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980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980A
KR20160046980A KR1020140141901A KR20140141901A KR20160046980A KR 20160046980 A KR20160046980 A KR 20160046980A KR 1020140141901 A KR1020140141901 A KR 1020140141901A KR 20140141901 A KR20140141901 A KR 20140141901A KR 20160046980 A KR20160046980 A KR 20160046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bstrate
cover window
insertion memb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982B1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1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982B1/ko
Priority to JP2015141156A priority patent/JP6039761B2/ja
Priority to US14/832,437 priority patent/US10159147B2/en
Priority to EP15182496.8A priority patent/EP3012683B1/en
Priority to CN201510651598.5A priority patent/CN105529348B/zh
Publication of KR20160046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6Substrate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rectangula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 형태의 표시부를 가지면서 외력에 의한 기판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에 원 형태로 마련된 표시부를 덮는 커버 윈도우와, 기판의 가장자리와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 사이의 갭 공간에 마련된 삽입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갭 공간에 중첩되는 기판 및/또는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기판의 손상이 방지되고, 이로 인하여 기판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 형태의 표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와치 폰(watch phone)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및 모니터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박형화가 가능하므로, 이들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화소 전원 라인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원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호 배선의 배치 구조와 화소 구동 전원 배선의 배치 구조, 및 구동 회로의 배치 구조로 인하여 평면적으로 직사각 형태의 표시부를 갖는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및 디자인이 중시되고, 와치 폰 등과 같은 웨어러블(wearable) 기기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직사각 형태가 아닌 원형 표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형 표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원형 표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원 형태의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마련된 비표시 영역을 갖는 기판(10), 기판(10)의 표시 영역(DA) 상에 마련된 표시부(20), 기판(10)의 일측 비표시 영역(NDA)에 마련된 패드부(30), 패드부(30)에 부착되어 패드부(30)를 통해 표시부(20)에 신호를 공급하는 연성 회로 기판(40), 패드부(30)를 제외한 기판(10)의 상면을 덮도록 표시부(20) 상에 마련된 배리어 필름(50), 베이어 필름(50)의 상면에 부착된 편광 필름(60), 투명 접착제(65)에 의해 편광 필름(60)의 상면에 부착되어 기판(10)의 상면을 덮는 커버 윈도우(70), 및 연성 회로 기판(40)과 기판(10)의 패드부(30)가 연결되는 부위에 도포되어 경화된 수지 코팅층(80)을 포함한다.
표시부(20)는 유기 발광 소자(미도시)와 패드부(30)를 통해 연성 회로 기판(40)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는 화소 회로(미도시)를 포함한다.
종래의 원형 표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회로 접속부에서는, 기판(10)과 커버 윈도우(70) 사이에 갭 공간(GS)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갭 공간(GS)은 기판(10)의 패드부(30)와 연성 회로 기판(40)가 연결되어야 하고, 편광 필름(60)의 부착 공차와 투명 접착제(65)의 도포 공차 등에 의해 불가피하게 구동 회로 접속부 상에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은 갭 공간(GS)이 발생될 경우, 편광 필름(60)의 상면에 커버 윈도우(70)를 부착하는 다이렉트 본딩 공정시, 갭 공간(GS)과 중첩되는 기판(10)에 가해지는 합착력 및 접착력과 같은 외력에 의해 기판(10)에 크랙(crack) 및 미세한 균열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기판(10)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한편, 연성 회로 기판(40)과 기판(10)의 패드부(30) 간의 접착력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지 코팅층(80)을 이용하여 갭 공간(GS)을 밀봉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수지 코팅층(80)을 갭 공간(GS)에 충진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수지 코팅층(80)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록 수지 코팅층(80)을 경화시키는데 많은 공정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커버 윈도우(70)의 부착시 갭 공간(GS)에 충진되는 수지 코팅층(80)의 퍼짐으로 인해 주변 영역이 오염되며, 이러한 주변 영역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댐을 형성해야 한다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전술한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한 원형 표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용은 본 출원의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원 형태의 표시부를 가지면서 외력에 의한 기판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원 형태의 표시부와 얇은 베젤 폭을 가지면서 외력에 의한 기판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에 원 형태로 마련된 표시부를 덮는 커버 윈도우, 및 기판의 가장자리와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 사이의 갭 공간에 마련된 삽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표시부를 덮도록 원 형태를 가지며, 삽입 부재는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다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판은 표시부에 마련되어 있는 화소에 연결되는 구동 전원 공급 라인과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고,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은 상기 기판의 원호부 가장자리에 마련된 구동 전원 공급 라인과 표시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판의 가장자리와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 사이의 갭 공간에 삽입 부재를 개재함으로써 갭 공간에 중첩되는 기판 및/또는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기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기판의 원호부와 표시부가 동심원 형태를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기판 원호부의 가장자리에 구동 전원 공급 라인을 마련하고, 구동 전원 공급 라인과 표시부 사이에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을 마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원형 표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Ⅱ-Ⅱ'선의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삽입 부재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I-I'선 및 Ⅲ-Ⅲ'선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삽입 부재와 보조 삽입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링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10), 표시부(120), 커버 윈도우(170), 및 삽입 부재(19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은 원 형태로 정의된 표시 영역(NDA) 및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정의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판(110)은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 예를 들어, 불투명 또는 유색 폴리이미드(PI; Polyimid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의 배면에는 지지 기판(미도시)이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기판은 상기 기판(11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 기판은 상기 기판(110)보다 약은 유연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 재질,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ethylenapthanate), 및 PNB(polynorborneen)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110)은 유연하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지지 기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120)는 기판(110)에 정의된 표시 영역(NDA) 상에 원 형태로 마련되며, 유기 발광 소자를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화소는 기판(110)의 일측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드부(130)를 통해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을 통해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복수의 화소를 덮는 봉지층(encapsula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는 연성 회로 기판(140)과 연결되어 연성 회로 기판(140)을 통해 공급되는 구동 신호를 각 화소로 전달한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의 일측은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에 부착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의 타측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시스템과 연결된다. 이러한 연성 회로 기판(140)에는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142)가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142)는 구동 시스템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 및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화소의 유기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각 화소에 공급한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의 연결 부위는 수지 코팅층(180)에 의해 밀봉된다. 상기 수지 코팅층(180)은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 간의 접착력을 개선함과 동시에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의 연결 부위로 침투하는 수분 또는 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지 코팅층(180)은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의 연결 부위에 도포되어 경화되는 열 경화성 수지 또는 광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110)은 표시 영역(DA)의 곡률을 따라 비표시 영역(NDA)에 마련된 게이트 내장 회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내장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142)로부터 공급되는 스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 신호를 각 화소에 공급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170)는 원 형태를 갖는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기판(110) 상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드부(130)를 제외한 나머지 표시부(120)를 덮는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170)는 투명 접착제(165)에 의해 표시부(120) 상에 부착됨으로써 표시부(120)에서 방출되는 영상 광을 외부로 투과시킨다.
상기 삽입 부재(190)는 서로 마주하는 기판(110)의 가장자리와 커버 윈도우(170)의 가장자리 사이의 갭 공간에 삽입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갭 공간은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의 연결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 상에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것으로, 표시부(120) 상에 커버 윈도우(170)를 합착하는 다이렉트 본딩 공정에서, 갭 공간과 중첩되는 기판(110)에 가해지는 합착력 및 접착력과 같은 외력에 의해 기판(110)에 크랙(crack) 및 미세한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 부재(190)는 상기 갭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갭 공간을 밀봉하거나 갭 공간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기판(110)과 커버 윈도우(170) 사이의 단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커버 윈도우(170)의 다이렉트 본딩 공정에서 발생되는 기판(110)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갭 공간에 중첩되는 기판(110) 및/또는 커버 윈도우(170)의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기판(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삽입 부재(190)는 탄성중합체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삽입 부재(190)는 그 하면에 마련된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수지 코팅층(180)의 상면에 부착된다. 나아가, 상기 삽입 부재(190)는 그 상면에 마련된 접착제에 의해 커버 윈도우(170)의 배면에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삽입 부재(190)는, 도 2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베이스 부재(191), 베이스 부재(191)의 하면에 마련된 하부층(193), 및 베이스 부재(191)의 상면에 마련된 상부층(19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부재(191)는 고분자 수지 재질 또는 탄성중합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193, 195) 각각은 고분자 수지 재질 및 탄성중합체 재질 중 상기 베이스 부재(191)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예에 따른 삽입 부재(190)는 하부층(193)의 하면에 마련된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수지 코팅층(18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부층(195)에 마련된 접착제에 의해 커버 윈도우(170)의 배면에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10)의 가장자리와 커버 윈도우(170)의 가장자리 사이의 갭 공간에 삽입 부재(190)를 삽입 배치함으로써 갭 공간으로 인하여 커버 윈도우(170)의 합착 공정에서 발생되는 기판(110)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기판(110)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며, 도 5에 도시된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10), 표시부(120), 디스플레이 패드부(130), 연성 회로 기판(140), 배리어 필름(150), 편광 필름(160), 커버 윈도우(170), 수지 코팅층(180), 및 삽입 부재(19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은 원호부(111) 및 구동 회로 접속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호부(111)는 표시부(1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동일한 제 1 반지름(r1)을 갖는 제 1 및 제 2 원주점(CP1, CP2)에 의해 원호 형태를 가지되, 제 1 및 제 2 원주점(CP1, CP2) 사이는 직선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원호부(111)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원호부(1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반지름(r1)보다 작은 제 2 반지름(r2)를 갖는 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원호부(111)와 표시 영역(DA)은 실질적으로 동심원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기판(110)의 외측벽과 표시 영역(DA) 사이로 정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표시 영역(DA)을 제외한 원호부(111)의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 회로 접속부(112)는 제 1 및 제 2 원주점(CP1, CP2) 사이로 정의되는 원호부(111)의 일측부로부터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돌출(또는 연장)된다.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표시 영역(DA) 상에 원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의 스캔 라인(SL),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SL)과 교차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DL)과 나란한 복수의 화소 전원 라인(PL), 및 복수의 화소(P)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화소(P) 각각은 매트릭스 형태를 갖도록 표시 영역(DA)에 배치된다. 이때, 비표시 영역(NDA)에 인접한 화소들은 표시 영역(DA)의 원주를 따라 계단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사각 형태를 갖는 화소(P)를 표시 영역(DA)의 원주를 따라 배치하게 되면, 표시 영역(DA)의 원주(또는 최외곽부)는 사각 형태의 화소로 인하여 원형이 아닌 계단 형태를 갖게 된다. 하지만, 표시부(120)가 일정 이상의 해상도를 가질 경우 계단 형태를 갖는 표시 영역(DA)의 원주는 원 형태로 인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화소 배치에 따라 미세한 계단 형태를 갖는 표시 영역(DA)의 원주는 실질적으로 원 형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호부(111)와 표시부(120)는 실질적으로 동심원 형태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표시부(120)는 표시 영역(DA)의 원주를 따라 최외곽 화소(P)의 주변에 마련된 복수의 더미 화소(DP)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DP)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복수의 더미 화소(DP)는 영상을 표시하는 실제 화소(P)가 외부의 정전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표시 영역(DA)에 마련된 각 화소 열의 양 끝단에는 동일한 개수 또는 1 이상의 더미 화소(DP)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 화소 열에 배치된 더미 화소의 개수는 표시 영역(DA)의 원주를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화소(P) 각각은 화소 회로(PC) 및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소 회로(PC)는 인접한 스캔 라인(SL)과 데이터 라인(DL) 및 화소 전원 라인(PL)에 연결되고, 화소 전원 라인(PL)에 공급되는 화소 구동 전원(Vdd)을 기반으로, 스캔 라인(SL)으로부터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Vdata)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일 예에 따른 화소 회로(PC)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sw),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sw)는 스캔 라인(SL)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데이터 라인(DL)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Vdata)를 구동 트랜지스터(Tdr)에 공급한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sw)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Vdata)에 따라 스위칭되어 화소 전원 라인(PL)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OLED)로 흐르는 데이터 전류를 제어한다. 상기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Vdata)에 대응되는 전압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압으로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턴-온시킨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또는 화소 전극), 애노드 전극 상에 마련된 유기 발광층, 및 발광층 상에 마련된 캐소드 전극층(CE)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dr)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류에 의해 발광함으로써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
다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120)에 인접한 원호부(111) 상에는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114), 및 게이트 내장 회로(11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은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도록 표시부(120)의 둘레를 따라 기판(110) 상에 마련되고, 양 끝단이 구동 회로 접속부(112)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은 디스플레이 패드부(130)로부터 공급되는 화소 구동 전원(Vdd)을 표시부(120)에 마련된 복수의 화소 전원 라인(PL)에 공급하기 위한 메인 전원선의 역할을 한다.
일 예에 따른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은 기판(110) 상의 위치에 따라 원주 라인(113a), 제 1 및 제 2 숄더 라인(shoulder line)(113b, 113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원주 라인(113a)은 구동 회로 접속부(112)에 인접한 표시부(120)의 일측부를 제외한 나머지 표시부(12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다. 상기 원주 라인(113a)은 표시부(120)와 기판(110)의 외측벽 중 적어도 하나와 동심원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은 기판(110)의 최외곽에 마련되기 때문에 정전기의 유입 등을 고려하여 기판(110)의 외측벽(110a)으로부터 일정한 거리(D1)만큼 이격되어야 한다. 만약, 상기 원주 라인(113a)이 표시부(120)와 동심원 형태를 갖지 않을 경우, 기판(110)의 외측벽(110a)과 원주 라인(113a) 사이의 거리(D1)가 불균일해지고, 이로 인하여 기판(110)의 외측벽(110a)과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원주 라인(113a)에서 정전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주 라인(113a)은 표시부(120)와 동심원 형태를 가지며, 나아가 기판(110)의 외측벽(110a)과도 동심원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숄더 라인(113b)은 구동 회로 접속부(112)에 인접한 원주 라인(113a)의 일측 끝단과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에 일정한 곡률로 이루어져 원주 라인(113a)의 일측 끝단을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에 연결한다. 상기 제 1 숄더 라인(113b)은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와 표시부(120) 사이에 마련되는 최외곽 링크 라인과 중첩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 1 원주점(CP1)을 둘러싸도록 상대적으로 큰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숄더 라인(113c)은 구동 회로 접속부(112)에 인접한 원주 라인(113a)의 타측 끝단과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에 일정한 곡률로 이루어져 원주 라인(113a)의 타측 끝단을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에 연결한다. 상기 제 2 숄더 라인(113c)은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와 표시부(120) 사이에 마련되는 최외곽 링크 라인과 중첩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 2 원주점(CP2)을 둘러싸도록 상대적으로 큰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숄더 라인(113b, 113c)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드부(130)로부터 공급되는 화소 구동 전원(Vdd)을 원주 라인(113a)의 양 끝단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에서 발생되는 위치별 전압 강하의 편차를 최소화한다.
이와 같은, 상기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은 복수의 전원 공유 라인(PSL)을 통해 표시부(120)에 마련된 각 화소(P)의 화소 전원 라인(PL)과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전원 공유 라인(PSL) 각각은 2개 이상의 화소(P)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화소 그룹 단위로 각 화소 그룹에 포함된 화소 전원 라인(PL)을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의 원주 라인(113a)에 연결한다. 즉, 복수의 전원 공유 라인(PSL) 각각은 화소 구동 전원(Vdd)과 데이터 신호(Vdata) 간의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이터 라인(DL)과 교차하지 않으면서 상기 각 화소 그룹에 포함된 2개 이상의 화소 전원 라인(PL)에 공유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화소 그룹 각각은 데이터 라인(DL)과 화소 전원 라인(PL)에 연결된 화소(P)로 이루어지는 2개 이상의 화소 열로서, 표시부(120)의 곡률에 기초하여 사전에 설정된 동일하거나 각기 상이한 화소 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114)은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도록 표시부(120)의 둘레를 따라 상기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과 표시부(120) 사이의 기판(110) 상에 마련되고, 양 끝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에 연결된다. 일 예에 따른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114)은 상기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나란할 수 있다. 상기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11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20)를 덮도록 상기 원호부(111) 상에 형성되는 캐소드 전극층(C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114)은 디스플레이 패드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캐소드 전원을 상기 캐소드 전극층(CE)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캐소드 전극층(CE)을 통해 상기 표시부(120)에 형성된 모든 화소(P)의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캐소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캐소드 전극층(CE)은 각 화소(P)의 화소 회로(PC)를 덮는 보호층(116) 상에 형성되어 각 화소(P)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유기 발광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캐소드 전극층(CE)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114)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캐소드 전극층(CE)은 상기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과 표시부(120) 사이에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BW)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층(116)은 수분 전달이 원활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호층(116)으로 침투하는 수분으로 인한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판(110)의 외측벽(110a)으로부터 일정한 거리(D2) 만큼 이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판(110)의 외측벽(110a)으로부터 일정한 거리(D2) 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과 표시부(120) 사이에 상기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114)을 배치함으로써 보호층(116)을 기판(110)의 외측벽(110a)으로부터 일정한 거리(D2) 만큼 이격시키면서 기판(110)의 외측벽(110a)과 표시부(120) 사이의 폭으로 정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BW)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캐소드 전극층(CE)은 상기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보다 기판(110)의 외측벽(110a)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보호층(116)을 기판(110)의 외측벽(110a)으로부터 일정한 거리(D2) 만큼 이격시키기 위해,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이 외곽 쪽으로 더 연장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BW)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BW)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보호층(116)을 기판(110)의 외측벽(110a)으로부터 일정한 거리(D2) 만큼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114)은 상기 구동 전원 공급 라인(113)과 표시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캐소드 전극층(CE)은 봉지층(encapsulation layer)(117)에 의해 덮인다. 상기 봉지층(117)은 유기 물질층 또는 무기 물질층, 유기 물질층과 무기 물질층이 교대로 적층된 복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내장 회로(115)는 화소(P)의 박막 트랜지스터 공정시, 표시부(120)의 둘레를 따라 원호 형태를 가지도록 기판(110) 상에 마련되어 복수의 스캔 라인(SL) 각각에 연결된다. 이러한 게이트 내장 회로(115)는 디스플레이 패드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스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캔 신호를 생성해 복수의 스캔 라인(SL)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일 예로서, 상기 게이트 내장 회로(115)는 표시부(120)의 좌측 둘레 또는 우측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복수의 스캔 라인(SL) 각각의 일단 또는 타단에 스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게이트 내장 회로(115)는 표시부(120)의 좌측 둘레와 우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복수의 스캔 라인(SL) 각각의 일단과 타단에 스캔 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게이트 내장 회로(115)는 표시부(120)의 좌측 둘레와 우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기수번째 스캔 라인(SL)의 일단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고, 기수번째 스캔 라인(SL)의 타단에 스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는 상기 구동 회로 접속부(112)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드부(130)는 복수의 데이터 패드, 제 1 및 제 2 숄더 라인(113b, 113c) 각각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구동 전원 패드, 캐소 전원 공급 라인(114)의 일단과 타단 각각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캐소드 전원 패드, 및 게이트 내장 회로(115)에 연결되는 복수의 게이트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드는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을 통해 복수의 데이터 라인(DL)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전원 패드는 제 1 및 제 2 숄더 라인(113b, 113c)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캐소드 전원 패드는 캐소 전원 공급 라인(114)의 일단과 타단에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게이트 패드는 복수의 게이트 제어 리크 라인을 통해 게이트 내장 회로(11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은 본딩 공정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성 회로 기판(140)은 기판(110)의 측면을 감싸도록 기판(110)의 배면 쪽으로 벤딩되어 구동 시스템과 연결된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에는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142)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142)는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타이밍 동기 신호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를 통해 각 화소(P)의 데이터 라인에 공급함과 동기되도록 타이밍 동기 신호에 따라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를 통해 게이트 내장 회로(115)에 공급한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와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의 연결 부위는 수지 코팅층(18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코팅층(180)은 수지 물질의 도포 및 경화 공정에 의해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와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의 연결 부위를 덮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 간의 접착력을 개선함과 동시에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의 연결 부위로 침투하는 수분 또는 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에 따른 수지 코팅층(180)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광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리어 필름(150)은 상기 표시부(120)를 덮도록 기판(110) 상에 마련된다. 이때, 배리어 필름(150)은 투명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표시부(120)의 상면에 마련된 봉지층(117)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배리어 필름(150)은 수분 투습도가 낮은 재질, 예를 들어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에 인접한 표시부(120)의 측면과 배리어 필름(150) 각각의 측면은 상기 수지 코팅층(18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160)은 상기 배리어 필름(150)의 상면에 부착되어 표시부(12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킨다.
상기 커버 윈도우(170)는 원 형태를 갖는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기판(110) 상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드부(130)를 제외한 나머지 기판(110)의 상부를 덮는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170)는 OCA(Optical Clear Adhesive)와 같은 투명 접착제(165)에 의해 표시부(120), 즉 편광 필름(160)의 상면에 부착됨으로써 표시부(120)에서 방출되는 영상 광을 외부로 투과시킴과 아울러 표시부(1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기판(110)의 구동 회로 접속부(112)와 커버 윈도우(170) 사이에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14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의 연결을 위해 일정 갭 공간이 마련되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커버 윈도우(170)은 롤러를 이용한 다이렉트 본딩 공정에 의해 기판(11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다이렉트 본딩 공정은 본딩 스테이지 상에 커버 윈도우(170)를 배치하는 공정, 상하로 반전된 기판(110)을 커버 윈도우(170) 상에 배치하는 공정, 가압 롤러를 이용해 기판(110)을 가압하여 기판(110)을 커버 윈도우(170)에 부착하는 공정, 및 자외선 또는 열을 이용하여 투명 접착제(165)에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 접착제(165)는 기판(110) 및 커버 윈도우(170)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부재(190)는 서로 마주하는 기판(110)의 가장자리, 즉 구동 회로 접속부(112)와 커버 윈도우(170) 사이에 발생되는 상기 갭 공간에 삽입 배치된다. 즉, 삽입 부재(190)는 수지 코팅층(180)과 커버 윈도우(17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수지 코팅층(18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커버 윈도우(170)의 배면에도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부재(190)는 상기 갭 공간을 밀봉하거나 갭 공간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기판(110)과 커버 윈도우(170) 사이의 단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커버 윈도우(170)의 다이렉트 본딩 공정에서 발생되는 기판(110)의 손상을 방지한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120)와 디스플레이 패드부(130) 사이에 마련된 선택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118)는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에 인접한 표시부(120)의 상측 둘레를 따라 마련되고, 2개 이상의 데이터 라인 단위로 연결된 복수의 선택 회로(118a)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선택 회로(118a) 각각은 2개 이상의 데이터 라인 단위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데이터 그룹에 일대일로 연결됨으로써 각 데이터 그룹에 포함된 데이터 라인들을 시분할 구동한다. 일 예에 따른 복수의 선택 회로(118a) 각각은 하나의 입력 단자와 2개 이상의 출력 단자를 갖는 다중화 회로, 예를 들어, 멀티플렉서일 수 있다. 선택 회로(118a)의 입력 단자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142)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공급된다. 선택 회로(172)의 출력 단자들은 각 데이터 그룹에 포함된 데이터 라인들과 일대일로 연결된다. 이러한 복수의 선택 회로(118a) 각각은 시분할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단자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각 데이터 그룹에 포함된 데이터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선택부(118)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와 데이터 라인을 연결하는 데이터 링크 라인의 개수가 감소됨에 따라 상기 데이터 링크 라인들의 형성 영역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원주점(CP1, CP2) 사이의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판(110)의 원호부(111)가 표시부(120)와 더욱 동심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원 형태의 표시부를 가지면서 얇은 베젤 폭(BW)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배리어 필름(150)은 베이스 필름, 베이스 필름에 마련된 터치 센싱부, 및 베이스 필름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또는 연장)된 터치 회로 접속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은 수분 투습도가 낮은 재질, 예를 들어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싱부는 표시부(120)와 중첩되도록 베이스 필름 상에 정의된 터치 센싱 영역에 마련된 터치 구동 라인과 터치 센싱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회로 접속부(151)는 베이스 필름의 하측으로부터 일정 크기로 돌출(또는 연장)되어 기판(110)에 마련된 지지부(119)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19)는 표시부(1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동일한 제 1 반지름(r1)을 갖는 제 3 및 제 4 원주점(CP3, CP4) 사이로 정의되는 원호부(111)의 타측부로부터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돌출(또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회로 접속부(151)는 상기 터치 센싱부의 터치 구동 라인과 터치 센싱 라인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의 터치 구동 링크 라인과 복수의 터치 센싱 링크 라인, 및 복수의 터치 구동 링크 라인과 복수의 터치 센싱 링크 라인과 일대일로 연결되는 복수의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패드부(153)는 본딩 공정에 따라 터치용 연성 회로 기판(195)과 연결되고, 상기 터치용 연성 회로 기판(200)은 기판(110)의 측면을 감싸도록 기판(110)의 배면 쪽으로 벤딩되어 터치 구동 회로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여기서, 터치 패드부(153)와 터치용 연성 회로 기판(200)의 연결 부위는 상기 수지 코팅층(180)에 의해 밀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지 코팅층(180)에 의해 터치 패드부(153)와 터치용 연성 회로 기판(200) 간의 접착력이 개선되고, 터치 패드부(153)와 터치용 연성 회로 기판(200)의 연결 부위로 침투하는 수분 또는 습기의 침투가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리어 필름(150)은 터치 센싱부와 터치 회로 접속부(151) 및 터치 패드부(153)를 포함하지 않고, 베이스 필름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배리어 필름(150)과 편광 필름(160) 사이에는 터치 스크린(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용 베이스 필름, 터치용 베이스 필름에 마련된 터치 센싱부, 및 베이스 필름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또는 연장)되고 터치 센싱부와 연결되는 터치 패드부를 갖는 터치 회로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에 인접하면서 서로 마주하는 기판(110)과 커버 윈도우(170) 사이의 갭 공간에 삽입 부재(190)를 삽입 배치하여 상기 갭 공간을 밀봉하거나 갭 공간에서 기판(110)과 커버 윈도우(170) 사이의 단차를 감소시킴으로써 기판(110)과 커버 윈도우(170)의 다이렉트 본딩 공정에서 상기 갭 공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기판(110)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외력에 의한 갭 공간에 중첩되는 커버 윈도우(170)의 손상 또는 기판(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원호부(111)와 표시부(120)가 실질적으로 동심원 형태를 가짐으로써 얇은 베젤 폭(BW)을 가지고, 이로 인해 갭 공간의 길이, 즉 구동 회로 접속부의 장변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삽입 부재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예에 따른 삽입 부재(190)는 탄성중합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각 형태, 예를 들어 직사각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삽입 부재(190)의 배면은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수지 코팅층(180; 도 4 참조)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커버 윈도우(170; 도 4 참조)와 중첩되는 삽입 부재(190)의 상면 일부(190u)는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 배면에 의해 눌려지거나 접착제에 의해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부재(190)의 상면 일부(190u)가 커버 윈도우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삽입 부재(190)의 두께는 수지 코팅층과 커버 윈도우 사이의 거리보다 사전 설정된 두께만큼 두꺼울 수 있다. 이러한 제 1 예에 따른 삽입 부재(190)는 서로 마주하는 기판과 커버 윈도우 사이의 갭 공간을 밀봉하고, 또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갭 공간과 중첩되는 기판 및/또는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하는 역할도 한다.
다음으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예에 따른 삽입 부재(190)는 다각 형태, 예를 들어 직사각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베이스 부재(191), 하부층(193), 및 상부층(195)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191)는 고분자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기판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191)는 탄성중합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층(193)은 상기 베이스 부재(191)의 하면에 결합된 것으로, 고분자 수지 재질 및 탄성중합체 재질 중 상기 베이스 부재(191)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층(193)은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수지 코팅층(180; 도 4 참조)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부층(195)은 상기 하부층(193)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170; 도 4 참조)와 중첩되는 상부층(195)의 상면 일부(195u)는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 배면에 의해 눌려지거나 접착제에 의해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예에 따른 삽입 부재(190)는 서로 마주하는 기판과 커버 윈도우 사이의 갭 공간을 밀봉하고, 또한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갭 공간과 중첩되는 기판 및/또는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하는 역할도 한다.
다음으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예에 따른 삽입 부재(190)는 탄성중합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곡률부(197)를 갖는 다각 형태, 예를 들어 직사각 형태를 갖는다. 상기 곡률부(197)는 표시부(120)와 마주하는 삽입 부재(19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커버 윈도우의 곡률을 따라 오목하게 마련된다. 상기 곡률부(197)의 상면 가장자리(197u)는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 배면에 의해 눌려지거나 접착제에 의해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3 예에 따른 삽입 부재(190)는 곡률부(197)가 상기 커버 윈도우의 곡률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됨과 따라, 구동 회로 접속부 상에서 발생되는 커버 윈도우와 기판 간의 갭 공간 전체를 밀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3 예에 따른 삽입 부재(19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1), 하부층(193), 및 상부층(195)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I-I'선 및 Ⅲ-Ⅲ'선 각각의 단면도로서, 이는 배리어 필름에 마련된 터치 회로 접속부와 커버 윈도우 사이의 갭 공간에 보조 삽입 부재를 추가로 삽입 배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보조 삽입 부재(210)를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들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삽입 부재(210)는 배리어 필름(150)의 하측에 마련된 터치 회로 접속부(151)와 커버 윈도우(170) 사이에 발생되는 갭 공간에 삽입 배치된다. 여기서, 터치 회로 접속부(151)와 커버 윈도우(170) 사이의 갭 공간은 터치용 연성 회로 기판(200)과 상기 터치 패드부(153)의 연결을 위해 상기 터치 회로 접속부(151) 상에 불가피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삽입 부재(210)는 터치 회로 접속부(151)와 커버 윈도우(170) 사이의 갭 공간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갭 공간을 밀봉하거나 갭 공간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배리어 필름(150)의 터치 회로 접속부(151)와 커버 윈도우(170) 사이의 단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커버 윈도우(170)의 합착 공정에서 발생되는 기판(110)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보조 삽입 부재(210)는 도 9a 내지 도 9c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삽입 부재(19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동일한 방법으로 터치 회로 접속부(151)와 커버 윈도우(17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삽입 부재(190)와 보조 삽입 부재(2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링 부재(2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삽입 부재(190)는 연결 링 부재(22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보조 삽입 부재(210)는 연결 링 부재(220)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 링 부재(220)와 삽입 부재(190) 및 보조 삽입 부재(210)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링 부재(220)는 커버 윈도우(170; 도 11 참조)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기판(110)의 원호부(111; 도 11 참조) 가장자리 사이의 갭 공간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와 기판(110)의 원호부(111) 가장자리 사이에 갭 공간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10)과 커버 윈도우(170)의 다이렉트 본딩 공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드부(130)와 터치 패드부(153) 각각에 인접한 기판(110)과 커버 윈도우(170) 사이의 갭 공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기판(110)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외력에 의한 갭 공간에 중첩되는 커버 윈도우(170)의 손상 또는 기판(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기판 111: 원호부
112: 구동 회로 접속부 113: 구동 전원 공급 라인
114: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 115: 게이트 내장 회로
120: 표시부 130: 디스플레이 패드부
140: 연성 회로 기판 142: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
150: 배리어 필름 151: 터치 회로 접속부
160: 편광 필름 170: 커버 윈도우
180: 수지 코팅층 190: 삽입 부재
191: 베이스 부재 193: 하부층
195: 상부층 200: 터치용 연성 회로 기판
210: 보조 삽입 부재 220: 연결 링 부재

Claims (11)

  1. 기판 상에 원 형태로 마련된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덮도록 기판 상에 마련된 커버 윈도우; 및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 사이의 갭 공간에 마련된 삽입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표시부가 마련되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구동 회로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구동 회로 접속부와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개재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마련되어 있는 화소와 연결되도록 상기 구동 회로 접속부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드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에 부착된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와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연결 부위를 덮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코팅층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개재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구동 회로 접속부의 일부와 상기 표시부를 덮도록 원 형태를 가지며,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다각 형태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커버 윈도우의 곡률을 따라 상기 표시부와 마주하는 내측면에 마련된 곡률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탄성중합체 재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마련된 상부층;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면에 마련된 하부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고분자 수지 재질 또는 탄성중합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 각각은 상기 고분자 수지 재질 및 탄성중합체 재질 중 상기 베이스 부재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표시부와 중첩되는 터치 센싱부와 상기 터치 센싱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터치 패드부를 갖는 터치 회로 접속부를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 및
    상기 터치 회로 접속부와 상기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 사이에 삽입 배치된 보조 삽입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원호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터치 회로 접속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 사이에 마련된 연결 링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 부재와 보조 삽입 부재 및 연결 링 부재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화소에 연결된 화소 전원 라인과 캐소드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화소 전원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드부에 인접한 상기 표시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표시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원호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구동 전원 공급 라인;
    상기 캐소드 전극층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 전원 공급 라인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마련된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41901A 2014-10-20 2014-10-2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3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901A KR102263982B1 (ko) 2014-10-20 2014-10-20 디스플레이 장치
JP2015141156A JP6039761B2 (ja) 2014-10-20 2015-07-15 ディスプレイ装置
US14/832,437 US10159147B2 (en) 2014-10-20 2015-08-21 Display apparatus
EP15182496.8A EP3012683B1 (en) 2014-10-20 2015-08-26 Display apparatus
CN201510651598.5A CN105529348B (zh) 2014-10-20 2015-10-10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901A KR102263982B1 (ko) 2014-10-20 2014-10-2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980A true KR20160046980A (ko) 2016-05-02
KR102263982B1 KR102263982B1 (ko) 2021-06-11

Family

ID=5414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901A KR102263982B1 (ko) 2014-10-20 2014-10-2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59147B2 (ko)
EP (1) EP3012683B1 (ko)
JP (1) JP6039761B2 (ko)
KR (1) KR102263982B1 (ko)
CN (1) CN10552934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354A (ko) * 2017-09-26 2019-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선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89425B2 (en) 2017-06-27 2021-08-10 Lg Electronics Inc. Audio playback method and audio playback apparatus in six degrees of freedom environment
US11251173B2 (en) 2016-06-30 2022-02-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 chip on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002B1 (ko) * 2014-02-14 2021-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518650B (zh) * 2014-10-27 2016-01-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TWI536130B (zh) * 2014-12-05 2016-06-0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及電子顯示裝置
CN107110476B (zh) * 2014-12-26 2019-11-19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及显示装置
KR102276995B1 (ko) 2015-02-12 2021-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KR102321611B1 (ko) 2015-03-10 2021-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CN104749806B (zh) * 2015-04-13 2016-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4851892A (zh) * 2015-05-12 2015-08-1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窄边框柔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204884440U (zh) * 2015-08-27 2015-1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KR102534149B1 (ko) * 2016-05-24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그것의 제조 방법, 및 멀티 표시 장치
CN107464823A (zh) * 2016-06-02 2017-12-12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7807480B (zh) * 2016-09-08 2021-04-20 株式会社日本显示器 显示装置
US10409102B2 (en) * 2016-09-08 2019-09-10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CN106251789A (zh) * 2016-09-22 2016-12-21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结构及移动终端
US20190051858A1 (en) * 2017-08-10 2019-02-14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CN109712529A (zh) * 2017-10-26 2019-05-03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可挠性电子装置
CN108039358B (zh) * 2017-11-30 2020-09-1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83394B1 (ko) * 2017-12-13 2022-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10910592B2 (en) * 2017-12-22 2021-02-02 Lg Display Co., Ltd.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WI646370B (zh) * 2017-12-26 2019-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製作方法
CN110010659A (zh) 2018-01-04 2019-07-12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KR102560948B1 (ko) * 2018-01-04 2023-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447390B (zh) * 2018-02-27 2020-07-0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环形显示模组和显示装置
WO2019175943A1 (ja) * 2018-03-12 2019-09-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9174609A (ja) * 2018-03-28 2019-10-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702366B2 (ja) 2018-07-17 2020-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電子機器
US11852938B2 (en) 2018-08-21 2023-12-26 Apple Inc. Displays with data lines that accommodate openings
US10852607B2 (en) * 2018-08-21 2020-12-01 Apple Inc. Displays with data lines that accommodate openings
CN110875361A (zh) 2018-08-31 2020-03-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11352262A (zh) * 2018-12-21 2020-06-30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US11263981B2 (en) * 2019-05-31 2022-03-0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isplay
CN110782789A (zh) * 2019-10-21 2020-02-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以及电子设备
KR20220087190A (ko) * 2020-12-17 2022-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5188314B (zh) * 2022-09-08 2023-01-31 惠科股份有限公司 异形屏的显示电路及显示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9571A (ja) * 1999-08-25 2001-04-20 Swatch Ag コンピュータカーソル用無線制御装置を含む時計
US20090115942A1 (en) * 2005-12-05 2009-05-0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US20090213534A1 (en) * 2008-02-22 2009-08-27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20092817A1 (en) * 2010-10-13 2012-04-19 Sony Corporation Display device
EP1079259B1 (fr) * 1999-08-27 2013-11-13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Procédé de réalisation d'un module d'affichage à cellule à cristaux liquides
US20130314881A1 (en) * 2012-05-23 2013-11-28 Samsung Display Co., Ltd. Port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2014164276A (ja) * 2013-02-27 2014-09-08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9097Y2 (ko) * 1973-03-02 1978-05-20
JPS53142271A (en) * 1977-05-17 1978-12-11 Citizen Watch Co Ltd Thin type liquid crystal watch
JPS5934172U (ja) 1982-08-30 1984-03-02 シ−ケ−デイコントロ−ルズ株式会社 油浸型ソレノイド
JPS59134172U (ja) * 1983-02-28 1984-09-07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液晶セルの支持構造
JP4120577B2 (ja) * 1996-08-08 2008-07-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の樹脂被覆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H1115394A (ja) 1997-06-20 1999-01-22 Casio Comput Co Ltd 電子部品、電子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時計
JP2001075075A (ja) * 1999-06-29 2001-03-23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485107B2 (ja) * 2000-06-13 2004-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4574130B2 (ja) 2003-06-18 2010-11-0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電子機器
JP2007285743A (ja) * 2006-04-13 2007-11-01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
WO2011103317A1 (en) * 2010-02-17 2011-08-25 Art Technology Limited Timepiece with twist restricted flexible display
KR101659023B1 (ko) 2010-03-1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이동 단말기
JP5433465B2 (ja) * 2010-03-16 2014-03-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TWI434249B (zh) * 2010-11-11 2014-04-1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及其製作方法
CN104335107A (zh) * 2012-06-05 2015-02-04 Nec卡西欧移动通信株式会社 电子装置显示单元和包括该显示单元的便携终端装置
KR102194822B1 (ko) * 2014-01-16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674957B2 (en) * 2014-02-04 2017-06-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44002B1 (ko) * 2014-02-14 2021-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9571A (ja) * 1999-08-25 2001-04-20 Swatch Ag コンピュータカーソル用無線制御装置を含む時計
EP1079259B1 (fr) * 1999-08-27 2013-11-13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Procédé de réalisation d'un module d'affichage à cellule à cristaux liquides
US20090115942A1 (en) * 2005-12-05 2009-05-0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US20090213534A1 (en) * 2008-02-22 2009-08-27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20092817A1 (en) * 2010-10-13 2012-04-19 Sony Corporation Display device
US20130314881A1 (en) * 2012-05-23 2013-11-28 Samsung Display Co., Ltd. Port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2014164276A (ja) * 2013-02-27 2014-09-08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1173B2 (en) 2016-06-30 2022-02-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 chip on film
US11089425B2 (en) 2017-06-27 2021-08-10 Lg Electronics Inc. Audio playback method and audio playback apparatus in six degrees of freedom environment
KR20190035354A (ko) * 2017-09-26 2019-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선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3106A1 (en) 2016-04-21
EP3012683B1 (en) 2022-05-04
JP6039761B2 (ja) 2016-12-07
CN105529348A (zh) 2016-04-27
JP2016081031A (ja) 2016-05-16
KR102263982B1 (ko) 2021-06-11
EP3012683A1 (en) 2016-04-27
CN105529348B (zh) 2019-09-10
US10159147B2 (en)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98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681947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CN109243364B (zh) 显示装置
CN107833978B (zh) 一种显示器件
KR1021622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8176B1 (ko) 표시장치
KR20190130092A (ko) 유기발광 표시 장치
KR201600836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0882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9742A (ko) 표시 장치
KR20200048205A (ko) 플렉서블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JP7274326B2 (ja) 表示装置
KR201600828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183672B2 (en) Display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adhesive portions
KR20170083686A (ko) 표시장치
KR20240000431A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90032690A (ko)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KR10188389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39976A (ko) 표시 장치
KR20240076029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