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234A -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형용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형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234A
KR20170032234A KR1020167036126A KR20167036126A KR20170032234A KR 20170032234 A KR20170032234 A KR 20170032234A KR 1020167036126 A KR1020167036126 A KR 1020167036126A KR 20167036126 A KR20167036126 A KR 20167036126A KR 20170032234 A KR20170032234 A KR 20170032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propylene
layer
surface laye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685B1 (ko
Inventor
다쿠야 구마
가즈마 오카다
야스유키 이마니시
마사토시 오쿠라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8Releas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8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 material
    • B29K28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8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2Roughness, e.g.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7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8Vinyl resin particles, e.g.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mers o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 B32B2264/0235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Acrylic resin particles, e.g. polymethyl methacrylate or ethylene-acrylat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78Polyeste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92Polyurethan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이형성, 표면 조도 균일성, 생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형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층 (I)을 갖는 필름이며, 표층 (I)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15mN/m 이상 28mN/m 미만인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형용 필름{POLYPROPYLENE FILM AND RELEASE FILM}
본 발명은 이형성, 표면 조도 균일성, 생산성이 우수한 이형용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투명성, 기계 특성, 전기 특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포장 용도, 이형 용도, 테이프 용도, 케이블 랩핑이나 콘덴서를 비롯한 전기 용도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표면의 이형성이나 기계 특성이 우수한 점에서, 플라스틱 제품이나 건축재나 광학 부재 등, 다양한 부재의 이형용 필름이나 공정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형용 필름에 대한 요구 특성은 그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지만, 근년,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감광성 수지 등의 점착성을 갖는 수지층의 커버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점착성을 갖는 수지층을 커버하는 경우, 커버 필름의 이형성이 나쁘면, 박리할 때에 깨끗하게 박리할 수 없어, 보호면인 수지층의 형상이 변화하거나, 보호면에 박리 자국이 남는 경우가 있었다. 커버 필름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낮을수록 이형성이 좋은데, 커버 필름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필름을 구성하는 중합체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고, 종래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29 내지 32mN/m 정도였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4 참조).
이형성 향상의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5에, 폴리프로필렌 등의 베이스 수지에 폴리메틸펜텐 등을 배합한 필름의 예가 기재되어 있다. 폴리메틸펜텐이나 불소계 수지나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면, 이형성을 향상할 수 있지만(즉, 임계 표면 장력으로 표현되는 표면 자유 에너지를 낮출 수 있지만), 이들 수지는 고가여서, 1회용으로 사용하는 커버 필름으로의 사용은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이들 수지를 폴리프로필렌에 혼련하여 사용하면, 표면 자유 에너지는 약간 저하되지만,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피시 아이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6에는, 표면 요철에 의해 표면 자유 에너지를 저하시키는 예가 기재되어 있지만, 이형성이 불충분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6에서는, 후속 가공에서의 코팅 등에 의해 요철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264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5273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266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2-28492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4059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17900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다. 즉, 이형성, 표면 조도 균일성, 생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형용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층 (I)을 갖고, 당해 표층 (I)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15mN/m 이상 28mN/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이형성, 표면 조도 균일성,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이형용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층 (I)을 갖고, 당해 표층 (I)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15mN/m 이상 28mN/m 미만이다. 여기서, 본원에 있어서 「주성분」이란, 특정한 성분이 전체 성분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50질량% 이상인 것을 의미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9질량% 이상이다. 표층 (I)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N/m 이상 27mN/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5mN/m 이상 26mN/m 미만이다. 표면 자유 에너지가 28mN/m 이상이면, 표면 보호용의 이형용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 보호면의 접착성이 높은 경우에, 깨끗하게 박리할 수 없어, 보호면의 형상이 변화하거나, 보호면에 박리 자국이 남는 경우가 있다. 표층 (I)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낮을수록 이형성이 좋은데, 폴리프로필렌 필름에서는 15mN/m 정도가 하한이다. 종래, 필름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필름을 구성하는 중합체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고,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라면 표면 자유 에너지는 29 내지 31mN/m 정도였다. 코로나 처리 등에 의해, 표면 자유 에너지를 높여 습윤성을 개선하는 것은 가능했지만, 표면 자유 에너지를 낮춰 이형성을 개선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표면의 상태를 미세하게 제어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우수한 이형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표층 (I)의 표면 자유 에너지를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에 기초하여, 표면의 상태를 미세하게 제어함으로써 달성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표층 (I)의 폴리메틸펜텐,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의 함유량이 각각 10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질량% 미만이고,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메틸펜텐, 불소계 수지 및 실리콘계 수지는 표면 자유 에너지가 낮아, 이형성이 우수한 부재로서 알려져 있고, 상기 소재를 표층 (I)에 사용함으로써, 이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소재는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필름의 표층 (I)에 첨가하여 사용하면, 깨끗하게 분산되지 않아, 표면 조도의 균일성이 저하되어 품위가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소재는 폴리프로필렌보다 고가이기 때문에, 원료 비용이 높아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길이 방향의 영률 EMD 및 폭 방향의 영률 ETD가 모두 2.0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EMD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1G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GPa 이상이다. ETD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5G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GPa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GPa 이상이다. EMD 및 ETD가 2.0GPa 미만이면, 표면 보호용의 이형용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 보호면의 접착성이 높은 경우에, 박리 장력으로 필름이 늘어나 찢어지거나, 보호면에 박리 자국이 남는 경우가 있다. EMD 및 ETD는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실질적으로는 7GPa 정도가 상한이다. EMD 및 ETD의 값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기재층 및 표층 (I)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함과 함께,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필름을 고배율로 2축 연신하여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필름이 제막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제막 방향 또는 길이 방향 혹은 MD 방향이라고 칭하고, 필름 면 내에서 제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 혹은 TD 방향이라고 칭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EMD/ETD의 값이 0.2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4,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3이다. EMD/ETD의 값이 1.5를 초과하면, 길이 방향의 배향이 극단적으로 강하여, 취급시에 길이 방향으로 필름이 찢어지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EMD/ETD의 값이 0.2 미만이면, 폭 방향의 배향이 극단적으로 강하여, 폭 방향으로 필름이 찢어지는 경우가 있다. EMD/ETD의 값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기재층 및 표층 (I)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함과 함께,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필름을 고배율로 2축 연신하여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폭 방향의 120℃의 열 수축률이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폭 방향으로 120℃의 열 수축률이 1%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다른 소재와 접합한 후, 열을 가하는 건조 공정 등을 통과할 때 등에,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변형되어서 박리되거나, 주름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열 수축률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팽창하는 경우도 있어, 실질적으로는 -2.0% 정도가 하한이다. 열 수축률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기재층 및 표층 (I)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함과 함께,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2축 연신 후의 열 고정, 이완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50℃의 열 수축률이 길이 방향, 폭 방향 모두 0.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8%,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이다. 150℃의 열 수축률이 20%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프레스 성형용의 이형용 필름으로서 사용할 때 등에, 프레스 성형시의 열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변형되어서 주름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150℃의 열 수축률이 0.1% 미만이면 프레스 성형시의 열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국소적으로 팽창하고, 남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꺾여 주름이 되는 경우가 있다. 열 수축률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또한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2축 연신 후의 열 고정, 이완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는 것이고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0.5㎛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0.5㎛ 미만이면, 취급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100㎛를 초과하면, 수지량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두께를 얇게 해도, 인장 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취급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살리기 위해서는, 두께는 1㎛ 이상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이상 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 이상 15㎛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두께는 다른 물성을 악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압출기의 스크루 회전수, 미연신 시트의 폭, 제막 속도, 연신 배율 등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후술하는 제1 형태 및 제2 형태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먼저 제1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1 형태에서는 표층 (I)의 표면에, 폴리프로필렌의 피브릴을 포함하는 치밀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한다. 물질 표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를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피브릴을 포함하는 치밀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시킴으로써, 높은 표면 평활성과 이형성을 양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1 형태에서는 표층 (I)의 중심선 평균 조도 Ra는 10 내지 15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nm이다. Ra가 150nm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광학용 부재의 이형용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이형용 필름의 표면 요철이 광학용 부재에 전사되어 제품의 시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Ra는 낮을수록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1 형태에서는 10nm 정도가 하한이다. Ra를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적층 구성이나 표층 (I)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함과 함께,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압출 조건, 연신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1 형태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원료 및 그 원료를 사용한 필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1 형태에서는,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층 (I)을 설치한 적층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재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재질로서는 폴리아미드, 아라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셀룰로오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메틸펜텐,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공지된 것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채용할 수 있지만, 표층 (I)과의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나, 필름의 강도, 강성 등,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2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표층 (I)은 이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폴리프로필렌의 피브릴을 포함하는 치밀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한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이형성이 향상되는 이유는,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피브릴 사이의 미소한 공극에 공기가 존재하여,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 피착체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기재층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원료 A에 대하여 설명한다.
폴리프로필렌 원료 A는, 바람직하게는 냉크실렌 가용부(이하 CXS)가 4질량% 이하이고 또한 메소펜타드(mesopentad) 분율은 0.95 이상인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막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필름의 인장 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냉크실렌 가용부(CXS)란, 필름을 크실렌으로 완전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석출시켰을 때에, 크실렌 중에 용해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 성분을 말하고, 입체 규칙성이 낮다, 분자량이 낮다는 등의 이유로 결정화되기 어려운 성분에 해당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성분이 수지 중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필름의 인장 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CXS는 4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하이다. CXS는 낮을수록 바람직하지만, 0.1질량% 정도가 하한이다. 이러한 CXS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하기 위해서는, 수지를 얻을 때의 촉매 활성을 높이는 방법, 얻어진 수지를 용매 또는 프로필렌 단량체 자신으로 세정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원료 A의 메소펜타드 분율은 0.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7 이상이다. 메소펜타드 분율은 핵자기 공명법(NMR법)으로 측정되는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상의 입체 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해당 수치가 높을수록 결정화도가 높아, 융점이 높아져, 고온에서의 사용에 적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메소펜타드 분율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입체 규칙성이 높은 수지를 얻기 위해서는, n-헵탄 등의 용매에서 얻어진 수지 파우더를 세정하는 방법이나, 촉매 및/또는 조촉매의 선정, 조성의 선정을 적절히 행하는 방법 등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원료 A로서는, 용융 유속(MFR)이 1 내지 10g/10분의 범위인 것이 제막성이나 필름의 인장 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MFR이란 JIS K 7210(1995)에서 규정되어 있는 수지의 용융 점도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폴리올레핀 수지의 특징을 나타내는 물성값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230℃, 2.16kgf에서 측정한 값을 가리킨다. 용융 유속(MFR)은 2 내지 5g/10분의 범위의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MFR을 상기의 값으로 하기 위해서는, 평균 분자량이나 분자량 분포를 제어하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
폴리프로필렌 원료 A는, 주로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불포화 탄화수소에 의한 공중합 성분 등을 함유해도 되고, 프로필렌이 단독이 아닌 중합체가 블렌드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공중합 성분이나 블렌드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공중합된 블렌드물의 경우), 1-부텐, 1-펜텐, 3-메틸펜텐-1,3-메틸부텐-1,1-헥센, 4-메틸펜텐-1,5-에틸헥센-1,1-옥텐, 1-데센, 1-도데센, 비닐시클로헥센, 스티렌, 알릴벤젠, 시클로펜텐, 노르보르넨, 5-메틸-2-노르보르넨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량 또는 블렌드량은 인장 강성의 관점에서, 공중합량으로는 1mol% 미만으로 하고, 블렌드량으로는 10질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표층 (I)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원료 B에 대하여 설명한다.
폴리프로필렌 원료 B는, 폴리프로필렌의 피브릴을 포함하는 치밀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β 결정 형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β 결정 형성능은 3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β 결정 형성능이 30% 미만에서는, 필름 제조시에 피브릴의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워, 우수한 이형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β 결정 형성능을 30 내지 100%의 범위 내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소택틱 인덱스가 높은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거나, β 결정 핵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β 결정 형성능은 35 내지 100%가 보다 바람직하고, 40 내지 100%가 특히 바람직하다.
β 결정 핵제로서는, 예를 들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칼슘, 숙신산마그네슘 등의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N,N'-디시클로헥실-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아미드로 대표되는 아미드계 화합물, 3,9-비스[4-(N-시클로헥실카르바모일)페닐]-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의 테트라옥사스피로 화합물, 벤젠술폰산나트륨, 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 등의 방향족 술폰산 화합물, 이미드카르복실산 유도체,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지만, 특히 일본 특허 공개 평5-3106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아미드계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β 결정 핵제의 함유량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 0.05 내지 0.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0.3질량%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0.05질량% 미만에서는 β 결정의 형성이 불충분해져, 피브릴의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워, 우수한 이형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0.5질량%를 초과하면, 과잉으로 첨가된 β 결정 핵제가 기점이 되어 결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프로필렌 원료 B에는 용융 유속(이하, MFR이라고 표기함)이 2 내지 30g/10분(230℃, 2.16Kgf)인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압출 성형성 및 구멍의 균일한 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원료 B의 이소택틱 인덱스는 90 내지 99.9%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9%이다. 폴리프로필렌 원료 B의 이소택틱 인덱스가 90% 미만의 경우, 수지의 결정성이 낮아져버려, 제막성이 저하되거나, 필름의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B로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막 공정에서의 안정성이나 조막성, 물성의 균일성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 성분이나 부텐, 헥센, 옥텐 등의 α-올레핀 성분을 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하의 범위로 공중합한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원료 B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고분자량 폴리프로필렌을 병용해도 된다. 폴리프로필렌 원료 B는 0.5 내지 30질량%의 범위에서 고분자량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것이 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고분자량 폴리프로필렌이란 MFR이 0.1 내지 2g/10분(230℃, 2.16Kgf)인 폴리프로필렌이고, 예를 들어 스미또모 가가꾸사제 폴리프로필렌 수지 D101이나, 프라임 폴리머사제 폴리프로필렌 수지 E111G, B241, E105GM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A 및 폴리프로필렌 원료 B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대전 방지제나 무기 또는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활제, 나아가 블로킹 방지제나 충전제, 비상용성 중합체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원료 A 및 폴리프로필렌 원료 B의 열 이력에 의한 산화 열화를 억제하는 목적으로, 산화 방지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 함유량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2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질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1 형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료 A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료 B를 포함하는 표층 (I)이 적층된 적층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프로필렌 필름 전체의 두께에 있어서의 표층 (I) 두께의 비율(%)은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표층 (I)의 두께의 비율이 25%를 초과하면,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어, 표면 보호용의 이형용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 보호면의 접착성이 높은 경우에, 박리 장력으로 필름이 늘어나 찢어지거나, 보호면에 박리 자국이 남는 경우가 있다. 표층 (I) 두께의 비율(%)은 2% 미만이면,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두께비를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기재층 및 표층 (I)에 사용하는 각각의 압출기의 스크루 회전수에 의해 조정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1 형태에 있어서, 표층 (I)의 두께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이형성이 발현하면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표층이 너무 얇으면 적층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고, 안정된 제막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0.05㎛ 정도가 하한이다. 표층 (I)의 두께가 10㎛를 초과하면, 유기 용제 등 표면 장력이 낮은 액체를 적하했을 때, 액적이 표층 (I)의 내부에 침투해버려, 표면 자유 에너지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기 용제 등이 잔존하는 코팅층 등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 이형성이 악화되거나, 박리시에 필름이 벽개하는 경우가 있다. 표층 (I)의 두께를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표층 (I)에 사용하는 압출기의 스크루 회전수, 미연신 시트의 폭, 제막 속도, 연신 배율 등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1 형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데,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폴리프로필렌 원료 A를 A층용의 단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폴리프로필렌 원료 B를 B층용의 단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00 내지 26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한다. 그리고, 중합체 관의 도중에 설치한 필터로 이물이나 변성 중합체 등을 제거한 후, 멀티 매니폴드형의 B층/A층/B층의 복합 T 다이에서 예를 들어 1/8/1의 적층 두께비가 되도록 적층하고, 캐스트 드럼 상에 토출하여, B층/A층/B층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 미연신 시트를 얻는다. 이때, 캐스트 드럼은 표면 온도가 80 내지 130℃인 것이 B층의 이형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90 내지 1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캐스트 드럼의 온도를 상술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B층에 β 결정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고, 계속되는 세로 연신 공정, 가로 연신 공정으로 필름 표면에 피브릴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시켜, 이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캐스트 드럼에의 밀착 방법으로서는 정전 인가법, 물의 표면 장력을 이용한 밀착 방법, 에어 나이프법, 프레스 롤법, 수중 캐스트법 등 중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되지만, 평면성의 관점에서 에어 나이프법이 바람직하다. 에어 나이프의 에어 온도는 2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에서, 분출 에어 속도는 130 내지 150m/s가 바람직하고, 폭 방향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중 관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 제막 하류측에 에어가 흐르도록 에어 나이프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미연신 시트는 공기 중에서 방냉된 후, 세로 연신 공정에 도입된다. 세로 연신 공정에서는 먼저 복수의 100℃ 이상 150℃ 미만으로 유지된 금속 롤에 미연신 시트를 접촉시켜서 연신 온도까지 예열하고, 길이 방향으로 3 내지 8배로 연신한 후, 실온까지 냉각한다. 연신 온도가 150℃ 이상이면, 계속되는 가로 연신 공정에서 필름 표면에 피브릴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조가 형성되기 어려워져,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연신 배율이 3배 미만이면, 동일하게 이형성이 저하되거나, 필름의 배향이 약해져, 인장 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계속하여 세로 1축 연신 필름을 텐터에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고 가로 연신을 120 내지 165℃의 온도에서 폭 방향으로 7 내지 13배로 연신한다. 연신 온도가 낮으면, 필름이 파단되는 경우가 있고, 연신 온도가 너무 높으면, 표층에 피브릴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조가 형성되기 어려워져,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율이 높으면 필름이 파단되는 경우가 있고, 배율이 낮으면 필름의 배향이 약하여 인장 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계속되는 열 처리 및 이완 처리 공정에서는 클립으로 폭 방향을 긴장 파지한 채 폭 방향으로 2 내지 20%의 이완율로 이완을 부여하면서, 100℃ 이상 160℃ 미만의 온도에서 열 고정하고, 계속하여 80 내지 100℃에서의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으로 유도하고,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여, 와인더 공정으로 필름 에지부를 슬릿하고, 필름 제품 롤을 권취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2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2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층 (I)의 표면에, 특정한 표면 형상으로 제어된 요철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표면 조도의 균일성과 이형성을 양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2 형태에서는, 표층 (I)의 중심선 평균 조도 Ra가 200 내지 1,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8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500nm이다. Ra가 200nm 미만에서는 표면이 너무 평활해져, 제2 형태에 있어서의 이형성 향상의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Ra가 1,000nm를 초과하면, 제막시에 필름이 파단되기 쉬워지거나, 또한 Ra가 너무 커서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Ra를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적층 구성이나 각 층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또한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압출 조건, 연신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2 형태에서는, 표층 (I)의 최대 높이 Rmax가 1,000 내지 15,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nm이다. Rmax가 1,000nm 미만에서는 표면이 너무 평활해져, 제2 형태에 있어서의 이형성 향상의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Rmax가 15,000nm를 초과하면, 제막시에 필름이 파단되기 쉬워지거나, 또한 Rmax가 너무 커서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Rmax를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적층 구성이나 각 층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또한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압출 조건, 연신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일반적인 공정 필름이나 보호 필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층 (I)의 중심선 평균 조도 Ra가 200 내지 5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50nm이다. Ra가 200nm 미만에서는 표면이 너무 평활해져, 제2 형태에 있어서의 이형성 향상의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Ra가 500nm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연질 부재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필름의 표면 요철이 연질 부재에 전사되어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Ra가 너무 커도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Ra를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적층 구성이나 각 층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함과 함께,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 특히 압출 조건, 연신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일반적인 공정 필름이나 보호 필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층 (I)의 최대 높이 Rmax가 1,000 내지 5,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4,5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4,000nm이다. Rmax가 1,000nm 미만에서는 표면이 너무 평활해져, 제2 형태에 있어서의 이형성 향상의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Rmax가 5,000nm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연질 부재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필름의 표면 요철이 연질 부재에 전사되어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Rmax가 너무 커도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Rmax를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적층 구성이나 각 층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표층에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메틸펜텐이나 불소계 수지나 실리콘계 수지 등, 폴리프로필렌과 상용하지 않는 수지나, 가교(겔) 성분의 생성에 의한 피시 아이의 발생이 생기기 쉬운 수지를 사용하지 않는 것, 또한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 특히 압출 조건, 연신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금형 프레스 성형 등에 있어서의 의장성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층 (I)의 중심선 평균 조도 Ra가 200 내지 1,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95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900nm이다. Ra를 상술하는 범위 내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금형 프레스 성형용의 이형용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필름의 표면 요철이 부재에 전사되어, 부재 표면에 균일한 매트감을 부여할 수 있어, 의장성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Ra가 200nm 미만이면 필름 표면의 요철을 부재에 전사할 수 없어, 의장성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Ra가 1,000nm를 초과하면, 제막시에 필름이 파단되기 쉬워지거나, 또한 Ra가 너무 커서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Ra를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적층 구성이나 각 층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또한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압출 조건, 연신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금형 프레스 성형 등에 있어서의 의장성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층 (I)의 최대 높이 Rmax가 5,000 내지 15,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 내지 15,0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5,000nm,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00 내지 15,000nm이다. Rmax를 상술하는 범위 내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금형 프레스 성형용의 이형용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필름의 표면 요철이 부재에 전사되어, 부재 표면에 균일한 매트감을 부여할 수 있어, 의장성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Rmax가 5,000nm 미만이면 필름 표면의 요철을 부재에 전사할 수 없어, 의장성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Rmax가 15,000nm를 초과하면, 제막시에 필름이 파단되기 쉬워지거나, 또한 Rmax가 너무 커서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Rmax를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적층 구성이나 각 층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또한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압출 조건, 연신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금형 프레스 성형 등에 있어서의 의장성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레스 성형 전후에서 표면 조도의 변화가 작은 쪽이 바람직하고, 프레스 후의 최대 높이를 Rmax1, 프레스 전의 최대 높이를 Rmax2로 했을 때, Rmax1/Rmax2의 값이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Rmax1/Rmax2의 값이 0.5 미만이면 프레스 성형시에 표층 (I) 표면의 요철이 감소하여, 이형성이 저하되거나, 표면 요철을 제품에 전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Rmax1/Rmax2의 값을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적층 구성이나 각 층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함과 함께,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 특히 압출 조건, 연신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2 형태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원료 및 그 원료를 사용한 필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2 형태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과 입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층 (I)을 설치한 적층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재층은 필름의 강도, 강성 등,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2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표층 (I)의 표면 형상을 제어하는 목적에서,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 (I)은 이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한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성이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는, 기재층(내층)에 함유시킨 입자에 의해, 기재층의 표면(기재층과 표층 (I)과의 계면)에 요철을 형성하고, 표층 (I)의 두께를 후술하는 범위로 함으로써, 표층 (I)의 표면에도 기재층 표면과 동일한 요철을 형성할 수 있어, 이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표층 (I)에는, 폴리프로필렌 이외의 수지나 입자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이형성 향상의 관점에서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기재층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원료 C에 대하여 설명한다.
폴리프로필렌 원료 C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입자가 적어도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막 공정에서의 안정성이나 조막성, 물성의 균일성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 성분이나 부텐, 헥센, 옥텐 등의 α-올레핀 성분을 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하의 범위로 공중합한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필름 강도의 관점에서는 결정성이 높은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원료 C에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 유속(MFR)은 표층에 사용하는 수지와의 점도차의 관점에서, 1 내지 10g/10분(230℃, 2.16Kgf)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g/10분(230℃, 2.16Kgf)의 범위의 것이, 제막성이나 필름의 인장 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MFR을 상기의 값으로 하기 위해서는, 평균 분자량이나 분자량 분포를 제어하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
폴리프로필렌 원료 C에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는, 주로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불포화 탄화수소에 의한 공중합 성분 등을 함유해도 되고, 프로필렌이 단독이 아닌 중합체가 블렌드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공중합 성분이나 블렌드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공중합된 블렌드물의 경우), 1-부텐, 1-펜텐, 3-메틸펜텐-1,3-메틸부텐-1,1-헥센, 4-메틸펜텐-1,5-에틸헥센-1,1-옥텐, 1-데센, 1-도데센, 비닐시클로헥센, 스티렌, 알릴벤젠, 시클로펜텐, 노르보르넨, 5-메틸-2-노르보르넨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량 또는 블렌드량은 인장 강성의 관점에서, 공중합량으로는 1mol% 미만으로 하고, 블렌드량으로는 10질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원료 C에 사용하는 입자로서는, 제막 공정에서의 전단 응력이나 열에 의해 입자 형상을 상실하는 것이 아니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무기 입자나 유기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입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등의 금속 산화물이나 황산바륨,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인산칼슘, 마이카, 카올린, 클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등의 금속 산화물이나 탄산칼슘이 바람직하다. 유기 입자로서는 폴리메톡시실란계 화합물의 가교 입자, 폴리스티렌계 화합물의 가교 입자, 아크릴계 화합물의 가교 입자, 폴리우레탄계 화합물의 가교 입자,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가교 입자, 불소계 화합물의 가교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 및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경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이다. 평균 입경이 1㎛ 미만에서는 기재층 및 표층 (I)의 표면 조도가 작아져,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10㎛를 초과하면 필름이 찢어지기 쉬워지거나, 표면 조도의 최대 높이 Rmax가 너무 커지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무기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의 측정 방법은, 입자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화상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원 상당 직경을 사용하여, 중량 평균 직경을 산출하여 채용한다.
상기 입자의 첨가량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원료 C 전체를 100질량부로 했을 때, 2 내지 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2질량부 미만에서는, 표면 조도가 작아져,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20질량부를 초과하면 필름이 깨지기 쉬워지거나, 표층 (I)의 표면 조도의 최대 높이 Rmax가 너무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표층 (I)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원료 D에 대하여 설명한다.
폴리프로필렌 원료 D는 높은 이형성을 얻기 위해서,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첨가제 등의 다른 성분은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결정성이 높은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원료 D에는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원료 A와 동일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원료 C 및 폴리프로필렌 원료 D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대전 방지제나 무기 또는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활제, 나아가 블로킹 방지제나 충전제, 비상용성 중합체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원료 C 및 폴리프로필렌 원료 D의 열 이력에 의한 산화 열화를 억제하는 목적으로,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 함유량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2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질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2 형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료 C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료 D를 포함하는 표층 (I)이 적층된 적층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프로필렌 필름 전체의 두께에 있어서의 표층 (I) 두께의 비율(%)은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표층 (I)의 두께의 비율이 25%를 초과하면, 표면 조도가 작아져,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표층 (I) 두께의 비율(%)은 1% 미만이면, 기재층에 함유되는 입자가 표층 (I)을 찢어서 표층에 노출되고, 표면 자유 에너지가 증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두께비를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기재층 및 표층 (I)에 사용하는 각각의 압출기의 스크루 회전수에 의해 조정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2 형태에 있어서, 표층 (I)의 두께는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이형성이 발현되면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표층이 너무 얇으면 적층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고, 안정된 제막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0.05㎛ 정도가 하한이다. 표층 (I)의 두께가 5㎛를 초과하면, 표면 조도가 작아져,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표층 (I)의 두께를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표층 (I)에 사용하는 압출기의 스크루 회전수, 미연신 시트의 폭, 제막 속도, 연신 배율 등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2 형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폴리프로필렌 원료 C를 A층용의 단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폴리프로필렌 원료 D를 B층용의 단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00 내지 26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한다. 그리고, 중합체 관의 도중에 설치한 필터로 이물이나 변성 중합체 등을 제거한 후, 멀티 매니폴드형의 B층/A층/B층의 복합 T 다이에서 예를 들어 1/8/1의 적층 두께비가 되도록 적층하고, 캐스트 드럼 상에 토출하여, B층/A층/B층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 미연신 시트를 얻는다. 이때, 캐스트 드럼은 표면 온도가 30 내지 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캐스트 드럼에의 밀착 방법으로서는 정전 인가법, 물의 표면 장력을 이용한 밀착 방법, 에어 나이프법, 프레스 롤법, 수중 캐스트법 등 중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되지만, 평면성의 관점에서 에어 나이프법이 바람직하다. 에어 나이프의 에어 온도는 2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에서, 분출 에어 속도는 130 내지 150m/s가 바람직하고, 폭 방향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중 관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하여 제막 하류측에 에어가 흐르도록 에어 나이프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미연신 시트는 공기 중에서 방냉된 후, 세로 연신 공정에 도입된다. 세로 연신 공정에서는 먼저 복수의 100℃ 이상 150℃ 미만으로 유지된 금속 롤에 미연신 시트를 접촉시켜서 연신 온도까지 예열하고, 길이 방향으로 3 내지 8배로 연신한 후, 실온까지 냉각한다. 연신 온도가 150℃ 이상이면 연신 불균일이 발생하거나, 필름이 파단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연신 배율이 3배 미만이면, 연신 불균일이 발생하거나, 필름의 배향이 약해져, 인장 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계속하여 세로 1축 연신 필름을 텐터에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고 가로 연신을 120 내지 165℃의 온도에서 폭 방향으로 7 내지 13배로 연신한다. 연신 온도가 낮으면, 필름이 파단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고, 연신 온도가 너무 높으면, 필름의 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율이 높으면 필름이 파단되는 경우가 있고, 배율이 낮으면 필름의 배향이 약하여 인장 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계속되는 열처리 및 이완 처리 공정에서는 클립으로 폭 방향을 긴장 파지한 채 폭 방향으로 2 내지 20%의 이완율로 이완을 부여하면서, 100℃ 이상 160℃ 미만의 온도에서 열 고정하고, 계속하여 80 내지 100℃에서의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에 유도하고,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여, 와인더 공정으로 필름 에지부를 슬릿하고, 필름 제품 롤을 권취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포장용 필름, 이형용 필름, 공정 필름, 위생용품, 농업 용품, 건축 용품, 의료 용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이형성이 우수한 점에서, 이형용 필름, 공정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이형성과 의장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표면 형상 전사용의 공정 필름 또는 프레스용 이형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예를 들어 섬유 강화 복합 재료의 금형 프레스용의 이형용 필름으로서 사용하면, 프레스 후의 제품으로부터의 이형성이 우수하고, 또한 제품에 매트면을 전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여, 금형 프레스에 의해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후술하는 제조예 1에 준한 방법으로, 섬유 강화 복합 재료판의 프리프레그를 제조한다. 이어서, 프리프레그의 양면에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부착한다. 계속하여 금형 프레스 장치에서, 140 내지 155℃, 0.5 내지 1.0MPa에서 3 내지 30분 프레스하고, 프리프레그를 경화시켜, 금형으로부터 취출하여 상온으로 되돌린 후, 본 발명의 이형용 필름을 박리하여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얻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특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를 행하였다.
(1) 필름 두께
마이크로 두께계(안리쓰사제)를 사용하여 5점 측정하고, 평균값을 구하였다.
(2) 표면 자유 에너지
측정액으로서, 물, 에틸렌글리콜, 포름아미드 및 요오드화메틸렌의 4종류의 액체를 사용하여, 교와 가이멘 가가꾸(주)제 접촉각계 CA-D형을 사용하여, 각 액체의 필름 표면에 대한 정적 접촉각을 구하였다. 또한, 정적 접촉각은 각 액체를 필름 표면에 적하 후, 30초 후에 측정하였다. 각각의 액체에 대하여 얻어진 접촉각과 측정액의 표면 장력의 각 성분을 하기 식에 각각 대입하여 4개의 식을 포함하는 연립 방정식을 γSd, γSp, γSh에 대하여 풀었다.
(γSd·γLd)1/2+(γSp·γLp)1/2+(γSh·γLh)1/2=γL(1+COSθ)/2
단, γS=γSd+γSp+γSh
γL=γLd+γLp+γLh
γS, γSd, γSp, γSh는 각각 필름 표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 분산력 성분, 극성력 성분, 수소 결합 성분을, 또한 γL, γLd, γLp, γLh는 사용한 측정액의 각각 표면 자유 에너지, 분산력 성분, 극성력 성분, 수소 결합 성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한 각 액체의 표면 장력은 Panzer(J. Panzer, J. Colloid Interface Sci., 44, 142(1973)에 의해 제안된 값을 사용하였다.
(3)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영률(EMD, ETD)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시험 방향 길이 150mm×폭 10mm의 직사각형으로 잘라내어 샘플로 하였다. 인장 시험기(오리엔테크제 텐실론 AMF/RTA-100)를 사용하여, JIS-K7127(1999)에 규정된 방법에 준하여, 25℃, 65% RH 분위기에서 5회 측정을 행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단, 초기 척간 거리 50mm로 하고, 인장 속도를 300mm/분으로 하여, 시험을 개시하고 나서 하중이 1N을 통과한 점을 늘어남의 원점으로 하였다.
(4) 열 수축률(120℃)
필름의 폭 방향으로 폭 10mm, 길이 200mm(측정 방향)의 시료를 5개 잘라내고, 양단으로부터 25mm의 위치에 표선으로서 표시를 하고, 만능 투영기로 표선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시험 길이(I0)로 한다. 이어서, 시험편을 종이에 끼워 넣고 하중 제로의 상태에서 120℃로 보온된 오븐 내에서, 15분간 가열 후에 취출하고, 실온에서 냉각 후, 치수(I1)를 만능 투영기로 측정하여 하기 식으로 구하고, 5개의 평균값을 열 수축률로 하였다.
열 수축률={(I0-I1)/I0}×100(%)
(5) 필름의 표면 조도(Ra, Rmax)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표면 조도계(SURFCORDER ET4000A: (주)고사까 겡뀨쇼제)를 사용하여, JIS-B-0601:2001에 기초하여, 하기 측정 조건에서 측정을 행하고, 중심선 평균 조도 SRa(nm) 및 최대 높이 SRmax(nm)를 구하였다. 단, 측정은 표층 (I)면에 대하여 3군데 측정하고, 평균값으로 하였다.
<측정 조건>
측정 속도: 0.1mm/s
측정 범위: 길이 방향 1,000㎛, 폭 방향 1,000㎛
측정 피치: 길이 방향 1㎛, 폭 방향 15㎛
컷 오프값 λc: 0.2mm
촉침 선단 반경: 0.5㎛
(6) 열 수축률(150℃)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대해서, 세이코 인스트루먼트사제 TMA/SS6000을 사용하여, 하기 온도 프로그램으로 일정 하중하에서의 필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수축 곡선을 각각 구하였다. 얻어진 수축 곡선으로부터, 150℃에서의 열 수축률을 판독하였다.
온도 프로그램 25℃→(5℃/분)→170℃(유지(hold) 5분)
하중 2g
샘플 사이즈 샘플 길이 15mm×폭 4mm
(측정하고 싶은 방향을 샘플 길이 측에 맞춤)
(7) 프레스 후의 표면 조도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10cm 사방으로 5장 샘플링하고, 5장 중첩하여, 프레스기로 0.6MPa, 150℃에서 3분간 프레스하였다. 그 후, 5장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박리하고, 5장 중 3장째의 필름에 대해서, 상기 (5)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 조도를 측정하였다. 프레스 후의 최대 높이를 Rmax1, 프레스 전의 최대 높이를 Rmax2로 했을 때,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Rmax1/Rmax2≥0.5
×: Rmax1/Rmax2<0.5
(8) 섬유 강화 복합 재료로부터의 이형성
후술하는 제조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프레스 성형하고, 섬유 강화 복합 재료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손으로 박리할 때의 박리성에 대해서,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일정 속도로 박리 가능.
×: 박리 저항이 약간 강하고, 일정 속도로 박리할 수 없다. 또는, 박리 시에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늘어나거나, 또는 찢어진다.
(9) 섬유 강화 복합 재료의 매트감
후술하는 제조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섬유 강화 복합 재료에 대해서, 표면의 매트감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매트감이 특히 강하여 양호하다.
○: 매트감이 강하다.
△: 매트감은 약하지만, 섬유 강화 복합 재료 중의 섬유 텍스쳐를 확인할 수 없다.
×: 육안으로 섬유 강화 복합 재료 중의 섬유 텍스쳐를 확인 가능.
(제조예 1)
(1)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제작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서, "에피코트"(등록 상표) 828을 20질량부, "에피코트"(등록 상표) 834를 20질량부, "에피코트"(등록 상표) 1001을 25질량부, (이상,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재팬 에폭시 레진(주)제), "에피코트"(등록 상표) 154를 35질량부(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재팬 에폭시 레진(주)제), 아민계 경화제로서 DICY7(디시안디아미드, 재팬 에폭시 레진(주)제)을 4질량부, 인계 화합물로서 "노바레드"(등록 상표) 120(평균 입경 25㎛, 인 함유량 85%, 린 가가꾸 고교(주)제)을 3질량부, 경화 촉진제로서 "오미큐어"(등록 상표) 24(2,4-톨루엔비스(디메틸우레아), 피·티·아이·재팬(주)제)를 5질량부, 열가소성 수지로서 "비닐렉"(등록 상표) K(폴리비닐포르말, 칫소(주)제)을 5질량부, 아래에 나타내는 수순으로 니더로 혼합하여, 폴리비닐포르말이 균일하게 용해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a) 각 에폭시 수지 원료와 폴리비닐포르말을 150 내지 190℃로 가열하면서 1 내지 3시간 교반하고, 폴리비닐포르말을 균일하게 용해한다.
(b) 수지 온도를 90℃ 내지 110℃까지 강온하고, 인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20 내지 40분간 교반한다.
(c) 수지 온도를 55 내지 65℃까지 강온하고, 디시안디아미드 및 2,4-톨루엔비스(디메틸우레아)를 첨가하여, 해당 온도에서 30 내지 40분간 혼련 후, 니더 중에서 취출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는다.
(2) 프리프레그의 제작
계속하여 제조한 수지 조성물을, 리버스 롤 코터를 사용하여 이형지 상에 도포해서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수지 필름의 단위 면적당의 수지량은 25g/㎡로 하였다. 이어서, 단위 면적당의 섬유 중량이 100g/㎡가 되도록 시트 형상으로 한 방향으로 정렬시킨 탄소 섬유 토레카(등록 상표) T700SC-12K-50C(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제조)에 수지 필름을 탄소 섬유의 양면으로부터 겹치고, 가열 가압하여 수지 조성물을 함침시켜, 프리프레그를 제작하였다.
(3) 섬유 강화 복합 재료의 제작
상기 프리프레그의 양면에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표층 (I)의 면을 부착하고, 가열 프레스를 사용하여 압력 0.6MPa, 온도 150℃에서 3분간으로 가열 가압하고, 가압 프레스기로부터 제거하여 상온까지 냉각한 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박리하여, 두께 약 0.2mm의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얻었다.
(실시예 1)
먼저, 융점 165℃, MFR=7.5g/10분의 스미또모 가가꾸(주)제 호모 폴리프로필렌 FLX80E4를 99.7질량부, β 결정 핵제인 N,N'-디시클로헥실-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아미드(신닛본 리까(주)제, NU-100)를 0.3질량부, 추가로 산화 방지제인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제 IRGANOX(등록 상표) 1010, IRGAFOS(등록 상표) 168을 각각 0.1질량부씩 이 비율로 혼합되도록 계량 호퍼로부터 2축 압출기에 원료 공급하고, 300℃에서 용융 혼련을 행하여, 스트랜드 형상으로 다이로부터 토출하여, 25℃의 수조에서 냉각 고화하고, 칩 형상으로 커트하여 폴리프로필렌 원료 B를 얻었다.
기재층(A층)용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A로서 결정성 PP(a)((주)프라임 폴리머제, TF850H, MFR: 2.9g/10분, 이소택틱 지수: 96%)를 A층용의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표층 (I)(B층)용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B로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료 B를 B층용의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24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하여, 60㎛ 커트의 소결 필터로 이물을 제거 후, 피드 블록형의 A/B 복합 T 다이에서 8/1의 두께비로 적층하고, 90℃로 표면 온도를 제어한 캐스트 드럼에 토출하여 캐스트 시트를 얻었다. 이때, 표층 (I)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B를 캐스트 드럼에 접지하는 면으로 하였다. 계속해서, 복수의 세라믹 롤을 사용해서 125℃로 예열을 행하여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4.6배 연신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텐터식 연신기에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시켜서 도입하고, 165℃에서 3초간 예열 후, 160℃에서 8.0배로 연신하였다. 계속되는 열처리 공정에서, 폭 방향으로 10%의 이완을 부여하면서 160℃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130℃에서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으로 유도하여,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고, 필름을 코어에 권취하여, 두께 15㎛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기재층(A층)용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C로서 결정성 PP(a)((주)프라임 폴리머제, TF850H, MFR: 2.9g/10분, 이소택틱 지수: 96%) 93.3질량부와, 탄산칼슘 80질량%와 폴리프로필렌 20질량%를 컴파운드한 마스터 원료(산쿄 세이훈(주)제, 2480K, 탄산칼슘 입자: 6㎛) 6.7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A층용의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표층 (I)(B층)용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D로서, 결정성 PP(a)((주)프라임 폴리머제, TF850H, MFR: 2.9g/10분, 이소택틱 지수: 96%)를 B층용의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24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하여, 60㎛ 커트의 소결 필터로 이물을 제거 후, 피드 블록형의 A/B 복합 T 다이에서 8/1의 두께비로 적층하고, 30℃로 표면 온도를 제어한 캐스트 드럼에 토출하여 캐스트 시트를 얻었다. 이때, 기재층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C를 캐스트 드럼에 접지하는 면으로 하였다. 계속해서, 복수의 세라믹 롤을 사용하여 125℃로 예열을 행하여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4.6배 연신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텐터식 연신기에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시켜서 도입하고, 165℃에서 3초간 예열 후, 160℃에서 8.0배로 연신하였다. 계속되는 열처리 공정에서, 폭 방향으로 10%의 이완을 부여하면서 160℃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130℃에서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으로 유도하여,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고, 필름을 코어에 권취하여, 두께 19㎛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조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제작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 있어서, 적층 구성을 변경하고, 3층 적층용의 피드 블록형의 B/A/B 복합 T 다이에서 1/58/1의 두께비로 적층하고, 추가로 기재층(A층)용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C로서 결정성 PP(a)((주)프라임 폴리머제, TF850H, MFR: 2.9g/10분, 이소택틱 지수: 96%) 85질량부와, 탄산칼슘 80질량%와 폴리프로필렌 20질량%를 컴파운드한 마스터 원료(산쿄 세이훈(주)제, 2480K, 탄산칼슘 입자: 6㎛) 15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A층용의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30㎛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표면 물성의 평가는, 캐스트 드럼에 설치하고 있지 않은 쪽의 표층을 평가하였다. 또한, 제조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제작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 있어서, 기재층(A층)용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C로서 결정성 PP(a)((주)프라임 폴리머제, TF850H, MFR: 2.9g/10분, 이소택틱 지수: 96%) 80질량부와, 탄산칼슘 80질량%와 폴리프로필렌 20질량%를 컴파운드한 마스터 원료(산쿄 세이훈(주)제, 2480K, 탄산칼슘 입자: 6㎛) 20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A층용의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30㎛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표면 물성의 평가는, 캐스트 드럼에 설치하고 있지 않은 쪽의 표층을 평가하였다. 또한, 제조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제작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 있어서, 가로 연신 후의 이완을 0%로 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조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제작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50℃의 폭 방향의 열 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프레스시에 필름이 변형되고, 주름이 약간 발생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2에 있어서, 기재층용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C로서 결정성 PP(a)((주)프라임 폴리머제, TF850H, MFR: 2.9g/10분, 이소택틱 지수: 96%)를 사용(표층도 기재층도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조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제작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 표층 (I)용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D로서, 결정성 PP(a)((주)프라임 폴리머제, TF850H, MFR: 2.9g/10분, 이소택틱 지수: 96%) 93.3질량부와, 탄산칼슘 80질량%와 폴리프로필렌 20질량%를 컴파운드한 마스터 원료(산쿄 세이훈(주)제, 2480K, 탄산칼슘 입자: 6㎛) 6.7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원료를 사용(표층도 기재층도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조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제작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2에 있어서, A/B층의 적층 두께비를 1/1의 두께비로 변경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조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제작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A/B층의 적층 두께비를 1/1의 두께비로 변경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B층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표면 자유 에너지 측정에 있어서 적하한 액체가 표층 B층의 네트워크 구조 중에 침투하여, 표면 자유 에너지를 측정할 수 없었다.
(비교예 5)
실시예 3에 있어서, 표층 (I)(B층)용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D로서, 결정성 PP(a)((주)프라임 폴리머제, TF850H, MFR: 2.9g/10분, 이소택틱 지수: 96%) 50질량부와, 저융점 PP(스미또모 가가꾸(주)제, S131, 융점 132℃, MFR: 1.5g/10분) 50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B층용의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30㎛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표면 물성의 평가는, 캐스트 드럼에 설치하고 있지 않은 쪽의 표층을 평가하였다. 또한, 제조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제작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50℃의 폭 방향의 열 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프레스시에 필름이 변형되고, 주름이 약간 발생하였다.
(비교예 6)
시판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 매트 필름(도레이(주)사제, YM-17)에 대해서,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표면 물성의 평가는, 매트면의 표층을 평가하였다. 또한, 제조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여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제작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Claims (11)

  1.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층 (I)을 갖고, 당해 표층 (I)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15mN/m 이상 28mN/m 미만인, 폴리프로필렌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영률 EMD 및 폭 방향의 영률 ETD가 모두 2.0GPa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영률 EMD와 폭 방향의 영률 ETD와의 비 EMD/ETD값이 0.2 내지 1.5인, 폴리프로필렌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폭 방향의 120℃의 열 수축률이 1%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50℃의 열 수축률이 길이 방향, 폭 방향 모두 0.1 내지 20%인, 폴리프로필렌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 (I)의 중심선 평균 조도 Ra가 10 내지 150nm인, 폴리프로필렌 필름.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 (I)의 중심선 평균 조도 Ra가 200 내지 500nm이고, 상기 표층 (I)의 최대 높이 Rmax가 1,000 내지 5,000nm인, 폴리프로필렌 필름.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 (I)의 중심선 평균 조도 Ra가 200 내지 1,000nm이고, 상기 표층 (I)의 최대 높이 Rmax가 5,000 내지 15,000nm인, 폴리프로필렌 필름.
  9.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프로필렌과 평균 입경이 1 내지 10㎛인 입자를 함유하고, 폴리프로필렌 필름 전체의 두께에 있어서의 상기 표층 (I)의 두께의 비율(%)이 2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이형용 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섬유 강화 복합 재료의 금형 프레스용으로 사용되는 이형용 필름.
KR1020167036126A 2014-07-09 2015-07-06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형용 필름 KR102349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41166 2014-07-09
JP2014141166 2014-07-09
PCT/JP2015/069428 WO2016006578A1 (ja) 2014-07-09 2015-07-06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離型用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234A true KR20170032234A (ko) 2017-03-22
KR102349685B1 KR102349685B1 (ko) 2022-01-12

Family

ID=5506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126A KR102349685B1 (ko) 2014-07-09 2015-07-06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형용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57803A1 (ko)
JP (1) JP6137328B2 (ko)
KR (1) KR102349685B1 (ko)
CN (1) CN106470839A (ko)
WO (1) WO2016006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3927B2 (ja) * 2015-04-10 2019-07-31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22796A (ko) * 2015-07-06 2018-03-0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섬유 강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
JP6561630B2 (ja) * 2015-07-06 2019-08-21 東レ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6561629B2 (ja) * 2015-07-06 2019-08-21 東レ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材料の製造方法
WO2018097161A1 (ja) * 2016-11-25 2018-05-31 東レ株式会社 積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7205462B2 (ja) * 2017-03-28 2023-01-17 東洋紡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TWI640416B (zh) * 2017-07-26 2018-11-11 明安國際企業股份有限公司 Golf club head with carbon fiber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417887A (zh) * 2017-09-08 2017-12-01 张家港长泰汽车饰件材料有限公司 箱式聚氨酯泡沫的制备方法
US11373881B2 (en) * 2017-12-25 2022-06-28 Toray Industries, Inc. Release film
WO2020071291A1 (ja) * 2018-10-05 2020-04-09 東レ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および離型用フィルム
WO2020157894A1 (ja) * 2019-01-31 2020-08-06 Pcj株式会社 積層複合材の製造方法、鞄の製造方法、立体成形物及び鞄
WO2020157895A1 (ja) * 2019-01-31 2020-08-06 株式会社サングード 積層複合材、および積層複合材の製造方法
JPWO2020196600A1 (ko) * 2019-03-28 2020-10-01
WO2020196602A1 (ja) * 2019-03-28 2020-10-01 東レ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7107384B2 (ja) 2019-10-10 2022-07-27 東レ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EP4043213A4 (en) 2019-10-10 2023-11-08 Toray Industries, Inc. POLYOLEFIN LAYER
WO2021256350A1 (ja) * 2020-06-17 2021-12-23 東洋紡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20230025396A (ko) * 2020-06-17 2023-02-21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4929A (ja) 1989-04-27 1990-11-22 Toray Ind Inc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0117900A (ja) 1998-10-20 2000-04-25 Toyobo Co Ltd 離型フィルム
US20040053064A1 (en) * 2001-05-11 2004-03-18 Masuda Jun?Apos;Ichi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JP2007126644A (ja) 2005-10-04 2007-05-24 Toray Ind Inc 離型用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
US20080290534A1 (en) * 2007-05-24 2008-11-27 Changhong Yin Ophthalmic lens mold surface energy differential
KR20090008243A (ko) * 2006-04-19 2009-01-2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성형부재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1140594A (ja) 2010-01-08 2011-07-21 Mitsui Chemicals Inc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フィルム
JP2011152733A (ja) 2010-01-28 2011-08-11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型用シート
KR20120019594A (ko) * 2010-08-26 2012-03-07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인쇄회로기판용 이형필름
JP2013226410A (ja) 2012-03-29 2013-11-07 Jms Co Ltd ラクチド−カプロラクトン共重合体製フィルムの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061403A1 (ja) * 2012-10-17 2014-04-24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1232A1 (de) * 1986-09-13 1988-03-24 Hoechst Ag Mehrschichtfolie als trennfolie zur herstellung dekorativer schichtstoffplatten
JPH06255060A (ja) * 1993-03-08 1994-09-13 Toray Ind Inc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083748A (ja) * 2002-08-27 2004-03-18 Toray Ind Inc 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製造工程用離型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101110140B1 (ko) * 2003-06-04 2012-01-3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필름 및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5280125A (ja) * 2004-03-30 2005-10-13 Toray Ind Inc 離型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2006077238A (ja) * 2004-08-11 2006-03-23 Toray Ind Inc 離型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積層フィルム及び積層シート
CN201769424U (zh) * 2009-10-22 2011-03-23 惠州宝柏包装有限公司 一种离型bopp薄膜
EP2596936B1 (en) * 2011-11-24 2015-09-09 ABB Research Ltd.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a UV-curable composition
JP5842743B2 (ja) * 2012-06-15 2016-01-1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4929A (ja) 1989-04-27 1990-11-22 Toray Ind Inc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0117900A (ja) 1998-10-20 2000-04-25 Toyobo Co Ltd 離型フィルム
US20040053064A1 (en) * 2001-05-11 2004-03-18 Masuda Jun?Apos;Ichi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KR20080096604A (ko) * 2001-05-11 2008-10-30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JP2007126644A (ja) 2005-10-04 2007-05-24 Toray Ind Inc 離型用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
KR20090008243A (ko) * 2006-04-19 2009-01-2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성형부재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US20080290534A1 (en) * 2007-05-24 2008-11-27 Changhong Yin Ophthalmic lens mold surface energy differential
JP2011140594A (ja) 2010-01-08 2011-07-21 Mitsui Chemicals Inc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フィルム
JP2011152733A (ja) 2010-01-28 2011-08-11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型用シート
KR20120019594A (ko) * 2010-08-26 2012-03-07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인쇄회로기판용 이형필름
JP2013226410A (ja) 2012-03-29 2013-11-07 Jms Co Ltd ラクチド−カプロラクトン共重合体製フィルムの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061403A1 (ja) * 2012-10-17 2014-04-24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6578A1 (ja) 2016-01-14
JP6137328B2 (ja) 2017-05-31
US20170157803A1 (en) 2017-06-08
KR102349685B1 (ko) 2022-01-12
JPWO2016006578A1 (ja) 2017-04-27
CN106470839A (zh)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685B1 (ko)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형용 필름
JP6512374B2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7070426B2 (ja) 積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102517720B1 (ko)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 롤
JP7235151B2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7205611B2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CN112888729B (zh) 聚丙烯膜及脱模膜
JP6090137B2 (ja)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2017125184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離型用フィルム
JP2018204001A (ja) 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および離型用フィルム
JP2017035884A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WO2020196602A1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WO2016047546A1 (ja) 積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6064654A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962426B2 (ja) 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および離型用フィルム
WO2022210693A1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