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632A - 다층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다층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632A
KR20190050632A KR1020170146213A KR20170146213A KR20190050632A KR 20190050632 A KR20190050632 A KR 20190050632A KR 1020170146213 A KR1020170146213 A KR 1020170146213A KR 20170146213 A KR20170146213 A KR 20170146213A KR 20190050632 A KR20190050632 A KR 2019005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weight
molecular weight
parts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973B1 (ko
Inventor
이슬
송호경
홍재성
최준만
김장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4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973B1/ko
Priority to TW107138979A priority patent/TWI770304B/zh
Priority to US16/760,814 priority patent/US11697749B2/en
Priority to PCT/KR2018/013244 priority patent/WO2019088752A1/ko
Priority to JP2020524130A priority patent/JP7098726B2/ja
Priority to CN201880069133.0A priority patent/CN111278943B/zh
Publication of KR2019005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1C10or C11-(Meth)acrylate, e.g. isodec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or 2-naph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301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one oxygen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C09J2201/36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7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제1 외곽 점착층; 중간 점착층; 및 제2 외곽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00 g/mol 이상 1,500,000 g/mol 이하의 고분자량 프리폴리머,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 g/mol 이상 80,000 g/mol 이하의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외곽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다층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점착 테이프{MULTILAYER ADHESIVE TAPE}
본 발명은 다층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에는 다양한 부재들이 점착제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에는 편광판, 위상차판, 광학보상필름, 반사시트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 부재가 점착 테이프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패널에는 전도성막, 유리 기재 등과 같은 다양한 부재가 점착 테이프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최근,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기기의 성능 향상에 따라, 점착 테이프에 요구되는 물성도 점점 까다로워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높은 온도 변동에 따른 우수한 내구성 및 반영구적인 점착 성능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으며, 나아가 재시공을 위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거할 때 잔여물이 남지 않고, 점착 테이프가 파단되지 않는 리워크성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점착 테이프가 단차가 있는 부재에 부착되는 경우, 점착 테이프의 회복 특성에 기인하여 부재로부터 박리되어 발생하는 딜레이 버블(delayed bubble)의 발생을 억제하는 물성도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향상된 요구사항에 적합한 점착 테이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 공보: KR 10-2008-0007597 A
본 발명은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제1 외곽 점착층; 중간 점착층; 및 제2 외곽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00 g/mol 이상 1,500,000 g/mol 이하의 고분자량 프리폴리머,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 g/mol 이상 80,000 g/mol 이하의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외곽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단차를 갖는 피착체에의 부착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재작업시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피착체에 부착한 후 제거하더라도, 피착체의 점착 시트 잔여물의 양을 최소하여 피착체의 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고온 및 고습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적층 구조를 모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적층 구조를 모식화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단량체의 중합 단위"는 그 단량체가 중합 반응을 거쳐서 그 중합체의 골격, 예를 들면, 주쇄 또는 측쇄를 형성하고 있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평균분자량(g/mol)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Tg)는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Q-1000, TA Instrument사(제))를 이용하여 -70 ℃ 내지 100 ℃ 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속도 5 ℃/min으로 승온하여 측정하여 DSC 곡선의 중간점으로 결정된 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부재의 두께는 해당 부재의 단면을 전자 현미경(SEM, TEM, STEM)으로 관찰함으로써 얻어진 임의의 10점의 측정값의 평균값일 수 있다. 해당 부재의 두께가 매우 얇은 경우에는 고배율로 관찰된 사진을 확대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확대 시 층간 계면 라인을 폭 방향으로 이등분한 중심 부분을 경계선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 의 알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 시클로알킬기는 관능기 내에 불포화 결합이 존재하지 않고 탄소 외의 이종 원소가 포함된 고리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소수 2 내지 20의 단일고리(monocyclic ring) 또는 다중고리(polycyclic ring)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클로알킬기는 관능기 내에 불포화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탄소 고리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소수 3 내지 20의 단일고리(monocyclic ring) 또는 다중고리(polycyclic ring)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제1 외곽 점착층; 중간 점착층; 및 제2 외곽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00 g/mol 이상 1,500,000 g/mol 이하의 고분자량 프리폴리머,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 g/mol 이상 80,000 g/mol 이하의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외곽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적층 구조를 모식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따르면, 제1 외곽 점착층(101) 및 중간 점착층(201) 및 제2 외곽 점착층(102)이 순차적으로 적층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은 각각 중량평균분자량 100,000 g/mol 이상 1,500,000 g/mol 이하의 고분자량 프리폴리머,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 g/mol 이상 80,000 g/mol 이하의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외곽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은 상기 외곽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단차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외곽 점착제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 점착제층은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이용함으로써 낮은 유리 전이 온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단차 흡수성 및 피착체에 대한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곽 점착제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 점착제층은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타발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재시공을 위하여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제거시 피착체에 잔여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 g/mol 이상 1,500,000 g/mol 이하, 200,000 g/mol 이상 1,000,000 g/mol 이하, 200,000 g/mol 이상 800,000 g/mol 이하, 200,000 g/mol 이상 700,000 g/mol 이하, 또는 300,000 g/mol 이상 60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는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점착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은 우수한 점착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는 고분자량 이크릴계 프리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내구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고온 및/또는 고습에서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g/mol 이상 80,000 g/mol 이하, 5,000 g/mol 이상 80,000 g/mol 이하, 10,000 g/mol 이상 80,000 g/mol 이하, 20,000 g/mol 이상 80,000 g/mol 이하, 20,000 g/mol 이상 60,000 g/mol 이하, 30,000 g/mol 이상 80,000 g/mol 이하, 30,000 g/mol 이상 60,000 g/mol 이하, 30,000 g/mol 이상 50,000 g/mol 이하, 40,000 g/mol 이상 60,000 g/mol 이하, 또는 40,000 g/mol 이상 5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는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유연성 및 유리 전이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은 우수한 단차 매립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는 저분자량 아크릴계 프리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유연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유리전이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단차 흡수성을 손쉽게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형성시 지나치게 적절한 경화 속도를 구현함으로써,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단차흡수성과 같은 물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0 ℃ 이상 8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20 ℃ 이상 60 ℃ 이하, 30 ℃ 이상 60 ℃ 이하, 또는 40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유리전이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리워크성 및 타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는 광중합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중합 관능기는 수소 탈환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중합 관능기는 에스테르 결합(-CO-)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 결합은 상기 점착 조성물의 경화시 산소 라디칼 및 탄소 라디칼로 분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소 라디칼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일측의 수소와 탄소의 결합을 분해하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부터 수소 라디칼을 탈착시키고, 탄소 라디칼을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중합 관능기의 산소 라디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에서 탈착된 수소 라디칼과 결합하여 히드록시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의 경화시 상기 광중합 관능기의 탄소 라디칼이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탄소 라디칼과 단일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중합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 전체 중합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 상기 광중합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 전체 중합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하, 0.0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 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0.1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하, 0.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 0.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0.5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하, 0.5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는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와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의 가교를 용이하게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상기 광중합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가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와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의 가교가 보다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물성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중합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벤조페논계 관능기, 퀴논계 관능기 및 티옥산톤계 관능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광중합 관능기가 결합된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벤조페논계 관능기는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익에시드, 벤조일벤조익에시드메틸에테르, 4-페닐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4-벤졸-4'-메틸디페닐설파이드 및 3,3'-메틸-4-메톡시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관능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퀴논계 관능기는 퀴논, 안트라퀴논, 2-메틸 안트라퀴논, 2-에틸 안트라퀴논, t-부틸 안트라퀴논, 및 2,6-디클로로-9,10- 안트라퀴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관능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티옥산톤계 관능기는 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및 이소프로필티옥산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관능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중합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단일 결합 산소에 결합한 이탈기가 상기 광중합 관능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중합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벤조페논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및 헤테로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중 적어도 1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및 헤테로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중 적어도 1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상기 광중합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헤테로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중 적어도 1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헤테로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중 적어도 1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상기 광중합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에 있어서,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전체 중합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하, 또는 7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에 있어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전체 중합단위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 또는 10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는 시클로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절하여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액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중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제1 및/또는 제2 외곽 점착층은 적절한 점착력을 구현하여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단차 매립성 및 점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제거시, 피착체에 잔여물을 최소화할 수 있어 리워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헤테로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중 적어도 1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프리폴리머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프리폴리머 전체 중합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상 98 중량부 이하, 70 중량부 이상 98 중량부 이하, 80 중량부 이상 95 중량부 이하, 또는 90 중량부 이상 9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프리폴리머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프리폴리머 전체 중합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프리폴리머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프리폴리머 전체 중합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20 중량부 이하, 0 중량부 초과 10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또는 3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헤테로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중 적어도 1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액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중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은 상기 외곽 점착 조성물을 가교 반응을 유도하여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은 상기 외곽 점착 조성물을 용액 중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하여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또는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외곽 점착 조성물은 광개시제, 열개시제 및 경화제 중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 및 열개시제의 종류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아크릴레이트계 경화제 등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40 ℃ 이상 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40 ℃ 이상 -15 ℃ 이하, -40 ℃ 이상 -20 ℃ 이하, 또는 -35 ℃ 이상 -2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타발성 및 핸들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재시공을 위한 제거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가 끊어짐 없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리워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간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하, 50 중량부 이상 85 중량부 이하 또는 60 중량부 이상 8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간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3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부착력을 적절하게 구현하며 높은 단차 매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리워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다층 점착 테이프의 적절한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재시공이 필요한 경우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중간 점착 조성물을 용이하게 도포 및 경화시킬 수 있으며, 중간 점착층의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중간 점착층의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가 급격하게 증가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간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2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 점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하여 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리워크성과 단차 매립성을 동시에 적절한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상기 중간 점착층의 응집력이 높아져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리워크성은 높아지지만 단차 매립성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중간 점착층은 적절한 응집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단차 매립성 및 타발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가 피착체에 합착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경과 후에 발생하는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CH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HMA),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BOA),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IBOMA), 이소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TMCHA, 3,3,5-trimethylcyclohexyl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헤테로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메트)아크릴레이트(THFA), 테트라하이드로 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메트)아크릴레이트(THPA),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및 시클릭트리메틸올프로판포말(메트)아크릴레이트(CTFA, cyclictrimethylol-propaneformal(met)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 및 질소 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산, 3-카르복시프로필 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및 말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질소 함유 단량체는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이소시아네이토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디메틸아크릴아미드 및 N-비닐 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는 30 ㎛ 이상 10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는 40 ㎛ 이상 80 ㎛ 이하, 50 ㎛ 이상 60 ㎛ 이하, 또는 50 ㎛ 이상 60 ㎛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적절한 경도를 나타내어, 우수한 리워크성 및 단차 매립성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단차 매립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두께는 각각 25 ㎛ 이상 6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두께는 각각 25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단차 매립성을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리워크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며, 낮은 응집력에 의하여 장기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는 100 ㎛ 이상 이상 25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는 100 ㎛ 이상 200 ㎛ 이하, 또는 120 ㎛ 이상 17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높은 점착성 및 단차 흡수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높은 리워크성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은 동일한 조성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비,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비는 각각 1:4 내지 2:1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비,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비는 각각 1:0.7 내지 1:2, 또는 1:0.7 내지 1:1.5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에 대한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우수한 단차 매립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우수한 리워크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외곽 점착층의 두께 비율이 커지는 경우, 상대적으로 유연한 외곽 점착층의 두께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가공시 타발 성능 및 리워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중간 점착층의 두께 비율이 커지는 경우, 상대적으로 단단한 중간 점착층의 두께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단차 매립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제1 외곽 점착층과 중간 점착층 사이에 구비된 제1 계면 혼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 사이에 구비된 제2 계면 혼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계면 혼합층은 상기 제1 외곽 점착층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기 중간 점착층을 구성하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2 계면 혼합층은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기 중간 점착층을 구성하는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적층 구조를 모식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따르면, 제1 외곽 점착층(101) 및 중간 점착층(201) 사이에 제1 계면 혼합층(301)이 구비되고, 중간 점착층(201)과 제2 외곽 점착층(102) 사이에 제2 계면 혼합층(302)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제1 외곽 점착 조성물, 중간 점착 조성물 및 외곽 점착 조성물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동시에 경화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제1 외곽 점착 조성물, 중간 점착 조성물 및 제2 외곽 점착 조성물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동시에 광경화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 조성물은 경화 후 상기 제1 외곽 점착층을 구성하고, 상기 중간 점착 조성물은 경화 후 상기 중간 점착층을 구성하며, 상기 제2 외곽 점착 조성물은 경화 후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각 층을 별도로 제조한 후 이를 접합하는 것이 아니라, 액상 조성물을 적층한 후 이를 동시에 경화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므로, 각 층 간에 액 섞임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 섞임 구간에 의하여, 일반적인 다층 점착 테이프에 비하여 우수한 층간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극저온의 환경에서도 층간 계면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외곽 점착 조성물과 상기 중간 점착 조성물의 계면, 및 상기 중간 점착 조성물 및 상기 외곽 점착 조성물의 계면은 각각 액섞임에 따른 계면층이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외곽 점착 조성물과 상기 중간 점착 조성물의 계면에서의 액섞임에 따른 계면층은 경화 후 상기 제1 계면 혼합층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점착 조성물과 상기 제2 외곽 점착 조성물의 계면에서의 액섞임에 따른 계면층은 경화 후 상기 제2 계면 혼합층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외곽 점착 조성물, 상기 중간 점착 조성물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 조성물은 순차적으로 기재 상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곽 점착 조성물, 상기 중간 점착 조성물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 조성물은 동시에 기재상에 순차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도포하는 방법은 슬롯-다이, 립-다이 등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는 상기 제1 계면 혼합층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계면 혼합층의 중심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곽 점착층의 두께는 상기 제1 계면 혼합층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의 외측면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두께는 상기 제2 계면 혼합층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외측면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상기 중간 점착 조성물 및 상기 외곽 점착 조성물을 각각 필름으로 경화한 후, 이를 합판 공정으로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외곽 점착층, 중간 점착층 및 제2 외곽 점착층을 각각 별도로 필름 형태로 제조한 후, 이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압착하여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조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제조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편광판, 위상차판, 광학보상필름, 반사시트, 보호필름 및 휘도향상필름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 부재의 부착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도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제조예 1] - 저분자량 프리폴리머 제조
5 중량부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5 중량부의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의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 중량부의 벤조페논메타크릴레이트를 용액 중합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0 ℃ 인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 저분자량 프리폴리머 제조
5 중량부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5 중량부의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의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 중량부의 벤조페논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액 중합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0 ℃ 인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 저분자량 프리폴리머 제조
10 중량부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0 중량부의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의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 중량부의 벤조페논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액 중합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40 ℃ 인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4] - 저분자량 프리폴리머 제조
5 중량부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5 중량부의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의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 중량부의 벤조페논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액 중합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0 ℃ 인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5] - 저분자량 프리폴리머 제조
50 중량부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의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의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 중량부의 벤조페논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액 중합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20 ℃ 인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6] - 저분자량 프리폴리머 제조
5 중량부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5 중량부의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의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 중량부의 벤조페논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액 중합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0 ℃ 인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80 중량부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의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 10 중량부의 아크릴산을 용액 중합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0 g/mol인 고분자량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고분자량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1에 따른 저분자량 프리폴리머 5 중량부, 아크릴레이트계 경화제 및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외곽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나아가, 80 중량부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의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 10 중량부의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중간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 30 ℃이었다.
상기 외곽 점착 조성물, 상기 중간 점착 조성물 및 상기 외곽 점착 조성물을 각각 45 ㎛, 60 ㎛ 및 45 ㎛의 두께로 순차적으로 도포한 후 UV 조사를 통하여 동시에 경화하여, 제1 외곽 점착층, 중간 점착층 및 제2 외곽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외곽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저분자량체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 의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저분자량 프리폴리머
분자량
(g/mol)
함량
(중량부)
Tg
(℃)
실시예 1 제조예 1 40,000 5 50
실시예 2 제조예 1 40,000 10 50
실시예 3 제조예 2 50,000 10 50
실시예 4 제조예 3 50,000 10 40
비교예 1 제조예 1 40,000 0 50
비교예 2 제조예 1 40,000 30 50
비교예 3 제조예 4 500 7 50
비교예 4 제조예 5 40,000 7 -20
비교예 5 제조예 6 100,000 7 50
[ 실험예 ]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 에 따른 점착 시트의 물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 와 같다.
단차 매립성 리워크성 박리력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X
비교예 3 X X
비교예 4 X
비교예 5 X
단차 매립성 평가
20 ㎛의 인쇄 단차를 가지는 베젤부 및 인쇄 단차가 없는 화면부를 가지는 1.1 T 두께의 유리 기판 상에 제조된 다층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고, 그 위에 0.55 T 두께의 유리 기판을 적층하였다. 그리고, 40 ℃ 및 4 bar 조건의 오토클레이브에 20분간 방치한 후, 베젤부의 4 개 꼭지점 부분에서 단차를 충분히 극복하지 못하여 생성되는 기포의 개수 및 24시간 경과 후 화면부에서의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을 확인하여 단차 매립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지연성 기포가 1 개 이하인 경우 ◎, 지연성 기포가 2 개로서,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가 약하게 발생하는 경우 ○, 지연성 기포가 3 개로서,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가 강하게 발생하는 경우 △, 지연성 기포가 4개 이상이고,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가 강하게 발생하는 경우 ×로 평가하였다.
리워크성 평가
제조된 다층 점착 테이프를 20 ㎛ 의 인쇄 단차를 갖는 베젤부 및 인쇄 단차가 없는 화면부를 가지는 1.1 T 두께 유리 기판 상에 부착하고, 40 ℃ 및 4 bar 조건의 오토클레이브에 20분간 방치하며, 상온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거할 때, 다층 점착 테이프가 끊어지지 않고 한번에 모두 제거되는 경우 ◎, 다층 점착 테이프가 끊어지지만 5회 이하의 제거 작업이 필요한 경우 ○, 다층 점착제가 쉽게 끊어져서 6회 이상의 제거 작업이 필요한 경우 △, 다층 점착제가 쉽게 끊어지고 제거 작업이 불가능한 경우 ×로 평가하였다.
박리력 평가
제조된 다층 점착 테이프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배킹한 후, 1.1 T 두께의 유리 기재에 2 kg 롤러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오토클레이브(60 ℃, 7 bar)에 30분간 방치 후에, 25 ℃, 25 RH%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박리 각도를 180도로 하여 ASTM D903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박리력이 2,500 g/in 이상인 경우 ◎, 박리력이 2,000 g/in 이상 2,500 g/in 미만인 경우 ○, 1,500 g/in 이상 2,500 g/in 미만인 경우 △, 1,500 g/in 미만인 경우 ×로 평가하였다.
표 2 에 따른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에 따른 점착 시트는 단차 매립성, 리워크성 및 부착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이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은 단차 매립성 및 박리력이 실시예에 비하여 열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한 비교예 2는 리워크성이 불량하여, 재시공이 필요한 경우 피착체에서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중량평균분자량이 지나치게 낮은 저분자량체 프리폴리머를 사용한 비교예 3은 단차 매립성, 리워크성 및 박리력이 열등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리전이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사용한 비교예 4는 리워크성이 매우 불량하고, 박리력도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중량평균분자량이 지나치게 높은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사용한 비교예 5는 리워크성이 매우 불량하였으며, 박리력도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101: 제1 외곽 점착층
102: 제2 외곽 점착층
201: 중간 점착층
301: 제1 계면 혼합층
302: 제2 계면 혼합층

Claims (15)

  1. 제1 외곽 점착층; 중간 점착층; 및 제2 외곽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00 g/mol 이상 1,500,000 g/mol 이하의 고분자량 프리폴리머,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 g/mol 이상 80,000 g/mol 이하의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외곽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다층 점착 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0 ℃ 이상 80 ℃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는 광중합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벤조페논계 관능기, 퀴논계 관능기 및 티옥산톤계 관능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광중합 관능기가 결합된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 전체 중합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프리폴리머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헤테로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중 적어도 1종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량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20 중량부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40 ℃ 이상 0 ℃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각각 -60 ℃ 이상 - 20 ℃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점착층은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시클로알킬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단위를 포함하는 중간 점착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는 3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두께는 각각 25 ㎛ 이상 60 ㎛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제1 외곽 점착층과 중간 점착층 사이에 구비된 제1 계면 혼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 사이에 구비된 제2 계면 혼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KR1020170146213A 2017-11-03 2017-11-03 다층 점착 테이프 KR102171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213A KR102171973B1 (ko) 2017-11-03 2017-11-03 다층 점착 테이프
TW107138979A TWI770304B (zh) 2017-11-03 2018-11-02 多層黏著帶
US16/760,814 US11697749B2 (en) 2017-11-03 2018-11-02 Multilayer adhesive tape
PCT/KR2018/013244 WO2019088752A1 (ko) 2017-11-03 2018-11-02 다층 점착 테이프
JP2020524130A JP7098726B2 (ja) 2017-11-03 2018-11-02 多層粘着テープ
CN201880069133.0A CN111278943B (zh) 2017-11-03 2018-11-02 多层粘合剂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213A KR102171973B1 (ko) 2017-11-03 2017-11-03 다층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632A true KR20190050632A (ko) 2019-05-13
KR102171973B1 KR102171973B1 (ko) 2020-10-30

Family

ID=6633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213A KR102171973B1 (ko) 2017-11-03 2017-11-03 다층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97749B2 (ko)
JP (1) JP7098726B2 (ko)
KR (1) KR102171973B1 (ko)
CN (1) CN111278943B (ko)
TW (1) TWI770304B (ko)
WO (1) WO20190887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40215B (zh) * 2019-09-24 2021-09-21 林紫綺 超薄黏著塗層防墨料汙染包裝材料之製造方法及其容器結構
EP4310115A1 (en) * 2022-07-20 2024-01-24 Arkema France Oligomers comprising polymerized high-tg monomers
JP7398033B1 (ja) 2022-11-09 2023-12-14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粘着シート、積層体、およびディスプレ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755A (ko) * 2004-11-19 2006-05-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자외선 가교형 아크릴계 점착제
KR20080007597A (ko) 2005-04-15 2008-01-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KR20170045117A (ko) * 2015-10-16 2017-04-26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20170115226A (ko) * 2016-04-06 2017-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9376B2 (ja) 2007-04-20 2014-02-1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の自動車塗膜面への接着方法
JP2009013361A (ja) * 2007-07-09 2009-01-22 Soken Chem & Eng Co Ltd 両面粘着テープ
JP2009256607A (ja) 2008-03-17 2009-11-05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粘着剤、アクリル系粘着剤層、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US20120156456A1 (en) 2010-03-14 2012-06-21 Mitsubishi Plastics, Inc. Transparent double-sided self-adhesive sheet
CN103097483B (zh) * 2010-08-27 2016-03-09 日东电工株式会社 丙烯酸类粘合剂组合物、丙烯酸类粘合剂层以及丙烯酸类粘合带
US20140127503A1 (en) 2011-07-01 2014-05-08 Nitto Denko Corporation Multi-laye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rticle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6067964B2 (ja) 2011-08-12 2017-01-2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放射線硬化性粘着シート
KR20140003157A (ko) 2012-06-29 2014-01-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광학 투명성을 갖는 다층 접착필름
KR102147075B1 (ko) * 2012-09-28 2020-08-24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KR20150095746A (ko) 2012-12-10 2015-08-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액체 광학 접착제 조성물
JP2014145023A (ja) * 2013-01-29 2014-08-14 Nitto Denko Corp 多層粘着シート
EP3169743B1 (en) * 2014-07-17 2020-10-14 Henkel AG & Co. KGaA Photo-curable liquid optically clear adhesiv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1915337B1 (ko) 2014-08-25 2018-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곡면 기재용 다층 구조 점접착 필름
KR20160035704A (ko) 2014-09-23 2016-04-01 (주)엘지하우시스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KR20160083583A (ko) 2014-12-31 201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EP3156466B1 (en) * 2015-10-15 2020-11-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am tape for outdooor applications
KR102150336B1 (ko) 2016-04-06 2020-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필름
CN107216819B (zh) * 2017-06-01 2020-07-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胶膜及其制备方法、柔性显示模组
CN208240297U (zh) * 2018-06-26 2018-12-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755A (ko) * 2004-11-19 2006-05-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자외선 가교형 아크릴계 점착제
KR20080007597A (ko) 2005-04-15 2008-01-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KR20170045117A (ko) * 2015-10-16 2017-04-26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20170115226A (ko) * 2016-04-06 2017-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973B1 (ko) 2020-10-30
US20210079269A1 (en) 2021-03-18
TW201923009A (zh) 2019-06-16
CN111278943B (zh) 2022-07-22
CN111278943A (zh) 2020-06-12
JP7098726B2 (ja) 2022-07-11
TWI770304B (zh) 2022-07-11
WO2019088752A1 (ko) 2019-05-09
US11697749B2 (en) 2023-07-11
JP2021501240A (ja)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170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US20130005928A1 (en) Optical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member, touch panel, image display device, and separating method
US11091674B2 (en) Multilayer adhesive tape
KR102144950B1 (ko) 점착 조성물 및 점착 필름
JP2013122035A (ja) 粘着シート
JP4689166B2 (ja) 粘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接着性光学機能部材及び液晶表示素子
KR20170062390A (ko) 점착 시트 및 박리 필름 구비 점착 시트
US11697749B2 (en) Multilayer adhesive tape
KR20020060272A (ko)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한 편광판 점착제품의 제조방법
KR20080073883A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7278967B2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
JP6943481B2 (ja) 多層粘着テープ
US11549036B2 (en) Multi-layer adhesive tape
KR101406084B1 (ko) 내충격성 및 고투과성을 가진 속경화형 탄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TWI776091B (zh) 多層黏著膜
KR20180032040A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170113805A (ko) 광학용 투명 점착제용 조성물, 광학용 투명 점착 필름 및 양면 점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