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314A -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 Google Patents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314A
KR20230026314A KR1020227043116A KR20227043116A KR20230026314A KR 20230026314 A KR20230026314 A KR 20230026314A KR 1020227043116 A KR1020227043116 A KR 1020227043116A KR 20227043116 A KR20227043116 A KR 20227043116A KR 20230026314 A KR20230026314 A KR 20230026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ess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히로 나카노
도루 이마이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2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31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transversely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Oriented
    • B29K2995/0053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6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s B32B27/32 and B32B27/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6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8Heat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8Matt, dul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32B2307/736Shrin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7Dimensions, e.g. volume or area
    • B32B2307/7375Linear, e.g. length, distance or width
    • B32B2307/7376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 B32B2439/06Bags, sacks, sa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6Capac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4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강성이 높고, 150℃나 되는 고온에서의 내열성도 뛰어나며, 포장 봉지로 했을 때의 봉지 형상을 유지하기 쉽고, 게다가 인쇄 시의 피치 어긋남이나 히트 시일했을 때에 시일부의 주름이 적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5% 신장 시의 응력(F5)이 23℃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서 40MPa 이상이고, 폭 방향에서 160MPa 이상이며, 또한, 150℃에서의 열수축률이, 길이 방향에서 7% 이하이고, 폭 방향에서 16% 이하인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Description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본 발명은 강성과 내열성이 뛰어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포장 봉지(包裝袋)로 했을 때의 봉지 형상을 유지하기 쉽고, 게다가 히트 시일했을 때에 시일부의 주름이 극히 적기 때문에, 포장 봉지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한 것이다.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방습성을 갖고, 게다가 필요한 강성, 내열성을 갖기 때문에, 포장 용도나 공업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근래, 사용되는 용도가 넓어짐에 따라, 보다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고, 특히 강성의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또, 환경에 대한 배려로, 감용(減容)(필름 두께를 얇게)하더라도 강도를 유지하는 것도 요구되고 있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현저하게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불가결하다. 강성을 향상하는 수단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중합 시의 촉매나 프로세스 기술의 개량에 의해, 그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성이나 융점이 향상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이와 같은 개선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충분한 강성을 갖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없었다.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신 후에, 폭 방향 연신 시의 온도 이하에서 필름을 이완하면서 1단계의 열처리를 행하고, 2단계로 1단계 온도∼폭 방향 연신 온도에서 열처리를 행하는 방법(예를 들면, 참고문헌 1 등 참조.)이나, 폭 방향 연신 후에 추가로, 길이 방향으로 연신을 행하는 방법(예를 들면, 참고문헌 2 등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필름은 강성은 뛰어나지만, 히트 시일 후에는 시일부에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 내열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필름의 배향은 낮고, 강성은 충분하지 않다.
국제공개 WO2016/182003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3-177645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있다. 즉, 필름의 강성과 150℃나 되는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뛰어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포장 봉지로 했을 때의 봉지 형상을 유지하기 쉽고, 게다가 히트 시일했을 때에 시일부 및 그 주위에 주름이 극히 적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5% 신장 시의 응력(F5)이 23℃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서 40MPa 이상이고, 폭 방향에서 160MPa 이상이며, 또한, 150℃에서의 열수축률이, 길이 방향에서 7% 이하이고, 폭 방향에서 16% 이하인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120℃에서의 열수축률이 길이 방향에서 2.0% 이하이고, 폭 방향에서 5.0% 이하이며, 또한 길이 방향의 120℃ 열수축률이 폭 방향의 120℃ 열수축률보다도 작은 것이 적합하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길이 방향의 굴절률 Ny가 1.5230 이상이고, △Ny가 0.0220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또,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헤이즈가 5.0%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또,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기재층(A), 중간층(B) 및 표면층(C)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또,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을 구성하는 주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메소펜타드 분율이 97.0%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또,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을 구성하는 주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화 온도가 105℃ 이상이고, 융점이 161℃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또,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을 구성하는 주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4.0g/10분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또,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을 구성하는 주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량이 35 질량%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강성이 높고, 150℃나 되는 고온에서의 내열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포장 봉지로 했을 때의 봉지 형상을 유지하기 쉽고, 게다가 히트 시일했을 때에 시일부의 주름이 극히 적기 때문에, 포장 봉지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 그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강성도 뛰어난 점에서,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해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높은 강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기재층(A), 중간층(B) 및 표면층(C)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재층(A), 중간층(B) 및 표면층(C)은 이 순으로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기재층(A), 중간층(B) 및 표면층(C) 각각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재층(A))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기재층(A)은, 하기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기재층(A)에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실질적으로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을 포함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라도,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량은 바람직하게는 0.3 몰%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몰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몰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이다. 상기 범위이면 결정성이 향상되기 쉽다.
이와 같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1-부텐, 1-펜텐, 3-메틸펜텐-1, 3-메틸부텐-1, 1-헥센, 4-메틸펜텐-1, 5-에틸헥센-1,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상이한 2종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
(입체 규칙성)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입체 규칙성의 지표인 메소펜타드 분율([mmmm]%)은, 97.0∼99.9%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97.5∼99.7%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8.0∼99.5%의 범위 내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98.5∼99.3%의 범위 내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97.0% 이상이면,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성이 높아져, 필름에 있어서의 결정의 융점, 결정화도, 결정 배향도가 향상되고,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얻어지기 쉽다. 99.9% 이하이면 폴리프로필렌 제조의 점에서 코스트를 억제하기 쉽고, 제막 시에 파단되기 어려워진다. 메소펜타드 분율은 핵자기 공명법(소위 NMR법)으로 측정된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메소펜타드 분율을 상술의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파우더를 n-헵탄 등의 용매로 세정하는 방법이나, 촉매 및/또는 조(助)촉매의 선정,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성분의 선정을 적절히 행하는 방법 등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융해 온도)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구성하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융해 온도(Tm)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2℃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63℃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64℃이다. Tm이 160℃ 이상이면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얻어지기 쉽다. Tm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9℃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8℃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67℃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66℃이다. Tm이 170℃ 이하이면, 폴리프로필렌 제조의 점에서 코스트업을 억제하기 쉽고, 또 제막 시에 파단되기 어려워진다. 전술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결정핵제를 배합함으로써, 융해 온도를 더욱 올릴 수도 있다.
Tm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하고 있고, 1∼10mg의 샘플을 알루미늄 팬에 채워 넣고 세트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230℃에서 5분간 융해하고, 주사 속도 -10℃/분으로 30℃까지 강온(降溫)한 후, 5분간 홀딩하고, 주사 속도 10℃/분으로 승온했을 때에 관찰되는, 융해에 수반되는 흡열 피크의 주된 피크 온도이다.
(결정화 온도)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구성하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DSC로 측정되는 결정화 온도(Tc)의 하한은 105℃이고, 바람직하게는 108℃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이다. Tc가 105℃ 이상이면, 폭 방향 연신과 그것에 이어지는 냉각 공정에 있어서 결정화가 진행되기 쉬워,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얻어지기 쉽다. Tc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3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2℃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3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8℃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27℃이다. Tc가 135℃ 이하이면 폴리프로필렌 제조의 점에서 코스트업을 억제하기 쉽고, 또 제막 시에 파단되기 어려워진다. 전술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결정핵제를 배합함으로써, 결정화 온도를 더욱 올릴 수도 있다.
Tc는, DSC로 측정하고 있고, 1∼10mg의 샘플을 알루미늄 팬에 채워 넣고 세트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230℃에서 5분간 융해하고, 주사 속도 -10℃/분으로 30℃까지 강온했을 때에 관찰되는 발열 피크의 주된 피크 온도이다.
(멜트 플로우 레이트)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구성하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JIS K 7210(1995)의 조건 M(230℃, 2.16kgf)에 준거하여 측정한 경우에 있어서, 4.0∼3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4.5∼25g/10분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4.8∼22g/10분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5.0∼20g/10분이면 특히 바람직하며, 6.0∼20g/10분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MFR이 4.0g/10분 이상이면, 열수축이 낮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
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MFR이 30g/10분 이하이면, 필름의 제막성을 유지하기 쉽다.
필름 특성의 관점에서는,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MFR(230℃, 2.16kgf)의 하한을 바람직하게는 5.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5.5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6.0g/1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6.3g/1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6.5g/10분으로 하는 것이 좋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MFR이 5.0g/10분 이상이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저분자량 성분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후술하는 필름 제막 공정에서의 폭 방향 연신 공정을 채용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배향 결정화가 보다 촉진되는 것, 및 필름에 있어서의 결정화도가 보다 높아지기 쉬워지는 것에 더하여, 비결정(非晶) 부분의 폴리프로필렌 분자쇄끼리의 뒤엉킴이 보다 적어져, 내열성을 보다 높이기 쉽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MFR을 상기의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이나 분자량 분포를 제어하는 방법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적산 커브에 있어서의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의 하한은 35 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8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1 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2 질량%이다.
GPC 적산 커브에서의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65 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8 질량%이다. GPC 적산 커브에서의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이 65 질량% 이하이면 필름 강도가 저하되기 어렵다.
이때, 완화 시간이 긴 고분자량 성분이나 장쇄 분기 성분을 포함하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포함되는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을, 전체의 점도를 크게 바꾸지 않고 조정하기 쉬워지므로, 강성이나 열수축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고 제막성을 개선하기 쉽다.
(분자량 분포)
본 발명에 이용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분자량 분포의 넓이의 지표인 질량 평균 분자량(Mw)/수 평균 분자량(Mn)의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3.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이다. Mw/Mn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3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1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이다.
Mw/Mn은, GPC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Mw/Mn이 상기 범위이면,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을 많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상이한 분자량의 성분을 다단계에 일련의 플랜트에서 중합하거나, 상이한 분자량의 성분을 오프라인에서 혼련기에서 혼합하거나, 상이한 성능을 갖는 촉매를 혼합하여 중합하거나, 원하는 분자량 분포를 실현할 수 있는 촉매를 이용하거나 함으로써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GPC로 얻어지는 분자량 분포의 형상으로는, 가로축에 분자량(M)의 대수(logM), 세로축에 미분 분포치(logM당의 중량 분율)를 취한 GPC 차트에 있어서, 단일 피크를 갖는 완만한 분자량 분포여도 되고, 복수의 피크나 숄더를 갖는 분자량 분포여도 된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기재층(A)을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량이 0.3%를 초과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기재층(A)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전체에 대해,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량이 0.3%를 초과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의 함유량을 5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 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
기재층(A)을 구성하는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특정의 디에탄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특정의 아민 화합물과 특정의 글리세린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특정 비율로 병용함으로써, 초기의 대전 방지성이 충분한 동시에, 뛰어난 대전 방지성이 장기에 걸쳐 지속되고, 게다가 고온에 노출되어도 초기의 투명성의 저하가 거의 없으며, 끈적임이 없는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층(A)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식 (1)로 표시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민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A)을 0.3∼0.2 중량부,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1, R2는 탄소수 7∼21의 알킬기이고, X 및 Y는, 각각 1∼29의 정수이며, X+Y는 2∼30의 정수이다.
식 (2)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B)을 0.03∼0.2 중량부,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3는 탄소수 7∼21의 알킬기이다.
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민 디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C)을 0∼0.2 중량부,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R4, R5, R6는 탄소수 7∼21의 알킬기이고, X 및 Y는, 각각 1∼29의 정수이며, X+Y는 2∼30의 정수이다.
식 (4)로 표시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케닐 아민 화합물(D)을 0∼0.2 중량부,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중, R7은 탄소수 7∼21의 알케닐기이고, X 및 Y는, 각각 1∼29의 정수이며, X+Y는 2∼30의 정수이다.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아민 모노에스테르 화합물(A)은, 식 (1)로 표시되는 비이온계의 대전 방지제이며, 기재층(A)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3∼1.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3∼1.1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다. 화합물(A)의 함유량이 0.3 중량부 이상에서는 장기에 걸친 대전 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1.2 중량부 이하의 함유량에서는 블리드량이 적고, 백화에 의한 투명성의 저하가 적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글리세린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B)은 식 (2)로 표시되는 비이온계의 대전 방지제이며, R3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0∼21의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4∼20의 알킬기이고, 기재층(A)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3∼0.3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0.2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다. 화합물(E)의 함유량이 0.03 중량부 이상에서는 대전 방지성의 발현이 빨라서 대전 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0.3 중량부 이하의 함유량에서는 블리드량이 적고, 필름 표면에 점착성이 생기기 어려운 동시에 백화에 의한 투명성의 저하가 적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디에탄올아민 화합물(C)은 식 (3)으로 표시되는 비이온계의 대전 방지제이며, 기재층(A)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2∼0.15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다. 화합물(C)의 함유량이 0.2 중량부 이하에서는 블리드량이 적고, 백화에 의한 투명성의 저하가 적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케닐 디에탄올아민 화합물(D)은 식 (4)로 표시되는 비이온계의 대전 방지제이며, 기재층(A)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2∼0.15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다. 화합물(C)의 함유량이 0.2 중량부 이하에서는 블리드량이 적고, 백화에 의한 투명성의 저하가 적다.
식 (1)∼(4)에서의 X 및 Y는 각각 1∼29의 정수이며, X+Y는 2∼3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4의 정수이다.
R1∼R6은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3∼25의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3∼18의 알킬기이다.
식 (1)∼(3)에서의 R1∼R6의 알킬기로는,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라우릴기, 트리라우릴기, 미리스틸기, 펜타데실기, 팔미틸기, 헵타데실기, 스테아릴기, 노나데실기, 에이코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식 (4)에서의 R7의 알케닐기는 탄소 원자수 12∼21로 이루어지는 고급 불포화 지방족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이면, 기재층(A)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는 미끄러짐성 등의 품질 향상을 위한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왁스, 금속 비누 등의 윤활제, 가소제, 가공 조제(助劑)나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에 통상 첨가되는 공지의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간층(B))
(폴리프로필렌 수지)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중간층(B)에 이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이용하면, 강성을 유지하면서, 라미네이트 강도를 향상시키기 쉽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중간층(B)에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실질적으로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을 포함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라도,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량은 바람직하게는 0.3 몰%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몰%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몰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이다. 상기 범위이면 결정성이 향상되기 쉽다.
이와 같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1-부텐, 1-펜텐, 3-메틸펜텐-1, 3-메틸부텐-1, 1-헥센, 4-메틸펜텐-1, 5-에틸헥센-1,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상이한 2종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함유량은, 중간층(B)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전체에 대해, 55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 중량% 이상, 95 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중량% 이상, 92 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5 중량% 이상, 92 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입체 규칙성)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입체 규칙성의 지표인 메소펜타드 분율([mmmm] %)은, 97.0∼99.9%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97.5∼99.7%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8.0∼99.5%의 범위 내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98.5∼99.3%의 범위 내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97.0% 이상이면,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결정성이 높아져, 필름에 있어서의 결정의 융점, 결정화도, 결정 배향도가 향상되고,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얻어지기 쉽다. 99.9% 이하이면 폴리프로필렌 제조의 점에서 코스트를 억제하기 쉽고, 제막 시에 파단되기 어려워진다. 메소펜타드 분율은 핵자기 공명법(소위 NMR법)으로 측정된다.
99.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소펜타드 분율은 핵자기 공명법(소위 NMR법)으로 측정된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메소펜타드 분율을 상술의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파우더를 n-헵탄 등의 용매로 세정하는 방법이나, 촉매 및/또는 조촉매의 선정,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성분의 선정을 적절히 행하는 방법 등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융해 온도)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DSC로 측정되는 융해 온도(Tm)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2℃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63℃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64℃이다. Tm이 160℃ 이상이면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얻어지기 쉽다. Tm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9℃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8℃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67℃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66℃이다. Tm이 170℃ 이하이면, 폴리프로필렌 제조의 점에서 코스트업을 억제하기 쉽거나, 제막 시에 파단되기 어려워진다. 전술의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결정핵제를 배합함으로써, 융해 온도를 더욱 올릴 수도 있다.
Tm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하고 있고, 1∼10mg의 샘플을 알루미늄 팬에 채워 넣고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세트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230℃에서 5분간 융해하고, 주사 속도 -10℃/분으로 30℃까지 강온한 후, 5분간 홀딩하고, 주사 속도 10℃/분으로 승온했을 때에 관찰되는, 융해에 수반하는 흡열 피크의 주된 피크 온도이다.
(결정화 온도)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DSC로 측정되는 결정화 온도(Tc)의 하한은 105℃이고, 바람직하게는 108℃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이다. Tc가 105℃ 이상이면, 폭 방향 연신과 그것에 이어지는 냉각 공정에 있어서 결정화가 진행되기 쉬워,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얻어지기 쉽다. Tc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3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2℃이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3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8℃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27℃이다. Tc가 135℃ 이하이면 폴리프로필렌 제조의 점에서 코스트업되기 어렵거나, 제막 시에 파단되기 어려워진다. 전술의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결정핵제를 배합함으로써, 결정화 온도를 더욱 올릴 수도 있다.
Tc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하고 있고, 1∼10mg의 샘플을 알루미늄 팬에 채워 넣고 DSC에 세트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230℃에서 5분간 융해하고, 주사 속도 -10℃/분으로 30℃까지 강온했을 때에 관찰되는 발열 피크의 주된 피크 온도이다.
(멜트 플로우 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JIS K 7210(1995)의 조건 M(230℃, 2.16kgf)에 준거하여 측정한 경우에 있어서, 4.0∼3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25g/10분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6.0∼22g/10분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7.0∼20g/10분이면 특히 바람직하며, 8.0∼20g/10분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4.0g/10분 이상이면, 열수축이 낮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
또,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30g/10분 이하이면, 필름의 제막성을 유지하기 쉽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230℃, 2.16kgf)의 하한은, 필름 특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5.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5.5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6.0g/1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6.3g/1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6.5g/10분으로 하는 것이 좋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5.0g/10분 이상이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저분자량 성분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후술하는 필름 제막 공정에서의 폭 방향 연신 공정을 채용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배향 결정화가 보다 촉진되는 것, 및 필름에 있어서의 결정화도가 보다 높아지기 쉬워지는 것에 더하여, 비결정 부분의 폴리프로필렌 분자쇄끼리의 뒤엉킴이 보다 적어져, 내열성을 보다 높이기 쉽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를 상기의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평균 분자량이나 분자량 분포를 제어하는 방법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GPC 적산 커브에 있어서의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의 하한은 35 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8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1 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2 질량%이다.
GPC 적산 커브에서의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65 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8 질량%이다. GPC 적산 커브에서의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이 65 질량% 이하이면 필름 강도가 저하되기 어렵다.
이때, 완화 시간이 긴 고분자량 성분이나 장쇄 분기 성분을 포함하면,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포함되는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을, 전체의 점도를 크게 바꾸지 않고, 조정하기 쉬워지므로, 강성이나 열수축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고 제막성을 개선하기 쉽다.
(분자량 분포)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분자량 분포의 넓이의 지표인 질량 평균 분자량(Mw)/수 평균 분자량(Mn)의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3.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이다. Mw/Mn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3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1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이다.
Mw/Mn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Mw/Mn이 상기 범위이면,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을 많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상이한 분자량의 성분을 다단계로 일련의 플랜트에서 중합하거나, 상이한 분자량의 성분을 오프라인에서 혼련기에서 혼합하거나, 상이한 성능을 갖는 촉매를 혼합하여 중합하거나, 원하는 분자량 분포를 실현할 수 있는 촉매를 이용하거나 함으로써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GPC로 얻어지는 분자량 분포의 형상으로는, 가로축에 분자량(M)의 대수(logM), 세로축에 미분 분포치(logM당의 중량 분율)를 취한 GPC 차트에 있어서, 단일 피크를 갖는 완만한 분자량 분포여도 되고, 복수의 피크나 숄더를 갖는 분자량 분포여도 된다.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중간층(B)에 이용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량이 0.3 몰%를 초과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량이 0.3 몰%를 초과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는, 저결정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α-올레핀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3-메틸펜텐-1, 3-메틸부텐-1, 1-헥센, 4-메틸펜텐-1, 5-에틸헥센-1,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량은 0.4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몰% 이상이다. 상기 범위이면 결정성이 저하되기 쉽다.
여기에서 공중합체란, 프로필렌에 상기에 예시되는 α-올레핀을 1종 또는 2종 이상 중합하여 얻어진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펜텐-1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중, DSC 융점이 가장 낮은 것의 융점 피크 온도가 150℃ 이상, 1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량이 0.3 몰%를 초과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중간층(B)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전체에 대해, 4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중량% 이상, 45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 중량% 이상, 35 중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중간층(B)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전체의 프로필렌 모노머 유래 성분 및 α-올레핀 모노머 유래 성분의 합계에 대한 α-올레핀 모노머 유래 성분의 비율은 0.03 몰% 이상, 0.4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4 몰% 이상, 0.3 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5 몰% 이상, 0.2 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간층(B)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전체의 아이소택틱 메소펜타드 분율은 강성의 관점에서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막성의 관점에서는 9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간층(B)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용단(溶斷) 시일성의 관점에서 5.0g/10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을 보다 높은 레벨로 양립할 수 있다. 6.0g/10mi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g/10min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8.0g/10min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
중간층(B)을 구성하는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특정의 아민 에스테르 화합물과 특정의 아민 화합물과 특정의 글리세린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특정 비율로 병용함으로써, 보다 대전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층(B)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민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A)을 0.3∼1.2 중량부,
[화학식 1]
Figure pct00005
식 중, R1, R2는 탄소수 7∼21의 알킬기이고, X 및 Y는, 각각 1∼9의 정수이며, X+Y는 2∼30의 정수이다.
일반식 (2)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B) 0.03∼1.2 중량부,
[화학식 2]
Figure pct00006
식 중, R3는 탄소수 7∼21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다.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민 디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C)을 0∼0.2 중량부,
[화학식 3]
Figure pct00007
식 중, R4, R5, R6는 탄소수 7∼21의 알킬기이고, X 및 Y는, 각각 1∼29의 정수이며, X+Y는 2∼30의 정수이다.
일반식 (4)로 표시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케닐 아민 화합물(D)을 0∼0.2 중량부,
[화학식 4]
Figure pct00008
식 중, R7은 탄소수 7∼21의 알케닐기이고, X 및 Y는, 각각 1∼29의 정수이며, X+Y는 2∼30의 정수이다.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아민 모노에스테르 화합물(A)은, 식 (1)로 표시되는 비이온계의 대전 방지제이며, 중간층(B)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3∼1.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3∼1.1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다. 화합물(A)의 함유량이 0.3 중량부 이상에서는 장기에 걸친 대전 방지 효과가 얻어지고, 1.2 중량부를 이하의 함유량에서는 블리드량이 적고, 백화에 의해 투명성의 저하가 적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글리세린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B)은 식 (2)로 표시되는 비이온계의 대전 방지제이며, R3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0∼21의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4∼20의 알킬기이고, 중간층(B)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3∼0.3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0.2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다. 화합물(E)의 함유량이 0.03 중량부 이상에서는 대전 방지성의 발현이 빨라 대전 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1.2 중량부 이하의 함유량에서는 블리드량이 적고, 필름 표면에 점착성이 생기기 어려운 동시에 백화에 의한 투명성이 저하가 적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디에탄올아민 화합물(C)은 식 (3)으로 표시되는 비이온계의 대전 방지제이며, 중간층(B)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2∼0.15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다. 화합물(C)의 함유량이 0.2 중량부 이하에서는 블리드량이 적고, 백화에 의한 투명성의 저하가 적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케닐 디에탄올아민 화합물(D)은 식 (4)로 표시되는 비이온계의 대전 방지제이며, 중간층(B)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2∼0.15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다. 화합물(C)의 함유량이 0.2 중량부 이하에서는 블리드량이 적고, 백화에 의한 투명성의 저하가 적다.
식 (1)∼(4)에서의 X 및 Y는 각각 1∼29의 정수이며, X+Y는 2∼3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4의 정수이다. R1은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3∼25의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3∼18의 알킬기이다.
식 (1)∼(3)에서의 R1∼R6의 알킬기로는,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라우릴기, 트리라우릴기, 미리스틸기, 펜타데실기, 팔미틸기, 헵타데실기, 스테아릴기, 노나데실기, 에이코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식 (4)에서의 R7의 알케닐기는 탄소 원자수 12∼21로 이루어지는 고급 불포화 지방족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이면, 중간층(B)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는 미끄러짐성 등의 품질 향상을 위한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왁스, 금속 비누 등의 윤활제, 가소제, 가공 조제나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에 통상 첨가되는 공지의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면층(C))
(폴리프로필렌 수지)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표면층(C)에 이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이용하면, 강성을 유지하면서, 라미네이트 강도를 향상시키기 쉽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표면층(C)에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실질적으로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을 포함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라도,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량은 바람직하게는 0.3 몰%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몰%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몰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이다. 상기 범위이면 결정성이 향상되기 쉽다.
이와 같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1-부텐, 1-펜텐, 3-메틸펜텐-1, 3-메틸부텐-1, 1-헥센, 4-메틸펜텐-1, 5-에틸헥센-1,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상이한 2종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함유량은, 표면층(C)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전체에 대해, 90 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 중량% 이상, 90 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중량% 이상, 80 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입체 규칙성)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입체 규칙성의 지표인 메소펜타드 분율([mmmm] %)은, 97.0∼99.9%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97.5∼99.7%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8.0∼99.5%의 범위 내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98.5∼99.3%의 범위 내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97.0% 이상이면,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성이 높아져, 필름에 있어서의 결정의 융점, 결정화도, 결정 배향도가 향상되어,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얻어지기 쉽다. 99.9% 이하이면 폴리프로필렌 제조의 점에서 코스트를 억제하기 쉽고, 제막 시에 파단되기 어려워진다. 메소펜타드 분율은 핵자기 공명법(소위 NMR법)으로 측정된다.
99.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소펜타드 분율은 핵자기 공명법(소위 NMR법)으로 측정된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메소펜타드 분율을 상술의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파우더를 n-헵탄 등의 용매로 세정하는 방법이나, 촉매 및/또는 조촉매의 선정,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성분의 선정을 적절히 행하는 방법 등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융해 온도)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DSC로 측정되는 융해 온도(Tm)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2℃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63℃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64℃이다. Tm이 160℃ 이상이면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얻어지기 쉽다. Tm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9℃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8℃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67℃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66℃이다. Tm이 170℃ 이하이면, 폴리프로필렌 제조의 점에서 코스트업을 억제하기 쉽거나, 제막 시에 파단되기 어려워진다. 전술의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결정핵제를 배합함으로써, 융해 온도를 더욱 올릴 수도 있다.
Tm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하고 있고, 1∼10mg의 샘플을 알루미늄 팬에 채워 넣고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세트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230℃에서 5분간 융해하고, 주사 속도 -10℃/분으로 30℃까지 강온한 후, 5분간 홀딩하고, 주사 속도 10℃/분으로 승온했을 때에 관찰되는, 융해에 수반되는 흡열 피크의 주된 피크 온도이다.
(결정화 온도)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결정화 온도(Tc)의 하한은 105℃이고, 바람직하게는 108℃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이다. Tc가 105℃ 이상이면, 폭 방향 연신과 그것에 이어지는 냉각 공정에 있어서 결정화가 진행되기 쉬워,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얻어지기 쉽다. Tc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3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2℃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3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8℃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27℃이다. Tc가 135℃ 이하이면 폴리프로필렌 제조의 점에서 코스트업되기 어렵거나, 제막 시에 파단되기 어려워진다. 전술의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결정핵제를 배합함으로써, 결정화 온도를 더욱 올릴 수도 있다.
Tc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하고 있고, 1∼10mg의 샘플을 알루미늄 팬에 채워 넣고 DSC에 세트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230℃에서 5분간 융해하고, 주사 속도 -10℃/분으로 30℃까지 강온했을 때에 관찰되는 발열 피크의 주된 피크 온도이다.
(멜트 플로우 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MFR은, JIS K 7210(1995)의 조건 M(230℃, 2.16kgf)에 준거하여 측정한 경우에 있어서, 4.0∼3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4.5∼25g/10분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4.8∼22g/10분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5.0∼20g/10분이면 특히 바람직하고, 6.0∼20g/10분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MFR이 4.0g/10분 이상이면, 열수축이 낮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
또,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MFR이 30g/10분 이하이면, 필름의 제막성을 유지하기 쉽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MFR(230℃, 2.16kgf)의 하한은, 필름 특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5.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5.5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6.0g/1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6.3g/1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6.5g/10분으로 하는 것이 좋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MFR이 5.0g/10분 이상이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저분자량 성분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후술하는 필름 제막 공정에서의 폭 방향 연신 공정을 채용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배향 결정화가 보다 촉진되는 것, 및 필름에 있어서의 결정화도가 보다 높아지기 쉬워지는 것에 더하여, 비결정 부분의 폴리프로필렌 분자쇄끼리의 뒤엉킴이 보다 적어져, 내열성을 보다 높이기 쉽다.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MFR을 상기의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평균 분자량이나 분자량 분포를 제어하는 방법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적산 커브에 있어서의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의 하한은 35 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8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1 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2 질량%이다.
GPC 적산 커브에서의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65 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8 질량%이다. GPC 적산 커브에서의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이 65 질량% 이하이면 필름 강도가 저하되기 어렵다.
이때, 완화 시간이 긴 고분자량 성분이나 장쇄 분기 성분을 포함하면,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포함되는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을, 전체의 점도를 크게 바꾸지 않고, 조정하기 쉬워지므로, 강성이나 열수축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고, 제막성을 개선하기 쉽다.
(분자량 분포)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분자량 분포의 넓이의 지표인 질량 평균 분자량(Mw)/수 평균 분자량(Mn)의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3.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이다. Mw/Mn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3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1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이다.
Mw/Mn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Mw/Mn가 상기 범위이면,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을 많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상이한 분자량의 성분을 다단계로 일련의 플랜트에서 중합하거나, 상이한 분자량의 성분을 오프라인에서 혼련기로 혼합하거나, 상이한 성능을 갖는 촉매를 혼합하여 중합하거나, 원하는 분자량 분포를 실현할 수 있는 촉매를 이용하거나 함으로써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GPC로 얻어지는 분자량 분포의 형상으로는, 가로축에 분자량(M)의 대수(logM), 세로축에 미분 분포치(logM당의 중량 분율)를 취한 GPC 차트에 있어서, 단일 피크를 갖는 완만한 분자량 분포여도 되고, 복수의 피크나 숄더를 갖는 분자량 분포여도 된다.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표면층(C)에 이용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량 0.3 몰을 초과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량 0.3 몰을 초과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는, 저결정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α-올레핀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3-메틸펜텐-1, 3-메틸부텐-1, 1-헥센, 4-메틸펜텐-1, 5-에틸헥센-1,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량 0.4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몰% 이상이다. 상기 범위이면 결정성이 저하되기 쉽다.
여기에서 공중합체란, 프로필렌에 상기에 예시되는 α-올레핀을 1종 또는 2종 이상 중합하여 얻어진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펜텐-1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중, DSC 융점이 가장 낮은 것의 융점 피크 온도가 150℃ 이상, 1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성분량 0.3 몰을 초과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표면층(C)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전체에 대해, 1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중량% 이상, 60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표면층(C)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전체의 프로필렌 모노머 유래 성분 및 α-올레핀 모노머 유래 성분의 합계에 대한 α-올레핀 모노머 유래 성분의 비율은 0.10 몰% 이상, 0.4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 몰% 이상, 0.2 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 몰% 이상, 0.25 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층(C)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전체의 아이소택틱 메소펜타드 분율은 강성의 관점에서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막성의 관점에서는 9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표면층(C)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용단 시일성의 관점에서 5.0g/10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을 보다 높은 레벨로 양립할 수 있다. 6.0g/10mi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g/10min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8.0g/10min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
표면층(C)을 구성하는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특정의 아민 에스테르 화합물과 특정의 아민 화합물과 특정의 글리세린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특정 비율로 병용함으로써, 보다 대전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층(C)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민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A)을 0.3∼1.2 중량부,
[화학식 1]
Figure pct00009
식 중, R1, R2는 탄소수 7∼21의 알킬기이고, X 및 Y는, 각각 1∼29의 정수이며, X+Y는 2∼30의 정수이다.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B) 0.03∼1.2 중량부,
[화학식 2]
Figure pct00010
식 중, R3는 탄소수 7∼21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다.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민 디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C)을 0∼0.2 중량부,
[화학식 3]
Figure pct00011
식 중, R4, R5, R6는 탄소수 7∼21의 알킬기이고, X 및 Y는, 각각 1∼29의 정수이며, X+Y는 2∼30의 정수이다.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케닐 아민 화합물(D)을 0∼0.2 중량부,
[화학식 4]
Figure pct00012
식 중, R7은 탄소수 7∼21의 알케닐기이고, X 및 Y는, 각각 1∼29의 정수이며, X+Y는 2∼30의 정수이다.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민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A)은, 식 (1)로 표시되는 비이온계의 대전 방지제이며, 표면층(C)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3∼1.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3∼1.1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다. 화합물(A)의 함유량이 0.3 중량부 이상에서는 장기에 걸친 대전 방지 효과가 얻어지고, 1.2 중량부 이하의 함유량에서는 블리드량이 적고, 백화에 의해 투명성의 저하가 적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글리세린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B)은 식 (2)로 표시되는 비이온계의 대전 방지제이며, R3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0∼21의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4∼20의 알킬기이고, 표면층(C)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3∼0.3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0.2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다. 화합물(E)의 함유량이 0.03 중량부 이상에서는 대전 방지성의 발현이 빨라서 대전 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1.2 중량부 이하의 함유량에서는 블리드량이 적고, 필름 표면에 점착성이 생기기 어려운 동시에 백화에 의한 투명성이 저하가 적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민 디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C)은 식 (3)으로 표시되는 비이온계의 대전 방지제이며, 표면층(C)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2∼0.15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다. 화합물(C)의 함유량이 0.2 중량부 이하에서는 블리드량이 적고, 백화에 의한 투명성의 저하가 적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민 1 몰에 대해 에틸렌 옥사이드를 2 몰 이상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케닐 아민 화합물(D)은 식 (4)로 표시되는 비이온계의 대전 방지제이며, 표면층(C)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2∼0.15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다. 화합물(D)의 함유량이 0.2 중량부 이하에서는 블리드량이 적고, 백화에 의한 투명성의 저하가 적다.
식 (1)∼(4)에서의 X 및 Y는 각각 1∼29의 정수이고, X+Y는 2∼3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4의 정수이다. R1은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3∼25의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3∼18의 알킬기이다.
식 (1)∼(3)에서의 R1∼R6의 알킬기로는,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라우릴기, 트리라우릴기, 미리스틸기, 펜타데실기, 팔미틸기, 헵타데실기, 스테아릴기, 노나데실기, 에이코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식 (4)에서의 R7의 알케닐기는 탄소 원자수 12∼21로 이루어지는 고급 불포화 지방족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이면, 표면층(C)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는 미끄러짐성 등의 품질 향상을 위한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왁스, 금속 비누 등의 윤활제, 가소제, 가공 조제나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에 통상 첨가되는 공지의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무기질이나 유기질의 미세 입자 등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기질의 미세 입자로는,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탈크, 카올린, 운모, 제올라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형상은, 구상, 타원상, 원추상, 부정형으로 종류를 따지지 않으며, 그 입자 지름도 필름의 용도, 사용법에 따라 원하는 것을 사용 배합할 수 있다.
또, 유기질의 미세 입자로는, 아크릴, 아크릴산 메틸, 스티렌-부타디엔 등의 가교체 입자를 사용할 수 있고, 형상, 크기에 관해서는 무기질 미세 입자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들 무기질 또는 유기질의 미세 입자 표면에 각종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은 후술의 표면층(B)에도 적합하다.
(필름층 구성)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은, 기재층(A)/중간층(B)/표면층(C)의 3층 구조, 표면층(C)/기재층(A)/중간층(B)/표면층(C)의 4층 구조, 표면층(C)/중간층(B)/기재층(A)/중간층(B)/표면층(C)의 6층 구조여도 된다.
(필름 두께)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전층(全層) 두께는, 그 용도나 사용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필름 강도, 또는 밀봉성 또는 수증기 배리어성의 관점에서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고속 포장 가공성, 또는 시인성의 점에 있어서,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4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4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기재층(A)의 두께는, 그 용도나 사용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필름의 강성이나 수증기 배리어성의 점에서, 10㎛ 이상이 바람직하다. 투명성이나 환경에의 영향의 점에 있어서,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4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4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7㎛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층(B)의 두께는, 그 용도나 사용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필름의 라미네이트 강도나 대전 방지성의 점에서, 1㎛ 이상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4㎛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간층(B)의 두께는, 그 용도나 사용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필름의 강성이나 고온에서의 내열성의 점에서, 8㎛ 이하가 바람직하고, 6㎛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층(B)의 두께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전층의 두께에 대한 비율은, 5% 이상인 것이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간층(B)의 두께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전층의 두께에 대한 비율은, 30% 이하인 것이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층(C)의 두께는, 그 용도나 사용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필름의 라미네이트 강도나 대전 방지성의 점에서, 0.3㎛ 이상이 바람직하고, 0.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8㎛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층(C)의 두께는, 그 용도나 사용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필름의 강성이나 고온에서의 내열성의 점에서 4㎛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층(C)의 두께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전층의 두께에 대한 비율은, 2% 이상인 것이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4%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층(C)의 두께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전층의 두께에 대한 비율은, 20% 이하인 것이 강성과 고온에서의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막 방법)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미연신 시트를 제작해, 2축 연신함으로써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2축 연신의 방법으로는, 인플레이션 동시 2축 연신법, 텐터 동시 2축 연신법, 텐터 축차 2축 연신법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지만, 제막 안정성, 두께 균일성의 관점에서 텐터 축차 2축 연신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길이 방향으로 연신 후,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폭 방향으로 연신 후에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방법을 이하에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는, 표면층(C)/중간층(B)/기재층(A)/중간층(B)/표면층(C)인 경우의 예에 대해, 텐터 축차 2축 연신법을 채용한 경우에 대해서 말한다.
우선, 표면층(C)/중간층(B)/기재층(A)/중간층(B)/표면층(C)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용융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다층 시트를 T 다이로부터 압출한다.
그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6대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이한 유로로부터 송출된 열가소성 수지를 다층 피드블록이나 스태틱 믹서, 다층 멀티매니폴드 다이 등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적층하면서, 공압출(共押出)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1대의 압출기만을 이용하여, 압출기에서부터 T형 다이까지의 멜트 라인에 상술의 다층화 장치를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압의 안정화 및 두께 변동의 억제의 관점에서 폴리머 유로에 기어 펌프를 설치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T 다이로부터 시트상(狀)으로 공압출한 용융 시트를 금속제 냉각 롤 상에 접지시켜 냉각 고화한다. 고화를 촉진할 목적으로, 냉각 롤로 냉각한 시트를 수조에 침지하는 등 하여, 더욱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시트를 가열한 2쌍의 연신 롤로, 후방의 연신 롤의 회전수를 크게 함으로써 시트를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여, 1축 연신 필름을 얻는다.
계속해서, 1축 연신 필름을 예열 후, 텐터식 연신기에서 필름 단부를 파지(把持)하면서, 특정의 온도로 폭 방향으로 연신을 행하여, 2축 연신 필름을 얻는다. 이 폭 방향 연신 공정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폭 방향 연신 공정이 종료 후, 2축 연신 필름을 특정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2축 배향 필름을 얻는다.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는, 폭 방향으로 필름을 이완해도 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적어도 편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와인더로 권취(卷取)함으로써 필름 롤을 얻을 수 있다.
이하 각각의 공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압출 공정)
냉각 롤, 또는 냉각 롤과 수조의 온도는, 10℃에서 Tc까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의 투명성을 올리고 싶은 경우는, 10∼50℃ 범위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온도를 50℃ 이하로 하면 미연신 시트의 투명성이 높아지기 쉽고,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축차 2축 연신 후의 결정 배향도를 증대시키려면 냉각 온도를 40℃ 이상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한 경우가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메소펜타드 분율이 97.0% 이상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는, 냉각 온도를 40℃ 이하로 하는 것이 다음 공정의 연신을 용이하게 행하고, 또 두께 불균일을 저감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며, 3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미연신 시트의 두께는 3500㎛ 이하로 하는 것이 냉각 효율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3000㎛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축차 2축 연신 후의 필름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미연신 시트의 두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압출 속도 및 T 다이의 립 폭 등으로 제어할 수 있다.
(길이 방향 연신 공정)
길이 방향 연신 배율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3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8배이다. 상기 범위이면 강도를 높이기 쉽고, 막 두께 불균일도 줄어든다. 길이 방향 연신 배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8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7배이다. 상기 범위이면, 폭 방향 연신 공정에서의 폭 방향 연신을 하기 쉬워, 생산성이 향상된다.
길이 방향 연신 온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Tm-4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m-37℃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Tm-35℃이다. Tm은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융점으로 한다. 상기 범위이면 계속해서 행하여지는 폭 방향 연신이 용이해지고, 두께 불균일도 줄어든다. 길이 방향 연신 온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Tm-7℃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m-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Tm-12℃이다. 상기 범위이면 열수축률을 작게 하기 쉬워, 연신 롤에 부착되어 연신하기 어려워지거나, 표면의 거칠기가 커짐으로써 품위가 저하되는 일도 적다.
또한, 길이 방향 연신은 3쌍 이상의 연신 롤을 사용하여, 2단계 이상의 다단계로 나누어 연신해도 된다.
(예열 공정)
폭 방향 연신 공정 전에, 길이 방향 연신 후의 1축 연신 필름을 Tm∼Tm+25℃의 범위에서 가열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연화시킬 필요가 있다. Tm 이상으로 함으로써, 연화가 진행되어, 폭 방향의 연신이 용이해진다. Tm+25℃ 이하로 함으로써, 가로 연신 시의 배향이 진행되어, 강성이 발현되기 쉬워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Tm+2∼Tm+22℃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Tm+3∼Tm+20℃이다. 여기에서, 예열 공정에서의 최고 온도를 예열 온도로 한다.
(폭 방향 연신 공정)
예열 공정 후의 폭 방향 연신 공정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방법은 이하와 같다.
폭 방향 연신 공정에 있어서는, Tm-10℃ 이상, 예열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연신하는 구간(전기(前期) 구간)을 설치한다. 이때, 전기 구간의 개시 시는 예열 온도에 도달한 시점이어도 되고, 예열 온도에 도달한 후에 온도를 강하시켜 예열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에 도달한 시점이어도 된다.
폭 방향 연신 공정에서의 전기 구간의 온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T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m+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Tm+3℃이다. 전기 구간의 연신 온도가 이 범위이면, 고온에서의 수축이 저감되기 쉽고, 면 배향 계수가 너무 높아지지 않아, 3층 구성으로 했을 때 라미네이트도 향상되기 쉽다.
전기 구간에 이어, 전기 구간의 온도보다도 낮고, 또한 Tm-70℃ 이상, Tm-5℃ 이하의 온도에서 연신하는 구간(후기(後期) 구간)을 설치해도 되고, 전기 구간에서의 온도로 그대로 가로 방향 연신을 계속해도 된다.
후기 구간의 연신 온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Tm-8℃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m-10℃이다. 후기 구간의 연신 온도가 이 범위이면 강성이 발현되기 쉬워진다.
후기 구간의 연신 온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Tm-6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m-6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Tm-55℃이다. 후기 구간의 연신 온도가 이 범위이면 제막이 안정되기 쉽다.
후기 구간 종료 시, 또는 전기 구간에서의 온도로 그대로 가로 방향 연신을 계속하여, 폭 방향 최종 연신 배율에 도달했을 때의 직후에, 필름을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냉각 온도는, 후기 구간의 온도 이하이고, 또한 Tm-80℃ 이상, Tm-15℃ 이하의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Tm-80℃ 이상, Tm-20℃ 이하의 온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Tm-80℃ 이상, Tm-30℃ 이하의 온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Tm-70℃ 이상, Tm-40℃ 이하의 온도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기 구간의 온도 및 후기 구간의 온도는, 서서히 저하시킬 수도 있지만, 단계적으로 또는 1단계로 저하시킬 수도 있고, 각각 일정해도 된다. 온도를 서서히 저하시키면, 필름의 파단되기 어렵고, 또 필름의 두께 변동도 작게 하기 쉽다. 또, 열수축률도 작게 하기 쉽고, 필름의 백화도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폭 방향 연신 공정에서의 전기 구간 종료 시의 온도로부터 후기 구간 개시 시의 온도로는 서서히 저하시킬 수도 있지만, 단계적으로 또는 1단계로 저하시킬 수도 있다.
후기 구간을 설치하는 경우는, 폭 방향 연신 공정의 전기 구간 종료 시의 연신 배율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5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배이다. 전기 구간 종료 시의 연신 배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5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배이다.
후기 구간을 설치하는 경우는, 폭 방향 연신 공정에서의 최종 폭 방향 연신 배율의 하한은, 바람직하게 7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배이다. 7배 이상이면 강성을 높이기 쉽고, 막 두께 불균일도 줄어들기 쉽다. 폭 방향 연신 배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배이다. 20배 이하이면 열수축률을 작게 하기 쉽고, 연신 시에 파단되기 어렵다.
후기 구간을 설치하지 않고, 전기 구간에서의 온도로 그대로 가로 방향 연신을 계속하는 경우는, 폭 방향 연신 공정에서의 최종 폭 방향 연신 배율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배이다. 10배 이상이면 강성을 높이기 쉽고, 막 두께 불균일도 줄어들기 쉽다. 폭 방향 연신 배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배이다. 20배 이하이면 열수축률을 작게 하기 쉽고, 연신 시에 파단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입체 규칙성이 높고, 고융점인 결정성이 높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고, 상술의 폭 방향 연신 공정을 채용함으로써, 연신 배율을 극단적으로 크게 하지 않아도,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분자가 고도로 주배향 방향(상술한 폭 방향 연신 공정에서는 폭 방향이 해당된다.)으로 정렬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2축 배향 필름 중의 결정 배향이 매우 강하고, 융점도 높은 결정이 생성되기 쉽다.
또, 결정 사이의 비결정부의 배향도 주배향 방향(상술한 폭 방향 연신 공정에서는 폭 방향이 해당된다.)으로 높아지고, 비결정부의 주위에 융점이 높은 결정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결정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비결정부의 신장된 폴리프로필렌 분자는 완화되기 어려워, 그 긴장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그 때문에, 고온에 있어서도 2축 배향 필름 전체가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주목해야 할 것은, 이와 같은 폭 방향 연신 공정을 채용함으로써, 150℃의 고온에서의 열수축률도 저하되기 쉽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비결정부의 주위에 융점이 높은 결정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결정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비결정부에 있어서의 신장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분자는 완화되기 어렵고, 게다가 분자끼리의 뒤엉킴이 적은 것에 있다.
또한 주목해야 할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저분자량 성분을 늘림으로써, 필름의 결정화도가 보다 높아지기 쉬워지는 동시에, 비결정 부분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분자쇄끼리의 뒤엉킴이 보다 줄어들어, 열수축 응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열수축률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종래는 강도와 열수축률 중 어느 쪽이 향상되면, 다른 쪽의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되는 것을 고려하면, 획기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열처리 공정)
2축 연신 필름은 필요에 따라서, 열수축률을 더욱 작게 하기 위해, 열처리할 수 있다. 열처리 온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Tm+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m+7℃이다. Tm+10℃ 이하로 함으로써, 강성이 발현되기 쉽고, 필름 표면의 거칠기가 너무 커지지 않으며, 필름이 백화되기 어렵다. 열처리 온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Tm-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m-7℃이다. Tm-10℃ 미만이면 열수축률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상술의 폭 방향 연신 공정을 채용함으로써, Tm-10℃에서부터 Tm+10 사이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행하여도, 연신 공정에서 생성한 배향이 높은 결정은 융해하기 어려워, 얻어진 필름의 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열수축률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열수축률을 조정할 목적으로, 열처리 시에 폭 방향으로 필름을 이완(완화) 시켜도 된다. 이완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필름 강도가 저하되기 어렵고, 필름 두께 변동이 작아지기 쉽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이다.
(필름 두께)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는 각 용도에 맞추어 설정되지만, 필름의 강도를 얻으려면, 필름 두께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6㎛이다. 필름 두께가 2㎛ 이상이면 필름의 강성을 얻기 쉽다. 필름 두께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이다. 필름 두께가 100㎛ 이하이면 압출 공정 시의 미연신 시트의 냉각 속도가 작아지기 어렵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통상, 폭 2000∼12000㎜, 길이 1000∼50000m 정도의 롤로서 제막되어, 필름 롤상(狀)으로 권취된다. 또한, 각 용도에 맞추어 슬릿되어, 폭 300∼2000㎜, 길이 500∼5000m 정도의 슬릿 롤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보다 장척(長尺)의 필름 롤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대전 방지성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에는, 목적에 따라서,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오존 처리, 약품 처리 등의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한 표면 처리나, 공지의 앵커 처리제를 이용한 앵커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특히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오존 처리를 행함으로써, 대전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얻어진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냉각 롤에 접촉시킨 측의 필름 표면에 소프탈 코로나 & 플라스마 게엠베하사 제조 등의 코로나 처리기를 이용해, 인가(印加) 전류치를 0.30∼2.0A의 조건에서,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0∼2.0A가 보다 바람직하며, 0.80∼2.0A가 더욱 바람직하고, 1.5∼2.0A가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 균일성)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 균일성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이다. 두께 균일성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2%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이다. 상기 범위이면 코팅이나 인쇄 등의 후가공 시에 불량이 생기기 어려워, 정밀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이용하기 쉽다.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이 했다.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필름 물성이 안정되어 있는 정상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 40㎜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미크론 계측기(주) 제조의 필름 이송 장치(제조번호: A90172를 사용) 및 안리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필름 두께 연속 측정기(제품명: K-313A 광범위 고감도 전자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20000㎜에 걸쳐 연속해서 필름 두께를 계측하고, 아래 식으로부터 두께 균일성을 산출했다.
두께 균일성(%)=[(두께의 최대치-두께의 최저치)/두께의 평균치]×100
(필름 특성)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하기 특성에 특징이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이란,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이고, 「폭 방향」이란, 상기의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이 불명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대해서는, 필름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광각 X선을 입사하고, α형 결정의 (110)면에서 유래하는 산란 피크를 원주 방향으로 스캔하여, 얻어진 회절 강도 분포의 회절 강도가 가장 큰 방향을 「폭 방향」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다.
(23℃ 5% 신장 시 응력)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23℃에서의 길이 방향의 5% 신장 시의 응력(F5)의 하한은 40MPa이고, 바람직하게는 42MPa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3MPa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4MPa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5MPa이다. 40MPa 이상에서는, 강성이 높기 때문에, 포장 봉지로 했을 때의 봉지 형상을 유지하기 쉽고, 인쇄 등 가공 시에 필름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다. 길이 방향의 F5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70MPa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MP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2MPa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1MPa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0MPa이다. 70MPa 이하에서는 현실적인 제조가 용이하거나, 세로 한 폭 밸런스가 좋아지기 쉽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23℃에서의 폭 방향의 F5의 하한은 160MPa이고, 바람직하게는 165MPa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68MPa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MPa이다. 160MPa 이상에서는, 강성이 높기 때문에, 포장 봉지로 했을 때의 봉지 형상을 유지하기 쉽고, 인쇄 등 가공 시에 필름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다. 폭 방향의 F5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50MPa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5MP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MPa이다. 250MPa 이하이면 현실적인 제조가 용이하거나, 세로 한 폭 밸런스가 좋아지기 쉽다.
F5는 연신 배율이나 릴랙스율을 조절하거나, 제막 시의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150℃ 열수축률)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150℃에서의 길이 방향의 열수축률의 상한은 7%이고, 바람직하게는 6.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이다. 150℃에서의 폭 방향의 열수축률의 상한은 16%이고, 바람직하게는 16%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이다. 길이 방향의 열수축률이 10% 이하, 또한, 폭 방향의 열수축률이 30% 이하이면, 히트 시일 시의 주름이 생기기 어렵고, 특히 150℃에서의 길이 방향의 열수축률이 8.0% 이하, 150℃에서 폭 방향의 열수축률이 15% 이하이면, 개구부에 척부를 융착할 때의 일그러짐도 극히 작아 바람직하다. 150℃에서의 열수축률을 작게 하려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적산 커브를 측정한 경우의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양의 하한을 35 질량%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하기 특성, 구조를 가지면 보다 좋다.
(120℃ 열수축률)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120℃에서의 길이 방향의 열수축률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이다. 2.0% 이하이면, 인쇄 잉크를 전사할 때의 인쇄 피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120℃에서의 폭 방향의 열수축률의 상한은 5.0%이고, 바람직하게는 4.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이다. 5.0% 이하이면, 히트 시일 시의 주름이 생기기 어렵다.
120℃에서의 길이 방향 열수축률이 120℃에서의 폭 방향 열수축률보다 작으면, 인쇄 잉크를 전사할 때의 인쇄 피치 어긋남이 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120℃에서의 열수축률과, 열수축률의 길이 방향-폭 방향의 밸런스는 연신 배율, 연신 온도, 열고정 온도의 조정에 의해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굴절률)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길이 방향의 굴절률(Nx)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49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99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20이다. 1.4970 이상이면 필름의 강성을 크게 하기 쉽다. 길이 방향의 굴절률(Nx)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5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7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50이다. 1.5100 이하이면 필름의 길이 방향-폭 방향의 특성의 밸런스가 뛰어나기 쉽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폭 방향의 굴절률(Ny)의 하한은 1.5230이고, 바람직하게는 1.524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0이다. 1.5230 이상이면 필름의 강성을 크게 하기 쉽다. 폭 방향의 굴절률(Ny)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528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7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70이다. 1.5280 이하이면 필름의 길이 방향-폭 방향의 특성의 밸런스가 뛰어나기 쉽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49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97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99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00이다. 1.4960 이상이면 필름의 강성을 크게 하기 쉽다.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50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10이다. 1.5020 이하이면 필름의 내열성을 높이기 쉽다.
굴절률은 연신 배율, 연신 온도, 열고정 온도의 조정에 의해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Ny)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폭 방향의 배향의 정도인 △Ny의 하한은 0.0220이고, 바람직하게는 0.023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3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40이다. 0.0220 이상이면 필름의 강성이 높아지기 쉽다. △Ny의 상한은, 현실적인 값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02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6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62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60이다. 0.0270 이하이면 두께 불균일도 양호해지기 쉽다. △Ny는 필름의 연신 배율, 연신 온도, 열고정 온도의 조정에 의해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Ny는 필름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두께 방향을 따른 굴절률을 각각 Nx, Ny, Nz로 하고,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데, 필름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두께 방향 전체의 배향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배향의 정도를 의미한다.
△Ny=Ny-[(Nx+Nz)/2]
(면 배향 계수)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면 배향 계수(ΔP)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013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40이다. 0.0135 이상이면 필름의 면 방향의 밸런스가 양호하고, 두께 불균일도 양호하다. 면 배향 계수(ΔP)의 상한은, 현실적인 값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015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0이다. 0.0155 이하이면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뛰어나기 쉽다. 면 배향 계수(ΔP)는 연신 배율, 연신 온도, 열고정 온도의 조정에 의해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또, 면 배향 계수(ΔP)는, (식) [(Nx+Ny)/2]-Nz를 이용하여 계산했다.
(헤이즈)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헤이즈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5%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이다. 5.0% 이하이면 투명이 요구되는 용도에서 사용하기 쉽다. 헤이즈의 하한은, 현실적인 값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4%이다. 0.1% 이상이면 제조하기 쉽다. 헤이즈는, 냉각 롤(CR) 온도, 폭 방향 연신 온도, 텐터 폭 방향 연신 전 예열 온도, 폭 방향 연신 온도, 또는 열고정 온도,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분자량이 10만 이하인 성분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범위 내로 할 수 있지만, 블로킹 방지제의 첨가나, 시일층 부여에 의해, 커지는 경우가 있다.
(필름의 실용 특성)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갖는 실용 특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장 파단 강도)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길이 방향의 인장 파단 강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90MPa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MP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MPa이다. 90MPa 이상이면 인쇄 잉크를 전사할 때의 인쇄 피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포장 봉지의 내구성도 뛰어나기 쉽다. 길이 방향의 인장 파단 강도의 상한은, 현실적인 값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00MPa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MP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MPa이다. 200MPa 이하이면 필름의 파단이나 포장 봉지의 파대(破袋)가 줄어들기 쉽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폭 방향의 인장 파단 강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320MPa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40MP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MPa이다. 320MPa 이상이면 인쇄 잉크를 전사할 때의 인쇄 피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포장 봉지의 내구성도 뛰어나기 쉽다. 폭 방향의 인장 파단 강도의 상한은, 현실적인 값으로서 바람직하게는 500MPa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80MP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70MPa이다. 500MPa 이하이면 필름의 파단이나 포장 봉지의 파대가 줄어들기 쉽다.
인장 파단 강도는 연신 배율, 연신 온도, 열고정 온도의 조정에 의해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인장 파단 신도(伸度))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길이 방향의 인장 파단 신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이다. 50% 이상이면 필름의 파단이나 포장 봉지의 파대가 줄어들기 쉽다. 길이 방향의 인장 파단 신도의 상한은, 현실적인 값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3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210%이다. 230% 이하이면 인쇄 잉크를 전사할 때의 인쇄 피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포장 봉지의 내구성이도 뛰어나기 쉽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폭 방향의 인장 파단 신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이다. 10% 이상이면, 필름의 파단이나 포장 봉지의 파대가 줄어들기 쉽다. 폭 방향의 인장 파단 신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이다. 60% 이하이면 인쇄 잉크를 전사할 때의 인쇄 피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포장 봉지의 내구성도 뛰어나기 쉽다.
인장 파단 신도는 연신 배율, 연신 온도, 열고정 온도의 조정에 의해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루프 스티프니스(loop stiffness) 응력)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23℃에서의 길이 방향의 루프 스티프니스 응력 S(mN)의 하한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를 t(㎛)라고 하면, 바람직하게는 0.00020×t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25×t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30×t3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035×t3이다. 0.00020×t3 이상이면, 포장체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다. 23℃에서의 길이 방향의 루프 스티프니스 응력 S(mN)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00080×t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75×t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72×t3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070×t3이다. 0.00080×t3 이하이면, 현실적으로 제조하기 쉽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23℃에서의 폭 방향의 루프 스티프니스 응력 S(mN)의 하한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를 t(㎛)라고 하면, 바람직하게는 0.0010×t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1×t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2×t3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13×t3이다. 0.0010×t3 이상이면, 포장체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다. 23℃에서의 폭 방향의 루프 스티프니스 응력 S(mN)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0020×t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9×t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8×t3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17×t3이다. 0.0020×t3 이하이면, 현실적으로 제조하기 쉽다.
루프 스티프니스 응력은 필름의 탄력감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그것은 필름의 두께에도 의존한다. 그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필름의 길이 방향을 단책(短冊)의 장축(루프 방향), 또는 필름의 폭 방향을 단책의 장축(루프 방향)으로 하여, 110㎜×25.4㎜의 단책을 각각 2장씩 잘라냈다. 이들을 클립에 끼워 필름의 한쪽의 면이 루프의 내면이 되는 것과, 그 반대면이 루프의 내면이 되는 측정용 루프를, 단책의 장축이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이 되는 것에 대해서 제작했다. 단책의 장축이 필름의 길이 방향이 되는 측정용 루프를, 도요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루프 스티프니스 테스터 DA의 척부에 폭 방향을 수직으로 한 상태로 세트하여, 클립을 떼어내고, 척 간격은 50㎜, 압입(押入) 깊이를 15㎜, 압축 속도를 3.3㎜/초로 하여 루프 스티프니스 응력을 측정했다.
측정은, 필름의 한쪽의 면이 루프의 내면이 되도록 한 것의 루프 스티프니스 응력과 두께를 5회 측정하고, 그 후 다른 편면이 루프의 내면이 되도록 한 것도 5회 측정했다. 이 합계 10회분의 데이터를 이용해, 각 시험편의 두께(㎛)의 3제곱을 가로축에, 그 루프 스티프니스 응력(mN)을 세로축에 플롯하고, 절편 0이 되는 직선으로 근사(近似)하여, 그 기울기 a를 구했다. 기울기 a는 강성을 결정하는 두께에 따르지 않는 필름 고유의 특성치를 의미한다. 기울기 a를 탄력감의 평가치로 했다. 단책의 장축이 필름의 폭 방향이 되는 측정용 루프도 마찬가지로 측정했다.
(히트 시일 시의 주름)
식품을 포장하는 봉지를 형성하려면, 제대(製袋) 완료의 봉지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가열하여 필름을 용융하고 융착하여 밀봉한다. 또, 식품을 충전하면서 제대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행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은 기재(基材) 필름에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런트 필름을 적층하고, 이 실런트 필름면끼리를 융착시킨다. 가열 방법은 기재 필름측에서 가열판으로 압력을 가하여 필름을 눌러 시일하는데, 시일 폭은 10㎜ 정도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기재 필름도 가열되기 때문에, 그때의 수축이 주름을 발생시킨다. 봉지의 내구성에 있어서 주름은 적은 쪽이 좋고, 구매 의욕을 높이기 위해서도 주름은 적은 쪽이 좋다. 시일 온도는 120℃ 정도인 경우도 있지만, 제대 가공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고온에서의 시일 온도가 요구되고, 그 경우라도 수축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봉지의 개구부에 척을 융착하는 경우에는, 더욱 고온에서의 시일이 요구된다.
(라미네이트 강도)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폭 방향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N/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N/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N/15㎜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3N/15㎜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4N/15㎜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5N/15㎜이다. 1.0N/15㎜ 이상이면 포장 봉지의 파대가 줄어들기 쉽다. 폭 방향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상한은, 현실적인 값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5N/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N/15㎜이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길이 방향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2N/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N/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N/15㎜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5N/15㎜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6N/15㎜이다. 1.2N/15㎜ 이상이면 포장 봉지의 파대가 줄어들기 쉽다. 길이 방향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상한은, 현실적인 값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7N/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N/15㎜이다.
(표면 고유 저항 시험)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표면의 표면 고유 저항은 15Ω/□ 이하가 바람직하고, 14.5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4.0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3.5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15Ω/□이하이면 필름 롤이나 가공 중의 필름의 대전이 적고, 제대 가공을 하기 쉬우며, 얻어진 봉지에도 결함이 줄어들기 쉽다. 표면 고유 저항 길이의 하한은, 현실적인 값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0N/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N/15㎜이다.
(인쇄 피치 어긋남)
포장 필름의 구성으로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인쇄가 실시된 기재 필름과 실런트 필름의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봉지의 제조에는, 제대기가 사용되며, 삼방(三方) 봉지, 스탠딩 봉지, 거세트(gusset) 봉지 등이 있고, 다양한 제대기가 사용되고 있다. 인쇄 피치 어긋남은, 인쇄 공정 시에 필름에 텐션이나 열을 가하므로, 필름의 기재가 신축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인쇄 피치 어긋남에 의한 불량품을 없애는 것은 자원의 유효 활용의 점에서도 중요하며, 구매 의욕을 높이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필름 가공)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인쇄는 용도에 따라서, 철판(凸版) 인쇄·평판 인쇄·요판(凹版) 인쇄, 공판(孔版) 인쇄, 전사 인쇄 방식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酢酸) 비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미연신 시트, 1축 연신 필름, 2축 연신 필름을 실런트 필름으로서 첩합(貼合)하여, 히트 시일성을 부여한 라미네이트체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배리어성이나 내열성을 높이고 싶을 때는 알루미늄박이나 폴리 염화 비닐리덴, 나일론,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미연신 시트, 1축 연신 필름, 2축 연신 필름을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실런트 필름의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설치할 수 있다. 실런트 필름의 첩합에는,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또는 핫멜트 라미네이션법에 의해 도포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성을 높이려면,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나 중간층 필름, 또는 실런트 필름에 알루미늄이나 무기 산화물을 증착 가공할 수도 있다. 증착 방법에는 진공 증착, 스퍼터링, 이온 플레이팅법을 채용할 수 있지만, 특히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진공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는, 예를 들면,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류, 고급 지방산의 아민류, 고급 지방산의 아마이드류, 고급 지방산의 아민이나 아마이드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방담제(防曇劑)의 필름 중에서의 존재량을 0.2∼5 질량%의 범위로 함으로써, 야채, 과실, 화초 등 높은 선도가 요구되는 식물류로 이루어지는 신선품을 포장하는 데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이면, 미끄러짐성이나 대전 방지성 등의 품질 향상을 위한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왁스, 금속 비누 등의 윤활제, 가소제, 가공 조제나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는 없는 뛰어난 특성을 갖기 때문에, 포장 봉지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 필름의 두께를 종래보다도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는, 콘덴서나 모터 등의 절연 필름, 태양전지의 백시트, 무기 산화물의 배리어 필름, ITO 등의 투명 도전 필름의 베이스 필름 등 고온에서 사용되는 용도나, 세퍼레이트 필름 등 강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도 적합하다. 또, 종래이용되기 어려웠던 코팅제나 잉크, 라미네이트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온에서의 코팅이나 인쇄 가공이 가능해져, 생산의 효율화가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특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를 행하였다.
(1) 멜트 플로우 레이트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JIS K 7210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f에서 측정했다.
(2) 메소펜타드 분율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메소펜타드 분율([mmmm]%)의 측정은, 13C-NMR을 이용하여 행하였다. 메소펜타드 분율은, Zambelli 외, Macromolecules, 제6권, 925페이지(197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산출했다. 13C-NMR 측정은, BRUKER사 제조 AVANCE 500을 이용하여, 시료 200mg을 o-디클로로벤젠과 중(重)벤젠의 8:2의 혼합액에 135℃에서 용해하고, 110℃에서 행하였다.
(3)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량 및 분자량 분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해, 단분산 폴리스티렌 기준으로 하여 PP 환산 분자량으로서 구했다. 베이스 라인이 명확하지 않을 때는, 표준 물질의 용출 피크에 가장 가까운 고분자량측의 용출 피크의 고분자량측의 저변의 가장 낮은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베이스 라인을 설정하는 것으로 했다.
GPC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장치: HLC-8321PC/HT(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검출기: RI
용매: 1,2,4-트리클로로벤젠+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0.05%)
컬럼: TSKgel guard column HHR(30)HT(7.5㎜I.D.×7.5㎝)×1개+TSKgel GMHHR-H(20)HT(7.8㎜I.D.×30㎝)×3개
유량: 1.0mL/min
주입량: 0.3mL
측정 온도: 140℃
수 평균 분자량(Mn),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각각, 분자량 교정 곡선을 통해 얻어진 GPC 곡선의 각 용출 위치의 분자량(Mi)의 분자수(Ni)에 의해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수 평균 분자량: Mn=Σ(Ni·Mi)/ΣNi
질량 평균 분자량: Mw=Σ(Ni·Mi 2)/Σ(Ni·Mi)
여기에서, 분자량 분포는, Mw/Mn으로 얻을 수 있다.
또, GPC로 얻어진 분자량 분포의 적분 곡선으로부터,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비율을 구했다.
(4) 결정화 온도(Tc), 융해 온도(Tm)
TA 인스투르먼트사 제조 Q1000 시차 주사 열량계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열 측정을 행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펠릿으로부터 약 5mg을 잘라내어 측정용 알루미늄 팬에 봉입했다. 230℃까지 승온하여 5분간 홀딩한 후, -10℃/분의 속도로 30℃까지 냉각하고, 발열 피크 온도를 결정화 온도(Tc)로 했다. 또, 결정화 열량(△Hc)은, 발열 피크의 면적을 피크의 개시에서부터 피크 종료까지, 원활하게 연결되도록 베이스 라인을 설정하여 구했다. 그대로, 30℃에서 5분간 홀딩하고, 10℃/분으로 230℃까지 승온하여, 주된 흡열 피크 온도를 융해 온도(Tm)로 했다.
(5) 필름 두께
세이코 EM사 제조 밀리 트론 1202D를 이용하여, 필름의 두께를 계측했다.
(6) 헤이즈
닛폰 덴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NDH5000을 이용하여, 23℃에서, JIS K 7105에 따라 측정했다.
(7) 인장 시험
JIS K 7127에 준거하여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인장 강도를 23℃에서 측정했다. 샘플은 15㎜×200㎜의 사이즈로 필름으로부터 잘라내고, 척 폭은 100㎜로, 인장 시험기(인스트론 재팬 컴퍼니 리미티드사 제조 듀얼 컬럼 탁상형 시험기 인스트론 5965)에 세트했다. 인장 속도 200㎜/분으로 인장 시험을 행하였다. 얻어진 일그러짐-응력 커브로부터, 5% 신장 시의 응력을 F5로 했다. 인장 파단 강도, 인장 파단 신도는, 각각, 샘플이 파단한 시점에서의 강도와 신도로 했다.
(8) 열수축률
JIS Z 1712에 준거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필름을 20㎜ 폭이고 200㎜의 길이로 필름의 길이 방향, 폭 방향으로 각각 커트하고, 120℃ 또는 150℃의 열풍 오븐 중에 매달아 5분간 가열했다. 가열 후의 길이를 측정하여, 원래의 길이에 대한 수축된 길이의 비율로 열수축률을 구했다.
(9) 굴절률, △Ny, 면 배향 계수
(주)아타고 제조 아베 굴절계를 이용하여 파장 589.3nm, 온도 23℃에서 측정했다. 필름의 길이 방향, 폭 방향을 따른 굴절률을 각각 Nx, Ny로 하고,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Nz로 했다. 폭 방향의 배향의 정도인 △Ny는, Nx, Ny, Nz를 이용해, (식) △Ny=Ny-[(Nx+Nz)/2]를 이용하여 구했다. 또, 면 배향 계수(ΔP)는, (식) ΔP=[(Nx+Ny)/2]-Nz를 이용하여 계산했다.
(12) 루프 스티프니스 응력
필름의 길이 방향을 단책의 장축(루프 방향), 또는 필름의 폭 방향을 단책의 장축(루프 방향)으로 하여, 110㎜×25.4㎜의 단책상(短冊狀) 시험편을 각각 10장씩 잘라냈다. 이들을 클립에 끼워 필름의 한쪽의 면이 루프의 내면이 되는 것과, 그 반대면이 루프의 내면이 되는 측정용 루프를, 단책의 장축이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이 되는 것에 대해서 제작했다. 단책의 장축이 필름의 길이 방향이 되는 측정용 루프를,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 루프 스티프니스 테스터 DA의 척부에 폭 방향을 수직으로 한 상태로 세트하여, 클립을 떼어내고, 척 간격은 50㎜, 압입 깊이를 15㎜, 압축 속도를 3.3㎜/초로 하여 루프 스티프니스 응력을 측정했다.
측정은 필름의 한쪽의 면이 루프의 내면이 되도록 한 것의 루프 스티프니스 응력과 두께를 5회 측정하고, 그 후 다른 편면이 루프의 내면이 되도록 한 것도 5회 측정했다. 이 합계 10회분의 데이터를 이용해, 각 시험편의 두께(㎛)의 3제곱을 가로축에, 그 루프 스티프니스 응력(mN)을 세로축으로 하여 플롯하고, 절편 0이 되는 직선으로 근사하여, 그 기울기 a를 구했다. 기울기 a를 탄력감의 평가치로 했다. 단책의 장축이 필름의 폭 방향이 되는 측정용 루프도 마찬가지로 측정했다.
(13) 라미네이트 강도
라미네이트 강도는 이하와 같은 순서에 의해 측정했다.
1) 실런트 필름과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작성
연속식의 드라이 라미네이트기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행하였다. 우선,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코로나면에 접착제를 건조 시 도포량이 3.0g/㎡가 되도록 그라비아 코팅한 후, 건조 존으로 유도하여 80℃, 5초로 건조했다. 계속해서 하류측에 설치된 롤 사이에서 실런트 필름과 첩합시켰다(롤 압력 0.2MP, 롤 온도: 60℃).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은 권취한 상태로 40℃, 3일간의 에이징 처리를 행하였다.
또한, 접착제는 주제(主劑)(도요 모톤사 제조, TM329) 17.9 질량%, 경화제(도요 모톤사 제조, CAT8B) 17.9 질량% 및 초산에틸 64.2 질량%를 혼합하여 얻어진 에테르계 접착제를 사용하고, 실런트 필름은 도요보사 제조 무(無)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파이렌(등록상표) CT P1128, 두께 30㎛)을 사용했다.
상기에서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을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장변을 갖는 단책상(길이 200㎜, 폭 15㎜)으로 잘라내어, 인장 시험기(텐실론, 오리엔테크사 제조)를 이용해, 23℃의 환경하 200㎜/분의 인장 속도로 90°(T자) 박리했을 때의 박리 강도(N/15㎜)를 측정했다. 측정은 3회 행하고, 그 평균치를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라미네이트 강도로 했다.
(14) 표면 고유 저항 시험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코로나면에 ASTM D257에 준거하여, 얻어진 필름 표면의 표면 고유 저항(Ω/□)을 측정했다. 또한, 측정 온도 및 습도는, 23℃×65% RH였다.
(실시예 1)
[기재층(A)]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MFR=7.5g/10분, [mmmm]=98.9%, Tc=116.2℃, Tm=162.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1(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FLX80E4)을 80 중량부와, MFR=11g/10분, [mmmm]=98.8%, Tc=116.5℃, Tm=161.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2(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EL80F5)를 20 중량부를 혼합한 것 100 중량부에, 화합물(A)로서 방담제인 스테아릴아민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SA321)를 0.9912 중량부와 화합물(B)로서 방담제인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MG100)를 0.156 중량부 배합하여 혼합 후, 펠리타이저 부착 압출기를 이용해 용융 혼련, 조립(造粒)하여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펠릿을 얻어, 기재층(A)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했다.
[중간층(B)]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MFR=7.5g/10분, [mmmm]=98.9%, Tc=116.2℃, Tm=162.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1(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FLX80E4)을 70 중량부와, MFR=11g/10분, [mmmm]=98.8%, Tc=116.5℃, Tm=161.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2(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EL80F5)를 20 중량부와, MFR=7.5g/10분, Tc=111.7℃, Tm=158℃인 에틸렌 모노머 유래 성분이 0.6 몰%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PP-3(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WF836DG3)를 10 중량부를 혼합한 것 100 중량부에, 화합물(A)로서 스테아릴아민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SA321)를 1.000 중량부와 화합물(B)로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MG100)를 0.155 중량부, 화합물(C)로서 방담제인 스테아릴디에탄올아민(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SA20)를 0.0400 중량부 배합하여 혼합 후, 펠리타이저 부착 압출기를 이용해 용융 혼련, 조립하여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펠릿을 얻어, 중간층(B)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했다.
[표면층(C)]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MFR=7.5g/10분, [mmmm]=98.9%, Tc=116.2℃, Tm=162.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1(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FLX80E4)을 64 중량부와, MFR=7.5g/10분, Tc=111.7℃, Tm=158℃인 에틸렌 모노머 유래 성분이 0.6 몰%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PP-3(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WF836DG3)을 36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펠리타이저 부착 압출기를 이용해 용융 혼련, 조립하여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펠릿을 얻어, 표면층(C)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했다.
우선, 표면층(C)/기재층(A)/중간층(B)/표면층(C)의 각각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다층 피드블록을 이용하고, 압출기로 각각 250℃, 250℃, 250℃에서 가열 용융시키고, 250℃에서 T 다이로부터 용융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적층하면서 시트상으로 공압출했다.
용융 시트의 기재층(A)측의 표면층(C)을 20℃의 냉각 롤에 접촉시키고, 그대로 20℃의 수조에 투입했다. 그 후, 137℃로 예열 후, 142℃에서 2쌍의 롤로 길이 방향으로 4.5배로 연신하고, 이어서 양단을 클립으로 끼워, 열풍 오븐 중으로 유도하여, 170℃에서 예열 후, 폭 방향으로 1단계로서 168℃에서 7배 연신하고, 계속해서 2단계로서 145℃에서 1.43배 연신함으로써, 합계 10배의 연신을 행하였다. 폭 방향 연신 직후에, 클립에 파지한 채로 100℃에서 냉각하고, 그 후, 165℃에서, 폭 방향으로 3% 완화시키면서, 열고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냉각 롤에 접촉시킨 측의 필름 표면에 소프탈 코로나 & 플라스마 게엠베하사 제조 코로나 처리기를 이용하여, 인가 전류치: 0.75A의 조건에서,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와인더로 권취한 것을 본 발명의 2축 연신 단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20㎛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표면층(C)/중 기재층(A)/중간층(B)/표면층(C)=1/16/2/1㎛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이 높고,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으며, 게다가 라미네이트 강도가 높은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2)
중간층(B)에 대전 방지제를 넣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이 높고,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으며, 게다가 라미네이트 강도가 높은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3)
중간층(B)에 대전 방지제를 넣지 않고,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MFR=7.5g/10분, [mmmm]=98.9%, Tc=116.2℃, Tm=162.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1(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FLX80E4)을 64 중량부와, MFR=7.5g/10분, Tc=111.7℃, Tm=158℃인 에틸렌 모노머 유래 성분이 0.6 몰%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PP-3(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WF836DG3)을 36 중량부를 혼합한 것 100 중량부에, 화합물(A)로서 스테아릴아민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SA321)를 1.0752 중량부 배합하여 혼합 후, 펠리타이저 부착 압출기를 이용해 용융 혼련, 조립하여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펠릿을 얻어, 표면층(C)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이 높고,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으며, 게다가 라미네이트 강도가 높은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4)
기재층(A)에 대전 방지제를 넣지 않고, 중간층(B)에 화합물(A)로서 스테아릴 아민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SA321)를 1.2974 중량부, 화합물(B)로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MG100)를 0.155 중량부, 화합물(C)로서 스테아릴디에탄올아민(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SA20)을 0.0400 중량부를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이 높고,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으며, 게다가 라미네이트 강도가 높은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5)
필름의 두께는 표면층(C)/기재층(A)/중간층(B)/표면층(C)=3/16/2/3㎛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이 높고,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고, 게다가 라미네이트 강도가 높은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6)
필름의 두께는 표면층(C)/기재층(A)/중간층(B)/표면층(C)=1/4/14/4/1㎛로 하여, 폭 방향으로 1단계로서 164℃에서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이 높고,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으며, 게다가 라미네이트 강도가 높은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7)
필름의 두께는 표면층(C)/기재층(A)/중간층(B)/표면층(C)=1/12/6/1㎛로 하여, 폭 방향으로 1단계로서 164℃에서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이 높고,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으며, 게다가 라미네이트 강도가 높은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8)
폭 방향으로 1단계로서 166℃에서 연신하고, 계속해서, 2단계로서 162℃에서 배로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이 높고,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으며, 게다가 라미네이트 강도가 높은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9)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MFR=7.5g/10분, Tc=111.7℃, Tm=158℃인 에틸렌 모노머 유래 성분이 0.6 몰%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PP-3(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WF836DG3)을 100 중량부를 표면층(C)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이 높고,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으며, 게다가 라미네이트 강도가 높은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10)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MFR=7.5g/10분, [mmmm]=98.9%, Tc=116.2℃, Tm=162.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1(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FLX80E4)을 80 중량부와, MFR=11g/10분, [mmmm]=98.8%, Tc=116.5℃, Tm=161.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2(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EL80F5)을 20 중량부를 혼합한 것 100 중량부에, 화합물(A)로서 스테아릴아민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SA321)를 0.9912 중량부와 화합물(B)로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MG100)를 0.156 중량부 배합하여 혼합 후, 펠리타이저 부착 압출기를 이용해 용융 혼련, 조립하여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펠릿을 얻어, 중간층(B)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이 높고,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으며, 게다가 라미네이트 강도가 높은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11)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MFR=7.5g/10분, [mmmm]=98.9%, Tc=116.2℃, Tm=162.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1(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FLX80E4)을 80 중량부와, MFR=11g/10분, [mmmm]=98.8%, Tc=116.5℃, Tm=161.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2(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EL80F5)를 20 중량부를 혼합한 것 100 중량부에, 화합물(A)로서 스테아릴아민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A321)를 0.9912 중량부와 화합물(B)로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MG100)를 0.156 중량부 배합하여 혼합 후, 펠리타이저 부착 압출기를 이용해 용융 혼련, 조립하여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펠릿을 얻어, 중간층(B)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MFR=7.5g/10분, [mmmm]=98.9%, Tc=116.2℃, Tm=162.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1(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FLX80E4)을 94 중량부와, MFR=7.5g/10분, Tc=111.7℃, Tm=158℃인 에틸렌 모노머 유래 성분이 0.6 몰%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PP-3(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WF836DG3)을 6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표면층(C)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이 높고,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은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12)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MFR=7.5g/10분, [mmmm]=98.9%, Tc=116.2℃, Tm=162.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1(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FLX80E4)을 94 중량부에, MFR=7.5g/10분, Tc=111.7℃, Tm=158℃인 에틸렌 모노머 유래 성분이 0.6 몰%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PP-3(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WF836DG3)을 6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표면층(C)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이 높고,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은 필름이 얻어졌다.
(비교예 1)
폭 방향으로 1단계로서 162℃에서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이 높지만,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높은 필름이 얻어졌다.
(비교예 2)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MFR=7.5g/10분, [mmmm]=98.9%, Tc=116.2℃, Tm=162.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1(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FLX80E4)을 30 중량부와, MFR=11g/10분, [mmmm]=98.8%, Tc=116.5℃, Tm=161.5℃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PP-2(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EL80F5)를 20 중량부와, MFR=7.5g/10분, Tc=111.7℃, Tm=158℃인 에틸렌 모노머 유래 성분이 0.6 몰%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PP-3(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WF836DG3)을 50 중량부를 혼합한 것 100 중량부에, 화합물(A)로서 스테아릴아민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SA321)를 0.9554 중량부와 화합물(B)로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MG100)를 0.153 중량부와, 화합물(C)로서 스테아릴디에탄올아민(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안스텍스 SA20)을 0.120 중량부 배합하여 혼합 후, 펠리타이저 부착 압출기를 이용해 용융 혼련, 조립하여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펠릿을 얻어, 중간층(B)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지만, 강성이 낮은 필름이 얻어졌다.
(비교예 3)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MFR=7.5g/10분, Tc=111.7℃, Tm=158℃인 에틸렌 모노머 유래 성분이 0.6 몰%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PP-3(스미토모 가가쿠(주) 제조 WF836DG3) 100 중량부에, 화합물(A)로서 스테아릴아민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SA321)를 0.800 중량부와 화합물(B)로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MG100)를 0.157 중량부와, 화합물(C)로서 스테아릴디에탄올아민(도호 가가쿠 고교(주) 제조: 안스텍스 SA20)을 0.200 중량부 배합하여 혼합 후, 펠리타이저 부착 압출기를 이용해 용융 혼련, 조립하여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펠릿을 얻어, 중간층(B)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지만, 강성이 낮은 필름이 얻어졌다.
(비교예 4)
폭 방향으로 162℃에서 연신하고, 열고정 온도를 168℃로 하며, 폭 방향으로 5% 완화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표 1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구조, 표 2에 각 층의 원료, 표 3에 제막 조건을 나타낸다. 그 특성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낮지만, 강성이 낮은 필름이 얻어졌다.
[표 1]
Figure pct00013
[표 2]
Figure pct00014
[표 3]
Figure pct00015
[표 4]
Figure pct00016

Claims (9)

  1. 5% 신장 시의 응력(F5)이 23℃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서 40MPa 이상이고, 폭 방향에서 160MPa 이상이며, 또한, 150℃에서의 열수축률이, 길이 방향에서 7% 이하이고, 폭 방향에서 16% 이하인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120℃의 열수축률이 길이 방향에서 2.0% 이하이고, 폭 방향에서 5.0% 이하이며, 또한 길이 방향의 120℃ 열수축률이 폭 방향의 120℃ 열수축률보다도 작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폭 방향의 굴절률 Ny가 1.5230 이상이고, △Ny가 0.0220 이상인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헤이즈가 5.0% 이하인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기재층(A), 중간층(B) 및 표면층(C)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을 구성하는 주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메소펜타드 분율이 97.0% 이상인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을 구성하는 주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화 온도가 105℃ 이상이고, 융점이 160℃ 이상인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을 구성하는 주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4.0g/10분 이상인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을 구성하는 주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량이 35 질량% 이상인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KR1020227043116A 2020-06-17 2021-06-09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KR202300263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04871 2020-06-17
JPJP-P-2020-104871 2020-06-17
PCT/JP2021/021951 WO2021256350A1 (ja) 2020-06-17 2021-06-09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314A true KR20230026314A (ko) 2023-02-24

Family

ID=7926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116A KR20230026314A (ko) 2020-06-17 2021-06-09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12362A1 (ko)
EP (1) EP4169973A4 (ko)
JP (2) JP7124980B2 (ko)
KR (1) KR20230026314A (ko)
CN (1) CN115698148B (ko)
TW (1) TW202216862A (ko)
WO (1) WO202125635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7645A (ja) 2013-06-26 2013-09-09 Mitsui Chemicals Tohcello Inc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182003A1 (ja) 2015-05-12 2016-11-17 東レ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膜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7972A (ja) * 1996-08-28 1998-03-10 Tokuyama Corp 開封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40111A (ja) * 1999-07-26 2001-02-13 Toray Ind Inc 強力化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2005264151A (ja) * 2004-02-19 2005-09-29 Sumitomo Chemical Co Ltd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2006095940A (ja) * 2004-09-30 2006-04-13 Toray Ind Inc 微孔性ポリプロピレン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合成紙
JP4812399B2 (ja) * 2005-10-27 2011-11-09 信越フィルム株式会社 2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5807388B2 (ja) * 2010-05-26 2015-11-10 東レ株式会社 多孔性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TWI588185B (zh) * 2012-12-25 2017-06-21 Toyo Boseki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KR102299286B1 (ko) * 2013-11-14 2021-09-0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6470839A (zh) * 2014-07-09 2017-03-01 东丽株式会社 聚丙烯膜及脱模用膜
WO2016043172A1 (ja) * 2014-09-19 2016-03-24 東レ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7437115B2 (ja) * 2016-03-28 2024-02-22 東洋紡株式会社 二軸延伸積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WO2017170244A1 (ja) * 2016-03-28 2017-10-05 東洋紡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102405861B1 (ko) * 2016-11-25 2022-06-0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 폴리프로필렌 필름
US20190315047A1 (en) * 2016-12-28 2019-10-17 Oji Holdings Corporatio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metallized film, and capacitor
JP2018141122A (ja) * 2017-02-28 2018-09-13 東洋紡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7230911B2 (ja) * 2018-06-19 2023-03-01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
KR102452072B1 (ko) * 2018-12-28 2022-10-07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7645A (ja) 2013-06-26 2013-09-09 Mitsui Chemicals Tohcello Inc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182003A1 (ja) 2015-05-12 2016-11-17 東レ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膜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6350A1 (ja) 2021-12-23
JP7276567B2 (ja) 2023-05-18
JPWO2021256350A1 (ko) 2021-12-23
CN115698148A (zh) 2023-02-03
CN115698148B (zh) 2024-05-24
JP7124980B2 (ja) 2022-08-24
EP4169973A1 (en) 2023-04-26
JP2022120153A (ja) 2022-08-17
TW202216862A (zh) 2022-05-01
US20230212362A1 (en) 2023-07-06
EP4169973A4 (en) 202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3816B2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7388367B2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102452072B1 (ko)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JP7040681B1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WO2021256348A1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102452075B1 (ko)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KR20230026314A (ko)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KR102465570B1 (ko)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JP7164053B2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7255733B2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7363817B2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WO2021256349A1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7405099B2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220157983A (ko)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WO2021261313A1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