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285A -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285A
KR20160142285A KR1020167024920A KR20167024920A KR20160142285A KR 20160142285 A KR20160142285 A KR 20160142285A KR 1020167024920 A KR1020167024920 A KR 1020167024920A KR 20167024920 A KR20167024920 A KR 20167024920A KR 20160142285 A KR20160142285 A KR 20160142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energization
quot
engine stop
pow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야 노무라
다츠오 다키시타
마사유키 유노우에
와타루 다카기
요시카츠 스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ublication of KR2016014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66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combustion eng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1Actuator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4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8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only one servo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1Locking-valves or other detent i.e. load-h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8Industrial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E02F3/964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of several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07Type of prime mover
    • F15B2211/20523Internal combustion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유압 셔블(1)은, 운전석(9)의 근방에 설치된 파워 스위치(12)의 조작과 무선에 의한 휴대키(38)의 인증에 의거하여, 배터리(18)와 스타터 모터(16) 및 제 1 전장품(24)의 사이의 통전, 비통전을 전환하는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를 구비한다.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는, 「엔진 정지·통전 OFF」일 때는,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에 있고, 또한,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을 때에,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전환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운전석의 근방에 설치된 파워 스위치의 조작과 무선에 의한 휴대키(휴대기)의 인증에 의거하여 엔진의 시동, 정지를 행하는 무선 인증 기동 장치를 구비한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셔블, 유압 크레인 등의 건설기계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키 스위치의 조작에 의거하여, 엔진의 시동, 정지가 행하여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설기계의 오퍼레이터는 엔진을 시동(기동)할 때에, 키 스위치의 키 실린더에 키(키 플레이트)를 꽂고, 키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키의 키 홈과 키 실린더 홈이 합치했을 때에 키가 회전 가능해진다.
오퍼레이터는 키를, 예를 들면, 건설기계의 전기기기가 비통전이고 엔진이 정지한 「OFF」의 위치와, 전기기기에 통전이 행하여지는 「ON」의 위치와, 엔진을 시동하는(엔진의 스타터 모터를 회전시키는) 「스타트」의 위치 중 어느 하나로 회전시킨다(특허문헌 1).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키를 「OFF」의 위치로부터 「ON」의 위치를 넘어 「스타트」의 위치로 회전시키면, 엔진의 스타터 모터가 회전하고, 엔진이 시동한다. 이때, 오퍼레이터가 키로부터 손을 떼면, 키는 「스타트」의 위치로부터 「ON」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엔진이 구동한 상태에서 전기기기에 통전이 행하여지는 「엔진 구동·통전 ON」이 된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키를 「OFF」의 위치로부터 「ON」의 위치로 회전시키면, 엔진이 정지한 채 전기기기에 통전이 행하여지는 「엔진 정지·통전 ON」이 된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키를 「ON」의 위치로부터 「OFF」의 위치로 회전시키면, 전기기기가 비통전이 되고, 이때, 엔진이 구동하고 있으면 엔진은 정지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55564호 공보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하면, 키가 있으면, 어떤 조건에서도 키를 「OFF」의 위치로부터 「ON」의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건설기계의 조작에 정통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키가 있으면,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한 사람이 키를 「OFF」의 위치로 되돌리지 않고 그대로 건설기계로부터 멀어지면, 전기기기의 전원이 되는 배터리의 축전량이 저하하여, 배터리 방전으로 연결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건설기계의 조작 방법을 아는 사람 이외의 사람의 조작을 억제할 수 있는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건설기계는, 동력원이 되는 엔진과, 당해 엔진을 포함하는 전기기기의 전원이 되는 배터리와,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와, 당해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액추에이터와,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금지하는 록 위치와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허가하는 록 해제 위치로 전환되는 록 레버와,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을 구비하고, 상기 록 레버를 록 해제 위치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작업을 행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운전석의 근방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파워 스위치와, 당해 파워 스위치의 조작과 무선에 의한 휴대키의 인증에 의거하여,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기기기의 사이의 통전, 비통전을 전환하는 무선 인증 기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이 정지하고 있고 상기 전기기기가 비통전인 상태를 「엔진 정지·통전 OFF」라 하고, 상기 엔진이 구동하고 있고 상기 전기기기가 통전인 상태를 「엔진 구동·통전 ON」이라 하고, 상기 엔진이 정지하고 있고 상기 전기기기가 통전인 상태를 「엔진 정지·통전 ON」이라 한 경우에, 상기 무선 인증 기동 장치는,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이고, 상기 휴대키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록 레버가 록 해제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파워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상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전환하고,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이고, 상기 휴대키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록 레버가 록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파워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상기 「엔진 구동·통전 ON」으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무선 인증 기동 장치는, 「엔진 정지·통전 OFF」일 때에, 휴대키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으면, 록 레버가 록 해제 위치인 상태에서 파워 스위치가 조작되면,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전환한다. 즉, 휴대키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또한, 파워 스위치가 조작되었다고 해도,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하기 위해서는, 록 레버가 록 해제 위치에 있는 것이 조건이 된다. 이로 인해, 건설기계의 조작 방법을 아는 사람 이외의 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인증 기동 장치는, 「엔진 정지·통전 OFF」일 때에, 휴대키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으면, 록 레버가 록 위치인 상태에서 파워 스위치가 조작되면,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구동·통전 ON」으로 전환한다. 즉, 휴대키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또한, 파워 스위치가 조작되었다고 해도, 「엔진 구동·통전 ON」으로 하기 위해서는, 록 레버가 록 위치에 있는 것이 조건이 된다. 여기에서, 록 레버가 록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이 금지된다. 이 때문에, 엔진의 시동(기동)에 수반하여 유압 펌프로부터 압유가 토출되어도, 유압 액추에이터의 의도하지 않은 구동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키를 키 실린더에 꽂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키를 빼는 것을 잊어버리는 일도 없앨 수 있다. 또한,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하기 위해서, 록 레버가 록 해제 위치에 있는 것에 더하여,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운전석에 착석하고 있는 것도 추가의 조건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파워 스위치의 조작 이외에 복수의 조건(트리거)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할 수 없게 되어, 이 점에서도 건설기계의 조작 방법을 아는 사람 이외의 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화살 표시 Ⅱ-Ⅱ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유압 셔블의 전기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오퍼레이터가 소지하는 휴대키와 유압 셔블측의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와의 송신, 수신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3 중의 차체 컨트롤러에 의한 ACC 릴레이를 ON으로 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 중의 차체 컨트롤러에 의한 ACC 릴레이를 OFF로 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건설기계의 실시형태를, 미니 셔블이라고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건설기계로서의 유압 셔블(1)은, 좁은 작업 현장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미니 셔블이라고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이다. 유압 셔블(1)은, 자주(自走)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장치(3)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고, 당해 하부 주행체(2)와 함께 차체를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4)와, 당해 상부 선회체(4)의 전측(前側)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5)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유압 셔블(1)은, 작업 장치(5)를 이용하여 토사의 굴삭 작업을 행한다.
여기에서, 하부 주행체(2)는 트랙 프레임(2A)과, 당해 트랙 프레임(2A)의 좌, 우 양측에 설치된 구동륜(2B)과, 트랙 프레임(2A)의 좌, 우 양측에서 구동륜(2B)과 전, 후 방향의 반대측에 설치된 유동륜(2C)과, 구동륜(2B)과 유동륜(2C)에 권회(卷回)된 크롤러(2D)(모두 좌측만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좌, 우의 구동륜(2B)은, 각각이 유압 액추에이터로서의 좌, 우의 주행 유압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작업 장치(5)는, 예를 들면 스윙 포스트식의 작업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작업 장치(5)는 스윙 포스트(5A), 붐(5B), 아암(5C) 및 작업구로서의 버킷(5D)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추가로, 작업 장치(5)는 스윙 포스트(5A)(나아가서는 작업 장치(5) 전체)를 좌, 우로 요동하는 스윙 실린더(도시 생략), 붐(5B)을 회전 운동하는 붐 실린더(5E), 아암(5C)을 회전 운동하는 아암 실린더(5F), 및, 버킷(5D)을 회전 운동(작동)하는 작업구 실린더로서의 버킷 실린더(5G)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스윙 실린더, 붐 실린더(5E), 아암 실린더(5F), 버킷 실린더(5G)는, 각각 유압에 의해 구동(작동)하는 유압 액추에이터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선회체(4)는, 유압 액추에이터로서의 선회 유압 모터, 감속 기구, 선회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선회 장치(3)를 개재하여 하부 주행체(2)에 장착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4)는, 선회 장치(3)(의 선회 유압 모터)에 의해 하부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 구동한다. 여기에서, 상부 선회체(4)는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6), 외장 커버(7), 캡(8), 카운터 웨이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6)은, 상부 선회체(4)의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는 프레임이 되는 것으로, 당해 선회 프레임(6)은 선회 장치(3)를 개재하여 하부 주행체(2) 상에 장착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6)에는, 그 후부측에 후술하는 카운터 웨이트(14), 엔진(15)이 설치되고, 왼쪽 전측에는 후술하는 캡(8)이 설치되고, 오른쪽 전측에는 연료 탱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6)에는, 캡(8)의 우측으로부터 후측 및 좌, 우의 측면측에 걸쳐 외장 커버(7)가 설치되어 있다. 외장 커버(7)는 선회 프레임(6), 캡(8) 및 카운터 웨이트(14)와 함께, 엔진(15), 유압 펌프(17), 열교환기(도시 생략) 등을 수용하는 공간(엔진 룸)을 획성(畵成)하는 것이다.
캡(8)은, 선회 프레임(6)의 왼쪽 전측에 탑재되고, 당해 캡(8)의 내부는 오퍼레이터(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실을 이루고 있다. 캡(8)의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착좌)하는 운전석(9)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9)에는, 오퍼레이터의 착석을 검출하는 착좌 센서(9A)(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착좌 센서(9A)는, 예를 들면 압력 스위치, 검출 스위치, 근접 스위치, 압력 센서 등의 오퍼레이터의 착석에 의거하는 하중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 스위치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좌 센서(9A)는, 후술하는 차체 컨트롤러(36)에 접속되어 있고, 당해 차체 컨트롤러(36)는, 착좌 센서(9A)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에 착석하고 있는지(이석(離席)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의 착석의 검출은 착좌 센서(9A) 대신에, 예를 들면, 캡(8)의 천장에 설치한 천장 센서(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 화상 센서, 광학 센서, 레이저, 카메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오퍼레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오퍼레이터 검지부)이면, 착좌 스위치, 착좌 센서, 사람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운전석(9)의 좌, 우 양측에는, 작업 장치(5)를 조작하기 위한 작업용 조작 레버(10)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9)의 전방(前方)에는,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킬 때에 수동 조작 또는 페달링 조작에 의해 조작하는 주행용 조작 레버·페달(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9)의 근방,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석(9)의 우측에서 우측 조작 레버(10)의 후측에는 파워 스위치(12)가 설치되어 있다. 파워 스위치(12)는, 엔진(15)을 시동시키는 스위치(메인 스위치, 프라이머리 스위치, 기동 스위치, 기동 정지 스위치)가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푸시식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파워 스위치(12)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된다(눌린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워 스위치(12)는, 후술하는 차체 컨트롤러(36)에 접속되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면(눌리면), 그 취지의 신호(ON 신호)를 차체 컨트롤러(36)에 출력한다. 오퍼레이터는 운전석(9)에 착석하고 파워 스위치(12)를 조작함(누름)으로써, 후술하는 엔진(15)의 시동, 정지 등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운전석(9)의 좌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의 작업 조작 레버(10)의 하측에서, 캡(8)의 승강구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록 레버로서의 게이트 록 레버(13)가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 록 레버(13)는, 캡(8)의 승강구를 차단하는 승강 규제 위치(이하, 록 해제 위치라 한다)와, 승강구를 여는 승강 허가 위치(이하, 록 위치라 한다)의 사이에서 회전 운동 변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승강구를 차단하는 록 해제 위치는 게이트 록 레버(13)를 내린 상태에 대응하고, 승강구를 여는 록 위치는 게이트 록 레버(13)를 올린 상태에 대응한다. 도 1에서는, 내린 상태(록 해제 위치)의 게이트 록 레버(13)를 나타내고 있다.
게이트 록 레버(13)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록 위치(올림 위치)와 록 해제 위치(내림 위치)로 전환된다. 이 경우, 게이트 록 레버(13)를 록 위치로 하였을 때에는, 유압 셔블(1)의 유압 액추에이터, 즉, 각 실린더(5E, 5F, 5G), 주행 유압 모터, 선회 유압 모터를 포함하는 각종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이 금지된다. 이에 비하여, 게이트 록 레버(13)를 록 해제 위치로 하였을 때에는,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이 허가된다.
여기에서, 게이트 록 레버(13)에는 게이트 록 스위치(13A)(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 록 스위치(13A)는 게이트 록 레버(13)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검출기)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 록 스위치(13A)는, 후술하는 차체 컨트롤러(36)에 접속되어 있다. 차체 컨트롤러(36)는, 게이트 록 스위치(13A)의 검출 신호(ON·OFF 신호)에 의거하여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위치인지 록 해제 위치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 록 스위치(13A)는, 예를 들면,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위치일 때는 통전 OFF가 되고, 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는 통전 ON이 되는, 상개(常開)의 스위치(스프링에 의해 열림 위치로 가압되는 스위치)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컨트롤러(36)는, 후술하는 파일럿 컷 릴레이(30)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배터리(18)와 파일럿 컷 솔레노이드 밸브(28)는, 파일럿 컷 릴레이(30)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 록 레버(13)를 록 위치로 하면,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밸브(제어 밸브 장치)를 전환하기(스풀을 변위시키기) 위한 파일럿압(전환 신호)이 차단되고, 예를 들면, 컨트롤 밸브가 중립 상태로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체 컨트롤러(36)는, 게이트 록 스위치(13A)에 의해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위치라고 판정하면, 파일럿 컷 릴레이(30)를 OFF(열림)로 하고, 파일럿 컷 솔레노이드 밸브(28)를 차단(닫힘) 상태로 한다. 이로 인해, 유압 펌프(17)로부터 토출하는 압유는,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지 않고 작동유 탱크(도시 생략)로 되돌아가고,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이 금지된다.
한편, 게이트 록 레버(13)를 록 해제 위치로 하면, 작업용 조작 레버(10), 주행용 조작 레버·페달(11)를 개재하여 파일럿압을 컨트롤 밸브에 공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체 컨트롤러(36)는, 게이트 록 스위치(13A)에 의해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라고 판정하면, 파일럿 컷 릴레이(30)를 ON(닫힘)으로 하고, 배터리(18)로부터의 전력의 공급(급전)에 의거하여 파일럿 컷 솔레노이드 밸브(28)를 도통(열림) 상태로 한다. 이 경우에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레버(10), 주행용 조작 레버·페달(11)의 조작에 의거하여 컨트롤 밸브가 전환되고(스풀이 변위하고),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이 허가된다. 이와 같이, 유압 셔블(1)은, 게이트 록 레버(13)를 록 해제 위치로 전환한 상태에서,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카운터 웨이트(14)는 작업 장치(5)와의 중량 밸런스를 잡는 것이다. 카운터 웨이트(14)는, 후술하는 엔진(15)의 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6)의 후단부(後端部)에 장착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14)의 후면측은 원호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14)는 하부 주행체(2)의 차체 폭 내에 들어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엔진(15)은, 선회 프레임(6)의 후측에 가로 놓기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엔진(15)은, 예를 들면 소형의 디젤 엔진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후술하는 유압 펌프(17)의 동력원(구동원)이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엔진(15)은, 전자 제어식 엔진에 의해 구성되고, 예를 들면, 연료의 공급량이 전자 제어 분사 밸브(인젝터)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장치에 의해 가변으로 제어된다. 즉, 연료 분사 장치는, 후술하는 엔진 컨트롤 유닛(ECU)(31)(도 3 참조)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엔진(15)의 실린더(도시 생략) 내에 분사하는 연료의 분사량을 가변으로 제어한다.
엔진(15)에는, 엔진(15)의 전장품(보조 기계), 즉, 엔진(15)의 전기기기가 되는 스타터 모터(16)(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타터 모터(16)는, 후술하는 스타터 릴레이(20) 등를 개재하여 배터리(18)에 접속되어 있다. 스타터 모터(16)는, 엔진(15)을 시동할 때에, 엔진(15)의 크랭크축을 회전하는 것이다. 즉, 스타터 릴레이(20)가 ON(닫힘)이 되면, 배터리(18)로부터의 전력의 공급(급전)에 의거하여 스타터 모터(16)가 회전하고, 엔진(15)을 시동할 수 있다. 엔진(15)이 시동하면, 스타터 릴레이(20)가 OFF(열림)가 되고, 스타터 모터(16)는 정지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펌프(17)는 엔진(15)의 좌측에 장착되어 있다. 유압 펌프(17)는 작동유 탱크(도시 생략)와 함께 유압원을 구성한다. 즉, 유압 펌프(17)는, 엔진(15)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작동유 탱크로부터 작동유를 흡입하고, 흡입한 작동유를 압유로서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밸브를 향해 공급(토출)한다. 유압 펌프(17)는, 예를 들면 가변 용량형의 경사판식, 경사축식 또는 레이디얼 피스톤식 유압 펌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압 펌프(17)는, 반드시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고정 용량형 유압 펌프를 이용하여 구성해도 된다.
한편, 컨트롤 밸브는, 작업용 조작 레버(10), 주행용 조작 레버·페달(11)의 조작에 의거하여 공급되는 파일럿압에 따라 전환된다. 이로 인해, 컨트롤 밸브는, 유압 펌프(17)로부터 토출한 압유를 각 실린더(5E, 5F, 5G), 주행 유압 모터, 선회 유압 모터를 포함하는 각종 유압 액추에이터에 선택적으로 급배(공급 또는 배출)한다. 유압 액추에이터는, 유압 펌프(17)로부터 컨트롤 밸브를 개재하여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된다.
다음에, 유압 셔블(1)의 전기 회로의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배터리(18)는, 엔진(15)을 포함하는 전기기기의 전원(보조 기계용 전원, 보조 기계용 배터리, 전장품용 전원, 전장품용 배터리)이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18)는, 엔진(15)을 구동(운전)하기 위한 전기기기, 예를 들면, 엔진(15)에 설치된 스타터 모터(16), 연료 분사 장치(인젝터), 각종 센서, 나아가서는 엔진 컨트롤 유닛(31)(이하, ECU(31)라고 한다) 등의 전원이 되는 것이다. 이에 추가로, 배터리(18)는, 유압 셔블(1)에 탑재된 각종 전기기기, 예를 들면 제 1 전장품(24), 제 2 전장품(27), 모니터 장치(35), 차체 컨트롤러(36), 키리스 컨트롤러(41) 등의 전원이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스타터 모터(16)는, 배터리(18)에 대하여, 슬로우 블로우 퓨즈(S.B.F)(19)(이하, SB 퓨즈(19)라고 한다), 스타터 릴레이(20)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스타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스타터 릴레이(20)는, 배터리(18)에 대하여, SB 퓨즈(19), C 퓨즈(21), C 릴레이(22), 퓨즈 박스(23) 내의 C 퓨즈(23A)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C 릴레이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C 릴레이(22)는, 후술하는 차체 컨트롤러(36)에 의해 ON(닫힘)과 OFF(열림)가 전환된다. 이 경우, C 릴레이(22)가 ON(닫힘)이 되면, ECU(31)와 스타터 릴레이(20)에 전류가 흐른다. 이로 인해, ECU(31)는, 스타터 릴레이(20)를 ON(닫힘)으로 하고, 스타터 모터(16)와 배터리(18)와 통전한다. 이 결과, 스타터 모터(16)가 회전하고, 엔진(15)을 시동할 수 있다. 또한, 엔진(15)이 시동하면, 스타터 릴레이(20)는 OFF(열림)가 된다.
제 1 전장품(액세서리 전장품, ACC 전장품)(24)은, 배터리(18)에 대하여, SB 퓨즈(19), 액세서리 퓨즈(25)(이하, ACC 퓨즈(25)라고 한다), 액세서리 릴레이(26)(이하, ACC 릴레이(26)라고 한다), 퓨즈 박스(23) 내의 ACC 퓨즈(23B)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액세서리 회로(ACC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전장품(24)은, 후술하는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의 상태(스테이터스)에 따라, 바꿔 말하면, 차체 컨트롤러(36)에 접속된 ACC 릴레이(26)가 ON(닫힘)일 때에, 배터리(18)와 통전(접속)하는 전기기기에 대응하는 것이다.
제 1 전장품(24)은, 차체 컨트롤러(36)에 접속된 ACC 릴레이(26)가 OFF(열림)일 때는, 배터리(18)와 비통전(비접속)이 된다. 제 1 전장품(24)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니터 장치(35)의 일부, 컨트롤러의 일부(예를 들면, 차체 컨트롤러(36) 및 키리스 컨트롤러(41) 이외의 컨트롤러), 공조 장치(에어컨), 와이퍼,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전장품(24)은, 엔진(15)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기기, 예를 들면, 엔진(15)의 연료 분사 장치(인젝터)도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제 2 전장품(배터리 직결 전장품, B 전장품)(27)은, 배터리(18)에 대하여, SB 퓨즈(19), 퓨즈 박스(23) 내의 B 퓨즈(23C)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 2 전장품(27)은, 후술하는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의 상태(스테이터스)와 관계없이, 바꿔 말하면, 차체 컨트롤러(36)에 접속된 C 릴레이(22), ACC 릴레이(26), 후술하는 파일럿 컷 릴레이(30)의 ON(닫힘)/OFF(열림)에 관계없이, 배터리(18)와 (상시)접속한 전기기기에 대응하는 것이다. 제 2 전장품(27)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니터 장치(35)의 일부, 컨트롤러의 일부(예를 들면, 차체 컨트롤러(36) 및 키리스 컨트롤러(41)), 경적, 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파일럿 컷 솔레노이드 밸브(28)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파일럿 펌프와 컨트롤 밸브의 사이에 설치되고, 당해 컨트롤 밸브에 대한 파일럿압의 공급의 허가와 금지, 즉, 파일럿 압유의 도통(열림)과 차단(닫힘)을 전환하는 것(파일럿 전환 밸브)이다. 파일럿 컷 솔레노이드 밸브(28)는, 배터리(18)에 대하여, SB 퓨즈(19), 파일럿 컷 퓨즈(29), 파일럿 컷 릴레이(30), 퓨즈 박스(23) 내의 PC 퓨즈(23D)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파일럿 컷 릴레이(30)는 차체 컨트롤러(36)와 접속되어 있다. 차체 컨트롤러(36)는, 게이트 록 레버(13)의 위치에 대응하는 게이트 록 스위치(13A)의 신호에 따라, 파일럿 컷 릴레이(30)의 ON(닫힘)/OFF(열림)를 전환한다.
파일럿 컷 릴레이(30)가 ON(닫힘)일 때는, 파일럿 컷 솔레노이드 밸브(28)와 배터리(18)가 통전(접속)하여, 파일럿 컷 솔레노이드 밸브(28)가 도통(열림) 상태(공급 위치)가 된다. 이로 인해, 작업용 조작 레버(10), 주행용 조작 레버·페달(11)을 개재하여 파일럿압을 컨트롤 밸브에 공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유압 액추에이터(스윙 실린더, 붐 실린더(5E), 아암 실린더(5F), 버킷 실린더(5G), 선회 유압 모터, 주행 유압 모터)의 구동이 허가된다. 한편, 파일럿 컷 릴레이(30)가 OFF(열림)일 때는, 파일럿 컷 솔레노이드 밸브(28)와 배터리(18)가 비통전(비접속)이 되어, 파일럿 컷 솔레노이드 밸브(28)가 차단(닫힘) 상태(차단 위치)가 된다. 이 경우에는, 컨트롤 밸브에 파일럿압을 공급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이 금지된다.
ECU(31)는, 엔진(15)의 제어(예를 들면, 회전수 제어)을 행하는 제어 장치이고,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ECU(31)는, 엔진(15)에 설치된 각종 센서 및 연료 분사 장치(인젝터)와 접속되어 있다. ECU(31)는, 예를 들면, 엔진(15)의 실린더 내로의 연료 분사량(연료 공급량)을 가변으로 제어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운전 조작, 차량의 작동 상태 등에 따른 회전수로 엔진(15)을 작동시킨다. 이 경우, ECU(3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엔진 회전수 지시 다이얼의 지령, 차체 컨트롤러(36)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연료 분사 장치의 연료 분사량의 제어를 행한다.
여기에서, ECU(31)는 배터리(18)에 대하여, SB 퓨즈(19), 퓨즈 박스(23) 내의 ECU 퓨즈(23E), 메인 릴레이(32)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ECU(31)는 스타터 릴레이(20), 얼터네이터(34), ACC 릴레이(26)와 접속되어 있다. 메인 릴레이(32)는 ECU(31)에 의해 ON(닫힘)/OFF(열림)가 전환된다. 즉, ACC 릴레이(26)가 ON(닫힘)이 되면, ECU(31)에 ACC 릴레이(26)로부터 전류가 흐르고, ECU(31)는, 메인 릴레이(32)를 ON(닫힘)으로 한다. 이로 인해, ECU(31)가 배터리(18)와 통전(접속) 상태가 된다. 또한, ECU(31)는 모니터 장치(35), 차체 컨트롤러(36), 키리스 컨트롤러(41) 등과 통신선(33)을 개재하여 서로 접속되고, CAN(Control Area Network)을 구성하고 있다.
얼터네이터(34)는 엔진(15)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발전을 행하는 것이다. 얼터네이터(34)는, 배터리(18)의 축전(충전)에 더하여, 제 1 전장품(24), 제 2 전장품(27), ECU(31), 모니터 장치(35), 차체 컨트롤러(36), 키리스 컨트롤러(41) 등에 대한 급전을 행한다. 여기에서, 얼터네이터(34)는, B 단자가 SB 퓨즈(19)를 개재하여 배터리(18)에 접속되고, P 단자 및 I 단자가 ECU(31)에 접속되고, L 단자가 모니터 장치(35)에 접속되어 있다.
모니터 장치(35)는, 예를 들면 유압 셔블(1)의 캡(8) 내에 설치되고, 유압 셔블(1)을 조종하는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유압 셔블(1)의 운전 상황 등을 통지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니터 장치(35)는 엔진 회전수, 연료 잔량, 오일 잔량 등의 각종 상태량, 엔진(15), 유압 기기를 포함하는 각종 기기의 불량 정보, 경고 정보 등, 오퍼레이터에 통지해야 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모니터 장치(35)는, 예를 들면 표시 화면, 표시등(경고 램프), 선택 스위치(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음향 장치가 되는 경적과 함께, 오퍼레이터에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장치가 되는 것이다.
차체 컨트롤러(36)는 모니터 장치(35), ECU(31), 키리스 컨트롤러(41)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제어 장치(컨트롤러, 컨트롤 유닛)이고,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체 컨트롤러(36)는 키리스 컨트롤러(41)와 함께,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를 구성한다.
다음에, 엔진(15)의 기동, 정지를 행하는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는, 오퍼레이터가 소지하는 휴대키(휴대기)(38)의 인증과 오퍼레이터에 의한 파워 스위치(12)의 조작에 의거하여, 배터리(18)와 전기기기의 사이의 통전(접속), 비통전(비접속)을 전환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는, 무선에 의한 휴대키(38)의 인증과 파워 스위치(12)의 조작에 의거하여, 배터리(18)와 제 1 전장품(24)의 사이의 통전(접속), 비통전(비접속), 및, 배터리(18)와 스타터 모터(16)의 사이의 통전(접속), 비통전(비접속)을 전환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는 휴대키(38), LF 송신 안테나(39), RF 수신 안테나(40), 키리스 컨트롤러(41), 차체 컨트롤러(36), ACC 릴레이(26), C 릴레이(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키리스 컨트롤러(41)는, 휴대키(38)와의 무선에 의한 인증을 행하고, 차체 컨트롤러(36)는, 그 인증 결과(인증된 상태인지 미인증의 상태인지)와 파워 스위치(12)의 조작의 유무에 의거하여, 배터리(18)와 전기기기의 사이의 통전(접속), 비통전(비접속)을 전환한다.
인증키(인증기)로서의 휴대키(Key Fob)(38)는, 예를 들면 유압 셔블(1)의 운전(조종)을 행하는 오퍼레이터가 소지(휴대)하는 것이다. 휴대키(38)는, 키리스 컨트롤러(41)로부터 LF 송신 안테나(39)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면, 키리스 컨트롤러(41)에 대하여 인증용 ID 코드(인증 신호, 인증 번호)를 송신(발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휴대키(38)는, 예를 들면,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인증용 ID 코드를 키리스 컨트롤러(41)(의 RF 수신 안테나(40))에 송신하는 송신기,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이들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인증용 ID 코드가 설정된 트랜스폰더 등(모두 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트랜스폰더는, 휴대키(38)의 전지가 다 되었을 때에, 차체에 설치된 트랜스폰더용 안테나(도시 생략)에 가까이 대어, ID의 대조(인증)를 행하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키(38)는, 키리스 컨트롤러(41)에 접속된 LF 송신 안테나(39)의 송신 범위 내(LF대(帶))에 들어가면, LF 송신 안테나(39)로부터 송신되는 리퀘스트 신호(인증 요구 신호)를 수신기로 수신한다. 휴대키(38)는, 이 수신에 의거하여, 휴대키(38)에 설정된 인증용 ID 코드를, 송신기를 통해 송신(회신)한다.
한편, 차체측이 되는 상부 선회체(4)(예를 들면, 캡(8) 내)에는, 송신 안테나로서의 LF 송신 안테나(39)와, 수신 안테나로서의 RF 수신 안테나(40)와, 키리스 컨트롤러(41)가 설치되어 있다. LF 송신 안테나(39)는, 키리스 컨트롤러(41)에 접속되고, 휴대키(38)에 대하여 ID 코드(인증 신호)를 송신한다는 취지의 리퀘스트 신호를, 소정의 제어 주기(예를 들면, 0.5초 주기)로 상시 송신(발신)하는 것이다. RF 수신 안테나(40)는, 키리스 컨트롤러(41)에 접속되고, 휴대키(38)로부터 송신된 ID 코드를 수신하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LF 송신 안테나(39)의 송신 범위(LF대)는, RF 수신 안테나(40)의 수신 범위(RF대)보다 작게 되어 있다.
LF 송신 안테나(39)의 송신 범위(LF대)는, 예를 들면, 운전석(9)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1m 정도이고, RF 수신 안테나(40)의 수신 범위(RF대)는, 예를 들면, 운전석(9)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10m 정도이다. LF 송신 안테나(39)의 송신 범위와 RF 수신 안테나(40)의 수신 범위의 겹친 부분(중복되는 범위), 즉, 도 4에서는 LF 송신 안테나(39)의 송신 범위가 휴대키(38)의 인증 범위(인증 가능 범위, 인증 영역)에 대응한다. 또한, LF 송신 안테나(39)의 송신 범위와 RF 수신 안테나(40)의 수신 범위의 관계는 도 4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키리스 컨트롤러(인증용 컨트롤러)(41)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차체 컨트롤러(36)와 통신선(33) 및 당해 통신선(33)과는 별도의 통신선이 되는 아날로그 신호선(42)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키리스 컨트롤러(41)는, 무선에 의한 휴대키(38)의 인증을 행하는 무선 인증용 제어 장치(컨트롤러, 컨트롤 유닛)가 되는 것이다. 즉, 키리스 컨트롤러(41)는 LF 송신 안테나(39)를 통해 인증 가능 범위에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추가로, 키리스 컨트롤러(41)는 RF 수신 안테나(40)를 통해 수신한 휴대키(38)로부터의 ID 코드가, 정당한 ID 코드인지의 여부, 즉, 키리스 컨트롤러(41)에 미리 설정된 엔진(15)의 시동이 허가된 ID 코드와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인증(판정)한다. 키리스 컨트롤러(41)는, 인증 결과(판정 결과)를 소정의 제어 주기(예를 들면, 0.5초 주기)로 상시 차체 컨트롤러(36)에 출력한다.
이 경우, 키리스 컨트롤러(41)는, 예를 들면, 인증 결과로서 정인증 또는 미인증을 차체 컨트롤러(36)에(예를 들면, 통신선(33)을 개재하여) 출력한다. 정인증은, LF 송신 안테나(39)의 송신 범위(도 4의 LF대) 내에 정당한 ID 코드를 송신하는 휴대키(38)가 존재한다는 취지(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다는 취지)이다. 미인증은, LF 송신 안테나(39)의 송신 범위 내에 정당한 ID 코드를 송신하는 휴대키(38)가 없다는 취지(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없다는 취지)이다.
차체 컨트롤러(36)는, 키리스 컨트롤러(41)의 인증 결과와 파워 스위치(12)의 조작의 유무에 의거하여, ACC 릴레이(26)의 ON(닫힘)/OFF(열림), C 릴레이(22)의 ON(닫힘)/OFF(열림)를 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차체 컨트롤러(36)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키리스 컨트롤러(41), 파워 스위치(12), 착좌 센서(9A), 게이트 록 스위치(13A), ACC 릴레이(26), C 릴레이(22) 등에 접속되어 있다. 차체 컨트롤러(36)는, ROM, RAM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도시 생략)를 가지고, 이 기억부에는, 후술하는 도 5에 나타내는 ACC 릴레이(26)를 ON으로 할 때의 처리 프로그램, 후술하는 도 6에 나타내는 ACC 릴레이(26)를 OFF로 할 때의 처리 프로그램 등이 저장(기억)되어 있다.
차체 컨트롤러(36)는, 키리스 컨트롤러(41)의 인증 결과(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 착좌 센서(9A)에 의한 운전자의 착석, 이석, 게이트 록 스위치(13A)에 의한 게이트 록 레버(13)의 위치(록 위치인지 록 해제 위치인지) 등에 의거하여, ACC 릴레이(26)의 ON/OFF와 C 릴레이(22)의 ON/OFF를 전환한다.
여기에서, 차체 컨트롤러(36)는, ACC 릴레이(26)를 OFF로 함과 함께 C 릴레이(22)를 OFF로 하면, 엔진(15)이 정지하고 있고 전기기기(제 1 전장품(24) 및 스타터 모터(16))가 비통전(비접속)인 상태, 즉, 「엔진 정지·통전 OFF」로 할 수 있다.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정지·통전 OFF」의 상태로부터, ACC 릴레이(26)를 ON으로 함과 함께 C 릴레이(22)를 ON으로 하고, 그 후(엔진(15)의 구동 후), C 릴레이(22)를 OFF로 하면, 엔진(15)이 구동하고 있고 전기기기(제 1 전장품(24))가 통전(접속)인 상태, 즉, 「엔진 구동·통전 ON」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정지·통전 OFF」의 상태로부터, ACC 릴레이(26)만을 ON으로 하면, 엔진(15)이 정지하고 있고 전기기기(제 1 전장품(24))가 통전(접속)인 상태, 즉,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정지·통전 OFF」의 경우에는,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LF대) 내에 있고,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위치(올림 위치)에 있고, 또한,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을 때에,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구동·통전 ON」으로 전환한다. 한편,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정지·통전 OFF」의 경우에는,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내림 위치)에 있고, 또한,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을 때에,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전환한다.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구동·통전 ON」의 경우에는,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면, 「엔진 구동·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한다. 또한,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구동·통전 ON」일 때에,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로부터 벗어나도, 「엔진 구동·통전 ON」을 유지한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작업 중에 오퍼레이터가 굴삭 상황의 확인 등을 위해, 「엔진 구동·통전 ON」인 채로 휴대키(38)를 소지하고 유압 셔블(1)로부터 멀어져도, 「엔진 구동·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정지·통전 ON」의 경우에는,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에 있고, 또한,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을 때에,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한다.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정지·통전 ON」의 경우에,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위치에 있고,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으로부터 이석하고 있을 때는, 파워 스위치(12)의 조작이 없어도,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한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한 오퍼레이터가, 「엔진 정지·통전 OFF」로 하지 않고 유압 셔블(1)로부터 멀어져도,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자동적으로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활할 때에, 그것을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음(예를 들면, 버저, 알람)을 예를 들면 캡(8) 내의 음향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출력한다. 이로 인해, 이 통지음를 들은 오퍼레이터는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차체 컨트롤러(36)에 의해 실행되는 도 5 및 도 6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압 셔블(1)의 오퍼레이터는, 휴대키(38)를 소지하고 상부 선회체(4)의 캡(8)에 탑승한다. 캡(8)내 의 오퍼레이터는 운전석(9)에 착석하고, 게이트 록 레버(13)를 록 위치로 한 상태에서, 파워 스위치(12)를 누르면, 차체 컨트롤러(36)는 ACC 릴레이(26)를 ON으로 하고, 또한, C 릴레이(22)도 ON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제 1 전장품(24)과 스타터 모터(16)에 대한 통전이 개시된다. 이 결과, 스타터 모터(16)가 회전하고, 엔진(15)이 시동한다. 엔진(15)의 시동 후, 차체 컨트롤러(36)는 C 릴레이(22)를 OFF로 한다.
엔진(15)이 시동하면, 엔진(15)에 의해 유압 펌프(17)가 구동된다. 오퍼레이터가 게이트 록 레버(13)를 록 위치부터 록 해제 위치로 조작하면, 유압 액추에이터(스윙 실린더, 붐 실린더(5E), 아암 실린더(5F), 버킷 실린더(5G), 선회 유압 모터, 주행 유압 모터)의 구동이 허가된다.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주행용 조작 레버·페달(11)을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오퍼레이터가 작업용 조작 레버(10)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5)를 부앙동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소형의 유압 셔블(1)은, 상부 선회체(4)에 의한 선회 반경이 작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시가지와 같이 좁은 작업 현장에서도 상부 선회체(4)를 선회 구동하면서 측구(側溝)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작업이 종료하고 오퍼레이터가 파워 스위치(12)를 누르면, 차체 컨트롤러(36)에 의해 ACC 릴레이(26)가 OFF가 된다. 이로 인해, 제 1 전장품(24)에 대한 통전이 끊어짐과 함께, 엔진(15)이 정지한다. 유압 셔블(1)의 엔진(15)이 정지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에 착석하고, 게이트 록 레버(13)를 록 해제 위치로 하고, 파워 스위치(12)를 누르면, 차체 컨트롤러(36)에 의해 ACC 릴레이(26)만 ON이 된다(C 릴레이(22)는 OFF가 유지된다). 이로 인해, 엔진(15)을 시동(구동)시키지 않고, 제 1 전장품(24)에 통전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파워 스위치(12)를 누르면, 차체 컨트롤러(36)에 의해 ACC 릴레이(26)가 OFF가 되고, 제 1 전장품(24)에 대한 통전이 끊어진다.
다음에, 차체 컨트롤러(36)에 의해 행하여지는 처리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의 처리는, ACC 릴레이(26)가 OFF일 때에 차체 컨트롤러(36)에 의해 실행된다. 도 6의 처리는, ACC 릴레이(26)가 ON일 때에 차체 컨트롤러(36)에 의해 실행된다.
먼저, 도 5의 처리를 설명한다. ACC 릴레이(26)가 OFF가 됨으로써, 즉, 「엔진 정지·통전 OFF」의 상태가 됨으로써, 도 5의 처리 동작이 스타트하면, 단계 1에서는, 휴대키(38)가 LF 송신 안테나(39)의 반응 내(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키리스 컨트롤러(41)로부터 차체 컨트롤러(36)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상시 출력되는 인증 결과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즉, 휴대키(38)가 LF 송신 안테나(39)의 반응 내에 있으면, 휴대키(38)로부터 키리스 컨트롤러(41)에 대하여 인증용 ID 코드가 송신(발신)된다. 키리스 컨트롤러(41)는, 휴대키(38)로부터 수신한 ID 코드가 정당한 ID 코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정당한 ID 코드이면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인증된 휴대키(38)가 있다는 취지의 인증 결과를 차체 컨트롤러(36)에 출력한다. 한편, 인증용 ID 코드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나 수신한 ID 코드가 정당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키리스 컨트롤러(41)는,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없다는 취지의 인증 결과를 차체 컨트롤러(36)에 출력한다.
단계 1에서 「YES」, 즉, 휴대키(38)가 LF 송신 안테나(39)의 반응 내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 1에서 「NO」, 즉, 휴대키(38)가 LF 송신 안테나(39)의 반응 내에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1의 전으로 되돌아가, 단계 1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2에서는 게이트 록 레버(13)가 올림 위치(록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게이트 록 스위치(13A)의 신호(ON·OFF 신호)에 의거하여 판정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YES」, 즉, 게이트 록 레버(13)가 올림 위치(록 위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3으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 2에서 「NO」, 즉, 게이트 록 레버(13)가 올림 위치(록 위치)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9로 진행된다.
단계 3에서는,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는지(눌렸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파워 스위치(12)의 신호(ON 신호)에 의거하여 판정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NO」, 즉,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어 있지 않다(ON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1의 전으로 되돌아가, 단계 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3에서 「YES」, 즉,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다(ON 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4로 진행되고, ACC 릴레이(26) 및 C 릴레이(22)의 양방을 ON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제 1 전장품(24)과 스타터 모터(16)에 대한 통전이 개시되고, 스타터 모터(16)가 회전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단계 5에서, 버저 또는 알람을 소정 시간 울린다. 즉, 엔진(15)을 시동(기동)하고 있다는 취지의 통지음(버저, 알람)을, 예를 들면 캡(8) 내의 음향 장치로부터 출력한다.
이어지는 단계 6에서는, C 릴레이(22)를 ON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t)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40초)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6에서 「YES」, 즉, 경과 시간(t)이 소정 시간 이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7로 진행되고, 얼터네이터(34)가 발전을 개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엔진(15)이 시동하면, 얼터네이터(34)에 의해 발전이 행하여진다. 단계 7에서는, 얼터네이터(34)가 발전을 개시하였는지의 여부에 의해, 엔진(15)이 시동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얼터네이터(34)가 발전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면, 얼터네이터(34)의 L 단자의 출력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단계 7에서 「NO」, 즉, 얼터네이터(34)가 발전하고 있지 않다(엔진(15)이 시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6의 전으로 되돌아가, 단계 6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7에서 「YES」, 즉, 얼터네이터(34)가 발전하고 있다(엔진(15)이 시동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또는, 단계 6에서 「NO」, 즉, C 릴레이(22)를 ON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t)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40초)을 초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8로 진행되어, C 릴레이(22)를 OFF로 하고, 도 5의 제어 처리가 종료한다(도 6의 처리를 개시한다). 이 경우, 엔진(15)이 시동하고 있으면, 「엔진 구동·통전 ON」의 상태가 되고, 엔진(15)이 시동하고 있지 않으면, 「엔진 정지·통전 ON」의 상태가 된다.
한편, 단계 2에서 「YES」라고 판정되어 단계 9로 진행되면, 단계 9에서는 게이트 록 레버(13)가 내림 위치(록 해제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9에서 「NO」, 즉, 게이트 록 레버(13)가 내림 위치(록 해제 위치)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1의 전으로 되돌아가, 단계 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9에서 「YES」, 즉, 게이트 록 레버(13)가 내림 위치(록 해제 위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10으로 진행된다.
단계 10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에 착석하고 있는지의 여부, 즉, 착좌 센서(9A)로부터 ON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10에서 「NO」, 즉, 착좌 센서(9A)로부터 ON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다(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에 착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1의 전으로 되돌아가, 단계 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10에서 「YES」, 즉, 착좌 센서(9A)로부터 ON 신호가 출력되어 있다(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에 착석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11로 진행된다.
단계 11에서는,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는지(눌렸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11에서 「NO」, 즉,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어 있지 않다(ON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1의 전으로 되돌아가, 단계 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11에서 「YES」, 즉,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다(ON 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12로 진행되어, ACC 릴레이(26)를 ON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제 1 전장품(24)에 통전이 개시된다. 단계 12에서 ACC 릴레이(26)를 ON으로 하면, 도 5의 제어 처리가 종료한다(도 6의 처리를 개시한다). 이 경우에는 「엔진 정지·통전 ON」의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6의 처리를 설명한다. ACC 릴레이(26)가 ON이 됨으로써, 즉, 「엔진 구동·통전 ON」 또는 「엔진 정지·통전 ON」의 상태가 됨으로써, 도 6의 처리 동작이 스타트하면, 단계 21에서는, 엔진(15)이 회전하고 있는지의 여부, 즉, 엔진(15)이 구동중인지 정지중인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예를 들면, 도 5의 단계 7과 동일하게, 얼터네이터(34)가 발전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단계 21에서 「NO」, 즉, 엔진(15)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2로 진행된다. 이 경우에는 「엔진 정지·통전 ON」의 상태이다. 한편, 단계 21에서 「YES」, 즉, 엔진(15)이 구동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9로 진행된다. 이 경우에는 「엔진 구동·통전 ON」의 상태이다.
단계 22에서는, 휴대키(38)가 LF 송신 안테나(39)의 반응 내(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2에서 「YES」, 즉, 휴대키(38)가 LF 송신 안테나(39)의 반응 내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3으로 진행된다. 단계 23에서는, 게이트 록 레버(13)가 내림 위치(록 해제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3에서 「NO」, 즉, 게이트 록 레버(13)가 내림 위치(록 해제 위치)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1의 전으로 되돌아가, 단계 2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23에서 「YES」, 즉, 게이트 록 레버(13)가 내림 위치(록 해제 위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4로 진행된다.
단계 24에서는,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는지(눌렸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4에서 「NO」, 즉,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어 있지 않다(ON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1의 전으로 되돌아가, 단계 2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24에서 「YES」, 즉,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다(ON 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5로 진행되어, ACC 릴레이(26)를 OFF로 한다. 이때, 그것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음(예를 들면, 버저, 알람)을 예를 들면 캡(8) 내의 음향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출력한다. 이 경우에는, 제 1 전장품(24)의 통전이 끊어짐으로써 「엔진 정지·통전 OFF」의 상태가 된다. 단계 25에서 ACC 릴레이(26)를 OFF로 하면, 도 6의 제어 처리가 종료한다(도 5의 처리를 개시한다).
한편, 단계 22에서 「NO」, 즉, 휴대키(38)가 LF 송신 안테나(39)의 반응 내에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6으로 진행된다. 단계 26에서는, 게이트 록 레버(13)가 올림 위치(록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6에서 「NO」, 즉, 게이트 록 레버(13)가 올림 위치(록 위치)가 아니라고(내림 위치라고, 록 해제 위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1의 전으로 되돌아가, 단계 2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26에서 「YES」, 즉, 게이트 록 레버(13)가 올림 위치(록 위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7로 진행된다.
단계 27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으로부터 이석하고 있는지의 여부, 즉, 착좌 센서(9A)로부터 OFF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지(ON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7에서 「NO」, 즉, 착좌 센서(9A)로부터 OFF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다(착좌 센서(9A)로부터 ON 신호가 출력되어 있고,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에 착석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1의 전으로 되돌아가, 단계 2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27에서 「YES」, 즉, 착좌 센서(9A)로부터 OFF 신호가 출력되어 있다(착좌 센서(9A)로부터 ON 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으로부터 이석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8로 진행된다.
단계 28에서는, 단계 22에서 「NO」라고 판정되고 나서, 즉, 휴대키(38)가 LF 송신 안테나(39)의 반응 내로부터 벗어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소정 시간은,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로부터 벗어나고 나서 제 1 전장품(24)의 통전을 끊을 때까지의 시간으로서 적절한 시간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소정 시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면, 플래그를 이용하여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22에서 「NO」라고 판정되면 플래그가 ON이 되고, 그 후, 단계 22에서 「YES」라고 판정되지 않는 한, 플래그가 OFF가 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이 경우, 단계 28에서는, 플래그가 ON이 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8에서 「NO」, 즉,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로부터 벗어나고 나서(플래그가 ON이 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1의 전으로 되돌아가, 단계 2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28에서 「YES」, 즉,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로부터 벗어나고 나서(플래그가 ON이 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5로 진행되어, ACC 릴레이(26)를 OFF로 한다. 이때, 그것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음(예를 들면, 버저, 알람)을 예를 들면 캡(8) 내의 음향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출력한다. 이 경우도, 제 1 전장품(24)의 통전이 끊어짐으로써 「엔진 정지·통전 OFF」의 상태가 되고, 도 6의 제어 처리가 종료한다(도 5의 처리를 개시한다).
한편, 단계 21에서 「YES」라고 판정되어 단계 29로 진행되면, 단계 29에서는,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는지(눌렸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9에서 「NO」, 즉,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어 있지 않다(ON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1의 전으로 되돌아가, 단계 2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29에서 「YES」, 즉,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다(ON 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도 6의 A를 개재하여)단계 25로 진행되어, ACC 릴레이(26)를 OFF로 한다. 이 경우에는, 제 1 전장품(24)의 통전이 끊어짐과 함께 엔진(15)이 정지함으로써 「엔진 정지·통전 OFF」의 상태가 되고, 도 6의 제어 처리가 종료한다(도 5의 처리가 개시된다).
이렇게 하여, 실시형태에 의하면,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의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정지·통전 OFF」일 때에,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으면,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인 상태에서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면, 단계 1, 9, 11, 12의 처리에 의해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전환한다. 즉,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또한,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다고 해도,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하기 위해서는,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에 있는 것이 조건이 된다. 이로 인해, 유압 셔블(1)의 조작 방법을 아는 사람 이외의 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정지·통전 OFF」일 때에,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으면,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위치인 상태에서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면, 단계 1, 2, 3, 4의 처리에 의해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구동·통전 ON」으로 전환한다. 즉,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또한,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다고 해도, 「엔진 구동·통전 ON」으로 하기 위해서는,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위치에 있는 것이 조건이 된다. 여기에서,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유압 액추에이터(스윙 실린더, 붐 실린더(5E), 아암 실린더(5F), 버킷 실린더(5G), 선회 유압 모터, 주행 유압 모터)의 구동이 금지된다. 이 때문에, 엔진(15)의 시동(기동)에 수반하여 유압 펌프(17)로부터 압유가 토출되어도, 유압 액추에이터의 의도하지 않는 구동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키를 키 실린더에 꽂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키를 빼는 것을 잊어버리는 일도 없앨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하기 위해,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에 있는 것에 더하여, 단계 10의 처리, 즉,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에 착석하고 있는 것도 추가의 조건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파워 스위치(12)의 조작 이외에 복수의 조건(트리거), 즉,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에 있는 것과,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에 착석하고 있는 것의 양방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조작의 제한을 보다 높은 차원에서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의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정지·통전 ON」일 때에,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인 상태에서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면, 단계 23, 24, 25의 처리에 의해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한다. 이 때문에,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한 사람은, 게이트 록 레버(13)를 조작하지 않고 단지 파워 스위치(12)를 조작함으로써,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정지·통전 ON」일 때에,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위치이고,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으로부터 이석하고 있고,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로부터 벗어나면, 단계 22, 26, 27, 25의 처리에 의해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한다. 이 때문에,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한 사람은, 그 후, 게이트 록 레버(13)를 록 위치로 하여 운전석(9)으로부터 이석하여도,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된다. 바꾸어 말하면,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한 사람이, 「엔진 정지·통전 OFF」로 하는 것을 잊어도(「엔진 정지·통전 OFF」로 하기 위한 파워 스위치(12)의 조작을 잊어도),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자동적으로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18) 방전을 억제 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되면, 그것을 오퍼레이터에 통지하기 위한 통지음을 출력한다. 이로 인해, 이 통지음을 들은 오퍼레이터는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오퍼레이터는,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하는 것을 잊어도, 그것을 알아차렸을 때에, 유압 셔블(1)의 상태가 「엔진 정지·통전 ON」인지 「엔진 정지·통전 OFF」인지를 바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구동·통전 ON」일 때에,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면, 단계 29, 25의 처리에 의해 「엔진 구동·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한다. 이 때문에, 「엔진 구동·통전 ON」일 때는, 단지 파워 스위치(12)를 조작함으로써, 「엔진 구동·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으로 전환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차체 컨트롤러(36)는, 「엔진 구동·통전 ON」일 때에,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로부터 벗어나도 「엔진 구동·통전 ON」을 유지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작업 중에 오퍼레이터가 굴삭 상황의 확인을 위해, 「엔진 구동·통전 ON」인 채로 휴대키(38)를 소지하고 유압 셔블(1)로부터 멀어져도, 「엔진 구동·통전 ON」으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유압 셔블(1)로 되돌아간 오퍼레이터는,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구동·통전 ON」으로 하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작업을 신속히 재개할 수 있다. 이 결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내림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에 착석하고 있고, 또한,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을 때에,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내림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에 착석하고 있고, 캡(8)의 도어가 닫혀 있고, 또한,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을 때에,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캡(8)에 도어의 개폐 센서(개폐 스위치)를 설치하고, 당해 개폐 센서를 차체 컨트롤러에 접속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파워 스위치(12)의 조작 이외에,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에 있는 것과,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에 착석하고 있는 것, 캡(8)의 도어가 닫혀 있는 것의 3개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작의 제한을 더 높은 차원에서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내림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가 운전석(9)에 착석하고 있고, 또한,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을 때에,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휴대키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또한, 록 레버가 록 해제 위치(내림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의 착석, 이석, 캡의 도어의 개폐와 상관없이, 파워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위치(올림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을 때에,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구동·통전 ON」으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휴대키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록 레버가 록 위치(올림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고 있고, 또한, 파워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엔진 구동·통전 ON」으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오퍼레이터의 착석, 이석을, 운전석(9)에 설치한 압력 스위치 등의 착좌 센서(9A)를 히용하여 판정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오퍼레이터의 유무를 검출(검지)할 수 있는 센서(오퍼레이터 검지부)이면, 예를 들면, 천장 센서, 적외선 센서, 화상 센서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게이트 록 레버(13)가 록 위치(올림 위치)일 때에 구동을 금지하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작업과 주행 모두에 관한 유압 액추에이터(스윙 실린더, 붐 실린더(5E), 아암 실린더(5F), 버킷 실린더(5G), 선회 유압 모터, 주행 유압 모터)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유압 셔블(건설기계)의 사양에 따라, 구동을 금지하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취사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키리스 컨트롤러(41)에 의해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인증)을 행하고, 이 판정 결과(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차체 컨트롤러(36)에 의해 C 릴레이(22) 및 ACC 릴레이(26)의 ON(닫힘)/OFF(열림)를 행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차체 컨트롤러에 LF 송신 안테나, RF송신 안테나를 접속함과 함께 차체 컨트롤러로 휴대키의 인증을 행하는 등, 키리스 컨트롤러의 기능을 차체 컨트롤러에 가지게 해도 된다(키리스 컨트롤러를 생략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ACC 릴레이(26)의 ON(닫힘)/OFF(열림)에 따라 배터리(18)와의 통전과 비통전이 전환되는 전장품(전기기기)을 제 1 전장품(24)으로 하고, C 릴레이(22)의 ON(닫힘)/OFF(열림)에 따라 통전과 비통전이 전환되는 전장품(전기기기)을 엔진(15)의 스타터 모터(16)로 하고, ACC 릴레이(26)의 ON(닫힘)/OFF(열림)에 관계없이 배터리(18)와 상시 접속된 전장품(전기기기)을 제 2 전장품(27)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스타터 모터(16) 이외의 전장품(전기기기)을, ACC 릴레이의 ON(닫힘)/OFF(열림)에 따라 배터리와의 통전과 비통전이 전환되는 제 1 전장품(전기기기)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전장품(24)에 대응하는 각종 기기 및 제 2 전장품(27)에 대응하는 각종 기기는 하나의 예시이며, 유압 셔블(건설기계)의 사양, 옵션의 전장품(전기기기)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즉, 제 1 전장품으로 할지 제 2 전장품으로 할지는 유압 셔블(건설기계)에 탑재하는 전장품(전기기기)에 따라 취사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펌프(17)의 구동원으로서 엔진(15)을 구비한 엔진식의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엔진과 어시스트 발전 모터(발전 전동기, 발전기, 전동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식의 유압 셔블(하이브리드식 건설기계)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어시스트 발전 모터를 엔진의 스타터 모터로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소형의 유압 셔블(1)에 탑재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중형 이상의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 휠 로더, 포크리프트, 유압 크레인 등, 각종 건설기계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 유압 셔블(건설기계)
5E : 붐 실린더(유압 액추에이터)
5F : 아암 실린더(유압 액추에이터)
5G : 버킷 실린더(유압 액추에이터)
9 : 운전석
12 : 파워 스위치
13 : 게이트 록 레버(록 레버)
15 : 엔진
16 : 스타터 모터(전기기기)
17 : 유압 펌프
18 : 배터리
24 : 제 1 전장품(전기기기)
37 : 무선 인증 기동 장치
38 : 휴대키

Claims (8)

  1. 동력원이 되는 엔진(15)과,
    당해 엔진(15)을 포함하는 전기기기(24)의 전원이 되는 배터리(18)와,
    상기 엔진(15)에 의해 구동되어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17)와,
    당해 유압 펌프(17)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액추에이터(5E, 5F, 5G)와,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5E, 5F, 5G)의 구동을 금지하는 록 위치와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5E, 5F, 5G)의 구동을 허가하는 록 해제 위치로 전환되는 록 레버(13)와,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9)을 구비하고,
    상기 록 레버(13)를 록 해제 위치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5E, 5F, 5G)의 구동에 의해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9)의 근방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파워 스위치(12)와,
    당해 파워 스위치(12)의 조작과 무선에 의한 휴대키(38)의 인증에 의거하여, 상기 배터리(18)와 상기 전기기기(24)의 사이의 통전, 비통전을 전환하는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15)이 정지하고 있고 상기 전기기기(24)가 비통전인 상태를 「엔진 정지·통전 OFF」라 하고,
    상기 엔진(15)이 구동하고 있고 상기 전기기기(24)가 통전인 상태를 「엔진 구동·통전 ON」이라 하고,
    상기 엔진(15)이 정지하고 있고 상기 전기기기(24)가 통전인 상태를 「엔진 정지·통전 ON」이라 한 경우에,
    상기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는,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이고, 상기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상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 전환하고,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이고, 상기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록 레버(13)가 록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로부터 상기 「엔진 구동·통전 ON」으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는,
    상기 「엔진 정지·통전 ON」이고, 상기 록 레버(13)가 록 해제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는,
    상기 「엔진 정지·통전 ON」이고, 상기 록 레버(13)가 록 위치에 있고, 오퍼레이터가 상기 운전석(9)으로부터 이석하고 있고, 또한, 상기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상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는,
    상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할 때에, 그것을 오퍼레이터에 통지하기 위한 통지음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는,
    상기 「엔진 정지·통전 ON」으로부터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할 때에, 그것을 오퍼레이터에 통지하기 위한 통지음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는,
    상기 「엔진 구동·통전 ON」이고, 또한, 상기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엔진 구동·통전 ON」으로부터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증 기동 장치(37)는,
    상기 「엔진 구동·통전 ON」일 때에, 상기 휴대키(38)가 인증 가능 범위 내로부터 벗어나도, 상기 「엔진 구동·통전 ON」을 유지하고, 상기 파워 스위치(12)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엔진 구동·통전 ON」으로부터 상기 「엔진 정지·통전 OFF」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 레버(13)는, 올림 위치에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5E, 5F, 5G)의 구동을 금지하는 록 위치가 되고, 내림 위치에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5E, 5F, 5G)의 구동을 허가하는 록 해제 위치가 되는 게이트 록 레버(13)인 건설기계.
KR1020167024920A 2014-09-30 2015-07-17 건설기계 KR201601422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1319 2014-09-30
JP2014201319A JP2016069963A (ja) 2014-09-30 2014-09-30 建設機械
PCT/JP2015/070532 WO2016051929A1 (ja) 2014-09-30 2015-07-17 建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285A true KR20160142285A (ko) 2016-12-12

Family

ID=5562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920A KR20160142285A (ko) 2014-09-30 2015-07-17 건설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58489A1 (ko)
EP (1) EP3202984A1 (ko)
JP (1) JP2016069963A (ko)
KR (1) KR20160142285A (ko)
CN (1) CN106164384A (ko)
WO (1) WO20160519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3712B2 (ja) * 2014-12-12 2018-05-30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油圧ショベル
MX2019002215A (es) * 2016-08-26 2019-07-08 Crown Equip Corp Herramientas de escaneo de campos multiples en vehiculos de manejo de materiales.
JP6761102B2 (ja) 2017-02-22 2020-09-23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JP6604982B2 (ja) * 2017-03-01 2019-11-13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油圧ショベル
CN107336687B (zh) * 2017-06-23 2023-09-29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简易的锁车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JP6749296B2 (ja) * 2017-08-22 2020-09-0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資機材の稼働状況特定システム、資機材の稼働状況特定装置、及び資機材の稼働状況特定プログラム
JP6961750B2 (ja) * 2017-08-22 2021-11-0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資機材の稼働状況特定システム、資機材の稼働状況特定装置、及び資機材の稼働状況特定プログラム
CN108001295B (zh) * 2017-11-30 2020-05-01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装置及车辆
CN108340855B (zh) * 2018-01-17 2020-07-14 三一专用汽车有限责任公司 一种车辆的电源总开关控制方法和控制装置
JP2020128641A (ja) * 2019-02-08 2020-08-2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7267775B2 (ja) * 2019-02-28 2023-05-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7215264B2 (ja) * 2019-03-19 2023-01-3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7153595B2 (ja) * 2019-03-26 2022-10-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7026076B2 (ja) * 2019-03-29 2022-02-25 日立建機株式会社 現場管理システム
JP7447531B2 (ja) * 2020-02-18 2024-03-1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遠隔操作支援サーバ、遠隔操作支援システムおよび遠隔操作支援方法
US11647686B2 (en) * 2020-03-26 2023-05-16 Deere &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the presence of proximate objects in a working area
JP7050981B1 (ja) * 2021-03-09 2022-04-0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N113153025A (zh) * 2021-03-24 2021-07-23 上海宏英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工程车辆遥控门锁系统及控制方法
JP2022157165A (ja) * 2021-03-31 2022-10-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5564A (ja) 2012-01-31 2013-08-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2230B2 (ja) * 1989-05-18 1998-07-30 株式会社加藤製作所 車両用エンジンのコントロール装置における安全回路
JP2001041069A (ja) * 1999-07-27 2001-02-1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JP3908639B2 (ja) * 2002-09-25 2007-04-2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100734943B1 (ko) * 2005-12-05 2007-07-03 에스앤티대우(주) 전기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JP4726843B2 (ja) * 2007-03-26 2011-07-2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4750067B2 (ja) * 2007-03-30 2011-08-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非常停止システムおよび建設機械
JP5505645B2 (ja) * 2010-08-06 2014-05-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5564A (ja) 2012-01-31 2013-08-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58489A1 (en) 2017-03-02
WO2016051929A1 (ja) 2016-04-07
JP2016069963A (ja) 2016-05-09
EP3202984A1 (en) 2017-08-09
CN106164384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2285A (ko) 건설기계
KR101917267B1 (ko) 건설 기계
JP6411935B2 (ja) 建設機械
KR20170041805A (ko) 건설 기계
JP6966224B2 (ja) 建設機械
JP6618421B2 (ja) 建設機械
JP6781182B2 (ja) 建設機械
JP2021151836A (ja) 建設機械
JP4879231B2 (ja) バッテリ駆動式建設機械
JP2020158997A (ja) 作業機械
JP4488993B2 (ja) 建設作業機の盗難防止装置
JP2016061110A (ja) 建設機械
JP7107676B2 (ja) 建設機械
JP4372073B2 (ja) 建設作業機の盗難防止装置
JP2017187000A (ja) 作業機械
JP2021151835A (ja) 作業機械
CN117858992A (zh) 作业机械以及作业机械的远程操作系统
KR20220130815A (ko) 작업 기계
JP2023051569A (ja) 建設機械の制御システム
JP2004098900A (ja) 作業機の盗難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