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160B1 - 이차 전지 충전 회로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충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160B1
KR100572160B1 KR1020037014514A KR20037014514A KR100572160B1 KR 100572160 B1 KR100572160 B1 KR 100572160B1 KR 1020037014514 A KR1020037014514 A KR 1020037014514A KR 20037014514 A KR20037014514 A KR 20037014514A KR 100572160 B1 KR100572160 B1 KR 100572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econdary battery
charging
current
con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552A (ko
Inventor
니시다준지
마나베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98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4999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7039A external-priority patent/JP450255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4002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introduction of pulses during the charging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차 전지의 충전 회로는 복수의 미리 정해진 정전압 중 하나를 출력하여, 그 정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정전압 회로부와,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부, 및 그 검출한 전지 전압에 응답하여 정전압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한다. 다른 충전 회로는 2개의 미리 정해진 정전압 중 하나를 이차 전지에 출력하는 정전류 회로부와,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인가하여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정전압 회로부와,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을 검출하는 전지 전압 검출 회로부와,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전류 검출 회로부, 및 그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할 때, 정전류 회로부와 정전압 회로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충전 제어 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충전 회로{CHARGING CIRCUIT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의 충전 회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속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회로를 이용하는 이동 전화와 같은 기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 발생을 방지하는 이차 전지의 충전 회로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의 충전 방법은 크게 나누어 정전류/정전압 충전법과 펄스 충전법이 있다. 정전류/정전압 충전법은 리튬 이온 전지에 대하여 충전 전류를 증대시키고, 충전 시에 리튬 이온 전지에 인가하는 정전압을 해당 전지의 만충전 전압보다 조금 크게 함으로써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리튬 이온 전지가 과충전되면, 해당 전지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펄스 충전법은 리튬 이온 전지의 충전 시에 충전의 중지 기간을 갖기 때문에 전지에 미치는 손상이 적다.
이러한 펄스 충전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의 방법이 있다.
제1 방법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l13474호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중지 기간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에 도달할 경우에 충전을 완료하는 방법이다.
제2 방법은, 충전 중에 제l 전압에 도달하면 충전을 정지하여, 제2 전압까지 저하시키면서 충전을 재개시키는 등의, 충전 개시와 충전 정지의 조건을 정하고 그 조건 사이에서 충전과 충전 정지를 반복하여, 충전 정지 기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일 때나, 충전 기간과 충전 정지 기간의 비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할 때에 충전을 완료하는 방법이다.
제3 방법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33690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고레벨 전압과 저레벨 전압에서 교대로 충전을 반복하고, 저레벨 전압에서의 충전 전류가 미리 정해진 전류값의 이하일 때에 충전을 완료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전술한 제1 방법은 정전류/전압 충전 방식과 비교해서 충전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방법은, 정전류/정전압 방식과 비교해서 충전 시간은 약간 단축되지만, 충전 기간과 충전 정지 기간의 각 시간이 충전 개시로부터 충전 종료 바로 직전 사이에 크게 변하고, 충전 기간과 충전 정지 기간을 전환하는 주파수가 넓은 범위에서 변하기 때문에,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잡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제3 방법은, 저레벨의 전압에서 충전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 검출 수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류 검출 수단이 충전 회로에 직렬로 삽입된다. 그에 따라,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충전 전류가 제로인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 전류 검출 저항의 값을 크게 해야만 한다. 따라서, 전력 손실이 더욱 커지는 동시에, 복잡한 회로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와 같은 이동 무선 통신 기기의 전원으로서 이 차 전지가 사용된다. 특히, 리튬 이온 전지는 단위 체적 당 에너지 밀도 및 단위 질량 당 에너지 밀도가 크고, 그것을 탑재하는 기기의 소형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리튬 이온 전지를 충전할 경우, 전지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압 충전 방식이나, 정전류 충전 후에 정전압 충전을 수행하는 정전류/정전압 충전 방식이 채용된다. 어느 쪽의 방식을 적용하느냐에 관계없이 충전 회로에서는 정전압 충전 시에 충전 전류가 미리 정해진 만충전 전류 이하가 될 것을 검출함으로써 충전이 완료된다.
이하에, 종래의 이차 전지의 충전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이차 전지의 충전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충전 회로는,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AC 어댑터(l10), 그 AC 어댑터(ll0)의 접속을 검출하는 어댑터 검출 회로(1l2), 피충전 이차 전지(114)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지 전압 검출 회로(ll6), 이차 전지(114)에 대하여 정전압 충전을 수행하는 정전압 회로(118), 이차 전지(114)로 흐르는 충전 전류를 검출하는 충전 전류 검출 회로(122), 충전 전류에 의해 전압 강하가 일어나는 저항(R1), 이차 전지(114)에서 AC 어댑터(ll0)로 흐르는 전류를 저지하는 다이오드(Dl), 및 정전압 회로(118)의 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충전 제어 회로(124)를 포함한다. AC 어댑터(110)는 단자(130)에 접속된다. 정전압 회로(118)는 기준 전압(BE1)을 생성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140), 제어 트랜지스터(M1), 및 연산 증폭기(Al)를 포함한다. 또한, 충전 전류 검출 회로(122)는 기준 전압(BE2)을 생성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l42)와 연산 증폭기(A2)를 포함한다. 또한, 어댑터 검출 회로(112)는 기준 전압(BE3)을 생성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l44) 와 연산 증폭기(A3)를 포함한다. 저항(R1)은 AC 어댑터(110)와 제어 트랜지스터(M1) 사이에 접속되고, 다이오드(D1)는 제어 트랜지스터(Ml)와 이차 전지(114) 사이에 접속된다.
이하에, 이 충전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AC 어댑터(110)가 단자(130)를 통해 회로에 접속되어, AC 어댑터(110)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값의 이상이 되면, 어댑터 검출 회로(ll2)는 충전 제어 회로(124)에 미리 정해진 신호(Sg1)를 출력한다. 또한, 전지 전압 검출 회로(116)는 이차 전지(114)의 전지 전압을 검출하고 전지 전압 신호(Sg2)를 출력한다. 충전 제어 회로(l24)는 어댑터 검출 회로(112)로부터 신호(Sg1)가 입력될 때, 동작을 개시하고, 정전압 회로(l18)에 미리 정해진 충전 제어 신호(Sg5)를 출력한다. 정전압 회로(118)는 충전 제어 신호(Sg5)가 입력될 때 이차 전지(114)에 대하여 정전압 충전을 개시한다. 충전 중에, 다이오드(Dl)는 이차 전지(114)로부터 제어 트랜지스터(M1)와 저항(R1)을 통해 AC 어댑터(l10)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충전 전류는 저항(Rl) 양단에 전압 강하를 일으키고, 그 결과의 전압이 충전 전류 검출 회로(l22)에 입력된다. 충전 전류 검출 회로(122)는 그 입력된 전압으로부터, 충전 전류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낮다는 것을 검지하면, 충전 제어 회로(124)에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Sg6)를 보낸다. 충전 제어 회로(124)는 충전 완료 신호(Sg6)가 입력되면, 충전 제어 신호(Sg5)를 출력하여, 정전압 회로(118)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충전 회로는 충전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서 저항(R1)를 이용한다. 그러나, 충전 개시 시에, 충전 전류는 대전류이며, 큰 전압 강하를 수반한다. 그에 따라, 저항(R1)의 발열이 매우 커진다. 또한, 이것에 의한 전력 손실도 크게 된다. 이러한 발열이나 전력의 낭비를 적게 하기 위해서, 저항(R1)의 저항값을 작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전압 충전을 수행함으로써, 충전 완료를 검출할 시의 전류가 작고, 저항(R1)의 양단에 발생하는 전압이 작아지기 때문에, 그 전압을 검출하는 연산 증폭기(A1)의 입력 오프셋 전압 등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해서, 충전 전류의 전류 검출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프셋 전압이 작은 연산 증폭기는 고가이며, 이것을 이용하게 되면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충전 개시 시에 이차 전지에 대하여 대전류가 공급되면, 이차 전지가 과방전 상태일 때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이러한 충전 회로에서는 과방전 상태에서 이차 전지를 충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한, 이차 전지를 위한 개선되고 유용한 충전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간단한 회로로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사용 기기에 영향을 주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 전지의 충전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열 및 전력 손실이 적고, 고정밀도로 이차 전지의 만충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충전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충전 회로를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방전 상태에 있는 이차 전지에 대하여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이차 전지의 충전 회로는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정전압 중 하나를 선택해서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정전압을 인가하여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정전압 회로부와,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부와, 상기 검출 회로부로부터 검출한 전지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정전압 회로부로부터 인가된 정전압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정전압 회로부로 하여금,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제1 정전압 이하일 경우에 제l 정전압을 인가하여 이차 전지를 충전하게 하고,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제1 정전압을 초과할 경우에, 미리 정해진 제2 정전압과 그 제2 정전압보다 작은 미리 정해진 제3 정전압을 일정한 주기로 교대로 인가하여 이차 전지를 충전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에 따라, 정전압 충전이 펄스 충전 전에 수행되기 때문에, 이차 전지를 고전류로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펄스 충전이 개시된 후에도, 고레벨의 정전압에서 저레벨의 정전압으로 또는 저레벨의 정전압에서 고레벨의 정전압으로 일정한 주기(전환 주기)로 전환함으로써 충전되어, 충전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시에, 충전 회로를 이용하여 전환 주기를 기기에 부작용을 주지 않는 주파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제어 회로부는 이차 전지의 충전 완료를 검출하고,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동작을 수행하며, 정전압 회로부에 대하여 상기 제3 정전압을 이차 전지에 인가시키는 동안에,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전압을 초과할 경우, 이차 전지의 충전 완료를 검지하여,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에 따라, 과충전을 확실하게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제2 정전압이 제1 정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에 따라, 이차 전지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회로를 단순하게 하여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제2 정전압이 제1 정전압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에 따라, 펄스 충전시에 고레벨 전압을 만충전 전압보다 약간 크게 하여, 이차 전지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충전 회로는 정전압 회로부에서 출력된 제3 정전압에 따라 이차 전지에 병렬로 부하를 연결하는 부하 회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에 따르면, 펄스 충전 시에 제3 정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충전 완료 전압의 검출 에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펄스 충전의 주기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충전 회로를 이용하는 기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주파수로 주기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정전압 회로부는 제1 정전압, 제2 정전압 및 제3 정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와, 제어 회로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정전압 발생 회로로부터 제1 정전압, 제2 정전압 및 제3 정전압 중 하나를 선택해서 출력하는 전압 전환 회로부와, 상기 전압 전환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정전압과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비교기와, 상기 전압 비교기부터의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정해진 직류 전원에서 이차 전지로 전류를 출력하는 제어 트랜지스터, 및 이차 전지로부터 제어 트랜지스터를 통해 미리 정해진 직류 전원으로 흐르는 전류를 저지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에 따르면, 정전압 충전에서 펄스 충전으로 전환하여, 그리고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제공되는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는, 외부의 직류 전원과 이차 전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전류 및 제2 정전류 중 하나를 이차 전지에 출력하는 정전류 회로부와, 상기 정전류 회로부에 병렬로 접속되고, 이차 전지에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인가하여 충전하는 정전압 회로부와,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지 전압 검출 회로부와, 상기 정전압 회로부가 전류 출력을 정지할 때에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전류 검출 회로부, 및 충전 완료 신호가 입 력될 때에, 정전류 회로부와 정전압 회로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충전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고, 충전 제어 회로부는, 정전류 회로부로 하여금, 이차 전지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의 미만일 경우에, 미리 정해진 제l 정전류를 출력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차 전지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 이상일 경우에, 제1 정전류보다 큰 미리 정해진 제2 정전류를 출력시키는 제어 신호를 정전류 회로부에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제공되는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는, 외부의 직류 전원과 이차 전지 사이에 접속되고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인가하여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정전압 회로부와,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지 전압 검출 회로부와, 상기 정전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에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전류 검출 회로부와,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정전압 회로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충전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압 회로부는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와,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과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비교기, 및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에 따라 전류를 외부의 직류 전원에서 이차 전지로 보내는 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전류 검출 회로부는 상기 전압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비교 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한 비교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가 보낸 전류가 미리 정해진 값이라는 것을 판정하여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에 따르면, 저항없이도, 정전압 회로부터 출력된 충전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충전이 완료된다. 따라서, 저항으로 인한 발열 및 전력 손실이 없다. 그에 따라, 고정밀도로 이차 전지의 만충전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에 따르면,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 그러한 경우에 적합한 전류량으로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과방전 상태에서 이차 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충전 회로는 회로의 사이즈 상승을 억제하면서 실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충전 회로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충전 회로(1)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도 1의 충전 제어 회로(6)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충전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하는 회로의 충전 시간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5에 도시하는 회로의 충전 시간에 따른 충전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도 5에 도시하는 회로의 충전 시간에 따른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대체 가능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도 8에 도시하는 회로의 충전 시간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8에 도시하는 회로의 충전 시간에 따른 충전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c는 도 8에 도시하는 회로의 충전 시간에 따른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른 충전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제, 이상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충전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휴대 전화에 이용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충전 회로예를 나타낸다.
도 l에서, 이차 전지의 충전 회로(1)는 직류 전원인 AC 어댑터(10)로부터의 전원 전압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일 때, 미리 정해진 신호를 출력하는 어댑터 검출 회로(2)와, 이차 전지인 리튬 이온 전지(11)의 플러스측 전압(이하, 이것을 "전지 전압"이라고 부른다)(Vb)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지 전압 검출 회로(3), 및 정전압에서 리튬 이온 전지(ll)를 충전하는 정전압 회로(4)를 포함한다.
또한, 충전 회로(1)는 미리 정해진 정전류로 리튬 이온 전지(l1)를 선충전하는 선충전용 정전류 회로(5)와, 어댑터 검출 회로(2)의 신호와 전지 전압 검출 회로(3)의 검출 전압에 응답하여, 정전압 회로(4)로 하여금 리튬 이온 전지(11)에 대하여 펄스 충전 방식으로 충전하게 하는 충전 제어 회로(6), 및 리튬 이온 전지(11)에 병렬로 접속된 부하 회로(7)를 포함한다.
또한, 정전압 회로(4)는 정전압 발생 회로(2l)와, 전압 전환 회로(22)와, 연산 증폭기(23)와, 제어 트랜지스터(24), 다이오드(25), 및 게이트 제어 회로(26)를 포함한다. 정전압 발생 회로(21)는 3개의 미리 정해진 정전압(EI∼E3)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전압 전환 회로(22)는 충전 제어 회로(6)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정전압 발생 회로(21)로부터의 정전압(E1∼E3)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전압을 기준 전압(Vr)으로서 출력한다. 연산 증폭기(23)는 전압 비교기로서 동작하고, pMOS 트랜지스터인 제어 트랜지스터(24)는 리튬 이온 전지(11)에 대하여 AC 어댑터(10)로부터의 충전 전류의 공급을 제어한다. 게이트 제어 회로(26)는 연산 증폭기(23)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어 트랜지스터(24)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충전 제어 회로(6)는 제어 회로로서 동작한다. 정전압(E1)은 제l 정전압에, 정 전압(E2)은 제2 정전압에, 그리고 정전압(E3)은 제3 정전압에 해당한다.
전원 단자(31)와 접지 사이에는, 충전 전류가 리튬 이온 전지(l1)에 공급되도록 제어 트랜지스터(24), 다이오드(25), 및 리튬 이온 전지(11)가 직렬로 접속된다. 전원 단자(31)에는 AC 어댑터(10)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된다. 다이오드(25)는 전원 단자(31)의 전압이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지 전압(Vb)보다 작은 경우에, 리튬 이온 전지(11)에서부터 AC 어댑터(10)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저지시킨다.
전압 전환 회로(22)는 충전 제어 회로(6)부터의 전압 전환 신호(Ss)에 따라서 정전압(E1∼E3)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선택한 정전압을 연산 증폭기(23)의 반전 입력단에 출력한다. 연산 증폭기(23)의 비반전 입력 단에는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지 전압(Vb)이 인가된다. 연산 증폭기(23)의 출력단은 게이트 제어 회로(26)를 통해 제어 트랜지스터(24)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또한, 연산 증폭기(23)의 구동은 충전 제어 회로(6)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부하 회로(7)는 저항(35)과 nMOS 트랜지스터(36)로 구성된 직렬 회로이다. 저항(35)과 nMOS 트랜지스터(36)는 플러스측 전극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nMOS 트랜지스터(36)는 전압 전환 회로(22)가 선택한 정전압에 따라 동작한다. nMOS 트랜지스터(36)는 턴온시에 정전압 회로(4)의 제어 트랜지스터(24)에 대하여 부하가 된다. 정전압(El∼E3)은 E2≥E1> E3의 조건이 만족되는 관계를 갖는다. 전압 전환 회로(22)가 전압 전환 신호(Ss)에 응답하여 정전압(E3)을 기준 전압(Vr)으로서 선택하면, nMOS 트랜지스터(36)는 턴온된다. 정전압(El 또는 E2)이 기준 전압(Vr)으로서 선택될 때, nMOS 트랜지스터(36)는 턴오프되어 차단 상태가 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충전 회로(1)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각 부분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우선, 충전 제어 회로(6)는 AC 어댑터(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어댑터 검출 회로(2)로부터 미리 정해진 신호가 입력될 때 작동한다. 전지 전압 검출 회로(3)는 리튬 이온 전지(ll)의 전지 전압(Vb)을 검출하여 그 검출한 전압값을 충전 제어 회로(6)에 출력한다.
충전 제어 회로(6)는, 리튬 이온 전지(1l)의 전지 전압(Vb)이 미리 정해진 값(V1) 이하일 경우에, 미리 정해진 선충전 전류로 리튬 이온 전지(11)의 선충전을 개시하도록 정전류 회로(5)를 작동한다. 또한, 이 때에, 충전 제어 회로(6)는 연산 증폭기(23)의 동작을 정지시켜, 제어 트랜지스터(24)를 통해 리튬 이온 전지(1l)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한다.
전술한 미리 정해진 값(V1)은 리튬 이온 전지(11)가 예컨대 4.2V일 경우, 약 2.5V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이것은 리튬 이온 전지(11)가 과방전 상태에 있는 경우에 갑자기 대전류로 리튬 이온 전지(11)를 충전할 때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튬 이온 전지(11)는 충전 개시 시에 충전 전류가 저감되도록 선충전된다. 선충전 전류(Ip)는 선충전을 위한 전류이며, 통상적으로 약 수 내지 수십 mA로 설정된다.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지 전압(Vb)이 상승하여 미리 정해진 값(Vl)이 되면, 충전 제어 회로(6)는 리튬 이온 전지(11)가 정상적인 전지라고 판정하여 정전 류 회로(5)에 의한 선충전을 종료하며, 선충전에서 정전압 회로(4)에 의한 정전압 충전으로 충전을 전환하도록 전압 전환 신호(Ss)를 출력한다. 또한, 선충전 시에, 정전압 회로(4)의 동작은 정지되고, 다이오드(25)는 전류가 리튬 이온 전지(11)에서 AC 어댑터(l0)로 흐르는 것을 막는다.
선충전이 종료되면, 충전 제어 회로(6)는 전압 전환 회로(22)로 하여금 전압 전환 신호(Ss)에 의한 정전압(El)을 선택하게 한다. 선택된 정전압(E1)은 기준 전압(Vr)으로서 연산 증폭기(23)의 반전 입력단에 출력된다. 정전압 회로(4)의 출력 전압은 정전압(El)이 되고, 정전압(E1)으로 리튬 이온 전지(11)를 충전한다. 정전압(E1)으로 리튬 이온 전지(11)을 충전할 때의 충전 전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AC 어댑터(10)의 전류 용량 또는 제어 트랜지스터(24)의 전류 용량에 의해 제한된 정전류가 충전 전류(Ic)로서 정전압 회로(4)로부터 출력된다.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지 전압(Vb)이 점차로 상승하여, 정전압 회로(4)의 출력 전압과 동일한 전압(El)에 이를 때, 충전 제어 회로(6)는 정전압 회로(4)에 대하여, 펄스 충전 방식으로 리튬 이온 전지(11)를 충전하도록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정전압(El)은 리튬 이온 전지의 경우에 만충전 전압 4.2V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펄스 충전 방식은 정전압 회로(4)의 출력 전압을 정전압(E2)에서 정전압(E3)으로 또는 정전압(E3)에서 정전압(E2)으로 미리 정해진 주기로 반복해서 전환함으로써, 리튬 이온 전지(11)를 충전하는 방법이다.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압이 전압(El)에 이를 때, 충전 제어 회로(6)는 전압 전환 회로(22)가 정전압(E3)을 선택 하도록 전압 전환 신호(Ss)를 출력하여, 정전압 회로(4)의 출력 전압을 정전압(E3)으로 설정한다. 정전압(E3)은 정전압(E1)보다 작다. 그러나, 정전압(E3)의 전압은 충전 방식이 펄스 충전 방식으로 전환된 직후에 충분한 충전 전류(Ic)가 리튬 이온 전지(11)에 출력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예컨대, 정전압(E3)은 리튬 이온 전지의 경우, 4.2V 내지 4.1V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다음에, 충전 제어 회로(6)는, 전압 전환 회로(22)가 정전압(E3)을 선택하도록 전압 전환 신호(Ss)를 전압 전환 회로(22)에 출력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T1)이 경과된 후에, 전압 전환 회로(22)가 정전압(E2)을 선택하도록 전압 전환 신호(Ss)를 전압 전환 회로(22)에 출력한다. 전압 전환 회로(22)는 정전압 회로(4)의 출력 전압이 정전압(E2)이 되도록 정전압(E2)을 선택해서 출력한다. 정전압(E2)은 정전압(E1)과 동일한 전압으로 설정되어도 좋고, 정전압(E1)보다 약간 크게, 예컨대 약 0.1V 크게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도 2는 정전압(E2)이 정전압(E1)보다 큰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정전압(E2)을 정전압(El)과 동일한 전압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리튬 이온 전지(11)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리튬 이온 전지(11)의 손상 위험이 없다. 더욱이, 정전압(E2)을 정전압(E1)과 동일한 전압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회로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충전 시간이 조금 더 길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정전압(E2)을 정전압(E1)보다 조금 더 크게 설정하면,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동시에, 펄스 충전 방식을 채용하기 때문에 리튬 이온 전지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저감될 수 있다.
다음에, 충전 제어 회로(6)는, 전압 전환 회로(22)가 정전압(E2)을 선택하도록 전압 전환 신호(Ss)를 전압 전환 회로(22)에 출력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T1)이 경과한 후에, 전압 전환 회로(22)가 다시 정전압(E3)을 선택하도록 전압 전환 신호(Ss)를 전환 전환 회로(22)에 출력한다. 전압 전환 회로(22)는 다시 정전압(E3)을 선택하고 출력하여, 정전압 회로(4)의 출력 전압은 정전압(E3)이 된다. 이와 같이, 충전 제어 회로(6)는 리튬 이온 전지(11)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정전압 회로(4)로 하여금 정전압(E2, E3)을 교대로 일정한 주기로 출력하게 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충전 방식이 펄스 충전 방식으로 전환한 직후에, 정전압 회로(4)의 출력 전압이 정전압(E3) 또는 정전압(E2)이건 간에, 충전 전류(Ic)는 AC 어댑터(10)의 전류 용량 또는 제어 트랜지스터(24)의 전류 용량에 의해 제한된 전류이기 때문에 대략 일정하다. 그러나, 리튬 이온 전지(11)가 충전됨에 따라, 정전압(E3)으로 충전하는 동안에 충전 전류(Ic)는 서서히 감소한다. 더욱이, 리튬 이온 전지(11)가 충전됨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지 전압(Vb)이 정전압(E3)의 이상일 경우, 충전 전류(Ic)는 정전압(E3)으로 충전할 때에 흐르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은 충전과 충전 정지를 반복하는 일반적인 펄스 충전 방식과 유사하다. 이러한 충전 방법에 있어서, 리튬 이온 전지(ll)의 손상을 피하여 그 전지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리튬 이온 전지(11)가 더욱 충전되고, 정전압(E3)으로 충전할 때에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지 전압(Vb)이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전압(Ve)을 초과할 경우에, 충전 제어 회로(6)는 리튬 이온 전지(11)이 완전히 충전되었다고 판단하여, 연산 증폭기(23)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정전압 회로(4)의 동작을 정지시켜, 리튬 이온 전지(11)에 대한 충전 동작을 정지한다.
부하 회로(7)의 nMOS 트랜지스터(36)는 전압 전환 회로(22)가 정전압(E3)을 선택할 때에 턴온된다. nMOS 트랜지스터(36)가 턴온될 때에, 저항(35)은 정전압 회로(4)의 부하가 된다. 이에 따라, 정전압 회로(4)의 출력 전압이 정전압(E2)에서 정전압(E3)으로 전환될 때에,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지 전압(Vb)이 안정적인 전압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제어 회로(6)에 의해 수행되는 충전 완료 전압(Ve)과의 비교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정전압(E3)으로 리튬 이온 전지(11)를 충전하는 시간은 짧게 설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펄스 충전의 충전 주기를 사용 기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 주파수로 설정하는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3은 충전 제어 회로(6)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서 충전 제어 회로(6)의 동작 흐름을 설명한다. 명기하지 않는 한, 각 단계의 프로세스는 충전 제어 회로(6)에 의해 수행된다.
도 3에 있어서, 먼저, 단계 S1에서, 어댑터 검출 회로(2)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전원 단자(31)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전원 단자(31)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 이상인 것을 검출할 수 없다면(단계 S1에서 "아니오"), 단계 S1이 반복된다. 전원 단자(31)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 이상인 것을 검출하면(단계 S1에서 "예"), 단계 S2에서 전지 전압 검출 회로(3)에 의해 검출된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지 전압(Vb)이 미리 정해진 값(V1)을 초과하 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에서,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지 전압(Vb)이 미리 정해진 값(V1)의 이하일 경우에는(단계 S2에서 "아니오"), 단계 S3에서 정전류 회로(5)를 작동하여 리튬 이온 전지(11)에 대하여 선충전하고, 프로세스는 단계 S2로 복귀한다. 한편, 단계 S2에서,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지 전압(Vb)이 미리 정해진 값(Vl)을 초과한 다면(단계 S2에서 "아니오"), 단계 S4에서 연산 증폭기(23)가 작동하고, 동시에 전압 전환 회로(22)는 정전압(El)을 선택하여 리튬 이온 전지(11)에 대하여 정전압(E1)으로 정전압 충전을 수행한다.
이후, 단계 S5에서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지 전압(Vb)이 정전압(E1)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지 전압(Vb)이 정전압(El)의 이하일 경우에는(단계 S5에서 "아니오"), 단계 S5가 반복된다. 한편, 단계 S5에서, 리튬 이온 전지(11)의 전지 전압(Vb)이 정전압(El)을 초과한다면(단계 S5에서 "아니오"), 단계 S6에서 전압 전환 회로(22)는 정전압(E3)을 선택하고, 정전압 회로(4)는 정전압(E3)으로 리튬 이온 전지(11)를 충전한다.
다음에, 단계 S7에서 정전압(E3)으로의 충전이 시작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Tl)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미리 정해진 시간(T1)이 경과하지 않았다면(단계 S7에서 "아니오"), 미리 정해진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해서 전압(E3)으로 충전된다. 또한, 단계 S7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T1)이 경과한 경우에는(단계 S7에서 "예"), 프로세스가 단계 S8로 진행된다. 단계 S8에서 전지 전압(Vb)이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전압(Ve)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지 전압(Vb)이 충전 완료 전압(Ve)의 이상일 경우에는(단계 S6에서 "예"), 리튬 이온 전지(11)의 충전이 완료되고,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또한, 단계 S8에서, 전지 전압(Vb)이 충전 완료 전압(Ve)의 미만일 경우에는(단계 S8에서 "아니오"), 프로세스는 단계 S9로 진행된다. 단계 S9에서 전압 전환 회로(22)는 정전압(E2)을 선택하고, 정전압 회로(4)는 정전압(E2)으로 리튬 이온 전지(11)를 충전한다. 다음에, 단계 S10에서, 정전압(E2)으로의 충전을 시작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Tl)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미리 정해진 시간(T1)이 경과하지 않았다면(단계 S10에서 "아니오"), 미리 정해진 시간(Tl)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해서 정전압(E2)으로 충전된다. 또한, 단계 Sl0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T1)이 경과했다면(단계 S1O에서 "예"), 프로세스는 단계 S6로 복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는 전지 전압(Vb)이 미리 정해진 값(V1)의 이하일 때에 정전류 회로(5)의 선충전 전류(Ip)로 리튬 이온 전지(11)를 선충전한다. 전지 전압(Vb)이 미리 정해진 값(V1)을 초과할 경우에는 충전 회로는 정전압 회로(4)의 정전압(El)으로 정전류 충전한다. 전지 전압(Vb)이 정전압(E1)이 되면, 충전 회로는 전압 전환 회로(22)에 대하여 정전압 전환 제어를 수행하여, 정전압 회로(4)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정전압(E2, E3)이 교대로 출력되도록 펄스 충전을 실행한다. 따라서, 리튬 이온 전지를 충전할 경우에, 간단한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그 충전 회로를 이용하는 기기에 영향을 주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충전 회로는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AC 어댑터(B10)와, 그 AC 어댑터(B10)의 접속을 검출하는 어댑터 검출 회로(12)와, 이차 전지(14)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지 전압 검출 회로(16)와, 이차 전지(14)에 대하여 정전압 충전을 수행하는 정전압 회로(18)와, 이차 전지(14)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 회로(20)와, 제어 트랜지스터(M1)의 제어 단자의 전압을 검출하는 게이트 전압 검출 회로(B22)와, 이차 전지(14)에서 AC 어댑터(B10)로 흐르는 전류를 저지하는 다이오드(D1), 및 정전압 회로(18)와 정전류 회로(20)를 구동 제어하는 충전 제어 회로(B24)를 포함한다. AC 어댑터(B10)는 단자(30)에 접속된다. 정전압 회로(18)는 기준 전압(BE1)을 생성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40)와, 제어 트랜지스터(M1), 및 연산 증폭기(A1)를 포함한다. 게이트 전압 검출 회로(B22)는 기준 전압(BE2)을 생성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42)와 연산 증폭기(A2)를 포함한다. 어댑터 검출 회로(12)는 기준 전압(BE3)을 생성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44)와 연산 증폭기(A3)를 포함한다. 또한, 다이오드(Dl)는 제어 트랜지스터(M1)와 이차 전지(14) 사이에 접속되어, 이차 전지(14)에서 제어 트랜지스터(M1) 및 저항(R1)을 통해 AC 어댑터(B10)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5에서, 제어 트랜지스터(M1)는 p채널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이하, "pM0S 트랜지스터"라고 함)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충전 회로의 전원인 AC 어댑터(B10)가 단자(30)를 통해 회로에 접속되고, 어댑터 검출 회로(12)는 단자(30)에 접속된 연산 증폭기(A3)의 입력단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E3)의 이상이 될 때, 충전 제어 회로(B24)에 미리 정해진 신호(Sg1)를 보낸다. 또한, 전지 전압 검출 회로(16)는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을 검출하고, 전지 전압 신호(Sg2)를 생성하여 충전 제어 회로(B24)에 출력한다. 충전 제어 회로(B24)는 신호(Sg1)가 입력될 때에 작동한다. 충전 제어 회로(B24)는 전지 전압 신호(Sg2)가 입력될 때에, 정전류 회로(20)에 정전류 제어 신호(Sg3)를 출력한다. 정전류 회로(20)는 정전류 제어 신호(Sg3)가 입력될 때에 작동한다. 정전류 회로(20)는 그 내부에 2개의 전류원을 구비하여, 전류값이 다른 2가지의 전류 중 하나를 도 5에서 IB로 표시되는 방향에 출력할 수 있다. 충전 제어 회로(B24)는 입력된 전지 전압 신호(Sg2)로부터, 이차 전지(14)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BVl)보다 작다고 검출할 경우, 정전류 제어 신호(Sg3)와 정전류값 전환 신호(Sg4)를 정전류 회로(20)에 출력한다. 이것은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이 BVl보다 작은 경우, 즉 이차 전지(14)가 과방전 상태에 있는 경우에 갑자기 대전류로 충전할 때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충전 전류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정전류 회로(20)는 정전류값 전환 신호(Sg4)가 그 정전류 회로(20)에 입력될 때에 전류값(BI1)의 전류를 출력한다. 리튬 이온 전지의 경우, 전압(BV1)은 약 2.5V로 설정되고, 전류값(BI1)은 통상, 수 mA∼수십 mA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전류 제어 신호(Sg3)가 정전류 회로(20)에 출력될 때에 이차 전지(14)의 충전이 시작된다.
충전 제어 회로(B24)는, 이차 전지(14)가 전류값(BI1)의 전류로 충전되고, 전지 전압 검출 회로(16)로부터 공급된 전지 전압 신호(Sg2)에 따라,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BVl)에 이른 것을 검출할 때에, 이차 전지(14)가 정상적인 전지라고 판정하여, 정전류 회로(20)에 정전류값 전환 신호(Sg4)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정전류 회로(2O)는 전류값(BI1)보다 큰 전류값(BI2)을 이차 전지(14)에 출력한다. 여기서, 전류값(BI2)은 정전압 충전이 완료될 때에 이차 전지(14)에 흐르는 만충전 전류와 동일하다. 더욱이, 충전 제어 회로(B24)는 정전압 회로(18)에 충전 제어 신호(Sg5)를 출력하여, 정전압 회로(18)를 작동시킨다. 정전압 회로(18)는 충전 전류를 도 5에서 Ic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이차 전지(14)에 출력한다. 이어서, 이차 전지(14)는 정전압 회로(18)와 정전류 회로(20) 모두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로 충전된다.
그 후,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이 더 상승하여, 정전압 회로(18)의 기준 전압(BE1)과 대략 동일한 전압(BV2)에 도달하게 되면,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은 더이상 상승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어, 충전 전류만이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이 때, 연산 증폭기(A1)는 이차 전지(l4)의 전압과 기준 전압(BEl)을 비교하여, 그 차에 따라 pM0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제어 단자)에 플러스의 게이트 전압(제어 전압)을 인가한다. 이차 전지(l4)의 전지 전압이 커질수록,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도 커지기 때문에, 드레인 전류가 서서히 제한된다. 즉, 이차 전지(14)에 공급되는 충전 전류가 서서히 감소한다. 리튬 이온 전지의 경우, 전압(BV2)은 약 4.2V로 설정된다. 전압이 더 상승하면, 이차 전지 내부에 금속 리튬이 석출되기 때 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의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에서도,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이 전압(BV2)에 도달할 때, 정전류 충전이 정전압 충전으로 전환된다. 게다가, 이상적으로는,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이 전압(BV2)에 도달함과 동시에 전체 충전 전류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전지 내부의 화학 반응의 진행 상태에 따라 다소 시간차가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전술한 동작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충전 시간에 따른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충전 시간에 따른 충전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c는 충전 시간에 따른 pM0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정전류 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A)(굵은선으로 표시), 정전압 회로(l8)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류(B), 및 정전압 회로(18)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와 정전류 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더한 전체 충전 전류(C)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이차 전지(14)는 그 전압이 BV1에 도달할 때까지(충전 시간 t1까지) 정전류 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BI1)의 전류로 충전된다.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이 BV1에 도달할 때에, 정전류 회로(20)는 전류값(BI2)의 충전 전류를 출력하고, 또한 정전압 회로(18)도 충전 전류를 출력하기 시작한다. 정전압 회로(l8)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류는 처음에, AC 어댑터(B10)의 전류 용량과 pMOS 트랜지스터(M1)의 용량 중 더 작은 용량에 의해서 제한되는 전류이다. 도 6b는 예로서, AC 어댑터(B10)의 전류 용량이 더 작은 경우의 충전 전류를 표시하고 있다. 이차 전지(14)는 정전압 회로(18)와 정전류 회로(20) 모두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로 충전되고, 그에 따라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은 상승하여 미리 정해진 전압(BV2)에 도달한다.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V2)에 도달하고 나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pMO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은 서서히 상승하기 시작하고, 이 상승에 응답하여, 정전압 회로(18)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는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나서, 충전 시간(t2)에서, pMO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은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AC 어댑터 전압에 가깝게 상승한다. 이 때, 정전압 회로(18)의 pMOS 트랜지스터(M1)는 차단되고, 정전압 회로(18)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류는 정지된다. 다시 말해서, 전체 충전 전류는 정전류 회로(20)에서만 출력되는 전류값(BI2)의 전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에서, 전류값(BI2)은 만충전 전류의 값과 같게 설정되기 때문에, 정전압 회로(18)의 pMOS 트랜지스터(M1)가 차단되어, 정전류 회로(20)에서 출력되는 전류값(BI2)의 전류만이 이차 전지(14)로 흐른다.
따라서, AC 어댑터(Bl0)의 전압으로부터 기준 전압(BE2)만큼 낮은 값으로 강하된 전압과 pMOS 트랜지스터(M1)가 차단되는 게이트 전압이 같도록 게이트 전압 검출 회로(B22)의 기준 전압(BE2)을 설정하면, 제어 단자 전압 검출 회로(B22)는 제어 트랜지스터(M1)가 차단될 때, 즉 연산 증폭기(A2)의 한쪽의 입력단에 입력되는 pMO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과 AC 어댑터(B10)의 전압으로부터 기준 전압(BE2)만큼 강하된 전압과 같게 되었을 때, 충전 제어 회로(B24)에 충전 완료 신호(Sg6)를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압 검출 회로(B22)는 pMOS 트랜 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이차 전지(14)에 미리 정해진 전류가 흐르는 것을 검출한다. 그렇기 때문에 게이트 전압 검출 회로(B22)를 충전 전류 검출 회로라고도 부를 수 있다. 충전 제어 회로(B24)는 충전 완료 신호(Sg6)가 그 충전 제어 회로(24)에 입력되면, 정전압 회로(18) 및 정전류 회로(20)에 각각, 충전 제어 신호(Sg5) 및 정전류 제어 신호(Sg3)를 출력하고, 양쪽 회로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에서는, 충전 전류 검출용의 저항이 불필요하다. 그에 따라, 저항으로 인한 발열이나 전력 손실이 없다. 따라서, 고정밀도로 만충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으면서, 또한 정전류 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전류값을 상이한 전류값 중에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회로를 추가하지 않고서 과방전 전지 등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에 있어서, 게이트 전압 검출 회로(22)는 기준 전압(BE2)을 생성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42)를 이용하여, AC 어댑터(B10)의 전압으로부터 기준 전압(BE2)만큼 강하된 전압을 pMOS 트랜지스터(M1)가 차단되는 게이트 전압과 같도록 설정한다. 그러나, 이것은 충전 완료 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를 이용하여, 그 충전 완료 전압을 pM0S 트랜지스터(M1)가 차단되는 게이트 전압과 같게 설정하는 것과 동일하다.
더욱이, 도 5의 제어 트랜지스터(M1)는 pM0S 트랜지스터이지만, 도 7에 도시하는 바이폴라 PNP 트랜지스터를 대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단자 전압 검출 회로(B22)의 기준 전압(BE2)은, AC 어댑터(B10)의 전압으 로부터 기준 전압(BE2)만큼 강하된 전압과 바이폴라 PNP 트랜지스터가 차단되는 베이스 전압이 같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4)의 충전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1의 회로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고, 이들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는 도 5에 도시된 충전 회로에, pM0S 트랜지스터(Ml)에서 출력된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충전 전류 제어 회로(50)와 부하 저항(R2)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정전압 회로(18)의 연산 증폭기(A1)와 pMOS 트랜지스터(M1) 사이에 다이오드(D3)가 접속된다. 충전 전류 제어 회로(50)는 정전압 발생 회로(46)와, 연산 증폭기(A4), 및 다이오드(D2)를 포함한다. 부하 저항(R2)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pM0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각각 충전 시간에 따른 이차 전지(14)의 전압의 변화, 충전 전류의 변화 및 pMO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9b는 정전류 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A)(굵은선으로 표시), 정전압 회로(18)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류(B), 및 정전압 회로(18)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와 정전류 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더한 전체 충전 전류(C)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는 이차 전지(14)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BV1)에 도달할 때까지(충전 시간이 tl이 될 때까지)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로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충전 제어 회로(B24)는 전지 전압 검출 회 로(16)로부터 출력된 전지 전압 신호(Sg2)로부터,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BVl)에 도달하는 지를 검출할 때, 정전류 회로(20)에 정전류값 전환 신호(Sg4)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정전류 회로(20)는 전류값(BI1)보다 큰 전류값(BI2)을 이차 전지(14)에 출력한다. 또한, 충전 제어 회로(B24)는 정전압 회로(l8)와 충전 전류 제어 회로(50)에 충전 제어 신호(Sg5)를 출력하여, 정전압 회로(18)와 충전 전류 제어 회로(50)를 각각 작동시킨다.
맨 처음에,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이 아직 낮기 때문에, 정전압 회로(l8)의 연산 증폭기(A1)의 출력은 약 0V이다. 한편, 충전 전류 제어 회로(50)의 연산 증폭기(A4)는 pMOS 트랜지스터(Ml)의 게이트 전압과 AC 어댑터(Bl0)의 전압[단자(30)의 전압]으로부터 기준 전압(BE4)만큼 강하된 전압을 비교하여, pMO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이 AC 어댑터(B10)의 전압으로부터 기준 전압(BE4)만큼 강하된 전압과 같게 유지되도록 전압을 출력한다. 이 때, 정전압 회로(18)의 다이오드(D3)는 pMO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단자로부터 연산 증폭기(A1)에 흐르는 전류를 저지한다. 결국, pM0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이 일정히 유지되고, pMOS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 전류, 즉 정전압 회로(18)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류는 전류값(BI3)에 일정하게 된다.
그러나, pMOS 트랜지스터(M1)의 성능에 의해, 미리 정해진 게이트 전압이 인가될 지라도, 미리 정해진 드레인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하 저항(R2)을 배치하여, 미리 정해진 드레인 전류가 흐르도록 게이트 전압을 미세 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차 전지(14)는 전 류값(BI2)의 정전류와 전류값(BI3)의 드레인 전류 모두에 의해 충전된다.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이 상승하여, 미리 정해진 전압(BV2)에 도달할 때, 정전압 회로(18)의 연산 증폭기(A1)의 출력 전압이 상승하여, 다이오드(D3)를 통해, 연산 증폭기(A1)로부터 pMO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단자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pM0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이 상승한다. 대신에, 충전 전류 제어 회로(50)의 연산 증폭기(A4)의 출력은 약 0V까지 저하되어, 다이오드(D2)를 통해 연산 증폭기(A4)로부터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로 전류가 흐르는 것이 정지된다. pM0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이 상승하면, pM0S 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드레인 전류는 감소한다. 이차 전지(14)가 더 충전될 때, pM0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이 더 상승하여, pMOS 트랜지스터(M1)는 차단된다. 이 때, 이차 전지(14)로 흐르는 전체 충전 전류는 정전압 충전이 완료될 때에 이차 전지(14)에 흐르는 만충전 전류와 같은 전류값(BI2)을 갖는다.
AC 어댑터(B10)의 전압으로부터 기준 전압(BE2)만큼 저하된 전압과 pMOS 트랜지스터(M1)가 차단되는 게이트 게이트 전압이 같도록 게이트 전압 검출 회로(B22)의 기준 전압(BE2)을 설정할 때, 게이트 전압 검출 회로(B22)는 제어 트랜지스터(M1)가 차단될 때에 충전 제어 회로(B24)에 충전 완료 신호(Sg6)를 출력한다. 충전 제어 회로(B24)는 충전 완료 신호(Sg6)가 입력되면, 정전압 회로(l8)와 정전류 회로(20)에 각각 충전 제어 신호(Sg5)와 정전류 제어 신호(Sg3)를 출력하여, 그 동작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에서는, 정전압 회로(18)가 구동하기 시작한 직후라도, pM0S 트랜지스터(M1)에 미리 정해진 게이트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14)에 AC 어댑터(B10)의 전류 용량 또는 pMOS 트랜지스터(M1)의 전류 용량에 의존하지 않는 미리 정해진 정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압 회로(18)가 구동하기 시작한 직후에도, 이차 전지(14)에 대하여 손상을 주지 않는 적당한 전류값의 충전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에서는, 충전 전류 검출용 저항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저항에 의한 발열이나 전력 손실이 없고, 고정밀도로 이차 전지의 만충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정전류 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전류값을 상이한 전류값 중에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회로를 추가하는 일없이 과방전 전지 등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에 있어서, 기준 전압(BE2)을 생성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42)를 이용하여, 게이트 전압 검출 회로(B22)는 AC 어댑터(B10)의 전압으로부터 기준 전압(BE2)만큼 강하된 전압을 pMOS 트랜지스터(M1)가 차단되는 게이트 전압과 같게 설정한다. 그러나, 이것은 충전 완료 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를 이용하여, 그 충전 완료 전압을 pM0S 트랜지스터(M1)가 차단되는 게이트 전압과 같게 설정하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충전 전류 제어 회로(50)는 기준 전압(BE4)을 생성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46)를 이용하여, AC 어댑터(B10)의 전압으로부터 기준 전압(BE4)만큼 강하된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정전류를 출력하는 pM0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과 같게 설정한다. 그러나, 이것은, 어떤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를 이용하여, 제어 전압을 미리 정해 진 정전류를 출력하는 pM0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을 같게 설정하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제어 트랜지스터(Ml)는 pMOS 트랜지스터지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폴라 PNP 트랜지스터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 전압 검출 회로(22)의 기준 전압(BE2)은 AC 어댑터(BI0)의 전압으로부터 기준 전압(BE2)만큼 저하된 전압과 바이폴라 PNP 트랜지스터가 차단되는 바이폴라 PNP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압이 같도록 설정되면 좋다. 또한, 정전압 발생 회로(46)의 기준 전압(BE4)은 AC 어댑터(B10)의 전압으로부터 기준 전압(BE4)만큼 강하된 전압과 미리 정해진 정전류를 출력하는 바이폴라 PNP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압이 같도록 설정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에서, 충전 전류 제어 회로(50)는 pM0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pM0S 트랜지스터(M1)를 통해 이차 전지(14)에 미리 정해진 정전류를 보낸다. 그러나, pMOS 트랜지스터(M1)를 통해 이차 전지(14)에 미리 정해진 정전류를 보낼 수만 있다면, 다른 구성을 이용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도 8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 저항(R2)을 배치하면, pMOS 트랜지스터(M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의 값을 미세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예컨대, pM0S 트랜지스터(M1)를 상이한 제조업자의 pM0S 트랜지스터(M1)로 교환하는 경우일 지라도, 그 pM0S 트랜지스터(M1)의 성능에 따라 게이트 전압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M0S 트랜지스터(M1)의 성능에 상관없이, 이차 전지(14)에 미리 정해진 정전류를 보낼 수 있다.
또한, 도 8의 충전 회로에 있어서, 정전류 회로(20)는 전류값(BI1)만 출력하는 정전류 회로일 수도 있다. 도 10은 그 경우의 충전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정전류 회로(20)는 전류값(BIl)의 전류를 출력하는 단일의 전류원을 구비하고, 충전 제어 회로(24)로부터 출력되는 정전류 제어 신호(Sg3)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BV1)보다 작은 경우에는, 충전 제어 회로(B24)로부터 정전류 제어 신호(Sg3)가 입력되기 때문에, 정전류 회로(20)가 작동하여 이차 전지는 전류값(BI1)의 전류만으로 충전된다. 충전 제어 회로(B24)가 전지 전압 검출 회로(16)에 의해 출력되는 전지 전압 신호(Sg2)로부터, 이차 전지(14)의 전지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BVl)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충전 제어 회로(B24)는 정전류 회로(20)에 정전류 제어 신호(Sg3)를 보내어 정전류 회로(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더욱이, 충전 제어 회로(B24)는 충전 제어 신호(Sg5)를 출력하여, 정전압 회로(18)와 충전 전류 제어 회로(50)를 작동시킨다. 충전 전류 제어 회로(50)와 정전압 회로(18)의 동작은 도 8의 대응하는 부분의 동작과 동일하다.
도 10의 충전 회로에서, 게이트 전압 검출 회로(B22)의 기준 전압(BE5)은 도 4 및 도 8의 충전 회로의 기준 전압(BE2)과 다르다. 이 기준 전압(BE5)은 pMOS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 전류가 전류값(BI2)이 되도록 pMO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 전압과 AC 어댑터(B10)의 전압으로부터 기준 전압(BE5)만큼 강하된 전압이 같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충전이 정전류 충전으로부터 정전압 충전 으로 전환되고, pMOS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압이 상승하여, AC 어댑터(B10)의 전압으로부터 기준 전압(BE5)만큼 강하된 전압에 도달하면, 게이트 전압 검출 회로(B22)로부터 충전 제어 회로(B24)에 충전 완료 신호(Sg6)가 출력된다. 충전 제어 회로(B24)는 충전 완료 신호(Sg6)가 입력되면, 정전압 회로(18)와 충전 전류 제어 회로(50)에 충전 제어 신호(Sg5)를 출력하여, 이들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도 10에 도시하는 충전 회로에서, 정전류 회로(20)는 단일의 전류원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규모가 삭감되고, 그 결과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로부터의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이탈하는 일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은 2001년 9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1-279823호와 2001년 9월 20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1-287039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이 전체적인 내용은 여기에서의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27)

  1.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이차 전지 충전 회로에 있어서,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미리 정해진 정전압 중 하나의 정전압을 선택해서 출력하고, 그 선택한 정전압을 상기 이차 전지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정전압 회로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부와;
    상기 검출 회로부로부터의 검출된 전지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정전압 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정전압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정전압 회로부로 하여금,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제1 정전압 이하일 경우에, 상기 제1 정전압을 상기 이차 전지에 인가하여 상기 이차 전지를 충전하게 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상기 제1 정전압을 초과할 경우에, 미리 정해진 제2 정전압과 그 제2 정전압보다 작은 미리 정해진 제3 정전압을 상기 이차 전지에 일정한 주기로 교대로 인가하여 상기 이차 전지를 충전하게 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완료를 검출하고, 상기 정전압 회로부로 하여금 상기 제3 정전압을 상기 이차 전지에 인가하게 하는 동안에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전압을 초과할 경우,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전압은 상기 제1 정전압과 같은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전압은 상기 제1 정전압보다 큰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제3 정전압에 따라 상기 이차 전지와 병렬로 부하를 접속하는 부하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충전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회로부는,
    상기 제1 정전압, 상기 제2 정전압, 및 상기 제3 정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어 회로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정전압 발생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정전압, 상기 제2 정전압, 및 상기 제3 정전압 중 하나의 정전압을 선택해서 출력하는 전압 전환 회로와,
    상기 전압 전환 회로로부터 출력된 정전압과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비교기와,
    상기 비교 신호에 따라, 미리 정해진 직류 전원에서 상기 이차 전지로 전류를 전달하는 제어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이차 전지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직류 전원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7.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에 있어서,
    외부 직류 전원 및 상기 이차 전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전류 및 제2 정전류 중 하나의 정전류를 상기 이차 전지에 출력하는 정전류 회로부와;
    상기 정전류 회로부와 병렬로 접속되고,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상기 이차 전지에 인가하여 상기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정전압 회로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지 전압 검출 회로부와;
    상기 정전압 회로부가 전류 출력을 정지할 때,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전류 검출 회로부와;
    상기 충전 완료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정전류 회로부 및 상기 정전압 회로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충전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 회로부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정전류 회로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정전류 회로부로 하여금 상기 제1 정전류를 출력하게 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전압 이상일 경우, 상기 정전류 회로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정전류 회로부로 하여금 상기 제1 정전류보다 큰 상기 제2 정전류를 출력하게 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직류 전원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충전 회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제어하는 충전 전류 제어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전류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정전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류의 최대값이 미리 정해진 값이 되도록 상기 정전압 회로부에 대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충전 제어 회로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충전 전류 제어 회로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회로부는,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와,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과 상기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비교기와,
    상기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의 직류 전원에서 이차 전지로 전류를 전달하는 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회로부는 상기 전압 비교기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류 제어 회로부는,
    미리 정해진 제2 정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2 정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인가된 전압과 상기 제2 정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압 비교기와,
    상기 제어 단자에서 상기 제2 전압 비교기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류 검출 회로부는 상기 전압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한 비교 신호로부터, 상기 정전압 회로부가 전류 출력을 정지시키는 것을 결정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류 검출 회로부는,
    미리 정해진 제3 정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3 정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인가된 전압과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정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어 단자에 인가된 전압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정전압과 같을 때,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전압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정전압은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가 차단(cut off)되도록 상기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인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15.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이차 전지 충전 회로에 있어서,
    외부 직류 전원과 상기 이차 전지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상기 이찬 전지에 인가하여 상기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정전압 회로부와;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지 전압 검출 회로부와;
    상기 정전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에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전류 검출 회로부와;
    상기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정전압 회로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충전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압 회로부는,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과 상기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비교기와,
    상기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의 직류 전원에서 이차 전지로 전류를 전달하는 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전류 검출 회로부는, 상기 전압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비교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비교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에서 전달되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값인지 판정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16. 제15항에 있어서, 충전 전류를 이차 전지에 공급하는 직류 전원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충전 회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류 검출 회로부는,
    미리 정해진 제2 정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2 정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인가된 전압과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정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어 단자에 인가된 전압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정전압과 같을 경우에 상기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압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정전압은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에 의해 전달되는 전류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이 되도록 상기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인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회로부는,
    상기 전압 비교기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제어하는 충전 전류 제어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전류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정전압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류의 최대값이 미리 정해진 값이 되도록 상기 정전압 회로부에 대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충전 제어 회로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충전 전류 제어 회로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류 제어 회로부는,
    미리 정해진 제3 정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3 정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인가된 전압과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정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전압 비교기와,
    상기 제어 단자에서 상기 제3 전압 비교기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회로부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상기 이차 전지에 출력하는 정전류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 회로부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정전류 회로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전압 이상일 경우, 상기 정전류 회로부를 정지시키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2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회로부는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이차 전지에서 상기 외부 직류 전원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3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회로부는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이차 전지에서 상기 외부 직류 전원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3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2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는 p-채널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2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는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26.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에 있어서,
    외부 직류 전원 및 상기 이차 전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전류 및 제2 정전류 중 하나의 정전류를 상기 이차 전지에 출력하는 정전류 회로부와;
    상기 정전류 회로부와 병렬로 접속되고,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상기 이차 전지에 인가하여 상기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정전압 회로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지 전압 검출 회로부와;
    미리 정해진 전류가 상기 이차 전지에 흐를 때,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전류 검출 회로부와;
    상기 충전 완료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정전류 회로부 및 상기 정전압 회로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충전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 회로부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정전류 회로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정전류 회로부로 하여금 상기 제1 정전류를 출력하게 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전압 이상일 경우, 상기 정전류 회로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정전류 회로부로 하여금 상기 제1 정전류보다 큰 상기 제2 정전류를 출력하게 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27.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에 있어서,
    외부 직류 전원 및 상기 이차 전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전류 및 제2 정전류 중 하나의 정전류를 상기 이차 전지에 출력하는 정전류 회로부와;
    상기 정전류 회로부와 병렬로 접속되고, 미리 정해진 정전압을 상기 이차 전지에 인가하여 상기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정전압 회로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지 전압 검출 회로부와;
    미리 정해진 충전 완료 신호를 출력하도록 충전 완료를 결정하는 회로부와;
    상기 충전 완료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정전류 회로부 및 상기 정전압 회로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충전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 회로부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정전류 회로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정전류 회로부로 하여금 상기 제1 정전류를 출력하게 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전지 전압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전압 이상일 경우, 상기 정전류 회로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정전류 회로부로 하여금 상기 제1 정전류보다 큰 상기 제2 정전류를 출력하게 하는 것인 이차 전지 충전 회로.
KR1020037014514A 2001-09-14 2002-09-12 이차 전지 충전 회로 KR100572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79823A JP4499966B2 (ja) 2001-09-14 2001-09-14 二次電池の充電回路
JPJP-P-2001-00279823 2001-09-14
JPJP-P-2001-00287039 2001-09-20
JP2001287039A JP4502554B2 (ja) 2001-09-20 2001-09-20 二次電池の充電回路
PCT/JP2002/009362 WO2003026095A1 (en) 2001-09-14 2002-09-12 Charging circuit for secondary batter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622A Division KR100611583B1 (ko) 2001-09-14 2002-09-12 이차 전지 충전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552A KR20040024552A (ko) 2004-03-20
KR100572160B1 true KR100572160B1 (ko) 2006-04-19

Family

ID=266222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514A KR100572160B1 (ko) 2001-09-14 2002-09-12 이차 전지 충전 회로
KR1020057022622A KR100611583B1 (ko) 2001-09-14 2002-09-12 이차 전지 충전 회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622A KR100611583B1 (ko) 2001-09-14 2002-09-12 이차 전지 충전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05748B2 (ko)
EP (1) EP1425837B1 (ko)
KR (2) KR100572160B1 (ko)
CN (1) CN100350713C (ko)
WO (1) WO2003026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8760B2 (en) * 2000-09-21 2008-03-25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Power management topologies
US7564220B2 (en) * 2000-09-21 2009-07-21 O2Micro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electronic circuit for efficient battery wake up charging
US7405539B2 (en) * 2004-11-29 2008-07-29 Mediatek Incorporation Battery charger for preventing charging currents from overshooting during mode transition and method thereof
CN100438261C (zh) * 2005-07-14 2008-11-26 栢怡国际股份有限公司 交替回路式充电装置
JP4533329B2 (ja) * 2006-02-28 2010-09-01 株式会社リコー 充電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その充電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を使用した充電装置
TWI325672B (en) * 2006-09-01 2010-06-01 Via Tech Inc Linear battery charger
US8154248B2 (en) * 2008-10-07 2012-04-10 Black & Decker Inc. Signal for pre-charge selection in lithium charging and discharge control/pre-charge function
JP4848038B2 (ja) * 2010-02-26 2011-12-28 幸男 高橋 充電器及び充電装置
US10067198B2 (en) 2010-05-21 2018-09-04 Qnovo Inc. Method and circuitry to adaptively charge a battery/cell using the state of health thereof
US8970178B2 (en) 2010-06-24 2015-03-03 Qnovo Inc. Method and circuitry to calculate the state of charge of a battery/cell
US11397215B2 (en) 2010-05-21 2022-07-26 Qnovo Inc. Battery adaptive charging using battery physical phenomena
US11397216B2 (en) 2010-05-21 2022-07-26 Qnovo Inc. Battery adaptive charging using a battery model
US10389156B2 (en) 2010-05-21 2019-08-20 Qnovo Inc. Method and circuitry to adaptively charge a battery/cell
US11791647B2 (en) 2010-05-21 2023-10-17 Qnovo Inc. Method and circuitry to adaptively charge a battery/cell
WO2011146783A1 (en) 2010-05-21 2011-11-24 Qnovo Inc. Method and circuitry to adaptively charge a battery/cell
US8791669B2 (en) * 2010-06-24 2014-07-29 Qnovo Inc. Method and circuitry to calculate the state of charge of a battery/cell
US9142994B2 (en) 2012-09-25 2015-09-22 Qnovo, Inc. Method and circuitry to adaptively charge a battery/cell
JP5015335B1 (ja) * 2011-03-15 2012-08-29 幸男 高橋 充電器及び充電装置
CN103972942B (zh) * 2013-02-04 2016-08-10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设备
US9461492B1 (en) 2013-04-19 2016-10-04 Qnovo Inc. Method and circuitry to adaptively charge a battery/cell using a charge-time parameter
EP3101771B1 (en) 2014-01-28 2019-03-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ower adapter,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exception of charging loop
US10574079B1 (en) 2014-06-20 2020-02-25 Qnovo Inc. Wireless charging techniques and circuitry for a battery
CN105449759B (zh) * 2015-12-03 2018-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充电方法及移动终端
US10291046B2 (en) * 2016-11-23 2019-05-14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fast charging lithium-ion batteries
CN112768795A (zh) * 2019-11-06 2021-05-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电池充电方法、装置及介质
CN111146837A (zh) * 2019-12-31 2020-05-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0089A (en) * 1971-11-16 1974-07-17 J A Macharg Battery chargers
US4350946A (en) * 1979-12-17 1982-09-21 Prinsze Onno M Multiple constant current battery charging apparatus
US4462363A (en) * 1980-10-14 1984-07-31 Kokusan Denki Co., Ltd.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385269A (en) * 1981-01-09 1983-05-24 Redifon Telecommunications Limited Battery charger
JPS6162325A (ja) * 1984-08-31 1986-03-31 日立工機株式会社 充電器
KR930011132B1 (ko) * 1991-11-01 1993-1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의 쾌속충전 제어회로
US5442274A (en) * 1992-08-27 1995-08-15 Sanyo Electric Company, Ltd. Rechargeable battery charging method
JP3213401B2 (ja) 1992-09-29 2001-10-02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3384027B2 (ja) * 1993-05-14 2003-03-10 ソニー株式会社 充電方法および充電器
US5583416A (en) * 1994-01-26 1996-12-10 Gnb Battery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tep-charging batteries to optimize charge acceptance
JPH07336908A (ja) * 1994-06-08 1995-12-22 Nissan Motor Co Ltd 非水系二次電池の充電装置
JP3303155B2 (ja) * 1995-01-19 2002-07-15 京セラ株式会社 バッテリチャージャ
US5670863A (en) * 1995-02-07 1997-09-23 Benchmarq Microelectronics, Inc. Lead acid charger with ratioed time-out periods and current pulse mode of operation
US5654622A (en) * 1995-02-16 1997-08-05 Sanyo Electric Co., Ltd. Secondary battery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which controls protecting voltage level of battery protecting circuit
KR970706638A (ko) * 1995-08-10 1997-11-03 이데이 노브유끼 충전방법, 충전장치 및 집적회로(charging method, charging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US5747969A (en) * 1995-11-21 1998-05-05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of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with pulses of a predetermined amount of charge
JPH09233725A (ja) * 1996-02-20 1997-09-05 Brother Ind Ltd 急速充電回路
JP3767068B2 (ja) * 1997-02-26 2006-04-19 宇部興産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方法
JP3767767B2 (ja) * 1997-11-28 2006-04-19 ソニー株式会社 充電制御方法及び充電制御装置
JP2000092737A (ja) * 1998-09-11 2000-03-31 Toshiba Battery Co Ltd 二次電池の充電装置
US6137265A (en) * 1999-01-11 2000-10-24 Dell Usa, L.P. Adaptive fast charging of lithium-ion batteries
TW480759B (en) 1999-03-18 2002-03-21 Seiko Epson Corp Electronic machine, charged electronic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machine
JP3895496B2 (ja) * 1999-04-09 2007-03-22 富士通株式会社 充電制御回路及び充電装置並びに充電制御方法
KR100341986B1 (ko) * 1999-04-23 2002-06-26 윤종용 배터리 충전장치 및 그 충전제어방법
JP3438647B2 (ja) * 1999-05-14 2003-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充電制御器
JP2000333380A (ja) * 1999-05-20 2000-11-30 Murata Mfg Co Ltd 出力可変充電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充電器
US6553263B1 (en) * 1999-07-30 2003-04-22 Advanced Bionics Corporation Implantable pulse generators using rechargeable zero-volt technology lithium-ion batteries
JP3394509B2 (ja) * 1999-08-06 2003-04-07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電源
JP2001178011A (ja) * 1999-12-10 2001-06-29 Toshiba Battery Co Ltd 二次電池装置
JP2001186684A (ja) * 1999-12-22 2001-07-06 Fuji Electric Co Ltd リチウムイオン電池充電装置
JP2001279823A (ja) 2000-03-31 2001-10-10 Showa Aluminum Exterior Corp 垂直状パネル付組立建物
JP2001287039A (ja) 2000-04-03 2001-10-16 Koike Sanso Kogyo Co Ltd プラズマトーチ
JP2002142379A (ja) * 2000-11-06 2002-05-17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充電方法
JP2003085210A (ja) 2001-09-07 2003-03-20 Ricoh Co Ltd 文書処理管理装置および文書処理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25837A1 (en) 2004-06-09
WO2003026095A1 (en) 2003-03-27
KR100611583B1 (ko) 2006-08-11
KR20040024552A (ko) 2004-03-20
KR20060004999A (ko) 2006-01-16
CN1507686A (zh) 2004-06-23
US7205748B2 (en) 2007-04-17
EP1425837A4 (en) 2010-11-10
US20060043932A1 (en) 2006-03-02
EP1425837B1 (en) 2012-05-30
CN100350713C (zh)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160B1 (ko) 이차 전지 충전 회로
US7274171B2 (en) Charging circuit for secondary battery
US7180268B2 (en) Circuits capable of trickle precharge and/or trickle discharge
EP1964235B1 (en) Battery full-charge detection for charge-and-play circuits
JP4533329B2 (ja) 充電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その充電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を使用した充電装置
US6836095B2 (en) Battery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US7423410B2 (en) Battery protecting circuit
US200401959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aqueous second battery charging
US20080007227A1 (en) Charging circuit,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charging circuit, and power supply unit
US20080272738A1 (en) Integrated circuit for controlling charging, charging device using the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detecting connection of secondary battery
JP4499966B2 (ja) 二次電池の充電回路
US7701178B2 (en) Charge control that keeps constant input voltage supplied to battery pack
JP2001333542A (ja) 充電装置
JP4502554B2 (ja) 二次電池の充電回路
JP2009225594A (ja) 二次電池の充電装置
JPH1189099A (ja) 充放電制御回路
JP2000278877A (ja) 二次電池の充電機能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JP2022174475A (ja) 二次電池保護回路、電池パック、電池システム及び二次電池保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