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299A - 단말기, 전원 어댑터 및 충전 이상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전원 어댑터 및 충전 이상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299A
KR20160136299A KR1020167023544A KR20167023544A KR20160136299A KR 20160136299 A KR20160136299 A KR 20160136299A KR 1020167023544 A KR1020167023544 A KR 1020167023544A KR 20167023544 A KR20167023544 A KR 20167023544A KR 20160136299 A KR20160136299 A KR 20160136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wer adapter
terminal
charge
charg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아량 장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043218.5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762691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043139.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795040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042541.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779907B/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3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01R31/360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02J2007/0039
    • H02J2007/009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H04M2001/02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단말기, 전원 어댑터 및 충전 이상 처리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10)는 전지(11)와 충전인터페이스(12)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12)를 통하여 전원 어댑터(20)와 충전회로를 형성하여 전지(11)에 충전하고, 단말기(10)는 통신유닛(13), 이상검측유닛(14) 및 이상처리유닛(15)을 더 포함하며, 그 중 통신유닛(13)은 전원 어댑터(20)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이상검측유닛(14)은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이상처리유닛(15)이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단말기가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충전 과정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단말기, 전원 어댑터 및 충전 이상 처리방법{Terminal, Power Adapter, and Method for Processing Charging Excep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충전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단말기, 전원 어댑터 및 충전 이상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 전자기기 중의 전지는 전자기기의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의 전원 어댑터와 연결되어 충전을 실현한다. 전지의 충전 과정에서 충전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기존기술에 의하면 충전 전류를 증가시키어 전지에 대한 쾌속 충전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정전압 출력 방식을 사용하거나 충전전류를 증가하는 방식을 사용하든 지를 막론하고, 전지에 대하여 충전할 때, 만약 충전회로에 이상 예를 들면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의 과전압 및/또는 출력전류의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단말기의 전지를 손상시킨다. 기존기술에 서는 충전회로의 이상에 대하여 검측 및 처리할 수 없는 바, 충전 과정의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기, 전원 어댑터 및 충전 이상 처리방법을 제공하여 충전 과정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제1 측면에 의하면, 전지와 충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원 어댑터와 충전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지에 충전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통신유닛, 이상검측유닛 및 이상처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유닛은 상기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검측유닛은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상기 이상처리유닛이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제1 측면과 결부하면, 제1 측면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상기 통신유닛은 상기 전원 어댑터로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발송하여, 상기 전원 어댑터를 지시하여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제1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1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전원선과 데이터선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원 어댑터와 충전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지에 충전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전원선을 통하여 상기 전원 어댑터와 충전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지에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유닛이 상기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유닛이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상기 전원 어댑터로부터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1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이상처리유닛이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상처리유닛이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을 낮추거나, 상기 이상처리유닛이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이상처리유닛이 상기 충전회로를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1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에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의 과전압 및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 과전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1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검측유닛이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전압과 전압 역치를 비교하고,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전압 역치보다 클 때,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이 과전압이고 상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함을 결정한다.
제1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1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제1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1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검측유닛이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전류와 전류 역치를 비교하고, 상기 출력전류가 상기 전류 역치보다 클 때, 상기 출력전류가 과전류이고 상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의하면, 파워전환유닛 및 충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전환유닛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말기와 충전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단말기의 전지에 충전하는 전원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 어댑터는 통신유닛 및 이상처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유닛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이상처리유닛은 상기 충전보호 지시정보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제2 측면과 결부하면, 제2 측면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전원 어댑터와 상기 단말기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충전하기 위한 전원선 및 데이터선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유닛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유닛이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한다.
제2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2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통신유닛은 또 상기 단말기로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2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 및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의하면, 충전 이상 처리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전원 어댑터 사이의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과 결부하면, 제3 측면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원 어댑터로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발송하여, 상기 전원 어댑터를 지시하여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3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단말기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데이터선과 충전을 위한 전원선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가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상기 전원 어댑터로부터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3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원 어댑터의 입력전압을 낮추거나,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원 어댑터의 입력전류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회로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3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에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의 과전압 및/또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 과전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3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전원 어댑터 사이의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출력전압 및 전압 역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전압 역치보다 클 때,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출력전압이 과전압이고 상기 충전회로가 이상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3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전원 어댑터 사이의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출력전류 및 전류 역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전류가 상기 전류 역치보다 클 때,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출력전류가 과전류이고 상기 충전회로가 이상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의하면, 충전 이상 처리방법에 있어서, 전원 어댑터가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어댑터가 상기 충전보호 지시정보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 어댑터 및 상기 단말기 사이의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이상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제4 측면과 결부하면, 제4 측면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전원 어댑터와 상기 단말기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충전하기 위한 전원선 및 데이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어댑터가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어댑터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4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원 어댑터가 상기 단말기로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 -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 임 -를 더 포함한다.
제4 측면 또는 그의 상기 실시양태의 어느 하나와 결부하면, 제4 측면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 및/또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상기 단말기는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충전 과정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에 사용하고자 하는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간단하게 소개한다. 아래 기술되는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창조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으면서 이러한 첨부된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기의 예시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전원 어댑터의 예시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충전 이상 처리방법의 예시성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충전 이상 처리방법의 예시성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기술한다. 기술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분 실시예일 뿐 전부 실시예가 아니다. 본 발명 중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창조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으면서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기의 예시성 블록도이다. 도 1의 단말기(10)는 전지(11)와 충전 인터페이스(12)를 포함하고, 단말기(10)는 충전 인터페이스(12)를 통하여 전원 어댑터와 충전회로를 형성하여 전지(11)에 충전하며, 단말기(10)는 통신유닛(13), 이상검측유닛(14) 및 이상처리유닛(15)을 더 포함하고, 그 중 통신유닛(13)은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이상검측유닛(14)은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이상처리유닛(15)은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상기 단말기는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충전 과정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통신유닛(13)은 전원 어댑터로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발송하고, 전원 어댑터를 지시하여 충전회로가 보호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단말기는 충전회로가 보호상태로 진입하도록 주동적으로 제어할 뿐만 아니라 또한 전원 어댑터를 통지하여 충전회로가 보호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이로써 단말기의 이상처리유닛이 실효되어 충전회로가 보호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없어도 여전히 전원 어댑터에 의해 충전회로가 보호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충전 과정의 안전성을 더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충전 인터페이스는 전원선과 데이터선을 포함하고, 단말기(10)가 충전 인터페이스(12)를 통하여 전원 어댑터와 충전회로를 형성하여 전지에 충전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단말기(10)가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전원선을 통하여 전원 어댑터와 충전회로를 형성하여 전지에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고, 통신유닛(13)이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통신유닛(13)이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충전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인터페이스 또는 micro USB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전원선은 USB인터페이스 중의 전원선으로서 예를 들면 +5V 및 -5V 전원선이고, 상기 데이터선은 USB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선으로서 예를 들면 D+선 및 D-선이다.
이해해야 할 바로는, 충전회로의 이상을 초래하는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이 과전압이고,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가 과전류인 것 등으로, 상이한 이상 상황에 대한 검측과 처리 방식은 상이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결부하여 각종 이상 상황의 검측 및 처리 방식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을 포함하고, 이상검측유닛(14)이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출력전압과 전압 역치를 비교하고, 상기 출력전압이 전압 역치보다 클 때,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이 과전압이고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바로는, 상기 전압 역치는 단말기(10)와 전원 어댑터의 구체적인 모델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고, 경험을 기반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을 포함하고, 이상검측유닛(14)이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출력전류와 전류 역치를 비교하고, 출력전류가 전류 역치보다 클 때, 출력전류가 과전류이고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바로는, 상기 전류 역치는 단말기(10)와 전원 어댑터의 구체적인 모델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고, 경험을 기반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내용은 도 1을 결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기를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하기 내용은 도 2를 결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전원 어댑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해해야 할 바로는, 단말기측에서 설명하는 단말기와 전원 어댑터의 인터액션 및 관련 특성, 기능 등은 전원 어댑터측의 설명과 대응되고, 간결성을 위하여 중복된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전원 어댑터의 예시성 블록도이다. 도 2의 전원 어댑터(20)는 파워전환유닛(21) 및 충전 인터페이스(22)를 포함하고, 파워전환유닛(21)은 충전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단말기와 충전회로를 형성하여 단말기의 전지에 충전한다. 전원 어댑터(20)는 통신유닛(23)과 이상처리유닛(24)을 더 포함하고, 그 중 통신유닛(23)은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을 수신하며, 이상처리유닛(24)은 충전보호 지시정보의 지시에 근거하여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전원 어댑터의 통신유닛은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보호 지시정보의 지시에 근거하여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충전 과정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전원 어댑터(20)와 단말기는 충전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충전 인터페이스(22)는 충전을 위한 전원선 및 데이터선을 포함하며, 통신유닛(23)이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통신유닛(23)이 충전 인터페이스(22) 중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충전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인터페이스 또는 micro USB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전원선은 USB인터페이스 중의 전원선으로서 예를 들면 +5V 및 -5V 전원선이고, 상기 데이터선은 USB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선으로서 예를 들면 D+선 및 D-선이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통신유닛(23)은 또 단말기로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발송하고,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충전회로의 이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전원 어댑터(20)의 출력전압 및/또는 전원 어댑터(20)의 출력전류를 포함한다.
상기 내용은 도 1 및 도 2를 결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기와 전원 어댑터를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하기 내용은 도 3 및 도 4를 결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충전 이상 처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해해야 할 바로는, 도 3 중의 충전 이상 처리방법은 도 1 중의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도 4 중의 충전 이상 처리방법은 도 2 중의 전원 어댑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중복된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충전 이상 처리방법의 예시성 흐름도이다. 도 3의 방법은 하기 단계(310) 내지 단계(330)을 포함한다.
단계(310): 단말기가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320): 단말기가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와 전원 어댑터 사이의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며, 및
단계(330):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단말기는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상기 단말기는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충전 과정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 3의 방법은,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단말기가 전원 어댑터로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발송하고, 전원 어댑터를 지시하여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단말기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충전 인터페이스는 데이터선과 충전을 위한 전원선을 포함하며, 단말기가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단말기에 의해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전원 어댑터의 입력전압을 낮추거나, 단말기가 전원 어댑터의 입력전류을 낮추거나, 또는 단말기가 충전회로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충전회로의 이상에는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의 과전압 및/또는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 과전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을 포함하고, 단말기가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와 전원 어댑터 사이의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출력전압 및 전압 역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출력전압이 전압 역치보다 클 때, 단말기가 출력전압이 과전압이고 충전회로가 이상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를 포함하고, 단말기가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와 전원 어댑터 사이의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출력전류 및 전류 역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출력전류가 전류 역치보다 클 때, 단말기는 출력전류가 과전류이고 충전회로가 이상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충전 이상 처리방법의 예시성 흐름도이다. 도 4의 방법은 아래 단계(410) 및 단계(420)을 포함한다.
단계(410): 전원 어댑터가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고, 및
단계(420): 전원 어댑터가 충전보호 지시정보의 지시에 근거하여 전원 어댑터 및 단말기 사이의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전원 어댑터의 통신유닛이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보호 지시정보의 지시에 근거하여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충전 과정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전원 어댑터와 상기 단말기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충전하기 위한 전원선 및 데이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어댑터가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어댑터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 4의 방법은 또 전원 어댑터가 상기 단말기로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 -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 및/또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문에 공개된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부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실현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하는 지의 여부는 기술적 해결방법의 특정 응용과 설계의 구속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매 하나의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술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의 편리성과 간결성을 위하여 상기의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의 방법에 따른 실시예 중의 대응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에서, 공개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양태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기술되는 장치에 따른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로직 기능적 구분으로서 실제로 실현할 때 다른 구분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또는 이와 집적되거나, 또는 일부 특징은 생략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하나라면, 표시 또는 언급되는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적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도 있다.
상기의 분리 부재로 설명되는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아닐 수도 있고, 유닛으로 표시되는 부재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도 있는바, 한 곳에 위치할 수 있을 수도 있거나 또는 복수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적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적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스 유닛에 집적되거나 또는 각 유닛이 독립적으로 물리적 방식에 의해 존재할 수 있고, 또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을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실현하고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할 때,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중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법은 본질적으로 또는 기존기술에 대한 공헌적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방법의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 중에 저장되며 복수개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여 한대의 컴퓨터 기기(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위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의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외장하드,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디스크 또는 시디 등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질을 포함한다.
상기는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 의해 공개된 기술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대체를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22)

  1. 전지와 충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원 어댑터와 충전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지에 충전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통신유닛, 이상검측유닛 및 이상처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유닛은 상기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검측유닛은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상기 이상처리유닛이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상기 통신유닛은 상기 전원 어댑터로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발송하여, 상기 전원 어댑터를 지시하여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전원선과 데이터선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원 어댑터와 충전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지에 충전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전원선을 통하여 상기 전원 어댑터와 충전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지에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유닛이 상기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유닛이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상기 전원 어댑터로부터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처리유닛이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상처리유닛이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을 낮추거나,
    상기 이상처리유닛이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이상처리유닛이 상기 충전회로를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에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의 과전압 및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 과전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검측유닛이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전압과 전압 역치를 비교하고,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전압 역치보다 클 때,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이 과전압이고 상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검측유닛이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전류와 전류 역치를 비교하고,
    상기 출력전류가 상기 전류 역치보다 클 때, 상기 출력전류가 과전류이고 상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파워전환유닛 및 충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전환유닛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말기와 충전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단말기의 전지에 충전하는 전원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 어댑터는 통신유닛 및 이상처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유닛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이상처리유닛은 상기 충전보호 지시정보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어댑터와 상기 단말기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충전하기 위한 전원선 및 데이터선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유닛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유닛이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유닛은 또 상기 단말기로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 및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12. 충전 이상 처리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전원 어댑터 사이의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이상 처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충전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원 어댑터로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발송하여, 상기 전원 어댑터를 지시하여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이상 처리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데이터선과 충전을 위한 전원선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가 전원 어댑터로부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상기 전원 어댑터로부터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이상 처리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원 어댑터의 입력전압을 낮추거나,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원 어댑터의 입력전류을 낮추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회로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이상 처리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에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의 과전압 및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 과전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이상 처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전원 어댑터 사이의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출력전압 및 전압 역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전압 역치보다 클 때,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출력전압이 과전압이고 상기 충전회로가 이상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이상 처리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전원 어댑터 사이의 충전회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출력전류 및 전류 역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전류가 상기 전류 역치보다 클 때,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출력전류가 과전류이고 상기 충전회로가 이상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이상 처리방법.
  19. 충전 이상 처리방법에 있어서,
    전원 어댑터가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어댑터가 상기 충전보호 지시정보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 어댑터 및 상기 단말기 사이의 충전회로가 보호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이상 처리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어댑터와 상기 단말기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충전하기 위한 전원선 및 데이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어댑터가 단말기로부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어댑터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선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충전보호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이상 처리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원 어댑터가 상기 단말기로 충전 파라미터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 -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충전회로의 이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이상 처리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압 및 상기 전원 어댑터의 출력전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이상 처리방법.
KR1020167023544A 2014-01-28 2015-01-09 단말기, 전원 어댑터 및 충전 이상 처리방법 KR201601362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042541.0 2014-01-28
CN201410043218.5 2014-01-28
CN201410043218.5A CN103762691B (zh) 2014-01-28 2014-01-28 电池充电装置及电池充电保护控制方法
CN201410043139.4A CN103795040B (zh) 2014-01-28 2014-01-28 电子设备及其电源适配器
CN201410042541.0A CN103779907B (zh) 2014-01-28 2014-01-28 终端及其电池充电控制装置与方法
CN201410043139.4 2014-01-28
PCT/CN2015/070468 WO2015113465A1 (zh) 2014-01-28 2015-01-09 终端、电源适配器和充电异常的处理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731A Division KR102070034B1 (ko) 2014-01-28 2015-01-09 단말기, 전원 어댑터 및 충전 이상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299A true KR20160136299A (ko) 2016-11-29

Family

ID=5375622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514A KR102070615B1 (ko) 2014-01-28 2015-01-09 전원 어댑터, 단말기 및 충전회로 이상 처리방법
KR1020197027731A KR102070034B1 (ko) 2014-01-28 2015-01-09 단말기, 전원 어댑터 및 충전 이상 처리방법
KR1020167023544A KR20160136299A (ko) 2014-01-28 2015-01-09 단말기, 전원 어댑터 및 충전 이상 처리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514A KR102070615B1 (ko) 2014-01-28 2015-01-09 전원 어댑터, 단말기 및 충전회로 이상 처리방법
KR1020197027731A KR102070034B1 (ko) 2014-01-28 2015-01-09 단말기, 전원 어댑터 및 충전 이상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10211656B2 (ko)
EP (3) EP3101771B1 (ko)
JP (2) JP6325118B2 (ko)
KR (3) KR102070615B1 (ko)
CN (3) CN108448667B (ko)
AU (1) AU2015210567B2 (ko)
BR (1) BR112016017458B1 (ko)
CA (1) CA2937953C (ko)
CL (1) CL2016001924A1 (ko)
ES (1) ES2724355T3 (ko)
MX (1) MX2016009854A (ko)
MY (1) MY175631A (ko)
PH (1) PH12016501486A1 (ko)
SG (1) SG11201606219XA (ko)
WO (2) WO20151134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119B1 (ko) * 2017-09-22 2018-06-08 전승배 과충전 방지 기능이 탑재된 충전 시스템
KR20190050843A (ko) * 2016-09-26 2019-05-13 라이온 세미컨덕터 인크. 입력 전압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압 레귤레이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1771B1 (en) 2014-01-28 2019-03-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ower adapter,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exception of charging loop
BR112016028206B1 (pt) * 2014-11-11 2022-03-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erminal, e, adaptador de energia
JP6295350B2 (ja) * 2014-11-11 2018-03-14 クワントン オーピーピーオー モバイル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源アダプター、終端及び充電システム
US9985449B2 (en) 2014-11-11 2018-05-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ommunication method, power adapter and terminal
US20180266018A1 (en) * 2015-09-18 2018-09-20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Fiber for contact cold sensation and fibrous product using the same
JP6754652B2 (ja) 2016-09-27 2020-09-1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
CN108604805B (zh) 2016-11-15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充电方法及相关设备
CN108336771A (zh) * 2017-01-19 2018-07-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充电电路的保护方法及装置、充电保护电路以及移动终端
CN110932340A (zh) * 2018-09-19 2020-03-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充电方法、分体式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JP7176914B2 (ja) * 2018-09-28 2022-11-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充電制御装置、作業機械及び充電制御方法
CN110892275B (zh) * 2018-09-30 2022-04-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装置的测试系统和方法
CN110212611A (zh) * 2019-06-24 2019-09-06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随行食品加工机的充电控制方法
CN111641741B (zh) * 2020-05-18 2021-11-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设备
CN116203307B (zh) * 2023-02-28 2024-03-12 无锡宇宁智能科技有限公司 终端Type-C接口异物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7310348B (zh) * 2023-11-23 2024-03-12 东莞市时实电子有限公司 一种电源适配器故障实时监测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09394A (en) 1970-01-27 1973-03-07 Macharg J A Battery chargers
US5028859A (en) 1989-06-05 1991-07-02 Motorola, Inc. Multiple battery, multiple rate battery charger
GB2242793B (en) 1990-04-05 1994-08-10 Technophone Ltd Battery charging apparatus
US5229705A (en) 1990-07-31 1993-07-20 Nippon Densa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nickel-cadmium battery
GB2251515B (en) 1991-01-03 1995-07-12 Technophone Ltd Rechargeable battery
US5557738A (en) * 1994-05-09 1996-09-17 Apple Computer, Inc. Power system configuration and recovery from a power fault condition in a computer system having multiple power supplies
US5541489A (en) 1994-12-15 1996-07-30 Intel Corporation Smart battery power availability feature based on battery-specific characteristics
JP2914259B2 (ja) 1995-12-14 1999-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と携帯電子機器の充電制御方法
JP3508384B2 (ja) * 1996-04-05 2004-03-2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充電装置及び方法、並びにバッテリパック
JPH1027630A (ja) * 1996-07-10 1998-01-27 Sony Corp バツテリパツク及び電子機器並びに充電器
US6025695A (en) * 1997-07-09 2000-02-15 Friel; Daniel D. Battery operating system
US5781456A (en) * 1997-07-11 1998-07-14 Space Systems/Loral, Inc. Software select and test
US6104967A (en) * 1997-07-25 2000-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ult-tolerant battery system employing intra-battery network architecture
JPH11143591A (ja) 1997-11-11 1999-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装置
JPH11215727A (ja) 1998-01-27 1999-08-06 Sony Corp バッテリ充電機能付き電子機器、バッテリ充電方法
US6501249B1 (en) 1999-10-13 2002-12-31 Xicor, Inc. Battery management system
JP2001186683A (ja) 1999-12-27 2001-07-06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急速充電方法
DE60035405T2 (de) 1999-12-31 2008-03-06 Nokia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utz von Batterien
JP3528799B2 (ja) 2001-01-24 2004-05-24 日本電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端末監視システム並びに端末監視方法
JP2003033034A (ja) 2001-07-09 2003-01-31 Funai Electric Co Ltd Acアダプタおよび電源供給システム
KR100572160B1 (ko) 2001-09-14 2006-04-1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이차 전지 충전 회로
US7012405B2 (en) * 2001-09-14 2006-03-14 Ricoh Company, Ltd. Charging circuit for secondary battery
JP2003319563A (ja) 2002-04-24 2003-11-07 Sony Corp バッテリ残量情報表示機能付き電子機器
US6989981B2 (en) 2002-10-24 2006-01-24 02Micro International Limited Battery over voltage and over protection circuit and adjustable adapter current limit circuit
US6836101B2 (en) * 2002-12-05 2004-12-28 Comarco Wireless Technologies, Inc. Tip having active circuitry
JP2004274875A (ja) 2003-03-07 2004-09-30 Yamaha Motor Co Ltd 電動車両用充電器
US7065662B2 (en) * 2003-03-10 2006-06-20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eaturing a power-based current limiting circuit
US7135836B2 (en) * 2003-03-28 2006-11-14 Power Designers, Llc Modular and reconfigurable rapid battery charger
KR100544998B1 (ko) * 2003-07-09 2006-01-24 (주)동성이엔씨 대용량 충전기
WO2005038952A2 (en) 2003-10-14 2005-04-28 Black & Decker Inc. Protection methods, protection circuits and protective devices for secondary batteries, a power tool, charger and battery pack adapted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fault conditions in the battery pack
US7528579B2 (en) 2003-10-23 2009-05-05 Schumacher Electri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ies
US7271568B2 (en) 2004-02-11 2007-09-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Battery charger for porta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20070230227A1 (en) 2004-04-29 2007-10-04 Palmer Douglas A Universal Power Adapter
CN1989675B (zh) * 2004-05-24 2011-06-01 密尔沃基电动工具公司 用于给电池充电的方法和系统
US7363518B2 (en) * 2004-07-22 2008-04-22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ith power fault protection circuit
US7879495B2 (en) 2004-10-29 2011-02-01 Medtronic, Inc. Medical device having lithium-ion battery
JP4275078B2 (ja) 2005-01-13 2009-06-10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の制限電流制御方法
US7759902B2 (en) 2005-01-19 2010-07-20 Atmel Corporation Single chip microcontroller including battery management and protection
US7378755B2 (en) 2005-03-31 2008-05-27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power application to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A2605874A1 (en) 2005-04-15 2007-01-18 Avestor Limited Partnership Lithium ion rocking chair rechargeable battery
JP4504873B2 (ja) * 2005-05-31 2010-07-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本体アダプタおよびヘッドアダプタ
CN1881738B (zh) * 2005-06-17 2011-06-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充电模式控制电路及方法
JP2007110853A (ja) * 2005-10-14 2007-04-26 Mitsumi Electric Co Ltd Acアダプタ、電子機器及び電源システム
EP1780867B1 (en) * 2005-10-28 2016-11-30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for cordless power tools
CN101013764A (zh) * 2005-10-31 2007-08-08 布莱克和戴克公司 用于无绳电动工具系统的电池组的充电方法
JP2007138886A (ja) * 2005-11-22 2007-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制御装置
US7834591B2 (en) 2006-02-16 2010-11-16 Summit Microelectronics, Inc. Switching battery charging systems and methods
JP4193857B2 (ja) 2006-03-23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2次電池の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JP5020546B2 (ja) 2006-06-01 2012-09-05 株式会社リコー 充放電保護回路、該充放電保護回路を組み込んだバッテリーパック、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用いた電子機器、携帯ゲーム機
JP4960022B2 (ja) * 2006-06-06 2012-06-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異常判定方法
JP4802894B2 (ja) 2006-06-30 2011-10-2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保護回路及びusb機器
JP2008035674A (ja) 2006-07-31 2008-02-14 Mitsumi Electric Co Ltd 充電用電源装置
US8296587B2 (en) * 2006-08-30 2012-10-23 Green Plug, Inc. Powering an electrical device through a legacy adapter capable of digital communication
US8261100B2 (en) * 2006-08-30 2012-09-04 Green Plug, Inc. Power adapter capable of communicating digitally with electronic devices using packet-based protocol
JP2008061343A (ja) 2006-08-30 2008-03-13 Mitsumi Electric Co Ltd 充電システム、2次電池を有する電子回路装置、および充電用電源装置
EP1895180A2 (en) * 2006-08-30 2008-03-05 Ebara Corporation Magnetic bearing device, rotating system therewith and method of identification of the model of the main unit in a rotating system
JP2008061381A (ja) 2006-08-31 2008-03-13 Toshiba Corp 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方法
JP4183004B2 (ja) 2006-11-14 2008-11-19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8064513B2 (en) * 2007-03-01 2011-11-22 Seiko Epson Corporation Pulse generator, communication device, and pulse generation method
JP4432985B2 (ja) 2007-03-12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2008228492A (ja) * 2007-03-14 2008-09-25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2008236878A (ja) 2007-03-19 2008-10-02 Hitachi Koki Co Ltd 充電装置
CN101669081B (zh) 2007-04-23 2012-03-21 索尼株式会社 电子设备和控制方法
DE112008001225B4 (de) * 2007-05-01 2012-10-11 Hewlett-Packard Co. (N.D.Ges.D.Staates Delaware) Zweirichtungssteuerung eines Leistungsadapters und einer Last
US7813772B2 (en) 2007-05-15 2010-10-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such that a communication operation mode is changed based on a current voltage of a battery that powers the mobile terminal and related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CN101378199B (zh) 2007-08-31 2012-09-05 鹏智科技(深圳)有限公司 电池充电电路
KR20090028196A (ko) * 2007-09-14 200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및 방법
US20090153100A1 (en) 2007-12-14 2009-06-18 Fujitsu Limited Charging control apparatus controlling charging curr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e
JP5188173B2 (ja) * 2007-12-27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充電器
JP5193619B2 (ja) 2008-01-31 2013-05-08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システム
JP2009195081A (ja) * 2008-02-18 2009-08-27 Panasonic Corp 充電制御回路、及びこれを備える充電装置、電池パック
US8288994B2 (en) 2008-03-31 2012-10-16 Lenovo (Singapore) Pte. Ltd. Management of fast battery charging in mobile devices
CN201207574Y (zh) 2008-06-03 2009-03-11 钟继叶 一种电源适配器
CN101651356A (zh) 2008-08-11 2010-02-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适配器及其充电方法
JP5254714B2 (ja) 2008-09-05 2013-08-07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用マイコン搭載システム及び電池パック
US8519671B2 (en) 2008-09-15 2013-08-27 Blackberry Limited Power supply circuit and method for providing output voltage to charge a battery
CN201278420Y (zh) 2008-09-17 2009-07-22 林锋 一种智能型多功能电源插座
JP5519138B2 (ja) 2008-10-07 2014-06-11 株式会社マキタ 充電装置
JP5315908B2 (ja) 2008-10-07 2013-10-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源装置
CN101714647B (zh) 2008-10-08 2012-11-28 株式会社牧田 电动工具用蓄电池匣以及电动工具
DE102008060274A1 (de) 2008-12-03 2010-06-10 Fujitsu Siemens Computers Gmbh Geräteanordnung umfassend ein elektronisches Gerät und ein Netzteil sowie Verfahren zum Schalten eines Netzteils
JP2010154692A (ja) 2008-12-25 2010-07-08 Nikon Corp 電子機器における充電装置、電子機器及び充電方法
US9729343B2 (en) 2008-12-30 2017-08-08 Intel Corporation Upstream device overvoltage detection with deactivation of downstream device power
US8130110B2 (en) 2009-01-27 2012-03-06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Reporting a faulty charging device
JP5523116B2 (ja) 2009-01-28 2014-06-1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電源状態通知方法及び電源状態通知プログラム
US7936150B2 (en) 2009-03-30 2011-05-03 Sendyne Corporation Battery cell protection and conditioning circuit and system
CN101854067A (zh) * 2009-04-01 2010-10-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安全充电的方法
CN101888098B (zh) 2009-05-15 2012-08-29 中达电通股份有限公司 高可靠性的通信设备供电方法
CN101908771A (zh) 2009-06-08 2010-12-08 欣旺达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线性电路中实现电池快慢充的电路及充电控制方法
TWI389412B (zh) * 2009-09-08 2013-03-11 Simplo Technology Co Ltd 充放電保護電路及充電保護方法
CN102013705A (zh) 2009-09-08 2011-04-13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具省电功能的供电系统及供电方法
CN101783427B (zh) 2010-01-19 2014-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的智能充电方法和智能充电装置
CN102214941A (zh) 2010-04-12 2011-10-1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管理系统及具有电源管理系统的便携式电子装置
JP5375738B2 (ja) * 2010-05-18 2013-12-25 ソニー株式会社 信号伝送システム
WO2012021128A1 (en) 2010-08-10 2012-02-16 Ever Win International Corporation Efficient power supply/charger
JP2012044735A (ja) * 2010-08-13 2012-03-01 Sony Corp ワイヤレス充電システム
JP5583538B2 (ja) 2010-10-01 2014-09-0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20130207592A1 (en) 2010-10-18 2013-08-15 Ohk Research Institute Battery Charger and Battery Charge Method
GB2484773B (en) 2010-10-21 2013-09-11 Chervon Hk Ltd Battery charging system having multiple charging modes
CN102005795B (zh) 2010-11-29 2012-1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可充电电池电量检测装置
EP2461457B1 (en) 2010-12-02 2017-02-22 OCT Circuit Technologies International Limited Circuit protection
WO2012094518A2 (en) 2011-01-06 2012-07-12 ACCO Brands Corporation Mobile device adapter and charger
ES2529347T3 (es) 2011-04-18 2015-02-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y dispositivo de protección contra las sobreintensidades de corriente de una batería de litio
US8836287B2 (en) 2011-05-03 2014-09-16 Apple Inc. Time-domain multiplexing of power and data
US9444247B2 (en) 2011-05-17 2016-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protecting power receiver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EP2723979B1 (en) * 2011-05-24 2020-07-08 FastCAP SYSTEMS Corporation Power system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with rechargeable energy storage
JP2012249410A (ja) 2011-05-27 2012-12-13 Sharp Corp 電気自動車充電用の充電器及び充電装置
JP5774388B2 (ja) 2011-06-29 2015-09-09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方法、充電制御装置及びパック電池
CN108270271A (zh) 2011-06-30 2018-07-1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源装置
US8788852B2 (en) 2011-07-01 2014-07-22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through a reverse local data transfer connection
CN202218051U (zh) 2011-07-26 2012-05-09 四川省乐山宇强电机车制造有限公司 一种智能充电机
CN102931693B (zh) * 2011-08-10 2014-12-10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装置以及充电系统和便携式设备
US9806547B2 (en) 2011-09-29 2017-10-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ircuit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to secure power-up for battery operating devices even with low current chargers and to execute other performances
JP2013109410A (ja) 2011-11-17 2013-06-06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判定回路
JP5378489B2 (ja) * 2011-11-18 2013-12-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JP5912513B2 (ja) * 2011-12-22 2016-04-27 ローム株式会社 充電回路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電子機器
JP5361983B2 (ja) 2011-12-27 2013-12-04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TWI515995B (zh) * 2012-01-06 2016-01-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池充電系統及方法
JP6132229B2 (ja) 2012-01-27 2017-05-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US9531441B2 (en) 2012-02-21 2016-12-27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thereof
JP5773920B2 (ja) 2012-03-19 2015-09-0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充電装置
US8718718B2 (en) 2012-03-20 2014-05-06 Alan Siu Kit LEUNG Power WiFi device
CN103326407A (zh) 2012-03-22 2013-09-25 宏碁股份有限公司 充电源检测切换装置及方法
US9146888B2 (en) * 2012-07-05 2015-09-29 Apple Inc. Techniques for monitoring contacts in a connector
JP5781494B2 (ja) * 2012-12-21 2015-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機器及びバッテリ充電回路
US9099864B2 (en) * 2013-01-25 2015-08-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connector fault protection circuitry
JP2014166024A (ja) 2013-02-25 2014-09-08 Rohm Co Ltd 電力供給装置およびその起動方法、acアダプタ、電子機器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CN203135543U (zh) 2013-03-14 2013-08-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适配器
CN103178595B (zh) 2013-03-14 2015-06-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适配器
CN103236568B (zh) * 2013-05-03 2016-03-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充电方法和充电系统
JP6639385B2 (ja) 2013-06-11 2020-02-05 ラムバ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プリットゲート条件付きリセットイメージセンサ
US10063066B2 (en) * 2014-01-07 2018-08-28 Utah State University Battery control
CN106329688B (zh) 2014-01-28 2019-09-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电源适配器
CN103762691B (zh) 2014-01-28 2015-12-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池充电装置及电池充电保护控制方法
CN203747452U (zh) 2014-01-28 2014-07-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池充电装置
CN103779907B (zh) 2014-01-28 2016-1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及其电池充电控制装置与方法
CN103762690B (zh) * 2014-01-28 2016-08-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系统
CN203747451U (zh) 2014-01-28 2014-07-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池充电装置
CN203747453U (zh) 2014-01-28 2014-07-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及其电池充电控制装置
EP3101771B1 (en) 2014-01-28 2019-03-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ower adapter,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exception of charging loop
CN203747392U (zh) 2014-01-28 2014-07-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电源适配器
US9020771B1 (en) * 2014-05-27 2015-04-28 Power Measurement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testing the energy measurement accuracy, billing accuracy, functional performance and safety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843A (ko) * 2016-09-26 2019-05-13 라이온 세미컨덕터 인크. 입력 전압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압 레귤레이터 시스템
KR101855119B1 (ko) * 2017-09-22 2018-06-08 전승배 과충전 방지 기능이 탑재된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1771B1 (en) 2019-03-06
KR20160136298A (ko) 2016-11-29
SG11201606219XA (en) 2016-09-29
CL2016001924A1 (es) 2017-03-31
MX2016009854A (es) 2017-04-25
WO2015113466A1 (zh) 2015-08-06
BR112016017458A2 (pt) 2020-10-27
EP3471236A1 (en) 2019-04-17
EP3101763A1 (en) 2016-12-07
EP3101771A4 (en) 2017-10-25
CN106165236B (zh) 2018-06-29
JP2017506489A (ja) 2017-03-02
CN106165236A (zh) 2016-11-23
US20160352117A1 (en) 2016-12-01
CN108448667A (zh) 2018-08-24
BR112016017458B1 (pt) 2022-03-29
EP3101763A4 (en) 2017-08-02
US20220216706A1 (en) 2022-07-07
CA2937953C (en) 2020-11-03
KR20190110647A (ko) 2019-09-30
KR102070034B1 (ko) 2020-01-29
KR102070615B1 (ko) 2020-01-29
EP3471236B1 (en) 2020-06-24
CA2937953A1 (en) 2015-08-06
WO2015113465A1 (zh) 2015-08-06
CN106463996B (zh) 2020-05-19
CN108448667B (zh) 2022-07-12
JP6325118B2 (ja) 2018-05-16
AU2015210567B2 (en) 2017-10-26
JP2017505101A (ja) 2017-02-09
AU2015210567A1 (en) 2016-08-25
PH12016501486A1 (en) 2016-08-22
MY175631A (en) 2020-07-02
EP3101763B1 (en) 2023-09-06
EP3101771A1 (en) 2016-12-07
US11342765B2 (en) 2022-05-24
JP6275856B2 (ja) 2018-02-07
US20160344228A1 (en) 2016-11-24
CN106463996A (zh) 2017-02-22
ES2724355T3 (es) 2019-09-10
US10211656B2 (en)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6299A (ko) 단말기, 전원 어댑터 및 충전 이상 처리방법
KR102037200B1 (ko) 전원 어댑터, 단말기 및 충전회로 임피던스 이상 처리방법
KR102538374B1 (ko)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의 자동 재폐로 장치 및 방법
KR102085684B1 (ko) 충전 보호 방법 및 장치
US9787120B2 (en) Usb charger, mobile terminal and charging method thereof
KR101976251B1 (ko) 전원 어댑터 및 단말기
EP3148039A1 (en) Fast charging method, power source adapter and mobile terminal
CN105634381A (zh) 电动机驱动装置
US11424637B2 (en) Charging control method, power adapter and mobile terminal
JP2015097444A (ja) 電圧制御装置、電圧制御方法、及び電圧制御システム
CN204316132U (zh) 一种移动终端及充电装置
CN104505889A (zh) 一种移动终端及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14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923

Effective date: 2020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