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916A -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916A
KR20230096916A KR1020227039770A KR20227039770A KR20230096916A KR 20230096916 A KR20230096916 A KR 20230096916A KR 1020227039770 A KR1020227039770 A KR 1020227039770A KR 20227039770 A KR20227039770 A KR 20227039770A KR 20230096916 A KR20230096916 A KR 20230096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weight
meth
monomer
der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유키 우치다
야스시 이시도
마코토 후쿠야마
다츠야 니시가키
아키후미 호리오
히나 야스다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96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가짐과 함께, 환경 부하도 낮은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포체 기재와, 적어도 1 개의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생물 유래 탄소를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이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조립을 위해서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또, 차재용 패널 등의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을 차량 본체에 고정시키는 용도에도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25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58274호
휴대 전자 기기 부품,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 등의 고정에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에는, 높은 점착력이 요구됨과 함께 충격에 의해서도 박리되지 않는 내충격성이 요구된다. 한편, 최근의 휴대 전자 기기, 차재용 전자 기기 등은, 고기능화에 수반하여 형상이 보다 복잡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단차, 코너, 비평면부 등에 점착 테이프를 첩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점착 테이프에는 피착체의 형상에 추종할 수 있는 우수한 유연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점착 테이프는 내충격성과 유연성의 양립이 아직 충분하지 않아, 보다 높은 레벨로 내충격성과 유연성을 양립시킨 점착 테이프가 요구되고 있다. 또, 최근의 환경 의식의 고양으로부터, 점착 테이프로서의 기능성은 물론, 보다 환경 부하가 낮은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가짐과 함께, 환경 부하도 낮은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포체 기재와, 적어도 1 개의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생물 유래 탄소를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 기재와, 적어도 1 개의 점착제층을 갖는다.
점착 테이프의 기재로서 발포체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연속 기포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독립 기포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데, 독립 기포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단층 구조여도 다층 구조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생물 유래 탄소를 함유한다.
점착 테이프에 생물 유래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환경 부하가 낮은 점착 테이프로 할 수 있다. 상기 생물 유래 탄소는, 상기 발포체 기재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점착제층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가 상기 발포체 기재 및 상기 점착제층 이외의 층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층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는데, 우수한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발포체 기재가 생물 유래 탄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상기 발포체 기재를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로 함으로써, 우수한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갖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에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어, 장기간 고온에 노출된 경우여도 점착 테이프의 변형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강직한 구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 (이하, 하드 블록이라고도 한다) 과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블록과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는, 2 개의 블록이 상용하기 어려워,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의 해 (海) 중에 하드 블록이 응집하여 생성된 도 (島) 가 점재하는 불균일한 상분리 구조를 취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상기 도가 유사 가교점이 됨으로써, 공중합체에 고무 탄성이 부여되고,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에 높은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 하드 블록에 가교성 관능기를 도입하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에 추가적인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상기 하드 블록과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는, 디블록 구조, 트리블록 구조 등 어떠한 구조를 취하고 있어도 되는데, 보다 유연성과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하드 블록 사이에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갖는 트리블록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드 블록과,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여도 된다.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로는, 측사슬에 하드 블록, 주사슬에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갖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여도 된다.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 매크로머-(메트)아크릴 모노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드 블록은, 강직한 구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일의 강직한 구조를 갖는 모노머의 중합체여도 되고, 강직한 구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상기 강직한 구조를 갖는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비닐 방향족 화합물,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 측사슬 치환기가 짧은 (예를 들어 측사슬 치환 기에 있어서의 주사슬의 탄소수가 2 이하이다)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하드 블록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보다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상기 하드 블록은,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파라메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더욱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란, 하기 일반식 (1), (2)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가리킨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1), (2) 중 R1 은 방향 고리를 갖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치환기 R1 로는, 페닐기, 메틸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블록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은, 1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 중량%,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4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9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6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8 중량% 이다.
상기 하드 블록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블록이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면, 가교에 의해 블록 공중합체의 고무 탄성이 높아지는 점에서, 보다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가교되어 있어도 가교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가교되어 있지 않은 구조인 채이었다고 해도, 관능기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블록 내의 응집력이 향상되어 유연성과 내충격성이 향상되지만, 가교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란, 하기 일반식 (3), (4)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가리킨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여기서, R2 는 적어도 1 개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관능기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수산기, 에폭시기, 이중 결합, 삼중 결합, 아미노기, 아미드기, 니트릴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 R2 는, 그 구성 요소로서 알킬기나 에테르기, 카르보닐기, 에스테르기, 카보네이트기, 아미드기, 우레탄기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삼중 결합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니트릴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유연성과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삼중 결합 함유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로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로는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삼중 결합 함유 모노머로는 프로파르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점착 테이프에 보다 우수한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블록이 상기 강직한 구조를 갖는 모노머와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경우, 상기 하드 블록은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0.1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블록에 있어서의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보다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5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0 중량% 이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의 원료가 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유연성을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과 유연성을 양립시키기 쉬운 점에서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환경 부하가 낮은 점착 테이프로 할 수 있다.
생물 유래의 탄소에는 일정 비율의 방사성 동위체 (C-14) 가 포함되는데 대해, 석유 유래의 탄소에는 C-14 가 거의 포함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기 생물 유래의 탄소의 함유율은, 대상에 포함되는 C-14 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많은 바이오플라스틱 업계에서 이용되고 있는 규격인 ASTM D6866 에 준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요컨대, 생물 유래의 원료로부터 제조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1-메틸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n-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이나 내충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탄소수 7 내지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모노머를 사용함으로써, 폴리머의 낙합점 간의 분자량이 비교적 커져, 점착 테이프가 충격을 받았을 때에 폴리머가 신장하기 쉬워,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상기 탄소수 7 내지 12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는, n-헵틸아크릴레이트, 1-메틸헵틸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내열성이나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 테이프로 할 수 있는 점에서, n-헵틸아크릴레이트 또는 n-옥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40 ℃ 이하인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Tg 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내충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중량 평균 분자량 10 만 ∼ 100 만의 호모폴리머로 한 것에 대해, 시차주사 열량계 (예를 들어, 세이코 인스트루먼트사 제조의 220C 등) 를 사용하여, 대기중에서 승온 속도 10 ℃/분의 조건하에서 측정을 실시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의 종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Tg 를 만족하는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는, n-헵틸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은, 본 발명의 효과를 잃지 않는 범위에서,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이외의 모노머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하드 블록을 1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블록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발포체 기재를 형성할 수 있다.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하드 블록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5 중량%,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3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5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0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6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20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7 중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8 중량% 이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0 ∼ 800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750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600000 이다. 또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GPC 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측정 기기로서 Waters 사 제조 「2690 Separations Module」, 칼럼으로서 쇼와 전공사 제조 「GPC KF-806L」,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고, 샘플 유량 1 mL/min, 칼럼 온도 40 ℃ 의 조건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얻는 방법으로는, 하드 블록 및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의 원료 모노머를,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각각 라디칼 반응시켜 하드 블록 및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얻은 후, 양자를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방법으로 하드 블록을 얻은 후, 계속해서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의 원료 모노머를 투입하고, 공중합하는 방법도 들 수 있다. 상기 라디칼 반응을 시키는 방법, 즉, 중합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이 이용되고,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비점 중합 또는 정온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대전 방지제, 이형제, 산화 방지제, 내후제 (耐候劑), 결정핵제 등의 첨가제나,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 개질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겉보기 밀도가 0.3 g/㎤ 이상 0.95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겉보기 밀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강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유연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 테이프로 할 수 있다. 점착 테이프의 강도,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33 g/㎤,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9 g/㎤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35 g/㎤,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88 g/㎤ 이다.
또한, 상기 겉보기 밀도는, JIS K 7222 에 준거하여 전자 비중계 (예를 들어, 미라쥬사 제조, 「ED120T」) 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겔분율이 9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겔분율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내충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점착 테이프의 내충격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겔분율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5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80 % 이다. 상기 겔분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 % 이상, 특히 20 % 이상, 특히 35 % 이상이다. 상기 겔분율은, 상기 하드 블록과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가교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겔분율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로부터 발포체 기재만을 0.1 g 취출하고, 아세트산에틸 50 ml 중에 침지하고, 진탕기로 온도 23 도, 120 rpm 의 조건으로 24 시간 진탕한다. 진탕 후, 금속 메시 (오프닝 #200 메시) 를 사용하여, 아세트산에틸과 아세트산에틸을 흡수하여 팽윤한 발포체 기재를 분리한다. 분리 후의 발포체 기재를 110 ℃ 의 조건하에서 1 시간 건조시킨다. 건조 후의 금속 메시를 포함하는 발포체 기재의 중량을 측정하고, 하기 식을 사용하여 발포체 기재의 겔분율을 산출한다.
겔분율 (중량%) = 100 × (W1 - W2)/W0
(W0 : 초기 발포체 기재 중량, W1 : 건조 후의 금속 메시를 포함하는 발포체 기재 중량, W2 : 금속 메시의 초기 중량)
상기 발포체 기재는, 가교제가 첨가됨으로써 상기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주사슬 사이에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주사슬 사이에 가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단속적으로 가해지는 박리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점착 테이프의 내열성, 내충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가 갖는 관능기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형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알코올성 수산기나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지를 가교할 수 있는 점에서, 에폭시계 가교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상기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중의 알코올성 수산기나 카르복실기와 가교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 사이를 가교한다. 또,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는, 상기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중의 카르복실기와 가교제의 에폭시기 사이를 가교한다.
상기 가교제의 첨가량은, 상기 발포체 기재의 주성분이 되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이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 기재의 평균 기포 직경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강도와 유연성과 내충격성의 밸런스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평균 기포 직경은, 6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평균 기포 직경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테이프 유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균 기포 직경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먼저, 발포체 기재를 50 ㎜ 사방으로 컷하고, 액체 질소에 1 분간 침지한 후, 면도날을 사용하여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으로 절단한다. 이어서,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예를 들어, 키엔스사 제조, 「VHX-900」등) 를 사용하여, 200 배의 배율로 절단면의 확대 사진을 촬영하고, 두께 × 2 ㎜ 의 범위에 존재하는 모든 셀에 대해 가장 긴 셀 직경 (기포의 직경) 을 측정한다. 이 조작을 5 회 반복하고, 얻어진 모든 셀 직경을 평균함으로써 평균 기포 직경을 산출한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40 ㎛, 바람직한 상한은 2900 ㎛ 이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휴대 전자 기기 부품,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 등의 고정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품 등의 고정에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관점에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6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900 ㎛,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80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400 ㎛,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100 ㎛,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000 ㎛ 이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기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되고,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발포체 기재는, 발포 가스의 작용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이나, 원재료 매트릭스 중에 중공구를 배합함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후자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포체는 신택틱 폼이라고 칭해지고, 보다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신택틱 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 기재를 신택틱 폼으로 함으로써, 발포 기포의 균일한 사이즈 분포를 갖는 독립 기포형의 발포체가 얻어지므로, 발포체 기재 전체의 밀도가 보다 일정해져, 보다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신택틱 폼은, 그 밖의 발포체와 비교하여, 고온 및 고압하에서의 불가역적인 붕괴를 일으키기 어렵기 때문에, 보다 높은 내열성을 나타낸다. 신택틱 폼으로는, 중공 무기 입자로 이루어지는 발포 구조를 갖는 것과, 중공 유기 입자로 이루어지는 발포 구조를 갖는 것이 있지만, 유연성의 관점에서 중공 유기 입자로 이루어지는 발포 구조를 갖는 신택틱 폼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유기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엑스판셀 DU 시리즈 (닛폰 필라이트사 제조), 아드반셀 EM 시리즈 (세키스이 화학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발포 후의 셀 직경을 보다 효과가 높은 영역으로 설계하기 쉬운 점에서, 엑스판셀 461-20 (최적 조건으로의 발포 후 평균 셀 직경 20 ㎛), 엑스판셀 461-40 (최적 조건으로의 발포 후 평균 셀 직경 40 ㎛), 엑스판셀 043-80 (최적 조건으로의 발포 후 평균 셀 직경 80 ㎛), 아드반셀 EML101 (최적 조건으로의 발포 후 평균 셀 직경 50 ㎛) 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가 상기 신택틱 폼 이외의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발포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분해형 발포제 등의 종래 공지된 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크릴 점착제층, 고무계 점착제층, 우레탄 점착제층, 실리콘계 점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이 우수하고, 폭넓은 종류의 피착체에 접착이 가능한 점에서, 아크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 점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아크릴 공중합체는, 초기의 택이 향상되기 때문에 저온 시의 첩부 용이함이 양호해지는 관점에서, 부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부틸아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부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부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보다 환경 부하가 낮은 점착 테이프로 할 수 있는 관점에서,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부틸아크릴레이트, n-헵틸아크릴레이트, 1-메틸헵틸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이다.
전체 모노머 혼합물에서 차지하는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4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80 중량% 이다. 즉,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4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80 중량% 이다.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점착력과 택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전체 모노머 혼합물에서 차지하는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1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0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60 중량% 이다.
즉,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1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0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60 중량% 이다.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전체 모노머 혼합물에서 차지하는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n-헵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25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100 중량% 이다. 즉,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n-헵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25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100 중량% 이다.
상기 n-헵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48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50 중량%, 더욱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60 중량%, 한층 바람직한 하한은 70 중량%, 보다 한층 바람직한 하한은 80 중량% 이다. 상기 n-헵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0 중량% 여도 되는데,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등도 갖는 것이 바람직한 점에서, 바람직한 상한은 99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97 중량% 이다.
전체 모노머 혼합물에서 차지하는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5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98 중량% 이다. 즉,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5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98 중량% 이다.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점착력과 환경 부하 저감을 양립시킬 수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은, 필요에 따라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외의 공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18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관능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18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 n-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관능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알킬, 글리세린디메타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무수 말레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얻으려면,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라디칼 반응시키면 된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라디칼 반응시키는 방법, 즉, 중합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이 이용되고,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비점 중합 또는 정온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바람직한 하한이 40 만, 바람직한 상한이 150 만이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점착력의 추가적인 향상의 관점에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 만,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40 만이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란,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 (Mn) 에 대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의 비 (Mw/Mn) 는, 바람직한 상한이 10.0 이다. Mw/Mn 이 10.0 이하이면, 저분자 성분의 비율이 억제되어, 상기 점착제층이 고온하에서 연화하고, 벌크 강도가 내려가 접착 강도가 저하하는 것이 억제된다. 동일한 관점에서, Mw/Mn 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 이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0 이다.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로서, 예를 들어,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계 수지, C5 계 석유 수지, C9 계 석유 수지, C5-C9 공중합계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 부여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점착제층의 주성분이 되는 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은 10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60 중량부이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10 중량부 이상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60 중량부 이하이면, 상기 점착제층이 단단해지는 것에 의한 점착력 또는 택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가교제가 첨가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상기 점착 부여 수지 등) 의 주사슬 사이에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형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첨가됨으로써,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상기 점착 부여 수지 등) 중의 알코올성 수산기가 반응하여, 상기 점착제층이 가교한다.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주사슬 사이에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점착제층은, 단속적으로 가해지는 박리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가교제의 첨가량은, 상기 점착제층의 주성분이 되는 수지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1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1 ∼ 7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폭시실란류, 아크릴실란류, 메타크릴실란류, 아미노실란류, 이소시아네이트시란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차광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착색재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착색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 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교적 저렴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점에서,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은, 필요에 따라, 무기 미립자, 도전 미립자, 산화 방지제, 발포제, 유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 등의 종래 공지된 미립자 및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01 ㎜, 바람직한 상한은 0.1 ㎜ 이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휴대 전자 기기 부품,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 등의 고정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품 등의 고정에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관점에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15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09 ㎜ 이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상기 발포체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수지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을 가짐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내충격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특히 반복 충격을 주었을 때의 내구성 (텀블성) 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상기 발포체 기재의 편면에 형성되고 있어도 되고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발포체 기재의 편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성을 갖는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연성이 우수한 점착 테이프가 얻어지는 점에서,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은,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을 착색함으로써, 점착 테이프에 차광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을 착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카본 블랙, 산화티탄 등의 입자 또는 미세한 기포를 혼련하는 방법, 상기 수지층의 표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무기 미립자, 도전 미립자, 가소제,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발포제, 유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 등의 종래 공지된 미립자 및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5 ㎛, 바람직한 상한은 100 ㎛ 이다. 상기 수지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 테이프의 취급성과 내충격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취급성과 내충격성을 더욱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수지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0 ㎛ 이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필요에 따라, 상기 발포체 기재, 상기 점착제층 이외의 다른 층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두께와 발포체 기재의 두께의 비 (점착제층 두께/발포체 기재 두께) 가 0.1 이상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과 발포체 기재의 두께의 비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 전체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내충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와 발포체 기재의 두께의 비는 0.1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양면의 점착제층의 두께의 합계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04 ㎜,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5 ㎜, 바람직한 상한은 2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5 ㎜ 이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취급성이 우수한 점착 테이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생물 유래 탄소의 함유량이 1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생물 유래의 탄소의 함유율이 10 중량% 이상인 것이 「바이오 베이스 제품」인 것의 기준이 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중의 생물 유래 탄소의 함유량을 10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석유 자원을 절약하는 관점이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삭감하는 관점에서, 보다 환경 부하가 낮은 점착 테이프로 할 수 있다. 상기 생물 유래의 탄소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40 중량%, 더욱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 중량%, 한층 바람직한 하한은 60 중량% 이다. 상기 생물 유래의 탄소의 함유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0 중량% 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발포체 기재의 생물 유래 탄소의 함유량이 5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생물 유래 탄소의 함유량이 4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먼저, 이형 필름에 점착제 용액을 도공,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2 개째의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방법으로 미발포체 기재를 제조하고, 상기 미발포체 기재에 상기 수지층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한다. 그 후, 얻어진 적층체의 양면에 얻어진 점착제층을 첩합하고, 가열함으로써 미발포 기재를 발포시켜 점착 테이프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장방형, 액자상, 원형, 타원형, 도너츠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 기재로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자들은 검토를 진행시킨 결과, 발포체 기재가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 및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 랜덤 공중합체여도 우수한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이것은, 나노 레벨이나 분자 레벨과 같은 극소인 스케일에 있어서 상기 상분리 구조와 동일한 상호 작용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라고 생각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란, 하기 일반식 (5), (6) 에 나타내는 구조를 가리킨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여기서 R3 은 측사슬을 나타낸다. 측사슬 R3 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2-에틸헥실기, 노닐기, 데실기, 도데실기, 라우릴기, 이소스테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발포체 기재와, 적어도 1 개의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 및,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생물 유래 탄소를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 (이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라고 한다) 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상기 공중합체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그래프트 중합체여도 된다.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 및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 대해서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1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9 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7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1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 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8 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가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면, 가교나 관능기 간의 상호 작용 등에 의해 공중합체의 고무 탄성이 높아지는 점에서, 보다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가교되어 있어도 가교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가교되어 있지 않은 구조인 채이었다고 해도, 관능기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응집력이 향상되어 유연성과 내충격성이 향상되지만, 가교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란, 하기 일반식 (3), (4)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가리킨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여기서, R2 는 적어도 1 개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관능기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수산기, 에폭시기, 이중 결합, 삼중 결합, 아미노기, 아미드기, 니트릴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 R2 는, 그 구성 요소로서 알킬기나 에테르기, 카르보닐기, 에스테르기, 카보네이트기, 아미드기, 우레탄기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삼중 결합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니트릴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유연성과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삼중 결합 함유 모노머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로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로는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삼중 결합 함유 모노머로는 프로파르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점착 테이프에 보다 우수한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0.1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보다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5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0 중량% 이다.
상기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및 필요에 따라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및 다른 모노머를 혼합한 용액을,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라디칼 반응시키면 된다. 라디칼 반응시키는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이 이용되고,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비점 중합 또는 정온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는, 생물 유래 탄소의 함유량이 1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생물 유래의 탄소의 함유율이 10 중량% 이상인 것이 「바이오 베이스 제품」인 것의 기준이 된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 중의 생물 유래 탄소의 함유량을 10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석유 자원을 절약하는 관점이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삭감하는 관점에서, 보다 환경 부하가 낮은 점착 테이프로 할 수 있다. 상기 생물 유래의 탄소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40 중량%, 더욱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 중량%, 한층 바람직한 하한은 60 중량% 이다. 상기 생물 유래의 탄소의 함유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0 중량% 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발포체 기재의 생물 유래 탄소의 함유량이 5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공중합체의 생물 유래 탄소의 함유량이, 50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는, 상기 공중합체 이외의 상기 발포체 기재의 재료 및 그 함유량, 겉보기 밀도, 겔분율, 평균 기포 직경, 두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의 발포체 기재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점착제층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는, 상기 발포체 기재 및 점착제층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가짐과 함께, 환경 부하도 낮은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의 (a) 는, 점착 테이프의 유지력 시험의 양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 의 (b) 는, 점착 테이프의 유지력 시험의 양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미발포체 기재의 제조
1,6-헥산디티올 0.902 g 과, 2 황화탄소 1.83 g 과, 디메틸포름아미드 11 mL 를 2 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25 ℃ 에서 교반하였다. 이것에, 트리에틸아민 2.49 g 을 15 분에 걸쳐 적하하고, 25 ℃ 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메틸-α-브로모페닐아세트산 2.75 g 을 15 분에 걸쳐 적하하고, 25 ℃ 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액에 추출 용매 (n-헥산 : 아세트산에틸 = 50 : 50) 100 mL 와 물 50 mL 를 첨가하여 분액 추출하였다. 1 회째와 2 회째의 분액 추출로 얻어진 유기층을 혼합하고, 1 M 염산 50 mL, 물 50 mL, 포화 식염수 50 mL 로 순서대로 세정하였다. 세정 후의 유기층에 황산나트륨을 첨가하여 건조한 후, 황산나트륨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이배퍼레이터로 농축하여,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농축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함으로써 RAFT 제를 얻었다.
스티렌 (St) 87 중량부와, 아크릴산 (AAc) 12 중량부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HEA) 1 중량부, RAFT 제 1.9 중량부와,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ABN-E) 0.2 중량부를 2 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플라스크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하면서 85 ℃ 로 승온하였다. 그 후, 85 ℃ 에서 6 시간 교반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제 1 단계 반응).
반응 종료 후, 플라스크 내에 n-헥산 4000 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반응물을 침전시킨 후, 미반응의 모노머 (St, AA, HEA), 및 RAFT 제를 여과하고, 반응물을 70 ℃ 에서 감압 건조하여 공중합체 (하드 블록) 를 얻었다.
아크릴산부틸 (BA, 비생물 유래) 50 중량부, n-헵틸아크릴레이트 (nHPA, 생물 유래) 50 중량부, ABN-E 0.058 중량부, 및 아세트산에틸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과, 상기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하드 블록) 를 2 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플라스크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하면서 85 ℃ 로 승온하였다. 그 후, 85 ℃ 에서 6 시간 교반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하고 (제 2 단계 반응), 하드 블록과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 (소프트 블록) 으로 형성되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었다. 또한, 혼합물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과 하드 블록) 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하드 블록의 함유량이 17 중량% 가 되는 양으로 하였다.
반응액의 일부를 채취하고, 이것에 n-헥산 4000 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반응물을 침전시킨 후, 미반응의 모노머 (BA, nHPA), 및 용매를 여과하고, 반응물을 70 ℃ 에서 감압 건조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반응액으로부터 취출했다. 얻어진 블록 공중합체에 대해, GPC 법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는데 25 만이었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측정 기기로서 Waters 사 제조 「2690 Separations Module」, 칼럼으로서 쇼와 전공사 제조 「GPC KF-806L」,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고, 샘플 유량 1 mL/min, 칼럼 온도 40 ℃ 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얻어진 블록 공중합체를 고형분율이 35 % 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키고,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발포제로서 엑스판셀 461-40 (닛폰 필라이트사 제조, 표 중에서는 DU40 으로 표기) 0.30 중량부, 가교제로서 테트라드 C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 제조) 0.2 중량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충분히 교반하여, 기재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기재 용액을 편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5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이형 처리면 상에, 도공하고, 90 ℃ 7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미발포체 기재를 얻었다. 미발포체 기재의 두께는, 미발포체 기재를 130 ℃ 1 분간 가열했을 때에 100 ㎛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2) 점착제 용액의 조제
온도계, 교반기,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아세트산에틸 52 중량부를 넣고, 질소 치환한 후, 반응기를 가열하여 환류를 개시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이 비등하고 나서, 30 분 후에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8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여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7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7 중량부, 아크릴산 3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1 시간 30 분에 걸쳐, 균등 또한 서서히 적하하여 반응시켰다. 적하 종료 30 분 후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중량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5 시간 중합 반응시키고, 반응기 내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희석하면서 냉각함으로써, 고형분 40 중량% 의 아크릴 랜덤 공중합체의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GPC 법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는데, 71 만이었다. 수평균 분자량 (Mn) 에 대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의 비 (Mw/Mn) 는 5.5 였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은, 측정 기기로서 Waters 사 제조 「2690 Separations Module」, 칼럼으로서 쇼와 전공사 제조 「GPC KF-806L」,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고, 샘플 유량 1 mL/min, 칼럼 온도 40 ℃ 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얻어진 아크릴 랜덤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연화점 150 ℃ 의 중합 로진에스테르 15 중량부, 연화점 145 ℃ 의 테르펜페놀 10 중량부, 연화점 70 ℃ 의 로진에스테르 10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또한, 아세트산에틸 (후지 화학 약품사 제조) 3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토소사 제조 콜로네이트 L45)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3) 점착 테이프의 제조
편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5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이형 처리면 상에, 얻어진 점착제 용액을 건조 피막의 두께가 50 ㎛ 가 되도록 닥터 나이프로 도공하고, 110 ℃, 5 분간 가열하여 도공 용액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얻었다. 이어서, 동일한 조작으로 점착제층을 1 개 더 제조하여 2 개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그 후, 상기에서 얻어진 미발포체 기재로부터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미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얻어진 2 개의 점착제층을 각각 첩합하고, 40 ℃ 의 환경하에 48 시간 정치하였다. 48 시간 후에 40 ℃ 환경으로부터 취출하고, 130 ℃ 1 분 가열함으로써 기재를 발포시켜,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4) 테이프 밀도의 측정
전자 비중계 (미라쥬사 제조, ED120T) 를 사용하여, 얻어진 점착 테이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5) 발포체 기재의 겉보기 밀도의 측정
얻어진 발포체 기재의 밀도를, JIS K 7222 에 준거하여 전자 비중계 (미라쥬사 제조, ED120T)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6) 발포체 기재의 겔분율의 측정
얻어진 점착 테이프로부터 발포체 기재만을 0.1 g 취출하고, 아세트산에틸 50 ml 중에 침지하고, 진탕기로 온도 23 도, 120 rpm 의 조건으로 24 시간 진탕하였다. 진탕 후, 금속 메시 (오프닝 #200메시) 를 사용하여, 아세트산에틸과 아세트산에틸을 흡수하여 팽윤한 발포체 기재를 분리하였다. 분리 후의 발포체 기재를 110 ℃ 의 조건하에서 1 시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금속 메시를 포함하는 발포체 기재의 중량을 측정하고, 하기 식을 사용하여 발포체 기재의 겔분율을 산출하였다.
겔분율 (중량%) = 100 × (W1 - W2)/W0
(W0 : 초기 발포체 기재 중량, W1 : 건조 후의 금속 메시를 포함하는 발포체 기재 중량, W2 : 금속 메시의 초기 중량)
(7) 점착 테이프 및 기재의 생물 유래 탄소 함유량의 측정
얻어진 점착 테이프 및 발포체 기재에 대해, ASTM D6866 에 준거하여 탄소의 방사성 동위체 (14C) 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점착 테이프 및 기재의 생물 유래 탄소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 15, 비교예 1 ∼ 3)
발포체 기재의 조성, 겉보기 밀도, 두께 및 발포제의 배합량을 표 1 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1 및 3 에 대해서는 발포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130 ℃ 1 분 가열 후에도 미발포체인 채이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 및 발포체 기재 (비교예 1 및 3 은 미발포체 기재)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에서는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는 블록 공중합체로서, SIS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닛폰 제온사 제조, 퀸탁 3421) 를 사용하였다. 또한, 표 중의 원료는 이하와 같다.
nOA : n-옥틸아크릴레이트 (생물 유래)
1-MHA : 1-메틸헵틸아크릴레이트 (생물 유래)
LA :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생물 유래)
LMA :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생물 유래)
IBOA :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생물 유래)
이소프렌 : 비(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비생물 유래)
(실시예 16, 17)
(1) 미발포체 기재의 제조
조성을 표 1 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미발포체 기재를 얻었다.
(2) 점착제 용액의 조제
반응 용기 내에,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질소로 버블링한 후, 질소를 유입하면서 반응 용기를 가열하여 환류를 개시하였다. 계속해서,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중량부를 아세트산에틸로 10 배 희석한 중합 개시제 용액을 반응 용기 내에 투입하고, n-헵틸아크릴레이트 (생물 유래) 96.9 중량부, 아크릴산 2.9 중량부 및 2-하이드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 0.1 중량부를 2 시간에 걸쳐 적하 첨가하였다. 적하 종료 후,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중량부를 아세트산에틸로 10 배 희석한 중합 개시제 용액을 반응 용기 내에 재차 투입하고, 4 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아크릴 랜덤 공중합체 함유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GPC 법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는데, 100 만이었다. 수평균 분자량 (Mn) 에 대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의 비 (Mw/Mn) 는 5.5 였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은, 측정 기기로서 Waters 사 제조 「2690 Separations Module」, 칼럼으로서 쇼와 전공사 제조 「GPC KF-806L」,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고, 샘플 유량 1 mL/min, 칼럼 온도 40 ℃ 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얻어진 아크릴 랜덤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연화점 150 ℃ 의 중합 로진에스테르 15 중량부, 연화점 145 ℃ 의 테르펜페놀 10 중량부, 연화점 100 ℃ 의 로진에스테르 10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또한, 아세트산에틸 (후지 화학 약품사 제조) 3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토소사 제조 콜로네이트 L45) 0.2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3) 점착 테이프의 제조
얻어진 미발포체 기재와 점착제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1) 미발포체 기재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아세트산에틸 52 중량부를 넣고, 질소 치환한 후, 반응기를 가열하여 환류를 개시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이 비등하고 나서, 30 분 후에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8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여기에 n-헵틸아크릴레이트 90 중량부, 스티렌 (St, 비생물 유래) 9 중량부, 아크릴산 (AAc, 비생물 유래) 1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1 시간 30 분에 걸쳐, 균등 또한 서서히 적하하여 반응시켰다. 적하 종료 30 분 후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중량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5 시간 중합 반응시키고, 반응기 내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희석하면서 냉각함으로써, 고형분 40 중량% 의 랜덤 공중합체의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GPC 법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는데 35 만이었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측정 기기로서 Waters 사 제조 「2690 Separations Module」, 칼럼으로서 쇼와 전공사 제조 「GPC KF-806L」,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고, 샘플 유량 1 mL/min, 칼럼 온도 40 ℃ 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얻어진 랜덤 공중합체를 고형분율이 35 % 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키고,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발포제로서 엑스판셀 461-40 을 0.3 중량부, 가교제로서 테트라드 C 를 0.2 중량부 첨가하고 추가로 충분히 교반하여, 기재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기재 용액을 편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5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이형 처리면 상에, 도공하고, 90 ℃ 7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미발포체 기재를 얻었다. 미발포체 기재의 두께는, 미발포체 기재를 130 ℃ 1 분간 가열했을 때에 100 ㎛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2) 점착 테이프의 제조
얻어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미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 21, 비교예 4)
발포체 기재의 조성을 표 2 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평가>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2 에 나타냈다.
(내충격성의 평가)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외형 45 ㎜ × 60 ㎜, 폭 1 ㎜ 의 ロ 자형으로 타발하였다. 타발한 점착 테이프의 편면을, 중앙부에 40 ㎜ × 40 ㎜ 의 구멍을 갖는 80 ㎜ × 115 ㎜, 두께 2 ㎜ 의 ロ 자형의 스테인리스판의 중앙에 첩부하였다. 이어서, 점착 테이프의 다른 편방의 면에 50 ㎜ × 70 ㎜, 두께 4 ㎜ 의 강화 유리판을 첩부하고, 5 ㎏ 의 추로 10 초간 압착하고, 24 시간 23 ℃ 하에서 정치함으로써 시험용의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스테인리스제의 프레임상체 (내경 60 ㎜ × 90 ㎜) 에 강화 유리판이 하면이 되도록 고정하였다. 그 후 150 g 의 철구를 강화 유리판의 중앙을 향하여 낙하시켰다. 철구를 낙하시키는 높이를 높여 가고, 강화 유리판이 스테인리스판으로부터 박리되었을 때의 철구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강화 유리판이 스테인리스판으로부터 박리되었을 때의 철구의 높이가 50 ㎝ 이상이었던 경우를 「◎」, 40 ㎝ 이상 50 ㎝ 미만이었던 경우를 「○」, 40 ㎝ 미만이었던 경우를 「×」 로 하여 내충격성을 평가하였다.
(유지력의 평가)
도 1 에, 점착 테이프의 유지력 시험을 설명하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먼저, 점착 테이프의 사이즈 25 ㎜ × 25 ㎜ 의 시험편 (1) 의 일방의 면 (표면) 을 SUS 판 (2) 에 첩합하고, 시험편 (1) 의 타방의 면 (이면) 측으로부터 2 ㎏ 의 고무 롤러를 300 ㎜/분의 속도로 일왕복시켰다. 이어서, 시험편 (1) 의 이면에 알루미늄판 (3) 을 첩합하고, 알루미늄판 (3) 측으로부터 0.5 ㎏ 의 추로 10 초간 가압하여 압착시킨 후, 23 ℃, 상대습도 50 % 의 환경하에 24 시간 방치하여, 유지력 시험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유지력 시험용 샘플을 100 ℃ 에 있어서, 알루미늄판 (3) 의 일단에 시험편 (1) 및 알루미늄판 (3) 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도록 0.5 ㎏ 또는 1.0 ㎏ 의 추 (4) 를 장착하고, 1 시간 후의 추의 어긋남 길이를 측정하였다. 또, 1.0 ㎏ 의 추 (4) 를 장착하고 2 시간 후의 어긋남 길이도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 결과에 대해, 어긋남 길이가 0 (어긋남이 없다) 인 경우를 「◎」, 어긋남 길이가 0 보다 크고 1 ㎜ 미만이었던 경우를 「○」, 어긋남 길이가 1 ㎜ 이상 또는 점착 테이프가 박리되어 낙하해 버린 경우를 「×」로 하여 유지력을 평가하였다.
(압축 강도의 평가)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해 JISK-6767 에 준거하여 25 % 압축 강도를 산출하였다. 얻어진 값이 50 ㎪ 이하인 경우를 「◎」, 50 ㎪ 보다 크고 80 ㎪ 이하인 경우를 「○」, 80 ㎪ 보다 큰 경우를 「×」로 하여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유연성과 내충격성을 가짐과 함께, 환경 부하도 낮은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1 : 점착 테이프의 사이즈 25 ㎜ × 25 ㎜ 의 시험편
2 : SUS 판
3 : 알루미늄판
4 : 추 (0.5 ㎏ 또는 1.0 ㎏)

Claims (16)

  1. 발포체 기재와, 적어도 1 개의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생물 유래 탄소를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하드 블록을 갖는, 점착 테이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하드 블록을 1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블록은,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 점착 테이프.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블록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 점착 테이프.
  6. 발포체 기재와, 적어도 1 개의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 및,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생물 유래 탄소를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는, 점착 테이프.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의 함유량이 70 중량% 이상 98 중량% 이하인, 점착 테이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생물 유래 탄소를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함유하는, 점착 테이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탄소수 7 내지 12 의 알킬기를 갖는, 점착 테이프.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40 ℃ 이하인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인, 점착 테이프.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 유래 탄소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n-헵틸아크릴레이트 또는 n-옥틸아크릴레이트인 점착 테이프.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생물 유래 탄소의 함유량이 50 중량% 이상인, 점착 테이프.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생물 유래 탄소의 함유량이 50 중량% 이상인, 점착 테이프.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 또는 상기 공중합체는 생물 유래 탄소 함유량이 50 중량% 이상인, 점착 테이프.
KR1020227039770A 2020-10-28 2021-10-27 점착 테이프 KR20230096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80945 2020-10-28
JP2020180945 2020-10-28
PCT/JP2021/039651 WO2022092149A1 (ja) 2020-10-28 2021-10-27 粘着テー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916A true KR20230096916A (ko) 2023-06-30

Family

ID=8138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770A KR20230096916A (ko) 2020-10-28 2021-10-27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092149A1 (ko)
KR (1) KR20230096916A (ko)
CN (1) CN115803404A (ko)
TW (1) TW202223022A (ko)
WO (1) WO202209214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2541A (ja) 2008-03-31 2009-10-22 Sekisui Chem Co Ltd 衝撃吸収テープ
JP2009258274A (ja) 2008-04-15 2009-11-05 Sekisui Chem Co Ltd 表示装置前板用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2824A1 (en) * 2006-05-26 2009-08-13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Tape substrate and adhesive tape
JP6367599B2 (ja) * 2013-11-22 2018-08-0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6407077B2 (ja) * 2014-03-31 2018-10-17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ポリスチレン系発泡成形体、発泡性粒子、予備発泡粒子
JP6314341B2 (ja) * 2014-06-26 2018-04-25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及び物品
KR20160035704A (ko) * 2014-09-23 2016-04-01 (주)엘지하우시스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JP6632891B2 (ja) * 2015-01-30 2020-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低粘着性発泡シート
JP6878098B2 (ja) * 2017-03-31 2021-05-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発泡体シート及び粘着テープ
KR101989614B1 (ko) * 2017-09-27 2019-09-30 주식회사 애니원 고온/고습 환경에서 내구성이 개선된 충격 흡수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EP3689954A4 (en) * 2017-09-28 2021-07-07 Sekisui Chemical Co., Ltd. SHOCK ABSORBING SHEET
US20210395575A1 (en) * 2018-06-19 2021-12-23 Sekisui Chemical Co., Ltd. Adhesive agent,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affixing electronic components or vehicle-mounted components
DE102018221356A1 (de) * 2018-12-10 2020-06-10 Tesa Se Mehrschichtiges Klebeband
WO2020218430A1 (ja) * 2019-04-24 2020-10-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2541A (ja) 2008-03-31 2009-10-22 Sekisui Chem Co Ltd 衝撃吸収テープ
JP2009258274A (ja) 2008-04-15 2009-11-05 Sekisui Chem Co Ltd 表示装置前板用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03404A (zh) 2023-03-14
WO2022092149A1 (ja) 2022-05-05
TW202223022A (zh) 2022-06-16
JPWO2022092149A1 (ko)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9150B1 (ko) 점착 테이프
JP6140491B2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JP4776272B2 (ja) 粘着剤用重合体組成物、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653290B2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TWI639674B (zh) Adhesive sheet for electronic equipment
EP2551315B1 (en) Acrylic adhesive tape
TWI391463B (zh) 防水用雙面膠帶
EP2610319A1 (en)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acrylic adhesive layer, and acrylic adhesive tape
JP2019523720A (ja) 感圧接着ストリップ
JP2001234135A (ja) 感圧性接着シ―ト類および機能性フイルムの固定方法
JP2008031437A (ja) 固形タイプのゴム系粘着剤組成物とその粘着シート
CN108699285A (zh) 特别地用于弯曲表面的胶粘剂物质
EP2551316A1 (en) Acrylic adhesive tape
CN106232757B (zh) 双面粘合带
JP6523725B2 (ja) 両面粘着テープ
JP6511314B2 (ja) 粘着テープ
KR20230096916A (ko) 점착 테이프
EP3492543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2022092201A1 (ja) 粘着テープ
KR20230093413A (ko) 점착 테이프
JP2022071845A (ja) 粘着テープ
JP2022071864A (ja) 粘着テープ
JP2022071863A (ja) 粘着テープ
CN114854337A (zh) 一种粘合剂及其制备方法
JPH09235539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