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816A -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816A
KR20130116816A KR1020130040875A KR20130040875A KR20130116816A KR 20130116816 A KR20130116816 A KR 20130116816A KR 1020130040875 A KR1020130040875 A KR 1020130040875A KR 20130040875 A KR20130040875 A KR 20130040875A KR 20130116816 A KR20130116816 A KR 20130116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meth
adhesive sheet
adhesive layer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656B1 (ko
Inventor
다쿠마 오가와
에이지 야마나카
나오아키 히구치
신지 이노쿠치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6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성과 리워크성을 겸비한 점착 시트 및 당해 점착 시트를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느 형태의 점착 시트(10)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층(12)을 구비한다. 이 아크릴계 중합체는 극성기 비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A)와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이 점착제층(12)은 100% 모듈러스가 20 내지 200N/cm2이다.

Description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 시트는 점착력, 내반발성 및 보유 지지 특성(응집력) 등의 접착성이 우수하며, 또한 내열성, 내광성, 내후성, 내유성 등의 내노화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특성을 갖는 점착 시트는 기계 부품, 전기 제품, 건재, 자동차 내장ㆍ외장재 등의 각종 산업 분야에 있어서 부재간의 접합 재료로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고 소57-17030호 공보
상술한 부재간의 접합에서는 접합한 부재끼리의 위치 조정 등을 위하여, 일단 점착 시트를 피착체로부터 박리하여 다시 부착하는 작업(리워크)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점착 시트에는 높은 접착성이 요구되는 한편, 피착체에의 부착 후에 시트의 파손이나 변형을 수반하지 않고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것(이하, 이 특성을 「리워크성」이라고 칭함)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접착성과 리워크성을 겸비한 점착 시트 및 당해 점착 시트를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점착 시트이다. 당해 점착 시트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며,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극성기 비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A)와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점착제층의 100% 모듈러스가 20 내지 200N/cm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접착성과 리워크성을 겸비한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 (B)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은 미립자를 함유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에서의 기포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체적에 대하여 10체적% 이하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점착제 조성물이다. 당해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며,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극성기 비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A)와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점착제층을 형성하였을 때, 당해 점착제층의 100% 모듈러스가 20 내지 200N/cm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접착성과 리워크성을 겸비한 점착 시트를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한 것도 본건 특허 출원에 의해 특허에 의한 보호를 구하는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성과 리워크성을 겸비한 점착 시트 및 당해 점착 시트를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 형태를 바탕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이며, 실시 형태에 기술되는 모든 특징이나 그 조합은 반드시 발명의 본질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10)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되는 점착제층(12)을 갖는다. 이 점착제 조성물이 함유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극성기 비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A)와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이하, 아크릴계 중합체의 각 단량체 성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극성기 비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A)]
극성기 비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A)는 극성기를 갖지 않는 아크릴계 단량체이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예시된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란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말하며, 「(메트)…」은 모두 마찬가지의 의미이다.
이러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 부틸, (메트)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 s-부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메트)아크릴산 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 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 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 에이코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C1-20 알킬에스테르[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 C2-14 알킬에스테르,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 C2-10 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이외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나,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테르펜 화합물 유도체 알코올로부터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극성기 비함유 아크릴산 단량체 (A)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질량부(70질량부 이상 95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3질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질량부이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 (B)]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는 극성기를 가지며, 아크릴계 단량체 (A)와의 공중합성을 갖는 단량체이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를 사용함으로써, 점착 시트(10)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의 무수물(무수 말레산 등);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부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 등의 수산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 메틸글리시딜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이나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N-비닐-2-피롤리돈,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외에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등의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로서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가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 (B)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질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질량부이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 (B)의 함유량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점착제층(12)의 응집력을 높여 점착 시트(10)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극성기 함유 단량체 (B)의 함유량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제층(12)의 응집력이 과잉으로 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다른 단량체 성분]
아크릴계 중합체는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 다관능성 단량체 등의 각종 공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여도 된다.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다관능성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점착제층(12)의 응집력을 높일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는 가교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질량부이다.
또한, 다관능성 단량체 이외의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 또는 디엔류; 비닐알킬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염화비닐;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계 단량체; 비닐술폰산나트륨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단량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등의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불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규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중합체 이외의 다른 성분으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중합 개시제, 가교제, 미립자 등을 함유하여도 된다.
[중합 개시제]
상술한 아크릴계 중합체는 공지 혹은 관용의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괴상 중합법, 광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에는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이점 등으로부터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광중합 개시제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중합 개시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옥시드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바스프(BASF)사제), 아니소인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바스프사제),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2959」, 바스프사제),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상품명 「다로큐어 1173」, 바스프사제), 메톡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1-[4-(2-히드록시에틸)-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2-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등을 들 수 있다.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벤조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 등을 들 수 있다.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도데실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n-부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t-부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시클로헥실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옥틸포스핀옥시드, 비스(2-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에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에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부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4-디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펜톡시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벤질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벤질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벤질부틸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벤질옥틸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메틸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4-메틸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에틸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3,5,6-테트라메틸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n-부톡시페닐포스핀옥시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이소부틸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2,4,6-트리메틸벤조일-n-부틸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부톡시페닐포스핀옥시드, 1,10-비스[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시드]데칸, 트리(2-메틸벤조일)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3질량부이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단량체의 중합 반응을 보다 확실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광중합 개시제가 활성 에너지선을 흡수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이 점착제층(12)의 내부까지 오지 않게 되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광중합성 개시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활성화를 위하여 점착제 조성물에 조사되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자외선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나 그 조사 시간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광중합 개시제를 활성화시켜 단량체 성분의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된다. 활성 에너지선의 작용에 의해 단량체 성분을 중합시킴으로써, 신속하고 균일한 중합이 가능하게 되고, 점착 시트(10)의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리안산, 아조비스이소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 이황산염,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디히드로클로라이드 등의 아조계 중합 개시제, 디벤조일퍼옥시드, tert-부틸퍼말레에이트 등의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열중합 개시제로서 이용 가능한 범위이면 된다.
(가교제)
점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다관능성 단량체 이외의 가교제를 함유하여도 된다. 가교제로서는, 통상 사용하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폭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실리콘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실란계 가교제, 알킬에테르화 멜라민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예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과의 어덕트체를 들 수 있다. 혹은, 1분자 중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1개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비스페놀 A, 에피클로로히드린형 에폭시계 수지, 에틸렌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아민글리시딜아민,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디아민 및 1,3-비스(N,N-아민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착제층(12)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미립자(14)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14)를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점착제층(12)의 100% 모듈러스를 높여 리워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미립자(14)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질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6질량부이다. 미립자(14)의 함유량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점착제층(12)의 100% 모듈러스를 보다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미립자(14)의 함유량을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제층(12)과 피착체 사이에 발생하는 요철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어, 접착 면적의 감소에 의한 점착 시트(10)의 접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에 미립자(14)를 함유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의 형성 후에 점착제 조성물에 미립자(14)를 배합하여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혼합물, 또는 그들의 일부가 중합된 부분 중합물에 미립자(14)를 배합하여 혼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 중 작업성의 관점에서 단량체 성분의 혼합물 또는 그들의 일부가 중합된 부분 중합물에 미립자(14)를 배합하여 혼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미립자(14)로서는 구리, 니켈, 알루미늄, 크롬, 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입자, 금속 산화물 입자; 탄화규소, 탄화붕소, 탄화질소 등의 탄화물 입자;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붕소 등의 질화물 입자; 알루미나, 지르코늄 등의 산화물로 대표되는 세라믹 입자; 탄화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유리, 실리카 등의 무기 미립자; 화산 백사, 모래 등의 천연 원료 입자;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페놀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요소 수지, 실리콘 수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등의 중합체 입자; 염화비닐리덴, 아크릴 등의 유기 중공체, 나일론 비즈, 아크릴 비즈, 실리콘 비즈 등의 유기 구 형상체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14)로서는 중공 미립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중공 미립자 중에서도 자외선 반응을 이용하는 중합의 효율이나 중량 등의 관점에서 중공의 무기계 미립자를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중공 무기 미립자로서는 중공 유리 벌룬 등의 유리로 만든 중공 벌룬; 중공 알루미나 벌룬 등의 금속 화합물로 만든 중공 벌룬; 중공 세라믹 벌룬 등의 자기로 만든 중공 벌룬 등을 들 수 있다. 중공 유리 벌룬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 「후지 벌룬 H-35」, 「후지 벌룬 H-40」(후지 실리시아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이나 상품명 「셀스타 Z-20」, 「셀스타 Z-27」, 「셀스타 CZ-31T」, 「셀스타 Z-36」, 「셀스타 Z-39」, 「셀스타 T-36」, 「셀스타 PZ-6000」(모두 도까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사이락스ㆍ파인 벌룬」(파인 벌룬 유겐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14)의 입경(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이다. 미립자(14)의 평균 입경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즉, 우선 코울터 입도 측정기(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입도 분포의 측정이 행해진다. 그 후, 측정에 의해 구해진 체적 도수 분포로부터 평균 입경이 산출된다.
미립자(14)의 비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1 내지 1.0g/cm3,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g/cm3,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g/cm3이다. 미립자(14)의 비중을 0.1g/cm3 이상으로 함으로써 미립자(14)를 점착제 조성물 중에 배합하여 혼합할 때, 미립자(14)의 부상을 보다 억제할 수 있어 미립자(14)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강도를 유지하여 미립자(14)를 깨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14)의 비중을 1.0g/cm3 이하로 함으로써, 자외선의 투과율을 유지하여 자외선 반응의 효율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10)의 질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미립자(14)의 비중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즉, 우선 펜타 피크노미터를 사용하여 기상 치환법에 의해 진비중의 측정이 행해진다. 치환 매체로서 가스가 봉입되고, 기체의 상태 방정식으로부터 샘플 체적이 구해진다. 구해진 체적값 a와 전자 천칭으로 측정된 중량값 b로부터, 이하의 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중 δ가 계산된다.
비중 δ=b[g]/a[cm3] … 식 (1)
또한, 미립자(14)는 그 표면에 각종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 표면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화합물이나 불소계 화합물 등에 의한 저표면 장력화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기포)
점착제 조성물의 기포의 함유량은,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체적에 대하여 10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체적%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체적%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체적%인 것, 즉 기포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기포의 함유량을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체적에 대하여 10체적%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제층(12)의 100% 모듈러스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12)을 표리에 관통하는 기포의 존재가 저감되어, 점착 시트(10)의 접착성이나 외관의 미관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직경)은, 예를 들어 1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이다. 또한, 기포의 평균 기포 직경(직경)은 전자 현미경 등으로 얻어지는 테이프 샘플 단면의 화상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기포 중에 포함되는 기체 성분, 즉 기포를 형성하는 가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외에 공기 등의 각종 기체 성분이 사용된다. 이 기체 성분은 기체 성분을 아크릴계 점착재 조성물과 혼합한 후에 중합 반응 등의 반응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포를 형성하는 가스로서는,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나 비용적인 관점 등으로부터 질소가 적합하다.
(다른 첨가제)
점착제 조성물에는 아크릴계 중합체, 중합 개시제, 가교제, 미립자(14), 기포 등 외에, 점착 시트(10)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다양한 첨가제가 포함되어도 된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 점착 부여제(예를 들어, 로진 유도체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유용성 페놀 수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온에서 고체, 반고체 혹은 액상인 것), 가소제, 전술한 미립자(14) 이외의 충전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안료나 염료 등), 레벨링제, 안정제,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층(12)을 착색하기 위하여 점착제 조성물에 착색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점착제층(12)을 형성하는 경우, 광중합을 저해시키지 않을 정도의 착색제가 사용된다. 점착제층(12)의 착색으로서 흑색이 요망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카본 블랙의 사용량은, 착색 정도나 광중합 반응의 저해를 피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5질량부 이하(예를 들어, 0.001 내지 0.1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질량부이다.
[점착제층의 100% 모듈러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10)에서의 점착제층(12)은, 100% 모듈러스가 20 내지 200N/cm2이고,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180N/cm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70N/cm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40N/cm2이다. 점착제층(12)의 100% 모듈러스를 20N/cm2 이상으로 함으로써 점착 시트(10)에 적당한 경도를 갖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점착 시트(10)에 양호한 리워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12)의 100% 모듈러스를 200N/cm2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 시트(10)의 피착체에의 추종성의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점착 시트(10)의 접착성의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점착제층(12)의 100% 모듈러스는, 상술한 가교제, 미립자(14) 및 기포의 함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의 개략]
아크릴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과 중합 개시제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에 대하여, 중합 개시제의 종류에 따른 중합 반응(예를 들어 UV광의 조사)을 행하여, 단량체 성분을 일부 중합시킨 부분 중합물(이하에서는 적절하게 「부분 중합 단량체 시럽」이라고 칭함)로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부분 중합 단량체 시럽에 가교제와 미립자(14)와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 점착제 조성물을 소정의 피도포체에 도포하고, 중합 반응을 완결시킴으로써 점착제층(12)을 형성할 수 있다. 피도포체는 피착체 그 자체이어도 되고, 후술하는 세퍼레이터 등이어도 된다. 즉, 점착제층(12)은 피착체 상에 직접 도포되어도 되고, 또는 일단 세퍼레이터 상에 도포되어 경화되어도 된다.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제층(12)을 형성하는 경우, 이 점착제층(12)은 세퍼레이터로부터 피착체에 전사된다.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부착은,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의 관용의 코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예를 들어 30000 내지 5000000이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장치(상품명 「HPLC8020」, 도소 가부시끼가이샤제)에 칼럼으로서 TSKgelGMH-H(20)×2개를 사용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에서 유속 약 0.5ml/분의 조건으로 측정된다.
점착제층(12)은 단층, 복층의 어느 형태를 가져도 된다. 또한, 점착제층(12)의 층 두께(복층의 경우에는 합계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5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4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3000㎛이다. 점착제층(12)의 층 두께를 200㎛ 이상으로 함으로써, 점착 시트(10)의 쿠션성을 확보하여 곡면이나 요철면에 대한 접착성의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 자체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점착 시트(10)의 리워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점착제층(12)의 층 두께를 5000㎛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제층(12)의 층 두께를 보다 균일하게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착 시트(10)의 접착면(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세퍼레이터(20)(박리 라이너)가 사용된다. 점착 시트(10)는, 점착제층(12)의 한쪽면에 세퍼레이터(20)가 중첩되어 롤 형상으로 감긴 권취체의 형태를 갖는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10)는, 점착제층(12)을 세퍼레이터(20) 상에 형성한, 부착시에 점착제층(12)을 지지하는 기재가 제거되는 형태인, 소위 무(無)기재 점착 시트의 형태를 갖는다. 여기에서 말하는 점착 시트의 개념에는 점착 테이프, 점착 라벨, 점착 필름 등으로 칭해지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12)은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점 형상, 스트라이프 형상 등의 규칙적 혹은 임의적인 패턴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점착 시트(1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층체의 형태 등을 가져도 된다. 또한, 세퍼레이터(20)는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세퍼레이터(20)로서는 관용의 박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퍼레이터(20)로서는 예를 들어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층을 적어도 한쪽 표면에 갖는 기재 외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ㆍ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ㆍ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등의 불소계 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등의 무극성 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20)는 점착제층(12)을 지지하기 위한 기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한쪽면에 박리 처리층이 형성된 박리 라이너용 기재를 세퍼레이터(20)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박리 라이너용 기재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올레핀계 수지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나일론 필름), 레이온 필름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 필름(합성 수지 필름)이나 종이류(상질지, 일본 종이, 크라프트지, 글라신지, 합성지, 톱 코트지 등) 외에, 이것들을 라미네이트나 공압출 등에 의해 복층화한 것(2 내지 3층의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박리 처리층을 구성하는 박리 처리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 불소계 박리 처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 처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박리 처리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20)의 두께나 형성 방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10)는, 예를 들어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SBS(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PC(폴리카르보네이트), PVC(염화비닐), PMMA(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각종 수지나, SUS,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재를 자동차(그 보디 도막), 주택 건설재, 가전 제품 등의 표면에 접합(고정)하는 용도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10)는, 각종 광학 부재를 예를 들어 액정 셀이나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터치 패널 부재 등에 접합하는 용도로 적절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여기에 제시된 기술에는 점착제층(12)이 광학 부재에 형성된 적층체가 포함된다. 이 적층체는 전형적으로는 광학 부재 상의 점착제층(12)이 세퍼레이터(20)에 의해 보호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점착제층(12)이 형성된 광학 부재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 커버 렌즈 패널, 유리, 액정 셀의 표면 등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투명 도전성 필름(ITO 필름)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광학 부재는 동일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이어도 되고, 복수의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이어도 된다. 광학 부재 상에 점착제층(12)을 형성하는 방법은, 기재 상에 점착제층(12)을 형성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직접 부여하는 방법이나 전사하는 방법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광학 부재의 베이스면에 세퍼레이터(20) 상에 형성한 점착제층(12)을 전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10)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층(12)을 구비하며, 이 아크릴계 중합체는 극성기 비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A)와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점착 시트(10)에 양호한 접착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12)은 100% 모듈러스가 20 내지 200N/cm2이다. 이에 의해, 접착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점착 시트(10)에 양호한 리워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10)에 따르면, 접착성과 리워크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제 조성물은, 극성기 비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A)와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한다. 그리고, 점착제층을 형성하였을 때의 당해 점착제층의 100% 모듈러스가 20 내지 200N/cm2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제 조성물에 따르면, 접착성과 리워크성을 겸비한 점착 시트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점착 시트의 형성]
(실시예 1)
단량체 성분으로서 극성기 비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A)로서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85질량부 및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로서의 아크릴산(AA) 15질량부가 혼합된 단량체 혼합물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 「이르가큐어 651」(바스프사제) 0.05질량부, 상품명 「이르가큐어 184」(바스프사제) 0.05질량부를 배합한 후, 점도가 약 15Paㆍs가 될 때까지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일부가 중합된 부분 중합 단량체 시럽을 제작하였다. 점도는 BH 점도계를 사용하여 로터 No.5 로터, 회전수 10rpm, 측정 온도 30℃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이 부분 중합 단량체 시럽에 가교제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0.15질량부를 첨가하였다. 또한, 중공 유리 벌룬(평균 입경 40㎛, 상품명 「후지 벌룬 H-40」, 후지 실리시아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 15질량부를 첨가하여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세퍼레이터의 박리 처리면에 도포하였다. 세퍼레이터로서는 편면이 박리 처리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기재(상품명 「MRF」, 미쯔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끼가이샤제, 또는 상품명 「MRN」, 미쯔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끼가이샤제)를 사용하였다.
세퍼레이터에 도포된 점착제 조성물을 조도 5mW/cm2의 자외선(상품명 「블랙 라이트」, 도시바 가부시끼가이샤제)을 사용하여 양면으로부터 3분간 조사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켰다. 이에 의해, 층 두께 1200㎛의 점착제층을 갖는 실시예 1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 이때, 상품명 「이르가큐어 651」(바스프사제) 0.04질량부를 광중합 개시제로서 추가하였다. 자외선은 UV 체커(상품명 「UVR-T1」, 가부시끼가이샤 토프콘제, 최대 감도 350nm)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2)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부수를 각각 88질량부, 12질량부로 하고, 가교제 및 그 부수를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2질량부로 하고, 중공 유리 벌룬의 부수를 12질량부로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성분 및 제조 방법에 의해 실시예 2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3)
점착제 조성물에 기포를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성분 및 제조 방법에 의해 실시예 3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 기포의 혼합은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즉, 우선, 기포 혼합 장치로서 중앙부에 관통 구멍을 가진 원반 상에 미세한 톱니가 다수 붙은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와 대향되어 있고, 원반 상에 스테이터와 마찬가지의 미세한 톱니가 붙어 있는 로터를 구비한 장치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세퍼레이터에 도포하기 전의 점착제 조성물을 스테이터 상의 톱니와 로터 상의 톱니 사이에 도입하였다. 계속해서, 로터를 고속 회전시키면서, 기포 형성 가스로서의 질소 가스를 관통 구멍을 통하여 점착제 조성물 중에 도입하였다. 이에 의해, 기포가 분산 혼합된 실시예 3의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기포는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체적에 대하여 약 3체적%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실시예 4)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부수를 각각 90질량부, 10질량부로 하고, 가교제 및 그 부수를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07질량부로 하고, 중공 유리 벌룬의 부수를 9질량부로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성분 및 제조 방법에 의해 실시예 4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5)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부수를 각각 90질량부, 10질량부로 하고, 가교제의 부수를 0.1질량부로 하고, 중공 유리 벌룬의 부수를 9질량부로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성분 및 제조 방법에 의해 실시예 5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6)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부수를 각각 82질량부, 18질량부로 하고, 가교제 및 그 부수를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07질량부로 하고, 중공 유리 벌룬의 부수를 9질량부로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성분 및 제조 방법에 의해 실시예 6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부수를 각각 90질량부, 10질량부로 하고, 가교제 및 그 부수를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07질량부로 하고, 중공 유리 벌룬의 부수를 9질량부로 하고, 또한 중공 유리 벌룬 첨가 후의 부분 중합 단량체 시럽에 계면 활성제로서 불소계 계면 활성제(상품명 「서플론 S-393」, AGC 세이케미컬 가부시끼가이샤제) 0.3질량부를 첨가하고, 또한 기포를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체적에 대하여 약 20체적%가 되도록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성분 및 제조 방법에 의해 비교예 1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2)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부수를 각각 75질량부, 25질량부로 하고, 가교제 및 그 부수를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07질량부로 하고, 중공 유리 벌룬의 부수를 9질량부로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성분 및 제조 방법에 의해 비교예 2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2에 관한 점착제 조성물에서의 각 재료의 배합량은,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100% 모듈러스의 측정]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 시트에 대하여 JIS K 6251에 준거하여 점착제층의 100%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점착 시트를 덤벨 형상 시험편 3호의 형상으로 펀칭하여 평가 샘플로 하였다. 만능 인장 시험기(「TG-1kNB」 미네베아 가부시끼가이샤제)를 사용하여 원래 길이(측정 길이) 20mm, 시료 폭 5mm, 인장 속도 500mm/분으로 인장 시험을 행하여 인장 강도[N/cm2], 신장률[%]을 측정하였다. 시험 횟수는 각 시료에 대하여 3회씩 행하고, 각 측정값은 그 평균값으로 하였다. 그리고, 응력-왜곡 곡선으로부터 100% 모듈러스[N/cm2]를 판독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리워크성의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 시트를 폭 15mm, 길이 120mm로 절단하여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또한, 피착체로서 스테인리스판(SUS304BA판)을 준비하고, 이소프로필알코올(IPA)로 세정하였다. 이 스테인리스판에 1kg 롤러의 편도 압착에 의해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험편을 접합하였다. 이때, 시험편의 일단부측부터 100mm까지의 부분을 스테인리스판에 접합하였다. 시험편의 타단부측부터 20mm까지의 부분은, 후술하는 45°박리 시험시에 손잡이로서 이용하였다. 스테인리스판에의 시험편의 접합 후, 즉시 시험편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였다. 그리고, 23℃, 50% RH의 분위기하에 박리 속도 500mm/분, 박리 각도 45°(스테인리스판에 붙어 있는 부분과 손잡이 부분이 이루는 각도가 45°)의 조건에서, 상술한 시험편의 타단부측을 인장하여 시험편을 스테인리스판으로부터 박리하였다. 시험편의 박리를 개시한 시간은, 시험편의 스테인리스판에의 접합으로부터 약 1분 후이었다.
시험편의 박리 후, 시험편의 파손(찢어짐)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함과 함께, 시험편의 박리 전후에서의 변형률(박리 전의 길이 120mm에 대한 박리 후의 길이의 비율)을 측정하여 리워크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시험편이 파손되지 않으면서 시험편의 변형률이 3% 미만인 경우를 「AAA」로 하였다. 또한, 시험편이 파손되지 않으면서 시험편의 변형률이 5% 미만인 경우를 「AA」로 하였다. 또한, 시험편이 파손되지 않으면서 시험편의 변형률이 10% 미만인 경우를 「A」로 하였다. 또한, 시험편이 파손되었거나 시험편의 변형률이 10% 이상인 경우를 「B」로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90° 박리 점착력 시험]
상술한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점착 시트를 프라이머 처리가 실시된 1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부착하여 배접하였다. 이 배접된 점착 시트를 폭 15mm, 길이 70mm로 절단한 것을 시험편으로 하였다. 또한, 피착체로서 스테인리스판(SUS304BA판)을 준비하고 이소프로필알코올(IPA)로 세정하였다. 그리고, 시험편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이 스테인리스판에 1kg 롤러의 편도 압착에 의해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험편을 접합하였다. 스테인리스판에 시험편을 접합한 후, 23℃, 50% RH의 분위기하에서 72시간 에이징하였다. 에이징 후,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꾸쇼사제, 장치명 「텐실론」)를 사용하여 23℃, 50% RH의 분위기하에 박리 속도 300mm/분, 박리 각도 90°의 조건에서 시험편을 스테인리스판으로부터 박리하고, 그때의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단위: N/15mm]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접착성의 평가]
또한, 얻어진 점착력으로부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 시트의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점착력이 110N/15mm 이상인 경우를 「AA」로 하였다. 또한, 점착력이 60N/15mm 이상인 경우를 「A」로 하였다. 또한, 점착력이 40N/15mm 미만인 경우를 「B」로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1 중의 약어는 이하의 화합물을 나타낸다.
2EH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AA: 아크릴산
DPH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6관능)
HDDA: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2관능)
또한, 각 성분의 함유량(질량부)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한 함유량이다. 또한, 비교예 2의 90°박리 점착력란에서의 「-」는 점착력이 없음을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점착 시트는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었지만, 리워크성이 불량하였다. 비교예 1의 점착 시트는 리워크성 평가의 박리 시험에서 파손되어 버렸다. 또한, 비교예 2의 점착 시트는 양호한 리워크성을 나타내었지만, 접착성이 불량하였다. 비교예 2의 점착 시트는 응집력의 과잉이 원인으로 점착력을 갖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내지 6의 점착 시트는 리워크성 및 접착성이 모두 양호하였다. 즉, 실시예 1 내지 6의 점착 시트는 접착성과 리워크성을 겸비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100% 모듈러스가 23N/cm2 이상인 실시예 4의 점착 시트는, 23N/cm2 미만인 실시예 5의 점착 시트와 비교하여 보다 양호한 리워크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100% 모듈러스가 30N/cm2 이상인 실시예 1 내지 3의 점착 시트는, 30N/cm2 미만인 실시예 4의 점착 시트와 비교하여 더 양호한 리워크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로서의 아크릴산의 함유량이 12질량부 이상인 실시예 1 내지 3의 점착 시트는,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보다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3의 점착 시트는 접착성과 리워크성을 보다 높은 차원에서 양립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10: 점착 시트
12: 점착제층
14: 미립자
20: 세퍼레이터

Claims (7)

  1.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며,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극성기 비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A)와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100% 모듈러스가 20 내지 200N/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 (B)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이상인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인 점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미립자를 함유하는 점착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이상인 점착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에서의 기포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체적에 대하여 10체적% 이하인 점착 시트.
  7.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며,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극성기 비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A)와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점착제층을 형성하였을 때, 당해 점착제층의 100% 모듈러스가 20 내지 200N/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KR1020130040875A 2012-04-16 2013-04-15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 KR102046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3232 2012-04-16
JP2012093232A JP5950669B2 (ja) 2012-04-16 2012-04-16 粘着シート及び粘着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816A true KR20130116816A (ko) 2013-10-24
KR102046656B1 KR102046656B1 (ko) 2019-11-19

Family

ID=4814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875A KR102046656B1 (ko) 2012-04-16 2013-04-15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74361A1 (ko)
EP (1) EP2653516B1 (ko)
JP (1) JP5950669B2 (ko)
KR (1) KR102046656B1 (ko)
CN (1) CN1033743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589A (ko) 2015-09-04 2017-03-14 태영화학공업 주식회사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898B1 (ko) * 2012-06-19 2015-07-07 (주)엘지하우시스 기포 안정성이 향상된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6317591B2 (ja) * 2014-02-06 2018-04-25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047436A1 (ja) * 2014-09-24 2016-03-3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691748B2 (ja) * 2014-09-24 2020-05-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WO2016047435A1 (ja) * 2014-09-24 2016-03-3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EP3388457B1 (en) * 2017-04-13 2020-0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TWI790849B (zh) 2021-12-09 2023-01-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黏著組成物、液晶顯示器與其拆解方法
WO2023111992A1 (en) * 2021-12-16 2023-06-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film, adhesive system, and related process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030A (en) 1980-07-03 1982-01-28 Toshiba Corp Power supply circuit
JP2011111594A (ja) * 2009-11-30 2011-06-09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24B2 (ja) * 1984-03-12 1994-03-02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ウエハ固定用接着薄板
JPS60223139A (ja) * 1984-04-18 1985-11-07 Nitto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ウエハ固定用接着薄板
JPH0823001B2 (ja) * 1985-09-10 1996-03-06 日東電工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
ZA876122B (en) * 1986-08-21 1989-04-26 Minnesota Mining & Mfg Pressure-sensitive tape construction incorporating resilient polymeric microspheres
DE3886470T2 (de) * 1987-08-14 1994-07-14 Minnesota Mining & Mfg Druckempfindliches Klebmittel.
CA1335060C (en) * 1988-01-13 1995-04-04 Hans Georg Feichtmeier Glass microbubbles to which are adhered dyed silica
JP3370428B2 (ja) * 1994-05-24 2003-01-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両面粘着テープ
JP2000204328A (ja) * 1999-01-18 2000-07-25 Teraoka Seisakusho:Kk 反転印字装置用無支持体両面テ―プ
ATE424040T1 (de) * 2000-03-30 2009-03-15 Nitto Denko Corp Wasserdurchlässiges klebeband für die verarbeitung von halbleitern
DE60128894T2 (de) * 2000-12-21 2008-03-20 Lg Chem, Ltd. Acrylklebstoffzusammensetzungen für polarisierende filme sowie diese verwendender polarisierender film
JP3853247B2 (ja) * 2002-04-16 2006-12-06 日東電工株式会社 電子部品用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および電子部品の加工方法並びに電子部品
JP4756834B2 (ja) * 2004-07-07 2011-08-24 日東電工株式会社 気泡含有粘弾性組成物、及び感圧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089894B2 (ja) * 2006-03-10 2012-12-05 日東電工株式会社 微粒子含有粘弾性層、及び感圧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US20100021730A1 (en) * 2006-10-12 2010-01-28 Nitto Denko Corporatio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E102008023758A1 (de) * 2008-05-09 2009-11-12 Tesa Se Haftklebebänder zur Verklebung von Druckplatten
US8530046B2 (en) * 2008-05-14 2013-09-10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sheet for protecting coating film
EP2287264A4 (en) * 2008-05-14 2013-09-04 Nitto Denko Corp ADHESIVE SHEET FOR THE PROTECTION OF A COATING FILM
JP5557438B2 (ja) * 2008-10-16 2014-07-23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
JP2010132745A (ja) * 2008-12-03 2010-06-17 Nitto Denko Corp 化粧パネル固定用両面粘着テープ
JP5324199B2 (ja) * 2008-12-04 2013-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US9243168B2 (en) * 2009-12-14 2016-01-26 Cheil Industries, Inc. Adhesive composition and optical member using the same
JP2011190289A (ja) * 2010-03-11 2011-09-29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
JP2011236414A (ja) * 2010-04-13 2011-11-24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030A (en) 1980-07-03 1982-01-28 Toshiba Corp Power supply circuit
JP2011111594A (ja) * 2009-11-30 2011-06-09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589A (ko) 2015-09-04 2017-03-14 태영화학공업 주식회사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3516B1 (en) 2016-06-29
US20130274361A1 (en) 2013-10-17
EP2653516A1 (en) 2013-10-23
JP5950669B2 (ja) 2016-07-13
CN103374305A (zh) 2013-10-30
KR102046656B1 (ko) 2019-11-19
JP2013221073A (ja)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656B1 (ko)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
JP5577074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2053001B1 (ko) 판의 박리 방법
JP6140491B2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KR101305561B1 (ko) 양면 점착 시트 및 점착형 광학 부재
JP5518436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JP6033543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JP6001316B2 (ja) 粘着シート
JP6062759B2 (ja) 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シート、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JP2013006892A (ja) 光学用両面粘着シート
JP2014047254A (ja) 両面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板の剥離方法
KR20110097793A (ko)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구성
WO2008047636A1 (en) Acrylic adhesive tape or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3122035A (ja) 粘着シート
CN107033793B (zh) 粘合片和带剥离薄膜的粘合片
JP2010285548A (ja) 光学部材用粘着テープ
JP2017149980A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TW201443191A (zh) 壓感貼片
KR102589157B1 (ko) 점착 시트
EP3492543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6125157B2 (ja) 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