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508A -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508A
KR20160082508A KR1020167011521A KR20167011521A KR20160082508A KR 20160082508 A KR20160082508 A KR 20160082508A KR 1020167011521 A KR1020167011521 A KR 1020167011521A KR 20167011521 A KR20167011521 A KR 20167011521A KR 20160082508 A KR20160082508 A KR 20160082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container
container
filtration
peripheral side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토무 가노
겐 다니와키
마사테루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네퓨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퓨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네퓨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8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4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potato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 A47J43/255Devices for grating with grating discs or dru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주위 측면에 여과용 투과공(3d)을 가지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3)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는 스트레이너기에 있어서, 식재 압압력 및 계속 시간을 최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여과용 투과공의 막힘을 해소하고, 여과 작용을 최적으로 유지 가능한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 및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를 제공한다. 중심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주위 측판에는 여과용 투과공이 형성된 바닥이 있고 또한 원통형인 세로형의 용기와,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내측에 있어 주위 측판 내주면과 접촉 또는 근접하면서 중심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압압자(24, 25)와,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용기 밖으로 방출되는 여과물을 포집하는 여과물 포집 부재를 가지고, 여과 대상물이 투입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를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회전 압압자를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와 동일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 속도의 사이에 소정의 속도차를 가지는 제2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스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OPERATION METHOD FOR STRAIN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과열 증기 등을 이용한 가열 처리에 의해 연화된 식재(食材)의 스트레이너 처리에 바람직한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 및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먼저, 과열 증기를 이용한 무산소 상태 내지 저산소 상태에 있어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연화된 식재(예를 들면, 과실, 야채, 곡류 등)를 스트레이너(strainer)에 통과시켜 여과 처리함으로써, 식재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거나 또는 새로운 기능을 발휘시킨 액상(液狀) 내지 퓌레형 식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액상 내지 퓌레형 식품의 원료로 되는 식재는, 과열 증기에 의한 가열 처리를 거쳐 연화되었다고는 해도, 여전히, 다종 다양한 물성(예를 들면, 수분의 다소, 점성의 대소, 경도의 대소, 섬유질의 다소, 종자의 유무, 껍질의 유무, 입자의 대소 등)을 가지는 점에서, 여과 처리에 있어서는, 각 식재의 물성을 배려한 연구가 필요로 한다.
다만, 각 식재에 최적인 구조의 스트레이너기를, 매번 설계 제작하게 되면, 비용 내지 수고는 헤아릴 수 없어, 결과적으로, 식재의 물성의 관점으로부터, 가능한 한 범용성이 높은 스트레이너기의 개발이 요청된다.
그런데, 그 주위 측판에 다수의 여과용 투과공을 가지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를 그 상부 개구를 위로 향해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개구로부터 용기 내에 투입된 여과 대상물을 원심력에 의해 주위 측판 내주면에 가압함으로써, 여과용 투과공에 통과시켜 여과 처리하는 방식의 스트레이너기는, 구조가 간단하며 제어도 용이한 점에서, 각종 식재의 여과 처리에 채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공개특허 제2009-17816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공개특허 제2010-022714호 공보
이런 종류의 스트레이너기의 운전에서의 요점은, 여과용 투과공을 가지는 주위 측판 내주면에 대한 원심력에 의한 식재 압압력 및 가압 계속 시간을 최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주위 측판 내주면을 적절한 주기로, 적당한 형상의 압압자(押壓子)로 마찰함으로써, 여과용 투과공의 막힘을 해소하는 것이다.
즉, 비교적 수분이 많고 또한 점성이 낮은 연화 식재의 경우이면, 원심력에 의한 식재 압압력을 그다지 증가시키지 않고, 또한 식재 가압 계속 시간을 길게 취하지 않고도, 여과용 투과공을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것으로부터, 용기의 회전 속도를 올려 원심력을 증가시키거나, 여과면을 마찰하는 주기를 길게 취하지 않고도, 원활한 여과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비교적 수분이 적고 또한 점성 도 큰 식재의 경우에는, 원심력에 의한 식재 압압력을 증가시키고, 또한 식재 가압계속 시간을 길게 취하지 않으면, 여과용 투과공을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없으므로, 용기의 회전 속도를 상당히 올려 원심력을 증가시키고, 또한 여과면을 마찰하는 주기를 비교적 길게 취하지 않으면, 효율이 양호한 여과 처리를 실현할 수 없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스트레이너기의 경우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회전 톱니날(7)]의 회전에 대하여 압압자[가이드 판( 10)]는 항상 정지 상태에 있는 점에서, 만일,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회전 속도를 변경 가능하게 한다고 해도,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회전 속도(즉, 원심력)와 용기와 압압자의 상대 속도(즉, 마찰 처리의 실행 주기)의 관계는 일의적으로 결정되어 버려, 이들을 임의의 최적인 관계로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전술한 다양한 물성을 가지는 연화 식재의 여과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이런 종류의 주위 측면에 여과용 투과공을 가지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는 스트레이너기에 있어서, 주위 측판 내주면에 대한 식재 압압력 및 계속 시간을 최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주위 측판 내주면을 적절한 주기로 마찰함으로써, 여과용 투과공의 막힘을 해소하고, 여과 작용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 동일 방법을 이용한 퓌레형 가공 식품의 제조 방법, 및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명세서의 이하의 기술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는, 이하의 구성을 가지는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 및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에 의해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은, 중심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그 주위 측판에는 여과용 투과공이 형성된 바닥이 있고 또한 원통형인 세로형의 용기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내측에 있어, 상기 주위 측판 내주면과 접촉 또는 근접하면서, 상기 중심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압압자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용기 밖으로 방출되는 여과물을 포집하는 여과물 포집 부재를 가지는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으로서, 여과 대상물이 투입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를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회전 압압자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와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1 회전 속도와의 사이에 소정의 속도차를 가지는 제2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방법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회전 압압자는, 상기 제1 회전 속도와 상기 제2 회전 속도의 속도차에 상당하는 속도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주위 측판 내주면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원하는 압압력에 대응하는 원심력을 얻을 수 있도록, 제1 회전 속도를 어떠한 값으로 설정하고자 해도, 제2 회전 속도만 적절히 설정하면, 주위 측판 내주면을 마찰하는 주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주위 측판 내주면에 대한 식재 압압력 및 계속 시간을 최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여과용 투과공이 있는 주위 측판 내주면을 적절한 주기로 마찰함으로써, 여과용 투과공의 막힘을 해소하고, 여과 작용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의 태양(態樣)에 있어서는, 상기 제1 회전 속도보다 상기 제2 회전 속도 쪽이 저속이어도 된다(방법 발명의 실시 태양 1).
이와 같은 구성(방법 발명의 실시 태양 1)에 의하면, 제1 회전 속도보다 상기 제2 회전 속도 쪽이 저속이어도 되므로, 제2 회전 속도를 얻기 위한 회전 구동원(驅動源)의 소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회전 감속 방향으로 마찰하는 것으로부터, 마찰 처리에 따라 발생하는 여분의 스트레이너 처리물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제1 회전 속도는, 그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주위 측판의 내주면에 대하여, 상기 여과 대상물에 적절한 압압력이 상기 여과 대상물에 작용하도록 설정되고, 또한 상기 제1 회전 속도와 상기 제2 회전 속도의 속도차는, 상기 속도차로 상기 주위 측판의 내주면을 마찰했을 때, 상기 압압력의 계속 시간이 상기 여과 대상물에 적절한 계속 시간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어도 된다(방법 발명의 실시 태양 2).
이와 같은 구성(방법 발명의 실시 태양 2)에 의하면, 과열 증기에 의한 가열 처리에 의해 연화된 식재(예를 들면, 과실, 야채, 곡류 등)의 물성을 구체적으로 고려한 경우에도, 이들 연화 식재를 효율적으로 여과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일면으로부터 본 본 발명은, 퓌레형 가공 식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즉, 이 퓌레형 가공 식품의 제조 방법은, 야채, 과일, 및/또는, 곡류를 과열 증기 분위기 하에 노출시킴으로써 생성된 연화 식재를 상기 여과 대상물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을 행함으로써, 상기 여과물로서의 퓌레형 가공 식품을 얻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제조 방법 발명)에 의하면, 고품질인 퓌레형 가공 식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일면으로부터 본 본 발명은,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즉, 이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는, 중심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그 주위 측판에는 여과용 투과공이 형성된 바닥이 있고 또한 원통형인 세로형의 용기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내측에 있어, 상기 주위 측판 내주면과 접촉 또는 근접하면서, 상기 중심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압압자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용기 밖으로 방출되는 여과물을 포집하는 여과물 포집 부재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한 제1 회전 구동원과, 상기 회전 압압자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2 회전 구동원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회전 속도 및 상기 회전 압압자의 회전 속도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지정된 속도로 되도록,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회전 속도 및 상기 회전 압압자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장치 발명).
이와 같은 구성(장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회전 압압자는, 상기 제1 회전 속도와 상기 제2 회전 속도의 속도차에 상당하는 속도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주위 측판의 내주면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원하는 압압력에 대응하는 원심력을 얻을 수 있도록, 제1 회전 속도를 어떠한 값으로 설정하고자 해도, 제2 회전 속도만 적절히 설정하면, 주위 측판 내주면(여과면)의 마찰 주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여과용 투과공에 대한 식재 압압력 및 계속 시간을 최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여과용 투과공 내주면을 적절한 주기로 마찰하여, 여과용 투과공의 막힘을 해소하고, 여과 작용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압압자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와의 회전 속도차에 의하여, 상기 주위 측판 내주면으로 여과 대상물을 가압하는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1).
이와 같은 구성(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1)에 의하면,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와의 회전 속도차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주위 측판 내주면에 대한 주기적인 마찰 처리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압압자는, 상기 주위 측판 내주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직선형 단부 에지와, 상기 직선형 단부 에지에 연속하고, 또한 상기 주위 측판 내주면을 따라 서서히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단면(斷面)이 호형인 안내 곡면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2).
이와 같은 구성(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2)에 의하면, 주위 측판 내주면에 부착되는 여과 대상물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와 회전 압압자의 상대 회전에 따라, 주위 측판 내주면과 회전 압압자의 안내 곡면 사이에 흡입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는, 압압자의 직선형 단부 에지와 주위 측판 내주면 사이에 협지되면서 압압되므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와의 회전 속도차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주위 측판 내주면에 대한 주기적인 마찰 처리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안내 곡면에는, 나선형의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3).
이와 같은 구성(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3)에 의하면,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 내에 저류되는 여과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주위 측판 내주면과 회전 압압자의 안내 곡면 사이로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중심축과 동축으로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위쪽으로부터 상기 용기 내로 늘어뜨려지고, 또한 상기 회전 압압자의 회전축을 겸하는, 여과 대상물의 투입관을 가지고, 상기 제2 회전 구동원은 상기 투입관을 통하여 상기 회전 압압자를 회전시켜도 된다(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4).
이와 같은 구성(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4)에 의하면, 상기 제2 회전 구동원에 의해,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주위 측판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압압자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그 회전축 자체가 상기 용기 내로의 여과 대상물의 투입관을 겸하는 것으로부터, 여과 대상물을 상기 용기의 중심부로 공급하면서, 이것을 원심력에 의해 균등하게 또한 방사상으로 분산되어, 주위 측판 내주면으로 분배할 수 있다.
상기 실시의 태양(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1)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압압자는, 상기 여과 대상물의 공급관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상부 개구를 막는 커버판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5).
이와 같은 구성(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5)에 의하면, 상기 회전 압압자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용기의 상면 개구는 커버판에 의해 막힐 수 있으므로, 상기 용기 내의 여과 대상물이 용기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투입관의 상단부에는, 상기 여과 대상물의 받침대로 되고, 또한 상기 투입관의 상단부 개구로 통하는 낙하 입구를 가지는 여과 대상물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6).
이와 같은 구성(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6)에 의하면, 여과 대상이 되는 수분을 포함한 식재 등을 트레이 상에 펼친 후, 이것을 적당한 양씩 낙하 입구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여과 대상물을 공급관으로 용이하게 보낼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압압자의 개수는 복수개이며, 또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내주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7).
이와 같은 구성(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7)에 의하면, 복수의 회전 압압자의 중량 밸런스가 양호해지는 것으로부터, 회전 시에 흔들림이 생기지 않고, 스크래핑(scraping) 날을 용기 내주면에 안정적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여과물 포집 부재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외주를 적당한 간극(間隙)을 두고 포위하고 또한 상기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방출되는 여과물의 비산을 저지하는 바닥부 개구의 통형 커버체와, 상기 통형 커버체의 바닥부 개구로부터 낙하하는 여과물의 받침대로 되는 회수용 트레이를 포함해도 된다(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8).
이와 같은 구성(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8)에 의하면, 상기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방출되는 여과물이 비교적 유동성이 높거나 또는 점착성이 낮은 것인 경우에는, 상기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방출되는 여과물을 상기 통형 커버체의 내주면에서 받아 즉시 낙하시킴으로써, 회수용 트레이 상에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의 태양(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8)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 커버체는 원통체로서, 상기 제1 내주면 스크래핑 부재와 동축으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차폐체의 내주를 따른 소정 위치에는, 그 스크래핑 날이 상기 원통체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내주면 스크래핑 부재가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9).
이와 같은 구성(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9)에 의하면, 상기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방출되는 여과물이 비교적 유동성이 낮거나 또는 점착성이 높은 것이라고 해도, 상기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방출된 후, 통형 커버체를 구성하는 원통체의 내면에 부착되는 여과물은, 상기 원통체의 회전에 따라, 내주면 스크래핑 부재의 스크래핑 날에 의해 긁어 떨어뜨려지기 때문에, 스트레이너 처리물 트레이 상에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의 태양(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9)에 있어서는, 상기 내주면 스크래핑 부재의 고정 위치는, 상기 스트레이너 처리물 트레이의 낙하 입구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10).
이와 같은 구성(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10)에 의하면, 내주면 스크래핑 부재의 스크래핑 날에 의해 긁어 떨어뜨려지는 여과물은, 그대로, 상기 스트레이너 처리물 트레이의 낙하 입구에 모이기 때문에, 그 후의 회수 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외주를 따른 소정 위치에는, 그 스크래핑 날이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외주면 스크래핑 부재가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11).
이와 같은 구성(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11)에 의하면, 여과물이 비교적 유동성이 낮거나 또는 점착성이 높은 것이라고 해도, 상기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압출된 후, 여과용 투과공의 출구측에 달라붙는 여과물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회전에 따라, 외주면 스크래핑 부재의 스크래핑 날에 의해 긁어 떨어뜨려지기 때문에, 이것을 스트레이너 처리물 트레이 상에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의 태양(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11)에 있어서는, 상기 외주면 스크래핑 부재의 고정 위치는, 상기 스트레이너 처리물 트레이의 낙하 입구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12).
이와 같은 구성(장치 발명의 실시 태양 12)에 의하면, 외주면 스크래핑 부재의 스크래핑 날에 의해 긁어 떨어뜨려지는 여과물은, 그대로, 상기 스트레이너 처리물 트레이의 낙하 입구에 모이기 때문에, 그 후의 회수 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회전 압압자는, 상기 제1 회전 속도와 상기 제2 회전 속도의 속도차에 상당하는 속도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주위 측판 내주면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원하는 압압력에 대응하는 원심력을 얻을 수 있도록, 제1 회전 속도를 어떠한 값으로 설정해도, 제2 회전 속도마저 적절히 설정하기만 하면, 주위 측판 내주면을 마찰하는 주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주위 측판 내주면에 대한 식재 압압력 및 계속 시간을 최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여과용 투과공이 있는 주위 측판 내주면을 적절한 주기로 긁어내어, 여과용 투과공의 막힘을 해소하고, 여과 작용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스트레이너기 전체의 외관 측면도(승강 유닛 상승 위치)다.
도 2는 스트레이너기 전체의 외관 측면도(승강 유닛 하강 위치)다.
도 3은 스트레이너기의 공급부, 처리부, 회수부를 포함하는 확대 사시도(승강 유닛 하강 위치)다.
도 4는 처리부 내의 회전 압압자를 나타낸 일부 절결 확대 단면도(후퇴 위치)다.
도 5는 처리부 내의 회전 압압자를 나타낸 일부 절결 확대 단면도(전진 위치)다.
도 6은 스트레이너기의 회전 압압자를 경사 위쪽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스트레이너기의 회전 압압자를 경사 아래쪽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스트레이너기의 전기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 및 동일 방법을 실시하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의 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스트레이너기(100)는, 여과 처리에 제공되는 처리부(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처리부(1)는, 소정의 스트로크 범위에서 승강 가능한 승강 유닛(2)과 여과 대상물이 수용되는 용기(3)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여과 대상물로서는, 예를 들면, 과열 증기 분위기 하에서의 가열에 의해 연화 처리된 야채(예를 들면, 호박, 대두, 병아리콩, 당근, 양배추, 시금치, 쑥갓, 마늘 등), 과실(망고, 멜론, 딸기, 라즈베리, 블루베리, 바나나 등), 곡물(쌀, 보리, 고구마, 감자 등)을 들 수 있다.
용기(3)는, 도시한 예에서는, 바닥이 비교적 얕고(직경과 깊이의 비가 3대 1 정도), 또한 상면이 개구된 세로형 자세의 바닥이 있는 원통체이며, 그 주위를 감싸는 주위 측판(3a)에는, 다수의 여과용 투과공(3d)이 형성되어 있다(도 4, 도 5 참조). 용기(3)의 재질로서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식품위생 상의 관점에서 세정에 적합한 재료가 사용된다. 주위 측판(3a) 상의 여과용 투과공(3d)의 직경이나 밀도나 분산 태양은, 여과 대상물의 물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여과용 투과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미리 펀치 홀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판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성형된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die cast) 제품에 나중에 천공 가공을 행하는 등, 적절한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용기(3)는, 연직 상방향으로 돌출한 하측 샤프트(4)의 상단부에, 브래킷(3c)을 통하여, 그 개구를 위로 향하게 한 자세로, 확실하게 고정된다. 하측 샤프트(4)는, 스트레이너기 전체를 지지하는 가대(架臺)에 대하여,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5)을 통하여, 연직 자세를 유지한 채, 쌍방향(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하측 샤프트(4)는, 가대 위의 측부에 배치된 서보 모터(8)에 의하여, 구동 풀리(pully)(도시하지 않음), 타이밍 벨트(7), 및 종동 풀리(6)를 순서대로 통하여, 쌍방향으로 지정 속도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 유닛(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회전 압압자(24, 25)와 원통형 커버체(26)를 일체로 포함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승강 유닛(2)은, 승강대(14)로부터 연직 하향으로 늘어뜨리듯이 돌출된 상측 샤프트(9)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상측 샤프트(9)는, 중공의 관재(管材)로서, 용기(3) 내로 여과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관으로서도 기능하고, 승강대(14)에 포함된 도시하지 않은 스러스트 베어링를 통하여, 연직 자세를 유지한 채, 쌍방향(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승강대(14)는, 가이드 로드(15)와 가이드 슬리브(16)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기구(機構)를 통하여, 수평 자세를 유지하면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볼나사 기구(17)와 서보 모터(18)를 이용한 승강 구동 기구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샤프트(9)의 하단부에는, 용기(3)의 상부 개구를 막아, 용기 내에 수용된 여과 대상물이 운전 중에 용기 밖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디스크형 커버판(27)이 수평 자세로 고정되어 있다. 이 커버판(27)의 하면에는, 2개의 회전 압압자(24, 25)가 180도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압압자(24, 25)는, 중실(中實)의 원기둥체를 편심 위치에서 축과 평행하게 절단한 것처럼 대략 반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평탄면(24c, 25c)과 단면이 호형인 곡면부(24a, 25a)을 가진다. 이들 회전 압압자(24, 25)는, 볼트(29a)를 통하여 커버판(27)의 하면에 장착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핀을 커버판 측의 호형 안내공(29)에 삽입함으로써, 소정 각도 범위로 회동하면서, 디스크형 커버판(27)의 외주 에지부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압압자(24, 25)를 회동하면서 진퇴 가능하게 한 것은, 승강 유닛(2)을 강하시킬 때, 압압자(24, 25)가 진출 상태에 있으면, 용기 입구 개구의 주위 에지로부터 용기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비산 방지용의 주위 에지판(3b)과 간섭하기 때문이다. 즉, 이들 압압자(24, 25)는, 용기(3) 내로 하강하면서 진입할 때는, 입구 개구를 통과하도록 후퇴 상태로 되는 한편, 용기(3) 내로 진입한 후에는, 진출 상태로 함으로써, 그 직선형 단부 에지(24c, 25c)가, 용기(3)의 주위 측판(3a)의 내주면에 근접 또는 맞닿고, 또한 단면이 호형인 안내 곡면(24a, 25a)이 주위 측판(3a)의 내주면으로부터 서서히 이격되게 되기 때문이다.
도 4∼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압압자(24, 25)의 단면이 호형인 안내 곡면(24a, 25a)에는, 2조의 나선형 안내 홈(24b, 25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안내 홈(24b, 25b)이 존재하면, 용기(3) 내에 여과 대상물이 어느 정도 채워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압압자(24, 25)가 상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또한 용기(3)보다 저속으로 회전하면, 용기(3) 내에 저류된 여과 대상물은, 압압자의 안내 곡면(24a, 25a)과 용기 주위 측판(3a)의 내주면과의 테이퍼(taper)형의 간극에, 서서히 흡입되도록 안내되고, 여과 대상물은 여과면으로 되는 주위 측판(3a)의 내주면으로 직선형 단부 에지(24d, 25d)를 통하여 적당한 압력으로 가압되게 된다.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3)를 감싸는 그 외측에는, 원통형 커버체(26)가 배치된다. 이 커버체(26)는, 용기(3)의 주위 측판(3a)의 여과용 투과공(3d)으로부터 방출되는 여과물을 받아, 아래쪽으로 떨어뜨려 포집하기 위한 포집 부재로서 기능한다. 커버체(26)는, 그 상부에 있어서, 방사형 연결 바(28)를 통하여, 커버판(27)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커버체(26)는, 용기(3)의 외측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회전 압압자(24, 25)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회전 압압자(24, 25)와 일체로 회전시키지 않아도, 다른 동력원을 이용하여, 원통형 커버체(26)을 회전시켜도 된다.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3)의 외주면과 원통형 커버체(26)의 내주면 사이에는, 원통형 커버체(26)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여과물을 긁어내기 위한 내주면 스크래핑 부재(22)와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3)의 주위 측판(3a)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여과물을 긁어내기 위한 외주면 스크래핑 부재(2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스크래핑 부재(22, 23)는, 각각 레버(22b, 23b)를 통하여 회동(回動) 장착부(32)에 지지되어 있고, 이로써, 레버(22b, 23b)를 적절하게 회동시켜 스크래핑 날(22a, 23a)을 근접 및 이격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크래핑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여과 대상물의 성상에 따라서는, 대응하는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여과물이 부착되지 않은 것도 있기 때문이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관을 겸하는 상측 샤프트(9)의 상단부에는, 여과 대상물을 수취하고, 투입관(9) 내로 안내하기 위한 공급용 트레이(19)가 수평 자세로 장착되어 있다. 이 공급용 트레이(19)의 중앙부에는, 투입관(9) 내로 여과 대상물을 안내하기 위한 낙하 입구(19a)가 배치되어 있다. 용기(3)의 아래쪽에는, 원통형 커버체(26)에 의해 포집되어 낙하하는 여과물을 수취하기 위한 회수용 트레이(20)가 수평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 회수용 트레이(20)의 바로 앞 위치에는 낙하 입구(20a)가 배치되어 있고, 앞서 설명한 스크래핑 부재(22, 23)로 긁어내어진 여과물은, 이 낙하 입구(20a)의 근방에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낙하 입구(20a)의 아래쪽에는, 회수용 트레이(20)의 낙하 입구(20a)로부터 낙하하는 여과물을 회수하기 위한 인출형(引出形)의 회수 상자(21)가 배치되어 있다. 여과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여과물은, 모두, 이 회수용 트레이(20)에 모이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스트레이너기의 전기적인 시스템은, 각종 지령 조작을 위해 사용되는 조작부(31)와, 하측 샤프트(4)를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 모터(M1)(8)와, 상측 샤프트(9)를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 모터(M2)(13)와, 승강대(14)를 승강시키기 위한 서보 모터(M3)(17)와, 조작부(31)에 의해 지령된 동작 태양으로 되도록, 3개의 서보 모터(8, 13, 17)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당업자에게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런 종류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컨트롤러와 서보 모터 컨트롤의 조합, 또한 조작부로서는, 프로그래머블·컨트롤러의 부속품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프로그래머블·터미널) 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이너기(100)와 제어 시스템(도 8 참조)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부(59)에 있어서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승강 유닛(2)은, 볼나사 기구(18)와 서보 모터(17)의 작용에 의하여, 상승 위치(도 1 참조)로부터 하강 위치(도 2 참조)로 하강한다. 그리고,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하강에 앞서, 회전 압압자(24, 25)는 후퇴 위치로 되고, 하강 후에는 진출 위치로 되돌아온다.
여과 대상물인 과열 증기 연화물, 즉 별도 도시하지 않은 가열로 내에서 과열 증기 분위기에 노출됨으로써 연화된 야채, 과일, 곡류 등의 식재는, 적당한 용기로부터 공급용 트레이(19)로 옮겨 담기고, 그 후, 적당한 조작구(操作具)(예를 들면, 주걱 등)의 조작에 의하여, 적당량씩, 낙하 입구(19a)로 수작업으로 긁어 모아져, 투입관을 겸하는 중공 상측 샤프트(9) 내로 떨어뜨려지고, 최종적으로,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3) 내로 이송된다. 샤프트(9)의 하단 개구(9a)로부터 용기(3) 내로 방출된 여과 대상물은, 용기(3)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방사상으로 이동 내지 비산되어, 원심력에 상당하는 압력에 의해, 용기(3)의 주위 측판(3a)의 내면에 가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용기(3)의 주위 측판(3a)의 내면에 가압된 여과 대상물은, 또한 용기(3)와 회전 압압자(24, 25)의 회전수 차이로 결정되는 주기로, 압압자(24, 25)에 의하여, 주위 측판(3a)의 내면에 마찰 내지 가압된다.
원심력에 의한 압압력 및 압압자(24, 25)에 의한 압압력 내지 마찰력을 받아, 주위 측판(3a)의 투과공(3d)으로부터 돌출 내지 방출되는 여과물은, 어떤 것은 그 유동성의 높음에 의해, 원통형 커버체(26)의 내면에 충돌한 후, 그 내면을 따라 자연 낙하하고, 어떤 것은 그 점성의 높음에 의해, 투과공(3d)의 출구측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길이의 끈형으로 연결되고, 또한, 어떤 것은 그 부착력의 강함에 의해, 원통형 커버체(26)의 내면에 충돌한 후, 그 내면에 달라붙게 된다.
여과물 중, 원통형 커버체(26)의 내면을 따라 자연 낙하하는 것에 대해서는, 내주면의 스크래핑 부재(22)를 비작동 위치로 해도, 회수용 트레이(20) 상에 낙하하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적당한 조작구(예를 들면, 주걱) 등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낙하 입구(20a)에 긁어모아 떨어뜨림으로써, 인출형의 회수 상자(21)에 수용할 수 있다.
여과물 중, 주위면 판(3a)의 투과공(3d)의 출구측에 끈형으로 연결되는 것에 대해서는, 적당한 시기에, 외주면 스크래핑 부재(23)의 스크래핑 날(23a)을 용기(3)의 주위 측판(3a)의 외주면에 접촉시켜 외주면으로부터 긁어내면, 떨어뜨려진 여과물은, 회수용 트레이(20)의 낙하 입구(20a)에 모이기 때문에, 동일하게 하여, 인출형의 회수 상자(21)에 수용할 수 있다.
여과물 중, 원통형 커버체(26)의 내면에 충돌한 후, 그 내면에 달라붙는 것에 대해서는, 적당한 시기에 또는 항상, 내주면 스크래핑 부재(22)의 스크래핑 날(22a)을 원통형 커버체(26)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내주면으로부터 긁어내면, 떨어뜨려진 여과물은, 회수용 트레이(20)의 낙하 입구(20a)에 모이기 때문에, 동일하게 하여, 인출형의 회수 상자(21)에 수용할 수 있다.
조작부(31)에 있어서 소정의 지령 조작을 행함으로써, 용기(3)에 대해서는, 위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속도(예를 들면, 회전수 N1)로, 회전 압압자(24, 25)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속도(예를 들면, 회전수 N2)로, 각각 설정된다. 여기서, N1≠N2로서, N1-N2=ΔN가, 용기(3)의 주위 측판(3a)에 대한 회전 압압자(24, 25)의 상대 회전 속도로 된다. 이로써, 용기(3) 및 압압자(24, 25)는, 제어부(30)의 작용에 의하여, 설정된 속도로 자동적으로 안내된다.
용기(3)의 회전수 N1은, 그대로 여과 대상물에 가해지는 원심력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주위 측판(3a) 상의 여과용 투과공(3d)의 통과되기 쉬움을 고려하여, 용기(3)의 회전수 N1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점성이 높거나 또는 섬유질이 많은 여과 대상물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여과용 투과공(3d)을 통과하기 어려운 경향을 보이므로, 거대한 원심력을 얻기 위하여, 용기(3)의 회전수 N1은 크게 설정하는 한편, 점성이 낮거나 또는 섬유질이 적은 여과 대상물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여과용 투과공(3d)을 통과하기 쉬운 경향을 보이므로, 용기(3)의 회전수 N1은 작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회전 압압자(24, 25)의 회전수 N2는, N1-N2=ΔN이, 용기(3)의 주위 측판(3a)에 대한 회전 압압자(24, 25)의 상대 회전 속도로 되고, 또한 이 상대 회전 속도는, 회전 압압자(24, 25)가, 주위 측판(3a) 상의 여과 대상물 퇴적면을 압압하면서 마찰하는 주기에도 대응한다. 그리고, 회전 압압자에 의해 마찰된 부분에 있어서는, 여과용 투과공(3d)의 막힘이 해소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주위 측판(3a)의 마찰 주기는, 환언하면, 주위 측판 상의 어느 개소(箇所)의 여과 대상물이 원심력에 의해 주위 측판에 계속 가압되는 계속 시간이라고 이해할 수도 있다.
그러면, 주위 측판(3a)의 마찰 주기를 짧게 하면, 막힘이 해소되어, 여과 처리의 효율이 향상되는가 하면, 무조건 그렇다고도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주위 측판(3a)의 마찰 주기를 짧게 하면, 회전 압압자(24, 25)와 주위 측판(3a)의 상대 속도의 상승에 의한 마찰열에 의하여, 여과 대상물의 변질 열화가 문제로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과 대상물로서, 과열 증기 분위기 중에서 거의 무산소 상태로 가열 처리된 식물성 식재의 경우에는, 세포의 대부분이 파괴되지 않고 잔존하는 점에서, 그 여과 처리는 가능한 한, 세포가 그대로 잔존하는 것에 배려해야 한다. 여기서, 세포의 파괴는, 주위 측판(3a) 상을 회전 압압자(24, 25)로 마찰할 때 많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압압자에 의한 주위 측판의 마찰 처리에 대해서는, 너무 빈번하게 행하는 것은, 세포의 파괴 방지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는 않다. 실제로, 과열 증기로 처리된 여과 대상물의 경우에는, 압압자에 의한 마찰 주기를 길게 설정하여, 여과물이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끈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압출되게 하면, 얻어진 스트레이너 처리물은 세포가 파괴되지 않고 잔존하는 것으로부터, 소재의 색채나 미각이 그대로 유지되고, 고품질의 스트레이너 처리물(퓌레형 식품)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3)와 회전 압압자(24, 25)를 사용한 스트레이너기에 의하면, 각각의 회전수(N1, N2)의 조정에 의하여, 원하는 원심력과 원하는 마찰 주기를 임의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물성이 상이한 다양한 여과 대상물에 대해서도, 최적 조건에 의한 여과 처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자 등이 행한 운전 시험에서는, 양자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3)의 회전수를 매분 200∼400회전의 범위 로 하고, 또한 회전 압압자(24, 25)의 회전수를 그보다 매분 50∼200회전 정도 느리게 설정하여, 압압자(24, 25)를 용기(3)가 추월해가도록 설정한 경우에, 상정되는 물성의 여과 대상물에 있어서, 품질이 양호한 퓌레형 식품이 효율적으로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수분이 많고, 부드럽고 또한 점성도 낮은 과열 증기 연화 과일(예를 들면, 멜론, 딸기, 라즈베리, 블루베리 등)에 적용하는 경우, 용기(3)의 회전수를, 원심력에 의해 충분한 압압력을 얻을 수 있는 매분 250∼400회전으로 하는 한편, 압압자(24, 25)의 회전수를 매분 50∼150회전으로 함으로써, 용기(3)의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고, 퓌레형 가공 식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수분이 적고, 비교적 견고하고, 점성도 낮은 과열 증기 연화물(예를 들면, 고구마, 감자 등)에게 적용하는 경우, 용기(3)의 회전수를, 원심력에 의해 충분한 압압력을 얻을 수 있는 매분 200∼300회전으로 하는 한편, 압압자(24, 25)의 회전수를 매분 50∼150회전으로 함으로써, 용기(3)의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고, 퓌레형 가공 식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압압자의 수를 2개로 하였으나, 그 수는 임의이다. 단, 복수개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하면, 회전 밸런스가 양호해져, 주위 측판 내주면과의 접촉 상태가 안정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체(26)을 원통형으로 하였으나, 내주면의 스크래핑 처리가 불필요한 딸기 등의 유동성이 높은 여과 대상물이면, 커버체의 단면 형상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체(26)와 디스크형 커버판(27)을 연결하여, 양자를 일체로 회전시켰으나, 요점은, 커버체(26)가 회전하면 스크래핑 부재(22)와 접촉하여 스크래핑 동작이 행해지는 것이므로, 커버체(26)의 회전을 다른 회전 구동계에서 실현해도 될 것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샤프트(9)에 회전 운동 전달 기능 뿐만 아니라, 식재 투입 기능도 함께 갖게 하였으나, 물론, 용기(3)로의 식재 투입구를 별도로 설치하여, 상측 샤프트(9)를 회전 운동 전달 기능에 전념시켜도 될 것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3)와 압압자(24, 25)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용기(3)의 회전 속도보다 압압자(24, 25)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하여, 용기(3)가 압압자(24, 25)를 추월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요점은, 양자 사이에 상대 속도가 존재하면 되므로, 동력에 여유가 있고, 또는 소비 전력에 여유가 있으면, 용기(3)의 회전 속도보다 압압자(24, 25)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해도 될 것이다. 다만, 용기(3)의 회전 속도보다 압압자(24, 25)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하면, 마찰 처리의 방향은 회전이 감속하는 측으로 되므로, 마찰되어 떨어진 여분의 여과 대상물의 비산을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3) 및 압압자(24, 25)의 축을 완전히 연직로 하였으나,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 바로 앞에 적절하게 경사지게 하는 등의 개변(改變)은, 「세로형」이란 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3)로의 여과 대상물의 공급을 공급용 트레이(19), 투입관을 겸하는 상측 샤프트(9)를 통하여 행하였으나, 식재 반송용 펌프로부터 호스를 통하여 여과 대상물을 용기(3) 내로 공급하도록 해도 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중심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그 주위 측판(3a)에는 여과용 투과공(3d)이 형성된 바닥이 있고 또한 원통형인 세로형의 용기(3)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내측에 있어, 상기 주위 측판 내주면과 접촉 또는 근접하면서, 상기 중심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압압자(24, 25)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용기 밖으로 방출되는 여과물을 포집하는 여과물 포집 부재(26)를 가지는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으로서, 여과 대상물이 투입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를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 속도(N1)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회전 압압자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와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1 회전 속도와의 사이에 소정의 속도차(ΔN)를 가지는 제2 회전 속도(N2)로 회전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상기 회전 압압자는, 상기 제1 회전 속도와 상기 제2 회전 속도의 속도차에 상당하는 속도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주위 측판 내주면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원하는 압압력에 대응하는 원심력을 얻을 수 있도록, 제1 회전 속도를 어떠한 값으로 설정하고자 해도, 제2 회전 속도만 적절히 설정하면, 주위 측판 내주면을 마찰하는 주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주위 측판 내주면에 대한 식재 압압력 및 계속 시간을 최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여과용 투과공이 있는 주위 측판 내주면을 적절한 주기로 긁어내어, 여과용 투과공의 막힘을 해소하고, 여과 작용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과열 증기를 이용한 무산소 상태 내지 저산소 상태에 있어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연화된 식재(예를 들면, 과실, 야채, 곡류 등)를 스트레이너에 통과시켜 여과 처리함으로써, 식재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거나 또는 새로운 기능을 발휘시킨 액상 내지 퓌레형 식품을 얻는 공정 등에 이용할 수 있다.
1 : 스트레이너 처리부
2 : 승강 유닛
3 :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
3a : 주위 측판
3b : 주위 에지판
3c : 브래킷
3d : 투과공
4 : 하측 샤프트
5 : 스러스트 베어링
6 : 종동 풀리
7 : 타이밍 벨트
8 : 서보 모터(M1)
9 : 상측 샤프트(투입관)
9a : 투입공
10 : 종동 풀리
11 : 타이밍 벨트
12 : 구동 풀리
13 : 서보 모터(M2)
14 : 승강대
15 : 가이드 로드
16 : 가이드 슬리브
17 : 서보 모터(M3)
18 : 볼나사 기구
19 : 공급용 트레이
19a : 낙하 입구
20 : 회수용 트레이
20a : 낙하 입구
21 : 회수 상자
22 : 내주면 스크래핑 부재
22a : 스크래핑 날
23 : 외주면 스크래핑 부재
23a : 스크래핑 날
24 : 회전 압압자
24a : 단면이 호형인 안내 곡면
24b : 안내 홈
25 : 회전 압압자
25a : 단면이 호형인 안내 곡면
25b : 안내 홈
25c : 평탄면
25d : 직선형 단부 에지
26 : 원통형 커버체
27 : 커버판
28 : 연결 바
29 : 호형 안내공
29a :핀
30 : 제어부
31 : 조작부
100 : 스트레이너기
A : 승강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Claims (17)

  1. 중심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그 주위 측판에는 여과용 투과공이 형성된 바닥이 있고 또한 원통형인 세로형의 용기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내측에 있어, 상기 주위 측판 내주면과 접촉 또는 근접하면서, 상기 중심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압압자(押壓子)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상기 용기 밖으로 방출되는 여과물을 포집하는 여과물 포집 부재를 가지는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으로서,
    여과 대상물이 투입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를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회전 압압자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와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1 회전 속도와의 사이에 소정의 속도차를 가지는 제2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속도보다 상기 제2 회전 속도 쪽이 저속인,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속도는, 그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상기 주위 측판의 내주면에 대하여, 상기 여과 대상물에 적절한 압압력이 상기 여과 대상물에 작용하도록 설정되고, 또한 상기 제1 회전 속도와 상기 제2 회전 속도의 속도차는, 상기 속도차로 상기 주위 측판의 내주면과 슬라이딩했을 때, 상기 압압력의 계속 시간이 상기 여과 대상물에 적합한 계속 시간으로 되도록 설정되는,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
  4. 야채, 과일, 및/또는, 곡류를 과열 증기 분위기 하에 노출시킴으로써 생성된 연화 식재를 여과 대상물로 하여, 제1항에 기재된 상기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을 행함으로써, 상기 여과물로서의 퓌레형 가공 식품을 얻는,
    퓌레형 가공 식품의 제조 방법.
  5. 중심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그 주위 측판에는 여과용 투과공이 형성된 바닥이 있고 또한 원통형인 세로형의 용기;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내측에 있어, 상기 주위 측판 내주면과 접촉 또는 근접하면서, 상기 중심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압압자;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상기 용기 밖으로 방출되는 여과물을 포집하는 여과물 포집 부재;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한 제1 회전 구동원;
    상기 회전 압압자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2 회전 구동원;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회전 속도 및 상기 회전 압압자의 회전 속도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의해 지정된 속도로 되도록,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회전 속도 및 상기 회전 압압자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압압자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와의 회전 속도차에 의하여, 상기 주위 측판 내주면으로 여과 대상물을 가압하는 작용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압압자는, 상기 주위 측판 내주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직선형 단부 에지와, 상기 직선형 단부 에지에 연속하고, 또한 상기 주위 측판 내주면을 따라 서서히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단면이 호형인 안내 곡면을 가지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곡면에는, 나선형의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중심축과 동축으로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위쪽으로부터 상기 용기 내로 늘어뜨려지고, 또한 상기 회전 압압자의 회전축을 겸하는, 여과 대상물의 투입관을 가지고, 상기 제2 회전 구동원은 상기 투입관을 통하여 상기 회전 압압자를 회전시키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압압자는, 상기 여과 대상물의 투입관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상부 개구를 막는 커버판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의 상단부에는, 상기 여과 대상물의 받침대로 되고, 또한 상기 투입관의 상단부 개구로 통하는 낙하 입구를 가지는 공급용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압압자의 개수는 복수개이며, 또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내주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물 포집 부재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외주를 적당한 간극(間隙)을 두고 포위하고 또한 상기 여과용 투과공으로부터 방출되는 여과물의 비산을 저지하는 바닥부가 개구된 차폐체와, 상기 차폐체의 바닥부 개구로부터 낙하하는 여과물의 받침대로 되는 회수용 트레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체는 바닥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서, 상기 회전 압압자와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차폐체의 내주를 따른 소정 위치에는, 그 스크래핑 날이 상기 차폐체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내주면 스크래핑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 스크래핑 부재의 고정 위치는, 상기 회수용 트레이의 낙하 입구에 대응하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외주를 따른 소정 위치에는, 그 스크래핑 날이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외주면 스크래핑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 스크래핑 부재의 고정 위치는, 상기 회수용 트레이의 낙하 입구에 대응하는, 자동 스트레이너 장치.
KR1020167011521A 2013-10-31 2014-10-29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 KR201600825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27753 2013-10-31
JPJP-P-2013-227753 2013-10-31
PCT/JP2014/078793 WO2015064650A1 (ja) 2013-10-31 2014-10-29 裏漉し機の運転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508A true KR20160082508A (ko) 2016-07-08

Family

ID=530042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517A KR20160082507A (ko) 2013-10-31 2014-10-29 스트레이너 장치
KR1020167011521A KR20160082508A (ko) 2013-10-31 2014-10-29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517A KR20160082507A (ko) 2013-10-31 2014-10-29 스트레이너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60302465A1 (ko)
EP (2) EP3064074A1 (ko)
JP (4) JP5780486B1 (ko)
KR (2) KR20160082507A (ko)
CN (2) CN105828644A (ko)
TW (2) TW201532570A (ko)
WO (2) WO2015064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222B1 (ko) 2015-09-18 2017-06-08 김문환 과일씨 분리장치
FR3042396B1 (fr) * 2015-10-20 2018-05-04 Santos Appareil electrique de preparation de jus par pressage d'aliments
WO2018042686A1 (ja) * 2016-08-29 2018-03-08 株式会社大和製作所 スープ用濾過装置
CN107087955B (zh) * 2017-07-04 2018-07-06 台州市黄岩航波塑料厂 一种饮料杯装置
CN113815251A (zh) * 2021-08-24 2021-12-21 白菁冉 一种非转基因食用油提炼系统
WO2023050795A1 (zh) * 2021-09-29 2023-04-06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过滤装置、食物处理机及其控制方法和装置、可读存储介质
CN117138446B (zh) * 2023-10-27 2024-01-16 山东长泽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重防腐涂料生产用离心分散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8168A (ja) 2009-05-18 2009-08-13 Pai Corporation:Kk 破砕加工食品
JP2010022714A (ja) 2008-07-23 2010-02-04 Hideo Matsumoto 裏ごし兼用おろし機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5807A (en) * 1933-05-03 1939-07-11 Standard Oil Dev Co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mixtures of liquid and solid constituents
US2660211A (en) * 1950-02-18 1953-11-24 Berglind Nils Wilhelm Centrifugal machine for the recovery of liquid out of raw vegetable food
US2678133A (en) * 1950-11-17 1954-05-11 Sun Oil Co Continuous filter
US2925180A (en) * 1957-01-15 1960-02-16 Bruce A Geiger Continuous centrifugal extractor
US3262573A (en) * 1963-02-11 1966-07-26 Little Inc A Filter apparatus
US3437209A (en) * 1967-02-01 1969-04-08 Mrs Ralph H L Becker Continuous centrifugal filter construction
JPS4617256Y1 (ko) * 1968-05-02 1971-06-16
US3762563A (en) * 1971-02-23 1973-10-02 P Petersen Cylindrical rotary strainer
JPS511781B2 (ko) * 1972-12-05 1976-01-20
JPS4986949A (ko) * 1972-12-25 1974-08-20
FR2372658A1 (fr) * 1977-06-02 1978-06-30 Serge Cailliot Dispositif de filtration centrifuge continue pour separation, lavage ou epuisement, et application a une machine a cafe automatique
DE2803130A1 (de) * 1978-01-25 1979-07-26 Krauss Maffei Ag Ein- und austragvorrichtung fuer schaelzentrifugen
JPS5726648Y2 (ko) * 1979-05-04 1982-06-10
JPS55139696U (ko) * 1980-04-02 1980-10-04
JPS5711615A (en) * 1980-06-27 1982-01-21 Hitachi Ltd Juicer
JPS5966367A (ja) * 1982-10-05 1984-04-14 Inoue Masafumi 遠心分離機
JPS60111694U (ja) * 1983-12-29 1985-07-29 中村 準佑 山の芋等の粘度を有する食品の擂器
JPS62208248A (ja) * 1986-03-07 1987-09-12 Takagi Sangyo Kk 豆乳分離装置
JPS62178922U (ko) * 1986-05-06 1987-11-13
FR2625426B1 (fr) * 1987-12-31 1992-06-19 Robot Coupe Sa Pressoir pour exprimer le jus de vegetaux
US5074201A (en) * 1989-05-12 1991-12-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onyu and tofu
JPH03143367A (ja) * 1989-10-28 1991-06-18 Kawano Giken Kk 豆腐の製造装置
US5355784A (en) * 1991-12-20 1994-10-18 Trillium Health Products, Inc. Juice extractors
CH688988A5 (de) * 1994-03-14 1998-07-15 Ferrum Ag Filterzentrifuge.
US6030532A (en) * 1998-02-04 2000-02-29 9053-5998 Quebec Inc. Solid-liquid separator and filter
JP2000237635A (ja) * 1999-02-17 2000-09-05 Shokuhin Kikai Kaihatsu:Kk 加熱機構を備えた固液分離装置
KR100549185B1 (ko) * 2003-06-18 2006-02-03 (주) 금호물산 건무화과 가공제품의 제조방법
FR2859617B1 (fr) * 2003-09-17 2007-06-08 Hameur Sa Appareil d'extraction du jus et de la pulpe de produits vegetaux, a rendement ameliore
JP2006075822A (ja) * 2004-08-12 2006-03-23 Mitsuo Yasui 微粉体製造装置、含水あるいは含油物質の微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41589B2 (ja) * 2004-11-04 2010-03-31 ネピュレ株式会社 破砕加工食品の製造方法
ATE473661T1 (de) * 2006-11-20 2010-07-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ntsafter mit adaptiertem drücker
JP2008245786A (ja) * 2007-03-29 2008-10-16 Iwatani Internatl Corp 電動式食材おろし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714A (ja) 2008-07-23 2010-02-04 Hideo Matsumoto 裏ごし兼用おろし機
JP2009178168A (ja) 2009-05-18 2009-08-13 Pai Corporation:Kk 破砕加工食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204836A (ja) 2015-11-19
TW201532571A (zh) 2015-09-01
EP3064073A1 (en) 2016-09-07
CN105828644A (zh) 2016-08-03
US20160302465A1 (en) 2016-10-20
EP3064074A1 (en) 2016-09-07
JP5780486B1 (ja) 2015-09-16
KR20160082507A (ko) 2016-07-08
US20160302466A1 (en) 2016-10-20
JPWO2015064650A1 (ja) 2017-03-09
WO2015064649A1 (ja) 2015-05-07
JP5900830B2 (ja) 2016-04-06
TW201532570A (zh) 2015-09-01
JP2015177807A (ja) 2015-10-08
JPWO2015064649A1 (ja) 2017-03-09
JP5777236B1 (ja) 2015-09-09
CN105792680A (zh) 2016-07-20
JP5900831B2 (ja) 2016-04-06
WO2015064650A1 (ja)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2508A (ko) 스트레이너기의 운전 방법
JP5799349B2 (ja) 裏漉し機の運転方法及び自動裏漉し装置
CN106889633A (zh) 一种核果切片加工方法
CN108991568A (zh) 一种大蒜根须切除系统
CN106891373A (zh) 一种有核水果加工切片设备
CN102178331B (zh) 辣椒加工设备
CN212763591U (zh) 一种薯类加工设备
CN208305191U (zh) 鲜枣脆片切片机
CN111744400A (zh) 一种食品加工原料混合搅拌装置
CN207256320U (zh) 一种番薯类种子切削机
CN207273309U (zh) 一种切片机
CN108968120A (zh) 一种切割装置
CN113369165B (zh) 一种工厂自动化分拣装置
CN211662144U (zh) 一种蔬菜加工切片装置
CN209737712U (zh) 一种米粉切条加工防粘刀装置
CN103586912A (zh) 葛根自动切片机
CN112706200A (zh) 一种食品坯料生产用切边机构
CN107411138B (zh) 一种清洗切块吹干一体机中的切块装置
CN112171770A (zh) 一种年糕分切装置
KR200484389Y1 (ko) 씨앗이 제거된 과육 절단 장치
CN216821468U (zh) 一种食品的自动环保油炸生产线
CN210525220U (zh) 一种连杆式切片机
CN112428329A (zh) 一种食品制作用全自动快速切菜机
CN106239571B (zh) 一种食品压缩圆盘式电动机推动切片机
CN117652673A (zh) 芡实剥壳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