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049A -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049A
KR20160093049A KR1020167017434A KR20167017434A KR20160093049A KR 20160093049 A KR20160093049 A KR 20160093049A KR 1020167017434 A KR1020167017434 A KR 1020167017434A KR 20167017434 A KR20167017434 A KR 20167017434A KR 20160093049 A KR20160093049 A KR 20160093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end side
roller
detecting memb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372B1 (ko
Inventor
도시유키 후쿠타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5Applications of security mo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7/00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21Conveyor, transfert l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는, 직선 모양 및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건축물에 설치된 레일(10, 1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무단 모양으로 연결되어 레일(10, 11)에 의해 안내되는 발판(13)과, 레일(10, 11)과 접하여 전동하도록 발판(13)에 장착된 롤러(15)를 가지는 승객 컨베이어에 마련되며, 일단측(27a)과 타단측(27b)을 가지며, 일단측(27a)과 타단측(27b)과의 중간을 통과함과 아울러 롤러(15)의 전동의 중심축(15a) 방향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직선 모양의 레일(11)의 상면을 전동하는 롤러(15)의 외주면(15b)에 일단측(27a)이 접촉 가능하게 직선 모양의 레일(11)의 상부에 배치된 검출 부재(27)와, 일단측(27a)의 하부의 직선 모양의 레일(11)의 쪽으로 일단측(27a)이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가압에 의한 검출 부재(27)의 회전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도록 마련된 스위치(31)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MISSING STEP DETECTION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본 발명은,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에 관하며, 특히 발판이 빠져, 발판의 개구부가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객 컨베이어에서는, 복수의 발판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무단(無端) 모양으로 연결하고, 레일에 의해 안내하면서 순환 구동하고 있다. 통상의 운전시에는, 승객이 타는 부분에서 서로 이웃하는 발판끼리의 간극을 채운 상태로 연속하도록 구동하고 있다. 그러나, 발판이 레일로부터 탈락하거나, 보수할 때에 일부의 발판을 떼어 내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의 경우는, 승객이 타는 부분에서 1개 또는 복수분(分)의 발판이 빠진 상태가 되어, 서로 이웃하는 발판끼리의 사이가 넓은 공간이 되는 발판의 개구부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판이 빠져, 발판의 개구부가 발생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가 있다. 이 검출 장치에서는, 타는 곳 쪽으로 향하여 이동하고 있는 발판의 하부에 검출 부재를 마련하고, 검출 부재에 장착한 롤러를 발판에 탄성 접촉시키고 있다. 그리고, 발판의 개구부가 있는 경우에는, 검출 부재가 소정의 각도를 넘어 요동(搖動)하는 것에 의해 검출 스위치를 누르고, 검출 스위치가 출력한 신호를 받는 운전 제어 장치가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발판의 개구부가 타는 곳에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2-184104호 공보(도 9)
그런데, 이동해 가는 발판의 검출 부재에 대향하고 있는 부분은 요철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요철 모양으로 된 발판에 검출 부재를 탄성 접촉시키기 위해서, 검출 부재에 롤러를 장착하고, 이 롤러를 매개로 하여 발판에 탄성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부품수가 많은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 조립 및 보수에 시간이 들고, 또, 롤러의 파손에 의해 부품 교환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간이한 구조로 발판의 개구부를 검출하고 조립 및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는, 직선 모양 및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건축물에 설치된 레일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무단(無端) 모양으로 연결되어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발판과, 레일과 접하여 전동(轉動)하도록 발판에 장착된 롤러를 가지는 승객 컨베이어에 마련된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로서, 일단측과 타단측을 가지며,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중간을 통과함과 아울러 롤러의 전동의 중심축(中心軸) 방향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직선 모양의 레일의 상면을 전동하는 롤러의 외주면에 일단측이 접촉 가능하게 직선 모양의 레일의 상부에 배치된 검출 부재와, 일단측의 하부의 직선 모양의 레일 쪽으로 일단측이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가압에 의한 검출 부재의 회전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도록 마련된 스위치를 구비한 것이다.
가압 수단은, 일단측의 하부의 직선 모양의 레일 쪽으로 일단측이 회전하도록 가압하고 있다. 일단측의 하부의 직선 모양의 레일의 상면을 전동하고 있는 롤러의 외주면과 일단측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일단측은 하부의 레일 쪽으로 회전할 수 없다. 롤러가 직선 모양의 레일의 상면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동하고 있을 때에는, 일단측이 순차적으로 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일단측은 하부의 레일 쪽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롤러는 원통형을 하고 있어 전동해도 외주면의 형상은 항상 동일한 곡면 형상이다. 또, 롤러는 직선 모양의 레일과 접하여 전동하면서 직선 모양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된 일단측은, 각각의 롤러의 동일한 곡면 형상의 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일단측과 롤러와는 원활히 접촉할 수 있다.
롤러가 직선 모양의 레일의 상면을 일정한 간격 보다도 긴 간격을 두고 전동하고 있을 때에는, 일단측과 접촉하고 있던 롤러가 지나치면 다음의 롤러는 일정한 간격으로는 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단측은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게 되고, 일단측은 가압 수단에 의해 하부의 레일 쪽으로 회전하여, 회전에 따라 스위치가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로 발판의 개구부를 검출하고 조립 및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발판의 개구부가 없을 때의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발판의 개구부가 있을 때의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보수시의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보수시의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3에 의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승객을 옮기기 위해서 통상의 운전을 행하고 있으며 발판의 개구부가 없을 때의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승객을 옮기기 위해서 운전을 행하고 있으며 발판의 개구부가 있을 때의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에서, 에스컬레이터(1)는 상층과 하층에 각각 마련된 건축물의 빔(2)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프레임 구조체(3)를 구비하고 있다. 상층 및 하층 각각의 프레임 구조체(3)의 단부에 타는 곳(4) 및 내리는 곳(5)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예를 들면 오름 운전의 경우로서 하층측을 타는 곳(4)으로 하고, 상층측을 내리는 곳(5)으로 하고 있지만, 운전 방향을 역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내림 운전으로 하면 상층측이 타는 곳이 되고, 하층측이 내리는 곳이 된다.
타는 곳(4) 및 내리는 곳(5)에서 프레임 구조체(3)의 상측에는 승강 바닥(7)이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 구조체(3)의 내측에는 레일(8)이 설치되어 프레임 구조체(3)에 고정되어 있다. 레일(8)은 프레임 구조체(3)의 내측을 따라서 상측에 왕로(往路) 레일(10)이 설치되고, 프레임 구조체(3)의 내측을 따라서 하측, 즉, 왕로 레일(10)의 하부에는 귀로(歸路) 레일(11)이 설치되어 있다. 왕로 레일(10) 및 귀로 레일(11)은, 에스컬레이터(1)의 운전 방향을 따라서, 직선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과 곡선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왕로 레일(10) 및 귀로 레일(11)은, 승강 바닥(7)의 근처에서는 소정의 거리만큼 수평하게 직선 모양으로 설치되고, 다음의 층인 상층 또는 하층으로 향하는 위치에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설치되며, 상층과 하층과의 사이에서는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바닥(7)의 하부에서 구부러지도록 곡선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왕로 레일(10) 및 귀로 레일(11)을 따라서 복수의 발판(13)이 무단(無端) 모양의 고리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다. 에스컬레이터(1)를 측면으로부터 보면 발판(13)은 상하 방향으로 고리 모양이 되고, 승강 바닥(7)의 하부에서 구부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발판(13)은, 승객을 옮기는 통상의 운전시에는, 승객이 타는 부분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발판(13)끼리의 간극을 채운 상태로 연속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다. 발판(13)에는 원통형의 롤러(15)가, 중심축(中心軸)(15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롤러(15)가 왕로 레일(10) 또는 귀로 레일(11)의 주행면(走行面)(11a)을 중심축(15a)을 중심으로 하여 전동(轉動)하는 것에 의해 발판(13)은 왕로 레일(10) 또는 귀로 레일(11)에 의해 안내되면서 순환 구동된다. 발판(13)은 상층과 하층과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고리 모양이 되어 순환 구동된다.
발판(13)은 승강 바닥(7)의 근처에서는 소정의 거리만큼 수평으로 이동한 후, 곡선 모양으로 이동하여 다음의 층인 상층 또는 하층으로 향하도록 이동하고, 다음에 상층 또는 하층으로 향할 때에는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직선 모양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승강 바닥(7)의 하부에서 상하 반전하여 구부러진다.
프레임 구조체(3)의 상층측의 내측에는 기계실(17)이 마련되고, 구동 장치(19) 및 제어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발판(13)은 구동 장치(19)에 의해 구동된다. 제어 장치(21)가 구동 장치(19)를 제어하여, 구동 장치(19)가 발판(13)을 구동하거나 정지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에스컬레이터(1)의 운전, 정지가 행하여진다. 발판(13)의 개구부(23)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 장치(21)로 보내어져 오면, 제어 장치(21)는 구동 장치(19)를 제어하여 에스컬레이터(1)의 운전을 정지한다.
승강 바닥(7)의 근처에서 수평인 직선 모양으로 형성된 귀로 레일(11)의 상부에 발판(13)의 개구부(23)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25)가 마련되어 있다. 검출 장치(25)는, 상층측과 하층측 각각에 마련되어 있다. 검출 장치(25)에는, 곧은 막대 모양의 검출 부재(27)가 마련되어 있다. 검출 부재(27)는 수평인 직선 모양으로 형성된 귀로 레일(11)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고, 이 직선 모양으로 형성된 귀로 레일(11)의 주행면(11a)인 상면에 접하여 전동하면서 직선 모양으로 이동하여 가는 롤러(15)보다도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검출 부재(27)는, 일단측(27a)과 타단측(27b)의 중간을 통과하고, 검출 부재(27)의 중심(重心) 보다도 타단측(27b)의 단부(27c)에 가까운 위치에서 검출 부재(27)를 관통하는 축(2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검출 부재(27)는 축(29)의 축심(軸心)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고, 일단측(27a)과 타단측(27b)은 시소(seesaw) 모양으로 교호(交互)로 하부의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에 가까워질 수 있다. 일단측(27a)이 귀로 레일(11)에 가까워지면 타단측(27b)은 올라가 귀로 레일(11)로부터 멀어지고, 일단측(27a)이 귀로 레일(11)로부터 멀어지면 타단측(27b)은 내려가 귀로 레일(11)에 가까워진다.
축(29)은, 롤러(15)의 중심축(15a)과 평행하게 됨과 아울러, 귀로 레일(11)의 상면을 전동하고 있는 롤러(15)가, 검출 부재(27)와 귀로 레일(11)과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높이에, 장착구(도시하지 않음)를 매개로 하여 프레임 구조체(3)에 고정되어 있다.
검출 부재(27)는, 검출 부재(27)와 검출 부재(27)의 하부의 귀로 레일(11)과의 사이를 통과하고 있는 롤러(15)의 외주면(15b)에 일단측(27a)을 접촉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검출 부재(27)는 수평한 직선 모양으로 형성된 귀로 레일(11)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검출 부재(27)와 검출 부재(27)의 하부의 귀로 레일(11)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롤러(15)도 직선 모양으로 이동해 간다.
검출 부재(27)는 중심(重心) 보다도 타단측(27b)의 단부(27c)에 가까운 위치에서 축(29)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축(29)보다도 일단측(27a)의 부분의 무게가 축(29)보다도 타단측(27b)의 부분의 무게 보다도 무겁다. 이 때문에, 검출 부재(27)의 일단측(27a)에는, 검출 부재(27)의 하부의 귀로 레일(11)에 가까워지려고 하는 하향력이 작용하고, 타단측(27b)에는 귀로 레일(11)로부터 멀어지려고 하는 상향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검출 부재(27)의 일단측(27a)과 검출 부재(27)의 하부의 귀로 레일(11)과의 사이를 통과하고 있는 롤러(15)의 외주면(15b)에 접촉하는 쪽으로 검출 부재(27)의 일단측(27a)은 가압되어 있다. 즉, 검출 부재(27)의 일단측(27a)은, 자중(自重)의 편향에 따르는 힘에 의해 하부를 전동하는 각 롤러(15)의 외주면(15b)에 접촉하고 있다.
에스컬레이터(1)의 오름, 내림의 운전 방향에 의해서 롤러(15)는 검출 부재(27)의 일단측(27a)으로부터 타단측(27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타단측(27b)으로부터 일단측(27a)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예를 들면 오름 운전의 경우라고 하면, 롤러(15)는 검출 부재(27)의 일단측(27a)으로부터 타단측(27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운전 방향을 역전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내림 운전으로 하면 롤러(15)는 타단측(27b)으로부터 일단측(27a)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롤러(15)는 일단측(27a)과는 미끄러지면서 직선 모양으로 이동한다.
검출 부재(27)의 타단측(27b)의 상부에는, 발판(13)의 개구부(23)를 검출했을 때에 제어 장치(21)로 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치(31)가 마련되어 있다. 검출 부재(27)의 타단측(27b)이 스위치(31)의 버튼(31a)을 압입하면 신호를 송신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31)에는, 유지 기구로서의 래치(latch) 기구(31b)가 마련되어 있고, 한번 버튼(31a)이 압입되면 신호의 송신이 계속하여 행하여진다.
검출 부재(27)의 일단측(27a)과 검출 부재(27)의 하부의 귀로 레일(11)과의 사이를 롤러(15)가 통과하고 있을 때에는, 일단측(27a)은 롤러(15)의 외주면(15b)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 롤러(15)가 검출 부재(27)의 하부를 지나쳐 가면 일단부는 하부의 귀로 레일(1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상기 롤러(15)의 다음의 롤러(15)가 통상 운전시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동해 올 때에는, 이 다음의 롤러(15)가 회전하려고 하고 있는 일단측(27a)의 하부로 와서, 일단측(27a)은 이 다음의 롤러(15)의 외주면(15b)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일단측(27a)과 그 하부의 귀로 레일(11)과의 거리는,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검출 부재(27)와 축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유지되어 있을 때, 타단측(27b)에 의해서 버튼(31a)이 압입되지 않은 위치에 스위치(31)는 배치되어 있다.
검출 부재(27)의 일단측(27a)과 검출 부재(27)의 하부의 귀로 레일(11)과의 사이를 롤러(15)가 지나쳐 갈 때에, 상기 롤러(15)의 다음의 롤러(15)가 일정한 간격 보다도 긴 간격을 두고 전동해 오면, 일단측(27a)은 하부의 귀로 레일(1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일단측(27a)과 그 하부의 귀로 레일(11)과의 거리는, 소정의 거리 보다도 가까워지도록 검출 부재(27)와 축(29)은 마련되어 있다. 이 때, 타단측(27b)에 의해서 버튼(31a)이 압입되어 제어 장치(21)로 신호가 송신되는 위치에 스위치(31)는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검출 장치(25)에서는, 일단측(27a)은, 자중의 편향에 따르는 힘에 의해 하부의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 쪽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일단측(27a)의 하부의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의 상면을 롤러(15)가 전동하면서 직선 모양으로 이동할 때에는, 일단측(27a)과 롤러(15)의 외주면(15b)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일단측(27a)은 하부의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 쪽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롤러(15)가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의 상면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동하고 있을 때에는, 일단측(27a)이 순차적으로 롤러(15)의 외주면(15b)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일단측(27b)은 하부의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 쪽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검출 부재(27)는, 곧은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단측(27a)과 타단측(27b)은, 하부의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과 거의 평행한 자세로 유지된다. 롤러(15)는, 거의 평행하게 된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과 일단측(27a)과의 사이를 귀로 레일(11)을 따르는 것과 아울러 외주면(15b)이 일단측(27a)과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일단측(27a)과 그 하부의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과의 거리는,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유지되어, 스위치(31)의 버튼(31a)은 압입되지 않는다.
롤러(15)는 원통형을 하고 있으므로, 전동해도 외주면(15b)의 형상은 항상 동일한 곡면 형상이다. 또, 롤러(15)는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과 접하여 전동하면서 직선 모양으로 이동한다. 일단측(27a)은, 하부의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과 거의 평행한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각각의 롤러(15)의 동일한 곡면 형상의 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일단측(27b)과 롤러(15)는 원활히 접촉할 수 있다.
발판(13)의 개구부(23)가 있을 때에는, 발판(13)과 함께 롤러(15)가 통상 운전시의 일정한 간격 보다도 긴 간격을 두고 귀로 레일(11)의 상면을 전동한다. 이 때에는, 일단측(27b)과 접촉하고 있었던 롤러(15)가 지나치면 다음의 롤러(15)는 일정한 간격 보다도 긴 간격을 두고 온다. 롤러(15)의 외주면(15b)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하부의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과 거의 평행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었던 일단측(27a)은, 다음에 접촉하는 롤러(15)가 오지 않게 되면, 하부의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일단측(27a)과 그 하부의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과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보다도 가까워지면, 타단측(27b)에 의해서 스위치(31)의 버튼(31a)이 압입되어 제어 장치(21)로 신호가 송신된다. 제어 장치(21)는 이 신호를 받아 구동 장치(19)에 의한 발판(13)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간이한 구조로 발판(13)의 개구부(23)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25)의 조립 및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검출 장치(25)는 귀로 레일(11)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왕로측의 발판(13)을 떼어 내는 것만으로 검출 장치(25)의 보수를 할 수 있어, 보수 작업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검출 부재(27)를 직접의 검출 대상인 롤러(15)의 상부에 마련하고, 롤러(15)의 중심축(15a) 방향에 평행한 축(29)에 의해 검출 부재(27)의 중심(重心) 보다도 타단측(27b)에 가까운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자중의 편향에 따르는 힘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므로, 검출 장치(25)로서의 신뢰성이 높다.
또, 도 1에서는, 검출 부재(27)의 일단측(27a)이 상층측을 향하고, 타단측(27b)이 하층측을 향하도록 검출 장치(25)를 배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일단측(27a)이 하층측을 향하고, 타단측(27b)이 상층측을 향하도록 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검출 부재(27)는 곧은 막대 모양의 경우로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 부재(127)의 일단측(127a)이 검출 부재(127)의 하부의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에 대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로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와 동일 부호의 구성품은, 본 실시 형태에서 동일 부분을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보수시에 일부의 발판(13)을 떼어 개구부(23)가 발생하고 있을 때의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와 도 5에서는, 운전 방향이 역전하고 있어, 발판(13)의 이동하는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
도 4, 도 5에서, 예를 들면 보수를 위해서 1개의 발판(13)이 떼어내어져, 서로 이웃하는 발판(13)끼리의 사이에 개구부(23)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롤러(15)가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의 상면을 전동하고 있다.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의 상부에 검출 부재(127)가 마련되어 있다. 막대 모양의 검출 부재(127)의 일단측(127a)은, 하부의 귀로 레일(11)에 대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검출 부재(127)는 중심(重心) 보다도 타단측(127b)의 단부(127c)에 가까운 위치에서 축(129)에 의해 지지되며, 축(129)의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일단측(127a)의 하부에 개구부(23)가 있고, 일단측(127a)이 하부의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에 가까워진 상태에서는, 일단측(127a)의 선단부(127d)와 귀로 레일(11)은 예각을 이루며, 귀로 레일(11)의 상면인 주행면(11a)을 전동하고 있는 롤러(15)를 선단부(127d)와 귀로 레일(11)과의 사이에 끼울 수 있다.
검출 부재(127)의 타단측(127b)의 상부에 마련된 스위치(31)와 제어 장치(21)와의 사이에는 신호 무효화 수단으로서의 중계부(中繼部)(133)가 마련되어 있다. 발판(13)의 개구부(23)가 검출되어 일단측(127a)이 하부의 귀로 레일(11)에 소정의 거리 보다도 가까워지면, 검출 부재(127)의 타단측(127b)이 스위치(31)의 버튼(31a)을 압입한다. 스위치(31)에는 래치 기구(31b)가 마련되어 있고, 한번 버튼(31a)이 압입되면 스위치(31)는 중계부(133)로의 신호의 송신을 계속한다. 중계부(133)에서는, 스위치(31)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신호를 그대로 제어 장치(21)로 보내던지, 또는, 신호를 차단하여 제어 장치(21)로는 보내지 않도록 하던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 도 5에서, 예를 들면 보수를 위해서 일부의 발판(13)을 떼어내고 운전하기 위해서, 중계부(133)에서 신호를 차단하도록 설정해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검출 장치(125)에서는, 검출 부재(127)의 일단측(127a)의 하부에 발판(13)의 개구부(23)가 오면, 일단측(127a)은 하부의 귀로 레일(11)에 소정의 거리 보다도 가까워지고, 타단측(127b)에 의해서 스위치(31)의 버튼(31a)이 압입되어 신호가 중계부(133)로 송신된다. 래치 기구(31b)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스위치(31)는 중계부(133)로의 신호의 송신을 계속한다. 신호는 중계부(133)에 의해 차단되어 제어 장치(21)로는 보내지지 않으므로, 발판(13)은 계속하여 이동해 간다.
도 4에서는, 발판(13)은 일단측(127a)으로부터 타단측(127b)으로 이동한다. 일단측(127a)의 하부를 개구부(23)가 지나침에 따라서, 다음의 발판(13)의 롤러(15)가 선단부(127d)를 향해 이동해 온다. 검출 부재(127)의 위치까지 이동해 온 롤러(15)는, 외주면(15b)이 선단부(127d)와 접촉하고, 선단부(127d)와 귀로 레일(11)과의 사이에 유도되어 끼워진다. 게다가 롤러(15)가 이동해 가면, 롤러(15)가 선단부(127d)를 밀어 올려, 일단측(127a)은 귀로 레일(11)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롤러(15)는, 검출 부재(127)와 귀로 레일(11)과의 사이를 원활히 통과하여 갈 수 있다.
도 5에서는, 발판(13)은 타단측(127b)으로부터 일단측(127a)쪽으로 이동한다. 일단측(127a)의 하부를 개구부(23)가 지나침에 따라서, 다음의 발판(13)의 롤러(15)가 타단측(127b)을 향해 이동해 온다. 검출 부재(127)는 일단측(127a)이 하부의 귀로 레일(11)에 소정의 거리 보다도 가까워지고, 타단측(127b)이 상측의 버튼(31a)을 압입하는 위치까지 올라가 있다. 검출 부재(127)의 위치까지 이동해 온 롤러(15)는, 타단측(127b)과 귀로 레일(11)과의 사이로 들어 간다. 게다가 롤러(15)가 이동해 가면 롤러(15)는 검출 부재(127)의 일단측(127a)과 접촉한다. 롤러(15)는 일단측(127a)을 밀어 올려, 일단측(127a)은 귀로 레일(11)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롤러(15)는, 검출 부재(127)와 귀로 레일(11)과의 사이를 원활히 통과하여 갈 수 있다.
이러한 검출 장치(125)에서는, 스위치(3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그대로 제어 장치(21)로 보내던지, 또는, 신호를 차단하여 제어 장치(21)로는 보내지 않던지를 설정할 수 있는 중계부(13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보수할 때에 일부의 발판(13)을 떼어내어 개구부(23)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발판(13)을 계속하여 구동할 수 있다. 또, 검출 부재(127)의 일단측(127a)은, 하부의 귀로 레일(11)에 대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구부(23)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판(13)을 계속하여 구동하여, 검출 부재(127)가 하부의 귀로 레일(11)에 소정의 거리 보다도 가까워지고 있는 상태에서, 롤러(15)가 일단측(127a)과 타단측(127b) 중 어느 측으로부터 이동해 와도, 롤러(15)는 검출 부재(127)와 귀로 레일(11)과의 사이를 원활히 통과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 2에서는, 검출 장치(25, 125)를 수평한 직선 모양의 귀로 레일(11)의 상부에 마련한 경우로 설명했지만, 검출 부재(27, 127)와 직선 모양으로 형성된 레일(8)과의 사이를 롤러(15)가 통과하는 장소이면 검출 장치(25, 125)를 마련할 수 있고, 레일(8)이 경사져 있는 장소나, 왕로 레일(10)의 상부의 장소에 마련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실시 형태 1, 2에서는, 검출 부재(27, 127)는, 중심(重心) 보다도 타단측(27b, 127b)의 단부(27c, 127c)에 가까운 위치에서 축(29, 129)에 의해 지지하는 경우로 설명했지만, 일단측(27a, 127a)을 하부의 레일(8) 쪽으로 가압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타단측(27b, 127b)에 스프링을 마련해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검출 장치(25, 125)를 상층측과 하층측 각각에 마련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1개소만 마련하거나, 3개소 이상으로 마련하거나 해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1, 2에서는, 신호가 송신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로서 스위치(31)에 래치 기구(31b)를 마련했지만, 예를 들면, 타단측(27b, 127b)과 스위치와의 사이에 캠을 마련하고, 타단측(27b, 127b)이 캠을 회전시켜 스위치를 압입하여, 캠에 의해 스위치를 압입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개구부(23)를 검출한 신호를 받아도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하지 않은 신호 무효화 수단으로서, 스위치(31)와 제어 장치(21)와의 사이에 중계부(133)를 마련했지만, 신호를 무효화하는 수단을 제어 장치(21)와 일체로 마련해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일단측(127a)으로 향하여 이동해 오는 롤러(15)를 일단측(127a)의 선단부(127d)와 귀로 레일(11)과의 사이로 유도하기 위해서, 일단측(127a)을 귀로 레일(11)에 대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했지만, 일단측(127a)의 형상은 매끄러운 U자 형상이라도 좋고, 일단측(127a)을 향해 이동해 오는 롤러(15)의 외주면(15b)에 타고 오르는 돌기를 일단측(127a)에 마련해도 괜찮다.

Claims (6)

  1. 직선 모양 및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건축물에 설치된 레일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무단(無端) 모양으로 연결되어 상기 레일에 안내되는 발판과, 상기 레일과 접하여 전동(轉動)하도록 상기 발판에 장착된 롤러를 가지는 승객 컨베이어에 마련된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로서,
    일단측과 타단측을 가지며, 상기 일단측과 상기 타단측과의 중간을 통과함과 아울러 상기 롤러의 상기 전동의 중심축(中心軸) 방향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직선 모양의 상기 레일의 상면을 상기 전동하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상기 일단측이 접촉 가능하게 상기 직선 모양의 상기 레일의 상부에 배치된 검출 부재와,
    상기 일단측의 하부의 상기 직선 모양의 상기 레일 쪽으로 상기 일단측이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가압에 의한 상기 검출 부재의 회전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도록 마련된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검출 부재의 중심(重心) 보다도 상기 타단측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검출 부재가 상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상기 송신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상기 스위치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상기 신호를 무효로 하는 신호 무효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상기 무효로 됨과 아울러 상기 발판이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순환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일단측으로 향하여 이동해 온 상기 롤러를 상기 검출 부재와 상기 레일과의 사이로 유도하는 형상으로 상기 일단측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상기 전동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일단측을 보면, 상기 일단측은 상기 검출 부재의 하부의 상기 레일에 대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
KR1020167017434A 2014-01-06 2014-01-06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 KR101892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00001 WO2015102031A1 (ja) 2014-01-06 2014-01-06 乗客コンベア用踏段欠落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049A true KR20160093049A (ko) 2016-08-05
KR101892372B1 KR101892372B1 (ko) 2018-08-27

Family

ID=5349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434A KR101892372B1 (ko) 2014-01-06 2014-01-06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30808B2 (ko)
JP (1) JP6079902B2 (ko)
KR (1) KR101892372B1 (ko)
CN (1) CN105873847B (ko)
DE (1) DE112014006110B4 (ko)
WO (1) WO2015102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0045B2 (en) * 2015-08-03 2019-05-07 Thyssenkrupp Elevator Ag Human transport device having a monitoring apparatus
KR102309447B1 (ko) * 2017-08-11 2021-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19159338A1 (ja) * 2018-02-16 2019-08-2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のステップ脱落検出装置
JP7313832B2 (ja) * 2019-02-04 2023-07-2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ハプト藻の培養方法、及びハプト藻の培養装置
JP6825072B1 (ja) * 2019-12-09 2021-02-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異常検出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3145A (zh) * 2012-01-19 2012-07-18 快速电梯有限公司 机械式踏板遗失检测装置及具有该检测装置的自动人行道
JP2012184104A (ja) 2011-03-08 2012-09-27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0376A (en) 1969-01-02 1971-05-25 Reliance Electric Co Escalator system having fault indicator
JPS5334285A (en) 1976-09-10 1978-03-30 Hitachi Ltd Safety device for escalator
JPH0188693U (ko) * 1987-12-04 1989-06-12
JPH0699107B2 (ja) * 1989-12-19 1994-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の安全装置
JPH04361982A (ja) * 1991-06-10 1992-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US5096040A (en) * 1991-09-24 1992-03-17 Otis Elevator Company Detection of missing steps in an escalator or moving walk
US5316121A (en) * 1992-11-25 1994-05-31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missing step detection
JP2923750B2 (ja) 1996-06-20 1999-07-26 啓助 須賀 容器の注出具
DE10027490C2 (de) * 2000-06-02 2003-12-04 Kone Corp Sicherheitseinrichtung für Rolltreppen und Rollsteige
US20030000798A1 (en) * 2001-05-31 2003-01-02 Williams Todd Y. Universal escalator control system
JP2004069077A (ja) 2002-08-01 200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通路遮断用の安全回路
ES2281305B1 (es) 2006-12-28 2008-06-01 Thyssenkrupp Norte, S.A.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sistemas de transporte.
DE102008009458A1 (de) * 2008-02-15 2009-08-20 Kone Corp. Rolltreppe oder Rollsteig
WO2009150704A1 (ja) * 2008-06-09 2009-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ンコンベアの踏み段欠落検出装置
US8960407B2 (en) * 2009-04-20 2015-02-24 Otis Elevator Company Signal correlation for missing step detection in conveyors
EP2421786B1 (en) * 2009-04-20 2018-12-26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adjustment of parameters for safety device
JP5670720B2 (ja) 2010-12-24 2015-02-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246112A (ja) * 2011-05-30 2012-12-13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
CN102180401B (zh) * 2011-05-31 2013-06-12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自动扶梯梯级遗失检测装置
JP2013116815A (ja) * 2011-12-05 2013-06-13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4104A (ja) 2011-03-08 2012-09-27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CN102583145A (zh) * 2012-01-19 2012-07-18 快速电梯有限公司 机械式踏板遗失检测装置及具有该检测装置的自动人行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102031A1 (ja) 2017-03-23
DE112014006110B4 (de) 2019-10-10
WO2015102031A1 (ja) 2015-07-09
CN105873847B (zh) 2018-01-16
DE112014006110T5 (de) 2016-10-06
US9630808B2 (en) 2017-04-25
US20160304323A1 (en) 2016-10-20
CN105873847A (zh) 2016-08-17
JP6079902B2 (ja) 2017-02-15
KR101892372B1 (ko) 201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372B1 (ko)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 빠짐 검출 장치
CN101500923B (zh) 检测和停止电梯中电梯轿厢的失控移动的方法与系统
US7540358B2 (en) Elevator apparatus including main and auxiliary sensors
JP6568582B2 (ja) エンドレストラックのエスカレータ及び動く歩道のための再生電力捕獲システム
CN103261075A (zh) 防坠器的操作
JP200703099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の安全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装置の運転方法
WO2014117850A1 (en) People mover
JPH05193887A (ja) 脱落ステップ検知装置
JP6453424B1 (ja) 乗客コンベア
JP4820769B2 (ja) エスカレータの駆動ローラ脱落検出装置およびエスカレータ
JP2008189450A (ja) 乗客コンベア
WO2006054328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14118297A (ja) 乗客コンベヤ用コム
JP4890246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US20150107958A1 (en) Safety device for a passenger transport installation
CN103796943A (zh) 具有平衡机构的电梯
JP6109913B1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りベルト清掃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乗客コンベア
JP2015196597A (ja) 移動手摺表面膨れ検知装置
JP6697147B1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監視装置および乗客コンベア
JP5567089B2 (ja) 乗客コンベアの乗降板検出装置
CN111655605B (zh) 自动扶梯的梯级脱落检测装置
JP4266176B2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駆動装置の加圧ローラ検出装置
KR102224499B1 (ko) 승강안내부 이동형 자가 구동 비상탈출 장치
JP2011093683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2013018603A (ja) 乗客コンベアの異常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