 상한치로서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00% 모듈러스의 상한치가 상기 이하임으로써, 점착제층 (2) 의 피착체 (표시체 부재) 에 대한 밀착성 (점착력) 을 높게 유지하기 쉬워진다.
5. 점착 시트의 제조
점착 시트 (1) 의 일 제조예로는, 일방의 박리 시트 (31) 의 박리면에 상기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점착성 조성물 (P) 을 열 가교시켜, 도포층을 형성하여,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층이 형성된 박리 시트 (31) 를 얻는다. 또, 타방의 박리 시트 (32) 의 박리면에 상기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점착성 조성물 (P) 을 열 가교시켜, 도포층을 형성하여,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층이 형성된 박리 시트 (32) 를 얻는다. 또한, 다른 박리 시트의 박리면에, 상기 점착성 조성물 (Q) 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점착성 조성물 (Q) 을 열 가교시켜, 도포층을 형성하여, 점착성 조성물 (Q) 의 도포층이 형성된 박리 시트를 얻는다.
다음으로,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층이 형성된 박리 시트 (31) 와 점착성 조성물 (Q) 의 도포층이 형성된 박리 시트를, 양 도포층이 서로 접촉하도록 첩합하고, 점착성 조성물 (Q) 의 도포층으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한다. 이어서, 그 점착성 조성물 (Q) 의 도포층과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층이 형성된 박리 시트 (32) 를, 양 도포층이 서로 접촉하도록 첩합한다.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생 기간을 둠으로써,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대로, 상기 적층된 일방의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층이 제 1 점착제층 (21), 점착성 조성물 (Q) 의 도포층이 제 3 점착제층 (23), 타방의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층이 제 2 점착제층 (22) 이 된다. 이로써, 제 1 점착제층 (21), 제 3 점착제층 (23) 및 제 2 점착제층 (22) 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 (2) 이 박리 시트 (31, 32) 에 협지되어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 (1) 가 얻어진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층의 양생은, 상기와 같이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층을 첩합하여 3층으로 한 다음에 실시해도 되고, 첩합하기 전에 실시해도 된다.
상기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 (1) 는 가공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점착 시트 (1) 를 타발 가공하거나 할 때에, 절단면에서 점착제가 삐져 나와, 날에 점착제가 부착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표시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 (4) 는, 적어도 첩합되는 측의 면에 단차를 갖는 제 1 표시체 구성 부재 (51)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 와, 제 2 표시체 구성 부재 (52)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 와, 그들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표시체 구성 부재 (51) 및 제 2 표시체 구성 부재 (52) 를 서로 첩합하는 점착제층 (2)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 (4) 에서는, 제 1 표시체 구성 부재 (51) 는 점착제층 (2) 측의 면에 단차를 가지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인쇄층 (6) 에 의한 단차를 가지고 있다.
상기 표시체 (4)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2) 은, 전술한 점착 시트 (1) 의 점착제층 (2) (특히 제 3 점착제층 (23)) 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킨 것이다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부호를 사용한다). 여기서, 활성 에너지선이란,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선 중에서 에너지 양자를 갖는 것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중에서도, 취급이 용이한 자외선이 특히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퓨전 H 램프, 크세논 램프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자외선의 조사량은, 조도가 50∼10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량은, 50∼10000mJ/㎠ 인 것이 바람직하고, 80∼5000mJ/㎠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2000mJ/㎠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선의 조사는 전자선 가속기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전자선의 조사량은 10∼1000krad 정도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2) 에 대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당해 점착제층 (2) 에 의해 제 1 표시체 구성 부재 (51) 및 제 2 표시체 구성 부재 (52) 를 서로 첩합한 후, 제 1 표시체 구성 부재 (51) 및 제 2 표시체 구성 부재 (52) 중, 활성 에너지선을 투과하는 부재 너머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2) 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면, 특히 제 3 점착제층 (23) 중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이 중합하여 경화된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 (특히 제 3 점착제층 (23) 이 경화) 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층 (2) 은, 내블리스터성 및 고온 고습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 된다.
표시체 (4) 로는, 예를 들어, 액정 (LCD)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LED) 디스플레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유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고, 터치 패널이어도 된다. 또, 표시체 (4) 로는, 그들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여도 된다.
제 1 표시체 구성 부재 (51) 는, 유리판, 플라스틱판 등 외에, 그것들을 포함하는 적층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인쇄층 (6) 은, 제 1 표시체 구성 부재 (51)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2) 측에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유리판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학 강화 유리, 무알칼리 유리, 석영 유리, 소다라임 유리, 바륨·스트론튬 함유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납 유리, 붕규산 유리, 바륨붕규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유리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0.1∼5㎜ 이고, 바람직하게는 0.2∼2㎜ 이다.
상기 플라스틱판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크릴판,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0.2∼5㎜ 이고, 바람직하게는 0.4∼3㎜ 이다.
또한, 상기 유리판이나 플라스틱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는 각종 기능층 (투명 도전막, 금속층, 실리카층, 하드 코트층, 방현층 등)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광학 부재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 투명 도전막 및 금속층이 패터닝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표시체 구성 부재 (52) 는, 제 1 표시체 구성 부재 (51) 에 첩부될 광학 부재, 표시체 모듈 (예를 들어, 액정 (LCD) 모듈, 발광 다이오드 (LED) 모듈,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유기 EL) 모듈 등), 표시체 모듈의 일부로서의 광학 부재, 또는 표시체 모듈을 포함하는 적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 부재로는, 예를 들어, 비산 방지 필름, 편광판 (편광 필름), 편광자, 위상차판 (위상차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콘트라스트 향상 필름, 액정 폴리머 필름, 확산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투명 도전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비산 방지 필름으로는, 기재 필름의 편면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하드 코트 필름 등이 예시된다.
인쇄층 (6) 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쇄용의 공지된 재료가 사용된다. 인쇄층 (6) 의 두께, 즉 단차의 높이의 하한치는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10㎛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한치가 상기 이상임으로써, 전기 배선을 시인자측에서부터 안보이게 하는 등의 은폐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상한치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2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치가 상기 이하임으로써, 당해 인쇄층 (6) 에 대한 점착제층 (2) 의 단차 추종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체 (4) 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례로서 점착 시트 (1) 의 일방의 박리 시트 (31) 를 박리하여, 점착 시트 (1) 의 노출된 점착제층 (2) 을 제 1 표시체 구성 부재 (51) 의 인쇄층 (6) 이 존재하는 측의 면에 첩합한다. 이 때, 점착제층 (2) 은 단차 추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인쇄층 (6) 에 의한 단차 근방에 간극이나 들뜸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후, 점착 시트 (1) 의 점착제층 (2) 으로부터 타방의 박리 시트 (32) 를 박리하여, 점착 시트 (1) 의 노출된 점착제층 (2) 과 제 2 표시체 구성 부재 (52) 를 첩합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제 1 표시체 구성 부재 (51) 및 제 2 표시체 구성 부재 (52) 의 첩합 순서를 교체해도 된다.
이상의 표시체 (4) 에 있어서는, 점착제층 (2) 이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표시체 (4) 가 고온 고습 조건하 (예를 들어, 85℃, 85%RH, 72시간) 에 놓여지고, 플라스틱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체 구성 부재로부터 아웃 가스가 발생한 경우라도, 점착제층 (2) 과 표시체 구성 부재 (51, 52) 의 계면에 있어서 기포, 들뜸, 박리 등의 블리스터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상기 표시체 (4) 에 있어서는, 점착제층 (2) 이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도 단차 추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표시체 (4) 가 고온 고습 조건하 (예를 들어, 85℃, 85%RH, 72시간) 에 놓여진 경우라도, 단차 근방에 기포, 들뜸, 박리 등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어, 점착 시트 (1) 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 (31, 32)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은 생략되어도 되고, 또, 박리 시트 (31 및/또는 32) 대신에 소망하는 광학 부재가 적층되어도 된다. 그리고, 점착제층 (2) 에 있어서의 제 1 점착제층 (21) 및/또는 제 2 점착제층 (22) 과 제 3 점착제층 (23) 의 사이에는 다른 층이 존재해도 되고, 점착제층 (2) 에 있어서의 제 1 점착제층 (21) 및/또는 제 2 점착제층 (22) 의 외측 (박리 시트 (31, 32) 측) 에는, 추가로 다른 층이 존재해도 된다.
또, 제 1 표시체 구성 부재 (51) 는, 인쇄층 (6) 이외의 단차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제 1 표시체 구성 부재 (51) 뿐만 아니라, 제 2 표시체 구성 부재 (52) 도 점착제층 (2) 측에 단차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제 1 점착제층 또는 제 2 점착제층을 갖는 적층체의 제작-
(1)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조제
아크릴산2-에틸헥실 60질량부, 메타크릴산메틸 20질량부 및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20질량부를 공중합시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를 조제하였다. 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중량 평균 분자량 (Mw) 60만이었다.
(2) 점착성 조성물 (P) 의 조제
상기 공정 (1) 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100질량부 (고형분 환산치 ; 이하 동일) 와, 가교제 (B) 로서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닛폰 폴리우레탄사제, 제품명「콜로네이트 L」) 0.25질량부와, 실란 커플링제로서의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사제, 제품명「KBM-403」) 0.30질량부를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메틸에틸케톤으로 희석시킴으로써, 고형분 농도 35질량% 의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 용액을 얻었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를 100질량부 (고형분 환산치) 로 한 경우의 점착성 조성물의 각 배합 (고형분 환산치) 을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에 기재된 약호 등의 상세는 다음과 같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2EHA : 아크릴산2-에틸헥실
MMA : 메타크릴산메틸
HEA :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BA : 아크릴산n-부틸
IBXMA :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IBXA : 아크릴산이소보르닐
ACMO : 4-아크릴로일모르폴린
AA : 아크릴산
[가교제]
TDI 계 :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닛폰 폴리우레탄사제, 제품명「콜로네이트 L」)
에폭시계 :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제, 제품명「TETRAD C-5」)
(3) 적층체의 제작
상기 공정 (2) 에서 얻어진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중박리형 박리 시트 (린텍사제, 제품명「SP-PET752150」) 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로 도포한 후, 90℃ 에서 1분간 가열 처리하여 도포층 (두께 : 25㎛) 을 형성하였다. 마찬가지로, 상기 공정 2 에서 얻어진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경박리형 박리 시트 (린텍사제, 제품명「SP-PET382120」) 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로 도포한 후, 90℃ 에서 1분간 가열 처리하여 도포층 (두께 : 25㎛) 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에서 얻어진 도포층이 형성된 중박리형 박리 시트와, 상기에서 얻어진 도포층이 형성된 경박리형 박리 시트를, 양 도포층이 서로 접촉하도록 첩합하고, 23℃, 50%RH 의 조건하에서 7일간 양생함으로써, 중박리형 박리 시트/점착제층 (두께 : 50㎛)/경박리형 박리 시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이 점착제층은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의 점착제로 구성되고, 제 1 점착제층 및 제 2 점착제층에 해당한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JIS K 7130 에 준거하여, 정압 두께 측정기 (테크록사제, 제품명「PG-02」) 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제조예 2∼3〕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를 구성하는 각 모노머의 종류 및 비율, 그리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외에,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제 3 점착제층을 갖는 적층체의 제작-
(1)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의 조제
아크릴산2-에틸헥실 60질량부, 아크릴산이소보르닐 10질량부, 4-아크릴로일 모르폴린 10질량부 및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20질량부를 공중합시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를 조제하였다. 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중량 평균 분자량 (Mw) 50만이었다.
(2) 점착성 조성물 (Q) 의 조제
상기 공정 (1) 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C) 100질량부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로서의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신나카무라 화학사제, 제품명「NK 에스테르 A-9300-1CL」) 5.0질량부와, 광중합 개시제 (E) 로서 벤조페논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을 1:1 의 질량비로 혼합한 것 (BASF 사제, 제품명「이르가큐어 500」) 0.50질량부와, 가교제 (B) 로서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닛폰 폴리우레탄사제, 제품명「콜로네이트 L」) 0.25질량부와, 실란 커플링제로서의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사제, 제품명「KBM-403」) 0.30질량부를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메틸에틸케톤으로 희석시킴으로써, 고형분 농도 48질량% 의 점착성 조성물 (Q) 의 도포 용액을 얻었다.
(3) 적층체의 제작
상기 공정 (2) 에서 얻어진 점착성 조성물 (Q) 의 도포 용액을 사용하고, 전술한 점착성 조성물 (P) 와 동일하게 하여, 중박리형 박리 시트/점착제층 (두께 : 50㎛)/경박리형 박리 시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이 점착제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로 구성되고, 제 3 점착제층에 해당한다.
〔제조예 5〕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를 구성하는 각 모노머의 종류 및 비율,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D) 의 비율, 광중합 개시제 (E) 의 비율, 그리고 가교제 (B) 의 종류 및 비율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외에, 제조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술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 (GPC 측정) 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측정 조건>
·GPC 측정 장치 : 토소사제, HLC-8020
·GPC 칼럼 (이하의 순으로 통과) : 토소사제
TSK guard column HXL-H
TSK gel GMHXL (×2)
TSK gel G2000HXL
·측정 용매 : 테트라히드로푸란
·측정 온도 : 40℃
〔실시예 1〕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경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함과 함께, 제조예 4 에서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경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노출된 제 1 점착제층과 제 3 점착제층이 서로 접촉하도록 첩합하고, 제 3 점착제층으로부터 중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였다. 이어서,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경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노출된 제 2 점착제층과 상기 제 3 점착제층이 서로 접촉하도록 첩합하여, 제 1 점착제층, 제 3 점착제층 및 제 2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2장의 중박리형 박리 시트에 협지되어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2∼6, 비교예 1∼7〕
제조예 1∼5 에서 제작한 적층체의 점착제층을, 표 2 에 나타내는 적층 순서가 되도록 적층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때, 각 점착제층의 두께는, 각각 표 2 에 나타내는 두께가 되도록 변경하였다.
〔시험예 1〕 (겔 분율의 측정)
제조예 1∼5 에서 제작한 적층체를 80㎜×80㎜ 의 사이즈로 재단하고, 그 점착제층을 폴리에스테르제 메시 (메시 사이즈 200) 에 싸서, 그 질량을 정밀 천칭으로 칭량하고, 상기 메시 단독의 질량을 뺌으로써 점착제만의 질량을 산출하였다. 이 때의 질량을 M1 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제 메시에 싸인 점착제를, 실온하 (23℃) 에서 아세트산에틸에 24시간 침지시켰다. 그 후 점착제를 꺼내어, 온도 23℃, 상대습도 50% 의 환경하에, 24시간 풍건시키고, 다시 80℃ 의 오븐 중에서 12시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 그 질량을 정밀 천칭으로 칭량하고, 상기 메시 단독의 질량을 뺌으로써 점착제만의 질량을 산출하였다. 이 때의 질량을 M2 로 한다. 겔 분율 (%) 은, (M2/M1)×100 으로 표시된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제조예 4 및 5 의 적층체의 점착제층에 대해서는, 점착제층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 (중박리형 박리 시트측으로부터 조사) 하기 전후의 겔 분율을 측정하였다. 표 중, 자외선 조사 전의 결과를 「UV 전」, 자외선 조사 후의 결과를 「UV 후」로 기재한다 (이하, 동일). 자외선의 조사 조건은 다음과 같다.
<자외선 조사 조건>
· 퓨전사제의 무전극 램프 H 밸브 사용
· 조도 500mW/㎠, 광량 200mJ/㎠
· UV조도·광량계는 아이그래픽스사제의 「UVPF-36」을 사용
〔시험예 2〕 (점착력의 측정)
제조예 1∼5 에서 제작한 적층체로부터 경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노출된 점착제층을, 접착 용이층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토요보사제, 제품명「PET A4300」, 두께 : 100㎛) 의 접착 용이층에 첩합하여, 박리 시트/점착제층/PET 필름의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폭 25㎜, 길이 100㎜ 로 재단하고, 이것을 샘플로 하였다.
23℃, 50%RH 의 환경하에서, 상기 샘플로부터 중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노출된 점착제층을 소다라임 유리 (닛폰 이타가라스사제) 에 첩부한 후, 쿠리하라 제작소사제의 오토클레이브로 0.5㎫, 50℃ 에서, 20분 가압하였다. 그 후, 23℃, 50%RH 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방치한 다음, 인장 시험기 (오리엔테크사제, 텐실론) 를 이용하여, 박리 속도 300㎜/min,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으로 점착력 (N/25㎜) 을 측정하였다. 여기에 기재한 것 이외의 조건은 JIS Z 0237:2009 에 준거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제조예 4 및 5 의 적층체에 대해서는, 상기와 동일하게 소다라임 유리에 첩부하고 오토클레이브에 의한 가압을 실시한 후, 소다라임 유리 너머로 점착제층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고, 그 후, 상기와 동일하게 24시간 방치한 후의 점착력도 측정하였다. 자외선의 조사 조건은, 시험예 1 과 동일하다.
〔시험예 3〕 (저장 탄성률 (G') 의 측정)
제조예 1∼5 에서 제작한 적층체의 점착제층을 복수층 적층하여, 두께 3㎜ 의 적층체로 하였다. 얻어진 점착제층의 적층체로부터, 직경 8㎜ 의 원기둥체 (높이 3㎜) 를 타발하고, 이것을 샘플로 하였다.
상기 샘플에 대해, JIS K 7244-6 에 준거하여, 점탄성 측정기 (REOMETRIC 사제, DYNAMIC ANALAYZER) 를 사용하여 비틀림 전단법에 의해, 이하의 조건으로 저장 탄성률 (G') (㎫) 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측정 주파수 : 1Hz
측정 온도 : 23℃
또한, 제조예 4 및 5 의 적층체의 점착제층에 대해서는, 점착제층의 적층체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후의 저장 탄성률 (G') 을 측정하였다. 자외선의 조사 조건은, 시험예 1 과 동일하다.
〔시험예 4〕 (100% 모듈러스의 측정)
제조예 1∼5 에서 제작한 적층체의 점착제층을 복수층 적층하여, 합계 두께 800㎛ 로 한 후, 폭 10㎜×길이 75㎜ 의 샘플을 잘라내었다. 샘플 측정 부위가 폭 10㎜×길이 25㎜ (신장 방향) 가 되도록 상기 샘플을 인장 시험기 (오리엔테크사제, 제품명「텐실론」) 에 세팅하고, 23℃, 50%RH 의 환경하에서 당해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200㎜/분으로 신장시켜, 응력-변형 곡선 (SS 커브) 으로, 신장률이 100% 가 되는 응력치를 100% 모듈러스 (㎪) 로서 산출 (측정) 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제조예 4 및 5 의 적층체의 점착제층에 대해서는, 점착제층의 적층체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후의 100% 모듈러스 (㎪) 를 측정하였다. 자외선의 조사 조건은, 시험예 1 과 동일하다.
또, 실시예 1∼6 및 비교예 6∼7 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100% 모듈러스 (㎪) 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5 에 대해서는, 제조예 1∼5 와 동일한 결과가 되기 때문에, 시험은 생략). 단, 실시예 2 이외의 실시예·비교예에 대해서는, 점착제층 (3층 구조) 을 복수층 적층하여, 합계 두께 750㎛ 로 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6 및 비교예 6 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 대해서는, 점착제층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후의 100% 모듈러스 (㎪) 를 측정하였다. 자외선의 조사 조건은, 시험예 1 과 동일하다.
〔시험예 5〕 (내블리스터성의 평가)
제조예 1∼5 에서 제작한 적층체의 점착제층 그리고 실시예 1∼6 및 비교예 1∼7 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편면에 주석 도프 산화인듐 (ITO) 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막이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오이케 공업사제, ITO 필름, 두께 : 125㎛) 의 투명 도전막과, 폴리카보네이트 (PC) 판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제, 유피론·시트 MR58, 두께 : 1㎜)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로 이루어지는 아크릴판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제, 유피론·시트 MR200, 두께 : 1㎜) 사이에 끼워,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50℃, 0.5㎫ 의 조건하에서 30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였다. 그리고, PC 판 또는 아크릴판 너머로, 점착제층에 대해 시험예 1 과 동일한 자외선 조사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당해 점착제층을 경화시켰다 (제조예 1∼3 의 점착제층, 비교예 1∼3 및 7 의 점착제층은 제외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샘플을, 상압, 23℃, 50%RH 에서 15시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85℃, 85%RH 의 내구 조건하에서 72시간 보관하였다. 그 후, 점착제층에 기포, 들뜸 또는 박리가 없는지 아닌지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내블리스터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및 4 에 나타낸다.
◎ … 기포, 들뜸 및 박리가 전혀 없었다.
○ … 직경 0.1㎜ 이하의 기포만이 발생하였다.
× … 직경 0.1㎜ 초과하는 기포, 들뜸 또는 박리가 발생하였다.
〔시험예 6〕 (단차 추종률의 측정)
유리판 (NSG 프리시전사제, 제품명「코닝 글래스 이글XG」, 세로 90㎜×가로 50㎜×두께 0.5㎜)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형 잉크 (테이코쿠 잉크사 제조, 제품명「POS-911 흑(黑)」)를 도포 두께가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프레임형상 (외형: 세로 90㎜×가로 50㎜, 폭 5㎜) 으로 스크린 인쇄하였다. 이어서, 자외선을 조사 (80W/㎠, 메탈할라이드 램프 2등(燈), 램프 높이 15㎝, 벨트 스피드 10∼15m/분) 하여 인쇄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경화시켜서, 인쇄에 의한 단차 (단차의 높이 :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중 어느 하나) 를 갖는 단차 형성 유리판을 제작하였다.
제조예 1∼5 에서 제작한 적층체 그리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일방의 박리 시트를 벗기고, 노출된 점착제층을, 접착 용이층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토요보사제, 제품명「PET A4300」, 두께 : 100㎛) 의 접착 용이층에 첩합하였다. 이어서, 타방의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표출시켰다. 그리고, 라미네이터 (후지플라사제, 제품명「LPD3214」) 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이 프레임형상의 인쇄 전체면을 덮도록 상기 적층체를 각 단차 형성 유리판에 라미네이트하였다. 그 후, 50℃, 0.5㎫ 의 조건하에서 30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에 대해, PET 필름 너머로 시험예 1 과 동일한 자외선 조사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당해 점착제층을 경화시켰다 (제조예 1∼3 의 점착제층, 비교예 1∼3 및 7 의 점착제층은 제외).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85℃, 85%RH 의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 72시간 보관하고 (내구 시험), 그 후, 단차 추종성을 평가하였다. 단차 추종성은, 점착제층에 의해 인쇄 단차가 완전히 메워져 있는지 여부로 판단하며, 인쇄 단차와 점착제층의 계면에서 기포, 들뜸, 박리 등이 관찰된 경우에는, 인쇄 단차에 추종할 수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는, 단차 추종성은, 하기 식으로 나타나는 단차 추종률 (%) 로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및 4 에 나타낸다.
단차 추종률 (%)={(내구 시험 후, 기포, 들뜸, 박리 등이 없이 메워진 상태가 유지된 단차의 높이(㎛))/(점착제층의 두께)}×100
〔시험예 7〕 (가공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를, 자동 절단기 (오기노 제작소사제, 제품명「슈퍼 커터 OSS-PN1 형 N-L」) 에 의해 절단하였다. 절단 후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절단면 (길이 : 100㎜) 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해 가공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 : 점착제층의 삐져 나옴 없음
× : 점착제층의 삐져 나옴 있음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표 4 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는 단차 추종성 및 내블리스터성의 양방이 우수함과 동시에, 가공성이 양호하였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단차를 갖는 보호 패널과 소망하는 표시체 구성 부재와의 첩합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점착 시트
2 … 점착제층
21 … 제 1 점착제층
22 … 제 2 점착제층
23 … 제 3 점착제층
31, 32 … 박리 시트
4 … 표시체
51 … 제 1 표시체 구성 부재
52 … 제 2 표시체 구성 부재
6 … 인쇄층

Claims (8)

  1.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일방의 면측의 외층으로서의 제 1 점착제층과, 타방의 면측의 외층으로서의 제 2 점착제층과, 상기 제 1 점착제층 및 상기 제 2 점착제층의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위치하는 제 3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이 각각 0.1㎫ 이상이고, 상기 제 3 점착제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로 구성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전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이, 상기 제 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및 제 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23℃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2.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일방의 면측의 외층으로서의 제 1 점착제층과, 타방의 면측의 외층으로서의 제 2 점착제층과, 상기 제 1 점착제층 및 상기 제 2 점착제층의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위치하는 제 3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가 각각 60㎪ 이상이고, 상기 제 3 점착제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로 구성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화 전의 100% 모듈러스가, 상기 제 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 및 제 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100% 모듈러스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및 제 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의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제층 및 상기 제 2 점착제층의 합계 두께에 대한 상기 제 3 점착제층의 두께의 비는 0.3 이상,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총 두께는 50㎛ 이상,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첩합되는 측의 면에 단차를 갖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는 2장의 박리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2장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과 접하도록 상기 박리 시트에 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8. 적어도 첩합되는 측의 면에 단차를 갖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와, 상기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상기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서로 첩합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표시체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KR1020160128239A 2015-10-16 2016-10-05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102620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4793A JP6727786B2 (ja) 2015-10-16 2015-10-16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JP-P-2015-204793 2015-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117A true KR20170045117A (ko) 2017-04-26
KR102620334B1 KR102620334B1 (ko) 2024-01-02

Family

ID=5855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239A KR102620334B1 (ko) 2015-10-16 2016-10-05 점착 시트 및 표시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27786B2 (ko)
KR (1) KR102620334B1 (ko)
CN (1) CN106916540B (ko)
TW (1) TWI75536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968A1 (ko) * 2017-05-22 2018-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테이프
KR20180127737A (ko) * 2017-05-22 2018-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테이프
WO2019088752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테이프
US11319463B2 (en) 2018-10-16 2022-05-03 Koza Novel Materials Korea Co., Ltd. Multilayer adhesive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1586A1 (ja) * 2017-05-16 2018-11-22 岩谷産業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KR102017014B1 (ko) * 2017-05-22 2019-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테이프
WO2018221109A1 (ja) 2017-05-30 2018-12-06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部材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粘着シート
CN107216819B (zh) * 2017-06-01 2020-07-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胶膜及其制备方法、柔性显示模组
WO2019026577A1 (ja) * 2017-08-02 2019-02-0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KR102566971B1 (ko) * 2017-08-08 2023-08-14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6744850B2 (ja) * 2017-08-30 2020-08-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構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体、ならびに光学用粘着シート
US11945984B2 (en) * 2017-09-28 2024-04-02 Nitto Denko Corporation Reinforcing film
JP6979322B2 (ja) * 2017-10-16 2021-12-08 アイカ工業株式会社 3層型粘着剤シート
TWI786202B (zh) * 2017-12-19 2022-12-1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重複彎曲裝置、其製造方法及彎曲痕跡的抑制方法
JP6986483B2 (ja) * 2018-04-10 2021-12-22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シート、及び、積層体
JP7198009B2 (ja) * 2018-07-11 2022-12-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体の製造方法
JP6810123B2 (ja) * 2018-12-18 2021-01-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表示体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JP6770569B2 (ja) * 2018-12-27 2020-10-1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貼付用粘着シートおよ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20124898A (ja) * 2019-02-06 2020-08-20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貼り合わせ構造物
JP2020125431A (ja) * 2019-02-06 2020-08-20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シート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JP7227797B2 (ja) * 2019-03-12 2023-02-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機械加工性向上フィルム、積層体、及び機械加工性向上フィルムの使用方法
JP6906560B2 (ja) * 2019-04-03 2021-07-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7477948B2 (ja) * 2019-08-20 2024-05-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巻回体
JP7340997B2 (ja) * 2019-09-05 2023-09-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光学積層体
JP7340998B2 (ja) * 2019-09-05 2023-09-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CN111415589A (zh) * 2020-04-02 2020-07-1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模组
JP2021178926A (ja) * 2020-05-14 2021-11-18 共同技研化学株式会社 両面粘着フィルム
KR20210148457A (ko) 2020-05-28 2021-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5071242B (zh) * 2022-07-20 2024-05-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盖板及包含该显示盖板的显示装置
JP7321342B1 (ja) * 2022-09-13 2023-08-04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付き両面粘着シー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7070A (ja) 2008-10-17 2010-04-30 Nitto Denko Corp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透明粘着シート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KR20110079711A (ko) * 2008-10-15 2011-07-07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점착시트 및 화상 표시장치
JP2012184390A (ja) 2010-04-13 2012-09-27 Mitsubishi Plastics Inc 透明両面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5161B1 (en) * 1987-08-28 1992-07-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Unifi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3878386B2 (ja) * 2000-02-23 2007-02-07 三菱樹脂株式会社 中間膜用粘着シート及び合わせガラス積層体
JP5415658B2 (ja) * 2001-05-28 2014-02-12 三菱樹脂株式会社 中間膜用粘着シート及び透明積層体
KR100844383B1 (ko) * 2007-03-13 2008-07-07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반도체 칩 적층용 접착 필름
KR101181335B1 (ko) * 2009-04-09 2012-09-11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CN102471650B (zh) * 2010-04-13 2015-12-16 三菱树脂株式会社 透明两面粘合片
JP4939647B2 (ja) * 2010-08-05 2012-05-30 新タック化成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剥離シート付き両面粘着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透明積層体
EP2615600B1 (en) * 2010-09-06 2018-03-1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for configuring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laminate
JP2012069586A (ja) * 2010-09-21 2012-04-05 Nitto Denko Corp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488930B (zh) * 2012-03-12 2015-06-21 Lg Chemical Ltd 壓感性黏著組成物
JP5882107B2 (ja) * 2012-03-30 2016-03-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101566056B1 (ko) * 2012-12-11 2015-11-04 제일모직주식회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 장치
JP6423581B2 (ja) * 2013-03-29 2018-11-1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
JP5967007B2 (ja) * 2013-04-24 2016-08-1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積層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9711A (ko) * 2008-10-15 2011-07-07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점착시트 및 화상 표시장치
JP2010097070A (ja) 2008-10-17 2010-04-30 Nitto Denko Corp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透明粘着シート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JP2012184390A (ja) 2010-04-13 2012-09-27 Mitsubishi Plastics Inc 透明両面粘着シート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968A1 (ko) * 2017-05-22 2018-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테이프
KR20180127737A (ko) * 2017-05-22 2018-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테이프
KR20180127738A (ko) * 2017-05-22 2018-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테이프
US11549036B2 (en) 2017-05-22 2023-01-10 Koza Novel Materials Korea Co., Ltd. Multi-layer adhesive tape
US11725126B2 (en) 2017-05-22 2023-08-15 Koza Novel Materials Korea Co., Ltd. Multilayer adhesive tape
WO2019088752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테이프
KR20190050632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테이프
US11697749B2 (en) * 2017-11-03 2023-07-11 Koza Novel Materials Korea Co., Ltd. Multilayer adhesive tape
US11319463B2 (en) 2018-10-16 2022-05-03 Koza Novel Materials Korea Co., Ltd. Multilayer adhesiv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334B1 (ko) 2024-01-02
CN106916540A (zh) 2017-07-04
TW201718801A (zh) 2017-06-01
JP2017075281A (ja) 2017-04-20
CN106916540B (zh) 2021-11-09
TWI755367B (zh) 2022-02-21
JP6727786B2 (ja)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0334B1 (ko) 점착 시트 및 표시체
JP6325777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JP6325778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JP6423581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6100060B2 (ja) 積層体
JP6251293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JP6356786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KR20170018768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표시체
JP7170387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KR20170018770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102447233B1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20160137373A (ko)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102569065B1 (ko) 무용제형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20170018769A (ko) 점착 시트 및 표시체
JPWO2016063405A6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KR20180092803A (ko) 점착 시트
JP2018131627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JP6270941B2 (ja)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JP6145568B2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20160117268A (ko) 점착 시트
JP6307186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8131623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JP6934443B2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20114903A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2018127625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