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15563A1 - 압축 성능이 우수한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축 성능이 우수한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15563A1
WO2021215563A1 PCT/KR2020/005433 KR2020005433W WO2021215563A1 WO 2021215563 A1 WO2021215563 A1 WO 2021215563A1 KR 2020005433 W KR2020005433 W KR 2020005433W WO 2021215563 A1 WO2021215563 A1 WO 202121556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crylic foam
acrylic
adhesive
adhesive tape
photocu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54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용훈
조강희
최범순
조초원
이용민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
Publication of WO202121556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155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curable acrylic foam adhesive ta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am tape used for adhesion and buffering between lithium secondary battery cells.
  • 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been commercialized, secondary battery battery cells are mounted in mobile phones, electric vehicles, etc., and in moun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order to provide adhesion and impact resistance between battery cells, a foam tape is used. Since the battery cell expands and contracts due to charging and discharging, a foam tape with excellent compression and restoration performance is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 volume change caus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attery cell.
  • Foam tap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nufactured by adding a filler for pore formation together with an acrylic photocurable resin or the like.
  • the conventional acrylic foam adhesive tape uses a filler for pore formation such as the glass bubble or mechanical foaming using nitrogen gas.
  •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20-0021286 discloses an impact-resistant double-sided tape including a foamed adhesive layer made of an acrylic foam, but when an impact is applied, there is an insufficient limit in terms of impact mitigation effec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rylic foam adhesive tape for adhesion of a battery cell having excellent impact mitigation effect while maintaining support performance for an adheren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n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ing layer, and the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ing layer has a compressive strength of 0.7 to 1.4Mpa, and a maximum compressibility of 30% It is characterized by more than one.
  •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one or both sides of the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 layer.
  • the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closed-microcells and open-microcells are mixed.
  •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crylic foam adhesive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aw material mixing step of mixing an acrylic photocurable resin, a foaming agent, a photocuring agent and a photocrosslinking agent; a mechanical foaming step of injecting nitrogen gas into the mixture prepared through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and foaming with a mechanical stirrer; A coating step of coating the foamed product on a release film; and a light irradiation step of curing and chemically foaming the coated foam by irradiating light (UV) to form an acrylic foam layer.
  • the foaming agent is a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 in an amount of 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photocurable resin.
  • the heat of reaction according to photocuring in the light (UV) irradiation step is 70°C to 125°C.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crylic foam adhesive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n acrylic foam structure by coating an acrylic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on one or both sides of the acrylic foam layer; a heat treatment step of heating the acrylic foam structure; and an aging step.
  • the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uniform microcells, it has an appropriate impact mitigation effect on the adherend, and at the same time has an excellent support function for the adherend, so that it can be used for adhesion of battery cells. Suitable.
  •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aming and curing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by UV irradiation, and the acrylic foam layer itself has adhesiveness,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FIG. 1 is a SEM photograph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ing layer, and the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ing layer has a compressive strength of 0.7 to 1.4Mpa and a maximum compressibility of 30% or more. It is a photo-curable acrylic foam adhesive tape with excellent performance.
  • the maximum compressibility of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for the battery cell is less than 30%, the volume expansion of the battery cell cannot be sufficiently absorbed. Further, when the compressive strength is less than 0.7 Mpa,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battery cell is insufficient, and when the compressive strength exceeds 1.4 Mpa, the battery cell may be subjected to a large force, so that the cell is likely to be damaged.
  • the adhesive acrylic foam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yriad of microcells, and closed-microcells and open-microcells are mixed.
  • the adhesive acrylic foam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closed microcells and maintains an appropriate support function for the adherend, and since it also contains open microcell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appropriate impact mitigation effect on the adherend. .
  • the ratio of the closed microcells to the open microcell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8:2 to 6:4,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75:25 to 65:35, based on the volume.
  • the shock mitigation and support function for the adherend can be maintained in an optimal state.
  • the volume may be defined as the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closed microcells to the area occupied by the open microcells in the SEM photograph of the acrylic photocurable foam layer.
  • the average diameter (D 50 ) of the micro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50 ⁇ m to 120 ⁇ m, preferably, 60 ⁇ m to 110 ⁇ m, and most preferably 70 ⁇ m to 100 ⁇ m.
  • the average diameter D 50 it may be defined as a particle diameter corresponding to 50% of the cumulative volume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urve.
  • the average diameter (D 50 ) may be measured from an SEM photograph of a cross-sectional view, such as that shown in FIG. 1 .
  •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 layer may be about 80 ⁇ m to 3,000 ⁇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numerical range according to the use and purpose.
  •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 form i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urther added to one or both surfaces of the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 layer.
  •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nly of an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 layer without a substrate as shown in FIG. 2(A), or as shown in FIG.
  • the acrylic foam layer may have a coated structure. Since the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curing and foaming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since it has adhesive performance itself, the above structure is possible.
  •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dded to both sides of the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 layer as shown in FIG. 2(C) so that it can have a stronger adhesive performance
  • the base film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crylic foam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material mixing step of mixing an acrylic photocurable resin, a foaming agent, a photocuring agent, a crosslinking agent and an additive; a mechanical foaming step of injecting nitrogen gas into the mixture prepared through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and foaming with a mechanical stirrer; A coating step of coating the foamed product on a release film; and a light irradiation step of curing and chemically foaming the coated foam by irradiating light to form an acrylic foam layer.
  •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is a step of mixing an acrylic photocurable resin, a foaming agent, a photocuring agent, a crosslinking agent, and an additive.
  • the acrylic photocurable resin is a prepolymer syrup obtained by partially polymerizing a photopolymerizable monomer and a polar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monomer using a photocuring agent.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acrylic photocurable resin is preferably 1,000,000 to 2,000,000, and the viscosity at room temperature is preferably 4,000cps to 6,000cps.
  • the prepolymer syrup is generally formed by polymerization of photopolymerizable monomers. Specifically, a photopolymerizable monomer, a polar monomer that can be polymerized with the monomer, and a photocuring agent are mixed, an additive is added as necessary, and then partially photopolymerized by irradiating light to make a syrup state.
  • the photopolymerizable monomer is a (meth)acrylic acid ester-based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 the type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based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lkyl (meth)acrylate may be used.
  • Examples of such monomers includ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n-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t-butyl ( meth) acrylate, sec-butyl (meth) acrylate, pen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2-ethylbutyl (meth)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acrylate, isonon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 or tetradecyl (meth)acrylate can be exemplified.
  • Examples of the polar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monom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nd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 Examples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4-hydroxybutyl (meth)acrylate, 6-hydroxyhexyl (meth)acrylate, and 8-hydroxyoctyl (meth)acrylate, 2-hydrox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or 2-hydroxypropylene glycol (meth)acrylate.
  •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examples include (meth)acrylic acid, 2-(meth)acryloyloxy acetic acid, 3-(meth)acryloyloxy propyl acid, 4-(meth)acryloyloxybutyric acid, acrylic acid duplex, it Conic acid, maleic acid, or maleic anhydride can be exemplified.
  • the weight ratio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based monomer and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s 90:10 to 70:30.
  • the acrylic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includes the (meth)acrylic acid ester-based monomer and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n a weight ratio within the above range to form an adhesive acrylic foaming layer having a compressive strength and a maximum compressibility in the above-mentioned range, In addition, the porosity of the foam layer can be adjusted within an appropriate range.
  • the photocuring agent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 -hydroxyketone-based chemical, phenylglyoxylate-based compound, benzyldimethylketal-based compound, ⁇ -aminoketone-based compound, and the like, and the weight ratio of the photocuring agent is 0.01 to 10, preferably 0.01 to 5.
  • the weight ratio of the initiator is 0.01 to 10, preferably 0.01 to 5.
  • a foaming agent serves to initiate a curing reaction of the composition by reacting the prepolymer syrup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etc.
  • a photocuring agent containing -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and bis-2,4,6-trimethylbenzoyl-phenylphosphine oxide in a weight ratio of 1:2 to 2:1 may be used.
  • the foaming effect of thermally expansible microspheres, which is a foaming ag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urther maximized when the above type of photocuring agent is used.
  • the blow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 This means particles filled with gases that exist in a gaseous state at room temperature in a spherical polymer shell.
  • the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rupture under the conditions of the coating manufacturing process, but expand due to pressure and gas deformation inside the sphere due to the heat of reaction generated while the photocurable resin is cured during the light irradiation step. can have
  • Examples of the substance that expands easily by heating include propane, propylene, butene, normal butane, isobutane, isopentane, neopentane, normal pentane, normal hexane, isohexane, heptane, octane, petroleum ether, methane halogen low-boiling-point liquids such as cargo and tetraalkylsilane; Azodicarbonamide etc. which are gasified by thermal decomposition are mentioned.
  • nitrile monomers such as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 -chloracrylonitrile, ⁇ -ethoxyacrylonitrile, and fumaronitrile
  • carboxylic acid monomer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and citraconic acid
  • vinylidene chloride vinyl acetate
  • a homopolymer may be sufficient as the polymer comprised from these monomers, and a copolymer may be sufficient as it.
  • the copolymer include vinylidene chloride-methyl methacrylate-acrylonitrile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acrylonitrile-methacrylonitrile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acrylonitrile copolymer, An acrylonitrile-methacrylonitrile-itaconic acid copolymer etc. are mentioned.
  • the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amed by heat energy generated during photocuring, and is preferably foamed at a temperature of 70° C. to 125° C. .
  • the thermal expansion initiation temperature of the thermally expansible microsphere is less than 70° C., the adhesive performance of the adhesive tape may be deteriorated.
  • the content rate of the said foaming agent can be set suitably according to the fall property of desired adhesive force, etc.
  • the content of the foaming agent is preferably 0.5 to 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4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olymer syrup, which is the acrylic photocurable resin.
  • the content of the thermally expansible microspheres is less than 0.5 parts by weight, when it exceeds 5 parts by weight, the adhesion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 the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have a particle diameter before expansion, preferably 0.1 ⁇ m to 100 ⁇ m, more preferably 2 ⁇ m to 50 ⁇ m, still more preferably 5 ⁇ m to 30 ⁇ m, particularly preferably 10 ⁇ m. ⁇ m to 15 ⁇ m. Accordingly, the particle size before heating of the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is preferably 3 ⁇ m to 50 ⁇ m, more preferably 10 ⁇ m to 40 ⁇ m, in terms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Said particle diameter and average particle diameter are the values calculated
  • the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have adequate strength so as not to rupture until the volume expansion rate is preferably 5 times or more, more preferably 7 times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10 times or more.
  •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pore-forming filler as a foaming agent.
  • the pore-forming filler may be, for example, one or two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ass bubbles and silica particles.
  • the content of the pore-forming filler may be 0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olymer syrup which is the acrylic photocurable resin.
  • the pore-forming filler is a particle, and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for example, about 1 ⁇ m to about 350 ⁇ m, and specifically, about 20 ⁇ m to about 100 ⁇ m.
  • the pore-forming filler may include pre-foamed expanded particles, non-foamed non-foamed particles, or both.
  • the crosslinking agent may serve to strengthen the initial adhesive strength of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 the crosslinking agent may also serve to strengthen the initial adhesive strength of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through crosslinking between the acrylic photocurable resins in the process of exert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by being added to the acrylic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crylic foam.
  • the crosslinking agent may specifically be a diacrylate-based crosslinking agent, for example, butanediol diacrylate, pentanediol diacrylate, hexanediol diacrylate, ethylene glycol diacrylate, diethylene glycol di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propylene glycol di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ripropylene diacrylate, or the lik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crosslinking agent is commercially available.
  •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about 0.01 to about 1 part by weight, specifically, about 0.1 to about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photocurable resin. It is possible to form an acrylic foam having a storage modulus in the above-described range by including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content in the above range.
  • composition of the adhesive photocurable acrylic foam lay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ackifier, a thermal initiator, a coupling agent, an antistatic agent, an inorganic filler, a sunscreen, a surfactant, an antioxidant, a processing oil, and combinations thereof. It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 the tackifi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rosin ester-based tackifier, a rosin-based tackifier, a terpene-based tackifier, a petroleum resin-based tackifier,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olymer syrup which is the acrylic photocurable resin, 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10 parts by weight to about 40 parts by weight.
  • the inorganic fill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hydroxide, calcium carbonate, aluminum oxide, magnesium oxide, zinc oxide, silicon carbide, aluminum nitride, boron nitride, silicon nitride,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the acrylic photocurable
  • the resi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1 part by weight to about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olymer syrup.
  • a mechanical foaming step of injecting gas into the mixture prepared through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and foaming with a mechanical stirrer is performed.
  • the mixture prepared through the raw material mixing step is put into a mechanical stirrer, and the gas is injected and stirred for 30 to 120 minutes at a speed of 1000 to 3000 rpm.
  • the gas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trogen, argon, helium, neon,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nitrogen gas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including nitrogen gas, it is preferable to select nitrogen gas.
  • a coating step of coating the foamed foam on the release film is performed.
  • the coating step is a step of coating the foam foamed through the mechanical foaming step to a thickness of 80 to 3,000 ⁇ m on the release film.
  • the coating method may use any one method selected from a die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a knife coating method, a bar coating method, and a comma coating method.
  • the material of the release film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aterial of the release film, but a polyester-based material is preferable, and more preferably,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s used, and if necessary, silicone-tre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may be used to increase the release property.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silicone-tre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may be used to increase the release property.
  • Polyethylene terephthalate serves to protect the above-described acrylic foam precursor composition due to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is easily released from the adhesive layer to promote convenience of operation.
  •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film can be adjusted as needed, and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film is adjusted in the range of 4.5 to 250 ⁇ m.
  • a light (UV) irradiation step is performed.
  • the foam coated on the release film is irradiated with light (UV) to photocur the foam and, at the same time, to the foam through a foaming agent that reacts to the reaction heat generated during photocuring.
  • This is a chemical foaming step.
  • the adhesive acrylic foaming layer is prepared through the light irradiation step, and the acrylic foaming layer has adhesive properties by itself.
  • the heat of reaction according to photocuring in the light (UV) irradiation step is preferably 70°C to 125°C. This is because the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which are the aforementioned blowing agents, expand and foam within the above temperature range.
  • the light source used in the light irradiation step may be one or two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LED and a bulb.
  • the bulb is preferably a black light lamp.
  • the peak wavelength of ultraviolet ray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320 to 390 nm.
  • 20 mW/cm ⁇ 2> or more is preferable and, as for the illuminance of the ultraviolet-ray to irradiate, 25 mW/cm ⁇ 2> or more is more preferable.
  • the illumination intensity of the said ultraviolet-ray is less than 20 mW/cm ⁇ 2>, polymerization reaction time becomes long and productivity may be inferior.
  • 200 mW/cm ⁇ 2> or less is preferable.
  • the total irradiation amount of ultraviolet rays may be 1,000 to 5,000 mJ/cm 2 , preferably 2,000 to 4,000 mJ/cm 2 .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crylic foam adhesive tape comprises the steps of: coating an adhesive resin composition on one or both sides of the acrylic foam layer to form an acrylic foam structure; a heat treatment step of heating the acrylic foam structure; and an aging step.
  • the acrylic foam layer has adhesiveness by itself, in order to provide a stronger adhesive forc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foam layer.
  • the adhesive performan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10,000 gf/25 mm or more.
  • the step of coating the adhesive resin composition is a step of mixing and blending the raw material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n coating the blended composition on one or both sides of the acrylic foaming lay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 commonly u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if it has adhesive performance and excellent adhesive performance with the foaming layer,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type thereof.
  • the heat treatment step is a step of hea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ated on the foam layer, and is made by heating at a temperature of 150° C. for 30 seconds to 60 seconds after raising the temperature from 60° C. to 150° C. Due to the curing agent contain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rough the heat treatment step, curing proceeds and drying proceeds at the same time.
  • the aging step is a step of aging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cured through the heat treatment step, and is a step of aging at a temperature of 55°C to 65°C for 70 to 75 hours.
  • 2-EHA 2-ethylhexyl acrylate
  • acrylic acid hereinafter AA
  • acrylic monomer containing a polar group,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BASF Corporation, trade name
  • IRGACURE184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 the foam is applied to a release film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coated with a silicone composition and released to a thickness of 100 micrometers) by a comma coating method, and the release film coated with the foam is passed through an ultraviolet curing machine. It was prepared with an acrylic foam adhesive tape.
  • An acrylic foam adhesive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 parts by weight of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5 parts by weight of glass bubbles, and 2 parts by weight of silica were added as foaming agents in Example 1.
  • An acrylic foam adhesive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3 parts by weight of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4 parts by weight of glass bubbles, and 2 parts by weight of silica were added as foaming agents in Example 1.
  • An acrylic foam adhesive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4 parts by weight of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3 parts by weight of glass bubbles, and 2 parts by weight of silica were added as foaming agents in Example 1.
  • An acrylic foam adhesive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7 parts by weight of glass bubbles and 2 parts by weight of silica were added as foaming agents in Example 1, and nitrogen gas was not injected.
  • Example 1 an acrylic foam adhesive tape was prepared through mechanical foaming by injecting only nitrogen gas without adding a foaming agent (thermal expandable microspheres, glass bubbles, and silica) to the acrylic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 a foaming agent thermal expandable microspheres, glass bubbles, and silica
  • the average diameter D 50 of the microcell is a particle diameter corresponding to 50% of the volume accumulation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urve shown from the SEM photograp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pecimen,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maximum compressibility are ASTM D575 methods, and the tensile strength is ASTM D575. Each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D638.
  • Example 1 0.65 70 1.17 30 1.6
  • Example 2 0.65 70 One 34 1.34
  • Example 3 0.65 70 0.87 36 1.24
  • Example 4 0.65 70 0.7 40 1.11 Comparative Example 1 0.65 70 1.4 28 1.73 Comparative Example 2 0.65 150 0.3 48 0.8
  •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s of Examples 1 to 4 have a maximum compression ratio of 30 to 40%, which is higher than the maximum compression ratio of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of Comparative Example 1 More excellent impact mitigation effect.
  •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s of Examples 1 to 4 was 0.7 MPa to 1.7 MPa, which was greater tha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acrylic foam adhesive tape of Comparative Example 2, indicating that the effect of supporting the adherend was excellent. ha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는, 점착성 아크릴계 발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성 아크릴계 발포층은, 압축 강도가 0.7 내지 1.4Mpa 이고, 최대 압축률이 30% 이상으로, 피착물에 대해 적절한 충격 완화 효과를 가지면서도, 동시에 피착물에 대한 지지 기능도 가지고 있어, 배터리 셀의 접착 용도로 사용되기 적합하다.

Description

압축 성능이 우수한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 이차전지 배터리 셀간 접착 및 완충 작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폼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폰,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패널(TSP) 등과 같은 각종 전자 장치, 자동차 내/외장재에 있어서, 부품들의 접합 혹은 적층을 위해 예를 들면, 감압성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한 점착테이프가 적용되고 있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모바일 폰, 전기 자동차 등에 이차전지 배터리 셀이 탑재되고, 다수의 배터리 셀을 장착함에 있어서, 배터리 셀 간의 접착 및 내충격성을 부여하기 위해, 폼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배터리 셀은 충방전에 의해 배터리 셀의 팽창 및 수축 현상이 발생하므로, 배터리 셀의 팽창 수축에 따른 부피 변화에 맞추어 압축과 복원 성능이 우수한 폼 테이프가 필요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폼 테이프는,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등과 함께 기공 형성용 필러를 첨가시켜 제조된다. 종래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는 상기 글래스 버블과 같은 기공 형성용 필러나 질소 가스를 이용한 기계적 발포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에 글래스 버블과 같은 기공 형성용 필러를 사용하여 발포하는 경우 최대 압축률이 낮고, 최대 압축 시 압축 하중이 너무 높아 피착물이 큰 힘을 받아 셀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기계적 발포만을 적용한 경우는 최대 압축 시 압축 하중이 너무 낮아서, 피착물을 지지하는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1286호는 아크릴 발포체로 이루어진 발포 점착층을 포함하는 내충격성 양면 테이프를 개시하고 있는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 완화 효과 면에서 불충분한 한계가 있다.
이에 모바일 또는 자동차에 내장되는 배터리 셀의 접착을 위한 아크릴 폼 테이프에 있어서, 충격 완화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피착물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부여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피착물에 대한 지지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충격 완화 효과가 우수한 배터리 셀의 접착을 위한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공정을 보다 단순화한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는,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은, 압축 강도가 0.7 내지 1.4Mpa 이고, 최대 압축률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본 발명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는, 상기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층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상기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은 클로즈드 마이크로셀(closed-microcell) 및 오픈 마이크로셀(open-microcell)이 혼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은,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발포제, 광경화제 및 광가교제를 혼합하는 원료 혼합 단계; 상기 원료 혼합 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질소 가스를 주입하고 기계식 교반기로 발포하는 기계적 발포 단계; 상기 발포된 발포물을 이형 필름에 코팅하는 코팅 단계; 및 광(UV)을 조사하여, 상기 코팅된 발포물을 경화 및 화학적으로 발포시켜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광조사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상기 발포제는 열 팽창성 미소공구체로서,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중량부이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상기 광(UV) 조사 단계에서 광경화에 따른 반응열은 70℃내지 125℃이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은,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여 아크릴 폼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아크릴 폼 구조체를 가열하는 열처리 단계; 및 숙성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은 균일한 마이크로 셀을 포함하므로, 피착물에 대해 적절한 충격 완화 효과를 가지면서도, 동시에 피착물에 대한 지지 기능도 우수하여 배터리 셀의 접착 용도로 사용되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은, UV 조사에 의해 발포 및 경화가 동시에 진행되어, 아크릴계 발포층 자체가 점착성을 가지는바,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의 단면도의 SEM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는,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은, 압축 강도가 0.7 내지 1.4Mpa 이고, 최대 압축률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성능이 우수한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이다.
배터리 셀을 위한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최대 압축률이 30% 미만이면, 배터리 셀의 부피 팽창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한다. 또한 압축 강도가 0.7 Mpa 미만이면, 배터리 셀을 지지하는 기능이 부족하고, 압축 강도가 1.4 Mpa 초과하면, 배터리 셀이 큰 힘을 받을 수 있어서, 셀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 단면의 SEM 사진이다. 도 1을참조하면, 본 발명의 점착성 아크릴계 발포층은 무수히 많은 마이크로셀을 포함하고 있는데, 클로즈드 마이크로셀(closed-microcell) 및 오픈 마이크로셀(open-microcell)이 혼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점착성 아크릴계 발포층은, 클로즈드 마이크로셀을 포함하고 있어서, 피착물에 대해 적절한 지지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오픈 마이크로셀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피착물에 대하여 적절한 충격 완화 효과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클로오즈드 마이크로셀과 오픈 마이크로셀의 비율은, 체적을 기준으로, 8:2 내지 6:4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5:25 내지 65:35 의 범위이다. 상기 범위일 때 피착물에 대한 충격 완화 및 지지 기능이 최적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체적이란 아크릴계 광경화성 발포층의 SEM 사진에서, 클로즈드 마이크로셀이 차지하는 면적과 오픈 마이크로셀이 각각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셀의 평균 직경(D 50)은, 50㎛ 내지 120㎛일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60㎛ 내지 110㎛이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70㎛ 내지 100㎛이다. 마이크로셀의 평균 직경이 상기 수치 범위 일 때, 배터리 셀에 대한 지지 기능 및 충격 완화면에서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균 직경 D 50, 입경 분포 곡선에서 체적 누적량의 50%에 해당하는 입경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직경(D 50)은 도 1과 같은, 단면도의 SEM 사진에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의 두께는, 약 80㎛ 내지 3,000㎛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 및 목적에 따라 적절한 수치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본 발명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는, 상기 점착성의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감압성 접착층을 더 부가한 형태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다양한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가 없이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의 일면에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이 코팅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은 자외선을 조사해 경화 및 발포를 하여 얻어지므로, 그 자체로 점착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는 보다 강력한 접착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의 양면에 감압성 점착층이 부가된 형태일 수 있고,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 (C)의 구조에서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과 감압성 점착층 사이에 기재 필름이 개재된 구조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광경화성 아크릴 폼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폼 테이프의 제조방법은,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발포제, 광경화제, 가교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원료 혼합 단계; 상기 원료 혼합 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질소 가스를 주입하고 기계식 교반기로 발포하는 기계적 발포 단계; 상기 발포된 발포물을 이형 필름에 코팅하는 코팅 단계; 및 광을 조사하여, 상기 코팅된 발포물을 경화 및 화학적으로 발포시켜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광조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원료 혼합 단계는,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발포제, 광경화제, 가교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란, 광중합성의 단량체, 상기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극성 단량체를 광경화제제 의해 부분 중합한 예비중합체 시럽이다. 상기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000 내지 2,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온에서의 점도는 4,000cps 내지 6,000cps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비중합체 시럽은, 광중합성 단량체들의 중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 광중합성의 단량체 및 상기 단량체와 중합 가능한 극성 단량체, 광경화제를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첨가한 후 광을 조사하여 부분적으로 광중합을 시켜 시럽 상태로 만든다.
상기 광중합성의 단량체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이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량체의 예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극성 단량체의 예로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량비는, 90 : 10 내지 70 : 30 이다. 상기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상기 범위의 중량비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여 전술한 범위의 압축 강도 및 최대 압축률을 갖는 점착성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발포층의 기공률을 적절한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경화제는, α-히드록시케톤계 화학물, 페닐글리옥실레이트계 화합물, 벤질디메틸케탈계 화합물, α-아미노케톤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광경화제의 중량비율은 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일수 있다. 개시제의 중량 비율을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물성 및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예비중합체 시럽을 제조한 이후에는, 발포제, 광경화제, 가교제 및 첨가제를 첨가하여 혼합 및 교반한다. 상기 광경화제는 상기 예비중합체 시럽을 자외선 등의 조사에 의해 반응하여 조성물의 경화 반응을 개시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술한 예비중합체 시럽을 제조할 때 사용한 광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및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가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포함된 광경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종류의 광경화제를 사용할 경우에 후술하는 발포제인 열팽창성 미소구의 발포 효과가 더욱 극대화된다.
본 발명의 발포제는 열팽창성 미소공구체다. 이는 구형의 고분자 쉘 내에 상온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가스들이 채워진 입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열팽창성 미소공구체는 코팅의 제조 공정 조건에서는 파열되지 않으나, 광조사 단계에서,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되면서 발생하는 반응열에 의해 구 내부의 압력 및 기체 변형으로 인해 팽창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팽창되는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판, 프로필렌, 부텐, 노르말부탄, 이소부탄, 이소펜탄, 네오펜탄, 노르말펜탄, 노르말헥산, 이소헥산, 헵탄, 옥탄, 석유 에테르, 메탄의 할로겐화물, 테트라알킬실란 등의 저비점 액체; 열분해에 의해 가스화되는 아조디카르본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껍데기(쉘)를 구성하는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α-클로르아크릴로니트릴, α-에톡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의 니트릴 단량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등의 카르복실산 단량체; 염화 비닐리덴; 아세트산 비닐;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β-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등의 스티렌 단량체; 아크릴아미드, 치환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치환 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 단량체 등으로 구성되는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로 구성되는 중합체는, 단독 중합체여도 되고, 공중합체여도 된다. 상기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 비닐리덴-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로니트릴-메타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메타크릴로니트릴-이타콘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열팽창성 미소공구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경화시의 발열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발포되는 것으로, 광경화시의 발열 온도인 70℃ 내지 125℃의 온도에서 발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팽창성 미소공구체의 열팽창 개시 온도가 70℃ 미만인 경우에는, 점착테이프의 점착 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열팽창 개시 온도가 125℃를 초과할 경우에는 저밀도를 부여하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발포제의 함유 비율은, 원하는 점착력의 저하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발포제의 함유 비율은, 상기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인 예비중합체 시럽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중량부이다. 열팽창성 미소구의 함유량이 0.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착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열팽창성 미소공구체의 팽창 전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이다. 따라서, 상기 열팽창성 미소공구체의 가열 전의 입자 사이즈를 평균 입자 직경으로 말하면,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이다. 상기의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은 레이저 산란법에 있어서의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해 구해지는 값이다.
상기 열팽창성 미소공구체는, 체적 팽창률이 바람직하게는 5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이 될 때까지 파열되지 않는 적당한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원료 혼합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발포제로서 기공형성용 필러를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는 예를 들어, 글래스 버블(glass bubble),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일 수 있다.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인 예비중합체 시럽 100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 내지 8 중량부이다.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는 입자로서, 평균 입경이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35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20㎛ 내지 약 100㎛ 일 수 있다.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는 미리 발포된 발포 입자, 발포되지 않은 미발포 입자,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초기 점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아크릴 폼을 형성하기 위한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또한 첨가되어서 점착제의 점착력 발휘 과정에서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간의 가교를 통해 상기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의 초기 점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또한 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구체적으로 디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펜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디아크릴레이트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약 0.01 내지 약 1 중량부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0.1 내지 약 0.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상기 가교제를 포함하여 전술한 범위의 저장 탄성율을 갖는 아크릴 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의 조성물은, 점착부여제, 열개시제,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무기 필러, 자외선 차단제,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가공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상기 점착 부여제는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로진계 점착부여제, 테르펜계 점착부여제, 석유수지계 점착부여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인 예비중합체 시럽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10 중량부 내지 약 4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탄화규소,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규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인 예비중합체 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 중량부 내지 약 2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원료 혼합 공정 이후에는, 원료 혼합 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기체를 주입하고 기계식 교반기로 발포하는 기계적 발포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발포 단계는, 원료 혼합 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기계식 교반기에 투입하고, 기체를 주입하여 1000 내지 3000rpm의 속도로 30 내지 120분 동안 교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교반 속도로 교반 과정을 진행하면서 기체의 분산에 의해 기계적 발포가 진행되면서 마이크로셀이 형성된다.
상기 기체는, 질소 아르곤, 헬륨, 네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질소 가스를 포함함으로써,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의 물성 병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질소 가스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적 발포 단계 이후에는, 상기 발포된 발포물을 이형 필름 상에 코팅하는 코팅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코팅 단계는 기계적 발포 단계를 통해 발포된 발포물을 이형 필름에 80 내지 3,000㎛의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코팅 방법은, 다이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바 코팅법, 콤마 코팅법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의 소재에는 제한이 없으나, 폴리에스터계 소재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이형성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전술한 아크릴 폼 전구체 조성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점착층으로부터 쉽게 이형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이형 필름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4.5~250㎛의 범위 사이에서 이형 필름의 두께를 조절한다.
상기 코팅 단계 이후에는, 광(UV)조사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광(UV)조사 단계는, 이형 필름 상에 코팅된 발포물에 대하여, 광(UV)을 조사하여 발포물을 광경화시킴과 동시에 광경화 시 발생하는 반응열에 반응하는 발포제를 통해 발포물을 화학적으로 발포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광조사 단계를 통해 점착성 아크릴계 발포층이 제조되며,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그 자체로 점착 성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광(UV) 조사 단계에서 광경화에 따른 반응열은 70℃내지 1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발포제인 열팽창성 미소공구체가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팽창되어 발포되기 때문이다.
상기 광조사 단계에서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LED와 벌브(Bulb)로 이루어진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일 수 있다. 상기 벌브는 블랙라이트 램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조사 시 자외선의 피크 파장은 320 내지 390n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사하는 자외선의 조도는 20㎽/㎠ 이상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자외선의 조도가 20㎽/㎠ 미만이면, 중합 반응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당해 자외선의 조도는 2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당해 자외선의 조도가 200㎽/㎠를 초과하면, 광중합 개시제가 급격하게 소비되기 때문에, 중합체의 저 분자량화가 일어나서, 특히 고온에서의 유지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자외선의 총 조사광량은 1,000 내지 5,000mJ/㎠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4,000mJ/㎠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은,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여 아크릴 폼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아크릴 폼 구조체를 가열하는 열처리 단계; 및 숙성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그 자체로 점착성을 가지지만, 더욱 강력한 점착력을 부여하기 위해,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감압성 점착층을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 감압성 점착층의 접착 성능은 10,000gf/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는, 감압성 점착 조성물의 원료를 혼합 배합한 후, 배합된 조성물을 아크릴계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감압성 점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압성 점착 조성물일 수 있으며, 점착 성능을 가지고, 상기 발포층과의 접착성능이 우수하다면 그 종류에 있어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발포층에 코팅된 점착 조성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60℃ 에서 150℃까지 승온시킨 후에 150℃의 온도에서 30초 내지 60초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열처리 단계를 통해 감압성 점착 조성물 내에 함유된 경화제로 인해 경화가 진행됨과 동시에 건조가 진행된다.
상기 숙성 단계는, 상기 열처리단계를 통해 경화된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를 숙성하는 단계로, 55℃ 내지 65℃의 온도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다. 상기 온도와 시간 동안 숙성시킴으로써, 형태 안전성이 향상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이나 뒤틀림 현상이 개선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들은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시럽의 제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이하 2-EHA) 90중량부, 극성기를 함유하는 아크릴모노머로서 아크릴산(이하 AA) 10중량부, 광중합 개시제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BASF社, 상품명 IRGACURE184) 0.05중량부를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15~30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을 시켰다. 이때 아크릴계 중합체 시럽의 중량평균 분자량 (Mw) 100~200만의 프리폴리머를 얻었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에서 기술한 아크릴계 중합체 시럽의 100중량부에, 발포제로서 열팽창성 미소공구체(Expancel, HF36D) 1 중량부, 글래스 버블(K15) 6 중량부, 실리카(R972, Evonik) 2 중량부, 광경화제로서 이가큐어 184(제조사: BASF) 0.15 중량부, 가교제로서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5 중량부를 혼합한 후, 교반기에 투입하였다. 질소 가스를 주입하고 이어서 35℃의 온도에서 2,000rpm의 속도로 40분 동안 교반하여 발포였다.
상기 발포물을, 이형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실리콘 조성물이 도포되어 이형 처리 된 것)에 콤마 코팅 방식으로 10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도포하고, 발포물이 도포된 이형 필름을 자외선 경화기를 통과시켜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발포제로써 열팽창성 미소공구체 2 중량부, 글래스 버블 5 중량부, 실리카 2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발포제로써 열팽창성 미소공구체 3 중량부, 글래스 버블 4 중량부, 실리카 2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발포제로써 열팽창성 미소공구체 4 중량부, 글래스 버블 3 중량부, 실리카 2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발포제로써 글래스 버블 7중량부, 실리카 2 중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가스를 주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발포제(열팽창성 미소공구체, 글래스 버블 및 실리카)를 첨가하지 않고, 질소 가스만을 주입하여 기계적 발포를 통하여,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시편을 제작해, 시편의 밀도, 마이크로 셀의 평균 직경, 압축 강도, 최대 압축률 및 인장강도를 각각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마이크로 셀의 평균 직경 D 50은, 시편의 단면도의 SEM 사진으로부터 나타나는 입경 분포 곡선에서 체적 누적량의 50%에 해당하는 입경이고, 압축 강도 및 최대 압축률은 ASTM D575의 방법으로, 인장강도는 ASTM D638의 방법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구분 밀도(g/c㎡) 마이크로 셀의 평균직경(㎛) 압축 강도(MPa) 최대압축률(%) 인장강도(MPa)
실시예 1 0.65 70 1.17 30 1.6
실시예 2 0.65 70 1 34 1.34
실시예 3 0.65 70 0.87 36 1.24
실시예 4 0.65 70 0.7 40 1.11
비교예 1 0.65 70 1.4 28 1.73
비교예 2 0.65 150 0.3 48 0.8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는, 최대압축률이 30 내지 40%로써, 비교예 1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최대압축률보다 높아, 비교예 1의 아크릴 폼 접착테이프보다 충격 완화 효과가 우수하다. 그리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압축 강도는 0.7MPa 내지 1.7MPa로써, 비교예 2의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압축 강도보다 커서, 피착물을 지지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은, 압축 강도가 0.7 내지 1.4Mpa 이고, 최대 압축률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성능이 우수한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감압성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성능이 우수한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발포층은 클로즈드 마이크로셀(closed-microcell) 및 오픈 마이크로셀(open-microcell)이 혼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성능이 우수한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
  4.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발포제, 광경화제 및 광가교제를 혼합하는 원료 혼합 단계;
    상기 원료 혼합 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질소 가스를 주입하고 기계식 교반기로 발포하는 기계적 발포 단계;
    상기 발포된 발포물을 이형 필름에 코팅하는 코팅 단계; 및
    광(UV)을 조사하여, 상기 코팅된 발포물을 경화 및 화학적으로 발포시켜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광조사 단계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열팽창성 미소공구체로서,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UV) 조사 단계에서 광경화에 따른 반응열은 70℃ 내지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여 아크릴 폼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아크릴 폼 구조체를 가열하는 열처리 단계; 및
    숙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PCT/KR2020/005433 2020-04-21 2020-04-24 압축 성능이 우수한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21556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873 2020-04-21
KR1020200047873A KR102313902B1 (ko) 2020-04-21 2020-04-21 압축 성능이 우수한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563A1 true WO2021215563A1 (ko) 2021-10-28

Family

ID=7822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5433 WO2021215563A1 (ko) 2020-04-21 2020-04-24 압축 성능이 우수한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3902B1 (ko)
WO (1) WO2021215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247B1 (ko) * 2022-01-12 2023-06-28 주식회사 씨앤피지 난연성이 강화된 전기자동차 배터리 셀 고정용 광경화형 양면테이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468B1 (ko) * 2013-08-26 2015-03-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발포 시트
KR20160035704A (ko) * 2014-09-23 2016-04-01 (주)엘지하우시스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KR20180032182A (ko) * 2016-09-21 2018-03-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발포 부재, 전기 전자 기기, 및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20180046383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응형 터치 패널
KR20180115038A (ko) * 2017-04-12 2018-10-22 주식회사 영우 열박리형 전도성 점착층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9707A1 (de) * 2016-06-02 2017-12-07 Tesa Se Haftklebestreifen
KR102132851B1 (ko) 2018-08-20 2020-07-10 주식회사 영우 디스플레이 기기용 내충격성 양면테이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468B1 (ko) * 2013-08-26 2015-03-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발포 시트
KR20160035704A (ko) * 2014-09-23 2016-04-01 (주)엘지하우시스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KR20180032182A (ko) * 2016-09-21 2018-03-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발포 부재, 전기 전자 기기, 및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20180046383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응형 터치 패널
KR20180115038A (ko) * 2017-04-12 2018-10-22 주식회사 영우 열박리형 전도성 점착층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902B1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7475B2 (en) Adhesive sheet comprising hollow part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5370796B1 (ja) 粘着テープ
JP6140491B2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KR101999392B1 (ko) 접착 스트립
JP2019189878A (ja) 再剥離可能な感圧接着細長片
US20110250446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2018517002A (ja) 再剥離可能なコンタクト接着テープ
JP6653290B2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JP6525961B2 (ja) アクリルフォーム粘着テープおよびこれを適用した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WO2010122943A1 (ja) 加熱膨張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ES2314712T3 (es) Proceso para el reciclado de componentes electronicos.
US20120177901A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tape
US20130011672A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KR101993799B1 (ko)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제조방법
JP7323360B2 (ja) 両面粘着テープ
US20130011658A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TW201920441A (zh) 衝擊吸收片及其製造方法
WO2021215563A1 (ko) 압축 성능이 우수한 광경화성 아크릴 폼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010932A1 (ko) 기포 안정성이 향상된 난연용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6114241A1 (ja) 両面粘着シート
CN112088197B (zh) 用于制造用微球发泡的自胶粘剂组合物层的方法
KR102058914B1 (ko)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0893477B1 (ko) 열발포제를 포함하는 박리 가능한 점착제
WO2023139878A1 (ja) 発泡部材
KR102146227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324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324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