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901A -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 Google Patents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901A
KR20160100901A KR1020167004688A KR20167004688A KR20160100901A KR 20160100901 A KR20160100901 A KR 20160100901A KR 1020167004688 A KR1020167004688 A KR 1020167004688A KR 20167004688 A KR20167004688 A KR 20167004688A KR 20160100901 A KR20160100901 A KR 20160100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polyester
less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6559B1 (ko
Inventor
이사오 마나베
히데오 쇼지
야스시 타카다
와타루 고우다
코조 타카하시
야스유키 이시다
타다히코 이와야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과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면서 터치 패널 용도, 편광자 보호 용도 등에 사용했을 때에 간섭색을 나타내는 일 없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편광판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B층을 갖는 10층 이하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 및 400㎜폭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이 모두 1000㎚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Description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MULTILAYER POLYESTER FILM AND POLARIZING PLATE USING SAME}
본 발명은 광학 용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며, 특히 편광자 보호 용도에 적절히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B층을 갖는 적층 구성이며, 중심 및 400㎜폭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이 모두 1000㎚ 이하이기 때문에 터치 패널 용도, 편광자 보호 용도 등에 사용했을 때에 간섭색을 나타내는 일 없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 그 중에서도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계적 성질, 전기적 성질, 치수 안정성, 투명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성질을 갖는 점에서 자기 기록 재료, 포장 재료 등의 많은 용도에 있어서 기재 필름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터치 패널 분야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이나 투명 도전 필름 등 각종 광학용 필름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편광자 보호 필름 용도에서는 저비용화를 목적으로 하여 종래의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부터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의 치환이 왕성히 검토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검토되어 있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는 연신 시의 폴리머의 배향에 기인하여 TAC 필름과 비교해서 리타데이션이 높아지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조립했을 때에 리타데이션에 기인한 간섭색이 생겨 화상을 표시했을 때의 품위가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리타데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13-20043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3-21059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이나 2에서 제안되어 있는 기술은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에 대해서는 제어하고 있지 않고, 대화면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탑재했을 때, 필름 폭 방향에서 간섭색을 나타내버리는 과제가 있어 편광자 보호 필름의 용도에서는 실용적인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점을 해소하여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면서 터치 패널 용도, 편광자 보호 용도 등에 사용했을 때에 간섭색을 나타내는 일 없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B층을 갖는 10층 이하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 및 400㎜폭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이 모두 1000㎚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 [1]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Re·C)과, 400㎜폭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Re·E)이 하기 (Ⅰ)식을 만족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Re·E/Re·C≤1.5···(Ⅰ)
[3] [1] 또는 [2]에 있어서, 온도 60℃, 습도 95%의 조건 하에 필름을 400시간 유지한 전후의 필름 헤이즈 차(Δ헤이즈)가 1% 미만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에 있어서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이 2000㎚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에 있어서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이 2000㎚ 이하이며,
필름면 내의 임의의 한방향을 방향 X,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을 방향 Y로 하면 95℃에 있어서의 필름 방향 X 및 방향 Y의 저장 탄성률이 각각 800㎫ 이상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필름면 내의 임의의 한방향을 방향 X,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을 방향 Y, 필름 두께 방향을 방향 Z로 하면 폴리에스테르 B층의 X, Y, Z 방향의 굴절률의 평균값이 1.51 이상 1.57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7] [6]에 있어서, 방향 X의 85℃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이 0.5%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8] [6] 또는 [7]에 있어서, 방향 Y의 85℃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이 0.5%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A층이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에 위치하고, A층의 면배향 계수가 0.16 미만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A층이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에 위치하고, A층의 면배향 계수가 0.11보다 큰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1][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A층/B층/A층의 3층 구성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2][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A층의 1층당 두께가 3.2㎛ 미만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B층이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를 60몰% 이상 90몰% 이하, 그 밖의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를 10몰% 초과, 40몰% 이하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B층이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60몰% 이상 90몰% 이하, 그 밖의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10몰% 초과, 40몰% 이하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1]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에 있어서,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이 2000㎚ 이하이며, 필름면 내의 임의의 한방향을 방향 X,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을 방향 Y, 필름 두께 방향을 방향 Z로 하면 폴리에스테르 B층의 X, Y, Z 방향의 굴절률의 평균값이 1.51 이상 1.57 이하이며, A층/B층/A층의 3층 구성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최표면에 하드코팅성, 자기 수복성, 방현성, 반사 방지성, 저반사성, 및 대전 방지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7]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편광자의 양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을 갖고 이루어지는 편광판으로서, 적어도 한쪽의 면에 사용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편광판.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탑재했을 때에도 고품위로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리타데이션의 측정에 제공되는 필름으로서, 400㎜폭을 갖는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리타데이션의 측정에 제공되는 필름으로서, 1000㎜폭을 갖는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리타데이션의 측정에 제공되는 필름으로서, 1500㎜폭을 갖는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하,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B층을 갖는 10층 이하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며, 폴리에스테르 B층은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것이 필요하다.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B층을 가짐으로써 필름 제막 시의 열처리 공정 등에서 폴리에스테르 B층의 배향을 완화하기 쉬워져 리타데이션을 낮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융점으로서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20℃/분으로 측정을 행했을 때의 융해 현상에 의해 발현되는 흡열 피크 온도이다. 다른 조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블렌딩해서 사용하여 필름으로 했을 경우 등에는 복수의 융해에 따르는 흡열 피크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지만, 그 경우 열류의 절대값이 가장 큰 온도를 융점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B층은 필름 제막 시의 열처리 공정 등에서 배향 완화시켜 리타데이션을 낮게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결정성이 낮아 명확한 융점을 갖지 않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B층이 명확한 융점을 나타내지 않을 경우에는 A층의 융점보다 낮은 것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B층을 가지며, 10층 이하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층을 가져도 좋지만, 제막성, 층간 밀착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B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B층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되는 층수는 10층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적층되는 층수가 10층보다 많을 경우에는 각 층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제막 시의 적층성이 낮아져 플로우 마크 등이 발생하여 필름 품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특히 저리타데이션을 유지하면서 높은 치수 안정성을 양립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A층을 보다 많이 갖도록 하기 위해서 적층하는 층수를 5층 이상 9층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리타데이션을 달성하면서 제조 비용을 억제하고 싶을 경우에는 적층되는 층수를 2층 이상 5층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이하, 간단히 「중심」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및 400㎜폭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이 모두 1000㎚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이 1000㎚ 이하이며, 또한 400㎜폭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이 1000㎚ 이하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이란 필름의 면 내에 있어서의 직교하는 2방향의 굴절률 차의 최대값과 필름 두께의 곱으로 산출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Oji Scientific Instruments Co., Ltd.로부터 판매되어 있는 측정 장치로서, 광학적인 방법으로 리타데이션을 측정하는 위상차 측정 장치 KOBRA 시리즈로 계측되는 값이다. 구체적으로는 필름 폭 방향이 상기 측정 장치에서 정의되어 있는 각도 0°가 되도록 장치에 설치하고, 입사각 0°(필름면에 수직인 방향)로 측정한 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400㎜폭이란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2방향으로 각각 200㎜폭을 취한 필름을 가리킨다(도 1).
즉, 중심 및 400㎜폭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의 평가는 필름 폭 방향의 중심 및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2방향으로 각각 200㎜폭으로 취한 위치에서 실시한다(측정은 필름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2방향으로 각각 165㎜폭 위치로부터 35㎜×35㎜로 잘라낸 샘플로 측정).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름 폭 방향이란 롤 위의 적층 필름이면 롤의 권취 방향을 필름 길이 방향으로 하고, 롤의 폭 방향이 필름 폭 방향으로 하여 컷팅된 시트형상일 경우에는 필름의 장변 방향과 장변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필름 단부(필름 끝으로부터 35㎜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35㎜×35㎜로 잘라낸 샘플로 측정)에 있어서 리타데이션(Re)을 계측하여 필름 중심과의 차가 큰 방향을 필름 폭 방향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편광자 보호 용도에 사용할 경우, 편광자와 접합했을 때 리타데이션(Re)의 값이 높아지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실장했을 때에 간섭색을 발생시키게 되고, 품위가 저하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는 제조 시에 직교한 2축 방향으로의 연신을 실시하지만, 그 연신 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면 내에서 리타데이션(Re)의 불균일이 발생한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2축 연신 필름에 자주 사용되는 축차 2축 연신에 있어서는 필름 길이 방향으로 연신을 행한 후에 필름 폭 방향으로 연신, 경우에 따라서는 그 후 열처리를 실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특히 필름 폭 방향으로의 연신을 행할 때에 필름 길이 방향과 필름 폭 방향의 응력의 불균일로부터 필름 폭 방향에서 리타데이션(Re)의 차가 생기는 것이다. 그 때문에, 가령 필름 폭 방향의 중앙에서 리타데이션(Re)을 억제했다고 해도 필름 폭 방향에서 보면 말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리타데이션(Re)이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필름 폭 방향에서의 리타데이션(Re)의 불균일이 발생함으로써 특히 32인치 이상의 대형 디스플레이용의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편광판으로서의 면 내에서의 리타데이션(Re)의 불균일이 생겨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실장했을 때에도 고리타데이션(Re)의 부위에서 착색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대형 디스플레이용으로의 탑재성의 관점으로부터 필름 폭은 400㎜ 이상인 것이 필요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폭 이상이며, 1500㎜폭 이상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이유로부터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000㎜폭 이상인 경우에는 1000㎜폭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이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 폭이 1500㎜폭 이상인 경우에는 1500㎜폭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이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1000㎜폭, 1500㎜폭의 정의는 400㎜폭과 마찬가지로 각각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2방향으로 각각 500㎜폭을 취한 필름(측정은 필름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2방향으로 각각 465㎜폭 위치로부터 35㎜×35㎜로 잘라낸 샘플로 측정), 750㎜폭을 취한 필름(측정은 필름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2방향으로 각각 715㎜폭 위치로부터 35㎜×35㎜로 잘라낸 샘플로 측정)을 가리킨다. 즉, 1000㎜폭 및 1500㎜폭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의 평가는 각각 필름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2방향으로 각각 500㎜폭에 취한 위치, 750㎜폭에 취한 위치에서 실시한다(도 2 및 도 3을 참조).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에 실장했을 때의 간섭색 발생을 억제시키기 위해서 중심 및 400㎜폭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이 모두 75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500㎚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고, 1㎚ 이상 200㎚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리타데이션(Re)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B층을 갖는 10층 이하의 적층 필름으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B층의 배향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열성, 치수 안정성, 취급성의 관점으로부터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폴리에스테르 B층의 배향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필름의 연신 온도를 고온화시키고, 또한 2축 연신 후의 열처리 온도를 고온으로 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미연신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 폭 방향으로 연신하거나 또는 폭 방향으로 연신한 후,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차 2축 연신 방법, 필름의 길이 방향, 폭 방향을 거의 동시에 연신해 가는 동시 2축 연신 방법 등에 의해 연신을 행할 수 있지만, 이 연신 온도를 고온화함으로써 필름이 배향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길이 방향의 연신 온도로서는 95℃ 이상 130℃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100℃ 이상 120℃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의 연신 온도로서는 100℃ 이상 1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축 연신 후의 열처리 온도로서는 [(폴리에스테르 B층의 융점)-10℃] 이상, [(폴리에스테르 B층의 융점)+30℃] 이하의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B층의 배향이 완화되어 리타데이션(Re)을 낮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타데이션(Re)을 낮게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2축 연신 시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연신 배향을 가능한 한 등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과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동 배율로 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중심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Re·C)과, 400㎜폭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Re·E)이 하기 (Ⅰ)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E/Re·C≤1.5···(Ⅰ)
(Ⅰ)식을 만족한다는 것은 필름 폭 방향의 리타데이션(Re)의 불균일이 작은 것을 나타내고, 액정 디스플레이에 실장했을 경우에 시야각에 따르는 착색이나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Ⅰ')식을 만족하고, (Ⅰ")식을 만족하면 가장 바람직하다.
Re·E/Re·C≤1.4···(Ⅰ')
0.8≤Re·E/Re·C≤1.3···(I")
(Ⅰ)식을 만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적층 필름 폭 방향 중심 및 400㎜폭에 있어서의 배향각의 차를 2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배향각이란 필름 위의 굴절률이 가장 커지는 방향을 가리키고, 실제로는 리타데이션과 마찬가지로 광학적 방법으로 계측되는 것이다. 적층 필름 폭 방향 중심 및 400㎜폭에 있어서의 배향각의 차를 20° 이하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폭 방향의 연신을 복수존으로 나누어서 단계적으로 승온하면서 연신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연신 전반 온도를 100℃ 이상 120℃ 이하, 연신 중반 온도를 105℃ 이상 130℃ 이하, 또한 연신 후반 온도를 110℃ 이상 150℃ 이하로 하고, 연신 전반 온도, 연신 중반 온도, 연신 후반 온도의 순으로 온도를 높게 해 가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온도 60℃, 습도 95%의 조건 하에 필름을 400시간 유지한 전후의 필름 헤이즈 차(Δ헤이즈)가 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온, 고습도 하에서 장시간 유지했을 때의 Δ헤이즈를 1% 미만으로 낮게 유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을 고온, 고습도 하에 노출해도 외관 변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온도 60℃, 습도 95%의 조건 하에 필름을 400시간 유지한 전후의 필름 헤이즈 차(Δ헤이즈)를 1% 미만으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환상 3량체량을 필름 전체를 100질량%로 하여 1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8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이즈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시적인 하한은 0%이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중심에 있어서,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이 2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이란 상기한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과 마찬가지로 Oji Scientific Instruments Co., Ltd.로부터 판매되어 있는 측정 장치로서, 광학적인 방법으로 리타데이션을 측정하는 위상차 측정 장치 KOBRA 시리즈로 계측된 값을 사용하여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의 값이다.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을 2000㎚ 이하로 낮게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이 탑재된 액정 디스플레이를 볼 때, 보는 각도에 의한 착색이나 휘도의 저하를 고정밀도로 억제할 수 있다.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은 1500㎚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고, 1㎚ 이상 1000㎚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을 2000㎚ 이하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필름면 내의 임의의 한방향을 방향 X,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을 방향 Y, 필름 두께 방향을 방향 Z로 하면 폴리에스테르 B층의 X와 Y의 굴절률의 평균값과, Z 방향의 굴절률의 차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축 배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2축 배향으로 할 경우, 필름면 내의 굴절률은 필름 두께 방향의 굴절률보다 대폭 커진다. 이 때문에, 2축 배향으로 하면서 필름면 내의 굴절률을 낮게 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필름면 내의 굴절률을 낮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B층이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를 60몰% 이상 90몰% 이하, 그 밖의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를 10몰% 초과, 40몰% 이하 함유하는 구성으로 하는 방법이나, 폴리에스테르 B층이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60몰% 이상 90몰% 이하, 그 밖의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10몰% 초과, 40몰% 이하 함유하는 구성으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는 90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는 90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B층의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 이외의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를 10몰%를 초과하여 함유함으로써 2축 배향 시의 필름면 내의 굴절률을 낮게 제어하기 쉬워진다. 마찬가지로, 폴리에스테르 B층의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10몰%를 초과하여 함유함으로써 2축 배향 시의 필름면 내의 굴절률을 낮게 제어하기 쉬워진다.
여기에서,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 이외의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로서는, 예를 들면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2,2-비스(4-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이소소르베이트, 스피로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이소소르베이트, 스피로글리콜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는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 이외에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 병용해도 좋다.
또한,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 아디프산, 수베르산, 세박산, 다이머산, 도데칸디온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와 그들의 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는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 이외에 1종만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 병용해도 좋고, 또는 히드록시벤조산 등의 옥시산 등을 일부 공중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보는 각도에 의한 착색이나 휘도의 저하의 고밀도 억제와, 내열성을 양립하기 위해서 필름의 중심에 있어서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이 2000㎚ 이하이며, 또한 필름면 내의 임의의 한방향을 방향 X,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을 방향 Y로 하면 95℃에 있어서의 필름 방향 X 및 방향 Y의 저장 탄성률이 각각 8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95℃에 있어서의 필름 방향 X 및 방향 Y의 저장 탄성률을 800㎫ 이상으로 함으로써 증착, 코팅, 라미네이트라는 가공 공정에서의 치수 안정성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의 내열성의 관점으로부터 95℃에 있어서의 필름 방향 X 및 방향 Y의 저장 탄성률은 각각 850㎫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900㎫ 이상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이 탑재된 액정 디스플레이를 볼 때, 보는 각도에 의한 착색이나 휘도의 저하를 고정밀도로 억제하고, 동시에 가공 공정에서의 치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름면에 대하여 50도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은 1㎚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5℃에 있어서의 필름 방향 X 및 방향 Y의 저장 탄성률은 900㎫ 이상 5000㎫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필름 중심에 있어서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을 2000㎚로 하고, 또한 95℃에 있어서의 상기 방향 X와 방향 Y의 저장 탄성률을 각각 800㎫ 이상으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B층에 사용하는 수지의 고유 점도를 0.7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B층의 조성으로서는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를 75몰% 이상 90몰% 미만, 그 밖의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를 10몰% 이상 25몰% 미만 함유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 또는 폴리에스테르 B층이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75몰% 이상 90몰% 미만, 그 밖의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10몰% 이상 25몰% 이하 함유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축 연신 후의 열처리 온도로서는 [(폴리에스테르 B층의 융점)-10℃] 이상, [(폴리에스테르 B층의 융점)+10℃] 이하의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A층에 사용하는 수지는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를 98몰% 이상 함유하고,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98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면 내의 임의의 한방향을 방향 X,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을 방향 Y, 필름 두께 방향을 방향 Z로 하면 폴리에스테르 B층의 X, Y, Z 방향의 굴절률의 평균값이 1.51 이상 1.5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X, Y, Z 방향의 굴절률의 평균값을 상기 범위와 같이 낮게 제어함으로써 필름면에 수직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의 절대값도 낮게 제어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인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탑재했을 때의 고품위 표시를 달성하기 쉬워진다.
폴리에스테르 B층의 X, Y, Z 방향의 굴절률의 평균값을 상기 범위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B층의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를 65몰% 이상 85몰% 미만,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이소소르베이트, 스피로글리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를 15몰% 이상 35몰% 미만 함유하는 방법이나, 폴리에스테르 B층이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65몰% 이상 85몰% 미만,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15몰% 이상 35몰% 미만 함유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B층의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를 65몰% 이상 85몰% 미만,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이소소르베이트, 스피로글리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를 15몰% 이상 35몰% 미만 함유하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편광자 보호 용도에 사용될 경우, 편광자에 접합할 때의 휘어짐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필름면 내의 임의의 한방향 X의 85℃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이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X 방향의 85℃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을 0.5% 이하로 함으로써 편광자에 접합할 때에 필름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필름이 수축하는 것이 억제되어 편광판의 휘어짐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 Y의 85℃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이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X 방향, Y 방향의 85℃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은 0.3%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고, 0.1%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휘어짐을 저감시키는 관점으로부터, 85℃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은 취급성의 관점으로부터 -0.5% 이상 0.1% 이하가 매우 바람직하다. X 방향, Y 방향의 85℃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을 0.5% 이하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B층의 적층되는 층수를 5층 이상 9층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 방향, 폭 방향으로 연신할 때의 예열 공정에 있어서 85℃의 조건 하에서 1초 이상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표가 되는 온도에서의 열 수축률을 낮게 하기 위해서 연신 전의 예열 공정에서 목표 온도에서의 필름의 변형을 제거하는 것이 유효하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A층이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에 위치하고, A층의 면배향 계수가 0.1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저리타데이션을 달성하면서 동시에 필름의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취급성이 향상된다. A층의 면배향 계수는 0.115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고, 0.12 이상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취급성, 제막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A층이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에 위치하고, A층의 면배향 계수가 0.16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A층의 면배향 계수를 상기 범위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A층이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를 95몰% 이상 100몰% 이하 함유하며, 또한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95몰% 이상 100몰%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면배향 계수는 나트륨 D선(파장 589㎚)을 광원으로 하고, 아베 굴절계를 사용하여 필름면 내의 임의의 한방향 X의 굴절률(nX)과,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 Y의 굴절률(nY), 두께 방향 Z의 굴절률(nZ)을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면배향 계수(fn)를 산출한다.
fn=(nX+nY)/2-nZ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B층을 갖기 때문에 X 방향, Y 방향, Z 방향 모두 복수의 굴절률이 관측된다. 이 때문에 관측된 굴절률 중에서 X 방향, Y 방향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값을 폴리에스테르 B층의 굴절률, 가장 높은 값을 폴리에스테르 A층의 굴절률로 하고, Z 방향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값을 폴리에스테르 A층의 굴절률, 가장 높은 값을 폴리에스테르 B층의 굴절률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A층의 층 두께의 총합/B층의 층 두께의 총합]이 0.1 이상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층 두께의 총합이란 적층 필름의 폭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잘라낸 단면에 있어서,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을 사용하여 적층 상태의 관찰을 실시하고, 동일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에 대해서 얻어진 층 두께를 모두 서로 합한 총합이다. A층의 층 두께의 총합에 대하여 A층의 층 두께의 총합/B층의 층 두께의 총합이 작을수록 리타데이션을 낮게 제어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A층의 층 두께의 총합/B층의 층 두께의 총합은 0.1 이상 0.5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0.1 이상 0.3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설비의 범용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A층/B층/A층의 3층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면에 수직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은 필름의 면 내에 있어서의 직교하는 2방향의 굴절률 차의 최대값과 필름 두께의 곱으로 산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리타데이션을 낮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필름 두께는 얇은 편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취급성, 저리타데이션 제어의 관점으로부터 두께가 5㎛ 이상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5㎛ 이상 45㎛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저리타데이션 제어와 강성을 양립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A층 1층당 두께가 3.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A층은 폴리에스테르 B층보다 융점이 높고,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를 95몰% 이상 100몰% 이하 함유하며, 또한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95몰% 이상 100몰%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B층과 비교해서 위상차가 생기기 쉽다. 이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A층의 두께는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A층의 1층당 두께는 3㎛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고, 1㎛ 이상 2.8㎛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폴리에스테르 A층을 복수 가질 경우에는 각 폴리에스테르 A층 1층당 두께를 3.2㎛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후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유기계 이활제, 안료, 염료, 유기 또는 무기의 미립자, 충전제, 대전 방지제, 핵제 등이 그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을 정도로 첨가해도 좋다.
(표면층)
또한, 상술한 과제에 추가해서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공정 안정화나 사용 환경에 있어서의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어도 한쪽 최표면에 하드코팅성, 자기 수복성, 방현성, 반사 방지성, 저반사성, 자외선 차폐성, 및 대전 방지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층(이러한 층을 「표면층」이라고도 칭한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최표면에 하드코팅성, 자기 수복성, 방현성, 반사 방지성, 저반사성, 및 대전 방지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층의 두께는 그 기능에 따라 다르지만, 바람직하게는 10㎚~30㎛의 범위이며, 50㎚~2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보다 얇으면 효과가 불충분해지고, 두꺼워지면 광학 성능 등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서 하드코팅성이란 표면의 경도를 높임으로써 스크래치가 생기기 어렵게 하는 기능이다. 그 기능으로서는 JIS K5600-5-4(1999)에 기재된 긁기 경도(연필법)에 의한 평가에서 바람직하게는 HB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H 이상이거나 #0000의 스틸울을 사용하여 200g/㎠, 10왕복의 조건에서 행하는 내스크래치성 시험(스틸울 내스크래치성 시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약한 스크래치가 5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래치가 생기지 않는 것이다.
여기에서 자기 수복성이란 탄성 회복 등에 의해 스크래치를 수복함으로써 스크래치가 생기기 어렵게 하는 기능이며, 그 기능으로서는 500g의 하중을 가한 놋쇠 브러시로 필름 표면을 스크래치를 냈을 때, 바람직하게는 3분 이내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1분 이내에서 스크래치가 회복하는 것이다.
방현성이란 표면에서의 광 산란에 의해 외광의 다중 반사를 억제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다. 그 기능으로서는 JIS K7136(2000)에 기재된 헤이즈를 구하는 방법에 의거하는 평가에서 2~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특히 바람직하게는 2~30%이다.
반사 방지성, 저반사성이란 광의 간섭 효과에 의해 표면에서의 반사율을 저감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다. 그 기능으로서는 반사율 분광 측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또한, 여기에서의 반사율이란 파장 550㎚에 있어서의 값을 가리킨다.
대전 방지성이란 표면으로부터의 박리나 표면으로의 찰과에 의해 발생한 마찰 전기를 누설시킴으로써 제거하는 기능이다. 그 기능의 목표로서는 JIS K6911(2006)에 기재된 표면 저항률이 바람직하게는 1011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Ω/□ 이하이다. 대전 방지성의 부여는 공지의 대전 방지제를 함유한 층 이외에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등의 도전성 고분자를 함유한 층으로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이하, 하드코팅성과 방현성의 부여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드코팅성을 부여하는 표면층(이하, 하드코팅층이라고 한다)에 사용되는 재료는 공지의 하드코팅층에 사용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건조, 열, 화학 반응 또는 전자선, 방사선, 자외선 중 어느 하나를 조사함으로써 중합 및/또는 반응하는 수지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성 수지로서는 멜라민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알코올계의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지만, 높은 표면 경도 또는 광학 설계를 얻는 점에서 전자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는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전자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는 아크릴 수지란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것이며,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레폴리머 및 반응성 희석제로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등의 단관능 모노머 및 다관능 모노머,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함유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선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우에는 상술한 수지 중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미힐러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밀옥심에스테르, 테트라메틸티오람모노술피드, 티오크산톤류나, 광 증감제로서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포스핀 등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첨가량은 전자선 자외선 경화형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막의 경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자외선 조사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에 의해 경화를 행할 경우 190~380㎚의 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에 의한 경화는, 예를 들면 메탈할라이드 램프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카본아크등, 블랙라이트 형광등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전자선원의 구체예로서는 코크로프트 월턴형, 밴더그래프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실록산계 열경화성 수지도 하드코팅층의 수지로서 유용하며, 산 또는 염기 촉매 하에 있어서 오르가노실란 화합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막두께는 0.5㎛~20㎛가 바람직하고, 1㎛~20㎛가 더 바람직하고, 1㎛~15㎛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방현성을 부여하는 표면층(이하, 방현층이라고 한다)에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상술한 전자선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와 마찬가지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의 수지로부터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역성이나 표면 경도 등의 물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전자선 또는 자외선으로 경화되지 않는 수지를 혼합할 수도 있다. 방현층에 사용할 수 있는 전자선 또는 자외선으로 경화되지 않는 수지로서는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방현층에 사용하는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 알루미나 입자, TiO2 입자 등의 무기 화합물의 입자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입자, 가교 아크릴 입자, 멜라민 입자, 가교 멜라민 입자, 폴리카보네이트 입자, 폴리염화비닐 입자, 벤조구아나민 입자, 가교 벤조구아나민 입자, 폴리스티렌 입자,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 등의 수지 입자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형상으로서는 표면 돌기 형상이 정렬되는 진구상 입자가 적합하게 사용되지만, 탈크, 벤토나이트 등의 층형상 무기 화합물 등의 부정형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2종 이상의 입자를 병용해서 사용해도 좋다. 소재종이 2종류 이상이어도 상이한 입도 분포를 갖는 입자가 2종류 이상 사용된 것이어도 좋고, 그 제한은 없다.
방현층에서 사용하는 입자의 입경은 0.5~10㎛이며, 0.5~5㎛가 보다 바람직하고, 0.5~3㎛가 더 바람직하고, 0.5~1.5㎛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자의 함유량은 방현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대하여 1~50질량%이며, 2~30질량%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방현층의 막두께는 0.5㎛~20㎛가 바람직하고, 1㎛~20㎛가 더 바람직하고, 1㎛~10㎛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현층으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평 6-1870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10-2010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22773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8636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8025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8121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20447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18189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19732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19733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215393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현층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층에는 상기 기재된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발명의 효과를 손실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성분을 포함해도 좋다. 기타 성분으로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무기 또는 유기 안료, 중합체, 중합 개시제, 중합 금지제, 산화 방지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광 안정제, 레벨링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촉매, 적외선 흡수제, 난연제, 소포제, 도전성 미립자, 도전성 수지 등을 첨가할 수 있다.
(편광자 보호 용도, 편광판)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편광자 보호 용도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을 갖고 이루어지는 편광판으로서, 적어도 한쪽 면의 편광자 보호 필름이 상기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다른쪽 표면에 사용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은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어도 좋고,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나 아크릴 필름, 노보넨계 필름으로 대표되는 복굴절이 없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편광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 등의 2색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자와 직접 또는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접합되지만, 접착성 향상의 점으로부터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접착시키는데에 바람직한 편광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재료를 염색·흡착시켜 붕산 수용액 중에서 1축 연신하고, 연신 상태를 유지한 채 세정·건조를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1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통상 4~8배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으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이 적합하며, 「KURARAY vinylon」[KURARAY CO., LTD.제], 「TOHCELLO vinylon」[Tohcello Co., Ltd.제], 「NIPPON GOHSEI vinylon」[The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제] 등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2색성 재료로서는 요오드, 디스아조 화합물, 폴리메틴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폭 방향에 있어서 리타데이션을 낮게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대화면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탑재했을 때에 간섭색을 나타내는 일이 없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터치 패널 용도)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터치 패널 용도에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 위에 하드코팅층이나 산화인듐주석(이후, ITO라고 칭한다) 등의 도전층이 설치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제공된다.
(제조 방법)
이어서, 본 발명의 필름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을 이하에 구체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해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 A층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A와,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B층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B를 각각 별도의 벤트식 2축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 압출한다. 이때, 압출기 내를 유통 질소 분위기 하에서 산소 농도를 0.7체적% 이하로 하고, 수지 온도를 265℃~295℃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필터나 기어 펌프를 통해 이물의 제거, 압출량의 균정(均整)화를 각각 행하고, T다이로부터 냉각 드럼 위에 시트형상으로 토출한다. 그때, 고전압을 가한 전극을 사용해서 정전기에 의해 냉각 드럼과 수지를 밀착시키는 정전 인가법, 캐스팅 드럼과 압출한 폴리머 시트 사이에 수막을 형성하는 캐스트법, 캐스팅 드럼 온도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점(유리 전이 온도)]~[(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점)-20℃]로 해서 압출한 폴리머를 점착시키는 방법, 또는 이들의 방법을 복수 조합한 방법에 의해 시트형상 폴리머를 캐스팅 드럼에 밀착시키고,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는다. 이들 캐스트법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경우에는 생산성이나 평면성의 관점으로부터 정전 인가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열성, 치수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2축 배향 필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축 배향 필름은 미연신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 폭 방향으로 연신하거나, 또는 폭 방향으로 연신한 후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차 2축 연신 방법에 의해, 또는 필름의 길이 방향, 폭 방향을 거의 동시에 연신해가는 동시 2축 연신 방법 등에 의해 연신을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연신 방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로서는 길이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2.8배 이상 3.5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 3.3배 이하가 채용된다. 또한, 연신 속도는 1,000%/분 이상 200,00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 방향의 연신 온도는 95℃ 이상 130℃ 이하가 바람직하고, 연신 전에 85℃에서 1초 이상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의 연신 배율로서는 바람직하게는 2.8배 이상 3.5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 3.5배 이하이며,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로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 방향의 연신 속도는 1,000%/분 이상 200,00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중심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Re)과, 400㎜폭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Re)의 불균일을 작게 하기 위해서 연신 전반 온도를 100℃ 이상 120℃ 이하, 연신 중반 온도를 105℃ 이상 130℃ 이하, 또한 연신 후반 온도를 110℃ 이상 150℃ 이하로 하고, 연신 전에 85℃에서 1초 이상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축 연신 후에 필름의 열처리를 행한다. 열처리는 오븐 중, 가열한 롤 위 등 종래 공지의 임의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열처리는 120℃ 이상 폴리에스테르의 결정 융해 피크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행해지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B층의 융점)-10℃] 이상, [(폴리에스테르 B층의 융점)+30℃] 이하이다. 여기에서 바람직한 열처리 온도란 2축 연신 후에 행하는 열처리 온도 중에서 가장 고온이 되는 온도를 나타낸다. 또한, 열처리 시간은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초 이상 60초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초 이상 40초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초 이상 30초 이하에서 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편광자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행하거나, 이접착층을 코팅시킬 수도 있다. 코팅층을 필름 제조 공정 내의 인라인으로 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적어도 1축 연신을 행한 필름 위에 코팅층 조성물을 물에 분산시킨 것을 메탈링 바나 그라비아 롤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하고, 연신을 실시하면서 도포제를 건조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그때 이접착층 두께로서는 0.01㎛ 이상 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접착층 중에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안료, 염료, 유기 또는 무기 입자, 대전 방지제, 핵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이접착층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접착성, 취급성의 점으로부터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40~200℃ 조건 하에서 오프어닐링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에서, 오프어닐링이란 한번 권취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다시 열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B층을 갖는 적층 구성이며, 중심 및 400㎜폭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이 모두 1000㎚ 이하이기 때문에 대화면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탑재했을 때에 간섭색을 나타내는 일이 없기 때문에 PVA 중에 요오드를 함유시켜 배향시켜서 작성된 PVA 시트(편광자)와 접합되어서 편광판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하드코팅성, 자기 수복성, 방현성, 반사 방지성, 저반사성, 또는 대전 방지성이라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최표면에 표면층을 적층할 경우에는 상술한 도료 조성물을 도포-건조-경화함으로써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에 의해 표면층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료 조성물을 딥 코팅법, 롤러 코팅법, 와이어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이나 다이 코팅법(미국 특허 제2681294호 명세서) 등에 의해 지지 기재에 도포함으로써 표면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도포 방식 중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다이 코팅법이 도포 방법으로서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지지 기재란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를 가리킨다.
이어서, 도포된 액막을 건조함으로써 완전히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서 건조 공정에서는 액막의 가열을 수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방법에 대해서는 전열 건조(고열 물체로의 밀착), 대류 전열(열풍), 복사 전열(적외선), 기타(마이크로파, 유도 가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정밀하게 폭 방향에서도 건조 속도를 균일하게 하는 필요로부터 대류 전열 또는 복사 전열을 사용한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 또는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한 추가적인 경화 조작(경화 공정)을 행해도 좋다. 경화 공정에 있어서, 열로 경화할 경우의 온도는 실온~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경화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의 관점으로부터는 100℃ 이상 2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30℃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할 경우에는 범용성의 점으로부터 전자선(EB선) 및/또는 자외선(UV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경화할 경우에는 산소 저해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산소 농도가 가능한 한 낮은 편이 바람직하고, 질소 분위기 하(질소 퍼지)에서 경화하는 편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소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최표면의 경화가 저해되어 표면의 경화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자외선을 조사할 때에 사용하는 자외선 램프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방전 램프 방식, 플래시 방식, 레이저 방식, 무전극 램프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방전 램프 방식인 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자외선 경화시킬 경우, 자외선의 조도가 100~3,000mW/㎠, 바람직하게는 200~2,000mW/㎠, 더 바람직하게는 300~1,500mW/㎠가 되는 조건에서 자외선 조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선의 적산 광량이 100~3,000mJ/㎠, 바람직하게 200~2,000mJ/㎠, 더 바람직하게는 300~1,500mJ/㎠가 되는 조건에서 자외선 조사를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자외선의 조도란 단위 면적당 받는 조사 강도를 말하고, 램프 출력, 발광 스펙트럼 효율, 발광 밸브의 직경, 반사경의 설계 및 피조사물과의 광원 거리에 따라 변화된다. 그러나, 반송 스피드에 의해 조도는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자외선 적산광량이란 단위 면적당 받는 조사 에너지이며, 그 표면에 도달하는 광양자의 총량이다. 적산광량은 광원 하를 통과하는 조사 속도에 반비례하고, 조사 횟수와 램프등 수에 비례한다.
(특성의 측정 방법 및 효과의 평가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의 특성의 측정 방법 및 효과의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에스테르의 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필름을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에 용해하고, 1H-NMR 및 13C-NMR을 사용하여 각 모노머 잔기 성분이나 부생 디에틸렌글리콜에 대해서 함유량을 정량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의 경우에는 적층 두께에 따라 필름의 각 층을 깎아냄으로써 각 층 단체를 구성하는 성분을 채취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나 비교예에 있어서는 필름 제조 시의 혼합 비율로부터 계산에 의해 조성을 산출했다.
(2) 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필름의 극한 점도는 폴리에스테르를 오쏘클로로페놀에 용해하고, 오스왈드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한다. 적층 필름의 경우에는 적층 두께에 따라 필름의 각 층을 깎아냄으로써 각 층 단체의 고유 점도를 평가할 수 있다.
(3) 필름 두께, 층 두께
필름을 에폭시 수지에 포매하고, 필름 단면을 마이크로톰으로 잘라낸다. 상기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Hitachi, Ltd.제 TEM H7100)으로 적절한 배율로 관찰하여 필름 두께 및 폴리에스테르층의 두께를 구한다(이하의 실시예나 비교예에 있어서는 5000배의 배율로 관찰했다).
(4) 융점
시차 주사 열량계(Seiko Instruments Inc제, RDC220)를 사용하여 JIS K7121-1987, JIS K7122-1987에 준거하여 측정 및 해석을 행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5㎎을 샘플로서 사용하여 25℃로부터 20℃/분으로 300℃까지 승온했을 때의 DSC 곡선으로부터 얻어진 흡열 피크의 정점의 온도를 융점으로 한다. 또한, 적층 필름의 경우에는 적층 두께에 따라 필름의 각 층을 깎아냄으로써 각 층 단체의 융점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B층을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에는 각 층의 융점을 측정하고, 융점이 높은 층을 폴리에스테르 A층, 낮은 쪽의 층을 폴리에스테르 B층으로 한다.
(5) 리타데이션·배향각
Oji Scientific Instruments Co., Ltd.제 위상차 측정 장치(KOBRA-21ADH)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5-1)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
필름 폭 방향이 본 측정 장치에서 정의되어 있는 각도 0°가 되도록 장치에 설치하고, 입사각 0°(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파장 590㎚의 리타데이션과 그 배향각을 측정한다.
(5-2)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
(5-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필름 샘플을 설치하고, 입사각 50°에 있어서의 파장 590㎚의 리타데이션(R 50°)과 그 배향각을 측정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나 비교예에 있어서의 측정 샘플은 하기와 같이 채취해서 사용했다.
·필름 폭 방향의 중심: 필름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3.5㎝×3.5㎝로 잘라냈다.
·400㎜폭: 필름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2방향으로 각각 165㎜폭 위치로부터 35㎜×35㎜로 잘라냈다. 또한, 샘플의 각각의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값을 400㎜폭의 값으로 했다.
·1000㎜폭: 필름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2방향으로 각각 465㎜폭 위치로부터 35㎜×35㎜로 잘라냈다. 또한, 샘플의 각각의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값을 1000㎜폭의 값으로 했다.
·1500㎜폭: 필름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2방향으로 각각 715㎜폭 위치로부터 35㎜×35㎜로 잘라냈다. 또한, 샘플의 각각의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값을 1500㎜폭의 값으로 했다. 또한, 필름 폭 방향의 중심(Re·C) 및 400㎜폭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Re·E)을 하기 식에 대입했다.
Re·E/Re·C
(6) 저장 탄성률
필름을 임의의 X 방향 길이 및 Y 방향으로 길이 60㎜×폭 5㎜의 직사각형으로 잘라내어 샘플로 했다.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Seiko Instruments Inc.제, DMS6100)를 사용하여 하기 조건 하에서 70℃에서의 저장 탄성률(E')을 구했다.
주파수: 10㎐, 시험 길이: 20㎜, 최소 하중: 약 100mN, 진폭: 10㎛,
측정 온도 범위: 30℃~150℃, 승온 속도: 5℃/분.
(7) 내습열 시험
온도 60℃, 습도 95%의 항온·항습조 중에 5㎝×5㎝의 필름 샘플을 투입하고, 400시간 유지하여 투입 전, 투입 후의 헤이즈를 JIS K 7105(1985년)에 의거하여 헤이즈 미터(Suga Test Instruments Co., Ltd.제 HGM-2GP)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측정은 임의의 3개소에서 행하고, 그 평균값을 채용한다.
(8) 굴절률, 면배향 계수
나트륨 D선(파장 589㎚)을 광원으로 하고, 아베 굴절계를 사용하여 필름면 내의 임의의 한방향 X의 굴절률(nX)과,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 Y의 굴절률(nY), 두께 방향 Z의 굴절률(nZ)을 측정한다. 또한, 얻어진 굴절률을 하기 식에 적용시켜 면배향 계수(fn)를 산출한다.
fn=(nX+nY)/2-nZ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B층을 갖기 때문에 X 방향, Y 방향, Z 방향 모두 복수의 굴절률이 관측된다. 이 때문에, 관측된 굴절률 중에서 X 방향, Y 방향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값을 폴리에스테르 B층의 굴절률, 가장 높은 값을 폴리에스테르 A층의 굴절률로 하고, Z 방향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값을 폴리에스테르 A층의 굴절률, 가장 높은 값을 폴리에스테르 B층의 굴절률로 한다.
(9) 85℃ 열 수축률
필름을 임의의 한방향 X 및 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Y에 각각 길이 150㎜×폭 10㎜의 직사각형으로 잘라낸 샘플로 한다. 샘플에 100㎜의 간격으로 표선을 긋고, 3g의 추를 매달아 85℃로 가열한 열풍 오븐 내에 30분간 설치하여 가열 처리를 행한다. 열처리 후의 표선 간 거리를 측정하고, 가열 전후의 표선 간 거리의 변화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열 수축률을 산출한다. 측정은 각 필름 모두 X 방향 및 Y 방향으로 5샘플 실시해서 평균값으로 평가를 행한다.
열 수축률(%)={(가열 처리 전의 표선 간 거리)- (가열 처리 후의 표선 간 거리)}/(가열 처리 전의 표선 간 거리)×100
(10) 시인성 테스트
PVA 중에 요오드를 흡착·배향시켜 작성한 편광도 99.9%의 편광자의 한쪽 면에 필름의 폭 방향 중앙 부분으로부터 폭 방향 2방향으로 각각 200㎜(필름폭 400㎜), 길이 방향으로 310㎜의 사이즈로 잘라낸 샘플에 85℃로 설정한 라미네이터 롤을 통과시켜 접합시켜서 테스트 피스로 한다. 작성한 테스트 피스와 필름을 부착하고 있지 않은 편광판을 크로스 니콜(cross nicol)의 배치로 포개고, 그것을 LED 광원(try Tech.제 A3-101) 상에 두었을 경우의 시인성을 확인한다.
A: 간섭색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B: 간섭색이 약간 보이지만 실용에 문제없다.
C: 간섭색이 명백히 보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11) 컬링성
(10)에서 얻어진 테스트 피스를 수평한 유리판 위에 두고, 유리판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의 네 모서리의 리프팅량을 측청하고, 상기 네 모서리의 리프팅량(높이) 중 최대의 높이(최대값)를 상기 테스트 피스의 컬링 높이로 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한다.
A: 컬링 높이가 5㎜ 미만.
B: 컬링 높이가 5㎜ 이상 7㎜ 미만.
C: 컬링 높이가 7㎜ 이상 10㎜ 미만.
D: 컬링 높이가 10㎜ 이상.
(12) 취급성
(10)에서 얻어진 테스트 피스의 관찰을 행하고, 편광자와 필름 사이에 에어의 맞물림에 의한 주름 발생 정도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한다.
A: 전혀 주름의 발생 없음.
B: 단부에 약간 주름이 보이지만, 실용에 문제없다.
C: 눈에 띄는 주름이 발생했다.
(13) 내열성
(10)과 마찬가지로 해서 PVA 중에 요오드를 흡착·배향시켜서 작성한 편광도 99.9%의 편광자의 한쪽 면에 필름의 폭 방향 중앙 부분으로부터 폭 방향 2방향으로 각각 200㎜(필름폭 400㎜), 길이 방향으로 310㎜의 사이즈로 잘라낸 샘플에 95℃에 설정한 라미네이터 롤을 통과시켜 접합하여 테스트 피스로 한다. 얻어진 테스트 피스의 관찰을 행하고, 편광자와 필름 사이에 에어의 맞물림에 의한 주름 발생 정도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한다.
A: 전혀 주름의 발생 없음.
B: 단부에 약간 주름이 보이지만, 실용에 문제없다.
C: 눈에 띄는 주름이 발생했다.
또한, 본 시험에 있어서의 라미네이트 조건은 엄격한 조건이며, C 평가에서도 용도에 따라서는 충분히 사용 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14) 연필 경도 시험
(10)에서 얻어진 테스트 피스에 대해서 JIS K5600-5-4(1999)에 기재된 긁기 경도(연필법)에 의한 평가를 행하고, HB 이상을 합격으로 한다.
(15) 스틸울 내스크래치성 시험
(10)에서 얻어진 테스트 피스에 대해서 러빙 테스터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마찰 테스트를 행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의 지표로 한다.
평가 환경 조건: 25℃, 60%RH
마찰재: 스틸울(Nippon Steel Wool Co., Ltd. 제, 그레이드 No.0000)
시료와 접촉하는 테스터의 마찰 선단부(1㎝×1㎝)에 권취하여 밴드 고정.
이동 거리(편도): 13㎝,
러빙 속도: 13㎝/초,
하중: 200g/㎠,
선단부 접촉 면적: 1㎝×1㎝, 마찰 횟수: 10왕복.
마찰이 종료된 시료의 안측에 유성 흑색 잉크를 칠하고, 마찰 부분의 스크래치를 반사광으로 육안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에서 평가했다. 평가는 상기 테스트를 3회 반복해서 각각을 하기 5단계로 평가하고, 그 점수를 평균했다. 3점 이상을 합격으로 한다.
5점: 0개
4점: 1개 이상 5개 미만
3점: 5개 이상 10개 미만
2점: 10개 이상 20개 미만
1점: 20개 이상
실시예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제막에 제공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이하와 같이 준비했다.
(폴리에스테르 A)
디카르복실산 성분(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으로서 테레프탈산(TPA) 성분(TPA 유래의 구조 단위)이 100몰%, 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 성분(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으로서 에틸렌글리콜(EG) 성분(EG 유래의 구조 단위)이 100몰%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고유 점도 0.65).
(폴리에스테르 B)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로서 테레프탈산(TPA) 유래의 구조 단위가 100몰%, 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로서 에틸렌글리콜(EG) 유래의 구조 단위가 80몰%,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CHDM) 성분(CHDM 유래의 구조 단위)이 20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고유 점도 0.75).
(폴리에스테르 C)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성분이 82.5몰%, 이소프탈산(IPA) 성분(IPA 유래의 구조 단위)이 17.5몰%,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성분이 100몰%인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고유 점도 0.7).
(폴리에스테르 D)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성분이 85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CHDC)(CHDC 유래의 구조 단위)이 15몰%,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성분이 88몰%, 스피로글리콜(SPG) 성분(SPG 유래의 구조 단위)이 12몰%인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스피로글리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고유 점도 0.7).
(폴리에스테르 E)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성분이 82.5몰%, 이소프탈산(IPA) 성분이 17.5몰%,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성분이 100몰%인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고유 점도 0.68).
(입자 마스터)
폴리에스테르 A 중에 수 평균 입자 지름 2.2㎛의 응집 실리카 입자를 입자 농도 2질량%로 함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입자 마스터(고유 점도 0.65).
(하드코팅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
하기 재료를 혼합하고,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해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40질량%의 하드코팅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을 얻었다.
톨루엔 30질량부
다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25질량부(DAICEL-ALLNEX LTD.제 KRM8655)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혼합물 25질량부(Nippon Kayaku Co., Ltd. PET30)
다관능 실리콘아크릴레이트 1질량부(DAICEL-ALLNEX LTD.제 EBECRYL1360)
광중합 개시제 3질량부(Ciba Specialty ChemicalsInc.제 IRGACURE184)
(방현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
하기 재료를 혼합하고,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해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40질량%의 방현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을 얻었다.
톨루엔 30질량부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50질량부(Nippon Kayaku Co., Ltd. PET30)
실리카 분산물(수 평균 입자 지름 1㎛) 12질량부
다관능 실리콘아크릴레이트 1질량부(DAICEL-ALLNEX LTD.제 EBECRYL1360)
광중합 개시제 3질량부(Ciba Specialty ChemicalsInc.제 IRGACURE184)
(실시예 1)
조성을 표와 같이 하여 원료를 각각 산소 농도를 0.2체적%로 한 각각의 벤트 동방향 2축 압출기에 공급했다. 즉, 폴리에스테르 A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수지)를 A층 압출기에 투입하고, 폴리에스테르 B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수지)를 B층 압출기에 투입했다. 또한, A층 압출기와 B층 압출기에는 벤트 동방향 2축 압출기를 사용했다. A층 압출기 실린더 온도를 280℃, B층 압출기 실린더 온도를 270℃에서 용융하고, A층과 B층 합류 후의 단관 온도를 275℃, 금구 온도를 280℃에서 T다이로부터 25℃로 온도 제어한 냉각 드럼 위에 시트형상으로 토출했다. 그때, 직경 0.1㎜의 와이어형상 전극을 사용해서 정전 인가하고, 냉각 드럼에 밀착시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길이 방향으로의 예열 온도 85℃에서 1.5초간 예열을 행하고, 연신 온도 115℃에서 길이 방향으로 3.3배 연신하고, 바로 40℃로 온도 제어한 금속 롤로 냉각화했다. 이어서, 텐터식 횡연신기로 예열 온도 85℃에서 1.5초 예열을 행하고, 연신 전반 온도 115℃, 연신 중반 온도 135℃, 연신 후반 온도 145℃에서 폭 방향으로 3.3배 연신하고, 그대로 텐터 내에서 열처리 온도 220℃에서 폭 방향으로 5%의 릴렉스를 가하면서, 즉 폭 방향으로 이완시키면서 열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열처리 온도를 230℃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조성을 표와 같이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길이 방향 예열 온도를 70℃, 폭 방향 예열 온도를 70℃, 열처리 온도를 220℃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조성을 표와 같이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
조성을 표와 같이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
필름 두께를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25㎛,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8)
필름 폭을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13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9)
필름 폭을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50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0)
조성을 표와 같이 하고, 원료를 각각 산소 농도를 0.2체적%로 한 각각의 벤트 동방향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A층 압출기 실린더 온도를 280℃, B층 압출기 실린더 온도를 270℃에서 용융하고, A층과 B층을 슬릿수 5개의 적층 장치에서 합류시켜서 합류 후의 단관 온도를 275℃, 구금 온도를 280℃에서 T다이로부터 25℃로 온도 제어한 냉각 드럼 위에 시트형상으로 토출했다. 그때, 직경 0.1㎜의 와이어형상 전극을 사용해서 정전 인가하고, 냉각 드럼에 밀착시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길이 방향으로의 예열 온도 85℃에서 1.5초간 예열을 행하고, 연신 온도 115℃에서 길이 방향으로 3.3배 연신하고, 바로 40℃로 온도 제어한 금속 롤로 냉각화했다. 이어서, 텐터식 횡연신기로 예열 온도 85℃에서 1.5초 예열을 행하고, 연신 전반 온도 115℃, 연신 중반 온도 135℃, 연신 후반 온도 145℃에서 폭 방향으로 3.3배 연신하고, 그대로 텐터 내에서 열처리 온도 230℃에서 폭 방향으로 5%의 릴렉스를 가하면서, 즉 폭 방향으로 이완시키면서 열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1)
조성을 표와 같이 하고, 원료를 각각 산소 농도 0.2체적%로 한 각각의 벤트 동방향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A층 압출기 실린더 온도를 280℃, B층 압출기 실린더 온도를 270℃에서 용융하고, A층과 B층을 슬릿수 9개의 적층 장치에서 합류시켜서 합류 후의 단관 온도를 275℃, 구금 온도를 280℃에서 T다이로부터 25℃로 온도 제어한 냉각 드럼 위에 시트형상으로 토출했다. 그때, 직경 0.1㎜의 와이어형상 전극을 사용해서 정전 인가하고, 냉각 드럼에 밀착시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길이 방향으로의 예열 온도 85℃에서 1.5초간 예열을 행하고, 연신 온도 115℃에서 길이 방향으로 3.3배 연신하고, 바로 40℃로 온도 제어한 금속 롤로 냉각화했다. 이어서, 텐터식 횡연신기로 예열 온도 85℃에서 1.5초 예열을 행하고, 연신 전반 온도 115℃, 연신 중반 온도 135℃, 연신 후반 온도 145℃에서 폭 방향으로 3.3배 연신하고, 그대로 텐터 내에서 열처리 온도 230℃에서 폭 방향으로 5%의 릴렉스를 가하면서, 즉 폭 방향으로 이완시키면서 열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2)
조성을 표와 같이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3)
열처리 온도를 240℃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32㎛, 필름 폭 13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4)
조성을 표와 같이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32㎛,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5)
조성을 표와 같이 변경하고, 길이 방향의 연신 온도 95℃, 폭 방향의 연신 전반 온도 95℃, 연신 중반 온도 95℃, 연신 후반 온도 95℃, 열처리 온도를 235℃로 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조성을 표와 같이 변경하고, 길이 방향의 연신 온도 95℃, 폭 방향의 연신 전반 온도 95℃, 연신 중반 온도 95℃, 연신 후반 온도 95℃로 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을 3배,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3.8배로 한 이외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155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필름 폭을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두께 40㎛, 필름 폭 200㎜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2, 7-2, 8-2, 11-2)
상술한 실시예 2, 7, 8, 11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상술한 하드코팅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5㎛가 되도록 유량을 제어해서 슬롯 다이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10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이어서, 하드코팅층을 도포한 필름에 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하드코팅층이 적층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3, 7-3, 8-3, 11-3)
상술한 실시예 2, 7, 8, 11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상술한 방현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을 슬롯 다이코터로 도포하고, 10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용제를 제거했다. 이어서, 방현층을 도포한 필름에 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두께 5㎛의 방현층이 적층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표 1-1]
Figure pct00001
[표 1-2]
Figure pct00002
[표 1-3]
Figure pct00003
[표 1-4]
Figure pct00004
[표 2-1]
Figure pct00005
[표 2-2]
Figure pct00006
[표 2-3]
Figure pct00007
[표 2-4]
Figure pct00008
[표 3-1]
Figure pct00009
[표 3-2]
Figure pct00010
[표 4-1]
Figure pct00011
[표 4-2]
Figure pct00012
[표 5-1]
Figure pct00013
[표 5-2]
Figure pct00014
[표 5-3]
Figure pct00015
[표 5-4]
Figure pct00016
[표 5-5]
Figure pct00017
[표 5-6]
Figure pct00018
또한, 표의 「수지」란에 있어서의 단위는 질량%이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B층을 갖는 적층 구성이며, 중심 및 400㎜폭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이 모두 1000㎚ 이하이기 때문에 대화면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탑재했을 때에 간섭색을 나타내는 일이 없기 때문에 PVA 중에 요오드를 함유시켜 배향시켜서 작성된 PVA 시트(편광자)와 접합되어서 편광판으로서 사용된다.
A : 적층 필름 B : 적층 필름의 폭 방향
C :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선)

Claims (17)

  1. 폴리에스테르 A층과 폴리에스테르 A층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B층을 갖는 10층 이하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 및 400㎜폭에 있어서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리타데이션(Re)이 모두 1000㎚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Re·C)과, 400㎜폭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Re·E)이 하기 (Ⅰ)식을 만족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Re·E/Re·C≤1.5···(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온도 60℃, 습도 95%의 조건 하에 필름을 400시간 유지한 전후의 필름 헤이즈 차(Δ헤이즈)가 1% 미만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에 있어서,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이 2000㎚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에 있어서,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이 2000㎚ 이하이며,
    필름면 내의 임의의 한방향을 방향 X,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을 방향 Y로 하면 95℃에 있어서의 필름 방향 X 및 방향 Y의 저장 탄성률은 각각 800㎫ 이상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면 내의 임의의 한방향을 방향 X,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을 방향 Y, 필름 두께 방향을 방향 Z로 하면 폴리에스테르 B층의 X, Y, Z 방향의 굴절률의 평균값은 1.51 이상 1.57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방향 X의 85℃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은 0.5%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방향 Y의 85℃에 있어서의 열 수축률은 0.5%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A층은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에 위치하고, A층의 면배향 계수가 0.16 미만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A층은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에 위치하고, A층의 면배향 계수가 0.11보다 큰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층/B층/A층의 3층 구성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층의 1층당 두께는 3.2㎛ 미만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B층은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 유래의 구조 단위를 60몰% 이상 90몰% 이하, 그 밖의 디올 유래의 구조 단위를 10몰% 초과, 40몰% 이하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B층은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60몰% 이상 90몰% 이하, 그 밖의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조 단위를 10몰% 초과, 40몰% 이하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중심에 있어서, 필름면에 대하여 50° 경사진 각도에 대한 리타데이션(R 50°)이 2000㎚ 이하이며, 필름면 내의 임의의 한방향을 방향 X,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을 방향 Y, 필름 두께 방향을 방향 Z로 하면 폴리에스테르 B층의 X, Y, Z 방향의 굴절률의 평균값은 1.51 이상 1.57 이하이며, A층/B층/A층의 3층 구성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최표면에 하드코팅성, 자기 수복성, 방현성, 반사 방지성, 저반사성, 및 대전 방지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7. 편광자의 양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을 갖고 이루어지는 편광판으로서,
    적어도 한쪽 면에 사용되는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편광판.
KR1020167004688A 2013-12-18 2014-12-04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KR102296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1176 2013-12-18
JPJP-P-2013-261176 2013-12-18
JPJP-P-2014-087063 2014-04-21
JP2014087063 2014-04-21
PCT/JP2014/082166 WO2015093307A1 (ja) 2013-12-18 2014-12-04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901A true KR20160100901A (ko) 2016-08-24
KR102296559B1 KR102296559B1 (ko) 2021-09-01

Family

ID=5340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688A KR102296559B1 (ko) 2013-12-18 2014-12-04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17561B2 (ko)
KR (1) KR102296559B1 (ko)
TW (1) TWI653136B (ko)
WO (1) WO20150933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6881A (ja) * 2017-02-06 2018-08-1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共重合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1400B2 (ja) * 2014-09-17 2018-07-25 東レ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液晶ディスプレイ
JP6808924B2 (ja) * 2015-09-28 2021-01-06 東レ株式会社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透明導電性フィルム
CN111443417B (zh) * 2016-03-31 2023-05-23 东洋纺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JP2018045135A (ja) * 2016-09-15 2018-03-22 凸版印刷株式会社 調光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調光装置並びにスクリーン
JP2018128503A (ja) * 2017-02-06 2018-08-1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7035330B2 (ja) * 2017-03-27 2022-03-1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7302687B2 (ja) * 2018-02-28 2023-07-0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210057011A (ko) * 2018-09-13 2021-05-20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9243A (ja) * 2006-04-04 2007-10-25 Fujifilm Corp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80002654A (ko) * 2006-06-29 2008-01-0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위상차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1110718A (ja) * 2009-11-24 2011-06-09 Toyobo Co Ltd 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2012220879A (ja) * 2011-04-13 2012-11-12 Toyobo Co Ltd 偏光子保護用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2013003408A (ja) * 2011-06-17 2013-01-07 Teijin Ltd 反射偏光フィルム、それからなる液晶表示装置用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3200435A (ja) 2012-03-26 2013-10-03 Mitsubishi Plastics Inc 偏光板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3210598A (ja) 2012-03-01 2013-10-10 Mitsubishi Plastics Inc 偏光板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5944A (ja) * 1989-11-15 1991-07-03 Toray Ind Inc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4006220B2 (ja) * 2001-11-02 2007-11-14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表面改質球状シリカ、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封止材用樹脂組成物
JP4634097B2 (ja) * 2004-08-30 2011-02-1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そ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JP2009042653A (ja) * 2007-08-10 2009-02-26 Mitsubishi Plastics Inc 偏光膜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145450A (ja) * 2007-12-12 2009-07-02 Toyobo Co Ltd 表面光拡散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197225A (ja) * 2010-03-18 2011-10-06 Toyobo Co Ltd 偏光板離型用マット調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82302B2 (ja) * 2011-06-17 2015-09-24 帝人株式会社 多層延伸フィルム
CN104024311B (zh) * 2011-12-28 2017-09-08 东丽株式会社 成型用双轴取向聚酯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9243A (ja) * 2006-04-04 2007-10-25 Fujifilm Corp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80002654A (ko) * 2006-06-29 2008-01-0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위상차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1110718A (ja) * 2009-11-24 2011-06-09 Toyobo Co Ltd 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2012220879A (ja) * 2011-04-13 2012-11-12 Toyobo Co Ltd 偏光子保護用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2013003408A (ja) * 2011-06-17 2013-01-07 Teijin Ltd 反射偏光フィルム、それからなる液晶表示装置用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3210598A (ja) 2012-03-01 2013-10-10 Mitsubishi Plastics Inc 偏光板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3200435A (ja) 2012-03-26 2013-10-03 Mitsubishi Plastics Inc 偏光板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6881A (ja) * 2017-02-06 2018-08-1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共重合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3307A1 (ja) 2015-06-25
TW201531396A (zh) 2015-08-16
JPWO2015093307A1 (ja) 2017-03-16
JP6617561B2 (ja) 2019-12-11
TWI653136B (zh) 2019-03-11
KR102296559B1 (ko)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8927B (zh) 光学用聚酯膜及使用了该光学用聚酯膜的偏振板
KR102296559B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TWI805838B (zh) 積層薄膜
JP2017067819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2015232120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透明導電性フィルム
WO2016080342A1 (ja) 積層フィルム
KR101834069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43822A (ko) 반사 방지용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WO2015170872A1 (ko) 보호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6808924B2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2016001305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2015215593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6815955B2 (ja) 積層体、偏光板、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2054571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4235233A (ja)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
JP6540211B2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透明導電性フィルム
TWI730966B (zh) 多層積層薄膜
JP6291830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2015232121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2016001304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透明導電性フィルム
KR20230161475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762312B1 (ko)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7067822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透明導電性フィルム
KR20240061648A (ko) 마이크로 led 화상 표시 장치
JP6688447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