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589A -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589A
KR20170028589A KR1020150125389A KR20150125389A KR20170028589A KR 20170028589 A KR20170028589 A KR 20170028589A KR 1020150125389 A KR1020150125389 A KR 1020150125389A KR 20150125389 A KR20150125389 A KR 20150125389A KR 20170028589 A KR20170028589 A KR 20170028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vc
sheet
kg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6761B1 (ko
Inventor
백승진
Original Assignee
태영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영화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영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7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78
    • C09J2205/10

Landscapes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물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경량화를 도모하는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30~70 중량부, 경탄 5~50 중량부, 안정제 0.5~5 중량부, 난연제 2~10 중량부, 안료 2~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두께 0.07mm의 경량화를 달성하여도, 현재 사용되는 두께 0.1mm PVC 테이프와 동등한 수준의 인장강도, 신장률, 인열 강도, 내열성 등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PVC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경량화를 도모하는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착테이프로서는 염화비닐 수지에 가소제를 첨가한 연질 염화비닐계 시트를 기재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시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VC(Polyvinyl Chloride)계 점착시트의 용도로서는 표면보호용 점착시트, 도장 마스킹용 점착시트, 마킹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VC로부터 제조된 점착테이프용 기재를 포함하는 점착테이프는 기계적 특성, 특히 가요성 및 연신성, 난연성, 열 변형에 대한 내성 및 전기적 절연 특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경제적인 측면에 따라 상기 점착테이프는 자동차, 기차, 버스 등과 같은 운송 수단, 항공기, 선박, 집, 공장 등과 같은 분야에 사용되는 전기적 장비 특히, 자동차용 전기배선장치(Wiring Harness, 와이어링 하네스)를 위한 절연 테이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즉, 자동차 등을 위한 전기 와이어, 가전제품을 위한 코일, 전기 와이어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 장치 주위를 감싸는 점착테이프는 높은 난연성(25% 이상의 산소 지수) 및 열 변형에 대해 높은 내성이 있어야 한다. 이들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PVC를 기재로 사용하는 점착테이프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점착 시트가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며,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극성기 비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A)와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 (B)의 함유량이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이상이고,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 (B)는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이거나. 미립자를 함유하며,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이상인 점착 시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기재층의 적어도 한 면에 점착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착시트에서, 23℃에서의 세로방향의 인장 탄성률(MD-M)과 가로방향의 인장탄성률(TD-M)이 50~2000MPa의 범위에 있고, 세로방향의 인장 탄성률(MD-M)과 가로방향의 인장 탄성률(TD-M)과의 비{(MD-M)/(TD-M)}가 0.5~2의 범위에 있고, 23℃에서의 세로방향의 인열 강도(MD-T)와 가로방향의 인열 강도(TD-T)가 1~100N/mm의 범위에 있고, 세로방향의 인열 강도(MD-T)와 가로방향의 인열강도(TD-T)와의 비{(MD-T)/(TD-T)}가 0.5~2의 범위에 있고, 기재층이 신디오택틱 프로필렌 중합체를 기재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전체 성분에 대하여 10~100 중량%를 함유하는 점착시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16816호(2013.10.24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0211호(2006.08.01 등록)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난연성의 향상, 연소시 유독 가스의 발생 방지 등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자동차, 항공기 등의 경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착테이프의 경량화에 대해서는 시도되지 않고 있었다.
또 이와 같은 경량화를 위해 점착테이프를 두께를 감소시키면 물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두께 0.07mm의 경량화를 달성하면서 물성의 저하를 보완할 수 있는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재료의 조성을 최적화하여 물성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는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30~70 중량부, 경탄 5~50 중량부, 안정제 0.5~5 중량부, 난연제 2~10 중량부, 안료 2~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에서, 상기 PVC는 중합도가 1,000이고 인장강도가 1.8 kgf/㎟인 제1 PVC, 중합도가 1,300이고 인장강도가 2.1 kgf/㎟인 제2 PVC, 중합도가 1,700이고 인장강도가 2.1 kgf/㎟인 제3 PVC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 PV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에서, 상기 가소제는 DINP(Diisononyl Phthalate), DIDP(Diisodecyl Phthalate), TOTM(Trioctyl Trimellitate), TINTM(Triisononyl Trimellitate)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경탄은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이고, 상기 안정제는 Ca-Zn계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이고, 상기 난연제는 안티모니(Antimony)이고, 상기 안료는 카본블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에서, 열가소성 탄성체 10~20 중량부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10~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에서, 상기 PVC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60 중량부, 경탄 10 중량부, Ca-Zn계 3 중량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안티모니 5 중량부, 안료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에서, 상기 PVC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60 중량부, 경탄 40 중량부, Ca-Zn계 3 중량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안티모니 5 중량부, 안료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의 제조방법은 (a)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상기 시트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는 (a1)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30~70 중량부, 경탄 5~50 중량부, 안정제 0.5~5 중량부, 난연제 2~10 중량부, 안료 2~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a2) 상기 원재료를 혼합하여 압출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컴파운드(Compound)를 형성하는 단계, (a3) 상기 컴파운드를 카렌다 롤을 통해 압연하여 시트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 (a4) 엠보스 롤을 통해 상기 시트 형태에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 (a5) 상기 단계 (a4)를 통과한 시트를 냉각, 권취,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원재료는 열가소성 탄성체 10~20 중량부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10~20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PVC는 중합도가 1,000이고 인장강도가 1.8 kgf/㎟인 제1 PVC, 중합도가 1,300이고 인장강도가 2.1 kgf/㎟인 제2 PVC, 중합도가 1,700이고 인장강도가 2.1 kgf/㎟인 제3 PVC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 PV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열가소성 탄성체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함유하여 두께 0.07mm의 경량화를 달성하여도, 현재 사용되는 두께 0.1mm PVC 테이프와 동등한 수준의 인장강도, 신장률, 인열 강도, 내열성 등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PVC 테이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의 시트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도 1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PVC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와 상기 시트에 도포된 점착층(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10)는 두께 0.07mm의 경량화를 달성하면서 종래의 0.1mm PVC 테이프와 동등한 수준의 인장강도, 신장률, 인열 강도, 내열성 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30~70 중량부, 경탄 5~50 중량부, 안정제 0.5~5 중량부, 난연제 2~10 중량부, 안료 2~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열가소성 탄성체 10~20 중량부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10~20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소제는 DINP(Diisononyl Phthalate), DIDP(Diisodecyl Phthalate), TOTM(Trioctyl Trimellitate), TINTM(Triisononyl Trimellitate)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경탄은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이고, 상기 안정제는 Ca-Zn계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이고, 상기 난연제는 안티모니(Antimony)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는 도 1에서 시트(10)의 한 면에만 점착층(20)이 형성된 형태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트(10)의 양면에 점착층(20)을 형성한 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 즉, PVC 테이프가 양면테이프인 경우 및 시트 배면이 박리 처리 면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에는 점착층을 박리 라이너(세퍼레이터)에 의해 보호된 상태로 롤 형상으로 감아 PVC 테이프를 제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PVC 테이프는 테이핑 시 점착제가 전선에 묻지 않도록 설계, 즉 PVC 테이프가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PVC 테이프의 점착층의 일부를 서로 겹쳐 상단 일측과 하단 타측에서 각각 점착층이 노출되도록 하여 와이어링 하네스의 유연성을 향상시킨 이중 겹침(DR : Double Reverse) PVC 테이프로 마련할 수 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의 시트(10)의 구체적인 조성에 따른 실시 예를 기술한다.
[ 실시 예 1 ]
실시 예 1에 따른 시트(10)의 원재료는 중합도 1,0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1.8 kgf/㎟, 비중 1.4g/㎤인 제1 PVC의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60 중량부, 경탄으로서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10 중량부, 안정제로서 Ca-Zn계 3 중량부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안티모니(Antimony) 5 중량부, 안료로서 카본블랙 5 중량부를 포함한다.
[ 실시 예 2 ]
실시 예 2에 따른 시트(10)의 원재료는 중합도 1,3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2.2 kgf/㎟, 비중 1.4g/㎤인 제2 PVC의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60 중량부, 경탄으로서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10 중량부, 안정제로서 Ca-Zn계 3 중량부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안티모니(Antimony) 5 중량부, 안료로서 카본블랙 5 중량부를 포함한다.
[ 실시 예 3 ]
실시 예 3에 따른 시트(10)의 원재료는 중합도 1,7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2.1 kgf/㎟, 비중 1.4g/㎤인 제3 PVC의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60 중량부, 경탄으로서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10 중량부, 안정제로서 Ca-Zn계 3 중량부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안티모니(Antimony) 5 중량부, 안료로서 카본블랙 5 중량부를 포함한다.
[ 실시 예 4 ]
실시 예 4에 따른 시트(10)의 원재료는 중합도 1,0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1.8 kgf/㎟, 비중 1.4g/㎤인 제1 PVC의 50 중량부와 중합도 1,3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2.2 kgf/㎟, 비중 1.4g/㎤인 제2 PVC의 5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60 중량부, 경탄으로서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50 중량부, 안정제로서 Ca-Zn계 3 중량부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안티모니(Antimony) 5 중량부, 안료로서 카본블랙 5 중량부를 포함한다.
[ 실시 예 5 ]
실시 예 5에 따른 시트(10)의 원재료는 중합도 1,0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1.8 kgf/㎟, 비중 1.4g/㎤인 제1 PVC의 50 중량부와 중합도 1,7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2.1 kgf/㎟, 비중 1.4g/㎤인 제3 PVC의 5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60 중량부, 경탄으로서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50 중량부, 안정제로서 Ca-Zn계 3 중량부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안티모니(Antimony) 5 중량부, 안료로서 카본블랙 5 중량부를 포함한다.
[ 실시 예 6 ]
실시 예 6에 따른 시트(10)의 원재료는 중합도 1,0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1.8 kgf/㎟, 비중 1.4g/㎤인 제1 PVC의 90 중량부와 중합도 1,3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2.2 kgf/㎟, 비중 1.4g/㎤인 제2 PVC의 1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60 중량부, 경탄으로서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20 중량부, 안정제로서 Ca-Zn계 3 중량부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안티모니(Antimony) 5 중량부, 안료로서 카본블랙 5 중량부를 포함한다.
[ 실시 예 7 ]
실시 예 7에 따른 시트(10)의 원재료는 중합도 1,0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1.8 kgf/㎟, 비중 1.4g/㎤인 제1 PVC의 90 중량부와 중합도 1,7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2.1 kgf/㎟, 비중 1.4g/㎤인 제3 PVC의 1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60 중량부, 경탄으로서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20 중량부, 안정제로서 Ca-Zn계 3 중량부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안티모니(Antimony) 5 중량부, 안료로서 카본블랙 5 중량부를 포함한다.
[ 실시 예 8 ]
실시 예 8에 따른 시트(10)의 원재료는 중합도 1,0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1.8 kgf/㎟, 비중 1.4g/㎤인 제1 PVC의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60 중량부, 경탄으로서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40 중량부, 안정제로서 Ca-Zn계 3 중량부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안티모니(Antimony) 5 중량부, 안료로서 카본블랙 5 중량부, TPV(Thermoplastic vulcanizate)로서 열가소성 탄성체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 실시 예 9 ]
실시 예 9에 따른 시트(10)의 원재료는 중합도 1,3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2.2 kgf/㎟, 비중 1.4g/㎤인 제2 PVC의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60 중량부, 경탄으로서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40 중량부, 안정제로서 Ca-Zn계 3 중량부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안티모니(Antimony) 5 중량부, 안료로서 카본블랙 5 중량부, TPV(Thermoplastic vulcanizate)로서 열가소성 탄성체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 실시 예 10 ]
실시 예 10에 따른 시트(10)의 원재료는 중합도 1,7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2.1 kgf/㎟, 비중 1.4g/㎤인 제3 PVC의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60 중량부, 경탄으로서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40 중량부, 안정제로서 Ca-Zn계 3 중량부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안티모니(Antimony) 5 중량부, 안료로서 카본블랙 5 중량부, TPV(Thermoplastic vulcanizate)로서 열가소성 탄성체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 실시 예 11 ]
실시 예 11에 따른 시트(10)의 원재료는 중합도 1,0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1.8 kgf/㎟, 비중 1.4g/㎤인 제1 PVC의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60 중량부, 경탄으로서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40 중량부, 안정제로서 Ca-Zn계 3 중량부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안티모니(Antimony) 5 중량부, 안료로서 카본블랙 5 중량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 실시 예 12 ]
실시 예 12에 따른 시트(10)의 원재료는 중합도 1,3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2.2 kgf/㎟, 비중 1.4g/㎤인 제2 PVC의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60 중량부, 경탄으로서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40 중량부, 안정제로서 Ca-Zn계 3 중량부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안티모니(Antimony) 5 중량부, 안료로서 카본블랙 5 중량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 실시 예 13 ]
실시 예 13에 따른 시트(10)의 원재료는 중합도 1,700, 분자량 60,000g/mol 이상, 인장강도 2.1 kgf/㎟, 비중 1.4g/㎤인 제3 PVC의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60 중량부, 경탄으로서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40 중량부, 안정제로서 Ca-Zn계 3 중량부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안티모니(Antimony) 5 중량부, 안료로서 카본블랙 5 중량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 예 1 내지 13을 적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10)의 제조에 대해 도 2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의 시트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 1 내지 13에 따른 각각의 원재료를 준비한다(S11).
상기 단계 S11에서 준비된 원재료를 배합기에 넣고 미리 설정된 관리기준(예를 들어 온도, 시간 등)에 따라 가동시킨다. 배합기에서 혼합이 끝나면 냉각기로 이송 후 압출기로 이송한다. 즉, 상기 원재료를 혼합하여 압출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컴파운드(Compound)를 형성한다(S12). 이어서, 배합된 컴파운드를 압출기 스크류의 회전과 열을 이용하여 겔링시키고 이송벨트를 이용하여 스트레나(Strainer)로 이송한다. 또한, 권취 시 절단한 미미(Edge Trim)를 믹싱 롤로 이송하여 겔링한 후 스트레나로 이송한다.
압출기에서 이송된 컴파운드를 미세한 철망을 이용하여 내부 이물질을 걸러낸 후 카렌다 롤로 이송한다. 컴파운드를 카렌다 롤에 통과 및 압연하여 시트 형태로 형성한다(S13).
카렌다 롤에서 형성된 시트를 테이크오프(Take off) 롤을 이용하여 연신하고, 연신된 시트는 엠보스(Emboss) 롤을 통과시켜 시트 무늬를 형성시킨다(S14). 계속해서 엠보스 롤을 통과한 시트를 여러 개의 냉각 롤 사이를 통과시켜 단계적으로 냉각시킨다.
냉각된 PVC 시트(10) 양끝의 미미를 절단하고 준비된 지관에 규정된 길이로 감고, 권취된 PVC 시트를 포장지로 포장(S15) 후 규격 및 Lot, 중량을 기입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용 시트가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완성된 실시 예 1 내지 13에 따른 각각의 시트(10)에 대해 시험하였다.
먼저, 시트의 상태인 외관은 육안으로 흠, 핀홀, 표면 거침이 없을 것 등을 검사한다.
인장강도(kfg/19mm)는 기준 2.5 이상으로서, 원폭 25mm 이상인 경우는 25mm, 25mm 미만인 경우는 원폭에서 길이 150mm의 시험편 3개를 취하여 각각 중앙부에 50mm의 간격으로 한 표점을 붙이고, 그것을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 또는 그에 준하는 것을 사용하여 장착 간격을 100mm로 하여 300±30mm/분의 속도로 인장하여 시험편이 절단할 때의 힘을 측정하고 3회의 평균을 구하였다.
신장률(%)은 100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원폭 25mm 이상인 경우는 25mm, 25mm 미만인 경우는 원폭에서 길이 150mm의 시험편 3개를 취하여 각각 중앙부에 50mm의 간격으로 한 표점을 붙이고 그것을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 또는 그에 준하는 것을 사용하여 장착 간격을 100mm로 하여 300±30mm/분의 속도로 인장하여 시험편이 절단할 때의 신장률을 측정하고 3회의 평균을 구하였다.
인열강도(gf)는 길이 200mm 시편의 절반을 길이 방향으로 100mm 자른 후 인장시험기에 장착한다. 300mm/분의 속도로 매 20mm 마다 힘을 측정하고 평균을 구하였다.
내열성은 AVSS전선 길이 약 800mm의 전선 0.5 SQ 10개와 0.85 SQ 4개를 묶고 이것을 폭 19mm의 테이프를 HALF LAP권 한 것을 시험편으로 한다. 시험편을 지름 80mm의 맨틀에 1회 감은 상태에서 105±2℃에서 240hr 혹은 80±2℃에서 3000hr 방치 후, 즉시 상온으로 냉각 후 테이프에 사용상 지장이 있는 흠, 균열, 용융, 끝단부 풀림, 심한 변색 등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내전압은 적당한 크기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시험편의 중심선상 약 200mm의 간격으로 3개소에 대하여 KS CIEC 60243-1에서 규정한 전극으로 전극 간 압착력을 약 500g, 상습에서 상용주파수의 정현파에 가까운 파형으로 전압을 1,000V까지 가한 후 1분간 견디는가를 조사하였다.
연소성(mm/분)은 80 이하를 기준으로 하여 원폭에서 길이 350mm를 취하여 1/2씩 겹쳐서 폭 100mm 길이 350mm로 시편 제작 후, MS300-08에 따라 시험하였다 (단, 고온조건에서 난연성 시험은 실시하지 않아도 무방하였다). 시험은 테이프 점착면과 뒷면 양쪽 모두 실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준에 따라 실시 예 1 내지 13의 시험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Figure pat00001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가소성 탄성체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함유하여 두께 0.07mm의 경량화를 달성하여도, 현재 사용되는 두께 0.1mm PVC 테이프와 동등한 수준의 인장강도, 신장률, 인열 강도, 내열성 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시트(10)를 적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를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의 제조 공정은 먼저 점착제로 사용될 점착제의 원부재료를 수입검사한다. 이어서, 점착제의 원부재료를 용해, 혼합하여 시트에 도포될 점착제를 준비한다(S21).
다음에, 상기 단계 S15에서 마련된 시트(10)의 원단을 풀어주는 언와인딩 공정을 실행한다(S22).
그 후, 상기 시트(10)에 대해 전처리 공정으로서, 프라이머 도포공정을 실행하고, 시트(10) 위에 상기 단계 S21에서 준비된 점착제를 도포한다(S23).
상기 단계 S23에서 시트(10)에 도포된 점착제를 건조하여 점착층(20)을 형성한다(S24).
이어서, 테이프를 일정길이만큼 권취하고, 규정된 폭으로 절단한 후, 테이프를 포장(S25)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가 완성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PVC 테이프의 물성 저하없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8)

  1.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30~70 중량부, 경탄 5~50 중량부, 안정제 0.5~5 중량부, 난연제 2~10 중량부, 안료 2~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테이프.
  2. 제1항에서,
    상기 PVC는 중합도가 1,000이고 인장강도가 1.8 kgf/㎟인 제1 PVC, 중합도가 1,300이고 인장강도가 2.1 kgf/㎟인 제2 PVC, 중합도가 1,700이고 인장강도가 2.1 kgf/㎟인 제3 PVC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 PV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테이프.
  3. 제2항에서,
    상기 가소제는 DINP(Diisononyl Phthalate), DIDP(Diisodecyl Phthalate), TOTM(Trioctyl Trimellitate), TINTM(Triisononyl Trimellitate)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경탄은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이고, 상기 안정제는 Ca-Zn계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이고, 상기 난연제는 안티모니(Antimony)이고, 상기 안료는 카본블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테이프.
  4. 제3항에서,
    열가소성 탄성체 10~20 중량부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10~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테이프.
  5. 제3항에서,
    상기 PVC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60 중량부, 경탄 10 중량부, Ca-Zn계 3 중량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안티모니 5 중량부, 안료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테이프.
  6. 제4항에서,
    상기 PVC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60 중량부, 경탄 40 중량부, Ca-Zn계 3 중량부, 지방산 에스테르복합체 0.5 중량부, 안티모니 5 중량부, 안료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테이프.
  7. (a)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상기 시트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는
    (a1)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30~70 중량부, 경탄 5~50 중량부, 안정제 0.5~5 중량부, 난연제 2~10 중량부, 안료 2~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a2) 상기 원재료를 혼합하여 압출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컴파운드(Compound)를 형성하는 단계,
    (a3) 상기 컴파운드를 카렌다 롤을 통해 압연하여 시트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
    (a4) 엠보스 롤을 통해 상기 시트 형태에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
    (a5) 상기 단계 (a4)를 통과한 시트를 냉각, 권취,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테이프의 제조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원재료는 열가소성 탄성체 10~20 중량부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10~20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PVC는 중합도가 1,000이고 인장강도가 1.8 kgf/㎟인 제1 PVC, 중합도가 1,300이고 인장강도가 2.1 kgf/㎟인 제2 PVC, 중합도가 1,700이고 인장강도가 2.1 kgf/㎟인 제3 PVC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 PV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20150125389A 2015-09-04 2015-09-04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1796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389A KR101796761B1 (ko) 2015-09-04 2015-09-04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389A KR101796761B1 (ko) 2015-09-04 2015-09-04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589A true KR20170028589A (ko) 2017-03-14
KR101796761B1 KR101796761B1 (ko) 2017-11-13

Family

ID=5846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389A KR101796761B1 (ko) 2015-09-04 2015-09-04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7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417B1 (ko) * 2018-05-30 2018-09-11 (주)범민케미칼 친환경 pvc 필름 제조방법
WO2019049565A1 (ja) * 2017-09-08 2019-03-14 デンカ株式会社 粘着テープ用基材、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02250A (ko) * 2019-06-28 2021-01-07 대명테크 주식회사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211439B1 (ko) * 2019-07-29 2021-02-03 (주)디피아이 폐 pvc를 재활용한 테이프 제조 방법
WO2023090384A1 (ja) * 2021-11-19 2023-05-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利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056B1 (ko) * 2021-10-01 2023-05-26 (주)우경이에스디 전도성 타일용 전도성 pvc 용접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211B1 (ko) 2003-08-07 2006-08-10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시트
KR20130116816A (ko) 2012-04-16 2013-10-2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8472A1 (de) * 2008-08-20 2010-02-25 Tesa Se Klebeband zum Isolieren und Wickeln von Drähten oder Kabeln mit einem Trägermaterial, das ein- oder beidseitig mit einer Klebmasse beschichtet ist, sowie die Verwendung desselb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211B1 (ko) 2003-08-07 2006-08-10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시트
KR20130116816A (ko) 2012-04-16 2013-10-2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9565A1 (ja) * 2017-09-08 2019-03-14 デンカ株式会社 粘着テープ用基材、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065701A (zh) * 2017-09-08 2020-04-24 电化株式会社 胶带用基材、胶带及其制造方法
JPWO2019049565A1 (ja) * 2017-09-08 2020-08-20 デンカ株式会社 粘着テープ用基材、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TWI773801B (zh) * 2017-09-08 2022-08-11 日商電化股份有限公司 黏著帶用基材、黏著帶及其製造方法
KR101886417B1 (ko) * 2018-05-30 2018-09-11 (주)범민케미칼 친환경 pvc 필름 제조방법
KR20210002250A (ko) * 2019-06-28 2021-01-07 대명테크 주식회사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211439B1 (ko) * 2019-07-29 2021-02-03 (주)디피아이 폐 pvc를 재활용한 테이프 제조 방법
WO2023090384A1 (ja) * 2021-11-19 2023-05-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利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761B1 (ko) 201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761B1 (ko) Pvc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JP2024050755A (ja) 共押出しされた、多層電池セパレーター
JP5972406B2 (ja) 耐加水分解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8307638B (zh) 粘合带卷
EP3636722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5302725B2 (ja) 粘着テープ
US20160053139A1 (en) High temperature resistant insulating adhesive tape substrate material
CN1201921C (zh) 拉伸膜的方法及其膜
KR20130117798A (ko) 폴리락트산계 필름 또는 시트
EP326363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porous film and microporous film
WO2004056934A1 (de) Leicht reissbares wickelband
EP3597715A1 (en) Adhesive sheet, protective material and wiring harness
JP5022585B2 (ja) 粘着テープ
TWI289593B (en) Nonhalogenic flame-retardant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034424B2 (en) Hand-tearable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129543B2 (ja) 自己粘着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電線結束方法
JPWO2020013140A1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用改質剤、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用組成物、改質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積層フィルム
JP4029444B2 (ja) 積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20170028588A (ko) 폴리올레핀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JP2016163948A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12018004961B4 (de) MEHRSCHICHTFOLIE MIT HOHER REIßKRAFT
JP5598178B2 (ja) 耐候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917162B1 (ko) 방수 시트용 고성능 방수 필름과 이를 이용한 방수 시트 및 그 제조방법
EP4365121A1 (en) Adhesive tape ro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05023541A1 (de) Leicht reissbares wickelband aus coextrudierter fol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