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248B1 -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248B1
KR102044248B1 KR1020160059088A KR20160059088A KR102044248B1 KR 102044248 B1 KR102044248 B1 KR 102044248B1 KR 1020160059088 A KR1020160059088 A KR 1020160059088A KR 20160059088 A KR20160059088 A KR 20160059088A KR 102044248 B1 KR102044248 B1 KR 102044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dhesive layer
acrylate
adhesive sheet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743A (ko
Inventor
서주용
이수은
윤찬오
김장순
박은경
이한나
김상환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5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24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중간 점착층; 및 상기 중간 점착층의 양 면에 적층된 외곽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점착층은 제1 아크릴계 수지의 반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점착층은 제2 아크릴계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 수지에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가 상기 히드록시기와 우레탄 반응에 의해 측쇄 개질하여 형성된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이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는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히드록시(C2~C8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아크릴 공중합 수지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 {MULTI LAYERED OPTICAL ADHESIVE SHEET, METHOD PREPARING MULTI LAYERED OPTICAL ADHESIVE SHEET AND TOUCH SCREEN PANEL}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근래, PDA,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전자 기기가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추구되는 기술적 목표는 주로 박형화, 경량화, 저전력 소비화, 고해상도화 및 고휘도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입력 조작부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설치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최외곽의 커버 윈도우층을 포함하여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광학용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적층하여 형성된다.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는 광학적으로 투명하면서, 터치 민감도, 내구성 등의 다양한 물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단차 흡수성이 우수한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적용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중간 점착층; 및 상기 중간 점착층의 양 면에 적층된 외곽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점착층은 제1 아크릴계 수지의 반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점착층은 제2 아크릴계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 수지에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가 상기 히드록시기와 우레탄 반응에 의해 측쇄 개질하여 형성된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이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는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히드록시(C2~C8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아크릴 공중합 수지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제1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제 타입의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고,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소정의 기재 상에 도포한 뒤 열처리하여 반경화된 필름을 성막하여 외곽 점착층을 제조하는 단계; 제2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무용제 타입의 중간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다른 소정의 기재 상에 도포한 뒤 광경화하여 중간 점착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점착층의 양면에 각각 상기 외곽 점착층을 합지하여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로서,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 수지에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가 상기 히드록시기와 우레탄 반응에 의해 측쇄에 도입되어 개질되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는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히드록시(C2~C8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아크릴 공중합 수지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도전층이 형성된 투명전극층; 커버 윈도우층; 및 상기 투명전극층과 상기 커버 위도우층 사이 또는 상기 투명전극층 사이를 매개하여 부착하는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단차 흡수성이 우수하여, 유리, 플라스틱 필름 등에 다양한 구조 및 재질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적층하는 점착층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중간 점착층; 및 상기 중간 점착층의 양 면에 적층된 외곽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점착층은 제1 아크릴계 수지의 반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점착층은 제2 아크릴계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 수지에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가 상기 히드록시기와 우레탄 반응에 의해 측쇄 개질하여 형성된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이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는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히드록시(C2~C8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아크릴 공중합 수지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도 1은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10)는 중간 점착층(11) 및 외곽 점착층(12)을 포함한다.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10)는 강성의 높은 중간 점착층(11)과 연성이 높은 외곽 점착층(12)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중간 점착층(11)이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하면서, 동시에 상기 외곽 점착층(12)에 의해 우수한 단차 흡수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10)는 두께를 과도하게 높이지 않으면서도 내구성과 단차 흡수성을 동시에 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10)는 상기와 같이 다층 구조를 가짐으로써 대량 생산에 적합한 안정적인 두께를 형성하고, 또한 내구성이 뛰어나며, 단차 흡수성이 우수하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 수지를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와 우레탄 반응시켜 개질하여 제조된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이다. 상기 우레탄 반응은 상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공중합 수지 중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로부터 유래된 히드록시기가 반응하는 것이고, 그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래된 모이어티가 상기 공중합 수지의 측쇄로 우레탄 결합을 매개로 도입된다. 상기 도입된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래된 모이어티가 포함하는 이중 결합은 이후 추가 광경화시 광경화 가능한 싸이트로 작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반경화"란 추가 광경화 가능한 싸이트를 가지는 상태를 의미하고, "반경화물"이란 추가 광경화 가능한 싸이트를 가지는 경화물을 의미한다.
상기 외곽 점착층(12)은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열경화시켜 반경화 상태의 필름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외곽 점착층(12)은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열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열처리에 의해 열경화를 수행하여, 필름 상태로 성막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열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열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 중 히드록시기의 우레탄 반응이 유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형성된 우레탄 작용기에 의해서, 상기 외곽 점착층 (12)의 계면에서의 높은 접착력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열경화제는, 구체적으로,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에폭시계 열경화제, 금속 킬레이트계 열경화제 및 아지리딘계 열경화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의 반경화물은 겔 함량이 40 중량% 내지 60 중량% 이고, 추가적으로 광경화에 의해 겔 함량이 70 중량% 내지 90 중량%인 경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겔 함량은 하기 계산식 1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계산식 1]
겔 함량(중량%) = W2/W1 × 100
상기 식 1에서, 상기 W1은 겔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화물을 일정 크기로 잘라 얻은 시편을 용제에 담그기 전 중량인 초기 중량을 의미하고, 상기 W2는 상기 시편을 용제에 담가 일정 시간 방치하고, 이어서 거름 장치를 이용하여 거른 후 일정 온도 및 일정 시간의 조건 하에서 건조시켜 얻은 시편의 중량인 후기 중량을 의미한다. 측정 조건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용제로서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고, 용제에 24 시간 담가 방치한 다음, 거름 장치(300 메시 철망)에 의해 걸러 얻은 시편을 110℃, 2시간 동안 건조시켜 W2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외곽 점착층(12)은 부착하고자 하는 대상에 부착한 뒤, 사용자가 용도에 맞게 반경화된 필름 상태의 상기 외곽 점착층(12)에 광조사하여 광경화를 수행하여 추가적으로 완전 경화, 즉, 더 이상 추가적인 경화가 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외곽 점착층(12)을 추가적으로 광경화하게 되면,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 중 이중 결합은 광반응 싸이트로서 작용하여 광경화된다. 상기 외곽 점착층(12)이 추가 광경화에 의해 가교 및 완전 경화되어 얻어진 완전 경화물은 겔 함량이 70 중량% 내지 9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알킬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14 알킬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탄소수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의 광경화물이 적절한 응집력, 유리전이온도 및 점착 특성을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는, 예컨대,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 70 내지 99 중량%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 1 내지 30 중량%의 함량비로 혼합되어 공중합된 공중합 수지를 얻고, 상기 공중합 수지를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로 개질하여 얻어진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이다.
상기 공중합 수지는 상기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가 총 모노머 중 70 내지 99 중량% 함량비로 공중합되도록 하여, 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상기 외곽 점착층(12)은 적절한 응집력이 부여되어 내구성을 향상된다.
상기 공중합 수지는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가 총 모노머 중 1 내지 30 중량% 함량비로 공중합되도록 하여, 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상기 외곽 점착층(12)은 우수한 단차 흡수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는 상기 외곽 점착층(12)의 계면에서의 부착력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를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하도록, 즉, 30 중량% 초과하는 고함량으로 상기 상기 공중합 수지가 중합되면, 상기 외곽 점착층(12)의 응집력이 너무 높아 유동성이 저하되어, 즉 단차 흡수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수지는 공지된 중합법에 의해 중합되어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액 중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약 50 내지 140℃의 중합 온도로 수행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수지는 중합시 열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아조비스시클로헥산 카르보니트릴과 같은 아조계 중합 개시제; 및/또는 과산화 벤조일 또는 과산화 아세틸과 같은 과산화물 등의 통상의 개시제를 들 수 있고,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중합 수지는,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개질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렌이소시아네이트 (MOI)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 수지 중 히드록시기 몰당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0.5 내지 2몰의 몰비로 반응시켜 개질될 수 있다. 상기 함량비로 상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를 우레탄 반응시켜 도입시킴으로써, 우수한 단차 흡수성을 가지면서, 상기 외곽 점착층(12)의 계면에서의 부착력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와 용제를 혼합하여 용제 타입으로 제조되고, 추가적으로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된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점착성 부여 수지, 열경화제, 광개시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가소제, 발포제, 유기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제를 사용하여, 반경화시 필름 상의 제막이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열경화제일 수 있다.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에폭시계 열경화제, 금속 킬레이트계 열경화제 및 아지리딘계 열경화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외곽 점착층(12)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배합하여 제조한 다음, 제막할 수 있다.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캐스팅(casting)법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코트, 나이프 코트, 롤 코트, 스프레이 코트, 그라비어 코트, 커튼 코트, 콤마 코트 및/또는 립 코트 등의 통상의 수단으로,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 상에 상기 점착 조성물을 코팅하고, 열처리하여 용제를 휘발시키면서, 반경화된 열경화물을 형성하여 필름으로 성막할 수 있다.
상기 외곽 점착층(12)은 부착하고자 하는 대상에 부착한 뒤, 사용자가 용도에 맞게 반경화된 필름 상태의 상기 외곽 점착층(12)에 광조사하여 추가적으로 광경화를 수행하여 완전 경화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반경화된 필름을 광경화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반경화된 필름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추가적으로 소정 조건에서 숙성(aging)하는 공정을 거쳐 광경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하기 위해 수행하는 UV 조사는 통상적으로 쓰이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로 약 10초 내지 약 15초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UV 조사되는 광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0.5J/cm2 내지 약 5.0 J/cm2 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J/cm2 내지 약 3.0 J/cm2 조사한다.
상기 외곽 점착층(12)의 두께는 약 10㎛ 내지 약 1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 ~ 50㎛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외곽 점착층(12)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여 우수한 단차 흡수성을 구현하고, 상기 중간 점착층(11)과 함께 다층 구조를 형성하여 우수한 단차 흡수능 및 우수한 내구성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예를 들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C1-C14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C3-C15싸이클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3-C15싸이클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지환족 축합고리 함유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지환족(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싸이클로펜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싸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100 중량부 및 상기 히드록시(C2~C8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 내지 60 중량부의 함량비로 혼합되어 공중합된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히드록시(C2~C8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상기 함량으로 공중합되도록 하여, 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상기 중간 점착층(11)은 히드록시기에 의해 백화현상 및 박리력이 향상된다.
상기 중간층(11)은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를 광경화하여 얻어진 경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층(11)은 겔 함량이 70 중량% 내지 90 중량%이고, 더 이상의 추가적인 경화가 어려운 완전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경화시 중합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01 내지 10 중량부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광개시제의 종류는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켜, 중합 반응을 개시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벤조인계 개시제, 히드록시 케톤계 개시제, 아미노 케톤계 개시제 카프로락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에폭시 수지, 가교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가소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11) 상기 제2 아크릴산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중간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무용제 타입으로 제조하고, 소정의 기재 상에 도포한 뒤, 광조사에 의해 광경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중간 점착층은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무용제 타입의 중간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광조사"는 광개시제 또는 중합성 화합물에 영향을 주어 중합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전자기파의 조사를 의미하며, 상기에서 전자기파는 마이크로파, 적외선, 자외선, X선 및 γ선은 물론, α-입자선, 프로톤빔(proton beam), 뉴트론빔(neutron beam) 및 전자선(electron beam)과 같은 입자빔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중간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상기 중간 점착층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중간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코팅액을 바코터 등의 공지된 수단으로 적절한 공정상 기재에 도포하고, 광경화시켜 상기 중간 점착층(11)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11)은 완전 경화형으로 응집력을 높여 목적하는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10)를 부착한 대상으로부터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10)를 제거하는 경우, 끊김 없이, 잔사 없이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외곽 점착층(12) 표면에서 기포 발생시 중간 점착층(11)에서의 지지 역할을 통해 기포 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11)의 두께는 약 50㎛ 내지 약 2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 125㎛ 일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11)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면서 상기 외곽 점착층(12)과 함께 다층 구조를 형성하여 우수한 단차 흡수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10)는 전술한 다층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변 물성 tanΔ 값을 높이고 그에 따라 단차 흡수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중간 점착층(11)의 25℃에서 유변 물성 tanΔ 값이 0.1 내지 0.5, 구체적으로, 0.2 내지 0.4 이고, 상기 외곽 점착층(12)의 25℃에서 유변 물성 tanΔ 값이 0.3 내지 0.8, 구체적으로, 0.4 내지 0.8 이며, 이러한 중간 점착층(11) 및 외곽 점착층(12)으로 상기 구조로 적층한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10) 전체의 25℃에서 유변 물성 tanΔ 값이 0.3 내지 0.7 일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10)는 모바일, 태블릿 PC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시 투명전극층과 커버 윈도우층을 합착하거나, 또는 투명전극층을 복수로 포함하는 경우, 투명전극층 간을 합착시키기 위한 결합 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10)는 유리 간, 플라스틱 필름 간 또는 유리와 플라스틱 필름간 결합을 요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내구성과 단차 흡수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1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제 타입의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고,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소정의 기재 상에 도포한 뒤 열처리하여 반경화된 필름을 성막하여 외곽 점착층을 제조하는 단계;
제2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무용제 타입의 중간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다른 소정의 기재 상에 도포한 뒤 광경화하여 중간 점착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점착층의 양면에 각각 상기 외곽 점착층을 합지하여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로서,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 수지에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가 상기 히드록시기와 우레탄 반응에 의해 측쇄에 도입되어 개질된다.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는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히드록시(C2~C8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아크릴 공중합 수지이다.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 상기 얻어진 중간 점착층 및 상기 외곽 점착층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열경화제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열처리하는 동안 용제가 제거되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가 물리적인 얽힘에 의해 열경화되고, 이어지는 광경화에 의해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 내의 이중 결합이 광 반응에 의한 가교 반응하여 광경화가 가능하다.
상기 열처리는 70 내지 12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반경화된 필름의 상기 외곽 점착층의 겔 함량이 40 중량% 내지 60 중량%, 상기 중간 점착층의 겔 함량이 70 중량%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외곽 점착층을 부착하고자 하는 대상에 부착한 뒤, 상기 반경화된 필름을 추가적으로 광경화하여 겔 함량이 70 중량% 내지 90 중량%가 되도록 완전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도전층이 형성된 투명전극층; 커버 윈도우층; 및 상기 투명전극층과 상기 커버 위도우층 사이 또는 상기 투명전극층 사이를 매개하여 부착하는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사용된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의 양 면에 적층된 외곽 점착층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외곽 점착층에 포함되는 반경화물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산 타입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삽입형 (add on type direct bonding)으로 적용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온셀(oncell) 구조에 적용하여도 터치 민감도를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을 온셀(oncell) 구조에 적용하게 되면, 액정 모듈에 전극이 노출되고, 점착 시트가 산 타입인 경우 카르복실기가 수분과 산화 반응하여 ITO(인듐틴옥사이드)와 같은 금속 산화물의 전극 물질을 산화부식시키게 됨에 따라 저항이 상승하게 된다. 이 때문에 터치 민감도 또는 터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중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의 외곽 점착층은 무산 타입의 아크릴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수분에 노출되더라도 산화 반응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ITO(인듐틴옥사이드)와 같은 금속 산화물의 전극 물질을 저항 변화에 관여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온셀(oncell) 구조에 적용하여도 터치 민감도를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층은 도전성 금속 산화물이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또는 도전층이 형성된 유리일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층은 강화 유리 또는 강화 유리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서 개발된 투명한 유리 대체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리 대체 플라스틱 필름의 경우 다층 구조로 각 층에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시트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단차 흡수성이 우수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층 및 상기 투명전극층의 재료로서 유리, 플라스틱 필름 등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시트는 이와 같이 다양한 구조 및 재질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적층하는 점착층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다.
도 2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00)은, 커버 윈도우층(150); 광학용 점착 시트 (110); 플라스틱 기재층(131) 상의 일면에 도전층(132)이 형성된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층(130); 및 액정 모듈 (liquid crystal module, LCM) (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의 공지의 전도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성 필름(130)으로, 일면에 도전층(132)으로서 ITO 전극층이 형성된 투명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131)을 형성하는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테트라플로오루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13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한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중간 점착층의 제조
중간 점착층으로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 중량부, 아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및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를 1 리터 유리 반응기에 넣고 열중합시켜 점도 3500cP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시럽을 얻었다. 얻어진 광경화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100 중량부 (고형분 기준)에 대해 광개시제 a,a-메톡시-a-히드록시아세토페논 (Igacure 651, Ciba社 제조) 0.3 중량부, 헥산다이올다이아크릴레이트(HDDA) 0.2 중량부를 혼합하여 중간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무용제 타입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중간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125㎛ 두께로 도포한 뒤, 광 조사하여 경화시켜 중간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외곽 점착층의 제조
외곽 점착층으로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65 중량부 및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15 중량부,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를 1 리터 유리 반응기에 넣고 용액중합법에 의해 점도 3000cP의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상기 공중합 수지 100 중량부 (고형분 기준)와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렌이소시아네이트 (MOI, Hitachi Chem. 제조) 5 중량부 혼합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폴리머의 히드록시기와 NCO와의 우레탄 반응을 통해 측쇄 개질하여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상기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열경화제로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광개시제, 용제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일정량 공정상 기재 상에 도포하고 110℃에서 5 분 동안 열처리하여, 건조 및 열경화시켜 25 ㎛ 두께로 성막하여 반경화된 필름을 얻었다.
다층 구조의 점착 시트의 제조
상기 제조된 중간 점착층의 양면에 상기 제조된 외관층을 적층하여 외곽 점착층-중간 점착층-외곽 점착층의 다층 구조의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7.5 중량부,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12.5 중량부, 및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를 1 리터 유리 반응기에 넣고 열중합시켜 점도 3500cP의 광경화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시럽을 얻었다. 얻어진 광경화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100 중량부 (고형분 기준)에 대해 광개시제 a,a-메톡시-a-히드록시아세토페논 (Igacure 651, Ciba社 제조) 0.3 중량부, 헥산다이올다이아크릴레이트(HDDA) 0.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무용제 타입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175㎛ 두께로 도포한 뒤, 광 조사하여 완전 경화시켜 총 175㎛ 두께로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외곽 점착층으로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65 중량부,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15 중량부 및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를 1 리터 유리 반응기에 넣고 용액중합법에 의해 점도 3000cP의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상기 공중합 수지 100 중량부 (고형분 기준)와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렌이소시아네이트 (MOI, Hitachi Chem. 제조) 5 중량부 혼합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폴리머의 히드록시기와 NCO와의 우레탄 반응을 통해 측쇄 개질하여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상기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열경화제로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광개시제, 용제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일정량 공정상 기재 상에 도포하고 110℃에서 5 분 동안 열처리하여, 건조 및 열경화시켜 175 ㎛ 두께로 성막하여 반경화된 필름을 얻었다.
평가
실험예 1: 유변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에 대하여 하기 설비 및 측정 조건으로 25℃에서 tanΔ를 측정하였다.
설비: ARES G2 Rheometer.
측정 방법: 175㎛ 두께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의 샘플에 대하여 4장 적층하여 각각 700㎛ 두께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측정 조건: Strain 10%, 측정 온도 구간: -20℃ ~ 100℃, Axial Force: 2N, Frequency: 1 rad/sec
실험예 2: 박리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에 대하여 하기 설비 및 측정 방법으로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설비: Text Analyzer,
측정 방법: 지지 필름 (Backing Film) 50㎛를 사용하여 부착 후 30분 뒤, 측정 속도 300mm/min으로, 180도 Peel strength를 측정함.
실험예 3: 단차 흡수능 평가
5 inch 높이의 인쇄 단차가 있는 윈도우 글래스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를 각각 부착 후 반대 면에 인쇄 단차가 없는 유리를 부착하여 인쇄 단차부의 기포 유무를 바탕으로 단차 매립 수준을 확인하였다. 5㎛, 10㎛, 15㎛, 20㎛, 25㎛ 및 30㎛의 두께로 인쇄 단차가 있는 윈도우 글래스를 각각 준비하였고, 낮은 인쇄 단차의 윈도우 글래스부터 차례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를 부착하여 기포가 발생되기 시작하는 인쇄 단차의 높이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4: 신뢰성 평가
5 inch 높이의 인쇄 단차가 있는 윈도우 글래스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를 각각 부착 후 반대 면에 편광 필름을 부착한 뒤, 85℃, 85%의 습도 하에 120 시간 보관 후 기포 발생 유무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판단하고,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tanΔ [단위] 박리력(g/in) 단차흡수능
(㎛)
신뢰성
실시예 1 0.60 2,300 25 기포가 발생하지 않음
비교예 1 0.30 3,000 10 기포 발생함
비교예 2 0.65 2,100 15 기포 발생함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의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높은 단차 흡수능 및 우수한 신뢰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광학용 점착 시트
11: 중간 점착층
12: 외곽 점착층
100: 터치 스크린 패널
110: 광학용 점착 시트
131: 플라스틱 기재층
132: 도전층
130: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150: 커버 윈도우층
160: 액정 모듈(LCM)

Claims (25)

  1. 중간 점착층; 및 상기 중간 점착층의 양 면에 적층된 외곽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점착층은 제1 아크릴계 수지의 반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점착층은 제2 아크릴계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 수지에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가 상기 히드록시기와 우레탄 반응에 의해 측쇄 개질하여 형성된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이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는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히드록시(C2~C8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아크릴 공중합 수지이고,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 70 내지 99 중량%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 1 내지 30 중량%의 함량비로 혼합되어 공중합된 공중합 수지가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개질되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100 중량부 및 상기 히드록시(C2~C8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 내지 60 중량부의 함량비로 혼합되어 공중합된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점착층은 상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의 열경화물이고, 추가 광경화될 수 있는 반경화물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의 반경화물은 겔 함량이 40중량% 내지 60중량% 이고, 추가적으로 광경화에 의해 겔 함량이 70중량% 내지 90중량%인 경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의 경화물의 겔 함량이 70중량% 내지 90중량%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알킬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14 알킬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 수지 중 히드록시기 몰당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0.5 내지 2몰의 몰비로 반응시켜 개질된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의 경화물은 광경화물인 것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C1-C14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C3-C15싸이클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점착층은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제 타입의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열경화하여 반경화된 필름으로 성막되고,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열경화제를 포함하고, 에폭시계 열경화제, 금속 킬레이트계 열경화제 및 아지리딘계 열경화제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중간 점착층은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무용제 타입의 중간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하고,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는 50㎛ 내지 200㎛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점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점착층의 25℃에서 유변 물성 tanΔ 값이 0.1 내지 0.5 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점착층의 25℃에서 유변 물성 tanΔ 값이 0.3 내지 0.8 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 전체의 25℃에서 유변 물성 tanΔ 값이 0.3 내지 0.7 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18. 제1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제 타입의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고,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소정의 기재 상에 도포한 뒤 열처리하여 반경화된 필름을 성막하여 외곽 점착층을 제조하는 단계;
    제2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무용제 타입의 중간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다른 소정의 기재 상에 도포한 뒤 광경화하여 중간 점착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점착층의 양면에 각각 상기 외곽 점착층을 합지하여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로서,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 수지에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가 상기 히드록시기와 우레탄 반응에 의해 측쇄에 도입되어 개질되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는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히드록시(C2~C8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아크릴 공중합 수지이고,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는 제1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 70 내지 99 중량%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 모노머 1 내지 30 중량%의 함량비로 혼합되어 공중합된 공중합 수지가 (메타)아크릴로일옥시(C2~C14알킬렌)이소시아네이트 개질되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제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100 중량부 및 상기 히드록시(C2~C8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 내지 60 중량부의 함량비로 혼합되어 공중합된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열경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열처리에 의해 열경화되고, 추가적인 광경화에 의해 상기 제1 아크릴계 수지 내의 이중 결합이 광 반응에 의한 가교 반응하여 광경화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70 내지 120℃에서 수행하는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화된 필름의 상기 외곽 점착층의 겔 함량이 40중량% 내지 60중량%, 상기 중간 점착층의 겔 함량이 70중량% 내지 90중량%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점착층을 부착하고자 하는 대상에 부착한 뒤, 상기 반경화된 필름을 추가적으로 광경화하여 겔 함량이 70중량% 내지 90중량%가 되도록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23.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도전층이 형성된 투명전극층;
    커버 윈도우층; 및
    상기 투명전극층과 상기 커버 윈도우층 사이 또는 상기 투명전극층 사이를 매개하여 부착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내지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층은 도전성 금속 산화물이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또는 도전층이 형성된 유리인
    터치 스크린 패널.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투명한 유리 대체 플라스틱 필름 또는 강화 유리인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160059088A 2016-05-13 2016-05-13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44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088A KR102044248B1 (ko) 2016-05-13 2016-05-13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088A KR102044248B1 (ko) 2016-05-13 2016-05-13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743A KR20170128743A (ko) 2017-11-23
KR102044248B1 true KR102044248B1 (ko) 2019-11-14

Family

ID=6080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088A KR102044248B1 (ko) 2016-05-13 2016-05-13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2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2058B2 (ja) * 2018-03-01 2022-11-16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積層粘着シート及び積層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305576B1 (ko) * 2018-10-16 2021-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필름
KR102208594B1 (ko) * 2018-10-30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반응성 우레탄계 수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CN109632260A (zh) * 2018-12-13 2019-04-16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红外谱段光学隔离窗口及其安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4322A (ja) 2012-04-10 2013-11-2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き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2014214198A (ja) * 2013-04-24 2014-11-1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964A2 (ko) * 2011-02-14 2012-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용제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71776B1 (ko) * 2013-06-11 2017-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용 점착 필름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광학용 점착 필름, 터치 스크린 패널용 적층체, 광학용 점착 필름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용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4322A (ja) 2012-04-10 2013-11-2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き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2014214198A (ja) * 2013-04-24 2014-11-1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743A (ko)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223B1 (ko) 점착 필름
JP5907505B2 (ja) 偏光板
KR101628435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566061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JP6075538B2 (ja) 偏光板
CN102099432B (zh) 压敏粘合剂组合物、偏振片和液晶显示器
KR101289170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20120056174A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20120056176A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102044248B1 (ko)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
CN102549098B (zh) 粘合剂组合物的制造方法、粘合薄膜的制造方法、粘合剂用原料组合物以及粘合薄膜
JP2016105172A (ja) 偏光板
CN103003379A (zh) 粘合剂组合物
KR101385038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JP2014529653A (ja) 粘着剤
CN106118554B (zh) 粘着剂层及粘着膜
KR100678795B1 (ko)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KR20120044013A (ko) 터치 패널
CN112384587B (zh) 光固化性粘合片、粘合片层叠体、图像显示装置用层叠体和图像显示装置
KR101745042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KR20120056175A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JP5930428B2 (ja) 粘着剤組成物
KR101240622B1 (ko) 이중 경화 방식을 이용한 무기재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1541579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KR102044249B1 (ko)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