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704A -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704A
KR20160035704A KR1020140127074A KR20140127074A KR20160035704A KR 20160035704 A KR20160035704 A KR 20160035704A KR 1020140127074 A KR1020140127074 A KR 1020140127074A KR 20140127074 A KR20140127074 A KR 20140127074A KR 20160035704 A KR20160035704 A KR 20160035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foam
adhesive tape
acrylate
acrylic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혜
김장순
한우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127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5704A/ko
Priority to PCT/KR2015/009894 priority patent/WO2016047982A1/ko
Priority to TW104131447A priority patent/TW201612275A/zh
Publication of KR20160035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기공형성용 필러 및 점착부여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아크릴 폼 층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ACRYL FOAM ADHESIVE TAPE}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폼 테이프는 전자 제품의 부품 간의 결합, 실내 인테리어용 부엌 가구 싱크대나 가구 등에 내장용품 또는 자동차 내·외장재의 접착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주로 유리에 코팅된 도장면 또는 필름 상에 부착되어 외형을 장식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폼 테이프는 폼을 포함하고, 용도에 따라 다른 기능성 층을 합판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내충격성 및 점착성이 모두 우수한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기공형성용 필러 및 점착부여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아크릴 폼 층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는,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CH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HMA),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BOA),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IBOMA),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TMCHA, 3,3,5-trimethylcyclohexylacryl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는,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아크릴레이트(THFA), 시클릭트리메틸올프로판포말아크릴레이트(CTFA, cyclictrimethylol-propaneformalacryl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성분은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극성 모노머 :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량비는 약 1 : 1 내지 약 30 : 1일 수 있다.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질소 함유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성분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은 상기 수지 조성물이 광경화에 의하여 경화된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를 약 0.1 내지 약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는 고분자 미소중공구, 글래스 버블(glass bubble), 글래스 매크로벌룬(glass macro balloo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미소중공구의 평균 입경은 약 1 내지 약 350㎛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미소중공구는 약 0.01 내지 약 1㎛ 두께의 쉘(shell); 및 상기 쉘로 둘러싸인 내부에 기체 상태의 가스(ga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점착부여제를 약 10 내지 약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로진계 점착부여제, 테르펜계 점착부여제, 석유수지계 점착부여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의 기공률은 약 0.1 내지 약 50 부피%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의 두께는 약 5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은 약 -35℃ 내지 약 -10℃의 온도에서 손실정접(tanδ)의 최대값을 나타내고, 상기 손실정접(tanδ)의 최대값은 약 1.0 내지 약 3.0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은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박리력이 약 1.5 내지 약 5.0 ㎏/in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는 상기 아크릴 폼 층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우수한 점착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기공형성용 필러 및 점착부여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아크릴 폼 층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장치, 자재 또는 기기에 적용 시 우수한 점착성을 나타내며, 이와 동시에 이를 적용한 장치 또는 기기를 낙하시켰을 때 우수한 내충격성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는 아크릴 폼 층을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 폼 층은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기공형성용 필러 및 점착부여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및 점착부여제와 함께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상기 아크릴 폼 층은 기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게 되고, 이로써 소음과 진동, 충격 흡수의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우수한 경량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는 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이 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모노머 성분은 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 및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클로알킬기(cycloalkyl group)' 및 '헤테로시클로알킬기(heterocycloalkyl group)'는 관능기 내에 불포화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고리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탄소수 2 내지 20의 단일고리(monocyclic ring) 또는 다중고리(polycyclic ring)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이 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가 우수한 내충격성 및 점착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및 점착부여제의 상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는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CH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HMA),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BOA),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IBOMA),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TMCHA, 3,3,5-trimethylcyclohexylacryl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는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아크릴레이트(THFA), 시클릭트리메틸올프로판포말아크릴레이트(CTFA, cyclictrimethylol-propaneformalacryl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노머 성분은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CHA)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적절한 모듈러스를 바탕으로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유리하며, 손실정접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가교성 모노머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 및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는 각각 시클로알킬기 및 헤테로시클로알킬기를 함유함과 동시에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등의 극성 관능기를 함유하지 않는 모노머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을 '비극성 모노머'로 통칭한다.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모'는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등의 극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를 의미한다.
상기 모노머 성분이 상기 비극성 모노머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비극성 모노머와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비극성 모노머 :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량비가 1 : 1 내지 30 : 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 1 내지 10 : 1일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성분이 상기 비극성 모노머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상기 범위의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가 적절한 모듈러스를 확보하여 우수한 내충격성을 구현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우수한 점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질소 함유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등과 같은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이소시아네이토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등과 같은 질소 함유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아크릴산, 또는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우수한 내충격성을 확보하면서도 적절한 응집력을 바탕으로 고온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성분은 상기 비극성 모노머와 함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비극성 모노머, 상기 극성 모노머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탄소수 1 내지 14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는 상기 모노머 성분을 광중합 개시제와 혼합한 후 광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동일한 목적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은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기공형성용 필러 및 점착부여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광경화함으로써 형성된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 폼 층은 상기 수지 조성물에 광경화 개시제 및 광가교제를 혼합한 후, 진공 펌프를 이용해 감압 탈포하고, 이를 도포한 후 광 조사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가교제는 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 가교제, 또는 금속 킬레이트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는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펜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디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과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하여 제조된 가교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글리세린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지리딘 가교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멜라민, 비스이소프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트리-1-아지리디닐 포스핀 옥시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킬레이트 가교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또는 바나듐과 같은 다가 금속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이 배위되어 있는 아세틸 아세톤 또는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가교제는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가교제의 함량이 약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아크릴 폼 층이 고온 또는 고습 조건 하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날 우려가 있고, 약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층간 박리나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등 내구신뢰성이 저하되거나, 상용성 및 유동성이 감소될 우려가 있다.
상기 광경화 개시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동일한 목적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아니하고, 요구되는 경화 정도에 따라 적절 함량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 폼 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를 약 0.1 내지 약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0.5 내지 약 2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를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크릴 폼 층에 쿠션 성질을 부여하여 우수한 내충격성을 구현하기 어렵고, 경량화 효과도 향상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약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점착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고, 경화 전의 슬러리 점도가 너무 높아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는 고분자 미소중공구, 글래스 버블(glass bubble), 글래스 매크로벌룬(glass macro balloo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는 고분자 미소중공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미소중공구란 구형의 고분자 쉘 내에 상온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가스들이 채워진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시켜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 미소중공구는 코팅 및 경화 등의 제조 공정 조건에서는 파열되지 않으나, 소정의 조건, 예컨대 일정 온도 이상에서 가열 처리하는 경우 구 내부의 높은 기체 압력 및 구의 형태 불안정성으로 인해 파열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미소중공구 내부의 가스는 상온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가스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가스는 질소, 이산화탄소, 펜탄, 부탄 등일 수 있고, 분자량이 비교적 높은 펜탄, 부탄 등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미소중공구는 평균 입경이 약 1 내지 약 35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아크릴 폼 층이 우수한 내충격성 및 유연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우수한 표면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미소중공구의 평균 입경이 약 1㎛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아크릴 폼 층의 유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약 350㎛ 보다 큰 경우에는 아크릴 폼 층의 표면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평균 입경이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고분자 미소중공구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크기를 갖는 고분자 미소중공구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크기가 큰 미소중공구들 사이에 크기가 작은 미소중공구들이 채워져 상기 아크릴 폼 층의 유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미소중공구의 쉘(sell)은 아크릴계 고분자, 스티렌계 고분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아크릴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와의 상용성이 향상되어 상기 아크릴 폼 층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미소중공구는 약 0.01 내지 1㎛ 두께의 쉘(shell); 및 상기 쉘로 둘러싸인 내부에 기체 상태의 가스(ga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shell)의 두께가 약 0.01㎛ 보다 작은 경우에는 고분자 미소중공구가 너무 쉽게 파열되어 아크릴 폼 층의 제조 과정에서 적절한 기공률을 확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두께가 약 1㎛보다 큰 경우에는 고분자 미소중공구를 파열시키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기 어렵고, 열처리에 의하는 경우 고온에서의 열처리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경화된 아크릴계 고분자가 열화되어 상기 아크릴 폼 층의 내구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미소중공구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약 0.01 내지 약 0.5g/cm3일 수 있다. 상기 밀도가 약 0.01g/cm3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수지 조성물 내로 혼입하기 위해 고분자 미소중공구를 이송할 때, 비산하기 쉬우므로 원하는 함량을 정확하게 조절하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 밀도가 약 0.5g/cm3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아크릴 폼 층의 밀도를 지나치게 증가시켜 경량화 효과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점착부여제를 약 10 내지 약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와 적절한 상용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 폼 층의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점착부여제가 약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아크릴 폼 층의 점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약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아크릴 폼 층의 내구성 및 고온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로진계 점착부여제, 테르펜계 점착부여제, 석유수지계 점착부여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계 또는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수소화된 석유수지계 점착부여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로진계 또는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에 의하여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와 우수한 상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수소화된 석유수지계 점착부여제가 응집력을 보완함으로써 상기 아크릴 폼 층이 우수한 내충격성 및 점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염료, 안료, 자외선차단제, 항산화제, 가공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는 상기 아크릴계 폼 점착 테이프가 피착체의 부착 등에 사용된 후, 외부조건 하에서 가해지는 열, 햇빛 또는 온도 등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의 가교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에 3차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영구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로는 아민계 실란과 에폭시 실란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상기 아크릴계 폼 점착 테이프가 사용된 피착체에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대전 방지제로서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대전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공유는 내한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첨가 될 수 있다. 상기 가공유는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DIBP, di-isobutyl phthalate), 디옥틸프탈레이트(DOP, di-octyl phthalate), 알릴에테르계 오일, 파라핀 오일, 나프탈렌계 오일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무기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상기 아크릴 폼 층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이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무기 필러를 약 10 내지 약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내충격성 및 점착성 향상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내구성 및 강도 등 상기 아크릴 폼 층의 전체적인 물성 및 기능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수산화알루미늄(ATH),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탄화규소,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규소,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규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아크릴 폼 층은 기공(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공(A)은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수지 조성물의 경화 시 질소와 같은 기포를 주입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의 기공률은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의 함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수지 조성물의 경화 시 공정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 폼 층의 기공률은 약 0.1 내지 약 50 부피%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이 상기 범위의 기공률을 나타냄으로써, 적절한 모듈러스를 바탕으로 우수한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경량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부착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는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아크릴 폼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 폼 층의 두께는 약 5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는 구체적으로 전자기기의 커버 윈도우 고정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두께 범위의 아크릴 폼 층을 포함함으로써 두께 대비 우수한 점착성 및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은 적절한 모듈러스를 바탕으로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에 우수한 내충격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약 -35℃ 내지 약 -10℃의 온도에서 손실정접(tanδ)의 최대값을 나타내고, 상기 손실정접(tanδ)의 최대값은 약 1.0 내지 약 3.0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이 상기 온도 범위에서 상기 범위의 손실정접(tanδ) 최대치를 나타냄으로써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의 내충격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은 그 자체로 우수한 점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박리력이 약 1.5 내지 약 5.0 ㎏/in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이 상기 범위의 박리력을 나타냄으로써, 우수한 점착성을 바탕으로 이를 적용한 장치, 장식재 및 기기 등에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은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박리력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수 있고, 유리 기재에 대해서는 더 높은 박리력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라스틱 기재는 폴리카보네이트(PC) 기재,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기재,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기재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은 상기 범위의 온도에서 상기 범위의 손실정접(tanδ) 최대값을 나타냄과 동시에, 플라스틱 기재에 대하여 상기 범위의 박리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크릴 폼 층을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우수한 점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바일 커버 윈도우 등을 고정할 때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 및 밀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100)는 상기 아크릴 폼 층(10)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2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200)는 상기 아크릴 폼 층(10)의 양면에 다른 층이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는 상기 아크릴 폼 층(10)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폼 층(10)의 양면에 상기 점착층(20)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아크릴 폼 층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층을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는 상기 아크릴 폼 층과 동일한 범위의 온도에서 동일한 범위의 손실정접(tanδ)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아크릴 폼 층과 동일한 범위의 박리력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가 상기 아크릴 폼 층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내충격성 및 우수한 점착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이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함으로써 동일 또는 유사 계열의 성분을 포함하는 아크릴 폼 층과 우수한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및 점착부여제를 혼합한 후 광경화하여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및 점착부여제에 관한 사항은 상기 아크릴 폼 층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및 점착부여제에 광경화 개시제 및 광가교제를 더 혼합한 후 이를 경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 개시제 및 광가교제의 종류 및 함량 등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제조예>
제조예 1 내지 5의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는 각각 하기 표 1에 기재된 모노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모노머 성분을 마련한 후, 상기 모노머 성분을 1리터 유리 반응기에서 광중합하여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수치는 각 모노머의 함량을 중량%로 기재한 것이다.
제조예 1 내지 3의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를 포함하고, 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로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CHA) 또는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BOA)를 포함하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 아크릴산(AA)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조예 4의 모노머 성분은 시클로알킬기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기를 함유하지 않는 비극성 모노머로서 메타크릴레이트(MA)를 포함하고, 제조예 5의 모노머 성분은 비극성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다.
모노머 성분
제조예 1 2-EHA 78 CHA 20 AA 2
제조예 2 2-EHA 78 IBOA 20 AA 2
제조예 3 2-EHA 80 IBOA 20 -
제조예 4 2-EHA 80 MA 10 AA 10
제조예 5 2-EHA 90 - AA 10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의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개시제로서 이가큐어-651 (a,a-메톡시-a-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2 중량부, 광가교제로서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1 중량부를 혼합한 후 충분히 교반하였다. 여기에,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균 입경이 40㎛인 고분자 미소중공구를 0.5 중량부 첨가하고, 점착부여제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감압 탈포한 후에 코팅한 후 블랙형광등 램프를 이용하여 광경화시킴으로써 아크릴 폼 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 폼 층을 두께 250㎛로 제조하여, 이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2의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3의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1의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개시제로서 이가큐어-651 (a,a-메톡시-a-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05 중량부 및 광가교제로서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1 중량부를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였다. 여기에, 점착부여제 15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후에,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감압 탈포하고, 코팅한 후 블랙형광등 램프를 이용하여 광경화시킴으로써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 1의 아크릴 폼 층을 150㎛로 제조하고, 상기 점착층을 50㎛로 제조하여, 상기 아크릴 폼 층의 양면에 각각 상기 점착층을 적층함으로써, 총 두께가 250㎛이고 점착층-아크릴 폼 층-점착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의 아크릴 폼 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3의 아크릴 폼 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아크릴 폼 층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제조예 4의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제조예 5의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비교예 2의 아크릴 폼 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비교예 3의 아크릴 폼 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상기 비교예 1 내지 5의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각 점착층 또는 아크릴 폼 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점착층 아크릴 폼 층 점착층
실시예 1 - 제조예 1 -
실시예 2 - 제조예 2 -
실시예 3 - 제조예 3 -
실시예 4 졔조예 1 제조예 1 제조예 1
실시예 5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1
실시예 6 제조예 1 제조예 3 제조예 1
비교예 1 제조예 1 PET 필름 제조예 1
비교예 2 - 제조예 4 -
비교예 3 - 제조예 5 -
비교예 4 제조예 1 제조예 4 제조예 1
비교예 5 제조예 1 제조예 5 제조예 1
<평가>
실험예 1: 모듈러스의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자동동적점탄성측정기(ARES) 장치를 이용하여 -70℃에서 30℃까지 1.0㎐로 온도 스윕(temperature sweep)을 실시하여 손실정접(tanδ)을 측정하였고, 상기 손실정접(tanδ)의 최대값 및 이 때의 온도를 관측하였다.
실험예 2: 내충격성의 측정
20㎜ x 20㎜ x 3㎜의 유리 시편을 준비하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5로 상기 유리 시편을 50㎜ x 50㎜ x 2㎜의 중앙에 10㎜ 지름의 홀가공된 폴리카보네이트(PC) 기재에 부착하였다. 이어서, 듀퐁타입충격시험기(Dupont type impact tester)를 이용하여 충격시험을 실시한다. 100g의 추를 높이 50㎜부터 500㎜까지 순차적으로 올려 낙하시키면서 관측하여 유리 시편과 점착테이프가 탈착될 때까지 추의 무게를 증량한다. 150g의 추는 높이 350㎜ ~ 500㎜, 200g의 추는 높이 400㎜ ~ 500㎜, 300g 및 400g의 추는 높이 350㎜ ~ 500㎜에서 낙하시키고, 시편과 점착 테이프가 탈착되는 때의 추의 무게 및 높이를 기록하였다. 이어서, 추의 무게 및 높이를 이용해 충격량을 도출하였고, 충격량의 값이 클수록 내충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박리 강도의 측정
폭 50mm, 길이 120mm의 유리판을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물이 50:50 부피비로 혼합된 용액으로 세정한 후, 건조하였다.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5의 각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의 어느 일 면에 적층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5의 각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의 다른 일면에 상기 유리판을 부착시킨 후, 상기 유리판에 각각 2Kg 롤러로 여러 방향으로 한번씩 롤링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5의 각각에 대한 샘플을 5개씩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샘플을 상온에서 약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각 샘플을 상온에서 300mm/분 속도로 180도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5개씩 제조된 샘플에 대하여 행하고, 그 평균치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박리 강도는 ASTM D 3330에 따라 측정하였고, 만능시험기(UTM) (Texture Analyzer XT Plus, Stable micro systems社)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3의 결과는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tanδ의 최대값 tanδ가 최대값일 때의 온도(℃) 충격량(mJ) 박리력(㎏/in)
실시예 1 1.43 -26.5 1.029 1.5
실시예 2 1.40 -24.9 1.029 1.4
실시예 3 1.53 -24.4 0.980 2.0
실시예 4 1.44 -26.1 1.029 2.3
실시예 5 1.39 -19.8 1.029 2.5
실시예 6 1.41 -25.2 1.029 1.6
비교예 1 1.43 -26.5 0.490 1.2
비교예 2 1.09 -5.2 0.196 1.1
비교예 3 1.19 -7.4 0.049 1.2
비교예 4 1.21 -10.1 0.392 1.6
비교예 5 1.14 -8.7 0.490 1.1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할 때,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는, 이에 포함되는 아크릴 폼 층이 -35℃ 내지 -10℃에서 손실정접(tanδ)이 1.0 내지 3.0의 최대값을 나타냄으로써 적절한 모듈러스를 확보함과 동시에, 큰 충격량 및 박리력을 구현하는 것이므로, 비교예 1 내지 5와 달리 우수한 내충격성 및 박리 강도를 동시에 구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100, 200: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10: 아크릴 폼 층
20: 점착층
A: 기공

Claims (20)

  1.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기공형성용 필러 및 점착부여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아크릴 폼 층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는,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CH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HMA),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BOA),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IBOMA),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TMCHA, 3,3,5-trimethylcyclohexylacryl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함유 비극성 모노머는,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아크릴레이트(THFA), 시클릭트리메틸올프로판포말아크릴레이트(CTFA, cyclictrimethylol-propaneformalacryl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성분은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극성 모노머 :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량비는 1 : 1 내지 30 : 1인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질소 함유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성분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폼 층은 상기 수지 조성물이 광경화에 의하여 경화된 경화물을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를 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는 고분자 미소중공구, 글래스 버블(glass bubble), 글래스 매크로벌룬(glass macro balloo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미소중공구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350㎛인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미소중공구는 0.01 내지 1㎛ 두께의 쉘(shell); 및
    상기 쉘로 둘러싸인 내부에 기체 상태의 가스(gas)를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점착부여제를 10 내지 40 중량부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로진계 점착부여제, 테르펜계 점착부여제, 석유수지계 점착부여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폼 층의 기공률은 0.1 내지 50 부피%인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폼 층의 두께는 50 내지 300㎛인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폼 층은 -35℃ 내지 -10℃의 온도에서 손실정접(tanδ)의 최대값을 나타내고, 상기 손실정접(tanδ)의 최대값은 1.0 내지 3.0인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폼 층은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박리력이 1.5 내지 5.0 ㎏/in인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폼 층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KR1020140127074A 2014-09-23 2014-09-23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KR20160035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074A KR20160035704A (ko) 2014-09-23 2014-09-23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PCT/KR2015/009894 WO2016047982A1 (ko) 2014-09-23 2015-09-21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TW104131447A TW201612275A (en) 2014-09-23 2015-09-23 Acryl foam adhesive t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074A KR20160035704A (ko) 2014-09-23 2014-09-23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704A true KR20160035704A (ko) 2016-04-01

Family

ID=5558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074A KR20160035704A (ko) 2014-09-23 2014-09-23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60035704A (ko)
TW (1) TW201612275A (ko)
WO (1) WO2016047982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686A1 (ko) * 2017-02-10 2018-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재 전사 테이프
KR20180092752A (ko) *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재 전사 테이프
KR20180104426A (ko) 2017-03-13 2018-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폼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폼 점착 테이프
KR101959667B1 (ko) 2018-02-28 2019-03-18 우견윤 발포폼점착층을 가지는 잉크젯 출력용 기록매체의 제조방법
WO2019088752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테이프
KR20190060372A (ko)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막 폼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996851A (zh) * 2016-12-12 2019-07-09 Dic株式会社 导电性粘合带
WO2020032548A1 (ko) * 2018-08-08 2020-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재 점착 테이프
KR20200017238A (ko)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조성물 및 무기재 점착 테이프
KR20200061113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윈도우 데코 필름용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데코 필름
WO2021215563A1 (ko) * 2020-04-21 2021-10-28 주식회사 영우 압축 성능이 우수한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230621A1 (ko) * 2020-05-15 2021-11-18 주식회사 아모센스 파워모듈
US11674061B2 (en) 2018-08-08 2023-06-13 Lg Chem, Ltd. Substrate-free adhesive ta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9773B2 (ja) 2016-10-27 2023-01-0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高分子フォーム粘着テープおよびこれを含む感圧型タッチパネル
CN109906258B (zh) 2016-10-27 2021-08-10 株式会社Lg化学 聚合物泡沫粘合带和包括其的压敏型触摸面板
JP6877813B2 (ja) 2016-10-27 2021-05-2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高分子フォーム粘着テープおよびこれを含む感圧型タッチパネル
KR20230096916A (ko) * 2020-10-28 2023-06-30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점착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208A (ja) * 2000-01-26 2001-10-10 Sekisui Chem Co Ltd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WO2005121267A1 (en) * 2004-06-11 2005-12-22 Lg Chem. Ltd. Adhesive sheet comprising hollow part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5141074B2 (ja) * 2007-03-30 2013-02-13 Jsr株式会社 耐衝撃粘着層、耐衝撃粘着積層体、及び表示装置
EP2551102B1 (en) * 2011-07-29 2014-1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stick foam adhesive
KR101534375B1 (ko) * 2012-04-24 2015-07-07 (주)엘지하우시스 기포 분산형 폼 테이프 기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폼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13209827A1 (de) * 2012-06-21 2013-12-24 Tesa Se Hitzebeständiges Klebeband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6851A (zh) * 2016-12-12 2019-07-09 Dic株式会社 导电性粘合带
US11427736B2 (en) 2017-02-10 2022-08-30 Lg Chem, Ltd. Substrate-free transfer tape
KR20180092752A (ko) *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재 전사 테이프
WO2018147686A1 (ko) * 2017-02-10 2018-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재 전사 테이프
KR20180104426A (ko) 2017-03-13 2018-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폼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폼 점착 테이프
WO2019088752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테이프
US11697749B2 (en) 2017-11-03 2023-07-11 Koza Novel Materials Korea Co., Ltd. Multilayer adhesive tape
KR20190060372A (ko)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막 폼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9667B1 (ko) 2018-02-28 2019-03-18 우견윤 발포폼점착층을 가지는 잉크젯 출력용 기록매체의 제조방법
KR20200017238A (ko)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조성물 및 무기재 점착 테이프
US11674061B2 (en) 2018-08-08 2023-06-13 Lg Chem, Ltd. Substrate-free adhesive tape
WO2020032548A1 (ko) * 2018-08-08 2020-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재 점착 테이프
KR20200061113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윈도우 데코 필름용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데코 필름
WO2021215563A1 (ko) * 2020-04-21 2021-10-28 주식회사 영우 압축 성능이 우수한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230621A1 (ko) * 2020-05-15 2021-11-18 주식회사 아모센스 파워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2275A (en) 2016-04-01
WO2016047982A1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5704A (ko)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JP6525961B2 (ja) アクリルフォーム粘着テープおよびこれを適用した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CN109196067B (zh) 丙烯酸类橡胶泡沫和包含其的双面胶带
JP7063690B2 (ja) 粘着シート
KR101993799B1 (ko)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제조방법
KR101820562B1 (ko)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적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KR102142895B1 (ko) 양면 점착 시트
JP2009108113A (ja) 感圧式接着剤および感圧式接着フィルム
KR20130116816A (ko)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
WO2011118182A1 (ja)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KR20110019736A (ko) 점탄성 폴리올레핀 후면을 갖는 접착 테이프
TW202113016A (zh) 光交聯性黏著劑及其利用
KR20200033312A (ko) 양면 점착 시트
KR102044248B1 (ko)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70031345A (ko)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는 할로겐프리 친환경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1598658B1 (ko)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적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KR102589157B1 (ko) 점착 시트
KR101658608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05681A (ko) 장식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장식 패널
KR102607273B1 (ko) 점착 시트
WO2019059081A1 (ja) 両面粘着テープ
KR101988074B1 (ko) 자동차용 접착필름
JP2020041091A (ja) 機械加工性向上フィルム、積層体、及び機械加工性向上フィルムの使用方法
KR101613769B1 (ko) 점착 테이프
CN110698997B (zh) 粘合片及粘合剂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